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365B1 -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the trial management data-based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the trial management data-based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365B1
KR102093365B1 KR1020200005748A KR20200005748A KR102093365B1 KR 102093365 B1 KR102093365 B1 KR 102093365B1 KR 1020200005748 A KR1020200005748 A KR 1020200005748A KR 20200005748 A KR20200005748 A KR 20200005748A KR 102093365 B1 KR102093365 B1 KR 102093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hearing
data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학
오수희
김진숙
진인기
이경원
방정화
이재희
Original Assignee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5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3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3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 hearing aid fitting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the hearing aid fitting management system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ssessing the hearing status of a hearing aid user by an assessment module; obtaining a parameter suitable for the hearing aid user by a fitting module; and providing the hearing aid user with an auditory training program related to the hearing aid corrected by the parameter through a follow-up action module.

Description

시험착용데이터 기반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the trial management data-based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the trial management data-based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시험착용데이터 기반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a test wear data-based hearing aid compatibility management system.

보청기는 난청자의 청력 보강을 위한 장치로, 마이크를 통해 소리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리를 강화하여 난청자의 청력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보청기의 효율적인 구매 및 사용을 위하여 보청기적합관리(hearing aid fitting management)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보청기적합관리 서비스를 통해 보청기 사용자는 체계적인 적합과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Hearing aids are devices for reinforcing hearing loss of hearing-impaired people, receiving sound through a microphone, and strengthening the hearing of the hearing-impaired person by strengthening the received sound. A hearing aid fitting management service may be provided for efficient purchase and use of such a hearing aid. Through the hearing aid conformity management service, users of hearing aids can be provided with systematic conformity and follow-up management services.

그러나, 보청기 적합관리는 여러 나라에서 각각의 방법으로 실행하고 있으며 보청기관련 전문 서적에서도 다양하고 세부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있으나 서비스 범위와 행위가 다양하여 국가/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지침이 부재한 현실이다. 따라서, 보청기 적합관리는 기존에 수행하고 있는 다양한 내용, 절차, 방법 등을 참고로 국내에서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핵심적 보청기 적합관리 요인과 절차로 구성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구성요소와 절차를 따라 고객을 대응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청기 적함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However, hearing aid conformity management is implemented in each country in various ways and hearing aid-related professional books introduce various and detailed contents, but there is no national / international standardized guidance due to the wide range of services and activities. Therefore, hearing aid conformity management consists of core hearing aid conformity management factors and procedures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Korea with reference to various contents, procedures, and methods that are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service providers respond to customers by following components and procedure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hearing aid fleet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services.

등록특허공보 제10-1440269호, 2014.08.29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1440269, registered on August 29, 20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험착용데이터 기반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a test wear data-based hearing aid compatib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평가 모듈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적합모듈에 의해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후속조치모듈에 의해 상기 파라미터에 의해 보정된 보청기와 관련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hearing aid conform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evaluating a hearing state of a hearing aid user by an evaluation module; Obtaining a parameter suitable for the user of the hearing aid by a suitable module; And providing the hearing aid user a hearing training program related to the hearing aid corrected by the parameter by a follow-up action module. It includes.

이때,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청각 상태에 대응되는 보청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보청기를 상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하여 획득된 보청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시험착용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할 보청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착용할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귀의 인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evaluating the hearing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may include: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Evaluating a hearing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Selecting a hearing aid corresponding to the evaluated hearing state, and obtaining hearing aid test wearing data obtained by wearing the selected hearing aid by the hearing aid user; Selecting a hearing aid to be worn by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test wear data; An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impression of the user's ear to determine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the hearing aid to be worn. It may further include.

이때, 상기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기초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기초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기초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기초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상세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문문항에 대한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답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답변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상세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상세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상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collecting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hearing state comprises: collecting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collected background information, at least one of basic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loss state of the user of the hearing aid, basic information about a situation in which difficulties arise due to hearing loss, basic information about a suitable hearing aid and basic information about hearing training Obtaining a; Obtaining a questionnaire question for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basic information; Obtaining response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for the questionnaire question; And at least one of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hearing loss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in which difficulties are caused by hearing loss,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uitable hearing aid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hearing training based on the answer information. Obtaining; It may include.

이때, 상기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state comprises: acquiring data on the ear canal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Acquiring at least one data of pure hearing hearing test data, speech and hearing test data, acoustic reflection threshold data, unpleasant volume level data, and maximum comfortable volume level data of the hearing aid user; The step of acquiring the test wear data includes: data on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condition and pure tone hearing test data, speech and hearing test data, acoustic reflection threshold data, unpleasant volume level data, and maximum comfortable volume level data of the hearing aid user Obtaining the test wear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ata; It may include.

이때, 상기 귀의 인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귀 인상 직접 채취 또는 귀 인상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귀 인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를 포함하는 외이에 대한 3D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채취한 귀 인상을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 모형을 제작하거나 3D 이미지를 바탕으로 외이도 모형을 제작하기 위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3D 프린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impression of the ear may include: receiving the ear impression of the hearing aid user directly or receiving at least one image of the ear impression; Obtaining a 3D image of the outer ear including the ear canal of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received at least one ear impression image; It may include; obtaining information to produce an ear canal model of a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collected ear impression or to produce an ear canal model based on a 3D image,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information to a 3D printer.

이때, 상기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한 보청기로부터 보청기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사용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사용데이터는 커플러 측정 데이터, 실이측정 데이터, 음장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획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acquiring the parameter may include receiving data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hearing aid from a hearing aid worn by the hearing aid user; Obtaining a parameter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hearing aid based on the received data; Correcting the hearing aid based on the acquired parameters; And receiving usage data for the corrected hearing aid to obtain result data for the corrected hearing aid, wherein the used data for the corrected hearing aid includes coupler measurement data, real measurement data, and sound field measurement data. It can be obtained based on.

