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875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Link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Link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875B1
KR102103875B1 KR1020170128201A KR20170128201A KR102103875B1 KR 102103875 B1 KR102103875 B1 KR 102103875B1 KR 1020170128201 A KR1020170128201 A KR 1020170128201A KR 20170128201 A KR20170128201 A KR 20170128201A KR 102103875 B1 KR102103875 B1 KR 10210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interference
downlink configuration
layer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8132A (en
Inventor
최오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875B1/en
Publication of KR2019003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8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1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using small cells within macro cells, e.g. femto, pico or micro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TDD 기반의 링크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TDD 방식을 사용하는 국소 간의 간섭 측정하고, 국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층을 설정하고, 각 계층에 대한 상/하향링크 구성을 조정하는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TDD 기반의 링크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isclosed is a TDD-based link configu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and an apparatus therefor.
TDD-based link configuration method for measuring inter-local interference using a TDD scheme, setting a layer for minimizing inter-local interference, and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for adjusting up / downlink configuration for each layer, and It is about the device for.

Description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TDD 기반의 링크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Link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TDD-based link configu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and a device therefo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Link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본 실시예는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TDD 기반의 링크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TDD-based link configu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and an apparatus therefo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is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이동통신 시스템은 하향링크(DL: Down Link) 및 상향링크(UL: Up Link)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듀플렉스(Duplex) 기술을 사용한다. 듀플렉스 기술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s duplex technology to service downlink (DL) and uplink (UL). The duplex technolog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method and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FDD 방식의 경우, DL 용의 주파수 대역 및 UL용의 주파수 대역을 고정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의 용도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DL 트래픽이 증가하더라도 특별한 대응을 하기 어렵다. In the case of the FDD method, a frequency band for DL and a frequency band for UL are fixedly allocated and used. As the use of the frequency band cannot be changed,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special response even if DL traffic increases.

반면, TDD 방식의 경우,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시간에 따라 DL 또는 UL로 가변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 단위로 DL과 UL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DD method, the sam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DL or UL according to time, and DL and UL can be allocated and used in units of subframes within one frame.

이와 같이, TDD 방식은 DL 또는 UL 트래픽의 변화에 상응하는 자원할당 비율을 조정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 수용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TDD scheme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ffic acceptance of the network by adjusting the resource allocation ratio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DL or UL traffic.

TDD 방식은 기지국(Cell), 클러스터(Cluster) 등의 단위 별로 필요한 서비스 환경에 맞도록 상/하향링크 구성(DL, UL Configuration)의 설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지만,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간섭(Interference)의 영향으로 인해 사용하기 어렵다. In the TDD method, although the settings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DL, UL Configuration)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quired service environment for each unit such as a base station (Cell), a cluster (Cluster), in an actual network environment, interference (Interference) It is difficult to use due to the influence.

예를 들어, TDD 방식에서 소정의 단위마다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을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A 기지국(110)의 상향링크를 사용하는 동안 주변 기지국인 B 기지국(111)에서 하향링크를 사용한다면, B 기지국(111)의 하향링크 신호가 A 기지국(110)으로 수신되어 간섭으로 작용하며, A 기지국(110) 및 B 기지국(111)에 품질 열화가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일반적으로 TDD 방식에서는 소정의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지국들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동일하게 맞추어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하향링크 구성을 동일하게 맞추는 TDD 방식은 네트워크의 트래픽 수용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한다. For example, in the TDD scheme, when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are used for each predetermined unit, the base station B, which is a neighbor base station, is used while the uplink of the A base station 110 is used because the same frequency is used. If the downlink is used, the downlink signal of the B base station 111 is received by the A base station 110 to act as interference, and quality degradation occurs in the A base station 110 and the B base station 111. For this reason, in general, in the TDD schem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s of all base station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area are equally set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However, the TDD scheme that matche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equally serves as a factor that decreases the traffic acceptance efficiency of the network.

따라서, TDD 방식에서 셀(지역, 국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을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differently appl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while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cells (regions and localities) in the TDD scheme.

