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005B1 - Relay device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AV for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method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sing the UAV - Google Patents

Relay device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AV for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method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sing the UA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005B1
KR102099005B1 KR1020180056088A KR20180056088A KR102099005B1 KR 102099005 B1 KR102099005 B1 KR 102099005B1 KR 1020180056088 A KR1020180056088 A KR 1020180056088A KR 20180056088 A KR20180056088 A KR 20180056088A KR 102099005 B1 KR102099005 B1 KR 102099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frequency resource
size
throughpu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1337A (en
Inventor
조인휘
최수호
이우엽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05B1/en
Publication of KR2019013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중계 장치는 무인 항공기에 부착되는 중계 장치로서, 상기 무인 항공기가 위치한 공간 인근의 채널을 센싱하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채널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최대인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위치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채널 사용 협상을 통해 주파수 자원 A를 점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Disclosed is a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relay device,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relay method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disclosed relay device is a relay device attach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communication unit for sensing a channel near the space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located,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calculating a location where a frequency resource that can be used is the maximum based on the channel sensing result, and managing the calculated lo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present in the calculated location. Containing a base station and the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based channel use negotiation; includes, but, when occupying the frequency resource A through the channel use negotiation, the control unit to provi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Control.

Description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방법{Relay device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AV for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method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sing the UAV}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relay devic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device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AV for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method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UAV}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셀 경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relay device for improving a user's transmission rate located at a cell boundary,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relay method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들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수 GHz 대역, 특히 전파 특성이 우수한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자원은 대부분이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어 무선 주파수 자원의 고갈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주파수 자원(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방식인 인지 무선(CR, Cognitive Radio) 통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radio frequency resources in the frequency band of a few GHz band, especially in the frequency band of 6 GHz or less, which have excellent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re mostly allocated and used, causing a problem of exhaustion of radio frequency resources. Accordingly, interest in Cognitive Radio (CR) communication,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effectively using frequency resources (channels), is increasing.

인지 무선 통신은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우선순위 사용자(PU: Primary User)와 차순위 사용자(CU/SU: Cognitive User/Secondary User)가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형태의 통신 방법이다. 여기서, 우선순위 사용자는 채널에 대해 정당한 사용권한을 부여 받은 자 또는 장치를 의미하고, 차순위 사용자는 채널에 대해 정당한 사용권한이 없는 자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the same frequency resource is shared and used by a primary user (PU) and a cognitive user / secondary user (CU / SU). Here, the priority user refers to a person or device that has been given the right to use the channel, and the next priority user refers to a person or device without the right to use the channel.

즉, 인지 무선 통신은 채널의 사용률을 높여 무선 주파수 자원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통신 기술로, 채널에 대해 정당한 사용권한을 부여 받은 우선순위 사용자가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차순위 사용자가 비어있는 채널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널의 사용 효율을 높이게 된다.That is,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maximizing the use efficiency of radio frequency resources by increasing the use rate of the channel, and the next user is empty when the priority user who is given the right to use the channel is not using the channel. By using the channel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the efficiency of use of the channel is increased.

한편,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는 전송률이 낮으며, 이를 높이기 위한 기술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Meanwhile, a user located at the cell boundary has a low transmission rate, and there are three techniques for increasing it.

먼저, ICIC(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는 3GPP release 8에서 정의된 기술로서, 인접한 셀들 간 셀 경계에 있는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셀 간 간섭을 줄인다.First,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CIC) is a technology defined in 3GPP release 8, and reduces interference between cells by using different frequency domains at the cell boundary between adjacent cells.

다음으로, eICIC(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는 3GPP release 10에서 정의된 기술로서, ICIC을 HetNet 환경에 맞춘 기술이다. eICIC는 서로 다른 시간 영역(즉, 서브 프레임)을 사용하여 셀 간 간섭을 줄이며, 특히 Macro 셀과 Small 셀을 함께 사용하는 HetNet에서 사용할 수 있다.Next, eICIC (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s a technology defined in 3GPP release 10, and is a technology that tailors ICIC to the HetNet environment. eICIC uses different time domains (i.e., sub-frames) to reduce inter-cell interference, and can be used in HetNet, which uses Macro cells and Small cells together.

마지막으로, CoMP(Coordinated Multi-Point)는 3GPP release 11과 12에서 정의된 기술로서, 안테나를 이용하여 빔포밍(Beamforming)을 하거나 여러 셀들을 하나로 묶어 가상의 MIMO 시스템으로 동작한다. CoMP는 크게 4가지 기술로 나누어진다.Finally, CoMP (Coordinated Multi-Point) is a technology defined in 3GPP releases 11 and 12, and performs beamforming (Beamforming) using an antenna or bundles several cells together to operate as a virtual MIMO system. CoMP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technologies.

