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822B1 - Flyable fire fighting dron nozzle by water pressure - Google Patents

Flyable fire fighting dron nozzle by water pres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822B1
KR102085822B1 KR1020180087417A KR20180087417A KR102085822B1 KR 102085822 B1 KR102085822 B1 KR 102085822B1 KR 1020180087417 A KR1020180087417 A KR 1020180087417A KR 20180087417 A KR20180087417 A KR 20180087417A KR 102085822 B1 KR102085822 B1 KR 10208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pe
window
window body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2292A (en
Inventor
하상균
Original Assignee
하상균
주식회사 드론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균, 주식회사 드론고 filed Critical 하상균
Priority to KR102018008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822B1/en
Publication of KR2020001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8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4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by spraying extinguishants from the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C2201/027
    • B64C2201/10
    • B64C2201/12
    • B64C2201/14
    • B64C2201/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에 관한 것으로, 고압 살수차나 소방차 등에서 소방 호스를 통해 제공되는 고압의 토출수에 의해 추진력을 얻고 자체 상승하여 높은 건물에 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조인트와 제2조인트가 착탈 및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이음관으로 이루어지며 체결관 결합부가 형성되어 소방 호스와 연결되고 밸브 결합부가 형성되어 개폐 밸브와 연결되는 스위블 조인트, 관내 유로 개폐 및 유량 조절을 위한 밸브체가 횡방향으로 내설된 밸브관으로 이루어지며 배출공 결합부가 형성되어 스위블 조인트와 연결되고 관창 결합부가 형성되어 관창 몸체와 연결되며 밸브관 외측에 조절 레버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밸브, 및 몸체 내부에 제어유닛이 탑재되고 밸브 연결공이 형성되어 개폐 밸브와 연결되고 주 배관이 내설되며 주 배관의 종단에서 다수 개의 측방지향 분기배관이 연설되어 다수 개의 분사노즐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밸브 체결부가 형성되어 개폐 밸브의 관창 연결공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창 몸체를 포함하여, 건축물의 난간 또는 나뭇 가지 등에 간단히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고도 또는 넓은 지역의 화재 진압, 방역, 미세먼지 제거, 기름 제거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for firefighting that can be emergencyed by water pressure, and is intended to obtain propulsion by high-pressure discharge water provided through a fire hose from a high-pressure sprinkler or a fire engine, and to rise to reach a high build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joint pipe in which the first joint and the second joint are detachably and pivotably coupled, and a fastening pipe joint is formed to connect with a fire hose and a valve joint is formed to form a swivel joint connected to an open / close valve, inside the pipe The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is made of a valve tube that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discharge hole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connect with the swivel joint, and the pipe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connect with the window body, and the control lever is pivotable on the outside of the valve pipe. An on-off valve installed, and a control unit is mounted inside the body, a valve connecting hole is formed, connected to the on-off valve, the main pipe is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lateral branch pipes are addressed at the end of the main pipe to detach and eject multiple spray nozzles, respectively. Fire suppression, quarantine, and fine at high altitudes or large areas by simply installing the valve and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hang on the railing or tree branch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window body connected to the opening hole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i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ust removal and oil removal.

Description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Flyable fire fighting dron nozzle by water pressure}Flyable fire fighting dron nozzle by water pressure

본 발명은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 살수차나 소방차 등에서 소방 호스를 통해 제공되는 고압의 토출수에 의해 자동 상승하여 높은 건물 내 화재장소 등에 신속하게 도달하고 높은 고도 또는 넓은 지역의 화재 진압, 농약 살포, 전염병 방역, 미세먼지 제거, 기름 제거를 위한 유화재 살포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window for firefighting that can be emergencyed by water pressure, and more specifically, it automatically rises by high-pressure discharge water provided through a fire hose from a high-pressure sprinkler or a fire engine to quickly reach a fire place in a high building and the like. It is a fire-fighting drone for emergency use by water pressur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xtinguishing fires at high altitudes or large areas, spraying pesticides,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removing fine dust, and spraying emulsifiers for oil removal.

일반적으로 관창은 소방 호스의 전방에 부착시켜 소방차의 물을 화재 발생 지점으로 용이하게 분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관창은 소방호스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면서도 이의 사용을 위하여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되며, 또한 화재 발생 지점으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거나 소방 호스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In general, the windshield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ire hose and is used to easily spray the water from the fire engine to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s, and these windshields can flexibly respond to the pressure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fire hose, but are sturdy for their use. It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it is also provided in various forms to easily control the spray direction of the water sprayed to the point of fire or to facilitate the use of fire hoses.

그러나 종래의 소방용 관창은 소방 호스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관창 내부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이 복잡하게 구현되므로 손쉬운 제조나 적응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어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fire extinguish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manufacture or adapt since the configuration of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enclosed window is easily implemented to easily discharge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fire hose. It caused the problem of lowering price competitiveness.