본 실시예는 TDD 방식을 사용하는 국소 간의 간섭 측정하고, 국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층을 설정하고, 각 계층에 대한 상/하향링크 구성을 조정하는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TDD 기반의 링크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This embodiment is a TDD-based link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which measures interference between stations using a TDD scheme, sets a layer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stations, and adjusts an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for each layer.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on and an apparatus therefor.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는 복수의 기지국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집한 무선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이 발생하는 대상 국소를 추출하는 국소 추출부; 및 상기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DL:UL Configuration)을 변경하고, 상기 대상 국소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 국소와 주변 국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주변 국소 중 일부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간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제어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n apparatus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using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a target local area where interference occurs using radio resour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Local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nd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some of the neighboring localities in order to change the UL / UL configuration (DL) of the target locality and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the target locality and the neighboring localities based on the target locality. It provides a cell control device comprising an interferenc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et value of.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셀 제어장치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는 복수의 기지국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집한 무선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이 발생하는 대상 국소를 추출하는 국소 추출과정; 및 상기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DL:UL Configuration)을 변경하고, 상기 대상 국소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 국소와 주변 국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주변 국소 중 일부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간섭 제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기반의 링크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method of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using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by a cell control device, interference is performed using radio resour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A local extraction process for extracting the target area where this occurs; And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some of the neighboring localities in order to change the UL / UL configuration (DL) of the target locality and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the target locality and the neighboring localities based on the target locality. It provides a TDD-based link configu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ference control process for adjusting the set value of.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셀 제어장치는 국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의 국소 각각에 서로 다른 상/하향링크 구성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ll control device has an effect of setting different up / down link configurations in each of a plurality of stations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the stations.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국소 각각에 서로 다른 상/하향링크 구성을 설정 가능함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수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ifferent up / down link configurations can be set for each of a plurality of local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raffic acceptance efficiency of the network and to utilize the network to satisfy various service requirements. hav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라 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레임 설정 및 계층을 설정에 대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셀 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e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A and 3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setting a frame and setting a layer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ell control device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 As described herei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실시예는 3GPP 표준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또는 Long Term Evolution System)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시스템, LTE-Advanced 프로 시스템뿐만 아니라,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예: 5 세대 시스템)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 기반한 차세대 이동/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volved Packet System or Long Term Evolution System) operating based on the 3GPP standard. For example, this embodiment is based on LTE (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system, LTE-Advanced Pro system, as well as 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g, 5th-generation system) or other communication system based next-generation mobile / wireless communication.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system.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110, 111, 112, 113, 114, 115, 116), 복수의 셀(120, 121, 122, 123, 124, 125, 126), 복수의 단말기(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통신 시스템(100)은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하는 복수의 셀이 공존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 111, 112, 113, 114, 115, 116, a plurality of cells 120, 121, 122, 123, 124, 125, 126, and a plurality of It includes a terminal (not shown),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represents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in which overlapping regions exis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셀이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셀 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인접한 셀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셀 간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간섭은 커질 수 밖에 없다.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셀들은 매크로셀(Macro Cell)일 수 있으나, 주파수 재사용을 통한 단위 면적당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피코셀, 펨토셀 등과 같은 형태의 스몰셀(Small Cell)일 수 있으며, 매크로셀과 소형셀이 섞여있는 것도 가능하다. As illustrated in FIG. 1, when a distance between cells is close 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coexist,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cells may occur, and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cells, the greater the interference. The plurality of cells illustrated in FIG. 1 may be macro cells, but may be small cells in the form of picocells, femtocells, etc. to increase transmission capacity per unit area through frequency reuse, and macros. It is also possible to mix cells and small cells.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셀이 밀집 또는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 셀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100)은 TDD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TDD 방식과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형태일 수 있다. TDD 방식의 경우,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시간에 따라 하향링크(DL) 또는 상향링크(UL)로 가변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 단위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emised o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densely or coexisting, and each cell adopts and uses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Here,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be in the form of a coexistence network in which a TDD scheme and a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coexist if a TDD scheme can be used. In the case of the TDD method, the sam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and used in a downlink (DL) or uplink (UL) according to time, and can be used by allocating downlink and uplink in subframe units within one frame. have.

TDD 방식은 기지국(Cell), 클러스터(Cluster) 등의 단위 별로 필요한 서비스 환경에 맞도록 상/하향링크 구성(DL, UL Configuration)의 설정을 다르게 설정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 수용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간섭(Interference)의 영향으로 인해 사용하기 어렵다. The TDD method can increase the traffic acceptance efficiency of the network by differently setting up / downlink configuration (DL, U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ervice environment required for each unit such as a base station (Cell) and a cluster (Cluster). In a real network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use due to interference.

도 1을 참고하면, 통신 시스템(100) 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지국(110, 111, 112, 113, 114, 115, 116) 각각이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을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가 혼재하기 때문에 예컨대, 제1 기지국(110)과 주변 기지국(111, 113, 115, 116) 간에는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when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 111, 112, 113, 114, 115, and 116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uses different up / down link configuration settings, an uplink signal and Since a downlink signal is mixed,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s 111, 113, 115, and 116, for example.

