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083B1 -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083B1
KR102099083B1 KR1020160130814A KR20160130814A KR102099083B1 KR 102099083 B1 KR102099083 B1 KR 102099083B1 KR 1020160130814 A KR1020160130814 A KR 1020160130814A KR 20160130814 A KR20160130814 A KR 20160130814A KR 102099083 B1 KR102099083 B1 KR 102099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subframe
transmission mode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9472A (en
Inventor
나민수
반승영
최창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83B1/en
Publication of KR2018003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4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8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Abstract

본 발명은, 향후 등장하게 될 5G, 즉 고속 저지연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5G 환경에서 고속 저지연 성능을 지원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chnology supporting high-speed low-latency performance in a 5G environment by realizing a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for supporting 5G, that is, high-speed, low-latency communication, which will appear in the future.

Figure R1020160130814
Figure R1020160130814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서브프레임 구조 구성 방법{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Data transmission de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본 발명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향후 등장하게 될 고속 저지연 서비스의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of a high-speed low-latency service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대용량 데이터/고속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망 발전에 따라, 향후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송수신을 기반으로 하는 고속 저지연(URLLC: 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의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환경, 예컨대 5세대 이동통신망(이하, 5G) 환경으로 발전할 것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high-capacity data / high-speed transmissi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supporting high-speed low-delay (URLLC: 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ased on near real-tim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example, a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inafter, 5G) It will develop into the environment.

한편,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무선자원을 시간에 따라 UL 또는 DL로 가변 할당하여 사용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를 채용하며, 특히 업링크/다운링크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UL/DL 트래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Dynamic TDD를 채용하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mmunication system adopts a time division duplex (TDD) that allocates and uses the same frequency radio resources to UL or DL according to time, and adapts to UL / DL traffic by adjusting the uplink / downlink ratio. It is a trend to adopt Dynamic TDD, which is capable of responding to enemies.

헌데, 기존의 Dynamic TDD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레임 구조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서브프레임 별로, 다운링크의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채널 및 제어채널이 고정 할당되고 업링크의 경우 업링크 데이터채널 및 제어채널이 고정 할당되는 구조이다. However, the frame structur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vided by the existing Dynamic TDD is for each subframe constituting the frame, in the case of downlink, the downlink data channel and the control channel are fixedly allocated, and in the case of uplink, the uplink data channel and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rol channel is fixedly allocated.

따라서, 기존의 Dynamic TDD의 경우, 4세대 이동통신망(LTE) 환경에는 적용하기에 적합했을지 몰라도, 5G 환경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고속 저지연(URLLC)을 기대만큼 지원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갖는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Dynamic TDD, it may have been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TE) environment, but when applied to the 5G environment as it is, it h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support high-speed low-latency (URLLC) as expect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즉 고속 저지연(URLLC)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o support 5G, that is, high-speed low-latency (URLLC)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고속 저지연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망(5G) 환경에 적합한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실현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G) environment for supporting high-speed low-latency commun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및 금번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 및 직전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figuring a subframe structur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configuring a data channel through which downlink or uplink data is transmitted; And an up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for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e subframe and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for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e previous subframe. It includes the steps.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링크제어채널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심볼 중에서, 상기 데이터채널이 할당된 심볼구간 이후의 심볼에 할당되며, 상기 다운링크제어채널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심볼 중에서, 상기 데이터채널이 할당된 심볼구간 이전의 심볼에 할당될 수 있다.Preferably, the uplink control channel is assigned to a symbol after a symbol interval to which the data channel is allocated, among a plurality of symbols constituting a subframe, and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comprises a plurality of subframes. Among the symbols, the data channel may be allocated to a symbol before a symbol period to which it is alloc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링크제어채널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심볼 중에서 마지막 심볼에 할당되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되며, 상기 다운링크제어채널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심볼 중에서 첫 번째 심볼에 할당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uplink control channel is included in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allocated to the last symbol among a plurality of symbols constituting a subframe, and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comprises a plurality of subframes. It may be included in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llocated to the first symbol among symbols.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장치는, 다수의 전송모드 중,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전송모드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ransmission mode mapped to a typ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amo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Transmission mode check unit for checking;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transmitting the data traffic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전송모드가 저지연 전송모드인 경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채널, 금번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 직전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저지연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transmission mode is a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the data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or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a data channel through which a downlink or uplink data is transmitted or a data channel of the current subframe. Data and response in units of subframes by using a subframe of a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for an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an uplink control channel for the uplink data and a previous subframe data channel. Send and receive signals.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전송모드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인 경우, 2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그룹 단위로, 그룹 내 모든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며, 그룹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만이 금번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며, 서브프레임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 만이 직전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고속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ata transmission unit, when the transmission mode is a downlink 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n the group unit consisting of two or more subframes, all subframes in the group data for down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Includes a channel, and only the last subframe in the group includes an up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to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is group's data channel, and only the first subframe in the subframe group has the data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group. By using a subframe of a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for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data and a response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subframe group units.

바람직하게는,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과 마지막 서브프레임 사이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 만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subframe between the first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group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only a data channel for down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데이터 트래픽 발생 시, 기 설정되어 있는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과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의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data traffic occur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reset use rate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a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whether or not to use the transmission mode mapped to the type of the data traffic is determined. I can judg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 및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단일 프레임의 전송시간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주기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usage ratio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the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may be updated at predetermined periods in relation to the transmission time of a single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fram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기지국 또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수의 전송모드 중,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전송모드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한다.A data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or a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mo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confirms a transmission mode that identifies a transmission mode mapped to a typ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step; And a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traffic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전송모드가 저지연 전송모드인 경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채널, 금번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 직전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저지연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data transmission step, when the transmission mode is a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a response signal for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a data channel through which a downlink or uplink data is transmitted or a data channel of this subframe. By using a subframe of a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n uplink control channel for,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to the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subframe, data and data in units of subframes Response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전송모드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인 경우, 2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그룹 단위로, 그룹 내 모든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며, 그룹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만이 금번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며, 서브프레임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 만이 직전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고속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data transmission step, when the transmission mode is a downlink 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n a group unit composed of two or more subframes, all subframes in the group are used for down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It includes a data channel, and only the last subframe in the group includes an up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to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is group's data channel, and only the first subframe in the subframe group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group By using a subframe of a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for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a data channel, data and a response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units of subframe groups.

바람직하게는,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과 마지막 서브프레임 사이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 만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subframe between the first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group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only a data channel for down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트래픽 발생 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체 무선자원에서 기 설정되어 있는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과 전송모드 별로 기 설정되어 있는 이용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의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data traffic occurs, it is mapped to the type of the data traffic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reset use rate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a preset us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in all radio resource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transmission mode.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서브프레임 구조 구성 방법에 따르면, 향후 등장하게 될 5G, 즉 고속 저지연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실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동적인 (서브)프레임 구조를 운용하여 고속 저지연 성능을 최대화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o support 5G, that is, high-speed, low-latency communication will be realized in the future, Based on this, the effect of maximizing high-speed low-latency performance is derived by operating a flexible (sub) frame structure.

