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251B1 - IoT 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IoT 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251B1
KR102103251B1 KR1020190092798A KR20190092798A KR102103251B1 KR 102103251 B1 KR102103251 B1 KR 102103251B1 KR 1020190092798 A KR1020190092798 A KR 1020190092798A KR 20190092798 A KR20190092798 A KR 20190092798A KR 102103251 B1 KR102103251 B1 KR 102103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communication packet
data
iot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태형
안종율
Original Assignee
안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형 filed Critical 안태형
Priority to KR102019009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2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2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of things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which collects data of instrument from various instruments such as water level, water quality, salinity, air quality at various sites through a DI, PI, AI, LAN, and serial communication method, accumulates the data by sending the data to a cloud server at a fixed time or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data on separate mobiles and PCs, allowing users to remotely monitor field data quickly and conveniently anytime, anywhere, and allowing remote operation of various machines such as water gates, pumps, etc.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IoT 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IoT 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현장의 수위, 수질, 염도, 공기질 등 다양한 계측기로부터 계측기의 데이터를 DI, PI, AI, LAN, 시리얼 통신방식을 통해 수집하고, 정해진 시간 혹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누적시키고, 별도의 모바일 및 PC에 데이터를 표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빠르고 편리하게 현장 데이터를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수문, 펌프 등 다양한 기계를 원격 제어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embedded type monitor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he data of the instrument from various instruments such as water level, water quality, salinity, and air quality at various sites through DI, PI, AI, LAN, and serial communication methods. Collect, transmit data to a cloud server at a specified time or in real time, accumulate data, and display data on separate mobile and PC, allowing users to remotely monitor field data quickly and conveniently anytime, anywhere. It relates to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that enables remote control of various machines such as pumps.

일반적으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약어로 IoT)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In general, the Internet of Things (IoT for abbreviation) means a technology that connects to the Internet by embedding sensor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in various objects.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 각종 센서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된다. Here, objects are various embedded systems such as home appliances, mobile equipment, wearable computers, and various sensors.

사물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아이피를 가지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위해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Things connected to the Internet of Things must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with the only IP that can distinguish them, and sensors can be built in to acquire data from external environments.

모든 사물이 해킹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사물 인터넷의 발달과 보안의 발달은 함께 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Since all things can be targeted for hacking,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development of security are bound to go together.

이러한, 사물인터넷에 대한 조사 내용 중 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회사 가트너의 조사에 따르면 2009년까지 사물인터넷 기술을 사용하는 사물의 개수는 9억 개였으나 2020년까지 이 수가 260억 개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According to a survey by the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advisory company Gartner among the surveys on the Internet of Things, the number of objects using IoT technology was estimated to be 900 million by 2009, but this number will reach 26 billion by 2020.

이와 같이 많은 사물이 연결되면 인터넷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가 모이게 되는데, 이렇게 모인 데이터는 기존 기술로 분석하기 힘들 정도로 방대해진다. When many objects are connected in this way, a large amount of data is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collected data becomes vast enough to be difficult to analyze using existing technologies.

이것을 빅 데이터라고 부른다. This is called big data.

따라서, 빅 데이터를 분석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사물 인터넷의 등장에 따라 함께 대두되고 있다고 밝혔다.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necessity of technology to develop efficient algorithms for analyzing big data is emerging along with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그리고, 외국 시스코 시스템즈의 조사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 사물 인터넷이 14조 4천 달러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And, according to a survey by foreign Cisco systems, the Internet of Things is expected to generate $ 14.4 trillion in economic value for 10 years from 2013 to 2022.

이러한,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유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 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한다. The Internet of Things is an evolutionary step compared to the existing Internet or mobile Internet based on wired communication, and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take care of each other without human intervention and process information.

사물이 인간에 의존하지 않고 통신을 주고받는 점에서 기존의 유비쿼터스나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과 비슷하기도 하지만, 통신장비와 사람과의 통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이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It is similar to the existing ubiquitous or M2M (Machine to Machine) in that thing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out relying on humans, but it extends the concept of M2M, which aims primarily at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people, to the Interne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has evolved into the concept of interacting with all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as well as things.

이와 같은, 사물인터넷은 간략하게 만물 인터넷(IoE) > 사물 인터넷(IoT) > 사물 통신(M2M)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만물 인터넷은 특정 기업이 만들어낸 방식이고, 사물 인터넷은 인터넷의 영역으로 들어오는 방식이며, 사물 통신은 인터넷의 영역으로 들어오지는 못하는 방식을 의미한다.As such, the Internet of Things can be briefly expressed as Internet of Things (IoE)> Internet of Things (IoT)> Internet of Things (M2M), where the Internet of Things is a method created by a specific company, and the Internet of Things comes into the realm of the Internet It is a way, and the thing communication means the way that it cannot enter the realm of the Internet.

이러한 사물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한 기술적인 설정은 크게 사물신원확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축, 사물에 감각 부여, 컨트롤 가능성으로 나눌 수 있다.The technical settings for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identification of objects, establishment of a network capable of communication, imparting sensation to objects, and controllability.

그리고 사물 인터넷에 이용하는 각각의 개체는 다른 개체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신원이 필요하다. And each entity used in the Internet of Things needs an identity that allows other entities to identify themselves.

근거리에 위치한 사물의 신원을 나타내는 기술은 RFID기술이지만 좀 더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상에서 개별 사물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별 사물에 IP주소를 부여해야 한다. Although the technology for identifying the identity of an object located at a short distance is RFID technology, in order to confirm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object on a wider range of networks, an IP address must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object.

이에 따라 IP주소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였고 기존에 존재했던 32비트인 IPv4 체계로는 증가하는 사물들의 주소를 모두 할당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는 한계가 나타났다. As a result, demand for IP addresses has increased, and there has been a limitation that the existing 32-bit IPv4 system has difficulties in allocating addresses of increasing objects.

이로 인해 128 비트인 IPv6 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이다.As a result, the necessity of the 128-bit IPv6 system is emerging.

아울러,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사물들은 스스로 취합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 다른 사물과 교환, 취합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In addition, objects for network construction must be able to create new information by exchang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mselves with other objects as needed.

사물들 간의 일관된 정보전달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HTTP를 대체할 MQTTMQTT to replace HTTP to establish a consistent way of communicating between things

프로토콜이 제시되었고 OASIS(Advancing open standards for the information society)에서는 MQTT를 사물 인터넷의 표준 규약으로 사용하고 있다.A protocol has been proposed and MQTT is used as the standard protocol for the Internet of Things in the Advanced Open Standards for the Information Society (OASIS).

그리고, 산업 부문 측면에서 일 예로 공정을 분석하고 시설물을 모니터링하여 작업 효율과 안전을 제고한다. And, in terms of the industrial sector, as an example, the process is analyzed and facilities are monitored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safety.

생산, 가공, 유통부문에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접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유통체계를 확보한다. It improves productivity and secures safety distribution system by integrating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into production, processing, and distribution.

주변 생활제품에 사물 인터넷을 투입하여 고부가 서비스 제품을 생산한다.The Internet of Things is put into nearby living products to produce high value-added service products.

또한, 공공 부문 측면에서 일 예로 CCTV, 노약자 GPS 등의 사물 인터넷 정보를 사용해 재난이나 재해를 예방한다. Also, in the public sector, for example, CCTV and elderly Internet of Things (IoT) information such as GPS is used to prevent disasters or disasters.

대기 상태, 쓰레기양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환경오염을 최소화한다.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by receiving information such as air condition and amount of waste.

에너지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에너지관리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Increase energy management efficiency by receiving energy-related information.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 측정에 의한 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감지기의 자체적 측정 및 제어관리를 스스로 진단 및 판단하여 제어를 하지 못하고 중앙제어시스템의 제어와 통제에 의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감지하고 하는 측정 변수만을 측정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측정환경의 주변상황 판단이 불가능하며 이에 따른 위기 대응능력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by remot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not diagnose and judge the sensor's own measurement and control management by itself, and has limited problems due to the control and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system. By providing the function to measure the bay, it is impossible to judge the surroundings of the measurement environm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ability to respond to the crisis.

한편,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는 증폭기능을 포함하고 있거나 표준화된 전압과 전류의 신호를 만들어 줄 경우 이 신호를 아날로그 인풋(Analog Input)형태로 받아들인다. On the other hand, an embedded device accepts this signal in the form of an analog input when it contains an amplifier function or creates a standardized voltage and current signal.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가 받아들인 신호는 디지털(Digital)신호로 변환되어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의 컴퓨터 기능으로 품질 및 기계장치의 성능 등에 영향을 미치는 유효데이터를 생성하고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상위의 전산 시스템에 전달한다.The signal received by the embedded device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computer function of the embedded device generates valid data that affects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the machine, and analyzes the data according to the algorithm. Therefore,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computer system.

