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002B1 -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 Google Patents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002B1
KR102097002B1 KR1020180160488A KR20180160488A KR102097002B1 KR 102097002 B1 KR102097002 B1 KR 102097002B1 KR 1020180160488 A KR1020180160488 A KR 1020180160488A KR 20180160488 A KR20180160488 A KR 20180160488A KR 102097002 B1 KR102097002 B1 KR 10209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ogen
hydrogen water
beverag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배
김운영
황도성
박상회
정후연
Original Assignee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G07F15/001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g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수를 저장한 일반수 저장탱크, 상기 일반수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수소를 발생시켜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 발생 모듈, 상기 일반수 저장탱크와 상기 수소 발생 모듈 사이에 배치된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수소 발생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소 발생 모듈로의 유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이드 밸브, 단일 음료에 관해 온 음료 및 냉 음료 중 하나를 선택하고, 수소수 및 일반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배치된 메뉴 입력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수소수 또는 상기 일반수를 음료 캡슐에 통과시켜 음료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펌프 또는 상기 수소 발생 모듈로부터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전달받는 온수 히터, 상기 온수 히터를 통과한 상기 일반수 또는 상기 수소수를 출수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HYDROGEN WATER CAPSULE AUTOMATIC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하여 캡슐화된 음료에 적용할 수 있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원두커피는 인스턴트 커피에 비하여 맛과 향이 뛰어나고 카페인의 함량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볶은 원두를 별도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상태로 분쇄한 다음, 이를 추출기에 투입하여 커피액을 우려내 추출함으로써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으므로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고 번거로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최근 원두커피를 판매하는 커피 전문점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커피 전문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원두커피는 커피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인스턴트 커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비싼 관계로,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원두커피는 원두의 종류나 분쇄한 입자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맛과 향을 갖게 되므로 인스턴트 커피에 비해 다양한 맛과 향을 즐길 수 있지만, 원두커피의 조리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한편, 전용의 커피추출기구를 필요로 함으로써 커피의 음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기 때문에 주로 커피 전문점을 통해 원두커피가 판매되거나 가정에서 커피추출기구를 구비하여 음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최근 원두커피를 캡슐 형태로 제조하여 자동으로 판매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캡슐 원두커피 자동 판매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582351(2015.12.28)호는 캡슐커피머신용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두캡슐을 수용하는 원두캡슐 홀더와, 상기 원두캡슐 홀더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의 상부를 펀칭하고 물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1핀이 구비된 상부 펀칭기와, 상기 원두캡슐 홀더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의 하부를 펀칭하고 사용된 원두캡슐을 배출시키는 제2핀이 구비된 하부 펀칭기와, 상기 하부 펀칭기 하부에 구비되며 원두커피 추출부의 원두커피 추출을 진행하기 위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펀칭기에서 70~120℃의 물이 7~18bar의 압력으로 공급되어 상기 원두캡슐 내부의 원두가루가 물에 희석되며 상기 원두캡슐 홀더에 구비된 추출구를 통해 원두커피로 추출된 후, 상기 하부 펀칭기에 구비된 제2핀에 의해 사용된 원두캡슐이 캡슐 회수구로 배출되고, 상기 상부 펀칭기는 물을 골고루 분사하기 위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 펀칭기의 표면과 상기 복수개의 제1핀의 일부가 1~10㎜로 파여 있는 형태의 홈을 구비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3-0033050호는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원두커피자판기 본체는 상부에 뜨거운 물을 담는 압착물통과, 여기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탱크, 원두커피캡슐을 지지하는 캡슐지지체로 형성된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캡슐지지체의 상부에 원두커피캡슐을 하나씩 공급할 수 있는 캡슐보관박스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캡슐지지체를 승하강하는 승강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캡슐지지체는 상부에 원통형으로 캡슐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컵을 받칠 수 있도록 지지체 받침대를 형성하고, 이를 연결하는 기둥은 컵을 하나씩 넣을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지지체기둥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582351(2015.12.28)호 한국공개특허 제 10-2013-0033050 (2013.04.0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할 수 있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하여 선택된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포함하는 다양한 캡슐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본 발명은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수를 저장한 일반수 저장탱크, 상기 일반수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수소를 발생시켜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 발생 모듈, 상기 일반수 저장탱크와 상기 수소 발생 모듈 사이에 배치된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수소 발생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소 발생 모듈로의 유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이드 밸브, 단일 음료에 관해 온 음료 및 냉 음료 중 하나를 선택하고, 