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093B1 -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 Google Patents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093B1
KR102099093B1 KR1020180012225A KR20180012225A KR102099093B1 KR 102099093 B1 KR102099093 B1 KR 102099093B1 KR 1020180012225 A KR1020180012225 A KR 1020180012225A KR 20180012225 A KR20180012225 A KR 20180012225A KR 102099093 B1 KR102099093 B1 KR 102099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template
render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2922A (en
Inventor
김용필
김석태
최광일
Original Assignee
타임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임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타임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8001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9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사용자가 개인 사진을 이용하되 다양하고 화려한 모션 그래픽 및 시각효과를 적용하여 고품질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 전문 디자이너에 의존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에서나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맞춤형 모션 그래픽 영상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easily create a personal image from any device, anytime, anywhere, without relying on a professional designer in creating high-quality video contents by applying various colorful motion graphics and visual effects by using multiple personal photos. It is related to a user-customized motion graphic image production system.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모션 그래픽 영상 제작 시스템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영상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다수 사용자가 개인 사진을 이용하되 다양하고 화려한 모션 그래픽 및 시각효과를 적용하여 고품질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 전문 디자이너에 의존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에서나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맞춤형 모션 그래픽 영상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duction system, and in detail, multiple users use personal photos, but apply various and colorful motion graphics and visual effects to produce high-quality image contents without relying on a professional designer anytime, anywhere, any It is related to a user-customized motion graphic image production system that makes it easy for a user to make it on a device.

디지털 영상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카메라뿐 아니라 휴대전화에 내장된 카메라 화소와 기능이 발전함에 따라 촬영된 사진의 양과 활용도가 점차 커지고 있으며 촬영한 사진에 각종 효과 및 기록을 추가하여 촬영 당시의 느낌이나 감정을 한층 강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영상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imaging technology, as the number of cameras and functions built into mobile phones as well as digital cameras develops, the amount and utilization of the photographed photographs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demand for images that can be enhanced and provided is also increasing.

이러한 영상은 주로 돌잔치, 결혼식, 환갑연 등의 행사에서 활용되었으며 근래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과 통신속도의 개선으로 인터넷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감에 따라 개인 블로그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또는 유튜브 등을 통해 자신이 직접 제작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들을 게시하여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거나 게시물에 대한 다양한 반응과 의견 등을 피드백 형태로 받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 등에서도 활용되고 있다.These videos were mainly used at events such as first birthdays, weddings, and 60th birthdays. Recently, as internet usage has increased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and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peed, through personal blog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or YouTube, etc. It is also used in online communication activities such as post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created by oneself and sharing them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r receiving various responses and comments on posts in the form of feedback.

하지만, 이러한 영상 콘텐츠를 개인이 직접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가이면서도 사용이 복잡한 콘텐츠 제작 툴의 사용법을 알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제작 툴의 사용법뿐 아니라 전문적인 프로그램 언어까지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양질의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personally produce such video contents, users need to know how to use expensive and complicated content creation tools, and also require professional programming languages as well as how to use these production tools.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making your own.

이에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영상이나 이미지 또는 문구 등을 제작자에게 제공하면 제작자는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를 요구에 따라 편집한 다음,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편의를 도모하는 제작서비스도 등장하였으며, 특화된 웹사이트를 통해 자신의 콘텐츠를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작 툴 등을 제공하기도 한다.Accordingly, if a user directly provides a video, image, or text photographed by the user to the producer, the producer edits the data provided by the user as required and then provides the user with a production service for convenience. It also provides production tools that make it easier and more versatile to create your own content.

하지만, 이러한 콘텐츠 제작 서비스 또한 단순한 슬라이드 쇼 수준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고품질의 모션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스스로 배경화면과 사진 등을 직접 조절해야 할 부분이 많아 전문지식이 없이 사용하기가 여전히 어려웠다.However, most of these content production services also produce video content at the level of a simple slide show.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motion images, users have to manually adjust the background and photos themselves, so it is difficult to use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It was still difficult.