이때,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생활 공간에서의 배경 소음에 대한 정보,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어음인지 정도와 발화 속도에 대한 정보 및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에 포함될 배경 소음 및 발화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배경 소음 및 발화 속도를 바탕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청능훈련프로그램은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에 따라 시각단서, 음소, 단어 및 문장의 난이도, 문장 길이, 환경음 및 음악의 포함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providing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to the user of the hearing aid includes information on background noise in the living space of the hearing aid user, information about the speech recognition level and speech speed of the hearing aid user, and the average speech rate of the general public. Collecting backgroun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Determining a background noise and an utterance rate to be included in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llected background information; Generating an auditor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determined background noise and utterance speed; Receiving result data for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and hearing aid wearing from the hearing aid user; And generating a result report for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hearing training program may determine whether to include visual cues, phonemes, word and sentence difficulty, sentence length, environmental sounds, and music according to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이때, 상기 제어 방법은,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 상기 설문문항에 대한 답변정보 및 상기 답변정보로부터 획득된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의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2 클러스터를 획득하는 단계; 새로운 제1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및 답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클러스터 중 상기 획득한 제1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및 답변정보와 관련된 제1-1 클러스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 클러스터 중 상기 제1-1 클러스터와 기 설정된 거리내에 존재하는 제2-1 클러스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1제 클러스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및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method may include storing a plurality of first 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background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hearing aid users, answer information for the questionnaire ques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nswer information; Storing a plurality of second 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of the plurality of hearing aid users and result data on wearing a hearing aid; Clustering the plurality of first data to obtain a plurality of first clusters; Clustering the plurality of second data to obtain a plurality of second clusters; Obtaining background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for a new first hearing aid user; Determining a first-first cluster related to background information and answer information about the obtained first hearing aid user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lusters; Determining a 2-1 cluster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1-1 cluster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clusters; And recommending a hearing aid and hearing training program suitable for the first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data included in the 2-1 agent cluster.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보청기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보청기를 사용하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보청기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of the hearing aid can use the hearing aid optimized for him, and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the hearing aid through continuous train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적합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귀인상 채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합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속조치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hearing aid fi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valu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attrib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suit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llow-up a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earing ai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term "part" or "modul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part" or "module"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or "module"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o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part” or “module” mean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Includ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parts" or "modules" can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odules" or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flipped over, the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the 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You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the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uter means all kinds of hardware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nd may be understood as a meaning encompassing software configurations operating in the corresponding hardwar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a computer may be understood as meaning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smartphone, a tablet PC, a desktop, a laptop, and user clients and applications running on each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Each step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computer, but the subject of each step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some of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different device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청각(hearing)이란 소리를 탐지, 변별, 확인 및 인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난청인(hearing impaired)이란 한쪽 또는 양쪽 귀의 청력이 손상된 사람을 의미한다. 보청기(hearing aid)란 난청 보상을 목적으로 소리 신호의 처리를 위해 고안된 전기 음향적 착용 장치를 의미한다. 보청기 시스템(hearing aid system)이란 한쪽 또는 양쪽 보청기, 귀꽂이, 원격조종장치, 접속기 등 관련 구성요소로 구성된 개별 맞춤형 시스템을 의미한다. 보청기 전문가(hearing aid professional)란 난청인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청각평가, 보청기의 선택, 조절, 검증, 청능훈련 등을 포함하는 보청기 적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청각학적 역량을 갖춘 사람을 의미한다. 고객(client) 또는 보청기 사용자란 보청기 전문가 또는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청기 적합관리 서비스를 받는 사람을 의미한다. 보청기 적합관리(hearing aid fitting management) 평가모듈, 적합모듈 및 후속조치모듈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관리체계로 상담, 청각검사, 보청기 시험착용, 보청기 선택, 귀 인상채취, 보청기 조절, 검증, 고객교육, 청능훈련, 결과측정 및 종합보고서 작성의 11개 구성요소를 시행하여 보청기를 착용한 난청인의 가청력 개선, 어음지각 향상 및 보청기의 지속적 사용과 관리를 돕는 체계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청능재활(auditory rehabilitation)이란 보청기 조절, 상담, 교육 및 다양한 훈련을 통해 청각능력과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평가모듈(assessment module)이란 보청기 적합 전 단계의 5개 구성요소인 상담, 청각검사, 보청기 시험착용, 보청기 선택 및 귀 인상채취와 구성요소 간의 절차를 포함하는 보청기 적합관리의 과정을 의미한다. 적합모듈(fitting module)이란 보청기 적합 단계의 3개 구성요소인 보청기 조절, 검증 및 고객교육과 구성요소 간의 절차를 포함하는 보청기 적합관리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후속조치모듈(follow-up module)이란 보청기 적합 후 단계의 3개 구성요소인 청능훈련, 결과측정 및 종합보고서 작성과 구성요소 간의 절차를 포함하는 보청기 적합관리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상담(counseling)이란 고객 또는 그 가족에게 고객의 난청상태, 난청으로 인한 어려움, 보청기 적합, 청능훈련 등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지원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청각평가(hearing evaluation)란 보청기 선택 전에 청력역치 및 어음인지 능력을 측정하여 고객의 청력손실 형태와 정도 및 의사소통 정도를 파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청기 시험착용(hearing aid trial)이란 고객의 난청 상태에 적합한 보청기를 선택하기 위하여 보청기 선택 전 단계에서 고객의 청력 상태에 맞추어 조절한 보청기를 실제 경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청기 선택(hearing aid selection)이란 보청기 시험착용 결과, 청각 배경정보 등을 근거로 고객에게 적합한 보청기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귀 인상 채취(ear impression)란 귀꽂이 또는 보청기 외형을 제작하기 위하여 외이도와 갑개 부분의 모양을 본 뜨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청기 조절(hearing aid adjustment)이란 보청기 착용시 물리적 편안함을 위하여 보청기의 외형적 특성 및 착용상태를 점검하여 필요시 변경하고, 또한 어음인지능력 향상과 음향적 편안함을 고려하여 청각평가 결과와 처방법을 근거로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징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청기 조절 검증(verification for hearing aid adjustment)이란 커플러 측정, 실이측정 또는 음장측정과 전기음향 및 심리음향적 측면의 설문지 응답을 통하여 보청기 조절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고객교육(client education)이란 보청기 작동방법, 보청기 점검방법 및 보청기 사용시 발생가능한 문제 해결방법 등 보청기 사용과 관련된 정보와 보청기에 대한 고객의 현실적 기대치 확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청능훈련(auditory training)이란 난청인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일정 기간에 걸친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듣기연습과 의사소통전략을 포함한 학습 과정을 의미한다. 착용 결과측정(outcome measurements)이란 음향 및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보청기 사용자의 착용 결과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어음지각 정도, 객관적 혜택, 소리의 질적 향상, 듣기 위한 노력 정도의 변화, 보청기 사용빈도, 만족도 등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를 모두 포함한다. 종합보고서(comprehensive report) 또는 결과 보고서란 보청기 적합관리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정보를 반영하는 보고서를 의미한다. 귀꽂이(ear mold)란 개별적으로 제작하거나 선택한 보청기와 외이도 간의 기계음향적 연결장치를 의미한다. 고객 배경정보(client profile)란 고객의 청각적 배경정보뿐 아니라 청각기능, 사회적 상황, 활동 기회, 보청기의 필요성, 기대치 등을 포함하는 청각 관련 포괄적 정보를 의미한다. 적합 시스템(fitting system)이란 보청기 조절을 위해 사용하는 컴퓨터 및 적합 소프트웨어 등의 장비 세트를 의미한다. 보청기 초기설정(pre-setting of hearing aids)이란 적합공식 및 관련 청각 정보를 근거로 한 보청기 조절을 의미한다. 미세조율(fine-tuning)이란 개별 난청인의 필요 및 선호에 가장 잘 부합하도록 하는 보청기 시스템의 조율을 의미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earing means a process of detecting, discriminating, confirming, and recognizing sound. Hearing impaired means a person with hearing impairment in one or both ears. Hearing aid refers to an electroacoustic wear device designed for processing sound signals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ng for hearing loss. A hearing aid system means an individual customized system composed of related components such as one or both hearing aids, earplugs, remote control devices, and connectors. Hearing aid professional refers to a person who has a hearing ability capable of providing hearing aid conformity management services, including professional hearing evaluation, hearing aid selection, adjustment, verification, and hearing training. . A client or a user of a hearing aid means a hearing aid expert or a person receiving a hearing aid conformity management service provided by the hearing aid conformance management system. Hearing aid fitting management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an evaluation module, a fit module, and a follow-up module. Consultation, hearing test, hearing aid test wear, hearing aid selection, ear impression collection, hearing aid adjustment, verification, customer training, It means a systematic process to help hearing impaired people wearing hearing aids improve hearing, improve speech perception and continuously use and manage hearing aids by implementing 11 components of hearing training, result measurement, and comprehensive report preparation. Auditory rehabilitation refers to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rocess that improves hearing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hearing aid conditioning, counseling, education and various training. The assessment module refers to the process of hearing aid conformance management that includes the five components of all stages of hearing aid fitness: counseling, hearing testing, hearing aid trial wearing, hearing aid selection and ear impression collection and procedures between components. The fitting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performing the process of hearing aid fit management including the three components of the hearing aid fit stage: hearing aid adjustment, verification, and customer training and procedures between components. The follow-up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performing the process of hearing aid fitness management including the three components of hearing aid fitness, hearing training, result measurement and overall report preparation and procedures between components. . Couns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providing and support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client's or their family's hearing loss status, difficulties due to hearing loss, hearing aid fit, and hearing training. Hearing evalu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type and degree of hearing loss and the degree of communication by measuring the hearing threshold and speech recognition ability before selecting a hearing aid. Hearing aid trial refers to the process of actually experiencing a hearing aid adjusted to the hearing condition of the customer in all stages of hearing aid selection in order to select a hearing aid suitable for the hearing loss condition of the customer. Hearing aid selec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type of hearing aid suitable for the customer based on the results of hearing aid testing and hearing background information. Ear impression refers to the process of replicating the shape of the ear canal and the instep to create the shape of an earplug or hearing aid. Hearing aid adjustment refers to the hearing aid's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wearing condition for physical comfort when wearing it, and changes it if necessary, and also based on hearing evaluation results and prescriptions, taking into account speech improvement and acoustic comfort. This refers to the process of optimizing the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Verification for hearing aid adjustment refers to the process of evaluating hearing aid adjustment results through coupler measurement, real ear measurement, or sound field measurement and questionnaire responses of electroacoustic and psychoacoustic aspects. Client educ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of hearing aids, such as how to operate hearing aids, how to check for hearing aids, and how to solve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using hearing aids, and information necessary to establish realistic expectations of customers for hearing aids. Auditory training refers to a learning process that includes intensive and repetitive listening exercis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over a period of time to improve the hearing ability of the hearing impaired. Outcome measurements are the process of multi-dimensionally evaluating the hearing results of hearing aid users in terms of acoustic and psychosocial aspects. Generally speaking, hearing aid users' perception of speech, objective benefits, quality improvement of sound, and changes in hearing effort It includes both objective evaluation and subjective evaluation, such as frequency of hearing aid use and satisfaction. Comprehensive report or result report means a report that reflects key information arising from the overall process of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An ear mold refers to a mechanically-acoustic connection device between a hearing aid and an external auditory meatus individually manufactured or selected. The client profile (client profile) refers to comprehensive information related to hearing, including not only the auditory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customer, but also hearing function, social situation, activity opportunities, hearing aid needs, and expectations. A fitting system refers to a set of equipment such as computers and suitable software used to control a hearing aid. Pre-setting of hearing aids refers to hearing aid adjustments based on conformity formulas and related hearing information. Fine-tuning refers to the tuning of a hearing aid system that best meets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individual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10) 및 전자 장치(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st of a server 10 and an electronic device 20.

서버(10)는 전자 장치(2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기 위한 구성이다. 서버(10)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의 메모리는 평가모듈, 적합모듈 및 후속조치모듈을 포함하여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1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analyze various data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The server 10 may include a memory and a processor, and the memory of the server may perform its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including an evaluation module, a conformity module, and a follow-up module.

구체적으로, 평가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의 상담 내용,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검사, 보청기 시험 착용, 보청기 선택 및 귀 인상 채취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적합모듈은 보청기 조절, 보청기 조절 검증, 고객 교육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후속조치모듈은 청능훈련, 결과측정 및 종합보고서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Specifically, the evaluation module is a module for processing data related to hearing aid user consultation, hearing aid user hearing test, hearing aid test wearing, hearing aid selection and ear impression collection. The fitness module is a module for processing hearing aid adjustment, hearing aid adjustment verification, and customer training related data. The follow-up action module is a module for processing data related to hearing training, result measurement and comprehensive report.