본 실시예에서는 4G 시스템 및 5G 시스템의 기술 발전과 더불어 관련된 서비스 기능의 다양한 요구사항이 반영할 수 있으며,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및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 다양한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Network Configuration) 지원이 가능한 측면에서 상/하향링크 구성을 효율적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In this embodiment, various requirements of related service functions may be reflected as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4G system and the 5G system can be reflected, and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and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and proposes a method to efficiently set up / downlink configuration in terms of network configuration support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services.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e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제어장치(200)는 정보 수집부(210), 커버리지 맵 생성부(220), 국소 추출부(230) 및 간섭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셀 제어장치(2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셀 제어장치(2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The cell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a coverage map generation unit 220, a local extraction unit 230, and an interference control unit 240. The cell control device 200 shown in FIG. 2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not all blocks shown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in another embodiment, some blocks included in the cell control device 200 are added. , Can be changed or deleted.

셀 제어장치(200)는 TDD 방식을 사용하는 국소(셀, 기지국, 클러스터 등)의 간섭 측정하고, 국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층 설정 및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을 제어한다. 셀 제어장치(200)는 LTE, LTE-Advanced 시스템, LTE-Advanced 프로 시스템, 5 세대 시스템 등과 연동하는 무선망 설계 및 분석 시스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크로셀 또는 소형셀 기지국에 구비되거나 외부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ell controller 200 measures interference of a local station (cell, base station, cluster, etc.) using a TDD scheme, and controls layer setting and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settings to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the local stations. The cell control device 200 may be a wireless network design and analysis system interworking with LTE, LTE-Advanced system, LTE-Advanced pro system, 5th generation system,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provided in a macro cell or small cell base station Or it can be implemented as an external server.

정보 수집부(210)는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한 무선자원 정보를 수집한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collects radio resourc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정보 수집부(210)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정보, 구성정보, 빔(Beam) 정보 등의 무선자원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위도, 경도, 고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구성정보는 기지국의 형상정보, 출력정보(ERP: Effective Radiated Power), 등가등방복사전력(EIRP: 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빔 정보는 안테나의 지향각, 빔 폭, 게인(ANT Gain), 빔 패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collects radio resource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beam information from each base station.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latitude, longitude, altitude, etc., an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es shape information, output information (ERP: Effective Radiated Power), and equivalent isotropic radiation of the base station. 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EIRP) information. In addition, the beam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n antenna's directivity angle, beam width, gain (ANT gain), and beam pattern.

정보 수집부(210)는 일정 주기 또는 기 설정된 시각마다 각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자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셀 제어장치(200)의 요청에 따른 응답신호로 무선자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may receive radio re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base station at a predetermined period or at a predetermined ti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adio resource information is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ell control device 200. Can be obtained.

커버리지 맵 생성부(22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집한 무선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각 구소별 커버리지 맵(Coverage Map)을 생성한다.The coverage map generation unit 220 generates a coverage map for each district based on radio resour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base station.

커버리지 맵 생성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국소별 커버리지 맵을 생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지국별 커버리지 맵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verage map generation unit 220 may generate a coverage map for each local area including at least one base st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verage map for each base station.

커버리지 맵 생성부(220)는 국소 간의 간섭을 판단하기 위해 커버리지 맵을 생성하며, 생성된 커버리지 맵은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무선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최신 상태로 유지 즉,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The coverage map generation unit 220 generates a coverage map to determine interference between the stations, and the generated coverage map may be kept up to date using the radio resource information periodically collected, that is, continuously updated.

국소 추출부(230)는 커버리지 맵을 이용하여 국소 간의 간섭을 측정하고, 간섭 발생으로 인해 상/하향링크 구성(DL:UL Configuration)을 변경할 대상 국소를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국소 추출부(230)는 커버리지 맵을 기반으로 셀 간의 간섭이 기 설정된 간섭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측정된 국소들을 도출하여 국소 리스트를 생성하고, 국소 리스트 중 상/하향링크 구성(DL:UL Configuration)을 변경할 대상 국소를 선정한다. 여기서, 국소 추출부(230)는 국소 리스트 중 간섭 측정치가 가장 높은 국소를 대상 국소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local extraction unit 230 measures interference between the locals using the coverage map, and selects target locals to change the UL / DL configuration due to the interference. Specifically, the local extracting unit 230 generates a local list by deriving locals measured as interferences between cells based on a coverage map that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interference threshold, and constructs an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from a local list (DL: UL Configuration) ) Select the target area to be changed. Here, the local extraction unit 230 is preferably selected as the target locality of the locality list having the highest interference measurement among the local lis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국소 추출부(230)는 셀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국소 간의 간섭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간섭 임계치를 기준으로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국소 추출부(230)는 측정된 간섭 측정치와 기 설정된 간섭 임계치를 비교하여 간섭 임계치를 초과하는 국소를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대상 국소로 선정한다. 여기서, 국소 추출부(230)는 국소 간의 간섭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상향링크의 간섭 및 하향링크의 간섭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에 대한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소 추출부(230)는 국소 간의 하향링크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간섭의 측정은 각 셀마다 고유의 패턴을 갖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셀들 중 하나의 셀이 파일럿 신호를 나머지 셀들로 전송하면, 나머지 셀들에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한 셀과의 간섭을 측정하는 방식일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측정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The local extracting unit 230 measures interference between localities in which cell coverage overlaps, and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locality based on a preset interference threshold. That is, the local extraction unit 230 compares the measured interference measurement value with a preset interference threshold and selects a local area that exceeds the interference threshold as a target local area for changing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Here, the local extraction unit 230 may measure interference between at least one of uplink interference and downlink interference in measuring interference between local stations. For example, the local extraction unit 230 may measure downlink interference between the stations. Here, the measurement of downlink interference may use a pilot signal having a unique pattern for each cell, and when one cell among the plurality of cells transmits the pilot signal to the remaining cells, the cell transmitting the pilot signal from the remaining cells It may be a method of measuring the interference of, and various other measurement methods may be applied.

