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503B1 - 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503B1
KR102092503B1 KR1020190071298A KR20190071298A KR102092503B1 KR 102092503 B1 KR102092503 B1 KR 102092503B1 KR 1020190071298 A KR1020190071298 A KR 1020190071298A KR 20190071298 A KR20190071298 A KR 20190071298A KR 102092503 B1 KR102092503 B1 KR 10209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goods
location
information
us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용호
오현실
Original Assignee
노용호
오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용호, 오현실 filed Critical 노용호
Priority to KR1020190071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5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503B1/en
Priority to PCT/KR2020/007709 priority patent/WO202025636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ertisement system using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nd a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dvertisement system using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nd the method thereof, which provide digital goods capable of providing advertising effects corresponding to a customer at a location requested by the customer, allow a user to check the digital goods through augmented reality using a mobile terminal and obtain any digital goods by touching the goods, and register trans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transaction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user of the obtained digital goods in a blockchain network.

Description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요청한 위치에 고객에 대응하는 광고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재화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현실을 통해 디지털 재화를 확인하고, 임의의 디지털 재화를 터치하여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디지털 재화에 대한 고객과 사용자 간의 거래에 따른 거래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digital goods capable of providing an advertising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at the location requested by the customer, the user is a mobile terminal Location-based augmentation that checks digital goods through augmented reality using, can be acquired by touching any digital goods, and registers trans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ransactions between customers and users for the acquired digital goods in the blockchain network It relates to an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ing real digital goods.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으로 불리는 모바일 단말기가 1인당 한 대 이상으로 보급됨에 따라 광고매체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광고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Currently, as more than one mobile terminal called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is distributed per person,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dvertising medium, and various advertising services using a mobile terminal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식 중 하나가 모바일 할인 쿠폰, 모바일 쿠폰, 포인트 등의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이다.One of the advertisement service methods using the mobile terminal is an advertisement service using digital goods such as mobile discount coupons, mobile coupons, and points.

일반적으로 종래 모바일 할인 쿠폰은 사용자가 특정 웹(WEB) 및 앱(APP)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이벤트에 참가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한 후, 당첨 시 등록된 전화번호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다.In general, a conventional mobile discount coupon is provided to a mobile terminal of a registered phone number when a user registers a phone number of a mobile terminal by participating in an event provided by one of a specific web (WEB) and an app (APP). Is becoming.

그리고 모바일 쿠폰은 사용자가 직접 모바일 쿠폰 판매 웹사이트 및 앱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구매하거나 상기 웹사이트 및 앱을 통해 제공되는 이벤트에 참가하여 당첨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upon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phone number entered by the user when the user directly purchases through any one of the mobile coupon sale website and the app or participates in an event provided through the website and the app to win.

그리고 포인트는 웹 및 앱을 통해 제시되는 어떤 행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에 대해 상기 행동에 대해 할당된 만큼 주어지거나, 상품의 구매 시 상품 구매금액에 대응하여 주어지고 있다.In addition, points are given as much as allocated for the above actions to the user in case of performing any action presented through the web and the app, or are given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oduct purchase amount when the product is purchased.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이벤트의 참여 및 상품의 구매에 따라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이벤트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많은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고, 특정 행동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는 데 그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advertisement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digital goods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the event and the purchase of the product, so the user must input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event, and the user participation is required because the user has to perform a specific action. There was a problem with its limitations in raising.

또한, 종래의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재화는 웹사이트 및 앱을 통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디지털 재화를 제공하는 고객(업체, 업체의 매장)의 위치가 자신이 이용하기 어려운 위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에게 무용지물이 되어 광고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digital goods provided in the advertisement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digital goods are provided through a website and an app, and the location of a customer (a company or a company's store) that provides the digital goods may be a position tha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us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ement is deteriorated because it becomes useless to the user.

또한, 종래의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디지털 재화를 어떤 사용자가 가졌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dvertising system using digital goods has a problem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know which user has digital good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9726호(2017.07.20.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759726 (announced on July 20, 20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요청한 위치에 고객에 대응하는 광고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재화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현실을 통해 디지털 재화를 확인하고, 디지털 재화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 해당 디지털 재화를 터치하여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디지털 재화에 대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good that can provide an advertisement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at a location requested by the customer, the user confirms the digital good through augmented reality using a mobile terminal, and schedules from the location of the digital good. It is to provide an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that can be obtained by touching the corresponding digital goods within a distance and register the acquired digital goods in a blockchain networ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현재의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를 수신받아 카메라를 구동하여 획득되는 촬영 영상에 합성한 증강현실(AR)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서 터치되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적립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회원인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공되는 디지털 재화들 중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립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vertisement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measures the current own position and transmits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position, , Receiving at least one or more digital goods of at least one different typ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AR) image synthesized on a captured image obtained by driving a camera, and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credit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digital goods information for the digital goods touched in; And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digital good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time when receiving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who is a member, from the mobile termin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request information to store and manage each user.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부; 카메라를 포함하여 카메라 렌즈에 투영되는 화상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GPS 모듈; 상기 증강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위치데이터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기지국의 위치 및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현재의 위치를 계산하고, 측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를 수신받아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획득되는 촬영 영상에 합성한 증강현실(AR)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서 터치되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적립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camera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projected on a camera lens including a camera; A GPS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each location data from at least one GPS satellite; A display unit to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n input unit including a touch pad configured integrally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ed position; And at least three or more location data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a location of a base station obtain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received signal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to calculate a current location, and measure the current location.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t least one or more different types of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and the camera is received.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synthesized augmented reality (AR) image on a captured image obtained by driving, and transmitting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information about digital goods touched o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s done.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및 고객의 요청에 대한 고객정보와, 디지털 재화 종류, 디지털 재화 개수, 디지털 재화 제공 시간 및 제공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디지털 재화 DB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및 회원인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디지털 재화 DB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공되는 디지털 재화들 중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립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member DB that stores member information for a user and customer information for a customer's request, and digital goods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types, digital goods number, digital goods providing time and area information A server storage unit including a digital goods DB that stores digital goods service information; A server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digital goods provided according to the time set in the digital goods DB when receiving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member user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rver control unit that receives and receives th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o store and manage each user.

