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007B1 -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007B1
KR102091007B1 KR1020130033770A KR20130033770A KR102091007B1 KR 102091007 B1 KR102091007 B1 KR 102091007B1 KR 1020130033770 A KR1020130033770 A KR 1020130033770A KR 20130033770 A KR20130033770 A KR 20130033770A KR 102091007 B1 KR102091007 B1 KR 102091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unit
portable device
keyboard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9120A (en
Inventor
정원석
권시온
이창호
지한경
오세헌
윤여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40,538 priority Critical patent/US9715251B2/en
Priority to EP13176707.1A priority patent/EP2703935B1/en
Priority to CN201310341593.3A priority patent/CN103677115B/en
Publication of KR2014002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키보드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보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키보드부를 커버링 또는 언커버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내장되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board unit; Display unit; A connection unit mov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keyboard unit and the display unit to support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covers or uncovers the keyboard unit; And a control unit embedded in the connection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PORTABLE DEVICE}Portable devic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노트북 PC처럼 또는 태블릿 PC처럼 사용 가능한 포터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evice usable as a notebook PC or a tablet PC depending on user selection.

노트북 PC와 태블릿 PC는 잘 알려져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들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PC는 키보드 사용에 의해 빠른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태블릿 PC는 키보드 대신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므로 보다 컴팩트한 외형을 갖는 장점이 있다.Notebook PCs and tablet PCs are well-known portable devices. In general, the notebook PC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put text quickly by using the keyboard, and the tablet PC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more compact appearance because the touch screen is used instead of the keyboard.

최근 들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노트북 PC처럼 또는 태블릿 PC처럼 사용 가능하게 설계됨으로써 노트북 PC의 장점과 태블릿 PC의 장점을 흡수한 새로운 유형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출시되고 있다.Recently, a new type of portable device has been introduced that absorbs the advantages of a notebook PC and the advantages of a tablet PC by being designed to be used as a notebook PC or a tablet PC according to user selection.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을 가진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터치 스크린은 포터블 디바이스가 태블릿 PC처럼 사용될 경우는 물론 포터블 디바이스가 노트북 PC처럼 사용될 경우에도 사용자 터치가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노트북 PC처럼 사용될 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This new type of portable device has a display unit with a touch screen, and the touch screen is arranged to enable user touch when the portable device is used as a tablet PC as well as when the portable device is used as a notebook PC. Therefor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used as a notebook PC,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tably supporting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does not move even if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더불어, 일반적인 전자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새로운 유형의 포터블 디바이스의 경우에도 방열 성능을 개선함으로써 내부의 전자 부품들을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general electronic product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protect the electronic components inside from heat by improv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in the aforementioned new type of portable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방열 성능이 개선된 전술한 새로운 유형의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of the above-mentioned new type, which can stably support the display unit and has improved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터블 디바이스로서, 키보드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보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키보드부를 커버링 또는 언커버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내장되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rtable device, a keyboard unit; Display unit; A connection unit mov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keyboard unit and the display unit to support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covers or uncovers the keyboard unit; And a control unit built in the connection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키보드부를 커버링하는 제1 배치 또는 상기 키보드부를 언커버링하는 제2 배치로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be arranged in a first arrangement covering the keyboard portion or a second arrangement uncovering the keyboard por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배치 및 상기 제2 배치에 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은 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A touch screen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display unit is in the first arrangement and the second arrangement, the touch screen may remain exposed.

상기 연결부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키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keyboard portion about a first rotation axis, and the display portion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first rotation axis.

상기 연결부는 상기 키보드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hinged to the keyboard portion, and the display portion may be hing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배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키보드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들이 공기 중에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is in the second arrangement, the connection unit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keyboard unit so that the out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unit may be exposed in the air.

상기 키보드부는 상기 제1 배치에 있는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The keyboard portion may have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first arrangement.

상기 키보드부는 상기 제2 배치에 있는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며 상하로 개방된 수용홀을 가질 수 있다.The keyboard unit may receive the connection portion in the second arrangement and have a receiving hole opened up and down.

상기 키보드부의 상면은 상기 제1 배치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keyboard unit may have at least one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in the first arrangement is insert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우측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fixing groove may include: a first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inserted; And a second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inserted.

