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969B1 - User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User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969B1
KR102105969B1 KR1020130092028A KR20130092028A KR102105969B1 KR 102105969 B1 KR102105969 B1 KR 102105969B1 KR 1020130092028 A KR1020130092028 A KR 1020130092028A KR 20130092028 A KR20130092028 A KR 20130092028A KR 102105969 B1 KR102105969 B1 KR 102105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ptured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5944A (en
Inventor
김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9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969B1/en
Publication of KR2015001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9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9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캡쳐되었는지 판단하는 영역 판단부,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게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매핑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device receiv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includes an image capturing unit that captures all or part of the image using an image sensor, an area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which of the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and the captured area.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pre-mapp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Description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USER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IMAGE AND METHOD THEREOF}USER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image captured through a user device.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폰 기능과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휴대폰, 이른바 스마트폰이 등장하였다. 스마트폰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 수천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스마트폰의 활용도에 의해 많은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phones and so-called smart phones that integrate mobile phone functions and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have emerged. Unlike traditional mobile phones, which were released as finished products and used only given functions, smartphones can install and use hundreds or thousands of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s) as desired by the user. Users have come to use smartphones.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로서,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이미지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프린팅된 이미지(예를 들어, 잡지 또는 제품 패키징에 포함된 이미지)를 인식하고 이미지 관련 정보를 서비스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As an example of various applications, a user of a smartphone may recognize a printed image (for example, an image included in a magazine or product packaging) using an image recognition application and receive image-related information from a service provider.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또는 연결된 카메라(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user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image using a camera (image sensor) provided or connected to a user device.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캡쳐되었는지 판단하는 영역 판단부, 상기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게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및 상기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매핑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capture unit for capturing all or part of the image using an image sensor, a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the image An area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which of the areas is captured, a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reques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a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receiving information pre-mapped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쳐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캡쳐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매핑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of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imag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pturing all or part of the image using an image sensor, and which region of a plurality of regions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And determining, reques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a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receiving pre-mapp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vice may capture an image using an image sensor,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from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provide it to a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ser device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content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mage-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be performed i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rver.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r processing flow char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컨텐츠(200),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201), 서비스 제공 장치(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include a user device 100, content 200, a captured content image 201, a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and a network 400. However, sinc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컨텐츠(200)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쳐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캡쳐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촬상 회로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는 CMOS 이미지 센서, CCD 이미지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The user device 100 may capture all or part of an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200 by using an image sensor, and determine which region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Here, the image sensor may be an imaging circuit element included in the user device 100.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may be a CMOS image sensor, a CCD image sensor, or the like.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201)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요청하고,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201)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매핑된 정보를 이미지 관련 정보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201)는 컨텐츠(200)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또는 텍스트일 수 있다. The user device 100 reques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content image 201 area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and pre-mapp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content image 201 area as image related information, It can b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Here, the captured content image 201 may be a plurality of objects or text included in the content 200.

이러한 이미지 관련 정보를 얻는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설치되어 실행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ethod of obtaining the image-related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user device 100 to provide a corresponding service.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device 100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vice 100 may have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user device 100 may b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through a network. Here, a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portability and mobility are guaranteed,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terminal, smartphone (smartphone) , All kinds of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ablet PCs may be included.

컨텐츠(200)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200)는 신용카드 크기의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 형태일 수 있고, 물건 등에 부착된 스티커 형태, 또는 물건 등에 인쇄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컨텐츠(200)를 카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컨텐츠(20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200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content 200 may be in the form of a credit card-sized plastic card, or may be in the form of a sticker attached to an object or the like printed on an object. In FIG. 1, the content 200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card, but the form of the content 200 is not limited thereto.