상기 서버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에 할당된 디지털 재화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처리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공된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통해 제공된 디지털 재화 중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재화에 대한 적립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사용자 지갑 적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controller monitors whether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and when receiving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digital allocated to a service area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d in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 service processing unit transmitting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goods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a user wallet accumulation unit receiving and requesting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digital good among digital goods provided through the provided digital goo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부;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를 상기 디지털 재화 DB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재화 검색부; 상기 디지털 재화 검색부에서 검색된 디지털 재화 서비스의 디지털 재화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ice processing unit includes: a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monitoring whether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 digital goods search unit for searching and outputting a digital goods service having a service area including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rom the digital goods DB; A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of the digital goods service retrieved from the digital goods searching unit; And a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transmits the generated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상기 사용자 지갑 적립부는, 공개키에 의해 생성된 전자지갑주소를 가지는 사용자별 전자지갑에 상기 획득된 디지털 재화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재화를 저장하여 관리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재화가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디지털 재화의 적립 시 상기 사용자의 거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에 상기 공개키를 적용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블록에 대한 작업증명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wallet accumulation unit stores and manages the acquired digital goods or digital goods received from other users in an electronic wallet for each user having an electronic wallet address generated by a public key, wherein the server controller controls the digital goods When digital goods are accumulated in the user's electronic wallet, a block according to the user's transaction is generated and registered by applying the public key to nodes of the blockchain network that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gistered to the registered bloc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 chain register for performing proof of work.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지갑인 상기 전자지갑에 저장된 디지털 재화에 대해 디지털 재화 사용처로의 디지털 재화 지불 요청 발생 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상기 디지털 재화 사용처의 전자지갑으로 상기 디지털 재화를 제공한 것으로 처리하는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블록체인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와 디지털 재화 사용처 간의 거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control unit, when a digital goods payment request to a digital goods use request for a digital goods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which is the user walle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ccurs in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user using the digital goods in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digital goods as provided, wherein the blockchain registration unit generates a block according to a trans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igital goods usage destination and registers it with a node of the blockchain network. Is done.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립 요청 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재화 종류 정보 및 회원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지털 재화에 의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control unit is one of products and services preferred by the user by digital goods preferred by the user based on digital goods typ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D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ser experience dat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user experience data including the above.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만을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ice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only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user experience data and user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서버 저장부는, 광고영상에 대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광고영상을 저장하는 광고영상 D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가지는 광고영상을 상기 광고 영상 DB에서 찾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storage unit further includes an advertisement image DB storing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images including keywords for the advertisement image, wherein the server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n advertisement image having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user experience data and user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to find the advertisement image DB and provide i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디지털 재화의 제공 시 각 디지털 재화가 표시되어야 할 지리적 위치에 대한 디지털 재화 위치정보를 더 전송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와 터치되는 임의의 디지털 재화의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해당 디지털 재화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지털 재화에 대한 상기 디지털 재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providing the digital goods,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transmits digital goods location information for a geographic location where each digital goods should be displayed, wherein the mobile terminal distances between its own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any digital goods touch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goods are collected and the digital goods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digital goods is generated only when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디지털 재화의 위치정보는 해당 디지털 재화를 제공한 고객이 설정한 고객 관련 영역 내의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go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ion information in a customer-related area set by a customer who provided the digital good.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에서 디지털 재화가 존재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route information guiding from its own location to a location where digital goods exis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의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과정; 관리 서버가 회원인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공되는 디지털 재화들 중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과정;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를 수신받아 카메라를 구동하여 획득되는 촬영 영상에 합성한 증강현실(AR)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서 터치되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적립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적립 요청 과정;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립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디지털 재화 적립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vertisement method using th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bile terminal measures its current position, and a digital goods request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position A digital goods request proces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Digital goods that provide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digital good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time 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of a user who is a member. Offer process;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t least one or more digital goods of at least one different typ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s and displays an augmented reality (AR) image synthesized on a captured image obtained by driving a camera, and displays the A digital goods accumulation request process for transmitting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information for digital goods touched i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nd a digital goods accumulation process in which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d requests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stores and manages each user.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과정은,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위치데이터와,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기지국의 위치 및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현재의 위치를 계산하여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단계; 및 추적되는 상기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goods request process calculates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at least three or more location data obtained through a GPS module, a location of a base station obtain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received signal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Location tracking step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And a digital goods request step of generating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on the tracked loc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goods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과정은,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디지털 재화 검색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를 상기 디지털 재화 DB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재화 검색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재화 검색부에서 검색된 디지털 재화 서비스의 디지털 재화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제공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goods providing process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by the server control unit of the management server, whether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 digital goods retrieval step of searching and outputting, from the digital goods DB, a digital goods service having a service area including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rver controller through a digital goods search unit; A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by the server control unit,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of the digital goods service retrieved from the digital goods searching unit through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a step of providing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wherein the server controller transmits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디지털 재화 적립 과정은, 공개키에 의해 생성된 전자지갑주소를 가지는 사용자별 전자지갑에 상기 획득된 디지털 재화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재화를 저장하여 관리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블록체인 등록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재화가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디지털 재화의 적립 시 상기 사용자의 거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여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에 상기 공개키를 적용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블록에 대한 작업증명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등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goods accumulation process stores and manages the obtained digital goods or digital goods received from other users in an electronic wallet for each user having an electronic wallet address generated by a public key,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When the digital goods accumulate digital goods in the user's electronic wallet, the server control unit generates blocks according to the user's transaction when the digital goods are accumulated in the user's electronic wallet, and discloses them to nodes of the blockchain network that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 chain registration process for registering by applying a key and performing proof of work for the registered block.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지갑인 상기 전자지갑에 저장된 디지털 재화에 대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사용처로의 디지털 재화 지불 요청 발생 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상기 디지털 재화 사용처의 전자지갑으로 상기 디지털 재화를 제공한 것으로 처리하는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 과정; 및 상기 사용자와 디지털 재화 사용처 간의 거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에 등록하는 사용처 블록체인 등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includes: When the server control unit requests a digital goods payment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digital goods use destination for the digital goods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as the user wallet through the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process in which the digital goods are provided as electronic wallets at the destination where the digital goods are used; And creating a block according to a trans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igital goods use destination, and registering the destination blockchain with a node of the blockchain network.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립 요청 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재화 종류 정보 및 회원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지털 재화에 의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 생성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includes: a user-preferred digital goods preferred by a user based on digital goods typ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stored in a member DB included in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by the server controller of the management ser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ser experience data generation process for generating user experience data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products and services.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광고 제공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가지는 광고영상을 광고 영상 DB에서 찾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n advertisement providing process in which the server control unit finds an advertisement image hav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experience data and user information through an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in an advertisement image DB and provides it to the mobile terminal. do.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길을 지나는 중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영상에 표시되는 디지털 재화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디지털 재화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참여자, 즉 사용자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articipants, that is, the user, as the user can obtain the digital goods by simply touching the digital goods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assing the road.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재화를 제공하는 고객과 연관된 지역(매장 주변 등)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지역의 디지털 재화의 위치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디지털 재화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에 대한 광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n area associated with a customer providing digital goods (such as a store), and allows a user to acquire digital goods when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digital goods in the area.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advertis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재화가 있는 위치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디지털 재화가 존재하는 위치로 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ducing the user to easily go to the location where the digital good exists by notifying the location of the digital goo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터치하여 획득하는 디지털 재화의 종류와, 사용자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별로 선호하는 디지털 재화, 그와 연관된 관심 분야를 유추하고, 유추된 관심 분야에 대응하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맞춤형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digital goods acquired by touching, the digital goods preferred for each user by reflecting the user information, inferring a field of interest associated therewith, and providing a customized advertisement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field of interest There is an effect, an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dvertisement by providing a customized advertis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재화가 코인인 경우의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재화가 코인인 경우의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GUI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재화가 코인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지갑 G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의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 중 디지털 재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vertisement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ed on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when the digital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i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ed on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when digital goods are coi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n advertis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map GUI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llet GUI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screen when digital goods are co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of an advertisement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method using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goods service providing method among advertisement methods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광고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dvertisement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dvertisement method in the system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광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세 가지 방법에 의해 광고를 수행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dvertisement, and performs advertisement in three ways.