구체적으로, 평가 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의 상담 내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평가모듈은 보청기 사용자 또는 그 가족에게 고객의 난청상태, 난청으로 인한 어려움, 보청기 적합, 청능훈련 등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평가모듈은 보청기에 대한 현실적 기대치를 확립하고 난청과 관련된 정서적 불안 요소까지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가모듈은 시각 및 소근운동 손상같이 보청기 조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배경정보 수집을 위해 평가모듈은 과학적으로 검증된 심리음향적 설문지와 심리사회적 설문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Specifically, the evaluation module may process data related to the consultation content of the hearing aid user. In one embodiment, the evaluation module may collect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loss status of the customer, difficulty due to hearing loss, hearing aid fit, hearing training, etc. to the hearing aid user or their family.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evaluation module establishes realistic expectations for hearing aids and collects emotional anxiety factors related to hearing loss. In addition, the evaluation module may further collect information on factors that may affect hearing aid operation, such as visual and small muscle movement damage. Of course, the evaluation module can use scientifically verified psychoacoustic questionnaire and psychosocial questionnaire to collect background information.

또한, 평가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의 선택을 위하여 순음청력역치와 어음인지도 평가를 통해서 청력손실의 형태와 정도 및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순음청력검사 및 어음청각검사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순음청력검사는 KS I ISO 8253-1에 따르며 필요시 차폐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평가 모듈은 기도의 경우, 500 Hz, 1 000 Hz, 2 000 Hz, 3 000 Hz, 4 000 Hz, 6 000 Hz 및 8 000 Hz 의 주파수에서 청각 역치를 결정하고, 골도의 경우, 500 Hz, 1 000 Hz, 2 000 Hz 및 4 000 Hz의 주파수에서 청각 역치를 결정할 수 있다. 어음청각검사는, KS I ISO 8253-3 규정하는 어음검사 도구와 절차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이때, 어음은 이어폰을 통해 한쪽 귀에 또는 음장에서 양쪽 귀에 제시할 수 있으며. 실제 환경을 대표하기 위해서 조용한 환경 보다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어음을 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평가 모듈은 필요한 경우, 음향반사역치 측정, 불쾌음량레벨 측정, 최대쾌적음량레벨 측정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module can grasp the form and degree of hearing loss and the degree of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pure speech hearing threshold and speech perception to select a hearing aid suitable for a hearing aid user. Specifically, the evaluation module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ear canal of the hearing aid user, and may collect data on a pure tone hearing test and a speech hearing test. The pure tone hearing test complies with KS I ISO 8253-1, and shielding can be applied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evaluation module determines the hearing threshold at frequencies of 500 Hz, 1 000 Hz, 2 000 Hz, 3 000 Hz, 4 000 Hz, 6 000 Hz and 8 000 Hz for airways and 500 Hz for bone marrow , The hearing threshold can be determined at frequencies of 1 000 Hz, 2 000 Hz and 4 000 Hz. Speech auditing can be verified by the speech testing tools and procedures specified in KS I ISO 8253-3. At this time, speech can be presented to one ear or both ears in a sound field through earphones. Of course, in order to represent the real environment, speech can be presented in a noisy environment rather than a quiet environment. Furthermore, the evaluation module can collect various data through the acoustic reflection threshold measurement, the unpleasant volume level measurement, and the maximum comfortable volume level measurement, if necessary.

또한, 평가모듈은 보청기 선택 전 단계에서 청각평가 결과 및 청각 배경정보를 근거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상태에 맞추어 선택하고 조절한 검사용 보청기를 판단하고, 보청기 사용자가 검사용 보청기를 사용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보청기 사용자의 보청기 사용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치를 확립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용 보청기는 양쪽 귀 시험착용 상태에서 음장검사(KS I ISO 8253-3)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module determines the hearing aid for the test select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hearing condition of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hearing evaluation result and the auditory background information at the stage before selecting the hearing aid, and the hearing aid user collects data using the hearing aid for examination. You can. This is for establishing realistic expectations of hearing aid users' use of hearing aid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ring aids for examination are subjected to sound field examination (KS I ISO 8253-3) in both ear trials and wearing conditions.

또한, 평가모듈은 보청기 시험착용 결과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평가모듈은 보청기의 형태, 사용자의 해부학적 특징 및 미적 요인을 바탕으로 보청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평가모듈은 귀꽂이, 보청기 형태, 환기구 및 보청기의 기타 물리음향적 특징을 더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module may determine the type of hearing aid suitable for the user of the hearing ai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hearing aid test wearing results. At this time, the evaluation module may determine the type of hearing aid based on the shape of the hearing aid,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nd aesthetic factors.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module can further determine the earplugs, hearing aid type, vents and other physical and acoustic features of the hearing aid.

또한, 귀걸이형 또는 고막형 보청기등 맞춤형 보청기인 경우, 평가모듈은 귀의 인상 채취를 통해 귀꽂이 또는 보청기 외형을 제작하기 위하여 외이도와 갑개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ustomized hearing aid such as an earring type or eardrum type hearing aid, the evaluation module may receive data on the ear canal and the instep to produce the shape of the earplug or hearing aid through the impression collection of the ear.

적합모듈은 보청기의 적합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합모듈은 보청기 착용시 물리적 편안함을 위한 물리적 조절과 어음인지능력 향상 및 음향적 편안함을 위한 전기음향적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리적 조절은 보청기 외형, 착용 상태, 귀꽂이 등과 관련된 조절이며,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착용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착용의 편안함이 최적화 될 때까지 물리적 특성을 변경하고 수정할 수 있다. 전기음향적 조절은 입력된 보청기 사용자 배경정보 데이터 및 음향적 커플링 특징에 따라 적합공식을 선택하여 이득, 최대출력, 압축비율, 압축역치, 압축시간, 해제시간 등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성을 일차적으로 결정하고 보청기를 초기설정 한하기 위한 조절이며, 이차적으로 보청기 사용자와의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청기 사용자의 필요와 선호도에 따라 보청기 시스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청기 사용자가 만족하도록 전기음향적 특성을 미세조율하는 조절이다.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불만족스럽다는 데이터를 수집하면, 적합모듈은 보청기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보청기를 미세조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적합모듈은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보청기 이미지를 수신하여 보청기 외관을 확인하고, (예: 상처를 줄 수 있는 흠집, 주문한 부품 등), 보청기 착용상태를 확인하며, 보청기 성능을 확인하고(KS C IEC 60118-7 참조), 음질, 어음인지도 등을 확인하고, 피드백, 폐쇄현상 등을 확인하고, 다양한 소리 크기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The fit module can perform functions necessary for the fit of the hearing aid. Specifically, the fit module may perform physical adjustment for physic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speech recognition ability and electroacoustic adjustment for acoustic comfort when wearing a hearing aid. Specifically, the physical adjustment is an adjustment related to the hearing aid appearance, wearing condition, earplugs, etc.,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be changed and modified until the comfort of wearing is optimized by continuously collecting data on the wearing condition from the hearing aid user. Electroacoustic adjustment primarily selects the appropriate formula based on the input hearing aid user background information data and acoustic coupling characteristics to primarily improve the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such as gain, maximum output, compression ratio, compression threshold, compression time, and release time. This is an adjustment for initial setting of the hearing aid and is secondary. Secondly, through close interaction with the hearing aid user, the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are fine-tuned so that the hearing aid user is satisfied while wearing the hearing aid system according to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the hearing aid user. It is a coordinating adjustment. When data that is unsatisfactory from the hearing aid user is collected, the fitness module can fine tune the hearing aid by acquiring new parameters to improve the hearing aid control. In addition, the suitable module receives the hearing aid image from the hearing aid user, checks the appearance of the hearing aid (e.g., scratches that may hurt, ordered parts, etc.), checks the hearing aid wearing condition, and checks the hearing aid performance (KS C IEC 60118-7), sound quality, speech recognition, etc., feedback, closure phenomenon, etc., and various sound levels can be checked.

또한, 적합모듈은 보청기 조절 검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합모듈은 커플러 측정, 실이측정 또는 음장측정, 설문지 응답 등을 통하여 보청기 조절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적합모듈은 보청기 검사박스 내부에 위치한 보청기를 커플러에 연결하여 소리를 제시한 뒤 비교하는 커플러 이득 또는 실제 귀에서 보청기 착용전후를 비교하는 실이이득과 음장에서 보청기 착용전후를 비교하는 음장이득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청기 조절에 대한 결과를 검증할 수 있다. 또는, 적합모듈은 설문지를 사용한 주관적 응답을 통해서 보청기 조절 후 청각능력의 향상을 검증하거나, 보청기의 물리적 조절 상태를 검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t module may perform a hearing aid adjustment verification process. Specifically, the fit module may evaluate the hearing aid adjustment result through coupler measurement, real ear measurement or sound field measurement, and questionnaire response. The fit module provides a coupler gain that compares the hearing aids located inside the hearing aid test box by connecting them to the coupler, or compares the actual gain of hearing aids before and after wearing the hearing aid in the actual ear and the sound field gain of comparing hearing aids before and after wearing the sound field. Data can be received to verify the results of hearing aid adjustment. Alternatively, the fitness module may verify the improvement of hearing ability after adjusting the hearing aid through a subjective response using a questionnaire, or verify the physical control state of the hearing aid.

