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559B1 - Gateway Platform - Google Patents

Gateway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559B1
KR102104559B1 KR1020170175413A KR20170175413A KR102104559B1 KR 102104559 B1 KR102104559 B1 KR 102104559B1 KR 1020170175413 A KR1020170175413 A KR 1020170175413A KR 20170175413 A KR20170175413 A KR 20170175413A KR 102104559 B1 KR102104559 B1 KR 102104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ud server
processor
terminal devic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4052A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김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102017017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559B1/en
Publication of KR2019007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5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3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4Fourier, Walsh or analogous domain transformations, e.g. Laplace, Hilbert, Karhunen-Loeve, transforms
    • G06F17/141Discrete Fourier transforms
    • G06F17/142Fast Fourier transforms, e.g. using a Cooley-Tukey type algorith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75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단말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원격지의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와 연결 구성하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공유메모리에 원격지 시설물들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가 저장시 그 저장된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값만을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원시 또는 원천데이터들 중에서 클라우드 서버가 인식하지 못하는 무의미한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여,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통신 속도 저하를 방지하고,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저장량을 감소시키면서 데이터 분석에 따른 시간을 절약하며, 데이터 분석 후 이루어지는 불필요한 데이터의 삭제 작업을 없애면서 클라우드 서버의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an IoT-based facility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remote facilities and the cloud server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when the raw or source data of remote facilities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of the gateway terminal device, the stored raw or source data is analyzed and only the result of analysis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Accordingly, the shared memory of the gateway terminal device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meaningless data that is not recognized by the cloud server among the stored raw or original data, preventing a decrease in communication speed due to data transmission from the gateway terminal device to the cloud server, and reducing the data storage amount of the cloud server. Save time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then analyze the data while eliminating the deletion of unnecessary data will be made in the maintenance of cloud server it can be run efficiently.

Figure R1020170175413
Figure R1020170175413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Gateway Platform}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IoT-based facilities with data processing function {Gateway Platform}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GateWay Platform)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의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연결하면서, 원격지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제하고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단말장치의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원격지 시설물들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가공하여 클라우드 서버가 인식하지 못하거나 무의미한 데이터는 그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cessing data in a gateway terminal device (GateWay Platform)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facilities, and more specifically, facilities and cloud servers at remote sites. While connecting to the gateway terminal device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enables efficient integration control and remote control of remote facilities, but processes the raw or source data of remote facilitie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of the terminal device to enable the cloud server. The unrecognized or insignificant data relates to a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an IoT-based facility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that prevents its transmission.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oT)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하고, 영어의 머리글자를 따서 아이오티(IoT)라 약칭하기도 한다.In general,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an intelligent technology and service that connects all things based on the Internet and communicates information between people and things, things and things, and it is called IoT after the initials of English. Sometimes abbreviated.

이러한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유선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더욱 진화된 단계로서, 인터넷에 연결된 시설물이 사람의 개입없이 상호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고, 이는 사물이 인간에 의존하지 않고 통신을 주고받는 점에서 기존의 유비쿼터스(Ubiquitous)나 사물지능통신인 M2M(Machine to Machine)와 유사한 점은 있지만, 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이고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한 단계로 볼 수 있다.The Internet of Things is a more advanced stage than the Internet or mobile Internet based on the existing wired communication, and facilities connected to the Internet exchange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without human intervention, which means that objects communicate without relying on humans. In terms of exchanging, there are similarities to the existing Ubiquitous or M2M (Machine to Machine), which is an intelligent communication, but by extending the concept of M2M to the Internet, it interacts with all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as well as things. It can be seen as an evolutionary stage.

즉, 종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예; 환기/기계설비, 방재설비, 계측/환경설비, 발전설비, 오수처리 설비, 냉난방기, 가로등, 조명등, 화재경보기, PLC 등)에 대한 제어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453364 호(공고일 2014.10.22), 등록특허공보 제 10-1453372 호(공고일 2014.10.22)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 또는 어플레이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되는 것이다.That is, control of conventional Internet of Things-based facilities (eg ventilation / mechanical equipment,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measurement / environmental equipment, power generation equipment, sewage treatment equipment, air conditioners, street lights, lighting lamps, fire alarms, PLCs, etc.) It is serviced using a cloud server or an application as in No. 10-1453364 (announcement date 2014.10.22) and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53372 (announcement date 2014.10.22).

그러나, 종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들은 클라우드 서버와 유무선의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유무선의 통신망은 단순히 시설물에서 클라우드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시설물들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순 중계 역할에만 한정되어 있으며, 이에 원격지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시설물들에 대한 유지 관리와 그에따른 원격 제어, 그리고 원격지의 시설물들을 모두 통합하여 관제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 제어에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conventional IoT-based facilities are connected to a cloud server 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limited only to a simple relaying role of simply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the facility to the cloud server or the cloud server. Although there is a need to monitor information between remote facilities and cloud servers, maintain and control the facilities, and remotely control and integrate all of the remote facilities, the Internet of Things-based facility control has not yet emerged. Esau has not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2017.05.24.자로 출원하여 2017.09.26.자로 등록결정된 특허출원 제10-2017-0064264호(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이하 '선행특허' 이라함)를 개시하였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filed as 2017.05.24. And registered as 2017.09.26.,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64264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Internet of Things based facilities) Gateway terminal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그러나, 본원출원인의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는 원격지 시설물들의 작동에 따른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들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내에서 시설물 연계부에 의해 지정되는 통신경로를 통해 수집된 이후에 공유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렇게 저장된 원시 또는 원천데이터 모두가 별도의 가공없이 바로 호스트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되므로, 클라우드 서버에 무의미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 전송은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통신 속도를 저하시키고,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저장량이 많아지면서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분석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데이터 분석 이후에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여야 하는 등 유지 관리가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단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of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after the raw or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facilities are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designated by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nd thus stored. Since all the raw or original data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host unit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meaningless data transmission can be made to the cloud server, and the data transmission speeds up the communication speed according to the data transfer from the gateway terminal device to the cloud server. As the data storage amount of the cloud server decreases, the data analysis time of the cloud server takes much time, and after data analysis, unnecessary data must be deleted,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complicated maintena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지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로 연결 구성하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공유메모리에 원격지 시설물들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가 저장시 그 저장된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값만을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원시 또는 원천데이터들 중에서 클라우드 서버가 인식하지 못하는 무의미한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여,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통신 속도 저하를 방지하고,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저장량을 감소시키면서 데이터 분석에 따른 시간을 절약하며, 데이터 분석 후 이루어지는 불필요한 데이터의 삭제 작업을 없앨 수 있는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patent as described above, and configures the remote facilities and the cloud server to be connected to a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t to the shared memory of the gateway terminal device. When the raw or source data of remote facilities are stored, the stored raw or source data is analyzed and only the result of analysis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so that the cloud server among the raw or source data stored in the shared memory of the gateway terminal device Blocks the transmission of insignificant data that is not recognized, prevents a decrease in communication speed due to data transmission from the gateway terminal device to the cloud server, saves time in data analysis while reducing the data storage amount of the cloud server, and saves data To provide an integrated control and remote control of the gateway terminal unit for deleting unnecessary things facilities of Internet-enabled with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that can eliminate the operations of the data made after it is an object.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는, 클라이언트 단말, 모니터링 감시부를 가지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관리되는 원격지 시설물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복수의 접속포트;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호스트부;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운영소프트웨어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연계부;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과 연계되는 프로세스와 연계 경로(THREAD)를 관리하는 복수의 시설물 연계부; 복수의 상기 시설물 연계부에 각각 연결되면서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이 접속시, 상기 시설물 연계부에 의해 각각 관리되는 연계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경로 처리부; 상기 호스트부와 클라이언트 연계부 및 시설물 연계부,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를 로딩시키면서 동작과 그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통신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메인 중계 처리부; 및, 상기 호스트부와 클라이언트 연계부 및 시설물 연계부,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와 상기 메인 중계처리부에 의해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공유메모리;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공유메모리와 상기 호스트부 사이에는 상기 모니터링 감시부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에 대한 모니터링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값만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공유메모리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는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비교대상의 기준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e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Internet-based facilities including the data process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client terminal, a monitoring monitoring unit, and remote facilities managed by the client terminal, and By connecting the cloud server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 plurality of access ports; A host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cloud server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ccess ports, and to have a process associated with the cloud server; A client connection unit that allows the client terminal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and has a process associated with operating software of the client terminal; A plurality of facility connection units managing a process and a connection path (THREAD) associated with the remote facilit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s,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facility connection units, providing a connection path managed by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when the remote facilities ar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A main relay processing unit having a process of monitoring an operation and its operation state and manag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while loading the host unit, the client connection unit,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And a shared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host unit, the client connection unit and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and the main relay processing unit. Comprising a, to analyze the raw or source data of the monitoring for the remote facilitie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is monitored by the monitoring monitoring unit between the shared memory and the host unit and analyzes only the result of the analysis A data processing unit transmitting to the cloud server; And configured to store and provide reference data of a comparison target that enables analysis of the data processing unit for the raw or original data in the shared memory or the cloud server.

