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86B1 - Smart Functional Mask - Google Patents

Smart Functional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86B1
KR102104886B1 KR1020180139642A KR20180139642A KR102104886B1 KR 102104886 B1 KR102104886 B1 KR 102104886B1 KR 1020180139642 A KR1020180139642 A KR 1020180139642A KR 20180139642 A KR20180139642 A KR 20180139642A KR 102104886 B1 KR102104886 B1 KR 10210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or
wearer
mask body
mas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희
Original Assignee
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희 filed Critical 최승희
Priority to KR102018013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8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vertical fold or wel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unctional mask. More particularly, ventilator units are provided at outlets formed on both sides of a mask body to enable exhalation via a nose to be easy through the ventilator units when a wearer breathes out (exhalation) wearing the mask, so that the wearer smoothly breathes, and moisture due to the breath is prevented from remaining inside the mask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increase cleanliness. Considering that a filter is required to be replaced whenever the mask is used so as to use the mask semi-permanently, a filter unit has a minimum size to reduce daily filter cost, to cut down waste due to its remarkably small size compared to existing disposable masks. The filter unit uses a fine dust-exclusive filter and a carbon filter to protect a respiratory system from harmful gas such as vehicular fume as well as fine dust. A sealing unit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mask body to improve a fit on a face of the wearer, the inside of the mask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face to prevent makeup from being removed from the face of the wearer, and a sealing portion on the nose part is formed thicker than other sealing portions to further improve the fit.

Description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Smart Functional Mask}Smart Functional Mask

본 발명은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벤틸레이터부가 설치됨으로써, 마스크 착용상태에서 착용자의 호흡 중 배기(날숨)일 때, 코를 통한 배기가 벤틸레이터부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기에 착용자의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마스크 내부에 호흡에 의한 습기가 머물지 않아 오염 방지 및 청결성이 높아지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unctional mask, and 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a ventilator portion at an outle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when exhausting (exhalation) of the wearer's breath while wearing a mask, exhaust through the nose is ventilated. Since it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rater unit, the wearer's breathing is smoothly performed, and the moisture does not stay inside the mask,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improving cleanliness.

호흡기는 대체로 특정 상황에서, 대부분 의료 및 산업 환경에서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단일 목적으로 전문가에 의해, 또는 오염된 환경에서의 소비자 보호를 위해, 사용된다. 의료 또는 산업 환경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은 흔히 대형이며, 복잡하고, 고가이다.Respirators are usually used by professionals for a single purpose to protect themselves in most situations, mostly in medical and industrial environments, or for consumer protection in contaminated environments. Systems used in medical or industrial environments are often large, complex, and expensive.

이런 호흡기는 무능력한 환자의 호흡을 지원하기 위해 의료 환경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인공호흡기의 별도의 분야와 대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보호식 호흡기에만 관련된다.Such a respirator can be contrasted with a separate field of medical respirators used in the medical environment to support breathing of incompetent patients. This specification relates only to protective respirators.

공기 오염은 산업화 및 삼림 훼손으로 인해 사람에게 증가하는 위협이 되어, 사람의 호흡기 질병, 심혈관계 질환의 오염 관련 합병증, 및 장기에 관련된 질환의 사례를 증가시켰고, 결국 보건 의료 비용의 증가를 일으켰다.Air pollution has become an increasing threat to human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deforestation, resulting in increased cases of human respiratory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 complications, and organ-related diseases, eventually leading to increased health care costs.

일상 생활에서 호흡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전세계 많은 곳에서 일반적인 것이 되고 있다.In everyday life, wearing a breathing mask is becoming common in many places around the world.

이전의 호흡 마스크는 전형적으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서 주변 피부에 대해 밀봉하는 내부 챔버를 포함한다. 주위 공기가 오염물을 제거하는 필터 박막 또는 매체를 통해 내부 챔버 내로 흡인되고, 그 후에 흡기된다.Previous breathing masks typically include an inner chamber that surrounds the user's mouth and nose and seals against the surrounding skin. Ambient air is drawn into the inner chamber through a filter film or medium that removes contaminants, and is then drawn in.

