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963B1 -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serendipity,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serendipity,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963B1
KR102100963B1 KR1020130077514A KR20130077514A KR102100963B1 KR 102100963 B1 KR102100963 B1 KR 102100963B1 KR 1020130077514 A KR1020130077514 A KR 1020130077514A KR 20130077514 A KR20130077514 A KR 20130077514A KR 102100963 B1 KR102100963 B1 KR 10210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mate
user
recommend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4947A (en
Inventor
김순원
조상혁
김민성
김선희
성병규
우종원
Original Assignee
(주)드림어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어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드림어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3007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963B1/en
Publication of KR2015000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매번 기존과 다르면서도 선호도에 적합한 음악이 추천되도록 하여 취향에 맞는 음악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한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과 그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어지는 사용자 음악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택 한 후 메이트의 공통 선호 곡과 사용자 경험 곡을 이용하여 음악을 추천하되, 이전 추천된 곡은 배제하도록 하여 매번 새로운 추천 음악을 통해 사용자 취향의 새로운 곡을 발견하도록 하거나 경험했던 곡을 재발견하도록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전 추천 곡의 배제에 의해 추천이 반복되면서 선호도가 순위가 낮은 음악이 사용자에게 추천되지 않도록 선택된 메이트들 중 일정 비율의 메이트는 신규 메이트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취향에 맞는 새로운 곡들이 지속적으로 추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and a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and method for recommending the music for discovering music to make it easy to discover music that suits your tastes by recommending music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but is suitable for preferences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s As to, the user preference is analyzed by analyzing user music history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various paths, and after selecting a mate having a high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user preference, music is recommended using the common preference song and user experience song of the mat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xclude a previously recommended song and to discover a new song of the user's preference through a new recommended music each time, or to rediscover an experienced song. In particular, as the recommendation is repeated due to the exclusion of the previous recommendation song, a certain percentage of mates among the selected mates such that music with a low preference is not recommended to the user is a new mat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Description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과 그 추천 방법{MUSIC RECOMMENDATION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SERENDIPITY,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OF}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for discovering music, system using same, and method for recommending it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SERENDIPITY,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악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매번 기존과 다르면서도 선호도에 적합한 음악이 추천되도록 하여 취향에 맞는 음악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한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과 그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a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for discovering music so that music suitable for preference can be easily discovered by recommending music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and suitable for preference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And a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recommending the same.

무선통신 기술과 단말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를 여러 경로를 통해서 접하는 생활이 일상화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erminal technology, a life in which a user encounters various types of media through various paths using a terminal has become common.

특히, 디지털화된 미디어의 이동성에 의해 사용자는 단말기 자체에 보유한 미디어 외에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어디서나 자신이 보유한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미디어 제공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미디어를 자신의 단말을 통해 스트리밍 형식으로 이용하거나 친구와 공유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the mobility of digitized media, users can use their own media anywhere through a cloud service in addition to the media held in the terminal itself, and use new media in streaming format through their terminals through various media provision services. Share with friends.

이러한 디지털화된 미디어는 다양한 미디어 제공 서비스의 등장에 의해 그 종류와 수가 폭발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상당 부분 무료나 낮은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다.With the advent of various media providing services, these digitized media are expanding exponentially in their types and numbers, and they can be used for free or at a low cost, so users can easily access them.

이렇게 방대하게 제공되는 미디어 중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음악으로, 그 통신 비용이나 부하에 비해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다. 따라서, 다양한 온라인 음악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음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형태로도 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It is music that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vastly provided media, and the user's satisfaction is high compared to the communication cost or load. Accordingly, various online music services have emerged and are also evolving in the form of music social network services.

한편, 이러한 온라인 음악 서비스 중에는 사용자의 보유 음원이나 기존에 재생해 본 경험이 있는 음원의 장르, 아티스트, 앨범 등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한 음원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방대한 음원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새로운 음악을 쉽게 발견하여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방대한 미디어에 대한 접근이 일상화되면서 사용자는 취향에 맞는 새로운 음악을 쉽게 발견하기를 기대하며, 서비스 제공자는 이러한 추천 음악에 대한 관심이나 구매를 유도하여 상업적 효과를 얻고자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se online music services, users can recommend similar sound sources using meta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own sound source or genre, artist, album, etc. of the sound source that has been played before, so that the user can find a new sound that meets his or her preference in a vast sound source. Music is easily discovered and enjoyed. As access to vast media becomes common, users are expected to easily discover new music that suits their tastes, and service providers induce interest in or purchase of these recommended music, resulting in commercial effects. I want to get

한편, 음악 추천 시 사람의 감성적 유사성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선호 장르나 취향과 유사한 사용자들의 선호 음악을 취합하여 이를 추천하는 방식도 이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se the emotional similarity of a person when recommending music, a method of combining and recommending music of users similar to the user's preferred genre or taste is also used.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추천 방식은 사람의 음악적 선호도가 쉽게 변화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용자 취향에 맞는 음악 추천 결과 중 상당 부분이 이전 추천 결과와 같아 추천 서비스를 반복하여 이용할 경우 신선함이 줄어들게 된다. 즉, 목표로 하는 선호도 일치가 오히려 제한이 되어 추천되는 대상의 인접 영역 음원들이 추천되지 못하고 추천되는 곡들만 매번 재추천되어 새로운 음악을 발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in the existing recommendation method, since the musical preference of a person is not easily changed,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music recommendation results suited to the user's preference is the same as the previous recommendation result, and the freshness is reduced when the recommendation service is repeatedly used. That is, the target preference matching is rather limited, and the adjacent region sound sources of the recommended object are not recommended, and only the recommended songs are re-recommended each time, and thus, it cannot respond to a user's request to discover new music.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22542호 [명칭: P2P 기반 음악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22542 [Name: P2P 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 선호도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어지는 음원의 메타 정보와 사용자의 명시적인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음악 로그 정보 고려하여 설정하면서, 이러한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들을 선택한 후 이러한 메이트들의 선호 음악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선호 음악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추천 곡을 선별하되, 기 추천 곡은 일정 조건이 될 때까지 배제시켜 매번 새로운 음악이 추천되도록 하는 데 있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set user preferences in consideration of music log information including meta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obtained through various paths and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of a user, and similarity to such user preferences After selecting the high mates, the recommended songs are selected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preferred music and the user's preferred music, but the recommended songs are excluded until a certain condition is made so that new music is recommended each time. have.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한 메이트를 선택할 경우 매번 소정 비율로 새로운 메이트가 포함되도록 하여 취향에 일치하면서도 자신에게 없는 새로운 음악을 추천 시마다 발견할 수 있도록 모집단을 확장시키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pand the population so that whenever a user selects a mate similar to the user preference, a new mate is included at a predetermined rate each time, so that new music that is not desired to the user can be found at every recommendation.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선호도가 유사한 메이트들을 선택한 후 해당 메이트들의 공통 선호 곡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선호 곡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없는 새로운 음악을 발견하거나 자신과 메이트가 공통으로 좋아하는 음악을 재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mates with similar preferences and then extract common preference songs of the corresponding mates and compare the user's preference songs to discover new music that they do not have, or to rediscover music that they and their mates have in common. It's about making it possible.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선호도 분석 시 명시적 선호도 정보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메이트 선택시 이용하되, 이력에 대한 볼륨을 감안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도록 하여 메이트 선택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weights when selecting a mate by assigning weights based on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when analyzing user preferences, but to determine the similarity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history so as to increase the precision for selecting the mate. Has to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는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장치 내 존재하는 음원에 대한 메타 정보와 해당 음원에 대한 로그 정보를 이력 정보로 수집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이력 분석부; 상기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으며 이전 메이트 그룹에 비해 적어도 기 설정된 비율 이상 새로운 메이트가 포함된 새로운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메이트 선택부; 및 상기 메이트 선택부에서 선택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들을 기준으로 이전 추천된 음악 정보와 다른 새로운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음악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for discovering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meta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existing in the user device and the log information for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user device where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A history analysis unit for analyzing user preferences by collecting information as history information; A mat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new mate group having a high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user preference and containing a new mate at least a predetermined ratio or higher than a previous mate group; And a music recommendation unit that generates new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different from previously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based on common preference songs of the mate group selected by the mate selection unit and provides th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to a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

상기 이력 분석부는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나 외부 음악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음악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다.The history analysis unit may analyze user preferences by receiving user subscription information through a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and collecting music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a social network service server or an external music service server to which the user has subscribed. .

상기 음악 추천부는 상기 선택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과 상기 수집된 이력 정보의 사용자 경험 곡과의 차집합이나 교집합 중에서 추천 음악 정보를 선택한다.The music recommendation unit selects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from a difference set or intersection between a common preference song of the selected mate group and the user experience song of the collected history information.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메이트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력 정보 내 음악과 타인의 이력 정보 내 음악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되, 해당 음악의 이력 정보 내 선호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며, 전체 감상 곡의 수에 따라 유사도를 조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te selection unit calculates the similarity by comparing the music in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and the music in another person's history information, but applies weights according to preferences in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music, and the total number of songs viewed. Similarity can be adjusted accordingly.