또한, 상기 모니터링 감시부는 음파센서와 이미지센서 및 진동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복수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and monitoring unit is one of a sound wave sensor, an image sensor, and a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or includes a plurality or both.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음파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가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시,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시간 축 기반의 바이너리값으로 변환시키는 제 1 변환 프로세서; 상기 시간 축 기반의 바이너리값을 고속 퓨리에 변환으로 주파수 기반의 음파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변환 프로세서; 상기 주파수 기반의 음파데이터를 주파수별로 구분하여 상기 공유메모리 또는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는 제 1 분석 프로세서; 및, 상기 제 1 분석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 프로세서; 가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raw or original data to a binary value based on a time axis when raw or original data monitored by the sound wave sensor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A first conversion processor; A second conversion processor that converts the time-based binary value into frequency-based sound wave data by fast Fourier transform; A first analysis processor that classifies the frequency-based sound wave data for each frequency and compares the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with the shared memory or the host unit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 error; And a transmission processor transmitting a result value analyzed by the first analysis processor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host unit. Is composed.

또한, 상기 음파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는 원격지 시설물들의 구조물 마찰에 따른 음파신호이고, 상기 제 1 변환 프로세서는 상기 음파신호를 시간 축 기반의 바이너리값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w or source data monitored by the sound wave sensor and the reference data are sound wave signals according to the structure friction of remote facilities, and the first conversion processor converts the sound wave signals into binary values based on a time axis.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가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시,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상기 공유메모리 또는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는 제 2 분석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분석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 프로세서; 가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raw or original data monitored by the image sensor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transmit the raw or original data through the shared memory or the host unit. A second analysis processor that analyzes whether an abnormality occurs or not in comparison to the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And a transmission processor transmitting a result value analyzed by the second analysis processor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host unit. Is composed.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는 원격지 시설물들의 특정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의 픽셀 정보이고, 상기 제 2 분석 프로세서는 상기 픽셀 정보들을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w or source data monitored by the image sensor and the reference data are pixel information of an image of a specific structure of remote facilities, and the second analysis processor compares the pixel information to analy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viation. Is to do.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진동 가속도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들이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시,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평균의 제곱값을 연산하는 제 1 연산 프로세서;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제곱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제 2 연산 프로세서; 상기 제 1 연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되는 평균의 제곱값과 상기 제 2 연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되는 제곱의 평균값으로부터 분산값을 연산하여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 3 연산 프로세서; 상기 제 3 연산 프로세서에 의해 측정되는 가속도를 뉴마크 베타(newmark beta)법으로 수치 적분하여 속도로 변환시키는 제 3 변환 프로세서; 상기 제 3 변환 프로세서에 의해 변환된 속도를 뉴마크 베타법으로 수치 적분하여 변위로 변환시키는 제 4 변환 프로세서; 상기 제 4 변환 프로세서에 의해 변환된 변위를 상기 공유메모리 또는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는 제 3 분석 프로세서; 및, 상기 제 3 분석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 프로세서; 가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when the raw or raw data monitored by the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y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to calculate the mean square value for the raw or raw data A first computational processor; A second computation processor that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squares for the raw or original data; A third computation processor that measures acceleration by calculating a variance value from an average square value computed by the first computation processor and an average square value computed by the second computation processor; A third conversion processor that converts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third calculation processor into a speed by numerically integrating it using a newmark beta method; A fourth conversion processor that converts the speed converted by the third conversion processor into a displacement by numerically integrating with a Newmark beta method; A third analysis processor that analyz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viation by comparing the displacement converted by the fourth conversion processor with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shared memory or the host unit; And a transmission processor transmitting a result value analyzed by the third analysis processor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host unit. Is composed.