정보화에는 센서기술, 임베디드(Embedded Device)기술, 증폭 기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기술, 통신과 네트워크기술, 지능형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 센서 탑재기반의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기술 등이 필요하다.Informatization requires sensor technology, embedded device technology, amplification technology, protocol implement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and network technology, intelligent software development technology, and sensor-based embedded device technology.

이러한 정보화 기술을 통한 시너지는 다양한 형태로 정보화를 적용하는 대상과 정보화를 구축하는 기업에게 새로운 비즈니스(Business)의 기회를 제공한다. Synergy through such information technology provides new business opportunities to companies that apply informatization in various forms and companies that build informatization.

정보통신 기술은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기술이라기보다는 기존의 범용 정보통신기술을 정보화가 이루어져있지 않은 분야에 콘텐츠(Contents)로서 융합되는 기술을 말한다.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in which existing general-purpo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fused as contents in areas where information has not been made, rather than technologies for creating new ones.

센서탑재 기반의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를 통한 정보화 기술은 센서와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 및 관련 펌웨어(Firmware)를 통하여 정보통합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상품화,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의 상품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와 연계되는 정보통신 기술의 상품화, 압력과 온도 등 미세신호를 위한 증폭기술의 상품화 등 다양한 제품의 상품화를 가능하게 하여 새로운 비지니스(Business) 기회가 만들어진다The information technology through the sensor-based embedded device is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gateway for information integration through the sensor and the embedded device and related firmware,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embedded device, New business opportunities are created by enabling the commercialization of various products such as the commercia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connection with mobile device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amplifier technology for fine signals such as pressure and temperature.

그리고, 정보통신 솔루션(ICT Solution)은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nterface)등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기술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Information)기술을 말한다.In addition, the ICT Solution refers to information technology for a method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data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rface.

한편, 인터넷 단말기의 방식은 M2M(Merchine to Merchine) 장비와 1:1로 연동되어 모든 계측기의 정보를 취득하고 필요한 가공을 통하여 만들어진 정보를 임의의 스마트폰, PAD 등 모바일(mobile)장비를 통하여 그 내용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방식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Internet terminal is interlocked with M2M (Merchine to Merchine) equipment 1: 1 to acquire information of all measuring instruments, and the information created through the necessary processing through any smartphone, PAD, or other mobile device. It is a method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content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과 임베디드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임베디드 기반의 센서 자체에서 측정, 데이터 판단 및 진단, 제어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자나 이용자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거나 비정상적이거나 특정상황에 대해 관리자나 이용자가 대응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측정환경을 철저하게 감시함으로써 측정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an embedded-based monitoring system are proposed, and through this, an embedded or sensor-based measurement, data judgment and diagnosis, and control process can be exchanged in real time by an administrator or user, or abnorm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reduce the error in measurement by quickly managing the response procedure by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in a specific situation, and by thoroughly monitoring the measurement environment.

(선행문헌1) 한국등록번호 제10-1801033호(Prior Art 1) Korean Registration No. 10-1801033 (선행문헌2) 한국등록번호 제10-1308076호(Prior Art 2) Korean Registration No. 10-130807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여러 현장의 수위, 수질, 염도, 공기질 등 다양한 계측기로부터 계측기의 데이터를 DI, PI, AI, LAN, 시리얼 통신방식을 통해 수집하고, 정해진 시간 혹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누적시키고, 별도의 모바일 및 PC에 데이터를 표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빠르고 편리하게 현장 데이터를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수문, 펌프 등 다양한 기계를 원격 제어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the data of the instrument from various instruments such as water level, water quality, salinity, and air quality at various sites through DI, PI, AI, LAN, and serial communication methods, and to provide the cloud server with data at a specified time or in real time. To accumulate data, and display data on separate mobiles and PCs, allowing users to remotely monitor field data quickly and conveniently anytime, anywhere, and remotely control various machines such as water gates and pumps. Is doing.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와 클라우드서버(600)를 구성하고 IoT 및 CPS(Cyber Physical Systems, 사이버물리시스템) 기술을 적용하여 센싱, 비교, 분석, 판단을 수행 및 이벤트 발생시 유선인터넷 또는 IoT 통신망(LTE-M 또는 NB-IoT)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d the cloud server 600 and apply IoT and Cyber Physical Systems (CPS) technologies to perform sensing, comparison, analysis, and judgment. When an event occurs,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cloud server through a wired Internet or an IoT communication network (LTE-M or NB-IoT) to provide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은,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현장에 설치 구성되어 감지 정보를 통신 프로토콜 형태로 패킷화한 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현장감지센서부(100)와;A field detection sensor unit 100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field and transmit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acketized in the form of a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상기 현장감지센서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고,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이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며, 변환된 디지털값과 사전에 설정된 측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상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통신패킷데이터에 알람 플래그 처리하여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저장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IOT표출기로 전송하며,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에 제어 신호를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거나,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한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와;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is collected,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analyzed and classified, and then converted into digital values and stored, and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and the converted digital values and If it is out of the preset measurement range, it is judged as an abnormal signal and processes the alarm flag o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loud server. At the same time, the stored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IOT display device. An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the embedded controller, or for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to the embedded controller;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 이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표출시키기 위한 IOT표출기(300)와;When receiving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the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d after analyzing and classifying it, the IOT display device 300 for displaying through the display panel;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기계설비(500)에 DO, AO, 시리얼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하기 위한 임베디드제어기(400)와;After receiving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alyzing and classifying it, an embedd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by transmitting any one of DO, AO, and serial signals to the machine 500 400;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이를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 처리하며,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가 매칭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클라우드서버(600);를 포함하게 된다.Collect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alyze and classify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store it in the cloud And a cloud server 600 for storing and processing the unit and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input by the administrator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본 발명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에 의하면, 여러 현장의 수위, 수질, 염도, 공기질 등 다양한 계측기로부터 계측기의 데이터를 DI, PI, AI, LAN, 시리얼 통신방식을 통해 수집하고, 정해진 시간 혹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누적시키고, 별도의 모바일 및 PC에 데이터를 표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빠르고 편리하게 현장 데이터를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수문, 펌프 등 다양한 기계를 원격 제어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이거나 특정상황에 대한 관리자나 이용자가 대응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측정환경을 철저하게 감시함으로써 측정에 대한 오차를 줄여 대형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IoT-based embedded system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of a measuring instrument from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water level, water quality, salinity, and air quality at various sites is collected through DI, PI, AI, LAN, and serial communication methods, or It transmits data to the cloud server in real time, accumulates data, and displays data on separate mobiles and PCs, allowing users to remotely and easily monitor field data anytime, anywhere, and remotely operate various machines such as water gates and pumps. By enabling control and operation, managers or users for abnormal or specific situations can quickly handle the response procedure, and by thoroughly monitoring the measurement environment, errors in measurement can be reduced and large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t provides an effect.

또한,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와 클라우드서버(600)를 구성하고 IoT 및 CPS(Cyber Physical Systems, 사이버물리시스템) 기술을 적용하여 센싱, 비교, 분석, 판단을 수행하고, 이벤트 발생시 유선인터넷 또는 IoT 통신망(LTE-M 또는 NB-IoT)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 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d cloud server 600 are configured and IoT and CPS (Cyber Physical Systems) technology are applied to perform sensing, comparison, analysis, and judgment. By transmitt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to a cloud server through an IoT communication network (LTE-M or NB-Io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technology.

이를 통해, 통합모니터링센터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로 하여금 복수 개의 원격 현장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Through this, the administrator who resides in the integrated monitoring center can exert the effect of monitoring the current status of multiple remote sites.