도 1은 기존의 Dynamic TDD에서 제공하는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고속 저지연 성능이 달성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유동적인 (서브)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ame structure provided by the existing Dynamic TDD.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case in which high-speed low-latency performance is achieved based on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transmitting data using a flexible (sub) frame structure in a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5G 즉 고속 저지연(URLLC: 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o support 5G, that is, high-speed low-latency (URLLC: 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이에,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기존의 Dynamic TDD에서 제공하는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겠다.Accordingly, 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structure provided by the existing Dynamic TD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DD는 동일한 주파수 무선자원을 시간에 따라 UL 또는 DL로 가변 할당하여 사용하는 기술이며, Dynamic TDD는 업링크/다운링크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UL/DL 트래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다.TDD is a technique in which the same frequency radio resources are variably allocated to UL or DL according to time, and Dynamic TDD is a technique capable of adaptively responding to UL / DL traffic by adjusting the uplink / downlink ratio.

헌데, 기존의 Dynamic TDD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레임 구조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서브프레임 별로, 다운링크의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채널 및 제어채널이 고정 할당되고 업링크의 경우 업링크 데이터채널 및 제어채널이 고정 할당되는 구조이다. However, the frame structur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vided by the existing Dynamic TDD is for each subframe constituting the frame, in the case of downlink, the downlink data channel and the control channel are fixedly allocated, and in the case of uplink, the uplink data channel and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rol channel is fixedly allocated.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Dynamic TDD에 따른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의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채널(x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x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고정 할당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기존의 Dynamic TDD에 따른 서브프레임은, 업링크의 경우 업링크 데이터채널(x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x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고정 할당되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a downlink according to the existing dynamic TDD, a downlink data channel (x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nd a control channel (x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re fixedly allocated. It has a structure. In addition, the subframe according to the existing dynamic TD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uplink data channel (x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and a control channel (x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are fixedly allocated in the case of uplink.

따라서, 기존의 Dynamic TDD에서는, 전술과 같이 다운링크 데이터채널(xPDSCH) 및 제어채널(xPDCCH)로 구성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업링크 데이터채널(xPUSCH) 및 제어채널(xPUCCH)로 구성된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UL/DL 트래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Dynamic TDD, as described above, the downlink subframe composed of the downlink data channel (xPDSCH) and the control channel (xPDCCH), the uplink subframe composed of the uplink data channel (xPUSCH) and the control channel (xPUCCH). By adjusting the ratio of the, it is adaptively responding to UL / DL traffic.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Dynamic TDD에 따라 다량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을 높여,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1,#2,#3...을 전송하게 된다.Thus, as shown in FIG. 1, when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downlink data according to the existing Dynamic TDD, the ratio of the downlink subframe is increased, and the downlink subframes # 1, # 2, # 3 .. Will send.

이때, 단말은 업링크 제어채널(xPUCCH)이 존재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ta)이 될 때까지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이 전송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시점(ta)까지의 시간이 된 후에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terminal cannot transmit a response signal of ACK / NACK to the downlink data until the time t a of when the uplink subframe in which the uplink control channel (xPUCCH) exists is transmitted, the downlink data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actual transmission of is made after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downlink subframe # 1 starts to be transmitted to the time (t a ) when the response signal for the downlink data is transmitted.

이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Dynamic TDD에 따라 다량의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을 높여, 업링크 서브프레임들#1,#2,#3...을 전송하게 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1, when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uplink data according to the existing Dynamic TDD, the ratio of the uplink subfram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uplink subframes # 1, # 2, and # 3. Will send ..

이때, 기지국은 다운링크 제어채널(xPDCCH)이 존재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tb)이 될 때까지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업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1이 전송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시점(tb)까지의 시간이 된 후에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base station cannot transmit a response signal of ACK / NACK to the uplink data until the time (t b ) when the downlink subframe in which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 exists is transmitted, the uplink data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actual transmission of is made after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uplink subframes # 1 start to be transmitted to the time (t b ) when the response signal for the uplink data is transmitted.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Dynamic TDD의 경우 서브프레임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4세대 이동통신망(LTE) 환경에는 적용하기에 적합했을지 몰라도, 5G 환경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고속 저지연(URLLC)을 기대만큼 지원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Dynamic TDD,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 of the subframe, it may have been suitable for application in the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TE) environment, but when applied to the 5G environment as it is, high-speed low-latency (URLLC) is expected. It has limi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apply.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즉 고속 저지연(URLLC)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o support 5G, that is, high-speed low-latency (URLLC) commun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실현(이용)하는 장치 즉 데이터 전송 장치는, 이동통신망 기반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치일 것이며, 가장 대표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지국(100) 및 단말(10)일 것이다.Therefore, a device for realizing (using) the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data transmission device, will be a device using a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st typically, the base station 100 as shown in FIG. 2. And terminal 10.

이때, 기지국(100) 및 단말(10)은, 단일 안테나빔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이용할 수도 있고(SISO, Single Input Single Output), 이 경우 후술할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통한 데이터 전송 역시 단일 안테나빔을 통해 상호 전송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terminal 10 may provide / use a communication service with a single antenna beam (SISO, Single Input Single Output), and in this case,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will transmit each other through a single antenna beam.

물론, 기지국(100) 및 단말(10)은, 다수 안테나빔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이용할 수도 있고(MIMO), 이 경우 후술할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통한 데이터 전송 역시 다수 안테나빔을 통해 상호 전송할 것이다.Of course,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terminal 10 may also provide / use communication services with multiple antenna beams (MIMO), and in this case,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also via multiple antenna beams. Will transfer to each other.

다만, 향후 등장하게 될 고속 저지연의 이동통신망 즉 5G 환경에서는, 대용량 데이터/고속 전송을 위해 발전하고 있는 추세에 맞게 MIMO 기술을 채택할 것이다.However, in the high-speed, low-latenc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will be introduced in the future, in the 5G environment, MIMO technology will be adopted to meet the evolving trend for large data / high-speed transmission.

다만, MIMO 기술을 채택하여, 기지국(100) 및 단말(10)이 다수의 안테나빔(예 : 듀얼 안테나빔)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이용하는 경우, 기지국(100)이 단말(1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운링크 전송과 단말(10)이 기지국(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업링크 전송은 상호 동일한 패턴으로 정의한다.However, by adopting MIMO technology, when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terminal 10 provide / use communication services with multiple antenna beams (eg, dual antenna beams), the base station 100 transmits data to the terminal 10. The downlink transmission to be transmitted and the uplink transmission to which the terminal 10 transmits data to the base station 100 are defined as mutually identical patterns.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기지국(100)일 수 있고, 단말(10)일 수 있다.Therefore,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ase station 100 or a terminal 10.

즉,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기지국(100)은, 다운링크 전송 시, 본 발명의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실현(이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That is, the base station 100 as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ownlink data by realizing (using) the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the downlink.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단말(10)은, 업링크 전송 시, 본 발명의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실현(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10 as the data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uplink data by realizing (using) the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the uplink.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서브프레임 단위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units of subframes.

본 발명의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채널과, 금번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 및 직전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로 구성된다.The subframe according to the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channel through which downlink or uplink data is transmitted, and an uplink control channel for response signals to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is subframe. And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to the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subframe.

이때, 도 4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구조는, 고속 저지연(URLLC) 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조로서, 이하에서는 저지연 전송 구조라고 명칭하겠다.In this case, the subfram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4 is a structure for improving high-speed low-latency (URLLC) performance, and will be referred to as a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below.

