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08B1 -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08B1
KR102091608B1 KR1020157016677A KR20157016677A KR102091608B1 KR 102091608 B1 KR102091608 B1 KR 102091608B1 KR 1020157016677 A KR1020157016677 A KR 1020157016677A KR 20157016677 A KR20157016677 A KR 20157016677A KR 102091608 B1 KR102091608 B1 KR 10209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formation
mode
service signal
digit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107A (ko
Inventor
오세진
김덕현
고재승
최종성
문경수
김진필
권영무
임성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9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위한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 (signaling information)를 수신하는 수신부 (receiving module), 상기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사용하여 리퀘스트 (request)를 생성하는 생성부 (generating module), 상기 생성한 리퀘스트 (request)를 전송하는 전송부 (sending module), 상기 수신한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downloading)하는 다운로딩부 (downloading module),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API를 실행하는 실행부 (executing module) 및 모드 넘버 (mode number)에 따라 특정 키 세트 (specific key set)를 등록하는 등록부 (registering module)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ERVICE SIGNAL}
본 발명은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방송망과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지상파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이브리드 디지털 (Hybrid Digital) TV 시스템에서 현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디지털 TV 시스템은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기반하여 IP 망을 통하여 인핸스먼트 데이터(Enhancement data)를 송/수신함으로써, 시청자에게 향상된 TV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TV 시스템이다.
하이브리드 디지털 TV 시스템의 송신기는 방송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데이터의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수신기는 방송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데이터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디지털 TV 시스템의 수신기는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IP 망을 통해 방송 데이터와 연관된 인핸스먼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수신기가 방송 데이터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획득에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디지털 TV 시스템은 방송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획득에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만약, 방송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획득에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가 송/수신 되지 않는 경우,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수신기는 DNS 서버로부터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획득에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DNS는 인터넷망 통신규약인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사람이 기억하기 쉽게 문자로 만들어진 도메인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숫자로 된 인터넷 주소로 바꾸는 시스템과 그 서버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도메인 네임은 인터넷 주소이나, 인터넷 상에서 어떤 컴퓨터를 실제로 찾기 위해서는 숫자 체계로 된 인터넷 주소가 필요하다.
각 사이트가 운영하는 모든 호스트 서버는 고유한 IP(Internet protocol)를 갖고 있으므로, 도메인 네임은 DNS 서버를 통해 호스트 서버가 인식할 수 있는 IP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DNS 서버는 각 사이트의 도메인 정보와 IP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사이트 접속을 원하는 신호가 오면 이를 번역해 해당 IP를 가진 사이트의 호스트 서버에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이브리드 디지털 TV 시스템에서도, DNS 서버는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별로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를 하며,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수신기의 리퀘스트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수신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에서 인풋 디바이스로부터 받은 입력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은,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 (signaling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service signaling table)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사용하여 리퀘스트 (reques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리퀘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한 리퀘스트 (request)에 따라 상기 디지털 서비스 신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downloading)하는 단계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를 설정하기 위한 API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모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status)를 지시하는 모드 넘버 (mode number)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컨트롤하기 위한 특정 키 세트 (specific key set)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키 세트 (specific key set)는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에 대응하고, 상기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API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에 따라 상기 특정 키 세트(specific key set)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 (signaling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service signaling table)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사용하여 리퀘스트 (reques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리퀘스트 (request)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한 리퀘스트 (request)에 따라 상기 디지털 서비스 신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downloading)하는 단계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브 영역 (active area)의 액티브 영역 정보 (active area information)를 설정하기 위한 API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액티브 영역 정보 (active area information)는 상기 액티브 영역 (active area)의 좌표 정보 (coordinate information), 상기 액티브 영역 (active area)의 넓이 정보 (width information) 및 상기 액티브 영역 (active area)의 높이 정보 (height information)를 포함하고, 상기 API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된 API에 따라 상기 액티브 영역 (active area)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 등에 따라 해당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에서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등 인풋 디바이스(Input device)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따라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등 인풋 디바이스(Input device)를 통한 입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입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S 서버 내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베이스의 인스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IP 테이블들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I를 호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I를 호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mode)와 관련된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입력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은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와 인핸스먼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은 브로드 캐스터 (1000), 콘텐츠 서버(1100) 및 DTV 수신기(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1100)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버라고 호칭할 수도 있다. 이하 각 블록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을 설명한다.
브로드 캐스터(1000)는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방송국을 의미하며, 방송망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A/V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DTV 수신기(1200)로 송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정보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A/V 데이터와 관련된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은 VCT(Virtual Channel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라고 호칭하며,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DTV 수신기(1200)는 방송망을 통해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콘텐츠 서버(1100)로 애플리케이션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1100)은 인터넷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현재 방송 서비스의 인핸스먼트 데이터를 DTV 수신기(1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은 도 1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과 동일하나,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가 방송망을 통해 송/수신 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과 동일하나 DNS 서버(2000)가 포함된 점이 다르다. 이하 각 블록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을 설명한다.
브로드 캐스터(2000)는 방송망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A/V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DTV 수신기(2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그널링 정보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A/V 데이터와 관련된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DTV 수신기(2100)는 방송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이 경우, DTV 수신기(2100)는 방송망을 통해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 예를 들면 채널 정보 등을 이용하여 리퀘스트 (request) 문 또는 리퀘스트 신호를 생성하고 DNS 서버(2200)에게 리퀘스트 신호를 전송하여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URL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NS 서버(2200)는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별로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DNS 서버(2200)는 DTV 수신기(2100)의 리퀘스트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DTV 수신기(2100)로 송신할 수 있다. DNS 서버(22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이후 DTV 수신기(2100)는 DNS 서버(220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콘텐츠 서버(2300)로 애플리케이션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2300)은 인터넷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현재 방송 서비스의 인핸스먼트 데이터를 DTV 수신기(2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경우, 방송망을 통해,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할 수 있으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제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하나의 채널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 중인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한 경우를 살펴보자.
