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467B1 - Powerless Wi-Fi Extender - Google Patents

Powerless Wi-Fi Exte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67B1
KR102093467B1 KR1020170139452A KR20170139452A KR102093467B1 KR 102093467 B1 KR102093467 B1 KR 102093467B1 KR 1020170139452 A KR1020170139452 A KR 1020170139452A KR 20170139452 A KR20170139452 A KR 20170139452A KR 102093467 B1 KR102093467 B1 KR 102093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upport plate
conductive pattern
case
patter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6178A (en
Inventor
주상현
유영준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인비지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인비지블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467B1/en
Publication of KR2019004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도전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 1 패턴 모듈 및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도전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턴 모듈과 제 2 패턴 모듈은 서로 대향하면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입사되는 와이파이 신호를 투과시켜 전송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ve patter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the first pattern modul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late. Disclosed is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ive patterns disposed, and the first pattern module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close a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that transmits and transmits an incoming Wi-Fi signal.

Description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Powerless Wi-Fi Extender}Powerless Wi-Fi Extender

본 발명은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와이파이 신호의 전송 거리를 확장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that extends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a Wi-Fi signal without using power.

와이파이 장치는 집 또는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거리가 멀어지거나 벽과 같은 장애물이 있으면 와이파이 신호의 수신 감도가 낮아지며, 네트워크가 끊겼다가 연결되는 문제가 있다. 와이파이 신호의 수신 감도와 수신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와이파이 증폭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Wi-Fi devices are frequently used in homes or offices, but if distances or obstacles, such as walls, increas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Wi-Fi sig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twork is disconnected and then connected. A separate Wi-Fi amplifying device is used to increase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reception distance of the Wi-Fi signal.

현재 사용되는 와이파이 증폭 장치는 와이파이 신호의 증폭을 위한 다양한 회로를 포함하며, 회로의 구동을 위하여 전력을 필요로 한다. 와이파이 증폭 장치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콘센트 또는 유에스비 단자가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설치 장소에 제한이 있다.The currently used Wi-Fi amplifying device includes various circuits for amplifying the Wi-Fi signal, and requires power to drive the circuit. The Wi-Fi amplifying device must be installed at an outlet or a location where the USB terminal is installed in order to receive power,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installation location.

본 발명은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와이파이 신호의 전송 거리를 확장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that extends a transmission distance of a Wi-Fi signal without using power.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는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도전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 1 패턴 모듈 및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도전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턴 모듈과 제 2 패턴 모듈은 서로 대향하면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입사되는 와이파이 신호를 투과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powered Wi-Fi expa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ve patter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the first pattern modul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ive patter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the first pattern module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ar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transmitted by transmitting incident Wi-Fi signals. .

또한,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는 상기 제 1 패턴 모듈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과 제 2 면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턴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제 1 면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패턴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제 2 면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power Wi-Fi expa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as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while being formed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pattern module, wherein the first pattern modul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 of the case, the second pattern module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ide of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면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박스 형상을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제 2 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 2 패턴 모듈을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includes a case body having a first surface and forming a box shape opened in a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nd a case cover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wherein the case cover is provided with the case body. The second pattern module may be fixed and supported on an opposite surface.

또한, 상기 케이스는 폴리메타크릴이미드 발포체, 테프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ase may be formed of polymethacrylimide foam, Teflon, polypropylene or polyvinyl chloride.

또한,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은 0.4 ~ 1.2mm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이미드,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PDMS, 또는 테프론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re formed to a thickness of 0.4 to 1.2mm, and may be formed of polyimide, polystyrene, polyethylene, PDMS, or Teflon.

또한,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제 2 도전 패턴은 20㎛ ~ 60㎛의 두께로 형성되며, 구리, 은, 알루미늄, 금, 백금 또는 니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formed to a thickness of 20 μm to 60 μm, and may be formed of copper, silver, aluminum, gold, platinum or nickel.

또한,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제 2 도전 패턴은 원형 링 형상, 사각 링 형상, 오각 링 형상, 육각 링 형상 또는 팔각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 square ring shape, a pentagonal ring shape, a hexagonal ring shape, or an octagonal ring shape.

