KR102107759B1 - 커넥터 분리용 지그 - Google Patents

커넥터 분리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59B1
KR102107759B1 KR1020200028115A KR20200028115A KR102107759B1 KR 102107759 B1 KR102107759 B1 KR 102107759B1 KR 1020200028115 A KR1020200028115 A KR 1020200028115A KR 20200028115 A KR20200028115 A KR 20200028115A KR 102107759 B1 KR102107759 B1 KR 102107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nnector
outer housing
p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근
Original Assignee
강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근 filed Critical 강호근
Priority to KR102020002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와 강한 접속력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전선) 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내부 하우징이 삽입 결합되는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커넥터 분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적재적소에 설치된 잠금 해제핀을 통해 내부 하우징의 락부를 분리하는 동시에 푸시핀을 이용하여 내부 하우징을 상부로 밀어올려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롱로즈형 니퍼와 같은 뽑기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4개소에 각각 걸려 있는 잠금을 동시에 해제 및 분리하여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보다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분리용 지그{JIG FOR SEPARATING A INNER HOUSING FROM A OUTER HOUSING IN CONNECTOR}
본 발명은 각종 산업분야의 전장품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를 분리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강도와 강한 접속력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전선) 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내부 하우징이 삽입 결합되는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을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커넥터 분리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품으로서, 커넥터에 케이블을 접속하거나 인쇄회로기판(PCB)에 직접 접속하는 등과 같이 형태와 접속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각종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소재 기술의 발달과 IT 기술의 접목으로 인해 전장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자동차 분야에서 전장품의 전기적인 접속구 역할을 하는 커넥터의 수량 증가는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단면도로서, 자동차에 사용되는 듀얼 하우징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커넥터(10)는 케이블(전선) 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1)의 강도를 위해 외부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하는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다.
내부 하우징(12)은 도 2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진 외부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 하우징(11)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고, 외부 하우징(11)에 접속되는 케이블 단자의 접속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내부 하우징(12)은 외부 하우징(11)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외측 각 모서리 하측부에 각각 외측으로 락부(12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외부 하우징(11)의 내측 각 모서리 하측부에는 걸림턱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락부(12a)는 내부 하우징(12)이 외부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 하우징(12)의 인출방향으로 외부 하우징(11)의 내측 각 모서리 하측부에 형성된 걸림턱부(11a)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내부 하우징(12)은 외부 하우징(11)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락부(12a)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걸림되어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듀얼 하우징 구조를 갖는 커넥터(10)는 생산 단계에서 조립 불량 등을 점검하거나, 혹은 사용 중에 접속불량 등을 점검하기 위해 내부 하우징(12)을 외부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내부 하우징(12)이 외부 하우징(11)의 내부로 깊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잠금됨에 따라 분리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다양한 공구, 예를 들면 롱로즈형 니퍼(nipper)와 같은 뽑기공구 등을 이용하여 내부 하우징(12)을 외부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하였으나 분리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분리과정에서 커넥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17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6506호, 일본 공개특허 제10-2005-25997호, 일본 공개특허 제10-2019-8967호 등과 같은 선행문헌들에서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지그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분리지그들은 대부분 일자형 봉 또는 막대(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분리지그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외부 하우징(11)의 개구홀(11b)을 통해 분리지그를 내부로 삽입시킨 후 내부 하우징(12)의 락부(12a)를 일측으로 벌려 외부 하우징(11)에 형성된 걸림턱부(11a)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잠금을 해제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분리지그들은 지그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분리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12)의 모든 락부(12a)에 의한 잠금해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없고, 순차적으로 잠금을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잠금 해제 후에도, 롱로즈형 니퍼와 같은 뽑기공구 등을 이용하여 내부 하우징(12)을 잡고 뽑는 방식으로 인출해야 함에 따라 여전히 작업이 불편하였다.
KR 10-1176506 B1, 2012. 08. 17. KR 10-1221704 B1, 2013. 01. 07. JP 10-2005-25997 A, 2005. 01. 27. JP 10-2019-8967 A, 2019. 01. 17.