또한, 적합모듈은 보청기 사용자가 특정 소음 상황에서 불쾌감이 없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청각배경정보를 바탕으로 녹음된 보청기 사용자의 실제 일상 상황과 비슷한 배경소음을 전자 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적합모듈은 KS C IEC 60118-7에 따라 커플러를 측정한 데이터, IEC 61669에 따라 측정된 실이측정 데이터, KS I ISO 8253-2따라 측정된 음장검사 데이터, 설문지 평가에 따른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정기 적합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tness module may provide the electronic device 20 with background noise similar to the actual daily situ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recorded based on the auditory background information to verify that the hearing aid user has no discomfort in a specific noise situation. The conformance module is a compensator based on data measured by couplers according to KS C IEC 60118-7, real measurement data measured according to IEC 61669, sound field inspection data measured according to KS I ISO 8253-2, and data according to questionnaire evaluation Conformity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적합모듈은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보청기 사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 교육에 대한 사항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보청기 작동 방법, 문제 해결법, 보청기 점검 방법 및 보청기 사용과 관련된 필요 정보를 제공하고 보청기 착용과 보청기에 대한 보청기 사용자의 현실적 기대치 확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보청기 사용 경험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조절된 보청기 및 이용 가능한 보조 청각 장비에 대해 포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itable module may collect data on the use of the hearing aid from the user of the hearing aid, and guide the information on the training of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or example, the fitness module can provide hearing aid users with the necessary hearing aid operation, troubleshooting, hearing aid inspection methods, and the necessa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of hearing aids, and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to establish hearing aid users' realistic expectations for hearing aid wearing and hearing aid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provide adjusted hearing aids and available assistive hearing equipment to users who have no experience in using hearing aids.

후속조치모듈은 청능훈련을 시행하고 보청기 착용과 관련된 전반적 결과를 측정한 뒤 결과에 따라 종합보고서를 작하기 위한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후속조치모듈은 다양한 환경에서의 보청기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청능훈련프로그램은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에 따라 배경소음 유무, 시각단서 유무, 음소, 단어, 문장 수준, 문장 길이, 발화 속도, 환경음 종류 및 음악 종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The follow-up action module is a module for performing hearing training, measuring overall results related to wearing hearing aids, and writing a comprehensive report based on the results. Specifically, the follow-up action module may generate and provide a hearing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hearing aids in various environments.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may determine whether background noise is present, whether a visual cue is present, phoneme, word, sentence level, sentence length, speech speed, environment sound type, and music typ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또한, 후속조치모듈은 보청기 사용자의 음향 및 심리적 측면과 관련된 착용 효과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보청기 사용자의 어음지각 정도, 객관적 이득, 소리의 질적 향상, 듣기 위한 노력 정도에서의 변화, 보청기 사용빈도, 심리음향적 혜택, 심리사회적 혜택, 만족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후속조치모듈은 상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up action module uses the hearing aid to change the degree of speech perception, objective gain, quality of sound, and effort to listen to the hearing aid user in order to multi-dimensionally evaluate the hearing effect of the hearing aid user. Information about frequency, psychoacoustic benefits, psychosocial benefits, and satisfaction can be collected. The follow-up action module may generate a result report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above.

전자 장치(20)는 보청기 사용자의 보청기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자 장치(20)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어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는 보청기로 구현되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보청기 사용자의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electronic device 20 is configured to transmit various data related to the hearing aid user's use of the hearing aid to the server 10. The electronic device 2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nd transmit various data about the hearing aid user to the server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20 is implemented as a hearing aid,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data of the hearing aid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 according to user interaction.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20)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엑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텍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20 includes a tablet personal computer (PC),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and a desktop PC. , Laptop PC, netbook computer, workstation, server,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MP3 player, mobile medical device, camera, or wearable device (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wearable device may be an accessory type (for example, a watch, ring, bracelet, anklet, necklace, glasses, contact lens, or head-mounted device (HMD)), a fabric, or a garment type ( Examp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garment, a body attachment type (eg, a skin pad or tattoo), or a bio-implantable type (eg, an implantable circuit).

또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20)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 may be a home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s include, for example, televisions, DVD players (Digital Video Disk players), audio,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vacuum cleaners, ovens, microwave ovens, washing machines, air cleaners, set-top boxes, and home automation.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security control panel, TV box (eg Samsung HomeSync ™, Apple TV ™, or Google TV ™), game console (eg Xbox ™, PlayStation ™), electronic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ctionary, an electronic key, a camcorder, or an electronic picture frame.

또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20)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 includes various medical devices (eg, various portable medical measurement devices (such as a blood glucose meter, heart rate meter, blood pressure meter, or body temperature meter),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and magnetic resonance (MRI).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imager, or ultrasound, etc., internet of things (e.g. light bulbs, various sensors, electricity or gas meters, sprinkler devices, fire alarms, thermostats, street lights) , Toaster (toaster), exercise equipment, hot water tank, heater, boiler, etc.).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적합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hearing aid fi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00에서, 서버(10)는 평가모듈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In step S100, the server 10 may evaluate the hearing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by the evaluation module.

단계 S200에서, 서버(10)는 적합모듈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서버(10)는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 또는 음향적 특성을 보정할 수 있다.In step S200, the server 10 may obtain parameters suitable for the hearing aid user by the appropriate module. The server 10 may correct the physical or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based on the acquired parameters.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라미터는 각각의 조건에 따라 하기 공식이 적용되어 산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X1은 HTL(Hearing Threshold Level), X2는 입력음의 크기, Y(XX)는 조건 XX에서의 파라미터로 정의한다. 또한, 산출된 Y(XX)<0인 경우 Y(XX)=0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파라미터는 8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8개의 주파수 대역은 중심 주파수 250Hz에 대한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500Hz에 대한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800Hz에 대한 제3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1000Hz에 대한 제4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1600Hz에 대한 제5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2500Hz에 대한 제6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4000Hz에 대한 제7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6000Hz에 대한 제8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중심 주파수를 바탕으로 결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8개의 주파수 대역은 0Hz~400Hz, 350Hz~750Hz, 700Hz~950HZ, 900HZ~1500Hz, 1400HZ~2300Hz, 2200Hz~3600Hz, 3500Hz~5500HZ, 5000HZ~11000Hz일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ameters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following formula according to each con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X1 is defined as the HTL (Hearing Threshold Level), X2 is the volume of the input sound, and Y (XX) is defined as a parameter under condition XX.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when the calculated Y (XX) <0, Y (XX) = 0. In addition, parameters can be calculated for each of the eight frequency bands. At this time, the eight frequency bands are the first frequency band for the center frequency of 250 Hz, the second frequency band for the center frequency of 500 Hz, the third frequency band for the center frequency of 800 Hz, the fourth frequency band for the center frequency of 1000 Hz, and the center frequency of 1600 Hz. It may be a fifth frequency band for, a sixth frequency band for a center frequency of 2500 Hz, a seventh frequency band for a center frequency of 4000 Hz, and an eighth frequency band for a center frequency of 6000 Hz. The frequency band is determined based on the center frequency, for example, the 8 frequency bands are 0Hz to 400Hz, 350Hz to 750Hz, 700Hz to 950HZ, 900HZ to 1500Hz, 1400HZ to 2300Hz, 2200Hz to 3600Hz, 3500Hz to 5500HZ, 5000HZ ~ It may be 11000Hz.

제1 실시예로, 확장역치레벨(ET)이 ET30, X2=<30dB SPL(Sound Pressure Leve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ET30)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714X1 + 0.041X2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630X1 + 0.201X2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598X1 + 0.251X2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566X1 + 0.288X2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548X1 + 0.289X2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513X1 + 0.289X2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302X1 + 0.167X2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ET30)=0.240X1 + 0.128X2 + 1.266일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extended threshold level (ET) is ET30, X2 = <30 dB SPL (Sound Pressure Level) parameter Y (ET30) for each frequency band, Y (ET30) = 0.714 in the first frequency band X1 + 0.041X2-37.243, Y (ET30) = 0.630X1 + 0.201X2-20.364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Y (ET30) = 0.598X1 + 0.251X2-13.206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ET30) = 0.566X1 + 0.288X2-3.016, Y (ET30) = 0.548X1 + 0.289X2-0.327 in 5th frequency band, Y (ET30) = 0.513X1 + 0.289X2 + 2.934, 7th frequency in 6th frequency band In the band, Y (ET30) = 0.302X1 + 0.167X2 + 4.271, and in the eighth frequency band, Y (ET30) = 0.240X1 + 0.128X2 + 1.266.

제2 실시예로, 확장역치레벨(ET)이 ET40, X2=<40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ET40)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714X1 + 0.016X2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630X1 + 0.075X2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598X1 + 0.094X2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566X1 + 0.108X2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548X1 + 0.108X2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513X1 + 0.108X2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302X1 + 0.063X2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ET40)=0.240X1 + 0.048X2 + 1.266일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arameter Y (ET40) for each frequency band at the extended threshold level ET is ET40, X2 = <40dB SPL, Y (ET40) = 0.714X1 + 0.016X2 − in the first frequency band. 37.243, Y (ET40) = 0.630X1 + 0.075X2-20.364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Y (ET40) = 0.598X1 + 0.094X2-13.206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ET40) = 0.566X1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 0.108X2-3.016, in the 5th frequency band Y (ET40) = 0.548X1 + 0.108X2-0.327, in the 6th frequency band Y (ET40) = 0.513X1 + 0.108X2 + 2.934, in the 7th frequency band Y (ET40 ) = 0.302X1 + 0.063X2 + 4.271, and Y (ET40) = 0.240X1 + 0.048X2 + 1.266 in the eighth frequency band.