이러한 챔버는 대체로 호흡 활동 중에 압력의 변화, 증가된 상대습도, 온도, 및 수분 응축을 받는다. 몇몇 마스크는 동일한 필터 매체를 통해 진입하고 진출하는 공기의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몇몇 마스크는 흡기 공기를 필터 매체를 통해 흡입하고, 이를 1-방향 출구 밸브와 같은 대안적인 또는 보완적인 위치를 통해 소기한다. 출구 밸브는 잠재적으로 오염된 공기가 흡입 호흡 시에 마스크 챔버 내로 흡인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1-방향 유동을 선호한다. 그러한 출구 밸브는 전형적으로 동적으로 활성화하고 밀봉하여, 양압 하에서 호기된 공기를 방출하고 흡기 호흡의 음압 시에 폐쇄되는 재료 특성 및 구조적 설계에 의존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챔버 내의 습도 및 양압은 출구 밸브를 활성화하기 위해 재료 특성의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요건에 응답하여 증가하고, 이는 마스크 자체를 착용할 때, 차단되고 덜 자연스러운 호흡 프로파일 및 덜 인지되는 수준의 전체적인 편안함의 결과를 낳는다.These chambers are generally subject to changes in pressure, increased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and moisture condensation during breathing activities. Some masks work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air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same filter medium. Some masks draw intake air through the filter medium and scavenge it through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positions, such as a one-way outlet valve. The outlet valve prefers a one-way flow to ensure that potentially contaminated air is not drawn into the mask chamber upon inhalation breathing. Such outlet valves are typically dynamically activated and sealed, relying on the material properties and structural design to release the exhaled air under positive pressure and close upon negative pressure of the intake breath. Typically, the humidity and positive pressure in the chamber experienced by the user increases in response to the requirement to overcome the resistance of the material properties to activate the outlet valve, which is blocked when wearing the mask itself and a less natural breathing profile and This results in a less perceived level of overall comfort.

또한, 황사 마스크는 대기 중에 퍼져 있는 미세한 모래 먼지인 황사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 계통을 보호한다. 우리 나라에서 황사는 석영, 카드뮴, 납,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을 포함하여,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황사의 농도 및 황사의 발생 횟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황사 마스크가 필요하다.In addition, the yellow dust mask protects the wearer's respiratory system from yellow sand, a fine sand dust that is spread in the atmosphere. In our country, yellow sand can cause respiratory diseases, includ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quartz, cadmium, lead, aluminum, copper, etc., and the concentration of yellow sand and the number of yellow sand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yellow dust mask with improved usability.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는 황사 마스크는 시트상의 여과재를 포함한 본체부로 착용자의 안면 부위 중 코, 입 및 턱 주변을 덮고, 본체부에 연결되는 걸이 끈을 귀에 걸으므로 착용된다.In general, the currently used yellow sand mask is a body part including a sheet-like filter material, and is worn because it covers the nose, mouth, and chin area of the wearer's face, and attaches a hook string connected to the body part to the ear.

그러나 이러한 황사 마스크는 본체부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낮은 밀착력을 가지며, 여과율이 높은 필터를 사용할수록 호흡을 어렵게 하며, 안경에 김이 서리게 하고, 화장을 지운다. 또한, 착용자는 마스크의 여과 성능이나 교체 시기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황사 마스크는 황사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 계통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렵다.However, such a yellow sand mask has a low adhes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wearer's face, and a filter having a high filtration rate makes it difficult to breathe, causes fogging on the glasses, and removes makeup. Also, the wearer cannot accurately check the filtration performance or replacement timing of the mask. Therefore, such a yellow dust mask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otect the wearer's respiratory system from the yellow dus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1828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801828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벤틸레이터부가 설치됨으로써, 마스크 착용상태에서 착용자의 호흡 중 배기(날숨)일 때, 코를 통한 배기가 벤틸레이터부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기에 착용자의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마스크 내부에 호흡에 의한 습기가 머물지 않아 오염 방지 및 청결성이 높아지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ince ventilators are installed at the outle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when the mask is worn, the exhaust through the nose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or when the wearer is exhausting (exhalation), so that the wearer's breathing is smooth. The object is to provide a smart functional mask that is made and does not retain moisture due to breathing inside the mask,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increasing cleanliness.

또한, 마스크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터를 마스크 사용시마다 교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필터부는 크기를 최소화 하여 하루 쓰고 교체하는 필터의 소요 비용(사용비용)을 최소화하고, 종래의 일회용 마스크보다 현저히 작은 크기이기에 쓰레기 배출이 감소하며, 상기 필터부는 미세먼지 전용 필터와 카본필터를 사용하여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자동차 매연 등의 유해가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mask semi-permanently, the filter must be replaced every time the mask is used. The filter unit minimizes the size, minimizes the cost (use cost) of the filter to be used and replaced per day, an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nventional disposable mask. Because of its small size, the discharge of waste is reduced, and the filter part is intended to provide a smart functional mask that can protect the respiratory system from harmful gases such as automobile fumes as well as fine dust by using a filter and a carbon filter for fine dust.