컨텐츠(200)에는 이미지가 삽입되거나 인쇄되는 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에는 워터마킹 또는 핑거프린팅이 표시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에는 복수의 객체와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The content 200 may include an image inserted or printed. Here, the image may be marked with watermarking or fingerprinting. Also, the ima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objects and tex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200)에는 이미지 관련 정보를 담고 있는 QR코드 또는 NFC 태그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QR 코드 또는 NFC 태그 리더기를 구비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QR 코드 또는 NFC 태그로부터 이미지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200 may include a QR code or NFC tag containing image-relate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user device 100 can obtain imag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QR code or NFC tag using the user device 100 having a QR code or NFC tag reader.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201)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컨텐츠(200)의 이미지로서,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위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201)는 컨텐츠(200)에 포함된 전체 이미지일 수도 있고, 일부 이미지일 수도 있다.The captured content image 201 is an image of the content 200 captured through the image sensor provided in the user device 100, an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user device 100. Also, the captured content image 201 may be an entir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200 or a partial image.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201)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요청 받고,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201)에 대응하여 매핑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캡쳐된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DB로부터 검색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may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content image 201 from the user device 100 and transmit information mapped to the captured content image 201 to the user device 100. have. In this ca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area may be searched from the DB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들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100), 카드형 컨텐츠(200) 및 서비스 제공 장치(300) 각각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400)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Each of the components of FIG. 1 constitut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40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each of the user device 100, the card-type content 200, and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400. The network 400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the network 400 include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도 1의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user device 100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캡쳐부(110), 영역 판단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정보 요청부(140) 및 정보 수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 device 100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user device 100 may include an image capture unit 110, an area determining unit 120, a user interface 130, a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140, and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However, the user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2 is only one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ased on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2. For example, the us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certain commands or information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may generall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but may also b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xpressed on a video display device.

이미지 캡쳐부(110)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컨텐츠(200)에 포함된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쳐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는 객체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고, 캡쳐된 이미지의 일부는 객체 또는 텍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인물, 상품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때의 이미지는 위조를 막기 위해 워터마킹 또는 핑거프린팅이 표시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워터마킹 또는 핑거프린팅은 이미지 관련 정보를 컨텐츠(200)에 포함된 이미지에 삽입되어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워터 마킹 또는 핑거프린팅이란, 이미지나 음악과 같은 컨텐츠에 사용자가 알 수 없는 형태로 저작권 정보를 기록하는 기술이다. The image capture unit 110 may capture all or part of an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200 using an image sensor. At this time, the image includes an object or text, and a part of the captured image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the object or text. Here, the object may be a person or a product. In addition, the image at this time may be that watermarking or fingerprinting is displayed to prevent forgery. Watermarking or fingerprinting may protect image copyright by inserting image-related information into an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200. Here, watermarking or fingerprinting is a technique of recording copyright information in a form unknown to a user in content such as an image or music.

영역 판단부(120)는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캡쳐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각각은 서로 다른 정보가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인물 각각에는 인물에 대응하는 프로필 정보, 인물과 연관된 음원 및 팬덤(fandom) 상품 정보 등이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The region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which region of a plurality of regions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included in the image may be mapped with different information. For example, profi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son, sound source associated with the person, and fandom product information may be mapp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ersons included in the image.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이미지 센서에 비치는 외부 장면을 표시하는 프리뷰(preview)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캡쳐될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미리 선택하는 카테고리 UI(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캡쳐될 이미지에 매핑된 복수의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미리 선택하는 카테고리 UI(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텍스트 카테고리 및 이미지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는 전체 이미지 카테고리 및 일부 이미지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30 may include a preview area displaying an external scene reflected on the image sensor. Furthermore, the user interface 130 may include a category UI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category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the image to be captur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130 may include a category UI (User Interface) that pre-selects a category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information mapped to an image to be captured. Here, the category may include a text category and an image category. Also, the category may include an entire image category and some image categories.

정보 요청부(140)는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이미지 전부를 캡쳐할 경우, 정보 요청부(140)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또는 음악 컨텐츠 등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요청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140 may requ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For example, when the user device 100 captures all the images, th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140 requests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for information such as video content, image content, or mus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You can.

다른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캡쳐할 경우, 정보 요청부(140)는 캡쳐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device 100 captures a product included in an image, th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140 may request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for information about the captured product.

정보 수신부(150)는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매핑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전부가 캡쳐된 경우, 정보 수신부(150)는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캡쳐된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또는 음악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미리 매핑된 정보가 음악 컨텐츠인 경우, 정보 수신부(150)는 음악 컨텐츠와 함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는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may receive pre-mapp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region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For example, when all of the images are captured,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may receive video content, image content, or mus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captured image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Furthermore, when the pre-mapped information is music content,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may receive a message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that activates a music playback program that plays music content together with the music content.