이러한 저지연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제어채널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심볼 중에서, 데이터채널이 할당된 심볼구간 이후의 심볼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ubframe of the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the uplink control channel is preferably allocated to a symbol after a symbol interval to which a data channel is allocated, among a plurality of symbols constituting the subframe.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심볼, 예컨대 14개의 ODFM 심볼로 이루어지고, 다운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채널은 14개의 ODFM 심볼 중 2번째 심볼(심볼1)부터 12번째 심볼(심볼11)까지 할당되며,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채널은 14개의 ODFM 심볼 중 3번째 심볼(심볼2)부터 13번째 심볼(심볼12)까지 할당된다고 가정한다.For example, the subfram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ymbols, for example, 14 ODFM symbols, and the data channel through which downlink data is transmitted is the 2nd symbol (symbol 1) to the 12th symbol (symbol 11) among the 14 ODFM symbols. It is assumed that the data channel through which uplink data is transmitted is allocated from the 3rd symbol (symbol 2) to the 13th symbol (symbol 12) among 14 ODFM symbols.

이 경우, 저지연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제어채널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14개의 ODFM 심볼 중 데이터채널이 할당된 심볼구간(심볼1~심볼11 및 또는 심볼2~심볼12) 이후의 심볼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n the subframe of the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the uplink control channel is after a symbol interval (symbol 1 to symbol 11 and / or symbol 2 to symbol 12) to which a data channel is allocated among 14 ODFM symbols constituting the subframe. It is preferably assigned to the symbol of.

또한, 저지연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제어채널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14개의 ODFM 심볼 중에서, 데이터채널이 할당된 심볼구간(심볼1~심볼11 및 또는 심볼2~심볼12) 이전의 심볼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ubframe of the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among the 14 ODFM symbols constituting the subframe, is before a symbol interval (symbol 1 to symbol 11 and / or symbol 2 to symbol 12) to which a data channel is allocated. It is preferably assigned to the symbol of.

이때,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데이터채널이 할당된 심볼구간이, 다운링크의 경우 심볼1~심볼11, 업링크의 경우 심볼2~심볼12인 이유는, 다운링크/업링크 변경을 위한 GP(Guard Period)를 할당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reason why the symbol interval to which the data channel is allocated is symbol 1 to symbol 11 in the case of downlink and symbol 2 to symbol 12 in the case of uplink, is GP for downlink / uplink change. To allocate (Guard Period).

따라서, 저지연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제어채널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14개의 ODFM 심볼 중에서 마지막 심볼13에 할당되고, 다운링크제어채널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14개의 ODFM 심볼 중에서 첫 번째 심볼0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n the subframe of the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the uplink control channel is allocated to the last symbol 13 of the 14 ODFM symbols constituting the subframe, and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is the first of the 14 ODFM symbols constituting the subframe. It is preferably assigned to symbol 0.

이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저지연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업링크 모두에서,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14개의 ODFM 심볼 중에서 마지막 심볼13에 할당되는 xPUCCH에 업링크제어채널이 포함되며, 첫 번째 심볼0에 할당되는 xPDCCH에 다운링크채널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ly, 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4, the low-delay subframe according to the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ast symbol 13 among 14 ODFM symbols constituting the subframe in both downlink / uplink. The uplink control channel is included in the xPUCCH allocated to, and the downlink channel can be included in the xPDCCH allocated to the first symbol 0.

그리고, 저지연 서브프레임은, xPDCCH와 xPUCCH 사이에,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전송되는 데이터채널(xPDSCH 또는 xPUSCH) 및 미도시된 GP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ow-latency subframe includes a data channel (xPDSCH or xPUSCH) and a GP (not shown) transmitted downlink or uplink between xPDCCH and xPUCCH.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기지국(100)은, 다운링크 전송 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고,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를 이용하여 단말(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se station 100 as a data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the downlink, constitutes a low-latency downlink subframe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and a low-latency downlink subframe.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using # 1, # 2, # 3 ...

이때, 기지국(100)은, 별도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 각각의 x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전송모드에 대한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단말(10)에 전달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100, through a separate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or low-latency downlink subframes # 1, # 2, # 3 ... each xPDCCH, information about the subframe structure or transmission mode (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will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이에, 전달받은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인지한 단말(10)은, 본 발명의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 각각에 업링크제어채널(xPUCCH)이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 의 xPDSCH를 통해 전송된 각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동일 서브프레임의 xPU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d1, td2, td3...), 다운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10 recognizing the received information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controls uplink to each of the low-latency downlink subframes # 1, # 2, # 3 ...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channel (xPUCCH) exists, the response signal of ACK / NACK for each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xPDSCH of the low-latency downlink subframes # 1, # 2, # 3 ... is the same. Since a response signal in a subframe unit can be transmitted by transmitting through the xPUCCH of a frame (t d1 , t d2 , t d3 ...), actual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I can see.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단말(10)은, 업링크 전송 시, 앞서 기지국(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토대로 동일한 패턴으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저지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 as a data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uplink transmission, shown in FIG. 4 in the same pattern based on the information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previously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A low-latency uplink subframe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nd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0 using the same.

이때, 본 발명의 저지연 업링크 서브프레임#1,#2,#3... 각각에 다운링크제어채널(xPDCCH)이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기지국(100)은 저지연 업링크 서브프레임#1,#2,#3... 의 xPUSCH를 통해 전송된 각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다음 서브프레임의 xPD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u1, tu2...), 업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 exists in each of the low-latency uplink subframes # 1, # 2, and #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100 has a low-latency uplink subframe. The response signal of each subframe can be transmitted by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of ACK / NACK for each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xPUSCH of # 1, # 2, # 3 ... through xPDCCH of the next subframe. Because (t u1 , t u2 ...),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actual transmission of up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는, 다운링크/업링크 데이터 전송 시, 단일 서브프레임에 다운링크/업링크 제어채널(PDCCH, PUCCH)를 구성하기 때문에,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서브프레임 단위(서브프레임의 전송시간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하여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5G에서 지향하는 고속 저지연(URLLC)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downlink / uplink control channel (PDCCH, PUCCH) in a single subframe when transmitting downlink / uplink data, each subframe constituting a frame Since data and response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units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subframes) to transmit data in near real time, high-speed low-latency (URLLC) performance aimed at 5G can be improved.

한편, 전술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서브프레임 단위의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을 통해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전송을 이루어내는 구조(저지연 전송 구조)로 설명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structure in which data and response signals in subframe units are transmitted and transmitted in near real-time data (low delay transmission structure).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는, 이러한 저지연 전송 구조 외의 다른 구조를 통해서도 5G에서 지향하는 고속 저지연(URLLC) 성능을 만족시키고자 하며, 제안하는 다른 구조는 고속 전송 구조라 명칭하겠다.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atisfy the high-speed low-latency (URLLC) performance directed by 5G through other structures other than the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and the other structure proposed will be referred to as a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고속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은, 다량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시, ACK/NACK의 응답신호 전송을 최소화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이루어내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한다.The subframe of the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structure in which high-speed data transmission is achieved by minimizing transmission of an ACK / NACK response signal when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downlink or uplink data.

본 발명의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고속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은, 2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그룹 단위로, 그룹 내 모든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며, 그룹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만이 금번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며, 서브프레임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 만이 직전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subframe of the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p unit composed of two or more subframes, and all subframes in the group include a data channel for down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and the group Only my last subframe includes an up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for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is group's data channel, and only the first subframe in the subframe group is up. And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for link data.