따라서, 본 발명은 롱로즈형 니퍼와 같은 뽑기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4개소에 각각 걸려 있는 잠금을 동시에 해제 및 분리하여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보다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 분리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 작업이 용이하여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의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커넥터 분리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마모나 파손이 발생할 때 각 부품별로 교체가 용이하여 수리보수가 용이한 커넥터 분리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진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을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된 복수 개의 가이드 핀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작동판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핀을 감싸도록 설치된 탄성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 모서리 하측부에 형성된 개구홀에 각각 관통 삽입되어 상기 개구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락부를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복수 개의 잠금 해제핀과, 상기 잠금 해제핀과 나란하도록 상기 작동판에 체결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푸시 삽입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푸시 삽입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측부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푸시핀을 포함하는 커넥터 분리용 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푸시핀은 상단부가 상기 잠금 해제핀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작동판에 체결되어 상기 잠금 해제핀의 상단부가 상기 락부에 접촉되기 전에 먼저 상단부가 상기 푸시 삽입홀을 통해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푸시 삽입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잠금 해제핀에 의해 상기 락부가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상기 외부 하우징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을 상기 작동판으로 전달하여 상기 탄성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잠금 해제핀에 의해 상기 락부가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상승하는 상기 작동판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을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교체 수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베이스판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잠금 해제핀은 상기 베이스판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푸시핀은 상기 작동판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케이블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지지대와, 상기 가이드 핀과 나란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핀이 지지하지 않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다른 측부를 지지하는 보조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작동판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케이블과 간섭되지 않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핀은 하단부에 상기 베이스판의 수직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수직홀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수평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수직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 하부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판에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상기 락부를 분리시키도록 뾰족하게 돌출된 해제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핀은 상기 내부 하우징을 균일하게 밀어 올리기 위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작동판에 한 쌍이 설치되고, 각각은 하단부에 상기 작동판의 수직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판의 수직홀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수평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작동판의 수직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 하부 양측에는 상기 작동판에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롱로즈형 니퍼와 같은 뽑기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4개소에 각각 걸려 있는 잠금을 동시에 해제 및 분리하여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보다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분리 작업이 용이하여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의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각 부품별 마모나 파손이 발생할 때 각 부품별로 교체가 가능하여 수리 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분리용 지그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분리용 지그에 커넥터에 셋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분리용 지그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내부 하우징을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분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 분리용 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분리용 지그(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10)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커넥터(10)를 지그(20)에 셋팅한 상태에서 하부로 누르는 단순한 작업만으로도 내부 하우징(12)을 하부 하우징(11)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분리용 지그에 커넥터에 셋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넥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과 같이, 커넥터(10)는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하는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부 하우징(12)에는 외측 각 모서리 하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락부(12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외부 하우징(11)의 내측 각 모서리 하단부에는 락부(12a)가 인출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하우징(11)에는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12)의 락부(12a)가 하부로 노출되도록 각 모서리 하측부에 개구홀(11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개구홀(11b)의 사이, 즉 외부 하우징(11)의 양측 중앙(길이방향으로 중앙)에는 내부에 결합된 내부 하우징(12)의 양측 중앙 하측부가 노출되는 푸시 삽입홀(11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분리용 지그(20)는 받침대(21)와, 받침대(21)와 나란하게 받침대(21)의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판(22)과, 받침대(21)와 베이스판(22)을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지지대(23)를 포함한다.
받침대(21)는 상하면이 모두 평평한 판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판(22)은 커넥터(10)에 접속되는 케이블(c)이 간섭되지 않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대(21)와 베이스판(22)에는 각각 지지대(23)의 상·하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홀(21a, 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너트(n2)와 베이스판(22) 사이에는 지지대(23)와 받침대(21) 및 베이스판(22) 간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와셔(w1)가 설치된다.