수소수 및 일반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배치된 메뉴 입력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수소수 또는 상기 일반수를 음료 캡슐에 통과시켜 음료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펌프 또는 상기 수소 발생 모듈로부터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전달받는 온수 히터, 상기 온수 히터를 통과한 상기 일반수 또는 상기 수소수를 출수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는 상기 사용자가 수소수 캡슐 음료를 선택하면 상기 수소수가 온수 히터를 지나도록 조절되고, 상기 사용자가 수소수를 선택하면 상기 수소수가 온수 히터를 지나지 않고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조절되는 수소수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는 상기 수소수 공급 시 수소수 내의 수소 발생 유무를 나타내며, 수소 발생량에 따라 단계적인 표시가 가능한 변색 센서 및 수소 기체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수소 기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수 생성 시, 상기 수소수의 완성 정도에 따른 수소수 완성 대기시간을 상기 메뉴 입력부 중 수소수 선택 버튼에 제공한다.
상기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는 상기 자판기로부터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 동작 시 저장된 메뉴 선택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 미동작 시 동영상 광고를 제공한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 신호에 따라 일반수가 일정 비율 혼합된 수소수를 제공한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가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높은 음료를 기본 설정한다.
상기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는 상기 사용자가 냉 음료 및 온 음료를 포함하는 캡슐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온수 히터는 온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사용자가 수소수만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온수 히터는 오프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일반수 저장 탱크는 상기 수소 발생 모듈과 연결되며, 출수 방향에 2개의 홀을 포함하는 수압 조절용 피팅과 입수 수도 연결부를 통해 일반수를 제공받으며 입수 수도 연결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일반수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수 필터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하여 선택된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포함하는 다양한 캡슐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에 나타나는 메뉴 선택 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에 나타나는 메뉴 선택 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음료 자판기 주문 및 결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음료 자판기 주문 및 결제 과정 시 상기 자판기에 나타나는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100)는 메뉴 입력부(110), 인체 감지 센서부(120), 제어부(130), 정수 필터(140), 입수 수도 연결부(145), 일반수 저장탱크(150), 펌프(155), 수소 발생 모듈(160), 수압 조절용 피팅(165), 온수 히터(170) 및 배출구(180)을 포함한다.
메뉴 입력부(110)는 단일 음료에 관해 온(Hot)음료 및 냉(Cold)음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일반수 및 수소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한다. 메뉴 입력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캡슐 음료 메뉴는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카푸치노, 카페라떼 및 루왁커피 등과 같은 커피를 기본으로 활용하여 만드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화된 커피는 산소와 습기를 차단한 후 캡슐에 밀봉함에 따라 태핑된 원두가 산화되지 않아 신선한 향과 맛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뉴 입력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캡슐 음료 메뉴는 두유, 인삼차, 생강차 및 녹차 등과 같은 차를 기본으로 활용하여 만드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매 가능한 캡슐 음료에 대해서 다양한 추가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부(120)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100)로부터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100)로부터 2.5 ~ 3.0m 내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센서부(120)가 동작한다. 사용자가 감지되는 거리는 상황에 따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100)를 이용하려고 접근하는 사용자와의 최대 거리를 감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부(120)가 동작하면 기 저장된 메뉴 선택 모드가 제공된다. 한편, 인체 감지 센서부(120)가 동작하지 않을 시에는 기 설정된 광고용 동영상을 지속적으로 방영하여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체 감지 센서부(120)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100)의 외부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된 외부 온도에 따라 냉 음료 또는 온 음료 중 선택된 하나가 기본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기본 값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부(120)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100)에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 할 수 있다.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따라 일반수와 수소수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수와 수소수의 비율은 특정 비율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인체 감지 센서부(120)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100)에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얼굴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에 관해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높은 음료를 기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된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에 수소수를 포함하는 캡슐 커피의 선택 빈도가 높다고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는 수소수를 포함하는 캡슐 커피가 기본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사용자가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100)를 이용 시 별도의 선택 없이도 기본 값으로 설정된 캡슐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다른 캡슐 음료를 선택하고 싶은 경우에는 메뉴 선택 모드에서 언제든지 메뉴 변경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메뉴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캡슐 음료의 제조를 제어한다.