또한,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제 2 도전 패턴은 내경이 20 ~ 30mm이고 외경이 40 ~ 60mm인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20 to 30 mm and an outer diameter of 40 to 60 mm.

또한,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패턴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도전 패턴의 외경에 대하여 1.1 ~ 1.5배가 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adjacent first patterns is 1.1 to 1.5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는 건물 내부의 벽면에서 필요한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와이파이 신호를 보다 먼 거리로 전송할 수 있다.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required location on a wall inside the building to transmit Wi-Fi signals over a longer distance.

또한,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는 금속 메타 패턴을 사용하여 와이파이 신호의 전송 거리를 확장하므로 전력을 별도로 공급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al meta pattern to extend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Wi-Fi signal, so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supply power.

또한,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선 또는 플러그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설치 위치에 제약이 없다.In addition,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wire or plug for power supply, so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에 의한 와이파이 신호의 세기 분포도이다.
도 6은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와이파이 신호의 세기 분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투과율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상대적인 투과율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S-parameter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FIG. 1.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A of FIG. 1.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less Wi-Fi expansion devic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5 is a strength distribution diagram of the Wi-Fi signal by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ength distribution diagram of a Wi-Fi signal in a state where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is not attached.
7 is a graph of transmittance of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of the relative transmittance of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S-parameter graph of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structure of a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FIG. 1.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10)와 제 1 패턴 모듈(120) 및 제 2 패턴 모듈(1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non-powered Wi-Fi expan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 a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a second pattern module 130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s formed.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제 1 패턴 모듈(120)과 제 2 패턴 모듈(130)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제 1 패턴 모듈(120)과 제 2 패턴 모듈(130)이 케이스(110)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고정되면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케이스(110)의 깊이를 조절하여 제 1 패턴 모듈(120)과 제 2 패턴 모듈(13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일측으로 입사되는 와이파이 신호를 타측으로 투과시켜 보다 먼 거리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과 제 2 패턴 모듈(130)은 60 ∼ 90mm의 이격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장치를 투과하는 투과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 거리는 와이파이 주파수의 투과율이 높도록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이격 거리가 너무 너무 작거나 크면 와이파이 주파수에 대한 투과율이 낮게 된다.The non-power Wi-Fi expansion device 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are spac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are fixed to one inner surface and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100 may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by adjusting the depth of the case 110.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100 may transmit a Wi-Fi signal incident on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transmit it over a longer distance.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may be spaced at a separation distance of 60 to 90 mm. The separation distance may determine a transmission frequency through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is set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Wi-Fi frequency is high. If the separation distance is too small or too large, the transmittance to the Wi-Fi frequency is low.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제 1 패턴 모듈(120)과 제 2 패턴 모듈(130)이 소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에서 별도의 지지 수단에 의하여 지지되고, 케이스(110)가 제 1 패턴 모듈(120)과 제 2 패턴 모듈(130)을 감싸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100 is supported by separate support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ase 110 has a first pattern It may be formed by wrapping the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At this time,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되므로 건물 벽면등 다양한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선과 플러그가 없으며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없다.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1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s a whole, so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such as a building wall. In addition, since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100 does not use power, there are no wires and plugs, a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가 중공이며 판상인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소정의 폭(W)과 높이(H) 및 깊이(D)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100a)과 제 2 면(100b)과, 제 1 면(100a)과 제 2 면(100b)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 3 면(100c)과 제 4 면(100d) 및 제 1 면(100a)과 제 2 면(100b)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 5 면(100e)과 제 6 면(100f)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100a)과 제 2 면(100b)은 케이스(110)의 폭과 높이를 결정하며, 제 3 면(100c)과 제 4 면(100d)은 케이스(110)의 폭과 깊이를 결정하며, 제 5 면(100e)과 제 6면은 케이스(110)의 높이와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100a)과 제 2 면(100b)은 제 1 패턴 모듈(120) 및 제 2 패턴 모듈(130)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제 1 면(100a)으로 입사되는 와이파이 신호를 제 2 면(100b) 방향으로 투과시켜 전송한다.The case 110 may be formed in a hollow and plate-shaped box shape. The case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W), height (H), and depth (D). The case 110 includes a first surface 100a and a second surface 100b that face each other, and a third surface 100c that is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respectively. ) And the fourth surface (100d) and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fth surface (100e) and the sixth surface (100f) may be formed.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determine the width and height of the case 110, and the third surface 100c and the fourth surface 100d determine the width and depth of the case 110. The fifth surface 100e and the sixth surface may determine the height and depth of the case 110.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may be formed with area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100 transmits a Wi-Fi signal incident on the first surface 100a through the second surface 100b.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에 제 1 패턴 모듈(120)과 제 2 패턴 모듈(130)을 서로 평행하게 이격시켜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은 제 1 면(100a)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제 2 패턴 모듈(130)은 제 2 면(100b)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10)는 깊이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제 1 패턴 모듈(120)과 제 2 패턴 모듈(130)을 이격시켜 지지한다.The case 110 may accommodate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For example,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100b. Therefore, the case 110 supports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apart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epth.

