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000B1 - Dehumidifier - Google Patents

Dehumid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000B1
KR102095000B1 KR1020180087284A KR20180087284A KR102095000B1 KR 102095000 B1 KR102095000 B1 KR 102095000B1 KR 1020180087284 A KR1020180087284 A KR 1020180087284A KR 20180087284 A KR20180087284 A KR 20180087284A KR 102095000 B1 KR102095000 B1 KR 102095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vaporator
temperature
precool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2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2244A (en
Inventor
김민환
김재영
이요한
김세현
이한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000B1/en
Publication of KR2020001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0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증발기와; 증발기와 이격되게 배치된 응축기와; 공기를 증발기와 응축기 순서로 유동시키는 팬과; 액체가 순환하는 배관을 포함하는 현열교환기와; 배관에 배치된 저장조 및 펌프와; 펌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배관이 증발기 이전에 위치하는 프리쿨러부와, 증발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히팅부를 포함한다.This embodiment is an evaporator; A condenser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or; A fan that flows air in order of evaporator and condenser; A sensible heat exchanger including a pipe through which liquid circulates; A storage tank and a pump disposed in the pipe;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ump, the pipe includes a pre-cooler unit located before the evaporator, and a heating unit locat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주변에 현열교환기가 배치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humidifier in which a sensible heat exchanger is disposed around the evaporator.

제습기는 습도를 낮추기 위한 공기조화기로서, 공기 중의 습기를 직접 제거함으로써 상대습도를 낮출 수 있다. A dehumidifier is an air conditioner for lowering humidity, and can lower relative humidity by directly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제습기가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은 냉각식과 건조식으로 나눌 수 있다. The dehumidifier removes moisture from the air, and can be divided into a cooling type and a drying type.

건조식 제습기는 화학물질인 흡습제를 이용하는 방식인데, 가정에서 사용하는 제습상품과 같이 공기 중의 습기를 직접 흡수하거나 흡착시킨다. 흡습제가 습기를 더 이상 흡수하지 못하면 흡습제를 다시 가열해서 이 때 분리되는 습기를 제습기 바깥으로 내보내 다시 흡습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밀폐된 공간에서 소량의 수분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다. 흡습제에는 수분을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난 다공성 물질인 실리카겔(silica gel) 등이 있다.Dry dehumidifiers use a chemical absorbent, which absorbs or adsorbs moisture in the air directly, like dehumidifying products used at home. If the absorbent no longer absorbs moisture, the absorbent can be used again by heating the absorbent again and sending the separated moisture out of the dehumidifier. This method is useful for removing a small amount of moisture in an enclosed space. The hygroscopic agent includes silica gel, which is a porous material having excellent ability to adsorb moisture.

냉각식 제습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켜 습기를 조절한다.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서는 이슬점 이하로 공기의 온도를 내려야 한다. 때문에 냉각식 제습기는 냉각을 위해 냉매를 이용한다.Cooled dehumidifiers control moisture by condensing water vapor in the air with water. To condense water vapor, the temperature of the air must be reduced below the dew point . Therefore, the cooling dehumidifier uses a refrigerant for cooling.

냉각식 제습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한다.The refrigerant dehumidifier includes a compress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a condenser, an expansion mechanism and an evaporator.

제습기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증발기의 이전에 히트파이프의 프리쿨러부(유입측 히트파이프)를 위치시키고, 증발기의 이후에 열방출부(유출측 히트파이프)를 위치시킬 경우, 증발기 부하를 낮출 수 있고, 압축기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The dehumidifier can lower the evaporator load if the pre-cooler portion (inlet side heat pipe) of the heat pipe is placed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the heat release portion (outlet side heat pipe) is placed after the evaporator. , I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ressor.

상기와 같은 히터파이프가 증발기의 이전과 이후에 배치된 제습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08864 A (2013년01월23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The dehumidifier in which the above heater pipe is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evaporato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8864 A (published on January 23, 20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08864 A (2013년01월23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8864 A (released on January 23, 2013)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파이프를 갖는 제습기는 저온 환경에서 작동시 증발기에 착상이 발생하여 제습 성능이 낮을 수 있고, 고습 환경에서 작동시, 예냉부에 응축수가 생성되어 예냉부가 청결하게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 dehumidifier having a heat pipe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have a low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when operating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causing dehumidification, and when operating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in the pre-cooling section, making it difficult to keep the pre-cooling section clean have.