일반수 저장 탱크(150)는 일반수를 저장하고, 일반수 저장 탱크(150)는 입수 수도 연결부(145)를 통해 직수 방식으로 일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장된 일반수는 일반수 저장탱크(150)에 유입되기 전 정수 필터(140)를 통해 정수과정을 거쳐 일반수에 용해되어 있는 불순물 및 유해성분을 걸러내어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일반수 저장탱크(150)는 수소를 발생시켜 수소수를 제조하는 수소 발생 모듈(160)과 연결된다. 수소 발생 모듈(160)은 직수형 방식이며, 수소 발생 모듈(160)에는 수압 조절용 피팅(165)이 연결된다. 수소 발생 모듈(160)이 직수형 방식인 경우 유속이 빠르면 수소가 발생하는 전극과 멤브레인에 수소 발생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압 조절용 피팅(165)의 출수 방향에 2개의 작은 홀의 부싱을 설치할 수 있다. 수압 조절용 피팅(165)의 설치로 인해 수소 발생 모듈(160)에 수압이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전극과 멤브레인에 전체적으로 물이 공급되게 되므로 수소 발생량이 증가하게 된다.
일반수 저장탱크(150)와 수소 발생 모듈(160) 사이에는 펌프(155)가 배치되고, 펌프(155)는 일반수 저장탱크(150)에 저장된 일반수가 수소 발생 모듈(1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펌프(155)와 수소 발생 모듈(160) 사이에는 수소 발생 모듈(160)로의 유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이드 밸브(157)가 구비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수소수를 포함하는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솔레이드 밸브(157)가 조절되어 일반수가 수소 발생 모듈(160)로 이동되는 유로가 개방되어, 상기 일반수가 수소 발생 모듈(160)을 통과하여 수소수가 제조된다. 한편, 사용자가 일반수를 포함하는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일반수가 수소 발생 모듈(160)로 이동되는 유로가 차단되어 수소수가 제조되지 않도록 한다.
솔레이드 밸브(157)의 제어에 따라 제조된 수소수 및 일반수는 온수 히터(170)로 전달된다. 온수 히터(170)는 온(On)상태가 기본 값으로 설정되고, 캡슐 음료를 포함하지 않은 수소수를 선택한 경우에만 오프(Off)상태로 변환된다. 캡슐 음료 제조 시에는 일반수 및 수소수 모두 온수 히터(170)를 거쳐 추출되며, 냉 음료를 선택한 경우에는 얼음이 먼저 배출된 후 온수 음료가 배출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아래의 < 표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표 1 >
Figure 112018125002340-pat00001
먼저, 사용자가 일반수를 포함한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 수소 발생 모듈(160)은 오프(OFF)상태가 되고, 수소수를 포함한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 수소 발생 모듈은 온(ON)상태가 된다. 온수 히터(170)는 수소수만을 선택하는 경우가 아니면 항상 온 상태가 유지된다. 캡슐 음료는 기본적으로 온수 히터(170)를 거쳐 배출되며, 사용자가 냉(Cold)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얼음이 먼저 배출된 후 온수 히터(170)를 통과한 캡슐 음료가 추출되어 냉 음료를 제공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냉 음료를 선택하더라도 온수 히터(170)는 온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솔레이드 밸브(157)는 사용자가 수소수를 포함하는 캡슐 음료 또는 수소수만을 선택하는 경우에 온 상태가 된다. 솔레이드 밸브(157)가 온 상태가 되면, 일반수 저장탱크(150)에 저장된 일반수가 수소 발생 모듈(160)을 거쳐 수소수가 제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수소수만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캡슐 음료가 배출되지 않아도 되므로, 온수 히터(170)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냉 수소수를 선택하면, 얼음이 먼저 배출된 후 수소수가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200)는 메뉴 입력부(210), 인체 감지 센서부(220), 제어부(230), 정수 필터(240), 일반수 저장탱크(250), 펌프(255), 수소 발생 모듈(260), 수압 조절용 피팅(263), 온수 히터(270) 및 배출구(280)를 포함한다.