KR 20-2009-0009830 U 2009.09.30 공개KR 20-2009-0009830 U 2009.09.30 released KR 10-1647498 B1 2016.08.04 등록KR 10-1647498 B1 2016.08.04 Registration KR 10-1831163 B1 2018.02.14 등록KR 10-1831163 B1 2018.02.14 Regist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압 살수차나 소방차 등에서 소방 호스를 통해 제공되는 고압의 토출수에 의해 추진력을 얻고 자체 상승하여 높은 건물에 도달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난간 또는 나뭇 가지 등에 간단히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고도 또는 넓은 지역의 화재 진압, 방역, 미세먼지 제거, 기름 제거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meet the above-mentioned demand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high propulsion by high-pressure discharge water provided through a fire hose from a high-pressure sprinkler or a fire engine, and to rise itself. It can be reached and can easily be caught by railings or branches of buildings, so it can be used for fire fighting in high altitudes or large areas, fire fighting, fine dust removal, oil removal, etc. The aim is to provide drone view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소방 호스의 단부에 체결관을 통해 설치되는 소방용 관창에 있어서, 유입공이 형성된 제1조인트와 배출공이 형성된 제2조인트가 착탈 및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이음관으로 이루어지며 유입공의 내측에는 체결관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관 결합부가 형성되어 소방 호스와 연결되고 배출공에 인접한 외측 테두리에는 조인트 연결공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밸브 결합부가 형성되어 개폐 밸브와 연결되는 스위블 조인트, 일측에 조인트 연결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관창 연결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관내 유로 개폐 및 유량 조절을 위한 밸브체가 횡방향으로 내설된 밸브관으로 이루어지며 조인트 연결공의 내측에는 밸브 결합부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배출공 결합부가 형성되어 스위블 조인트와 연결되고 관창 연결공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에는 밸브 연결공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관창 결합부가 형성되어 관창 몸체와 연결되며 밸브관 외측에는 밸브체를 개폐시켜 관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조절하는 조절 레버가 밸브관 외측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밸브, 및 몸체 내부에 제어유닛 탑재를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관창 연결공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밸브 연결공이 형성되어 개폐 밸브와 연결되고 밸브 연결공의 내측으로 주 배관이 내설되며 주 배관의 종단에서 그 측방으로 배관이 분기 및 연장되어 다수 개의 측방지향 분기배관이 연설되고 측방지향 분기배관의 각 단부에는 관창 몸체의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밸브 연결공과 인접한 주 배관의 내주면에는 관창 결합부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밸브 체결부가 형성되어 개폐 밸브의 관창 연결공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창 몸체를 포함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fire fighting window installed through the fastening pipe at the end of the fire hose, the first joint formed with an inlet hole and the second joint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are detachable and pivotable It is made of a jointed pipe, and the inside of the inlet hole is formed with a fastening tube coupling part for screwing with the fastening tube, connected to the fire hose, and an outer rim adjacent to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with a valve coupling part for screwing with the joint connecting hole. A swivel joint to be connected to the valve, a joint connecting hole is formed on one side, a lance connecting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n the pipe and adjusting the flow rate is made of a valve tub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outlet hole coupling part for screwing with the coupling part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swivel joint. On the outer rim adjacent to the high window connection hole, a window connection part for screwing with the valve connection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window body, and on the outside of the valve tube, an adjustment lever to open or close the valve body to regulate or regulate the flow of fluid in the tube is located outside the valve tube. An opening / closing valve that is pivotably installed, and an accommodating space for mounting the control unit are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a valve connecting hole for screwing with a hole connecting hol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valve and to the inside of the valve connecting hole. The main pipe is installed, and the pipe is branched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main pipe to its side, so that a plurality of side-stop branch pipes are addressed, and each end of the side-stop branch pipe has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that spray water to the side of the window body. Each is installed detachably, and a pipe window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pipe adjacent to the valve connecting hole. The engagement with the valve is fastened to be threaded portion is formed including a body connected gwanchang enable gwanchang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ball and on-off valve, a fire emergency drone gwanchang possible by the water pressure.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고압 살수차나 소방차 등에서 소방호스를 통해 제공되는 고압의 토출수에 의한 추진력으로 자체 상승하여 높은 건물 내에 신속하게 도달하고 건축물의 난간 또는 나뭇 가지 등에 간단히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고도 또는 넓은 지역의 화재 진압, 농약 살포, 전염병 방역, 미세먼지 제거, 기름 유출 현장에서의 기름 제거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pressure sprinkler or fire engine that pressurizes and discharges the fluid pushes itself up with the propulsion by the high-pressure discharge water provided through the fire hose and quickly reaches within a high building and can easily be caught on railings or branches of buildings. By doing so,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xtinguishing fires at high altitudes or large areas, spraying pesticides,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removing fine dust, and removing oil at oil spill sit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의 관창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와 평면도와 관창 내부 구성도, 및 제어유닛과 노즐 단속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이 호스 권취롤에 권취된 상태를 발췌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이 전기 호이스트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one tube for firefighting that is capable of emergency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n internal part of a window connection part of a drone window for a firefighting emergency capable of emergency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view of the control unit and the nozzle intermittent part.
Figure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drone for fire fighting can be emergency by the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excerpt of a state in which a drone tube for firefighting that can be emergencyed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on a hose winding roll.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one window for fire fighting capable of emergency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elevated by an electric hois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rone tube for firefighting, which can be emergencyed by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 of the a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erms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illustrated in the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의 관창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와 평면도와 관창 내부 구성도, 및 제어유닛과 노즐 단속부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이 호스 권취롤에 권취된 상태를 발췌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이 전기 호이스트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고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은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 조인트(110), 개폐 밸브(120), 및 관창 몸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140)을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소방용 드론 관창은 화재 지역, 농약 살포지역, 전염병 방역지역, 미세먼지 제거 필요지역, 기름 유출 해역 등에서 수압을 이용하여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화재 진압, 농약 살포, 전염병 방역, 미세먼지 제거, 유화재 살포 등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하여 비상하는 소방용 드론 관창은 소방 호스(1)의 단부에 체결관(2)을 통해 설치되는 소방용 관창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방 호스(1)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 또는 급수용 물, 전염병 방역용 약품, 농약, 유화재 등의 유체를 싣고 이동하면서 고압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 살수용 또는 소방용 차량(10) 등에 탑재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재된 호스 권취롤(11)에 의해 자동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one window for fire fighting that can be emergencyed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to 2D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top view and an exploded view of a window connection of a drone window for fire fighting that can be emergencyed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ior view of the window, and a detailed view of the control unit and the nozzle control unit, and FIG.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drone tube for firefighting, which is possible for emergency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excerpt of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drone for fire fighting is wound on a hose winding roll, and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drone for emergency fire fighting by a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elevated by an electric hoist As a reference diagram, a drone for firefighting for emergency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S. 1 and 2A to 2D As such,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wivel joint 110, an opening / closing valve 120, and a window body 130, and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further including a control unit 140. The drone pipe for fire figh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fire pressure in the fire area, pesticide spraying area,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rea, area requiring fine dust removal, oil spill area, etc. to quickly and efficiently extinguish fire, spray pesticides,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remove fine dust, It is configured to emulsify and spray. The drone window for firefighting u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being applied to a firefighting window installed through a fastening pipe 2 at the end of the fire hose 1, and this fire hose 1 is shown in FIG. 3. And as illustrated in FIG. 4, it may be mounted on a high-pressure sprinkling or fire-fighting vehicle 10 for supplying fluid at a high pressure while loading and moving fluids such as water for firefighting or water supply, chemicals for pest control, pesticides, and emulsifiers. , It is installed to be automatically wound or unwound by the hose winding roll 11 mounted on the vehicle.

스위블 조인트(110)는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111)이 형성된 제1조인트(110a)와 배출공(112)이 형성된 제2조인트(110b)가 착탈 및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이음관으로 이루어진다. 유입공(111)의 내측에는 체결관(2)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관 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소방 호스(1)와 연결되고 배출공(112)에 인접한 외측 테두리에는 조인트 연결공(121)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밸브 결합부(114)가 형성되어 개폐 밸브(1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블 조인트(110)는 관창 몸체(130)에 결합된 개폐 밸브(120)를 소방 호스(1)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게 하며, 제1조인트(110a)와 제2조인트(110b) 간의 자유로운 선회 동작에 의해 회전시 호스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수압을 이용하여 관창 몸체가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상승할 수 있게 한다.The swivel joint 110 has a first joint 110a having an inlet hole 111 and a second joint 110b having a discharge hole 112 formed thereon as shown in FIG. Is made of On the inside of the inlet hole 111, a fastening tube coupling portion 113 for screwing with the fastening tube 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e hose 1 and to the outer rim adjacent to the discharge hole 112, a joint connecting hole ( 121)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valve coupling screw 114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20. The swivel joint 110 allows the opening / closing valve 120 coupled to the window body 130 to be easily separated or combined from the fire hose 1, and the first joint 110a and the second joint 110b. Since the ho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when rotated by the free swinging motion of the liver, it is possible to use the hydraulic pressure to raise the windshield body while rotating freely.