한편, 상기 이력 분석부는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추천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이력을 수집하며, 상기 음악 추천부는 상기 추천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명시적 선호도가 낮은 경우 해당 음악을 이후 추천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the history analysis unit collects a user history for the recommended music from a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and the music recommendation unit will not recommend the music afterwards if the user's explicit preference for the recommended music is low. Can be.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음악 추천부는 상기 이력 분석부를 통해 사용자가 경험한 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면서 이전 추천되지 않은 곡에 대한 정보를 얻어 경험했던 음악 중에서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자기 음악 추천부; 상기 메이트 선택부가 선택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과 사용자 경험 곡의 교집합과 차집합의 곡에서 이전 추천되지 않은 선호도 높은 곡을 추천 음악 정보로 생성하는 메이트 음악 추천부; 및 상기 자기 음악 추천부의 추천 음악 정보와 상기 메이트 음악 추천부의 추천 음악 정보 중 하나 혹은 그 혼합 정보를 최종 추천 음악 정보로 제공하는 혼합 추천부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music recommendation unit includes a self-music recommendation unit that generates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from among music that has been experienced by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song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recommended while having high preference for music experienced by a user through the history analysis unit; A mate music recommendation unit that generates, as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a song with high preference not previously recommended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common preference song and the user experience song of the mate group selected by the mate selection unit, and the difference set; And a mixed recommendation unit providing one or a mixture of th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of the self-music recommendation unit and th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of the mate music recommendation unit as final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음악 추천 앱과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외부 서비스 계정으로부터 사용자가 경험한 음원에 대한 메타 정보와 로그정보를 이력 정보로 수집하고, 상기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택하되, 이전에 비해 기 설정된 비율 이상 새로운 메이트가 포함된 새로운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여 해당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들을 기준으로 이전 추천된 음악 정보를 일정 기간 배제한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for discovering mus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the meta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experienced by the user from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nstalled on the user device and the external service account to which the user has subscribed. Collecting and analyzing user preferences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select a mate with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o the user preferences, but select a new mate group containing a new mate over a preset ratio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and select the mate group's common preferences.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excluding previously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based on the song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방법은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가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장치 내 존재하거나 스트리밍되는 음악에 대한 메타 정보와 상기 음악에 대한 로그 정보를 이력 정보로 수집하는 이력 수집 단계;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이력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구성하는 이력 분석 단계;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별하되, 매번 기 설정된 비율로 신규 메이트가 포함되도록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메이트 선택 단계; 및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가 상기 메이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을 기준으로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추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sic recommendation method for discovering music includes meta information on music existing in a user device or streamed from a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is installed, and log information on the music. A history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history information; A history analysis step i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configures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hrough history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history collection step; A step of selecting a mate to select a mate group such that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selects a mate having high similarity to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nd includes a new mate at a preset rate each time; And a recommendation step i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generates and provides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based on a common favorite song of a mate group selected in the mate selection step.

상기 추천 단계는 이전 추천된 음악 정보를 기 설정된 제한 기간 동안 배제하거나 기 추천된 곡에 대한 사용자 이력에 해당 곡에 대한 낮은 선호도가 명시된 경우 추천 음악 정보에서 해당 곡을 배제할 수 있다.In the recommendation step, the previously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may be exclud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when a low preference for the corresponding song is specified in the user history of the previously recommended song, the relevant song may be excluded from th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또한, 상기 이력 수집 단계에서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나 외부 음악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음악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history collection step,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may collect music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a social network service server or an external music service server.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이력 분석 단계는 상기 수집되는 이력 정보의 로그 정보로부터 명시적 선호정보를 확인하여 곡별 선호도를 스코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천 단계는 상기 이력 분석 단계의 곡별 선호도 스코어에 따라 사용자가 경험했던 곡 중 선호 곡에 대한 자기 추천 음악을 상기 추천 음악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istory analysis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of scoring preferences for each song by checking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from log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history information, and the recommendation step is performed on the preference score for each song in the history analysis step. Accordingly, the self-recommended music for the preferred song among the songs experienced by the user may be provided as th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한편, 상기 이력 수집 단계에서 상기 이력 정보로 수집되는 음원에 대한 로그 정보는 재생시간, 재생일시, 재생 횟수, 스킵 횟수, 선호도 선택, 공유, 구매,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명시적 선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og information for the sound source collected as the history information in the history collection step may include at least one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among play time, play date, play number, skip number, preference selection, sharing, purchase, and deletion. Can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 내 존재하는 음원에 대한 메타 정보와 해당 음원에 대한 로그 정보를 이력 정보로 수집하여 전송하는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에서 수신한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들을 선별하되, 매번 선별되는 메이트 그룹은 기 설정된 비율로 신규 메이트가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을 기준으로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음악 추천 앱에 제공하는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iscovering mus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device equipped with a music recommendation app that collects and transmits meta information on a sound source existing in a user device and log information on the sound source as history information; And analyzing user preferences through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and selecting mates having high similarity with the user preferences, wherein the selected mates group includes new mates at a predetermined rate. And a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that generates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based on a common favorite song of the mate group and provides it to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of the user device.

또한,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는 상기 이력 정보로 수집되는 음악 메타 정보를 표준화된 식별자나 다른 외부 음악 서비스에 사용되는 고유의 식별자와 매칭하여 동일 음악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manages the same music collectively by matching the music meta information collected as the history information with a standardized identifier or a unique identifier used in other external music services.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들을 선별할 경우 상기 선호도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스코어링하고, 해당 스코어의 범위에 따라 레벨을 분류한 정규화를 실시한 후 해당 정규화 결과를 기준으로 메이트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selectively scores the preferenc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selecting mates having high user preferences and similarities, performs normalization by classifying levels according to a range of the scores, and then performs the normalization results. Mate similarity can be determined as a criterion.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어지는 사용자 음악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택 한 후 메이트의 공통 선호 곡과 사용자 경험 곡을 이용하여 음악을 추천하되, 이전 추천된 곡은 배제하도록 하여 매번 새로운 추천 음악을 통해 사용자 취향의 새로운 곡을 발견하도록 하거나 경험했던 곡을 재발견하도록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preferences are identified by analyzing user music history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various paths, and after selecting a mate having a high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user preferences, recommending music using a common preference song and a user experience song of the mate However, there is an effect of excluding the previously recommended songs to discover new songs of the user's preference through new recommended music each time, or to rediscover the experienced songs.

특히, 이전 추천 곡의 배제에 의해 추천이 반복되면서 선호도가 순위가 낮은 음악이 사용자에게 추천되지 않도록 선택 메이트들 중 일정 비율의 메이트는 신규 메이트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취향에 맞는 새로운 곡들이 지속적으로 추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as the recommendation is repeated due to the exclusion of the previous recommendation song, a certain percentage of mates among the selected mates are made to be new mates so that music with a low preference rank is not recommended to the user.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또한, 메이트 선별을 위한 선호도 유사성 판단을 위해 개별 곡에 대한 스코어링 방식이나 재생 가중치 스코어링 방식 또는 정규화 방식 등을 적용하여 메이트 선별에 대한 부하를 줄이면서 선호도가 유사한 메이트를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개별 곡 외에도 아티스트나 장르에 대한 선호도를 더 고려하고, 전체 감상 곡에 대한 볼륨도 고려하여 다양한 타 사용자와의 선호도 유사성 판단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추천 곡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determine the similarity of preference for selecting mates, by applying a scoring method for individual songs, a replay weight scoring method, or a normaliz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lect mates with similar preferences while reducing the load on mating selection. In addition to individual songs, the preference for artists or genres is further considered, and the volume of the entire appreciation song is also considered, so the accuracy of judging the similarity of preference with various other users can be increased, which increases the user satisfaction with the recommended songs.

그 외에도 메이트 선별과 메이트 추천 곡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의 일부를 활용하여 자기가 경험한 곡에 대한 반복되지 않은 음악 추천도 가능하므로 익숙한 곡에 대한 추천과 메이트 추천에 의한 새로운 곡에 대한 추천을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혼합하여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취향에 맞는 추천 음악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commend non-repeatable music for songs that you have experienced by us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for selecting mate and creating a mate recommendation song, so users can recommend recommendations for familiar songs and new songs by mate recommendations. Since it can be easily listened to by selecting or mixing,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variety of recommended music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추천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추천 시스템의 음악 이력 수집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추천 서버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추천 앱의 메이트 선택 과정을 보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메이트 음악 추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추천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기 추천 음악 제공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메이트 선택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메이트 추천 음악 제공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history collection method of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sic recommend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te selection process of a music recommenda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ate music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sic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self-recommended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ate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mate recommendation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음악 메타 정보와 음악 로그(Log) 정보 및 음악 이력 정보를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음악 메타 정보는 음원에 포함된 곡명, 아티스트명, 앨범명, 장르 등을 포함하는 음원 자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며, 음악 로그 정보는 해당 음원을 재생한 일시나 횟수와 같이 사용자의 선호도를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외에도 재생시간, 재생일시, 재생 횟수, 스킵(skip) 횟수, 선호도 선택 정보, 공유, 구매, 삭제 등과 같이 명시적으로 사용자의 음원에 대한 선호를 알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음악 이력은 이러한 음악 메타 정보와 음악 로그 정보를 통칭하는 것이다. 물론, 도시된 구분의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라면 상기 언급하지 않은 구체적인 정보는 더 추가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will be described. Here, in order to effectiv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music meta information, music log information, and music history information are used separately, and the music meta information includes a song name, an artist name, an album name, and a genre included in a sound source. It means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itself, and music log information, in addition to information that can directly or indirectly check the user's preferences, such as the date and time of playing the sound source, the duration, playback date, number of playbacks, and number of skips , Information including preference selection information, sharing, purchasing, deletion, etc., that explicitly identifies information about a user's sound source, and the music history refers to such music meta information and music log information. Of course, if the illustrated principle of division is applied, specific information not mentioned above may be further added.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의 실시예로 서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사용자 장치의 실시예로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addition, a serv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a service device providing a service, and a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user device.

한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앱(App)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거나 단말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포괄하는 의미라는 것에 주의한다.On the other hand,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operated on a user terminal is expressed as an app, but it is noted that this is meant to download and install to a user terminal or to cover an application pre-installed on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추천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서 스트리밍 음악을 제공하는 음악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음악을 들을 수 있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s to a music providing system 200 that provides streaming music through the network 10 and desires I can listen to music.