상기 키보드부는, 상기 키보드부에 평행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키보드부의 입력키들이 구비된 제1 영역 및 상기 입력키들이 구비되지 않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간의 경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keyboard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in which the input keys are provided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input keys are not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keyboard portion and parallel to the first rotation axis. The fixing groove may be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배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방에서 시청 가능한 전방 시청 배치;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후방에서 시청 가능한 후방 시청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rrangement of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front viewing arrangement in which the touch screen is viewable from the front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rear viewing arrangement in which the touch screen is viewable from the rear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가 상기 전방 시청 배치로부터 상기 후방 시청 배치로 전환될 때 또는 상기 후방 시청 배치로부터 상기 전방 시청 배치로 전환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킬 수 있다.When the arrangement of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from the front viewing arrangement to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or when switching from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to the front viewing arrangement, the controller may invert the top and bottom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후방 시청 배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은 상기 연결부의 후면에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is in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may be se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는 상기 키보드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keyboard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with the keyboard unit and the display unit; A storage unit in which a program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And an operation unit that executes the program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연결부는,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input / output port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n exter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a, 4b, 및 4c는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키보드부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을 Ⅴ-Ⅴ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유사도로서 도 5a에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의 배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6에 도시된 포터블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의 대안적인 배치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의 다른 대안적인 배치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태블릿 모드로 사용될 때의 배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when viewed from another angle.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4A, 4B, and 4C are plan views showing alternative embodiments of a keyboard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taken along line VV.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to FIG. 5A as a similarity to FIG. 5A.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whe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is used in a notebook mode.
7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device shown in 6.
8 is a side view showing an alternative arrangement whe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is used in a notebook mode.
9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alternative arrangement whe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is used in a notebook mod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whe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is used in a tablet mod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a, 4b, 및 4c는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키보드부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5a는 도 1을 Ⅴ-Ⅴ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유사도로서 도 5a에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and FIG. 3 is a block conceptually showing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4A, 4B, and 4C are plan views showing alternative embodiments of a keyboard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taken along the line V-V, and FIG. 5B is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to FIG. 5A as a similarity.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1)는 특정된 자리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이다. 이러한 포터블 디바이스(1)는 키보드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연결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port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specified position and can be easily carried when necessary. The portable device 1 includes a keyboard unit 100, a display unit 200, a connection unit 300, and a control unit 400.

상기 키보드부(100)는 대략 직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키보드부(100)는 그 상면(110)으로 노출된 버튼식의 다수의 입력키들(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키들(12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 웹 서핑 등의 작업들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keyboard unit 10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 keyboard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type input keys 120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110. Using these input keys 120,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tasks such as text input and web surfing.

대안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부(100)는 입력키들(120)과 더불어 그 우측에 배치된 터치 패드(130)를 구비할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부(100)는 입력키들(120)과 더불어 그 하측에 배치된 터치 패드(130')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부(100)는 입력키들(120)과 더불어 터치 패드의 기능을 대신하는 포인팅 스틱(140)을 구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A, the keyboard unit 100 may include input keys 120 and a touch pad 130 disposed on the right side thereof, and the keyboard unit (as shown in FIG. 4B). 100) may include the input keys 120 and a touch pad 130 ′ disposed below it, and as shown in FIG. 4C, the keyboard unit 100 includes input keys 120 and touch pads. A pointing stick 140 instead of a function may be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디스플레이부(200)는 그 전면(211)에 터치 스크린(210)을 구비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210)은 영상 표시 수단으로 기능함은 물론 사용자 터치에 의한 입력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The display unit 20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 display unit 200 includes a touch screen 210 on its front surface 211. The touch screen 210 functions as an image display means as well as an input means by a user touch.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키보드부(100)에 대한 다양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키보드부(100)를 커버링하는 제1 배치로 배치되거나 키보드부(100)를 언커버링하는 제2 배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치 및 제2 배치에서의 포터블 디바이스(1)의 모습들은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이후에 자세히 소개한다.The display unit 200 may have various arrangements with respect to the keyboard unit 100 according to user selection.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200 may be arranged as a first arrangement covering the keyboard unit 100 by a user manipulation, or as a second arrangement uncovering the keyboard unit 100. The shapes of the portable device 1 in the first and second arrange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를 커버링하는 제1 배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00)는 키보드부(100)에 겹쳐치게 배치되며, 따라서 키보드부(100)의 입력키들(120)은 디스플레이부(200)에 의해 가려져 사용될 수 없는 반면 디스플레이부(200)의 터치 스크린(210)은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0)가 상기 제1 배치에 있을 때 포터블 디바이스(1)는 통상의 태블릿 PC와 유사한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0)가 제1 배치에 있을 때의 포터블 디바이스(1)의 사용 모드를 간략히 '태블릿 모드' 로 지칭한다.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the first arrangement covering the keyboard unit 100, the display unit 200 is disposed to overlap the keyboard unit 100, and thus the input keys 120 of the keyboard unit 100 Can be used because the touch screen 210 of the display unit 200 remains exposed. Here,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the first arrangement, the portable device 1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tablet PC. Therefore, the use mode of the portable device 1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the first arrangement is briefly referred to as a 'tablet mode'.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를 커버링하지 않는 제2 배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00)의 터치 스크린(210)은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의 입력키들(120)을 가리지 않으므로 키보드부(100) 또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0)가 상기 제2 배치에 있을 때 포터블 디바이스(1)는 통상의 노트북 PC와 유사한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0)가 제2 배치에 있을 때의 포터블 디바이스(1)의 사용 모드를 간략히 '노트북 모드' 로 지칭한다.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a second arrangement that does not cover the keyboard unit 100, the touch screen 210 of the display unit 200 remains exposed, and thus can be used, as well as the display unit 200 Since the input keys 120 of the keyboard unit 100 are not covered, the keyboard unit 100 may also be used.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the second arrangement, the portable device 1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typical notebook PC. Therefore, the use mode of the portable device 1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the second arrangement is briefly referred to as a 'laptop mode'.

포터블 디바이스(1)가 이러한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단부(220)가 키보드부(100)의 상면(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보드부(100)의 상면(110)에는 대략 디스플레이부(210)의 폭 만큼 서로 이격된 제1 고정홈(121) 및 제2 고정홈(122)이 형성되며, 이들 제1 고정홈(121) 및 제2 고정홈(122)에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측 하단부(221) 및 우측 하단부(222)가 삽입된다.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in such a notebook mode, the lower portion 220 of the display unit 200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keyboard unit 100 to display the display unit 200. The position can be fix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groove 12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width of the display unit 21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se first fixing The lower left portion 221 and the lower right portion 222 of the display unit 200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12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2.