도 5에는, 다운링크 고속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고속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다운링크 고속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고속 전송을 위한 업링크 고속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업링크 고속 서브프레임)을 도시하고 있다.5 shows a subframe (downlink high-speed subframe) of a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for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and a subframe (uplink high-speed subframe) of an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f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Doing.

다운링크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그룹(서브프레임 그룹#1) 단위로, 서브프레임 그룹 #1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1 만이 직전 그룹(예: 서브프레임 그룹#0)의 데이터채널(xPUSCH)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xPDCCH)를 포함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downlink, as shown in FIG. 5, in the group (subframe group # 1) composed of two or more subframes, only the first subframe # 1 in the subframe group # 1 is the immediately preceding group (eg, a subframe) Group # 0) includes a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 for a response signal for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xPUSCH).

즉,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DFM 심볼로 이루어진다면, 서브프레임 그룹 #1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1 만이 첫 번째 심볼0에 할당되는 xPDCCH에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subframe consists of 14 ODFM symbols, only the first subframe # 1 in subframe group # 1 includes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in the xPDCCH allocated to the first symbol 0.

물론, 첫 번째 서브프레임#1의 나머지 심볼들, 즉 두 번째 심볼1~마지막 심볼13에는 데이터채널(xPDSCH)이 할당된다.Of course, a data channel (xPDSCH) is allocated to the remaining symbols of the first subframe # 1, that is, the second symbol 1 to the last symbol 13.

그리고, 서브프레임 그룹 #1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N 만이 금번 서브프레임 그룹#1의 데이터채널(xPDSCH)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xPUSCH)을 포함하고 있다.And, only the last subframe #N in subframe group # 1 includes an uplink control channel (xPUSCH) for a response signal for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xPDSCH) of this subframe group # 1. .

즉,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DFM 심볼로 이루어진다면, 서브프레임 그룹 #1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N 만이 마지막 심볼13에 할당되는 xPUSCH에 업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subframe consists of 14 ODFM symbols, only the last subframe #N in subframe group # 1 includes the uplink control channel in the xPUSCH allocated to the last symbol 13.

물론, 마지막 서브프레임#N의 첫 번째 심볼0~심볼11에는 데이터채널(xPDSCH)이 할당되고,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지막 서브프레임#N의 심볼12에는 다운링크/업링크 변경을 위한 GP가 할당될 것이다.Of course, the data channel (xPDSCH) is allocated to the first symbol 0 to symbol 11 of the last subframe #N, 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symbol 12 of the last subframe #N has GP for changing the downlink / uplink. Will be assigned.

그리고, 서브프레임 그룹 #1 내 첫 번째 및 마지막 서브프레임 사이의 서브프레임#2,#3...#N-1은, 14개의 ODFM 심볼 모두에 데이터채널(xPDSCH) 만이 할당된다.And, subframes # 2, # 3 ... # N-1 between the first and last subframes in subframe group # 1 are assigned only data channels (xPDSCH) to all 14 ODFM symbols.

한편, 업링크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그룹(서브프레임 그룹 #2) 단위로, 서브프레임 그룹 #2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1 만이 직전 그룹(예: 서브프레임 그룹#1)의 데이터채널(xPUSCH)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xPDCCH)를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plink, as shown in FIG. 5, in a group (subframe group # 2) composed of two or more subframes, only the first subframe # 1 in subframe group # 2 is the immediately preceding group (eg: It includes a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 for a response signal for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xPUSCH) of subframe group # 1).

즉,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DFM 심볼로 이루어진다면, 서브프레임 그룹 #2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1 만이 첫 번째 심볼0에 할당되는 xPDCCH에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subframe consists of 14 ODFM symbols, only the first subframe # 1 in subframe group # 2 includes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in the xPDCCH allocated to the first symbol 0.

물론,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첫 번째 서브프레임#1의 두 번째 심볼1에는 다운링크/업링크 변경을 위한 GP가 할당되고, 나머지 심볼 즉 세 번째 심볼2~마지막 심볼13에는 데이터채널(xPUSCH)이 할당된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GP for changing the downlink / uplink is assigned to the second symbol 1 of the first subframe # 1, and the data channel (xPUSCH) to the remaining symbols, that is, the third symbol 2 to the last symbol 13 Is assigned.

그리고, 서브프레임 그룹#2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M 만이 업링크제어채널(xPUSCH)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only the last subframe #M in subframe group # 2 includes an uplink control channel (xPUSCH).

즉,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DFM 심볼로 이루어진다면, 서브프레임 그룹 #1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M 만이 마지막 심볼13에 할당되는 xPUSCH에 업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subframe consists of 14 ODFM symbols, only the last subframe #M in subframe group # 1 includes the uplink control channel in the xPUSCH allocated to the last symbol 13.

물론, 마지막 서브프레임#M의 첫 번째 심볼0~심볼12에는 데이터채널(xPUSCH)이 할당될 것이다.Of course, a data channel (xPUSCH) will be allocated to the first symbol 0 to symbol 12 of the last subframe #M.

그리고, 서브프레임 그룹 #1 내 첫 번째 및 마지막 서브프레임 사이의 서브프레임#2,#3...#M-1은, 14개의 ODFM 심볼 모두에 데이터채널(xPUSCH) 만이 할당된다.And, subframes # 2, # 3 ... # M-1 between the first and last subframes in subframe group # 1 are assigned only data channels (xPUSCH) to all 14 ODFM symbols.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기지국(100)은, 다량의 다운링크 전송 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다운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N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말(10)로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us, the base station 100 as a data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downlink, the downlink high-speed subframe 1, # 2, # 3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 subframe group grouped with. # N may be configured, and a large amount of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using the same.

이때, 기지국(100)은, 별도의 SIB 또는 서브프레임 그룹의 x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전송모드에 대한 정보(다운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단말(10)에 전달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100 will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ubframe structure or transmission mode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to the terminal 10 through a separate SIB or xPDCCH of a subframe group. .

그리고, 전달받은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인지한 단말(10)은, 본 발명의 다운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N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에 업링크제어채널(xPUSCH)이 하나만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서브프레임 그룹의 xPDSCH를 통해 전송된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동일 서브프레임 그룹 내 단일 xPU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d11...), 다운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 그룹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 recognizing the received information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is a subframe grouped by downlink high-speed subframes 1, # 2, # 3 ... # N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only one uplink control channel (xPUSCH) exists in the group, ACK / NACK response signals for all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xPDSCH of the subframe group are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xPUCCH in the same subframe group. Since a response signal in a subframe group unit can be transmitted in a manner (t d11 ...), it can be considered that actual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group.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단말(10)은, 다량의 업링크 전송 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업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M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 as a data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uplink, uplink high-speed subframes # 1, # 2, # 3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 subframe group grouped with .. # M may be configured, and a large amount of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0 using the same.

이를 위해, 기지국(100)이 별도의 SIB 또는 서브프레임 그룹의 x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전송모드에 대한 정보(업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단말(10)로 전달하여 인지하도록 하는 과정이 선행될 것이다.To this end, the base station 10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ubframe structure or transmission mode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to the terminal 10 through a separate SIB or subframe group xPDCCH. The process of doing so will be preceded.