다른 예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캡쳐된 경우, 정보 수신부(150)는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캡쳐된 인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person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may receive profile information on the captured person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또한,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이 캡쳐된 경우, 정보 수신부(150)는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캡쳐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불어,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가 캡쳐된 경우, 정보 수신부(150)는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캡쳐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팬덤(fandom)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roduct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aptured product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In addition, when the text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 fandom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text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200)의 일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200)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한 카드 형태의 컨텐츠일 수 있다. 이 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텐츠(200)에 포함된 이미지 및 텍스트에는 이미지 및 텍스트에 대응하는 영상, 음악, 상품 등의 정보가 사전에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3 is an example of the content 200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200 may be card-shaped content including images and text.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images and texts included in the content 200 may be stored i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in advance, such as images, music, and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images and texts.

컨텐츠의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빅뱅' 멤버들이라면,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전체 이미지(32), '빅뱅' 구성원 중 특정 인물(33) 및 텍스트(34) 중 하나 이상을 캡쳐할 수 있다. 다만, 캡쳐 대상은 전체 이미지(32), 특정 인물(33) 및 텍스트(34)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인물이 착용한 의상, 신발, 악세서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f the person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content is 'Big Bang' members, the user uses the user device 100 to capture one or more of the entire image 32, a specific person 33 of the 'Big Bang' members, and text 34 can do. However, the capture target is not limited to the entire image 32, the specific person 33, and the text 34, and may further include clothes, shoes, accessories, and the like worn by each person.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컨텐츠(200)에서 '빅뱅' 구성원 전체 이미지(32)를 캡쳐할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이미지 또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캡쳐된 이미지로서 '빅뱅'과 관련 있는 비디오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음악 컨텐츠 등을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user of the user device 100 captures the entire image 32 of the 'Big Bang' member in the content 200 using the user device 100, the user device 100 is configured for the captured image or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and in respons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may capture the video content, image content, and music content related to 'Big Bang' as the captured image to the user device 100 Can provide.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컨텐츠(200)에서 '빅뱅' 구성원 중 특정 인물(33)을 캡쳐할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이미지 또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캡쳐된 인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프로필 정보에는 본명, 나이, 생년월일, 소속사, 수상 경력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When a user of the user device 100 captures a specific person 33 among 'big bang' members in the content 200 using the user device 100, the user device 100 uses the captured image or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on the serv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and in respons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can provide the user device 100 with profile information on the captured person. At this time, the profil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real name, age, date of birth, affiliated company, and awards.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컨텐츠(200)에서 'BIGBANG IS BACK'이라고 표시된 텍스트(34)를 캡쳐할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이미지 또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캡쳐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팬덤(fandom)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팬덤(fandom) 상품은 각각의 '빅뱅' 구성원과 대응하는 피큐어, 의류, 문화 컨텐츠 상품 등이 될 수 있다. When the user of the user device 100 captures the text 34 marked as 'BIGBANG IS BACK' in the content 200 using the user device 100, the user device 100 captures the captured image or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may be transmitted, and in respons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the user device 100 with information about a fandom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text. have. Fandom products can be pecure, clothing, cultural content products, etc. that correspond to each 'Big Bang' member.