상기 케이스(110)는 케이스 본체(111) 및 케이스 커버(115)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110)는 제 2 면(100b)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는 깊이의 절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케이스(110)는 케이스 본체(111)와 케이스 커버(115)가 서로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커버(115)가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be formed by separating the case body 111 and the case cover 115. That is, the case 110 may be formed by separating the second surface (100b). Meanwhile, the case 110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depth. In this case, the case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ase body 111 and the case cover 115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case cover 115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케이스 본체(111)는 제 1 면(100a)을 구비하며, 제 2 면(100b) 방향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 본체(111)는 제 1 면(100a)과 제 3 면(100c)과 제 4 면(100d)과 제 5 면(100e) 및 제 6 면(100f)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11)는 제 1 면(100a)이 제 1 패턴 모듈(120)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11)는 제 1 패턴 모듈(120)과 제 2 패턴 모듈(130)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11)는 제 1 면(100a)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 1 패턴 모듈(120)을 지지한다.The case body 111 is provided with a first surface (100a), the second surface (100b) direction may be formed in an open box shape. For example, the case body 111 may be formed by including a first surface 100a, a third surface 100c, a fourth surface 100d, a fifth surface 100e, and a sixth surface 100f. Can be. The case body 111 may be formed with an area in which the first surface 100a corresponds to the area of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The case body 111 may be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The case body 111 supports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00a.

상기 케이스 커버(115)는 제 2 면(100b)에 대응되는 면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115)는 케이스 본체(111)의 개방된 제 2 면(100b)에 결합되며, 제 2 면(100b)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115)는 제 2 패턴 모듈(130)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115)는 케이스 본체(111)와 대향하는 면에 제 2 패턴 모듈(130)을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커버(115)는 제 2 패턴 모듈(1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내측면에 제 2 패턴 모듈(130)이 수용되는 수용 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ase cover 115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rface 100b. The case cover 115 is coupled to the opened second surface 100b of the case body 111 and may shield the second surface 100b. The case cover 115 may be formed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The case cover 115 may be supported by fixing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to a surface facing the case body 111. Meanwhile, the case cover 115 may further include an accommodating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is accommodated on the inner surface to stably support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상기 케이스(110)는 상대 유전율이 1 ∼ 5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olymethacrylimide) 발포체(상품명 Rohacell), 테프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제 1 면(100a)과 제 2 면(100b)이 1.0 ∼ 5mm의 두께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2.0 ∼ 3.2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제 1 면(100a)과 제 2 면(100b)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기계적 강도가 약해 판상 또는 원하는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제 1 면(100a)과 제 2 면(100b)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전자기파의 투과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 permittivity of 1 to 5.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polymethacrylimide foam (trade name Rohacell), Teflon, polypropylene or polyvinyl chloride. In the case 110,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are formed to a thickness of 1.0 to 5 mm, and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2.0 to 3.2 mm. When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of the case 110 are too thin, there is a side in which mechanical strength is weak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plate shape or a desired shape.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of the case 110 is too thic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mittance of electromagnetic waves is lowered.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은 제 1 지지판(121) 및 제 1 도전 패턴(12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은 제 1 지지판(121)의 양면에 제 1 도전 패턴(125)이 일정한 패턴으로 위치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은 케이스(110)의 제 1 면(100a)의 내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은 별도의 접착제에 의하여 케이스(110)의 제 1 면(100a)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은 별도의 볼트, 압정 또는 고정 후크에 의하여 케이스(110)의 제 1 면(100a)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은 케이스(110)의 제 1 면(100a)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The first pattern module 120 is formed to include a first support plate 121 and a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is formed by position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125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1 in a constant pattern.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case 110.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case 110 by a separate adhesive. In addition,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case 110 by a separate bolt, tack or fixing hook. At this time,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may be attach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case 110,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은 와이파이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전자기파에 대한 투과 효율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은 제 1 지지판(121)의 두께와 제 1 도전 패턴(125)의 크기 또는 배열 주기가 조절되는 경우에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기파의 투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패턴 모듈(120))과 달리 제 1 지지판(121)의 일면에만 제 1 도전 패턴(125)이 형성되는 경우에 전자기파가 비선형성을 가지게 되어 투과 부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The first pattern module 120 increases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2.4 GHz band or 5 GHz band, which is a frequency band of a Wi-Fi signal.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may increa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1 and the size or arrangement period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are adjus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s form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1, unlike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there is a problem in that electromagnetic waves have nonlinearity and are difficult to use as a transmissive member.