일반적으로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성된 음악 서비스 서버(210)는 선택 음원의 전체 혹은 일부에 대한 무료 스트리밍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In general, the music service server 210 configured in the music providing system provides a free streaming transmission service for all or part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로컬 음원을 청취하고, 상기 음악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SNS 서버(20)나 다른 종류의 외부 음악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해서도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음악적 취향이나 선호도를 단순히 사용자 단말(100)의 보유 음원만을 기준으로 분석할 경우 신뢰도가 낮을 수 있다. The user can listen to a local sound sourc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access the music providing system 200, and listen to music. In addition, the SNS server 20 or another type of external music service server 30 ) To listen to music. Accordingly, reliability may be low when the user's musical taste or preference is simply analyzed based on the sound source of the user terminal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는 음악 추천 앱(110)이 설치되며,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상기 사용자 단말 내 존재하는 음원에 대한 메타 정보(곡 이름, 아티스트명, 앨범, 장르 등 음원 자체에 관한 정보)와 해당 음원에 대한 로그 정보(해당 음원에 관련된 사용자의 조작 내용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음원에 대한 선호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이력 정보로 수집하여 음악 추천 서버(220)에 제공한다. 도시된 음악 추천 서버(220)는 음악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음악 서비스 서버(210)와 분리되어 구성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음악 추천 서버(220)는 실질적으로 음악 서비스 서버(210)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sic recommendation app 110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meta information (song name, artist name, album, genre, etc.) about the sound source i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exists in the user terminal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itself) and log information for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for knowing the user's preference for the sound source as related to the user's operation related to the sound source) are collected as history information to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to provide. Although the illustrated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is shown to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music service server 210 that provides music-related information, this is for clarifying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is substantially It may be included as a part of the music service server 210.

상기 음악 추천 서버(2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음악 추천 앱이 제공하는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한 후 사용자가 경험했던 곡들 중에서 선호도가 높은 곡을 선별하여 추천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와 선호도가 유사한 다른 사용자들을 선별한 후 해당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곡을 선별하여 추천할 수 있다.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basically grasps a user's preference using history information provided by a music recommendation app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n selects and recommends a song having a high preference from among songs experienced by the user. The user may select other users with similar preferences to the user, and then select and recommend the songs preferred by the us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악 추천 서버(220)는 상기 사용자의 이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경험한 곡들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분석하여 곡에 대한 사용자 선호 가중치를 얻은 후,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선호도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들을 음악 친구라는 의미의 메이트(mate)로 선별하고, 이렇게 선별된 메이트가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곡들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 음악을 제공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analyzes preference information for songs experienced by a user based on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obtains a user preference weight for the song, and then sets preferences similar to the user. Eggplant selects other users as a mate in the sense of a music friend, and provides recommended music to the user based on songs commonly selected by the selected mate.

다만, 음악적 선호도가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번 유사한 추천 곡이 제공되는 기존 방식이 아니라 메이트 선별 시 마다(기 설정 주기, 예를 들어 매일) 이전에 비해 새로운 메이트가 소정 비율로 포함되도록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도록 하여 추천을 위한 모집단이 새로움을 유지하도록 하고, 한번 추천된 곡은 일정 조건(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의 경과)을 만족할 때까지 다시 추천되지 않도록 하여 매번 새로운 추천 음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musical preference does not change rapidly, a new mate is prescribed every time a mate is selected (a preset period, for example, every day) rather than the existing method in which a similar recommended song is provided every time. Select a mate group to be included as a ratio so that the population for recommendation will remain new, and once recommended songs will not be recommended again until certain conditions (e.g., over a period of time) are satisfied, so that each new recommended music Make information available.

즉, 사용자 취향에 맞는 새로운 음악을 발견할 가능성을 대폭 확장시키고, 사용자가 경험한 곡 중에서 유사 취향의 메이트들이 선호하는 곡을 재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 추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That is,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new music suited to the user's preference is greatly expanded, and the user's satisfaction with recommendation can be greatly increased by allowing users to re-discover the songs preferred by mates of similar taste among the experiences experienced by the user.

이러한 음악 추천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곡의 선호도를 다양하게 수집하고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음악 추천 앱(110)은 설치 시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다른 외부 음악 서비스에 관한 가입 정보를 문의할 수 있으며, 상기 음악 추천 서버(220)는 상기 음악 추천 앱을 통해 얻은 사용자 가입 정보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나 외부 음악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음악 이력 정보를 더 수집하여 사용자 선호도 판단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recommend such music,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various preferences of songs according to user preferences. To this end,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110 may inquire subscription information regarding a social network service or other external music service to which the user has subscribed during installation, and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is a user obtained throug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Through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the music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further collected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server 20 or the external music service server 30 and used a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user preferen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추천 서버(220)가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기 위해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우선 상기 음악 추천 서버(22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한 음악 추천 앱을 통해서 음원에 관한 메타 정보와 보유 정보, 상기 음원에 관한(보유하거나 혹은 삭제된 음원 포함) 로그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한다.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collects history information to determine a user's pre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is a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nstalled in), it continuously collects meta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and retained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including retained or deleted sound sources).

더불어, 음원 재생에 관한 기능과 외부 연동 기능을 구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했던 음원에 관한 메타 정보와 사용 로그 정보(포스팅 로그 등)를 수집하며, 외부 음악 서비스 서버(30)가 외부와 연동이 가능할 경우(예를 들어 오픈 API 제공 시) 해당 음악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청취했던 음원의 메타 정보와 사용 로그 정보를 수집한다. 이 경우 상기 음악 추천 서버(220)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와 외부 음악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되기 이전부터 누적된 음원 메타 정보와 로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비교적 상세히 알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erver 20 having a function related to sound source playback and an external linkage function collects meta information and usage log information (posting log, etc.) about the sound source used by the user, and the external music service server 30 ) Can be linked with the outside (for example, when providing an open API), collects meta information and usage log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that has been listened to from the corresponding music service server 30. In this case,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may collect accumulated sound source meta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server 20 and the external music service server 30 before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Through this,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can be known in relatively detail.

물론,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외부 음악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았을 수 있고 혹은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가입했더라도 누적 혹은 이후 수집되는 로그 정보가 빈약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음악 추천 앱을 설치할 경우 최초 음악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소정의 취향 정보를 질의하여 수집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게 소정 스타일의 음악을 복수로 들려주고 이들에 대한 선호도를 선택하도록 하여 취향을 수집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없더라도 소정 기준에 따른 추천 음악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명시적 선호도 정보가 포함되는 이력을 수집하는 것으로 점차 사용자 선호도에 적합한 추천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러한 초기 수동 선호도 정보 수집은 필수적이 아니다.Of course, when the user installs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the user may not use a social network service, may not have subscribed to an external music service, or may have poor log information collected or accumulated even after using or subscribing to such a service. In order to grasp the original music propensity, the user may be asked to collect predetermined taste information, and the user may be asked to listen to a plurality of music of a certain style and select preferences for them to collect tastes. However, even if there is no such process, it is not necessary to collect such initial manual preference informa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make recommendations suitable for user preferences by gradually collecting the history including the user's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for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음악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서 사용자 단말은 로그 정보 수집이 가능하며 외부 연동 음악앱을 가진 안드로이드 기반 단말이거나 아이오에스(iOS) 기반 단말일 수 있고, 음악 재생에 관한 기능을 구비하며 외부 연동성을 지원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페이스북(Facebook)과 연동할 수 있으며, 외부 음악 서비스로서 외부 연동성을 지원하는 라스트.에프앰(Last.fm)과 연동할 수 있다. 더불어, 음악 추천 앱의 경우 재생 기능을 지원하면서 보유 음원과 스트리밍 음원에 대한 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sic history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through various channels. As a specific example, the user terminal can collect log information and is an Android-based terminal or an iOS-based terminal having an externally linked music app. Last, FM (Last.fm), which can be linked with Facebook as a social network service that has functions related to music playback and supports external interoperability, and supports external interoperability as an external music service. Can be linked with.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usic recommendation app, it is possible to generate log information for a retained sound source and a streaming sound source while supporting a playback function.

이를 수집 출처별로 구분하여 예로서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This is classified by collection source and summarized as an example, as shown in Table 1 below.


수집 출처Collection source

보유possesion

재생일시Playback date
/재생시간/ Play time

재생횟수Play count

Skip 횟수Skip count

선호도preference

공유share

연령age

구매purchase
iTunes Music Player
iTunes Music Player



마지막
재생시간

Last
Playing time










음악 추천 앱

Music recommendation app













문의 시

Upon inquiry


Android Music
Player
Android Music
Player











Facebook

Facebook











Last.fm

Last.fm









즉, 음악 추천을 위해서 음악 추천 서버(220)는 복수 경로로 사용자 음악 이력을 수집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개별 곡에 대한 사용자의 명시적 선호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That is, for music recommendation,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can effectively grasp user preferences by collecting user music histories through multiple paths, and collect user's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for individual songs.

사용자의 명시적인 선호도 정보는 음악 추천 앱이 생성하는 로그 정보나 수집되는 이력 정보에 포함된 로그 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데, 명시적 선호 정보로는 재생시간, 재생일시, 재생 횟수, 스킵(skip) 횟수, 선호도 선택 정보, 공유, 구매, 삭제에 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The user's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can be checked from the lo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or the lo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llected history information. The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includes play time, play date, play count, and skip count. , Preference selection information, sharing, purchase, and deletion information may be used.

즉, 소정 음원이나 소정의 음악(음원의 위치나 재생 경로는 다르지만 동일한 음악)을 일정시간 동안 들었다는 것을 통해 해당 음악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재생 일시를 통해서 언제 재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재생 횟수를 통해서 관심도를 좀 더 명확하게 알 수 있고, 명시적으로 '좋아요(Like)'를 선택했다면 선호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하여 해당 음악을 공유했다면 이를 통해 해당 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해당 음악의 음원을 구매하였다면 선호도가 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해당 음악을 일부만 청취한 후 스킵(Skip)했다면 해당 음원에 대한 선호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싫어요(Dislike)'를 선택하거나 해당 음원을 삭제했다면 선호도가 아주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through listening to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or a predetermined music (same music, although the location or playback path of the sound source is differ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the music, and it is possible to check when the music was played through the playback date and time, You can see the interest level more clearly through the number of replays, and if you select 'Like' explicitly, you can see that the preference is quite high. In addition, if the music is shared, it can be seen that the preference for the music is high, and if the music source is purchased, the preference is extremely high. In addition, if you skip after listening to a part of the music, you can see that the preference for the sound source is low, and if you select 'Dislike' or delete the sound source, you can see that the preference is very low. .