또한, 상기 진동 가속도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는 원격지 시설물들의 구조물의 진동신호들이고, 상기 제 1 연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신호들에 대한 평균의 제곱값을 연산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연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신호들에 대한 제곱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w or source data monitored by the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reference data are vibration signals of structures of remote facilities, and the first calculation processor calculates an average square value for the vibration signals, The second calculation processor is to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squares for the vibration signals.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클라이언트 단말 및 클라우드 서버는 표준 프로토콜로 통신하되 암호화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은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nd the client terminal and the cloud server communicate with standard protocols, but encryption can be applied.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nd the remote facilities are Modbus,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 (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y one of all protocols including 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 Data Distribution (DDS), and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접속포트에는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시, 이를 표준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방식으로 변환하는 통신변환기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ll the protocols including Modbus,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 (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 (Data Distribution), and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are included in the access port of the gateway terminal device. When communicating with any one of the protocols, the communication converter that converts it into a standard protocol-based communication method is connected.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원격 모니터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모니터링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모니터링 분석 결과값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monitoring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the monito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hared memory or the monitoring analysis result value of the data processing unit to the client terminal according to the remote monitor request signal of the client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의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연계된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단말 연계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while having a process for linking with other neighboring gateway terminal devices, a terminal linking unit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other neighboring gateway terminal devices linked with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상기 공유메모리의 공유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모니터링 분석 결과값을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에 이상신호 발생시 이벤트신호를 생성하는 이벤트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n event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 event signal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the remote facility through the shared memory of the shared memory or the monitoring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processing uni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지의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와 연결 구성하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공유메모리에 원격지 시설물들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가 저장시 그 저장된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값만을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원시 또는 원천데이터들 중에서 클라우드 서버가 인식하지 못하는 무의미한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여,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통신 속도 저하를 방지하고,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저장량을 감소시키면서 데이터 분석에 따른 시간을 절약하며, 데이터 분석 후 이루어지는 불필요한 데이터의 삭제 작업을 없애면서 클라우드 서버의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remote facilities and the cloud server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t analyzes the stored raw or source data when the raw or source data of the remote facilities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of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fter that, only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is, the gateway terminal device blocks the transmission of meaningless data that the cloud server does not recognize among the raw or original data stored in the shared memory of the gateway terminal device. It prevents the decrease in communication speed due to data transmission to the cloud server, saves the time required for data analysis while reducing the data storage amount of the cloud server, and eliminates unnecessary data deletion after data analysis, while maintaining the cloud server. Management would be expected that the effect is efficiently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 포함되는 데이터 처리부에 대한 상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기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시설물들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유메모리에 저장된 음파센서의 모니터링 감시에 따른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가공하는 상태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유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센서의 모니터링 감시에 따른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가공하는 상태를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원격지 시설물에 부착될 표준거리 측정을 위한 표준자 시트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6의 표준자 시트가 부착된 원격지 시설물에 대한 특정부위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영하여둔 화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유메모리에 저장된 진동 가속도 센서의 모니터링 감시에 따른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가공하는 상태를 보인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IoT-based gateway terminal device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ed in a gateway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flow chart for facilities of an IoT-based gateway terminal device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state of processing raw or raw data according to the monitoring monitoring of the sound wave sensor stored in the shared memory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state of processing raw or original data according to monitoring and monitoring of an image sensor stored in a shared memory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tandard ruler sheet for measuring a standard distance to be attached to a remote facilit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reen view of a specific part of a remote facility equipped with the standard ruler sheet of FIG. 6 photographed through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showing a state of processing raw or raw data according to monitoring monitoring of a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stored in a shared memory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necessary shapes. For example, the area illustrated at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schematic properties, and the shape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is intended to illustrate a particular form of region of the devic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erefore, althoug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Further, even if reference numerals are not indicated,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 포함되는 데이터 처리부에 대한 상세 블럭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기반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의 시설물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ateway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etailed block of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ed in a gateway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and control flow of facilities of an IoT terminal terminal device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원격지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는,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의해 관리되며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것으로 모니터링 감시부로서 음파센서(201)와 이미지센서(202) 및 진동 가속도 센서(202)가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원격지 시설물들(200), 그리고 사물 인터넷 기반(IoT)의 클라우드 서버(300)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예; WiFi, Bluetooth, Zigbee, Etherent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복수의 접속포트(P1,P2,P3,P4)를 가지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호스트부(HOST)(10), 클라이언트 연계부(20), 시설물 연계부(SCAN)(30), 통신경로 처리부(EDGE; Enhanced Data for Global Evolution)(40), 메인 중계처리부(WDT; Watch Dog Timer)(50), 공유메모리(60), 통신변환기(T10), 데이터 처리부(400), 및/또는 모니터링 처리부(CLI)(70), 단말 연계부(GWMS)(80), 이벤트 처리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1 to 3,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an IoT-based remot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ient terminal 100 and the client terminal ( 100) and is managed by any one of all protocols, including Modbus (MODBUS),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CoAP),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 Data Distribution (DD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etc. It is a communication monitoring protocol that monitors the sound wave sensor 201, the image sensor 202, and the vibration accelerometer sensor 202, all or selectively installed remote facilities 200,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Cloud server 300, which can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g, WiFi, Bluetooth, Zigbee, Etherent, etc.), has multiple access ports (P1, P2, P3, P4) And, the host unit (HOST) (10), the client connection unit 20,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SCAN) 30,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EDGE; Enhanced Data for Global Evolution) 40, the main relay processing unit in the main body (WDT; Watch Dog Timer) 50, shared memory 60, communication converter T10, data processing unit 400, and / or monitoring processing unit (CLI) 70, terminal linkage unit (GWMS) 80 , It comprises the event processing unit 90.

상기 호스트부(10)는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P1,P2,P3,P4)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P1)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가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며, 표준 프로토콜기반(예; TCP/IP)의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 및/또는 원격지 시설물들(200)과 클라우드 서버(30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시 이를 코딩(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 기능, 시간 동기(TIME SYNC) 기능, 구성 정보 생성 기능, 정주기/이벤트 전달 기능, 기기들에 대한 제어명령 전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host unit 10 is to allow the cloud server 300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e connection ports (P1, P2, P3, P4), based on a standard protocol (eg, TCP / IP) while having a process associated with the cloud server 300,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etween the client terminal 100 and / or remote facilities 200 and the cloud server 300, coding (CODING) or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decoding (DECODING) function, time synchronization (TIME SYNC) func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generation function, periodic / event transmission function, and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function for devices.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운영에 필요로 하는 정보들을 설명하는 것이고, 상기 정주기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의한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원격 관제 및 제어를 설정된 일정주기로 진행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벤트는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장애 발생시 생성되는 신호를 설명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to describe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mote facilities 200, the periodic schedule is set a remote control and control for the remote facilities 200 by the cloud server 300 It is to explain the progress of the cycle, the event is to describe the signal generated when the failure of the remote facilities 20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이때, 상기 호스트부(10)가 실행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와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운영환경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상기 운영환경 정보는 링크되는 통신 프로세스 개수,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타입과 IP/PORT에 따른 통신 구성정보 등을 포함하는 시설물 통신 환경과,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전체 사용 여부, 모니터링 감시부와 이에 연결되는 시설물들별 프로토콜 INFO를 포함하는 기기 구성정보, 그리고 시설물과 모니터링 감시부의 운영포인트 리스트 정보(예; TAG, TYPE, ALARM, LEVEL, EVENT FLAG, SCALE, OFFSET 등)와 운영 포인트별 프로토콜 정보(예; 포인트별 어드레스, 프로토콜 인덱스 등)를 포함하는 포인트 구성정보인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host unit 10 is executed, while access to the cloud server 300 is established, the ope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cloud server 300 is collected. The ope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communication processes linked, A facility communication environment including communic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emote facilities 200 and IP / PORT, and whether to use the entire remote facilities 200, a monitoring monitoring unit, and protocols for each facility connected thereto.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 and operating point list information of facilities and monitoring supervisors (eg TAG, TYPE, ALARM, LEVEL, EVENT FLAG, SCALE, OFFSET, etc.) and protocol information for each operating point (eg address by point, Protocol index, etc.).

여기서, 상기 호스트부(10)는 클라우드 서버(300)와 모니터링 감시 정보를 송수신할 때 그 송수신되는 모니터링 감시 정보를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시키도록 하였으며, 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원격 모니터링 요청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모니터링 감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Here, when the host unit 10 transmits and receives monitoring monitor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cloud server 300, the monitoring moni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which is remote monitoring of the client terminal 100. This is to provide monitoring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client terminal 100 when a request signal is received.

한편, 상기 호스트부(1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감시정보 즉,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시, 그 송신되는 정보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에 의해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모니터링 감시 정보들을 분석한 결과값이 도출되었을 때 그 도출된 결과값인 것이다.Meanwhile, when the host unit 10 transmits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remote facilities 200 to the cloud server 300, that is, the monitoring informati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oud memory 300 by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When the result of analyzing monitor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remote facilities 200 stored in 60) is derived, it is the derived result value.