본 발명은 프리쿨러부의 응축수 생성을 최소하하면서 제습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ier capable of improving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while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condensate in the precool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 습도에 대응하여 현열교환기를 순환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ier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liquid circulating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r in response to ambient humid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발기의 착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제습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ier capable of improving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while minimizing the formation of an evapora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는 증발기와; 증발기와 이격되게 배치된 응축기와; 공기를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순서로 유동시키는 팬과; 액체가 순환하는 배관을 포함하고, 배관이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히팅부와 증발기 이전에 위치하는 프리쿨러부를 포함하는 현열교환기와; 배관에 배치된 저장조 및 펌프와; 펌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denser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or; A fan that flows air in the order of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A sensible heat exchanger including a pipe through which liquid circulates, and a heating portion in which the pipe is locat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nd a pre-cooler portion located before the evaporator; A storage tank and a pump disposed in the pipe;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ump.

현열교환기는 액체의 유동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 각각은 히팅부 및 프리쿨러부를 포함하고, 히팅부를 통과한 액체를 상기 프리쿨러부로 안내하는 제1리턴부와, 프리쿨러부를 통과한 액체를 타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로 안내하는 제2리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ble heat exchang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that are continuou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liquid.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includes a heating unit and a pre-cooler unit, and a first return unit guiding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heating unit to the pre-cooler unit and a liquid guiding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pre-cooler unit to the heating unit of the other unit heat exchange unit It may include a two-return part.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현열교환기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의 프리쿨러부와 연결된 프리쿨러 핀과,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와 연결된 히팅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ble heat exchanger may further include a precooler pin connected to the precooler unit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and a heating pin connected to the heating unit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제습기는 히팅부 출구와 프리쿨러부 입구 사이의 리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ehumidifie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part between the outlet of the heating part and the inlet of the precooler part.

제어부는 리턴부의 온도가 프리쿨러부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노점온도 이상이고,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펌프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If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precooler unit, and the evaporator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ump to the maximum output.

제어부는 리턴부의 온도가 프리쿨러부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보다 낮으면, 펌프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lower the output of the pump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is lower than that of the air flowing toward the precooler unit.

제어부는 리턴부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상이 될 때까지 펌프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lower the output of the pump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exceeds the dew point temperature.

제어부는 제습기 기동 후 초기 설정시간 경과 이후에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고,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변동값 이상 감소되면, 펌프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lower the output of the pump if the evaporator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less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evaporator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decreases more than the set temperature fluctuation value after the initial set time elapses after the dehumidifier is star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현열교환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프리쿨러부에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in the precooler unit.

또한, 현열교환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프리쿨러부에 의해 냉각된 후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증발기에 서리가 착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서리가 착상되는 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after being cooled by the precooler unit can be controlled, thereby minimizing frost frost on the evaporator or delaying the frost fr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증발기와 응축기 및 현열교환기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열교환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evaporator, condenser and sensible heat exchanger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bl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bl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증발기와 응축기 및 현열교환기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열교환기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vaporator, a condenser and a sensible heat exchanger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bl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습기는 케이스(1)와, 증발기(2)와; 증발기(2)와 이격되게 배치된 응축기(3)와; 공기를 증발기(2)와 응축기(3) 순서로 유동시키는 팬(4)과, 증발기(2) 주변에 배치된 현열교환기(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humidifier includes a case (1), an evaporator (2); A condenser 3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or 2; It may include a fan (4) for flowing air in order of the evaporator (2) and the condenser (3), and a sensible heat exchanger (5) disposed around the evaporator (2).

케이스(1)는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된 흡입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는 공기토출구(13)가 형성된 토출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는 제습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는 증발기(2)의 양측면을 덮는 아우터 커버(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ase 1 may include an intake body 12 in which an air intake 11 is formed. The case 1 may include a discharge body 14 in which an air discharge port 13 is formed. The case 1 may include a base 15 forming a bottom surface appearance of the dehumidifier. The case 1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cover 16 covering both sides of the evaporator 2. '

흡입 바디(12)는 현열교환기(5)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suction body 12 may be arranged to fac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5.

제습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7)과, 증발기(2)나 현열교환기(5)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은 드레인 팬(18)과, 드레인 팬(18)으로 낙하된 응축수가 모이는 물통(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humidifier is a compressor (17) for compressing refrigerant, a drain pan (18) receiving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evaporator (2) or a sensible heat exchanger (5), and a bucket (19) for condensed water dropped into the drain pan (18). It may further include.

