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881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smart device to easily overlaying and restoring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content on an tv broadcast scree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smart device to easily overlaying and restoring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content on an tv broadcast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881B1
KR102090881B1 KR1020180135955A KR20180135955A KR102090881B1 KR 102090881 B1 KR102090881 B1 KR 102090881B1 KR 1020180135955 A KR1020180135955 A KR 1020180135955A KR 20180135955 A KR20180135955 A KR 20180135955A KR 102090881 B1 KR102090881 B1 KR 10209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interface
display device
displayed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성
장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Priority to KR102018013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8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8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tructure for a ser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UI) to conveniently overlay and restore content received by an external device on a TV broadcast scre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the UI may comprise the steps of: configuring the UI for overlaying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r more piece of content on a display device based on an application (App) of a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content of a broadcast channel and at least one or more external device to be overlaid and outputted to the display device at the same time based on inputted or selected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figured UI.

Description

외장 디바이스 수신 콘텐츠를 간편하게 TV 방송 화면에 오버레이 및 원상복구하기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용 서비스 앱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SMART DEVICE TO EASILY OVERLAYING AND RESTORING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CONTENT ON AN TV BROADCAST SCREEN}Service App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Devices for Easily Overlaying and Restoring External Device Receiving Content on TV Broadcast Screens AN TV BROADCAST SCREEN}

아래의 설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화면에 별도의 또 다른 콘텐츠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for overlaying another content on a screen of content output to a display device.

기존 TV 서비스에서 Picture in Picture 서비스는 전용 TV 리모콘 키 입력을 통해 인위적으로 채널이나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다중 콘텐츠 출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TV 서비스 메뉴에서 전용메뉴를 선택/설정하거나, EPG화면에서 현재 채널화면을 작게 표시한다. 리모콘 키를 통한 TV 화면상의 메뉴 조작방식은 동일 매체로 수신하는 서로 다른 채널을 동시 디스플레이 해주는 서비스에 맞춘 단순한 서비스 인터페이스이다. 이에 따라 기존 방송 채널 이외에 인터넷 기반 콘텐츠도 TV 시청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수용하기 위한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In the existing TV service, the Picture in Picture service provides multi-content output by artificially selecting a channel or a corresponding menu through a dedicated TV remote key input. For example, a dedicated menu is selected / set from the TV service menu, or the current channel screen is displayed small on the EPG screen. The menu operation method on the TV screen through the remote control key is a simple service interface tailored to a service that simultaneously displays different channels received on the same medium.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broadcasting channels, Internet-based content is also increasing in the number of TV viewing cases, so a service is needed to accommodate this.

스마트 기기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출력되는 콘텐츠에 모바일 및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a service application for a smart device, a user interface for overlaying content received from a mobi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may be provided to content output to a display device.

