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693B1 -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693B1
KR102087693B1 KR1020180038636A KR20180038636A KR102087693B1 KR 102087693 B1 KR102087693 B1 KR 102087693B1 KR 1020180038636 A KR1020180038636 A KR 1020180038636A KR 20180038636 A KR20180038636 A KR 20180038636A KR 102087693 B1 KR102087693 B1 KR 10208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substrate
touch substrate
register valu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5663A (en
Inventor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693B1/en
Publication of KR2019011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하단에 출수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터와 함께 회전하는 출수모듈과,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와 함께 회전하고,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미구비된 터치기판과, 상기 정수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부 회전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며, 비휘발성 기억장치를 구비하는 메인기판과, 상기 터치기판과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 water purifier body having an opening ope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a rotator disposed inside the opening,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and spaced apart above the rotator ,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at least a part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and is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unit capable of touch input, and fixed with the rotator through the opening, an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It is protruding, and a water discharge nozzle is formed at the bottom, and a water discharge module that rotates with the rotator,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portion, rotates with the operation portion, and ha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a water purifier main body. It is fixed to, and maintains a fixed state when the control panel is rotated, and includes a main substrate hav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a conne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ouch substrate and the main substrate.

Description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water purifier}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of water purifie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water purifiers are used as household appliances to filter out impurities by filtering water.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of a household water purifier,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and removes suspended substances or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tap water using a filter, and is configured to purify and take out as much water as desir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가정용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Various household water purifiers such as purified water as well as hot and cold water have been released. And, in recent years, water purifiers having a small size and capable of being installed in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have been develop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81803호에는 본체 유닛의 상단부에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본체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부를 분리 및 재결합하여 출수부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정수기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381803 discloses a water purifier that is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for extracting water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unit, and the water outlet is separated from the body unit, rotated by a set angle, and then re-engaged. The water purifier having such a structure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to a set position by separating and recombining the water outlet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install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water purifier.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수부를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를 변경시킨 후 재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분리 결합 과정 중에 결합부위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First,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water outlet must be separated from the main unit and repositioned after changing the posi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 to the coupling portion may occur during the repeated separation and coupling process of the water outlet portion.

둘째, 상기 출수부에는 출수관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출수부의 분리 결합과정에서 출수관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 조작시 상기 출수관 또는 출수관이 접속되는 피팅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outlet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eak may occur when damage to the outlet pipe occurs during the separation and coupling process of the outlet portion. In addition, during repeated rotational operation of the water outl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outlet pipe or a fitting portion to which the water outlet pipe is connected may be damaged, and leakage may occur.

셋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는 상기 본체 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홀의 요홈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부는 요홈이 형성된 설정된 위치로만 위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ird,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is determined by the groove of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body unit. Therefore, the water outlet part may be located only at a set position where the groove is form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located at any point.

한편, 최근들어, 출수노즐이 형성된 출수모듈을 자유롭게 회전하는 정수기가 제공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water purifier that freely rotates the water discharge module on which the water discharge nozzle is formed has been provid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출수모듈이 회전하면서, 출수모듈에 장착된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기판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터치기판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정수기 본체에 고정된 메인기판과의 연결이 끊겼다가 다시 연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as the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rotates, the touch substrate of the touch device mounted on the water discharge module rotates together, and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ouch substrate, the connection to the main substrate fix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is broken. The problem of reconnecting occurs.

그리고,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터치기판이 리셋(reset)되면서,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 값으로 초기화되고, 결과적으로 터치기판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And, as the touch substrate without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is reset,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is initialized to a default value,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of the touch substrate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을 정수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출수노즐의 승강시키거나 회전시켜가면서 출수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free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e nozz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le lifting or rotating the water discharge nozzle while the water discharge nozzle is coupl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또한, 본체에 고정된 메인기판과, 출수모듈과 함께 회전하는 터치기판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끊겼다가 연결되더라도, 터치기판에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해줄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for resetting register values on the touch substrate even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substrate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touch substrate rotating together with the water discharge module is temporarily disconnected and connected.