또한, 제작형태에 따라 여전히 툴 활용에 익숙한 전문가의 수작업 분량도 상당부분 동반되어야 하며 이러한 형태는 결국 사용자에게 다양성 및 선택권 없이 식전 동영상을 고가의 비용으로 구매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질 뿐 아니라 업무 트래픽 집중으로 인해 수많은 인력이 소요되어 운영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roduction type, the amount of manual work by experts who are still accustomed to using the tool must be accompanied by a considerable amount, which in turn leads to the purchase of pre-dinner videos at high cost without diversity and options, as well as concentrated work traffic.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operate because it required a large number of personnel.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9035호(2016.07.27)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9035 (2016.07.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지한 사진을 활용하여 웹 기반으로 누구나 쉽게 화려한 모션 그래픽 및 시각효과가 적용된 고품질의 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되 N : N 기반의 대형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모션 그래픽 영상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nyone to easily produce high-quality images with colorful motion graphics and visual effects applied to the web based on their own pictures. It is to provide a user-customized motion graphic image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lement a large-scale ser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테마정보가 부여된 배경화면상에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를 포함한 템플릿이 타임 라인에 따른 프레임단위로 작성된 상태로 테마정보 및 배경화면별로 분류 및 저장되는 템플릿저장부; 테마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이 이루어지되, 선택된 테마정보가 부여된 대표 탬플릿을 제공하여 삽입될 사진 및 텍스트와 음향을 포함하는 소스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소스정보 중 사진 및 텍스트의 크기와 위치를 해당 템플릿의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연동부; 상기 연동부를 통해 소스정보가 반영된 템플릿을 타임 라인에 따라 렌더링하여 영상으로 제작하는 렌더링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e above purpose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mplate containing an image inserting section and a text inserting section on a background screen to which the theme information has been assigned. part; An input unit for providing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photographs, texts and sounds to be inserted by providing a representative template to which theme information is selected by providing theme information, but providing selected theme information; A linking unit for arrang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hoto and text among the input source information to correspond to the image inserting unit and the text inserting unit of the corresponding template; A rendering unit that renders a template in which source information is reflected through the linker according to a timeline and produces an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이때 배경화면상에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를 배치하여 템플릿을 제작하되 타임 라인에 따라 배경화면의 애니메이션 효과부여와 배치된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설정과 대표 템플릿 지정 기능을 제공하고 제작된 템플릿을 상기 템플릿저장부에 저장하는 템플릿설정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inserter and text inserter are placed on the background screen to create a template, but the animation effect of the background screen along with the timeline is set,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laced image inserter and text inserter are set and the representative template designation function A template setting unit that provides and stores the produced template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연동부는 각 배경화면의 이미지 삽입부의 좌표정보에 대하여 대응하는 소스정보의 이미지를 삽입하되, 이미지의 기울기 및 사이즈를 변형하는 변환부와, 이미지 변형 및 해당 배경화면에 대응하는 해상도 및 명암과 대비 및 채도를 조절하는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unit inserts an image of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mage inserting unit of each background screen, but a transform unit that transforms the slope and size of the image, and an image transform and resolution and contrast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screen. It may include a correction unit for adjusting the contrast and saturation.

또한, 상기 이미지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이미지에 적용되되 지정시간 동안 이미지 밝기 및 선명도와 연관된 이미지 속성 변화를 포함하는 효과정보가 테마정보 및 배경화면별로 설정 및 저장되는 효과설정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렌더링부는 템플릿에 대응하는 효과정보를 불러들여 제작되는 영상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effect setting unit applied to an image inserted through the image inserting unit, wherein effect information including image attribute changes associated with image brightness and clarity for a specified time is set and stored for each theme information and background scree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ndering unit loads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mplate and reflects it in the produced image.

또한, 상기 렌더링부는 복수로 구비된 렌더링 서버를 통해 분산 구성되되, 영상 제작작업을 순차적으로 접수하되 제작될 영상용량 및 렌더링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의 산출결과를 통해 구비된 렌더링 서버의 작업량을 비교하여 가장 빠른 처리가 가능한 렌더링 서버로 전송하는 할당부와, 각 렌더링 서버의 렌더링 성공 여부 및 렌더링 소요시간과 파일 경로를 생성하는 리포팅부를 구비하는 스케줄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ndering unit is configured to be distributed through a plurality of rendering servers, a calculation unit that sequentially receives the image production work to calculate the image capacity and rendering time to be produced, and the rendering server provided through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on unit A schedule management unit having an allocation unit that compares the workload of the data and transmits it to a rendering server capable of the fastest processing, and a reporting unit that generates success or failure and rendering time and file path of each rendering serv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영상 제작분야에서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면 업무의 병목현상과 수동 작업을 통한 업무의 비효율성, 단순 반복 작업을 통한 작업자의 업무 피로도 상승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다수 사용자 기반의 동영상 자동 제작 플랫폼 구축을 실현하며, 이를 활용하여 여행업계, 결혼업계, 행사 전문 업계 등 관련 사업분야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pointed out as the biggest problem in the field of video production, it solves problems such as bottleneck of work, inefficiency of work through manual work, and increase in work fatigue of workers through simple repetitive work, thereby automatically producing video based on multiple users. Realizing the platform construction, it can be used effectively in related business fields such as travel industry, marriage industry, and event industry.