메뉴 입력부(210)는 단일 음료에 관해 온(Hot) 음료 및 냉(Cold) 음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일반수 및 수소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한다. 메뉴 입력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캡슐 음료 메뉴는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카푸치노, 카페라떼 및 루왁커피 등과 같은 커피를 기본으로 활용하여 만드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화된 커피는 산소와 습기를 차단한 후 캡슐에 밀봉함에 따라 태핑된 원두가 산화되지 않아 신선한 향과 맛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뉴 입력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캡슐 음료 메뉴는 두유, 인삼차, 생강차 및 녹차 등과 같은 차를 기본으로 활용하여 만드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매 가능한 캡슐 음료에 대해서 다양한 추가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부(220)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200)로부터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200)로부터 2.5 ~ 3.0m 내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센서부(220)가 동작한다. 사용자가 감지되는 거리는 상황에 따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200)를 이용하려고 접근하는 사용자와의 최대 거리를 감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부(220)가 동작하면 기 저장된 메뉴 선택 모드가 제공된다. 한편, 인체 감지 센서부(220)가 동작하지 않을 시에는 기 설정된 광고용 동영상을 지속적으로 방영하여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체 감지 센서부(220)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200)의 외부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된 외부 온도에 따라 냉 음료 또는 온 음료 중 선택된 하나가 기본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기본 값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부(220)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200)에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 할 수 있다.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따라 일반수와 수소수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수와 수소수의 비율은 특정 비율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인체 감지 센서부(220)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200)에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200)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확인된 사용자에 관해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높은 음료를 기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된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에 수소수를 포함하는 캡슐 커피의 선택 빈도가 높다고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는 수소수를 포함하는 캡슐 커피가 기본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사용자가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200)를 이용 시 별도의 선택 없이도 기본 값으로 설정된 캡슐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다른 캡슐 음료를 선택하고 싶은 경우에는 메뉴 선택 모드에서 언제든지 메뉴 변경이 가능하다.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하므로 자판기의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얼굴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메뉴 입력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캡슐 음료의 제조를 제어한다.
일반수를 저장하는 일반수 저장 탱크(250)는 입수 수도 연결부(245)를 통해 직수 방식으로 일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장된 일반수는 일반수 저장탱크(250)에 유입되기 전 정수 필터(240)를 통해 정수과정을 거쳐 일반수에 용해되어 있는 불순물 및 유해성분을 걸러내어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일반수 저장탱크(250)는 솔레이드 밸브(253)를 통해 각각 펌프(255) 및 수소를 발생시켜 수소수를 제조하는 수소 발생 모듈(260)과 연결된다. 솔레이드 밸브(253)는 수소 발생 모듈(260)로의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일반수를 포함하는 캡슐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 솔레이드 밸브(235)는 온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는 수소 발생 모듈(260)로의 유로가 차단되어 수소수가 제조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가 수소수를 포함하는 캡슐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 솔레이드 밸브(235)는 오프 상태로 변환되고 수소 발생 모듈(260)로의 유로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일반수가 수소 발생 모듈(260)을 통과하여 수소수가 제조된다.
수소 발생 모듈(260)은 직수형 방식이며, 수소 발생 모듈(260)은 수압 조절용 피팅(263)이 연결된다. 수소 발생 모듈(260)이 직수형 방식인 경우 유속이 빠르면 수소가 발생하는 전극과 멤브레인에 수소 발생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압 조절용 피팅(263)의 출수 방향에 2개의 작은 홀의 부싱을 설치할 수 있다. 수압 조절용 피팅(263)의 설치로 인해 수소 발생 모듈(260)에 수압이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전극과 멤브레인에 전체적으로 물이 공급되게 되므로 수소 발생량이 증가하게 된다.