첫 번째는 디지털 재화 자체를 이용한 광고이고, 두 번째는 디지털 재화를 제공하는 지역을 이용한 광고이며, 세 번째는 디지털 재화를 수집한 사용자의 사용자 관련 정보를 반영한 맞춤형 광고 영상 제공을 통한 광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is an advertisement using the digital goods itself, the second is an advertisement using an area that provides digital goods, and the third is an advertisement through providing a customized advertisement video reflecting the user-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 who collected the digital goods. There will be.

본 발명에서 디지털 재화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모바일 쿠폰, 포인트, 가상화폐 등의 모든 재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모바일 쿠폰은 모바일 할인 쿠폰, 모바일 상품 교환 쿠폰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가상화폐는 비트코인(Bitcoin), 이더륨(Ethereum), 디온(Dion) 등의 전자화폐일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digital goods may be all goods such as mobile coupons, points, and virtual currencie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coupon may be a mobile discount coupon, a mobile product exchange coupon, etc., and the virtual currency may be electronic money such as Bitcoin, Ethereum, and D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재화가 코인인 경우의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재화가 코인인 경우의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vertisement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gital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oi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ed on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when the digital goo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in.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20) 및 디지털 재화 사용처의 사용처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e advertisement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and a management server 300,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lockchain network 20 and the server where the digital goods are used 400 ).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관리 서버(300) 및 사용처 서버(40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destination server 40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to perform mutual data communication.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은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전용망,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데이터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i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n Internet network including a Wi-Fi network, a dedicated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3G), 4G, 5G, and WiBro network. It could be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 서버, 컴퓨터 등과 같은 다수의 장치인 노드들로 구성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가 구성될 수 있응ㄹ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관리 서버(300) 및 사용처 서버(4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노드로 등록된 장치일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chain network 20 composed of nodes that are a plurality of devices such as a terminal, a server, and a computer connec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destination server 400 may be a device registered as a node of the blockchain network 20.

모바일 단말기(100)는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의 적어도 셋 이상의 기지국 및 위치를 알고 있는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tracks a location by measuring its location using any one of at least three GPS satellites, at least three base stations of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a network that knows the location, and periodically tracks its location.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전송에 응답하여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한 위치정보의 위치에서 도 1과 같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1) 내에 존재하는 디지털 재화(2)에 대한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수신받아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 종류의 디지털 재화(2)를 검출하고 검출된 디지털 재화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촬영 영상에 합성하여 도 2 및 도 3과 같은 증강현실 영상을 생성한 후 표시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the digital goods existing within the area 1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Real-time receiving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information for 2), detecting digital goods (2) of at least one digital goods type included in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and photographing the detected digital goods through a camera It is synthesized in the captured image to generate and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image shown in FIGS. 2 and 3.

모바일 단말기(100)는 증강현실 영상의 표시 후 증강현실 영상을 통해 표시되는 디지털 재화(2)가 터치되는지를 검사하고, 터치되면 터치된 디지털 재화(2)에 대한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적립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 표시되는 디지털 재화의 주변에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서 디지털 재화(2)까지의 거리정보(3)가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digital goods 2 displayed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re touched after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nd when it is touched, requests for accumul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information about the touched digital goods 2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In the vicinity of the digital goods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tance information 3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digital goods 2 may be displayed.

관리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들을 추출하여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생성한 후 모바일 단말기(100)로 제공한다.The management server 300 extracts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when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fter generating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t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또한,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공된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에 대한 적립 요청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적립 요청 정보의 디지털 재화를 상기 적립 요청 정보를 발송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지갑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상기 적립 요청 정보에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전자지갑 주소정보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credit request information for the provided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gital goods of the credit request information is sent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nding the credit request information. It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user's wallet. Therefore,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must include user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may be any one or more of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wallet addr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사용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300)의 사용자 지갑에 저장된 디지털 재화를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재화 사용처에 구비되는 서버, 컴퓨터, 또는 POS 단말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usage server 400 is a server, computer, or POS provided in a digital goods use place where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use digital goods stored in a user wallet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It could be a terminal, etc.

상기 사용처 서버(400)는 사용된 디지털 재화가 사용되었음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관리 서버(300)로부터 디지털 재화가 디지털 재화 사용처의 전자지갑에 디지털 재화가 적립되었음을 통지받는다.The destination server 400 transmits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at the used digital goods have been used, or receives notific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that digital goods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digital wallet of the digital goods use destination.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관리 서버(300) 및 사용처 서버(400) 간의 디지털 재화 거래에 따른 거래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노드들에 분산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Trans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gital goods transa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destination server 400 may be distributedly stored in nodes of the blockchain network 200.

블록체인이 적용되는 경우 관리 서버(300)에 저장되는 사용자 지갑은 공개키가 반영된 전자지갑주소를 가지는 전자지갑일 수 있으며, 블록체인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되는 공개키 및 개인키를 포함하는 인증키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When the blockchain is applied, the user wallet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an electronic wallet having an electronic wallet address reflecting the public key, and an authentication key including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generated according to the blockchain protocol is used. It should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GUI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재화가 코인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지갑 GUI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n advertisement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map GUI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llet GUI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screen when digital goods are co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저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입력부(130), 무선통신부(140),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모듈(150), 카메라부(155)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150, and a camera It includes a unit 155 and a control unit 160.

저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공개키 및 개인키를 포함하는 인증키 등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The storage unit 110 is a program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orary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and occurs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And a data area for semi-permanently storing data to be executed and data required to perform a control program. An authentication key including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may be stored in the data area.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를 받아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상태에 따른 다양한 정보 및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표시하고, GUI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정지영상, 동영상 등으로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various graphic user interfaces (GUIs) according to various information and control program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and through the GUI Displays information in text, graphics, still images, and videos.

입력부(13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입력장치, 다수의 기능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포함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기능을 선택하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제공한다.The input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button input device for outputting a button signal for the pressed button, a plurality of functions and keys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pressed It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key input device for output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a touch pad configured integrally with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0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location touched by a user on the screen. The user is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for selecting a function and inputting information.

무선통신부(14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연결된 다른 단말기, 서버, 컴퓨터 등의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의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브로망에 접속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시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측정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wirelessly connects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devices such as other terminals, servers, and computers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Bro network of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of the occasional signal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se station is received. It may be measured and output to the control unit 160.

GPS 모듈(150)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들로부터 각각의 고유의 위치데이터를 수신받아 제어부(160)로 출력한다.The GPS module 150 receives each unique position data from satellites of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60.

카메라부(155)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비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160)로 제공한다.The camera unit 155 includes a camera and performs video signal processing on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to provide it to the controller 160.

