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512B1 -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512B1
KR102086512B1 KR1020130124609A KR20130124609A KR102086512B1 KR 102086512 B1 KR102086512 B1 KR 102086512B1 KR 1020130124609 A KR1020130124609 A KR 1020130124609A KR 20130124609 A KR20130124609 A KR 20130124609A KR 102086512 B1 KR102086512 B1 KR 10208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evice
control
mobile device
home networ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5206A (en
Inventor
이석희
고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512B1/en
Publication of KR2015004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2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5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예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연결 및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디지털 디바이스 상태 정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따른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d is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terminal, and a device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Here,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connecti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status information on a digital device in the connected home network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configured to output the received digital device state information,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and a first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through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ecute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for the remote control, generate a display control and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user,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device.

Description

원격 제어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방법{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EREOF}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a device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최근 모바일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면서 사람들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소유하고 있다.With the recent rapid growth of the mobile market, people own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종래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전송(message transmission), 음성 통화(voice call)와 같은 전통적인 기능에 한정 이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정보통신(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 및 컨버전스(convergence) 기술 발전에 따라 종래 이동 단말기는 복합적인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로 변모하고 있는데, 스마트 폰(smart phone)으로의 발전을 예로 들 수 있다.Conventional mobile terminals have been used exclusively for traditional functions such as message transmission and voice call. 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technology and convergence technology,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s transforming into a complex digital device, for example, the development into a smart phone. have.

이동 단말기가 스마트 폰으로 되면서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받아 그를 통해 다양한 기능이나 업무 관련 작업 수행 등 개인적인 효용(personal usage)이 높아졌다.As mobile terminals become smart phones, the Interne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network, and applications have been downloaded and personal usage, such as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or work-related tasks, has increased.

이동 단말기는 단지 개인적인 효용성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통한 디바이스 제어 등을 위한 컨트롤러 기능에도 이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이동 단말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를 통한 홈 디바이스 제어에는 기능 제어의 한계와 이용 불편 등의 문제점이 있다.Mobile terminals are beginning to be used not only for personal utility but also for controller functions, such as for device control over a home network.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in controlling a home device through a home network through a mobile terminal, such as limitations of function control and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들(home network systems)에 속한 디지털 디바이스(들)(digital device(s))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digital device (s) belonging to one or more home network systems through a mobile device. To provide a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system) to remotely control the digital device (s).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디지털 디바이스(들)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lication of a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s) and a UI / UX (User Interface / User eXperience)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used for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기존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여 저비용(low cost)으로 확장성(expandability),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등을 확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system that makes full use of an existing system to secure expandability, backward compatibility, and the like at low cost.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 홈 네트워크의 상태 또는 홈 네트워크 내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편리하고 정확한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t and accurate remote control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a mobile device, the state of a home network, or the state of a digital device in a home network.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과제 또는 그들의 어떤 조합을 통해 원격 제어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새로운 표준 모델(standard model)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제품 만족도를 개선시키고 구매 욕구를 높이고자 한다.In this specification, a new standard model of a remote control system and a mobile device is propos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r any combination thereof, thereby improving product satisfaction and increasing purchase desire 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적 과제는 비단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 described herein is not limited to only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s),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는,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example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executing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Connecting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Receiving and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on a digital device in the connected home network system; Outputting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Outputting a first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from the output interactive user interface; And transmitting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user input to the digital device.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예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연결 및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디지털 디바이스 상태 정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따른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connecti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status information on a digital device in the connected home network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configured to output the received digital device state information,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and a first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through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ecute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for the remote control, generate a display control and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user,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devic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solution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s,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invention,

첫째,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들에 속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remote control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digital device (s) belonging to one or more home network systems through a mobile device.

둘째, 디지털 디바이스(들)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UI/UX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Secondly,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application of the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s) and a UI / UX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used for the application.

셋째, 기존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여 저비용으로 확장성, 호환성 등을 확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ir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remote control system that utilizes the existing system to maximize the expansion, compatibility and the like at low cost.

넷째,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 홈 네트워크의 상태 또는 홈 네트워크 내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편리하고 정확한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onvenient and accurate remote control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the mobile device, the state of the home network or the state of the digital device in the home network.

다섯째, 원격 제어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새로운 표준 모델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제품 만족도를 개선시키고 구매 욕구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Fifth, by presenting a new standard model of a remote control system and a mobile device, the user's convenience is maximized, thereby improving product satisfaction and increasing purchase desir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전술한 도 1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관리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원격 제어 시스템 내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과 8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14는 전술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격 제어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5 내지 18은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system;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unit in the home network system of FIG. 1 described above;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front and perspective views of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in a home network system;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in a remote control system;
7 and 8 illustrate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via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 a mobile device;
9 to 14 illustrate a remote control scenario in the above-described mobile device; And
15 to 1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remote control method.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원격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및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a digital device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제2-", "제3-" 등의 서수는 비단 순차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동등한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On the other hand,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third-" and the like are not only sequential meanings, but also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the equivalent components.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이라 함은, 적어도 하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data communication)을 지원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지털 디바이스들의 원격 제어를 지원하는 모든 제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반 시스템에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결(connecting or pairing) 및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지국(base station), 중계기(relay), 스위칭 회로(switching circuit), 게이트웨이(gateway) 등 다양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 온/오프(power on/off), 각종 기능 제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remote control system” refers to data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home network system and at least one mobile device, thereby supporting the home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device. It includes any system supporting remote control of one or more digital devices in a network system. In the above-mentioned system, various devices such as a base station, a relay, a switching circuit, a gateway for connecting or pairing and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home network system and the mobile device or System may be included. The control may include power on / off, various function control, and the like for the digital device in the home network system.

한편, 상기에서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을 지원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RS 등을 지원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support data communication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include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Long Term Evolution (LTE), LTE-Advanced (LTE-A)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 Ultra Wideband, ZigBee, RS, etc. can be supported.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라 함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을 포함하여 원격 제어 시스템 내에서 제어수단(control means)으로 이용되는 모든 형태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stand terminal)에도 적용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자체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mobile device"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MP ( It may include any type of digital device used as a control means in a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it is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a stan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etc., excep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device. You will know.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device may perform a function as the control means through itself or another digital device.

도 1은 원격 제어 시스템(100)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block diagram)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system 100.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연결 및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디지털 디바이스 상태 정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interactive or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UI)) 및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remote control application) 실행,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따른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connecti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and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digital device in the connected home network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Outputting a first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through a receiver, the received digital device state information, an interactive or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UI)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and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ecute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for the remote control, to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 control and the first user, and to transmit and control the display to the digital device. .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출력되는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키워드(key word)를 검출(detect), 상기 검출된 키워드를 기 저장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기능 데이터(function data)와 비교,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기능 데이터를 결정, 및 상기 결정된 기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텍스트 입력(text input), 음성 인식(voice or speech recognition), 이모티콘(emoticon) 및 제스처(gestur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미리 저장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messenger application)을 위한 이모티콘 데이터(emoticon data)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속성(attribute)과 상태(status)에 따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해 상기 이모티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현재 온/오프 여부 표시 항목(item),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 속성 또는 위치(location)에 따른 상세 정보(detail information) 표시 항목 및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 표시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메시지(alarm message)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 내 알람 메시지를 파싱(parsing)하고, 파싱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 표시 항목 선택을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CCTV 서버(closed caption television server)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이외의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센서(sensor)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이미지를 팝-업(pop-up) 형태로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전원 온/오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현재 수행 중인 기능 제어 및 기능 제어 예약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ct a key word from the output first user input, compare the detected keyword with function data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and compare the result. Determine the fun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keyword, and generate the firs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etermined function data, and include text input, voice or speech recognition, and emoticon. The first user input may be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of an emoticon and a gesture. 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attribute and a status of the digital device based on emoticon data for a messenger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An emoticon may be provided, and at least one of an item indicating whether the digital device is currently on / off, a detail information display item according to a property or a location of the digital device, and an image or video data display item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items. The controller may receive a signal including an alarm message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from the digital device, parse the alarm message in the received signal, and parse the parsed alarm message into the interactive user. Control to output on the interface, and generate and transmit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wherein the image or video data display item Upon receiving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on, requesting an image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closed caption television server in the home network system and a sensor of a digital device other than the digital device, Recall the image received on request in the form of a pop-up. Control to output on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ower on / off of the digital device, a function control currently performed and a function control reservation message of the digital device; At least one of the signals may be generated.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mobile device may be any one of a mobile terminal,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시스템(100)은, 네트워크(network)(110)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이 포함된 클라이언트(client)와, 클라우드 프로세서(cloud processor)(132),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134), 이동 단말기들(136)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서버(server)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 includes a client including at least one home network system 120 based on a network 110, and a cloud processor 132. ), A wearable device 134, mobile terminals 136, etc., to control the client.

도 1에서, 원격 제어 시스템(100) 내 각 구성요소는 상호 간에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지원을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중계기, 스위칭 회로, 게이트웨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FIG. 1, each component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communication protocol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cessor, a repeater, a switching circuit, a gateway, and the like necessary for supporting the data communication.

먼저, 클라이언트 즉,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lient, that is, the home network system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관리부(management module)(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122)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 내 각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부(122)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다.Home network system 120 supports building a home network including one or more digital devices. The home network system 120 may include a management module 122 that manages digital devices belonging to the home network. The management unit 12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Each digital device in the home network system 12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manager 122.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110)를 통해 외부의 서버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외부 서버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내 디지털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home network system 12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network 110, and the digital device (s) i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 Can change the status or control the function.

한편, 홈 네트워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데 일 예로, 지그비 게이트웨이(zigbee gateway) 등과 같은 게이트웨이 내지 중계기 등의 형태 또는 그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Meanwhile, the home network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home network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ateway or a repeater such as a Zigbee gateway or the like.

그 밖에,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속한 각 디지털 디바이스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 내 각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술한 관리부(122)와 별도로 외부 네트워크(110)를 통해 직접 서버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digital device belonging to the home network system 120 preferably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each digital device in the home network system 120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by direct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110 separately from the above-described management unit 122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다음으로, 상술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제어를 위한 수단들로 구성된 서버 측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rver side composed of means for controlling the aforementioned home network system 120 is as follows.

웨어러블 디바이스(134)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의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The wearable device 134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digital device of the home network system 12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11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home network system 120.

이동 단말기(136)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의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The mobile terminal 136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digital device of the home network system 12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11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home network system 120.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34)와 이동 단말기(136)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134)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선택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 상기 선택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연결된 이동 단말기(136)의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34)를 착용하고 이용 중인데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원격 제어 시스템(100) 또는/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등록되지 않은 디바이스 즉, 제어 권한이 없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므로, 그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100, 120)에 등록된 다른 제어 수단을 통해 UI/UX 데이터를 수신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 출력, 선택 및 상기 제어 신호를 다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상기 등록 이외에 일시적인 네트워크 장애, 네트워크 속도 내지 효율, 데이터 량 등 다양한 팩터(factor)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ny one of the wearable device 134 and the mobile terminal 136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home network system 120 through the other control means. For example, a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34 does not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a home network system 120 selected on the wearable device and a digital device selected for control in the selected home network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earable device. The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digital device by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136. This is, for example, because a user wearing and using the wearable device 134 may be a device that is not registered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 or / and the home network system 120, that is, a device without control authority. In addition, UI / UX data may be received through other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and registered in the systems 100 and 120 to output, select,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on the wearable device. In addition to the above registr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signals may be performed in various paths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emporary network failure, network speed to efficiency, and data amount.