상기 클라이언트 연계부(20)는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P1,P2,P3,P4)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P2)에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관리 주체인 표준 프로토콜 기반(예; TCP/IP)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접속되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운영소프트웨어(OS)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상기 호스트부(10) 사이에서 쌍방간의 구성정보 전달과 정주기/이벤트 전달기능,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client connection unit 20 is based on a standard protocol that is a management subject for remote facilities 200 on one of the plurality of access ports P1, P2, P3, and P4 (eg, TCP). / IP) when the client terminal 100 of the connection, while having a process associated with the operating software (OS) of the client terminal 100, between the client terminal 100 and the host unit 10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between two parties, a periodic / event delivery function, and a control command of the cloud server 300.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연계부(2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전달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직접 통합 관제 및 제어할 수 있지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배제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가 직접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을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전달하여 통합 관제 및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Here, when a control command of the cloud server 300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100 through the client connection unit 20, the client terminal 100 directly controls and controls remote facilities 200. Although it is possible, th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may be performed by excluding the client terminal 100 and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directly transmitting control commands of the cloud server 300 to remote facilities 200.

즉,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통합 관제 및 제어하는 것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내의 클라이언트 연계부(20)로 요청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 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요청신호가 없을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를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원격 관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the remote facilities 200 through the client terminal 100 provides a request signal from the client terminal 100 to the client connection unit 20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This is done only in the case, and in the absence of the request signal, the cloud server 300 enables remote control and control of remote facilities 200 through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상기 시설물 연계부(30)는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과 연계되는 프로세스와 경로(THREAD)를 관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facility connection unit 30 is any of all protocols including Modbus,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DDS (Data Distribution),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etc. It is configured to manage processes and paths (THREAD) associated with the remote facilities 200 that communicate with one protocol.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40)는 복수의 상기 시설물 연계부(30)에 각각 연결되면서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P1,P2,P3,P4)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P3)에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이 접속시, 접속되는 시설물들(200)에 대하여 상기 시설물 연계부(30)에 의해 각각 관리되는 연계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접속포트(P3)에는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시, 이를 표준 프로토콜 기반(TCP/IT)의 통신방식으로 변환하는 통신변환기(T10)를 연결하면서, 정보의 리드(READ)/라이트(WRITE)를 관리하고, 로우레벨(LOW LEVEL) 이벤트 생성 및 상위 포인트 현재값을 업데이트하며, 실시간 기기별 포인트 정보 관리와, DI(Digital Input) 상태값 변경시 COS(Change of State) 이벤트 생성, AI(Analog Input)값 변경시 COA(Change of Analog) 이벤트 생성,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을 기기들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4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3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he connection ports (P1, P2, P3, P4) of any one of the connection port (P3) of the remote facility ( When the 200 is connected, to provide a connection path managed by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30 for the facilities 200 to be connected, the access port (P3) Modbus (Modbus), CoAP (Constrained) When communicating with any one of all protocols including Application Protocol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 Data Distribution (DD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etc., it is based on standard protocol (TCP / IT). While connecting a communication converter (T10) that converts to a communication method, manages the READ / WRITE of information, generates a low level event and updates the current value of the upper point, and points in real time by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DI al Input) COS (Change of State) event generation when the state value is changed, COA (Change of Analog) event generation when the AI (Analog Input) value is changed, 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cloud server 300 is transmitted to devices I did it.

이에따라,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설치되는 상기 모니터링 감시부에 포함되는 음파센서(201), 이미지센서(202), 진동 가속도 센서(203)는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40)에 의해 제공되는 연계 경로를 통해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들에 대한 모니터링 감시정보를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ound wave sensor 201, the image sensor 202, and the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203 included in the monitoring monitoring unit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y 200 are linked by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40 Monitoring and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remote facilities 200 can be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through a route.

상기 메인 중계처리부(50)는 상기 호스트부(10)와 클라이언트 연계부(20) 및 시설물 연계부(30),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40)를 로딩시키면서 동작과 그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통신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가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main relay processing unit 50 loads the host unit 10, the client connection unit 20,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30, and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40 while monitoring the operation and its operation status, and communicating It is configured to have a process for manag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상기 공유메모리(60)는 상기 호스트부(10)와 클라이언트 연계부(20) 및 시설물 연계부(30),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40)와 상기 메인 중계처리부(50)에 의해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hared memory 6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host unit 10, the client connection unit 20 and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30, and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40 and the main relay processing unit 50. It is configured to be saved.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는 상기 공유메모리(60)와 상기 호스트부(10)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예; 교량)(200)에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모니터링 감시부인 음파센서(201), 이미지센서(202), 진동 가속도 센서(203)에 의해 모니터링 감시되어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값만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저장용량을 줄이면서도,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수신받은 데이터 분석에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The data processing unit 400 is provided between the shared memory 60 and the host unit 10, a sound wave sensor that is a monitoring monitoring unit that is applied to all or selectively of the remote facilities (eg, a bridge) 200. 201, the image sensor 202, the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203 is monitored and monitored to analyze the raw or raw data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and transmits only the result of the analysis to the cloud server 300 This is to reduc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loud server 300, and to prevent spending too much time analyz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300.

여기서, 상기 공유메모리(60)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는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의 비교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비교대상의 기준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가 요청시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이 정상적인 범위내에서의 음파 및/또는 이미지 및/또는 진동 가속도 정보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상기 음파와 진동 가속도 정보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shared memory 60 or the cloud server 300 stores reference data of a comparison target that enables comparison analysis of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with respect to the raw or original data, and stores the reference data of the comparison target. ) Is provided upon request, the reference data is that the remote facilities 200 correspond to sound wave and / or image and / or vibration acceleration information within a normal range, but the sound wave and vibration acceleration information is the remote location.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acilities 200.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음파센서(예; 마이크로폰 센서)(201)에 의해 모니터링 감시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가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 경우, 제 1,2 변환 프로세서(402a)(402b), 제 1 분석 프로세서(403a), 전송 프로세서(401)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monitors and monitors raw or source data by the sound wave sensor (eg, microphone sensor) 201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200 in the shared memory 60. If stored, it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conversion processors 402a and 402b, the first analysis processor 403a, and the transmission processor 401.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변환 프로세서(402a)는 음파 물리량인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시간 축 기반의 바이너리(binary)값으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제 2 변환 프로세서(402b)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conversion processor 402a converts the raw or original data, which is a sound wave physical quantity, to a binary value based on a time axis and provides it to the second conversion processor 402b. It is configured to do so.

상기 제 2 변환 프로세서(402b)는 상기 시간 축 기반의 바이너리값을 고속 퓨리에 변환으로 주파수 기반의 음파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제 1 분석 프로세서(403a)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econd conversion processor 402b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time axis-based binary value into frequency-based sound wave data by fast Fourier transform and provide it to the first analysis processor 403a.

상기 제 1 분석 프로세서(403a)는 상기 주파수 기반의 음파데이터를 주파수별로 구분하여 상기 공유메모리(60) 또는 상기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한 후 이를 상기 전송프로세서(401)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first analysis processor 403a classifies the frequency-based sound wave data for each frequency and compares it with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shared memory 60 or the host unit 10 to deviate. After analyz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t is configured to provide it to the transmission processor 401.

상기 전송프로세서(401)는 상기 제 1 분석 프로세서(403a)에 의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하는 것으로, 이에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기존과 같이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분석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분석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클라이언트 연계부(2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과 상기 분석값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전달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직접 통합 관제 및 제어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배제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가 직접 상기 분석값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명령을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전달하여 통합 관제 및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The transmission processor 401 transmits the result value analyzed by the first analysis processor 403a to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host unit 10, whereby the cloud server 300 is existing As described above, an unnecessary analysis process for receiving raw or original data and analyzing it may be omitted, as well as the control command of the cloud server 300 and the analysis value through the client linkage unit 20 to the client terminal. Upon delivery to (100), the client terminal (100) can directly control and control remote facilities (200), on the other hand, excluding the client terminal (100) and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It is possible that th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may be performed by directly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of the cloud server 300 to the remote facilities 200 using the analysis value. .