개폐 밸브(120)는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조인트 연결공(121)이 형성되고 타측에 관창 연결공(122)이 형성되며 내측에 관내 유로 개폐 및 유량 조절을 위한 밸브체(125)가 횡방향으로 내설된 밸브관으로 이루어진다. 조인트 연결공(121)의 내측에는 밸브 결합부(114)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배출공 결합부(123)가 형성되어 스위블 조인트(110)와 연결되고, 관창 연결공(122)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에는 밸브 연결공(131)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관창 결합부(124)가 형성되어 관창 몸체(130)와 연결된다. 조인트 연결공(121)과 관창 연결공(122) 사이의 밸브관 외측에는 밸브체(125)를 개폐시켜 관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조절하는 조절 레버(126)가 밸브관 외측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opening / closing valve 120 has a joint connecting hole 121 formed on one side and a window connecting hole 122 formed on the other side as illustrated in FIG. 2A, and a valve body 12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n the pipe and adjusting the flow rate therein. It is made of a valve pipe that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inside of the joint connecting hole 121 is formed with an outlet hole coupling portion 123 for screwing with the valve coupling portion 114, connected to the swivel joint 110, and on the outer rim adjacent to the window connecting hole 122. The valve connection hole 131 and a window connection part 124 for screwing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window body 130. On the outside of the valve tube between the joint connecting hole 121 and the window connecting hole 122, a control lever 126 that opens or closes the valve body 125 to regulate or regulate the flow of fluid in the tube is installed to be pivotable outside the valve tube. do.

관창 몸체(130)는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 내부에 제어유닛의 탑재를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관창 연결공(122)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밸브 연결공(131)이 형성되어 개폐 밸브(120)와 연결되고 밸브 연결공(131)의 내측으로 주 배관(131a)이 내설된다. 주 배관(131a)의 종단에서는 그 측방으로 배관이 분기 및 연장되어 다수 개의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이 연설되고, 다수 개의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의 각 단부에는 관창 몸체의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132a-132n)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관창 몸체(13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의 노즐 설치공(130a)이 돌출 형성되고 각각의 노즐 설치공(130a)의 내측에는 상기 각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한다. 밸브 연결공(131)과 인접한 주 배관(131a)의 내주면에는 관창 결합부(124)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밸브 체결부(135)가 형성되어 개폐 밸브(120)의 관창 연결공(122)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window body 13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 mounting the control unit inside the body, as illustrated in FIG. 2C, and a valve connection hole 131 for screwing with the window connection hole 122 at the rear end of the body This is formed is connected to the on-off valve 120 and the main pipe 131a is installed inside the valve connecting hole 131. At the end of the main pipe (131a), the pipe is branched and extended to the side, so that a plurality of lateral anti-directional branch pipes (131b) are addressed, and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lateral anti-directional branch pipes (131b) is supplied with water to the side of the window body.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132a-132n) to be sprayed are respectively installed detachably. At this time, a plurality of nozzle installation holes 130a are protruded so as to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of the window body 130, and the inner side of each nozzle installation hole 130a has a branch pipe 131b. Make sure the end is positio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pipe 131a adjacent to the valve connection hole 131, a valve fastening part 135 for screwing with a window connection part 124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indow connection hole 122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120 Connected as possible.

또한 관창 몸체(130)의 후방에는 각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주 배관(131a) 상에서 배관이 분기 및 연장되어 다수 개의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이 연설되며 각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의 각 단부에는 다수 개의 추진노즐(134a,134b)이 관창 몸체(130)의 후방측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후방측을 향하여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물의 분사는 그와 반대되는 방향의 추진력을 관창 몸체(130)에 작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은 주배관(131a)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안내날개(138)의 내측에 내설되어 접이식 안내날개(138)와 일체로 주배관(131a)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접이식 안내날개(138)에 의하여 관창 몸체(130)가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상승이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비상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ipe is branched and extended on the main pipe 131a located on the rear side of each side-preventing branch pipe 131b at the rear of the window body 130, and a plurality of rear-directed branch pipes 131c are addressed and each rearward is directed. At each end of the branch pipe 131c, a plurality of propulsion nozzles 134a and 134b are respectively detachably installed toward the rear side so as to spray water to the rear side of the window body 130. The injection of the water is able to exert a driv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window body 130. Each of these rear-directed branch pipes 131c is provided inside the folding guide vanes 138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to the main pipe 131a, and can be folded or unfolded to the main pipes 131a integrally with the folding guide vanes 138. Can be installed. As a result, the window body 130 is freely rotated by the foldable guide vanes 138, and ascending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fly.

또한 각각의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은 주 배관(131a)과 경사진 상태로 주 배관(131a)에서 몸체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관창 몸체(130)를 건축물의 난간 또는 나뭇가지에 걸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형성되되 밸브 연결공(131)의 단부와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 사이에 형성되며, 관창 몸체(130)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2개가 설치되거나 또는 관창 몸체(13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ach rearward branch pipe 131c extends from the main pipe 131a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in an inclined state with the main pipe 131a, so that the window body 130 can be fixed across the railing or tree branch of the building.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so that it is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valve connecting hole 131 and the side-preventing branch pipe 131b, and two are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window body 130 or around the window body 130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ree or mor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이러한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은 관창 몸체(130)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한 쌍(2개) 또는 두 쌍(4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쌍을 이루는 각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의 단부에 설치되는 각 분사노즐은 유량 및 그 흐름과 유압 조절을 통해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의 자세 제어가 용이하도록 삼방밸브에 의해 일측 출구가 폐쇄되면 타측 출구가 자동 개방될 수 있게 설치될 수도 있다.These side anti-directional branch pipes 131b may be installed in a pair (2) or two pairs (4) symmetrically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body 130, and each side anti-directional branch pipe forming a pair Each injection nozzle installed at the end of (131b)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on one side by a three-way valve to facilitate posture control in front, back, left, and up and down directions through flow rate and flow and hydraulic control. Can be installed.

한편, 관창 몸체(130)의 외측 선단부에는 파괴침 결합부(133)가 형성되고, 이러한 파괴침 결합부(133)에는 장애물(예를 들면, 유리창 또는 판넬 등의 장애물)을 뚫고 그 내부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단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파괴침(136)이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breaking needle coupling portion 133 is formed on the outer front end of the window body 130, and an obstacle (for example, an obstacle such as a glass window or a panel) is pierced into the breaking needle coupling portion 133 and quickly moves therein. Destruction needles 136, which are formed in a conical shape with a pointed end, are installed by screwing or the like as they go toward the end.