제어부(160)는 GUI 제공부(170), 위치 추적부(180), 디지털 재화 처리부(190), 디지털 재화 획득 처리부(210),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220) 및 내비게이션 처리부(23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60 includes a GUI providing unit 170, a location tracking unit 180, a digital goods processing unit 190, a digital goods acquisition processing unit 210, a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220, and a navigation processing unit 230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GUI 제공부(170)는 지도 GUI 제공부(171), AR GUI 제공부(172), 설정 GUI 제공부(173) 및 지갑 GUI 제공부(174)를 포함한다.The GUI providing unit 170 includes a map GUI providing unit 171, an AR GUI providing unit 172, a setting GUI providing unit 173, and a wallet GUI providing unit 174.

지도 GUI 제공부(171)는 도 5와 같이 지도 위에 디지털 재화가 존재하는 위치에 디지털 재화의 종류(코인, 할인 쿠폰 등)에 따른 아이콘들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디지털 재화가 존재하는 위치를 명확하게 알려준다. 아이콘을 터치하면 해당 지도 GUI 제공부(171)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The map GUI providing unit 171 displays icons according to the type of digital goods (coins, discount coupons, etc.) at the location where the digital goods are present on the map, as shown in FIG. 5, to clearly inform the user of the location of the digital goods. . When an icon is touched, the corresponding map GUI providing unit 171 provides information on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icon.

AR GUI 제공부(172)는 도 5의 지도 GUI의 AR 버튼(501)을 클릭하면 도 2와 같이 증강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입력부(130)의 터치패드를 통해 코인 등과 같은 디지털 재화를 터치하여 획득하도록 도 2 및 도 3과 같은 AR GUI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제공한다.The AR GUI providing unit 172 displays an augmented reality image on the display unit 120 as shown in FIG. 2 when the AR button 501 of the map GUI of FIG. 5 is clicked, such as coins through the touch pad of the input unit 130. The AR GUI as shown in FIGS. 2 and 3 i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to be acquired by touching the digital goods.

설정 GUI 제공부(173)는 도 5의 설정 버튼(502)을 클릭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와 관련된 이메일, 전화번호, 주소, 로그인 정보(ID 및 비밀번호) 등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설정 GUI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When the setting button 502 of FIG. 5 is clicked, the setting GUI providing unit 173 is a means for setting and changing the email, phone number, address, and login information (ID and password) related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etting GUI including th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지갑 GUI 제공부(174)는 디지털 재화 종류별 지갑을 제공하고, 디지털 재화 종류별 지갑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지털 재화 종류에 따른 지갑 GUI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코인 지갑이 선택되는 경우 지갑 GUI 제공부(174)는 도 6과 같은 코인 지갑 GUI를 제공한다.The wallet GUI providing unit 174 provides a wallet for each digital goods type, and when one of the wallets for each digital goods type is selected, the wallet GUI according to the selected digital goods typ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For example, when a coin wallet is selected, the wallet GUI providing unit 174 provides a coin wallet GUI as shown in FIG. 6.

위치 추적부(180)는 무선통신부(140)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추적 및 GPS 모듈(150)을 이용한 GPS 기반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지속해서 추적한다.The location tracking unit 180 continuously tra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by performing network-based location tracking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nd GPS-based location tracking using the GPS module 150.

디지털 재화 처리부(190)는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이벤트의 발생 시 위치 추적부(180)를 통해 추적되고 있는 현재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의 디지털 재화들을 활성화된 지도 GUI에 표시하거나, 카메라부(155)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촬영 영상에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재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결합한 증강현실 영상을 AR GUI를 통해 표시한다.The digital goods processing unit 190 generates a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urrent mobile terminal being tracked through the location tracking unit 180 when an advertisement event using the digital goods occurs. 140), the digital goods of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activated map GUI, or the digital to the captured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of the camera unit 155 The AR image combining th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goods included in the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AR GUI.

디지털 재화 획득 처리부(210)는 AR GUI를 통해 디지털 재화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고 디지털 재화가 터치되면 해당 디지털 재화를 획득하고, 획득된 디지털 재화에 대한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적립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적립 요청 정보에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전자지갑주소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The digital goods acquisition processing unit 210 acquires the corresponding digital goods whe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ncluding the digital good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nd touches the digital goods through the AR GUI, and the digital goods information about the acquired digital goods The transf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should include at least one of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wallet address.

상기 디지털 재화 획득 처리부(210)는 터치되는 디지털 재화가 추적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경우 획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디지털 재화 획득 처리부(210)는 자신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디지털 재화만 획득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digital goods acquisition processing unit 210 may be configured to not be acquired when the touched digital goods are outside a preset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being tracked. That is, the digital goods acquisition processing unit 210 may be preferably configured to acquire and process only digital good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its current location.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220)는 디지털 재화가 코인인 경우 코인을 전자지갑주소로 송금하거나, 할인 쿠폰인 경우 할인 쿠폰을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에 표시한다. 전자의 경우,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220)는 지갑 GUI를 통해 송금 후 남은 잔여 코인 금액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후자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할인 쿠폰이 사용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220)는 해당 할인 쿠폰을 사용 처리한다.The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220 transfers the coin to the electronic wallet address when the digital goods is a coin, or displays the discount coup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0 in the case of a discount coupon. In the former case, the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220 displays the remaining coin amount remaining after remittance through the wallet GUI on the display unit 120, and in the latter case, when the discount coupon is checked as being used by the user, the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220 In step 220, the corresponding discount coupon is used.

내비게이션 처리부(230)는 AR GUI의 제공 시 위치 추적부(180)에 의해 추적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디지털 재화,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재화 종류의 디지털 재화가 있는 위치로 안내하는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재화 처리부(190)로 제공하여 증강현실 영상을 통해 제공되도록 한다.When providing the AR GUI, the navigation processing unit 230 guides the user to the location of the digital goods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racked by the location tracking unit 180, or the digital goods of the type of digital goods selected by the user. The route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digital goods processing unit 190 to be provided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image.

또한, 내비게이션 처리부(23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각 디지털 재화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디지털 재화 처리부(190)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processing unit 230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each digital goods and provides them to the digital goods processing unit 19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의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of an advertisement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서버 저장부(310), 서버 통신부(320) 및 서버 제어부(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server storage unit 310,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and a server control unit 330.

서버 저장부(310)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에 대한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311), 고객별로 제공해야 할 디지털 재화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 서비스를 등록하는 디지털 재화 DB(312), 상기 회원 DB(311)에 등록된 회원인 사용자별 사용자 지갑이 구성되는 사용자 지갑 DB(313), 사용자별로 사용된 디지털 재화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디지털 재화 사용자별 사용 이력 DB(314), 고객별로 제공되어 회수된, 즉 사용된 디지털 재화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디지털 재화 고객별 사용 이력 DB(315) 및 사용자가 획득한 디지털 재화에 대한 선호도 및 디지털 재화를 사용한 횟수 등에 따른 선호 등에 대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사용자 경험 DB(316) 등을 포함한다.The server storage unit 310 is a member DB 311 for storing member information for a user who has joined as a member, and a digital goods DB 312 for registering at least one digital goods service including digital goods to be provided for each customer. , User wallet DB 313 in which a user wallet for each user who is a member registered in the member DB 311 is configured, digital goods usage history DB 314 for storing digital goods usage history information used for each user, customer For each digital goods customer usage history DB 315 that stores and records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digital goods that have been provided and recovered, and the preferences for the preferences for the digital goods acquired by the user and the number of times the digital goods are used, etc. And user experience DB 316 that configures big data by storing user experience data.