스마트 기기에서 수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동시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performed on a smart device includes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for overlaying and outputting at least one content on a display device based on an application (App) of the smart device; And overlaying the content of the broadcast channel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input or selected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figured user interface, and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단말 기기와 페어링되어 오버레이 서비스를 위한 설정 정보 및 오버레이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that is paired with a terminal device to provid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verlay service and a control service for controlling the overlay service as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is executed. You can.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크기, 위치 및 연동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1/2크기, 1/4 크기, 1/8 크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크기가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위치가 설정되고, 미디어 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파일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와 외장 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선택하여 모바일 및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츠를 연동하기 위한 사전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사전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연동된 콘텐츠들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의 오버레이를 위한 셋팅이 완료될 수 있다. The configuring of the user interface includes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preset information including size, position, and devic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to display the content for overlaying on a display device. , The controlling step is based on the same size, 1/2 size, 1/4 size, 1/8 size, or siz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based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or the content to be overlaid The size is set, the location includ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is set based on the preset criteria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includes a media app, a file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and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Select the port to connect the mobile content and external media And setting preset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content related to a bar and an external device, and setting for overlaying the interlocked content and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preset information is completed. Can be.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함께, 동시에 시청하고자 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미디어 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파일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와 외장 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선택함에 따라 외부 콘텐츠가 연동되고, 상기 연동된 콘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표시된 콘텐츠의 목록 중 콘텐츠가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오버레이되어 동시에 시청이 가능할 수 있다. The step of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includes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contents to be view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ling step includes: a media app, a mobile device External content is interlocked by selecting a port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with a mobile content including a screen of a file and a mobile device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a list of the linked content is displayed, and the displayed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receiving the content selected from the list of, and the selected content is overlaid with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o be viewed at the same time.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Overlay)하는 오버레이 실행 상태 및 미실행 상태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버레이(Overlay) 실행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콘텐츠에 대한 크기 조정, 위치 조정, 콘텐츠 간 반전/복귀, 오버레이 서비스 종료 및 서비스 제어를 종료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Overlay) 실행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1/2크기, 1/4 크기, 1/8 크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크기가 조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간 위치가 반전 또는 복귀되고, 상기 오버레이 실행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들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figur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differently according to an overlaid execution state and a non-execution state of overlaying at least one content to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in the overlay execution stat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sizing, repositioning, reversing / returning contents, overlay service termination, and service control for content overlaid on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tep, the controlling step, in the overlay (Overlay) execution state, the content overlaid on th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same size based on th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2 The size is adjusted based on the size, 1/4 size, 1/8 size, or siz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nd a position including up, down, left, and right based on a preset criterion i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Content adjus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Located between the reverse or return, it may include a step in which control content to be displayed as an overlay on the display device at the overlay running.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된 설정 정보와 콘텐츠의 오버레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단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설정 및 제어 처리를 중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와 페어링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설정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화면을 상기 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변형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ing step includes transmitting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control information for service control in relation to overlay of content to a terminal device, and in the terminal device, setting and controlling for service provision As the application for relaying the process is installed and executed, it is paired with the smart device, stores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transforms th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t setting information I can do it.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오버레이하여 동시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smart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ludes: an interface component configured to configure a user interface for overlaying and outputting at least one content to a display device based on an application (App) of the smart device;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content of the broadcast channel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ver the display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nput or selected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figured user interface.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app)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동일 매체 기반의 복수의 방송 채널뿐만 아니라 방송 채널 및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오버레이함으로써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 설정 및 제어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By using a smart device application (app) -based user interfa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ervice setting and control interface that can be viewed simultaneously by freely selecting and overlaying contents of a broadcast channel and an external device as well as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based on the same medium.

스마트 기기와 단말 기기(셋톱박스 또는 스마트 TV)가 무선으로 페어링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화면에 오버레이할 콘텐츠의 소스를 선택 및 설정되어 방송 시청 시 편리하게 사전 설정한 콘텐츠를 화면에 오버레이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is touched while the smart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set-top box or smart TV) are wirelessly paired, and the source of the content to be overlaid on the broadcas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selected and set. When watching, the preset content can be conveniently overlaid on the scree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서비스를 위한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및 도 3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오버레이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및 단말 기기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오버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each configuration for an overla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setting information in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 related to an overlay service in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components of a smart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providing an overlay service through a user interface in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서비스를 위한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each configuration for an overla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스마트 기기(10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의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기기(100)로 스마트 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 기기(10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 예를 들면, 단말 기기(예를 들면, 셋톱 박스)(11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100)는 스마트 기기(100)에 파일(예를 들면, 이미지, 문서, 동영상, 음악 등)을 내장할 수 있고, 인터넷 검색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모바일 방송 및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smart device 100 may be a fixed terminal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a mobile terminal. Examples of the smart device 100 include a smart phone, mobile phone, navigation, computer, notebook,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tablet PC. In an embodiment, the smart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mart phone. The smart device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communicating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terminal device (eg, a set-top box) 110 through a network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the smart device 100 may embed files (eg, images, documents, videos, music, etc.) in the smart device 100 and receive mobile broadcasts and contents through an Internet search or an application. .

단말 기기(110)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 박스 또는 스마트 TV일 수 있다. 셋톱 박스는 외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예를 들면, TV)(150)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유선 및 무선의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150)를 통해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의 일종이다. 이러한, 셋톱박스는 종류에 따라 IPTV, 케이블TV, 위성TV, 지상파TV 등의 방송 채널(120)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50)에 출력하도록 각각 제공하거나 복수의 매체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TV는 디스플레이 기기(예를 들면, TV)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결합한 것으로, 각종 어플리케이션(app)을 설치하여 웹 서핑 및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 TV를 의미한다. The terminal device 110 may be a set-top box or a smart TV that provides a broadcast service. A set-top box is a device that converts an externally transmitted signal and transmits it to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TV) 150,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wired and wireless transmission channel, and receiving the digital broadcast It is a kind of converter that converts a signal into a displayable format through a display device 150 such as a TV. According to the type, the set-top box may receive broadcast channels 120 such as IPTV, cable TV, satellite TV, and terrestrial TV, and output them to the display device 150, or simultaneously support a plurality of media. In addition, the smart TV is a combination of Internet access function on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TV), by installing various applications (app), surfing the web and watching VOD,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games, etc. It means a multi-functional TV that can utilize various functions.