제3 실시예로, X2=<40dB SPL이고, 선형 증폭 방식을 이용하는 보청기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Lin1)은, In a third embodiment, X2 = <40dB SPL, and the parameter Y (Lin1) for each frequency band in a hearing aid using a linear amplification method is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714X1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630X1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598X1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566X1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548X1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513X1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302X1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Lin1)=0.240X1 + 1.266일 수 있다.In the first frequency band Y (Lin1) = 0.714X1-37.243,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Y (Lin1) = 0.630X1-20.364,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Lin1) = 0.598X1-13.206,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Y (Lin1) = 0.566X1-3.016, in the fifth frequency band Y (Lin1) = 0.548X1-0.327, in the sixth frequency band Y (Lin1) = 0.513X1 + 2.934, in the seventh frequency band Y (Lin1) = It may be 0.302X1 + 4.271, Y (Lin1) = 0.240X1 + 1.266 in the eighth frequency band.

제4 실시예로, X2=<50dB SPL이고, 선형 증폭 방식을 이용하는 보청기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Lin2)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714X1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630X1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598X1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566X1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548X1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513X1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302X1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Lin2)=0.240X1 + 1.266일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X2 = <50dB SPL, and the parameter Y (Lin2) for each frequency band in a hearing aid using a linear amplification method is Y (Lin2) = 0.714X1-37.243, second in the first frequency band. Y (Lin2) = 0.630X1-20.364 in the frequency band, Y (Lin2) = 0.598X1-13.206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Lin2) = 0.566X1-3.016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Y ( Lin2) = 0.548X1-0.327, Y (Lin2) = 0.513X1 + 2.934 in 6th frequency band, Y (Lin2) = 0.302X1 + 4.271 in 7th frequency band, Y (Lin2) = 0.240X1 in 8th frequency band + 1.266.

제5 실시예로, X2=<60dB SPL이고, 선형 증폭 방식을 이용하는 보청기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Lin3)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714X1 - 37.2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630X1 - 20.36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598X1 - 13.206,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566X1 - 3.016,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548X1 - 0.327,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513X1 + 2.93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302X1 + 4.2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Lin3)=0.240X1 + 1.266일 수 있다.In a fifth embodiment, X2 = <60dB SPL, and the parameter Y (Lin3) for each frequency band in a hearing aid using a linear amplification method is Y (Lin3) = 0.714X1-37.243, second in the first frequency band. In the frequency band Y (Lin3) = 0.630X1-20.364,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Lin3) = 0.598X1-13.206,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Y (Lin3) = 0.566X1-3.016, in the fifth frequency band Y ( Lin3) = 0.548X1-0.327, Y (Lin3) = 0.513X1 + 2.934 in 6th frequency band, Y (Lin3) = 0.302X1 + 4.271 in 7th frequency band, Y (Lin3) = 0.240X1 in 8th frequency band + 1.266.

제6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31, X2>=3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3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714X1 - 0.062X2 - 34.1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630X1 - 0.301X2 - 5.31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598X1 - 0.377X2 + 5.644,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566X1 - 0.432X2 + 18.5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548X1 - 0.433X2 + 21.323,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513X1 - 0.433X2 + 24.58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302X1 - 0.250X2 + 16.7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31)=0.240X1 - 0.192X2 + 10.866일 수 있다.In the sixth embodiment, the compression threshold level (CT) is CT31, X2> = 31dB The parameter Y (CT31) for each frequency band in SPL is Y (CT31) = 0.714X1-0.062X2-in the first frequency band. 34.143, Y (CT31) = 0.630X1-0.301X2-5.314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Y (CT31) = 0.598X1-0.377X2 + 5.644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CT31) = 0.566X1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0.432X2 + 18.584, Y (CT31) = 0.548X1 in the 5th frequency band, 0.433X2 + 21.323, Y (CT31) in the 6th frequency band = 0.513X1-0.433X2 + 24.584, Y (CT31 in the 7th frequency band ) = 0.302X1-0.250X2 + 16.771, Y (CT31) = 0.240X1-0.192X2 + 10.866 in the eighth frequency band.

제7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41, X2>=4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4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714X1 - 0.062X2 - 34.1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630X1 - 0.301X2 - 5.31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598X1 - 0.377X2 + 5.644,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566X1 - 0.432X2 + 18.5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548X1 - 0.433X2 + 21.323,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513X1 - 0.433X2 + 24.58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302X1 - 0.250X2 + 16.7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41)=0.240X1 - 0.192X2 + 10.866일 수 있다.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compression threshold level (CT) is CT41, X2> = 41dB, and the parameter Y (CT41) for each frequency band in SPL is Y (CT41) = 0.714X1-0.062X2-in the first frequency band. 34.143, Y (CT41) = 0.630X1-0.301X2-5.314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Y (CT41) = 0.598X1-0.377X2 + 5.644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CT41) = 0.566X1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0.432X2 + 18.584, in the 5th frequency band Y (CT41) = 0.548X1-0.433X2 + 21.323, in the 6th frequency band Y (CT41) = 0.513X1-0.433X2 + 24.584, in the 7th frequency band Y (CT41 ) = 0.302X1-0.250X2 + 16.771, Y (CT41) = 0.240X1-0.192X2 + 10.866 in the eighth frequency band.

제8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51, X2>=5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5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714X1 - 0.062X2 - 34.143,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630X1 - 0.301X2 - 5.314,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598X1 - 0.377X2 + 5.644,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566X1 - 0.432X2 + 18.5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548X1 - 0.433X2 + 21.323,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513X1 - 0.433X2 + 24.584,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302X1 - 0.250X2 + 16.77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51)=0.240X1 - 0.192X2 + 10.866일 수 있다.In the eighth embodiment, when the compression threshold level (CT) is CT51, X2> = 51dB SPL, the parameter Y (CT51) for each frequency band is Y (CT51) = 0.714X1-0.062X2-in the first frequency band. 34.143, Y (CT51) = 0.630X1-0.301X2-5.314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Y (CT51) = 0.598X1-0.377X2 + 5.644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CT51) = 0.566X1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0.432X2 + 18.584, Y (CT51) = 0.548X1 in the 5th frequency band-0.433X2 + 21.323, Y (CT51) in the 6th frequency band = 0.513X1-0.433X2 + 24.584, Y (CT51 in the 7th frequency band ) = 0.302X1-0.250X2 + 16.771, Y (CT51) = 0.240X1-0.192X2 + 10.866 in the eighth frequency band.

제9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61, X2>=6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6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714X1 - 0.078X2 - 33.507,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630X1 - 0.37625X2 +2.211,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598X1 - 0.47125X2 + 15.069,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566X1 - 0.540X2 + 29.3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548X1 - 0.54125X2 + 32.148,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513X1 - 0.54125X2 + 35.409,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302X1 - 0.3125X2 + 23.021,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61)=0.240X1 - 0.240X2 + 15.666일 수 있다.In the ninth embodiment, when the compression threshold level (CT) is CT61, X2> = 61dB SPL, the parameter Y (CT61) for each frequency band is Y (CT61) = 0.714X1-0.078X2-in the first frequency band. 33.507, Y (CT61) = 0.630X1-0.37625X2 +2.211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Y (CT61) = 0.598X1-0.47125X2 + 15.069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CT61) = 0.566X1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0.540X2 + 29.384, Y (CT61) = 0.548X1 in the 5th frequency band-0.54125X2 + 32.148, Y (CT61) in the 6th frequency band = 0.513X1-0.54125X2 + 35.409, Y (CT61 in the 7th frequency band ) = 0.302X1-0.3125X2 + 23.021, Y (CT61) = 0.240X1-0.240X2 + 15.666 in the eighth frequency band.

제10 실시예로, 압축역치레벨(CT)이 CT71, X2>=71dB SPL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파라미터 Y(CT71)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714X1 - 0.103333X2 - 30.0097, 제2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630X1 - 0.501667X2 +14.75267, 제3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598X1 - 0.628333X2 + 30.77733, 제4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566X1 - 0.720X2 + 47.384, 제5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548X1 - 0.7217X2 + 50.192, 제6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513X1 - 0.7217X2 + 53.453, 제7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302X1 - 0.41667X2 + 33.43767, 제8 주파수 대역에서 Y(CT71)=0.240X1 - 0.320X2 + 23.666일 수 있다.In the tenth embodiment, the compression threshold level (CT) is CT71, X2> = 71dB, and the parameter Y (CT71) for each frequency band at SPL is Y (CT71) = 0.714X1-0.103333X2-in the first frequency band. 30.0097,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Y (CT71) = 0.630X1-0.501667X2 +14.75267, in the third frequency band Y (CT71) = 0.598X1-0.628333X2 + 30.77733, in the fourth frequency band Y (CT71) = 0.566X1 -0.720X2 + 47.384, Y (CT71) = 0.548X1 in the 5th frequency band, 0.7217X2 + 50.192, Y (CT71) in the 6th frequency band = 0.513X1-0.7217X2 + 53.453, Y (CT71 in the 7th frequency band ) = 0.302X1-0.41667X2 + 33.43767, Y (CT71) = 0.240X1-0.320X2 + 23.666 in the eighth frequency band.

단계 S300에서, 서버(10)는 후속조치모듈에 의해 단계 S200에서 획득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보정된 보청기와 관련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00, the server 10 may provide the hearing aid user with a hearing training program related to the hearing aid corrected based on the parameters obtained in step S200 by the subsequent action module.