여기서, 상기 음파센서에 의해 모니터링 감시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는 원격지 시설물(예; 교량)(200)을 이루는 구조물(예;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매 부분) 마찰에 따른 음파신호이고, 이에따라 상기 제 1 변환 프로세서(402a)는 상기 음파신호를 시간 축 기반의 바이너리값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마찰음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물들(예; 모터와 이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이 연결부위 등)이 적용되는 고정 설치된 원격지 시설물들(예; 하수 처리 설비, 산업 기계 설비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raw or source data monitored and monitored by the sound wave sensor and the reference data are sound wave signals according to friction of a structure (eg, a new joint part of a bridge deck) constituting a remote facility (eg, a bridge) 200, and accordingly The first conversion processor 402a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as converting the sound wave signal into a binary value based on a time axis, but structures that may generate friction sound (eg, a motor and a fixed frame supporting the same) are connected. It can be applied to all fixed installed remote facilities (eg,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dustrial machinery facilities, etc.).

한편,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예; 교량)(2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이미지센서(202)에 의해 모니터링 감시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가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 경우, 제 2 분석 프로세서(403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stores raw or source data monitored and monitored by the image sensor 202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eg, bridge) 200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In this case, the second analysis processor 403b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 2 분석 프로세서(403b)는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상기 공유메모리(60) 또는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한 후 이를 상기 전송 프로세서(401)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econd analysis processor 403b compares the raw or original data with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shared memory 60 or the host unit 10 to analy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After that, it is configured to provide it to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transmission processor 401.

일예로,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202)가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 중에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은 표준자 시트(S1)가 부착된 표준척도가 되는 구조물의 특정부위를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촬영한 후 이를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전송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내의 데이터 처리부(400)에 포함되는 제 2 분석 프로세서(403b)는 촬영 이미지의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각 픽셀당 거리를 산출한 후 이를 기준데이터로서 공유메로리(60)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호스트부(10)가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하게 된다.As an example, the image sensor 202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200 is a standard scale to which a standard sheet S1 as shown in FIG. 6 is attached among the remote facilities 200 is specified. When the part is photographed as shown in FIG. 7 and then transmitted to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the second analysis processor 403b included in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is configured to After calculating the distance for each pixel using the pixel information, it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as reference data, and / or the host unit 10 transmits it to the cloud server 300.

이후,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모니터링 감시가 이루어져, 상기 이미지 센서(202)가 원격지 시설물들(200) 중에서 지정된 구조물의 특정부위를 촬영한 후 이를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전송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포함되는 데이터 처리부(400)의 제 2 분석 프로세서(403b)는 상기 촬영 이미지 정보를 상기 공유메로리(60)에 저장시키는 한편, 상기 공유메모리(60)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제공받는 표준척도가 되는 기준데이터 이미지의 각 픽셀당 거리와 모니터링 감시를 통해 현재 촬영이 이루어진 이미지의 각 픽셀당 거리를 비교하게 되고, 그 비교결과 편차 발생 여부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값, 즉 특정 구조물이 정상범위내의 위치 또는 정상범위를 벗어난 상태로서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였는지 등의 분석 결과값을 전송프로세서(401)를 통해 호스트부(10)에 제공하고, 이에따라 상기 호스트부(10)는 상기와 같은 분석값만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monitoring and monitoring of the remote facilities 200 are performed in a time-lapsed state, and then the image sensor 202 photographs a specific part of the designated structure among the remote facilities 200 and then sends it to the gateway terminal device ( Upon transmission to A), the second analysis processor 403b of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included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in the shared memory 60, while the shared memory ( 60) The distance for each pixel of the reference data image that is pre-stored in the standard data image that is pre-stored or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host unit 10, and each pixel of the image currently taken through monitoring monitoring The distances are compared,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nalyzed after occurrence of deviation, that is, the specific structure is out of the normal range or position It provides an analysis result value, such as whether structural stability is not secured in an egg state, to the host unit 10 through the transmission processor 401, and accordingly, the host unit 10 only analyzes the above-described analysis value to the cloud server ( 300).

이에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202)의 모든 촬영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모니터링 감시를 위해 반드시 필요로 하는 정보로서,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특정 구조물에 대한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 분석값만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클라우드 서버(200)가 별도의 분석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를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효율적으로 원격 관제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loud server 300 does not receive and store all of the photographing data of the image sensor 202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200, but as necessary information for monitoring and monitoring, the remote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store only the analytical value of whether or not there is a deviation in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200, which is the cloud server 200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analysis process, the remote facilities 200 through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and controlled remotely.

한편,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진동 가속도 센서(203)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들이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 경우, 제 1,2,3 연산프로세서(404a)(404b)(404c), 제 3,4 변환프로세서(402c)(402d), 제 3 분석프로세서(403c)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when the raw or source data monitored by the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203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y 200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the first, It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cond and third arithmetic processors 404a, 404b, 404c, a third and fourth conversion processor 402c, 402d, and a third analysis processor 403c.

상기 제 1 연산프로세서(404a)는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되는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평균의 제곱값을 연산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연산 프로세서(404b)는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제곱의 평균값을 연산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first operation processor 404a is to calculate a mean square value for the raw or original data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and the second operation processor 404b is for the raw or original data. It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average value of the squares.

상기 제 3 연산프로세서(404c)는 상기 제 1 연산 프로세서(404a)에 의해 연산되는 평균의 제곱값과 상기 제 2 연산 프로세서(404b)에 의해 연산되는 제곱의 평균값으로부터 분산값을 연산하여 가속도를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제 3 변환프로세서(402c)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third calculation processor 404c measures acceleration by calculating a variance value from a mean square value calculated by the first calculation processor 404a and a mean value calculated by the second calculation processor 404b. After that, it is configured to provide it to the third conversion processor 402c.

상기 제 3 변환 프로세서(402c)는 상기 제 3 연산 프로세서(404c)에 의해 측정되는 가속도를 뉴마크 베타(newmark beta)법으로 수치 적분하여 속도로 변환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고, 상기 제 4 변환 프로세서(402d)는 상기 제 3 변환 프로세서(402c)에 의해 변환된 속도를 뉴마크 베타법으로 수치 적분하여 변위로 변환시킨 후 이를 상기 제 4 분석 프로세서(403c)에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third conversion processor 402c is configured to numerically integrate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third calculation processor 404c by a newmark beta method to convert it into a speed, and the fourth conversion processor 402d is configured to numerically integrate the speed converted by the third conversion processor 402c using the Newmark beta method to convert it to displacement, and then provide it to the fourth analysis processor 403c.

상기 제 3 분석 프로세서(403c)는 상기 제 4 변환 프로세서(402d)에 의해 변환된 변위를 상기 공유메모리(60) 또는 상기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값을 전송프로세서(401)와 호스트부(1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third analysis processor 403c and the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shared memory 60 or the host unit 10 and the displacement converted by the fourth conversion processor 402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transmission processor 401 and the host unit 10.

즉,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설치되는 상기 진동 가속도 센서(203)는 구조물들의 진동을 감시한 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제공하여 공유메모리(60)에 저장시키는 것이고,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포함되는 데이터 처리부(400)는 모니터링 감시를 통해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되는 진동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값만을 상기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8, the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203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200 monitors vibrations of structures and converts them into electrical signals to provide them to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The data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included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nalyzes raw or source data of vibration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through monitoring and monitoring. Only the analysis result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host unit 10.