또한, 기존 관리자의 경험에 의한 운영에서 벗어나 관리자 없이 시스템 스스로 센싱하고 분석하여 자율 제어함으로써, 최적 운영을 보장하는 기술 고도화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echnology advancement that ensures optimal operation by automating control by sensing and analyzing the system itself without the administrator, away from the operation by the experience of the existing administ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의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의 클라우드서버(600)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의 통신패킷데이터 구조도.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of the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cloud server 600 of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munication packet data structure diagram of the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illustrated in the specification, can implement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vent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express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inciple,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listed examples and states. d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erm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s.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includ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은,The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현장에 설치 구성되어 감지 정보를 통신 프로토콜 형태로 패킷화한 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현장감지센서부(100)와;A field detection sensor unit 100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field and transmit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acketized in the form of a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상기 현장감지센서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고,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이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며, 변환된 디지털값과 사전에 설정된 측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이상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통신패킷데이터에 알람 플래그 처리하여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저장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IOT표출기로 전송하며,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에 제어 신호를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거나,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한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와;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is collected,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analyzed and classified, and then converted into digital values and stored, and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and the converted digital values and When it is out of the preset measurement range, it judges as an abnormal signal and processes the alarm flag o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loud server. At the same time, it transmits the stored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the IOT display. An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the embedded controller, or for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to the embedded controller;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 이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표출시키기 위한 IOT표출기(300)와;When receiving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the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fter analyzing and classifying it, the IOT display device 300 for displaying through the display panel;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기계설비(500)에 DO, AO, 시리얼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하기 위한 임베디드제어기(400)와;After receiving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alyzing and classifying it, an embedd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by transmitting any one of DO, AO, and serial signals to the machine 500 400;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이를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 처리하며,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가 매칭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클라우드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llect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alyze and classify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store it in the clou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tored, including a cloud server 600 for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input by the administrator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또한, 상기 통신패킷데이터는,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헤더 필드, 아이디 필드, 블록 필드, 테일 필드, 씨알씨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eader field, an ID field, a block field, a tail field, and a MC field.

또한, 상기 헤더 필드는 프로토콜 시작을 알리는 STX, 프로토콜 분류 코드를 알리는 Code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디 필드는 아이디 길이를 알리는 ID Length, 장치 아이디를 알리는 ID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필드는 Block 길이를 알리는 Block Length, 명령 분류를 알리는 CMD, 세부 명령 분류를 알리는 Type, 데이터 상태를 알리는 AK/NK, Json 데이터와 bytes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테일 필드는 프로토콜 종료 코드를 알리는 Code, 프로토콜 끝을 알리는 ETX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씨알씨 필드는 헤더 필드부터 테일 필드까지의 SUM값을 알리는 CRC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der field includes STX indicating a protocol start, Code information indicating a protocol classification code, the ID field includes ID length indicating an ID length, and ID information indicating a device ID, and the block field is a Block length. Includes Block Length to notify, CMD to inform instruction classification, Type to inform detailed instruction classification, AK / NK to inform data status, Data information including Json data and bytes data, and the tail field is a code to inform protocol termination code. , ETX information indicating the end of the protocol, and the CR field includes CRC information indicating the SUM value from the header field to the tail field.

또한, 상기 현장감지센서부(100)는,In addition,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100,

유량계, 전류계, 수위계, 전압계, 개도계, 소리센서, 진동센서, 온도센서, 수질센서, 염도센서, 공기질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a flow meter, an ammeter, a water level meter, a voltmeter, a water level meter, a sound sensor, a vibr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water quality sensor, a salinity sensor, and an air quality sensor.

또한,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는,In addition,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현장감지센서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210);A data collection unit 210 for collect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상기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여 데이터를 분류한 후, 분류된 데이터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220);A data processing unit 220 for analyzing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classifying the data, converting the classified data into digital values and storing the stored data in a data storage unit,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a cloud server;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제공된 통신패킷데이터와 변환된 디지털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알람플래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부(230);A data storage unit 230 stor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vid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converted digital values, and storing alarm packet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by the alarm flag processing unit;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처리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값과 사전에 설정된 측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이상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통신패킷데이터에 알람 플래그 처리하여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알람플래그처리부(240);An alarm flag processing unit 240 for determining an abnormal signal when the digital value converted by the processing of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a preset measurement range are out of order and processing an alarm flag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to a cloud server;

사물인터넷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IOT표출기로 전송하는 제1모드,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에 제어 신호를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모드,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IOT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mode in which a control signal is matched to a first mode in which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or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IOT display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An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250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second mode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to the embedded controller and a third mode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to the embedded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클라우드서버(600)는,In addition, the cloud server 600,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클라우드서버데이터수집부(610);A cloud server data collection unit 610 for collect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상기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분류한 후, 분류된 데이터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시키기 위한 클라우드서버데이터처리부(620);A cloud server data processing unit 620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converting the classified data into digital values and storing them in a cloud storage unit;

상기 클라우드서버데이터처리부에서 제공된 통신패킷데이터와 변환된 디지털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저장부(630);A cloud storage unit 630 which stores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data processing unit and converted digital values, and stores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by an alarm flag;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어 신호가 매칭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여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클라우드서버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640);A cloud server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640 for generating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when the control signal input by the administrator is acquired;

상기 현장감지센서부별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며,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된 각 현장감지센서부별 데이터에 따라 통신상태, 전력상태, 계측값을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클라우드서버화면표출부(650);A cloud server screen display unit 650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field detection sensor unit on a screen, and for displaying communication status, power status, and measurement values on a screen according to data for each field sensor unit stored in the cloud storage unit;

상기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여 해당 현장감지센서부의 위치 정보, 계측값을 화면에 팝업시키며, 해당 현장감지센서부를 관할하는 담당자단말기(700)로 알람 발생 정보를 송출시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알람처리부(6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flag data processed with the alarm flag, pops up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measurement values of the relevant field detection sensor unit on the screen, and transmits the alarm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person in charge of the relevant field detection sensor unit 700, so that rapid processing is possib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larm processing unit 660 to do so.

이때, 담당자단말기로 송출되는 알람 발생 정보에는,At this time, in the alarm occurrence information sent to the person in charge,

현장감지센서부의 종류 정보, 현장감지센서부의 측정 범위 정보, 현장감지센서부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ype information of the site detection sensor unit, measurement range information of the site detection sensor unit,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ite detection sensor unit installation.

이때, 상기 IOT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250)는,At this time, the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250,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모듈과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LTE-M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TE-M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NB-Io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f the NB-IoT communication meth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은, 현장감지센서부(100),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 IOT표출기(300), 임베디드제어기(400), 기계설비(500), 클라우드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eld detection sensor unit 100, an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 IOT display device 300, and an embedded controller ( 400), a mechanical equipment 500, and a cloud server 60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현장감지센서부(100)는 현장에 설치 구성되어 감지 정보를 통신 프로토콜 형태로 패킷화한 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on-site detection sensor unit 10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field and perform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packetized in the form of a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이를 위하여, 상기 현장감지센서부(100)는 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통신패킷데이터생성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on-site detection sensor unit 100 may configure a communication packet data generation module to generate communication packet data.

즉, 헤더 필드, 아이디 필드, 블록 필드, 테일 필드, 씨알씨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통신패킷데이터생성모듈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gener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generate communication packet data including a header field, an ID field, a block field, a tail field, and a MC field.

또한, 상기 현장감지센서부(100)는,In addition,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100,

유량계, 전류계, 수위계, 전압계, 개도계, 소리센서, 진동센서, 온도센서, 수질센서, 염도센서, 공기질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a flow meter, an ammeter, a water level meter, a voltmeter, a water level meter, a sound sensor, a vibr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water quality sensor, a salinity sensor, and an air quality sensor.

상기 유량계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전류계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수위계는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전압계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개도계는 개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온도센서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수질센서는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염도센서는 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공기질센서는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의미한다.The flow mete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the ammete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current, the water mete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the voltmete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voltage, and the open water mete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opening degree ,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the water quality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water quality, the salinity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salinity, and the air quality sensor means a sensor for measuring air quality.

또한, 상기 소리센서는 주변 소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인데, 예를 들어, 수문이나 펌프 등에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ound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mbient sound, for example, to measure the sound generated in the water gate or pump.

상기 진동센서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인데, 예를 들어, 수문이나 펌프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The vibration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vibration, for example, to measure vibration generated in a water gate or a pump.

진동의 원인은 수리시설물에서 진동을 유발하게 하는 가장 공통적인 원인 중 대표적인 것들은 밸런스 불량에 의한 진동, 마찰에 의한 진동, 정렬 불량에 의한 진동, 자려진동(自勵振動), 비선형 진동, 열특성에 의한 진동, 배관 또는 기초태(基礎坮)에 의한 진동 등을 들 수 있다.The causes of vibration are representativ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vibration in repair facilities, such as vibration due to poor balance, vibration caused by friction, vibration caused by misalignment, self-excited vibration, nonlinear vibra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And vibration due to piping or foundation.

따라서, 진동센서의 도입으로 수리시설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고장 발생 전에 항시 동작 상태를 확인하게 된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n the repair facilit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vibration sensor, so that the operating state is always checked before the failure occurs.