앞서 언급한 캡쳐된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예들로서, 전체 이미지가 캡쳐된 경우, 컨텐츠의 대상과 관련된 비디오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음악 컨텐츠 등; 일부 인물 이미지가 캡쳐된 경우, 캡쳐된 인물에 대한 본명, 나이, 생년월일, 소속사, 수상 경력 등의 정보가 포함된 프로필 정보; 텍스트가 캡쳐된 경우, 캡쳐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팬덤(fandom)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를 기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불과하고,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캡쳐된 이미지와 매칭되어 기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Examples of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mentioned above, when the entire image is captured, video content, image content, music content, etc. related to the object of the content; When some person images are captured,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the real name, age, date of birth, agency, and award for the captured person; When the text is captured, it has been described a case where information on a fandom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text is provided, but this is on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formation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aptured image is described. It is not limited.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may be information that is previously stored by match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나아가,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컨텐츠(200)에서 각각의 인물이 착용한 의상, 신발, 악세서리 등을 캡쳐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이미지 또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캡쳐된 의상, 신발, 악세서리 등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예를 들어, 해당 제품의 이름, 브랜드, 가격, 선호 연령, 제품 이미지 등)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user of the user device 100 captures clothes, shoes, accessories, etc. worn by each person in the content 200 using the user device 100, the user device 100 captures the captured image or Information about the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and in respons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objec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ame of th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clothing, shoes, accessories, etc.). Brand, price, preferred age, product image, etc.) to the user device 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는 프리뷰 영역(41), 선택된 카테고리 버튼에 대한 설명 영역(이하 '버튼 설명 영역'으로 기술하겠다.)(42), 캡쳐될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버튼 A 내지 D(43 내지 46)를 포함할 수 있다. 4 i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100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preview area 41, a description area for a selected category butt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tton description area') 42, and category buttons A to D corresponding to the image area to be captured. (43 to 46).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카테고리 버튼 A(43)를 선택할 경우, 버튼 설명 영역(42)에서는 카테고리 버튼 A(43)에 대응하는 설명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테고리 버튼 A(43)를 터치하면, 버튼 설명 영역(42)에 "이미지 전체를 인식시켜주세요" 라는 설명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출력된 설명에 따라서, 프리뷰 영역(41)에 컨텐츠(200)에 포함된 전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조정하고, 프리뷰 영역(41)에 표시된 해당 전체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의 캡쳐를 위해서 사용자는 이미지를 캡쳐시키는 특정 물리적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 버튼을 터치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달리,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프리뷰 영역(41)에 이미지의 전체가 나타난 경우, 이를 인식하고, 이미지 센서 및 이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입력 없이도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이는 이미지 전체 뿐만 아니라, 각각의 카테고리 버튼에 대응하는 일부의 이미지가 나타난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When the user of the user device 100 selects the category button A 43, a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button A 43 may be displayed in the button description area 42.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category button A 43, a description of “Please recognize the entire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button description area 42. In this case,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user device 100 to display the entir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200 in the preview area 41 according to the output description, and the corresponding entire image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1 Can be captured. At this time, in order to capture the image, the user may touch a specific physical button for capturing the image or a UI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tire image is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1, the user device 100 displays , By recognizing this, and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and corresponding hardware / software, it is possible to capture an image without user input. This may be the case when not only the entire image but also a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each category button is displayed.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전체 이미지를 캡쳐한 후, 캡쳐된 이미지 또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화 또는 앨범 컨텐츠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아 프리뷰 영역(41)에 출력할 수 있다. After capturing the entire captured image, the user device 100 may transmit the captured image or information about the captured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and in response, the user device 100 may capture the captured image The movie or album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ay be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and output to the preview area 41.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카테고리 버튼 B(44)를 선택할 경우, 버튼 설명 영역(42)에서는 카테고리 버튼 B(44)에 대응하는 설명이 출력될 수 있다. 버튼 설명 영역(42)에 "인물을 인식시켜주세요" 라는 설명이 출력될 경우, 이에 반응하여, 사용자는 출력된 설명에 따라서, 프리뷰 영역(41)에 컨텐츠(200)에 포함된 특정 인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조정하고, 프리뷰 영역(41)에 표시된 해당 특정 인물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특정 인물을 캡쳐한 후, 캡쳐된 특정 인물 이미지 또는 캡쳐된 특정 인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특정 인물 이미지에 대응하는 프로필, 특정 인물이 출연한 영화 및 기존 앨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아 프리뷰 영역(41)에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user of the user device 100 selects the category button B 44, a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button B 44 may be displayed in the button description area 42. When the description "Please recognize the person" is output in the button description area 42, in response to this, the user may display a specific person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200 in the preview area 41 according to the output description. The position of the user device 100 can be adjusted to be displayed, and a specific person image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1 can be captured. After capturing the captured specific person, the user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aptured specific person image or the captured specific person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and in response thereto, the user device 100 May receive a profile corresponding to a captured specific person image, a movie in which a specific person appeared, and existing album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and output the information to the preview area 41.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카테고리 버튼 C(45)를 선택할 경우, 버튼 설명 영역(42)에서는 카테고리 버튼 C(45)에 대응하는 설명이 출력될 수 있다. 버튼 설명 영역(42)에 "이미지 전체를 인식시켜주세요" 라는 설명이 출력될 경우, 이에 반응하여, 사용자는 출력된 설명에 따라서, 프리뷰 영역(41)에 컨텐츠(200)에 포함된 전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조정하고, 프리뷰 영역(41)에 표시된 해당 전체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전체 이미지를 캡쳐한 후, 캡쳐된 이미지 또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화 및 앨범 제작 노트, 인터뷰, 미공개 컨텐츠(예를 들면, 감독판, 메이킹 필름 등)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아 프리브 영역(41)에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user of the user device 100 selects the category button C 45, a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button C 45 may be output in the button description area 42. When the description of "Please recognize the entire image" is output in the button description area 42, in response to this, the user may display the entir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200 in the preview area 41 according to the output description. The position of the user device 100 can be adjusted to be displayed, and the entire image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1 can be captured. After capturing the entire captured image, the user device 100 may transmit the captured image or information about the captured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and in response, the user device 100 may capture the captured image Movie and album production notes, interviews, and unpublished contents corresponding to (eg, a director's edition, making film, etc.) may be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and output to the prev area 41.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카테고리 버튼 D(46)를 선택할 경우, 버튼 설명 영역(42)에서는 카테고리 버튼 D(46)에 대응하는 설명이 출력될 수 있다. 버튼 설명 영역(42)에 "문자를 인식시켜주세요" 라는 설명이 출력될 경우, 이에 반응하여, 사용자는 출력된 설명에 따라서, 프리뷰 영역(41)에 컨텐츠(200)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조정하고, 프리뷰 영역(41)에 표시된 해당 텍스트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텍스트를 캡쳐한 후, 캡쳐된 텍스트 이미지 또는 캡쳐된 텍스트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텍스트 이미지에 대응하는 팬덤(fandom) 상품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아 프리뷰 영역(41)에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카테고리 버튼 A 내지 D(43 내지 46)에 대응하는 캡쳐될 이미지의 대상을 결정하는 예들로서, 카테고리 버튼 A(43)에 대응하여 컨텐츠(200)의 전체 이미지를 캡쳐; 카테고리 버튼 B(44)에 대응하여 컨텐츠(200)의 특정 인물 이미지를 캡쳐; 카테고리 버튼 C(45)에 대응하여 컨텐츠(200)의 전체 이미지를 캡쳐; 카테고리 버튼 D(46)에 대응하여 컨텐츠(200)의 텍스트 이미지를 캡쳐하는 경우를 기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불과하고, 각각의 카테고리 버튼에 대응하는 캡쳐될 이미지의 대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카테고리 버튼에 대응하는 캡쳐될 이미지의 대상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When the user of the user device 100 selects the category button D 46, a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button D 46 may be output in the button description area 42. When the description "Please recognize the character" is output in the button description area 42, in response to this, the user displays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200 in the preview area 41 according to the output descrip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user device 100 and capture the corresponding text image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1. After capturing the captured text, the user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aptured text image or the captured text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and in response, the user device 100 captures the captured text image Information about a fandom product corresponding to a text image may be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and output to the preview area 41. As examples of determining the target of the image to be captured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buttons A to D (43 to 46) mentioned above, the entire image of the content 200 is captured in response to the category button A (43); Capture a specific person image of the content 200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button B 44; Capture the entire image of the content 200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button C 45; Although the case of capturing a text image of the content 200 in response to the category button D 46 has been described, this is on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arget of the image to be captured corresponding to each category button is limited thereto. It does not become. Specifically, a target of an image to be captured corresponding to each category button may be set by a service provider or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that distributes an application program that provides a corresponding servi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의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련 정보 제공 방법에도 적용된다. 5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mage-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image-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ncludes steps performed in time series in the us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4. Therefore, even if it is omitted below,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user device 100 of FIGS. 1 to 4 also apply to a method for providing image-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01)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될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UI(User Interface) 버튼을 통해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step S501, the user device 100 selects a user input to select a category through a category UI (User Interface)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an image to be captured. ). Furthermore, the user device 100 may capture all or part of the image using an image sensor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단계(S502)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캡쳐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502, the user device 100 may determine which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단계(S503)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In step S503, the user device 100 may requ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단계(S504)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매핑된 정보를 이미지 관련 정보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된 정보는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In operation S504, the user device 100 may receive pre-mapp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region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as image-related information. At this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3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of the user device 100. Whe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300 includes music content,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include a message for activating a music playback program that plays music content. The music playback program may be activated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Music content can be played through a playback program.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0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501 to S504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사용자 디바이스
200: 카드형 컨텐츠
300: 서비스 제공 장치
100: user device
200: card type content
300: service providing device