또한, 터치기판이 리셋되더라도, 곧바로 터치기판에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하여,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even if the touch substrate is reset, i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the touch device by resetting the register value on the touch substrate immediately.

또한, 출수노즐의 하방에 수용공간이 확보되어 다양한 크기의 용이게 물을 받을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easily receiving water of various size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since an accommodating space is secured under the outlet nozzle.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changing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according to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하단에 출수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터와 함께 회전하는 출수모듈과,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와 함께 회전하고,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미구비된 터치기판과, 상기 정수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부 회전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며, 비휘발성 기억장치를 구비하는 메인기판과, 상기 터치기판과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판은 기설정된 상기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을 주기적으로 읽어들인다.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ater purifier body having an opening op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a rotator disposed inside the opening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 It is disposed spaced above the rotat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t least a part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the rotator through the opening and the manipulation unit provided to enable touch input And fixe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a water discharge nozzle is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water discharge module rotates with the rotator, and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part, rotates with the operation part, and ha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 provided touch substrate,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and maintaining a fixed state when the control panel is rotated, a main substrate hav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a conne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ouch substrate and the main substrate Including, the main substrate periodically reads a preset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메인기판에서 상기 터치기판으로 레지스터 값이 설정되는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단계 후, 타이머를 통해서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단계에서,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기판의 리셋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터치기판의 리셋이 판단되면, 상기 메인기판에서 상기 터치기판으로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하는 재설정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tting step in which a register value is set from the main board to the touch board, and after the setting step, determines whether a reference time has elapsed through a timer In the measurement step, in the measurement step, when a reference time has elapsed,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substrate is reset, and in the determination step, when the reset of the touch substrate is determined, from the main substrate to the touch substrate. And a reset step of resetting the register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의 수평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e nozzle to take out wa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고정된 메인기판과, 출수모듈과 함께 회전하는 터치기판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끊겼다가 연결되더라도, 터치기판에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substrate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touch substrate rotating together with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temporarily disconnected and connected, there is an effect of resetting the register value on the touch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기판이 리셋되더라도, 곧바로 터치기판에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하여,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ouch substrate is reset,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set the register value on the touch substrate, thereby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the touch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의 하방에 수용공간이 확보되어 다양한 크기의 용이게 물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space is secured below the water extraction nozzl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receive water of various size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outlet nozzle in accordance with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메인기판과 터치기판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메인기판과 터치기판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of a part of FIG. 3.
5 is a circuit diagram of a main substrate and a touch substrate which are som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substrate and a touch substrate which are som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nd adding components. It may be easily implement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The drawings attach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examples of the same invention idea, but in order not to be damaged, the invention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or each drawing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In some cases, a specific part may not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awing or may be exaggerated according to the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01)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100)와, 상기 개구부(10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200)와,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터치입력이 가능한 조작부(300)와,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200)와 고정되어 회전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출수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2,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the opening 101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the opening 101, The rotator 200 rotatably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the rotator 200 spaced apart above the rotator 200, and at least a part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an operation unit capable of touch input It may include a water outlet module 400 fixed to the rotator 200 and rotated through the opening 101 and the water purifier body 100 protruding forward.

일 예로,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410)와, 상기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420) 및 상기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430)로 이루어진 출수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has a fixed cover 410, the upp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unit 300, and the lifting cover 420 and the lifting cover, which are moved up and dow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xed cover 410. It may include a water outlet module 400 consisting of a water outlet nozzle 430 mounted to the bottom of (42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에 의해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by the rotator 200.

또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로테키어(200)에 고정된 고정커버(410)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cover 420 and the water outlet nozzle 430 may move up and down based on the fixed cover 410 fixed to the rotator 200.

이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430)은 좌우방향으로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도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430 can be vari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position can be var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조작부(300)의 선단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과 결합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300 is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unit 300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the upp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And combined.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이 회전하면, 출수모듈(400)과 연결된 로테이터(200) 및 조작부(300)가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Accordingly, when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rotates, the rotator 200 and the operation unit 300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have a structure that rotates at the same time.