간섭 제어부(240)는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을 변경하고, 대상 국소를 기준으로 주변 국소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변 국소들에 대한 상/하향링크 구성을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간섭 제어부(240)는 간섭 측정부(242), 계층 설정부(244) 및 링크 구성 설정부(246)를 포함한다. The interference control unit 240 changes the setting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station, and adjust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neighboring stations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neighboring station based on the target station. The interference control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terference measurement unit 242, a layer setting unit 244, and a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246.

간섭 제어부(240)는 추출된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한 후 국소 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 변경은 링크 구성 설정부(246)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 가정하여 국소 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interference control unit 240 performs an operation for minimizing inter-local interference after changing the up / down link configuration of the extracted target local. Her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change of the target locality may be performed by the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246,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suming that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locality is change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ocal areas is minimized. It may also perform an operation for.

간섭 측정부(242)는 상/하향링크 구성이 변경된 대상 국소를 기준으로 대상 국소와 주변 국소 간의 간섭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간섭이 발생하는 주변 국소들을 추출한다. The interference measurement unit 242 checks whether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target station and the neighboring stations based on the target station wher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s changed, and extracts neighboring stations where interference occurs.

간섭 측정부(242)는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과 주변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비교하여 대상 국소 및 주변 국소 간에 기 설정된 간섭 임계치 이상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는 주변 국소를 추출한다. 여기서, 간섭이 발생하는 주변 국소는 복수 개의 국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셀 또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ference measurement unit 242 compare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local area with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surrounding local area, and detects the surrounding local area in which interference occurs when interference exceeds a predetermined interference threshold between the target local area and the surrounding local area. To extract. Here, the surrounding local area where the interference occu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al area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ells or a base station.

한편, 간섭이 발생하는 주변 국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간섭 측정부(242)는 상/하향링크 구성이 변경된 대상 국소 및 기존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갖는 주변 국소의 설정이 유지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urrounding local area where interference occurs, the interference measurement unit 242 maintains the setting of the target local area wher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s changed and the surrounding local area having the existing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계층 설정부(244)는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 변경에 따라 주변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계층 설정정보를 도출한다. 여기서, 계층 설정정보는 대상 국소와 주변 국소 간의 계층 개수, 각 계층의 링크구성 설정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ierarchical setting unit 244 derives hierarchical setting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neighboring topic according to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change of the target locality. Here, the layer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layers between the target station and the neighboring stations, a link configuration setting value of each layer, and the like.

계층 설정부(244)는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 및 주변 국소들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확인하고, 대상 국소 및 주변 국소 사이의 범위 내에서 상/하향링크 구성을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계층마다 적용할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이 3(하향링크) : 1(상향링크)이고, 주변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이 1(하향링크) : 1(상향링크)인 경우, 계층 설정부(244)는 대상 국소와 주변 국소 간에 하나의 계층을 생성하고, 해당 계층의 상/하향링크 구성은 2(하향링크) : 1(상향링크)일 수 있다. The layer setting unit 244 check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station and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neighboring stations, and classifie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nto at least one layer within a range between the target station and the neighboring stations. Then, the set value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to be applied to each layer is calculated. For example, if the target local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s 3 (downlink): 1 (uplink), and the surrounding local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s 1 (downlink): 1 (uplink), the layer The setting unit 244 creates one layer between the target station and the neighboring stations, and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corresponding layer may be 2 (downlink): 1 (uplink).

상/하향링크 구성은 복수의 국소 각각에 대해 별도로 설정된 상/하향링크의 비율일 수 있으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상/하향링크 구성(conf.0 내지 conf. 6) 중 하나일 수 있다. 상/하향링크 구성은 [표 1]과 같이 3GPP LTE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GPP 5G NR(New Radio) 등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 기반의 Configuration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may be a ratio of the uplink / downlink separately set for each of a plurality of localities, but may be one of the preset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s (conf.0 to conf.6) as described in [Table 1]. Can b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based on 3GPP LTE as shown in [Table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onfiguration configuration based o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3GPP 5G NR (New Radio) may also be applied.