그리고,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는 현장감지센서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collects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예를 들어, 현장감지센서부(100)로 유량계, 전류계, 수위계, 소리센서, 진동센서, 온도센서를 구성하게 된다면, 이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flow sensor, ammeter, water level meter, sound sensor, vibration sensor, and temperature sensor are configured as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100,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m are collect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패킷데이터에 헤더 필드, 아이디 필드, 블록 필드, 테일 필드, 씨알씨 필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게 됨으로써, 센서부들로부터 전송되는 로우 데이터의 손실과 해킹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에서는 아이디 필드를 통해 어떠한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블록필드를 통해 데이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include a header field, an ID field, a block field, a tail field, and a CC field, it is possible to prevent loss and hacking of raw data transmitted from sensor units, and embedded IOT.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from which sensor unit th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ID field, and to check the data information through the block field.

이를 통해,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에서는 자신이 관할하고 있는 현장감지센서부(100)의 장치아이디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장치아이디 정보 이외의 기타 다른 센서부들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들은 저장 처리하지 않게 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서버도 자신이 관할하고 있는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의 장치아이디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장치아이디 정보 이외의 기타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들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들은 저장 처리하지 않게 된다.Through this, because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stores and manages device ID information of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100 in its jurisdiction, it does not store and process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other sensor units other than the device ID information. In the same way, since the cloud server stores and manages device ID information of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under its control, it does not store and process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other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s other than the device ID information. do.

또한,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는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이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interprets and classifies communication packet data, converts it into digital values, stores it, and transmits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a cloud server.

즉,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여 이를 각각의 장치 아이디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 내의 측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저장처리하면서 동시에 해당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analyz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device ID, and the measured value in the classified data is converted into a digital value and stored, and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at the same time.

또한, 변환된 디지털값과 사전에 설정된 측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이상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통신패킷데이터에 알람 플래그 처리하여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verted digital value and the preset measurement range are out of range, it is determined as an abnormal signal and an alarm flag is processed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예를 들어, 수위계의 경우에 '수위 1M - 1V 내지 수위 10M - 5V' 라는 측정 레인지 범위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시키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ater gauge, measurement range range information of 'water level 1M-1V to water level 10M-5V' is set and stored.

이때, 측정된 값이 0V 나 6V 라면, 측정 레인지 범위값을 벗어나기 때문에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measured value is 0V or 6V, it can be judged as an abnormal state because it is outside the measurement range range value.

이러한 경우에 해당 통신패킷데이터에 알람 플래그를 처리하여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게 되면 클라우드서버에서 해당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할 경우에 알람 플래그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수위계가 위치한 댐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므로 이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팝업 창을 표출하거나, 담당자단말기로 현재 상황을 알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if an alarm flag is processed i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the alarm flag exists when the communication server interprets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t is possible to display a pop-up window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prompt action can be taken, or to inform the current status to the person in charge.

또한, 상기 저장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IOT표출기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현장에 위치한 현장 담당자라든지,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현재 상태를 알려주게 되어 이에 따른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ored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the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IOT display device, through which the current status is notified to the person in charge at the site or the people in the vicinity, so that follow-up actions can be taken. It is to be.

또한,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에 제어 신호를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수문 개폐기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패킷데이터에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에 전송하게 됨으로써, 임베디드제어기에서는 이에 따라 수문 개폐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embedded controller. For example, a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generated by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a hydrogate switch and matching it to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By transmitting the to the embedded controller, the embedded controller provides an operation signal to the hydro gate switch to operate accordingly.

또한, 사용자에 의해 현재 수위계에 따른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클라우드서버에서는 이를 획득하여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이를 전송하게 되며,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게 되고, 임베디드제어기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해당 기계설비인 수문 개폐기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generates a remot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urrent water level, the cloud server acquires it to generat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s it, and embeds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embedded controller operates the hydrogate switch, which is the corresponding mechanical equipment, with reference to this.

그리고, 상기 IOT표출기(300)는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 이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표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n, the IOT display device 300 interprets and classifies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d then displays them through a display panel. To perform the function.

이를 통해 현장에 위치한 현장 담당자라든지,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현재 상태를 알려주게 되어 이에 따른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current status to the person in charge at the site or those located in the vicinity so that follow-up actions can be taken.

예를 들어, 통신패킷데이터에 포함된 측정값들을 해석하게 되는데, 온도 - 25도, 수위 - 15미터 등의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표출시키거나,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여 현재 수위 - 30미터라는 측정값과 알람 플래그 처리에 따른 후속 조치 정보인 수문 개폐기 조작바람, 주변 일반인들에게 경고 방송바람 등의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출시키게 된다.For example, the measurement value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are interpreted, and the measurement values such as temperature-25 degrees, water level-15 meters, etc. a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anel, or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with the alarm flag is analyzed. Water level-30 meters of measurement value and follow-up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of the alarm flag are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by generating information such as the operation of the water gate switch and warning broadcast wind to the general public.

그리고, 상기 임베디드제어기(400)는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기계설비(500)에 DO, AO, 시리얼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n, the embedded controller 400 receives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alyzes and classifies it, and then transmits any one of DO, AO, and serial signals to the mechanical equipment 500.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a signal is performed.

즉, 제어통신패킷데이터 내에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게 되므로 임베디드제어기에서는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할 경우에 제어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control signal is included in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he embedded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control signal exists when interpreting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이때, 제어 신호가 존재하게 되면 해당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기계설비를 판단하여 해당 기계설비의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DO, AO, 시리얼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f a control signal is present, it determines the mechanical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any one of DO, AO, and seria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s of the corresponding mechanical equipment.

예를 들어, 수문 개폐기일 경우에 AO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수문 개폐기에 제공함으로써, 수문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ater gate switch, the AO signal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water gate switch to open the water gate.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서버(600)는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이를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loud server 600 collects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by an alarm flag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d collects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communication signal data processed by the alarm flag. After analysis and classification, it is stored in the cloud storage.

즉, 주기적으로 실시간 획득하는 통신패킷데이터들은 헤더 필드, 아이디 필드, 블록 필드, 테일 필드, 씨알씨 필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게 되면 어느 현장에 설치 구성된 센서부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인지를 분류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acquired in real time includes a header field, an ID field, a block field, a tail field, and a CLC field, when interpreting it, it is possible to classify which field is provided from a sensor unit installed and configured. There will be.

따라서, 분류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당 현장별 혹은 센서부별로 마련된 데이터 필드에 저장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lassified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stored and processed in a data field provided for each site or sensor unit.

또한, 별도의 원격프로그램을 설치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원격프로그램을 로딩시켜 특정 기계 설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게 되면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가 매칭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됨으로써, 원격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remote program is installed and configured, when the administrator loads the remote program and performs control for a specific machine,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input by the administrator is generated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embedded IOT. By transmitting to the transmission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perform remote control.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로토콜 형태로 패킷화한 통신패킷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acketized in the form of a protocol is configured to be exchanged.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패킷데이터는,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헤더 필드, 아이디 필드, 블록 필드, 테일 필드, 씨알씨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eader field, an ID field, a block field, a tail field, and a MC fiel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헤더 필드는 프로토콜 시작을 알리는 STX, 프로토콜 분류 코드를 알리는 Code 정보를 포함하며,Specifically, the header field includes STX indicating a protocol start and Code information indicating a protocol classification code,

상기 아이디 필드는 아이디 길이를 알리는 ID Length, 장치 아이디를 알리는 ID 정보를 포함하며,The ID field includes ID length indicating the ID length and ID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vice ID,

상기 블록 필드는 Block 길이를 알리는 Block Length, 명령 분류를 알리는 CMD, 세부 명령 분류를 알리는 Type, 데이터 상태를 알리는 AK/NK, Json 데이터와 bytes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정보를 포함하며,The block field includes block length indicating block length, CMD indicating command classification, type indicating detailed command classification, AK / NK indicating data status, data information including Json data and bytes data,

상기 테일 필드는 프로토콜 종료 코드를 알리는 Code, 프로토콜 끝을 알리는 ETX 정보를 포함하며,The tail field includes a code indicating a protocol end code and ETX information indicating a protocol end,

상기 씨알씨 필드는 헤더 필드부터 테일 필드까지의 SUM값을 알리는 CRC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C fiel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CRC information indicating the SUM value from the header field to the tail field.

상기 헤더 필드는 프로토콜 시작을 알리는 STX, 프로토콜 분류 코드를 알리는 Code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 IOT표출기(300), 임베디드제어기(400), 클라우드서버(600)는 해석해야 할 프로토콜의 시작을 알 수 있게 되어 해석시, 정확하고 신속하게 해석할 수 있으며, 프로토콜 분류 코드를 알 수 있으므로 분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header field includes STX indicating a protocol start and Code information indicating a protocol classification code,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the IOT display device 300, the embedded controller 400, and the cloud server 600 should be interpreted. It is possible to know the start of the protocol to be performed, and when interpreting, it can be accurately and quickly analyzed,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because the protocol classification code is known.