이러한 고정홈들(121,122)은 키보드부(100)의 상면(110)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홈들(121,122)은 키보드부(100)의 상면(110)에 대해 정해진 각도(예로써, 50°,60°,70°등)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고정홈들(121,122)은 키보드부(100)를 가로지르는 Y 방향에 대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1)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단부(220)가 고정홈들(121,122)에 삽입되면 디스플레이부(200)는 키보드부(100)에 대해, 고정홈들(121,122)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경사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각도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xing grooves 121 and 122 are concavely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keyboard unit 100. In addition, the fixing grooves 121 and 122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eg, 50 °, 60 °, 70 °, etc.)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keyboard unit 100. In other words, the fixing grooves 121 and 122 are arrang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Y direction across the keyboard unit 100. Therefore, 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in the notebook mode, when the lower end 220 of the display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121 and 122, the display unit 200 is fixed to the keyboard unit 10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elds 121 and 122 may be maintained at the same inclination angle. Of course,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esign.

도 2에 표시된 회전축들(X1,X2)과 수직하며 키보드부(100)와 평행한 방향(즉, Y 방향)을 따라, 키보드부(100)는 입력키들(120)이 구비된 제1 영역(101)과 입력키들(120)이 구비되지 않은 제2 영역(1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101)은 키보드부(100)의 앞쪽에 배치되고 제2 영역(102)은 제1 영역(101)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영역(101)의 면적과 제2 영역(102)의 크기는 거의 동일하다. 전술한 고정홈들(121,122)은 이러한 제1 영역(101)과 제2 영역(102) 간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단부(220)가 고정홈들(121,122)에 삽입될 때,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단부(220)는 키보드부(100)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된다.2,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axes X1 and X2 shown in FIG. 2 and parallel to the keyboard unit 100 (ie, the Y direction), the keyboard unit 100 includes a first region provided with input keys 120 ( 101) and the second area 102 in which the input keys 120 are not provided. Here, the first area 10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 second area 102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area 101. In this embodiment, the area of the first region 101 and the size of the second region 102 are almost the same. The above-described fixing grooves 121 and 122 are dispos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area 101 and the second area 102. Accordingly, when the lower end 220 of the display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121 and 122, the lower end 220 of the display unit 200 is dispos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keyboard unit 100.

상기 연결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를 커버링하거나 언커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00)를 지지한다. 이에 연결부(300)는 키보드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 각각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키보드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 각각에 연결된다.The connection unit 300 supports the display unit 200 so that the display unit 200 covers or uncurss the keyboard unit 100. Accordingly, the connec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relative to each of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00)와 키보드부(100)는 제1 회전축(X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연결부(300)와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회전축(X1)에 평행한 제2 회전축(X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300)와 키보드부(100) 간의 상대 회전 및 연결부(300)와 디스플레이부(200) 간의 상대 회전을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의 사용 모드 변환(태블릿 모드로부터 노트북 모드로, 또는 노트북 모드로부터 태블릿 모드로)이 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ile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keyboard unit 100 are rotatably connected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X1,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display unit 2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X1. It is connect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econd parallel rotation axis X2. Switching the usage mode of the portable device 1 (from tablet mode to laptop mode, or laptop mode) through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00 and the keyboard portion 100 and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00 and the display portion 200 (From tablet mode) can be achieved.

이러한 연결부(300)와 키보드부(100) 간의 상대 회동 및 연결부(300)와 디스플레이부(200) 간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부(300)와 키보드부(100)가 서로 힌지 결합되며 또한 디스플레이부(200)와 연결부(300)가 서로 힌지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300)와 키보드부(100) 간의 힌지 결합은 제1 힌지 유닛(미도시)에 의해 수행되며, 디스플레이부(200)와 연결부(300) 간의 힌지 결합은 제2 힌지 유닛(310, 도 2 참조)에 의해 수행된다. 도면들 상에 보이지 않지만 제1 힌지 유닛은 제2 힌지 유닛(3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힌지 유닛으로서 종래의 다양한 형태의 힌지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keyboard unit 100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the display unit is hinged so that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keyboard unit 100 and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display unit 200 are possible. The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are hing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hing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keyboard unit 100 is performed by the first hinge unit (not shown), and the hinge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connection unit 300 is the second hinge unit 310, FIG. 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hinge unit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hinge unit 310. In addition, various conventional hinge structures may be applied as each hinge unit.

제1 힌지 유닛(미도시)에 의해 연결부(300)의 일단부(330)는 키보드부(100)의 상단부(150)에 연결된다. 한편 제2 힌지 유닛(310)에 의해 연결부(300)의 타단부(340)는 디스플레이부(200)부의 후면(212)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의 타단부(34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12)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330 of the connec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150 of the keyboard unit 100 by a first hinge unit (not shown). Meanwhile, the other end 340 of the connec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212 of the display unit 200 by the second hinge unit 310. As illustrated in FIG. 2, the other end 340 of the connection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urface 212 of the display unit 200.