상기 제 1 지지판(121)은 수지 필름 또는 수지 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판(121)은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판(121)은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PDMS, 테프론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판(121)은 양면에 형성되는 제 1 도전 패턴(125)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판(121)은 제 1 도전 패턴(125)과 함께 전자기파를 모아서 투과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판(121)은 0.4 ~ 1.2mm의 두께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0.6 ~ 1.0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판(121)의 두께가 너무 작거나 크면 전자기파의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판(121)의 두께가 너무 작거나 크면 전자기파의 주파수 변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판(121)은 케이스(110)의 제 1 면(100a)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121 is formed of a resin film or a resin film. The first support plate 121 may be formed of a polyimide material. The first support plate 12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styrene, polyethylene, PDMS, or Teflon. The first support plate 121 supports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formed on both sides.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late 121 may function to collect and transmit electromagnetic waves together with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The first support plate 121 is formed to a thickness of 0.4 ~ 1.2mm, preferably 0.6 ~ 1.0mm thickness.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1 is too small or large, the transmittance of electromagnetic waves may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1 is too small or large, a frequency modulation phenomenon of electromagnetic waves may occur. The first support plate 121 may be formed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case 110.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원형 링 형상 또는 사각 링, 오각링, 육각링 또는 팔각 링과 같은 다각형 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20㎛ ~ 60㎛의 두께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30 ~ 50㎛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이 원형 링 형상인 경우에, 제 1 도전 패턴(125)은 20 ~ 30mm의 내경과 40 ~ 60mm의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의 내경과 외경 및 두께는 전자기파의 투과 주파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의 내경과 외경 및 두께가 너무 작거나 크면 전자기파의 투과 주파수가 와이파이 주파수를 벗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이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위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 원형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폭 또는 변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의 외측은 외경을 갖는 원의 면적에 대응되는 폭 또는 변의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의 내측은 내경을 갖는 원에 대응되는 폭 또는 변의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circular ring shape or a polygonal ring shape such as a square ring, pentagonal ring, hexagonal ring, or octagonal r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s formed to a thickness of 20㎛ ~ 60㎛, preferably 30 ~ 50㎛ thickness. Whe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has a circular ring shape,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may be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of 20 to 30 mm and an outer diameter of 40 to 60 mm. The inner diameter,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may affect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electromagnetic waves. Therefore, if the inner diameter,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are too small or large,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s out of the Wi-Fi frequency.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s formed in a polygonal ring shape, it is formed to have a width or side length having the same area as a circle having a diameter in the above range. That is, the outer side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width or a length of a side corresponding to an area of a circle having an outer diameter.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width or a side length corresponding to a circle having an inner diameter.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제 1 지지판(121)의 양측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행 방향과 열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벌집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제 1 지지판(121)의 양측면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제 1 지지판(121)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서로 인접하는 제 1 도전 패턴(125)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제 1 도전 패턴(125)의 외경에 대하여 1.1 ~ 1.5배가 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제 1 도전 패턴의 외경이 50mm일 때, 인접하는 두 개의 패턴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55 ~ 75mm로 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전자기파의 투과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중심 사이의 거리가 너무 작거나 크면 전자기파의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may be formed by being arranged in a constant pattern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1.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125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in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may be arranged to form a honeycomb shape.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1. That is,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s arranged to be symmetric about the first support plate 121.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12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125 adjacent to each other is 1.1 to 1.5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125. For example,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s 50 mm,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may be spac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wo adjacent patterns is 55 to 75 mm.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may affect the transmittance of electromagnetic wave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is too small or too large, the transmittance of electromagnetic waves may decrease.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의 내경과 외경 및 이격 거리는 전자기파가 투과할 때 가장 높은 투과율을 보이는 투과 피크 주파수 대역에 영향을 준다. 즉,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의 내경과 외경 및 이격 거리에 따라 가장 높은 투과율을 보이는 투과 피크 주파수가 다르게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와이파이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주파수 대역인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이 투과 피크 주파수가 되도록 내경과 외경 및 이격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the outer diameter, and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affect the transmission peak frequency band showing the highest transmittance when electromagnetic waves are transmitted. That is, the transmission peak frequency showing the highest transmittanc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ner diameter, outer diameter, and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nner and outer diameters and separation distances may be determined such that a 2.4 GHz band or a 5 GHz band, which is a frequency band of a Wi-Fi signal, becomes a transmission peak frequency.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은 전기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구리, 은, 알루미늄, 금, 백금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is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copper, silver, aluminum, gold, platinum or nickel.