특정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대부분 웹브라우저 상에서 동작하는 HTML 등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면 웹 브라우저도 함께 종료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채널 내에서 방송 프로그램이 변경된 경우, DTV 수신기가 변경된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변경된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에서 방송 프로그램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해 DTV 수신기가 DNS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와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들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DTV 수신기가 DNS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S 서버 내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베이스의 인스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DNS 서버와 DTV 수신기는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 정보를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프 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S 서버는 현재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관리하고,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관련 정보를 DTV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DNS 서버로부터 채널 또는 방송 프로그램 변경 정보를 획득하고, 관련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여 변경된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획득,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기술적 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DNS 서버 내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S 서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채널별로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등을 기준으로 유지 및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DNS 서버 내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베이스는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start time), 종료 시간 정보(end time), 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 정보 및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URL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의 내용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주기적으로 방송 채널 정보, 현재 시간 정보 등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S 서버는 DTV 수신기의 요청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애플리케이션 URL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도 3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DTV 수신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S 서버는 방송 프로그램이 변경되는 시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는 시점에 따라 변경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DTV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변경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변경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DNS 서버로부터 획득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거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가 DNS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000).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S 서버는 방송 채널별로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시간 등을 기준으로 유지 및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TV 수신기는 주기적으로 방송 채널 정보, 현재 시간 정보 등을 기반으로 DNS 서버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고, DNS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된 또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되거나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하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고 실행할 수도 있으며, 이미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판단 결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하지 않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에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0). 즉,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에 유효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고 실행할 수도 있으며, 이미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에 유효한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00).
판단 결과,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할 수 있다(S4400).
판단 결과,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없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45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한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45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application indicator)를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풋 시그널(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6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는 사용자에게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준비가 되었으며 리모콘의 레드-버튼(Red-Button)을 통해 진입이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형태, 디스플레이 위치, 면적 등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은 사용자가 리모콘의 레드-버튼(red-button)을 이용하여 DTV 수신기에 입력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S4700).
판단 결과,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4800).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곧바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유저 인풋 시그널이 입력된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가능하다.
이후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S49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DTV 수신기(5000), DNS 서버(510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5200)의 동작을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각 구성 블록을 중심으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 수신기(5000)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는 VCT, EIT와 같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DTV 수신기(5000)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DTV 수신기(5000)는 채널 정보 및 현재 방송 프로그램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HTTP 리퀘스트 문을 생성할 수 있다. HTTP 리퀘스트 문은 http://www.ohtv.org?ch= 9-1&time=2012-11-10-13:10&...과 같이 페어런트 도메인 네임 (parent domain name)과 특정 미디어 (specific media), 메이저 채널 번호 (major channel number), 마이너 채널 번호 (minor channel number)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후, DTV 수신기(5000)는 HTTP 리퀘스트 문을 전달하기 위한 리퀘스트 신호를 DNS 서버(5100)로 전송할 수 있다. DNS 서버(5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DTV 수신기(5000)으로부터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URL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DTV 수신기(5000)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URL 정보 등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5200)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애플리케이션 서버(5200)는 DTV 수신기(5000)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할 수 있다. DTV 수신기(5000)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DNS 서버(510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관리 유지 할 수 있다. 또한 DNS 서버(5100)는 방송 프로그램이 변경되는 시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는 시점에 따라 변경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DTV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변경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변경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 또는 변경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URL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DTV 수신기(5000)는 DNS 서버(5100)으로부터 수신한 변경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 수신기(5000)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 종료와 함께 종료되면, 다시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등을 획득하고, 회득한 채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리퀘스트문을 생성하고 DNS 서버(5100)으로 전송하여,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5200)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수신한 뒤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 수신기(5000)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또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에 따라 동일한 동작들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주기적으로 DNS 서버에게 현재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각 주기마다 반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DTV 수신기의 동작은 도 4에서 설명한 DTV 수신기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TV 수신기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S6000).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는 VCT와 같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DNS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100). 상술한 바와 같이, DTV 수신기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리퀘스트 문을 생성하고, 리퀘스트 신호를 DN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DNS 서버는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에 따라 DTV 수신기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된 또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되거나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하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고, 실행 할 수도 있으며, 이미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판단 결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하지 않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에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00). 즉,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에 유효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고 실행할 수도 있으며, 이미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판단 결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에 유효한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400).
판단 결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할 수 있다(S6500).
판단 결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없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66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한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66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700).
판단 결과,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S6800).
판단 결과,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6900).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곧바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된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가능하다.
이후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DTV 수신기가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PSIP 정보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 정보를 획득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IP 테이블들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PSIP 테이블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 캐스터가 전송하는 PSIP 테이블들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MGT (Master Guide Table)(7000)는 PSIP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MGT를 수신하고, MGT 내의 PSIP 테이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DTV 수신기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통해 전송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VCT(Virtual Channel Table)(7100)와 특정 채널의 시간에 따른 이벤트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7200)등을 획득할 수 있다.
DTV 수신기는 획득한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시청 중인 방송 채널의 현재 및 추후 방송될 프로그램의 이벤트 정보를 획득 및 유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 수신기는 VCT(7100)으로부터 채널 번호와 각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공급자를 지시하는 source_id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DTV 수신기는 source_id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EIT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DTV 수신기는 획득한 채널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 등을 이용하여 EPG(Electronic Program Guide)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TV 수신기는 특정 채널에 진입하는 경우, VCT 등으로부터 현재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DNS 서버에 해당 채널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DTV 수신기는 EIT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채널에 대한 이벤트, 즉,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해당 채널 내의 시간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일 채널을 지속적으로 시청하는 경우 DTV 수신기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특정 방송 프로그램과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임의적으로 종료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종료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방송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이라도 사용자가 종료시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더라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해당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DNS 서버에 요청하고,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하나의 채널에서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가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DTV 수신기의 동작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DTV 수신기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있다(S80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100).
판단 결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할 수 있다(S82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S8300).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는 VCT와 같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DNS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4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500).
판단 결과, 현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현재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디스플레이부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86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700).
판단 결과,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S8800).
판단 결과,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8900).
이후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새로운 채널에 진입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가 새로운 채널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DTV 수신기의 동작은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에서 설명한 DTV 수신기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새로운 채널을 시작할 수 있다(S900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0100).
판단 결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할 수 있다(S902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S903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DNS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04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0500).
판단 결과, 현재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EIT를 이용하여 현재 채널의 프로그램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91000).
판단 결과, 현재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디스플레이부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906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0700).
판단 결과,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S908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EIT를 이용하여 현재 채널의 프로그램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91000).
또한 판단 결과,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909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EIT를 이용하여 현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1000).
확인 결과 방송 프로그램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S901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S90200 단계부터 각 단계에 따른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방송 프로그램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현재 채널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1200).