한편, 클라우드 프로세서(13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관리부(122)에서 해당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경우에 그를 지원 또는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34) 또는/및 이동 단말기(136)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loud processor 132 supports or controls the home device of the wearable device 134 or / or the mobile terminal 136 when the management unit 122 in the home network system controls the digital device in the home network system. It can support network system control.

도 2는 전술한 도 1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관리부(122)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nager 122 in the home network system of FIG. 1.

관리부(12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각 구성요소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상기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에 관여하고 상기 각 구성요소의 스케줄, 기능 등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이벤트를 관리하고 직/간접 제어를 한다.The management unit 122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component in the home network system or participates in data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mponent, and manages all events occurring in the home network system such as schedules and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 Indirect control.

도 2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관리부(122)는 음성서비스 처리부(voice service processing unit)(212), 메시지서비스 처리부(message service processing unit)(214), 상황인식 처리부(context awareness processing unit)(216), 디바이스 관리부(device management unit)(218), 커맨드 파싱부(command parsing unit)(220),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처리부(222), UPnP(Universal Plug and Play) 처리부(224), 출력부(output unit)(2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management unit 122 of the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a voice service processing unit 212, a message service processing unit 214, and a context awareness processing unit. 216, a device management unit 218, a command parsing unit 220,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rocessor 222, a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processor 224, And an output unit 226 and the like.

음성서비스 처리부(212)는 PSTN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IP 네트워크 또는 상기 PSTN 이외의 다른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long-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를 통해 이루어지는 음성 서비스를 처리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후자의 IP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서비스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m-VoIP(mobile-VoIP), VoLTE(Voice over LTE) 등의 서비스가 있다.The voice service processing unit 212 is configured to perform not only voice service through the PSTN network but also voice over an IP network or a communication network other than the PSTN (eg, long-term evolution (LTE) or LTE-A (dvanced)).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handles services. Voice services over the latter IP network include services such as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mobile-VoIP (m-VoIP), and Voice over LTE (VoLTE).

메시지서비스 처리부(214)는, 관리부(122)에서 생성된 또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디바이스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메시지서비스 처리부(214)는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메시지서비스 데이터와 비교하여 요청된 제어 기능 수행 편의를 도울 수 있다.The message service processor 214 may receive and process a control message generated by the manager 122 or for a device of a home network system through an external network. When the message service processing unit 214 receives the control message, the message service processing unit 214 may help to perform the requested control function in comparison with previously stored message service data.

상황인식 처리부(216)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식 이벤트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황 인식이라 함은, 통신 및 컴퓨팅 능력을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바이스들 또는 그 주변 상황을 말한다. 상기 상황인식 처리부(216)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상황 인식을 통해 발생된 이벤트를 인식하고 판단하여 시간, 장소 등에 상관없이 출력부(226), 해당 디바이스에 구비된 출력부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이동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situation recognition processor 216 processes the situation awareness event occurring in the home network system. Here, context awareness refers to devices in or around a home network system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mputing capabilities. The situation recognition processor 216 recognizes and determines an event generated through situation recognition in the home network system, and outputs the output unit 226, an output unit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device, or a movement held by a user regardless of time or place. Usefu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display of a terminal, a wearable device, or the like.

디바이스 관리부(218)는, 관리부(122),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각 디바이스의 각종 이벤트, 상황, 예약 또는 처리 등 모든 스케줄과 디바이스 오동작 여부 등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상태 등을 관리하고, 상기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The device manager 218 manages the status of at least one device related to the home network system, such as all schedules such as various events, situations, reservations, or processes of the devices in the home network system and whether or not the device malfunctions. The data related to the management may be temporarily stored.

커맨드 파싱부(220)는, 디바이스 관리부(218)를 통해 또는 상기 음성서비스 처리부(212), 메시지서비스 처리부(214), 상황인식 처리부(216), SIP(222), UPnP(224) 및 출력부(226)를 통해 수신되는 커맨드를 파싱한다. 여기서, 상기 파싱은 예를 들어, 도시되진 않았으나 관리부(122) 내의 메모리(memory) 또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된 커맨드 테이블(command table)을 비교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mand parser 22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evice manager 218 or the voice service processor 212, the message service processor 214, the situation recognition processor 216, the SIP 222, the UPnP 224, and the output unit. Parse the command received via 226. For example, the parsing may be performed by comparing a command table stored in a memory or a database in the management unit 122 although not shown.

SIP(22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통신과 관련하여 세션이나 호(call)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은 실시간 전송을 기반으로 하는 RTP(real-time protocol)이 담당하고, SIP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SIP의 프로토콜 스택은 해당 규격에서 정의한 바에 따를 수 있다.The SIP 222 processes protocols for managing sessions or calls in connection with multimedia communications made in home network systems. In this case,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is handled by a real-time protocol (RTP) based on real-time transmission, and SIP may process an application level protocol. The protocol stack of the SIP may be as defined in the standard.

UPnP 처리부(224)는, 각종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 내지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인 UPnP를 지원 내지 처리한다. The UPnP processing unit 224 supports or processes UPnP, which is an interface standard for accessing or connecting to home network systems of various devices.

출력부(226)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이벤트와 상기 이벤트의 처리 등 관리부(122)의 관리, 처리 등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관련 서비스 또는 서비스 처리 등에 관한 다양한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output unit 226 may include various audio, video, image, etc. related to the home network system related service or service processing through an external network, such as management and processing of the management unit 122 such as an event in the home network system and processing of the event. Output the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10), A/V(Audio/Video) 입력부(320), 사용자 입력부(330), 센싱부(sensing unit)(340), 출력부(350), 메모리(360), 인터페이스부(370), 제어부(controller)(380), 전원 공급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필요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3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모듈화된 일부 구성이 개별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3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 A / V input unit 320, a user input unit 330, a sensing unit 340, an output unit 350, and a memory 360. ), An interface unit 370, a controller 380, a power supply unit 390, and the like.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by omitting or adding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module of some components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nd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individual components.

도 3을 참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3,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무선 통신부(31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이동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수신 모듈(311), 이동 통신 모듈(311), 무선인터넷 모듈(313), 근거리통신 모듈(214), 위치정보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3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1, a wireless internet module 3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315. .

방송 수신 모듈(3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satellite) 채널, 지상파(terrestrial) 채널, 케이블(cable)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방송 수신 모듈(311)이 이동 단말기(300)에 제공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3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 cable channel, and the like. Two or more broadcast receiving modules 311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broadcast channel switching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2.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관련 정보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3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ATSC-M/H(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Mobile Handheld),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3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311 may include, for examp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and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DVB-CBMS),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OMA-BCAST),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CMMB),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MBBMS),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Digital broadcasting signals may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Terrestrial,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Mobile Handheld (ATSC-M / H), and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FLUT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3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not only the above-described digital broadcast system but also other broadcast systems.

방송 수신 모듈(3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3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이동 통신 모듈(312)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ut not limited to,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nd Wideband CDMA (WCDMA). Send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with on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상기 이동 통신 모듈(3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3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mobile device 300.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GSM, CDMA, WCDMA, and LTE (Wireless Internet). 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LTE-A), and the like may be used. Herein,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LTE-A,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313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2.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R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3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ampl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RS, etc. may be used. Can be.

위치 정보 모듈(315)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 모듈(3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3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315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315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away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a triangulation method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s obtained.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accurately. Currently,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315 may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A/V 입력부(3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21)와 마이크(3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 / V input unit 3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321 and a microphone 322.

카메라(3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camera 3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1.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3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Two or more cameras 3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use environment.

마이크(3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3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3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3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3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while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이동 단말기(3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336), 터치 센서(정압/정전)(3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3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330 may be composed of a button 336 and a touch sensor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337 positioned at the front / rear o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300, and although not shown, a keypad ), A dome switch, a jog wheel, and a jog switch may be further included.

센싱부(340)는 이동 단말기(3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3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3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3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370)의 외부 디바이스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340)는 근접 센서(3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3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3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300,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Examples of the sensing unit 340 may include a gyroscop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is a slide phone typ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ls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3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3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may be sensed. The sensing unit 3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341.

출력부(3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351), 음향 출력 모듈(352), 알람부(353), 및 햅틱 모듈(3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3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351, a sound output module 352, an alarm unit 353, and a haptic module 354. Can be.

디스플레이부(351)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3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device 3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device 3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device 3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디스플레이부(3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and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3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body)의 디스플레이부(3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em.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35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the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3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3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300, two or more display units 351 may exist. For example,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300,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3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3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35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351 may be used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for example, a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3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51 or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of the touch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ouch. 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a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3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380 may determine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351 is touched.

근접 센서(3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proximity sensor 3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cover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Proximity sensors have a longer lif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contact sensors. 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may be referred to as a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may mean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touch. The proximity sensor sense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3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52)은 이동 단말기(3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3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or stored in the memory 3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352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or a message reception sound)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300. The sound output module 3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353)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51) 또는 음성 출력 모듈(3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51) 및 음성 출력 모듈(352)은 알람부(3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3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device 3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device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3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an occurrence of an event by vibration, in addition to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352.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35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352 may be a kind of alarm unit 353. May be classified.

햅틱 모듈(haptic module)(3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3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3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4)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haptic module 3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354.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3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may be sequentially output.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354 may be used to stimulate pins that vertically mov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jett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the jetting or suction port, grazing to the skin surface, electrode contact, electrostatic force, and the like.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the effects of the heat-absorption and the reproduction of the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 capable of generating heat. The haptic module 354 may not only deliver the haptic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may also be implemented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haptic effect through a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n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3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aspect of the mobile device 300.

메모리부(360)는 제어부(3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360)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3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3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3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380, and temporarily stores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n audio,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perform a function for. The memory unit 360 may store a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data (for example, each telephone number, each message, and frequency of use of each multimedia). In addition, the memory unit 360 may store data regarding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The memory 3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of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M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PEROM), programmable ROM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It may includ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3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37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3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3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370 serves as a path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300. The interface unit 3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300, or transmits data in the mobile terminal 300 to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s, The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the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370.

식별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IM: Subscriber Identify Module),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mobile device 3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and a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SIM).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and the like.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a port.

인터페이스부(37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37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device 300 when the mobile device 3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a user. May be a passage that is delivered to the mobile device.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device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3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3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81)은 제어부(3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The controller 3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3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3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3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380. The controller 3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a 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text and an image,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3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3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made to be 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or charging.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370 to which an external charger f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3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3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360)에 저장되고, 제어부(3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applications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380.

도 4a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4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개시된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mobile device 300 has a terminal body in the form of a b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and two or more bodies are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301, 302, 3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front case)(301)와 리어 케이스(rear case)(2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301)와 리어 케이스(3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body of the mobile device 300 includes casings 301, 302, and 303 which form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301 and a rear case 2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built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301 and the rear case 302.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3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3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 카드 및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때, 상기 리어 케이스(302)는 그 표면을 커버(cover)하기 위한 후면 커버(3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3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 커버(3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302)의 표면이 노출된다.In some cases, an electronic component may b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302.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302 include a battery, a USIM card, a memory card, and the like, which the user needs to remove. In this case, the rear case 302 may further include a rear cover 303 for covering the surface thereof. The rear cover 303 is formed of a structure that is easily removable by the user. When the rear cover 303 is removed,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302 is exposed.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커버(3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3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303)의 사이즈를 작게 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3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303)가 상기 리어 케이스(3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321’)나 음향 출력부(3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rear cover 303 is coupled, only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302 may be exposed. When the size of the rear cover 303 is reduced,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302 may be exposed. Some may be exposed. When the rear cover 303 covers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302, the rear cover 303 may include an opening 303 ′ for exposing the camera 321 ′ or the sound output unit 352 ′ to the outside.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titanium (Ti), or the like.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301)에는 디스플레이부(351), 음향출력부(352), 카메라(321), 사용자 입력부(330/331,332), 마이크(322), 인터페이스(3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51, the audio output unit 352, the camera 321, the user input units 330/331, 332, the microphone 322, and the interface 370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mainly the front case 301. have.