CS(Coordinated Scheduling)는 사용자 단위로 채널 정보가 전달되어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할당해주는 기술이다. ICIC와 유사하나 더욱 정교하고 빨라졌다.CS (Coordinated Scheduling) is a technology in which channel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units of users and users allocate different frequency resources. Similar to ICIC, but more sophisticated and faster.

CB(Coordinated Beamforming)는 스마트 안테나(Smart Antenna)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공간 자원(즉, 빔 패턴)을 할당하는 기술이다. 셀 내의 사용자에겐 메인 빔(Main Beam)을 할당하고, 인접 셀 사용자에겐 널 빔(Null Beam)을 할당하여 간섭을 방지한다.Coordinated Beamforming (CB) is a technique for allocating different spatial resources (ie, beam patterns) to users using a smart antenna technology. Main beam is assigned to a user in a cell, and a null beam is assigned to a neighboring cell user to prevent interference.

JT(Joint Transmission)는 여러 셀이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하나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중복으로 수신하므로 수신 성능이 높아진다.Joint transmission (JT) is a technology in which multiple cells simultaneously transmit one data using the same radio resource. Since data is received in duplicate, reception performance is improved.

DPS(Dynamic Point Selection)는 여러 셀이 하나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지만 사용자는 채널 상태가 더 좋은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In DPS (Dynamic Point Selection), multiple cells transmit one data at the same time, but the user receives data from a cell having a better channel state.

그러나, ICIC와 eICIC는 사용자 간의 간섭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므로 사용자의 전송률을 높여주는 효과가 미비하다. However, since ICIC and eICIC aim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users, the effect of increasing a user's transmission rate is insufficient.

또한, CoMP는 사용자의 전송률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지만, 고정된 기지국을 사용하므로 거리에 따라 CoMP를 이용할 수 없는 위치가 존재할 수 있고, CoMP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 장치는 해당 기술을 이용할 수 없으며, 서로 다른 모바일 사업자가 설치한 기지국들끼리의 협력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CoMP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a user's transmission rate, but since a fixed base station is used, there may be a location where CoMP cannot be used depending on a distance, and terminal devices that do not support CoMP cannot use the corresponding technology. The disadvantage is that cooperation between base stations installed by other mobile operators is impossible.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2736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7368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셀 경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relay device for improv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user located at a cell boundary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 would like to propose a method of relaying ba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에 부착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가 위치한 공간 인근의 채널을 센싱하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채널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최대인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위치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채널 사용 협상을 통해 주파수 자원 A를 점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lay device attach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sensing a channel near the space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located,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calculating a location where a frequency resource that can be used is the maximum based on the channel sensing result, and managing the calculated lo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present in the calculated location. Containing a base station and the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based channel use negotiation; includes, but, when occupying the frequency resource A through the channel use negotiation, the control unit to provi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There is provided a re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우선순위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우선순위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통해 전송한 트래픽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트래픽의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트래픽의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자원 A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다. When a priority user wants to use the frequency resource A, the communication unit senses the traffic transmitted by the priority user through the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set time, and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pattern of the sensed traffic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se of the frequency resource A based on the analyzed traffic pattern.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크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트래픽의 패턴을 재분석할 수 있다. When the size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and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 unit controls no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set time, and the preset time After this, the traffic pattern can be re-analyzed.

상기 트래픽이 주기적이고,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크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오버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traffic is periodic, the size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and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operate in an overlay mode.

상기 트래픽이 주기적이고,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작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오버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traffic is periodic, the size of the traffic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and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perate in an overlay mode or to operate in an underlay mode. Can be controlled.

상기 트래픽이 비주기적이고,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크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traffic is aperiodic, and the size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and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operate in an underlay mode.