판단 결과, 채널이 변경되지 않았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EIT를 이용하여 현재 채널의 프로그램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91000). 이후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S91100 단계부터 각 단계에 따른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채널이 변경되지 않았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현재 프로그램에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타임라인) 동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100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로드 캐스터 또는 DNS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NS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획득한 채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리퀘스트 문을 생성하고, DNS 서버로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DNS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4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디스플레이부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10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는 사용자에게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준비가 되었으며 리모콘의 레드-버튼을 통해 진입이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형태, 디스플레이 위치 등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은 사용자의 리모콘의 레드-버튼 입력을 통해 DTV 수신기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10200).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DTV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현재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는다(1030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변경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제어하는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에서 스포츠(Sports) 방송 프로그램으로 변경될 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DTV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에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시간(타임라인) 동안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110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11200).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DTV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현재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는다(113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DNS 서버로부터 변경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브로드 캐스터로부터 수신한 VIT, EIT 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로그램의 변화 여부를 디텍팅 할 수 있다.
DNS 서버로부터 변경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 또는 VIT, EIT 내의 정보가 현재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스포츠 (sports)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DNS 서버로부터 변경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 또는 VIT, EIT 내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하고 있던 뉴스와 날씨 (News &weather) 방송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새로운 스포츠 (sport)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11400). 구체적인 내용은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로드 캐스터 또는 DNS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스포츠 프로그램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4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디스플레이부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114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수신기는 인풋 디바이스(input device)를 통해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특정 키 (key)를 눌러 입력하는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TV 수신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뒤,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키 (key)에 대한 제어권을 DTV 수신기로 리턴하여 DTV 수신기에서 해당 키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키 (key) 입력 또는 키 (key) 입력과 연관된 동작을 키 이벤트 (key event)라 호칭할 수 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이 해당 키 (key)에 대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도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중단된다면, DTV 수신기는 해당 키 (key)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할 수 없으며, 해당 키 (key)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위한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의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미리 설정하고, DTV 수신기가 해당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에만, 해당 입력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등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 중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키(Key)에 대한 정보를 DTV 수신기에 설정하기 위하여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복수의 키(Key)들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등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를 통하여 입력되며, 키 코드 (Key code)와 매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Key)들은 키 세트 (Keyset)로 호칭될 수 있다. 키 코드 (Key code)는 각 키 (key)를 식별 또는 설명하기 위한 코드 로서 숫자 (numeric) 형태의 정수 (integer)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하기의 테이블 1은 상술한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키 (key) 정보를 DTV 수신기에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API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I는 SetKeyValues API라 호칭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I는 SetKeyValues (Integer keys[])로 표현될 수 있으며, 괄호안의 정수 키 (integer key)값은 각 애플리케이션이 받고자 하는 키 (Key)들의 키 코드 (Key code) 값에 해당된다. 테이블 1에 개시된 디스크립션(description)은 SetKeyValues API의 기능을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디스크립션(description)내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DTV 수신기 또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내의 키 세트 (Keyset)는 애플리케이션이 전달받고자 하는 키(Key)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아규먼트 (Argument)는 API의 매개변수를 의미한다. 테이블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tKeyValues API의 아규먼트 (Argument)는 키(Key)들 로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청하는 키 (key)들의 정수 세트(integer set)를 의미한다.
[테이블 1]
void SetKeyValues (Integer keys[])
디스크립션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키 세트의 값 (a value of Key set)이 디바이스 상에 설정될 수 있다. 각 키(Key)는 정수 (Integer) 형태인 키 코드 (Key code)와 연관되어 있으며, 키 코드 (Key code)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전달받고자 하는 키(Key)들에 대해 숫자 (numeric)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키(Key)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API을 통해 설정된 값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키(Key)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규먼츠 (Arguments) Keys 애플리케이션이 받기 위해 요청하는 키(Key)들의 정수 세트 (integer set). 각 키(Key)는 정수 값(integer value)와 관련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I를 호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12000)의 컬러 (color) 버튼 및 왼쪽 (left) 버튼의 키 코드 (key code)가 특정 정수 (integer) 값으로 설정된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컬러 버튼의 키 코드 (key code)만을 받기 위해 상술한 API를 실행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12000)의 컬러 (color) 버튼 또는 왼쪽 (left) 버튼을 눌러 각 버튼에 대응하는 키(key)를 DTV 수신기(12100)에 입력할 수 있다. 각 키 (Key)에 대한 키 코드 (key code)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정수 값 (integer value)을 가질 수 있다.
const Number VK_RED = 0x01;
const Number VK_GREEN = 0x02;
const Number VK_YELLOW = 0x04;
const Number VK_BLUE = 0x08;
const Number VK_LEFT = 0x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테이블 1의 API를 이용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전달받고자 하는 키 세트 (key set)에 대한 값을 DTV 수신기(12100)에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전달받고자 하는 키 세트 (Key set)는 컬러 버튼만을 포함하므로, 테이블 1의 API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버튼의 키 코드 (key code)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SetKeyValues({0x01, 0x02, 0x04, 0x08});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순서도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키 세트 (Key set)에 따른 키 (Key) 입력에 대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DTV 수신기만을 포함하거나, 도 1 및 2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디지털 TV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특정 키에 해당하는 키 (Key)가 입력되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S13000).
판단 결과,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이 전달 받고자 하는 키 세트 (Key set), 즉, 키 (key)들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100).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API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전달받고자 하는 키 세트 (Key set)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API를 통해 설정된 키 세트 (Key set)를 확인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니라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키 이벤트 (Key event)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S13400). 이후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이 갖는 키 세트 (Key set)내에 현재 입력된 키 (Key)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200).
판단 결과, 애플리케이션이 갖는 키 세트 (Key set)내에 현재 입력된 키 (Key)가 포함되어 있다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키 이벤트 (Key event)를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S13300).
판단 결과, 애플리케이션이 갖는 키 세트 (Key set)내에 현재 입력된 키 (Key)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키 이벤트 (Key event)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S134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일련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위한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의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미리 설정하고, DTV 수신기가 해당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에만, 해당 입력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API를 사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가 포인팅 디바이스 (pointing device)인 경우로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포인터 정보를 적용하기 위한 API를 설명한다.