이때, 본 발명의 업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M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에 다운링크제어채널(xPDCCH)가 하나만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기지국(100)은 서브프레임 그룹의 xPUSCH를 통해 전송된 모든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다음 서브프레임 그룹 내 단일 xPD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U11...), 업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 그룹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only one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 exists in a group of subframes grouped into uplink fast subframes 1, # 2, # 3 ... # 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100 Since the response signals of ACK / NACK for all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xPUSCH of the subframe group are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xPDCCH in the next subframe group, the response signals of each subframe group can be transmitted (t U11 ...), it can be seen that the actual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group.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는, 다량의 다운링크/업링크 데이터 전송 시,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로 다운링크/업링크 제어채널(PDCCH, PUCCH)을 구성하여 각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서브프레임 그룹의 전송시간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저지연 전송 구조에 비해서는 실시간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ACK/NACK의 응답신호 전송을 최소화함으로써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5G에서 지향하는 고속 저지연(URLLC)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downlink / uplink data, a downlink / uplink control channel (PDCCH, PUCCH) is configured in units of subframe groups, and each subframe group unit ( Since data and response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in a subframe group), real-time performance may be slightly reduced compared to the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described above, but high-speed transmission of large amounts of data is minimized by minimizing the transmission of ACK / NACK response signals. Since it is ma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igh-speed low-latency (URLLC) performance aimed at 5G.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 즉 저지연 전송 구조, 다운링크 및 업링크 고속 전송 구조를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the downlink and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data transmission device that transmits data using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기지국(100)일 수 있고, 단말(10)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100)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As mentioned above,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ase station 100 or a terminal 10.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base station 100 by referring to it.

도 3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다수의 전송모드 중,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전송모드확인부(110)와, 상기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120)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mode confirmation unit 110 that checks a transmission mode mapped to a typ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amo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and the above-described confirmation.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120 that transmits the data traffic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ode.

여기서, 다수의 전송모드란, 저지연 전송모드,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의미한다.Here,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means a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a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and an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전송모드확인부(110)는, 다수의 전송모드 즉 저지연 전송모드/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업링크 고속 전송모드 중에서,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를 확인한다.The transmission mode checking unit 110 checks a transmission mode mapped to a typ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amo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that is, a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송모드확인부(110)는,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을 식별하여,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이 사전에 타입별로 맵핑해 둔 전송모드 중 어떤 전송모드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transmission mode checking unit 110 identifies a type of data traffic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10, and to which of the transmission modes the data traffic types are mapped by type in advance. It is to check if it is applicable.

이때,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을 식별하는 방식은, 기존의 QoS 제어를 위한 데이터 트래픽 식별 방식 등 기존의 다양한 식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외에도 별도의 새로운 데이터 트래픽 식별 방식을 고안/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as a method of identifying the type of data traffic,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existing identification methods such as an existing data traffic identification method for QoS control,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vise / use a separate new data traffic identification method. will be.

그리고,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 별로 전송모드를 맵핑하는 것은, 사전에 설계/변경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mapping the transmission mode for each type of data traffic can be designed / changed in advance.

다만,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을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타입1, 다운링크 고속 전송이 요구되는 타입2, 업링크 고속 전송이 요구되는 타입3으로 구분하고, 타입1- 저지연 전송모드, 타입2-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 타입3-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맵핑해 두는 것으로 가정하겠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data traffic is classified into type 1 requiring real-time real-time, type 2 requiring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and type 3 requiring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It is assumed that the type 2 downlink high speed transmission mode and the type 3 uplink high speed transmission mode are mapped.

이에, 전송모드확인부(110)는,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이 타입1,2,3 중 어떤 타입인지 식별하고,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이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ransmission mode checking unit 110 identifies which typ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is among types 1, 2, and 3, and checks a transmission mode to which the data traffic type is mapped. will be.

데이터전송부(120)는,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한다.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transmits data traffic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mode.

예를 들어, 데이터전송부(120)는, 앞서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이 맵핑된 전송모드가 저지연 전송모드인 경우라면,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채널(xPDSCH 또는 xPUSCH), 금번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xPUCCH), 직전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xPDCCH)을 포함하는 저지연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한다.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mode in which the type of data traffic is mapped is a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for example,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is a data channel (xPDSCH or xPUSCH) through which downlink or uplink data is transmitted, this time sub Uplink control channel (xPUCCH) for a response signal for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a data channel of a frame,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 for a response signal for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a data channel of a previous subframe Using a sub-frame of the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response signals in units of subframes.

즉, 데이터전송부(120)는, 확인한 저지연 전송모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고,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를 이용하여 단말(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configures the low-latency downlink subframe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according to the confirmed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and the low-latency downlink subframe # 1 , # 2, # 3 ... can be used to transmit data to the terminal 10.

이때, 데이터전송부(120)는, 별도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 각각의 x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전송모드에 대한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단말(10)에 전달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through a separate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or low-delay downlink subframe # 1, # 2, # 3 ... each of the xPDCCH, for the subframe structure or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will be delivered to the terminal 10.

이에, 전달받은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인지한 단말(10)은, 본 발명의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 각각에 업링크제어채널(xPUCCH)이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 의 xPDSCH를 통해 전송된 각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동일 서브프레임의 xPU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d1, td2, td3...), 다운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10 recognizing the received information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controls uplink to each of the low-latency downlink subframes # 1, # 2, # 3 ...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channel (xPUCCH) exists, the response signal of ACK / NACK for each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xPDSCH of the low-latency downlink subframes # 1, # 2, # 3 ... is the same. Since a response signal in a subframe unit can be transmitted by transmitting through the xPUCCH of a frame (t d1 , t d2 , t d3 ...), actual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I can see.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단말(10)이라면, 단말(10) 내 전송모드확인부(미도시)는, 앞서 기지국(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토대로 저지연 전송모드를 확인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erminal 10, the transmission mode confirmation unit (not shown) in the terminal 10, the information previously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low-delay transmission mode is checked.

그리고, 단말(10) 내 데이터전송부(미도시)는, 확인한 저지연 전송모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저지연 업링크 서브프레임#1,#2,#3...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nd, the data transmission unit (not shown) in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confirmed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the low-latency uplink subframe # 1, # 2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3 ... can be configured and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0 using the same.

이때, 본 발명의 저지연 업링크 서브프레임#1,#2,#3... 각각에 다운링크제어채널(xPDCCH)이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기지국(100)은 저지연 업링크 서브프레임#1,#2,#3... 의 xPUSCH를 통해 전송된 각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다음 서브프레임의 xPD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u1, tu2...), 업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 exists in each of the low-latency uplink subframes # 1, # 2, and #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100 has a low-latency uplink subframe. The response signal of each subframe can be transmitted by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of ACK / NACK for each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xPUSCH of # 1, # 2, # 3 ... through xPDCCH of the next subframe. Because (t u1 , t u2 ...),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actual transmission of up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한편, 데이터전송부(120)는, 앞서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이 맵핑된 전송모드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인 경우라면, 2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그룹 단위로, 그룹 내 모든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xPDSCH 또는 xPUSCH)을 포함하며, 그룹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만이 금번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xPUCCH)을 포함하며, 서브프레임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 만이 직전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xPDCCH)을 포함하는 고속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if the transmission mode is the type of data traffic is mapped in the downlink 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n the group unit consisting of two or more subframes, all subframes in the group is down It includes a data channel (xPDSCH or xPUSCH) for 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and only the last subframe in the group is an uplink control channel (xPUCCH) for a response signal for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is group's data channel. Including, only the first sub-frame in the sub-frame group by using a sub-frame of a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 for the response signal for the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evious group data channel ,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response signals in units of subframe groups.