또한,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실링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착용자의 안면과의 밀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마스크 본체의 내측과 안면 사이를 이격시켜 착용자의 안면에서 화장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콧대 부분의 실링부를 다른 부분의 실링부보다 두텁게 형성되어 밀착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l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sk body, the adhesion between the face and the inner side of the mask body is improved while preventing the makeup from being erased from the face of the wearer,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nose portion is form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functional mask that is formed thicker than the sealing portion of the other parts to further enhance the adhes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호흡기를 이루는 코와 입 주변을 덮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착용자의 호흡에 맞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착용자의 호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nose and mouth surrounding the respirator to form a closed space, and a mask body in which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earer's breath is discharged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wearer's breath. Wow;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착용자의 안면 형상에 기반하여 내측 외곽을 따라 형성되고, 착용자의 콧대 부분에 대응하는 양측부분에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어 콧대 양측 부분을 집중적으로 실링하는 실링부와;It is formed integrally on the inner side of the mask body, and i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based on the face shape of the wearer, and is formed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s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nose to intensively seal both sides of the nose. A sealing portion;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마스크 본체의 유입구에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와;A filter unit formed inside the mask body and formed to be replaceable at an inlet of the mask body;

상기 마스크 본체의 배출구에 형성되되,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 외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들숨 시,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고, 날숨 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벤틸레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It is formed on the outlet of the mask body, is form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ask body, when the wearer inhales, blocks the outlet, and ventilator portion to open the outlet when exhale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It relates to a smart functional mask.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의 유입구는 착용자의 콧대 부분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격자형 타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는 실링부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고,The inlet of the mas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both sides around the nose portion of the wearer, and the inle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attice-shaped perforations, and a locking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mask body on which the inlet is formed so that the sealing portion is replaceable. Become,

상기 마스크 본체의 배출구는 착용자의 인중과 턱선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outlet of the mask body relates to a smart function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etween the wearer's throat and the jawline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wearer's mouth.

본 발명의 벤틸레이터부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관통구가 일면의 하측에 형성되는 외측 벤틸레이터와;The ventilato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ventila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on which the outlet is formed,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formed on a lower side of one surface;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와 양끝단부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관통구가 일면의 상측에 형성되는 내측 벤틸레이터와;An inner ventilato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on which the outlet is formed, wherein the outer ventilator and both ends are mutually coupled,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one surface;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와 내측 벤틸레이터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착용자의 들숨 시, 상기 내측 벤틸레이터의 관통구를 차단하고, 착용자의 날숨 시, 상기 내측 벤틸레이터의 관통구를 개방하여 통과시키는 실리콘 개폐막;A silicon opening / closing membrane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outer ventilator and the inner ventilator to block the through hole of the inner ventilator when the wearer inhales, and to open and pass the through hole of the inner ventilator when the wearer exhales. ;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smart function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외측 벤틸레이터의 관통구와 내측 벤틸레이터의 관통구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착용자의 날숨의 배기방향과 평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through-hole of the outer ventilator and the through-hole of the inner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le, and relates to a smart function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ined to be parallel to the exhaust direction of the wearer's exhalation.

본 발명의 외측 벤틸레이터에 형성된 관통구의 상측과 내측 벤틸레이터에 형성된 관통구의 하측에는 착용자의 날숨이 관통구를 통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관통구 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outer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inner ventilator are formed with a guide portion so that the wearer's exhalation is smoothly transferred through the through-hole, and the guide portion is formed curved toward the through-hole It relates to a smart functional mask.

본 발명의 벤틸레이터부는 마스크 본체의 배출구에 5 ~ 3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착용자의 날숨이 관통구를 통해 원활하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ventilato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unction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lation of the mask body is installed at an angle of 5 to 30 degrees so that the exhalation of the wearer is smoothly transferred through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의 외부면에는 블루투스 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unction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a Bluetooth device is further installed.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벤틸레이터부가 설치됨으로써, 마스크 착용상태에서 착용자의 호흡 중 배기(날숨)일 때, 코를 통한 배기가 벤틸레이터부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기에 착용자의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마스크 내부에 호흡에 의한 습기가 머물지 않아 오염 방지 및 청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mart functional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ventilators are installed at outle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so that when exhausting (exhalation) of the wearer's breath while wearing the mask, exhaust through the nose is ventilated. Since it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rater unit, the wearer's breathing is smoothly performed, and moisture from the breath does not stay inside the mask,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increasing cleanliness.