단계 S100 내지 S30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 살펴본다.A detailed embodiment of steps S100 to S3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to 5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valu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10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step S110, the server 10 may collect state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태 정보는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수집될 수 있다.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state can be collected through various methods. In one embodiment, status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based on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1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in step S111, the server 10 may collect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이때,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는 사용자의 청각과 관련된 다양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 사용자의 배경정보는 난청이 최초 발생한 시간 정보, 대략적인 난청 정도에 대한 정보, 보청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나이 정보, 질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hearing aid may mean all of various data related to the user's hearing. For example,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on the first hearing loss, information about the approximate hearing loss, body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age information, and disease information.

단계 S112에서, 서버(10)는 수집된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기초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기초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기초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기초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초정보는 보청기에 대한 기대치 정보, 난청과 관련된 정서적 불안 요소와 관련된 정 보, 그외 시각 및 소근운동손상같이 보청기 조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12, the server 10 based on the collected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loss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basic information about a situation in which difficulty is caused by hearing loss, basic information about a suitable hearing aid, and basics for hearing train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e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basic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expectations about hearing aids, information related to emotional anxiety factors related to hearing loss, and other factors that may affect hearing aid operation, such as visual and small muscle movement damage. can do.

서버(10)는 수집된 배경정보가 기초정보를 파악하기에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20)로 추가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족한 정보는 이후 설문문항을 통해 보충될 수 있다.When the collected background information is insufficient to grasp the basic information, the server 10 may request to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2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may be supplemented through questionnaire questions.

단계 S113에서, 서버(10)는 획득된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상세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을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13, the server 10 may obtain a questionnaire question for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basic information.

이때, 상세정보란 보청기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정보일 수 있다. 서버(10)는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부족한 정보에 대한 설문문항을 획득하고, 획득된 설문문항을 전자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tail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ptimized for an individual hearing aid user. The server 10 may obtain a questionnaire question about insufficient information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obtained questionnaire ques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20.

단계 S114에서, 서버(10)는 설문문항에 대한 보청기 사용자의 답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14, the server 10 may obtain the answer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for the questionnaire question.

단계 S115에서, 서버(10)는 답변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상세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상세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상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15, the server 10,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among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loss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difficulties arise due to hearing loss,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uitable hearing aid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training At least one detail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다시 도 2로 돌아와, 단계 S120에서, 서버(10)는 수집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된 상태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청기 사용자의 난청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 난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대한 상세정보, 적합한 보청기에 대한 상세정보 및 청능훈련에 대한 상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세정보일 수 있다.Returning to FIG. 2 again, in step S120, the server 10 may evaluate the hearing status of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collected status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ollected status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loss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difficulties arise due to hearing loss,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uitable hearing aid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training. It can be information.

단계 S130에서, 서버(10)는 평가된 청각 상태에 대응되는 보청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보청기를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하여 획득된 보청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30, the server 10 may select a hearing aid corresponding to the evaluated hearing state, and obtain the hearing aid trial wearing data obtained by wearing the selected hearing aid by a hearing aid user.

이때, 시험착용데이터란 보청기 사용자가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est wear data may mean data collected while the hearing aid user wears the hearing aid.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6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in step S116, the server 10 may obtain data about the ear canal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단계 S117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17, the server 10 may acquire at least one of the pure tone hearing test data, speech auditory test data, acoustic reflection threshold data, unpleasant volume level data and maximum comfortable volume level data of the hearing aid user.

단계 S131에서, 서버(10)는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31, the server 10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ata on the ear canal condition and the hearing aid user's pure tone hearing test data, speech and hearing test data, acoustic reflection threshold data, unpleasant volume level data, and maximum comfortable volume level data. As a result, test wear data can be obtained.

이때, 시험착용데이터란, 보청기 사용자가 보청기를 사용하면서 획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est wear data may mean various data obtained while a hearing aid user uses the hearing aid.

일 실시예로, 보청기 사용자는 보청기 사용에 따라 보청기가 귀에 맞지 않아 통증을 느끼거나, 보청기가 쉽게 빠지는 등의 물리적으로 불편한 점이 발견되면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가 압력 센서를 구비한 보청기인 경우, 전자 장치(20)는 전자 장치(20)에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에서의 적정 압력과 감지된 압력을 비교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이 적정 압력보다 높은 경우, 전자 장치(20)는 보청기가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의 압력센서는 보청기가 보청기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보청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형 보청기의 경우, 압력 센서는 외이도와 밀착되는 전자 장치(20)의 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귀걸이형 보청기의 경우,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외부 귓바퀴와 밀착되는 전자 장치(20)의 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가 충격 센서를 구비한 보청기의 경우, 일정 시간동안 전자 장치(20)에 가해진 충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보청기가 보청기 사용자의 귀에서 자주 떨어지는 경우, 보청기의 떨어짐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충격이 일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전자 장치(20)는 감지 횟수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ring aid user may obtain data on the condition of the ear canal as test wear data when a hearing aid feels pain because the hearing aid does not fit into the ear according to the use of the hearing aid, or when a physical discomfort such as the hearing aid is easily removed. At this time,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 is a hearing aid equipped with a pressure sensor, the electronic device 20 determines the position where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determines the appropriate pressure and the detected pressure at the determined position. Can be compared. When the sensed pressure is higher than the appropriate pressure, the electronic device 20 may acquire test wear data that the hearing aid is not suitable for the hearing aid user. 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or of the electronic device 20 may be implemented to measure the pressure at a position for fixing the hearing ai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ring aid user's ea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mplantable hearing aid, the pressure sensor may be formed along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n ear-shaped hearing aid, the pressure sensor may be formed along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external auricle.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 hearing aid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20 has an impact sensor, it may be determined that a shock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 for a predetermin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at is, when the hearing aid frequently falls from the hearing aid user's ear, an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 in response to the hearing aid dropping. Accordingly, if an impact over a predetermined valu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s detec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electronic device 20 may acquire the detection number as test wear data.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는 순음청력검사 또는 어음청각검사에 대한 데이터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는 순음청력검사 또는 어음청각검사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보청기 사용자의 상세정보를 바탕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전자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는 전송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acquire data for a pure tone hearing test or a speech hearing test as test wear data. The server 10 may generate audio data for a pure tone hearing test or speech audition based on detailed information of a hearing aid user, and transmit the generated audio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20. The server 10 may obtain result data for the transmitted audio signal as test wear data.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는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를 시험착용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acquire acoustic reflection threshold data, unpleasant volume level data, and maximum comfortable volume level data as test wear data.

단계 S140에서, 서버(10)는 시험착용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할 보청기를 선택할 수 있다.In step S140, the server 10 may select a hearing aid to be worn by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test wear data.

즉,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상세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를 1차 선택하고, 1차 선택된 보청기에 대한 시험착용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를 2차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청기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보청기를 선택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 may first select a hearing aid based o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user, and select a hearing aid suitable for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test wear data for the first selected hearing aid. Through this, the user of the hearing aid can select the hearing aid optimized for him.

단계 S150에서, 서버(10)는 착용할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보청기 사용자의 귀의 인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50, the server 1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impression of the hearing aid user's ear to determin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to be worn.

즉, 서버(10)는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성뿐만 아니라 물리적 특성까지 고려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귀의 인상을 채취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 may collect the impression of the user's ear to consider not only the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but also physical characteristics.

도 6은 본 발명의 귀인상 채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attrib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51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귀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151, the server 10 may receive at least one image of the ear of the hearing aid user.

이때, 이미지는 사용자의 귀 전면, 외이도 및 귓바퀴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10)는 후술하는 단계 S152에서 외이에 대한 3D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mage may be an image including the front of the user's ear,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and the auricle, and may receive a plurality of images. The server 10 may use the image to obtain a 3D image of the outer ear in step S1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일 실시예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에 대한 정확한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에는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를 판단하기 위한 가이드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원형의 물체로서, 보청기 사용자는 외이 주변 얼굴에 가이드 오브젝트를 부착하고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서버(10)는 가이드 오브젝트의 실제 크기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가이드 오브젝트의 실제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에 대한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는 부착된 가이드 오브젝트로부터 기울기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가이드 오브젝트가 정확한 원형의 모양인 경우, 서버(1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를 바탕으로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가 원형으로 존재한다면, 이미지는 가이드 오브젝트의 정면에서 촬영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가 타원형으로 존재한다면, 이미지는 가이드 오브젝트의 측면에서 촬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미지에 포함된 타원형 가이드 오브젝트의 장축 및 단축의 길이를 바탕으로 이미지가 가이드 오브젝트 대비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determine the exact size of the hearing aid user's outer ear. At this time, the image may include a guide object for determining the outer ear of the hearing aid user. The guide object is, for example, a circular object, and the hearing aid user can attach the guide object to the face around the outer ear and take an image. Since the server 10 knows the actual size information of the guide object, it is possible to obtain size information about the outer ear of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actual size information of the guide object. Furthermore, the server 10 may further acquire tilt information from the attached guide object. When the guide object has an accurate circular shape, the server 10 may acquire tilt information based on the guid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That is, if the guid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exists in a circular shape, the server 10 determines that the image is taken from the front of the guide object. If the guid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exists in an oval shape, the image is a side surface of the guide object. It can be judged as being filmed in. The server 10 may acquire tilt information on how inclined the image is compared to the guide object based on the lengths of the long and short axes of the elliptical guid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결론적으로, 서버(1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의 크기 정보,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오브젝트의 기울기 정보 및 실제 가이드 오브젝트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의 실제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conclusion, the server 10 may obtain actual size information of the outer ear of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guid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the tilt information of the guid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actual guide object. .