Subframe n:Subframe n: 00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conf. 0conf. 0 DD SS UU UU UU DD SS UU UU UU conf. 1conf. One DD SS UU UU DD DD SS UU UU DD conf. 2conf. 2 DD SS UU DD DD DD SS UU DD DD conf. 3conf. 3 DD SS UU UU UU DD DD DD DD DD conf. 4conf. 4 DD SS UU UU DD DD DD DD DD DD conf. 5conf. 5 DD SS UU DD DD DD DD DD DD DD conf. 6conf. 6 DD SS UU UU UU DD SS SS UU DD

[표 1]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S'는 스위칭 포인트(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 GP(Guard Period) + UpPTS(Uplink Pliot Time Slot))를 의미한다.In [Table 1], 'D' is a downlink subframe, 'U' is an uplink subframe, and 'S' is a switching point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 GP (Guard Period) + UpPTS (Uplink Pliot Time Slot) )).

링크 구성 설정부(246)는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한다. 링크 구성 설정부(246)는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설정값을 대상 국소로 전송하여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한다. The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246 changes the up / down 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local area. The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246 calculates a set value for changing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station,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set value to the target station to chang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station.

한편, 링크 구성 설정부(246)는 대상 국소 및 주변 국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성된 계층에 대한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값을 적용한다. 링크 구성 설정부(246)는 대상 국소를 기준으로 계층 설정정보에 따라 주변 국소 중 일부 국소를 포함하는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계층 설정부(244)에서 산출된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값을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246 applies the setting values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for the generated layer to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the target local and neighboring locals. The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246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calculated by the layer setting unit 244 in at least one base station included in a layer including some of the neighboring localities according to the layer se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target locality Send the set value.

링크 구성 설정부(246)는 계층에 대한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한 후 추가로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추가 간섭 측정신호를 간섭 측정부(242)로 전송하여 간섭 영향이 발생 가능한 국소들을 추가로 검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추가로 검출되는 국소는 상/하향링크 구성이 변경된 계층을 기준으로 주변 국소의 간섭을 측정한 결과에 따른 국소일 수 있다. After changing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for the layer, the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246 additionally transmits additional interference measurement signals for measuring interference to the interference measurement unit 242 to additionally generate local areas where interference may occur. Try to detect. Here, the additionally detected locality may be localized according to a result of measuring the interference of surrounding localities based on the layer in which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s changed.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라 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레임 설정 및 계층을 설정에 대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3A and 3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setting a frame and setting a layer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a의 (a)를 참조하면, 셀 제어장치(200)는 A 지역(또는 A 기지국)과 A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상/하향링크 구성(DL:UL Configuration)을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셀 제어장치(200)는 A 지역(A 기지국)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3 : 1 비율로 설정하고, A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기존에 설정된 상/하향링크 구성인 1 : 1 비율을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도 3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지역 및 A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간 Time 1/4 영역에서 간섭이 발생한다. Referring to (a) of FIG. 3A, the cell control device 200 sets up / downlink configuration (DL: UL configuration) differently from the region A (or the base station A) and the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A. For example, the cell controller 200 set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area A (base station A) at a ratio of 3: 1, and the rest of the area except for the area A is the existing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1: Maintain 1 ratio. In this case, as shown in (b) of FIG. 3A, interference occurs in a time 1/4 region between regions A and regions other than region A.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두 개의 기지국이 인접하여 간섭신호가 수신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하향링크 구성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여 인접한 기지국 간에 서로 다른 상/하향링크 구성을 설정할 수 없다. In a real network environment, when two base station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interference signal is received, interference occurs due to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so that different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s cannot be established between adjacent base stations.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제어장치(200)는 소정의 기지국(A 기지국)을 기준으로 간섭이 발생하는 위치의 주변 기지국을 추출한다. 여기서, 셀 제어장치(200)는 각 기지국별 구성정보, 빔 정보 등을 이용하여 주변 기지국에 간섭을 줄 수 있는 기지국 대상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정보는 기지국의 형상정보, 출력정보, 등가등방복사전력(EIRP)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빔 정보는 안테나의 지향각, 빔 폭, 게인(ANT Gain), 빔 패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ell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racts a neighboring base station at a location where interference occurs based on a predetermined base station (A base station). Here, the cell control device 200 may extract a base station target that can interfere with neighboring base stations us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each base station, beam information, and the like. Her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hape information, output information, equivalent isotropic radiation power (EIRP)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beam information, such as an antenna's directivity angle, beam width, gain (ANT gain), beam pattern, etc. Information may be included.