상기 트래픽이 비주기적이고,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traffic is aperiodic and the size of the traffic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operate in an underlay mode.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트래픽이 주기적인지 비주기적인지를 판단할 수 없거나, 상기 트래픽의 크기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큰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트래픽의 패턴을 재분석하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 case wher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raffic is periodic or aperiodic within the preset time, or when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traffic, the controller, if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hroughput, Controls not to transmit or receive data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for a set time, re-analyzes the traffic pattern after the preset time, and when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enters an underlay mode. It can be controlled to work.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인지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는 중계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부는, 상기 무인 항공기가 위치한 공간 인근의 채널을 센싱하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채널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최대인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위치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채널 사용 협상을 통해 주파수 자원 A를 점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relay unit that provi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relay unit senses a channel near the space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located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calculating a location where a frequency resource that can be used is the maximum based on the channel sensing result, and managing the calculated lo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present in the calculated location. Containing a base station and the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based channel use negotiation; includes, but, when occupying the frequency resource A through the channel use negotiation, the control unit to provi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A dron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인지 무선 통신에 기반한 중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가 위치한 공간 인근의 채널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채널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최대인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위치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산출된 위치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사용 협상을 통해 주파수 자원 A를 점유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erforming relay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sensing a channel near a space i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located; Calculating a position at which a frequency resource that can be used is the maximum based on the channel sensing result; I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present at the calculated location, performing a channel use negotiation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managing the calculated location; And provi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when occupying the frequency resource A through the channel use negoti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인지 무선 통신을 통해 셀 경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improve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user located at the cell boundary through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무선 통신에 기반한 중계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가 WIFI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우선순위 사용자가 점유 중인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무인 항공기가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는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erforming relay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FI signal.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frequency resource A when a priority user wants to use occupied frequency resourc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100)에는, 하나의 셀(110)을 관리하는 매크로(Macro) 기지국(120)과, 셀(110)의 경계 부근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몰 셀(Small Cell) 기지국(130)과,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140)와, 사용자 단말 장치(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includes a macro base station 120 that manages one cell 110 and at least one small cell that manages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of the cell 110. ) A base station 130,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140, and a user terminal device 150.

여기서, 무인 항공기(140)는 일례로 드론일 수 있으며,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무인 항공기(140)는 위치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는 이동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며, 무인 항공기(140)가 위치하는 지점을 관리하는 스몰 셀 기지국(130)으로부터 주파수 자원을 획득하고, 획득된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일례로, WIFI 신호)를 제공한다. 이 때, 무인 항공기(140)는 인지 무선(CR) 통신에 기반하여 주파수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50)는 매크로 기지국(120)과 셀룰러(Cellular)로 통신 연결되거나 무인 항공기(140)에서 공유한 WIFI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may be, for example, a drone, and serves as a repeater. That i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serves as a mobile repeater capable of freely changing the location, acquires frequency resources from the small cell base station 130 managing the point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is located, and acquires the frequency Provi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eg, WIFI signal) based on a resource. At this tim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may acquire frequency resources based on cognitive radio (CR) communica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5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cro base station 120 through a cellular or WIFI shar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이하, 무인 항공기(140)의 구성 및 이를 이용한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and the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relay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14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one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항공기(140)는 구동부(141) 및 중계부(14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includes a driving unit 141 and a relay unit 142.

구동부(141)는 무인 항공기(14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동부(141)의 동작에 따라 무인 항공기(140)는 자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41 controls driv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The drone 140 may change its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41.

중계부(142)는 무인 항공기(140)에 부착되는 하나의 별도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지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50)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한다. The relay unit 142 may be configured as one separate device attach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and provi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50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여기서, 중계부(142)는 통신부(142A) 및 제어부(142B)를 포함한다. Here, the relay unit 142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42A and a control unit 142B.

통신부(142A)는 무인 항공기(140)가 위치한 공간 인근의 채널을 센싱하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채널 사용 협상 역시 통신부(142A)를 통해 수행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42A senses a channel near the space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is located,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he channel use negotiation described below is also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2A.

그리고, 채널의 센싱, 채널 사용 협상 및 데이터 통신을 함께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142A)는 멀티 트랜시버(Multi-Transcei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멀티 트랜시버 중 하나의 트랜시버는 채널의 센싱 동작을 수행하고, 또 다른 트랜시버는 데이터 통신 및 채널 사용 협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channel sensing, channel use negotiation, and data communication together, the communication unit 142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transceiver. That is, one of the multi-transceivers may perform a channel sensing operation, and the other transceiver may perform a data communication and channel use negotiation process.

제어부(142B)는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 또는 모듈일 수 있으며, 통신부(142A)를 제어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142B may be a device or a module including a processor,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42A, and plays a key role for provi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무인 항공기(140)를 이용한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relaying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무선 통신에 기반한 중계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상기 방법은 무인 항공기(140), 보다 정확하게는 무인 항공기(140)에 부착 내지 포함된 중계부(14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erforming relay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method may be perform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more precisely, the relay unit 142 attached to or includ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Hereinafter, a process performed fo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먼저, 단계(310)에서는 특정 위치(공간)에 존재하는 무인 항공기(140)가 인근의 채널(스펙트럼)을 센싱한다. 이는 통신부(142A)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센싱 동작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동작을 통해, 제어부(142B)는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을 분석할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은 에너지 검출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다. First, in step 31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existing in a specific location (space) senses a nearby channel (spectrum). Thi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2A, and the sensing operation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And, through the sensing operation, the control unit 142B can analyze the available frequency resources, and the available frequency resources can be analyzed through energy detection.