한편, 상기 음악 추천 서버(220)는 이렇게 복수의 채널을 통해서 수집되는 각종 음악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수집되는 음악 이력은 적어도 곡명이나 아티스트명과 같은 기본적인 메타 정보가 있는 이력만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must integrate and manage information on various pieces of music collected through a plurality of channels, the music history collected in this way is a history with at least basic meta information such as a song name or an artist name. It is desirable to collect only.

또한 상기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어지는 음악 메타 정보를 통합적 선호도 판단을 위해 표준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상기 음악 추천 서버는 개별 음원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구비한 외부 음악 DB(예를 들어, iTunes, AMG, The Echo Nest 등)를 활용하여 이력이 수집되는 음원에 대한 음원 식별자(Song ID)를 표준화하거나 다른 상용 혹은 유명 음악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되는 음원의 식별자와 대응시키기 위해 매칭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음원의 표준화된 식별자 정보나 매칭 정보는 상기 음악 추천 서버가 별도의 DB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DB에 존재하지 않는 음원에 대해서만 외부 음악 DB에 질의하여 식별자를 표준화하고, 다른 외부 음악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고유의 식별자와의 매칭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music meta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various routes as described above for the determination of integrated preference. Therefore, if necessary,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utilizes an external music DB (for example, iTunes, AMG, The Echo Nest, etc.) having vast information about an individual sound source, and a sound source identifier (Song ID) for a sound source for which history is collected. ) Can be matched to standardize or correspond to an identifier of a sound source used in another commercial or famous music service server.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manages the standardized identifier information or match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s a separate DB, and standardizes the identifier by querying the external music DB only for sound sources that do not exist in the DB, and other external music. Matching information with a unique identifier used in the service can be configured.

이러한 표준화를 통해서 다른 음원이더라도 동일한 음악인 경우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선호정보를 누적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rough this standardization, even if different sound sources are the same music, it is determined that they are the same,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can be accumulated and managed collectively.

이후, 음악 추천 서버(220)는 상기 수집되어 분석된 사용자 선호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적절한 음악을 추천하는데, 사용자가 경험했던 음악 중 선호하는 음악을 제공하는 자기 추천 음악,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성향을 가지는 메이트들의 공통 선호 곡을 기반으로 하는 메이트 추천 음악, 혹은 이들의 혼합이 추천 음악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음악 추천 앱에 제공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recommends appropriate music to a corresponding user based on the collected and analyzed user preference information. Self-recommended music that provides a preferred music among users' experiences, and a similar tendency to the user Mate recommendation music based on a common preference song of mates having or a mixture of these may be provided to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of the user terminal 100 as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추천 서버(220)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음원에 관한 메타 데이터와 음원 식별 정보 및 매칭 정보를 보유한 음악 메타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와 회원에 대한 가입 정보, 선호도 정보, 메이트 그룹 정보 및 추천 음악 정보 등이 저장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202) 및 추천 음악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추천 음악 데이터베이스(203)와 연동될 수 있고, 이력 수집을 위한 외부 서버나 음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외부 서버 등 외부 연동 서버와 연동 될 수 있다. 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o the music meta information database 201 and members having metadata and sound sour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tching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Member database 202, which stores subscription information, preference information, mate group information, and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and the recommended music database 203 that manages information about recommended music, can be linked to an external server for collecting history B. It can be interlocked with an external interlocking server, such as an external server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상기 음악 추천 서버(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음악 추천 앱을 통해 획득하는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221)와, 사용자가 경험한 음악에 대한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이력 수집부(222)와, 상기 수집된 이력을 분석하여 개별 곡, 아티스트, 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선호 정보를 구성하는 이력 분석부(223)와, 상기 이력 분석부(223)를 통해 얻어진 사용자 선호 정보와 다른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가중치로 이용하여 공통 이력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여 메이트를 선별하는 유사 판단부(224)와, 사용자별 기 선택 메이트 그룹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메이트 관리부(225)와, 상기 유사 판단부(224)를 통한 메이트 유사도와 상기 메이트 관리부(225)의 메이트 이력을 통해 이전 메이트 그룹에 비해 적어도 기 설정된 비율 이상 새로운 메이트가 포함된 새로운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메이트 선택부(226)와, 상기 메이트 선택부(226)가 선택한 메이트의 공통 선호 곡을 기준으로 추천 음악을 생성하는 음악 추천부(227)를 포함한다.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includes a member management unit 221 for managing member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and a histor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historical information about music experienced by a user,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222), a history analysis unit 223 that analyzes the collected history and configures user preferenc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individual songs, artists, and genres, and user preferenc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history analysis unit 223.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24 which selects a mate by calculating the similarity to the common history by using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as a weight, and the mate management unit 225 that manages information on a group of mate groups for each user, and the similarity Through the mate similarity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224 and the mate history of the mate management unit 225, at least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of the new mate is included compared to the previous mate group. And a mate selection unit 226, and a music recommendation unit 227 is to generate the music like mate selection unit 226 is based on the common preference for the selected song mate selecting a new formate group.

음악 추천부(227)는 상기 이력 분석부(223)를 통해 사용자가 경험한 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면서 이전 추천되지 않은 곡에 대한 정보를 얻어 경험했던 음악 중에서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자기 음악 추천부, 상기 메이트 선택부(226)가 선택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과 사용자 경험 곡의 교집합과 차집합의 곡에서 이전 추천되지 않은 선호도 높은 곡을 추천 음악 정보로 생성하는 메이트 음악 추천부 및 상기 자기 음악 추천부의 추천 음악 정보와 상기 메이트 음악 추천부의 추천 음악 정보 중 하나 혹은 그 혼합 정보를 최종 추천 음악 정보로 제공하는 혼합 추천부를 포함한다.The music recommendation unit 227 is a self-music recommendation unit that generates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from music that has been experienced by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song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recommended while having high preference for music experienced by the user through the history analysis unit 223 , The mate music recommendation unit and the self-music for generating a previously unrecommended high-favorite song as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from the intersection and difference between the common preference song and the user experience song of the mate group selected by the mate selection unit 226 And a mixed recommendation unit providing one or a mixture of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of the recommendation unit and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of the mate music recommendation unit as final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도시된 구성에서, 상기 이력 수집부(222)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경로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경험한 음악에 대한 이력을 수집하며, 이렇게 수집된 이력은 기본적으로 이력 분석부(223)에서 분석되는데, 기본적으로 특정한 곡에 대한 명시적 선호도를 통해 해당 곡의 사용자 선호도를 스코어링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history collection unit 222 continuously collects the history of music experienced by the user through various paths as described in FIG. 2, and the collected history is basically a history analysis unit 223 ). Basically, the user preference of the corresponding song can be calculated through a scoring method through explicit preference for a specific song.

예를 들어, 하기의 표 2와 같이 재생 시마다 2점씩 가산하고, 명시적으로 '좋아요(Like)'를 선택하면 10점을 가산하며, 별도의 평가가 가능한 경우 평가도(별 1~3개) 곱하기 5점, 해당 곡을 구매할 경우 20점을 가산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곡을 기 설정된 재생 시간 이내에 스킵(Skip)하는 경우 -10점, 명시적으로 '싫어요(Dislike)'를 선택하는 경우 -20점, 해당 곡을 삭제하는 경우 -20점 등으로 스코어링할 수 있다. 물론 구체적인 점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2 below, 2 points are added for each playback, and 10 points are added if 'Like' is explicitly selected. You can add 5 points multiplied and 20 points when you purchase the song. In addition, if the song is skipped within a preset play time, it will be scored as -10 points when skipped, -20 points when explicitly selecting 'Dislike', -20 points when deleting the song, etc. Can be. Of course, the specific score can be variously determined.

선호도 스코어 항목Preference score item 곡추가
(Add)
Add song
(Add)
좋아요
(Like)
good
(Like)
싫어요
(Dislike)
I do not like it
(Dislike)
평가
(Rate)
evaluation
(Rate)
재생
(Play)
play
(Play)
스킵
(Skip)
Skip
(Skip)
구매
(Buy)
purchase
(Buy)
삭제
(Delete)
delete
(Delete)
1One 1010 -10-10 평가도*5Rating * 5 22 -10-10 2020 -20-20

상기 음악 추천부(227)의 자기 음악 추천부는 상기 이력 분석부(223)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곡별 선호도 스코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선호하는 음악을 추천할 수 있는데, 추천 음악의 새로움을 위해 이전에 추천된 음악은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다시 추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번 추천된 곡은 1주일 동안 추천되지 않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음악 활동에 따라 제외 기간이 가변 되도록 하거나, 기 설정된 선호도 이상에서 더 이상 추천할 곡이 없을 경우 추천 가능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조건이 적용될 수 있다. The music recommendation unit of the music recommendation unit 227 may recommend the music to the user based on the preference score for each song analyzed by the history analysis unit 223. The old music may not be recommended again until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For example, once recommended songs are not recommended for one week, the exclusion period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user's music activity, or if there are no more songs to recommend above the preset preferences, various conditions can be recommended. Can be applied.

한편, 추천 곡은 사용자 연령 정보, 스타일(장르), 무드, 템포, 유사도, 아티스트 등의 추가적인 선호 정보를 활용하여 더 필터링 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recommended song may be further filtered using additional p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user age information, style (genre), mood, tempo, similarity, and artist.

이러한 자기 음악 추천은 자신이 경험한 곡 중에서 사용자자 선호하는 곡들을 매번 새롭게 추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 곡들을 쉽게 발견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self-music recommendat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discover and listen to his / her favorite songs by allowing the user to newly recommend his / her favorite songs from among his / her experien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악 추천 서버(220)는 상기 자기 음악 추천 외에도 메이트 음악 추천을 통해서 사용자의 추천 음악 만족도를 높이는데, 상기 메이트 음악 추천은 사용자와 선호도가 비슷한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여 해당 그룹의 공통 선호 음악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와 선호도가 유사한 메이트를 선별하여 추천을 위한 모집단인 메이트 그룹을 선택할 때 매번(주기적으로) 메이트 그룹을 구성하는 메이트 중 일정 비율의 메이트가 기존과 다른 새로운 메이트가 되도록 함으로써 추천을 위한 모집단이 늘 새로울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메이트 그룹을 통한 추천 음악도 이전 추천 음악을 일정 조건을 만족시킬 때까지 배제함으로써 새로운 음악이 추천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o the self-music recommendation,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user's recommendation music satisfaction through mate music recommendation, and the mate music recommendation is selected by selecting a mate group having similar preferences to the user. It is based on the group's common favorite music. 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lecting a mate group that is a population for recommendation by selecting a mate having a similar preference with a user, a new ma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ate in a certain percentage of mates composing the mate group each time (periodically) Make sure that the population for recommendation is always new. In addition, the recommended music through the mate group also excludes the previous recommended music until a certain condition is satisfied so that new music can be recommended.