압축기(17)와 드레이 팬(18)과 물통(19)은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케이스(1)의 내부를 압축기(17)이 수용되는 압축기 수용공간과, 물통(19)이 위치하는 물통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2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팬(19)는 베리어(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mpressor 17, the drain fan 18, and the water bottle 19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1. The interior of the case 1 may be arranged a barrier 20 that partitions the interior of the case 1 into a compressor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compressor 17 is accommodated, and a bucket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bucket 19 is located. The drain pan 19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barrier 20.

증발기(2)는 케이스(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튜브(22)에 증발핀(24)이 결합될 수 있다. The evaporator 2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1. The evaporator 2 may have an evaporation pin 24 coupled to at least one evaporation tube 22.

응축기(3)는 케이스(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3)는 증발기(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3)와 증발기(2)의 사이에는 현열교환기(5)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틈(G)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enser 3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1. The condenser 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or 2. A gap G in which a part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5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denser 3 and the evaporator 2.

팬(4)은 공기를 증발기(2)와 응축기(3) 순서로 유동시킬 수 있다. 팬(4)은 모터(42)와, 모터(4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로워(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an 4 may flow air in order of the evaporator 2 and the condenser 3. The fan 4 may include a motor 42 and a blower 44 connected to the motor 42 and rotated.

현열교환기(5)는 공기 유동방향(X)으로 증발기(2)의 전,후에 위치할 수 있다. 현열교환기(5)는 액체가 순환하는 배관(6)을 포함하고, 배관(6)에 배치된 저장조(7) 및 펌프(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ble heat exchanger 5 may be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evaporator 2 in the air flow direction X. The sensible heat exchanger 5 may include a pipe 6 through which liquid circulates, and may include a storage tank 7 and a pump 8 disposed in the pipe 6.

배관(6)을 순환하는 액체는 물이나 냉각수 등의 쿨런트 일수 있고, 쿨런트는 배관(6)과 저장조(7) 및 펌프(8)를 순환할 수 있다. The liquid circulating through the pipe 6 may be coolant such as water or coolant, and the coolant may circulate through the pipe 6 and the storage tank 7 and the pump 8.

배관(6)의 일부는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 이후에 위치되어 증발기(2)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히팅시킬 수 있다. 배관(6)은 증발기(2)와 응축기(3)의 사이에 위치하는 히팅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A part of the pipe 6 is located after the evaporator 2 in the air flow direction X to heat the air cooled by the evaporator 2. The pipe 6 may include a heating part 10 positioned between the evaporator 2 and the condenser 3.

배관(6)의 다른 일부는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의 이전에 위치하여 증발기(2)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예냉할 수 있다. 배관(6)은 증발기(2) 이전에 위치하는 프리쿨러부(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쿨러부(20)를 통과하는 액체는 프리쿨러부(20)에 의해 증발기(2)로 유입되는 공기의 현열 부하를 낮출 수 있고, 이 경우, 증발기(2)에 의한 제습 효율은 상승될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piping 6 is located in the air flow direction X before the evaporator 2 to precool the air flowing toward the evaporator 2. The piping 6 may include a precooler portion 20 located before the evaporator 2.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precooler unit 20 may lower the sensible heat load of ai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2 by the precooler unit 20, and in this case, the dehumidifying efficiency by the evaporator 2 may be increased. have.

배관(6)은 액체의 유동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 각각은 증발기(2)의 전방, 좌측, 우측 및 후방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The piping 6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to H12 continuou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liquid.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to H12 may extend along the front, left, right, and rear sides of the evaporator 2.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 각각은 히팅부(10)와, 프리쿨러부(20) 및 한 쌍의 리턴부(30)(40)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to H12 may include a heating unit 10, a precooler unit 20, and a pair of return units 30 and 40.

히팅부(10)는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의 이후에 공기 유동 방향(X)과 직교한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히팅부(10)는 공기 유동 방향(X) 증발기(2)의 이후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히팅부(10)는 히팅부(10)의 길이 방향(Y) 및 공기 유동 방향(X) 각각과 직교한 방향(Z)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10 may be arrang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X after the evaporator 2 in the air flow direction X.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10 may be provided after the air flow direction (X) of the evaporator 2, and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10 may include a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n air flow direction (X) of the heating units 10. They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orthogonal direction Z.

프리쿨러부(20)는 공기 유동 방향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의 이전에 공기 유동 방향(X)과 직교한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프리쿨러부(20)는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의 이전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프리쿨러부(20)는 프리쿨러부(20)의 길이 방향(Y) 및 공기 유동 방향(X) 각각과 직교한 방향(Z)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precooler unit 20 may be arrang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Y) orthogonal to the air flow direction (X) before the evaporator (2) in the air flow direction (X). The pre-cooler unit 20 may be provided before the evaporator 2 in the air flow direction (X), and the plurality of pre-cooler units 20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ir flow of the pre-cooler unit 20. The directions (X)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Z) orthogonal to each.