제1 힌지 유닛 및 제2 힌지 유닛(310)은 프리 스톱(free stop)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연결부(300)가 키보드부(100)에 대해 어떤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면 연결부(300)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연결부(300)는 키보드부(100)에 대해 설정된 각도를 유지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0)가 연결부(300)에 대해 어떤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면 디스플레이부(200)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디스플레이부(200)는 연결부(300)에 대해 설정된 각도를 유지한다.The first hinge unit and the second hinge unit 310 have a free stop function.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part 300 is arranged to have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keyboard part 100 by user manipulation, the connection part 300 is applied to the keyboard part 100 unless a force exceeding a threshold valu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300. Maintain the angle set for. Similarly,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arranged to have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unit 300 by a user manipulation, the display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200 unless a force exceeding a threshold value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200. 300).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를 커버링하는 제1 배치에 있을 때(즉, 포터블 디바이스(1)가 태블릿 모드로 사용될 때), 연결부(300)는 키보드부(100)의 제2 영역(102, 도 1 참조)에 형성된 수용홈(160)에 수용된다. 도 1 및 도 5a를 참조하면, 이러한 수용홈(160)은 대략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연결부(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그 안에 수용되는 연결부(300)의 전면(351)과 마주하게 되는 바닥면(161)을 갖는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를 언커링하는 제2 배치에 있을 때(즉, 포터블 디바이스(1)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 연결부(300)는 제1 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용홈(160) 밖에 배치된다.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the first arrangement covering the keyboard unit 100 (that is, 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in the tablet mode), the connection unit 300 is the second area of the keyboard unit 100 (102, see FIG. 1)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60 formed. 1 and 5A, the receiving groove 16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faces the front surface 351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accommodated therein. It has a bottom surface 161 to be ma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the second arrangement for uncurling the keyboard unit 100 (that is, 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in the notebook mode), the connection unit 300 is the first rotation axis (X1) It is rotated around and is disposed outside the receiving groove 160.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부(100)는 연결부(300)를 수용하기 위해 전술한 수용홈(160) 대신 상하로 개방된 수용홀(17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수용홈(160)이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용홀(170)을 구비하는 경우 키보드부(100)의 두께가 보다 슬림해지는 이점 및 연결부(3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보다 잘 방출되는 이점이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keyboard unit 100 may include a receiving hole 170 opened up and down instead of the receiving groove 160 described above to accommodate the connecting portion 300.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receiving groove 160 is provided, when the receiving hole 170 is provided, the advantage that the thickness of the keyboard portion 100 becomes slimmer and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00 is better released have.

연결부(300)는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00)의 일 엣지면(370)에 두 개의 입출력 포트(361,362)가 구비된다. 입출력 포트(361,362)의 종류 및 개수는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300 includes at least one input / output port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2, in this embodiment, two input / output ports 361 and 362 are provided on one edge surface 370 of the connection unit 300. The type and number of the input / output ports 361 and 362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상기 제어부(400)는 포터블 디바이스(1)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연결부(300)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의 포터블 디바이스(1)는 제어부(400)가 연결부(300)에 내장된 점에서 기존의 다른 포터블 디바이스들과 구별된다.The control unit 4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 and is built in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unit 300. The portable device 1 of this embodimen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ortable devices in that the control unit 400 is embedded in the connection unit 3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인터페이스부(410), 저장부(420), 및 연산부(43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10)는 키보드부(100)와 디스플레이(200) 간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며, 저장부(420)는 포터블 디바이스(1)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연산부(430)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실행시켜 포터블 디바이스(1)의 동작을 제어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n interface unit 410, a storage unit 420, and a calculation unit 430. The interface unit 410 performs interfacing between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 display 200, the storage unit 420 stores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 and the operation unit 430 stores the programs. Execut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포터블 디바이스(1)의 동작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의 배치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6에 도시된 포터블 디바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의 대안적인 배치를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의 다른 대안적인 배치을 보이는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태블릿 모드로 사용될 때의 배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whe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is used in a laptop mode, FIG. 7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device shown in 6, and FIG. 8 is an alternative whe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is used in a laptop mode 9 is a side view showing an alternative arrangement whe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is used in a notebook mode,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when the portable device of FIG. 1 is used in a tablet mode. .

먼저, 도 6 및 7을 설명한다.First, FIGS. 6 and 7 will be described.

포터블 디바이스(1)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즉,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를 커버링하지 않는 제1 배치에 있을 때), 포터블 디바이스(1)는 도 6 및 7에 도시된 제1 전방 시청 배치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in a notebook mode (ie,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a first arrangement that does not cover the keyboard unit 100), the portable device 1 is shown in FIGS. 6 and 7 It may have a first front viewing arrangement.

이러한 제1 전방 시청 배치에서, 키보드부(100)의 제1 영역(101)과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각도(α)는 둔각이고, 연결부(300)와 키보드부(100) 사이의 각도(β) 및 디스플레이부(200)와 연결부(300) 사이의 각도(γ)는 예각이다. 예로써, α=120°이고 β=γ=60°일 수 있으나, α,β,γ는 실시예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In the first front viewing arrangement, the angle α between the first area 101 of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is an obtuse angle, and the angle between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keyboard unit 100 ( β) and the angle γ between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connection unit 300 is an acute angle. For example, α = 120 ° and β = γ = 60 °, but α, β, γ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embodiments.