이에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별도의 분석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를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효율적으로 원격 관제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loud server 300 is capable of efficiently remotely controlling and controlling remote facilities 200 through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analysis process.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모든 모니터링 감시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이를 가공하여 원격 관제 및 제어에 필요롤 하는 분석 결과값만을 전송하게 되므로,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의 원격 관제와 제어가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transmit raw or source data of all monitoring monitoring for remote facilities 200 to the cloud server 300, but processes it for remote control and control. Since only necessary analysis results are transmitted, remote control and control of the cloud server 300 for the remote facilities 200 can be efficiently operated.

상기 모니터링 처리부(7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원격 모니터링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 원시 또는 원천의 모니터링 감시 데이터 또는 분석이 이루어진 결과값을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70 is configured to provide monitoring or monitoring data or analysis results of raw or raw data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according to the remote monitoring request signal of the client terminal 100.

즉, 상기 모니터링 처리부(70)는, 운영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연계 프로세스를 가지는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접속시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되는 원격지 시설물들(200)별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는 물론 분석 결과값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제공하는 한편, 클라우드 서버(300)와 호스트부(10) 사이의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시설물들(200)간의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시설물들(200)간의 타임아웃(TIMEOUT) 실시간 설정 정보, 시설물들(200)별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및 포인트 정보 표출 기능, 그리고 시설물들(200)에 대한 그룹단위 또는 개별단위의 통신량 모니터링 정보와 그룹별/기기별 통신속도를 모니터링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at is,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70 has a user linkage process for operating status monitoring, and when the client terminal 100 accesses raw or source data for each remote facility 200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Of course, while providing the analysis result value to the client terminal 100, communication history monitoring information between the cloud server 300 and the host unit 10, the communication history betwee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nd the facilities 200 Monitoring information, timeout (TIMEOUT) real-time setting information betwee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nd facilities 200, communication history monitoring information and point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for each facility 200, and a group for facilities 200 It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client terminal 100 with the traffic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unit or individual unit and the information of monitoring the communication speed of each group / device.

여기서, 상기 포인트 정보는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감시, 제어, 계측, 설정이 이루어질때마다 정량적으로 부여되는 숫자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포인트 부여에 따라 시설물들(200)에 대한 정상의 작동상태 또는 불량한 상태 또는 정상적이지는 않지만 불량하지도 않은 상태 등을 경보레벨/경보상태/상한/하한 등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이렇게 구분된 등급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함인 것이다.Here, the point information refers to a number that is quantitatively assigned whenever monitoring, control, measurement, and setting of remote facilities 200 is performed, and 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200 according to these points is given.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a state or a bad state or a state that is not normal but not bad is classified as an alarm level / alarm state / upper limit / lower limit, and determines whether an alarm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lass.

상기 단말 연계부(80)는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P1,P2,P3,P4)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P4)에 인접하는 표준 프로토콜 기반(예; TCP/IP)의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가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으로,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와의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연계된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와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terminal linkage unit 80 is a standard protocol-based (eg, TCP / IP) gateway gateway device adjacen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ccess ports (P1, P2, P3, P4). A1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is configure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other adjacent gateway terminal devices A10 while having a process for linking with other adjacent gateway terminal devices A10.

상기 이벤트 처리부(90)는 상기 공유메모리(60)의 공유를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운영상태를 감시하면서 이상신호 발생시 이벤트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시키면서, 상기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달하거나, 클라이언트 연계부(2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event processing unit 90 monitors the operating status of remote facilities 200 through the sharing of the shared memory 60, generates an event signal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and stores it in the shared memory 60, It is configured to be delivered to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host unit 10 or to the client terminal 100 through the client connection unit 2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는 첨부된 도 1 및 도 8에서와 같이, 복수의 접속포트(P1,P2,P3,P4)에 각각 클라우드 서버(300)와 클라이언트 단말(100) 및 원격지 시설물들(200),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를 접속하여둔다.As described above,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IoT-based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ccess ports P1, P2, and P3 as shown in FIGS. By connecting the cloud server 300, the client terminal 100 and the remote facilities 200, and another gateway terminal device A10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to P4), Put it.

그러면,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작동에 따른 모니터링 감시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들은 음파센서(201), 이미지센서(202), 진동 가속도 센서(203) 등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감시부에 의해 측정되고, 이렇게 측정된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들은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내에서 시설물 연계부(30)에 의해 관리되는 통신경로 처리부(40)를 통해 경로가 지정되어 수집된 후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다.Then, raw or source data of monitoring monitor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facilities 200 are measured by a monitoring monitoring unit including a sound wave sensor 201, an image sensor 202, a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203, and the like. , The measured raw or source data is collected by being rou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40 managed by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30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nd then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do.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포함되는 데이터 처리부(400)는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된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모니터링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비교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included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compares and analyzes raw or source data for monitoring the remote facilities 200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with comparative data. Is derived.

그러면,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내의 호스트부(10)에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호스트부(1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에 의해 도출된 분석 결과값을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달하게 되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분석 결과값을 통해 별도의 분석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통합 관제하고 그 통합 관제로부터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Then, since the cloud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host unit 10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the host unit 10 analyzes the analysis result value deriv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from the cloud server ( 300), the cloud server 300 can control the remote facilities 200 through the analysis result value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analysis process, an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to the remote facilities 200 For remote control commands.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발생하는 제어명령이 호스트부(10)에 전달시, 상기 호스트부(10)는 이를 공유메모리(60)를 통해 시설물 연계부(30) 및/또는 클라이언트 연계부(20)에 전달하게 되면서, 상기 시설물 연계부(30)와 이에 의해 관리되는 통신경로 처리부(4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가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직접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간접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when a control command generated from the cloud server 300 is transmitted to the host unit 10, the host unit 10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30 and / or the client connection unit through the shared memory 60 As it is delivered to (20), the cloud server 300 can directly and remotely control the remote facilities 200 through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30 and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40 managed thereby. , The cloud server 300 may indirectly remotely control remote facilities 200 through the client terminal 100.

한편,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의 접속포트(P2)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원격지에서 직접 시설물들(2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의해 원격지 시설물들(200)이 원격 제어되고 있을 때,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요청할 수도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lient terminal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P2 of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so that the client terminal 100 can directly control the facilities 200 at a remote location. When the remote facilities 200 are remotely controlled by the cloud server 300,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n the remote facilities 200 controlled by the cloud server 300. You can also ask for.

이에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내에 마련되어 운영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연계 프로세스를 가지는 모니터링 처리부(7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접속포트(P2)에 접속시,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에 의해 이루어진 모니터링 감시의 분석 결과값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와 호스트부(10) 사이의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시설물들(200)간의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시설물들(200)간의 타임아웃(TIMEOUT) 실시간 설정 정보, 시설물들(200)별 통신내역 모니터링 정보 및 포인터 정보 표출 기능, 그리고 시설물들(200)에 대한 그룹단위 또는 개별단위의 통신량 모니터링 정보와 그룹단위와 개별단위별 통신속도를 모니터링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70 provided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nd having a user linkage process for operating status monitoring, when the client terminal 100 accesses the access port P2,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While providing the analysis result of monitoring monitoring made by the client terminal 100, communication history monitoring information between the cloud server 300 and the host unit 10, a gateway terminal device (A) and facilities ( Communication history monitoring information between 200), timeout (TIMEOUT) real-time setting information betwee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nd facilities 200, communication history monitoring information and pointer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for each facility 200, and facilities ( 200) for group or individual unit traffic monitoring information and group and individual unit communication speed monitoring information. It can be provided to the horse 1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마련되는 접속포트(P4)에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1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another gateway terminal device A10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 P4 provided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is adjacent to another gateway. It is possible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A10.