한 쌍의 리턴부(30)(40)는 제1리턴부(30)와, 제2리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턴부(30)는 히팅부(10)를 통과한 액체를 프리쿨러부(20)로 안내할 수 있다. The pair of return units 30 and 40 may include a first return unit 30 and a second return unit 40. The first return unit 30 may guide the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ing unit 10 to the precooler unit 20.

제2리턴부(40)는 프리쿨러부(20)를 통과한 액체를 배관(6)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타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10)로 안내하는 제2리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turn unit 40 includes a second return unit 40 that guides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pre-cooler unit 20 to the heating unit 10 of another unit heat exchange unit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6 can do.

제1리턴부(30)와 제2리턴부(40) 중 어느 하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의 좌측에 위치되는 좌측 리턴부일 수 있고, 제1리턴부(30)와 제2리턴부(40) 중 다른 하나는 증발기(2)의 좌측에 위치되는 우측 리턴부일 수 있다. One of the first return unit 30 and the second return unit 40 may be a left return unit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evaporator 2, as shown in FIG. 2, and the first return unit 30 and Another one of the second return units 40 may be a right return unit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evaporator 2.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는 공기의 유동 방향(X)과 직교한 방향(Y)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전후 방향(X)으로 유동될 경우,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는 상하 방향(Z)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고, 가장 높이가 낮은 최하측 단위 열교환부(H1)와, 가장 높은 최상측 단위 열교환부(H1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측 단위 열교환부(H2~H11)이 배치될 수 있다. 현열교환기(5)는 복수개의 중간측 단위 열교환부(H2~H11)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중간측 단위 열교환부(H2~H11)는 상하 방향(Z)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to H12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a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X of air. For example, when air flows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to H12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and the lowest unit heat exchange unit H1 having the lowest height. ) And at least one intermediate unit heat exchange unit H2 to H1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ighest and highest unit heat exchange unit H12. The sensible heat exchanger 5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termediate unit heat exchange units H2 to H11,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unit heat exchange units H2 to H11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최하측 단위 열교환부(H1)와 최상측 단위 열교환부(H12) 중 어느 하나는 펌프(8)에서 펌핑된 액체가 도입되는 입구측 단위 열교환부일 수 있다. 그리고, 최하측 단위 열교환부(H1)와 최상측 단위 열교환부(H12) 중 다른 하나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2)를 순차적 통과한 액체가 저장조(6)로 유동되기 위해 빠져 나오는 출구측 단위 열교환부일 수 있다. Any one of the lowermost unit heat exchange unit H1 and the uppermost unit heat exchange unit H12 may be an inlet unit heat exchange unit into which liquid pumped from the pump 8 is introduced. And, the other of the lowermost unit heat exchange unit (H1) and the uppermost unit heat exchange unit (H12) is the outlet side through which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 H2) sequentially flows out to flow into the storage tank (6) It may be a unit heat exchange unit.

현열교환기(5)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의 히팅부(20)와 연결된 히팅 핀(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ble heat exchanger 5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pin 50 connected to the heating units 20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to H12.

현열교환기(5)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의 프리쿨러부(20)와 연결된 프리쿨러 핀(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ble heat exchanger 5 may further include a precooler pin 60 connected to the precooler parts 20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parts H1 to H12.

배관(6)은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 중 어느 하나(H1)와 펌프(8)를 연결하는 펌프 연결배관(70, 도 2 참조)와,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 중 다른 하나(H12)와 저장조(7)을 연결하는 저장조 연결배관(80,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pe 6 includes a pump connection pipe 70 (see FIG. 2) conn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to H12 (H1) and the pump 8, and a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to H12 A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80 (see FIG. 2) connecting the other one H12 and the storage tank 7 may be included.

저장조(7)와 펌프(8)는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저장조 펌프 연결배관(90, 도 3 참조)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조(7)와 펌프(8)가 직접 연결될 경우, 저장조(7)의 출구부는 펌프(8)의 입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The reservoir 7 and the pump 8 can be directly connected,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nected to a separate reservoir pump connection pipe (90, see FIG. 3). When the reservoir 7 and the pump 8 are directly connected, the outlet of the reservoir 7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pump 8.

