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633B1 -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633B1
KR102098633B1 KR1020170106057A KR20170106057A KR102098633B1 KR 102098633 B1 KR102098633 B1 KR 102098633B1 KR 1020170106057 A KR1020170106057 A KR 1020170106057A KR 20170106057 A KR20170106057 A KR 20170106057A KR 102098633 B1 KR102098633 B1 KR 10209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voice command
continuous
conversation
convers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012A (ko
Inventor
이지은
이동열
홍진욱
김경연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633B1/ko
Priority to JP2018152310A priority patent/JP6619488B2/ja
Publication of KR2019002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012A/ko
Priority to JP2019206132A priority patent/JP692039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Abstract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은, 대화 기능이 비활성화 된 상태에서 대화 활성 트리거가 인식되면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 하여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서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의 유형에 기초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바로 진입함으로써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CONTINUOUS COVERSATION FUNC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아래의 설명은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비서 시스템, 챗봇 플랫폼(chatbot platform), 인공지능(AI) 스피커 등에서 사용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사람의 명령어에 대한 의도를 이해하고 그에 대응하는 답변 문구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주로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사람이 기능적인 요구를 전달하고 이에 기계가 사람의 요구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마이크(microphone)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동작이나 컨텐츠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9797호(공개일 2011년 12월 30일)에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이동통신망 외에 와이파이와 같은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홈 내 복수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 조작 없이도 음성 명령을 통해 다중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사전에 정해진 키워드(즉, 웨이크업워드(wake up word))(예를 들어, 기기의 이름 등)를 기기를 활성화 하기 위한 대화 활성 트리거로 사용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기는 키워드 호출을 기반으로 음성인식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계의 이름을 부르면 기기를 활성화 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집하기 위한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키워드 호출 없이 기기 스스로 활성화가 되지 않고 짧은 시간 내에 음성 명령을 다시 내리는 경우에도 매번 키워드 호출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사용 피로도가 누적될 수밖에 없다.
기기를 활성화 하기 위한 키워드(웨이크업워드) 호출 없이 바로 음성 명령을 재요청할 수 있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전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에 따라 키워드 호출 없이 자동으로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에 있어서, 대화 기능이 비활성화 된 상태에서 대화 활성 트리거가 인식되면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 하여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서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의 유형에 기초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바로 진입함으로써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웨이크업워드(wake up word)로 지정된 키워드를 상기 대화 활성 트리거로 이용하며,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에 따라 상기 키워드의 호출 없이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유지하여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이 지속적인 동작이 필요한 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유지하여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별도의 종료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지속되는 제1 작업과 별도의 종료 명령 없이 소정 시점에 종료되는 제2 작업 중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이 상기 제2 작업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유지하여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이 사용자의 답변을 요구하는 대화 형식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유지하여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작업 별 수행 패턴을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이 추가의 음성 명령이 예측되는 작업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유지하여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이 지속적인 동작이 필요한 작업인 경우에는 상기 대화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를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이 상기 지속적인 동작이 필요한 작업과 연관된 작업인 경우 상기 대화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대화 기능이 비활성화 된 상태에서 대화 활성 트리거가 인식되면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 하여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과정;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서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작업의 유형에 기초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바로 진입함으로써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전 음성 명령이 이루어진 후 이전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에 따라 기기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단기간에 다시 이루어지는 음성 명령의 경우 기기 활성화를 위한 키워드 호출 없이 바로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와 사용 피로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 호출 없이 바로 음성 명령을 재요청할 수 있는 작업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공지능 연속 대화 시스템은 사용자와의 대화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연속 대화 시스템은 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키워드(웨이크업워드) 호출 없이 바로 음성 명령을 재요청할 수 있는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은 상술한 전자 기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전자 기기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홈(smart home)이나 홈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이 댁내의 디바이스들을 연결하여 제어하는 기술에서,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100)가 사용자(110)의 발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입력 "불 꺼줘"를 인식 및 분석하여 댁내에서 전자 기기(100)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된 댁내 조명기기(120)의 라이트 전원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댁내의 디바이스들은 상술한 댁내 조명기기(120) 외에도 텔레비전, PC(Personal Computer), 주변기기, 에어컨, 냉장고, 로봇 청소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수도, 전기, 냉난방 기기 등과 같은 에너지 소비장치, 도어록, 감시카메라 등과 같은 보안기기 등 온라인 상에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는 이더넷(Ethernet), HomePNA, IEEE 1394와 같은 유선 네트워크 기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Wireless 1394, Home RF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댁내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댁내에 구비된 인공지능 스피커나 로봇 청소기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은 사용자(110)의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댁내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 댁내의 디바이스들과 연결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사용자(110)의 모바일 기기들이 댁내의 디바이스들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100)가 사용자(110)의 발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입력 "오늘 날씨"를 인식 및 분석하여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210)로부터 오늘의 날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오늘의 날씨는 ..."