또한, 관창 몸체(130)에 내설되는 주 배관(131a)의 종단에서는 그 전방으로 배관이 분기 및 연장되어 다수 개의 전방지향 분기배관(131d)이 연설될 수 있으며, 각 전방지향 분기배관(131d)의 단부에는 관창 몸체(130)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직사노즐(137)이 탈착 가능하게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직사노즐(137)은 파괴침 결합부(133)와 이격되는 위치에 관창 몸체(130)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2개가 설치되거나 또는 관창 몸체(13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main pipe 131a installed in the window body 130, a plurality of forward-oriented branch pipes 131d may be addressed by branching and extending the pipe toward the front, and each forward-oriented branch pipe 131d Direct nozzles 137 for spraying water to the front of the window body 130 may be installed at the ends of each of the removable parts. Two such direct nozzles 137 are installed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body 13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reaking needle coupling portion 133 or spac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ndow body 130 3 More than one can be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관창 몸체(130)는 다수 개의 추진노즐(134a,134b)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압력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어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 호스(1)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상승할 수 있게 된다.The window body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generated by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plurality of propulsion nozzles 134a and 134b, and thus freely rotates with the fire hose 1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While ascending.

또한 이러한 관창 몸체(130)는 몸체의 일측을 드론에 부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드론 고정부(139)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드론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ow body 13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rone fixing portion 139 that can be fixed by attaching one side of the body to a drone, so that it can be used by attaching to a drone as needed.

또한 관창 몸체(13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1회 이상 접거나 펼침 가능한 사다리 또는 지지대(151: 도면에서는 지지대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하에는 지지대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함)의 일측에 지지대를 따라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버튼 또는 로프를 이용한 전동기의 조작으로 관창 몸체(130)를 소방 호스(1)와 함께 들어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전기 호이스트(electric hoist)(15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ndow body 130, as illustrated in Figure 5, can be folded or unfolded more than once, or a ladder or support (151: exemplifies a case installed in a support in the drawing,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upport) )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a support on one side, and an electric hoist (150) for lifting or lowering the window body 130 with the fire hose 1 through operation of an electric motor using a button or rope ) May be installed to be elevated.

제어유닛(140)은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관창 몸체(130)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도 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141), 기류 감지부(142), 전원 공급부(143), 자세 제어부(144), 자력 조절부(145), 및 다수 개의 노즐 단속부(146)를 포함하여, 원격 제어신호 또는 기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각 분사노즐(132a-132n) 및 추진노즐(134a,134b)의 동작을 제어하여 관창 몸체(130)의 자세유지 또는 비상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유닛(140)은 영상 인식부(147), 화재 및 물체 인식부(148)를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40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window body 130 as illustrated in FIG. 2C,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1, the airflow detection unit 142, and the power supply unit 143 as illustrated in FIG. 2D. ), Posture control unit 144, magnetic force control unit 145, and a plurality of nozzle control unit 146,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132a-132n) and propulsion nozzles by a remote control signal or air flow detection signal ( 134a, 134b) to control posture maintenance or emergency operation of the window body 130. The control unit 140 may further be implemented in another embodiment by further including an image recognition unit 147, a fire and object recognition unit 148.

무선 송수신부(141)는 지상의 관제센터 또는 원격 제어기에서 무선 송출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자세 제어부(144)로 전달하거나 자세 제어부(144)의 상태정보를 지상의 관제센터 또는 원격 제어기 등으로 무선 송출한다.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41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ground control center or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it to the posture control unit 144 or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osture control unit 144 to the ground control center or remote controller. Send wirelessly.

기류 감지부(142)는 관창의 방위변화 및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142a)와 가속도 센서(142b) 및 압력센서(142c),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관창의 현재위치를 산출하는 GPS 수신기(142d)를 구비하며, 관창 몸체(130)의 움직임에 따른 방위변화와 현재위치 및 물 분사에 따른 기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자세 제어부(144)로 전달한다. The airflow detection unit 142 uses a gyro sensor 142a, an acceleration sensor 142b, a pressure sensor 142c for detecting a change in azimuth direction and pressure, and a GPS receiver that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nal using GPS satellite signals. It is provided with (142d), and detects a change in azimu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ndow body 130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flow of airflow according to water inje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posture control unit 144.

전원 공급부(143)는 제어유닛(140)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각 부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차량의 전원 공급시스템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전기 호이스트를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배터리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43 supplies operating power to each part of the system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140, and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ehicle's power supply system or powered through an electric hoist, or by a battery, etc. It may be implemented.

자세 제어부(144)는 무선 수신부(141)의 원격 제어신호 또는 기류 감지부(142)의 기류 감지신호에 따라 관창 몸체(130)의 자세 제어와 분사 및 추진력 발생을 위한 각각의 노즐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posture control unit 144 generates respective nozzle control signals for posture control and injection and propulsion generation of the window body 130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wireless reception unit 141 or the airflow detection signal of the airflow detection unit 142. Order.

자력 조절부(145)는 자세 제어부(144)의 각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43)에서 각 노즐 단속부(146)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와 방향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한다.The magnetic force adjusting unit 145 independently adjusts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3 to each nozzle control unit 146 according to each nozzle control signal of the posture control unit 144.

다수 개의 노즐 단속부(146)는 각 분사노즐(132a-132n) 및 추진노즐(134a,134b)의 분사구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며, 자력 조절부(145)에 의해 각각 노즐을 단속하여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에서 각 분사노즐(132a-132n)로 공급되는 유량, 및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에서 각 추진노즐(134a,134b)로 공급되는 유량을 각각 조절(예를 들어 기어모터일 경우 주 배관(131a)을 중심축으로 한 관창 몸체(130)의 회전시 일측 측방지향 분기배관에 연결된 분사노즐의 유량을 다량으로 조절하면서 반대측 측방지향 분기배관에 연결된 분사노즐의 유량을 소량으로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노즐 단속부(146)는 영구자석(146a), 전자석(146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유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nozzle intermittent portions 146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injection holes of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132a-132n and the propulsion nozzles 134a, 134b, one-to-one, respectively, and the nozzles are intermittently intermittently controlled by the magnetic force adjusting unit 145 Adjust the flow rate supplied to each injection nozzle 132a-132n from the branch pipe 131b, and the flow rate supplied to each propulsion nozzle 134a, 134b from the rearwardly directed branch pipe 131c (for example, gear motor) When the main body 131a is rotated around the main body 131a, the flow rate of the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one side anti-directional branch pipe is adjusted to a large amount while the flow of the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anti-directional branch pipe is adjusted to a small amount. )do. To this end, each nozzle intermittent portion 146 may be composed of a permanent magnet 146a, an electromagnet 146b, or may be of a hydraulic type.

영구자석(146a)은 도 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분사노즐(132a-132n)의 분사구 측으로 전/후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진 동작에 의해 각 분사노즐(132a-132n)의 분사구를 긴밀하게 폐쇄 또는 개방한다.The permanent magnet 146a is installed to be able to slide forward / backward toward the injection port side of each injection nozzle 132a-132n, as illustrated in FIG. 2D, and the injection ports of each injection nozzle 132a-132n are operated by a forward / reverse operation. Close or open tightly.