한편,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가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를 이용하여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직접적으로 통합 관제하고 원격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와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이용하여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간접적으로 통합 관제하고 원격 제어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 포함되는 이벤트 처리부(9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에 의해 이루어진 모니터링 감시의 분석 결과값을 통해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의 운영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loud server 300 directly controls and remotely controls remote facilities 200 using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or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nd the client terminal 100. When the remote facilities 200 are indirectly integrated and controlled remotely, the event processing unit 90 included i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displays the analysis result value of monitoring monitoring made by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perating status of the remote facilities 200.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400)에 이루어지는 모니터링 감시의 분석 결과값을 통해 상기 이벤트 처리부(90)에서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200)에 장애신호가 발생되고 있음을 파악시, 상기 이벤트 처리부(90)는 이벤트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공유메모리(60)에 저장시키는 한편, 상기 이벤트신호를 상기 호스트부(1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달하거나,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연계부(2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전달하게 되며, 이에따라 시설물들(200)에 대한 장애신호를 해소하기 위한 후속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event processing unit 90 determines that a failure signal is being generated in the remote facilities 200 through the analysis result value of monitoring monitoring performed in the data processing unit 400, the event processing unit 90 After generating an event signal and storing it in the shared memory 60, the ev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host unit 10, and / or the client connection unit 20 Through this, it is delivered to the client terminal 100, and accordingly, subsequent actions for resolving the obstacle signal for the facilities 200 can be quickly performed.

여기서, 상기 후속조치라 함은 원격제어를 통해 장애를 해소할 수 있으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제어명령을 재전송하는 것이고, 원격제어를 통해 치유할 수 없는 것이라면 현장에 시설물 관리자를 투입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Here, the follow-up action is to retransmit a control command from the cloud server 300 or the client terminal 100 if the failure can be resolved through remote control, and if it cannot be cured through remote control, go to the field. It means putting in the facility manager.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원격지 시설물들(200)을 통합 관제하면서 시설물들(200)의 작동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원격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 장애신호 발생시 그 장애신호에 따른 후속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의 공유메모리(60)에 저장되는 원시 또는 원천데이터들 중에서 클라우드 서버(300)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여, 게이트웨이 단말장치(A)에서 클라우드 서버(300)로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통신 속도 저하를 방지하고, 클라우드 서버(300)의 데이터 저장량을 감소시키면서 데이터 분석에 따른 시간을 절약하며, 데이터 분석 후 이루어지는 불필요한 데이터 삭제 작업을 없애면서 클라우드 서버(300)의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200 while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Internet-based remote facilities 200 and remotely controls them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of course, that when a failure signal occurs, subsequent actions according to the failure signal can be quickly performed, and of course, the cloud server 300 among the raw or original data stored in the shared memory 60 of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To prevent transmission of more data than necessary,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speed degradation due to data transmission from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to the cloud server 300, and data analysis while reducing the data storage amount of the cloud server 300 Saves time according to, and maintains the cloud server 300 while eliminating unnecessary data deletion after data analysis It can be run efficiently.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practiced by anyone who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Needless to say,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호스트부 20; 클라이언트 연계부
30; 시설물 연계부 40; 통신경로 처리부
50; 메인 중계처리부 60; 공유메모리
70; 모니터링 처리부 80; 단말 연계부
90; 이벤트 처리부 100; 클라이언트 단말
200; 원격지 시설물 201; 음파센서
202; 이미지센서 203; 진동 가속도 센서
300; 클라우드 서버 400; 데이터 처리부
401; 전송프로세서 402a; 제 1 변환프로세서
402b; 제 2 변환프로세서 402c; 제 3 변환프로세서
402d; 제 4 변환프로세서 403a; 제 1 분석프로세서
403b; 제 2 분석프로세서 403c; 제 3 분석프로세서
404a; 제 1 연산프로세서 404b; 제 2 연산프로세서
404c; 제 3 연산프로세서 S1; 표준자 시트
T10; 통신변환기
10; Host unit 20; Client connection
30; Facility link 40;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50; Main relay processing unit 60; Shared memory
70; Monitoring processing unit 80; Terminal connection department
90; Event processing unit 100; Client terminal
200; Remote Facility 201; Sound wave sensor
202; Image sensor 203;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300; Cloud server 400; Data processing unit
401; Transmission processor 402a; 1st conversion processor
402b; A second conversion processor 402c; 3rd conversion processor
402d; A fourth conversion processor 403a; 1st analysis processor
403b; A second analysis processor 403c; 3rd analysis processor
404a; A first operational processor 404b; Second operational processor
404c; A third computing processor S1; Standard ruler sheet
T10; Communication converter

Claims (13)