상기 디지털 재화 DB(312)는 고객정보, 고객정보의 고객이 제공하는 디지털 재화 종류, 디지털 재화를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의 서비스 영역에 디지털 재화를 제공하는 디지털 재화 개수 및 제공 시간 등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The digital goods DB 312 includes customer information, the type of digital goods provided by the customer of the customer information, service area information providing digital goods, and the number and time of digital goods providing digital goods to the service area of the service area information. This could be saved.

상기 사용자 지갑 DB(313)의 사용자 지갑은 디지털 재화 종류별로 다수의 사용자 지갑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임의의 사용자의 사용자 지갑은 코인 지갑, 할인 쿠폰 지갑, 상품권 지갑 등과 같이 종류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디지털 재화 종류별 지갑 또한 디지털 재화의 부 종류에 따라 다수개의 부 지갑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코인 지갑은 이더륨 코인 지갑, 비트코인 코인 지갑 등과 같이 다수의 부 지갑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e user wallet of the user wallet DB 313 may be configured with multiple user wallets for each digital goods type. For example, the user wallet of any user may be configured by type such as a coin wallet, a discount coupon wallet, a gift certificate wallet, etc., and each digital goods type wallet may also have a plurality of sub-wallet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gital goods. will be. For example, a coin wallet may have multiple sub-wallets, such as an Ethereum coin wallet and a Bitcoin coin wallet.

상기 서버 저장부(310)는 해당 광고영상에 대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광고영상을 저장하는 광고영상 DB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e server storage unit 310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image DB storing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images including keywords for the advertisement image.

서버 통신부(32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연결된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by wire,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서버 제어부(330)는 등록부(340), 사용자 설정 처리부(350), 서비스 처리부(360), 블록체인 등록부(370), 사용자 지갑 적립부(380),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390), 사용자 경험 데이터 생성부(410) 및 광고 제공부(42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server control unit 330 includes a registration unit 340, a user setting processing unit 350, a service processing unit 360, a blockchain registration unit 370, a user wallet accumulation unit 380, a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390, and user experience data I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generating unit 410 an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42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등록부(34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최초 구동 시 설정 GUI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회원 정보를 수신받아 회원 DB(311)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회원 등록부(341) 및 디지털 재화를 제공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정보 및 제공하고자 하는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 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털 재화 DB(312)에 저장하여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부(34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gistration unit 340 receives the memb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through the setting GUI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first driven and stores it in the member DB 311 and registers the member registration unit 341 and digital goods. And a service registration unit 342 for receiving digital customer service information including customer information of a customer to be provided and digital goods information to be provided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the digital goods DB 312 and registering the service.

사용자 설정 처리부(350)는 상기 회원 등록 후 설정 G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회원 DB(311)에 저장하거나 회원 DB(311)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다.The user setting processing unit 350 stores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tting GUI after registering the member in the member DB 311 or updates the data stored in the member DB 311.

서비스 처리부(360)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부(361), 디지털 재화 검색부(362),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생성부(363) 및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제공부(364)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에 할당된 디지털 재화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320)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The service processing unit 360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361, a digital goods search unit 362, a digital goods provis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63, and a digital goods provision information provider 364. Monitoring whether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igital goods assigned to a service area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부(3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61 monitors whether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100 and receives and outputs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디지털 재화 검색부(362)는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부(361)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를 상기 디지털 재화 DB(312)에서 검색하여 출력한다.The digital goods search unit 362 is a digital goods service having a service area including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61 Search and output from the digital goods DB (312).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생성부(363)는 상기 디지털 재화 검색부(362)에서 검색된 디지털 재화 서비스의 디지털 재화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디지털 재화뿐만 아니라 디지털 재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63 generates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of the digital goods service retrieved from the digital goods searching unit 362. Preferably,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digital goods as well as digital goods for the digital goods.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제공부(364)는 생성된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320)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64 transmits the generated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사용자 지갑 적립부(38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제공된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통해 제공된 디지털 재화 중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재화에 대한 적립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The user wallet accumulation unit 380 receives the request for accumulation of at least one digital good from among the digital goods provided through the provided digital goo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stores and manages the request for each user.

상기 사용자 지갑 적립부(380)는 공개키에 의해 생성된 전자지갑주소를 가지는 사용자별 전자지갑에 상기 획득된 디지털 재화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재화를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user wallet accumulation unit 380 may be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the acquired digital goods or digital goods received from other users in a user-specific electronic wallet having an electronic wallet address generated by a public key.

상기 사용자 지갑 적립부(380)가 사용자별 전자지갑주소를 가지는 전자지갑들을 관리하는 경우, 서버 제어부(330)는 블록체인 등록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user wallet accumulation unit 380 manages electronic wallets having electronic wallet addresses for each user, the server controller 330 may further include a blockchain registration unit 370.

블록체인 등록부(370)는 상기 디지털 재화가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디지털 재화의 적립 시 상기 사용자의 거래에 따른 거래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노드들에 상기 공개키를 적용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블록에 대한 작업증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Blockchain registration unit 370 is a block in which the digital goods are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 by creating a block containing trans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transaction when the digital goods are accumulated in the user's electronic wallet It may be configured to register by applying the public key to the nodes of the chain network 20, and perform proof of operation for the registered block.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39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지갑인 상기 전자지갑에 저장된 디지털 재화에 대해 디지털 재화 사용처로의 디지털 재화 지불 요청 발생 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사용자 지갑에서 상기 디지털 재화 사용처의 사용자 지갑으로 상기 디지털 재화를 제공한 것으로 처리한다.The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390 is a user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a digital goods payment request is made to the digital goods use destination for the digital goods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that is the user walle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It is treated as providing the digital goods from the wallet to the user wallet of the digital goods use destination.

이때 또한 블록체인 등록부(370)는 상기 사용자와 디지털 재화 사용처 간의 거래에 따른 거래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노드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blockchain registration unit 370 may also be configured to generate a block including trans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ns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igital goods use destination, and register it to a node of the blockchain network 20.

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고객 또는 임의 사람이 관리 서버(300)를 통하지 않고도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통해 임의의 디지털 재화가 누구에게 있는지 사용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By applying the blockchain technology in this way, it will be possible to check information such as who the arbitrary digital goods are used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20 without the customer or any person going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300.

사용자 경험 데이터 생성부(41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립 요청 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재화 종류 정보에 의한 사용자가 많이 획득하는 디지털 재화 종류,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390)를 통해 획득되는 디지털 재화 종류 정보에 의한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디지털 재화 종류, 회원 DB(311)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등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지털 재화를 판단하고, 판단된 선호 디지털 재화에 의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 서비스 등과 같은 관심 사항 등을 판단하고, 상기 획득 디지털 재화 종류, 사용 디지털 재화 종류, 상기 판단된 상품, 서비스 등에 대한 관심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경험 DB(316)에 저장한다.The user experience data generation unit 410 is obtained through the digital goods type and the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390 that the user frequently acquires by the digital goods typ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digital goods type information being used, the user determines the digital goods preferred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s of digital good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nd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DB 311, and the product preferred by the user by the determined preferred digital goods Determines interests, such as services, and generates user experience data including the acquired digital goods type, the types of digital goods used, and the interest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goods and services, and stores them in the user experience DB 316 do.