전자석(146b)은 영구자석(146a)의 후방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전원 공급부(143)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자화되어 영구자석(146a)과의 사이에서 영구자석(146a)을 분사구 쪽으로 밀기 위한 척력, 또는 반대로 당기기 위한 인력을 발생시킨다. The electromagnet 146b is installed close to the rear of the permanent magnet 146a, and is magnetiz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43 to replace the permanent magnet 146a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146a. Generates repulsive force to push toward the nozzle, or vice versa.

영상 인식부(147)는 카메라 등을 탑재하여 주변 상을 촬영하고 신호처리하여 기설정된 관리자의 휴대전화 또는 관제센터의 URL로 무선 전송한다.The image recognition unit 147 is equipped with a camera, etc., photographs the surrounding image and processes the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s it to a preset administrator's mobile phone or URL of the control center.

화재 및 물체 인식부(148)는 관창 몸체 주변의 온도와 압력 및 방사선 세기를 포함하는 물리량 또는 화학량을 감지하고 신호처리하여 기설정된 관리자의 휴대전화 또는 관제센터의 URL로 무선 전송한다.The fire and object recognition unit 148 detects and signals the physical quantity or chemical quantity, including temperature, pressure, and radiation intensity around the body of the window, and wirelessly transmits it to a URL of a preset administrator's mobile phone or control center.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에 대한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the effect of the action on the drones for firefighting emergency possible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지상 관제센터의 단말기 또는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관리자 조작에 의해 고압 살수용 또는 소방용 차량(10)에서 소방 호스(1)를 통해 고압의 유체가 공급되면, 소방 호스(1)와 스위블 조인트(110)를 거쳐 개폐 밸브(120)에 유체가 도달하게 된다. 이때 개폐 밸브(120)의 조절 레버(126)를 조작하여 밸브체(125)를 개방하게 되면 유체는 관창 몸체(130)의 밸브 연결공(131)에서 내부로 연설된 주배관(131a)을 통해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과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 및 전방지향 분기배관(131d)으로 거의 동시에 공급된다.First, when a high-pressure fluid is supplied through a fire hose 1 from a high-pressure sprinkling or fire-fighting vehicle 10 by a manager operation using a terminal or a remote controller of the ground control center, the fire hose 1 and the swivel joint 110 ), The fluid reache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20. At this time, when the valve body 125 is opened by operating the adjustment lever 126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120, the fluid is rearward through the main pipe 131a addressed inward from the valve connecting hole 131 of the window body 130. It is supplied almost simultaneously to the directional branch pipe 131c, the lateral branch pipe 131b, and the front-directed branch pipe 131d.

상기와 같이 관창 몸체(130)의 각 배관에 유체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상 관제센터의 단말기 또는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관리자 조작에 의해 관창 몸체(130)에 내설된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 단부의 추진노즐(134a,134b)이 개방되면 유체가 관창 몸체(130)의 후방측으로 분사되면서 관창 몸체(130)는 그와 반대되는 방향(전방 측)으로 추진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관창 몸체(130)는 소방 호스(1)와 함께 유체 분사에 의한 추진력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관창 몸체(130)의 내부 공간에 탑재된 제어유닛(140)에서는 무선 수신부(141) 및 기류 감지부(142)에 의한 원격 제어신호 및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관창 몸체(130)의 자세를 감지하고,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 단부의 분사노즐(132a-132n)의 개폐동작 및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관창 몸체(130)의 자세를 균형있게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전방지향 분기배관(131d) 단부의 직사노즐(137)의 개폐동작 및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유체가 화재 발생지역, 급수지역, 전염병 방역지역, 농약 살포 지역, 또는 유화재 살포 해역 등에 적절하게 분사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fluid is supplied to each pipe of the window body 130, the rearward branch branch pipe 131c end installed in the window body 130 by a manager operation using a terminal or a remote controller of the ground control center When the propulsion nozzles 134a and 134b are opened, the fluid is inj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window body 130 while the window body 130 receives propuls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nt side). Therefore, the window body 130 is raised to the upper portion by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force by the fluid injection with the fire hose (1).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indow body 130 detects the posture of the window body 130 by using a remote control signal and a detection signal by the wireless receiver 141 and the airflow detector 142. And, by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flow rate of the injection nozzles (132a-132n) at the end of the side-preventing branch pipe (131b),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ture of the window body 130 in a balanced manner, and also forward-oriented branch pipe (131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flow rate of the direct nozzle 137 at the end, the fluid can be appropriately sprayed in a fire generating area, a water supply area, a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rea, a pesticide spraying area, or an emulsifying material spraying area.

이때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은 주배관(131a)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안내날개(138)의 내측에 내설되어 접이식 안내날개(138)와 일체로 주배관(131a)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되고, 한편 차량에 연결된 소방 호스(1)와 관창 몸체(130)에 결합된 개폐 밸브(120)는 스위블 조인트(110)의 제1조인트(110a) 및 제2조인트(110b)에 의해 자유롭게 선회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게 때문에, 관창 몸체(130)는 접이식 안내날개(138)와 스위블 조인트(110)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상승이 가능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비상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earward branch pipe 131c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folding guide blade 138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to the main pipe 131a side, and can be folded or unfolded to the main pipe 131a side integrally with the folding guide blade 138.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120 coupled to the fire hose 1 connected to the vehicle and the window body 130 can be freely swiveled by the first joint 110a and the second joint 110b of the swivel joint 110 Because it is connected, the window body 130 is rotatable while being freely rotated by the folding guide vane 138 and the swivel joint 110, so that it can stably fly.

또한 이러한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은 주 배관(131a)과 경사진 상태로 주 배관(131a)에서 몸체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걸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밸브 연결공(131)의 단부와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 사이에 관창 몸체(130)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2개 또는 관창 몸체(13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3개 이상 설치되어 있게 되므로, 관창 몸체(130)를 건축물의 난간 또는 나뭇가지 등에 용이하게 걸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ward branch pipe 131c is formed in a hook shape extending from the main pipe 131a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in an inclined state with the main pipe 131a, and also the end and side preventing direction of the valve connecting hole 131 Between the branch pipes 131b, two or more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body 130 or three or mor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of the window body 130, so that the window body 130 is constructed It can be easily fixed across railings or branches.