일 예로,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에는 중공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출수모듈(400)의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출수모듈(400)의 상단에 형성된 중공에 끼워질 때, 돌출부가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출수모듈(400)과 조작부(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a hollow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ward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In addition,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peration part 300, and an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Therefore, when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peration portion 300 is fitted into the hollow formed at the top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the protrusion portion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and the operation portion 300 can be combined. have.

한편, 정수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필터(미도시)를 구비한다. Meanwhile,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includes a housing 110 and a filter (not shown).

상기 정수기(1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water purifier 10 may be formed by the housing 110. The housing 110 includes a front cover 111 forming a front appearance, a rear cover 112 forming a rear appearance, a base 113 forming a bottom surface, a top cover 114 forming a top surface, and left and right sides. It consists of side panels 115 forming both sides. The front cover 111 and the rear cover 112, the base 113 and the top cover 114, and a pair of side panels 115 may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10.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113 and the top cover 114 may be formed to be rounded, and the front cover 111 and the rear cover 112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the base 113 and the top cover ( 114) may be formed convexly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와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A filter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to purify and discharge the raw water flowing from the wabu.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40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출수모듈(40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출수 노즐(430)을 통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가 취출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400 is disposed to protrude forwar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purified water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through the water discharge nozzle 430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o the bottom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Can be taken out.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는 냉각 또는 가열 된후 냉수, 온수의 형태로 출수노즐(430)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ay be supplied to the outlet nozzle 430 in the form of cold water or hot water after being cooled or heated.

한편,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개구부(10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01)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ront cover 111 may be composed of an upper cover 111a and a lower cover 111b. In addition, the upper cover 111a and the lower cover 11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forming an opening 101 therebetween. The opening 101 may be shielded by a rotator 200 rotatably mount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100.

이때, 상기 로어커버(111b)에는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lat portion 111c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cover 111b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로어커버(111b)에 평면부(111c)가 형성된 경우, 로어커버(111b)전체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 대비,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때, 컵 등의 용기를 보다 깊이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When the flat portion 111c is formed on the lower cover 111b as described abov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ntire lower cover 111b is convex forward, when a user takes out water, a container such as a cup can be inserted deeper. There is an advantage, a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stably support a container such as a cup.

또한, 출수모듈(400)을 회전할 때, 평면부(111c)를 기준으로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when rotating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entered based on the flat portion (111c).

참고로, 상기 출수모듈(400)이 양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평면의 사이드패널(115)에 의해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is rotated to both sides, a container such as a cup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flat side panel 115.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기(10)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모듈(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or 200. Therefore, the user can rotate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at a desired angl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r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water purifier 10.

또한, 상기 탑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300)는 상기 출수모듈(400)과도 일체로 결합되어, 출수모듈(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300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114 is also integrally coupled with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이때, 조작부(300)의 출수버튼(310)은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수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출수모듈(400)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출수모듈(400)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져,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출수모듈(400)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discharge button 310 of the operation unit 30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top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so that a force is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discharge button 310.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outlet button 310,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water outlet module 400, so that the water outlet module 400 does not rotate arbitrarily by the user's manipulation force.

또한,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has a structure that is lifted while being fix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or 200.

상기와 같은 출수모듈(400)의 회전 및 승강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rotation and elevating operation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excerpting a partial region of FIG. 3.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S. 3 to 4, a filter bracket 130 for filtering water and a filter bracket 130 on which 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are mounted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bracket 130 includes a bottom portion 131 coupled with the base 113, a filter accommodation portion 132 in which the filter 120 is accommodated, and a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in which the rotator 200 is mounted. ).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선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bottom portion 1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ip of the base 113, and is coupled to the base 113.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31, and the bottom surface shape of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132 may be formed.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locked by a hook method to the base 113, and may also be fixed by a screw fastened at a lower surface of the base 113.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32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a recessed space from the front (left side in the drawing) to the rear (right side in the drawing) so that the filter 120 can be accommodated. A plurality of filters 120 may be mounted o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2. The filter 120 is for purification of raw water (tap water) supplied, and may be configured to combine filters having various functions.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13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socket 134 on which the filter 120 is mounted, and the filter socket 134 is provided with a pip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and the The piping can be connected to multiple valves (not shown). Therefore,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120 in order to be directed to a valve (not shown) for water supply.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냉수 생성을 위한 쿨링 탱크(150) 또는 온수 생성을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정수를 곧 바로 출수모듈(400)로 공급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right side of the drawing) of the filter accommodation part 132, and the valves (not shown) cool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for cold water generation. It may be supplied to the tank 150 or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for generating hot water. In addition, the purified water may be supplied directly to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상기 로테이터(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A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in which the rotator 200 is rotatably mounted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accommodation portion 132.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 상세히는 로어 커버(111b)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ont cover 111, in detail, the lower cover 111b covering the front of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 및 로테이터(200)에 연결된 출수모듈(400)의 상방에는 조작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ipulation unit 300 may be disposed above the rotator 200 and the water outlet module 400 connected to the rotator 200.