다음으로, 단계(320)에서는 채널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최대인 위치를 산출한다. 이는 제어부(142B)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320)를 통해, 무인 항공기(140)는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많은 위치를 찾고,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Next, in step 320, a position where the frequency resource that can be used is the maximum is calculated based on the channel sensing result. Thi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2B. That is, through step 32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can find a location with many available frequency resources and move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계속하여, 단계(330)에서는 산출된 위치에 무인 항공기(140)가 존재하는 경우, 산출된 위치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한다. 이는 통신부(142A) 및 제어부(142B)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330,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is present in the calculated position, a channel use negotiation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a base station managing the calculated position. Thi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2A and the control unit 142B.

인지 무선 통신은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우선순위 사용자(PU: Primary User)와 차순위 사용자(CU/SU: Cognitive User/Secondary User)가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형태의 통신 방법으로서, 채널에 대해 정당한 사용권한을 부여 받은 우선순위 사용자가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차순위 사용자가 비어있는 채널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널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통신 방법이다. 따라서, 무인 항공기(140)는 인지 무선 통신의 차 순위 사용자로서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주파수 자원 A를 점유할 수 있다.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method that allows the same frequency resource to be shared and used by a priority user (PU: Primary User) and a secondary user (CU / SU: Cognitive User / Secondary User).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of the channel by allowing the next priority user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t a time when the given priority user does not use the channel. Therefo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performs channel use negotiation as a next-order user of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and thus can occupy frequency resource A.

일례로, 단계(330)에서는 RTS/CTS 제어(Request To Send/Clear To Send Control)를 이용하여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할 수 있다. RTS/CTS는 802.11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매커니즘이며, 프레임 충돌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For example, in step 330, channel use negotiation may be performed using RTS / CTS control (Request_To_Send / Clear_To_Send_Control). RTS / CTS is a communication mechanism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in the 802.11 wireless network protocol, and is used to prevent frame collision.

마지막으로, 단계(340)에서는 점유된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한다. Finally, in step 340,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provided using the occupied frequency resource A.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가 WIFI 신호인 경우, 무인 항공기(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WAG 노드를 통해 WIFI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TWAG(Trusted WLAN Access Gateway)는 3GPP의 release 11에 정의되어 있으며, WLAN을 LTE에 접목시키는 기술이다. TWAG는 WLAN 네트워크와의 시그널링/베어러 종단을 수행하며, P-GW 및 AAA와 연동한다. P-GW는 WLAN 사용자에 대해 APN(Access Point Name) 별로 LTE와 WLAN간의 Inter-RAT 핸드오버를 제공하며, TWAG와 WLAN 네트워크는 상호 연동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이동성 및 단대단 신뢰 네트워크(End-to-End Trusted Network)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셀룰러 통신에서 쓰인 IP(Internet Protocol)를 유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a WIFI signal,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may provide a WIFI signal through a TWAG node as illustrated in FIG. 4. TWAG (Trusted WLAN Access Gateway) is defined in release 11 of 3GPP, and is a technology for grafting WLAN to LTE. TWAG performs signaling / bearer termination with the WLAN network and works with P-GW and AAA. P-GW provides inter-RAT handover between LTE and WLAN for each APN (Access Point Name) for WLAN users, and TWAG and WLAN networks provide end-to-end mobility and mobility for users through interworking. -End Trusted Network). Accordingly, IP (Internet Protocol) used in the existing cellular communication can be maintained.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없는 경우, 무인 항공기(140)는 인근의 다른 셀을 찾아 이동한다. 이 때, 무인 항공기(140)가 이동하는 동안 근거리 무선 통신이 중단되지만, 기존의 셀룰러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된다. If there is no frequency resource available, the drone 140 moves to other cells in the vicinity. At this tim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stopped whi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is moving, but the network connection is maintained through the existing cellular communication.

요컨대, 종래의 CoMP 기술은 인근의 협력 셀을 통해 주파수 자원을 제공받으므로, 인근의 협력 셀이 없거나 사용 가능한 주파수 자원이 없을 경우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무인 항공기(140)가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을 가고 사용자의 스루풋을 높여줄 수 있는 위치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CoMP는 지원하는 단말에만 적용되는 기술이지만, 본 발명의 경우, CoMP를 지원하지 않거나 기존의 셀룰러 통신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 장치(150)에도 적용할 수 있다.
In short, the conventional CoMP technology is provided with frequency resources through a neighboring cooperative cell, and thus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used when there is no neighboring cooperative cell or no available frequency resour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can move and use a frequency resource that can be used to find a location that can increase a user's throughput. And CoMP is a technology applied only to a supported terminal,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to a user terminal device 150 that does not support CoMP or uses conventional cellular communication.