한편, 상기와 같이 관창 몸체(130)가 상승하는 중에 제어유닛(140)에서는 무선 수신부(141) 및 기류 감지부(142)에 의한 원격 제어신호 및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관창 몸체(130)의 상승 자세를 감지하고,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 단부의 분사노즐(132a-132n)의 개폐동작 및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관창 몸체(130)의 상승 자세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은 관창 몸체(130)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한 쌍(2개) 또는 두 쌍(4개) 이상으로 설치되고, 제어유닛(140)에서는 각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의 단부에 설치된 각 분사노즐을 통해 유량 및 그 흐름과 유압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관창 몸체(130)의 승강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의 단부에 설치된 각 분사노즐에는 좌우에 대칭되게 설치된 각 쌍에 삼방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일측 출구가 폐쇄되면 타측 출구가 자동 개방될 수 있게 되므로, 용이하게 자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above, while the window body 130 is rising, the control unit 140 uses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the detection signal by the wireless receiver 141 and the airflow detector 142 to raise the window body 130. By sensing the posture and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and flow rate of the spray nozzles 132a-132n at the ends of the branch pipe 131b toward the anti-later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ture of the window body 130. At this time, the side anti-branching branch pipe 131b is installed in a pair (two) or two pairs (4) symmetrically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body 130, and in the control unit 140, each side anti-branching branch By adjusting the flow rate, the flow, and the hydraulic pressure through each injection nozzl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ipe 131b,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ture in the front-rear, left-right, and up-down directions when the window body 130 is elevated. In addition, by using a three-way valve for each pair installed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for each injection nozzle installed at the end of each side anti-directional branch pipe (131b), the other outlet can be automatically opened when one outlet is closed, so it is easy to control posture. Becomes possible.

또한 이때 제어유닛(140)의 영상 인식부(147)에서는 탑재된 카메라 등으로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신호처리하여 기설정된 관리자의 휴대전화 또는 관제센터의 URL로 무선 전송하게 되며, 아울러 화재 및 물체 인식부(148)에서는 관창 몸체 주변의 온도와 압력 및 방사선 세기를 포함하는 물리량 또는 화학량을 감지하고 신호처리하여 기설정된 관리자의 휴대전화 또는 관제센터의 URL로 무선 전송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image recognition unit 147 of the control unit 140 captures the surrounding image with a mounted camera, etc., and processes the signal to transmit it wirelessly to the URL of the administrator's mobile phone or control center, and also fire and object recognition. The unit 148 detects and processes the physical quantity or chemical quantity including temperature, pressure, and radiation intensity around the body of the windshield and processes the signal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URL of the preset manager's mobile phone or control center.

한편, 이러한 관창 몸체(130)는 단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한 원추형의 파괴침(136)이 외측 선단부의 파괴침 결합부(133)에 나사 결합되어 있게 되므로, 상승시 또는 전방으로의 직진시 장애물(예를 들면, 유리창 또는 판넬 등의 장애물)을 용이하게 뚫고 그 내부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ancet body 130 is the end of the cone-shaped crushing needle 136 is pointed toward the end is screwed to the breaking needle coupling portion 133 of the outer tip, an obstacle when rising or going straight forward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penetrate an obstacle (such as a glass window or a panel) and quickly enter the interior.

또한, 관창 몸체(130) 전방의 파괴침 결합부(133) 주변에는 주 배관(131a)의 종단에서 그 전방으로 배관이 분기 및 연장되어 다수 개의 전방지향 분기배관(131d)이 연설되어 있고, 또한 각 전방지향 분기배관(131d)의 단부에는 관창 몸체(130)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직사노즐(137)이 관창 몸체(130)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2개 또는 관창 몸체(13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3개 이상 설치되어 있게 되므로, 전방으로의 유체 직사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orward-oriented branch pipes 131d are spoken by pipe branching an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main pipe 131a to the front of the breakage needle coupling portion 133 in front of the window body 130, and At the ends of each forward-directed branch pipe 131d, two direct nozzles 137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front of the window body 130 ar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body 130, or the circumference of the window body 130. Since three or more ar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it is possible to directly direct fluid to the front.

또한 이러한 관창 몸체(130)는 드론 고정부(139)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드론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게 되므로, 화재 지역, 농약 살포지역, 전염병 방역지역, 미세먼지 제거 필요지역, 기름 유출 해역 등에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화재 진압, 농약 살포, 전염병 방역, 미세먼지 제거, 유화재 살포 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window body 130 can be used by attaching to the drone as needed by using the drone fixing part 139, a fire area, a pesticide spraying area, a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rea, a region requiring fine dust removal, an oil spill area, etc. Since it can be moved quick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extinguish fires, spray pesticides, prevent infectious diseases, remove fine dust, and spray emulsifiers.

또한 이러한 관창 몸체(130)는 1회 이상 접거나 펼침 가능한 사다리 또는 지지대(151)의 일측에 사다리 또는 지지대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기 호이스트(150)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버튼 또는 로프를 이용한 전동기의 조작을 통해 관창 몸체(130)를 소방 호스(1)와 함께 들어 올리거나 내려 편리하게 화재 진압, 농약 살포, 전염병 방역, 미세먼지 제거, 유화재 살포 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uch a window body 130 is installed to be able to elevate up and down along the ladder or support on one side of the ladder or support 151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more than once, and is automatically installed to be able to elevate by the electric hoist 150 Therefor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using buttons or ropes, lifting or lowering the windshield body 130 together with the fire hose 1 conveniently conducts fire extinguishing, pesticide spraying,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fine dust removal, emulsifying agent spraying, etc. I can do it.