또한, 마스크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터를 마스크 사용시마다 교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필터부는 크기를 최소화 하여 하루 쓰고 교체하는 필터의 소요 비용(사용비용)을 최소화하고, 종래의 일회용 마스크보다 현저히 작은 크기이기에 쓰레기 배출이 감소하며, 상기 필터부는 미세먼지 전용 필터와 카본필터를 사용하여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자동차 매연 등의 유해가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mask semi-permanently, the filter must be replaced every time the mask is used. The filter unit minimizes the size, minimizes the cost (use cost) of the filter to be used and replaced per day, an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nventional disposable mask. Because of its small size, the discharge of waste is reduced, and the filter unit has an effect of protecting the respiratory system from harmful gases such as automobile fumes as well as fine dust by using a filter and a carbon filter for fine dust.

또한,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실링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착용자의 안면과의 밀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마스크 본체의 내측과 안면 사이를 이격시켜 착용자의 안면에서 화장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콧대 부분의 실링부를 다른 부분의 실링부보다 두텁게 형성되어 밀착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l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sk body, the adhesion between the face and the inner side of the mask body is improved while preventing the makeup from being erased from the face of the wearer,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nose portion is formed. It is formed thicker than the sealing portion of the other parts,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틸레이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틸레이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측 벤틸레이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 벤틸레이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막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틸레이터부의 각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showing a smart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mart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ask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o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ntilato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outer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ner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operated by the wear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ngle of a ventilato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may be more clearly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Before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it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configurations and arrangements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and can be performed in a variety of ways. Also, the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The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 left "," right "," lateral ", etc. are only used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lated devices Or you will see that the element simply indicates or does not mean that it should have a specific direction. 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d appended claims for explan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mean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are possib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틸레이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틸레이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측 벤틸레이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 벤틸레이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막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틸레이터부의 각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showing a smart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showing a smart functional mask,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ask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entilato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outer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ner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operating by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w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ent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ngle of the data.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100)는 미세먼지에 대한 공기청정의 기능을 제공하여 미세먼지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10)와, 실링부(20)와, 필터부(30)와, 벤틸레이터부(40)로 구성된다.1 to 10, the smart functional mas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air cleaning for fine dust to prevent the fine dust from entering the respiratory tract and the mask body 10 , A sealing portion 20, a filter portion 30, and a ventilator portion 40.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PR(Thermo Plastic Rubber)의 고무 재질로 인체에 무해하면서 부드러운 소재로써, 착용자의 안면에서 적어도 코와 입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코, 입 및 턱 주변을 부드럽게 다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측방에는 구비되는 걸이 끈을 착용자의 귀에 걸으므로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착용시 피부에 닿는 부분으로 인한 불쾌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부에 닿는 부분(내측)의 표면의 거칠기(조도)를 최소화하고, 경도 40 이하의 재료를 사용한다.1 to 4, the mask body 1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of TPR (Thermo Plastic Rubber),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soft, and is formed to cover at least the nose and mouth on the wearer's face, It is formed to gently cover the nose, mouth and chin area, and is attached to the wearer's face as the hook string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sk body 10 is attached to the wearer's ear. At this time, when wearing the mask body 10, in order to minimize the unpleasant feeling due to the part that touches the skin, the surface roughness (roughness) of the part (inside) that touches the skin is minimized, and a material having a hardness of 40 or less is used.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안면에 상응하는 입체 구조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코 및 입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코와 입주위에서 착용자의 안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코와 입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착용자의 호흡시 마스크 본체(10)가 코나 입으로 끌리어 들어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body 10 is formed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fac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around the nose and mouth. At this time, since the mask body 10 is spaced from the nose and mou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sk body 10 from being drawn into the nose or mouth when the wearer breathes.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폴더형으로 형성되므로 종방향으로 설정되는 폴딩 라인(FL)을 통하여 좌우로 접힐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마스크(100)는 입체 구조로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마스크(100)를 접어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sk body 10 is formed in a folder shape, it can be folded left and right through a folding line FL 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although the mask 100 of one embodiment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mask 100 by folding it.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10)에는 도 4에서처럼, 착용자의 호흡에 맞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착용자의 호흡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유입구(11)는 착용자의 콧대 부분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는 격자형 타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에는 실링부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걸림부(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13)는 부드러운 소재로 인해 필터부(30)의 교환이 쉬우면서 필터부(30)를 유입구(11)에 밀착시키는 구조이다.And, in the mask body 10, as shown in Figure 4, the inlet 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accordance with the wearer's breath and the outlet 12 through which the wearer's breath is discharged are formed, respectively, of the mask body 10. The inlet 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earer's nose, and the inlet 11 has a plurality of grid-shaped perforations, and a sealing part is replaceable inside the mask body 10 on which the inlet 11 is formed. The engaging portion 13 is formed so as to be combined. 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13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ilter portion 30 is easily exchanged due to the soft material, and the filter portion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11.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배출구(12)는 착용자의 인중과 턱선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12)는 많은 양의 날숨을 배출하기 위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let 12 of the mask body 10 is formed between the wearer's throat and the jawline,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wearer's mouth, and the outlet 12 has a rectangular shape to discharge a large amount of exhalation. Is formed.