즉, 데이터전송부(120)는,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가 확인되면,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다운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N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말(10)로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s confirmed,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downlink high-speed subframes 1 and # 2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A group of subframes grouped with, # 3 ... # N may be configured, and a large amount of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using the same.

이때, 데이터전송부(120)는, 별도의 SIB 또는 서브프레임 그룹의 x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전송모드에 대한 정보(다운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단말(10)에 전달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through a separate SIB or subframe group xPDCCH, information on the subframe structure or transmission mode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to the terminal 10 Will deliver.

이에, 전달받은 정보(다운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인지한 단말(10)은, 본 발명의 다운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N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에 업링크제어채널(xPUSCH)이 하나만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서브프레임 그룹의 xPDSCH를 통해 전송된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동일 서브프레임 그룹 내 단일 xPU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d11...), 다운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 그룹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10 recognizing the received information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s grouped into the downlink high-speed subframes 1, # 2, # 3 ... # N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uplink control channel (xPUSCH) exists in a subframe group, a response signal of ACK / NACK for all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xPDSCH of a subframe group is a single xPUCCH in the same subframe group. Since a response signal in a subframe group unit can be transmitted in a transmission method (t d11 ...), it can be considered that actual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group.

한편, 데이터전송부(120)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가 확인되면, 별도의 SIB 또는 서브프레임 그룹의 x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전송모드에 대한 정보(업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단말(10)에 전달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s confirmed,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information on the subframe structure or transmission mode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uplink high-speed, through xPDCCH of a separate SIB or subframe group) Transmission mode) to the terminal 10.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단말(10) 내 전송모드확인부(미도시)는, 기지국(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업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토대로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확인한다.Accordingly, the transmission mode checking unit (not shown) in the terminal 10 as the data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uplink high speed. Check the transmission mode.

그리고, 단말(10) 내 데이터전송부(미도시)는, 확인한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업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M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nd, the data transmission unit (not shown) in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identified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uplink high-speed subframe # 1, # 2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 subframe group grouped with # 3 ... # M may be configured, and a large amount of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0 using the same.

이때, 본 발명의 업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M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에 다운링크제어채널(xPDCCH)가 하나만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기지국(100)은 서브프레임 그룹의 xPUSCH를 통해 전송된 모든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다음 서브프레임 그룹 내 단일 xPD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U11...), 업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 그룹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only one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 exists in a group of subframes grouped into uplink fast subframes 1, # 2, # 3 ... # 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100 Since the response signals of ACK / NACK for all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xPUSCH of the subframe group are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xPDCCH in the next subframe group, the response signals of each subframe group can be transmitted (t U11 ...), it can be seen that the actual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group.

한편, 기지국(100) 입장에서는, 다수의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체 무선자원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전송모드(저지연/다운링크 고속/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균형있게 이용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standpoint of the base station 100,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ince the entire radio resour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limited,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mode (low delay / downlink high speed / uplink high speed transmission mode) is used. It needs to be balanc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100)은,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 및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updates and manages at least one of a usage ratio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a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여기서,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 즉, 저지연/다운링크 고속/업링크 고속 전송모드 각각의 이용비율은, 예컨대 A,B,C(A+B+C=100)로 정해질 수 있다.Here, the usage ratio for each transmission mode, that is, the usage ratio of each of the low-latency / downlink high-speed /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s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as A, B, C (A + B + C = 100).

전송모드 별로 설정되는 이용순서는, 해당 전송모드에 맵핑된 데이터 트래픽이 있더라도, 무조건 해당 전송모드를 이용하는 대신 이용에 제한을 두기 위한 조건이다.The order of use, which is set for each transmission mode, is a condition for limiting the use instead of using the transmission mode unconditionally even if there is data traffic mapped to the transmission mode.

예를 들어, 저지연 전송모드를 언급하여 설명하자면, 저지연 전송모드에 맵핑된 데이터 트래픽이 확인되면, 앞서서 저지연 전송모드에 맵핑된 데이터 트래픽 확인 시 저지연 전송모드를 이용했다면 금번은 이용하지 않고 앞서서 저지연 전송모드에 맵핑된 데이터 트래픽 확인 시 저지연 전송모드를 이용하지 않았다면 금번은 이용하는 이용순서1,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의 이용비율(A=40)이 특정치(예: 과반) 미만으로 이용된 상황일 때는 무조건 저지연 전송모드를 이용하고 특정치(예: 과반) 이상 이용된 상황일 때는 이용순서1에 따르는 이용순서2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if data traffic mapped to th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is identified, this time is not used if th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was previously used to check the data traffic mapped to th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If the data traffic mapped to th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is not previously used and the low-delay transmission mode is not used, the current use order 1 or the low-delay transmission mode utilization ratio (A = 40) is less than a specific value (eg, majority) In the situation used as a low-delay transmission mode is used unconditionally, and when the situation is used above a certain value (for example, majority), it can be variously set to use sequence 2 according to the usage sequence 1.

물론,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 및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 역시, 전술과 같이 다양하게 이용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Of course, the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and the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can also be set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이때, 데이터 전송 장치(100)은, 시간대 별로 다수의 단말에 제공한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전송모드 종류), 시간대 별 전체 트래픽량 등을 누적하여 보유하는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한정된 무선자원에서 최대한 많은 단말에 고속 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 및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is based on the big data that accumulates and holds the type of data traffic (transmission mode type) and the total traffic amount for each time zone provid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each time zone, and thus, as much as possible in limited radio resources. In order to provide a high-speed low-latency service to many terminals, it is desirable to update the usage ratio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the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그리고, 업데이트하는 주기는,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단일 프레임의 전송시간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dating period is preferably a preset period in relation to the transmission time of a single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frames.

예를 들어, 단일 프레임은 전송시간이 0.2 ms인 서브프레임 50개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단일 프레임의 전송시간은 10 ms일 것이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single frame is composed of 50 subframes having a transmission time of 0.2 ms, the transmission time of a single frame will be 10 ms.

이 경우, 업데이트하는 주기는, L*10ms로 기 설정될 수 있다(L은 가변 설정).In this case, the period to update can be preset to L * 10ms (L is variable).

데이터전송부(120)은, 데이터 트래픽 발생 시, 기 설정되어 있는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과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금번 발생한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의 이용 여부를 판단한다.When data traffic occurs,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transmission mode mapped to the type of the data traffic that has occurr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reset usage rate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a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Judge.

예를 들어, 데이터전송부(120)은, 저지연 전송모드에 맵핑된 새로운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되면, 무조건 저지연 전송모드를 이용하는 대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과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에 따라서 저지연 전송모드의 이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송모드(저지연/다운링크 고속/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균형있게 이용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new data traffic mapped to th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is generated,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instead of using th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unconditionally, the usage rate for each transmission mode periodically updated and the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Accordingly, by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the transmission mode (low-delay / downlink high-speed /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s balancedly used.