단계 S152에서, 서버(1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를 포함하는 외이에 대한 3D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52, the server 10 may obtain a 3D image of the outer ear including the ear canal of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received at least one image.

단계 S153에서, 서버(10)는 3D 이미지를 바탕으로 귀인상을 제작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3D 프린터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153, the server 10 may acquire information for producing an attribution image based on the 3D image, and transmit the obtained information to the 3D printer.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는 3D 이미지로부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할 보청기를 바로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rver 10 can immediately determine the hearing aid to be worn by the hearing aid user from the 3D imag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합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suit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210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한 보청기로부터 보청기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210, the server 10 may receive data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hearing aid from the hearing aid worn by the hearing aid user.

단계 S220에서, 서버(10)는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220, the server 10 may obtain a parameter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hearing aid based on the received data.

보청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상술한 다양한 보청기 사용자의 기초정보, 상세정보, 시험착용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parameters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hearing aid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basic information, detailed information, and test wear data of the various hearing aid users described above.

단계 S230에서, 서버(10)는 획득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보청기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가 보청기를 보정한다 함은, 보청기를 보정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20)로 송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히 전자 장치(20)가 보청기인 경우에는, 직접 보청기를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step S230, the server 10 may correct the hearing aid based on the acquired parameters. At this time, when the server 10 corrects the hearing aid, it may mean that a message instructing to correct the hearing aid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 is a hearing aid, it is directly A control signal for correcting the hearing aid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

단계 S240에서, 서버(10)는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240, the server 10 may receive usage data for the corrected hearing aid to obtain result data for the corrected hearing ai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속조치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llow-up a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310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생활 공간에서의 배경 소음에 대한 정보,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에 대한 정보 및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step S310, the server 10 may collect backgroun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background noise in the living space of the hearing aid user, information about the speech speed of the hearing aid user, and information about the average speech speed of the general public. .

단계 S320에서, 서버(10)는 수집된 배경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에 포함될 배경 소음 및 발화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320, the server 10 may determine the background noise and the speech rate to be included in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llected background information.

단계 S330에서, 서버(10)는 상기 결정된 배경 소음 및 발화 속도를 바탕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330, the server 10 may generate an auditor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determined background noise and utterance speed.

일 실시예로,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가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보다 느린 경우,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를 기준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의 발화 속도를 결정하고, 점차적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의 발화 속도를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가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보다 빠른 경우, 서버(10)는 일반인의 평균 발화 속도를 기준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의 발화 속도를 결정하고, 점차적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의 발화 속도를 보청기 사용자의 발화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peech rate of the hearing aid user is slower than the average speech rate of the general public, the server 10 determines the speech rate of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speech rate of the hearing aid user, and gradually the speech of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The speed can be increased to the average ignition rate of the general public. Alternatively, when the speech rate of the hearing aid user is faster than the average speech rate of the general public, the server 10 determines the speech rate of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average speech rate of the general public, and gradually increases the speech rate of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It can be increased at the user's ignition speed.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주변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의 댁내에서의 배경 소음 정보, 직장에서의 배경 소음 정보, 이동 경로에서의 배경 소음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배경 소음 정보를 바탕으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generate a hear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aid user. For example, the server 10 acquires background noise information in the home of a hearing aid user, background noise information in the workplace, and background noise information in a moving path, and generates an auditor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acquired background noise information can do.

단계 S340에서, 서버(10)는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340, the server 10 may receive the result data for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and hearing aid wearing from the hearing aid user.

단계 S350에서, 서버(10)는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350, the server 10 may generate a result report for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data.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earing ai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41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 각각에 대한 복수의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데이터는 배경정보, 상기 설문문항에 대한 답변정보 및 상기 답변정보로부터 획득된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S410, the server 10 may store a plurality of first data for each of a plurality of hearing aid user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data may include background information, answer information for the questionnaire, and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nswer information.

나아가, 서버(10)는 배경정보, 배경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기초정보,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설문문항, 설문문항에 대한 답변정보 및 답변정보로부터 생성된 결과정보 모두를 제1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서버(10)는 획득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된 제1 데이터는 제1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 제2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정보 등으로 그룹화 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rver 10 uses all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e basic information obtained based on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e questionnaire generated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questionnaire question, and the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answer information as the first data. Of course it can be saved. At this time, the server 10 may store the acquired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question, answer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That is, the stored first data can be grouped into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questions, answer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questions, answer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for the second user. You can.

단계 S42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2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2 데이터는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420, the server 10 may store a plurality of second data for a plurality of hearing aid user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t this time, the second data may include result data for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and hearing aid wearing.

단계 S43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제1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430, the server 10 may obtain a plurality of first clusters by clustering a plurality of first data.

즉, 서버(10)는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유사한 데이터끼리 그룹화 할 수 있다. That is, the server 10 may group data for a plurality of hearing aid users into similar data.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로, 서버(10)는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에 대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서버(10)는 복수의 배경정보 클러스터, 기초정보 클러스터, 설문문항 클러스터, 답변정보 클러스터 및 결과정보 클러스터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는 각각의 배경정보 클러스터, 기초정보 클러스터, 설문문항 클러스터, 답변정보 클러스터 및 결과정보 클러스터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제1 배경정보 클러스터와 연관된 제1 기초정보 클러스터, 제1 기초정보 클러스터와 연관된 제1 설문문항 클러스터, 제1 설문문항 클러스터와 연관된 제1 답변정보 클러스터 및 제1 답변정보 클러스터와 연관된 제1 결과정보 클러스터는 매칭하여 하나의 제1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서버(10)는 각각의 배경정보 클러스터, 기초정보 클러스터, 설문문항 클러스터, 답변정보 클러스터 및 결과정보 클러스터에 대한 모든 클러스터들을 매칭하여 그룹화 할 수 있다. 서버(10)는 그룹화된 복수의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one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perform clustering on each of data for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question, answer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rver 10 may acquire a plurality of background information clusters, basic information clusters, questionnaire question clusters, answer information clusters, and result information clusters, respectively. The server 10 may match and store each background information cluster, basic information cluster, questionnaire question cluster, answer information cluster, and result information cluster. Specifically, the server 10 includes a first basic information cluster associated with the first background information cluster, a first questionnaire cluster associated with the first basic information cluster, a first answer information cluster and a first answer associated with the first questionnaire cluster The first result information cluster associated with the information cluster may be matched to obtain one first group. In the same way, the server 10 can be grouped by matching all clusters for each background information cluster, basic information cluster, questionnaire question cluster, answer information cluster, and result information cluster. The server 10 may obtain a plurality of first clusters by clustering data for a plurality of grouped groups.

즉, 서버(10)는 제1 데이터에 포함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를 각각 분류하고, 분류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가 아닌 가상의 (이상적인)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사용자에 대한 제1 데이터를 바탕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실제 사용자가 설문문항에 대한 답변정보를 잘못 입력하여 정확한 상세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 분류 및 분석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들이 획득한 정보만을 바탕으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에 대한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상술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server 10 classifies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questions, answer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data, and is based on the classified results, and is not virtual data (ideal). Data about the user can be obtained. For example, when clus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first data for an actual user, there is an error in data classification and analysis when the actual user does not obtain the correct detailed information by incorrectly inputting the answer information for the questionnaire. You can. Accordingly, when creating a group for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question, answer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based only on information acquired by each user,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above-described error.

단계 S44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제2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2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440, the server 10 may obtain a plurality of second clusters by clustering a plurality of second data.

단계 S450에서, 서버(10)는 새로운 제1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및 답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450, the server 10 may acquire background information and answer information for the new first hearing aid user.

나아가, 서버(10)는 제1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 모두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more, of course, the server 10 may receive all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items, answer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from the first hearing aid user.

단계 S46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제1 클러스터 중 제1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배경정보 및 답변정보와 관련된 제1-1 클러스터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460, the server 10 may determine the first-first cluster related to background information and answer information for the first hearing aid user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lusters.

단계 S47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제2 클러스터 중 제1-1 클러스터와 기 설정된 거리내에 존재하는 제2-1 클러스터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470, the server 10 may determine a 2-1 cluster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1-1 cluster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clusters.

단계 S480에서, 서버(10)는 제2-1 클러스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및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In step S480, the server 10 may recommend a hearing aid and hearing training program suitable for the first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data included in the 2-1 cluster.

즉, 제1 보청기 사용자는 제1-1 클러스터에 속한 보청기 사용자와 유사한 배경정보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서버(10)는 제1-1 클러스터의 사용자와 연관된 제2-1 클러스터를 획득하고, 제2-1클러스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2-1 클러스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및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earing aid user will have background information similar to the hearing aid user belonging to the first-first cluster. Accordingly, the server 10 acquires the 2-1 cluster associated with the user of the 1-1 cluster, obtains the 2-1 cluster, and is based on the data included in the obtained 2-1 cluster. Hearing aids and hearing training programs suitable for hearing aid users can be recommended.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복수의 보청기 사용자의 시험착용데이터를 저장하고,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제3 클러스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는 복수의 제3 클러스터 중 제1-1 클러스터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제3-1 클러스터를 판단하고, 복수의 제2 클러스터 중 제3-1 클러스터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제2-1 클러스터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서버(10)는 제2-1 클러스터가 제1-1 클러스터 및 제3-1 클러스터 모두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가 되도록 제2-1 클러스터를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 may store a plurality of hearing aid users' test wear data and cluster them to generate a plurality of third clusters. The server 10 determines a 3-1 cluster existing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1-1 cluster among the plurality of third clusters, and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3-1 cluster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cluster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2-1 cluster may be determined. Alternatively, the server 10 may also determine the 2-1 cluster such that the 2-1 cluster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the 1-1 cluster and the 3-1 cluster.