상기 실링부(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 형상에 기반하여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외곽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20)는 마스크 본체(10)와 동일한 재질이기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실링부(20)는 마스크 본체(10)의 내면에 부착되어 내면에서 설정된 높이(H)로 돌출되어 마스크(100)가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범위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실링부(20)가 높이(H)를 가지므로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입, 코 및 주위 안면에 직접 닿지 않을 수 있다.2 to 3, the sealing portion 20 is formed integrally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mask body 10 based on the face shape of the wearer, and the sealing portion 20 is a mask body ( Since it is the same material as 10), it is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sealing portion 2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0 and protrudes to a height (H) set at the inner surface to set a range in which the mask 100 covers the wearer's face. At this time, since the sealing portion 20 has a height (H), the mask body 10 may not directly contact the wearer's mouth, nose, and surrounding face.

여기서, 상기 실링부(20)는 착용자의 콧대 부분에 대응하는 양측부분이 다른 부분의 실링부(20)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콧대 양측 부분을 집중적으로 실링함으로써, 마스크 본체(10)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들뜰 수 있는 부분인 콧대 양측 부분을 집중적으로 실링한다.Here, the sealing portion 20 is form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nose portion thicker than the sealing portion 20 of the other portion, thereby intensively sealing both parts of the nose, between the mask body 10 and the wearer's face Intensively seal the parts of both sides of the nose that can be lifted off.

즉 상기 실링부(20)는 마스크(100) 사용시 콧대 주위에 흡기 통로의 설정을 차단하여, 필터부(30)를 제외한 마스크 본체(10)의 주위로 황사 등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ealing part 20 may block the setting of the intake passage around the nose when using the mask 100, thereby preventing inhalation of yellow dust or the like around the mask body 10 excluding the filter part 30.

상기 필터부(3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는데,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유입구에 형성된 걸림부(13)에 결착되어 교체 가능하고, 상기 필터부(30)는 미세먼지 전용 필터(KF94여과지)와 카본필터 및 부직포여과지의 3중 막으로 형성되어 미세먼지, 황사뿐 아니라 자동차 매연 등의 유해가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게 제작된다.The filter unit 30 is formed inside the mask body 10, as shown in Figures 2 to 3, is attached to the locking portion 13 formed in the inner inlet of the mask body 10 is replaceable In addition, the filter unit 30 is formed of a triple layer of a filter for exclusive use of fine dust (KF94 filter paper), a carbon filter, and a non-woven filter paper to protect the respiratory system from harmful gases such as fine dust, dust, and automobile fumes. do.

여기서, 상기 필터부(30)의 크기는 마스크 본체(10)의 유입구(11) 크기에 맞춰 최소화로 형성되기에 하루 쓰고 교체되는 필터부(30)의 크기가 작아 쓰레기 배출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Here, since the size of the filter unit 30 is formed to be minimiz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inlet 11 of the mask body 10, the size of the filter unit 30 that is used and replaced per day is small, so that the waste discharge rate is significantly reduced.

상기 벤틸레이터부(4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의 배출구(12)에 설치되는데, 상기 배출구(12)에 맞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벤틸레이터부(40)는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벤틸레이터(42)와 마스크 본체(10)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벤틸레이터(41)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들숨 시, 상기 배출구(12)를 차단하고, 날숨 시 상기 배출구(12)를 개방하도록 실리콘 개폐막(43)이 더 형성된다.The ventilator portion 40 is installed in the outlet 12 of the mask body 10, as shown in Figures 1 to 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 in accordance with the outlet 12 , The ventilator portion 40 is composed of an inner ventilator 42 formed inside the mask body 10 and an outer ventilator 41 formed outside the mask body 10, when the wearer inhales , A silicon opening / closing membrane 43 is further formed to block the outlet 12 and open the outlet 12 when exhaling.