광고 제공부(420)는 서버 저장부(310)의 광고영상 DB에 저장된 광고영상들 중 사용자 경험 DB(316)에 저장된 사용자별 경험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가지는 광고영상을 선택하여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로 제공한다.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420 selects an advertisement image having keywords corresponding to user experience data and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experience DB 316 from among advertisement images stored in the advertisement image DB of the server storage unit 310 and corresponds to the advertisement image Provided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method using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사용자 회원 등록 및 고객들로부터 디지털 재화 서비스를 등록받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 등록을 수행한다(S100).Referring to FIG. 8, first, the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user member registration for registering a user as a member and digital goods service registration in which a digital goods service is registered from customers (S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원 등록 및 디지털 재화 서비스 등록이 수행되면 관리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설정 GUI를 통해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신받아 디지털 재화 서비스 이용 설정을 수행한다(S200).When at least one member registration and digital goods service registration are performed, th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user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setting GUI and performs digital goods service setting (S200).

디지털 재화 서비스 이용 설정이 완료되면 관리 서버(300)는 접속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로 디지털 재화 서비스를 제공한다(S300). 디지털 재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세 방법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When the setting of the use of the digital goods service is completed, the management server 300 provides the digital goods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accessing user (S300). A detailed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goods ser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상기 디지털 재화 서비스에 의한 디지털 재화가 사용자에게 제공된 후,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디지털 재화 사용처에서 디지털 재화를 사용하면 관리 서버(300)는 디지털 재화의 사용에 대한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를 수행한다(S400). 상기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는 해당 디지털 재화의 종류에 따라 해당 디지털 재화를 디지털 재화 사용처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갑으로 디지털 재화를 송금 처리하는 것일 수도 있고, 해당 디지털 재화를 사용 처리하는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After the digital goods provided by the digital goods service are provided to the user, when the user uses the digital goods at the digital goods use pla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for the use of the digital goods (S400). The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may be processing of remitting the digital goods to the user wallet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goods use destination, or processing the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gital good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 중 디지털 재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goods service providing method among advertisement methods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의 서버 제어부(330)는 디지털 재화 제공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S311).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이벤트는 통합적으로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 주기로 발생될 수도 있고, 디지털 재화 DB(312)에 고객별로 설정된 디지털 재화 서비스 정보의 제공 시간에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9, the server control unit 330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checks whether a digital goods provision event occurs (S311). The digital goods providing event may be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ntegrated in advance, or may be generated at the time of providing digital goods service information set for each customer in the digital goods DB 312.

디지털 재화 제공 이벤트가 발생되면 서버 제어부(330)는 디지털 재화 제공 이벤트에 대응하는 등록된 고객의 디지털 재화 서비스 정보를 로드하고(S313), 등록된 고객의 디지털 재화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의 제공을 개시한다(S315).When a digital goods provision event occurs, the server control unit 330 loads digital goods servic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goods provision event (S313), and provides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goods servic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customer It starts (S315).

상기 디지털 재화의 제공 개시 후 서버 제어부(330)는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317),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가 디지털 재화 DB(312)에 있는지를 검사한다(S319)After providing the digital goods, the server controller 330 monitors whether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y mobile terminal 100 (S317), and when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includes the received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digital goods service having the service area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 the digital goods DB 312 (S319).

상기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가 없으면 서버 제어부(330)는 널(NULL)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디지털 재화를 포함하지 않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 제공하고(S321), 해당 디지털 재화 서비스가 있으면 해당 디지털 재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 제공한다(S323).If there is no digital goods service having a service area including the location, the server controller 330 provides null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formation not including digital goods) to the mobile terminal 100 (S321). If there is a corresponding digital goods service, digital goods provis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goods service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S323).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의 제공 후 서버 제어부(330)는 적립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325). After providing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the server control unit 330 checks whether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S325).

적립 요청 정보가 수집되면 서버 제어부(330)는 상기 적립 요청 정보를 전송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사용자 지갑에 상기 적립 요청 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재화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를 적립한다(S327). 상기 디지털 재화의 적립은 디지털 재화의 종류에 따라 디지털 재화를 상기 사용자 지갑으로 송금하여 적립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디지털 재화를 사용자 지갑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is collected, the server control unit 330 accumulates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good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in the user wallet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has transmitted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S327) ). The accumulation of the digital goods may mean that the digital goods are transferred to the user wallet and accumul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gital goods, or may also mean storing the digital goods in the user wallet.

디지털 재화가 적립되면 서버 제어부(330)는 사용자 지갑에 대응하여 할당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재화에 대한 고객과 사용자의 거래에 대한 거래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S327).When the digital goods are accumulated, the server control unit 330 uses the authentication key allocated in response to the user wallet to block the block containing the transaction information for the customer and the user for the digital goods in the node of the blockchain network 20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tributed to store (S327).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ical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can be carried out by improving, changing, replacing or adding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a will easily understand. If the implementation by such improvement, modification, replacement, or addi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디지털 재화 10: 유무선 데이터통신망
20: 블록체인 네트워크 100: 모바일 단말기
110: 저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입력부 140: 무선 통신부
150: GPS 모듈 155: 카메라부
160: 제어부 170: GUI 제공부
171: 지도 GUI 제공부 172: AR GUI 제공부
173: 설정 GUI 제공부 174: 지갑 GUI 제공부
180: 위치 추적부 190: 디지털 재화 처리부
210: 디지털 재화 획득 처리부 220: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
230: 내비게이션 처리부 300: 관리 서버
310: 서버 저장부 311: 회원 DB
312: 디지털 재화 DB 313: 사용자 지갑 DB
314: 디지털 재화 사용자별 사용 이력 DB
315: 디지털 재화 고객별 사용 이력 DB
316: 사용자 경험 DB 320: 서버 통신부
330: 서버 제어부 340: 등록부
341: 회원 등록부 342: 서비스 등록부
350: 사용자 설정 처리부 360: 서비스 처리부
361: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부
362: 디지털 재화 검색부
363: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생성부
364: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제공부
370: 블록체인 등록부 380: 사용자 지갑 적립부
390: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 410: 사용자 경험 데이터 생성부
420: 광고 제공부
2: Digital goods 10: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20: blockchain network 100: mobile terminal
110: storage unit 120: display unit
130: input unit 14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GPS module 155: camera unit
160: control unit 170: GUI providing unit
171: Map GUI providing unit 172: AR GUI providing unit
173: setting GUI providing unit 174: wallet GUI providing unit
180: location tracking unit 190: digital goods processing unit
210: digital goods acquisition processing unit 220: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230: navigation processing unit 300: management server
310: server storage unit 311: member DB
312: Digital goods DB 313: User wallet DB
314: usage history DB for each digital goods user
315: Usage history DB for each digital goods customer
316: user experience DB 320: server communication
330: server control unit 340: registration unit
341: Member Register 342: Service Register
350: user setting processing unit 360: service processing unit
361: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62: digital goods search department
363: digital goods provis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64: Digital goods provision information provider
370: Blockchain registration unit 380: User wallet accumulation unit
390: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410: user experience data generation unit
420: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Claims (20)