지지대(23)는 상·하단부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너트(n1, n2)에 의해 받침대(21)와 베이스판(22)에 체결된다. 그리고, 커넥터(10)의 분리작업시 커넥터(10)에 접속된 케이블(c)이 간섭되지 않도록 커넥터(10)의 셋팅 높이를 조정한다.
즉, 지지대(23)는 받침대(21)로부터 베이스판(22)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러한 지지대(23)는 복수 개가 받침대(21)의 상부에 체결 고정된다.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가 받침대(21)에 체결 고정되어 상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22)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대(23)는 받침대(21)의 결합홀(21a)과 베이스판(22a)의 결합홀을 관통 삽입되는 상·하단부의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너트(n1, n2)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베이스판(22)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지대(23)가 길이가 가변되도록 안테나와 낚시대와 같이 다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베이스판(22)의 상부에는 베이스판(22)과 나란하도록 작동판(24)이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작동판(24)은 베이스판(22)의 상부에 서로 정렬 설치되고, 커넥터(10)에 접속된 케이블(c)이 간섭되지 않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작동판(24)에는 가이드 핀(25)이 관통 결합되는 결합홀(24a)이 형성된다.
결합홀(24a)은 복수 개가 작동판(24)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작동판(24)의 양단부, 그리고 양단부와 수평하게 연결되는 각 모서리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작동판(24)의 결합홀(24a)에는 각각 수직으로 가이드 핀(25)이 관통 결합된다.
가이드 핀(25)은 도 6과 같이, 커넥터(10)의 분리작업을 위해 커넥터(10)를 지그(20)에 셋팅할 때, 커넥터(10)의 위치를 지그(20)에 정렬시키는 정렬핀으로 기능한다. 즉, 잠금 해제핀(27)이 외부 하우징(11)의 개구홀(11b)에 정렬되고, 푸시핀(28)이 외부 하우징(11)의 푸시 삽입홀(11c)에 정렬되도록 커넥터(10)의 위치를 안내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핀(25)은 도 4와 같이, 커넥터(10)의 폭방향으로 커넥터(10)의 각각 둘러싸도록 작동판(24)의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와 수평하게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넥터(1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한편, 작동판(24)의 상하운동시 작동판(24)이 뒤틀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 핀(25)은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홈(25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판(22)의 결합홀(22a)을 관통한 후 너트(n3)와 나사결합됨으로써 베이스판(22)에 체결된다. 이때, 너트(n3)와 베이스판(22) 사이에는 와셔(w2)가 설치될 수 있다.
작동판(24)과 베이스판(22)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26)이 설치된다. 탄성 스프링(26)은 하부방향으로 작동판(21)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복원력을 충전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작동판(24)에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에 상응하는 반발력을 제공한다.
탄성 스프링(26)은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핀(2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커넥터(10)에 누르는 힘에 압축되어 복원력을 충전하고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상응하는 크기의 반발력을 작동판(24)으로 제공한다.
가이드 핀(25)의 하부에는 작동판(24)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 멈춤링(r)이 결합되는 걸림홈(2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홈(25b)은 작동판(24)의 상승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가이드 핀(25)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멈춤링(r)은 일례로 E-링일 수 있다.
이러한 멈춤링(r)은 가이드 핀(25)의 걸림홈(25b)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작동판(24)은 멈춤링(r)에 의해 상부의 상승이 차단된다. 즉, 작동판(24)은 멈춤링(r)을 경계로 하부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된다.
베이스판(22)에는 잠금 해제핀(27)이 수직으로 체결된다. 이때, 잠금 해제핀(27)은 작동판(24)과 상하로 간섭되지 않도록 베이스판(22)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잠금 해제핀(27)은 장시간 사용에 따른 마모 또는 손상시 교체수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판(22)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를 위해, 잠금 해제핀(27)은 하단부에 고정홀(27a)이 형성된다. 고정홀(27a)은 잠금 해제핀(27)의 하단부가 베이스판(22)에 형성된 수직홀(22c)에 삽입된 후 베이스판(22)의 측부에 수직홀(22c)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수평홀(22d)과 연통한다.