인풋 디바이스가 포인팅 디바이스 (pointing device)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의 전 영역이 아닌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포인팅 정보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하기의 테이블 2의 API 를 호출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포인터 정보를 입력 받을 영역 또는 포인터 정보가 활성화되는 영역을 DTV 수신기내에 설정 또는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내의 포인터 정보를 입력 받을 영역 또는 포인터 정보가 활성화되는 영역은 액티브 영역이라 호칭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터 정보의 입력 또는 포인터 정보 입력과 연관된 동작을 포인터 이벤트 (pointer event)라 호칭할 수 있다.
하기의 테이블 2는 액티브 영역을 DTV 수신기에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API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I는 SetActiveArea API라 호칭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I는 SetActiveArea (Integer x, Integer y, Integer width, Integer height)로 표현될 수 있으며, 괄호 안의 Integer x, Integer y, Integer width, Integer height 값은 애플리케이션 내의 액티브 영역을 지시하는 좌표값으로 정수 (integer) 값을 갖는다. 테이블 2에 개시된 디스크립션 (description)은 SetActiveArea API의 기능을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디스크립션 (description) 내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DTV 수신기 또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아규먼트 (Argument)는 API의 매개변수로서, 테이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tActiveArea API의 매개변수는 x, y, width, height를 포함할 수 있다. x 및 y는 액티브 영역의 왼쪽 상단 코너의 좌표를 의미한다. 또한 넓이 (width)는 액티브 영역의 넓이 (width)를 나타낼 수 있으며, 높이 (height)는 액티브 영역의 높이 (height)를 나타낼 수 있다.
[테이블 2]
void SetActiveArea (Integer x, Integer y, Integer width, Integer height)
디스크립션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에서 포인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해당 포인터 정보가 활성화되는 영역을 설정된다.
아규먼츠 (Arguments) X 왼쪽 상단 코너의 x 좌표 (x coordinate of top left corner)
Y 왼쪽 상단 코너의 y 좌표 (y coordinate of top left corner)
넓이 (Width) 포인터 인풋 (pointer input)이 사용될 수 있는 액티브 영역 (active area)의 넓이
높이 (height) 포인터 인풋 (pointer input)이 사용될 수 있는 액티브 영역 (active area)의 높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I를 호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인풋 디바이스(14000)가 포인팅 디바이스 (pointing device)인 경우로서, 액티브 영역(14200)에 대해서만 포인터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테이블 2와 같은 API를 호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인풋 디바이스(14000)를 이용하여 포인터 정보를 입력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테이블 2의 API를 이용하여 액티브 영역(14200)을 DTV 수신기(14100)내에 설정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 지표는 왼쪽 상단이 (0,0) 오른쪽 하단이 (1280,72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14200)의 왼쪽 상단의 좌표는 (1000,400)이며, 넓이 (width)는 200, 높이 (height)는 300에 해당한다. 따라서 테이블 2의 API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SetActiveArea(1000, 400, 200, 300);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순서도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서 액티브 영역에 따른 포인터 입력에 대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DTV 수신기만을 포함하거나, 도 1 및 2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디지털 TV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인풋 디바이스의 포인터가 이동하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S15000).
판단 결과,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이 액티브 영역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100). 도 1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API를 이용하여 액티브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API를 통해 설정된 액티브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니라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포인터 이벤트 (pointer event)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S15400). 이후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이 갖는 액티브 영역 내에 현재 입력된 포인터의 위치 좌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200).
판단 결과, 액티브 영역내에 현재 입력된 포인터의 위치 좌표가 포함되어 있다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포인터 이벤트 (pointer event)를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S15300).
판단 결과, 액티브 영역내에 현재 입력된 포인터의 위치 좌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포인터 이벤트 (pointer event)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S1540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일련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위한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의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미리 설정하고, DTV 수신기가 해당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에만, 해당 입력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API를 사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하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status)를 구분하여 상태별로 키 세트 (Key set) 등 특정 입력 정보만을 디바이스 상에 요청하기 위한 API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하기 테이블 3의 API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드 (mode)로 나타내고, 각 모드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정보를 먼저 정의한 뒤,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가 변경됨에 따라 각 모드 (mode)마다 정의된 입력 정보를 디바이스에 요청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 변경이 되더라도 각 모드 (mode)에 따른 입력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하기의 테이블 3은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 및 모드 (mode)별로 정의된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API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I는 SetAppMode API라 호칭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I는 SetAppMode(Integer mode, Integer keys[])로 표현될 수 있으며, 괄호 안의 Integer mode, Integer keys[] 값은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와 모드 (mode)별 입력 정보를 지시하는 값으로 정수 값 (integer value)을 갖는다. 테이블 3에 개시된 디스크립션 (description)은 SetAppMode API의 기능을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디스크립션 (description) 내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DTV 수신기 또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아규먼트 (Argument)는 API의 매개변수로서, 테이블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tAppMode API의 매개변수는 모드 (mode) 및 키 (key)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mode)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지시하며, 각 상태에 대응하는 정수 값 (integer value)을 가질 수 있다. 키 (Key)는 각 모드 (mode)마다 정의된 키 (key) 값으로 정수 세트 (an integer s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 (Key) 는 키 코드 (Key code)와 매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드 (mode)를 지시하는 정수 (integer) 값을 모드 넘버(mode number)라 호칭하며, 모드 넘버 (mode number) 및 각 모드 넘버 (mode number)마다 설정된 키 세트 (key set)를 통칭하여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라 호칭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테이블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mode)는 0, 1, 2 등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각 값들이 의미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모드 (mode) 값이 0인 경우, 특정되지 않은 상태 (Not specified) 임을 의미한다.
모드 (mode) 값이 1인 경우는 애플리케이션이 아이콘인 상태를 의미하며 이를 ICON_MODE 또는 트리거 모드라 호칭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한 사항이다. 모드 (mode) 값이 1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 (application indicator)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함축적인 형태의 표기만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모드 (mode) 값이 1인 경우, 이에 따른 키 (key) 값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내의 컬러 키 (Red, Green, Yellow, Blu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모드 (mode) 값이 2인 경우는 애플리케이션이 전체 실행 중인 상태를 의미하며 이를 APP_MODE라 호칭할 수 있다. 즉, 모드 (mode) 값이 2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콘텐츠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PP_MODE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콘텐츠가 화면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와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콘텐츠가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모드 (mode) 값이 2인 경우, 이에 따른 키 (Key) 값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내의 컬러 키, 네비게이션 키 (Left, Right, Up, Down), 엔터키, 재생 제어키 (Stop, Pause, Rewind, Play, Fast FW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콘텐츠가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는 숫자 키 (key)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모드 (mode) 값이 3 내지 7인 경우는 유즈드 디파인드 값 (used defined value)으로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적인 모드 (mode) 설정이 가능하다. 특히 모드 (mode) 값이 3 내지 7인 경우, 모드 (mode) 값이 1 또는 2인 경우에 대하여 추가적인 모드 (mode)를 확장할 수 있으며 각 확장된 모드 (mode)에 사용할 키 (key) 집합을 디바이스 상에 미리 정의하거나 API 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mode) 값이 2인 경우의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콘텐츠가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를 추가적인 모드 (mode) 로 설정할 수 있다.