Claims (19)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캡쳐되었는지 판단하는 영역 판단부;
상기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게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및
상기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매핑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역 판단부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캡쳐된 영역이 상기 복수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영역인지 또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캡쳐된 영역이 상기 복수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영역인지 또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In the user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An image capture unit capturing all or part of the image using an image sensor;
An area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ich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A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reques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a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pre-mapp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The area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an area captured from the image is an entire area including all of the plurality of areas or a partial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an area captured from the image is an entire area including all of the plurality of areas or a partial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각각은 서로 다른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included in the image is mapped with different information, a use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될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미리 선택하는 카테고리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us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category UI (User Interface) for preselecting a category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the image to be captur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비치는 외부 장면을 표시하는 프리뷰(preview)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preview area displaying an external scene reflected on the image sens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텍스트 카테고리 및 이미지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category includes a text category and an image category, a user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전체 이미지 카테고리 및 일부 이미지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category includes all image categories and some image categor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될 이미지에 매핑된 복수의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미리 선택하는 카테고리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us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category UI (User Interface) for preselecting a category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information mapped to the image to be captu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복수의 인물을 포함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인물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includes a plurality of people, and a part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eop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전부가 캡쳐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또는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n all of the images are capture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ncludes video content, image content or mus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ma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상기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9,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ncludes a message for activating a music playing program that plays the music content, a use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캡쳐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상기 캡쳐된 인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n a person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ncludes profile information for the captured pers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이 캡쳐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상기 캡쳐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n a product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aptured pro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가 캡쳐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상기 캡쳐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팬덤(fandom)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ext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ncludes information on a fandom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tex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워터마킹 또는 핑거프린팅이 표시되어 있는 것인, 사용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is watermarking or fingerprinting is displayed, the user device.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쳐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캡쳐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캡쳐된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매핑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캡쳐된 영역이 상기 복수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영역인지 또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캡쳐된 영역이 상기 복수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영역인지 또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이미지 관련 정보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Capturing all or part of the image using an image sensor;
Determining which region of the plurality of regions included in the image is captured;
Reques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a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And receiving pre-mapp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 determining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n area captured from the image is an entire area including all of the plurality of areas or a partial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an area captured from the image is an entire area including all of the plurality of areas or a partial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될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카테고리 UI(User Interface)를 통해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And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category through a category UI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a category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the image to be captur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on a display device of a user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정보는 상기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는 메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관련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ncludes music content, the received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message for activating a music playback program for playing the music conten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관련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Activating the music playback program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And reproducing the music content through the music reproduction program.
KR1020130092028A 2013-08-02 2013-08-02 User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21059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028A KR102105969B1 (en) 2013-08-02 2013-08-02 User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028A KR102105969B1 (en) 2013-08-02 2013-08-02 User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944A KR20150015944A (en) 2015-02-11
KR102105969B1 true KR102105969B1 (en) 2020-04-29