또한, 자동화된 플랫폼 작업을 통해 디자인 작업자는 단순작업자에서 새로운 템플릿 개발을 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수 있는 생산적인 환경으로 탈바꿈할 수 있으며, 기존의 서비스 제공자 중심의 시스템에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로 전환을 통해 동영상 제작 단가를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automated platform work, design workers can transform from simple workers to productive environments where they can invest time and effort in developing new templates, and transition from existing service provider-oriented systems to user-oriented servic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novatively lower the production cost of video.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서버 운영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ndering server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사용자 맞춤형 모션 그래픽 영상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customized motion graphic im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의 영상 제작 서비스는 전문 디자이너가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디자인된 프로젝트 콘텐츠를 분석, 사용자의 사진과 제작 툴을 통해 작업지시서 기반의 영상 제작을 수작업으로 수행하였으며, 수작업 편집이 완료되면 최종 결과물 제작을 위해 렌더링 작업을 한 후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통해 전달하는 형태로 운영되었다.In the conventional video production service, a professional designer analyzed the project contents designed using a professional program, and manually produced a work instruction-based video through a user's photo and production tools, and produced the final result when the manual editing was completed. It was operated to deliver to users via email after rendering work.

이러한 기존 영상제작 업무 프로세스는 실질적으로 1차 시안완성, 고객 확인 및 수정 요청, 수정본 제작이 수반되므로 많은 단계에 걸쳐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프로세스는 시간과 노동력의 큰 손실을 유발할 뿐 아니라 1:1의 업무 형태로 인한 사업 확장에서의 한계가 있었다.This existing video production business process has been carried out in many stages since it is accompanied by the first draft completion, customer confirmation and correction request, and revision production, and this process not only causes a great loss of time and labor, but also 1: 1 There was a limit in expanding the business due to the type of work.

또한, 영상 제작자의 기준으로 사진 편집, 배치 등의 콘텐츠 제작 기준으로 사용자의 불만족도 역시 높은 경우가 많았으며, 제작자 측면에서 반복되는 작업으로 인해 업무의 효율도 현저히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되었다.In addition, the user's dissatisfaction was often high as a standard for creating content such as photo editing and placement as a video producer's standard, and the work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lowered due to repeated work from the producer's side.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플로차트로서, 앞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스스로 템플릿의 선택, 사진의 배치 등과 같은 단순한 작업만으로 영상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작하여 받을 수 있는 형태의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에 따른 웹 서비스 적용 기술, 다수의 영상제작 렌더링 서비스 대응을 위한 렌더링 작업의 관리업무 등이 시스템에 포함되고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ment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a template and photograph themselves. Providing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produce and receive video content with simple tasks such as deployment of the web, and the web service applic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of rendering tasks to cope with multiple video production rendering services are included in the system. Is becoming.

즉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운영이 가능한 웹 기반 사진 편집 및 제작 기술의 제공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영상제작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렌더링 서버의 운용 및 관리, 비교적 오랜 시간이 걸리는 렌더링 시간의 절감 방안이 적용된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based photo editing and production technology capable of operating on various platforms, and operates and manages multiple rendering servers so that multiple users can simultaneously produce images, and reduces rendering time tha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he measures appl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템플릿설정부(110)와, 템플릿저장부(120)와, 입력부(130)와, 연동부(140)와, 효과설정부(150)와, 렌더링부(160)와, 스케줄관리부(170)를 구비하게 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late setting unit 110, the template storage unit 120, the input unit 130, interlocking A unit 140, an effect setting unit 150, a rendering unit 160, and a schedule management unit 170 are provided.

상기 템플릿저장부(120)는 영상 제작의 틀이 되는 템플릿이 미리 작성되어 저장되는 구성으로, 디자이너는 상기 템플릿설정부(110)를 통해 미리 템플릿을 제작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template storage unit 12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template that is a frame of image production is created and stored in advance, and a designer can create and store a template in advance through the template setting unit 110.

이러한 템플릿은 테마정보가 부여된 배경화면상에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를 포함한 형태로 제작되되, 제작된 템플릿을 통해 영상이 제작됨에 따라 타임 라인에 따른 프레임단위로 템플릿이 작성된 상태로 테마정보 및 배경화면별로 분류 및 저장된다.These templates are produced in a form including an image inserting section and a text inserting section on the background to which the theme information is assigned, but as the video is produced through the created template, the template information is created in frame units along the timeline and the theme information and Sorted and stored by background.

상기 테마정보는 이러한 영상 제작 서비스가 주요 이루어지는 분야로서, 가족사진을 기반으로 가족 간의 사랑과 행복을 표현할 수 있는 가족테마, 연인의 사진을 기반으로 연인 간의 소중한 추억과 사랑을 나타내는 연인테마, 아기 사진을 기반으로 사랑스러운 아기의 성장과정을 남길 수 있도록 하는 아기테마, 친구 사진을 기반으로 친한 친구와의 소중한 추억을 간직할 수 있도록 하는 우정테마를 기본으로 상품광고나 온라인 쇼핑, 결혼이나 각종 행사 영상에 적용할 수 있는 위한 테마가 지정되어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eme information is a field in which these video production services are mainly performed, and family themes can express love and happiness between families based on family photos, lovers themes based on the photos of lovers, and lovers' photos that show love and love of babies. Based on a baby theme that allows you to leave a lovely baby's growth process based on the picture, and a friendship theme that allows you to keep precious memories with a close friend based on a friend's photo, you can use it for product advertisement, online shopping, wedding or various event videos. The themes for application can be specified and classified.