상기 제 2 패턴 모듈(130)은 제 2 지지판(131) 및 제 2 도전 패턴(13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2 패턴 모듈(130)은 제 1 패턴 모듈(12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지지판(131)과 제 2 도전 패턴(135)은 제 1 지지판(121) 및 제 1 도전 패턴(125)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패턴 모듈(130)은 케이스(110)의 제 2 면(100b)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 모듈(130)은 케이스 커버(115)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 모듈(130)은 별도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패턴 모듈(130)은 케이스(110)의 제 1 면(100a)에 위치하는 제 1 패턴 모듈(120)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 2 도전 패턴(135)은 제 1 도전 패턴(125)과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is formed to include a second support plate 131 and a second conductive pattern 135.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is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That is, the second support plate 13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135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upport plate 121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100b of the case 110. In addition,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cover 115.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may be adhered by a separate adhesive. At this time, the second pattern module 13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pattern module 120 located on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case 110. That is,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135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에 대한 작용과 시뮬레이션 및 평가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and simulation and evaluation results for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에 의한 와이파이 신호의 세기 분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와이파이 신호의 세기 분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투과율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상대적인 투과율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S-parameter 그래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less Wi-Fi expansion devic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5 is a strength distribution diagram of the Wi-Fi signal by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ength distribution diagram of a Wi-Fi signal when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ttached. 7 is a graph of transmittance of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of the relative transmittance of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S-parameter graph of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에 대한 시뮬레이션 및 평가는 와이파이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2.4GHz를 포함하는 주파수 구간에서 진행하였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판(121)과 제 2 지지판(131)은 0.8mm 두께의 폴리이미드 박막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과 제 2 도전 패턴(135)은 구리 박막이며, 두께가 35nm, 내경이 25mm, 외경이 50mm인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과 제 2 도전 패턴(135)은 각각 중심간의 거리가 65mm로 되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 제 1 도전 패턴(125)과 제 2 도전 패턴(135)은 75mm로 이격되도록 형성하였다.The simulation and evaluation of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performed in a frequency section including 2.4 GHz, which is a frequency band of the Wi-Fi signal.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late 12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1 were formed of a polyimide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0.8 mm.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135 are copper thin films, and have a thickness of 35 nm, an inner diameter of 25 mm, and an outer diameter of 50 mm.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135 were dispos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was 65 mm. 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25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135 were formed to be separated by 75 mm.