Family

ID=5257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028A KR102105969B1 (en) 2013-08-02 2013-08-02 User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9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62B1 (en) * 2015-06-23 202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hod for providing content in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326A (en) * 2001-10-26 2003-05-09 Kyodo Printing Co Ltd Image-related data regeneration system and its method
JP2008250474A (en) 2007-03-29 2008-10-16 Hitachi Ltd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with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206B1 (en) * 2008-08-27 2012-09-05 키위플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contents based on a 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326A (en) * 2001-10-26 2003-05-09 Kyodo Printing Co Ltd Image-related data regeneration system and its method
JP2008250474A (en) 2007-03-29 2008-10-16 Hitachi Ltd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with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944A (en)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9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EP2617190B1 (en)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CN102722517B (en) Enhanced information for viewer-selected video object
US86669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tagging and tagged content
US201801078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using user editing image
US9402099B2 (en) Arrangements employing content identification and/or distribution identification data
US9432421B1 (en) Sharing link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9223893B2 (en) Updating social graph data using physical objects identified from images captured by smartphone
US20150134687A1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profile image card for communication
KR1024904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31162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still images corresponding to video
US20140340423A1 (en)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AR) display with inventory management
US20130311329A1 (en) Image-related methods and arrangements
US20140079281A1 (en) Augmented reality creation and consumption
WO2016033495A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cluding data migration among computing platforms, e.g., through use of steganographic screen encoding
CN106164934A (en) Smart camera user interface
WO2022089209A1 (en) Picture com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5529891A (en) Image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 according to layout without user intervention
US20120067954A1 (en) Sensors, scanner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20140078174A1 (en) Augmented reality creation and consumption
US20180359511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management method
US20230334523A1 (en) Management system, server device and method
US10600060B1 (en) Predictive analytics from visual data
US202103293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fficient generation and exchange of descriptive information with media data
KR102105969B1 (en) User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