외부 디바이스(130)는 스마트 기기(100)에 연결 가능한 작은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USB와 같은 이동식 저장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디바이스(130)는 스마트 기기(100)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150)의 외장 매체를 연결하는 포트에 연결되어 파일을 옮기거나 저장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130 may mean a smal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100. It may mean a removable storage medium such as USB.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130 is connected to a port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of the smart device 100 or the display device 150 to move or store a file.

디스플레이 기기(150)는 모니터, TV 혹은 전자 액자와 같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150)는 단말 기기(110)로부터 전달되는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50 may mean a device that displays content, such as a monitor, TV, or electronic picture frame. The display device 150 may display broadcast content delivered from the terminal device 110.

도 2는 및 도 3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setting information in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고하면, 스마트 기기(100)에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별도의 콘텐츠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하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오버레이 서비스를 위한 설정 정보 및 오버레이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n application for overlaying separate content on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n the smart device 100 may be installed and executed. A user interface may be configured to overlay at least one content on the display device based on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smart device 100. The smart device 100 may configure a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verlay service and a control service for displaying content to be overlaid.

스마트 기기(100)는 오버레이 서비스와 관련된 환경 설정을 위한 '사전 설정 하기' 유저 인터페이스(210) 및 콘텐츠 오버레이스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한 '지금보기' 유저 인터페이스(2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오버레이 서비스와 관련된 안내문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전 설정하기' 유저 인터페이스(210)를 선택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100 may provide a 'preset' user interface 210 for setting an environment related to an overlay service and a 'view now' user interface 220 for viewing a content overlay service. At this time, a guidance related to the content overlay service may also be provided.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he 'preset' user interface 210.

스마트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사전 설정하기' 유저 인터페이스(210)에 대응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전 설정하기'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예를 들면,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들을 연동시키고, 연동된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 기기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의 크기, 위치 등을 설정 및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출력되는 콘텐츠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와 관련된 사전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사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오버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100 may provide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e-setting' user interface 210 selected from the user. At this time, 'pre-setting' interlocks content for overlaying the content (for exampl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sets the size, position, etc. of the content for overlaying the interlocked content on the display device and It can mean saving. The smart device 100 may set preset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for overlaying on content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and may perform overlay based on the preset information.

일례로, 스마트 기기(100)는 오버레이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의 크기(201), 화면의 위치(202), 같이 보기(203) 및 연동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저장' 유저 인터페이스(204)를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smart device 100 includes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ize of the screen 201 for displaying the content to be overlaid on the display device, the location 202 of the screen, the view 203, and device information for interwork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ve settings' user interface 204 for setting.

화면의 크기(201)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스마트 기기(100)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1/2크기, 1/4 크기, 1/8 크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크기 정보 중 하나의 크기를 선택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란 현재 수신되어 재생되는 방송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버레이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1/2크기, 1/4 크기, 1/8 크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크기 정보 중 하나의 크기에 기반하여 화면의 크기(201)를 설정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size 201 user interface of the screen, the smart device 100 is the same size, 1/2 size, 1/4 size, 1/8 size, or siz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based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select one of the sizes. For exampl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ay mean broadcast content that is currently received and played. Based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user can overlay the content to be overlayed based on the size of the screen based on one of the same size, 1/2 size, 1/4 size, 1/8 size, or siz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 Can be set.

화면의 위치(202)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스마트 기기(100)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화면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버레이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화면과 관련된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화면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With respect to the screen location 202 user interface, the smart device 100 provides a user interface to set the screen position includ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based on criteria set i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can do. The user can set the position of the screen including the top, bottom, and left and right based on a preset criterion related to the screen of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같이보기(203)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매체를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미디어 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파일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와 외장 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선택하여 모바일 및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츠를 연동하기 위한 사전 설정 정보가 설정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100)는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의 저장 장소(예를 들면, 모바일 또는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모바일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내장 파일 및 모바일 화면을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모바일에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내장 파일 및 모바일 화면이 모두 선택될 경우, 모바일에 설치되거나 또는 모바일에서 실행되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모바일의 내장 파일 및 모바일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선택함에 따라 각각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100)는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외장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정보를 선택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USB 포트에 대응하는 외장 매체를 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사전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연동된 콘텐츠들과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의 오버레이를 위한 셋팅이 완료될 수 있다.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203, the medium to be overlaid may be set. The smart device 100 selects a port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with mobile content including a media app, a file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and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nd preset information for linking content related to mobile and external devices. It can provide a user interface to be set. For example, the smart device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o select a storage location (eg, a mobile or external device) of content for overlaying. The smart device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related to mobile, a built-in file, and a mobile screen, and may be stored based on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user. If a user selects a media application, a built-in file, and a mobile screen on the mobile, the media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mobile or executed on the mobile, a built-in file on the mobile, and a scree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are respectively supported. The content can be interlocked. In addition, the smart device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o select port information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rela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user can select a USB port for connecting from an external device. The smart device 100 may link external media corresponding to the USB port selected by the user. In this way, the setting for overlaying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ith the linked content based on the preset information set may be completed.