현재의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를 수신받아 카메라를 구동하여 획득되는 촬영 영상에 합성한 증강현실(AR)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서 터치되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적립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회원인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공되는 디지털 재화들 중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립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디지털 재화의 제공 시 각 디지털 재화가 표시되어야 할 지리적 위치에 대한 디지털 재화 위치정보를 더 전송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 표시된 디지털 재화들 중 자신의 위치와 터치되는 임의의 디지털 재화의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해당 디지털 재화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지털 재화에 대한 상기 디지털 재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Measures the current location of itself and transmits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location, receives at least one or more different types of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camera. A mobile terminal that generates and displays an augmented reality (AR) image synthesized on a captured image obtained by driving, and transmits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information on digital goods touched o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nd
When receiving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from a user's mobile terminal as a member,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mong digital good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time ar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ccumul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and stores request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includes management,
The management server,
When providing the digital goods, the digital goods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geographical location where each digital goods should be displayed is further transmitted.
The mobile terminal,
Among the digital goods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the digital goods are collected and the digital goods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digital goods is collected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any digital goods touched is within a preset distance. Advertis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on loc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부;
카메라를 포함하여 카메라 렌즈에 투영되는 화상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GPS 모듈;
상기 증강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위치데이터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기지국의 위치 및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현재의 위치를 계산하고, 측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를 수신받아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획득되는 촬영 영상에 합성한 증강현실(AR)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서 터치되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적립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camera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projected on a camera lens including a camera;
A GPS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each location data from at least one GPS satellite;
A display unit to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n input unit including a touch pad configured integrally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ed position; And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of the location data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obtain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ceived signal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nd for the measured location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t least one or more different types of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to drive the camera.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AR) image synthesized on the captured image, and transmitting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information about digital goods touched o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dvertising system using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및 고객의 요청에 대한 고객정보와, 디지털 재화 종류, 디지털 재화 개수, 디지털 재화 제공 시간 및 제공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디지털 재화 DB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및
회원인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디지털 재화 DB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공되는 디지털 재화들 중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립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 member DB that stores member information for users and customer information for customer requests, and digital goods service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types, digital goods number, digital goods delivery time and area information A server storage unit including a digital goods DB to stor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receiving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as a member, among the digital goods provided according to the time set in the digital goods DB,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control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stores and manages each user, and uses th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에 할당된 디지털 재화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처리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공된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통해 제공된 디지털 재화 중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재화에 대한 적립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사용자 지갑 적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server control unit,
Digital that monitors whether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and digital goods including digital goods allocated to a service area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d in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 service processing unit transmitting the goods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Location-based augmen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 wallet accumulation unit for receiving and requesting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digital goods among digital goods provided through the provided digital goods provis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dvertising system using real digital good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부;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를 상기 디지털 재화 DB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재화 검색부;
상기 디지털 재화 검색부에서 검색된 디지털 재화 서비스의 디지털 재화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service processing unit,
A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monitors whether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 digital goods search unit for searching and outputting a digital goods service having a service area including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rom the digital goods DB;
A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of the digital goods service retrieved from the digital goods searching unit; And
And a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which transmits the generated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갑 적립부는,
공개키에 의해 생성된 전자지갑주소를 가지는 사용자별 전자지갑에 상기 획득된 디지털 재화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재화를 저장하여 관리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재화가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디지털 재화의 적립 시 상기 사용자의 거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에 상기 공개키를 적용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블록에 대한 작업증명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user wallet earning unit,
In the electronic wallet for each user having the electronic wallet address generated by the public key, the obtained digital goods or digital goods received from other users are stored and managed,
The server control unit,
When the digital goods accumulate digital goods in the user's electronic wallet, a block according to the user's transaction is generated and registered by applying the public key to nodes of a blockchain network tha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dvertisement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further comprising a block chain register that performs proof of work for the registered bloc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지갑인 상기 전자지갑에 저장된 디지털 재화에 대해 디지털 재화 사용처로의 디지털 재화 지불 요청 발생 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상기 디지털 재화 사용처의 전자지갑으로 상기 디지털 재화를 제공한 것으로 처리하는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블록체인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와 디지털 재화 사용처 간의 거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server control unit,
When a digital goods payment request is made to a digital goods use place for a digital goods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which is the user walle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digital goods are transferred from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digital goods use place. Further comprising a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to process as provided,
The blockchain registration unit,
Advertisement system using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characterized by creating a block according to a trans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igital goods use destination and registering it with a node of the blockchain networ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립 요청 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재화 종류 정보 및 회원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지털 재화에 의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server control unit,
A user including one or more of products and services preferred by the user by digital goods preferred by the user based on digital goods typ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stored in a member DB Advertis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ser experience dat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experience dat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만을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service processing unit,
An advertisement system using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characterized by providing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only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user experience data and user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저장부는,
광고영상에 대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광고영상을 저장하는 광고영상 D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가지는 광고영상을 상기 광고 영상 DB에서 찾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server storage unit,
Further comprising an advertising video DB for storing a number of advertising video containing keywords for the advertising video,
The server control unit,
An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further comprising an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that finds an advertisement image hav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experience data and user information in the advertisement image DB and provides it to the mobile terminal.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재화의 위치정보는 해당 디지털 재화를 제공한 고객이 설정한 고객 관련 영역 내의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goods is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adverti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ustomer-related areas set by the customer who provided the digital go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에서 디지털 재화가 존재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system using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nd displays route information that leads to a location where digital goods exist from its location.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의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과정;
관리 서버가 회원인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공되는 디지털 재화들 중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재화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과정;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를 수신받아 카메라를 구동하여 획득되는 촬영 영상에 합성한 증강현실(AR)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서 터치되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디지털 재화 정보를 포함하는 적립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적립 요청 과정;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립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디지털 재화 적립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과정에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재화의 제공 시 각 디지털 재화가 표시되어야 할 지리적 위치에 대한 디지털 재화 위치정보를 더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재화 적립 요청 과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재화를 수신받아 카메라를 구동하여 획득되는 촬영 영상에 합성한 증강현실(AR)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재화 표시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 표시된 디지털 재화들 중 자신의 위치와 터치되는 임의의 디지털 재화의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해당 디지털 재화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지털 재화에 대한 상기 디지털 재화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재화 적립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
A digital goods request process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measures its current position and transmits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posi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Digital goods that provide digit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digital good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time 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of a user who is a member. Offer process;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t least one or more digital goods of at least one different typ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s and displays an augmented reality (AR) image synthesized on a captured image obtained by driving a camera, and displays the A digital goods accumulation request process for transmitting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information for digital goods touched i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And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earning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digital goods accumulation process for storing and managing each us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digital goods,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transmits digital goods location information for a geographic location where each digital goods should be displayed when the digital goods are provided,
The digital goods accumulation request process,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t least one or more digital goods of at least one different typ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and displays an augmented reality (AR) image synthesized on a captured image obtained by driving a camera to display the digital goods Display step; And
The mobile terminal collects the digital goods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its location and the position of any digital goods touched among the digital goods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the digital for the collected digital goods And a digital goods accumulation request step of generating the goods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과정은,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위치데이터와,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기지국의 위치 및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현재의 위치를 계산하여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단계; 및
추적되는 상기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gital goods request process,
Position tracking that tracks one's location by calculating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of the location data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acquir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ceived signal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step; And
And generating a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racked location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과정은,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디지털 재화 검색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재화 요청 정보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디지털 재화 서비스를 상기 디지털 재화 DB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재화 검색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재화 검색부에서 검색된 디지털 재화 서비스의 디지털 재화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제공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디지털 재화 제공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gital goods providing process,
A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collecting step of monitoring whether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by the server control unit of th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A digital goods retrieval step of searching and outputting, from the digital goods DB, a digital goods service having a service area including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the digital goods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rver controller through a digital goods search unit;
A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by the server control unit,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goods of the digital goods service retrieved from the digital goods searching unit through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And a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transmitting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digita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to the mobile terminal, by the server control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재화 적립 과정은,
공개키에 의해 생성된 전자지갑주소를 가지는 사용자별 전자지갑에 상기 획득된 디지털 재화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재화를 저장하여 관리하되,
상기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블록체인 등록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재화가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디지털 재화의 적립 시 상기 사용자의 거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여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에 상기 공개키를 적용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블록에 대한 작업증명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등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gital goods accumulation process,
In the electronic wallet for each user having the electronic wallet address generated by the public key, the obtained digital goods or digital goods received from other users are stored and managed,
The server control unit of the management server generates a block according to the transaction of the user when the digital goods are accumulated in the user's electronic wallet through the blockchain registration unit and is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dvertisement method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 chain registration process for registering by applying the public key to the field, and performing proof of work for the registered block.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가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지갑인 상기 전자지갑에 저장된 디지털 재화에 대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재화 사용처로의 디지털 재화 지불 요청 발생 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상기 디지털 재화 사용처의 전자지갑으로 상기 디지털 재화를 제공한 것으로 처리하는 디지털 재화 사용 처리 과정; 및
상기 사용자와 디지털 재화 사용처 간의 거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에 등록하는 사용처 블록체인 등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server controller requests a digital goods payment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digital goods use destination for the digital goods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which is the user wallet, through the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unit, the digital goods in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 digital goods use processing process of processing the digital goods as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place of use; And
A method of advertising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 further compris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block of use where a block according to a transaction between the user and a digital good is created and registered in a node of the blockchain network.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립 요청 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재화 종류 정보 및 회원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지털 재화에 의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 생성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Among the products and services preferred by the user by the digital goods preferred by the user based on the digital goods typ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umul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DB by the server control unit of the management server Advertising method using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ser experience data generation process for generating user experience data including any one or mor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가 광고 제공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가지는 광고영상을 광고 영상 DB에서 찾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server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n advertisement providing process of searching for an advertisement image hav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experience data and user information through an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in an advertisement image DB and providing it to the mobile terminal. Advertis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KR1020190071298A 2019-06-17 2019-06-17 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092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98A KR102092503B1 (en) 2019-06-17 2019-06-17 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PCT/KR2020/007709 WO2020256368A1 (en) 2019-06-17 2020-06-15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based digital goods i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98A KR102092503B1 (en) 2019-06-17 2019-06-17 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503B1 true KR102092503B1 (en) 2020-03-23