또한, 상기 아이디 필드는 아이디 길이를 알리는 ID Length, 장치 아이디를 알리는 ID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장치 아이디를 식별자로 하여 이에 따라 해당 측정데이터를 해당 장치 아이디를 기준으로 저장하거나 갱신 처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D field includes ID length indicating the ID length and ID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vice ID, the measurement data can be stored or updated based on the device ID using the device ID as an identifier.

또한, 상기 블록 필드는 Block 길이를 알리는 Block Length, 명령 분류를 알리는 CMD, 세부 명령 분류를 알리는 Type, 데이터 상태를 알리는 AK/NK, Json 데이터와 bytes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정보를 포함하게 되는데, 여기에 각종 측정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 및 알람 플래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lock field includes block length indicating block length, CMD indicating command classification, type indicating detailed command classification, AK / NK indicating data status, data information including Json data and bytes data. It is possible to include information such as various measurement data, control data, and alarm flags.

또한, 상기 테일 필드는 프로토콜 종료 코드를 알리는 Code, 프로토콜 끝을 알리는 ETX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ail field includes a code indicating a protocol end code and ETX information indicating a protocol end.

따라서, 통신패킷데이터의 끝 부분을 알 수 있게 되어 유의미한 데이터의 시작과 마지막 바이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know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rt of the significant data and the position of the last byte.

또한, 상기 씨알씨 필드는 헤더 필드부터 테일 필드까지의 SUM값을 알리는 CRC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패킷데이터의 오류 혹은 변형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R field includes CRC information informing the SUM value from the header field to the tail field, it is possible to confirm an error or modification of communication packet data.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의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of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는 데이터수집부(210), 데이터처리부(220), 데이터저장부(230), 알람플래그처리부(240), IOT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210, a data processing unit 220, a data storage unit 230, an alarm flag processing unit 240, and an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It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250.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데이터수집부(210)는 현장감지센서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처리부(220)는 상기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여 데이터를 분류한 후, 분류된 데이터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게 된다.In detail, the data collection unit 210 collects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220 analyzes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classify the data. Thereafter, the classified data is converted into digital values and stored in a data storage unit, and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a cloud server.

예를 들어, 아이디를 확인하여 해당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에서 관리하는 현장감지센서부인지를 해석하게 되며, 블록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게 되며,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게 되고, 이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For example, by checking the ID, it interprets whether it is the on-site sensor unit managed by the corresponding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checks what kind of data is stored in the block field, converts it to a digital value, and stores it. It is stored in the department.

일반적으로 분류된 데이터를 1ms 주기로 샘플링하고 100개의 값을 추출한 피크값을 검출하게 되며, 검출된 피크값의 평균과 주파수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신호로 처리하게 된다.In general, the classified data is sampled every 1 ms period, and the peak value from which 100 values are extracted is detected, and the average and frequency of the detected peak value are used to process the signal as a constant size.

이후, 입력된 아날로그 전압(DC 1~5V) 및 전류(4~20mA)로 처리된 신호를 데이터처리부에서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Thereafter, the signal processed with the input analog voltage (DC 1-5V) and current (4-20mA) is converted into a digital value that can be determin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따라서, 상기 데이터저장부(230)에는 데이터처리부에서 제공된 통신패킷데이터와 변환된 디지털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알람플래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ata storage unit 230 stores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converted digital values provid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stores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by the alarm flag processing unit.

그리고, 상기 알람플래그처리부(240)는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처리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값과 사전에 설정된 측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이상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통신패킷데이터에 알람 플래그 처리하여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larm flag processing unit 240 determines an abnormal signal when the digital value converted by the processing of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a preset measurement range are out of order and processes an alarm flag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do.

예를 들어, 측정 범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DC 1V ~ 5V 범위 내의 출력값 혹은 4mA ~ 20mA 범위 내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set the measurement range, a selection icon is provided to select either an output value in the DC 1V to 5V range or an output value in the 4mA to 20mA range.

이때, 관리자가 DC 1V ~ 5V 범위 내의 출력값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출력값의 최소치인 DC 1V에 매칭될 최소측정값을 설정하게 되는데, 수위계라면, 수위 1M를 입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administrator selects an output value within the range of DC 1V to 5V, the minimum measurement value to be matched to DC 1V, which is the minimum value of the selected output value, is set. In the case of a water level meter, the level 1M is input.

또한, 선택된 출력값의 최대치인 5V에 매칭될 최대 측정값을 설정하게 되는데, 수위 10M를 입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aximum measurement value to be matched to the maximum value of 5V, which is the selected output value, is set, and the water level 10M is input.

즉, 센서별 측정 레인지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 페이지를 제공하여 센서별 측정 레인지 범위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providing an input page for setting the measurement range range for each sensor, the measurement range range for each sensor is set.

따라서, 측정된 값이 0V 또는 6V라면, 측정 범위값을 벗어나기 때문에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가 있는 것이며, 해당 통신패킷데이터에 알람 플래그 처리하여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measured value is 0V or 6V, it can be determined as an abnormal state because it is out of the measurement range value, and an alarm flag is processed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상기 알람 플래그 처리는 통신패킷데이터에 이벤트 신호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며, 이를 수신받은 수신측의 단말기에서는 이를 해석할 경우에 팝업창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e alarm flag processing is a method of processing to notify that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ncludes an event signal, and the terminal of the receiving side that receives it provides a pop-up window when interpreting it.

그리고, 상기 IOT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250)는 사물인터넷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IOT표출기로 전송하는 제1모드,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에 제어 신호를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모드,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n, the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250 is a first mode, an alarm flag for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to the IOT display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ne or more of the second mode of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the embedded controller, and the third mode of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to the embedded controller. The function to perform is performed.

예를 들어, IOT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250)는 제1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IOT표출기로 전송하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perform the first mode, the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250 displays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using the Io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ll be transmitted.

즉, 주기적으로 현장감지센서부(100)에서 제공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한 정보를 IOT표출기로 전송하여 이를 표출하도록 하는 것이며, 주기적으로 제공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함에 있어 측정 레인지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이상 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한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IOT표출기로 전송하게 되면, IOT표출기에서는 이를 출력함에 있어 관리자 혹은 주변 일반인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알람을 주거나, 주기적으로 점멸되는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periodically, the information 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vided by the on-site detection sensor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IOT display device to display it, and whe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provided is out of the measurement range range Whe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with the alarm flag judged and processed as an abnorm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OT display device, the IOT display device gives an alarm to the administrator or the general public to easily check it out, or provides a flashing screen periodically. You may.

또한, 제2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에 제어 신호를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the second mode,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with the alarm flag is transmitted to the embedded controller.

제1모드의 경우에는 표출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에 제2모드의 경우에는 기계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In the first mode, a function for expressing is provided, while in the second mode,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equipment is provided.

즉,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에 제어 신호를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제공하게 되면, 임베디드제어기에서는 이를 수신할 경우에 해당 기계설비 예를 들어, 수문 개폐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수문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provided to the embedded controller, the embedded controller provides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rresponding mechanical equipment, for example, a water gate switch when receiving it. The gate will be opened.

또한, 제3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the third mode, it is to provi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to the embedded controller.

즉,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게 되면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여 원격 제어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원격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획득하여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with the alarm flag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the administrator confirms this and provides a remote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includ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acquired and transmitted to the embedded controller. Is done.

한편, 본 발명의 IOT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250)는,On the other hand, the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모듈과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LTE-M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TE-M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NB-Io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f the NB-IoT communication method.

현재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으로서, 초고속통신망(LTE-M)을 구축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맞게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도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부로 구성하거나,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urrentl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s building a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LTE-M) as a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o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nfigured as an LTE-M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of the LTE-M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government policy.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NB-Io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of the NB-IoT communication method.

상기한 통신 방식은 고속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식이 상용화된다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서비스 도입이 신속하게 이루질 것으로 예측된다.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 means a network network capable of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and if such a method is commercialized, it i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a service to be pursu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hieved quickly.

한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LTE-CAT.M1 통신 방식의 LTE-CAT.M1무선네트워크통신부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LTE-CAT.M1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of the LTE-CAT.M1 communication method may be installed and configur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즉, 상기와 같이, 통신망이 갈수록 고도화되고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각종 제어시스템에서는 현재 고도화되고 저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 사용자들은 비싸고, 구축이 어려운 전용회선 통신망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제약이 따르고 있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sed more and more advanced and inexpensive, but various control systems do not currently use the advanced and inexpensive communication method, so users are expensive, and there are limitations inevitably to use a dedicated line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difficult to build. .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IOT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250)는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부 혹은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부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임베디드 방식의 플랫폼을 탑재하게 되는 것이다.To solve this, the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edded method capable of interfacing with the LTE-M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of the LTE-M communication method or the NB-Io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of the NB-IoT communication method. The platform will be loaded.