도 3을 참고하면, 스마트 기기(100)는 콘텐츠 오버레이스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한 '지금보기' 유저 인터페이스(220)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지금보기' 유저 인터페이스(220)가 선택됨에 따라 스마트 기기(100)는 '지금보기' 유저 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화면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를 연동 및 환경 설정을 완료하였기 때문에 연동된 콘텐츠들 중에서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를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smart device 100 may provide a 'view now' user interface 220 for viewing a content overlay service. As the 'view now' user interface 22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mart device 100 selects the content to be overlaid on the screen o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view now' user interface 220. Interface. At this ti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since the content for overlaying and the environment setting are completed based on the preset information, it is only necessary to select the content for overlaying among the linked content.

스마트 기기(100)는 미디어 앱(310), 마이 파일(320), 마이 파일(외장)(330) 및 내 모바일 화면(340)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앱(310)은 유투브(Youtube), 클라우드 영상 앱 등 특정 앱 기반의 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 파일(320)은 스마트 기기(100)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마이 파일(외장)(330)은 단말 기기의 USB 포트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외장 스토리지)의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내 모바일 화면(340)은 현재 사용중인 스마트 폰의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o select one or more of the media app 310, my file 320, my file (external) 330, and my mobile screen 340. The media app 310 may include media based on a specific app, such as a Youtube or a cloud video app. The my file 320 may mean a file (eg, a media fil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smart device 100. The my file (external) 330 may mean a file of an external device (external storage) connected to a USB port of the terminal device. My mobile screen 340 may mean a screen of a smart phone currently being used.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앱(310)이 선택됨에 따라 스마트 기기(100)는 스마트 기기(100)에 설치된 미디어 앱에 재생되는 콘텐츠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마이 파일(320)이 선택됨에 따라 스마트 기기(100)에 내장된 파일들(예를 들면,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등)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마이 파일(외장)(330)이 선택됨에 따라 단말 기기(110)에 연동된 외장 매체의 파일들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리스트에 기초하여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 모바일 화면(340)으로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에 현재 표시된 모바일 화면을 선택할 수 있고, 고, 현재 표시된 모바일 화면이 미러링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the media app 310 is selected from the user, the smart device 100 may provide a list for overlaying the content played on the media app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100. As the my file 320 is selected by the user, files (eg, music files, video files, image files, etc.) embedded in the smart device 100 may be provided as a list for overlaying. In addition, as the My File (external) 330 is selected from the user, it may be provided as a list for overlaying the files of the external media linked to the terminal device 110. The user can select content to overlay based on each list. The user may select the mobile screen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100 as my mobile screen 340, and the high and currently displayed mobile screen may be mirrored.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파일(콘텐츠)이 선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오버레이/합성이 시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에 오버레이된 콘텐츠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기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오버레이되어 동시에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콘텐츠가 선택될 경우, 화면에 복수 개의 오버레이된 콘텐츠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s such, as the file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user, overlay / compositing with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ay start. Content overlaid on a part of the screen on which the content of the display device is displayed may be displayed together. The content selected from the user is overlaid with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so that viewing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Further,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are selected from a user, a plurality of overlaid content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오버레이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 related to an overlay service in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례로, 디스플레이 기기(150)에 A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기기(150)에 A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에 오버레이된 B 콘텐츠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콘텐츠와 B콘텐츠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50. In this case, the B content overlaid on a part of the screen on which the A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50 may be displayed together. Accordingly, the A content and the B content can be viewed simultaneously.

스마트 기기(100)는 오버레이 서비스가 실행 또는 미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100)에서 설정된 설정 정보와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단말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스마트 기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 기기(100)는 오버레이 서비스가 실행 또는 미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100)는 설정된 설정 정보와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단말 기기에 전달한 시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오버레이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오버레이 서비스의 실행 또는 미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100 may detect whether the overlay service is running or not. For example, information including setting information set in the smart device 100 and content to be overlaid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At this time, as the terminal device receives the information, a response message may be delivered to the smart device 100. Accordingly, the smart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overlay service is running or not. Alternatively, the smart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overlay service is being executed after a preset time based on a time when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ontent to be overlaid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In addition, various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verlay service is executed may be applied.