또한, 이러한 테마정보는 각각의 분위기에 맞는 배경화면을 수반하게 되므로 제작되는 템플릿들은 테마정보를 기반으로 각 테마에 어울리는 배경화면별로 분류 및 저장될 수 있으며, 각 배경화면은 액자나, 스크린, 미러, 틀 등의 사물을 포함하게 되며 이러한 사물을 통해 이미지 삽입부가 구비되어 배경화면과 삽입되는 이미지 즉 사용자가 삽입한 사진이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eme information is accompanied by a wallpaper suitable for each atmosphere, so the produced templates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wallpaper suitable for each theme based on the theme information, and each wallpaper is a picture frame, screen, mirror It includes objects such as a frame, and an image insertion unit is provided through these objects, so that a background screen and an inserted image, that is, a picture inserted by a user, can be combined.

또한, 영상에 대한 인트로를 비롯하여, 영상제목과 기념일자 등 텍스트를 삽입하기 위한 적절한 텍스트 삽입부가 배경화면에 어울려 배치됨으로 사용자 메시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n appropriate text inserting unit for inserting text, such as an intro to the video, video title and anniversary, i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screen, so that a user message can be inserted.

상기 템플릿설정부(110)는 앞서 언급한 템플릿을 작성하거나 속성부여 및 수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테마정보와 어울리는 배경화면상에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를 배치하여 템플릿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타임 라인에 따라 배경화면의 애니메이션 효과부여와 배치된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설정과 대표 템플릿 지정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The template setting unit 110 is a component for creating or modifying and modifying the above-mentioned template, and basically, an image inserting unit and a text inserting unit are arranged on a background screen matching the theme information so that a template can be produced. It provides animation effect of the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timeline, set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image inserting section and text inserting section, and designating a representative template.

이때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의 부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름, 파도, 흔들리는 식물 등 다양한 자연환경이나 기계적인 움직임, 슬라이드 영상, 초점변경 등 타임 라인에 따른 플랫폼 배경화면의 변화를 통해 애니메이션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At this time, various animation effects can be given, and various effects such as animation can be given through various natural environments such as clouds, waves, and shaking plants, or through changes in the platform wallpaper according to the timeline such as mechanical movement, slide images, and focus changes. can do.

또한, 각 템플릿에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를 배치하며 제작된 템플릿을 상기 템플릿저장부(120)에 저장하게 되며, 제작 및 저장된 템플릿의 수정도 가능하다. 이러한 템플릿 설정은 전문성을 요하는 작업이므로 사용자보다는 전문 디자인 엔지니어가 활용하는 구성이 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n image inserting unit and a text inserting unit are disposed in each template, and the produced template is stored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20, and the created and stored templates can be modified. Since such a template setting is a task requiring expertise, it may be a configuration utilized by a professional design engineer rather than a user.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에게 테마정보를 제공하여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테마정보가 부여된 대표 탬플릿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삽입될 사진 및 텍스트와 음향을 포함하는 소스정보를 입력받게 된다.The input unit 130 provides theme information to the user for selection, but provides a representative template to which the them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provided, so that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pictures and texts and sounds to be inserted from the user is input. do.

상기 연동부(14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스정보 중 사진 및 텍스트의 크기와 위치를 해당 템플릿의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에 대응하도록 조정후 삽입·배치하게 된다.The interlocking unit 140 adjust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hoto and text among the sour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to correspond to the image inserting unit and text inserting unit of the corresponding template, and then inserting and disposing them.

이때 상기 연동부(140)는 각 배경화면의 이미지 삽입부의 좌표정보에 대하여 대응하여 소스정보의 이미지를 삽입하되, 이미지의 기울기 및 사이즈를 변형하는 변환부(141)와, 이미지 변형 및 해당 배경화면에 대응하는 해상도 및 명암과 대비 및 채도를 조절하는 보정부(142)를 포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terlocking unit 140 inserts an image of source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to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mage inserting unit of each background screen, and a transformation unit 141 for transforming the slope and size of the image, and the image trans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wallpaper It includes a correction unit 142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and contrast and contrast and saturation corresponding to.

즉 이미지의 단순 슬라이드 형태의 사진 배치가 아닌 3D(X, Y, Z축)기반의 움직임에 자연스럽게 매칭되어 움직이는 형태가 구현되어야 하며, 정확한 이미지(사진)의 정확한 좌표 매핑으로 스틸컷 형태의 미리 보기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In other words, rather than simply arranging photos in the form of a simple slide of the image, the movement must be realized by naturally matching 3D (X, Y, Z-axis) -based movement. You will be presented with a screen.