[테이블 3]
IntegerSetAppMode(Integer mode, Integer keys[])
디스크립션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설정하고 디바이스에 알려준다. 본 기능이 성공하면, 리턴 값 (return value)는 이전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만약 본 기능이 실패하면, 리턴 값 (return value)는 제로이다.
아규먼츠 (Arguments) 모드 (Mode)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지시하는 지시하는 모드 (mode) 의 정수 값 (integer value)
0: Not specified
1: ICON_MODE (애플리케이션이 아이콘 모드인 경우)
2: APP_MODE (애플리케이션이 전체 실행 중인 경우)
3-7: USER_DEFINED
키 (Keys) 이 파라미터는 선택사항(optional)이다. 만약 이 파라미터가 값을 갖는다면, 해당 값은 모드 파라미터 (mode parameter)에 따라 수신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이 요청하는 키들의 정수 세트(integer set of keys)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mode)와 관련된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입력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3의 SetAppMode API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 (mode)와 각 모드 (mode)에 따른 키 (Ke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입력 버튼은 모드 (mode) 값이 1인 경우의 입력 버튼들(16000)과 mode 값이 2인 경우의 입력 버튼들(16100)로 구분될 수 있다.
모드 (mode)값이 1인 경우의 입력 버튼들(16000)은 컬러키(Red, Green, Yellow, Blu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모드 (mode)값이 2인 경우의 입력 버튼들(16100)은 컬러키, 네비게이션 키(Left, Right, Up, Down), 엔터키, 재생 제어키 (Stop, Pause, Rewind, Play, Fast FW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mode) 값이 2인 경우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콘텐츠가 화면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와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콘텐츠가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콘텐츠가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숫자 등의 입력 버튼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따라 모드 (mode) 설정 변경된 경우의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인디케이터를 현재 프로그램의 컨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17000).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테이블 3의 API (SetAppMode 1)를 통해 모드 (mode) 값이 1이며, 모드 (mode) 값에 따른 키 (key) 값을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 요청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등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를 이용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키 (Key) 값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입력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처리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사용자가 레드 버튼 (red button)을 입력하였으므로,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현재 프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17100). 이후,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테이블 3의 API(SetAppMode 2)를 통해 모드 (mode) 값이 2이며, 모드 (mode) 값에 따른 키 (key) 값을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 요청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 등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를 이용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키 (Key) 값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입력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처리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상술한 DTV 수신기 또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수신부 (receiving module)(18000), 생성부 (generating module)(18100), 전송부 (sending module) (18200), 다운로딩부 (downloading module)(18300), 실행부 (executing module)(18400) 및 등록부 (registering module)(18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장치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 (receiving module)(18000)은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정보가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시그널링 정보는 VCT, EIT등과 같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A/V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 (generating module)(18100)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리퀘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 (generating module)(18100)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 (generating module)(18100)은 획득한 채널 정보 및 현재 방송 프로그램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HTTP 리퀘스트 문을 생성할 수 있다. HTTP 리퀘스트 문은 http://www.ohtv.org?ch= 9-1&time=2012-11-10-13:10&...과 같이 페어런트 도메인 네임 (parent domain name)과 특정 미디어 (specific media), 메이저 채널 번호 (major channel number), 마이너 채널 번호 (minor channel number)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 (sending module)(18200)은 생성한 리퀘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 (sending module)(18200)은 생성된 HTTP 리퀘스트 문을 전달하기 위한 리퀘스트 신호를 DN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 (receiving module)(18000)은 DNS 서버로부터 리퀘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URL 정보와 같은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딩부 (downloading module)(18300)은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딩부 (downloading module)(18300)은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운로딩부 (downloading module)(18300)은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된 또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에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딩부 (downloading module)(18300)은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된 또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하지 않고, 현재 채널에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다운로딩부 (downloading module)(18300)은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 내의 애플리케이션 URL 정보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부 (executing module)(18400)은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API를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도 12 내지 17에서 설명한 API와 연관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를 통해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특정 키 (key)를 눌러 입력하는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뒤,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키 (key)에 대한 제어권을 DTV 수신기로 리턴하여 DTV 수신기에서 해당 키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위한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의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미리 설정하고, DTV 수신기가 해당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에만, 해당 입력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도 12 내지 17 및 테이블 1 내지 3에서 설명한 API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및 모드별로 정의된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설정하기 위하여 SetAppMode API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etAppMode API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드 (mode)로 나타내고, 각 모드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정보를 먼저 정의한 뒤,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가 변경됨에 따라 각 모드 (mode)마다 정의된 입력 정보를 디바이스에 요청하거나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드 (mode)를 지시하는 정수 값 (integer value)을 모드 넘버 (mode number)라 호칭하며, 모드 넘버 (mode number)와 각 모드 넘버 (mode number) 마다 설정된 키 세트 (key set)를 통칭하여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라 호칭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12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 (registering module)(18500)은 상술한 SetAppMode API의 모드 넘버 (mode number)에 따라 설정된 키 세트 (key set)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전송측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상술한 DTV 수신기 또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전송부 (transmitting module)(19000) 및 수신부 (receiving module)(19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장치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 (transmitting module)(19000)은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시그널링 정보는 VCT, EIT등과 같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A/V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 수신부 (receiving module)(19100)은 채널 정보와 관련된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퀘스트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퀘스트는 HTTP 리퀘트스 문을 포함할 수 있다. HTTP 리퀘스트 문은 http://www.ohtv.org?ch= 9-1&time=2012-11-10-13:10&...과 같이 페어런트 도메인 네임 (parent domain name)과 특정 미디어 (specific media), 메이저 채널 번호 (major channel number), 마이너 채널 번호 (minor channel number)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후, 전송부 (transmitting module)(19000)은 수신한 리퀘스트에 따라 디지털 서비스 신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URL 정보와 같은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도 12 내지 17에서 설명한 API와 연관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를 통해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특정 키 (key)를 눌러 입력하는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뒤,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키(key)에 대한 제어권을 DTV 수신기로 리턴하여 DTV 수신기에서 해당 키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위한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의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미리 설정하고, DTV 수신기가 해당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에만, 해당 입력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도 12 내지 17 및 테이블 1 내지 3에서 설명한 API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 및 모드 (mode)별로 정의된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설정하기 위하여 SetAppMode API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etAppMode API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드 (mode)로 나타내고, 각 모드 (mode)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정보를 먼저 정의한 뒤,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가 변경됨에 따라 각 모드 (mode)마다 정의된 입력 정보를 디바이스에 요청하거나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드 (mode)를 지시하는 정수 값 (integer value)을 모드 넘버(mode number)라 호칭하며, 모드 넘버(mode number 와 각 모드 넘버(mode number 마다 설정된 키 세트 (key set)를 통칭하여 모드 정보(mode information)라 호칭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12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상술한 DTV 수신기 또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TV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000).