스마트 기기(100)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Overlay)하는 오버레이 실행 상태 및 미실행 상태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만약, 스마트 기기(100)는 오버레이 실행 상태임을 감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면의 크기, 화면의 위치, 콘텐츠 간 반전/복귀, 오버레이 서비스 종료 및 서비스 제어를 종료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오버레이 서비스를 이용 중에 서비스를 제어하고자 할 때, 오버레이 실행 상태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4와 같이, 스마트 기기(100)는 같이 보기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100 may configure the user interface differently according to an overlaid execution state and a non-execution state of overlaying at least one content to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f the smart device 100 detects that the overlay is running, the size of the screen for the content overlaid on th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position of the screen, the inversion / return between contents, the overlay service termination and the service control termination User interface. Alternatively, when the user wants to control the service while using the overlay service,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overlay execution state may be provided.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4, the smart device 100 may provide a remote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viewing service together.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100)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콘텐츠의 크기 조정(410), 위치 조정(420), 콘텐츠 간 반전/복귀(430), 돌아가기(440), 오버레이 서비스를 종료하는 서비스 종료(450) 및 서비스 제어를 종료하는 리모콘 끄기(off)(460)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mart device 100 adjusts the size of the content overlaid on th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410, adjusts the position 420, inverts / returns between content 430, returns 440, and overlays.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for ending a service 450 for ending a service and turning off a remote control 460 for ending service control.

크기 조정(410)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오버레이 실행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1/2크기, 1/4 크기, 1/8 크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크기 정보 중 하나의 크기에 기반하여 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Resizing 410 With respect to the user interface, in a state in which an overlay is executed, a user has the same size, 1/2 size, 1/4 based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ent overlaid on th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size of the screen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size, one-eighth size, or one siz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위치 조정(420)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화면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위치를 드래그함으로써 콘텐츠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위치가 조정되지 않을 경우, 오버레이되는 콘텐츠의 위치가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위치뿐만 아니라 크기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크기도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기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가 분석되어 콘텐츠가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오버레이되는 콘텐츠의 크기 및 위치가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Position Adjustment 420 With respect to the user interface, a user may set a position of a screen including upper, lower, and left and right based on a preset criterion for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lso, the location of the content may be adjusted by dragging a location that the user wants to overlay. If the position is not adjus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overlaid content may be automatically arranged. At this time, if the size as well as the position is not set, the size may also be set automatically. For example,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ay be analyzed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ontent overlaid on a line where the content is not disturbed may be automatically set.

반전/복귀(430)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간 크기를 반전 또는 복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주콘텐츠와 오버레이된 부콘텐츠를 반전시킬 수 있다. 이때, 주콘텐츠란 방송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고, 부콘텐츠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에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주 콘텐츠의 크기는 부 콘텐츠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주 콘텐츠의 크기와 부 콘텐츠의 크기가 반전될 수 있고, 또는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In relation to the invert / return 430 user interface, the user may invert or return the size between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user may invert the main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sub-content overlaid. In this case, the main content may mean content displayed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nd the sub content may mean content displayed by being overlaid on a part of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broadcast channel.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main content may be set and display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ub content, but the size of the main content and the size of the sub content may be reversed or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

돌아가기(440)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 기기(15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들(예를 들면, 방송 콘텐츠와 오버레이된 콘텐츠)의 상태를 조작하지 않고, 현재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도 2와 같은 메뉴로 복귀할 수 있다. In connection with the return 440 user interface, the user can maintain the current state without manipulating the state of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50 (eg, content overlaid with broadcast content).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menu shown in FIG. 2.

서비스 종료(450)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오버레이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 끄기(460)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서비스 제어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Service Termination 450 With respect to the user interface, the user may terminate the overlay service.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remote control off 460, the user may terminate the service control function.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및 단말 기기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a smart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스마트 기기(100)에 같이보기 서비스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에 설치된 같이보기 서비스 앱을 통하여 단말 기기(110)와 페어링되어 오버레이 서비스를 위한 환경 설정 및 오버레이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에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기기(110)는 같이보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단말 기기(110)는 같이보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100)와 페어링되어 스마트 기기(100)를 통한 설정 및 제어 처리를 중계할 수 있다. The view service app may be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100. It can be paired with the terminal device 110 through the view service app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100 to provide a control service when setting environment for overlay service and displaying overlay content. The terminal device 110 may be installed with the viewing service application. The terminal device 110 may be paired with the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view service application to relay setting and control processing through the smart device 100.