따라서, 사물인터넷(IoT) 무선 통신부(LTE-M, NB-IoT)를 통해 계측, 상태정보 및 이벤트 발생정보 등을 통신 프로토콜 형태로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와 클라우드서버(600)간에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embedded IoT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cloud server are packaged by packetizing data in the form of a communication protocol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Io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LTE-M, NB-IoT). 600).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의 클라우드서버(600)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cloud server 600 of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서버(600)는 클라우드서버데이터수집부(610), 클라우드서버데이터처리부(620), 클라우드저장부(630), 클라우드서버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640), 클라우드서버화면표출부(650), 알람처리부(66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cloud server 600 includes a cloud server data collection unit 610, a cloud server data processing unit 620, a cloud storage unit 630, a cloud server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640, and a clou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screen display unit 650, an alarm processing unit 660.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클라우드서버데이터수집부(610)는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게 되며, 클라우드서버데이터처리부(620)는 상기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분류한 후, 분류된 데이터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시키게 된다.In detail, the cloud server data collection unit 610 collects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or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by an alarm flag, and the cloud server data processing unit 620 After classifying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the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he classified data is converted into a digital value and stored in a cloud storage unit.

통신패킷데이터를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converting the classified data into digital value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클라우드저장부(630)는 상기 클라우드서버데이터처리부에서 제공된 통신패킷데이터와 변환된 디지털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The cloud storage unit 630 stores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data processing unit and converted digital values, and stores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by an alarm flag.

또한, 상기 클라우드서버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640)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어 신호가 매칭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여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loud server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640 generates a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when obtaining a control signal input by the administrator to transmit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

예를 들어, 수문 개폐기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패킷데이터에 매칭시킨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됨으로써,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에서는 이를 해석하여 임베디드제어기로 해당 기계설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For example, by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hydrogate switch, and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ed to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alyzes this to analyze the embedded controller. The control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machine is transmitted.

이에 따라 수문 개폐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perat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gate switch to operate.

또한, 이상 신호가 아니더라도 평상시에 사용자에 의해 현재 수위계에 따른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클라우드서버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640)는 이를 획득하여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이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되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에서 이를 해석하여 임베디드제어기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게 되고, 임베디드제어기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해당 기계설비인 수문 개폐기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an abnormal signal, if the user normally generates a remot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urrent water level, the cloud server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640 acquires this to generat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embeds it. It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terminal 200, and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interprets this to provide a control signal to the embedded controller, and the embedded controller refers to this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mechanical facility, the hydrogate switch.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서버화면표출부(650)는 상기 현장감지센서부별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며,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된 각 현장감지센서부별 데이터에 따라 통신상태, 전력상태, 계측값을 화면에 표출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cloud server screen display unit 650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field detection sensor unit on the screen, and displays communication status, power status, and measurement values on the screen according to data for each field detection sensor unit stored in the cloud storage unit. Ordered.

예를 들어, '낙동강 하구둑 제 1 배수갑문'이라는 온도센서 설치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며, 해당 센서의 통신 상태(예를들어, 통신상태 양호), 전력상태(예를들어, 전력상태 양호), 계측값(예를 들어, 온도 28도) 등을 화면에 표출시키게 된다.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ation called 'Nakdong River estuary bank first drainage gat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senso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status is good) and the power status (for example, the power status is good). , The measured value (for example, temperature 28 degrees) is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알람처리부(660)는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여 해당 현장감지센서부의 위치 정보, 계측값을 화면에 팝업시키며, 해당 현장감지센서부를 관할하는 담당자단말기(700)로 알람 발생 정보를 송출시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larm processing unit 660 analyzes the alarm packet-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pops up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measurement values of the corresponding field detection sensor unit on the screen, and generates an alarm with the person in charge terminal 700 in charge of the relevant field detection sensor unit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ending information and enabling rapid processing.

예를 들어, 온도값이 평상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에 현장감지센서부의 위치 정보인 '낙동강 하구둑 제 1 배수갑문', '펌프 온도 40도', '담당자-010-123-4567'이라는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고, 상기 위치 정보와 계측값을 해당 담당자단말기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value is higher than the normal temperature value, th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detection sensor unit information such as 'Nakdong River Estuary Bank 1st Drain Gate Gate', 'Pump Temperature 40 °', and 'Person-010-123-4567' is display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measurement values ar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person in charge.

한편, 상기 담당자단말기로 송출되는 알람 발생 정보에는,On the other hand, in the alarm occurrence information sent to the person in charge,

현장감지센서부의 종류 정보, 현장감지센서부의 측정 레인지 범위 정보, 현장감지센서부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type information of the site detection sensor unit, the measurement range range information of the site detection sensor unit,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ite detection sensor unit.

즉, '펌프 온도센서', '온도 범위 25도 ~ 38도', '낙동강 하구둑 제 1 배수갑문'이라는 정보를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t will include information such as 'pump temperature sensor', 'temperature range 25 degrees to 38 degrees', and 'the first drain gate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ank'.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는,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aspect,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클라우드서버(600)로부터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획득할 경우에, 통신 두절 시간과 통신 재개 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600)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두절범위내감시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ncluding the communication automatic recovery event signal is obtained from the cloud server 600,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existing between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time and the communication resume time is extracted from the data storage unit 230, and then extracte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within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range for providing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the cloud server 600.

구체적으로 통신두절범위내감시정보생성부는 클라우드서버(600)로부터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패킷데이터에 포함된 통신 두절 시간과 통신 재개 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within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range acquires the communication automatic recovery event information from the cloud server 600, between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time and the communication restart tim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including the communication automatic recovery event signal. Exist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extracted from the data storage unit 230.

예를 들어, 통신 두절 시간이 2019년 7월 21일 오전 9시이며, 통신 재개 시간이 2019년 7월 21일 오전 10시일 경우에 해당 통신 두절 시간과 통신 재개 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time is 9 am on July 21, 2019, and the communication resume time is 10 am on July 21, 2019,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existing between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time and the communication resume time is displayed. It is extracted from the data storage unit 230.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서버(600)는,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aspect, the cloud server 600,

센서지도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센서지도맵DB;A sensor map map DB storing sensor map map information;

상기 센서지도맵DB로부터 센서지도맵 정보를 획득하여 클라우드저장부(63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시설물의 장치아이디를 통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센서지도맵DB 상에 맵핑시켜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센서지도맵위치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 sensor for obtaining sensor map map information from the sensor map map DB,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evice ID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from data stored in the cloud storage unit 630, mapping it on the sensor map map DB,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map map location display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지도맵DB에는 센서지도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되고, 상기 센서지도맵위치표출부는 상기 센서지도맵DB로부터 센서지도맵 정보를 획득하여 클라우드저장부(63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시설물의 장치 아이디를 통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센서지도맵 상에 맵핑시켜 화면에 표출시키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sensor map map DB stores sensor map map information, and the sensor map map location display unit acquires sensor map map information from the sensor map map DB and corresponds to data stored in the cloud storage unit 630.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evice ID of the facility is extracted and mapped onto the sensor map map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예를 들어, 해당 빗물 재활용을 위한 시설물의 장치아이디를 통한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센서지도맵의 해당 위치에 맵핑시키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after extra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evice ID of the facility for recycling the rainwater, it is mapp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on the sensor map map.

또한, 필요에 따라, 알람 발생 내역을 화면에 팝업시키고, 경고음이나 SMS(문자서비스)를 통해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alarm occurrence history may be popped up on the screen, and configured to promptly notify the administrator through a warning sound or SMS (text service).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서버(600)는,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aspect, the cloud server 600,

어느 한 시설물에 대한 선택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해당 시설물에 대한 감지 정보를 클라우드저장부(630)로부터 추출하여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선택시설물감지정보표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When obtain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for any one facility,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lected facility detec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extract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from the cloud storage unit 630 to display on the screen.

예를 들어, 시설물이 저류조일 경우에 관리자가 'ID:1-Storage tank'인 시설물인 저류조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저류조의 고유아이디를 추출하고, 고유아이디를 식별자로 하는 감지 데이터를 클라우드저장부(63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facility is a storage tank, when an administrator selects a storage tank that is a facility having an ID: 1 -Storage tank, the unique ID of the storage tank is extracted, and the detection data using the unique ID as the cloud storage unit It is extracted from (630).

따라서, 현재 감지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urrent sensing state information.

만약, 감시수단으로서, 영상카메라부를 구성하게 되면, 저류조의 현재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f, as a monitoring means, a video camera unit is configur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storage tank as a video.