먼저,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operation of the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도 4를 참조하면, 건물 내부에서 와이파이 발신 장치와 이격되어 와이파이 신호가 약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와이파이 신호를 투과시켜 와이파이 신호를 더욱 먼 거리로 전송할 수 있다. 통상 가정 또는 사무실과 같이 건물 내부에서 사용되는 와이파이 신호는 대략 10m이하의 거리로 전송된다. 이에 비하여,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입사되는 와이파이 신호를 투과시키면서 더 먼 거리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100 may be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the Wi-Fi signal is weakly separated from the Wi-Fi transmitter in the building.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100 may transmit a Wi-Fi signal to transmit a Wi-Fi signal over a longer distance. Typically, a Wi-Fi signal used inside a building such as a home or office is transmitted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10 m or less. On the other hand,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100 transmits the incoming Wi-Fi signal over a longer distance.

다음은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에 의한 전자기파 신호의 세기 분포도에 대한 측정 결과를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ignal by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도 5를 참조하면, 와이파이 발신 장치와 와이파이 수신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와이파이 발신 장치에서 송출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다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파이 수진 장치에서는 대략 24.2V/m의 전자기파가 수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파이 발신 장치에서 발신된 와이파이 신호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의 방향으로 모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전자기파를 집속하여 재 전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a Wi-Fi originating device and a Wi-Fi receiving device (eg, a smart phone).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100 receives the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d from the Wi-Fi originating device and transmits it agai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of approximately 24.2 V / m is received in the Wi-Fi receiver.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Wi-Fi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Fi originating device is col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100.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100 focuses electromagnetic waves and retransmits them.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가 없는 경우에,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파이 수신 장치에서는 대략 3V/m의 전자기파가 수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Wi-Fi receiving device receives approximately 3 V / m of electromagnetic waves.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의 전자기파에 대한 투과율 평가 결과를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the results of evaluating transmittance to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평가에서는 1.4 ~ 3.4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기파를 사용하였다.In this evaluation, electromagnetic waves were used in the frequency band of 1.4 to 3.4 GHz.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도 7을 참조하면, 와이파이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2.4GHz에서 투과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100 may be confirmed to have the highest transmittance in the 2.4 GHz frequency band of the Wi-Fi signal.

또한,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도 8을 참조하면, 2.4G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에 대하여 1.8 정도의 투과율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와이파이 발신 장치에서 송출되는 전자기파의 투과율을 1로 설정하였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100 shows a transmittance of about 1.8 with respect to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frequency band of 2.4 GHz. Here, the transmittance of electromagnetic waves transmitted from the Wi-Fi transmitter is generally set to 1.

또한,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는, 도 9를 참조하면, 2.4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기파에 대한 S-parameter가 0.09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와이파이 신호는 S-parameter가 0.05정도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더 높은 전자기파가 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100 has an S-parameter of 0.09 for electromagnetic waves in a frequency band of 2.4 GHz. When the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100 is not used, the S-parameter of the Wi-Fi signal is as low as 0.05.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 higher electromagnetic wave is reached when the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100 is us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but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100: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110: 케이스
111: 케이스 본체 115: 케이스 커버
120: 제 1 패턴 모듈
121: 제 1 지지판 125: 제 1 도전 패턴
130: 제 2 패턴 모듈
131: 제 2 지지판 135: 제 2 도전 패턴
100: powerless wifi extension
110: case
111: case body 115: case cover
120: first pattern module
121: first support plate 125: first conductive pattern
130: second pattern module
131: second support plate 135: second conductive pattern