이러한 제1 전방 시청 배치에서, 키보드부(100)의 입력키들(120)은 디스플레이부(200)에 의해 커버링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 웹 서핑 등의 작업을 위해 키보드부(1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의 터치 스크린(210)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전방에서 터치 스크린(210)을 시청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스크린(210)을 통한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first front viewing arrangement, the input keys 120 of the keyboard unit 100 are exposed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display unit 20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keyboard unit for text input, web surfing, etc. 100) can be used. In addition, since the touch screen 210 of the display unit 200 is disposed to face forward, the user can watch the touch screen 210 from the front and also perform an input oper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210.

이러한 제1 전방 시청 배치에서,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측 하단부(221) 및 우측 하단부(222)는 키보드부(100)의 제1 고정홈(121, 도 1 참조) 및 제2 고정홈(122, 도 1 참조)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고정홈(121,122)은 키보드부(100)의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므로, 통상적인 노트북의 디스플레이부(20)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200)는 대략 제2 영역(102)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L) 만큼 사용자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1)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 터치 스크린(210)을 터치하기가 보다 용이하므로 터치 스크린(210)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다.In the first front viewing arrangement, the lower left portion 221 and the lower right portion 222 of the display unit 200 include a first fixing groove 121 (see FIG. 1) and a second fixing groove 122 of the keyboard unit 100. , See FIG. 1) may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Referring to FIG. 7,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21 and 122 are dispos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area 101 and the second area 102 of the keyboard unit 100, and thus Compared to the display unit 20 of the laptop, the display unit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closer to the user by a distance L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cond area 102. Therefore, 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in the notebook mode, since it is easier to touch the touch screen 210, the user's fatigue caused by using the touch screen 210 may be reduced.

또한, 이러한 제1 전방 시청 배치에서, 디스플레이부(200)의 폭(W)과 거의 같은 폭을 가진 연결부(300)가 디스플레이부(200)를 지지하고 있으며 제1 힌지 유닛(미도시) 및 제2 힌지 유닛(310)이 프리 스톱 기능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10)을 터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200)는 움직이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안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front viewing arrangement, the connection unit 300 having a wid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W of the display unit 200 supports the display unit 200, and includes a first hinge unit (not shown) and a first unit. 2 Since the hinge unit 310 has a free-stop function, even if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210, the display unit 200 may remain stationar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moving.

또한, 이러한 제1 전방 시청 배치에서, 연결부(300)는 키보드부(1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연결부(300)의 외측면들은 공기 중에 노출된다. 따라서, 연결부(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되며, 따라서 연결부(300) 안에 내장된 제어부(400)를 구성하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front viewing arrangement,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300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keyboard portion 100, the out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are exposed in the air. Accordingly, heat generated from the connection unit 300 is more effectively released, and thus,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400 embedded in the connection unit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heat.

다음으로 도 8을 설명한다.Next, FIG. 8 will be described.

포터블 디바이스(1)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즉,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를 커버링하지 않는 제1 배치에 있을 때), 포터블 디바이스(1)는 도 8에 도시된 제2 전방 시청 배치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in the notebook mode (that is,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a first arrangement that does not cover the keyboard unit 100), the portable device 1 is the second illustrated in FIG. 8. You can have a forward viewing arrangement.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측 및 우측 하단부(221,222)가 제1 및 제2 고정홈(121,122)으로부터 이탈되고 연결부(300) 및 디스플레이부(200)가 제1 회전축(X1) 및 제2 회전축(X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됨으로써, 포터블 디바이스(1)는 도 6 및 7에 도시된 제1 전방 시청 배치로부터 도 8에 도시된 제2 전방 시청 배치로 전환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221 and 222 of the display unit 20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21 and 122, and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display unit 200 are provided with a first rotation axis X1 and a second rotation axis X2. By slightly rotating clockwise around), the portable device 1 can be switched from the first front viewing arrangement shown in FIGS. 6 and 7 to the second front viewing arrangement shown in FIG. 8.

이러한 제2 전방 시청 배치에서 디스플레이부(200)는 연결부(300)에 지지되고 연결부(300)는 키보드부(100)에 지지된다. 그리고 연결부(300) 및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힌지 유닛(미도시) 및 제2 힌지 유닛(310)의 프리 스톱 기능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사용시 디스플레이부(200)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디스플레이부(200) 및 연결부(300)는 움직임 없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In the second front viewing arrangement, the display unit 20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300 is supported by the keyboard unit 100. 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display unit 200 may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a free stop function of the first hinge unit (not shown) and the second hinge unit 31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connection unit 300 remain fixed without movement, unless the user applies a force exceeding a threshold value to the display unit 200 when using the touch screen.

이러한 제2 전방 시청 배치는 키보드부(100)의 입력키들(120) 및 디스플레이부(200)의 터치 스크린(210)이 모두 사용 가능한 점에서는 전술한 제1 전방 시청 배치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전방 시청 배치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측 하단부(221) 및 우측 하단부(222)가 키보드부(100)의 제1 고정홈(121) 및 제2 고정홈(122)에 삽입되지 않고 밖으로 이탈된 점에서 전술한 제1 전방 시청 배치와 구별된다. The second front viewing arrange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front viewing arrangement described above in that both the input keys 120 of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 touch screen 210 of the display unit 200 are usable. However, in the second front viewing arrangement, the lower left portion 221 and the lower right portion 222 of the display unit 100 are not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12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2 of the keyboard unit 100.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front viewing arrangement described above in that it deviates from the outside.