단말 기기(110)는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설정된 사전 설정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설정 정보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기기(110)는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설정된 오버레이할 콘텐츠의 크기, 위치,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들의 정보 및 연동하기 위한 외부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10 may receive preset information set from the smart device 100 and store it in a database (setting information storage).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10 may stor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ize, location, content of the content to be overlaid, and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to interwork, set from the smart device 100.

스크린 매니저는 오버레이 서비스를 위한 설정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기기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화면을 설정 정보에 따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에 오버레이 서비스에 따른 통합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또 다른 콘텐츠가 오버레이된 통합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The screen manager may synthesize and display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verlay service. In other words, th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ly, the integrated screen according to the overlay servic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other words, an integrated screen in which another content is overlaid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ay be displayed.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4)은 RF 수신 영상 플레이어(515) 및 파일/스트림 플레이어(516)를 포함할 수 있다. RF 수신 영상 플레이어(515)는 방송 튜너(Tuner)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재생기를 의미할 수 있다. 파일/스트림 플레이어(516)는 로컬 스토리지 저장 파일, DLNA 기반의 네트워크 공유 파일, IP스트림 수신 영상 재생기를 의미할 수 있다. Media application 514 may include an RF-received video player 515 and a file / stream player 516. The RF reception image player 515 may mean an image player received from a broadcast tuner. The file / stream player 516 may refer to a local storage storage file, a DLNA-based network shared file, or an IP stream receiving image player.

모바일 미디어 앱 서비스 연동부(517)는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는 미디어 앱을 연동할 수 있다. 모바일 영상 수신부(518)는 스마트 기기에 저장된 파일을 스트리밍 시 수신 처리할 수 있다. The mobile media app service linker 517 may link a media app running on the smart device. The mobile image receiving unit 518 may receive and process a file stored in the smart device when streaming.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오버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providing an overlay service through a user interface in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스마트 기기(100)의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 구성부(610) 및 제어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스마트 기기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도 7의 오버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710 내지 720)을 수행하도록 스마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of the smart device 100 may include an interface configuration unit 610 and a control unit 620.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or may be expressions of different fun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provided by the program code stored in the smart device. The processor and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smart device to perform steps 710 to 720 includ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overlay service of FIG. 7. At this time, the processor and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code of the operating system included in the memory and the code of at least one program.

프로세서는 오버레이 서비스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의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하도록 스마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구성부(610) 및 제어부(620) 각각은 메모리에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 중 대응하는 부분의 명령을 실행하여 이후 단계들(710 내지 720)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서로 다른 기능적 표현들일 수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 기기(100)이외의 다른 기기들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된 설정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load program code stored in a file of a program for an overlay service method into memory. For example, when a program is executed on a smart devic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smart device to load program code from a file of the program into a memory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ng system. At this time, each of the processor and the interface configuration unit 610 and the control unit 620 included in the processor executes an instruction of a corresponding part of the program code loaded in the memory to execute subsequent steps 710 to 720. It can be different functional expressions. In addi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other than the smart device 100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sett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set through a user interface may be further included.