한편, 또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서버(600)는,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aspect, the cloud server 600,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획득하게 못할 경우에, 통신 두절로 판단하여 최종 응답신호를 받은 이후 체크 신호를 송출한 시간을 추출하며, 주기적으로 체크 신호를 제공하되,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을 추출한 후, 상기 최종 응답신호를 받은 이후 체크 신호를 송출한 시간과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까지의 구간에 존재하는 현장감지센서부별 감지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누락감지정보자동복구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f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response signal for the check signal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it is determined as a communication loss, and extracts the time at which the check signal is transmitted after receiving the final response signal, and periodically provides a check signal. After extracting the time to receive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heck signal, the detec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ield sensor units is present in the section from the time when the check signal is transmitted after receiving the final response signal to the time when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heck signal is received.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ommunication packet data including the communication automatic recovery event data requesting, and to provide the genera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구체적으로, 누락감지정보자동복구처리부는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와 주기적으로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automatic recovery processing unit for the missing detection information acquires a response signal to the check signal periodically with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예를 들어, 5분 단위로 체크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획득하게 되므로 이는 통신 정상 동작 상태가 된다.For example, a check signal is transmitted in increments of 5 minutes, and a response signal is obtained, so that the communication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그러나, 통신이 두절되게 되면, 최종 응답신호를 받은 이후 체크 신호를 송출한 시간을 추출하며, 주기적으로 체크 신호를 제공하되,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을 추출한 후, 상기 최종 응답신호를 받은 이후 체크 신호를 송출한 시간과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까지의 구간에 존재하는 감시수단별 감시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However, when communication is lost, after the final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e time at which the check signal is transmitted is extracted, and periodically the check signal is provided, but after the time at which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heck signal is received is extracted, the final response signal is extracted. It generates communication packet data including communication auto-recovery event data request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each monitoring means existing in a section from the time when the check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ime after receiving the check signal and the response signal response time.

예를 들어, 2019년 7월 21일 오전 9시에 체크 신호를 송출하였는데,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획득하게 못할 경우에, 통신 두절로 판단하게 되어, 통신 두절 시작 시간은 2019년 7월 20일 오전 9시로 판단하게 된다.For example, if a check signal is sent at 9 am on July 21, 2019, and a response signal cannot be obtained, it is determined as a communication loss, and the start time of communication loss is July 20, 2019 You will judge at 9 o'clock.

이후, 5분 단위로 주기적으로 체크 신호를 제공하되,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을 추출하게 된다.Thereafter, a check signal is periodically provided in units of 5 minutes, and a time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check signal is extracted.

예를 들어, 2019년 7월 20일 오전 10시에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이를 통신 재개 시간으로 판단하게 된다.For example, if a response signal for a check signal is received at 10 am on July 20, 2019, it is determined as a communication resumption time.

따라서, 2019년 7월 20일 오전 9시부터 2019년 7월 20일 오전 10시까지의 시간 구간에 존재하는 현장감지센서부별 감지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by generat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including communication auto-recovery event data requesting detection information for each field detection sensor unit existing in the time period from 9:00 AM on July 20, 2019 to 10:00 AM on July 20, 2019, This is to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이때,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는 해당 통신 두절 시간과 통신 재개 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현장감지센서부별 감지 정보를 데이터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extracts the detection information for each field detection sensor unit exist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time and the communication resume time from the data storage unit 230.

즉, 수위계 1 - 5CM, 수위계 2 - 3CM 등과 같은 현장감지센서부별 감지 정보를 추출하여 클라우드서버(600)로 전송하여 클라우드저장부(630)에 저장된 해당 시설물의 고유아이디를 가지는 데이터 필드를 갱신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detection information for each field detection sensor unit such as water level 1-5CM, water level 2-3CM, etc.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600 to update and process the data field having the unique ID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stored in the cloud storage unit 630. Is done.

상기와 같이,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를 구성하여 IoT 및 CPS(Cyber Physical Systems, 사이버물리시스템) 기술을 적용하게 되어 센싱, 비교, 분석, 판단, 자율제어하고, 이벤트 발생시, 유선인터넷 또는 IoT 통신망(LTE-M 또는 NB-IoT)을 통해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600)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통합모니터링센터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로 하여금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d applying IoT and CPS (Cyber Physical Systems) technology, sensing, comparison, analysis, judgment, autonomous control, and when an event occurs, wired Internet or IoT By sending the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the cloud server 6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LTE-M or NB-IoT), an administrator who resides in the integrated monitoring center can monitor the current status of the facility. Will be exerted.

또한, 기존 관리자의 경험에 의한 운영에서 벗어나 관리자 없이 시스템 스스로 센싱하고 분석하여, 지능적 자동설정과 자율제어, 최적 운영을 보장하는 기술 고도화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advance the technology to ensure intelligent automatic setting, autonomous control, and optimal operation by sensing and analyzing the system itself without the administrator, away from the operation by the experience of the existing administrator.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현장의 수위, 수질, 염도, 공기질 등 다양한 계측기로부터 계측기의 데이터를 DI, PI, AI, LAN, 시리얼 통신방식을 통해 수집하고, 정해진 시간 혹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누적시키고, 별도의 모바일 및 PC에 데이터를 표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빠르고 편리하게 현장 데이터를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수문, 펌프 등 다양한 기계를 원격 제어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이거나 특정상황에 대한 관리자나 이용자가 대응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측정환경을 철저하게 감시함으로써 측정에 대한 오차를 줄여 대형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f a measuring instrument is collected from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water level, water quality, salinity, and air quality at various sites through DI, PI, AI, LAN, and serial communication methods, and data is transmitted to a cloud server at a fixed time or in real time. By accumulating data, and displaying data on separate mobiles and PCs, users can remotely monitor field data quickly and conveniently anytime, anywhere, and remotely control and operate various machines such as water gates and pumps. As an administrator or a user for an abnormal or specific situation can quickly process the response procedure, the measurement environment is thoroughly monitored to reduce errors in measurement and prevent large accidents in advanc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현장감지센서부
200 :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
300 : IOT표출기
400 : 임베디드제어기
500 : 기계설비
600 : 클라우드서버
100: on-site detection sensor unit
200: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300: IOT display
400: embedded controller
500: hardware
600: cloud server

Claims (8)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에 있어서,
현장에 설치 구성되어 감지 정보를 통신 프로토콜 형태로 패킷화한 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현장감지센서부(100)와;

상기 현장감지센서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고,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이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되, 변환된 디지털값이 사전에 설정된 측정 레인지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이상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통신패킷데이터에 알람 플래그 처리하여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저장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IOT표출기로 전송하며,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에 제어 신호를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거나,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한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와;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 이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표출시키기 위한 IOT표출기(300)와;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기계설비(500)에 DO, AO, 시리얼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하기 위한 임베디드제어기(400)와;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고 분류한 후, 이를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 처리하며,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가 매칭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클라우드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신패킷데이터는,
헤더 필드, 아이디 필드, 블록 필드, 테일 필드, 씨알씨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In the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 field detection sensor unit 100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field and transmit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packetized in the form of a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Collect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on-site detection sensor unit, interpret and classify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convert it to a digital value, store it, and transmit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a cloud server. When the value is out of the range of the preset measurement range, it is judged as an abnormal signal and processes the alarm flag on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loud server. Transmitting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the embedded controller, or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to the embedded controller. )Wow;

When receiving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the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fter analyzing and classifying it, the IOT display device 300 for displaying through the display panel;

After receiving th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alyzing and classifying it, an embedd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by transmitting any one of DO, AO, and serial signals to the machine 500 400;