여기서, 도 6 내지 도 9에서처럼,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는 배출구(12)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벤틸레이터(42)는 배출구(12)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10)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와 마스크 본체(10)면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는데,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와 내측 벤틸레이터(42)의 외측에는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요철부(44)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44)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외측 벤틸레이터(41)와 내측 벤틸레이터(42)가 상호 간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44)는 마스크 본체(10)면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다.Here, as in FIGS. 6 to 9, the outer ventilator 4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0 on which the outlet 12 is formed, and the inner ventilator 42 is a mask on which the outlet 12 is formed. 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outer ventilator 41 and the mask body 10, but the outer side of the outer ventilator 41 and the inner ventilator 42 The concavo-convex portion 44 is formed to be combined, and two or more concavo-convex portions 44 are formed so that the outer ventilator 41 and the inner ventilator 42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cavo-convex portion 44 has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surface of the mask body 10 and is mutually coupled.

그리고,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의 일면에는 도 7에서처럼, 배출구(12)와 연통되는 관통구(45)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구(45)는 외측 벤틸레이터(41)의 전면 수평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45)의 상측 즉, 외측 벤틸레이터(41)의 전면 수평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착용자의 날숨이 관통구(45)를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가이드부(47)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47)는 관통구(45) 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날숨(배기)이 가이드부(47)를 따라 가이드되다 관통구(45)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And, on one surface of the outer ventilator 41, as shown in Figure 7, a through-hole 45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2 is formed, the through-hole 45 is the front horizontal center of the outer ventilator 41 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s a reference,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hole 45, that is, the guide to allow the wearer's exhalation to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45 on the basis of the front horizontal center of the outer ventilator 41. A portion 47 is formed, and the guide portion 47 is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through hole 45 so that exhalation (exhaust) is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47 and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45.

또한, 상기 내측 벤틸레이터(42)의 일면에는 도 8에서처럼, 배출구(12)와 연통되는 관통구(46)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구(46)는 내측 벤틸레이터(42)의 전면 수평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46)의 하측 즉, 내측 벤틸레이터(42)의 전면 수평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측에는 착용자의 날숨이 관통구(46)를 통해 외측 벤틸레이터(41)의 관통구(46)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가이드부(48)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48)는 관통구(46) 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날숨(배기)이 가이드부(48)를 따라 가이드되다 관통구(46)를 통해 배출되어 외측 벤틸레이터(41)의 관통구(45)로 이송되는 것이다.In addition, on one surface of the inner ventilator 42, a through-hole 46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2 is formed, as shown in FIG. 8, wherein the through-hole 46 is a front horizontal center portion of the inner ventilator 42. I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s a reference,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46, that is, the lower side relative to the front horizontal center of the inner ventilator 42, the wearer's exhala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46 of the outer ventilator 41 A guide portion 48 is formed to be smoothly transported to the through-hole 46, and the guide portion 48 is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through-hole 46 so that exhalation (exhaust) is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48.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hole 46 and is transferred to the through-hole 45 of the outer ventilator 41.

한편,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의 관통구(45)와 내측 벤틸레이터(42)의 관통구(46)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45,46)는 착용자의 날숨의 배기방향과 평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rough-hole 45 of the outer ventilator 41 and the through-hole 46 of the inner ventilator 42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through-holes 45 and 46 are formed with the exhaust direction of the wearer's exhalation.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be parallel.

여기서, 상기 관통구(45,46)가 날숨의 배기방향과 평행되도록 도 10의 (a), (b), (c)에서처럼, 벤틸레이터부(40)가 보통 인중과 턱을 연결한 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5 ~ 3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관통구(45,46)가 날숨의 배기방향과 평행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배기 효율이 높아진다.Here, as shown in Figure 10 (a), (b), (c) so that the through-holes (45,46) are parallel to the exhaust direction of the exhalation, the ventilator portion 40 is usually a line connecting the chin and the chin. By installing at an angle of 5 to 30 degrees as a reference line, the through holes 45 and 46 are formed parallel to the exhaust direction of the exhalation. Therefore, the exhaust efficiency increases.

그리고, 상기 개폐막(43)은 도 6 및 도 9에서처럼, 실리콘 재질의 얇은 막으로써, 외측 벤틸레이터(41)와 내측 벤틸레이터(4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착용자의 들숨 시, 상기 내측 벤틸레이터(42)의 관통구(46)를 차단하여 외부의 공기가 벤틸레이터부(40)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착용자의 날숨 시, 상기 내측 벤틸레이터(42)의 관통구(46)를 개방하여 날숨이 벤틸레이터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통과)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and 9, the opening / closing film 43 is a thin film made of silicon, and is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outer ventilator 41 and the inner ventilator 42, and when the wearer inhales, the inner ventil Blocking the through-hole 46 of the rater 42 prevents external air from flowing through the ventilator unit 40, and when the wearer exhales, the through-hole 46 of the inner ventilator 42 is blocked. By opening, the exhalation is discharged (passed) through the ventilator unit 40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면에는 도 1 및 도 4에서처럼, 블루투스 장치(50)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블루투스 장치(50)는 실링부(20)의 바깥쪽인 걸이 끈이 연결되는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루투스 장치(50)에는 블루투스 마이크와 블루투스 이어폰이 형성되어 마스크(100)를 착용하고도 통화 또는 음악 듣기 등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0, as shown in Figures 1 and 4, the Bluetooth device 50 is further installed, the Bluetooth device 50 is connected to the outer hook of the sealing portion 20, the hook string I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0, and the Bluetooth device 50 is formed with a Bluetooth microphone and Bluetooth earphones so that a call or listening to music is possible while wearing the mask 100.