한편, 점유 중인 주파수 자원 A을 우선순위 사용자가 사용하자고 하는 경우, 우선순위 사용자가 주파수 자원 A을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차 순위 사용자인 무인 항공기(140)는 주파수 자원 A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우선순위 사용자가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고자 할 때의 무인 항공기(14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riority user wants to use the occupied frequency resource A, the drone 140, which is the secondary user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iority user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can use the frequency resource A. .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when the priority user wants to use the frequency resource 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우선순위 사용자가 점유 중인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무인 항공기(140)가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는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when the priority user wants to use the occupied frequency resourc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ocess performed fo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단계(510)에서는 우선순위 사용자가 주파수 자원 A를 통해 전송한 트래픽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한다. 이는 통신부(142A)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First, in step 510, a priority user senses traffic transmitted through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determined time. Thi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2A.

다음으로, 단계(520)에서는 센싱된 트래픽의 패턴을 분석한다. 이는 제어부(142B)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트래픽의 패턴은 트래픽이 주기적인지 비주기적인지 여부, 트래픽의 크기가 큰지 작은지 여부(즉,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큰지 작은지 여부), 트래픽의 스루풋(Throughput) 또는 데이터 레이트(Date Rate)가 높은지 낮은지 여부(즉,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큰 지 작은지 여부 또는 트래픽의 데이터 레이트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 레이트보다 큰 지 작은지 여부)일 수 있다. Next, in step 520, the pattern of the sensed traffic is analyzed. This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42B. Here, the pattern of the traffic is whether the traffic is periodic or aperiodic, whether the size of the traffic is large or small (that is, whether the size of the traffic is larger or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throughput) or data rate It may be whether the (Date Rate) is high or low (that is, whether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greater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or whether the data rate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data rate).

마지막으로, 단계(530)에서는 분석된 트래픽의 패턴에 기초하여 주파수 자원 A의 사용을 제어한다. 이는 제어부(142B)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Finally, in step 530, the use of frequency resource A is controlled based on the analyzed traffic pattern. Thi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2B.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크고(Big Traffic),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준 스루풋보다 큰 경우(High Traffic), 제어부(142B)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ze of traffic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ize (Big Traffic), and the traffic throughpu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throughput (High Traffic), the control unit 142B performs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determined time. Use to control no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즉, 상기의 상황은, 우선순위 사용자가 주기적 트래픽이고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인 대화용 비디오(Conversational Video)를 전송하거나, 비주기적 트래픽인 P2P(Peer to Peer)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데이터 스루풋이 높아 남은 주파수 자원이 거의 없으므로, 차 순위 사용자인 무인 항공기(140)는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 시간(Backoff time) 동안 대기한다.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제어부(142B)는 트래픽의 패턴을 재 센싱 및 재 분석하여 상황에 맞게 주파수 자원 A의 사용을 제어한다.That is, the above situation is when a priority user transmits conversational video (cyclic video), which is periodic traffic and real-time streaming data, or transmits peer-to-peer (P2P) data, which is aperiodic traffic, and has high data throughput. Since there are few remaining frequency resourc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which is a next-order user,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Backoff time) without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After the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142B re-sensing and re-analyzes the traffic pattern to control the use of frequency resource A according to the situ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이 주기적이고, 트래픽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크며(Big Traffic),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Low Throughput), 제어부(142B)는 오버레이 모드(Overlay Mode)로 동작하도록 중계부(142)를 제어할 수 있다. 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ffic is periodic, the size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ize (Big Traffic), and the traffic throughput is less than the reference throughput (Low Throughput), the control unit 142B is overlayed. The relay unit 142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n overlay mode.

여기서, 오버레이 모드는 우선순위 사용자와 차순위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모드로서, 차순위 사용자는 우선순위 사용자의 인코딩 기법을 알고 있어야 우선순위 사용자와 협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overlay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riority user and the secondary user can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and the secondary user needs to know the encoding scheme of the priority user in order to perform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the priority user.

즉, 상기의 상황은, 우선순위 사용자가 주기적 트래픽인 비 대화용 비디오(Non-Conversational Video)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트래픽의 크기는 크지만 데이터 스루풋이 낮다. 따라서, 제어부(142B)의 제어 하에, 차 순위 사용자인 무인 항공기(140)는 우선순위 사용자가 전송하는 트래픽의 주기를 참조하여, 우선순위 사용자가 트래픽을 전송하지 않는 비어있는 시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the above situation is when a priority user transmits a non-conversational video, which is a periodic traffic, the traffic is large, but the data throughput is low. According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2B,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which is a secondary user, can transmit data at an empty time when the priority user does not transmit traffic by referring to the cycle of traffic transmitted by the priority user. have.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이 주기적이고, 트래픽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작고(Small Traffic),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Low Throughput), 제어부(142B)는 오버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언더레이 모드(Underlay Mode)로 동작하도록 중계부(142)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is periodic, the traffic siz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size (Small Traffic), and the traffic throughpu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throughput (Low Throughput), the control unit 142B is overlayed. Mode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or the relay unit 142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n underlay mode.