Family

ID=6999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298A KR102092503B1 (en) 2019-06-17 2019-06-17 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2503B1 (en)
WO (1) WO2020256368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68A1 (en) * 2019-06-17 2020-12-24 오현실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based digital goods in augmented reality
CN112330255A (en) * 2020-11-20 2021-02-05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Warehouse management system
KR102541376B1 (en) * 2022-01-24 2023-06-13 주식회사 시온네트웍 Method of accessing to open source-based metaverse platform using token information with object-derived mark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915A (en) * 2010-08-31 2012-03-08 안정근 Method for offering coupon with location linkag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85630A (en) * 2011-01-24 2012-08-01 주식회사 엔드포인트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60111193A (en) *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에이피랩 System And Method To Service Digital Marketing Using Mobile Reward Application Based On User Participation
KR101759726B1 (en) 2016-08-19 2017-07-20 박주환 Method for event marketing using AR based location information
KR101942684B1 (en) * 2018-05-08 2019-01-25 김민수 System of Providing Virtual Money Storage Service Based on Multiple Cert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3731B2 (en) * 2014-06-05 2020-06-24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AR use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nd AR use customer value-add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2092503B1 (en) * 2019-06-17 2020-03-23 노용호 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915A (en) * 2010-08-31 2012-03-08 안정근 Method for offering coupon with location linkag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85630A (en) * 2011-01-24 2012-08-01 주식회사 엔드포인트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60111193A (en) *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에이피랩 System And Method To Service Digital Marketing Using Mobile Reward Application Based On User Participation
KR101759726B1 (en) 2016-08-19 2017-07-20 박주환 Method for event marketing using AR based location information
KR101942684B1 (en) * 2018-05-08 2019-01-25 김민수 System of Providing Virtual Money Storage Service Based on Multiple Certific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68A1 (en) * 2019-06-17 2020-12-24 오현실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based digital goods in augmented reality
CN112330255A (en) * 2020-11-20 2021-02-05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Warehouse management system
CN112330255B (en) * 2020-11-20 2023-09-15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warehouse management system
KR102541376B1 (en) * 2022-01-24 2023-06-13 주식회사 시온네트웍 Method of accessing to open source-based metaverse platform using token information with object-derived mar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6368A1 (en)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08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offers
US20210272179A1 (en) User specific data distribution of crowd-sourced data
KR102092503B1 (en) Advertis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goods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US201600987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centives and purchase opportunities to reward program members
US20110213652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s
US201100293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ce detection
US20220351219A1 (en) Store use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store us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equipped with same, and store use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JP5875167B1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6505615B2 (e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2009069985A (en) Coupon distribution system, coupon distribution method, coupon managemen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20140058825A1 (en) Augmented-reality-based offer management system
KR20140127244A (en) Geocoding points of interest and service route delivery and audit field performance and sales method and apparatus
WO2017002952A1 (e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101469898B1 (en) Online combination shopping service system and online combination shopping service method
CN110645984B (en) Route updating method for mall,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3223530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evaluation information
KR20180087946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hop event using augmented reality
JP2014197355A (en) Lost property tracking device, lost property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6195773A (en)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n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KR20190134453A (en) Group point sav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KR20000063159A (en) A method and system for engaging in arbitrage for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 using internet
JP3674596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2128397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stamp service
KR102082509B1 (en) Mobile ordering system available for rewarding employees
KR100801500B1 (en) Payment integrated settlement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