물론,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 및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에 맵핑된 데이터 트래픽 발생 경우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Of course, in the case of data traffic mapped to the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and the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t will also be the sam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향후 등장하게 될 5G 환경, 즉 고속 저지연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저지연/다운링크 고속/업링크 고속)를 실현함으로써, 5G 환경에서 고속 저지연 성능을 지원하는 효과를 도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low delay / downlink high speed / up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for supporting high-speed low-latency communication, which will appear in the future) Link high speed) to derive the effect of supporting high-speed low-latency performance in a 5G environment.

아울러,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한정적인 무선자원을 고려하여,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저지연/다운링크 고속/업링크 고속)의 전송모드(서브프레임 구조)들을 유동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고속 저지연 성능을 최대화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In addition,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idering the limited radio resources,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low delay / downlink high speed / uplink high speed) by operating the transmission mode (subframe structure) fluidly, high-speed low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delay performance is derived.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앞선 설명과 일치되도록 기지국(10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base station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ata transmiss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ced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지국 전원 온(ON) 상태에서, 기 설정된 주기(예: L*10 ms) 마다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 및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를 업데이트(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00).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on (ON) state of the base station, the usage ratio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the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are updat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L * 10 ms) (setting ) Is performed (S10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시간대 별로 다수의 단말에 제공한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전송모드 종류), 시간대 별 전체 트래픽량 등을 누적하여 보유하는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한정된 무선자원에서 최대한 많은 단말에 고속 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 및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big data that accumulates and holds the type of data traffic (transmission mode type) and the total traffic amount for each time zone provid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each time zone. In order to provide a high-speed low-latency service to as many terminals as possible in a limited radio resource, it is desirable to update the usage ratio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the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 예컨대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되면(S110), 다수의 전송모드 즉 저지연 전송모드/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업링크 고속 전송모드 중에서,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를 확인한다(S120).In addition, 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traffic for transmission to a terminal such as the terminal 10 is generated (S110), multiple transmission modes, i.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 Check the transmission mode mapped to the type of data traffic among the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s (S120).

이하에서는,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을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타입1, 다운링크 고속 전송이 요구되는 타입2, 업링크 고속 전송이 요구되는 타입3으로 구분하고, 타입1- 저지연 전송모드, 타입2-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 타입3-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맵핑해 두는 것으로 가정하겠다.Hereinafter, the types of data traffic are classified into type 1 requiring real-time real-time, type 2 requiring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and type 3 requiring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type 1-low-latency transmission mode, type 2 It is assumed that the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and the type 3-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are mapped.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이 타입1,2,3 중 어떤 타입인지 식별하고,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이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which type of data traffic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10 is among types 1, 2, and 3, and the type of data traffic is mapped. It is to check the transmission mode.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S120단계에서 확인한 전송모드를 무조건 이용하는 대신, S100단계를 통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과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에 따라서 금번 확인한 전송모드의 이용 여부를 판단한다(S130).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using the transmission mode checked in step S120 unconditionally, the transmission mode checked this time according to the usage ratio for each transmission mode periodically updated through the step S100 and the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use (S13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S130단계의 판단 결과 금번 확인한 전송모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130 Yes),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한다(S140).Accordingly, 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is checked (S130 Yes), data traffic is transmitted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checked transmission mode. Transmit (S14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S120단계에서 확인 및 S130단계에서 이용이 판단된 전송모드가 저지연 전송모드인 경우라면, 저지연 전송모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고,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를 이용하여 단말(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40).For exampl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ransmission mode is determined in step S120 and determined to be used in step S130 is a low-delay transmission mode, according to the low-delay transmission mode in Figure 4 A low-latency downlink subframe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nd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using a low-latency downlink subframe # 1, # 2, # 3 ... Yes (S14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별도의 SIB 또는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 각각의 x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전송모드에 대한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단말(10)에 전달하여 알릴 수 있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separate SIB or low-delay downlink subframe # 1, # 2, # 3 ... each xPDCCH, to the subframe structure or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to inform.

이에, 전달받은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인지한 단말(10)은, 본 발명의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 각각에 업링크제어채널(xPUCCH)이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저지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2,#3... 의 xPDSCH를 통해 전송된 각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동일 서브프레임의 xPU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d1, td2, td3...), 다운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10 recognizing the received information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controls uplink to each of the low-latency downlink subframes # 1, # 2, # 3 ...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channel (xPUCCH) exists, the response signal of ACK / NACK for each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xPDSCH of the low-latency downlink subframes # 1, # 2, # 3 ... is the same. Since a response signal in a subframe unit can be transmitted by transmitting through the xPUCCH of a frame (t d1 , t d2 , t d3 ...), actual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I can see.

그리고,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단말(10)이라면, 단말(10)은 앞서 기지국(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저지연 전송 구조 또는 저지연 전송모드)를 토대로 저지연 전송모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확인한 저지연 전송모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저지연 업링크 서브프레임#1,#2,#3...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50).And, if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erminal 10, the terminal 10 can check the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or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previously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Therefore, according to the checked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the low-latency uplink subframes # 1, # 2, # 3 ...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are configured, and the base station ( 100) can be transmitted (S15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S120단계에서 확인 및 S130단계에서 이용이 판단된 전송모드가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인 경우라면,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다운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N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말(10)로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40).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rmed in step S120 and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ed in step S130 is a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according to the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FIG. 5 A subframe group grouped with downlink high-speed subframes 1, # 2, # 3 ... # N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and a large amount of data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using the same. It may be transmitted (S14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별도의 SIB 또는 서브프레임 그룹의 x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전송모드에 대한 정보(다운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단말(10)에 전달하여 알릴 수 있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the subframe structure or transmission mode through a separate SIB or subframe group xPDCCH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To the terminal 10 to inform.

이에, 전달받은 정보(다운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인지한 단말(10)은, 본 발명의 다운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N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에 업링크제어채널(xPUSCH)이 하나만 존재하는 구조에 기인하여, 서브프레임 그룹의 xPDSCH를 통해 전송된 모든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응답신호를 동일 서브프레임 그룹 내 단일 xPU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의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td11...), 다운링크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각 서브프레임 그룹의 전송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10 recognizing the received information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s grouped into the downlink high-speed subframes 1, # 2, # 3 ... # N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uplink control channel (xPUSCH) exists in a subframe group, a response signal of ACK / NACK for all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xPDSCH of a subframe group is a single xPUCCH in the same subframe group. Since a response signal in a subframe group unit can be transmitted in a transmission method (t d11 ...), it can be considered that actual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transmission time of each subframe group.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S120단계에서 확인 및 S130단계에서 이용이 판단된 전송모드가 다운링크 고속 전송모드인 경우라면, 별도의 SIB 또는 서브프레임 그룹의 x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전송모드에 대한 정보(업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단말(10)에 전달하여 알릴 수 있다(S140).Meanwhile, 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ransmission mode checked in step S120 and determined to be used in step S130 is a down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xPDCCH of a separate SIB or subframe group is used. Through this, information on the subframe structure or transmission mode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to be notified (S14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지국(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업링크 고속 전송 구조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토대로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를 확인하여,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에 따른 업링크 고속 서브프레임#1,#2,#3...#M으로 그룹핑한 서브프레임 그룹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50).Accordingly, 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s confi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and the uplink high-spe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a subframe group grouped with uplink high-speed subframes # 1, # 2, # 3 ... # M according to the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configured, and using it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0 (S15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S130단계의 판단 결과 금번 확인한 전송모드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S130 No), 기본(Default)로 정해진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말(10)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60).Meanwhile, 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transmission mode checked at this time is not used (S130 No), data is transmitted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determined as default.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terminal 10 (S1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향후 등장하게 될 5G 환경, 즉 고속 저지연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저지연/다운링크 고속/업링크 고속)를 실현함으로써, 5G 환경에서 고속 저지연 성능을 지원하는 효과를 도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low delay / downlink high speed / up)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for supporting high-speed low-latency communication, which will appear in the future. Link high speed) to derive the effect of supporting high-speed low-latency performance in a 5G environment.