10 : 마스크 본체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걸림부
20 : 실링부 30 : 필터부
40 : 벤틸레이터부 41 : 외측 벤틸레이터
42 : 내측 벤틸레이터 43 : 개폐막
44 : 요철부 45,46 : 관통구
47,48 : 가이드부
50 : 블루투스 장치 100 : 마스크
10: mask body 11: inlet
12: outlet 13: engaging portion
20: sealing portion 30: filter portion
40: ventilator section 41: outer ventilator
42: inner ventilator 43: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44: uneven portion 45,46: through hole
47,48: Guide section
50: Bluetooth device 100: mask

Claims (7)

호흡기를 이루는 코와 입 주변을 덮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착용자의 호흡에 맞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착용자의 호흡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착용자의 안면 형상에 기반하여 내측 외곽을 따라 형성되고, 착용자의 콧대 부분에 대응하는 양측부분에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어 콧대 양측 부분을 집중적으로 실링하는 실링부(2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유입구(11)에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3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배출구(12)에 형성되되,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 외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들숨 시, 상기 배출구(12)를 차단하고, 날숨 시 상기 배출구(12)를 개방하는 벤틸레이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유입구(11)는 착용자의 콧대 부분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는 격자형 타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에는 필터부(30)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걸림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배출구(12)는 착용자의 인중과 턱선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벤틸레이터부(40)는, 상기 배출구(12)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와 연통되는 관통구(45)가 일면의 하측에 형성되는 외측 벤틸레이터(41)와;
상기 배출구(12)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10)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와 양끝단부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12)와 연통되는 관통구(46)가 일면의 상측에 형성되는 내측 벤틸레이터(42)와;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와 내측 벤틸레이터(4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착용자의 들숨 시, 상기 내측 벤틸레이터(42)의 관통구(46)를 차단하고, 착용자의 날숨 시, 상기 내측 벤틸레이터(42)의 관통구(46)를 개방하여 통과시키는 실리콘 개폐막(4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와 내측 벤틸레이터(42)의 외측에는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요철부(44)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44)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외측 벤틸레이터(41)와 내측 벤틸레이터(42)가 상호 간에 단단하게 결합되며, 상기 요철부(44)는 마스크 본체(10)면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고,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의 관통구(45)는 외측 벤틸레이터(41)의 전면 수평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벤틸레이터(42)의 관통구(46)는 내측 벤틸레이터(42)의 전면 수평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의 관통구(45)와 내측 벤틸레이터(42)의 관통구(46)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착용자의 날숨의 배기방향과 평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벤틸레이터(41)에 형성된 관통구(45)의 상측과 내측 벤틸레이터(42)에 형성된 관통구(46)의 하측에는 착용자의 날숨이 관통구(45,46)를 통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가이드부(47,48)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47,48)는 관통구(45,46) 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며,
상기 벤틸레이터부(40)는 마스크 본체(10)의 배출구(12)에 5 ~ 3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착용자의 날숨이 관통구(45,46)를 통해 원활하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
A mask body 10 that covers the nose and mouth surrounding the respiratory system and forms a closed space, and the inlet 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and the outlet 12 through which the wearer's breath is discharged are formed according to the wearer's breath. Wow;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ide of the mask body 10, and i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based on the face shape of the wearer, and thicker than the other parts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nose portion, thereby focusing both sides of the nose. Sealing unit 20 for sealing with;
A filter unit 30 formed inside the mask body 10 and formed to be replaceable at an inlet 11 of the mask body 10;
It is formed on the outlet 12 of the mask body 10, is form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ask body 10, when the wearer inhales, blocks the outlet 12, and exhales the outlet 1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ventilator portion 40 to open;
The inlet 11 of the mask body 10 is formed on both sides around the nose portion of the wearer, the inlet 11 has a plurality of grid-like perforations, the mask body 10 with the inlet 11 formed The inside of the filter portion 30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13 so as to be interchangeably coupled, and the outlet 12 of the mask body 10 is formed between the wearer's throat and the jawline, and both sides around the wearer's mouth Provided in,
The ventilator portion 4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0 on which the outlet 12 is formed, and the through hole 45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ventil. A radar 41;
The outlet vent 1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0 is formed, the outer ventilator 41 and both ends are mutually coupled, and the through hole 46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2 is an upper side of one surface. An inner ventilator 42 formed on the;
It is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outer ventilator 41 and the inner ventilator 42 to block the through hole 46 of the inner ventilator 42 when the wearer inhales, and when the wearer exhales, the inner ventil And a silicon opening / closing film 43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46 of the razor 42 is opened and pass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ventilator 41 and the inner ventilator 42, an uneven portion 44 is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wo or more uneven portions 44 are formed to form an outer ventilator 41. And the inner ventilator 42 ar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neven parts 44 are mutually coupled through the mask body 10 surface,
The through hole 45 of the outer ventilator 4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relative to the front horizontal center of the outer ventilator 41, and the through hole 46 of the inner ventilator 42 is an inner ventilator ( 4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horizontal center portion,
The through-hole 45 of the outside ventilator 41 and the through-hole 46 of the inside ventilator 42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clined to be parallel to the exhaust direction of the wearer's exhalation, and the outside ventilator (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hole 45 formed in 41) and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hole 46 formed in the inner ventilator 42, the guide portion 47, so that the exhalation of the wearer is smoothly transferred through the through-holes 45, 46. 48) is formed, the guide portion (47,48) is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through-hole (45,46),
The ventilator unit 40 is installed at an angle of 5 to 30 degrees to the outlet 12 of the mask body 10 at an angle of smart, and the wearer's exhalation is smoothly transferred through the through holes 45 and 46. Functional mas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면에는 블루투스 장치(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function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a Bluetooth device 5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39642A 2018-11-14 2018-11-14 Smart Functional Mask KR102104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642A KR102104886B1 (en) 2018-11-14 2018-11-14 Smart Functional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642A KR102104886B1 (en) 2018-11-14 2018-11-14 Smart Functional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886B1 true KR102104886B1 (en) 2020-04-27