즉, 음악적 선호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와 선호도가 유사한 메이트를 선택하면 그 대상이 대부분 유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선호도에 대한 유사도가 높은 특정한 메이트들 뿐만 아니라 선호도에 대한 유사성이 기준보다 근소하게 낮은 주변 메이트들도 추천을 위한 모집단에 포함시키도록 하여 선호도가 높은 추천 음악들을 좀 더 다양화할 수 있으며, 매번 새로운 음악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마음에 드는 음악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추천 음악 정보를 통해 뜻밖의 재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매일 30%의 메이트가 신규하도록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매번 다른 모집단을 기준으로 새로운 음악이 추천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musical preference does not change rapidly, when a user selects a mate similar in preference to the user, the object may be mostly simi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ences as well as specific mates having high similarity to the preferences are not limited. You can also diversify the highly recommended music items by including the surrounding mates that are slightly lower than the standard in the population for recommendation, and new music is provided every time, so users can find the music they like. You will be 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unexpected fun through this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For example, new music can be recommended based on a different population each time by selecting a mate group such that 30% of the mates are new every day.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도 4a와 같이 이력 분석부(223)의 분석 결과를 통해 사용자가 경험했던 음악 이력(301)과 타 사용자의 이력(302)을 상기 유사 판단부(224)가 비교하여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한다.If thi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s shown in FIG. 4A,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history analysis unit 223, the music history 301 experienced by the user and the history 302 of another user are similar to the similar determination unit 224 ) Compares to calculate similarity for each.

산출된 유사도를 이용하여 메이트 선택부(226)는 도 4b와 같이 타 사용자 이력(302) 중 유사도가 높은 K개의 메이트를 선별(303)할 수 있는데, 메이트 관리부(225)의 기존 메이트 선택 이력(310)를 이용하여 이전에 선택되었던 메이트(하위 유사도의 메이트나 반복 선택된 이력이 많은 메이트 등) 대신 신규 메이트(차상위 유사도를 가진 메이트)를 선택하며, 이러한 신규 메이트가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30%)이 되도록 하여 이전에 비해 일정 비율(혹은 수)의 새로운 메이트가 포함된 메이트 그룹(320)를 선택한다.Using the calculated similarity, the mate selection unit 226 may select (303) K mates having a high similarity among other user histories 302, as shown in FIG. 4B, the existing mate selection history of the mate management unit 225 ( 310), instead of a previously selected mate (such as a mate of a lower similarity or a mate with a lot of repeated history), a new mate (a mate having a higher similarity) is selected, and this new mate has a preset ratio (for example, 30). %) To select a mate group 320 containing a certain percentage (or number) of new mate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상기 유사 판단부(224)의 유사도 판단은 단순히 자기 이력(301)의 음악과 타 사용자 이력의 음악 중 공통되는 음악의 숫자를 기준으로 하거나 자기 이력 내 장르, 아티스트, 무드, 템포, 유사 패턴 곡에 대한 분포와 타 사용자 이력 내 음악 분포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효과적인 유사도 판단을 위해서 앞서 이력 분석부(223)에서 각 사용자별 선호 곡에 대해 구한 선호도 스코어(예를 들어 표 2 이용)를 가중치로 활용하여 사용자 이력 간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of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24 is simply based on the number of music common among the music of the self-history 301 and the music of other user histories, or the genre, artist, mood, tempo, and similar pattern songs in the self-history. Although it may be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Korean music and the distribution of music in other user histori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ence score (for example, a table) obtained for each user's favorite songs in the history analysis unit 223 in order to effectively determine similarity 2) can be used as a weight to determine the similarity between user histories.

즉, 사용자 이력 중 가중치가 높은 곡을 공통으로 가진 타 사용자 이력은 높은 유사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개별 곡의 선호도 스코어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빠른 메이트 선별을 위해 단순히 재생 횟수를 별도로 스코어링하여 이를 가중치로 하여 유사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that other user histories having a song having a high weight among the user histories in common have high similarity. Of course, it is possible to use the preference scores of individual songs, but for quick mate selection, the similarity can be determined by simply scoring the number of replays separately as a weight.

단순히 재생 횟수를 스코어링 할 경우 다음의 표 3과 같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imply scoring the number of replays, the method shown in Table 3 below can be used.

재생 가중치 스코어 항목Replay weight score item 3회 이하3 times or less 4회~9회4 ~ 9 times 10회~50회10 ~ 50 times 50회 이상50 or more times 1One 22 33 44

한편, 이렇게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들을 동일한 수로 경험한 타 사용자들에 대한 유사도는 추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타인의 전체 감상곡 수를 감안하여 전체 감상 곡이 많은 사용자보다 전체 감상 곡의 수가 적은 사용자의 유사도를 더 높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A와 타 사용자 B, C의 이력에 대해서 n(A∩B)= n(A∩C)인 경우, n(A∪B)>n(A∪C)라면 B보다 C의 이력이 유사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milarity of other users who have experienced the same number of users' favorite music can be additionally adjusted. For example, considering the total number of songs enjoyed by others, the total number of songs enjoyed is less than the number of users having many songs. The user's similarity can be judged higher. That is, in the case of n (A∩B) = n (A 에 C) for the history of users A and B, C, if n (A∪B)> n (A∪C), the history of C is higher than B. It can be judged that the similarity is high.

이러한 공통 곡 이외에 공통 아티스트에 기반하여 유사도를 계산하고, 공통 장르에 기반하여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 곡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취향 일치 가능성이 다소 낮아지므로 곡 기반, 아티스트 기반, 공통 장르 기반의 순서로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고, 곡 기반 유사 메이트 선별 후 아티스트나 장르(혹은 무드, 비트 등) 유사도를 이용하여 필터링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유사도 도출 시 공통 곡의 수가 동일할 경우 공통 곡을 제외한 곡들의 장르를 감안하여 사용자의 선호 장르와 많이 겹칠수록 유사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se common songs, similarity can be calculated based on a common artist, and similarity can be calculated based on a common genre. Since the likelihood of matching the taste i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a song-based, song-based, artist-based, and common genre-based Similarity can be determined in order, and after selecting a song-based similarity mate, it can be filtered using artist or genre (or mood, beat, etc.) similarity. In addition, when deriving similarity, if the number of common songs is the sa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imilarity is higher as it overlaps with the user's preferred genre considering the genre of songs excluding the common song.

앞서, 유사도 계산을 위하여 곡에 대한 가중치와 전체 감상 곡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하는 방법, 곡 이외에 아티스트나 장르에 관한 추가적인 유사도 판단을 이용하는 방식에 관하여 살펴보았는데 보다 고속의 메이트 선별을 위해서 각 곡에 대한 선호도 스코어나 재생 가중치 스코어를 이용하여 정규화(normalization)한 결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기 표 4는 곡 단위 선호도나 재생 가중치에 대한 레벨, 아티스트 단위 레벨, 장르 단위 레벨을 비교적 큰 그룹으로 구분하고 있어 이러한 레벨 정보를 이용할 경우 메이트 선별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정규화 수치는 사용자의 평균 감상 횟수, 아티스트의 수, 장르의 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Previously, we looked at how to use weights for songs and weights for the whole listening song to calculate similarity, and how to use additional similarity judgments for artists or genres in addition to songs. Preference for each song for faster mate sel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result normalized using a score or a reproduction weight score. Table 4 below divides the level for the song unit preference or reproduction weight, the artist unit level, and the genre unit level into relatively large groups, so that when using such level information, the mate selection load can be reduced. The normalization numbe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number of users watching, the number of artists, and the number of genres.

곡단위Song unit 아티스트artist 단위 unit 장르 단위Genre unit 레벨level 곡 포인트Song point 곡포인트 합계Song Point Total 곡 포인트 합계Song Point Total 2이하2 or less 2이하2 or less 2이하2 or less 1One 3~53-5 2~102 ~ 10 11~10011 ~ 100 22 5~105 ~ 10 11~2011-20 101~300101 ~ 300 33 11~2011-20 21~5021-50 301~500301 ~ 500 44 21 이상21 or more 51 이상51 or more 501 이상501 or more 55

상기 설명한 유사도 판단을 통해 선별되는 메이트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비율의 메이트가 신규 메이트가 되도록 하여 최종적인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데, 이러한 메이트 그룹 내의 메이트 수는 K로 고정(혹은 사용자가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K가 되도록 선별 기준 유사도가 조절되거나 곡기준, 아티스트 기준, 장르 기준 등의 순서로 순차적 하위 수준에서의 유사도 판단 결과가 반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tes selected through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described above select the final mate group by making a mate of a predetermined ratio a new mate, and the number of mates in the mate group is fixed to K (or set by the user). The similarity of the selection criteria may be adjusted to be the corresponding K, or the results of similarity determination at a sequential lower level may be reflected in the order of song criteria, artist criteria, genre criteria, and the like.

도 5는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한 유사도 판단 결과 메이트 그룹을 선택한 경우 해당 메이트 그룹을 이용한 추천 음악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이트 그룹에 속한 메이트들의 공통 선호 곡을 기준으로 추천 음악을 추출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enerating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using a mate group when a mate group is selected as a result of similarity determination described through FIG. 4, based on a common preference song of mates belonging to the mate group, as shown in FIG.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ommended music can be extracted.