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내의 수신부 (receiving module)(18000)은 방송망을 통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정보가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시그널링 정보는 VCT, EIT등과 같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A/V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리퀘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20100). 구체적으로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내의 생성부(generating module)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획득한 채널 정보 및 현재 방송 프로그램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HTTP 리퀘스트 문을 생성할 수 있다. HTTP 리퀘스트 문은 http://www.ohtv.org?ch= 9-1&time=2012-11-10-13:10&...과 같이 페어런트 도메인 네임 (parent domain name)과 특정 미디어 (specific media), 메이저 채널 번호 (major channel number), 마이너 채널 번호 (minor channel number)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생성한 리퀘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S20200).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 (sending module)(18200)은 생성된 HTTP 리퀘스트 문을 전달하기 위한 리퀘스트 신호를 DN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DNS 서버로부터 리퀘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300).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URL 정보와 같은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S20400).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된 또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채널에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에 저장된 또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하지 않고, 현재 채널에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 내의 애플리케이션 URL 정보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API를 실행할 수 있다(S20500).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도 12 내지 17에서 설명한 API와 연관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를 통해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특정 키 (key)를 눌러 입력하는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뒤,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키 (key)에 대한 제어권을 DTV 수신기로 리턴하여 DTV 수신기에서 해당 키 (key)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위한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의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미리 설정하고, DTV 수신기가 해당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에만, 해당 입력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도 12 내지 17 및 테이블 1 내지 3에서 설명한 API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 및 모드 (mode) 별로 정의된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설정하기 위하여 SetAppMode API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etAppMode API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드 (mode)로 나타내고, 각 모드 (mode) 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정보를 먼저 정의한 뒤,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 가 변경됨에 따라 각 모드 (mode) 마다 정의된 입력 정보를 디바이스에 요청하거나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드 (mode) 를 지시하는 정수 값 (integer value)을 모드 넘버 (mode number)라 호칭하며, 모드 넘버 (mode number)와 각 모드 넘버 (mode number) 마다 설정된 키 세트(key set)를 통칭하여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라 호칭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12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상술한 SetAppMode API의 모드넘버에 따라 설정된 키 세트 (key set)를 저장할 수 있다(S20600).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1은 전송측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S21000).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시그널링 정보는 VCT, EIT등과 같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A/V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채널 정보와 관련된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211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퀘스트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로부터 채널 정보 및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퀘스트는 HTTP 리퀘트스 문을 포함할 수 있다. HTTP 리퀘스트 문은 http://www.ohtv.org?ch= 9-1&time=2012-11-10-13:10&...과 같이 페어런트 도메인 네임 (parent domain name)과 특정 미디어 (specific media), 메이저 채널 번호 (major channel number), 마이너 채널 번호 (minor channel number)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수신한 리퀘스트에 따라 디지털 서비스 신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1200).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URL 정보와 같은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도 12 내지 17에서 설명한 API와 연관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를 통해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특정 키 (key)를 눌러 입력하는 유저 인풋 시그널 (user input signal)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뒤,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키 (key)에 대한 제어권을 DTV 수신기로 리턴하여 DTV 수신기에서 해당 키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위한 인풋 디바이스 (input device)의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미리 설정하고, DTV 수신기가 해당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에만, 해당 입력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도 12 내지 17 및 테이블 1 내지 3에서 설명한 API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 및 모드 (mode)별로 정의된 입력 정보를 DTV 수신기에 설정하기 위하여 SetAppMode API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etAppMode API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드 (mode)로 나타내고, 각 모드 (mode)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정보를 먼저 정의한 뒤,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mode)가 변경됨에 따라 각 모드 (mode) 마다 정의된 입력 정보를 디바이스에 요청하거나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드 (mode)를 지시하는 정수 값 (integer value)을 모드 넘버 (mode number)라 호칭하며, 모드 넘버 (mode number)와 각 모드 넘버 (mode number) 마다 설정된 키 세트 (key set)를 통칭하여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라 호칭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12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Claims (24)

  1. 디지털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 (signaling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service signaling table)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에 기초하여 리퀘스트 (reques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리퀘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한 리퀘스트 (request)에 따라 상기 디지털 서비스 신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downloading)하는 단계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를 설정하기 위한 API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모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 (status)를 나타내는 모드 넘버 (mode number)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 내 필요한 키를 나타내는 키 세트 (key set)를 포함하고,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 세트는 변경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는 풀 디스플레이(full display) 또는 아이콘 디스플레이(icon display)이고,
    상기 풀 디스플레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액츄얼 컨텐트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아이콘 디스플레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디케이터(indicator)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API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에 따라 상기 키 세트(key set)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키 세트 (key set)에 따라 인풋 신호 (input signal)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첫번째 모드 (mode)를 지시하고, 상기 키 세트 (key set)는 컬러 키 (color key)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두번째 모드 (mode)를 지시하고, 상기 키 세트 (key set)는 컬러 키 (color key)들, 네비게이션 키 (navigation key), 엔터 키 (enter key), 백 키 (back key) 및 플레이 컨트롤 키 (play-control key)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태(status)가 변경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변경된 상태에 따라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을 설정하기 위한 API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변경된 상태에 따라 상기 키 세트 (key set)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6. 디지털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 (signaling information)를 수신하는 수신부 (receiving module)로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service signaling table)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에 기초하여 리퀘스트 (request)를 생성하는 생성부 (generating module);