한편, 각 분사노즐(132a-132n), 추진노즐(134a,134b), 및 직사노즐(137)의 분사구에는 영구자석(146a)와 전자석(146b)으로 구성된 다수 개의 노즐 단속부(146)가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고, 각 노즐 단속부(146)의 전자석(146b)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 및 방향을 자력 조절부(145)에 의해 조절하여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에서 각 분사노즐(132a-132n)로 공급되는 유량, 전방지향 분기배관(131d)에서 직사노즐(137)로 공급되는 유량, 및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에서 각 추진노즐(134a,134b)로 공급되는 유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관창 몸체(130)에서 분사되는 화재 진압 또는 급수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 살포용 농약, 전염병 방역용 약품, 기름 제거용 유화재 등을 편리하게 분사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132a-132n), the propulsion nozzles (134a, 134b), and the direct injection nozzle 137 has a plurality of nozzle intermittent portion 146 consisting of a permanent magnet (146a) and an electromagnet (146b),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and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146b of each nozzle intermittent part 146 are controlled by the magnetic force adjusting part 145, so that each spray nozzle ( 132a-132n), the flow rate supplied from the forward-directed branch pipe 131d to the direct nozzle 137, and the flow rate supplied from the rear-directed branch pipe 131c to each propulsion nozzle 134a, 134b, respectively Since it is possible to adjus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pray fire extinguishing or spraying water to remove fine dust, spraying pesticides,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chemicals, and oil removal emulsifiers sprayed from the window body 13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will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eform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소방 호스 2 : 체결관
10 : 차량 11 : 호스 권취롤
110 : 스위블 조인트 110a : 제1조인트
110b : 제2조인트 111 : 유입공
112 : 배출공 113 : 체결관 결합부
114 : 밸브 결합부 120 : 개폐 밸브
121 : 조인트 연결공 122 : 관창 연결공
123 : 배출공 결합부 124 : 관창 결합부
125 : 밸브체 126 : 조절 레버
130 : 관창 몸체 130a : 노즐 설치공
131 : 밸브 연결공 131a : 주배관
131b : 측방지향 분기배관 131c : 후방지향 분기배관
131d : 전방지향 분기배관 132a-132n : 분사노즐
133 : 파괴침 결합부 134a,134b : 추진 노즐
135 : 밸브 체결부 136 : 파괴침
137 : 직사노즐 138 : 접이식 안내날개
139 : 드론 고정부 140 : 제어유닛
141 : 무선 송수신부 142 : 기류 감지부
142a : 자이로 센서 142b : 가속도 센서
142c : 압력센서 142d : GPS 수신기
143 : 전원 공급부 144 : 자세 제어부
145 : 자력 조절부 146 : 노즐 단속부
146a : 영구자석 146b : 전자석
147 : 영상 인식부 148 : 화재 및 물체 인식부
150 : 전기 호이스트 151 : 지지대
1: Fire hose 2: Fastener
10: vehicle 11: hose winding roll
110: swivel joint 110a: first joint
110b: second joint 111: inlet hole
112: discharge hole 113: fastening tube coupling portion
114: valve coupling portion 120: opening and closing valve
121: joint connector 122: pipe window connector
123: outlet hole coupling portion 124: pipe window coupling portion
125: valve body 126: adjustment lever
130: window body 130a: nozzle installation hole
131: valve connector 131a: main piping
131b: side-preventing branch pipe 131c: rear-facing branch pipe
131d: Forward facing branch pipe 132a-132n: Spray nozzle
133: fracture needle coupling portion 134a, 134b: propulsion nozzle
135: valve fastening portion 136: breaking needle
137: direct nozzle 138: folding guide wings
139: drone fixing part 140: control unit
141: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2: air flow detection unit
142a: gyro sensor 142b: acceleration sensor
142c: pressure sensor 142d: GPS receiver
143: power supply 144: posture control
145: magnetic force control unit 146: nozzle control unit
146a: permanent magnet 146b: electromagnet
147: image recognition unit 148: fire and object recognition unit
150: electric hoist 151: support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소방 호스(1)의 단부에 체결관(2)을 통해 설치되는 소방용 관창에 있어서,
유입공(111)이 형성된 제1조인트(110a)와 배출공(112)이 형성된 제2조인트(110b)가 착탈 및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이음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공(111)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관(2)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관 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소방 호스(1)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공(112)에 인접한 외측 테두리에는 조인트 연결공(121)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밸브 결합부(114)가 형성되어 개폐 밸브(120)와 연결되는 스위블 조인트(110);
일측에 조인트 연결공(121)이 형성되고 타측에 관창 연결공(122)이 형성되며 내측에 관내 유로 개폐 및 유량 조절을 위한 밸브체가 횡방향으로 내설된 밸브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 연결공(121)의 내측에는 상기 밸브 결합부(114)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배출공 결합부(123)가 형성되어 스위블 조인트(110)와 연결되고, 상기 관창 연결공(122)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에는 밸브 연결공(131)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관창 결합부(124)가 형성되어 관창 몸체(130)와 연결되며, 상기 조인트 연결공(121)과 관창 연결공(122) 사이의 밸브관 외측에는 상기 밸브체(125)를 개폐시켜 관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조절하는 조절 레버(126)가 밸브관 외측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밸브(120); 및
몸체 내부에 제어유닛의 탑재를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상기 관창 연결공(122)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밸브 연결공(131)이 형성되어 개폐 밸브(120)와 연결되고 상기 밸브 연결공(131)의 내측으로 주 배관(131a)이 내설되며 상기 주 배관(131a)의 종단에서 그 측방으로 배관이 분기 및 연장되어 다수 개의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이 연설되고, 상기 다수 개의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의 각 단부에는 관창 몸체의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132a-132n)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밸브 연결공(131)과 인접한 주 배관(131a)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창 결합부(124)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밸브 체결부(135)가 형성되어 개폐 밸브(120)의 관창 연결공(122)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창 몸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창 몸체(130)는,
상기 각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주 배관(131a) 상에서 배관이 분기 및 연장되어 다수 개의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이 연설되며 상기 각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의 각 단부에는 관창 몸체(130)의 후방측으로 물을 분사하여 물의 분사방향과 반대되는 추진력을 관창 몸체(130)에 작용시키는 다수 개의 추진노즐(134a,134b)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은,
주배관(131a)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안내날개(138)의 내측에 지지되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In the fire hoses installed through the fastening pipe (2) at the end of the fire hose (1),
The first joint 110a having the inlet hole 111 and the second joint 110b having the discharge hole 112 formed of a joint tube detachably and pivotably formed, and inside the inlet hole 111 A fastening pipe coupling part 113 for screwing with the fastening pipe 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e hose 1 and to be screwed with a joint connecting hole 121 on an outer rim adjacent to the discharge hole 112. Swivel joint 110 is formed for the valve coupling portion 114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20;
A joint connecting hole 121 is formed on one side, a window connecting hole 12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n the pipe and adjusting the flow rate is made of a valve tube in which the valve body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21) the inside of the valve coupling portion 114, the discharge hole coupling portion 123 for screwing is formed is connected to the swivel joint 110, the valve connection to the outer rim adjacent to the window connection hole 122 A hole coupling part 124 for screwing with the ball 13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window body 130, and the valve body is outside the valve tube between the joint connection hole 121 and the window connection hole 122. An opening / closing valve 120 in which a regulating lever 126 for opening or closing the pipe 125 to regulate or regulate the flow of fluid in the pipe is pivotably installed outside the valve pipe; And
A receiving space for mounting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a valve connecting hole 131 for screwing with the tube connection hole 122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valve 120 and The main pipe 131a is installed inside the valve connecting hole 131, and the pipe is branched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main pipe 131a to its side, so that a plurality of lateral anti-directional branch pipes 131b are addressed, and the multiple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132a-132n for spraying water to the side of the window body are detachably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branch side direction branch pipe 131b, respectively, and the main pipe adjacent to the valve connecting hole 13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131a) is formed a valve fastening portion 135 for screwing with the window coupling portion 124, the window body 130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window connection hole 122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120; It comprises,
The window body 130,
The pipe is branched and extended on the main pipe 131a located on the rear side of each side-direction branch pipe 131b, so that a plurality of rear-directed branch pipes 131c are addressed and each of the rear-directed branch pipes 131c At each end, a plurality of propulsion nozzles 134a and 134b are installed to be detachable, respectively, by spraying water to the rear side of the window body 130 and acting on the window body 130 with a driving force opposite to that of water.
Each of the rearward branch pipe 131c,