한편,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드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Meanwhile, a compressor 141 and a condenser 14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3. In addition, a cooling fan 143 is provided between the compressor 141 and the condenser 142 to be configured to cool the compressor 141 and the condenser 142. As the compressor 141, an inverter type compressor capable of adjusting a cooling capacity by varying a frequency may be used. Therefore, cooling of purified water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denser 142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base 113 and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112a formed in the rear cover 112. The condenser 142 may be formed by bending a plurality of flat tube type refrigerant tubes multiple times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while simultaneously using the space efficiently and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condenser bracket 144.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15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The condenser bracket 144 is formed with a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to which the condenser 142 is fixed and a tank mounting portion 146 on which a cooling tank 150 for making cold water can be mounted.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forms a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shape of the condenser 142 to accommodate the condenser 142. In addition,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is formed such that the portions facing the cooling fan 143 and the discharge port 112a are opened, thereby enabling effective cooling of the condenser 142.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쿨링 탱크(150)를 고정한다.Then, the tank mounting portion 146 is formed above the condenser bracket 144, that is, above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150 is inserted into the tank mounting part 146 so that the tank mounting part 146 fixes the cooling tank 150.

상기 쿨링 탱크(1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151)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The cooling tank 150 is for cooling purified water to make cold water, and cooling wat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purified water is filled. In addition, an evaporator 151 for cooling the cooling w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oling tank 150. Further, the purified water may be cooled by allowing the purified water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oling tank.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One side of the filter bracket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135 extending toward the cooling tank 150. The support plate 135 is provided above the compressor 141 and extends from the filter bracket 130 to the condenser bracket 144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160 is mounted.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상기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160 may include an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for making hot water and a control assembly 18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driving of the water purifier 10.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and the control assembly 18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be combined in a single module state, and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135 in a combined state.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is for heating purified water and is configured to be heated in an induction heating (IH) method.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is capable of heating water at an instant and rapid speed during the hot water extraction operation, and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agnetic field, heating purified water to a desired temperature to provide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ake out hot water at a desire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The control assembly 18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and can control the compressor 141, the cooling fan 143, various valves and sensors,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and the like. It is configured to. The control assembly 180 may be modularized and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PCB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for each function.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purifier 10 takes out only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the fish ratio for controll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may be omitted, and at least one or more fish ratios may be omitted in this manner.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메인기판과 터치기판의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메인기판과 터치기판의 블럭도이다.5 is a circuit diagram of a main substrate and a touch substrate which are som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substrate and a touch substrate which are som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조작부(30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디바이스로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anipulation unit 300 may be provided as a touch device to enable touch input.

상기와 같이, 조작부(300)가 터치입력 기능을 갖고, 출수모듈(400)과 함께 조작부(300)가 회전할 경우, 조작부(300)에 구비된 터치기판(32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터치기판(320)이 양측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정수기 본체(100)에 고정된 메인기판(190)과의 연결이 끊겼다가 다시 연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unit 300 has a touch input function and the operation unit 300 rotates together with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he touch substrate 320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300 rotates together, and touch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substrate 320 to both sides,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substrate 190 fixed to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is disconnected and then reconnected.