저장조(7)는 배관(6)을 순환하는 액체가 담겨지는 것으로서, 배관(6)의 액체 유동 방향으로 펌프(8)의 전,후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조(7)는 현열교환기(6)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Reservoir 7 is to contain the liquid circulating through the pipe 6, it can be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pump 8 in the direction of the liquid flow of the pipe (6). The reservoir 7 may be disposed around the sensible heat exchanger 6.

펌프(8)는 액체가 배관(6)을 순환할 수 있도록 액체를 펌핑시키는 것으로서, 현열교환기(5)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8)는 속도 가변형 펌프로 구성될 수 있고, 입력 전류값에 따라 최대 출력까지 제어될 수 있다.The pump 8 pumps the liquid so that the liquid can circulate through the pipe 6 and can be disposed around the sensible heat exchanger 5. The pump 8 can be configured as a variable speed pump, and can be controlled to a maximum output according to an input current value.

제습기는 현열교환기(5)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00)는 프리쿨러부(20)로 유입되는 액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히팅부(10) 출구(12)와 프리쿨러부(20) 입구(22) 사이의 온도를 센싱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ehumidifie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00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5. The temperature sensor 100 preferably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flowing into the precooler unit 20, and senses the temperature between the outlet 12 of the heating unit 10 and the inlet 22 of the precooler unit 20. Can be placed.

온도센서(100)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히팅부(10) 출구(12)와 프리쿨러부(20) 입구(22)를 잇는 리턴부(30)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100)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 중 입구측 단위 열교환부(H1)의 제1리턴부(30)의 온도를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emperature sensor 100 is preferably dispos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 H12), the heating unit 10, the return unit connecting the outlet 12 and the precooler 20 inlet 22 (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sensor 100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return unit 30 of the inlet unit heat exchange unit H1 among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to H12.

온도센서(100)는 센싱된 센싱값의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100 may transmit a signal of the sensed sensing value to the controller 100.

제습기는 증발기(2)에 설치된 증발기 온도센서(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 온도센서(102)는 증발기(3)에 설치될 수 있고, 센싱된 센싱값의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ehumidifier may further include an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 104 installed in the evaporator 2. The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 102 may be installed in the evaporator 3 and may transmit a signal of the sensed sensing value to the controller 100.

제습기는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외기센서(104)와,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센서(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ehumidifier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air sensor 104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toward the precooler unit 20, and a humidity sensor 106 that senses th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toward the precooler unit 20. You can.

외기센서(104)와 습도센서(106) 각각은 센싱된 센싱값의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Each of the outdoor sensor 104 and the humidity sensor 106 may transmit a signal of the sensed sensing value to the control unit 100.

제습기는 제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제습기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등의 저장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humidifier includes a control unit 110 that controls the dehumidifier. The dehumidifier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12 such as a memory in which various data are stored.

제어부(110)는 팬(4), 펌프(8) 및 압축기(17)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습기의 운전시, 팬(4)과 펌프(8) 및 압축기(17)를 구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fan 4, the pump 8 and the compressor 17.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fan 4 and the pump 8 and the compressor 17 when the dehumidifier is operating.

제어부(110)는 펌프(8)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pump 8.

제어부(100)는 외기센서(104)에서 센싱된 외기온도와 습도센서(106)에서 센싱된 습도에 의해 프리쿨러부(20)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노점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산출된 노점온도를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0 may calculate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air flowing toward the precooler unit 20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ed by the outside air sensor 104 and the humidity sensed by the humidity sensor 106. The control unit 110 may store the calculated dew point temperature in the storage unit 112.

제어부(100)는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이 최소화되게 펌프(8)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pump 8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condensate in the precooler unit 20.

그리고, 제어부(100)는 증발기(2)의 착상이 최소화되게 펌프(8)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pump 8 so that the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2 is minimized.

제어부(100)는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고 증발기(2)의 착상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 펌프(8)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densate is not generated in the precooler unit 20 and the idea of the evaporator 2 is not generated, the control unit 100 may control the pump 8 to the maximum output.

제어부(100)는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생성될 조건이거나 증발기(2)의 착상이 생성될 조건이면, 펌프(8)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하지 않고 최대 출력 보다 낮은 출력으로 펌프(8)를 제어할 수 있다.If the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in the precooler unit 20 or the condition in which the evaporator 2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100 does not control the pump 8 to the maximum power and pumps the pump 8 to a lower power than the maximum power. ) Can be controlled.

제어부(100)는 리턴부(30)의 온도가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노점온도 이상이고,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펌프(7)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If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30 is above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precooler unit 20, and the evaporator 2 has an evaporation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ler 7 outputs the maximum pump 7 Can be controlled.