또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일반 사용자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하여 손쉽게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 제공을 위해 상기 입력부(130)에서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과 함께 단일화면 내에서 사진선택, 편집(Crop 및 배치 등)을 하면 실시간으로 미리 보기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 general user can easily access video sites and create video contents, the input unit 130 provides an intuitive interface screen configuration, and selects and edits pictures within a single screen (Crop and Batch, etc.) so that you can check the preview in real time.

이때 상기 입력부(130)와 함께 주어지는 편집창 영역에서 편집되는 X, Y축은 실시간으로 미리 보기 영역으로 비율 적용되어 사용자가 즉시 확인이 가능한 형태로 액자에 표출되고, Z축은 동영상 애니메이션 영역으로 회전 값이 적용되므로 사전 적용값이 적용되어 표출된다.At this time, the X and Y axes edited in the edit window area provided with the input unit 130 are applied in real-time to the preview area and displayed on the frame in a form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and the Z axis is rotated to the video animation area. Since it is applied, the pre-applied value is applied and displayed.

이러한 이미지 매핑 작업은 사전 템플릿 등록시에 장면별 액자영역 등에 자동 매칭되도록 사전 설정값을 입력하여 해당 값들이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에 따라 비율적으로 자동 적용되도록 구성되며, 가로/세로 이미지 삽입부 영역에 따른 판단을 통해 세로 방향 삽입부에 세로방향의 이미지를 배치, 가로 방향 삽입부에 가로방향의 이미지를 배치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is image mapping opera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preset values are automatically matched to the frame area of each scene when registering the pre-template, and the values are automatically applied in proportion to the image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judgment, a vertical imag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and a horizontal image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insertion portion to enhance user convenience.

텍스트 경우 별도의 편집 툴을 통해 구분하여 삽입하게 되며, 기본적으로 텍스트는 제작될 영상 템플릿에서 정의된 폰트와 글자 크기, 애니메이션 등이 적용이 되어 결과물로 제공되나, 이러한 부분은 웹 기반의 특성에 따른 문제로 윈도우 기본 폰트를 기반으로 문구를 수정하고 간단히 위치 체크 정도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ext, it is separated and inserted through a separate editing tool. Basically, text is provided as the result by applying the font, font size, animation, etc. defined in the video template to be produced, but these part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web-based characteristics. As a problem, it is desirable to modify the text based on the Windows default font and configure it to simply check the location.

소스정보에 포함된 음향의 경우, 기본은 템플릿 내에 포함된 제공되는 음악을 기본으로 적용하여 제작이 되는 형태로 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원할 경우 mp3 포맷의 음악으로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sound included in the source information, the basic can be produced by applying the provided music included in the template as a basis, but if desired, the user can change the music to mp3 format.

이와 같이 영상 자동제작을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나면 확인단계를 통해 제작 전 최종 점검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확인단계에서는 선곡된 음향을 들으며, 재생되는 장면 단위로 넘겨가면서 사진 배치의 상태 점검, 자막 문구 확인 등을 거치도록 구성하여 동영상 최종 제작 점검이 가능하도록 한다.After all the preparations for automatic production of the image are completed, it is desirable to perform a final inspection step before production through a confirmation step. In this confirmation step, the selected sound is listened to, and it is configured to go through the unit of the scene being played and check the status of the arrangement of pictures, check the subtitle phrase, etc., so that the final production inspection of the video is possible.

상기 효과설정부(150)는 상기 이미지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이미지 특수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 삽입된 이미지를 지정시간 동안 밝기 및 선명도와 연관된 이미지 속성 변화를 포함하는 효과정보가 테마정보 및 배경화면별로 설정 및 저장되어 타임 라인에 따라 변하는 배경화면에 대응한 삽입 이미지의 밝기 및 선명도가 변하며 어울림을 주게 된다.The effect setting unit 150 is configured to give a special effect to an image inserted through the image inserting unit, and the effect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 in image properties associated with brightness and clarity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is themed information and background. It is set and stored for each screen, and the brightness and clarity of the embedd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scr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line are changed to match.

상기 렌더링부(160)는 상기 연동부를 통해 소스정보가 반영된 템플릿을 타임 라인에 따라 렌더링하여 영상으로 제작하는 구성으로, 특히 상기 효과설정부(15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렌더링부(160)는 템플릿에 대응하는 효과정보를 불러들여 제작되는 영상에 반영하게 된다.The rendering unit 160 is a configuration that renders a template reflecting source information through the linker according to a timeline and produces an image. In particular, as the effect setting unit 150 is provided, the rendering unit 160 is a template The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s loaded and reflected in the produced video.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서버 운영 개념도로서, 상기 렌더링부(160)를 통해 수행되는 렌더링 작업은 비교적 많은 시스템 리소스와 시간을 소모하는 작업으로 작업량이 많아짐에 따라 지속적인 작업지연이 누적될 수밖에 없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operation of a render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ndering operation performed through the rendering unit 160 is a relatively time-consuming operation of system resources and time, and a continuous work delay accumulates as the amount of work increases. It is bound to be.