그리고,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터치기판(320)이 리셋(reset)되면서,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 값으로 초기화되고, 결과적으로 터치기판(320)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And, as the touch substrate 320 without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is reset,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is initialized to a default value, and as a result, malfunction of the touch substrate 320 occurs. Occur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기판(190)은 마이컴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ubstrate 190 may mean a microcomputer.

또한, 상기 메인기판(190)은 비휘발성 기억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고정되어, 출수모듈(400)과 함께 조작부(300)가 회전할 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In addition, the main substrate 190 is provided with a non-volatile memory device, is fix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100, and maintains a fixed state when the operation unit 300 rotates with the water discharge module 400.

그리고, 상기 터치기판(320)과 메인기판(190)은 접속부재(191)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substrate 320 and the main substrate 190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member 191.

일 예로, 상기 접속부재(191)는 전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 단부에 단자부(191a)를 형성한다. 상기 단자부(191a)는 상기 터치기판(320) 및 메인기판(190)에 형성된 접속부(미도시)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191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wire, and forms terminal portions 191a at both ends. The terminal portion 191a may be coup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touch substrate 320 and the main substrate 190.

상기 조작부(300)가 회전하면, 상기 단자부(191a)가 상기 터치기판(320) 또는 메인기판(190)의 접속부(미도시)에서, 일시적으로 분리되면서, 접속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manipulation unit 300 is rotated, the terminal unit 191a is temporarily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unit (not shown) of the touch substrate 320 or the main substrate 190, and a connection may be disconnected.

또한, 상기 메인기판(190)은, 비휘발성 기억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을 기억한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substrate 190 is provided with a nonvolatile memory device,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is stored.

상기 터치 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은, 제품 제작 시, 프로그래머에 의해 메인기판(190)에 설정될 수 있다.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may be set on the main substrate 190 by a programmer when manufacturing a product.

또한, 상기 메인기판(190)은, 상기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을 시리얼 통신을 통해서 주기적으로 리드(read)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substrate 190 may periodically read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또한, 상기 메인기판(190)은, 상기 터치기판(320)에서 리드(read)한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default) 값일 경우,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을 제품 제작 시, 프로그래머에 의해 설정된 값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gister value read from the touch substrate 320 is a default value, the main substrate 190 sets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when the product is manufactured, by a programmer. With, it can be reset.

또한, 상기 메인기판(190)은, 2초 주기로 상기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을 리드(read)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substrate 190 may read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every 2 seconds.

즉, 상기 터치기판(320)에는 메인기판(190)에서 레지스터 값이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기판(190)은 주기적으로(약 2초 주기) 상기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을 요청하고,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을 리드(read)한다.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register value is preset in the main substrate 190 to the touch substrate 320, the main substrate 190 periodically requests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approximately every 2 seconds). , Read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그리고, 상기 터치기판(320)에서 리드된 레지스터 값이 기설정된 값과 상이하거나, 디폴트 값일 경우, 상기 메인기판(190)은 터치기판(320)이 리셋(reset)된 것으로 간주한다.In addition, when the register value read from the touch substrate 320 is different from a preset value or is a default value, the main substrate 190 considers the touch substrate 320 to be reset.

상세히, 조작부(300)가 회전하면서, 터치기판(320)과 메인기판(190)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끊겼다가 다시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as the manipulation unit 300 rot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uch substrate 320 and the main substrate 190 may be temporarily disconnected and then reconnected.

이때, 터치기판(320)은 비휘발성 기억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터치기판(320)과 메인기판(190)의 접속이 잠깐이라도 끊기게 되면,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은 기설정된 값과 상이하게 변경되거나, 디폴트 값으로 변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touch substrate 320 is not provided with a non-volatile memory device,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uch substrate 320 and the main substrate 190 is disconnected for a moment,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is preset. It is different from the value or it is changed to the default value.

따라서, 상기 터치기판(320)에서 리드된 레지스터 값이 기설정된 값과 상이하거나, 디폴트 값일 경우, 상기 메인기판(190)은 터치기판(320)이 리셋(reset)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register value read from the touch substrate 320 is different from a preset value or is a default value, the main substrate 190 may consider the touch substrate 320 to be reset.