또 다른 실시예예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링 과정은 보청기의 물리적 특징 및 전기음향적 특징을 구분하여 따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 복수의 제1 데이터로 하여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하고,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복수의 제2 데이터로 하여 제2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별개로, 서버(10)는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성에 대한 배경정보, 기초정보, 설문문항, 답변정보 및 결과정보 복수의 제1 데이터로 하여 제1 클러스터를 획득하고,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특성에 대한 청능훈련프로그램 및 보청기 착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복수의 제2 데이터로 하여 제2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서로 독립된 특성을 가지는 물리적 특성과 전기음향적 특성에 대하여는 독립적으로 판단하여 제1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및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lustering process may be performed separately by classifying the physical and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Specifically, the server 10 acquires a first cluster using a plurality of first data of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questions, answer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and trains the hearing abilit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The second cluster may be obtained by using the result data for the program and hearing aid wearing as a plurality of second data. In addition, separately from this, the server 10 acquires a first cluster with a plurality of first data of backgroun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questions, answer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on the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and obtains the electroacoustic sound of the hearing aid The second cluster may be obtained by using the hearing training program for the enemy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 data for wearing the hearing aid as a plurality of second data. That is, the server 10 can independently determine physical and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having in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recommend a hearing aid and hearing training program suitable for the first hearing aid us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102)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02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not shown) and a connection passage (for example, a b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a graphic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 or other components. .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9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The processor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the method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 to 9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4.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신규 학습용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라벨링된 정보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상의 정확도로 획득되는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학습용 데이터가 삭제된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된 모델을 다시 학습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02 obtains new training data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and uses the trained model to perform tests on the acquired new training data, and the test results and labeling Extracts the first learning data obtained by the obtained information with an accuracy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deletes the extracted first learning data from the new learning data, and extracts the new learning data from which the extracted learning data is deleted. By using it, the trained model can be trained again.

한편, 프로세서(102)는 프로세서(102)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102 may temporarily and / or permanently store a signal (or data) processed inside the processor 102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ROM (Read-Only Memory). , Not shown). In addition, the processor 10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including at least one of a graphic processing unit, RAM, and ROM.

메모리(104)에는 프로세서(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The memory 104 may store programs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or 102.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04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software modules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PM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on any type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hardware computer, and stored in a medium.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components, and similarly, embodiments include C, C ++, including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other programming components. , Can be implemented in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such as Java, assembler, etc. Functional aspects can be implemented with algorithms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서버
20 : 전자 장치
10: Server
20: electronic device

Claims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보청기 적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평가 모듈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적합모듈에 의해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후속조치모듈에 의해 상기 파라미터에 의해 보정된 보청기와 관련된 청능훈련프로그램을 상기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한 보청기로부터 보청기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사용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된 보청기에 대한 사용데이터는 커플러 측정 데이터, 실이측정 데이터, 음장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획득되고,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청각 상태에 대응되는 보청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보청기를 상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하여 획득된 보청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시험착용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청기 사용자가 착용할 보청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착용할 보청기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귀의 인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각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외이도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보청기 사용자의 순음청력검사데이터, 어음청각검사데이터, 음향반사역치데이터, 불쾌음량레벨데이터 및 최대쾌적음량레벨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시험착용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performed by the server,
Evaluating the hearing status of the hearing aid user by the evaluation module;
Obtaining a parameter suitable for the user of the hearing aid by a suitable module; And
Providing the hearing aid user with a hearing training program related to the hearing aid corrected by the parameter by a follow-up action module; Including,
The step of obtaining the parameters,
Receiving data for changing a hearing aid state from a hearing aid worn by the hearing aid user;
Obtaining a parameter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hearing aid based on the received data;
Correcting the hearing aid based on the acquired parameters; And
Includes; receiving the use data for the corrected hearing aid to obtain the result data for the corrected hearing aid;
The use data for the corrected hearing aid is obtained based on coupler measurement data, real ear measurement data, and sound field measurement data,
Evaluating the hearing state of the user of the hearing aid,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about the hearing state of the hearing aid user;
Evaluating the hearing status of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collected status information;
Selecting a hearing aid corresponding to the evaluated hearing condition, and obtaining hearing aid test wear data obtained by wearing the selected hearing aid by the hearing aid user;
Selecting a hearing aid to be worn by the hearing aid user based on the test wear data; An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impression of the user's ear to determine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the hearing aid to be wor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l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for the hearing state,
Obtaining data about the ear canal condition of the hearing aid user;
Acquiring at least one of the pure tone hearing test data, speech and hearing test data, acoustic reflection threshold data, unpleasant volume level data, and maximum comfortable volume level data of the hearing aid user; Including,
The step of obtaining the test wear data,
Acquiring the test wear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ata on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condition and the pure tone hearing test data, speech auditory test data, acoustic reflection threshold data, unpleasant volume level data and maximum comfortable volume level data of the hearing aid user To do; Control method comprising a.
KR1020200005748A 2020-01-16 2020-01-16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the trial management data-based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KR1020933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748A KR102093365B1 (en) 2020-01-16 2020-01-16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the trial management data-based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748A KR102093365B1 (en) 2020-01-16 2020-01-16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the trial management data-based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55A Division KR102069892B1 (en) 2019-05-29 2019-05-29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of hearing aid suitability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365B1 true KR102093365B1 (en) 2020-03-25

Family

ID=7000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748A KR102093365B1 (en) 2020-01-16 2020-01-16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the trial management data-based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3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6401A (en) * 2023-04-17 2023-05-23 深圳市英唐数码科技有限公司 Hearing-aid equipment intelligent detection method, system and medium based on big data monitor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1625A1 (en) * 2007-06-13 2008-12-18 Widex A/S Method for user individualized fitting of a hearing aid
KR101440269B1 (en) 2012-12-21 2014-09-12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Method for Fitting a Hearing Aid Employing Mode of User's Adaptation
US20150199977A1 (en) * 2012-12-20 2015-07-16 Widex A/S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improving speech intelligibility of an audio signal
US20170257713A1 (en) * 2014-11-20 2017-09-07 Widex A/S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on to a hearing aid
US20170347205A1 (en) * 2016-05-30 2017-11-30 Sivantos Pte. Ltd. Method for the automated ascertainment of parameter values for a hearing aid
US20180109886A1 (en) * 2015-06-19 2018-04-19 Widex A/S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aid system and a hearing aid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1625A1 (en) * 2007-06-13 2008-12-18 Widex A/S Method for user individualized fitting of a hearing aid
US20150199977A1 (en) * 2012-12-20 2015-07-16 Widex A/S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improving speech intelligibility of an audio signal
KR101440269B1 (en) 2012-12-21 2014-09-12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Method for Fitting a Hearing Aid Employing Mode of User's Adaptation
US20170257713A1 (en) * 2014-11-20 2017-09-07 Widex A/S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on to a hearing aid
US20180109886A1 (en) * 2015-06-19 2018-04-19 Widex A/S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aid system and a hearing aid system
US20170347205A1 (en) * 2016-05-30 2017-11-30 Sivantos Pte. Ltd. Method for the automated ascertainment of parameter values for a hearing a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6401A (en) * 2023-04-17 2023-05-23 深圳市英唐数码科技有限公司 Hearing-aid equipment intelligent detection method, system and medium based on big data monito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idser et al. Self-fitting hearing aids: Status quo and future predictions
Jorgense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hearing aids: Opportunity not an obstacle
CN109729485A (en) For adjusting the method, equipment and computer program of hearing aid device
CN103081513B (en) The apolegamy of the view-based access control model of hearing devices
US11095995B2 (en) Hearing assist device fitting method, system, algorithm, software, performance testing and training
US200500853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habilitating a medical condition across multiple dimensions
US10609493B2 (en) Method for adjusting hearing aid configuration based on pupillary information
US10952649B2 (en) Hearing assist device fitting method and software
US20220183593A1 (en) Hearing test system
CN109600699A (en) The system with calculation procedure and server for hearing devices service request
KR102069892B1 (e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of hearing aid suitability management system
Wong Evidence on self-fitting hearing aids
KR102093365B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the trial management data-based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US2022036905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itting hearing assistance devices
Hazan et al. Home-Based Audiometry With a Smartphone App: Reliable Results?
KR20200137950A (e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of hearing aid suitability management system
KR102093364B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hearing aid conform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user background information
KR102093366B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hearing aid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managed based on ear impression information
KR102093367B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customized hearing aid suitability management system
EP3864862A1 (en) Hearing assist device fitting method, system, algorithm, software, performance testing and training
Davidson et al. Hearing aid technology settings and speech-in-noise difficulties
Jensen et al. Common configurations of real-ear aided response targets prescribed by NAL-NL2 for older adults with mild-to-moderate hearing loss
KR102093368B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hearing aid system for optimal amplification specialized in Korean
KR102093369B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hearing aid system for optimal amplification for extended threshold level
KR102093370B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hearing aid system for optimal amplification for compression threshold le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