와 같이 음성으로 출력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전자 기기(100)는 댁내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거나 사용자(110)의 모바일 기기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기능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210)에 접속하여 외부 서버(21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사용자(110)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110)의 발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직접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 및 분석하여 음성 입력에 알맞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처리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인식이나 인식된 음성 입력의 분석, 사용자에게 제공될 음성의 합성 등의 처리를 전자 기기(100)와 연계된 외부의 플랫폼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자 기기들(310)과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 및 컨텐츠ㆍ서비스(330)를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들(310)은 댁내에 구비되는 디바이스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적어도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하, 앱들)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를 통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과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는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앱들의 개발을 위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및/또는 개발 문서들을 개발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는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앱들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개발자들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가 제공하는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및/또는 개발 문서를 이용하여 개발한 기기나 앱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음성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고, 출력될 음성을 합성하기 위한 음성처리모듈(321), 수신된 영상이나 동영상을 분석하여 처리하기 위한 비전처리모듈(322), 수신된 음성에 따라 알맞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적절한 대화를 결정하기 위한 대화처리모듈(323), 수신된 음성에 알맞은 기능을 추천하기 위한 추천모듈(324), 인공지능이 데이터 학습을 통해 문장 단위로 언어를 번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공신경망 기반 기계 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325) 등과 같이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인터페이스 커넥트(340)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된 음성 입력을 상술한 모듈들(321 내지 325)을 활용하여 인식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 입력에 따라 적절한 답변 음성을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적절한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확장 키트(350)는 제3자 컨텐츠 개발자 또는 회사들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에 기반하여 새로운 음성기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개발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외부 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고, 외부 서버(210)는 확장 키트(350)를 통해 제공되는 API를 통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음성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인식, 분석하여 적절한 답변 음성을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음성 입력을 통해 처리되어야 할 기능에 대한 추천정보를 외부 서버(2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서, 외부 서버(210)는 음성 입력 "오늘 날씨"를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부터 음성 입력 "오늘 날씨"의 인식을 통해 추출되는 키워드 "오늘" 및 "날씨"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210)는 키워드 "오늘" 및 "날씨"를 통해 "오늘의 날씨는 ..."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생성된 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는 텍스트 정보를 음성으로 합성하여 외부 서버(210)로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서버(210)는 합성된 음성을 전자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100)는 합성된 음성 "오늘의 날씨는 ..."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110)로부터 수신한 음성 입력 "오늘 날씨"가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동작이나 컨텐츠 제공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의 전자 기기(410)는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100)에 대응할 수 있고, 서버(420)는 앞서 설명한 외부 서버(210) 또는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을 구현하는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전자 기기(410)과 서버(420)는 메모리(411, 421), 프로세서(412, 422), 통신 모듈(413, 4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414, 4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11, 4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411, 4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410)나 서버(4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11, 4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410)에 설치되어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41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411, 4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413, 423)을 통해 메모리(411, 4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43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410)의 메모리(41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412, 4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411, 421) 또는 통신 모듈(413, 423)에 의해 프로세서(412, 4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2, 422)는 메모리(411, 4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413, 423)은 네트워크(430)를 통해 전자 기기(410)과 서버(42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410) 및/또는 서버(420)가 다른 전자 기기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410)의 프로세서(412)가 메모리(4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430)를 통해 서버(42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420)의 프로세서(4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430)를 거쳐 전자 기기(4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4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42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412)나 메모리(4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4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14)는 입출력 장치(4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4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415)는 전자 기기(4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42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24)는 서버(420)와 연결되거나 서버(42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410) 및 서버(420)는 도 4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4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4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동작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4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입출력 장치(415)로서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답변 음성이나 오디오 컨텐츠와 같은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입출력 장치(415)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410)와 같은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의 프로세서(412)는 메모리(4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412)는 전자 기기(41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410)가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4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510)에서 전자 기기(410)는 비활성(inactive) 상태(50)에서 대화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로 사전에 정해진 키워드(51)를 인식하게 되면 대화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키워드 호출 기능-attending).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대화 기반 인터페이스로서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마이크 또는 전자 기기(410)와 연동된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에 따른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기기(410)는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고 있지 않는 아이들(idle) 상태 등 비활성 상태(50)에서 사용자가 웨이크업워드로 지정된 키워드(51)를 발화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51)를 인식하여 대화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는 대화 활성화 시 전자 기기(410)에 포함되거나 전자 기기(410)와 연동 가능한 출력장치(PUI, phys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가 대화 활성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켜거나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키워드 호출 기능은 전자 기기(410)가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물론이고, 음악 재생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수행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화 활성 트리거로서 특정 키워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액션이나 소리, 신호 등 다양한 형태의 대화 활성 트리거를 활용할 수 있다.