메이트들의 공통 선호 곡은 기본적으로 메이트들의 이력에 포함된 곡(음악)에 대한 교집합(330)을 기본으로 하는데, 해당 교집합 내의 곡들 중 선호도 스코어 합이나 평균이 높을 수록(혹은 재생 가중치 스코어의 합이나 평균이 높을수록) 추천 순위가 높아지게 된다. The common preference song of mates is basically based on the intersection 330 of the songs (music) included in the mates' history, the higher the preference score sum or average among the songs in the intersection (or the sum of playback weight scores or The higher the average, the higher the ranking of recommendations.

상기 메이트 교집합(330)에 포함되는 곡은 사용자가 경험한 곡과 사용자가 경험하지 못한 곡이 포함되는데, 자기 이력(301)과 메이트 교집합(330)의 차집합(331)과 교집합(332)의 내용을 토대로 추천 음악이 결정될 수 있다.The songs included in the mate intersection 330 include songs experienced by the user and songs not experienced by the user, of the difference 331 and intersection 332 of the self history 301 and the mate intersection 330 Recommended music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nt.

상기 자기 이력(301)과 메이트 교집합(330)의 차집합(331)은 상기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 중 사용자가 경험해 보지 못한 음악이며, 이 중에서 선호도(메이트 선호도)가 높은 곡 순서로 새로운 음악 발견을 위한 추천 음악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음악 중 사용자의 선호 장르와 같은 장르의 음악을 우선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전 추천된 음악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재추천에서 배제될 수 있다.The difference 331 of the self-history 301 and the mate intersection 330 is music that the user has not experienced among common preference songs of the mate group, and among them, new music is found in the order of songs with high preference (mate preferenc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for can be generated. Here, among the recommended music, music of a genre such as a user's preferred genre may be first recommended. Of course, the previously recommended music may be excluded from re-recommendation until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satisfied.

상기 자기 이력(301)과 메이트 교집합(330)의 교집합(332)은 상기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 중 사용자가 경험해 보았던 음악이며, 이 중에서 선호도(메이트 선호도)가 높은 곡 순서로 기존 음악의 재발견을 위한 추천 음악 정보가 생성된다. 물론, 여기서 이전 추천된 음악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재추천에서 배제될 수 있다.The self-history 301 and the intersection 332 of the mate intersection 330 are music that the user has experienced among common preference songs of the mate group, and among them, rediscovery of existing music in the order of songs with high preference (mate preferenc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for is generated. Of course, the previously recommended music may be excluded from re-recommendation until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satisfied.

따라서, 취향에 따라서 새로운 음악 발견을 위한 추천 음악 정보와 기존 음악의 재발견을 위한 추천 음악 정보의 비율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으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매번 새롭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익숙한 곡을 재발견할 수도 있다.Therefore,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ratio of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for rediscovering existing music and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for rediscovering existing music according to taste, it is possible to discover newly suited music each time, and rediscover familiar songs. have.

한편, 이렇게 추천한 추천 음악 정보를 통해서 추천 음악을 재생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로그 정보가 수집되는데, 추천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명시적 선호 정보에 따라 해당 추천 음악에 대한 재추천 기준을 조절하거나 해당 음악을 더 이상 추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음악 재생 중 스킵한 경우 해당 음악을 더 이상 추천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추천 음악 재생 중 '좋아요'를 선택한 경우 해당 음악의 재추천 배제 기간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s log information is collected even when the recommended music is played through the recommended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explicit preference for the recommended music, the re-recommendation criteria for the recommended music is adjusted or the corresponding music is You can also make it no longer recommended. For example, when skipping while playing a recommended music, the music can no longer be recommended, and if 'Like' is selected while playing the recommended music, the period for excluding re-recommendation of the music can be reduced.

도 6 내지 도 9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추천의 예시적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로서, 도 6은 전체 추천 음악 제공 방식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7은 사용자의 이력에 포함된 경험 곡에 대한 자기 음악 추천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메이트 선별에 관한 방식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메이트 음악 추천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6 to 9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music recommen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igure 6 is a flow chart of the overall recommendation music providing method, Figure 7 is the experience included in the user's history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commending magnetic music for a song, FIG. 8 is a flowchart for a method for selecting a mate, and FIG. 9 is a flowchart for a method for recommending a mate music.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에 음악 추천 앱을 설치하는 단계(S10)와, 상기 음악 추천 앱을 통해 과거의 누적된 이력 정보와 설치 이후 사용자의 이력 정보가 수집되어 음악 추천 서버에 전달되는 단계(S11)와, 상기 음악 이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음악 이력의 메타 정보를 표준화(예를 들어, SongID)하거나 매칭하여 음악 식별을 표준화하는 단계(S12)와, 상기 사용자의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곡별 선호도 스코어를 계산하고 필요한 경우 아티스트나 장르 등에 대한 선호도 스코어 합을 계산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구성하는 자기 이력 분석 단계(S13)와, 상기 자기 이력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와 타사용자의 유사도를 곡별 선호도 스코어(표2)나 재생 가중치 스코어(표3)를 반영하여 높은 유사도의 메이트를 선별한 후 새로운 메이트가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되는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메이트 선택 단계(S14)와, 상기 자기 이력 분석 단계에서 분석된 자기 음악 선호도에 따른 자기 음악 추천, 상기 메이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을 기준으로 하는 메이트 음악 추천 중 하나 이상이 이루어지는 음악 추천 단계(S15)로 이루어진다.First, referring to FIG. 6, installing a music recommendation app on a user terminal (S10), and past accumulated history information and user history information after installation are collected throug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and transmitted to a music recommendation server Step (S11), to standardize (e.g., SongID) or match the meta-information of the music history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music history, and standardize the music identification (S12), and analyze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By calculating the preference score for each song and calculating the sum of preference scores for an artist or genre, if necessary, a self-history analysis step (S13) of constructing user preference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lf-history analysis, the user's and other user's similarities are selected for each song. After selecting a mate with high similarity by reflecting the score (Table 2) or the replay weight score (Table 3), the new mate has a certain ratio. A mate selection step (S14) for selecting a mate group included above, a self-music recommendation according to the self-music preferences analyzed in the self-history analysis step, and a mate based on a common preference song of the mate group selected in the mate selection step It consists of a music recommendation step (S15) in which one or more of the music recommendations are made.

상기 과거/지속 이력 정보 수집 단계(S11)는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외에도 외부 연동 기능을 가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외부 음악 서비스를 통해서 사용자 음악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The past / continuous history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11) may collect user music history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having an external linkage function or an external music service in addition to a user terminal in which a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도 7은 상기 도 6의 음악 추천 단계(S15)에서 자기 음악 추천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을 보인 것으로, 상기 자기 이력 분석 단계(S13)에서 도시된 수집 이력 확인 단계(S21)와 곡별 선호 이력 스코어링 단계(S22)가 실시될 수 있고, 그 외의 단계는 음악 추천 단계(S15)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FIG. 7 shows a method for self-music recommendation in the music recommendation step (S15) of FIG. 6, the collecting history confirmation step (S21) and the preference history scoring for each song shown in the magnetic history analysis step (S13). S22 may be performed, and other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music recommendation step S15.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면, 우선 수집된 다양한 경로의 사용자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곡별로 이력을 정리하는 수집 이력 확인 단계(S21)와, 상기 곡별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곡에 대한 명시적 선호 정보를 예를 들어 표 2를 이용하여 확인하여 곡별 스코어를 산출하는 곡별 선호 이력 스코어링 단계(S2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illustrated flowchart, first, collecting history confirmation step (S21) of checking user history information of various paths collected and arranging histories for each song, and using th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song,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song is exemplified. For example, it includes a preference history scoring step for each song (S22) for calculating the score for each song by checking using Table 2.

상기 곡별 선호 이력 스코어링 단계(S22)에서 각 곡에 대한 선호도가 명시적 점수로 스코어링되는데, 이러한 곡별 스코어를 이용하여 아티스트 누적 스코어나 장르별 누적 스코어가 더 얻어질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추후 메이트 선별이나 추천 곡 선별 시 참조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reference for each song is scored as an explicit score in the preference-scoring step for each song (S22). Using this score for each song, an accumulated artist score or a cumulative score for each genre may be further obtained. When selecting a recommended song, it can be used as reference information.

이렇게 사용자가 경험했던 곡에 대한 이력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자신의 곡 중 선호 곡을 추천하는 자기 음악 추천을 위해서, 상기 곡별 스코어가 높은 순서로 추천 후보 곡을 선별하는 후보 곡 선별 단계(S23)와, 상기 선별된 후보 곡 중에서 기 설정된 기간 내 추천 이력이 있는 곡(혹은 배제 조건이 해소되지 못한 곡)을 파악하여 해당 곡을 제외하는 단계(S24, 25)와, 추천 가능한 곡들로 자기 추천 곡을 생성하여 해당 음악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자기 추천 곡 제공 단계(S26)가 진행될 수 있다.In order to self-refer to recommend a preferred song among his songs to the user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song that the user has experienced, the candidate song selection step of selecting the recommended candidate songs in the order of highest score for each song (S23) And, identifying the songs (or songs whose exclusion condition has not been resolved) within a preset period among the selected candidate songs and excluding the corresponding songs (S24, 25), and self-recommended songs as recommendable songs A self-recommended song providing step (S26) of providing music recommendation information by generating the may be performed.

상기 자기 추천 곡을 추천 음악 정보에 포함시킬 것인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메이트 추천 곡과 혼합하여 추천 음악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Whether or not to include the self-recommended song in th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may be mixed with a mate recommended song as necessary to configur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자기 추천 곡이라 하더라도 한번 추천되면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기 전에는 다시 추천되지 않기 때문에 소정 기간 내에 추천되는 자기 추천 곡은 매번 달라지게 되어 사용자가 익숙하면서도 자신이 선호하는 자신의 음악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다.Even if the self-recommended song as described above is recommended once, the self-recommended song recommend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is different every time because it is not recommended again until a certain condition is satisfi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isten to his or her favorite music. can do.