이에 본 발명에서 상기 렌더링부(160)는 복수로 구비된 렌더링 서버를 통해 분산 구성되며, 이러한 다수의 렌더링 서버를 위해 산출부(171)와, 할당부(172)와, 리포팅부(173)를 구비한 스케줄관리부(170)가 부가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ndering unit 160 is configured to be distributed through a plurality of rendering servers, and the calculation unit 171, the allocation unit 172, and the reporting unit 173 are provided for the plurality of rendering servers. The provided schedule management unit 170 is added.

상기 산출부(171)는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영상 제작작업을 순차적으로 접수하되 제작될 영상용량 및 렌더링 시간을 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미리 영상제작시 템플릿 및 소스정보에 따른 영상용량 및 렌더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구비되며, 이후 상기 할당부(172)에서는 상기 산출부(171)의 산출결과를 통해 구비된 렌더링 서버의 작업량을 비교하여 가장 빠른 처리가 가능한 렌더링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The calculation unit 171 sequentially receives image production work from a plurality of users, but calculates image capacity and rendering time to be produced. To this end, an algorithm capable of calculating an image capacity and a rendering time according to a template and source information in advance when an image is produced is provided, and the rendering server provided through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ng unit 171 in the allocation unit 172 It compares the workload and sends it to the rendering server that can process the fastest.

상기 리포팅부(173)에서는 각 렌더링 서버의 렌더링 성공 여부 및 렌더링 소요시간과 파일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통보하게 된다.The reporting unit 173 notifies the user and the administrator of the rendering success and rendering time and file path of each rendering server.

즉 기존 제작툴은 단일 시스템 내 편집이 끝난 이후 렌더링 작업을 하는 단순한 Stand Alone 기반의 시스템으로 다수의 작업 발생시 하나의 작업이 끝난 후 다음 작업을 진행하는 형태로 운영되었다.In other words, the existing production tool is a simple Stand Alone-based system that renders after editing in a single system. When multiple jobs occur, it is operated in the form of proceeding to the next job after completing one job.

반면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대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N:N 기반의 다수 사용자의 동시 작업을 위한 다수의 렌더링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렌더링 서버 그룹을 통합적으로 운영 제어가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large-scale online service, multiple rendering operations are required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multiple users based on N: N, and operation control of such a rendering server group is required.

온라인 사용자들은 동시에 선택 가능한 템플릿 기반으로 사진 편집 작업을 완료하면 해당 작업들은 상기 스케줄관리부(170)를 통해 렌더링 서버로 작업을 이관하여 렌더링하고 동영상 제작을 하게 되며, 다수의 렌더링 서버로 작업을 이관함에 있어 동일 서버로의 작업 전달이 되지 않도록 상기 스케줄관리부(170)가 렌더링 서버에게 순차적으로 렌더링 작업을 할당하고 동영상 파일 생성을 하도록 배분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 동영상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When online users complete a photo editing task based on a template that can be selected at the same time, the tasks are rendered and transferred to a rendering server through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70 to render and produce a video. Thereb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70 allocates rendering jobs to the rendering server sequentially and distributes them to create a video file, so that multiple user videos can be produced at the same time.

즉 스케줄관리부(170)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렌더링 작업의 순서를 등록된 렌더링 서버에게 순차적으로 작업을 할당하여 먼저 들어온 렌더링 결과물을 먼저 제공하며, 기본적으로 먼저 의뢰된 작업물을 우선적으로 먼저 제공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작업들은 대기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작업 배분을 대기하며, 각 렌더링 서버로 작업을 할당하여 통합적인 상태 확인을 하고 관리하게 된다. 또한, 작업이 완료되면 렌더링 작업 성공 여부 상태처리 및 렌더링에 걸린 소요시간, 파일 경로 등과 같은 리포팅을 하고 새로운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70 sequentially allocates tasks to a registered rendering server in order of a time-consuming rendering task to provide the first rendering result, and basically provides the requested work first. It is constructed by applying standards. To this end, the user's jobs are sequentially loaded on the waiting list, waiting for job allocation, and assigning the jobs to each rendering server to check and manage the integrated status. In addition, when the work is completed, the status of processing of the rendering work is successful, the time taken for rendering, the file path, etc. are reported and a new work is queue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완성된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는 랜더링된 영상을 보면서 원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 수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사용자의 영상제작 및 수정과정을 수집 및 분석하여 다음 영상제작이나 유사 특성의 영상을 제작하는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도록 이력추적부(181)와, 통계부(182)와, 재설정부(183)의 세부구성을 구비한 피드백부(180)의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rrect the unwanted part while viewing the rendered video, and collect and analyze the series of video production and modification processes of the user to produce the next video production or video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be presented to the user, a configuration of the feedback tracking unit 180 hav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istory tracking unit 181, the statistical unit 182, and the resetting unit 183 may be added.