디스플레이부(351)는 프론트 케이스(3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3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352)와 카메라(3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331)와 마이크(3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332), 인터페이스(370) 등은 프론트 케이스(301) 및 리어 케이스(3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301. The sound output unit 352 and the camera 321 are disposed in regions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351, and the user input unit 331 and the microphone 322 are disposed in regions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332, the interface 37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301 and the rear case 302.

사용자 입력부(33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331,3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331,3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330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nipulation units 331 and 332. The manipulation units 331 and 332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331,3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3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332)은 음향출력부(3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Content input by the first or second manipulation units 331 and 3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331 receives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332 adjusts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352 or the display unit 351. Command), such as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touch recognition mode.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4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device shown in FIG. 4A.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302)에는 카메라(3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카메라(321, 도 4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3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a camera 321 ′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302. The camera 321 ′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camera 321 (see FIG. 4A), and may be a camera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pixels as the camera 321.

예를 들어, 카메라(3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카메라(3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3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321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camera 321 'does not immediately transmit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in many. The camera 32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to be rotatable or pop-up.

카메라(321’)에 인접하게는 플래시(323)와 거울(3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323)는 카메라(3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324)은 사용자가 카메라(3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323 and the mirror 324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321 ′. The flash 323 emit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321 ′. The mirror 324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photographing (self-taking) the user using the camera 321 '.

모바일 디바이스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3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352')는 음향 출력부(352, 도 4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 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 acoustic output unit 35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body. The sound output unit 352 ′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352 (see FIG. 4A),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 phone mode during a call.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 신호 수신용 안테나(316)가 모바일 디바이스 바디의 측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 도 3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316)는 모바일 디바이스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an antenna 316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obile device body. An antenna 316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311 (see FIG. 3)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mobile device body.

모바일 디바이스 바디에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3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390)는 모바일 디바이스 바디에 내장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body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unit 3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device 300. The power supply 390 may be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body or directly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body.

리어 케이스(3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3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335)는 디스플레이부(351)를 위해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351)가 양면에서(즉, 이동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3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3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The rear case 302 may be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touch pad 335 for sensing a touch. The touch pad 335 may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type for the display unit 351. In this case, if the display unit 351 is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on both sides (i.e., in the direction of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bile terminal), the visual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pad 335. do. The information output on both surfaces may be controlled by the touch pad 335.

한편, 터치 패드(3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3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a display dedicated to the touch pad 335 is separately mounted, the touch screen may also be disposed on the rear case 302.

터치 패드(335)는 프론트 케이스(301)의 디스플레이부(3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335)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335)는 디스플레이부(3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touch pad 335 operates in association with the display unit 351 of the front case 301. The touch pad 335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351. The touch pad 335 may have a size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unit 351.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a control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mobile device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입력부(330), 디스플레이부(351), 메모리(36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근접 센서(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스크린(351)으로 구현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스크린(351)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30)가 터치 센서(3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351)은 사용자 입력부(330)로도 이용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device 300 mentioned below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In detail, the mobil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330, a display unit 351, a memory 360, and a controller 380. In some cases, the mobil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ximity sensor 341. When the display unit 351 is implemented as the touch screen 351,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more easily.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play unit 351 is the touch screen 351. do.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 unit 330 includes the touch sensor 337, the touch screen 351 may also be used as the user input unit 330.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이 될 수도 있고, 수신 단말이 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bile device 300 may be a calling terminal or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홈 네트워크에 속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원격 제어 시스템 내 각 디바이스는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직접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결될 필요는 없다.In order to control digital devices in the home network, each device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does not ne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igital device.

이하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연결 관계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편의상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관리부(122)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간에 연결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on relationship in the home network system will be described first. Here, for convenience, the home network system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ased on the management unit 122 as an embodiment.

홈 네트워크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 중계기 및 관리부 사이에 서로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digital device, a repeater, and a manager included in the home network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디지털 디바이스에는, 셋톱박스(set-top box), 디지털 TV 등 세트(SET), 전자레인지,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에어컨, 조명장치, 전기다리미 등 가정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디지털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중계기 또는/및 관리부와의 통신,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주고 받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digital device may include a set-top box, a digital TV set (SET), a microwave oven,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cleaner, an air conditioner, an lighting device, an electric iron,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such a digital devic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 a repeater or / and a management unit, and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중계기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관리부 사이에서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한다. 상기 중계기는 일종의 게이트웨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각 디지털 디바이스와 관리부 사이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 데이터를 적절히 변환하여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1 통신 프로토콜만을 지원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는 다른 제2 통신 프로토콜만을 지원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관리부에서 아무리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만을 지원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전송하더라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부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 불가능하거나 수신 가능하여도 적절히 처리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중계기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관리부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 등의 차이로 인해 발생 가능한 오동작, 오류 등을 방지하도록 데이터를 적절히 변환하고 가공하여 각 디바이스의 의도에 부합된 동작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중계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와 관리부 사이에서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필수 구성이 아닐 수도 있다.The repeater support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device and the management unit. The repeater may function as a kind of gateway. When the communication protocol for data communication is different between each digital device and the management unit, the repeater may appropriately convert data to be recognized by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assume that the digital device supports only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ccordingly, and the management unit supports only a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us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t this time, even if the management unit transmits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digital device supporting only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the digital device can properly proces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unit even if it is impossible or unreceivable. There will be no. In such a case, the repeater converts and processes the data appropriately to prevent malfunctions or errors that may occur due to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digital device and the management unit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each device. It is.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repeater may not be an essential component when there is no problem in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device and the management unit.

관리부는, 중계기를 거쳐 또는 직접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지털 디바이스와의 연결 및 상태를 제어한다.The management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and status with the digital device in the home network system via a repeater or directly.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와 관리부의 연결 과정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igital device and the management unit.

관리부는, 전원이 온 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디지털 디바이스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 즉, 관리부와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한 패킷(packet)(A-1)을 전송한다.The management unit transmits a packet A-1 including a message requesting to connect to the home network system, that is, the management unit, to the digital devic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or at the request of the user.

도시되진 않았으나, 디지털 디바이스는 관리부로부터 상기 A-1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먼저 연결 허락을 위한 패킷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이 있는 경우에 이를 보고하거나 추가적인 제어 등을 위함일 수 있다. 상기에서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이라 함은 예컨대, 전원 온 또는 오프, 예약 또는 요청된 기능의 실행 시작 또는 실행 종료, 배터리 상태, 디바이스 상태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변경 등 디지털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변경되는 모든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digital device may first transmit a packet for connection permission before receiving the A-1 packet from the management unit. This may be for reporting when there is a state change of the digital device or for additional control. In the above, the change of the state of the digital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state of the digital device, such as power on or off, start or end of execution of a reserved or requested function, battery state, or change of the device state level to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All events that change to state can be included.

디지털 디바이스는 관리부로부터 A-1 패킷이 수신되면, 해당 A-1 패킷을 파싱하여 파싱된 A-1 패킷에 포함된 메시지를 식별한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식별 결과 상기 A-1 패킷이 관리부로의 연결 요청 내용인 경우, 디바이스 상태에 따라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패킷(B-1)을 전송한다. 상기에서 디바이스 상태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는 연결 가능 메시지를 포함한 B-1 응답 패킷과 연결 불가 메시지를 포함한 B-1 응답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후자의 연결 불가 메시지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다른 기능 수행, 배터리의 소정 수준 이하, 네트워크 상태 불량 등의 상태인 경우에 B-1 응답 패킷에 포함되어 상기 관리부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A-1 packet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unit, the digital device parses the corresponding A-1 packet to identify a message included in the parsed A-1 packet. The digital device transmits a response packet B-1 to the connec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device status when the A-1 packet is the content of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device state, the digital device may transmit a B-1 response packet including a connectable message and a B-1 response packet including a disconnectable message. The latter non-connection message may be included in the B-1 response packet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unit when the digital device performs a different function, i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of a battery, or a bad network state.

관리부는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B-1 응답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B-1 응답 패킷을 파싱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식별한다. 관리부는 상기 B-1 응답 패킷이 연결 가능 메시지를 포함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연결 허락 메시지가 포함된 A-2 패킷을 전송한다. 상기 연결 허락 메시지에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연결을 허락하는 데이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연결시 이용할 채널 또는/및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연결 가능 시간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B-1 response packet from the digital device, the management unit parses the received B-1 response packet to identify the content of the message. If the B-1 response packet includes a connectable message, the manager transmits an A-2 packet including a connection permission message to the digital device. The connection permission message may include data for allowing the connection of the digital device, data on a channel or communication protocol to be used for connection of the digital device, connection time data of the digital device, and the like.

디지털 디바이스는 관리부의 연결 허락 메시지가 포함된 A-2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패킷의 메시지를 파싱한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파싱된 패킷의 메시지 내에 포함된 시간 데이터, 채널 또는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부와의 연결을 시도한다.When the digital device receives the A-2 packet including the connection permission message of the management unit, the digital device parses the message of the packet. The digital device attempts to connect with the management unit by using time data, channel or communication protocol data included in the message of the parsed packet.

디지털 디바이스는 관리부와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관리부와의 연결에 성공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포함된 B-2 패킷을 관리부로 전송한다.When the connection with the manager is completed, the digital device transmits a B-2 packet includ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manager is successful to the manager.

관리부는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B-2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B-2 패킷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연결 완료를 저장하고,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와의 연결 과정을 종료한다. 이후 관리부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로 주기/비주기로 계속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A-3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B-2 packet is received from the digital device, the management unit stores the comple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the received B-2 packet, and terminates the connection process with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Thereafter, the management unit may continuously transmit the A-3 packet including the message for confirming the connection status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periodically / aperiod.

원격 제어 시스템의 연결 관계는 제1 디바이스,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및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is made between the first device, network management and the second device.

여기서, 제1 디바이스는 전술한 도 1의 서버 측에 해당하고 편의상 이하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설명한다. 또한, 제2 디바이스는 전술한 도 1의 클라이언트 측에 해당하고 편의상 이하에서는 관리부로 설명한다. 한편, 네트워크 매니지먼트는 전술한 도 1의 네트워크 또는 상기 네트워크 내 제어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first device corresponds to the server side of FIG. 1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as a mobile device for convenience. In addition, the second device corresponds to the client side of FIG. 1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below as a management unit for convenience. Meanwhile, network management may refer to the network of FIG. 1 or the control processor in the network described above.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원이 온 되면, 원격 제어 시스템 접속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When the mobile device is powered on, the mobile device executes an application for connecting to a remote control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실행에 따른 UI를 통해 원격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크 접속 또는 연결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When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is executed,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home network connection or connection selection for remote control through the UI according to the execution.