도 8은 음악 추천 서버에서 각 사용자별로 이루어지게 되는 자기 이력 분석의 결과를 활용하여 자신과 선호도가 유사한 음악친구, 즉 메이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8 shows a process of selecting a music friend, ie, a mate, who has similar preferences to himself,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self-history analysis performed for each user in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이트 유사도 판단을 위한 기준이 되는 이력 분석 정보를 준비하는 음악 성향 정보 구성 단계(S31)와, 상기 이력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곡별 재생 가중치 스코어를 구하거나 곡별 선호 스코어를 추출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기준으로 정규화를 실시하는 곡 재생 기반 가중치 부여 단계(S32)와, 각 곡에 대해서 얻어진 곡별 선호도 스코어나 재생 가중치 스코어 혹은 정규화 레벨을 이용하며, 전체 감상 곡수, 아티스트나 장르 유사도, 공통 곡 제외 곡의 장르 일치도 등을 고려하여 타 사용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사용자와 메이트 간 유사도 산출 단계(S33)와, 상기 산출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기 설정된 수준으로 선별하는 상위 메이트 선별 단계(S34)와, 상기 선별된 메이트 중 기 설정된 비율로 신규 메이트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여 기준치까지 신규 메이트로 교체하여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S35, S36, S37)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music propensity information configuration step (S31) of preparing historical analysis information as a reference for mate similarity determination, and using the historical analysis information to obtain a playback weight score for each song or extracting a preference score for each song, as necessary In this case, based on this, the song regeneration-based weighting step of performing normalization (S32) and the preference score or replay weight score or normalization level for each song obtained for each song are used, and the total number of appreciation songs, artist or genre similarity, and common songs are excluded. A similarity calculation step (S33) between a user and a mate that calculates the similarity to another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genre matching degree of a song, and a higher mate selection step (S34), which selects a mate having a high level of similarity to a predetermined level, Check if new mates are included at a preset ratio among the selected mates. Sublethal to a step (S35, S36, S37) to be replaced by new mates select formate group.

상기 신규 메이트 교체 단계(S36)는 유사도가 낮으면서 이전 선택된 메이트를 차상위 유사도를 가지면서 이전에 선택되지 않은 메이트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신규 메이트를 선택할 수 있고, 이전 메이트 선택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해당 메이트 대신 차상위 유사도를 가지면서 선택되지 않았던 메이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In the step of replacing the new mate (S36), a new mate may be selected by replacing the previously selected mate with a mating not previously selected while having a similar similarity while having a low similarity, and the corresponding mate is selected in order of the number of times the previous mate is selected frequently. Instead, you could choose a mate that wasn't selected, with similarity to the next level.

즉, 이렇게 신규한 메이트가 메이트 집단 갱신 시(예를 들어 매일)마다 예를 들어 30%가 되도록 할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 음악을 제공할 모집단은 늘 일정 부분 새로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if the new mate is set to 30% for each update of the mate group (for example, every day), the population that will provide the recommended music to the user will always be able to maintain a certain part of the newness.

도 9는 메이트 집단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이트 집단으로부터 메이트 추천 음악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인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이트 집단에서 메이트 간 공통 곡을 추출하는 단계(S41)와, 상기 메이트 공통 곡과 사용자가 경험했던 사용자 곡과의 차집합과 교집합을 추출하는 것으로 성향이 유사한 메이트가 공통적으로 경험했지만 사용자는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곡을 차집합으로 선별하고, 성향이 유사한 메이트와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경험한 선호도가 높은 곡을 교집합으로 선별하는 단계(S42)와, 상기 선별된 차집합이나 교집합 중 하나 이상의 집합에 포함된 곡 중에서 메이트 선호도(곡별 선호 가중치 스코어나 재생 가중치 스코어) 합이나 평균이 높은 곡들을 추천 후보 곡으로 선별하는 단계(S43)와, 설정 기간 내(혹은 기 설정된 다른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추천 이력이 있는 곡을 제외시키는 단계(S44, S45)와, 추천 후보 곡 중에서 기존 추천 곡과 다른 곡으로 메이트 추천 곡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메이트 추천 곡 제공 단계(S46)를 포함한다. 9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mate recommendation music from a corresponding mate group when a mate group is selected, as shown, extracting a common song between mates from the mate group (S41), and the mate common song and the user By extracting the difference set and intersection with the user song experienced by the user, the mates with similar inclinations have experienced common experiences, but the user selects new songs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as the difference set, and the preferences commonly experienced by the mates and users with similar inclination The step of selecting a high song as an intersection (S42), and among the songs included in one or more sets of the selected difference or intersection, a mate preference (preferred weight score for each song or a reproduction weight score) sum or a song having a high average is a candidate for recommendation Step (43) for selecting songs, and other criteria within a set period (or a preset period) Excluding recommendations) (S44, S45), and mate recommendation song provision step (S46)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 mate recommendation song with a song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commendation song among the recommended candidate songs. .

사용자의 음악적 선호도는 변화가 심하지 않으므로 매번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별하여 선호도가 높은 추천 곡을 선별하면 추천 곡 중 대부분이 유사하게 되고, 단순히 이전 추천한 곡을 이번 추천에서 배제하도록 할 경우 추천이 반복될수록 사용자의 취향과 멀어지거나 메이트 공통 곡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추천 곡을 선별하는 모집단이 되는 메이트 그룹 내의 메이트가 적어도 일정한 비율로 매번 교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선호도에 근접한 메이트 공통 곡을 다양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전 추천 곡이 일정 기간 혹은 일정 조건에 따라 배제되더라도 매번 달리 추천되는 추천 곡이 사용자의 선호도에 일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Since the user's musical preferences are not changed much, selecting a highly recommended mate each time to select a highly recommended recommendation song will make most of the recommended songs similar, and if you simply exclude the previously recommended song from this recommendation, the recommendation will be repeated The more it becomes, the farther away from the user's preference, or the lack of a common mate song may occur.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 in the mate group, which is a population for selecting the recommended songs, is changed at least at a certain rate every time, thereby diversifying the common songs for the mates close to the user preference, and accordingly, the previous recommended songs are fixed for a certain period or Even if it is excluded according to certain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a recommended song that is differently recommended each time matches the user's preference.

결국, 매번 새로운 추천 결과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선호도에 유사한 음악이 추천되어 새로운 음악을 발견하거나 경험했던 곡을 재발견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despite providing new recommendation results every time, similar music is recommended to the user's preferences, so that new music can be discovered or rediscovered experiences, thereby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특히, 추천 음악에 대해서도 명시적 선호도 정보를 제공하며, 해당 정보가 지속적으로 음악 추천 서버에서 수집되므로 추천 음악을 통한 선호도 파악이 빠르게 누적되며, 추천 음악이 스킵되는 경우 이후 해당 음악이 추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후 추천 결과를 직접 조작할 수 있어 사용에 따라 추천 음악에 대한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explicit preference information is also provided for recommended music, and since th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collected from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er, the grasp of preference through the recommended music is rapidly accumulated, and if the recommended music is skipped, the music is not recommended afterwards Since the recommendation result can be directly manipulated, the satisfaction with the recommended music can be further increased according to u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in the claims. .

본 발명은 사용자 음악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택 한 후 메이트의 공통 선호 곡과 사용자 경험 곡을 이용하여 음악을 추천하되, 이전 추천된 곡은 배제하도록 하여 매번 새로운 추천 음악을 통해 사용자 취향의 새로운 곡을 발견하도록 하거나 경험했던 곡을 재발견하도록 하도록 함으로써, 매번 새로우면서도 사용자 취향에 적합한 추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인 것이므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분야, 음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분야,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가 도입되는 텔레매틱스 분야, 미디어 광고 분야, 미디어 판매 및 확산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user music history information, grasps user preferences, selects a mate with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o the user preferences, and recommends music using the mate's common preference songs and user experience songs. Excluded by allowing users to discover new songs of their preference through new recommended music each time, or to rediscover the songs they have experienced. It can be widely used in the service provision field, music social network service provision field, telematics field where streaming music service is introduced, media advertising field, media sales and diffusion field.

10: 네트워크 20: SNS 서버
30: 외부 음악 서비스 서버 100: 사용자 단말
110: 음악 추천 앱 200: 음악 서비스 시스템
210: 음악 서비스 서버 220: 음악 추천 서버
221: 회원 관리부 222: 이력 수집부
223: 이력 분석부 224: 유사 판단부
225: 메이트 관리부 226: 메이트 선택부
227: 음악 추천부
10: network 20: SNS server
30: external music service server 100: user terminal
110: music recommendation app 200: music service system
210: music service server 220: music recommendation server
221: member management unit 222: history collection unit
223: history analysis unit 224: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225: Mate management unit 226: Mate selection unit
227: music recommendation department