소정의 기지국(A 기지국)을 기준으로 간섭이 발생하는 위치의 주변 기지국은 도 3b의 (b)에서 B 지역에 위치한 기지국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섭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 B 지역의 기지국들이 상/하향링크 구성을 1:1 비율을 사용하면 Time 1/4 영역인 25% 영역이 간섭영역이지만, B 지역의 기지국들에 대한 상/하향링크 구성을 2:1 비율로 조정하면 약 16.5% 영역이 간섭영역이어서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3b의 (b)에서 B 지역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함에 따라 A 지역, B 지역을 제외한 C 지역은 기존의 상/하향링크 구성인 1:1 비율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A 지역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A neighboring base station at a location where interference occurs based on a predetermined base station (A base station) may be a base station located in area B in FIG. As described above, if the base stations in region B, which are determined to cause interference, use the 1: 1 ratio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the 25% region, which is the time 1/4 region, is the interference region, but the base stations / base stations in region B When the downlink configuration is adjusted to a 2: 1 ratio, the region where interference occurs is reduced because about 16.5% of the region is an interference region. That is, as the up / downlink configuration of region B is changed in FIG. 3B (b), region A and region C except region B use the existing up / downlink configuration 1: 1 ratio while maintaining region A and region A. To reduce interference.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제어장치(200)의 동작을 도 3b의 (a)를 참고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기지국의 커버리지가 중첩된 TDD 방식 기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제어장치(200)는 간섭 영향 지역으로 선정된 A 영역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제1 타입으로 설정하고, A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다단 계층 구조로 상/하향링크 구성을 설정하여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제어장치(200)는 A 영역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제1 타입으로 설정하고, A 영역과 인접한 B 영역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제2 타입으로 설정하며, B 영역과 인접한 C 영역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제3 타입으로 설정하여 영역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타입의 상/하향링크 구성은 제1 타입의 상/하향링크 구성 및 제3 타입의 상/하향링크 구성 간의 범위에 포함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제어장치(200)는 A 영역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3:1 비율로 설정한 후 B 영역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2:1 비율로 설정하고, C 영역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1:1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cell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FIG. 3B (a). In a network environment based on a TDD scheme in which coverages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re overlapped, the cell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ts up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A region selected as the interference-affected region as the first type, Interference can be minimized by setting up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rest of the regions except the A region in a multi-level hierarchical structure. For example, the cell control device 200 sets the upper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A area to the first type, sets the upper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B area adjacent to the A area to the second type, and the B area and By setting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adjacent C regions to the third type, interference between regions can be minimized. Her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second type may be set to a value included in a range between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first type and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hird type. For example, the cell control device 200 sets the upper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A region to a 3: 1 ratio, and then sets the upper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B region to a 2: 1 ratio, and upper / lower C regions. The downlink configuration may be set at a 1: 1 ratio.

또한, 도 3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제어장치(200)는 B 영역을 B1 영역 및 B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B1 영역 및 B2 영역 각각은 서로 다른 비율의 상/하향링크 구성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3B, the cell control device 200 may divide the B region into the B1 region and the B2 region, and each of the B1 region and the B2 region has different ratios of up / down links. Can be set to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셀 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ell control device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셀 제어장치(200)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정보, 구성정보, 빔(Beam) 정보 등의 무선자원 정보를 수집한다(S410). 여기서, 위치정보는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위도, 경도, 고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구성정보는 기지국의 형상정보, 출력정보(ERP: Effective Radiated Power), 등가등방복사전력(EIRP: 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빔 정보는 안테나의 지향각, 빔 폭, 게인(ANT Gain), 빔 패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ell control device 200 collects radio resource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beam information from each base station (S410).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latitude, longitude, altitude, etc., an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es shape information, output information (ERP: Effective Radiated Power), and equivalent isotropic radiation of the base station. 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EIRP) information. In addition, the beam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n antenna's directivity angle, beam width, gain (ANT gain), and beam pattern.

셀 제어장치(200)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집한 무선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각 국소별 커버리지 맵을 생성하고(S420), 커버리지 맵을 이용하여 국소 간의 간섭을 측정한다(S430). 여기서, 셀 제어장치(200)는 셀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영역에 대한 셀 간의 간섭 정도를 측정한다. The cell control device 200 generates a coverage map for each locality based on radio resour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base station (S420), and measures interference between the locales using the coverage map (S430). Here, the cell control device 200 measures the degree of interference between cells in an area where cell coverage overlaps.