제2 전방 시청 배치에서도, 연결부(300)의 외측면들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연결부(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되며, 따라서 연결부(300)에 내장된 제어부(400)를 구성하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Even in the second front viewing arrangement, since the out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are exposed in the air, heat gene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00 is discharged more effectively, and thus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400 embed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00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heat.

다음으로 도 9를 설명한다.Next, Fig. 9 will be described.

포터블 디바이스(1)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될 때(즉,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를 커버링하지 않는 제1 배치에 있을 때), 포터블 디바이스(1)는 도 9에 도시된 후방 시청 배치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in the notebook mode (that is,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a first arrangement that does not cover the keyboard unit 100), the portable device 1 is viewed from the rear shown in FIG. 9 You can have a batch.

포터블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212)이 연결부(300)의 후면(352)에 안착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부(100)가 제2 회전축(X2, 도 2 참조)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제2 전방 배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후방 시청 배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X1, 도 2 참조)을 중심으로 한 연결부(300)의 회전을 통해 연결부(300)와 키보드(100)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portable device 1, the display unit 100 centers on the second rotation axis (X2, see FIG. 2) until the rear surface 212 of the display unit 100 is seated on the rear surface 352 of the connection unit 300. By further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front arrangement shown in FIG. 8 can be switched to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shown in FIG. 9. At this time, the angle between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keyboard 100 may be variously set through rota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0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X1, see FIG. 2).

이러한 후방 시청 배치에서 디스플레이부(200)는 연결부(300)에 지지되고 연결부(300)는 키보드부(100)에 지지된다. 그리고 연결부(300) 및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힌지 유닛(미도시) 및 제2 힌지 유닛(310)의 프리 스톱 기능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사용시 디스플레이부(200)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디스플레이부(200) 및 연결부(300)는 움직임 없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In this rear viewing arrangement, the display unit 20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300 is supported by the keyboard unit 100. 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display unit 200 may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a free stop function of the first hinge unit (not shown) and the second hinge unit 31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connection unit 300 remain fixed without movement, unless the user applies a force exceeding a threshold value to the display unit 200 when using the touch screen.

이러한 후방 시청 배치는 키보드부(100)의 입력키들(120) 및 디스플레이부(200)의 터치 스크린(210)이 모두 사용 가능한 점에서는 전술한 전방 시청 배치들과 동일하다. 하지만, 후방 시청 배치에서 터치 스크린(210)을 구비한 전면(211)이 후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터치 스크린(210)은 포터블 디바이스(1)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가 아닌 포터블 디바이스(1)의 후방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점에서 전술한 전방 시청 배치들과 구별된다. 따라서, 후방 시청 배치는 포터블 디바이스(1)의 전방에 위치한 제1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1)의 후방에 위치한 제2 사용자에게 터치 스크린(210)을 보이고자 할 때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This rear viewing arrangement is the same as the front viewing arrangements described above in that both the input keys 120 of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 touch screen 210 of the display unit 200 are usable. However, in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the front 211 with the touch screen 210 faces the rear, so that the touch screen 210 is located behind the portable device 1 and not the user in front of the portable device 1.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front viewing arrangements described above in that it can be used by other users. Therefore,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the first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portable device 1 wants to show the touch screen 210 to the second user located behind the portable device 1.

한편, 디스플레이부(200)의 배치가 전방 시청 배치로부터 후방 시청 배치로 전환될 때 제어부(400)는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킨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200)의 배치가 후방 시청 배치로부터 전방 시청 배치로 전환될 때에도 제어부(400)는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킨다.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위치 센서(미도시)가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배치 전환이 감지되며, 제어부(400)는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배치 전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하 반전 여부를 결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rrangement of the display unit 200 is switched from the front viewing arrangement to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the controller 400 inverts the top and bottom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Similarly, even when the arrangement of the display unit 200 is switched from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to the front viewing arrangement, the controller 400 inverts the top and bottom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The display unit 200 is equipped with a position sensor (not shown), and the arrangement switching of the display unit 200 is sensed, and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is inverted up or down based on the arrangement switching signal provided by the position sensor.

후방 시청 배치의 경우, 연결부(300)의 후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측면들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연결부(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며, 따라서 연결부(300)에 내장된 제어부(400)를 구성하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since the remaining outer surfaces except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are exposed in the air, heat gene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00 is effectively released, thus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400 built in the connecting portion 300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heat.

다음으로 도 10을 설명한다.Next, FIG. 10 will be described.

포터블 디바이스(1)가 태블릿 모드로 사용될 때(즉, 디스플레이부(200)가 키보드부(100)를 커버링하는 제2 배치에 있을 때), 포터블 디바이스(1)는 도 10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다.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in the tablet mode (that is,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 the second arrangement covering the keyboard unit 100), the portable device 1 has the form shown in FIG. 10. .

포터블 디바이스(1)는, 도 8에 도시된 제2 전방 시청 배치로부터 또는 도 9에 도시된 후방 시청 배치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배치로의 변경에 의해, 노트북 모드로부터 태블릿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1 can be switched from the laptop mode to the tablet mode by changing from the second front viewing arrangement shown in FIG. 8 or from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shown in FIG. 9 to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10. .