네트워크 매니지먼트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신호를 이동 통신 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관리부로 전달한다.The network management receives a mobile device or a control signal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management unit.

관리부는 전달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신호를 파싱하고 파싱된 제어 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신호 내 디지털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체크한다.The management unit parses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of the mobile device and checks a connection state with the digital device in the home network signal according to the parsed control signal.

관리부는 연결 상태 체크 결과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결되지 않았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과정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파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패킷을 전송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state is no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the management unit performs the connec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Otherwise, the management unit transmits a packet including the digital device control message based on the parsed control signal.

관리부는 상기 전송한 패킷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피드백(feedback) 메시지를 포함한 패킷을 수신하여 다시 네트워크 매니지먼트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리턴 한다.The manager receives a packet including a feedback message of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packet and returns a response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to the network management.

네트워크 매니지먼트는 리턴된 관리부의 응답 신호를 직접 또는 이동 통신 서버를 통해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한다.The network management transmits the response signal of the returned management unit to the corresponding mobile device directly o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모바일 디바이스는 관리부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 신호를 파싱하여 파싱된 응답 신호 내 메시지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UI/UX를 제공한다.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공된 UI/UX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나 선택에 따른 추가로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어 신호를 관리부와 송수신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response signal of the management unit is received, the mobile device parses the response signal and provides the UI / UX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message in the parsed response signal. Thereafter, the mobile device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with the management unit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addition to the user's input or selection through the provided UI / UX.

한편, 상기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UI/UX를 통해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동시에 또는 순차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순차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이전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과정에서 중복되는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제어 신호 내에 각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 신호 내 헤더 부분을 활용하여 상기 각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메시지를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제어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관리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 또는 등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식별자 정보를 할당 또는 관리하고 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공유하여 제어 편의를 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식별자 정보로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자체의 고유한 디바이스 넘버 데이터, 관리부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임의로 할당하는 ID(entifier) 데이터, IP/UDP 어드레스 데이터, MAC 어드레스 데이터, 홈 네트워크 시스템 ID 데이터 등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의 조합으로 상기 식별 정보가 결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the process of controlling one digital device in the home network system through the mobile device has been described, but the user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controls a plurality of digital devices in the home network system through the UI / UX of the mobile device. You may.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igital devices sequentially, the overlapping process of the previous digital device control process may be omitted. Meanwhile, in the cas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gital devices at the same time, each digital device control message may be included in one control signal and transmitted. In this case, each of the digital device control messages may be identified by using a header portion of the control signal. You can make it possible. For example,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a remote control system, the management unit may allocate or manage identifier information of a digital device that can be registered or registered in a home network system, and transmit the same to a mobile device to share the information. The identifier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unique device number data of the device itself, ID (entifier) data, IP / UDP address data, MAC address data, home network system ID data, etc., which are arbitrarily assigned by the management unit or the mobile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including at least one data and combining the data.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원 온 이후에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또는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예컨대, 네트워크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upload)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관리부로 원격 제어 메시지가 업로드 되었음을 알린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foregoing, the mobile device may connect to the cloud server through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or through an internet application after power on. The cloud server may correspond to a network, for example. In this case, when the mobile device uploads a remote control message to the cloud server, the cloud server notifies the management unit that the remote control message has been uploaded.

도 5 내지 7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5 to 7 illustrate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 a mobile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5(a)와 같은 UI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a)의 화면 이전에 원격 제어 대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등록 또는 설정(이하 ‘등록’)하거나 해당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연결 과정을 위한 UI 및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executes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the mobile device provides a UI as shown in FIG. 5A. Here, as described above, a UI and a process for registering or setting a home network system that is a remote control target (hereinafter, 'registered') or a connection process with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system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creen of FIG. 5 (a). have.

도 5(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대상으로 등록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항목들(511,512,513)을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도 5(a)에서는 비록 등록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마이 홈(My Home), 패런트 홈(Parent Home) 및 프렌드 홈(Friend Home) 3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일 것이다. 한편, 각 항목(511,512,513)은 해당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대상이 몇 개인지 숫자 형태로 함께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mobile device selects items 511, 512, and 513 that represent a home network system registered as a remote control target. In FIG. 5 (a), although the registered home network system shows three My Home, Parent Home, and Friend Home,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may be at least one. . Meanwhile, each item 511, 512, 513 may be displayed together in the form of a number of control targets in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system.

도 5(a)에서 사용자가 마이 홈(511)을 선택한 경우, 도 5(b)와 같이 마이 홈 내의 원격 제어 가능한 룸 1(Room 1)(521), 룸 2(Room 2)(522), 부엌(Kitchen)(523) 및 욕실(Bathroom)(524) 4개의 차상위 항목들이 선택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 5(b)에서 사용자가 4개의 차상위 항목들(521,522,523,524) 중 부엌 항목(523)을 선택하면, 도 5(c)와 같이 3개의 차차상위 항목들(531,533,535)가 제공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my home 511 in FIG. 5 (a), as shown in FIG. 5 (b), the room 1 (521), the room 2 (522), and the remote controllable room in the my home, as shown in FIG. Four second-order items are provided for selection in the kitchen 523 and the bathroom 524. In FIG. 5B, when the user selects the kitchen item 523 from the four next-order items 521, 522, 523, and 524, three next-order items 531, 533, and 535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5C.

도 5(c)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 홈(최상위)의 부엌(차상위)에서 연결/제어 가능한 조명(531), 냉장고(533) 및 식기 세척기(535) 항목이 출력된다. 여기서, 도 5(c)의 각 항목은 해당 항목의 온/오프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5(c)에서는 항목 타이틀명(조명) 옆에 해당 타이틀 항목의 온/오프 여부가 텍스트 형태로 구현 제공되고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5(c)에서는 각 항목 옆에 해당 항목을 대표하는 썸네일 이미지(532,534,536)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532,534,536)는 해당 항목 자체의 직관적인 인식 및 식별뿐만 아니라 현재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532,534,536)는 반드시 이미지 형태만이 아니라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제공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며, 선택시 팝-업 창(pop-up window)이 제공되어 확대된 화면으로 제공하거나 전체 화면으로 전환되어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532,534,536)는 예컨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구비된 CCTV, 각종 센서 등과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현재 상태를 바로 식별하고 제어 가능하다. 상기 센서에는 감지 센서, 온도 센서, 거리 센서, 카메라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센서는 비단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카메라 센서뿐만 아니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주변의 다른 카메라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c), as described above, items of a light 531, a refrigerator 533, and a dishwasher 535 that can be connected / controlled in the kitchen (top) of the home (top) are output. Here, each item of FIG. 5C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o as to intuitively recognize whether the item is on or off. In FIG. 5C, whether a title item is turned on or off next to the item title name (lighting) is provided in text for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in FIG. 5C, thumbnail images 532, 534, and 536 representing the corresponding item may be provided beside each item. The thumbnail images 532, 534, and 536 may serve to recognize a user's current state as well as intuitive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tem itself. Meanwhile, the thumbnail images 532, 534, and 536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udio, video, and text as well as an image form, and may be selected by the user, and a pop-up window is provided upon selection. It may be provided as an enlarged screen or may be converted to a full screen and provided. On the other hand, such thumbnail images (532, 534, 536), for example, in conjunction with the CCTV, various sensors, etc. provided in the home network system can immediately identify and control the current status in real time. The sensor may include a sensing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distance sensor, a camera sensor, and the like, but the camera sensor may use not only a camera sensor of a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but also other camera sensors around the digital device.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도 5(c)에서 조명 항목(531) 또는 대표 썸네일 이미지(5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5(d)에 도시된 UI를 제공한다. 도 5(d)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UI는 형광등(541)과 식탁등(543)이 있고 부대하여 대표 썸네일 이미지(542,544)가 함께 제공 가능하다.When the user selects either the lighting item 531 or the representative thumbnail image 532 in FIG. 5C, the mobile device provides the UI illustrated in FIG. 5D. The UI of the mobile device of FIG. 5 (d) includes a fluorescent lamp 541 and a dining table lamp 543. In addition, representative UI images 542 and 544 may be provided together.

사용자는 도 5(a) 내지 5(d)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UI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원격 제어 대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들)에 대해 직관적인 인식 및 제어가 가능하다.As illustrated in FIGS. 5A through 5D, the user may provide a UI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 the mobile device to enable intuitive recognition and control of the home network system (s) that is the user's remote control target.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5(a) 내지 5(d)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도 6과 같이 팝-업 창을 통해 해당 항목 레벨에서 제어 가능한 서브 항목을 제공한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정 서브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항목을 파악하여 파악된 항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전송한다.When any one item is selected in FIGS. 5 (a) to 5 (d), the mobile device provides a controllable sub-item at a corresponding item level through a pop-up window as shown in FIG. Here,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sub item, the mobile device identifies the selected item,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tem,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system.

도 6에서는 도 5(d)를 예로 하여 특정 항목(식탁등)에 대한 서브 항목을 포함한 팝-업 창(610)을 도시하였다. 도 6의 팝-업 창(610)에 포함된 서브 항목은 해당 상위 항목의 타입, 상태 등에 의해 제공되는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예시한 식탁등(543)은 현재 오프 상태이다. 따라서, 도 6의 서브 항목으로는 전원 온, 레벨 제어 항목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온의 경우에는 상기 레벨이 100%인 경우로 디폴트값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레벨 제어 항목은 식탁등의 전원을 온시키나 상기 100%가 아닌 다른 레벨로 제어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레벨을 숫자 형태로 제공하는 일 실시예이나 상기 숫자 이외의 모드 형태로 정의하고 선택 제어도 가능하다. 상기 모드 형태라 함은 외출 모드, 식사 모드 등 다양한 모드가 정의될 수 있다.In FIG. 6, the pop-up window 610 including sub-items for a specific item (table, etc.) is illustrated using FIG. 5 (d) as an example. Sub-items included in the pop-up window 610 of FIG. 6 may have different contents provided by the type, state, etc. of a corresponding upper item. For example, the table lamp 543 illustrated in FIG. 8 is currently off. Accordingly, the sub-item of FIG. 6 may be provided with a power-on, a level control item, and the like. Here, the power-on may be regarded as the default value when the level is 100%. On the other hand, the level control item is to turn on the power of the table lamp, but to control to a level other than the 100%.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defined as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level in the form of a number or a mode other than the number and the selection control is also possible. The mode type may be defined in various modes such as an outing mode and a meal mode.

한편, 도 5(b) 내지 (d)는 순차로 해당 레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자체가 전환될 수도 있으나, 화면 전환 없이 해당 화면 내에서 팝-업 형태로 선택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b) to (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level, the screen itself may be switched, it may be provided to be selected in a pop-up form within the screen without switching the screen. .