Claims (9)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제 1 패턴 모듈 및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제 2 패턴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지지판과 제 2 도전 패턴은 상기 제 1 지지판 및 제 1 도전 패턴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패턴 모듈과 제 2 패턴 모듈은 서로 대향하면서 이격되어 위치하여 상기 제 2 도전 패턴은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며,
입사되는 와이파이 신호를 투과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A first pattern module including a first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ve patter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nd a second pattern module including a second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ive patter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late,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The first pattern module and the second pattern module ar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transmitted Wi-Fi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모듈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과 제 2 면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턴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제 1 면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패턴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제 2 면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s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pattern module and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first pattern module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case, the second pattern module is a power-less Wi-Fi expa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면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박스 형상을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제 2 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 2 패턴 모듈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ase includes a case body having a first surface and forming a box shape opened in a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nd a case cover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The case cover is a non-powered Wi-Fi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fixing and supporting the second pattern module on a surface facing the case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폴리메타크릴이미드 발포체, 테프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ase is a polymethacrylimide foam, Teflon, polypropylene or polyvinyl chlorid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non-powered Wi-Fi expans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은 0.4 ~ 1.2mm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이미드,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PDMS, 또는 테프론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re formed to a thickness of 0.4 ~ 1.2mm,
Powerless Wi-Fi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polyimide, polystyrene, polyethylene, PDMS, or Tefl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제 2 도전 패턴은 20㎛ ~ 60㎛의 두께로 형성되며,
구리, 은, 알루미늄, 금, 백금 또는 니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formed to a thickness of 20㎛ ~ 60㎛,
Powerless Wi-Fi expa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aterial of copper, silver, aluminum, gold, platinum or nick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제 2 도전 패턴은
원형 링 형상, 사각 링 형상, 오각 링 형상, 육각 링 형상 또는 팔각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Powerless WiFi expa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 square ring shape, a pentagonal ring shape, a hexagonal ring shape or an octagonal ring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제 2 도전 패턴은 내경이 20 ~ 30mm이고 외경이 40 ~ 60mm인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is a non-power Wi-Fi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20 to 30 mm and an outer diameter of 40 to 60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패턴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도전 패턴의 외경에 대하여 1.1 ~ 1.5배가 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is 1.1 to 1.5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KR1020170139452A 2017-10-25 2017-10-25 Powerless Wi-Fi Extender KR1020934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52A KR102093467B1 (en) 2017-10-25 2017-10-25 Powerless Wi-Fi Ext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52A KR102093467B1 (en) 2017-10-25 2017-10-25 Powerless Wi-Fi Exte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78A KR20190046178A (en) 2019-05-07
KR102093467B1 true KR102093467B1 (en) 2020-03-27

Family

ID=6665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452A KR102093467B1 (en) 2017-10-25 2017-10-25 Powerless Wi-Fi Exten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4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742B1 (en) * 2020-09-28 2021-01-26 (주)한동엔지니어링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pgrade system for apartment hous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855B1 (en) * 2014-09-15 202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Non-feeding reradiate repe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78A (en)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8024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s for selecting antenna set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based on a receiver's loc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90103770A1 (en) Stamped three-dimensional antenna
KR102440231B1 (en) Manhole cover type omni directional antenna
US10381747B2 (en) Multiple polarized antenna
KR20110035196A (en) Spiral antenna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spiral antenna
CN103125082A (en) Coupl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radio link, in particular a mobile telephone, to equipment of a motor vehicle
CN105990684B (en) Radiating element and dual polarized antenna
TW200611452A (en)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plane antenna thereof
JP6645573B2 (en) Antenna device
WO2014148954A2 (en) Low-frequency antenna
KR102093467B1 (en) Powerless Wi-Fi Extender
US7474268B2 (en) Coupling antenna device having antenna pattern with multi-frequency resonating sectors
US9431716B2 (en) Leaky coaxial cable having radiation slots that can be activated or deactivated
JP6973781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627939B1 (en) Metamaterial absorber and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same
EP3261172B1 (en) Pcb antenna
WO2015132846A1 (en) Electromagnetic wave detection apparatus
CN216133971U (en) Ultra-wideband dual-polarized ceiling antenna
CN203225342U (en) Coupling feed-in type microstrip antenna
JP2011244194A (en) Communication system
US8228243B1 (en) Parallel plate antenna
CN102544682A (en) Sheet-shaped antenna apparatus
KR101517778B1 (en) Dual band dual polarization antenna device
CN109193156B (en) Directional diagram reconfigurable sensing antenna
JP5519995B2 (en) Antenna and ground penetrating radar equipped with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