단계(S520)에서 전자 기기(410)는 키워드(51) 호출을 통해 대화 기능이 활성화 됨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대기할 수 있다(음성 명령 대기 상태-hearing). 활성화 된 전자 기기(410)는 자동으로 일정 시간(예컨대, 7초) 동안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는 PUI를 통해 전자 기기(410)의 대화 활성 상태를 인지한 후 전자 기기(410)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일정 시간 이내에 음성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단계(S530)에서 전자 기기(410)는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 대해 지정된 시간을 카운트 하여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진입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기기(410)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들어오지 않으면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 대해 타임 아웃(time out) 처리하여 비활성 상태(50)로 돌아가게 된다.
단계(S540)에서 전자 기기(410)는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음성 명령을 분석할 수 있다(음성 분석 기능-processing). 전자 기기(410)는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서 대화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대화 기반 인터페이스로서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마이크 또는 전자 기기(410)와 연동된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에 따른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 명령의 의미를 분석하는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410)에서 음성 분석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한 후 수신된 음성 명령을 서버(420)로 전달하고 서버(420)에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분석하는 프로세스 또한 가능하다.
단계(S550)에서 전자 기기(410)는 음성 분석 기능을 통한 의미 분석 결과에 따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작업 수행 기능-reporting).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동작 안내를 위한 TTS(text to speech)와 함께 의미 분석 결과에 따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에는 대화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가능한 정보로서 음성 정보, 영상 정보,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410)는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스피커 또는 전자 기기(410)와 연동된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410)는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기기(410)와 연동된 디스플레이와 같은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410)는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모터 제어 동작 장치 또는 전자 기기(410)와 연동된 모터 제어 동작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410)가 대화 로봇인 경우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에 따라 관련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410)에서 작업 수행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서버(42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대화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스 또한 가능하다.
단계(S560)에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에 따라 연속 대화 기능(2nd hearing)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종료 명령이 들어오기 전까지 지속되는 작업(이하, '제1 작업'이라 칭함)과 별도의 종료 명령 없이도 소정 시점에 종료되는 작업(이하, '제2 작업'이라 칭함)(즉, 지속적인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작업)을 구분하여 제2 작업을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종료 명령이 들어오기 전까지 지속되는 작업과 연관된 작업(예를 들어, 재생 중인 음악 볼륨을 키우는 동작 등) 또한 제1 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이 사용자에게 질의하여 답변을 요구하는 등 대화 형식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기기(410)는 작업 별로 해당 작업의 수행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단기간(예컨대, 7초) 이내에 추가의 음성 명령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는 작업의 경우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이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기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2nd hearing)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입력된 뒤 기기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기기의 활성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진입하여 기기를 깨우기 위한 키워드 호출 없이 바로 사용자에게 음성 명령을 재요청할 수 있다.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서도 이전 음성 명령 대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이 대기 시간으로 지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추가 명령을 원하지 않아 음성 명령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 대기 시간이 경과된 직후 타임 아웃 처리된다.