Collect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nalyze and classify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store it in the clou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cluding; a cloud server 600 for storing and processing the unit and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ed with the control signal input by the administrator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header field, an ID field, a block field, a tail field, and a MC fiel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필드는 프로토콜 시작을 알리는 STX, 프로토콜 분류 코드를 알리는 Code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디 필드는 아이디 길이를 알리는 ID Length, 장치 아이디를 알리는 ID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필드는 Block 길이를 알리는 Block Length, 명령 분류를 알리는 CMD, 세부 명령 분류를 알리는 Type, 데이터 상태를 알리는 AK/NK, Json 데이터와 bytes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테일 필드는 프로토콜 종료 코드를 알리는 Code, 프로토콜 끝을 알리는 ETX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씨알씨 필드는 헤더 필드부터 테일 필드까지의 SUM값을 알리는 CRC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er field includes STX indicating a protocol start and Code information indicating a protocol classification code,
The ID field includes ID length indicating the ID length and ID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vice ID,
The block field includes block length indicating block length, CMD indicating command classification, type indicating detailed command classification, AK / NK indicating data status, data information including Json data and bytes data,
The tail field includes a code indicating a protocol end code and ETX information indicating a protocol end,
The CC field includes a CRC information informing a SUM value from a header field to a tail field. The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감지센서부(100)는,
유량계, 전류계, 수위계, 전압계, 개도계, 소리센서, 진동센서, 온도센서, 수질센서, 염도센서, 공기질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100,
Flowmeter, ammeter, water level meter, voltmeter, opening meter, sound sensor, vibration sensor, temperature sensor, water quality sensor, salinity sensor, air quality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는,
현장감지센서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210);
상기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여 데이터를 분류한 후, 분류된 데이터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220);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제공된 통신패킷데이터와 변환된 디지털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알람플래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부(230);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처리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값과 사전에 설정된 측정 레인지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이상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통신패킷데이터에 알람 플래그 처리하여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알람플래그처리부(240);
사물인터넷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IOT표출기로 전송하는 제1모드,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에 제어 신호를 매칭시킨 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모드,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임베디드제어기로 전송하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IOT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 data collection unit 210 for collect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
A data processing unit 220 for analyzing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classifying the data, converting the classified data into digital values and storing the stored data in a data storage unit,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to a cloud server;
A data storage unit 230 stor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vid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converted digital values, and storing alarm packet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by the alarm flag processing unit;
An alarm flag processing unit 240 for determining an abnormal signal and processing an alarm flag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transmitting it to a cloud server when the digital value converted by the processing of the data processing unit exceeds a preset measurement range;
A control mode in which a control signal is matched to a first mode in which the communication packet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or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IOT display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alarm flag 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An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250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second mode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to the embedded controller and a third mode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to the embedded controller;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서버(600)는,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클라우드서버데이터수집부(610);
상기 수집된 통신패킷데이터 혹은 알람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분류한 후, 분류된 데이터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시키기 위한 클라우드서버데이터처리부(620);
상기 클라우드서버데이터처리부에서 제공된 통신패킷데이터와 변환된 디지털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저장부(630);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어 신호가 매칭된 원격제어통신패킷데이터를 생성하여 임베디드IOT전송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클라우드서버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640);
상기 현장감지센서부별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며, 클라우드저장부에 저장된 각 현장감지센서부별 데이터에 따라 통신상태, 전력상태, 계측값을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클라우드서버화면표출부(650);
상기 알람 플래그 처리된 통신패킷데이터를 해석하여 해당 현장감지센서부의 위치 정보, 계측값을 화면에 팝업시키며, 해당 현장감지센서부를 관할하는 담당자단말기(700)로 알람 발생 정보를 송출시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알람처리부(6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server 600,
A cloud server data collection unit 610 for collecting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A cloud server data processing unit 620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communication packet data or alarm flag-processed communication packet data, and converting the classified data into digital values and storing them in a cloud storage unit;
A cloud storage unit 630 which stores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data processing unit and converted digital values, and stores communication packet data processed by an alarm flag;
A cloud server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640 for generating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packet data matching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embedded IOT transmission terminal 200 when the control signal input by the administrator is acquired;
A cloud server screen display unit 650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ield detection sensor units on a screen and displaying communication status, power status, and measurement values on the screen according to data for each field detection sensor unit stored in the cloud storage unit;
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flag data processed with the alarm flag, pops up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measurement values of the relevant field detection sensor unit on the screen, and transmits the alarm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person in charge of the relevant field detection sensor unit 700, so that rapid processing is possible. An alarm processing unit 660 for allowing; an embedded IoT-based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6항에 있어서,
담당자단말기로 송출되는 알람 발생 정보에는,
현장감지센서부의 종류 정보, 현장감지센서부의 측정 범위 정보, 현장감지센서부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alarm occurrence information sent to the person in charge,
Internet of Things-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type information of the site sensor unit, measurement range information of the site sensor unit, and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ite sensor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IOT통신패킷데이터전송부(250)는,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모듈과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IOT communic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unit 250,
An IoT-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n LTE-M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TE-M communication method and an NB-Io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f the NB-IoT communication method.
KR1020190092798A 2019-07-31 2019-07-31 IoT 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KR102103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98A KR102103251B1 (en) 2019-07-31 2019-07-31 IoT 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98A KR102103251B1 (en) 2019-07-31 2019-07-31 IoT 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251B1 true KR102103251B1 (en) 2020-04-22

Family

ID=7047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798A KR102103251B1 (en) 2019-07-31 2019-07-31 IoT 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2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4295A (en) * 2021-01-30 2021-06-15 南京新高智联信息技术有限公司 Gate pump station intelligence measurement and control terminal based on 5G technique
KR20220063932A (en) * 2020-11-11 2022-05-18 케이웨더(주)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ir quality inform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76B1 (en) 2011-12-28 2013-09-12 (주) 휴스 Intelligence Water Management Automaton System Using Five Senses Information Based Sensor in Irrigation Facilities
KR20140017427A (en) * 2012-07-31 2014-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initial cofigurating of apparatus and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initial configuration
KR101682066B1 (en) * 2016-08-08 2016-12-20 (주)다온정보 System for managing green house using IoT technology
KR101801033B1 (en) 2015-05-27 2017-11-27 길주형 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s with Internet capabilities things
KR101813067B1 (en) * 2017-09-06 2017-12-28 홍석민 SCADA MAINTENANCE MANAGING SYSTEM AND A GATEWAY WITH IoT MONITORING FUNCTION
KR101931162B1 (en) * 2018-07-18 2019-03-13 (주)지에스티 A Embedded System for Information Communition Technolg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76B1 (en) 2011-12-28 2013-09-12 (주) 휴스 Intelligence Water Management Automaton System Using Five Senses Information Based Sensor in Irrigation Facilities
KR20140017427A (en) * 2012-07-31 2014-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initial cofigurating of apparatus and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initial configuration
KR101801033B1 (en) 2015-05-27 2017-11-27 길주형 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s with Internet capabilities things
KR101682066B1 (en) * 2016-08-08 2016-12-20 (주)다온정보 System for managing green house using IoT technology
KR101813067B1 (en) * 2017-09-06 2017-12-28 홍석민 SCADA MAINTENANCE MANAGING SYSTEM AND A GATEWAY WITH IoT MONITORING FUNCTION
KR101931162B1 (en) * 2018-07-18 2019-03-13 (주)지에스티 A Embedded System for Information Communition Technolg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32A (en) * 2020-11-11 2022-05-18 케이웨더(주)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ir quality information
KR20220092839A (en) * 2020-11-11 2022-07-04 케이웨더(주)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ir quality information
KR102415131B1 (en) 2020-11-11 2022-07-14 케이웨더(주)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ir quality information
KR102468816B1 (en) 2020-11-11 2022-11-18 케이웨더(주)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ir quality information
CN112964295A (en) * 2021-01-30 2021-06-15 南京新高智联信息技术有限公司 Gate pump station intelligence measurement and control terminal based on 5G techn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135B1 (en) Abnormal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equipment
KR102128707B1 (en) Autonomous Inspection and Failure Notification System for IoT-based Repair Facilities Using Intelligent Remote Terminal Device
US20220083032A1 (en) Smart factory monitoring system
CN207570596U (en) Mine pump monitoring device
KR101813067B1 (en) SCADA MAINTENANCE MANAGING SYSTEM AND A GATEWAY WITH IoT MONITORING FUNCTION
KR102138340B1 (en) Autonomous Inspection and Failure Notification System for IoT-based Repair Facilities Using Intelligent Remote Terminal Device
KR102231915B1 (en) Integrated IoT module and IoT-based Management System
KR20190102885A (en) Integrated IoT module and IoT-based Management System
KR101727530B1 (en) Maintenance System for electric installation based on mobile app
KR102103251B1 (en) IoT based embedded monitoring system
CN106656664A (en) Smart city power consumption safe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KR102165530B1 (en) A system for collecting data of railway equipmets with sensor adaptor
JP20181963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monitoring of energy
KR20210133503A (en) AI Type Total Security And Monitoring Service System
Panwar et al. Eyrie smart home automation using Internet of Things
KR102055984B1 (en) IoT platform system capable of managing city gas infrastructure
KR102022010B1 (en)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Sahani et al. A GSM, WSN and embedded web server architecture for Internet based kitchen monitoring system
CN108663970A (en) A kind of electric power opera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KR20200039880A (en) Wireless network-based sensing module of urban railway
CA3150968C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onitoring civil air defense equipment maintenance
CN205209544U (en) Detection system
KR20230033778A (e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having intelligent sensing sensors for preventing industrial field disaster and safety
EP2757803B1 (en) Fiel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85160A (en) Cloud-based disaster detection method and disaster analysis system that per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