상기와 같이, 메인기판(190)에서, 터치기판(320)이 리셋(reset)된 것으로 간주되면, 상기 메인기판(190)은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해주게 되고,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터치기판(320)이 리셋된 상태에서, 터치기판(32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ain substrate 190,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touch substrate 320 is reset, the main substrate 190 resets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By doing so, malfunction of the touch substrate 320 may be prevented while the touch substrate 320 is reset.

이하, 상기와 같이 정수기 본체(100)에 구비된 메인기판(190)과, 상기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조작부(300)에 구비된 터치기판(320)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main substrate 190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s described above, and a touch substrate 320 provided in an operation unit 300 rotating based on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Explain.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메인기판(190)에서 상기 터치기판(320)으로 레지스터 값이 설정되는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단계 이후, 타이머를 통해서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단계에서, 기준시간(약 2초)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기판(320)의 리셋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터치기판(320)의 리셋이 판단되면, 상기 메인기판(190)에서 상기 터치기판(320)으로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하는 재설정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tting step in which a register value is set from the main substrate 190 to the touch substrate 320, and after the setting step,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time has elapsed through a timer In the measurement step and in the measurement step, when a reference time (about 2 seconds) has elapsed,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substrate 320 is reset, and in the determination step, the reset of the touch substrate 320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a reset step of resetting the register value from the main substrate 190 to the touch substrate 320.

또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메인기판(190)에서 상기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을 리드(read)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기판(190)에서 상기 터치기판(320)에서 리드(read)한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rmining step, the step of reading (read)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from the main substrate 190, and read (read) from the touch substrate 320 from the main substrate 190 And determining whether a register value is a default value.

이때, 상기 터치기판(320)에서 리드(read)한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 값일 경우, 상기 터치기판(320)이 리셋(reset)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터치기판(320)과 메인기판(190)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끊겼다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register value read from the touch substrate 320 is a default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substrate 320 has been reset.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uch substrate 320 and the main substrate 190 is temporarily disconnected and then connected.

또한, 상기 측정단계에서, 기준시간(약 2초)이 경과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는 단계가 연달아 진행된 후, 상기 판단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easurement step, when the reference time (about 2 seconds) has elapsed, the step of initializing the timer proceeds consecutively, and then the determination step may proceed.

또한, 상기 설정단계는, 정수기에 최초 전원공급 시, 단 1회만 진행될 수 있다. Also, the setting step may be performed only once, when the power is initially supplied to the water purifie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먼저, 정수기에 전원이 공급된다. 즉, 정수기 사용을 위해 최초로 전원이 공급된다. First, power is supplied to the water purifier. That is, power is supplied for the first time to use the water purifier.

이후, 메인기판(190)에서 터치기판(320)으로 레지스터 값이 설정된다.(S11)Thereafter, a register value is set from the main substrate 190 to the touch substrate 320. (S11)

상기 메인기판(190)에는 제품 제작 시, 프로그래머에 의해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이 입력된 상태이다.When manufacturing a product,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is input to the main substrate 190 by the programmer.

이후, 정수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Then, the water purifier works normally.

이 과정에서, 터치기판(320)의 리셋 여부를 판단하고, 리셋이 감지되면, 메인기판(190)에서 터치기판(320)으로 레지스터 값이 재설정된다. In this proces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ouch substrate 320 is reset, and when a reset is detected, the register value is reset from the main substrate 190 to the touch substrate 320.

상세히, 타이머를 통해서, 기준시간(약2초)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In detai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ference time (about 2 seconds) has elapsed through the timer. (S12)

이후, 기준시간(약2초)이 경과하면, 타이머를 초기화 한다.(S13)Thereafter, when the reference time (about 2 seconds) has elapsed, the timer is initialized. (S13)

따라서, 타이머는 다시 기준시간(약2초)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timer can determine whether the reference time (about 2 seconds) has elapsed again.

상기 S13단계 이후, 메인기판(190)은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을 리드(read)한다.(S14)After the step S13, the main substrate 190 reads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S14).