단계(710)에서 인터페이스 구성부(610)는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성부(610)는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단말 기기와 페어링되어 오버레이 서비스를 위한 설정 정보 및 오버레이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성부(610)는 오버레이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크기, 위치 및 연동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성부(610)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함께, 동시에 시청하고자 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성부(610)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Overlay)하는 오버레이 실행 상태 및 미실행 상태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고, 오버레이(Overlay) 실행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콘텐츠에 대한 크기 조정, 위치 조정, 콘텐츠 간 반전/복귀, 오버레이 서비스 종료 및 서비스 제어를 종료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operation 710, the interface configuration unit 610 may configure a user interface for overlaying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r more contents to a display device based on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The interface configuration unit 610 may configure a user interface that is paired with a terminal device as an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is executed and provides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verlay service and a control service for controlling the overlay service. The interface configuration unit 61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preset information including size, position, and device information for interworking to display content to be overlaid on a display device. The interface configuration unit 61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content to be viewed simultaneously with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interface configuration unit 610 may configure a user interface differently according to an overlay execution state and a non-running state that overlays at least one content to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and in an overlay execution state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resizing, repositioning, reversing / returning contents, overlay service termination, and service control for content overlaid on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단계(720)에서 제어부(620)는 구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동시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1/2크기, 1/4 크기, 1/8 크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크기가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위치가 설정되고, 미디어 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파일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와 외장 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선택하여 모바일 및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츠를 연동하기 위한 사전 설정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620)는 미디어 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파일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와 외장 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선택함에 따라 외부 콘텐츠가 연동되고, 연동된 콘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고,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된 콘텐츠의 목록 중 콘텐츠가 선택됨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오버레이(Overlay) 실행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1/2크기, 1/4 크기, 1/8 크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크기를 조정하고,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위치를 조정하고,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간 크기를 반전 또는 복귀시키고, 오버레이 실행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된 설정 정보와 콘텐츠의 오버레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단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In operation 720, the control unit 620 may control to overlay the content of the broadcast channel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n the basis of the input or selected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figured user interface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 The control unit 620 sets the size for the content to be overlaid based on the same size, 1/2 size, 1/4 size, 1/8 size, or siz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based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location includ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is set based on a preset criterion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media app, the mobile content including the files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and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nd Preset information for linking content related to mobile and external devices may be set by selecting a port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The control unit 620 selects a port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with mobile content including a media app, a file embedded in a mobile device, and a screen of a mobile device, and external content is interlocked and displays a list of linked content, ,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ontent selected from a list of displayed content through a user interface. In an overlay execution state, the control unit 620 sets the content that is overlaid on th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o the same size, 1/2 size, 1/4 size, 1 / based on th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8 Adjust the size based on the size or siz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djust the position including up, down, left and right based on the preset criteria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adjust the size betwe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size can be reversed or returned, and contents displayed as an overlay on a display device in an overlay execution state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 unit 620 ma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for service control in relation to the overlay of th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ontent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o the terminal device.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 / or combinations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for example, processors, controllers, arithmetic logic units (ALUs), digital signal processors (micro signal processors), microcomputer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one being used,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Can be embodied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a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the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7)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동시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함께, 동시에 시청하고자 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미디어 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파일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와 외장 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선택함에 따라 외부 콘텐츠가 연동되고, 상기 연동된 콘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표시된 콘텐츠의 목록 중 콘텐츠가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스마트 기기는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외장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정보를 선택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외부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가 선택되면, 스마트 기기는 선택된 USB 포트에 대응하는 외장 매체를 연동하고, 미리 설정된 사전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연동된 콘텐츠들과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의 오버레이를 위한 셋팅을 완료하여, 동일 매체 기반의 복수의 방송 채널뿐만 아니라 방송 채널 및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오버레이함으로써 동시에 시청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for overlaying and outputting at least one content on a display device based on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broadcast channel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be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input or selected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figured user interface.
Including,
The step of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content to be viewed simultaneously with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ing step,
External content is interlocked, a list of the interlocked content is displayed, and the user interface is selected by selecting a port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with a mobile app including a media app, a file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and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Receiving a content selected from a list of the displayed content through
Including,
The smart device provides a user interface to select port information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rela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when a USB port for connecting from an external device is selected, the smart device interlocks an external mediu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B port and By completing the setting for overlay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ith the linked contents based on the preset information set in advance, by overlaying the contents of the broadcasting channel and the external device as well as a plurality of broadcasting channels based on the same medium Simultaneous viewing
How to provide a user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단말 기기와 페어링되어 오버레이 서비스를 위한 설정 정보 및 오버레이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As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is executed, pairing with a terminal device to configure a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verlay service and a control service for controlling the overlay service.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크기, 위치 및 연동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하기 위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1/2크기, 1/4 크기, 1/8 크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크기가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위치가 설정되고, 미디어 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파일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와 외장 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선택하여 모바일 및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츠를 연동하기 위한 사전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사전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연동된 콘텐츠들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의 오버레이를 위한 셋팅이 완료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preset information including size, position, and device information for interworking to display the content for overlaying on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ing step,
For the content to be overlaid, a size is set based on the same size, 1/2 size, 1/4 size, 1/8 size, or siz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based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Based on the preset criteria for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positions including up, down, left, and right are set, and mobile content and external media including media apps, files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and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re set. Step in which preset information for linking content related to mobile and external devices is set by selecting a port for connection
Including,
Based on the preset information set, the setting for overlaying the linked content and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completed.
How to provide a user inte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Overlay)하는 오버레이 실행 상태 및 미실행 상태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버레이(Overlay) 실행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콘텐츠에 대한 크기 조정, 위치 조정, 콘텐츠 간 반전/복귀, 오버레이 서비스 종료 및 서비스 제어를 종료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Overlay) 실행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콘텐츠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 1/2크기, 1/4 크기, 1/8 크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크기가 조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간 위치가 반전 또는 복귀되고, 상기 오버레이 실행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들이 제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differently according to an overlaid execution state and a non-execution state of overlaying at least one content to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In the overlay execution stat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sizing, repositioning, reversing / returning contents, overlay service termination, and service control for content overlaid on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ing step,
In the overlay execution state, the content overlaid on th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the same size, 1/2 size, 1/4 size, 1/8 size based on the broadca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r, the size is adjusted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nd the position includ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is adjusted based on the preset criteria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adjusted. The position is reversed or returned, and the content displayed as an overlay on a display device in the overlay execution state is controlled.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된 설정 정보와 콘텐츠의 오버레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단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설정 및 제어 처리를 중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와 페어링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설정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화면을 상기 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변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ling step,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service control to a terminal device in connection with overlaying of setting information and content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cluding,
In the terminal device,
As an application for relaying setting and control processing for providing a service is installed and executed, it is paired with the smart device, stores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displays a screen of content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To transform according to the set setting information
How to provide a user interface.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오버레이하여 동시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함께, 동시에 시청하고자 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디어 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파일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와 외장 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선택함에 따라 외부 콘텐츠가 연동되고, 상기 연동된 콘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표시된 콘텐츠의 목록 중 콘텐츠가 선택됨을 수신하고,
스마트 기기는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외장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정보를 선택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외부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가 선택되면, 스마트 기기는 선택된 USB 포트에 대응하는 외장 매체를 연동하고, 미리 설정된 사전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연동된 콘텐츠들과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의 오버레이를 위한 셋팅을 완료하여, 동일 매체 기반의 복수의 방송 채널뿐만 아니라 방송 채널 및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오버레이함으로써 동시에 시청 가능한
스마트 기기.
In a smart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An interface component configured to configure a user interface for overlaying and outputting at least one content on a display device based on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nd simultaneously output content of a broadcast channel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n a display based on input or selected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figured user interface.
Including,
The configuration uni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content to be viewed simultaneously with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control unit,
External content is interlocked, a list of the interlocked content is displayed, and the user interface is selected by selecting a port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with a mobile app including a media app, a file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and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received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displayed content, and
The smart device provides a user interface to select port information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dium rela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when a USB port for connecting from an external device is selected, the smart device interlocks an external mediu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B port and By completing the setting for overlay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ith the linked contents based on the preset information set in advance, by overlaying the contents of the broadcasting channel and the external device as well as a plurality of broadcasting channels based on the same medium Simultaneous viewing
Smart devices.
KR1020180135955A 2018-11-07 2018-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smart device to easily overlaying and restoring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content on an tv broadcast screen KR1020908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955A KR102090881B1 (en) 2018-11-07 2018-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smart device to easily overlaying and restoring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content on an tv broadcast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955A KR102090881B1 (en) 2018-11-07 2018-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smart device to easily overlaying and restoring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content on an tv broadcast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881B1 true KR102090881B1 (en) 2020-03-18