리턴부(30)의 온도가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노점온도 이상이면, 프리쿨러부(20)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고, 제어부(110)는 배관(6) 내 액체가 최대한 신속하게 히팅부(10)와 프리쿨러부(20)를 순환할 수 있도록 제어부(100)는 펌프(7)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있다.If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3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precooler unit 20, condensate is not generated in the precooler unit 20, and the control unit 110 has liquid in the piping 6 The control unit 100 may control the pump 7 to the maximum output so that the heating unit 10 and the precooler unit 20 can be circulated as quickly as possible.

여기서, 설정온도는 증발기(2)에 착상이 생성되지 않는 온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O℃ 일 수 있다. Here,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at which no implantation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2, for example, it may be O ° C.

한편,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O℃와 같이 고온이면, 증발기(2)에는 서리가 생성되지 않고, 이 경우에도 제어부(110)는 배관(6) 내 액체가 최대한 신속하게 히팅부(10)와 프리쿨러부(20)를 순환할 수 있도록 제어부(100)는 펌프(7)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2 is high, such as O ° C, no frost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2, and eve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can quickly heat the liquid in the piping 6 as much as possible. ) And the pre-cooler unit 20 so that the control unit 100 can control the pump 7 to the maximum output.

즉, 리턴부(30)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상인 조건은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는 제1조건일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면, O℃) 이상인 조건은 증발기(2)에 착상이 발생되지 않는 제2조건일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이러한 제1조건과 제2조건이 모두 만족이면, 펌프(7)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di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3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may be a first condition in which condensate is not generated in the precooler unit 20. In addition, a condition in which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2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et temperature (for example, O ° C.) may be a second condition in which no evaporation occurs in the evaporator 2, and the controller 100 may If all the second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pump 7 can be controlled to the maximum output.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은 제습기의 운전 도중에 리턴부(30)의 온도가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보다 낮으면, 펌프(7)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리턴부(30)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상이 될 때까지 펌프(7)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제어부(110)는 펌프(7)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고, 이 경우,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착상되는 시기는 최대한 지연될 수 있다. 제어부(110)에 의해 펌프(7)의 출력이 낮아지면, 배관(6)을 순환하는 액체의 유량은 감소되고, 프리쿨러부(20)에 의해 냉각되는 공기의 온도는 펌프(7)가 최대 출력으로 제어되는 경우 보다 승온되며, 프리쿨러부(20)의 응축수 생성은 최소화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30 is lower than the air flowing into the precooler unit 2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10 may lower the output of the pump 7.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lower the output of the pump 7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30 exceeds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110 may gradually lower the output of the pump 7, and in this case, the time when the condensed water is implanted in the precooler unit 20 may be delayed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output of the pump 7 is lowered by the control unit 110, the flow rate of the liquid circulating through the pipe 6 is reduc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oled by the precooler unit 20 is the maximum of the pump 7 When controlled by the output,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and the generation of condensate in the precooler unit 20 can be minimized.

제어부(110)는 제습기 기동 후 초기 설정시간(예를 들면, 10분) 경과 이후에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고,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변동값(예를 들면, 0.5℃) 이상 감소되면, 펌프(7)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after the dehumidifier starts, evaporator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2 is less than a set temperature after the initial set time (for example, 10 minutes), and the evaporator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2 is a set temperature fluctuation value (for example, For example, if it is reduced by 0.5 ° C or more, the output of the pump 7 can be lowered.

초기 설정시간은 제습기의 운전시, 사이클이 안정화될 때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사이클이 안정화된 이후에 센싱된 증발온도의 변화에 따라, 펌프(7)의 출력을 가변할 수 있다. The initial set time may be a time until the cycle stabilizes when the dehumidifier is operat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vary the output of the pump 7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vaporation temperature sensed after the cycle is stabilized.

그리고, 설정온도는 증발기(2)에 착상이 생성되지 않는 온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O℃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at which no implantation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2, and may be, for example, O ° C.

그리고, 설정온도 변동값은 증발기(2)의 착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변동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0.5℃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 temperature fluctuation value may be a reference fluctuation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vaporator 2 is implanted, or may be, for example, 0.5 ° C.

제어부(110)는 안정화 시간인 초기 설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은 조건과, 초기 설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의 증발온도의 변화값(즉, 이전 안정화 증발온도- 현재 안정화 증발온도)이 설정온도 변동값(예를 들면, 0.5℃) 초과인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증발기(2)에 착상이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펌프(7)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After the initial set time, which is the stabilization time, the control unit 110 has a condition in which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2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a change value of the evaporation temperature after the initial set time has elapsed (that is, the previous stabilization). Evaporation temperature-If the current stabilized evaporation temperature) satisfies all conditions that exceed the set temperature fluctuation value (for example, 0.5 ° C), the output of the pump 7 is gradually increased to minimize the formation of an implantation in the evaporator 2. Can be lowered.