수평홀(22d)은 베이스판(22)의 측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홀(27a)이 수평홀(22d)과 정렬(연통)되도록 잠금 해제핀(27)을 베이스판(2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p1)를 수평홀(22d)을 통해 고정홀(27a)의 내부로 삽입시켜 고정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잠금 해제핀(27)의 하부, 고정홀(27a)의 상부에는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판(22)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돌부(27b)가 형성된다.
지지돌부(27b)는 베이스판(22)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지지되도록 하면이 평평한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잠금 해제핀(27)이 베이스판(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핀(27)이 넘어지는 방향(베이스판(22)의 길이방향)으로 베이스판(22)에 지지됨으로써 분리과정에서 잠금 해제핀(27)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 해제핀(27)의 상단부에는 일측부로 뾰족하게 해제단부(27c)가 형성되어 있다.
해제단부(27c)는 커넥터(10)의 내부 하우징(12)에 형성된 락부(12a)의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측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잠금 해제핀(27)을 삽입하면, 해제단부(27c)는 락부(12a)의 경사면을 따라 락부(12a)와 외부 하우징(11)의 내벽 사이로 진입하면서 락부(12a)를 외부 하우징(11)의 내벽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5와 같이, 작동판(24)에는 잠금 해제핀(27)을 통해 잠금이 해제된 내부 하우징(12)을 상부로 밀어 외부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하는 푸시핀(28)이 설치된다.
이러한 푸시핀(28)은 커넥터(10)를 하부로 누르면, 외부 하우징(11)에 형성된 푸시 삽입홀(11c)을 통해 노출되는 내부 하우징(12)의 하측부, 예를 들면 하우징(12)에 형성된 걸림홀(12b)의 하측부에 걸림되어 내부 하우징(12)을 상부로 밀어낸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핀(28)은 상단부가 잠금 해제핀(27)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된다. 즉, 커넥터(10)를 지그(20)에 안착시킨 상태(하부방향으로 가압하기 전)에서 푸시핀(28)은 상단부가 잠금 해제핀(27)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여 커넥터(10)의 하강시 푸시핀(28)이 먼저 외부 하우징(11)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푸시핀(28)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작동판(24)의 상부에 한 쌍이 결합 설치되되, 잠금 해제핀(27)과 마찬가지로 교체 수리가 용이하도록 작동판(24)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푸시핀(28)은 작동판(24)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해 고정홀(28a)이 형성된다.
푸시핀(28)은 작동판(24)의 수평홀(24c)과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도록 고정홀(28a)이 형성된 하단부가 작동판(24)의 수직홀(24b)의 삽입된다. 그리고, 수평홀(24c)을 통해 고정홀(28a)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부재(p2)에 의해 작동판(24)에 고정된다.
또한, 푸시핀(28)에는 지지돌부(28b)가 형성된다. 지지돌부(28b)는 작동판(24)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되도록 하면이 평평한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푸시핀(28)이 작동판(24)에 결합된 상태에서 푸시핀(28)이 넘어지는 방향(작동판(24)의 길이방향)으로 작동판(24)으로부터 지지되어 푸시핀(28)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베이스판(22)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보조 가이드 핀(29)을 더 포함한다.
보조 가이드 핀(29)은 가이드 핀(25)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외부 하우징(11)의 다른 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커넥터(10)가 하강할 때 커넥터(10)가 가이드 핀(25)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측부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보조 가이드 핀(29)은 가이드 핀(25)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 핀(29)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단부에 베이스판(22)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홈(29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멈춤링(미도시)이 결합되는 걸림홈(29b)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핀(25)과 보조 가이드 핀(29)은 상단부가 뾰족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외부 하우징(11)의 각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에 안적으로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분리용 지그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내부 하우징을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과 같이, 커넥터(10)를 복수 개의 가이드 핀(25) 사이의 중앙에 안착시킨다. 이때, 커넥터(10)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25) 사이에 안착됨과 동시에 자동 정렬된다. 이에 따라 푸시핀(28)은 외부 하우징(11)의 푸시 삽입홀(11c)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단부가 내부 하우징(12)의 하측부에 밀착되고, 잠금 해제핀(27)의 해제단부(27c)는 외부 하우징(11)의 개구홀(11b)의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 정렬된다.