도 5(a) 내지 5(d)에서는 각 항목이 아이콘 형태로 제공되었으나, 이는 사용자의 식별 또는/및 선택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일 뿐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Although each item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icon in FIGS. 5 (a) to 5 (d), this is only one embodiment for the user's identification and / or selection convenience, and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또한,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각 항목의 연결 또는 제어 가능 여부를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는 처음 각 항목을 제공함에 있어서 연결 또는 제어 가능한 항목들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직관적인 식별 편의를 돕기 위하여, 각 항목에 연결됨/연결불가라는 텍스트, 이모티콘, 컬러변경, 농도/채도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 내지 5(d)에서는 일 실시예로 연결/제어 가능한 항목은 실선과 진한 컬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인식을 돕고, 반대로 연결/제어 불가능한 항목은 점선과 연한 컬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제어 가능한 항목과 차별화되도록 도시하였다. 도 5(a)를 예로 하면, 마이 홈(511), 패런트 홈(512) 및 프렌드 홈(513) 중 현재 프렌드 홈 항목(513)이 연결/제어 불가능한 상태임을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5A to 5D, the mobile device may provide a user to intuitively identify whether each item can be connected or controlled. In this case, unlike in FIG. 5, the mobile device may provide only items that can be connected or controlled in initially providing each item. The mobile device may change texts, emoticons, color changes, density / saturation changes, etc. to connect / disconnect each item to help the user intuitively identify. For example, in FIGS. 5 (a) to 5 (d), the items that can be connected / controlled in one embodiment help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using solid lines and dark colors, while the items that cannot be connected / controlled have dotted lines and light colors. It is shown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connection / controllable items. Referring to FIG. 5A, the user may intuitively know that the current friend home item 513 is not connected / controlled among the my home 511, the parent home 512, and the friend home 513.

한편, 도 5(a) 내지 5(d)에서는 화면 최상단에 메인 화면상에 제공되고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대상 내지 제어 레벨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화면 최상단에 “원격제어 App (My Home/Kitchen/조명)”으로 표시되어, 현재 메인 화면에서 제공하고 있는 항목들(542-543, 544-545)은 마이 홈의 4개의 항목 중 키친 항목의 조명 항목에 대해 제공하고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S. 5A to 5D, the control target or the control level of the home network system provided on the main screen may b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so as to be easily recognized. Referring to FIG. 5 (d), the items “542-543 and 544-545” currently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re displayed as “Remote Control App (My Home / Kitchen / Lighting)” at the top of the screen.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the lighting items of the kitchen items are provided among the four items of.

도 7은 전술한 도 5 내지 6과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6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원용하고 여기서 생략하며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7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IGS. 5 to 6. Therefore, hereinafter,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FIGS. 5 to 6 will us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will be omitted here, and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different points.

도 5 내지 6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마이 홈이 선택된 경우에 다시 방, 부엌, 욕실 등과 같이 위치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반해, 도 7(a)에서 마이 홈이 선택되면, 선택된 마이 홈에서 위치 기반이 아닌 디지털 디바이스의 타입 기반으로 도 7(b)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In FIG. 5 to FIG. 6, the mobile device provides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location such as a room, a kitchen, a bathroom, etc. when My Home is selected, whereas when My Home is selected in FIG. A user interface as shown in FIG. 7B is provided based on the type of the digital device.

도 7(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의 타입 기반으로 조명, 냉장고, TV, 세탁기, 로봇 청소기 등이 차상위 항목이 제공된다. 이 경우, 차상위 항목에는 대표 썸네일 이미지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b), the next higher item is provided for lighting, a refrigerator, a TV, a washing machine, a robot cleaner, and the like based on the type of the digital device. In this case, a representative thumbnail image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next higher item.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도 7(b)의 차상위 항목 중 조명 항목을 선택하면, 도 7(c)의 차차상위 항목들을 제공한다.The mobile device provides the next higher order items of FIG. 7C when the user selects an illumination item among the next higher items of FIG. 7B.

여기서, 도 7(c)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속하기만 하면 도 7(c)에 모두 제공되며 이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타입만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해당 조명의 위치에 관계없이 출력된다. 다만, 각 조명은 식별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7(b)에서 선택된 조명 항목에 속한 8개의 각 조명을 “방 1/형광등 (온)”, “방 2/형광등 (on)”, “거실/형광등 (on)”, “욕실/형광등 (off), “부엌/식탁등 (off)” 등과 같이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7(c)의 UI 만으로도 해당 조명이 어느 위치에 어느 조명인지를 직관적으로 식별하고 제어 가능하다.Here, FIG. 7 (c) is provided in FIG. 7 (c) as long as it belongs to the home network system as described above, which is based only on the type of digital device, and is outpu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lighting. . However, each light should be provided in an identifiable form. Thus, as shown in Fig. 7 (c), the mobile device may display the eight respective lights belonging to the lighting item selected in Fig. 7 (b), “room 1 / fluorescent lamp (on)”, “room 2 / fluorescent lamp (on)”. , “Living Room / Fluorescent (on)”, “Bathroom / Fluorescent (off),“ Kitchen / Dinner (off) ”etc. 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identify and control which lighting is at which position in the lighting only by using the UI of FIG. 7C.

도 8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UI/UX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UI / UX of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vided by a mobile device.

도 5 내지 7에서는 원격 제어 항목들을 단계별로 상위 레벨에서 하위 레벨로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한 UI라면, 도 8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는, 도 8은 전술한 도 5과 7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동시에 제어 또는 동시에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공되는 UI일 수도 있다.In FIGS. 5 to 7, if the UI is provided so that the remote control items can be selected from the upper level to the lower level step by step, FIG. 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provided by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o execute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Alternatively, FIG. 8 may be a UI provided when a user wants to simultaneously control or simultaneously monitor a plurality of home network systems.

이하에서는 기본 컨셉은 도 5 내지 7과 대동소이한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술한 도 5 내지 7의 설명을 원용하며,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asic concept will be omitted from FIG. 5 to FIG. 7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of FIG. 5 to 7 will be used, and different parts will be mainly described.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도 8과 같이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한다. 도 8에서는 편의상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마이 홈과 패런트 홈 두 개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한 개인 경우 또는 3개 이상인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하여 출력 가능하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대상이 많아 화면상에 동시에 전부 출력할 수 없는 경우나 각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대상에 대해 서로 다른 페이지에 구성하여 사용자의 좌우 핸들링 입력에 따라 제공할 수도 있고 하나의 페이지 내에서 상하 스크롤 기능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device receives a request for executing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the mobile device configures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ed home network system as shown in FIG. 8. 8 illustrates a case where two connected home network systems are my home and a parent home. However, the connected home network system may be configured in one or three or more similar home systems.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device has a large number of control targets for one home network system and cannot be output on the screen all at the same time or on different pages for control targets for each home network system. It can be provided, or it can be provided as a vertical scroll function within a single page.

도 8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UI/UX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의 UI/UX는 마이 홈에 대한 UI/UX(A)(810)와 패런트 홈에 대한 UI/UX(B)(850) 부분으로 구분되어 제공되고 있다.Hereinafter, the UI / UX of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obile device of FIG.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UI / UX of FIG. 8 is divided into UI / UX (A) 810 for my home and UI / UX (B) 850 for the parent home.

A 영역(810)에 출력되고 있는 마이 홈에 대한 UI/UX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I / UX for the My Home output to the A area 8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 영역(810)은 각 제어 대상에 대해 3가지 항목(820,830,840)을 출력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고 있다. In the A region 810, three items 820, 830, and 840 are output for each control target.

제1 항목(820)은, 해당 제어 대상의 온/오프 여부를 식별한다. 상기 식별은, 해당 항목에 대한 컬러, 크기, 2D/3D 구현, 깜빡거림 등의 형태로 구현함으로 이루어지거나 텍스트를 통해 또는 상기 텍스트를 병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item 820 identifies whether the control target is on or off. The identification may be made by implementing a form of color, size, 2D / 3D implementation, blinking, or the like for the corresponding item, or may be made through text or by writing the text together.

제2 항목(830)은, 해당 제어 대상 자체를 식별한다. 상기 제어 대상 자체의 식별은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항목(830)은 상기 식별되는 제어 대상의 개수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개수 데이터는 온된 개수/전체 개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 홈의 조명 전체 개수가 8개이고 이 중 5개가 온되어 있다면, 5/8과 같이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개수 데이터는 제1 항목(810)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조명 개수 중 과반수 이상이 온되어 있다면 상기 제1 항목(820)은 온된 경우로 판단하는 것이다. 도 10의 B 영역(850)의 경우 조명이 3/8인 경우에는 A 영역(810)과 달리 제1 항목이 오프로 표시될 수 있다. The second item 830 identifies the control object itself. Identification of the control object itself may be made through text data. Meanwhile, the second item 830 further includes count data of the identified control object. In this case, the count data may be provided in an on count / total count form. For example, if the total number of lights in my home is eight and five of them are turned on, it is provided as 5/8. The count data may be linked with the first item 810. For example, if more than half of the total number of lights is on, the first item 820 is determined to be on. In the case of the region 850 of FIG. 10, when the illumination is 3/8, the first item may be displayed as off, unlike the region A 810.

제2 항목(830)은 추가로 해당 항목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대상이 조명인 경우에는 전체 8개의 조명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거실(2/3), 방 1(2/3) 그리고 방 2(1/2)와 같이, 각 조명에 대해 구분하고 구분된 각 조명의 온 된 개수/전체 개수를 간편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된 각 조명에 대해서도 온된 개수가 전체 개수에서 과반이 안되면 해당 조명에 대한 서브 항목(832) 자체를 다른 서브 항목과 구분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다른 제어 대상 예를 들어, TV를 참고하면, 현재 TV가 전체 2대 중 1대가 온 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고, 온 되어 있는 해당 TV에서 어떤 채널의 어떤 프로그램을 시청 중인 것도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18:30, MBC 무한도전 시청 중). 냉장고를 예를 들면, 냉장고 내 포함된 내용물을 기초로 오늘의 추천 요리를 제안할 수 있으며, 상기 내용물 중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내용물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세탁기는 현재 헹굼 중 상태이며, 세탁 완료까지 15분이 남아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는 현재는 오프 상태이나 20시에 거실 청소를 시작하라는 예약 정보가 있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항목(830)에는 단지 제어 대상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화면 자체에서 별도의 화면 또는 페이지 전환 없이도 상세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세 부가 정보는 비단 제2 항목(830)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해당 항목 선택에 따라 팝-업 형태로도 제공 가능하다.The second item 830 may additionally provide detailed data about the item.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object is a light, a total of eight lights are provided separately. Referring to FIG. 10, for each lighting, such as living room (2/3), room 1 (2/3), and room 2 (1/2), the number of turned on / total number of each light can be easily Can be identified. In addition, even if each of the divided lights does not exceed half of the total number of the sub-items 832 for the corresponding lights may be provid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ub-items. For example, referring to TV as another control object in FIG. 8,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at one of two TVs is currently turned on, and that any TV program can be identified that is watching any program on a certain channel. (“18:30, watching MBC Infinite Challenge”). For example, the refrigerator may suggest a recommended dish of the day based on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refrigerator, and may provide the user with data on contents of the contents that have passed an expiration date or have a shelf life. You can also 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is currently in a state of being rinsed, and may display that 15 minutes remain until the washing is completed. The robot cleaner may indicate that there is a reservation information to start cleaning the living room at 20 o'clock or off. As such, the second item 83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identify no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control target but also detailed information without a separate screen or page switching on the screen itself.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detailed additional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second item 830 can be provided in a pop-up form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item.