    상기 생성한 리퀘스트를 전송하는 전송부 (sending module)로서, 상기 수신부 (receiving module)는 전송한 리퀘스트에 따라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downloading)하는 다운로딩부 (downloading module)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를 설정하기 위한 API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모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status)를 나타내는 모드 넘버 (mode number)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 내 필요한 키를 나타내는 키 세트 (key set)를 포함하고,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 세트는 변경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는 풀 디스플레이(full display) 또는 아이콘 디스플레이(icon display)이고,
    상기 풀 디스플레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액츄얼 컨텐트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아이콘 디스플레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디케이터(indicator)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API를 실행하는 실행부 (executing module); 및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에 따라 상기 키 세트(key set)를 등록하는 등록부 (registering module)를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키 세트 (key set)에 따라 인풋 신호 (input signal)를 처리하는 처리부 (processing module)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첫번째 모드 (mode)를 지시하고, 상기 키 세트 (key set)는 컬러 키 (color key)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두번째 모드 (mode)를 지시하고, 상기 키 세트 (key set)는 컬러 키 (color key)들, 네비게이션 키 (navigation key), 엔터 키 (enter key), 백 키 (back key) 및 플레이 컨트롤 키 (play-control key)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0. 제 8 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태(status)가 변경되면,
    상기 실행부 (executing module)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변경된 상태에 따라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을 설정하기 위한 API를 실행하고, 상기 등록부 (registering module)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변경된 상태에 따라 상기 키 세트 (key set)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1. 디지털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 (signaling information)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service signaling table)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와 관련된 리퀘스트 (reques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리퀘스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서비스 신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를 설정하기 위한 API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모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 (status)를 나타내는 모드 넘버 (mode number)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 내 필요한 키를 나타내는 키 세트 (key set)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 세트는 변경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는 풀 디스플레이(full display) 또는 아이콘 디스플레이(icon display)이고,
    상기 풀 디스플레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액츄얼 컨텐트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아이콘 디스플레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디케이터(indicator)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세트 (key set)는 인풋 신호와 연관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첫번째 모드 (mode)를 지시하고, 상기 키 세트 (specific key set)는 컬러 키 (color key)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두번째 모드 (mode)를 지시하고, 상기 키 세트 (key set)는 컬러 키 (color key)들, 네비게이션 키 (navigation key), 엔터 키 (enter key), 백 키 (back key) 및 플레이 컨트롤 키 (play-control key)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15. 제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API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변경된 상태에 따른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16. 디지털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 (signaling information)를 전송하는 전송부 (transmitting module)로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service signaling table)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와 관련된 리퀘스트 (request)를 수신하는 수신부 (receiving module)로서, 상기 전송부 (transmitting module)은 상기 수신한 리퀘스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서비스 신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로케이션 정보 (location information)을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를 설정하기 위한 API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모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 (status)를 나타내는 모드 넘버 (mode number)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 내 필요한 키를 나타내는 키 세트 (key set)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 세트는 변경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는 풀 디스플레이(full display) 또는 아이콘 디스플레이(icon display)이고,
    상기 풀 디스플레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액츄얼 컨텐트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아이콘 디스플레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디케이터(indicator)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키 세트 (key set)는 인풋 신호와 연관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첫번째 모드 (mode)를 지시하고, 상기 키 세트 (key set)는 컬러 키 (color key)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넘버 (mode number)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두번째 모드 (mode)를 지시하고, 상기 키 세트 (key set)는 컬러 키 (color key)들, 네비게이션 키 (navigation key), 엔터 키 (enter key), 백 키 (back key) 및 플레이 컨트롤 키 (play-control key)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20.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API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변경된 상태에 따른 모드 정보 (mode information)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21. 디지털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 (signaling information) 및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service signaling table)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 및 상기 현재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서비스 신호의 프로그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리퀘스트 (reques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리퀘스트 (request)를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DNS 서버는 각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각 채널의 프로그램의 타이틀,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DNS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URL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URL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downloading)하는 단계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을 나타내기 위한 액티브 영역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연관되고,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액티브 영역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영역 중 포인터 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적용되는 특정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특정 영역에 적용되는 상기 포인터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전체 영역 중 상기 특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적용되는 포인트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액티브 영역 정보는 상기 액티브 영역의 좌표(coordinate) 정보, 너비(width) 정보, 높이(height)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API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API에 기초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의 변경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NS 서버로부터 다른(another) 프로그램에 대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URL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다른 URL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하는 단계;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포인터 이벤트 (pointer event)와 관련된 상기 포인터 정보 (pointer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액티브 영역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포인터 정보가 상기 액티브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포인터 정보가 상기 액티브 영역 내에 포함되면, 상기 포인터 정보에 따라 상기 포인터 이벤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23. 디지털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서비스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 (signaling information) 및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information)를 수신하는 수신부 (receiving module)로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service signaling table)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 (channel information) 및 상기 현재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서비스 신호의 프로그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리퀘스트 (request)를 생성하는 생성부 (generating module);
    상기 생성한 리퀘스트 (request)를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sending module)로서, 상기 DNS 서버는 각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각 채널의 프로그램의 타이틀,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DNS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URL 정보를 더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URL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downloading)하는 다운로딩부 (downloading module)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을 나타내기 위한 액티브 영역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연관되고,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액티브 영역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영역 중 포인터 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적용되는 특정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특정 영역에 적용되는 상기 포인터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전체 영역 중 상기 특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적용되는 포인트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액티브 영역 정보는 상기 액티브 영역의 좌표(coordinate) 정보, 너비(width) 정보, 높이(height)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API를 을 실행하는 실행부 (executing module); 및