이후, 도 11과 같이, 외부 하우징(11)을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작동판(24)에 체결된 푸시핀(28)의 상단부가 외부 하우징(11)의 내부로 먼저 진입하여 내부 하우징(12)에 형성된 걸림홀(12b)의 하측부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푸시핀(28)에는 외부 하우징(11)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이 그대로 전달되어 작동판(24)은 하부로 하강한다. 그리고, 탄성 스프링(26)의 압축이 시작되고, 이어서 잠금 해제핀(27)은 외부 하우징(11)의 개구홀(11b)로 진입하여 내부 하우징(12)의 락부(12a)에 근접한다.
이후, 도 12와 같이, 내부 하우징(12)의 락부(12a)가 해제될 때까지 연속해서 외부 하우징(11)을 누르면, 잠금 해제핀(27)의 해제단부(27c)가 내부 하우징(12)의 락부(12a)와 외부 하우징(11)의 내벽 사이로 진입하면서 락부(12a)를 외부 하우징(11)의 내벽으로부터 분리시켜 락부(12a)를 걸림턱부(11a)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도 13과 같이, 락부(12a)가 걸림턱부(11a)로부터 분리되면, 내부 하우징(12)이 외부 하우징(1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됨과 동시에 탄성 스프링(26)의 반발력에 의해 작동판(24)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푸시핀(28) 또한 상승하여 내부 하우징(12)을 상부로 밀어올려 외부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내부 하우징(12)은 외부 하우징(11)의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 하우징(12)을 잡고 인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 커넥터 11 : 외부 하우징
11a : 걸림턱부 11b : 개구홀
11c : 푸시 삽입홀 12 : 내부 하우징
12a : 락부 12b : 걸림홀
20 : 지그 21 : 받침대
22 : 베이스판 23 : 지지대
24 : 작동판 25 : 가이드 핀
26 : 탄성 스프링 27 : 잠금 해제핀
28 : 푸시핀 29 : 보조 가이드 핀
21a, 22a, 22b, 24a : 결합홀 n1, n2, n3 : 너트
w1, w2 : 와셔 r : 멈춤링
p1, p2 : 고정부재 25a, 29a : 나사홈
25b, 29b : 걸림홈 27a : 고정홀
22c, 24b : 수직홀 22d, 24c : 수평홀
27a, 28a : 고정홀 27b, 28b : 지지돌부
27c : 해제단부 c : 케이블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고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진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듀얼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을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된 복수 개의 가이드 핀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작동판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핀을 감싸도록 설치된 탄성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 모서리 하측부에 형성된 개구홀에 각각 관통 삽입되어 상기 개구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락부를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복수 개의 잠금 해제핀과,
    상기 잠금 해제핀과 나란하도록 상기 작동판에 체결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푸시 삽입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푸시 삽입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측부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푸시핀,
    을 포함하는 커넥터 분리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핀은 상단부가 상기 잠금 해제핀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작동판에 체결되어 상기 잠금 해제핀의 상단부가 상기 락부에 접촉되기 전에 먼저 상단부가 상기 푸시 삽입홀을 통해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푸시 삽입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잠금 해제핀에 의해 상기 락부가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상기 외부 하우징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을 상기 작동판으로 전달하여 상기 탄성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잠금 해제핀에 의해 상기 락부가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상승하는 상기 작동판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을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커넥터 분리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교체수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베이스판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잠금 해제핀은 상기 베이스판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푸시핀은 상기 작동판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넥터 분리용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케이블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지지대와, 상기 가이드 핀과 나란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핀이 지지하지 않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다른 측부를 지지하는 보조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작동판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케이블과 간섭되지 않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넥터 분리용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핀은 하단부에 상기 베이스판의 수직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수직홀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수평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수직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 하부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판에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상기 락부를 분리시키도록 뾰족하게 돌출된 해제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분리용 지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핀은 상기 내부 하우징을 균일하게 밀어 올리기 위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작동판에 한 쌍이 설치되고, 각각은 하단부에 상기 작동판의 수직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판의 수직홀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수평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작동판의 수직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 하부 양측에는 상기 작동판에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분리용 지그.