수소 발생 모듈(260)에서 제조된 수소수는 수소수 공급 밸브(265)의 제어에 따라 온수히터(270)로 전달되거나 온수히터(270)를 지나지 않고 배출구(280)로 배출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수소수를 포함하는 캡슐 음료를 선택한 경우, 수소수 공급 밸브(265)는 온 상태를 유지하여 제조된 수소수를 온수히터(270)로 전달하고, 온수히터(270)를 통과한 수소수 캡슐 음료가 배출구(280)으로 추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수소수만을 선택한 경우, 수소수 공급 밸브(265)는 오프 상태로 변환되며, 제조된 수소수는 온수히터(270)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구(280)를 통해 추출된다.
캡슐 음료 제조 시에는 일반수 및 수소수가 모두 온수 히터(270)를 거쳐 추출되며, 냉 음료를 선택한 경우에는 얼음이 먼저 배출된 후 온수 음료가 배출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아래의 < 표 2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표 2 >
Figure 112018125002340-pat00002
먼저, 사용자가 일반수를 포함한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 솔레이드 밸브(253) 및 수소 발생 모듈(260)은 오프(OFF)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수소수를 포함한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 솔레이드 밸브(257), 수소 발생 모듈(260) 및 수소수 공급 밸브(265)는 온(ON)상태가 된다. 온수 히터(270)는 수소수만을 선택하는 경우가 아니면 항상 온 상태가 유지된다.
캡슐 음료는 기본적으로 온수 히터(270)를 거쳐 배출되며, 사용자가 냉(Cold)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얼음이 먼저 배출된 후 온수 히터(270)를 통과한 캡슐 음료가 추출되어 냉 음료를 제공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냉 음료를 선택하더라도 온수 히터(270)는 온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솔레이드 밸브(257)는 사용자가 수소수를 포함하는 캡슐 음료 또는 수소수만을 선택하는 경우에 온 상태가 된다. 솔레이드 밸브(257)가 온 상태가 되면, 일반수 저장탱크(250)에 저장된 일반수가 수소 발생 모듈(260)을 거쳐 수소수가 제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수소수만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캡슐 음료가 배출되지 않아도 되므로, 수소수 공급 밸브(265) 및 온수 히터(170)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냉 수소수를 선택하면, 얼음이 먼저 배출된 후 수소수가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10), 결제 처리부(320) 및 음료 추출부(33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310)는 기 저장된 메뉴 선택 모드 및 기 설정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설정된 컨텐츠는 수소수 및 캡슐 음료에 관한 설명, 광고용 동영상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모드를 아래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에 나타나는 메뉴 선택 모드를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디스플레이부(도 3의 '310')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모드(400)는 단일 음료에 관해 온 음료 및 냉 음료 중 하나를 선택하고, 수소수 및 일반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배치된 메뉴 입력부(430)으로 구성된다.
메뉴 입력부(430)은 각각의 단일음료를 포함한 다수의 메뉴 입력부(430)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메뉴 입력부(430)의 배치는 디스플레이부(도 3의 '310')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다.
메뉴 입력부(430)은 수소수 선택 버튼(410)과 일반수 선택 버튼(420)으로 구분되며, 각 선택 버튼에는 해당 음료에 대한 가격이 명시되어 있다. 수소수 선택 버튼(410)과 일반수 선택 버튼(420)은 서로 다른 색이나 디자인으로 설정하여 쉽게 구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수소수 선택 버튼(410)과 일반수 선택 버튼(420)의 구분은 색이나 디자인에 한정하지 않으며, 두 버튼이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으면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수소수 선택 버튼(410) 일측에 수소 발생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변색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변색 센서(미도시)는 수소 발생량에 따라 단계적인 표시가 가능하여 수소 발생 유무의 확인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또한, 변색 센서(미도시)는 수소수 생성 시 수소수의 완성 정도에 따른 수소수 완성 대기시간의 표시가 가능하다. 수소 기체 발생을 나타내는 수소 기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입력부(430)의 캡슐 음료 메뉴는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및 루왁커피 등과 같은 커피를 기본으로 활용하여 만드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유, 인삼차, 생강차 및 녹차 등과 같은 차를 기본으로 활용하여 만드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메뉴 입력부(430)의 일측에는 캡슐 음료를 포함하지 않고 수소수만을 선택할 수 있는 수소수 단일 버튼(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에 나타나는 메뉴 선택 모드를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디스플레이부(도 3의 '310')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모드(500)는 다수의 음료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배치된 단일 버튼(510)으로 구성된다. 단일 버튼(510)은 도 4의 메뉴 입력부(도 4의 '430')과 달리 수소수 선택 버튼 및 일반수 선택 버튼을 포함하지 않으며, 단일 음료의 종류만 선택이 가능하다. 단일음료를 포함한 다수의 단일버튼(510)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단일 버튼(510)의 배치는 디스플레이부(도 3의 '310')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다.