상기 S14단계는, 메인기판(190)에서, 터치기판(320) 측으로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를 요구하고, 터치기판(320)에서 메인기판(190) 측으로 해당 레지스토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step S14 may be performed by requesting specific register data from the main substrate 190 to the touch substrate 320 and transferring corresponding register data from the touch substrate 320 to the main substrate 190.

상기 S14단계 이후, 메인기판(190)에서는 상기 터치기판(320)에서 전달된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default)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After the step S14, the main substrate 190 determines whether the register value transferred from the touch substrate 320 is a default value (S15).

여기서, 상기 디폴트(default) 값은, 메인기판(190)에서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설정을 하지 않아도 터치기판(320)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레지스ㅌ의 초기값을 의미한다. Here, the default value means the initial value of the register of the touch substrate 320 basically even if the register setting of the touch substrate 320 is not set in the main substrate 190.

본 발명에서의, 터치기판(320)의 경우,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없기 때문에, 리셋(reset)되면 레지스터들이 이전 값을 기억 못하고 디폴트(default) 값을 갖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touch substrate 320, since there is no non-volatile memory, when reset, registers do not remember the previous value and have a default value.

이후, 상기 S15단계에서, 상기 터치기판(320)에서 전달된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default) 값일 경우, 메인기판(190)은 터치기판(320)이 리셋되었다고 판단하고, 터치기판(320)으로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한다.(S16)Thereafter, in step S15, when the register value transmitted from the touch substrate 320 is a default value, the main substrate 190 determines that the touch substrate 320 has been reset and registers it with the touch substrate 320. Reset the value (S16)

상기 S16단계 이후, S12단계로 넘어간다.After step S16, the process goes to step S12.

반면, 상기 S15단계에서, 상기 터치기판(320)에서 전달된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default) 값이 아닐 경우, 메인기판(190)은 터치기판(320)이 리셋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S12단계로 넘어간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5, if the register value transmitted from the touch substrate 320 is not the default value, the main substrate 190 determines that the touch substrate 320 has not been reset and proceeds to step S12. Goes.

참고로, 터치기판(320)이 리셋된 상태에서, 메인기판(190)에서 터치기판(320)으로 레지스터 값이 재설정되지 않게 되면,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미구비된 터치기판(320)은 오작동하게 된다. For reference, when the register value is not reset from the main substrate 190 to the touch substrate 320 while the touch substrate 320 is reset, the touch substrate 320 having no nonvolatile memory device malfunctions. do.

다른 예로, 상기 S15단계는, 메인기판(190)에서 읽어들인 상기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이 S11단계에서, 터치기판에 설정된 레지스터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진행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tep S15 may be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read from the main substrate 190 is a register value set in the touch substrate in step S11.