예를 들어, 설정온도 변동값이 0.5℃ 이고, 초기 설정시간 이후에 측정된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1℃이며, 그 이후에 측정된 현재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2℃이면, 증발기(2)의 증발온도는 설정온도 변동값인 0.5 ℃ 이상 감소된 상태이고, 제어부(110)는 펌프(7)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t temperature fluctuation value is 0.5 ° C,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2 measured after the initial set time is -1 ° C, and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current evaporator 2 measured thereafter is -2 ° C. On the other hand,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2 is reduced by 0.5 ° C or more, which is a set temperature fluctuation value, and the control unit 110 can gradually lower the output of the pump 7.

상기와 같이 제습기의 운전 도중에 펌프(7)의 출력을 낮추면, 배관(6)을 순환하는 액체의 유량은 감소되고, 프리쿨러부(2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는 펌프(7)가 최대 출력으로 제어될 때 보다 높으며, 증발기(2)에는 펌프(7)가 최대 출력으로 제어될 때 보다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고, 증발기(2)의 착상은 최대한 지연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output of the pump 7 is lowe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of the liquid circulating through the pipe 6 is reduc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e-cooler unit 20 is the maximum output of the pump 7 It is higher when it is controlled by, and when the pump 7 is controlled to the maximum output, air of higher temperature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2, and the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2 can be delayed or minimized as much a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bl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현열교환기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2')(H3')(S4')(S5')(H6') 각각이 한 쌍의 히팅부(10')와 한 쌍의 프리쿨러부(20')와 제1리턴부(30) 및 제2리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exchanger of this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 (H2') (H3 ') (S4') (S5 ') (H6')) each with a pair of heating units (10 ') and a pair. It may include a pre-cooler unit 20 ', the first return unit 30 and the second return unit 40.

한 쌍의 히팅부(10')는 리턴밴드(19)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프리쿨러부(20')는 리턴밴드(29)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리턴부(30)는 한 쌍의 히팅부(10') 중 하나와 한 쌍의 프리쿨러부(20') 중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The pair of heating parts 10 'may be connected by a return band 19, and the pair of pre-cooler parts 20' may be connected by a return band 29, the first return part 30 Can connect one of the pair of heating parts 10 'and one of the pair of precooler parts 20'.

제2리턴부(30)는 한 쌍의 프리쿨러부(20') 중 다른 하나와 배관(6)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타 단위 열교환부의 한 쌍의 히팅부(10')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return unit 30 may connect any one of the pair of heating units 10 ′ adjacent to the other unit heat exchange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6 with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pre-cooler units 20 ′. have.

본 실시예는 제1리턴부(30) 및 제2리턴부(4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2')(H3')(S4')(S5')(H6') 각각은 증발기(2)의 후방과 증발기(2)의 좌우 중 일측과 증발기(2)의 전방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y one of the first return unit 30 and the second return unit 40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an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H1 'constituting the sensible heat exchanger. (H2 ') (H3') (S4 ') (S5') (H6 ') Each may be disposed along the front of the evaporator 2 and one side of the rear of the evaporator 2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2. .

본 실시예는 2개 히팅부(10') 및 2개 프리쿨러부(20')가 단위 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is embodiment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because the other heating elements 10 'and the two precooler portions 20' have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y constitute a unit heat exchang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증발기 3: 응축기
4: 팬; 5: 현열교환기
6: 배관 7: 저장조
8: 펌프 10: 히팅부
20: 증발부 110: 제어부
2: Evaporator 3: Condenser
4: fan; 5: sensible heat exchanger
6: Piping 7: Storage tank
8: Pump 10: Heating section
20: evaporation unit 110: control unit

Claims (9)