메뉴 선택 모드(500)는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하는 별도의 선택 버튼을 포함한다. 선택 버튼은 수소수 선택 버튼(520) 및 일반수 선택 버튼(530)으로 구성된다. 단일 버튼(510)을 통해 음료의 종류를 선택한 후 수소수 선택 버튼(520) 및 일반수 선택 버튼(530)을 통해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할 수 도 있다. 한편, 수소수 선택 버튼(520) 및 일반수 선택 버튼(530)을 통해 일반수 및 수소수를 먼저 선택한 후 단일 버튼(510)을 통해 음료의 종류를 선택할 수 도 있다. 다수의 단일 버튼(510)의 일측에는 캡슐 음료를 포함하지 않고 수소수만을 선택할 수 있는 수소수 단일 버튼(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300)는 결제 처리부(320)를 포함하며, 결제 처리부(3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료의 가격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결제 처리부(320)는 무선 결제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근접시키거나 터치하여 QR 코드, NFC 방식으로 모바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체크카드, 직불카드, 신용카드 등의 카드 형태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320)를 통해 결제가 완료되면 음료 추출부(3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조된 캡슐 음료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음료 자판기 주문 및 결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음료 자판기 주문 및 결제 과정 시 상기 자판기에 나타나는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6, 도 7a 내지 도 7k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음료 자판기 주문 및 결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00). 메뉴는 단일 음료에 관해 온(Hot) 음료 및 냉(Cold) 음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일반수 및 수소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한다. 캡슐 음료 메뉴는 아메리카노, 카푸치노 및 루왁커피 등과 같은 커피를 기본으로 활용하여 만드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캡슐 음료 메뉴는 두유, 인삼차, 및 녹차 등과 같은 차를 기본으로 활용하여 만드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매 가능한 캡슐 음료에 대해서 다양한 추가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메뉴는 캡슐 음료를 포함하지 않고 수소수만을 선택하도록 제공한다.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캡슐 음료를 포함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추출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10). 이 단계에서 일반수인 정수를 출수할 것인지, 수소수를 출수할 것인지 결정된다. 이때, 선택된 캡슐 음료를 재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캡슐 음료를 포함하지 않는 수소수만을 선택하는 경우, 냉 수소수 선택 단계를 진행한다(S605).