도 8에 도시된 제2 전방 시청 배치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배치로 변경될 경우, 연결부(300)가 키보드부(100)의 수용홈(160) 안에 수용될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12)이 연결부(300)의 후면(352)에 안착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부(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포터블 디바이스(1)의 사용 모드가 도 10에 도시된 태블릿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When changing from the second front viewing arrangement shown in FIG. 8 to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10, the connection portion 3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until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60 of the keyboard portion 100 and displayed. The display unit 2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until the rear surface 212 of the unit 200 is seated on the rear surface 352 of the connection unit 300, so that the use mode of the portable device 1 is illustrated in FIG. 10. Can be switched to tablet mode.

또한, 도 9에 도시된 제2 전방 시청 배치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배치로 변경될 경우, 디스플레이부(200)와 연결부(300) 간의 상대 이동 없이, 연결부(300)가 키보드부(100)의 수용홈(160) 안에 수용될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포터블 디바이스(1)의 사용 모드가 도 10에 도시된 태블릿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hanging from the second front viewing arrangement shown in FIG. 9 to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10, without a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connection unit 300, the connection unit 300 of the keyboard unit 100 By rotating counterclockwise until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60, the use mode of the portable device 1 can be switched to the tablet mode shown in FIG.

태블릿 모드에서 키보드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각도(α) 및 디스플레이부(200)와 연결부(300) 사이의 각도(γ)는 각각 180°이며 연결부(300)와 키보드부(100) 사이의 각도(β)는 0°임을 알 수 있다.In the tablet mode, the angle α between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angle γ between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connection unit 300 are 180 °,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keyboard unit ( It can be seen that the angle β between 100) is 0 °.

이러한 태블릿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00)는 연결부(300) 및 키보드부(100)에 지지되며 연결부(300)는 키보드부(100)에 지지된다. 그리고 연결부(300) 및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힌지 유닛(미도시) 및 제2 힌지 유닛(310)의 프리 스톱 기능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this tablet mode, the display unit 20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keyboard unit 100, and the connection unit 300 is supported by the keyboard unit 100. 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display unit 200 may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a free stop function of the first hinge unit (not shown) and the second hinge unit 310.

이러한 태블릿 모드에서, 키보드부(100)는 디스플레이부(200)에 의해 커버링되므로 키보드부(100)의 입력키들(120)은 사용될 수 없지만, 디스플레이부(200)의 터치 스크린(210)은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 가능하다. In this tablet mode, since the keyboard unit 100 is covered by the display unit 200, the input keys 120 of the keyboard unit 100 cannot be used, but the touch screen 210 of the display unit 200 is exposed. Therefore, it can be used.

한편, 포터블 디바이스(1)의 사용 모드를 도 10에 도시된 태블릿 모드로부터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노트북 모드들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우선 키보드부(100)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0)를 약간 이격시킨 후 제1 및 제2 회전축(X1,X2)을 중심으로 연결부(300) 및 디스플레이부(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술한 각도들(α,β,γ)을 적절히 조절한다. 이러한 태블릿 모드로부터 노트북 모드로의 전환 원리는 전술한 노트북 모드로부터 태블릿 모드로의 전환 원리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switch the use mode of the portable device 1 from the tablet mode shown in FIG. 10 to one of the notebook modes shown in FIGS. Adjusting the above-mentioned angles (α, β, γ) appropriately by rotating the connecting part 300 and the display part 100 arou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axes X1, X2 after slightly separating the part 200 do. The principle of switching from the tablet mode to the notebook mode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of switching from the notebook mode to the tablet mod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1)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노트북 모드 또는 태블릿 모드로 배치될 수 있다. 노트북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00)는 전방 시청 배치 또는 후방 시청 배치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러한 전방 또는 후방 시청 배치에서 디스플레이부(100)는 연결부(3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in a laptop mode or a tablet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the notebook mode, the display unit 100 may be set to a front viewing arrangement or a rear viewing arrangement, and in such a front or rear viewing arrangement, the display unit 100 may be stably supported by the connection unit 3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1)는 제어부(400)가 연결부(300)에 내장된 점에서 기존의 다른 포터블 디바이스들과 또한 구별되며, 이처럼 제어부(400)가 연결부(300)에 내장되므로 제어부(400)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들을, 특히 노트북 모드로 사용시, 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inguished from other existing portable devices in that the control unit 400 is embedded in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us the control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300 ), The electron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400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from heat, especially when used in a notebook mode.

1 : 포터블 디바이스 100 : 키보드부
101 : 제1 영역 102 : 제2 영역
110 : 상면 120 : 입력키
121 : 좌측 고정홈 122 : 우측 고정홈
160 : 수용홈 170 : 수용홀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터치 스크린
221 : 좌측 하단부 222 : 우측 하단부
300 : 연결부 310 : 제2 힌지유닛
361,362 : 입출력 포트 400 : 제어부
DESCRIPTION OF SYMBOLS 1 Portable device 100 Keyboard part
101: first area 102: second area
110: upper surface 120: input key
121: left fixing groove 122: right fixing groove
160: accommodation home 170: accommodation hall
200: display 210: touch screen
221: lower left part 222: lower right part
300: connecting portion 310: second hinge unit
361,362: input / output port 400: control unit