제3 항목(840)은 제2 항목(830)의 제어 대상에 대한 대표 썸네일 이미지/동영상이 제공된다. 이 경우, 제3 항목(840)에 제공되는 이미지/동영상은 해당 제어 대상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 대상이 TV라면 온 되어 있는 TV에서 현재 시청중인 화면을 자동으로 캡쳐하여 백 채널(back channel)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TV가 아닌 다른 제어 대상의 경우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카메라 센서 등이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구비된 주변의 CCTV 등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항목(840)의 데이터는 해당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해당 제어 대상으로 이미지/동영상 등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고, 상기 제어 대상에서 그에 응답함으로써 최신 이미지/동영상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동영상은 상기와 같이 촬영 등이 불가한 경우에는 불활성화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항목 식별 편의를 위해 관련 대체 이미지를 인터넷 등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표시할 수도 있다. The third item 840 is provided with a representative thumbnail image / video of the control target of the second item 830. In this case, the image / video provided to the third item 840 may be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If the control target is a TV, a back channel is automatically captured by automatically capturing the screen currently being watched on the TV. It can be displayed by transmitting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and in the case of the control target other than the TV,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 video captured by a camera sensor of another digital device or the surrounding CCTV provided in the home network system. Can be. When the corresponding item is selected, the data of the third item 840 requests the mobile device to update the image / video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object, and updates the latest image / video data to the user by responding to the control object. can do. In addition, such a thumbnail image / video may be deactivated when photographing or the like is impossible as described above, and a user may download and display a related substitute image from a server such as the Internet for convenience of item identification.

한편, 제3 항목(840)의 썸네일 이미지/동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해당 항목 내에 개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복수 개의 데이터가 존재함을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제3 항목(1040)을 액세스하면 팝-업 등의 형태로 각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동시에 제공되는 각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가 혼재할 수 있으며 동영상 데이터의 경우 별도의 선택이 없더라도 동시에 재생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 videos of the third item 840, the mobile device displays the number in the corresponding item to provide the user with identification of the plurality of data. The mobile device may simultaneously provide each data in the form of a pop-up or the like when the user accesses the third item 1040. In this case, each data provided at the same time may be mixed with the image data and the video data, and in the case of the video data may be reproduced and provide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selection.

한편, 도 8의 각 항목 데이터와 상세 부가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폴링(polling) 방식으로 계속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요청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폴링 요청이 없더라도 각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추가 제어를 요청하거나 제안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item data and the detailed additional data of FIG. 8 may be updated in real time by continuously request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home network system or each digital device of the home network system in a polling manner in the mobile device. Even if there is no polling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if there is a change in the current state in each digital device, the user may be provided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tate change and requesting or suggesting further control.

도 8의 마이 홈에 대한 각 항목들은 도 5 내지 7에서도 동일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hat each item of the my home of FIG. 8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in FIGS. 5 to 7.

도 9 내지 14는 전술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격제어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 내지 14는 종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메신저 등을 통해 타인과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특정 디바이스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부 등과 대화형으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실시예들이다. 9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remote control scenario in the above-described mobile device. Here, FIGS. 9 to 14 are exemplary embodiments for interactively performing remote control interactively with a specific device or a home network system manager such as a conversation with another person through a messenger or the like in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도 9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마이 홈의 청소기를 제어하는 실시예이다.9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executes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to control a cleaner of my home.

도 9(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와 같이 마이 홈의 청소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청소기의 제어 시작을 알리는 “안녕”이라는 텍스트를 대화 창(910)에 출력한다(S910).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화 창(910)에 텍스트 제공과 함께 상기 마이 홈의 청소기와 연결 또는/및 사용자가 요청한 원격 제어 프로세스에 참여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910 단계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자동으로 디폴트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A, when the cleaner of my home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outputs a text of "hello" to the chat window 910 informing the start of control of the selected cleaner (S910).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may provide a text to the conversation window 910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message requesting to join the cleaner of the home and / or to participate in the remote control process requested by the user. Here, the step S910 may be automatically provided by default in the mobile device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input.

마이 홈의 청소기는 제어 신호 수신에 따라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응답 신호 수신에 따라 “안녕하세요. 청소를 시작할까요?” 문구를 대화 창(910)에 제공한다(S920). The cleaner of my home sends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ption, and the mobile device responds to the response signal. Should I start cleaning? ” The phrase is provided to the conversation window 910 (S920).

여기서, 상기 문구 중 “청소를 시작할까요?”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이나 속성, 타입 등을 고려하거나 사용자의 이전 원격 제어 히스토리를 기초로 하여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거나 사용자의 이용 빈도가 높은 기능 수행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에 따라 다른 기능에 대한 문구로 대체될 수 있다.Here, "Would you like to start cleaning?" In the phrase "convenience to perform the most basic function or the frequency of use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property, type, etc.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or based on the user's previous remote control history. Is chosen to provide. Thus, it may be replaced with a phrase for other functions depending on the digital device in question.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입력 창(930)을 통해 청소 시작에 동의하는 “그래(yes)”라는 문구를 입력하고 전송버튼(940)을 누르면 대화 창(910)에 상기 문구를 출력한다(S930).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출력과 동시에 상기 문구에 따른 제어 메시지 즉, 청소를 시작하라는 의미의 메시지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청소기 또는 관리부를 거쳐 전송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inputs the phrase “yes” to agree to start cleaning through the input window 930 and presses the transmit button 940, the mobile device outputs the phrase to the conversation window 910 (S930). . At this time,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ntrol message according to the phrase, that is, a message meaning to start cleaning, through the cleaner or the management unit at the same time as the output.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주기/비주기로 상기 청소 시작 요청에 따른 청소 종료가 되었는지 폴링 또는 청소기로부터 청소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대화 창(910)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요청한 이벤트가 완료되었음을 알린다(S940).Thereafter, when the cleaning comple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polling or the cleaner whether the clean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cleaning start request at a periodic / non-period, the mobile device outputs it to the chat window 910 to inform the user that the requested event is completed (S940).

상기 S930 단계의 제어 과정은, 사용자가 입력창(930)을 선택하면, 가상의 키보드가 출력되어 텍스트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이모티콘 버튼(950)을 누르면, 상기 “그래”와 같이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와 관련된 이모티컨이 팝-업 형태로 제공되고, 사용자가 소정 이모티콘을 누르고 전송 버튼(940)을 누르면 상기 이미티콘이 대화창(910)에 출력될 뿐만 아니라 미리 정의된 해당 이모티컨과 맵핑된 기능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한 제어 신호가 청소기 또는 관리부를 통해 상기 청소기로 전송되어 전술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input window 930, the control process of step S930 may be performed through a text input by outputting a virtual keyboard. Alternatively, when the user presses the emoticon button 950, an emotic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is provided in a pop-up form as shown in “Yes”, and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emoticon and presses the send button 940, the emitter In addition to being output to the dialog window 910,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message requesting to perform a function mapped with a corresponding corresponding emoji may be transmitted to the cleaner through the cleaner or the manager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

상기에서, 사용자는 입력창(930)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입력된 텍스트로부터 미리 저장된 테이블의 기능 인식 용어와 비교하여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통한 제어 기능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한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비교 등을 위해 전체 텍스트 문장 중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상기 테이블 내 텍스트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의도 내지 원하는 제어 기능을 식별한다. 또한, 상기 식별 과정은 텍스트 입력 단계에서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의 키보드 등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단어 단위로 입력되는 텍스트의 자음과 모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에서 관련 텍스트 단어를 입력창(930)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여 입력 편의를 도울 수 있다.In the above, when the user inputs text through the input window 930, the mobile device compares the function recognition terms of the table stored in advance from the input text with the control func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text data to meet the user's intention. Do it. Meanwhile, the mobile device extracts a keyword from the full text sentence for the comparison and compares the keyword with the text data in the table to identify a user's intention or desired control function. The identification process is also applied to the text input step.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text through a virtual keyboard or the like, based on the consonant and vowel data of the text input in units of words, the relevant text word is provided in the tabl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input window 930. Can help with input.

한편, 도 9(b)는, 전술한 도 9(a)가 텍스트 데이터 입력을 위한 것인 반면에 음성을 통한 대화형 제어 실시예를 위한 것일 수 있다.Meanwhile, FIG. 9 (b) may be for the interactive control embodiment through voice while FIG. 9 (a) described above is for text data input.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하단의 음성 아이콘(960)을 선택하면, 대화창(910)에는 음성 인식을 위한 항목(970)이 팝-업 되어 제공된다. 상기 음성 인식 항목(970)을 통해 사용자가 음성을 출력하면 그를 인식하여 하단 입력 창(930)에는 인식된 음성 데이터 기반의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전송 버튼을 누르면 대화 창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음성 인식이 되면 음성 인식 항목 내에 음성으로부터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가 출력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창(930)이 아닌 대화창(910)에 바로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음성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가 아닌 후술할 도 10의 해당 이모티콘에 맵핑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b), when the user selects the voice icon 960 at the bottom, an item 970 for voice recognition is popped up on the chat window 910. When a user outputs a voice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item 970, the user may recognize the voice and output the text data based on the recognized voice data on the lower input window 930, and may be provided to the chat window when the user presses the transmit button. Alternatively, when the voice recognition is performed, the text data converted from the voice may be output in the voice recognition item and may be directly output on the chat window 910 instead of the input window 93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Meanwhile, the voice data may be provided to be mapped to the corresponding emoticon of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ext data.

한편,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대화형 원격 제어 과정에서 디바이스 추가 버튼(960)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를 추가 또는 변경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화창은 다른 디바이스 추가의 경우에는 기 출력 중인 대화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고 추가된 디바이스에 대한 대화형 제어 내용을 출력할 준비를 한다. 한편, 대화창은 다른 디바이스로의 변경인 경우에는 기존 대화 내용을 유지하거나 삭제하고 새로운 대화창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존 대화 내용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출력된 제어 관련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가 재선택하면 기존 디바이스에 대한 대화형 제어 기능을 현재 디바이스에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추가 또는 변경 이후에 이전에 수행한 기능에 기초하여 새롭게 동일한 제어 기능을 요구하는 경우에 입력 편의를 위하여 다시 음성, 텍스트 등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손쉽게 제어 입력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9A, a user may add or change another device through the device add button 960 in an interactive remote control process. In this case, in the case of adding another device, the dialog window keeps the conversation contents being output as is and prepares to output the interactive control contents for the added devices. Meanwhile, in the case of a change to another device, the chat window may maintain or delete the existing chat contents and configure and provide a new chat window. In this case, when the mobile device maintains the existing conversation contents, when the user reselects the output control-related text data, the mobile device may provide the interactive control function for the existing device to the current device as it is. That is, when a user requests the same control function newly based on a previously performed function after adding or changing a device, control input is easily performed based on history data even if voice, text, etc. are not input again for convenience of input. It can also be implemented.

도 10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대화형 원격 제어를 위해 메시지와 맵핑한 이모티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emoticon mapped to a message for interactive remote control in a mobile device.

여기서, 도 10(a)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일반적인 메신저 사용을 위해 미리 저장된 이모티콘을 메시지와 맵핑한 실시예이고, 도 10(b)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대화형 원격 제어를 위해 새롭게 정의한 이모티콘에 대한 실시예이다.Here, FIG. 10 (a)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mapping emoticons previously stored for a general messenger on a mobile device to a message, and FIG. 10 (b)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newly defined emoticon for interactive remote control in a mobile device. to be.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종래 문자 메시지, 카카오톡 등과 같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미리 저장한 이모티콘이 존재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디지털 디바이스와의 대화형 원격 제어를 시작하면, 텍스트로 직접적으로 전원 온/오프 및 기능 제어를 하려면 입력에 시간이 소요되고 해당 텍스트 내용이 적절하게 원하는 기능 수행을 할지 의문이 들 수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미리 저장된 이모티콘을 상기 식별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기능 등과 미리 맵핑한 후 대화형 창 제공시 이모티콘 버튼을 제공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0 (a), a mobile device has a previously stored emoticon while executing a messenger application such as a text message or KakaoTalk. In this case, when the user launches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through a mobile device and initiates interactive remote control with a specific digital device, input takes time and text to directly power on / off and control the function. You may wonder whether the content will perform the function you want. Accordingly, the mobile device identifies the selected digital device, pre-maps the previously stored emoticons with the control functions of the identified digital devices, and then provides the emoticon button when providing the interactive window.