도 6 및 도 7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뉴 선택을 완료하였다고 판단되면, 결제를 진행한다(S620). 결제는 다양한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결제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근접시키거나 터치하여 QR 코드, NFC 방식으로 모바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체크카드, 직불카드, 신용카드 등의 카드 형태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에서 결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주문이 취소된다(S630). 도 7f와 같이 결제 오류의 발생을 통보하고 주문이 취소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결제를 완료 한 후 주문 취소를 원하는 경우, 도 7h, 도 7i 및 도 7j와 같이 결제 취소, 환불 처리 및 환불 완료가 진행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및 도 7e를 참조하면, 결제가 완료된 후 음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40). 음료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음료 추출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도 7g와 같이 음료 추출에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통보하고 주문 취소 및 환불 처리를 진행한다(S650). 음료 추출이 완료되거나, 주문 취소 및 환불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는 도 7k와 같은 종료 화면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수소 발생 모듈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수소수를 선택하면 언제든지 수소수 캡슐 커피 및 수소수 캡슐 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소수의 항산화 반응에 따른 효과와 캡슐 음료의 신선한 향과 맛에 따른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수소수란 수소(H2)가 용존되어 있는 물을 의미한다. 수소수는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생물은 산소를 이용해 호흡을 한다.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전자전달계(Electrontransport chain)는 섭취한 유기물로부터 유래된 전자를 산소로 전달하며 에너지를 생성하고, 전자를 받은 산소는 양성자(혹은 수소 양이온, H+)와 함께 안정한 상태인 물이 된다. 이 호흡 과정에서 극히 일부가 물이 되지 않고 전자만 받아 라디칼(Radical)상태가 되는데 이것에 체내 호흡과정에서 주로 생기는 활성산소의 일종인 슈퍼옥사이드(Superoxide)이다. 라디칼(Radical)들은 불안정하고 높은 에너지를 갖고 있어, 신체의 다른 분자들과 쉽게 산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세포와 조직이 손상을 입게 된다. 활성산소로 인한 조직과 세포의 지속적인 손상은 노화를 불러 일으키며, 특히 높은 에너지를 갖고 있는 활성산소종은 방사선과 같이 세포의 DNA를 공격하여 변형시켜 암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런데 수소를 포함하는 물, 즉, 수소수를 마시면 활성산소는 수소수 속에 용존되어 있는 수소와 반응하여 물로 환원되고, 환원된 물은 2차 반응 없이 몸 밖으로 빠져 나간다. 이것을 항산화 반응이라 하며, 수소수는 항산화 반응으로 인해 아토피와 같은 피부염, 피부 미백, 노화, 생활 습관병 등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110, 210 : 메뉴 입력부 120, 220 : 인체 감지 센서부
130, 230 : 제어부 140, 240 : 정수 필터
145, 245 : 입수 수도 연결부 150, 250 : 일반수 저장탱크
155, 255 : 펌프 157, 253 : 솔레이드 밸브
160, 260 : 수소 발생 모듈 165, 263 : 수압 조절용 피팅
170, 270 : 온수 히터 180, 280 : 배출구
265 : 수소수 공급 밸브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결제처리부 330 : 음료 추출부
400, 500 : 메뉴 선택 모드 410, 520 : 수소수 선택 버튼
420, 530 : 일반수 선택 버튼 440, 540 : 수소수 단일 버튼

Claims (8)

  1. 일반수를 저장한 일반수 저장탱크;
    상기 일반수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수소를 발생시켜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 발생 모듈;
    상기 일반수 저장탱크와 상기 수소 발생 모듈 사이에 배치된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수소 발생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소 발생 모듈로의 유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이드 밸브;
    단일 음료에 관해 온 음료 및 냉 음료 중 하나를 선택하고, 수소수 및 일반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배치된 메뉴 입력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수소수 또는 상기 일반수를 음료 캡슐에 통과시켜 음료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펌프 또는 상기 수소 발생 모듈로부터 수소수 또는 일반수를 전달받는 온수 히터;
    상기 온수 히터를 통과한 상기 일반수 또는 상기 수소수를 출수하는 배출구; 및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수 공급 시 수소수 내의 수소 발생 유무를 나타내며, 수소 발생량에 따라 단계적인 표시가 가능한 변색 센서 및 수소 기체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수소 기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수 생성 시, 상기 수소수의 완성 정도에 따른 수소수 완성 대기시간을 상기 메뉴 입력부 중 수소수 선택 버튼에 제공하며,
    상기 일반수 저장 탱크는 직수형 방식의 상기 수소 발생 모듈과 연결되며, 출수 방향에 2개의 홀을 포함하는 수압 조절용 피팅과 입수 수도 연결부를 통해 일반수를 제공받으며 입수 수도 연결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일반수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 신호에 따라 일반수가 일정 비율 혼합된 수소수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가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높은 수소수 음료를 기본 설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없더라도 상기 기본 설정된 수소수 음료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는