셀 제어장치(200)는 단계 S42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할 대상 국소를 선정한다(S432). 셀 제어장치(200)는 셀 간의 간섭이 기 설정된 간섭 임계치 이상인 국소들을 도출하여 국소 리스트를 생성하고, 국소 리스트 중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할 대상 국소를 선정한다. The cell control device 200 selects a target local to change the up / down link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step S420 (S432). The cell control apparatus 200 generates a local list by deriving local stations whose interference between cell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interference threshold, and selects a target local to chang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from the local list.

셀 제어장치(200)는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하고, 상/하향링크 구성이 변경된 대상 국소를 기준으로 대상 국소와 주변 국소 간의 간섭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440). 여기서, 셀 제어장치(200)는 상/하향링크 구성이 변경된 대상 국소를 기준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된 것으로 가정하여 간섭이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주변 국소를 추출할 수도 있다. The cell control device 200 change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station, and checks whether interference between the target station and the neighboring stations occurs based on the target station wher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s changed (S440). Here, the cell control device 200 is described as operating based on the target locality wher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s ch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suming that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locality is changed, interference occurs. It is also possible to extract surrounding areas that are expected to be.

단계 S440의 확인 결과, 대상 국소 및 주변 국소 간에 기 설정된 간섭 임계치 이상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S442), 셀 제어장치(200)는 변경된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된 상태로 유지시킨다(S444).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440, when there is no interference greater than a preset interference threshold between the target station and the neighboring stations (S442), the cell controller 200 maintains the changed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station in a changed state ( S444).

한편, 단계 S440의 확인 결과, 대상 국소 및 주변 국소 간에 기 설정된 간섭 임계치 이상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S442), 셀 제어장치(200)는 간섭이 발생하는 주변 국소를 추출한다(S446). 여기서, 간섭이 발생하는 주변 국소는 복수 개의 국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셀 또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440, when the interference occurs above the predetermined interference threshold between the target local and the surrounding local (S442), the cell control device 200 extracts the surrounding local where the interference occurs (S446). Here, the surrounding local area where the interference occu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al area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ells or a base station.

셀 제어장치(200)는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 변경에 따라 주변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계층 설정정보를 도출한다(S450). 여기서, 계층 설정정보는 대상 국소와 주변 국소 간의 계층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ell control device 200 derives layer setting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surrounding local area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local area (S450). Here, the layer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layers between the target station and the neighboring stations.

셀 제어장치(200)는 계층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각 계층별 상/하향링크 구성 설정값을 산출하고, 각 계층에 해당하는 국소에 상/하향링크 구성 설정값을 적용한다(S460). 여기서, 각 계층에 해당하는 국소는 주변 국소 중 일부 국소일 수 있다. The cell control device 200 calculate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settings for each layer based on the layer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applie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settings to the local area corresponding to each layer (S460). Here, the local area corresponding to each layer may be a partial local area.