또한, S16단계는, 메인기판(190)에서 읽어들인 상기 터치기판(320)의 레지스터 값이 S11단계에서, 터치기판에 설정된 레지스터 값과 상이할 경우, 메인기판(190)에서 터치기판(320)이 리셋되었다고 판단하고, 터치기판(320)으로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하는 것으로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S16, when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320 read from the main substrate 190 is different from the register value set in the touch substrate in step S11, the touch substrate 320 in the main substrate 19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eset has been performed, and the register value may be reset with the touch substrate 32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기판과 터치기판이 통신하면서,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을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본체에 고정된 메인기판과, 출수모듈과 함께 회전하는 터치기판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끊겼다가 연결되더라도, 이를 바로 감지하고, 디폴트 상태인 터치기판에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main substrate and the touch substrate communicate,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is periodically rea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substrate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touch substrate rotating together with the water discharge module is temporarily Even if it is disconnected and connected, it has the effect of immediately detecting it and resetting the register value in the default touch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기판이 리셋되더라도, 곧바로 터치기판에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하여,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ouch substrate is reset,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set the register value on the touch substrate, thereby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the touch devi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ifi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an be var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 and eff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xplicitly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1)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하단에 출수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터와 함께 회전하는 출수모듈;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와 함께 회전하고,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미구비된 터치기판;
상기 정수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부 회전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비휘발성 기억장치를 구비하는 메인기판;
상기 터치기판과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기판의 실시간 레지스터 값을 주기적으로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터치기판의 실시간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default) 값이면, 상기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하고,
상기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default) 값이 아니면, 상기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을 유지하는 하는 정수기.
A water purifier body having an opening ope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A rotator disposed inside the opening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An operation unit which is disposed above the rotator,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and at least a part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and is provided for touch input;
An outlet module fixed to the rotator through the opening,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having an outlet nozzle formed at the bottom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or;
A touch substrate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rotating together with the operation unit, and hav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 main substrate fix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maintaining a fixed state when the control unit is rotated, and hav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es; connecting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ouch substrate and the main substrate,
The main substrate periodically reads the real-tim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while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is set,
If the real-time register value of the read touch substrate is a default value, reset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If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is not the default value, a water purifier that maintains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substrate,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을 시리얼 통신을 통해서 주기적으로 리드(read)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substrate,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periodically read (read)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은, 2초 주기로 상기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을 리드(read)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substrate,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o read (read) the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every 2 secon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은,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substrate,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im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에서 상기 터치기판으로 레지스터 값이 설정되는 설정단계;
상기 설정단계 후, 타이머를 통해서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단계에서,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기판의 리셋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터치기판의 리셋이 판단되면, 상기 메인기판에서 상기 터치기판으로 레지스터 값을 재설정하는 재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setting step in which a register value is set from the main substrate to the touch substrate;
A measuremen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time has elapsed through a timer after the setting step;
In the measurement step, when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reset the touch substrate;
And a reset step of resetting a register value from the main substrate to the touch substrate when the reset of the touch substrate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step.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메인기판에서 상기 터치기판의 레지스터 값을 리드(read)하는 단계;
상기 메인기판에서 상기 터치기판에서 리드(read)한 레지스터 값이 디폴트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determination step,
Reading a register value of the touch substrate from the main substrate;
And determining whether a register value read from the touch substrate is a default value in the main substra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에서,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는 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판단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measurement step, when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the step of initializing the timer proceeds, and the determination step proceeds,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정수기에 최초 전원공급 시, 단 1회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etting step, when the first power supply to the water purifier,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proceeds only o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38636A 2018-04-03 2018-04-03 water purifier KR102087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36A KR102087693B1 (en) 2018-04-03 2018-04-03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36A KR102087693B1 (en) 2018-04-03 2018-04-03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663A KR20190115663A (en) 2019-10-14
KR102087693B1 true KR102087693B1 (en) 2020-05-27

Family

ID=6817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636A KR102087693B1 (en) 2018-04-03 2018-04-03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69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03B1 (en) * 2013-11-11 2014-04-07 명성희 Wate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678B1 (en) * 2015-06-25 202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ouch Sensing Module of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ouch Sensing Module of Electronic Device
KR101770481B1 (en)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03B1 (en) * 2013-11-11 2014-04-07 명성희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663A (en)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0877B1 (en) Electric water heater that keeps the hot water at a preset temperature constantly
CN207821670U (en) Desk-top Drinking fountain
KR20110096868A (en) Water supp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2087693B1 (en) water purifier
US4915793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7055339B2 (en) Integrated thermosyphon refrigerant heat recovery system and hot water heater
JP2003090606A (en) Heat pump type hot water supplier
JP3890286B2 (en) Hot water storage tank unit
EP3130867B1 (en) Heat pump type water heater system
JP4030406B2 (en) Hot water storage tank unit
CN209819867U (en) Commercial gas low-nitrogen drinking water stove
CN216308198U (en) Double-container instant heating type water bar
KR100746894B1 (en) Heat pump hot water supply machine
US11236940B2 (en) Egg boiler device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2413202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KR102205880B1 (en) Purifier having Separated Water Discharging Uni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220308924U (en) Cold and hot water drinking machine
KR102288731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17204063A1 (en) Outdoor unit of heat pump water heater
KR102359787B1 (en) water purifier
CN208606447U (en) A kind of cool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CN215756591U (en) Under-kitchen water purifier
EP3795919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device and air-conditioning device
JP6612677B2 (en) Hot water heater
US20100089552A1 (en) Heat energy reco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