상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되도록 미리 저장된 이모티콘과 식별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기능 맵핑 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모티콘만으로 맵핑된 기능을 식별할 수 있도록 관련 이모티콘만을 채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mobile device may adopt and provide only related emoticons so as to identify functions mapped only with emoticon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mapping the previously stored emoticons and the control functions of the identified digital devices.

한편, 도 10(a)를 통해 선택된 이모티콘은 도 9(a)의 대화창(910)에 제공시에는 선택된 이모티콘과 함께 해당 제어 기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텍스트 데이터가 병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모티콘 (전원 온)”과 같은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moticon selected through FIG. 10 (a) is provided to the chat window 910 of FIG. 9 (a), text data may be written together to identify a corresponding control function together with the selected emoticon. For example, it can be output in a format such as “Emoticon (Power On)”.

다음으로, 도 10(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0(a)와 달리, 대화형 원격 제어 편의를 위해 새롭게 이모티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모티콘의 제어 기능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그 아래 병기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0 (b), unlike FIG. 10 (a), the mobile device generates a new emoticon for the convenience of the interactive remote control, and can easily identify a control function of the generated emoticon. You can write text data below for.

한편, 도 10(b)를 참조하면, 하단에 부모님, A/S 기사, 119 등에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이모티콘이 제공되는데 이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고장이 나거나 긴급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b), an emoticon is provided at the bottom to enable a phone call to a parent, an A / S article, or a 119, which is provided for immediate response in case of a malfunction or emergency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한편, 도 10(b)에서 새롭게 이모티콘을 생성하지 않더라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모티콘을 그대로 이용하되, 해당 이모티콘 아래에 제어 기능을 병기하여 식별 편의를 도울 수도 있다.Meanwhile, even if the emoticon is not newly generated in FIG. 10 (b), the emotic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may be used as it is, and a control function may be placed under the emoticon to assist identification convenience.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마이 홈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과정에서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내용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1,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he user processes an event in a control process for a digital device of My Home.

도 11(a)를 보면, 마이 홈에는 냉장고, TV와 다리미 3개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어 대상으로 출력된다.Referring to FIG. 11A, a digital device of a refrigerator, a TV, and an iron is output to a control target in My Home.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 대상에 대해 단지 모니터링만 하는 것이 아니라 모니터링 결과나 소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폴링이나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신호 전송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bile device not only monitors the control object but also notifies the user when a monitoring result or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As described above, this may be done based on polling of the mobile device or signal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화창을 통해 마이 홈의 제어 대상 중 다리미에 대해 소정 시간 이상 사용시에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모니터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1(b)와 같이, “8분 넘게 사용하면 알려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과 동시에 다리미로 전송된 모니터링 요청 메시지 포함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네 알겠습니다.”)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1 (b), the user may transmit a monitoring signal to notify the user when an iron is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mong control targets of my home through a chat window of the mobile devic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b), when the mobile device outputs a message “Please inform when used over 8 minutes”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monitor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to the iron at the same time as the output, Print a response message (“Yes, sir.”).

상기 메시지를 통해 다리미는 소정 단위로 그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1(a)의 제어 대상인 다리미에 대해서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사용자의 제어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너무 오랜 시간 켜 놓았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켜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message allows the iron to monitor its status on a predetermined basis. In this case, when an event does not correspond to the control content of the user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of the iron that is the control target of FIG. 11 (a), the message “it has been turned on for too long” may be notified to the user.

한편, 다리미 등 원격 제어 대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11(a)와 같은 알림 메시지가 제공되고, 상기 도 11(a)의 메시지 확인시 사용자가 도 11(b)와 같은 메시지를 설정하여 모니터링에 이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or the remote control target such as an iron, a notification message as shown in FIG. 11 (a) is provided, and when the user checks the message of FIG. 11 (a), the user receives a message as shown in FIG. It can also be set and used for monitoring.

도 12(a)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대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마이 홈과 패런트 홈 두 개가 존재한다. 도 11이 마이 홈에 대한 것이라면, 도 12는 패런트 홈 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과정이다.Referring to FIG. 12 (a), there are two homes and a parent home in a home network system to be controlled remotely. If FIG. 11 is for My Home, FIG. 12 is a control procedure for the digital device in the parent home.

도 12와 같이, 마이 홈이 아닌 패런트 홈 내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는, 제어 프로세스 진행에 선행하여 권한 설정, 권한 요청, 인증 과정 등의 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이는 마이 홈이 아닌 패런트 홈이나 프렌드 홈 등에 대한 제어 과정에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메인 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중복되는 제어 커맨드(control command)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제어나 타인의 임의 제어에 따른 오동작, 오류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control of the digital device in the parent home other than the my home may require an operation such as an authority setting, an authority request, and an authentication process prior to proceeding with the control process. This must be preceded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parent home or the friend home, not the my home, because of unintended control due to overlapping control commands with the main control mobile device or malfunctions caused by arbitrary control of others, This is to prevent errors.

기본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해당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관리부는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제어 권한이 있는지 유무를 판단한다. 이는 해당 시스템 내에 등록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여부, 비밀 번호(password) 입력, 지문 인식(finger scan), 음성 인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접속/제어 권한이 있으면,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접속 권한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접속 권한과 제어 권한은 별개로 그 권한 여부를 판단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Basically, when the mobile device connects to the home network system, the manager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device has access / control authority to the home network system. This can be done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whether the user is a mobile device registered in the system, a password, a fingerprint scan, or a voice recognition. If there is access / control right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mobile device outputs information on whether to access the home network system. Meanwhile, the access right and the control right may be separately determined and processed.

한편, 관리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제어 접근시 판단 결과,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가 접속/제어 권한이 없다고 판단되면, 미리 등록된 메인 접속/제어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무권한자의 접근이 있음을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anagement unit determines that the mobile device does not have access / control authority, as determined by the access / control access of the mobile device, the administrator indicates that there is an unauthorized person's access to the mobile device of a user who has pre-registered main access / control authority. Alarm messages can be output.

상기 과정에서, 판단 결과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가 패런트 홈에 대한 접속/제어 권한이 있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패런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 대상, 상기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내용, 제어 대상의 현재 상태 등의 정보를 출력한다. In the above process, if the determination results that the mobile device has the right to access / control the parent home, the mobile device may control one or more control targets for the parent home network system, control contents for the control targets, and control targets. Outputs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state.

여기서, 도 12(a)와 같이, 사용자가 세탁기와 청소기 2개를 동시에 선택하면, 도 12(b)와 같은 대화 창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 음성, 이모티콘 등을 통해 사용자가 패런트 홈의 디지털 디바이스인 세탁기에서는 세탁을 청소기는 청소 시작을 제어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12A, when the user selects two washing machines and two cleaners at the same time, a dialogue window as shown in FIG. 12B is provid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washing machine, which is a digital device of the parent home, the cleaner may control the start of cleaning by the user through text, voice, and emoticon.

도 13은 대화형 원격 제어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내용이다.13 is a diagram of controlling a home network system through an interactive remote control.

상술한 내용은 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특정 디지털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내용에 대해 기술한 반면, 도 13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대화창을 통해 소정 메시지를 출력하면 그에 따라 관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내용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특정 디지털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While the above description mainly describes the contents of selecting a specific digital device through the mobile device and controlling the selected device, FIG. 13 shows a message outputted through a chat window after executing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ly, the control of one or more related digital devices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digital device.

도 13(a)에서 사용자가 특정 디바이스 또는/및 특정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도 13(b)의 대화창을 통해 “7시에 집에 도착한다.”라는 메시지(A)를 입력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로부터 “7시”, “집”, “도착”이라는 문구를 통해 해당 홈 네트워크 시스템,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선정하고 관련 제어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Even if the user does not select a specific device and / or a specific home network system in FIG. 13 (a), if the message A of “Arrive at home at 7:00” is input through the dialog of FIG. 13 (b), The mobile device may automatically select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system and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through the phrases “7:00”, “home” and “arrival” from the message, and transmit the related control contents.

도 13(b)를 보면, 사용자의 상기 A 메시지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가 해당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되면, 관리부는 디지털 디바이스 전체 또는 관련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제어 신호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내용이 그대로 전달 또는 각 디지털 디바이스에 맞는 제어 내용으로 변환되어 각각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이는 관리부가 아닌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리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에 맞게 변환된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어 제어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3B, when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A message inpu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system, the management uni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entire digital device or the related digital device.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as it is, or the control content of the mobile device is converted into control content suitable for each digital device. On the other hand, this may be controlled by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converted in advance for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from a mobile device other than the management unit.

도 13(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A 메시지에 따라 해당 메시지 수신 및 제어 수락을 알리고(“네, 알겠습니다.”), 제1 디바이스(에어컨)과 제2 디바이스(청소기)의 제어 내용을 알려준다(“시간에 맞춰 에어컨을 켜고 청소를 해 놓겠습니다.”). Referring to FIG. 13 (b), the mobile device notifies the reception of the message and the acceptance of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message A (“Yes, I see.”), And the control contents of the first device (air conditioner) and the second device (vacuum cleaner). (“I will turn on and clean my air conditioner on time.”).

한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각 디지털 디바이스의 현황, 상태 등에 따른 메시지를 제안할 수도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냉장고에 우유가 떨어졌으면, 우유가 떨어졌으므로 우유를 구매할 것을 제안하다. 여기서, 더 나아가 도 13(b)에서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주변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마트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도 13(b)에서는 예를 들어, “xx 마트는 휴업이므로 yy 마트를 이용하라"고 미리 알려준다.On the other hand, the home network system may propose a message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status, etc. of each digital device through the mobile device. Referring to Figure 13 (b), if the milk has dropped into the refrigerator, since the milk is dropped, it is suggested to purchase milk. In addition, in FIG. 13 (b), information on a mart available to a user may be provided by searching for surrounding information by accessing a network. In FIG. 13 (b), for example, “xx mart is closed, so use yy mart.”

도 14(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패런트 홈을 선택하고 접근/제어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패런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소정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해 예약 기능 수행을 제어 내지 요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A, when a user selects a parent home and has access / control authority, the user may control or request to perform a reservation function for a predetermined digital device in the parent home network system.

도 14(b)와 같이, 사용자가 패런트 홈을 선택하면, 패런트 홈의 관리부는 부모님의 근황 등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해당 메시지 수신 제공 이후에 사용자가 “오늘 6시에 나훈아 콘서트하는데 보여 드려라.”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b), when the user selects the parent home, the parent home management unit transmits a message about a parent's recent situation, and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 message after the user receives the message. Show it to me. ”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전송 메시지로부터 “오늘”, “6시”, “나훈아 콘서트”, 및 “보여 드려라”로부터 TV에서 상기 콘서트 프로그램을 예약 시청/예약 녹화 가능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or the management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ransmission message so that the concert program can be reserved and watched / reserved from the TV from "Today", "6", "Nahuna concert", and "Show me". Can be controlled.