셀 제어장치(200)는 대상 국소 또는 주변 국소 중 추가로 간섭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S470), 단계 S430 내지 단계 S470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cell control apparatus 200 may repeatedly perform steps S430 to S470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additional interference occurs among the target local or the local local (S470).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7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7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FIG. 4 describes that steps S410 to S470 are sequentially executed,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belongs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order described in FIG. 4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r one or more steps of steps S410 to S470 may be executed in parallel,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applied, so FIG. 4 is a time series sequence. It is not limited.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제어장치(200)의 동작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제어장치(200)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cell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in FIG. 4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the cell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corded,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such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may b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적용되어, 복수의 국소 각각에 서로 다른 상/하향링크 구성을 설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의 트래픽 수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eld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 is possible to set up / downlink configurations different for each of a plurality of locales, maximize traffic acceptance efficiency of a network, and satisfy various service requirements It is a useful invention to generate an effect that can utilize the network.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복수의 기지국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복수의 셀
200 : 셀 제어장치 210: 정보 수집부
220: 커버리지 맵 생성부 230: 국소 추출부
240: 간섭 제어부 242: 간섭 측정부
244: 계층 설정부 246: 링크 구성 설정부
110, 111, 112, 113, 114, 115, 116: multiple base stations
120, 121, 122, 123, 124, 125, 126: multiple cells
200: cell control unit 210: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coverage map generation unit 230: local extraction unit
240: interference control unit 242: interference measurement unit
244: layer setting unit 246: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Claims (9)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는 복수의 기지국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집한 무선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이 발생하는 대상 국소를 추출하는 국소 추출부;
상기 대상 국소와 주변 국소 간의 간섭을 측정하고, 간섭이 발생하는 상기 주변 국소를 추출하는 간섭 측정부;
상기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 및 상기 주변 국소들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생성하고, 상기 계층의 개수를 계층 설정정보로 도출하는 계층 설정부; 및
상기 계층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층에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값을 적용하는 링크 구성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셀 제어장치.
In the apparatus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using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A local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target local area where interference occurs using radio resour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 interferenc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interference between the target local area and the surrounding local area, and extracting the surrounding local area where interference occurs;
A layer setting unit that checks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station and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neighboring stations, generates at least one layer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and derives the number of layers as layer setting information ; And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that applies the setting value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to the at least one layer based on the layer setting information
Cel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측정부는,
상기 상/하향링크 구성이 변경된 대상 국소와 상기 주변 국소 간에 기 설정된 간섭 임계치 이상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는 상기 주변 국소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erence measurement unit,
A cell control device for extracting the surrounding local area where interference occurs when an interference greater than a preset interference threshold occurs between the target local area wher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s changed and the peripheral local are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설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계층 각각에 적용하기 위한 상/하향링크 구성 설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상/하향링크 구성 설정값은 상기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 설정값 및 상기 주변 국소들의 상/하향링크 구성 설정값 사이의 범위 내에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 setting unit,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settings for apply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layer are calculated, and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settings include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settings of the target station and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neighboring stations. A cel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within a range between set valu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설정부는,
상기 계층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주변 국소 중 일부 국소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층에 산출된 상기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configuration setting unit,
And applying the set value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calculated to the at least one layer including some of the surrounding localities according to the layer configur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제어장치는,
상기 대상 국소 및 상기 주변 국소에 대한 상/하향링크 구성의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층에 포함된 국소를 기준으로 간섭이 발생하는 주변 국소를 새롭게 검출 및 상/하향링크 구성을 조정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ell control device,
When the adjustment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for the target locality and the neighboring localization is completed, the neighboring local area having interference based on the locality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layer is newly detected and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is adjusted. Cel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repeated.
셀 제어장치가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TDD(Time Division Duplex) 기반의 링크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집한 무선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이 발생하는 대상 국소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대상 국소와 주변 국소 간의 간섭을 측정하고, 간섭이 발생하는 주변 국소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대상 국소의 상/하향링크 구성 및 상기 주변 국소들의 상/하향링크 구성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생성하고, 상기 계층의 개수를 계층 설정정보로 도출하는 과정; 및
상기 계층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층에 상/하향링크 구성의 설정값을 적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기반의 링크 구성 방법.
In a method for configuring a cell division apparatus based on a time division duplex (TDD) link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Extracting a target local area where interference occurs using radio resour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Measur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target local area and the surrounding local area, and extracting the surrounding local area where the interference occurs;
Checking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target station and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surrounding stations, generating at least one lay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and deriving the number of layers as layer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Process of applying setting values of the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to the at least one layer based on the layer setting information
TDD-based link configuration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170128201A 2017-09-29 2017-09-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Link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KR1021038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201A KR102103875B1 (en) 2017-09-29 2017-09-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Link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201A KR102103875B1 (en) 2017-09-29 2017-09-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Link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32A KR20190038132A (en) 2019-04-08
KR102103875B1 true KR102103875B1 (en) 2020-05-29

Family

ID=6616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201A KR102103875B1 (en) 2017-09-29 2017-09-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Link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875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1002B2 (en) * 2011-12-19 2017-10-03 Lg Electronics Inc.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95034A1 (en) * 2011-12-22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185620B2 (en) * 2012-05-30 2015-11-10 Intel Corporation Adaptive UL-DL configurations in a TDD heterogeneous network
KR101664876B1 (en) * 2013-05-14 2016-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interference measurement for inter-cell interference mitigation in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32A (en)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52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beam forming-based communication system
CN102215534B (en) Sub-frame configuration coordination approach and device thereof between a kind of TDD cell
Ishii et al. A novel architecture for LTE-B: C-plane/U-plane split and phantom cell concept
JP4426117B2 (en) Channel assignment using improved estimates of path loss
CN102036295B (en) Method, system and equipment for determining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EP2580877B1 (en)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white space network
US5887262A (en) Smart antenna backwards compatibility in digital cellular systems
US7096032B2 (en) System and method using adaptive antennas to selectively reuse common physical channel timeslots for dedicated channels
US2022027254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6GHz BAND FREQUENCY COORDINATION
EP2107845A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beacon acquisition performance with time slot and antenna sector reuse
KR1019498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operative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97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emtocell base station
CN103369611A (en) A random access processing method, switch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2547728B (en) The method of spatial reuse frequency spectrum and device
EP3735013B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3493575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radio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EP25024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femto cell information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49207A1 (en) Beam Management in Multi-TRP Operation
WO2022067842A1 (en) Ue operations for beam management in multi-trp operation
CN100566444C (en) The method that the position of travelling carriage is determined
EP3806553A1 (en) Wireless device,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1038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Link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KR201400461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cell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69671A1 (en) Optimizing coverage and power usage in a network deploying an unlicensed band
KR20140043514A (en) An alalytic model for the optimal number of relay stations in two-hop relay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