클라이언트 단말과, 모니터링 감시부를 가지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관리되는 원격지 시설물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복수의 접속포트;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호스트부;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운영소프트웨어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연계부;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과 연계되는 프로세스와 연계 경로(THREAD)를 관리하는 복수의 시설물 연계부; 복수의 상기 시설물 연계부에 각각 연결되면서 복수의 상기 접속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접속포트에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이 접속시, 상기 시설물 연계부에 의해 각각 관리되는 연계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경로 처리부; 상기 호스트부와 클라이언트 연계부 및 시설물 연계부,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를 로딩시키면서 동작과 그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통신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메인 중계 처리부; 및, 상기 호스트부와 클라이언트 연계부 및 시설물 연계부,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처리부와 상기 메인 중계처리부에 의해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공유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메모리와 상기 호스트부 사이에는 상기 모니터링 감시부로서 음파센서, 이미지 센서, 진동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모니터링 감시되어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에 대한 모니터링의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값만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연결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상기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비교대상의 기준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제공하되, 상기 접속포트에는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시, 이를 표준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방식으로 변환하는 통신변환기; 를 연결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음파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가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시간 축 기반의 바이너리값으로 변환시키는 제 1 변환 프로세서; 상기 시간 축 기반의 바이너리값을 고속 퓨리에 변환으로 주파수 기반의 음파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변환 프로세서; 상기 주파수 기반의 음파데이터를 주파수별로 구분하여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는 제 1 분석 프로세서; 및, 상기 제 1 분석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 프로세서;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가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는 제 2 분석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분석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 프로세서; 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진동 가속도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들이 상기 공유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평균의 제곱값을 연산하는 제 1 연산 프로세서; 상기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제곱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제 2 연산 프로세서; 상기 제 1 연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되는 평균의 제곱값과 상기 제 2 연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되는 제곱의 평균값으로부터 분산값을 연산하여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 3 연산 프로세서; 상기 제 3 연산 프로세서에 의해 측정되는 가속도를 뉴마크 베타법으로 수치 적분하여 속도로 변환시키는 제 3 변환 프로세서; 상기 제 3 변환 프로세서에 의해 변환된 속도를 뉴마크 베타법으로 수치 적분하여 변위로 변환시키는 제 4 변환 프로세서; 상기 제 4 변환 프로세서에 의해 변환된 변위를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는 제 3 분석 프로세서; 및, 상기 제 3 분석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호스트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 프로세서;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A client terminal, remote facilities having a monitoring monitoring unit and managed by the client terminal, and a cloud serve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plurality of access ports; A host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cloud server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ccess ports, and to have a process associated with the cloud server; A client connection unit that allows the client terminal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and has a process associated with operating software of the client terminal; A plurality of facility connection units managing a process and a connection path (THREAD) associated with the remote facilit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s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facility connection units and providing connection paths managed by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when the remote facilities ar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A main relay processing unit having a process of monitoring an operation and its operation state and manag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while loading the host unit, the client connection unit,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And a shared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host unit, the client connection unit and the facility connec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and the main relay processing unit. Including,
Between the shared memory and the host unit, the monitoring monitoring unit monitors and monitors by any one of a sound wave sensor, an image sensor, and a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 Connects a data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ccurrence of a deviation and transmits only the result of the analysis to the cloud server,
In the cloud server, the data processing unit stores reference data of a comparison target that enables analysis of whether or not the deviation occurs with respect to the raw or original data, and provides it to the data processing unit, wherein the connection port is a Modbus (Modbus ),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DDS (Data Distribution), and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A communication converter for converting in a manner; Connect it,
The data processing unit,
A first conversion processor that converts the raw or original data into binary values based on a time axis when raw or original data monitored by the sound wave sensor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A second conversion processor that converts the time-based binary value into frequency-based sound wave data by fast Fourier transform; A first analysis processor that classifies the frequency-based sound wave data for each frequency and compares the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with the host unit to analy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And a transmission processor transmitting a result value analyzed by the first analysis processor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host unit. Including,
When raw or raw data monitored by the image sensor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the raw or raw data is compared with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host unit. A second analysis processor that analyz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ccurrence of deviation; And a transmission processor transmitting a result value analyzed by the second analysis processor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host unit. It comprises,
A first computing processor that calculates an average squared value for the raw or raw data when raw or raw data monitored by the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mote facilities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A second computation processor that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squares for the raw or original data; A third computation processor that measures acceleration by calculating a variance value from an average square value computed by the first computation processor and an average square value computed by the second computation processor; A third conversion processor that converts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third calculation processor into a speed by numerically integrating it using a new mark beta method; A fourth conversion processor that converts the speed converted by the third conversion processor into a displacement by numerically integrating with a Newmark beta method; A third analysis processor that analyz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viation by comparing the displacement converted by the fourth conversion processor with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host unit; And a transmission processor transmitting a result value analyzed by the third analysis processor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host unit. A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an Internet of Things-based facility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는 원격지 시설물들의 구조물 마찰에 따른 음파신호이고, 상기 제 1 변환 프로세서는 상기 음파신호를 시간 축 기반의 바이너리값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w or source data monitored by the sound wave sensor and the reference data are sound wave signals according to the structure friction of remote facilities, and the first conversion processor converts the sound wave signals into binary values based on a time axis.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IoT-based facilities including data processing fun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는 원격지 시설물들의 특정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의 픽셀 정보이고, 상기 제 2 분석 프로세서는 상기 픽셀 정보들을 비교하여 편차 발생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w or source data monitored by the image sensor and the reference data are pixel information of an image of a specific structure of remote facilities, and the second analysis processor compares the pixel information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ccurrence of deviation.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IoT-based facilities with data processing fun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가속도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원시 또는 원천 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는 원격지 시설물들의 구조물의 진동신호들이고, 상기 제 1 연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신호들에 대한 평균의 제곱값을 연산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연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신호들에 대한 제곱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w or source data monitored by the vibratio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reference data are vibration signals of a structure of remote facilities, and the first calculation processor calculates an average square value for the vibration signals, and the second The computing processor is a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Internet-based facilities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average value of squares for the vibration signals is calcul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클라이언트 단말 및 클라우드 서버는 표준 프로토콜로 통신하되 암호화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상기 원격지 시설물들은 모드버스(Modbus),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DDS(Data Distribution),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포함하는 모든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nd the client terminal and the cloud server communicate with a standard protocol, but can apply encryption.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nd the remote facilities are any of all protocols including Modbus,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CoAP),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 Data Distribution (DDS), and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Internet of Things-based facilities including data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one protoc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의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를 가지면서 연계된 인접하는 다른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단말 연계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 terminal linking unit exchanging information with other neighboring gateway terminal devices connected while having a process for linking with other neighboring gateway terminal devices; A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an Internet of Things-based facility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에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모니터링 분석 결과값을 통해 원격지 시설물들에 이상신호 발생시 이벤트신호를 생성하는 이벤트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ateway terminal device,
An event 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an event signal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remote facilities through the monitoring analysis result value of the data processing unit; A gateway terminal device for remote integrated control and control of an Internet of Things-based facility includ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KR1020170175413A 2017-12-19 2017-12-19 Gateway Platform KR102104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13A KR102104559B1 (en) 2017-12-19 2017-12-19 Gateway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13A KR102104559B1 (en) 2017-12-19 2017-12-19 Gateway Platfor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39A Division KR102027431B1 (en) 2019-02-25 2019-02-25 Gateway Pla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52A KR20190074052A (en) 2019-06-27
KR102104559B1 true KR102104559B1 (en) 2020-04-24

Family

ID=6705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413A KR102104559B1 (en) 2017-12-19 2017-12-19 Gateway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5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150B1 (en) * 2021-09-15 2024-02-02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Method,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to provide data analysis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ing
CN114584582B (en) * 2022-02-24 2024-03-08 中汽创智科技有限公司 In-vehicle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vehicle-mounte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631B1 (en) * 2014-06-24 2016-03-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net of things system having a user access control function based status of service device
KR101782225B1 (en) * 2015-11-30 2017-09-2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KR101804886B1 (en) * 2017-01-03 2017-12-06 주식회사 펀진 Relay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13B1 (en) * 2012-09-11 2014-04-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displacement
KR102359268B1 (en) * 2015-02-16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Multiple Sensor Data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774236B1 (en) * 2015-05-22 2017-09-12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ext-awareness of u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631B1 (en) * 2014-06-24 2016-03-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net of things system having a user access control function based status of service device
KR101782225B1 (en) * 2015-11-30 2017-09-2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KR101804886B1 (en) * 2017-01-03 2017-12-06 주식회사 펀진 Relay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52A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43166B (en) Monitoring field device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Gedeon et al. What the fog? edge computing revisited: Promises, applications and future challenges
CN210605801U (en) Construction engineering project construction informatization supervision system
KR101815191B1 (en) Gateway Platform
US20190392328A1 (en) Cognitive computing systems and services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EP3611692A1 (en) Iot gateway for weakly connected settings
WO2019052266A1 (en)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server
US11281200B2 (en) Drone-enabled operator rounds
US20160366213A1 (en) Low latency and powe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between a sensor and server computer
US11587006B2 (en) Workflow deployment
KR101337619B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4025070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dustrial processes
KR102104559B1 (en) Gateway Platform
US201300137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12910746A (en) Home robot and intelligent home safety monitoring system intercommunicated with home equipment
KR102027431B1 (en) Gateway Platform
Kwon et al. IBFRAME: IoT data processing framework for intelligent building management
KR101780301B1 (en) Unification system of building automation using Virtual Reality
CN110968054A (en) Operator shift for enabling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8038732A1 (en) Low latency and powe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between a sensor and server computer
KR101924551B1 (en) Intergrated control apparatus of remoting for construction of facilities
CN115922736A (en) System for realizing remote control and remot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robot based on 5G network
Papulovskaya et al. Implementing IoT systems i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Bragarenco et al. Internet of things system for environmental map acquisition
CN112511656B (en) Intelligent security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5

Effective date: 202002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