Family

ID=7046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642A KR102104886B1 (en) 2018-11-14 2018-11-14 Smart Functional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8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3977A1 (en) * 2020-05-13 2021-11-18 D. Wheatley Enterprises, Inc. Integrated respiratory and eye protectiv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72B1 (en) * 2007-03-13 2009-01-13 김종화 mask of dustproof
KR101650033B1 (en) * 2015-07-28 2016-08-22 주식회사 장정 A dustproof mask
KR101723663B1 (en) * 2016-11-14 2017-04-05 김동진 A functional mask
KR101801828B1 (en) 2015-06-12 2017-11-2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Yellow dust mas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72B1 (en) * 2007-03-13 2009-01-13 김종화 mask of dustproof
KR101801828B1 (en) 2015-06-12 2017-11-2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Yellow dust mask
KR101650033B1 (en) * 2015-07-28 2016-08-22 주식회사 장정 A dustproof mask
KR101723663B1 (en) * 2016-11-14 2017-04-05 김동진 A functional mas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3977A1 (en) * 2020-05-13 2021-11-18 D. Wheatley Enterprises, Inc. Integrated respiratory and eye protectiv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0228A4 (en) Filter Mask with UVC LED
KR101959664B1 (en) Mask capable of intake and exhalation air filtering
US10525292B2 (en) Respiratory device with unidirectional valve for attaching active venting system
KR102090117B1 (en) Air filtering mask of exhalation purification type having a region separation structure
TWI645882B (en) Separator device for air-purifying breathing protective equipment
US20080035149A1 (en) Respirators
JP2012511987A (en) Respiratory interface device with filtration media
US20200061399A1 (en) Venus Flu Trap
GB2594100A (en) A protective mask
TW201808384A (en) A breath mask with airflow bypass
US11612771B2 (en) Head encapsulation unit
KR102104886B1 (en) Smart Functional Mask
KR101776894B1 (en) Mask type air purifier
US20220096700A1 (en) Device that uses ultraviolet light to purify air
KR101547601B1 (en) Portable smoke and gas mask
KR20210117074A (en) Mask
TWI654009B (en) Inlet and exhaust valve and cover body replaceable filter environmental protection mask
JP2023541111A (en) respiratory protection mask
TWM604573U (en) Protection mask
KR20040062697A (en) Mask
WO2019232914A1 (en) Protective mask for easily venting exhaled gas
KR20210041728A (en) Mask
CN213789674U (en) Single-box half-mask type gas mask
US20230381555A1 (en) Air filter
US20220249881A1 (en) Fac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