한편, 전술한 내용은 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에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닌 경우에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어한 미션을 완료하였거나 소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다리미 과열로 인해 화재 위험성이 있거나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이를 보고하고 CCTV나 카메라 센서를 통해 해당 사실을 보고하고, 스프링 쿨러나 119 등에 전화가 가능하도록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the above description has mainly described the process after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of the mobile device is executed, but even when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of the mobile device is not running, the mission previously controlled by the mobile device is completed or predetermined. When an event occurs, you can report it. For example, if an electric iron overheats or poses a fire hazard, you can report it to the user, report it via CCTV or camera sensors, or send a message to a sprinkler or 119 to make a call.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5 내지 14의 UI/UX는 텍스트 형태 등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맵 형태로 제공되어 맵 내에서 사용자가 각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를 보다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 영역에 다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여 선택이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핀치-인/핀치-아웃(pinch-in/pinch-out)을 통해 확대/축소(enlarge/reduce)하여 쉽게 제어 가능하도록 UI/UX를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UI / UX of FIGS. 5 to 14 may not be provided in a text form, but may be provided in a map form to allow a user to more intuitively control the functions of each digital device in the map. have.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devices are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thus selection or identification is not easy, the user may enlarge / reduce the mobile device through pinch-in / pinch-out. You can also implement UI / UX for easy control.

그 밖에, 동일 시간대에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제어 커맨드가 동일한 디바이스 내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수신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각 모바일 디바이스의 신뢰도, 우선순위(메인 디바이스 여부) 등을 고려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커맨드는 무시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제어 커맨드를 모두 무시하고, 각 모바일 디바이스로 동일한 디바이스 내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관리부는, 소정 시간 범위 내에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동일 또는 반대되는 제어 커맨드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 커맨드는 무시하고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로 현재 기능 수행 중 또는 무시하게 된 이유를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ntrol commands through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re received by the same device or the home network system at the same time, the home network system considers the reliability, priority (whether or not the main device) of each mobile device, and the like. The control command may be ignored. Alternatively, in the above case, it is possible to ignore al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commands and to notify that each mobile device controls the same device or the home network system. Meanwhile, when the same or the opposit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another mobile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the mobile device or the manager may ignore the control command and inform the mobile device of the reason why the current function is being performed or ignored.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주로 사용자의 직접 입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함께 또는 그와 별개로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gesture)에 근거하여 원격 제어를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ainly focused on direct input of a us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remote control may be performed based on a specific gesture of the user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user's touch input. .

도 15 내지 18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15 to 1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digital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through a mobile device.

도 15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5,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through a mobile device is as follows.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원격 제어 시스템 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소정 디지털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1510),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한다(S1520). 이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 후에 실행할 수도 있다.The mobile device executes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to remotely control a predetermined digital device of a home network system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1510) and connects to the home network system (S1520). In this case, when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is not provided, the mobile device may be downloaded from a web server and executed after installation.

모바일 디바이스는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1530).The mobile device receives and outputs state information on the digital device in the connected home network system (S1530).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S1540), 상기 출력된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한다(S1550).Thereafter, the mobile device outputs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digital device control (S1540), and receives and outputs a first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from the outputted interactive user interface (S1550).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한다(S1560).The mobile device controls the digital device by generating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user inpu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device (S1560).

도 16을 참조하면, S1560 단계에서 제1 제어 신호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생성되어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in operation S1560,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모바일 디바이스는,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상에 출력되는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키워드를 검출하고(S1610), 상기 검출된 키워드를 기 저장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기능 데이터와 비교한다(S1620).The mobile device detects a keyword from the first user input output on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S1610), and compares the detected keyword with pre-stored function data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S1620).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기능 데이터를 결정하고(S1630), 상기 결정된 기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640).The mobile device determines fun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keywor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S1630), and generates the firs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etermined function data (S1640).

도 17은 상술한 도 15 또는 16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로 최초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의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일 수 있다.FIG. 17 may be illustrated to describe a scenario after transmitting an initial control signal from a mobile device to a digital device as shown in FIG. 15 or 16.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 전송 이후에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메시지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S1710), 상기 수신된 신호 내 알람 메시지를 파싱한다(S1720).After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device, the mobile device receives a signal including an alarm message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S1710), and parses an alarm message in the received signal (S1720).

모바일 디바이스는 파싱된 알람 메시지를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상에 출력하고(S1730),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상에 출력한다(S1740).The mobile device outputs the parsed alarm message on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S1730), receives a second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and outputs the second user input on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S1740). .

모바일 디바이스는, S1740 단계 이후 또는 그와 동시에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750).The mobile device generates and transmits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input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after step S1740 or at the same time (S1750).

도 18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 표시 항목 선택을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S1810),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CCTV 서버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이외의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수신(S1820)하여 상기 수신한 이미지를 팝-업 형태로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S1830).Referring to FIG. 18, the mobile device receives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mage or video data display item (S1810),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CCTV server in the home network system and a sensor of a digital device other than the digital device. In operation S1820, an image acquired from one may be received and the received image may be output on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in a pop-up form.

상기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은, 텍스트 입력, 음성 인식, 이모티콘 및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이모티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미리 저장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이모티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속성과 상태에 따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first user input is made through at least one of a text input, a voice recognition, an emoticon, and a gesture, wherein the emoticon is an attribute of the digital device based on emoticon data for a messenger applic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device. It may be provided for the digital device control depending on the state and.

한편, 상기에서,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라 함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현재 온/오프 여부 표시 항목,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 속성 또는 위치에 따른 상세 정보 표시 항목 및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 표시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item indicating whether the digital device is currently on / off, a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item according to the property or location of the digital device, and an image or video data display item. It may include.

상기에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전원 온/오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현재 수행 중인 기능 제어 및 기능 제어 예약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wer on / off of the digital device, a function control currently performed by the digital device, and a function control reservation message.

또한, 상기에서 전술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obile device may be any one of a mobile terminal,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들에 속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디지털 디바이스(들) 제어를 위한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UI/UX, 기존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여 저비용으로 확장성(expandability),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등을 확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이동 단말기의 상태 및 홈 네트워크의 상태 또는 홈 네트워크 내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편리하고 정확한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 이동 단말기의 새로운 표준 모델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제품 만족도를 개선시키고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remote control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s) belonging to one or more home network systems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s) and the UI / UX for controlling digital devices used in applications, remote control systems that make full use of existing systems to achieve expandability, backward compatibility at low cost, mobile terminal status and home network status, 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t and accurate remote control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status of digital devices in the home network.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enting a new standard model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 satisfaction and increase the purchase desire by maximizing the user's ease of 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peration flowchart) can be embodied as processor 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processor-readable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embodiments may be a combination of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electively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even in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원격 제어 시스템 110: 네트워크
120: 홈 네트워크 시스템 132: 클라우드 프로세서
134: 웨어러블 디바이스 136: 이동 단말기
100: remote control system 110: network
120: home network system 132: cloud processor
134: wearable device 136: mobile terminal

Claims (1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연결 및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디지털 디바이스 상태 정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이전 원격 제어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제공 가능한 기능들 중 제1 사용자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기능의 수행을 제안하는 정보를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A mobile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the mobile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connecti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status information on a digital device in the connected home network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received digital device status information,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remote control of the digital device, and a first user input for remote control of the digital device via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ecute an application for remote control of the digital device,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 control, and the first user input,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device.
The control unit,
Displaying on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information suggesting performance of a function most frequently used by the first user among functions available in the digital device, based on a previous remote control history of the first user for the digital device; and,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user input to command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to the digital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되는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키워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키워드를 기 저장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기능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기능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기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Detecting a keyword from the displayed first user input, comparing the detected keyword with pre-stored function data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and determining fun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keywor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generate the firs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etermined function dat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 입력, 음성 인식, 이모티콘 및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And receive the first user input through at least one of text input, speech recognition, emoticon, and gestu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미리 저장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이모티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속성과 상태에 따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해 상기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And providing the emoticon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the attribute and state of the digital device based on emoticon data for a messenger applic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현재 온/오프 여부 표시 항목,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 속성 또는 위치에 따른 상세 정보 표시 항목 및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 표시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Configur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tem indicating whether the digital device is currently on / off, a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item according to a property or a location of the digital device, and an image or video data display item. Mobile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메시지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 내 알람 메시지를 파싱하고, 파싱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n alarm message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from the digital device, parsing an alarm message in the received signal, controlling to output the parsed alarm message on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and And generate and transmit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 표시 항목 선택을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CCTV 서버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이외의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이미지를 팝-업 형태로 상기 대화형 유저 인터페이스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Upon receiving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image or video data display item, requesting an image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CCTV server in the home network system and a sensor of a digital device other than the digital device, and requesting the request. And output the received image on the interactive user interface in a pop-up for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전원 온/오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현재 수행 중인 기능 제어 및 기능 제어 예약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digital device power on / off, the currently performing function control of the digital device, and a function control reservation message.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bile device,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mobile terminal,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KR1020130124609A 2013-10-18 2013-10-18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ereof KR1020865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09A KR102086512B1 (en) 2013-10-18 2013-10-18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09A KR102086512B1 (en) 2013-10-18 2013-10-18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206A KR20150045206A (en) 2015-04-28
KR102086512B1 true KR102086512B1 (en) 2020-03-09

Family

ID=5303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609A KR102086512B1 (en) 2013-10-18 2013-10-18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5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111B1 (en) * 2015-05-14 2017-02-20 주식회사 비쥬드림 Home network system of a cloud structure
KR102383130B1 (en) 2016-01-18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l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7126740A1 (en) * 2016-01-22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Terminal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2506155B1 (en) * 2016-03-04 202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 execu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107608219A (en) * 2017-09-08 2018-01-19 冯源 A kind of intelligent multimedia interaction light fixture and system
KR102021963B1 (en) * 2018-03-26 2019-09-17 주식회사 허브테크 Remote control device quipped with a camera
KR102295859B1 (en) 2019-09-09 2021-08-31 주식회사 코맥스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l-pad through all generations of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5G including L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449A (en) * 2003-03-07 2004-09-16 주식회사 알파비전텍 Remote Control System using Internet Messenger and Method thereof
KR100790173B1 (en) * 2006-02-23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and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eolling a wireless apparatus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KR101601273B1 (en) * 2009-09-11 201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having messanger program robot device controlled through messanger program and method for driving robo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206A (en)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512B1 (en) A remote control system,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thereof
JP6423445B2 (en) Multimedia data reprodu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6254718B2 (en) Method for adjusting operating state of smart home equipment,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196413B2 (en) Alarm-based notificatio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055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displaying device list
US102379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controlled smart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356790B2 (en) Multi-user integrated task list
US8819566B2 (en) Integrated multi-modal chat
WO2018040063A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7143729A1 (en) Remote control binding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apparatus
US20160241543A1 (en)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application login system
US20110276901A1 (en) Family chat
JP6282785B2 (en) Target function starting method, apparatus,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324595B2 (en)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JP2017517831A (en) Smart home device control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526591B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ypes of live broadcast rooms
WO2016011742A1 (en) Cal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24536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connection between devices using difference communication protoco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storing program for the same
JP20165355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ultimedia data strea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7035992A1 (en) Method, device, terminal, and router for transmitting message
USRE49497E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synchronizing notifications across multiple devices
EP335246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301378A (en) User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device
KR102514443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US9693112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smart tele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