증발기;
상기 증발기와 이격되게 배치된 응축기;
공기를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순서로 유동시키는 팬;
액체가 순환하는 배관을 포함하는 현열 교환기;
상기 배관에 배치된 저장조 및 펌프;
히팅부 출구와 프리쿨러부 입구 사이의 리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펌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기 이전에 냉매가 통과하는 프리쿨러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히팅부 및 상기 프리쿨러부와 상기 히팅부를 연결하는 리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리턴부의 온도가 상기 프리쿨러부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노점온도 이상이고, 상기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펌프를 미리 설정된 출력으로 증가시키는 제습기.
evaporator;
A condenser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or;
A fan that flows air in the order of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A sensible heat exchanger including a pipe through which liquid circulates;
A storage tank and a pump disposed in the pipe;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part between the outlet of the heating part and the inlet of the precooler part;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ump,
The piping,
A precooler pa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before entering the evaporator, a heat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nd a return part connecting the precooler part and the heating part,
The control unit,
If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precooler unit, and the evaporator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the dehumidifier increases the pump to a preset outp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열교환기는 상기 액체의 유동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 각각은
상기 히팅부 및 프리쿨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부는,
상기 히팅부를 통과한 액체를 상기 프리쿨러부로 안내하는 제1리턴부와,
상기 프리쿨러부를 통과한 액체를 타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로 안내하는 제2리턴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ble heat exchanger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continuou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liquid,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It includes the heating portion and the pre-cooler portion,
The return unit,
A first return unit for guiding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heating unit to the precooler unit,
A dehumidifier including a second return portion for guiding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precooler portion to the heating portion of another unit heat exchange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제습기.
According to claim 2,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are dehumidifiers sequentially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열교환기는
상기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의 프리쿨러부와 연결된 프리쿨러 핀과,
상기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와 연결된 히팅 핀을 더 포함하는 제습기.
According to claim 2,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 precooler pin connected to the precooler unit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A dehumidifier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pin connected to the heating unit of the plurality of unit heat exchange uni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턴부의 온도가 상기 프리쿨러부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펌프의 출력을 낮추는 제습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is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precooler unit, the dehumidifier lowers the output of the pum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턴부의 온도가 상기 노점온도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펌프의 출력을 낮추는 제습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dehumidifies the output of the pump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 unit exceeds the dew point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습기 기동 후 초기 설정시간 경과 이후에 상기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고, 상기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변동값 이상 감소되면, 상기 펌프의 출력을 낮추는 제습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dehumidifier lowers the output of the pump when the evaporator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less than a set temperature after the initial set time elapses after the dehumidifier is started, and when the evaporator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reduced by more than a set temperature fluctuation value.
KR1020180087284A 2018-07-26 2018-07-26 Dehumidifier KR102095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284A KR102095000B1 (en) 2018-07-26 2018-07-26 De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284A KR102095000B1 (en) 2018-07-26 2018-07-26 Dehumid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44A KR20200012244A (en) 2020-02-05
KR102095000B1 true KR102095000B1 (en) 2020-04-23

Family

ID=6951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284A KR102095000B1 (en) 2018-07-26 2018-07-26 Dehumid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0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397A (en) 2021-01-11 202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ehumid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3590B (en) * 2021-01-12 2021-11-23 南京航空航天大学 Evaporative condenser with double precooling systems and embedded foam fin plates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532B1 (en) * 2015-06-23 2015-12-17 온시스텍 주식회사 Energy-saving dehumidification air handl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864A (en) 2011-07-13 2013-01-23 (주)에이치박엔지니어링 Evaporator with heatpipe for dehumidifiers
KR20170061935A (en)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Control device of the inverter dehumid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532B1 (en) * 2015-06-23 2015-12-17 온시스텍 주식회사 Energy-saving dehumidification air handling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397A (en) 2021-01-11 202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e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44A (en)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7872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43844B2 (en) Desiccant-based air conditioning system
CN110486983B (en) Temperature-controllable semiconductor moisture-proof and dehumidifying device
KR101071350B1 (en) Hybrid desiccant cooling oac system for cleanroom
KR101193377B1 (en) Humidity control device
JP5018402B2 (en) Humidity control device
WO2005095865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15906B1 (en) Dehumidifier
JP4946800B2 (en) Humidity control device
KR102095000B1 (en) Dehumidifier
JP2010281476A (en) Humidity controller
WO2015125250A1 (en) Air-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conditioning device
KR20200065303A (en) A radiation cooling and heating system with a solar heat pump by using the membrane type dehumidifier
JP4781408B2 (en) Dehumidifier
KR101226451B1 (en) Bidirectional dehumidifying/drying system of large warehouse
JP7308385B2 (en) dehumidifier
US20230063572A1 (en) Heat Pump-Based Water Harvesting Systems
KR102454769B1 (en) Dehumidifier
JP2010145024A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4792829B2 (en) Humidity control device
KR101373027B1 (en) Seaweed dryer
CN220473894U (en) Humidity adjusting module and cabinet
CN220543275U (en) Humidity adjusting module and cabinet
KR100766104B1 (en) dehumidifiter
JP2011012882A (en) Humidity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