상기 이력추적부(181)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정보 및 배경화면과 더불어 사용자가 수정한 일련의 이력을 수집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사진의 경우 개인정보보호 등의 차원에서 수집하지 않고 작업 이력에 관한 사항만을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story tracking unit 181 basically collects a series of history modified by the user along with the theme information and background screen selected by the us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collec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work history, not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tc. in the case of the photos input by the user.

상기 통계부(182)에서는 이러한 작업 이력의 추적 및 분석이 이루어지며, 특정한 테마에서 사용자가 많이 선택한 배경화면을 비롯하여 수정 이력에 대해 통계분석이 이루어진다.The statistical unit 182 tracks and analyzes the work history, and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rrection history, including the background screen that the user frequently selected in a specific theme.

상기 재설정부(183)에서는 상기 통계부(182)에서의 분석된 통계를 바탕으로 특정 테마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많이 선택된 배경과 수정이 적게 이루어진 항목에 대하여 상기 입력부(130)에서 우선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setting unit 183 allows the input unit 130 to first recommend a background that is selected by a user for a specific theme and items that have little modification based on the analyzed statistics in the statistics unit 182. .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들은 단순히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템플릿을 선택하고 사진을 등록하여 배치를 완료하고 문구를 수정하면 이후 작업은 자동으로 렌더링으로 연계되고 렌더링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등록했던 이메일 주소를 통해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하여 받을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users simply access the website, select a template, register a photo to complete the placement and edit the text, and then the work is automatically linked to rendering, and when rendering is completed, the user has registered the email address registered. You can get it by providing a download link.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10: 템플릿설정부 120: 템플릿저장부
130: 입력부 140: 연동부
141: 변환부 142: 보정부
150: 효과설정부 160: 렌더링부
170: 스케줄관리부 171: 산출부
172: 할당부 173: 리포팅부
180: 피드백부 181: 이력추적부
182: 통계부 183: 재설정부
110: template setting unit 120: template storage unit
130: input unit 140: linkage
141: conversion unit 142: correction unit
150: effect setting unit 160: rendering unit
170: schedule management unit 171: calculation unit
172: allocation unit 173: reporting unit
180: feedback unit 181: history tracking unit
182: statistics unit 183: reset unit

Claims (5)