여기서, 언더레이 모드는 우선순위 사용자와 차순위 사용자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로서, 차순위 사용자는 허용 가능한 간섭 한계치(Interference Temperature)를 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Here, the underlay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riority user and the secondary user transmit data together, and the secondary user needs to transmit data by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so as not to exceed an allowable interference temperature.

즉, 상기의 상황은, 트래픽의 크기가 작지만 높은 스루풋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VolP)를 우선순위 사용자가 사용하거나, 트래픽의 크기가 작고 낮은 스루풋을 가지는 센서 데이터를 우선순위 사용자가 전송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제어부(142B)의 제어 하에, 차 순위 사용자인 무인 항공기(140)는 우선순위 사용자가 전송하는 트래픽의 주기에 맞추어 비어있는 시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오버레이 모드), 또는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선순위 사용자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언더레이 모드). That is, the above situation is a case in which the priority user uses an Internet phone (VolP) having a small throughput but high throughput or the sensor user having a small traffic volume and low throughput. According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2B,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which is a secondary user, transmits data at an empty time according to the cycle of traffic transmitted by the priority user (overlay mode) or does not cause interference. Data can be transmitted with priority users within (underlay mode).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이 비주기적이고, 트래픽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크고(Big Traffic),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Low Throughput), 제어부(142B)는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중계부(142)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ffic is aperiodic, the size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ize (Big Traffic), and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less than the reference throughput (Low Throughput), the control unit 142B The relay unit 142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underlay mode.

즉, 상기의 상황은, 트래픽이 비주기적이고 트래픽의 크기가 크지만 낮은 스루풋을 가지는 웹 브라우징(Web Browsing)을 우선순위 사용자가 수행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제어부(142B)의 제어 하에, 차 순위 사용자인 무인 항공기(140)는 간섭을 일으키기 않는 범위 내에서 우선순위 사용자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언더레이 모드). That is, the above situation is a case where a priority user performs web browsing in which the traffic is aperiodic and has a large traffic volume but low throughput. According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2B,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which is a secondary user, may transmit data with a priority user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interference (underlay mode).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이 비주기적이고, 트래픽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작은 경우(Big Traffic), 트래픽의 스루풋에 무관하게 제어부(142B)는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중계부(142)를 제어할 수 있다. An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ffic is aperiodic and the size of the traffic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size (Big Traffic), regardless of the traffic throughput, the control unit 142B relays to operate in the underlay mode The unit 142 can be controlled.

즉, 상기의 상황은, 트래픽이 비주기적이고, 트래픽의 크기가 작지만 높은 스루풋을 가지는 인터랙티브 게임(Interactive Game)을 우선순위 사용자가 수행하거나, 트래픽이 비주기적이고, 트래픽의 크기가 작고 낮은 스루풋을 가지는 이메일/SNS 채팅을 우선순위 사용자가 수행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제어부(142B)의 제어 하에, 차 순위 사용자인 무인 항공기(140)는 간섭을 일으키기 않는 범위 내에서 우선순위 사용자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언더레이 모드). That is, in the above situation, the priority user performs an interactive game in which the traffic is aperiodic, the traffic size is small, but has high throughput, or the traffic is aperiodic, the traffic size is small, and the throughput is low. A branch is when a priority user performs an email / SNS chat. According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2B,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40, which is a secondary user, may transmit data with a priority user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interference (underlay mode).

표 1에서는 상기의 설명을 정리한 표이다.
Table 1 is a table summarizing the above description.

Figure 112018048305575-pat00001
Figure 112018048305575-pat00001

한편, 제어부(142B)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트래픽이 주기적인지 비주기적인지를 판단할 수 없거나, 트래픽의 크기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42B may not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raffic is periodic or aperiodic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r may not be able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traffic.

이 경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준 스루풋보다 큰 상황이면, 제어부(142B)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트래픽의 패턴을 재분석할 수 있다. 반면,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상황이면, 제어부(142B)는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traffic throughpu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 unit 142B may control no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set time, and re-analyze the traffic pattern after the preset time has passed. have. On the other hand, if the traffic throughpu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 unit 142B may control to operate in an underlay mo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can be recorded in computer readable media.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and ROM, RAM, flash memory, etc.,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Contains high-level language codes.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claim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invention. .