KR1020200028115A 2020-03-06 2020-03-06 커넥터 분리용 지그 KR102107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115A KR102107759B1 (ko) 2020-03-06 2020-03-06 커넥터 분리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115A KR102107759B1 (ko) 2020-03-06 2020-03-06 커넥터 분리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759B1 true KR102107759B1 (ko) 2020-05-07

Family

ID=7073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115A KR102107759B1 (ko) 2020-03-06 2020-03-06 커넥터 분리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5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386Y2 (ja) * 1981-03-26 1985-11-15 株式会社スカイ醸機研究所 大豆の加圧連続蒸し装置
JPH01129786U (ko) * 1988-02-29 1989-09-04
KR20050025997A (ko) 2002-07-26 2005-03-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지털 데이터 시퀀스들의 식별
KR20090119145A (ko) * 2008-05-15 2009-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커넥터 체결구조
KR101176506B1 (ko) 2008-10-30 2012-08-2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분리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
KR101221704B1 (ko) 2010-08-06 2013-01-1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140006558A (ko) * 2012-07-06 2014-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388045B1 (ko) * 2013-01-15 2014-04-23 최근식 원터치 자동 분리 플러그
KR20190008967A (ko) 2016-02-23 2019-01-2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구강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구강 분무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386Y2 (ja) * 1981-03-26 1985-11-15 株式会社スカイ醸機研究所 大豆の加圧連続蒸し装置
JPH01129786U (ko) * 1988-02-29 1989-09-04
KR20050025997A (ko) 2002-07-26 2005-03-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지털 데이터 시퀀스들의 식별
KR20090119145A (ko) * 2008-05-15 2009-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커넥터 체결구조
KR101176506B1 (ko) 2008-10-30 2012-08-2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분리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
KR101221704B1 (ko) 2010-08-06 2013-01-1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140006558A (ko) * 2012-07-06 2014-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388045B1 (ko) * 2013-01-15 2014-04-23 최근식 원터치 자동 분리 플러그
KR20190008967A (ko) 2016-02-23 2019-01-2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구강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구강 분무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4209A (en)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4127612B2 (ja) 端子配置ハウジング組立体
EP1122822B1 (en) Connector
JPH10502996A (ja) 電気コネクタ用取付具
KR20070045816A (ko) 얼라이너를 갖는 반도체 소자용 테스트 소켓
US20150201505A1 (en) Cover removal fixture
US49859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multi-pin component installed in sockets on a circuit board
US7946860B2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a vehicle
US7056136B2 (en) Floatin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for
KR102107759B1 (ko) 커넥터 분리용 지그
CN2857290Y (zh) 快速接线盒
US20060156540A1 (en) Method for aligning a component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20050081372A1 (en) Connector connecting /disconnecting tool
US20200203863A1 (en) Circuit board assembly
KR102248014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EP2437356A1 (en) Connector assembly
KR200153742Y1 (ko) 컨넥터 검사장치
KR101360099B1 (ko) 파샬 타입 차량용 전원연결박스
KR102650194B1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KR102650193B1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CN216648173U (zh) 一种继电器起拔器安装结构及继电器模组
JP7215006B2 (ja) 端子着脱装置
CN219761470U (zh) 一种用于电路板加工机床的销钉盒
CN209963286U (zh) 一种接线端子
CN219458400U (zh) 一种壳体的安装结构、壳体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