테마정보가 부여된 배경화면상에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를 포함한 템플릿이 타임 라인에 따른 프레임단위로 작성된 상태로 테마정보 및 배경화면별로 분류 및 저장되는 템플릿저장부(120);
배경화면상의 사물에 구비되는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를 배치하여 템플릿을 제작하되 타임 라인에 따라 배경화면의 애니메이션 효과부여와 배치된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설정과 대표 템플릿 지정 기능을 제공하고 제작된 템플릿을 상기 템플릿저장부(120)에 저장하는 템플릿설정부(110);
테마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이 이루어지되, 선택된 테마정보가 부여된 대표 탬플릿을 제공하여 삽입될 사진 및 텍스트와 음향을 포함하는 소스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30);
입력된 소스정보 중 사진 및 텍스트의 크기와 위치를 해당 템플릿의 이미지 삽입부 및 텍스트 삽입부에 대응하도록 배치하고, 각 배경화면의 이미지 삽입부의 좌표정보에 대하여 대응하는 소스정보의 이미지를 삽입하되, 이미지의 기울기 및 사이즈를 변형하는 변환부(141)와, 이미지 변형 및 해당 배경화면에 대응하는 해상도 및 명암과 대비 및 채도를 조절하는 보정부(142)를 포함하는 연동부(140);
상기 이미지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이미지에 적용되되 지정시간 동안 이미지 밝기 및 선명도와 연관된 이미지 속성 변화를 포함하는 효과정보가 테마정보 및 배경화면별로 설정 및 저장되는 효과설정부(150);
상기 연동부(140)를 통해 소스정보가 반영된 템플릿을 타임 라인에 따라 렌더링하여 영상으로 제작하되, 템플릿에 대응하는 효과정보를 불러들여 제작되는 영상에 반영하고, 복수로 구비된 렌더링 서버를 통해 분산 구성되는 렌더링부(160);
영상 제작작업을 순차적으로 접수하되 제작될 영상용량 및 렌더링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부(171)와, 상기 산출부(171)의 산출결과를 통해 구비된 렌더링 서버의 작업량을 비교하여 가장 빠른 처리가 가능한 렌더링 서버로 전송하는 할당부(172)와, 각 렌더링 서버의 렌더링 성공 여부 및 렌더링 소요시간과 파일 경로를 생성하는 리포팅부(173)를 구비하는 스케줄관리부(170);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정보 및 배경화면과 더불어 사용자가 수정한 일련의 이력을 수집하는 이력추적부(181)와, 수집된 이력을 추적 및 분석하되 특정한 테마에서 사용자가 많이 선택한 배경화면 및 수정 이력통계를 분석하는 통계부(182)와, 분석된 통계를 바탕으로 특정 테마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많이 선택된 배경과 수정이 적게 이루어진 항목에 대하여 상기 입력부(130)에서 우선 추천하는 재설정부(183)를 구비하는 피드백부(18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모션 그래픽 영상 제작 시스템.
A template storage unit 120 in which templates including an image inserting unit and a text inserting unit are written in frame units along the timeline and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theme information and background screen on a background screen to which the theme information is assigned;
Produce a template by arranging the image inserter and text inserter provided on the object on the background screen, but assign the animation effect of the background screen along the timeline, set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image inserter and text inserter, and designate a representative template A template setting unit 110 that provides a function and stores the produced template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20;
An input unit 130 that receives theme information and provides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photographs, texts, and sounds to be inserted by providing a representative template to which the selected theme information is provided by providing theme information;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hoto and text among the input source information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image inserting section and text inserting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template, and images of the corresponding source information are inserted with respect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mage inserting section of each background screen. A linking unit 140 including a conversion unit 141 for transforming an image's tilt and size, and a correction unit 142 for adjusting image resolution and contrast and saturation and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screen;
An effect setting unit 150 applied to the image inserted through the image inserting unit, wherein effect information including image attribute changes associated with image brightness and clarity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is set and stored for each theme information and background screen;
The template reflecting the source information is rendered according to the timeline through the linker 140 to produce an image, but the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mplate is loaded and reflected in the produced image, and distributed through a plurality of rendering servers A configured rendering unit 160;
The fastest processing is possible by sequentially receiving the image production work and comparing the work amount of the rendering server provided through the calculation unit 171 for calculating the image capacity and rendering time to be produced, and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on unit 171 A schedule management unit 170 having an allocation unit 172 for transmitting to the rendering server, and a reporting unit 173 for generating success or failure of rendering of each rendering server and a file path;
In addition to the theme information and background selected by the user, a history tracking unit 181 that collects a series of history modified by the user, and tracks and analyzes the collected history, but displays the background and modification history statistics that the user selected a lot in a specific theme. Feedback comprising a statistical unit (182) for analysis and a reset unit (183), which is first recommended by the input unit (130) for items that have been selected from a user for a specific theme based on the analyzed statistics and items with little modification. Part 180; User-customized motion graphics video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12225A 2018-01-31 2018-01-31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KR102099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225A KR102099093B1 (en) 2018-01-31 2018-01-31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225A KR102099093B1 (en) 2018-01-31 2018-01-31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22A KR20190092922A (en) 2019-08-08
KR102099093B1 true KR102099093B1 (en) 2020-04-09

Family

ID=6761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225A KR102099093B1 (en) 2018-01-31 2018-01-31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481B1 (en) * 2020-04-03 2021-10-14 박지우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production service using intuitive interface
CN112988459B (en) * 2021-02-03 2024-03-08 湖北瑞致和科技有限公司 Special effect picture making system for network video mak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62227A1 (en) * 2006-05-21 2017-06-08 Motionphot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motion graphics author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514B1 (en) * 2014-12-02 2016-09-29 (주)두리반테크 Distributed Rendering System
KR20160089035A (en) 2015-01-16 2016-07-27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놀로지 Media production cloud service system
KR101698739B1 (en) * 2015-06-30 2017-02-13 주식회사 벽우 Video editing systems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62227A1 (en) * 2006-05-21 2017-06-08 Motionphot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motion graphics auth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22A (en)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71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personalization using templates
US10067635B2 (en) Three dimensional conditional formatting
US89906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edia personalization
US932976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versing editing operations in media-rich projects
CN103092612B (en) Realize method and the electronic installation of Android operation system 3D desktop pinup picture
CN109661676A (en) The agenda of computer assisted video conference
RU200714191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DUCTS
CN109242934B (en) Animation code generation method and equipment
CN109559384A (en) A kind of page end threedimensional model edit methods based on WebGL
CN102663198A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printed matter on line by combining background and foreground of web
CN105045587B (en) A kind of picture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08388661A (en) The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of advertising creative picture
US20230196652A1 (en) A three-dimensional image player capable of real-time interaction
CN113012280B (en) VR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KR102099093B1 (en)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CN108038760B (en) Commodity display control system based on AR technology
JP4870581B2 (en) Parts catalog creation system, computer-executable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814981B1 (en) Web-based Interactive Image Production System
KR20100111930A (en) Ucc service system based on pattern-animation
JP2007026088A (en) Model creation apparatus
WO202400798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medium, and program product
KR20150085869A (en) App-book builder system using hierarchical structure and timeline
US20230298132A1 (en) Scene builder
KR20110035766A (en)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message service
US2014010916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d distributing three dimensional video productions from digitally recorded personal event f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