Claims (13)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장치 내 존재하는 음원에 대한 메타 정보와 해당 음원에 대한 로그 정보를 이력 정보로 수집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이력 분석부;
상기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으며 이전 메이트 그룹에 비해 적어도 기 설정된 비율 이상 새로운 메이트가 포함된 새로운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메이트 선택부; 및
상기 메이트 선택부에서 선택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들을 기준으로 이전 추천된 음악 정보와 다른 새로운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음악 추천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이트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력 정보 내 음악과 타인의 이력 정보 내 음악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되, 해당 음악의 이력 정보 내 선호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며, 전체 감상 곡의 수에 따라 유사도를 조정하며,
상기 타인의 이력 정보 중 기 설정된 기준을 기반으로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메이트 중 상기 사용자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에 선택되었던 메이트 대신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의 상기 새로운 메이트를 선택하며, 상기 새로운 메이트가 포함된 상기 새로운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
A history analysis unit for analyzing user preferences by collecting meta information about sound sources existing in the user device and log information for the sound sources as history information through a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A mat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new mate group having a high degree of user preference and similarity and containing a new mate at least a predetermined ratio or higher than a previous mate group; And
Includes a music recommendation unit that generates new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different from previously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based on common preference songs of the mate group selected by the mate selection unit and provides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to the installed user device.
The mate selection unit calculates the similarity by comparing the music in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and the music in another person's history information, applies weight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in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music, and applies the similar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ongs viewed. Adjust,
Select a mate with high similarity based on a preset criterion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other person, and select the new mate above a preset ratio instead of a previously selected mate using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among the selected mat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for music discovery, characterized by selecting the new mate group containing the new m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분석부는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나 외부 음악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음악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history analysis unit collects the user's music history information from a social network service server or an external music service server to which the user subscribes by receiving user subscription information through a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for discovering music, characterized by analyzing preferen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추천부는 상기 선택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과 상기 수집된 이력 정보의 사용자 경험 곡과의 차집합이나 교집합 중에서 추천 음악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The music for music discovery of claim 1, wherein the music recommendation unit selects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from a difference or intersection between a common preference song of the selected mate group and a user experience song of the collected history information. Recommended service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분석부는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추천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이력을 수집하며, 상기 음악 추천부는 상기 추천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명시적 선호도가 낮은 경우 해당 음악을 이후 추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istory analysis unit collects a user history for the recommended music from a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and the music recommendation unit plays the music when the user's explicit preference for the recommended music is low.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for discovering music, which is not recommended afterwar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추천부는
상기 이력 분석부를 통해 사용자가 경험한 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면서 이전 추천되지 않은 곡에 대한 정보를 얻어 경험했던 음악 중에서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자기 음악 추천부;
상기 메이트 선택부가 선택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과 사용자 경험 곡의 교집합과 차집합의 곡에서 이전 추천되지 않은 선호도 높은 곡을 추천 음악 정보로 생성하는 메이트 음악 추천부; 및
상기 자기 음악 추천부의 추천 음악 정보와 상기 메이트 음악 추천부의 추천 음악 정보 중 하나 혹은 그 혼합 정보를 최종 추천 음악 정보로 제공하는 혼합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usic recommendation unit
A self-music recommendation unit that generates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from music that has been experienced by acquiring information on songs that have not been previously recommended while having high preference for music experienced by the user through the history analysis unit;
A mate music recommendation unit that generates, as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a previously unrecommended high preference song from the intersection and difference between the common preference song and the user experience song of the mate group selected by the mate selection unit; And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for music discov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ommendation information of the music recommendation of the self-music recommendation unit and the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of the mate music recommendation unit or a mixture of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as the final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가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장치 내 존재하거나 스트리밍되는 음악에 대한 메타 정보와 상기 음악에 대한 로그 정보를 이력 정보로 수집하는 이력 수집 단계;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이력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구성하는 이력 분석 단계;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별하되, 매번 기 설정된 비율로 신규 메이트가 포함되도록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메이트 선택 단계; 및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가 상기 메이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을 기준으로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추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이트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력 정보 내 음악과 타인의 이력 정보 내 음악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되, 해당 음악의 이력 정보 내 선호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며, 전체 감상 곡의 수에 따라 유사도를 조정하며,
상기 타인의 이력 정보 중 기 설정된 기준을 기반으로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메이트 중 상기 사용자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에 선택되었던 메이트 대신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의 새로운 메이트를 선택하며, 새로운 메이트가 포함된 새로운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방법.
A music collection service step i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collects meta information on music existing in the user device or streamed from the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and log information on the music as history information;
A history analysis step i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configures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hrough history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history collection step;
A step of selecting a mate to select a mate group such that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selects a mate having high similarity to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nd includes a new mate at a preset rate each time; And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includes a recommendation step of generating and providing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based on a common favorite song of a mate group selected in the mate selection step,
In the selecting of the mate, the similarity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music in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and the music in another person's history information, but applying weights according to preferences in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usic, and similar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ongs viewed. Adjust the
A mate with high similarity is selected based on a preset criterion among the other person's history information, and a new mate having a predetermined ratio or higher is selected instead of a previously selected mate using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among the selected mate. Music recommendation method for discovering music, characterized by selecting a new group of mates that contain mat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계는 이전 추천된 음악 정보를 기 설정된 제한 기간 동안 배제하거나 기 추천된 곡에 대한 사용자 이력에 해당 곡에 대한 낮은 선호도가 명시된 경우 추천 음악 정보에서 해당 곡을 배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commendation step excludes the song from th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when the previously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is excluded for a preset limit period or when a low preference for the song is specified in the user history of the previously recommended song. Music recommendation method for discovering music, characterized in tha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수집 단계에서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나 외부 음악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음악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방법.The music recommendation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history collection step,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collects music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a social network service server or an external music service serv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분석 단계는 상기 수집되는 이력 정보의 로그 정보로부터 명시적 선호정보를 확인하여 곡별 선호도를 스코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단계는 상기 이력 분석 단계의 곡별 선호도 스코어에 따라 사용자가 경험했던 곡 중 선호 곡에 대한 자기 추천 음악을 상기 추천 음악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istory analysis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coring the preferences for each song by checking explicit preferences from log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history information, and the recommendation step comprises the preference scores for each song in the history analysis step. A music recommendation method for discovering music, characterized in that self-recommended music for a preferred song among the songs experienced by a user is provided as the recommended music inform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수집 단계에서 상기 이력 정보로 수집되는 음원에 대한 로그 정보는 재생시간, 재생일시, 재생 횟수, 스킵 횟수, 선호도 선택, 공유, 구매,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명시적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방법.The lo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collected as the history information in the history collection step is at least one explicit preference among play time, play date, play number, skip number, preference selection, sharing, purchase, and deletion. Music recommendation method for discovering music, characterized by including information. 사용자 장치 내 존재하는 음원에 대한 메타 정보와 해당 음원에 대한 로그 정보를 이력 정보로 수집하여 전송하는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음악 추천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에서 수신한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들을 선별하되, 매번 선별되는 메이트 그룹은 기 설정된 비율로 신규 메이트가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메이트 그룹의 공통 선호 곡을 기준으로 추천 음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음악 추천 앱에 제공하는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의 이력 정보 내 음악과 타인의 이력 정보 내 음악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되, 해당 음악의 이력 정보 내 선호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며, 전체 감상 곡의 수에 따라 유사도를 조정하며,
상기 타인의 이력 정보 중 기 설정된 기준을 기반으로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를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메이트 중 상기 사용자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에 선택되었던 메이트 대신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의 새로운 메이트를 선택하며, 새로운 메이트가 포함된 새로운 메이트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시스템.
A user device having a music recommendation app installed to collect and transmit meta information on a sound source existing in the user device and log information on the sound source as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er preference is analyzed through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on which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is installed, and the mates having high similarity with the user preference are selected, but the mate group that is selected each time includes a new mate at a predetermined rate, and the And a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that generates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based on a common preferred song of the mate group and provides it to the music recommendation app of the user device.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calculates the similarity by comparing music in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and music in another person's history information, and applies weights according to preferences in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usic, and similar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ongs viewed. Adjust the
A mate with high similarity is selected based on a preset criterion among the other person's history information, and a new mate having a predetermined ratio or higher is selected instead of a previously selected mate using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among the selected mate.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iscovering music, characterized by selecting a new mate group containing mat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선호도와 유사도가 높은 메이트들을 선별할 경우 상기 선호도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스코어링하고, 해당 스코어의 범위에 따라 레벨을 분류한 정규화를 실시한 후 해당 정규화 결과를 기준으로 메이트 유사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발견을 위한 음악 추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device scores the preferences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when selecting mates having a high degree of user preference and similarity, and performs normalization after classifying levels according to a range of the corresponding scores. Mus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iscovering music,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mate similarity based on the results.
KR1020130077514A 2013-07-03 2013-07-03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serendipity,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of KR102100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514A KR102100963B1 (en) 2013-07-03 2013-07-03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serendipity,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514A KR102100963B1 (en) 2013-07-03 2013-07-03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serendipity,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947A KR20150004947A (en) 2015-01-14
KR102100963B1 true KR102100963B1 (en) 2020-05-15

Family

ID=5247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514A KR102100963B1 (en) 2013-07-03 2013-07-03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serendipity,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9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193B1 (en) * 2016-11-17 2018-01-16 (주)판도라티비 Streaming service method using real-time transformation file format
CN110968726B (en) * 2019-10-29 2023-10-31 哈尔滨师范大学 Music push system
CN115022363B (en) * 2022-05-30 2024-04-16 深圳季连科技有限公司 Information sharing method based on internet of vehicles and considering safety
KR102565105B1 (en) * 2022-12-14 2023-08-09 주식회사 맥스테일 System for providing online marketing service using fake review filter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8067B (en) * 2007-08-08 2017-11-24 知识产权之桥一号有限责任公司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reseptance
KR20100022542A (en) 2008-08-20 2010-03-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peer to peer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100053135A (en) * 2008-11-12 2010-05-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and contents recommendation method
KR20130031564A (en) * 2011-09-21 2013-03-29 김주환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of music recommend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947A (en)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154B1 (en)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 preference and method thereof, and server and device applied to the same
US79859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pdating a pre-categorized song database from which consumers may select and then download desired playlists
US79417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user preference settings for a category, and in particular a media category
US10469549B2 (en) Device for participating in a network for sharing media consumption activity
US20090071316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usic storage
US201401807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music selection
US81807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t least one media for recommendation to a user
US7970922B2 (en) P2P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US201601475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music selection and distribution
CN102222080B (en) Music content based on user preference is collected
US20080243733A1 (en) Rating media item recommendations using recommendation paths and/or media item usage
US20100049862A1 (en) Personalized streaming digital content
US201301918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Vote Based Media System
US20060155754A1 (en) Playlist driven automated content transmission and delivery system
CN103080962A (en) Networked system with supporting media access and social networking
KR20110086095A (en) A method and system for accounting for download transactions and social network interaction
CA2610038A1 (en) Providing community-based media item ratings to users
KR101422772B1 (en)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for generating music playlist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and ratings and method thereof
EP2304613A1 (en) Playlist manager
KR102100963B1 (en)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serendipity,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of
Bourreau et al. Does digitization lead to the homogenization of cultural content?
KR102100964B1 (en)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s feedback, and service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102096473B1 (en)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s condition, and and service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US20220188062A1 (en) Skip behavior analyzer
US91650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user music taste database, method for selecting a piece of music for recommendation, music piece selection system and data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