단계(S570)에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이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한 작업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기기를 비활성 상태(50)로 전환하여 음성 명령 대기 과정을 종료한다. 다시 말해, 전자 기기(410)는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작업의 경우 음성 명령 대기 과정을 종료하고 키워드 호출 이전까지는 기기의 비활성 상태(50)를 유지하다가 키워드 호출이 있을 때 기기를 다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키워드 호출 직후 첫 번째 음성 명령 대기 과정에서 음성 명령 분석에 실패한 경우에는 소정 내용(예컨대, '잘 모르겠어요.')의 TTS 답변을 제공한 후 음성 명령 대기 과정을 종료하고, 키워드 호출 없이 연속 대화 기능으로 제공되는 음성 명령 대기 과정에서 음성 명령 분석에 실패한 경우에는 별도의 TTS 답변 없이 음성 명령 대기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전자 기기(410)는 예를 들어, 음악, 뉴스, 동화, 라디오 등과 같이 컨텐츠를 재생하는 작업처럼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종료 명령이 있을 때까지 기기의 지속적인 작업이 필요한 경우 음성 명령 대기 과정을 종료하고 수행 요청한 작업을 지속할 수 있다. 한편, 이전 음성 명령 대기 과정에서 인식된 음성 명령에 따른 작업이 단순 정보 요청이나 기기와의 채팅처럼 별도의 종료 명령이 없이도 정보 전달 후 종료되는 작업이나 사용자와 연속되는 대화 형식의 작업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키워드 호출 없이도 기기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도 6은 미디어 컨텐츠에 속하는 작업 리스트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의 일례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의 일례로는 음성 정보로 구성된 오디오 컨텐츠(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을 참조하면 오디오 컨텐츠(600)는 예시적으로 음악, 뉴스, 동화, 라디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명령의 의미를 분석하여 의미 분석 결과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 '뉴스 틀어줘'가 수신되면 오디오 컨텐츠(600) 중 뉴스로 분류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컨텐츠(60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종료 명령이 있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에 해당되며, 이러한 작업에 대해서는 음성 명령 대기 과정을 즉시 종료하고 기기를 비활성화 시킨다.
도 7은 TTS 답변에 속하는 작업 리스트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의 일례로 TTS 형태의 답변 정보(70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 '오늘 일정 뭐 있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일정 정보 중 오늘 날짜에 해당되는 일정 정보를 TTS로 출력할 수 있다.
정보 검색과 같은 TTS 답변(700)은 별도의 종료 명령 없이도 정보 전달 후 작업이 종료되고 이러한 작업은 단기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추가 정보 요청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기의 활성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바로 진입함으로써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한다.
도 6과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명령 종류 별로, 즉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 유형에 따라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2nd hearing)로의 전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음악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작업,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컨트롤 작업(예컨대, 볼륨 조절, 재생 컨텐츠 변경 등) 등은 음성 명령 대기 과정을 즉시 종료하고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전환하지 않는다. 한편, 단답형의 TTS 답변을 제공하는 작업이나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 받는 단순 채팅 작업 등은 기기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바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410)는 기본적으로 키워드 호출이 필수로 선행되어야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진입하게 되는데, 일부 유형의 작업의 경우, 즉 단기간에 음성 명령이 다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 작업의 경우 키워드 호출 없이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전 음성 명령이 이루어진 후 이전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에 따라 기기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단기간에 다시 이루어지는 음성 명령의 경우 기기 활성화를 위한 키워드 호출 없이 바로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와 사용 피로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에 있어서,
    대화 기능이 비활성화 된 상태에서 대화 활성 트리거가 인식되면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 하여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서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의 유형에 기초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바로 진입함으로써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의 유형은 지속적인 동작이 필요한 제1 작업과 지속적인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제2 작업으로 구분되고,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이 상기 제1 작업 또는 상기 제1 작업과 연관된 다른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작업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화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이 상기 제2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은 별도의 종료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지속되는 작업에 해당되고,
    상기 제2 작업은 별도의 종료 명령 없이 소정 시점에 종료되는 작업에 해당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이 상기 제2 작업으로서 사용자의 답변을 요구하는 대화 형식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유지하여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작업 별 수행 패턴을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이 상기 제2 작업으로서 추가의 음성 명령이 예측되는 작업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유지하여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인공지능 연속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컴퓨터로 구현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대화 기능이 비활성화 된 상태에서 대화 활성 트리거가 인식되면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 하여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과정;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에서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작업의 유형에 기초하여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바로 진입함으로써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작업의 유형은 지속적인 동작이 필요한 제1 작업과 지속적인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제2 작업으로 구분되고,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작업이 상기 제1 작업 또는 상기 제1 작업과 연관된 다른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작업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화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명령 대기 상태를 종료하는 과정; 및