    상기 API에 기초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을 등록하는 등록부 (registering module)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프로그램의 변경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NS 서버로부터 다른(another) 프로그램에 대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URL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다운로딩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다른 URL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포인터 이벤트 (pointer event)와 관련된 상기 포인터 정보 (pointer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액티브 영역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포인터 정보가 상기 액티브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포인터 정보가 상기 액티브 영역 내에 포함되면, 상기 포인터 정보에 따라 상기 포인터 이벤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KR1020157016677A 2012-11-27 2013-11-27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91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0062P 2012-11-27 2012-11-27
US61/730,062 2012-11-27
PCT/KR2013/010835 WO2014084592A1 (en) 2012-11-27 2013-11-2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ervice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107A KR20150091107A (ko) 2015-08-07
KR102091608B1 true KR102091608B1 (ko) 2020-03-20

Family

ID=5077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677A KR102091608B1 (ko) 2012-11-27 2013-11-27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319743B2 (ko)
EP (1) EP2926567B1 (ko)
JP (1) JP6100395B2 (ko)
KR (1) KR102091608B1 (ko)
CN (1) CN104823455B (ko)
BR (1) BR112015012163A2 (ko)
CA (1) CA2892071A1 (ko)
DE (1) DE112013005420T5 (ko)
GB (1) GB2523031A (ko)
MX (1) MX344083B (ko)
WO (1) WO2014084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64B1 (ko) * 2014-06-20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브라우저를 통해 방송 수신기에 접속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727661B2 (en) 2014-06-20 2017-08-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ccessing broadcast receiver via web brow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A2970463C (en) 2015-01-07 2023-09-12 Sony Corporation Receiver,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US10116601B2 (en) * 2015-02-06 2018-10-30 Jamdeo Canada Ltd.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 device notifications
CN105847922B (zh) * 2016-04-01 2019-07-0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控制方法及智能电视
US10743057B2 (en) * 2018-11-23 2020-08-11 Sony Corporation Broadcaster application remote control key hand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8778A1 (en) 2002-03-19 2003-11-06 Canon Kabushiki Kaisha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20060095938A1 (en) 2004-11-01 2006-05-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preference channel and digital TV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8273B2 (ja) * 1995-07-20 2005-09-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伝送装置および方法、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番組ガイド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356908B1 (en) * 1999-07-30 2002-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web page thumbnail generation
US20020010941A1 (en) * 2000-01-06 2002-01-24 Johnson Kevin M. Method/apparatus for improving WEB (internet) access
JP2003158726A (ja) * 2001-11-21 2003-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提供システム
FR2840494A1 (fr) * 2002-05-28 2003-12-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e de controle a distance d'une scene multimedia
FR2849977B1 (fr) * 2003-01-10 2005-06-03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 controle d'appareils au sein d'un reseau par une telecommande dediee et appareils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JP4101121B2 (ja) * 2003-06-13 2008-06-18 富士通株式会社 双方向番組視聴機器および双方向番組視聴システム
US7647610B2 (en) * 2003-08-19 2010-01-12 Lg Electronics Inc. Interfacing system between digital TV and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ler thereof, and remote controller signal transmitting method thereof
US7979877B2 (en) * 2003-12-23 2011-07-12 Intellocity Usa Inc. Advertising methods for advertising time slots and embedded objects
US9865017B2 (en) * 2003-12-23 2018-01-09 Opentv,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advertisement
JP2005295257A (ja) * 2004-03-31 2005-10-20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放送番組関連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放送番組関連情報取得方法
JP4444932B2 (ja) * 2006-08-24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199113B2 (en) * 2006-09-13 2012-06-12 Savant Systems, Llc Programmable on screen display and remote control
JP4764399B2 (ja) 2006-10-12 2011-08-31 株式会社カデンザ コンテンツ視聴装置、コンテンツ視聴装置の制御方法、マルチメディア端末、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端末の動作方法
JP2010081262A (ja) * 2008-09-25 2010-04-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16320A (ko) * 2009-04-22 2010-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00319043A1 (en) * 2009-06-11 2010-12-16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television architecture
CN102461193B (zh) 2009-06-12 2016-08-03 Lg电子株式会社 接收广播信号的方法和设备以及使用该方法和设备的广播系统
JP2011223564A (ja) * 2010-03-23 2011-11-04 Sharp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8552999B2 (en) 2010-06-14 2013-10-08 Apple Inc. Control selection approximation
CN102331861A (zh) * 2011-08-04 2012-01-25 苏州三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通用型键盘实现快捷功能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8778A1 (en) 2002-03-19 2003-11-06 Canon Kabushiki Kaisha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20060095938A1 (en) 2004-11-01 2006-05-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preference channel and digital TV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KITSUGU BABA ET AL,"Seamless, Synchronous, and Supportive: Welcome to Hybridcast: An Advanced Hybrid Broadcast and Broadband System",IEEE Consumer Electronics Magazine(Volume: 1,Issue: 2,April 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19743B2 (en) 2016-04-19
US9668021B2 (en) 2017-05-30
KR20150091107A (ko) 2015-08-07
CN104823455B (zh) 2018-10-09
JP6100395B2 (ja) 2017-03-22
GB201509058D0 (en) 2015-07-08
EP2926567A1 (en) 2015-10-07
EP2926567A4 (en) 2016-07-13
US20140150048A1 (en) 2014-05-29
US20150143448A1 (en) 2015-05-21
DE112013005420T5 (de) 2015-07-30
WO2014084592A1 (en) 2014-06-05
EP2926567B1 (en) 2019-05-22
CA2892071A1 (en) 2014-06-05
CN104823455A (zh) 2015-08-05
JP2016506124A (ja) 2016-02-25
GB2523031A (en) 2015-08-12
MX344083B (es) 2016-12-02
MX2015006601A (es) 2015-08-05
BR112015012163A2 (pt)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608B1 (ko)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32463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RU25562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и приёма
US20070136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ervices using implicit content to indicate the availability of additional content
US8990871B2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ser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2455928A (zh) 软件更新方法及其显示装置
KR20120058051A (ko) 웹브라우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CN104079971A (zh) 一种通过电视机设备控制机顶盒的实现方法、设备和系统
KR20120054837A (ko) 애플리케이션 설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CN103796048A (zh) 一种iptv广告投放方法及系统
CN102821313A (zh) 客户端自定义epg系统
CN106686432A (zh) 一种基于机顶盒的网页交互方法及装置
JP6141996B2 (ja) デジタルサービス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113490064A (zh) 一种视频播放方法和设备及服务器
CN103888843A (zh) 智能电视的电视节目频道与应用程序整合的方法及系统
WO2009084708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JP6678703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サーバ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3145208A1 (en) Program play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WO2018095161A1 (zh) 一种数字电视节目场景信息获取方法及系统
KR101746851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50118802A (ko) 직접사용채널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지역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GB2611352A (en) Interactive services
JP2015039103A (ja) 情報端末、テレビシステム
KR20220033315A (ko)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
KR20120093550A (ko)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