    상기 사용자가 수소수 캡슐 음료를 선택하면 상기 수소수가 온수 히터를 지나도록 조절되고, 상기 사용자가 수소수를 선택하면 상기 수소수가 온수 히터를 지나지 않고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조절되는 수소수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 동작 시 저장된 메뉴 선택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 미동작 시 동영상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는
    상기 사용자가 냉 음료 및 온 음료를 포함하는 캡슐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온수 히터는 온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사용자가 수소수만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온수 히터는 오프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8. 삭제
KR1020180160488A 2018-12-13 2018-12-13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KR10209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488A KR102097002B1 (ko) 2018-12-13 2018-12-13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488A KR102097002B1 (ko) 2018-12-13 2018-12-13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002B1 true KR102097002B1 (ko) 2020-05-27

Family

ID=7091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488A KR102097002B1 (ko) 2018-12-13 2018-12-13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91B1 (ko) * 2021-05-31 2022-01-20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 제조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87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
KR20110045014A (ko) * 2008-07-25 2011-05-0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음료들을 제공하기 위한 머신
KR20110052404A (ko) * 2009-11-11 2011-05-18 (주)금강넥스터 수소수 냉온수기 및 수소수 정수기
KR20130033050A (ko) 2011-09-26 2013-04-03 이지용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
KR101582351B1 (ko) 2014-07-21 2016-01-11 주식회사 대화디지탈 캡슐커피머신용 커피 추출장치
KR20170065710A (ko) * 2015-12-03 2017-06-14 주식회사 심스바이오닉스 수소수 자동판매기의 제어 방법
KR20180065835A (ko) * 2016-12-08 2018-06-18 진소현 사용자 취향에 맞게 제조 가능한 칵테일 자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87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
KR20110045014A (ko) * 2008-07-25 2011-05-0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음료들을 제공하기 위한 머신
KR20110052404A (ko) * 2009-11-11 2011-05-18 (주)금강넥스터 수소수 냉온수기 및 수소수 정수기
KR20130033050A (ko) 2011-09-26 2013-04-03 이지용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
KR101582351B1 (ko) 2014-07-21 2016-01-11 주식회사 대화디지탈 캡슐커피머신용 커피 추출장치
KR20170065710A (ko) * 2015-12-03 2017-06-14 주식회사 심스바이오닉스 수소수 자동판매기의 제어 방법
KR20180065835A (ko) * 2016-12-08 2018-06-18 진소현 사용자 취향에 맞게 제조 가능한 칵테일 자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91B1 (ko) * 2021-05-31 2022-01-20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3684C2 (ru) Машина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ов
US20220338669A1 (en) Beverage machine with automated brew parameter adjustment
EP2020890B1 (en) Method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particularly from a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beverage obtainable from the method
US20020129712A1 (en) Beverage brewing system
KR101550337B1 (ko)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
WO2012000878A2 (en) Capsule sensing system
US9527717B2 (en) Beverage machine outlet
JP2015521057A (ja) ユーザによるプログラミングが可能なカプセル、カプセルをプログラミ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飲料調製マシン
US10470604B2 (en) Delayed fill of beverage machine heater tank
US9554668B2 (en) Beverage carafe lid open/closed detection and system control
KR102097002B1 (ko) 수소수 캡슐 음료 자판기
EP4132329A1 (en) Air preheating of brew chamber
JP2004355052A (ja) カップ飲料自動販売機
US20220304502A1 (en) Beverage machine heated water source with horizontal heating coil
CN114727716A (zh) 用于加冰冲泡的方法和装置
US20230389748A1 (en) Dual purpose temperature and conductive probe for beverage machine
US20230404320A1 (en) Beverage machine with non-isolated power supply for liquid contacting components
US20230397755A1 (en) Liquid supply tank sensing arrangement for beverage machine
KR102317054B1 (ko) 음료 제조 장치
US20220395132A1 (en) Beverage machine with internal and external water reservoirs
KR102114977B1 (ko) 휴대용 커피 머신
JP2004159831A (ja) 飲料抽出装置
US20220313008A1 (en) Beverage forming system with remote user interface
JPH0595836A (ja) コーヒー抽出器
JP2011242024A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