Claims (17)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키보드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보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키보드부를 커버링 또는 언커버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내장되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키보드부를 커버링하는 제1 배치 또는 상기 키보드부를 언커버링하는 제2 배치로 배치되고,
상기 키보드부는 상기 제1 배치에 있는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며 상하로 개방된 수용홀을 갖는 포터블 디바이스.
In a portable device,
Keyboard unit;
Display unit;
A connection unit mov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keyboard unit and the display unit to support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covers or uncovers the keyboard unit; And
Included in the connection uni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in a first arrangement covering the keyboard portion or a second arrangement uncovering the keyboard por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keyboard portion is a portable device that accommodates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first arrangement and has a receiving hole opened up and dow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배치 및 상기 제2 배치에 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은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screen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 portable device in which the touch screen remains exposed when the display unit is in the first arrangement and the second arrange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키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on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keyboard unit about a first rotation axis, and the display unit is a portable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to be rotatable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first rotation ax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키보드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된 포터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unit is hinged to the keyboard unit, and the display unit is a portable device hinged to the connec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배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키보드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들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display unit is in the second arrangement, the connection unit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keyboard unit so that the out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unit are exposed in the 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의 상면은 상기 제1 배치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갖는 포터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4,
The upper surface of the keyboard unit is a portable device having at least one fixing groove into which a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in the first arrangement is inser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우측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9,
The at least one fixing groove,
A first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inserted; And
And a second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inser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는, 상기 키보드부에 평행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키보드부의 입력키들이 구비된 제1 영역 및 상기 입력키들이 구비되지 않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간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9,
The keyboard portion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in which the input keys are provided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input keys are not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keyboard portion and parallel to the first rotation axis.
The 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a portable device dispos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배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방에서 시청 가능한 전방 시청 배치;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후방에서 시청 가능한 후방 시청 배치;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arrangement of the display unit,
A front viewing arrangement in which the touch screen is viewable from the front of the portable device; And
And a rear viewing arrangement in which the touch screen is viewable from the rear of the portable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가 상기 전방 시청 배치로부터 상기 후방 시청 배치로 전환될 때 또는 상기 후방 시청 배치로부터 상기 전방 시청 배치로 전환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포터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arrangement of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from the front viewing arrangement to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or when switching from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to the front viewing arrangement, the control unit inverts the top and bottom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후방 시청 배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은 상기 연결부의 후면에 안착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display unit is in the rear viewing arrangement,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is se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는 상기 키보드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 중앙부에 연결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4,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keyboard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a rear center part of the displa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with the keyboard unit and the display unit;
A storage unit in which a program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And
And a calculator configured to execute the program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unit is a portable device having at least one input / output port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n external device.
KR1020130033770A 2012-08-28 2013-03-28 Portable device KR102091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40,538 US9715251B2 (en) 2012-08-28 2013-07-12 Portable device
EP13176707.1A EP2703935B1 (en) 2012-08-28 2013-07-16 Portable device
CN201310341593.3A CN103677115B (en) 2012-08-28 2013-08-07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550 2012-08-28
KR20120094550 2012-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20A KR20140029120A (en) 2014-03-10
KR102091007B1 true KR102091007B1 (en) 2020-03-19

Family

ID=5064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770A KR102091007B1 (en) 2012-08-28 2013-03-28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0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852B1 (en) * 2001-08-07 2007-01-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apacitor assembly for an alternator and a ma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4445B (en) * 2018-08-24 2020-09-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Notebook computer with functional bod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0634A1 (en) 2005-08-04 2007-02-08 Arif Maskatia Portable computer
US20070223184A1 (en) * 2006-03-27 2007-09-27 Garrett Roderick D Portable electronic monitor stand
US20080024975A1 (en) 2006-07-26 2008-01-31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function of adjusting tilt angle of body and base thereof
JP2012008929A (en) * 2010-06-28 2012-01-12 Sharp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9505B2 (en) * 2004-10-08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Direct hinge for optimizing conver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0634A1 (en) 2005-08-04 2007-02-08 Arif Maskatia Portable computer
US20070223184A1 (en) * 2006-03-27 2007-09-27 Garrett Roderick D Portable electronic monitor stand
US20080024975A1 (en) 2006-07-26 2008-01-31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function of adjusting tilt angle of body and base thereof
JP2012008929A (en) * 2010-06-28 2012-01-12 Sharp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852B1 (en) * 2001-08-07 2007-01-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apacitor assembly for an alternator and a ma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20A (en)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3935B1 (en) Portable device
US9600036B2 (en) Hinge device for a portable computer
CN106774671B (en) Control method of foldable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US73364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witch for inputting key data
JP2013161255A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112667B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50115911A (en) Add-on input device
EP3430501B1 (en) Stylus with an adjustable dimension
US20140375194A1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KR20210016236A (en) A cover capable of storing a pen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over
US9268359B2 (en) Tablet apparatus
KR102091007B1 (en) Portable device
JP2013011977A (en) Tablet computer case
KR101192635B1 (en) Portable device which has the sliding movement or tilt, rotary type display module and the security method of app serviced download
TW202006499A (en) Supporting device
US7580256B2 (en) Hook structure
KR2007004909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WI510892B (en) Electronic apparatus
CN104181977A (en) Electronic device
JPH11284363A (en) Equipment with structure having cover
KR200485127Y1 (en) Smart phone combined with note book
JP2010039971A (en) Display device
WO2018029700A1 (en) An improv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0315194A (en)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