아울러,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한정적인 무선자원을 고려하여,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저지연/다운링크 고속/업링크 고속)의 전송모드(서브프레임 구조)들을 유동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고속 저지연 성능을 최대화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In additio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idering the limited radio resources,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low delay / downlink high speed / uplink high speed) by operating the transmission mode (subframe structure) fluidly, high-speed low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delay performance is deri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below.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고속 저지연 서비스의 5G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Flexible TDD 프레임 구조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a new flexible TDD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5G environment of a high-speed low-latency service is proposed, only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is exceeded as it exceed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echnology It is an invention with industrial applicability since it is not only sufficient or commercially available for commercially available devices or commercially available devices.

10 : 단말(데이터 전송 장치)
100 : 기지국(데이터 전송 장치)
110 : 전송모드확인부 120 : 데이터전송부
10: terminal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base station (data transmission device)
110: transmission mode check unit 120: data transmission unit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전송모드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전송모드가 저지연 전송모드인 경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채널, 금번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 직전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저지연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In 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transmission mode check unit for confirming a transmission mod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And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traffic by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mode.
The data transmission unit,
When the transmission mode is a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The data channel through which the downlink or uplink data is transmitted, the up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to the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is subframe, and the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e previous subframe. A data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response signal in units of subframes using a subframe having a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전송모드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전송모드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인 경우,
2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그룹 단위로, 그룹 내 모든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며, 그룹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만이 금번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며, 서브프레임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 만이 직전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고속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In 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transmission mode check unit for confirming a transmission mod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And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traffic by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mode.
The data transmission unit,
When the transmission mode is a downlink 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n group units composed of 2 or more subframes, all subframes in the group include a data channel for down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and only the last subframe in the group is used for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is group. A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n up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and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for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evious group's data channel only the first subframe in the subframe group Data transmiss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response signal in a subframe group unit using the subframe of.
제 6 항에 있어서,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과 마지막 서브프레임 사이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 만을 포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ubframe between the first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group,
Data transmiss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ncludes only a data channel for down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전송모드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데이터 트래픽 발생 시, 기 설정되어 있는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과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의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In 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transmission mode check unit for confirming a transmission mod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And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traffic by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mode.
The data transmission unit,
When data traffic occurs, a data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o use a transmission mode mapped to the type of the data traffic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reset use rate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a usag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 및 전송모드 별 이용순서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단일 프레임의 전송시간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주기마다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t least one of the use rate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the us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pdat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time of a single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frames.
삭제delete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전송모드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전송모드가 저지연 전송모드인 경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채널, 금번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 직전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저지연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In a data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or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transmission mode checking step of checking a transmission mod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And
And a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traffic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mode.
The data transmission step,
When the transmission mode is a low-latency transmission mode,
The data channel through which the downlink or uplink data is transmitted, the up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to the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is subframe, and the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e previous subframe. A data transmission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response signal in units of subframes by using a subframe having a low-latency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전송모드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전송모드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고속 전송모드인 경우,
2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그룹 단위로, 그룹 내 모든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며, 그룹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만이 금번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업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며, 서브프레임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 만이 직전 그룹의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를 위한 다운링크제어채널을 포함하는 고속 전송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그룹 단위로 데이터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In a data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or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transmission mode checking step of checking a transmission mod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And
And a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traffic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mode.
The data transmission step,
When the transmission mode is a downlink or uplink high-speed transmission mode,
In group units composed of 2 or more subframes, all subframes in the group include a data channel for down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and only the last subframe in the group is used for down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hannel of this group. A high-speed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n up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and 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a response signal for uplink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evious group's data channel only the first subframe in the subframe group Data transmis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sub-frame, the data and response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sub-frame group units.
제 12 항에 있어서,
그룹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과 마지막 서브프레임 사이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채널 만을 포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ubframe between the first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group,
Data transmis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ncludes only a data channel for downlink or uplink data transmission.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송 대상인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모드를 확인하는 전송모드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전송모드에 따른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며,
데이터 트래픽 발생 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체 무선자원에서 기 설정되어 있는 전송모드 별 이용비율과 전송모드 별로 기 설정되어 있는 이용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에 맵핑되어 있는 전송모드의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In a data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or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transmission mode checking step of checking a transmission mode of data traffic to be transmitted; And
And a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traffic using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mode.
When data traffic occurs, the transmission mode mapped to the type of the data traffic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reset us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and a preset use order for each transmission mode in all radio resource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KR1020160130814A 2016-10-10 2016-10-10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KR1020990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14A KR102099083B1 (en) 2016-10-10 2016-10-10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14A KR102099083B1 (en) 2016-10-10 2016-10-10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472A KR20180039472A (en) 2018-04-18
KR102099083B1 true KR102099083B1 (en) 2020-04-09

Family

ID=6208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814A KR102099083B1 (en) 2016-10-10 2016-10-10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4918B2 (en) 2018-06-11 2020-09-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Wireless communication framework for multiple user equipment
EP3834567A4 (en) * 2018-08-10 2022-05-11 INTEL Corporation Prioritization of control and data transmsission for different services
US10951362B2 (en) 2018-08-10 2021-03-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nd scheduling for wireless cellular systems with local traffic managers
US11234251B2 (en) 2018-08-17 2022-01-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neric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for new radio sidelink
US11039422B2 (en) 2019-01-11 2021-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ad manager performance management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19B1 (en) * 2005-08-19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detecting data transmission mode of access point in wireless terminal
KR100885446B1 (en) * 2006-08-31 2009-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changing channels and configuration of sub-network in wireless networ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8791*
3GPP R1-160953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472A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1628B (en) Enhanced method for HARQ with channel repetition and user equipment
KR102099083B1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subframe structure configuration method
EP3456126B1 (en) Configuration of uplink transmission for a wireless device
CN111213416B (en) Dynamic management of uplink control signaling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WO2018099387A1 (en) System and scheme for uplink synchronization for small data transmissions
WO2017157181A1 (en) Method and device scheduling and allocating resource
KR20210000739A (en)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receiv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US11246131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102522174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ata transmission
KR1025891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multiple demodulation reference siganl structures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EP35442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712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a scheduling request
CN105227266A (en) The method of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subscrib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054536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cheduling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497850B1 (en) Dl harq timing with short tti operations in tdd
CN104471998B (en) For distributing the method and network node of the resource of uplink subframe
WO2021080993A1 (en) Delayed gra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1814980B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repeat ACK/NACK transmission
CN1145035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onfigured and dynamic down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212810B2 (en) Method for performing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15664609A (en) Uplink control receiving and sending method, device,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3498012B1 (en) Ul scheduling timing with short ttis in tdd
CN104685818A (en) Component carrier (de)activ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carrier aggregation
JP7158538B2 (e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20200020217A (en)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