    상기 작업이 상기 제2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진입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은 별도의 종료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지속되는 작업에 해당되고,
    상기 제2 작업은 별도의 종료 명령 없이 소정 시점에 종료되는 작업에 해당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작업이 상기 제2 작업으로서 사용자의 답변을 요구하는 대화 형식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유지하여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은,
    작업 별로 수행 패턴을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이 상기 제2 작업으로서 추가의 음성 명령이 예측되는 작업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대화 기능의 활성화를 유지하여 상기 다음 음성 명령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연속 대화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106057A 2017-08-22 2017-08-22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KR10209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057A KR102098633B1 (ko) 2017-08-22 2017-08-22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JP2018152310A JP6619488B2 (ja) 2017-08-22 2018-08-13 人工知能機器における連続会話機能
JP2019206132A JP6920398B2 (ja) 2017-08-22 2019-11-14 人工知能機器における連続会話機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057A KR102098633B1 (ko) 2017-08-22 2017-08-22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101A Division KR102241792B1 (ko) 2020-04-02 2020-04-02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012A KR20190021012A (ko) 2019-03-05
KR102098633B1 true KR102098633B1 (ko) 2020-04-08

Family

ID=6572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057A KR102098633B1 (ko) 2017-08-22 2017-08-22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6619488B2 (ko)
KR (1) KR102098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2489B2 (ja) * 2019-03-28 2021-03-17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424256A (zh) 2019-04-01 2021-09-21 谷歌有限责任公司 在可再充电设备上的播送请求和/或用户输入的自适应管理
CN112017650A (zh) * 2019-05-31 2020-12-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的语音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412643B1 (ko) * 2020-09-21 2022-06-24 그루브웍스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69817A1 (en) * 2015-12-09 2017-06-15 Lenovo (Singapore) Pte. Ltd. Extending the period of voice recogni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140A (ko) * 2008-09-17 2010-03-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대화형 음성인식방법 및 음성인식장치
KR102118209B1 (ko) * 2013-02-07 2020-06-02 애플 인크. 디지털 어시스턴트를 위한 음성 트리거
US9715875B2 (en) *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10789041B2 (en) * 2014-09-12 2020-09-29 Apple Inc. Dynamic thresholds for always listening speech trigger
US9548053B1 (en) * 2014-09-19 2017-01-17 Amazon Technologies, Inc. Audible command filtering
KR102346302B1 (ko) * 2015-02-16 2022-0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음성 인식 기능 운용 방법
KR102585228B1 (ko) * 2015-03-13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65101A1 (en) * 2015-06-15 2016-12-15 Motorola Mobility Llc Enabling Event Driven Voice Interaction with a Device
KR20170086814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971718B (zh) * 2017-04-06 2020-09-08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及空调的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69817A1 (en) * 2015-12-09 2017-06-15 Lenovo (Singapore) Pte. Ltd. Extending the period of voice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19488B2 (ja) 2019-12-11
KR20190021012A (ko) 2019-03-05
JP2019040602A (ja) 2019-03-14
JP6920398B2 (ja) 2021-08-18
JP2020038709A (ja)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8689B2 (ja) 文脈ホットワード
JP6752870B2 (ja) 複数のウェイクワードを利用して人工知能機器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543693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25391B1 (ko) 사용자의 발화 위치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KR102429436B1 (ko) 사용자의 입력 입력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9092B1 (ko)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734596A1 (en) Server for determining target device based on speech input of user and controlling targe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erver
KR102098633B1 (ko)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JP6567727B2 (ja) 受信した音声入力の入力音量に基づいて出力される音の出力音量を調節するユーザ命令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8190413A (ja) ユーザ発話の表現法を把握して機器の動作やコンテンツ提供範囲を調整し提供するユーザ命令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0482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deciding duration of receiving voice input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US11258671B1 (en) Functionality management for devices
KR20200043642A (ko)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선택한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8206385A (ja) ユーザの位置及び空間に適した情報を能動的に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9012506A (ja) 機械の自動活性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6775563B2 (ja) 人工知能機器の自動不良検出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10116897A (ko) 외부 장치의 음성 기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976997B2 (en) Electronic device outputting hints in an offline state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user context
JP2023553995A (ja) 単一の発話におけるデバイスまたはアシスタント固有ホットワードの組合せ
US10861453B1 (en) Resource scheduling with voice controlled devices
KR102396147B1 (ko) 음성 명령을 이용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4639384B (zh) 语音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241792B1 (ko)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US11743588B1 (en) Object selection in computer vision
US201903258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