Claims (10)

무인 항공기에 부착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가 위치한 공간 인근의 채널을 센싱하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채널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최대인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위치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채널 사용 협상을 통해 주파수 자원 A를 점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되,
우선순위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우선순위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통해 전송한 트래픽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트래픽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트래픽의 주기성 여부, 상기 트래픽의 크기 및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의 크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트래픽의 패턴 재분석, 오버레이 전용 모드, 언더레이 전용 모드 및 오버레와 언더레이 혼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In the relay device attached to the drone,
A communication unit sensing a channel near the space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located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calculates a location with a maximum available frequency resource based on the channel sensing result, and manages the calculated lo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present at the calculated loc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channel use negotiation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occupying frequency resource A through the channel use negotia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provi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When a priority user wants to use the frequency resource A,
The communication unit senses the traffic transmitted by the priority user through the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pattern of the sensed traffic, re-analyzes the pattern of the traffic after a preset time using the periodicity of the traffic, the size of the traffic, and the size of the traffic, overlay-only mode, under The re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use the frequency resource A in one of the ray-only mode and a mixed mode of overlay and underla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크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트래픽의 패턴을 재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ize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and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 unit controls no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set time, and the preset time After this, the repea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nalysis of the traffic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이 주기적이고,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크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오버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f the traffic is periodic, the size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and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evice to operate in an overlay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이 주기적이고,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작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오버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raffic is periodic, the size of the traffic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and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overlay mode, or to control the operation to operate in the underlay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이 비주기적이고,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크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raffic is aperiodic, the size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and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The control unit is a re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operate in the underlay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이 비주기적이고, 상기 트래픽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raffic is aperiodic and the size of the traffic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The control unit is a re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operate in the underlay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트래픽이 주기적인지 비주기적인지를 판단할 수 없거나, 상기 트래픽의 크기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큰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트래픽의 패턴을 재분석하고,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이 기 설정된 기준 스루풋보다 작은 경우, 언더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se that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raffic is periodic or aperiodic within the preset time, or the size of the traffic cannot be determined,
The control unit,
When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throughput, control no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set time, re-analyze the pattern of the traffic after the preset time passes,
When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hroughput, the re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o operate in the underlay mode.
무인 항공기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인지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는 중계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부는, 상기 무인 항공기가 위치한 공간 인근의 채널을 센싱하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채널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최대인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위치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채널 사용 협상을 통해 주파수 자원 A를 점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되,
우선순위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우선순위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통해 전송한 트래픽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트래픽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트래픽의 주기성 여부, 상기 트래픽의 크기 및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의 크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트래픽의 패턴 재분석, 오버레이 전용 모드, 언더레이 전용 모드 및 오버레와 언더레이 혼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
For drones,
A driving unit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drone; And
Includes a relay unit for provi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based on the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lay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sensing a channel near the space where the drone is located,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calculating a location where a frequency resource that can be used is the maximum based on the channel sensing result, and managing the calculated lo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present in the calculated location. Containing a base station and the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based channel use negotiation; includes, but, when occupying the frequency resource A through the channel use negotiation, the control unit to provi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Control,
When a priority user wants to use the frequency resource A,
The communication unit senses the traffic transmitted by the priority user through the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pattern of the sensed traffic, re-analyzes the pattern of the traffic after a preset time using the periodicity of the traffic, the size of the traffic, and the size of the traffic, overlay-only mode, under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use the frequency resource A in one of the mode of overlay and underlay mixed mode.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인지 무선 통신에 기반한 중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인 항공기가 위치한 공간 인근의 채널을 센싱하는 단계;
(b) 상기 채널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최대인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산출된 위치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산출된 위치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채널 사용 협상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채널 사용 협상을 통해 주파수 자원 A를 점유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우선순위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a)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통해 전송한 트래픽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센싱된 트래픽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트래픽의 주기성 여부, 상기 트래픽의 크기 및 상기 트래픽의 스루풋의 크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트래픽의 패턴 재분석, 오버레이 전용 모드, 언더레이 전용 모드 및 오버레와 언더레이 혼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상기 주파수 자원 A를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
In the method of performing a relay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sensing a channel near the space where the drone is located;
(b) calculating a location where a frequency resource that can be used is the maximum based on the channel sensing result;
(c) i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present at the calculated location, performing a channel use negotiation based o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managing the calculated location; And
(d) when occupying frequency resource A through the channel use negotiation, provi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using the frequency resource A;
When a priority user wants to use the frequency resource A,
In step (a), the priority user senses traffic transmitted through the frequency resource A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tep (d) analyzes the pattern of the sensed traffic, re-analyzes the pattern of the traffic after a preset time using the periodicity of the traffic, the size of the traffic, and the size of the throughput of the traffic, overlay only Mode, underlay-only mode and one of the overlay and underlay mixed mode, the re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use the frequency resource A.
KR1020180056088A 2018-05-16 2018-05-16 Relay device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AV for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method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sing the UAV KR102099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88A KR102099005B1 (en) 2018-05-16 2018-05-16 Relay device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AV for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method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sing the UA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88A KR102099005B1 (en) 2018-05-16 2018-05-16 Relay device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AV for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method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sing the UAV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337A KR20190131337A (en) 2019-11-26
KR102099005B1 true KR102099005B1 (en) 2020-04-08