Family

ID=6999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955A KR102090881B1 (en) 2018-11-07 2018-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smart device to easily overlaying and restoring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content on an tv broadcast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88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604A (en) * 2013-01-31 2014-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obile smart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broadcasting service using the same
KR20150081040A (en) * 2014-01-03 201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spliting screen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604A (en) * 2013-01-31 2014-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obile smart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broadcasting service using the same
KR20150081040A (en) * 2014-01-03 201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spliting scree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7689B2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CN111405333B (en) Display apparatus and channel control method
US104198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video between media devices
US9055326B2 (en)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player using the same
US10009658B2 (en) Multiview TV template creation and display layout modification
KR20120118199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ents using the same
US20130091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based user menu
US11350155B2 (en) Multiview as an application for physical digital media
US88789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mot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42546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140001726A (en)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frame synchronization
JP2018530023A (en) Content display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dynamic icon mapping
US20130212629A1 (en) Television system operated with remote touch control
CN111045557A (en) Moving method of focus object and display device
US20140285437A1 (en) Method of internet browser-based remote user interface virtual mouse cursor positioning
KR201401407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US1187703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hannel control method
US2010018030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broadcast using the same
KR1020908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smart device to easily overlaying and restoring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content on an tv broadcast screen
JP5780611B2 (en) Image display method, video processing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operation program
US9197844B2 (en) User interface
CN111343498B (en) Mut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smart television
US20170272829A1 (en) Multiview tv environment that is curated by a broadcaster or service provider
CN113573117A (en) Video live broadcast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EP42034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