Family

ID=6873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088A KR102099005B1 (en) 2018-05-16 2018-05-16 Relay device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AV for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method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sing the UA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0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442B1 (en) 2021-09-13 2023-03-15 국방과학연구소 Minimum transmission rate maximization using power control and association in ground base station-to-UAV communication
KR20230102998A (en) 2021-12-30 2023-07-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UAV-IRS(Unmanned aerial vehicle-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826B1 (en) * 2020-01-23 2022-01-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CN111431644B (en) * 2020-03-24 2022-06-10 南京航空航天大学 Unmanned aerial vehicle path autonomous planning device and method for frequency spectrum cognition
CN112105032B (en) * 2020-07-06 2021-10-26 天津大学 Unmanned aerial vehicle cooperative cognitive wireless network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cache
KR102447497B1 (en) 2020-07-24 2022-09-27 국방과학연구소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using mobile base station
CN112637817B (en) * 2020-12-30 2022-01-04 珠海大横琴科技发展有限公司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374261B1 (en) * 2021-11-30 2022-03-15 주식회사 코메스타 Method of selecting operational frequency and sensing channel in licensed spectrum and system performing thereof
CN117354804A (en) * 2022-06-28 2024-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98B1 (en) * 2005-06-13 201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Relay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communication
KR20090105304A (en) * 2008-04-02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in ofdma-based moving networks with cognition
CN103002501A (en) * 2011-09-19 2013-03-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Mobile relay implementing method and mobile relay system
KR101755092B1 (en) * 2015-02-27 2017-07-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n unmanned airborne vehicle for wireless network, an unmanned airborne vehicle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57566B1 (en) 2015-09-01 2018-05-15 주식회사 에이디이 A mobile base station based on a drone for being used in a disaster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 Kong et al.,"Autonomous relay for millimeter-wave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J. Sel. Areas Commun., Sept. 2017.
L. Sboui, H. Ghazzai, Z. Rezki, M.-S. Alouini,"Energy-efficient power allocation for UAV cognitive radio systems", Proc. IEEE 86th Veh. Technol. Conf., Sept. 2017.
Y. Wang,"A Hybrid Underlay/Overlay Transmission Mode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with Statistical Quality-of-Service Provisioning", IEEE Trans. Wireless Commun., Mar. 201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442B1 (en) 2021-09-13 2023-03-15 국방과학연구소 Minimum transmission rate maximization using power control and association in ground base station-to-UAV communication
KR20230102998A (en) 2021-12-30 2023-07-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UAV-IRS(Unmanned aerial vehicle-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337A (en)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005B1 (en) Relay device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AV for including the same, and Relay method based 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using the UAV
Hung et al. Architecture harmonization between cloud radio access networks and fog networks
KR102559155B1 (en) User equipment use of dual-beam to support multi-connectiv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eng et a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in cellular networks
Jo et al. A survey of converging solutions for heterogeneous mobile networks
KR102090925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Bennis et al. When cellular meets WiFi in wireless small cell networks
JP6398972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KR101588712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based on cooperation of intra cell terminals
KR101591204B1 (en) Coordinated set selecting method and device
EP2898610B1 (en) Signaling in tdd communication
Lee et al. Mobile small cells for further enhanced 5G heterogeneous networks
KR102100837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d2d)
JPWO2020031593A1 (en) Communication device
JP2024501299A (en) Sens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20130083384A (en)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qbal et al. Enhanced spectrum access for QoS provisioning in multi-class cognitive D2D communication system
EP3931997A1 (en) Coordination of sidelink mode-2 resource reservation for v2x communications
US202302247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group handover in communication system
Banerjee et al. Decoupled U/C plane architecture for HetNets and high speed mobility: Research directions & challenges
US9307502B1 (en) Managing inter-cell interference
WO2014192620A1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of
US202200465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utilizing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134753A (en) Techniques for beam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7811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wifi integrated small cell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