The main pipe (131a) can be folded or unfolded to the side of the foldable guide wing (138) is supported by the internal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drones for fire fighting dron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은,
상기 주 배관(131a)과 경사진 상태로 주 배관(131a)에서 몸체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창 몸체(130)를 건축물의 난간 또는 나뭇가지에 걸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밸브 연결공(131)의 단부와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관창 몸체(130)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2개가 설치되거나 또는 관창 몸체(13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rearward branch pipe (131c),
The valve is connected in the form of a hook to extend from the main pipe (131a)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in an inclined state with the main pipe (131a) to fix the window body (130) across the railing or tree branch of the building. It is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ball 131 and the branch pipe 131b toward the side,
Two drones for emergency fire fighting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are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window body 130 or are spac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ndow body 13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은,
상기 관창 몸체(130)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한 쌍(2개) 또는 두 쌍(4개) 이상으로 설치되며,
쌍을 이루는 각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의 단부에 설치되는 각 분사노즐은,
유량과 유압 조절이 용이하도록 삼방밸브에 의해 일측 출구가 폐쇄되면 타측 출구가 자동 개방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de-preventing branch pipe (131b),
It is installed in a pair (two) or two pairs (4) or more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body 130,
Each spray nozzle installed at the end of each pair of anti-directional branch pipe 131b,
A drone for firefighting emergency capable of emergency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on one side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outlet on one side is closed by the three-way valve to facilitate the control of flow and hydraulic press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창 몸체(130)는,
몸체의 외측 선단부에 파괴침 결합부(133)가 형성되고, 장애물(유리창 또는 판넬)을 뚫고 그 내부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단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파괴침(136)이 상기 파괴침 결합부(133)에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ndow body 130,
Destruction needle coupling portion 133 is formed at the outer front end of the body, and the breaking needle 136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ith a sharp tip toward the end to penetrate the obstacle (glass window or panel) and quickly enter the inside. A drone for firefighting capable of emergency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destruction needle coupling part (13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호스(1)는,
물을 싣고 이동하면서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는 고압 살수용 또는 소방용 차량(10)에 탑재되며, 호스 권취롤(11)에 의해 자동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The fire hose (1) according to claim 3,
It is mounted on a high-pressure sprinkling or fire-fighting vehicle 10 that supplies water at a high pressure while loading and moving water, and is capable of emergency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automatically wound or released by a hose winding roll (11). Fire fighting dron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창 몸체(130)는,
상기 다수 개의 추진노즐(134a,134b)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압력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켜 소방 호스(1)와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ndow body 130,
A drone for firefighting emergency capable of emergency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ulsive force is generated by the injection pressure of water sprayed from the plurality of propulsion nozzles (134a, 134b) and rises together with the fire hose (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창 몸체(130)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원격 제어신호 또는 기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각 분사노즐(132a-132n) 및 추진노즐(134a,134b)의 동작을 제어하여 관창 몸체(130)의 자세 또는 비상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According to claim 3,
It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window body 13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132a-132n) and the propulsion nozzles (134a, 134b) by a remote control signal or air flow detection signal of the window body 130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posture or emergency; a drone for firefighting emergency capable of emergency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140)은,
원격 제어기에서 무선 송출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자세 제어부(144)로 전달하거나 자세 제어부(144)의 상태정보를 무선 송출하는 무선 송수신부(141);
관창의 방위변화 및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142a)와 가속도 센서(142b) 및 압력센서(142c),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관창의 현재위치를 산출하는 GPS 수신기(142d)를 구비하며 관창 몸체(130)의 움직임에 따른 방위변화와 현재위치 및 물 분사에 따른 기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자세 제어부(144)로 전달하는 기류 감지부(142);
제어유닛(140)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각 부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3);
상기 무선 수신부(141)의 원격 제어신호 또는 상기 기류 감지부(142)의 기류 감지신호에 따라 관창 몸체(130)의 자세 제어와 물 분사 및 추진력 발생을 위한 각각의 노즐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자세 제어부(144);
상기 자세 제어부(144)의 각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43)에서 각 노즐 단속부(146)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와 방향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자력 조절부(145); 및,
상기 각 분사노즐(132a-132n) 및 추진노즐(134a,134b)의 분사구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자력 조절부(145)에 의해 각각 노즐을 단속하여 측방지향 분기배관(131b)에서 각 분사노즐(132a-132n)로 공급되는 유량, 및 후방지향 분기배관(131c)에서 각 추진노즐(134a,134b)로 공급되는 유량을 각각 조절하는 다수 개의 노즐 단속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140,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41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posture control unit 144 or wirelessly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posture control unit 144;
A gyro sensor (142a), an acceleration sensor (142b) and a pressure sensor (142c)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azimuth direction and pressure, and a GPS receiver (142d) for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indow using a GPS satellite signal. An air flow detection unit 142 that senses a change in azimu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ody 130 and a current position and a flow of air flow according to water inje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posture control unit 144;
A power supply unit 143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each part of the system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140;
A posture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posture control of the window body 130 and each nozzle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water spray and propulsion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wireless reception unit 141 or the airflow detection signal of the airflow detection unit 142 (144);
A magnetic force adjusting unit 145 that independently adjusts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3 to each nozzle intermittent unit 146 according to each nozzle control signal of the posture control unit 144; And,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132a-132n and the propulsion nozzles 134a, 134b is install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and the nozzles are intermittently controlled by the magnetic force adjusting unit 145 to eject each from the branch pipe 131b. Consists of including; a plurality of nozzle control unit 146 for adjusting the flow rate supplied to the nozzles (132a-132n), and the flow rate supplied to each of the propulsion nozzles (134a, 134b) from the rearward branch pipe (131c); A drone canal for firefighting that can be emergency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노즐 단속부(146)는,
상기 각 분사노즐(132a-132n)의 분사구 측으로 전/후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진 동작에 의해 각 분사노즐(132a-132n)의 분사구를 긴밀하게 폐쇄 또는 개방하는 영구자석(146a);
상기 영구자석(146a)의 후방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143)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자화되어 상기 영구자석(146a)을 밀거나 당기기 위한 척력 또는 인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146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each of the nozzle intermittent portion 146,
A permanent magnet 146a that is installed to be able to slide forward / backward toward the injection port side of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132a-132n, and closes or opens the injection ports of each injection nozzle 132a-132n by a forward / reverse operation;
An electromagnet that is installed close to the rear of the permanent magnet 146a and is magnetiz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43 to generate repulsive force or attraction for pushing or pulling the permanent magnet 146a. (146b); a drone for firefighting emergency capable of emergency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140)은,
관창 몸체(130)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신호처리하여 기설정된 관리자의 휴대전화 또는 관제센터의 URL로 무선 전송하는 영상 인식부(147); 및
관창 몸체 주변의 온도와 압력 및 방사선 세기를 포함하는 물리량 또는 화학량을 감지하고 신호처리하여 기설정된 관리자의 휴대전화 또는 관제센터의 URL로 무선 전송하는 화재 및 물체 인식부(14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140,
An image recognition unit 147 that photographs and signals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body 130 and wirelessly transmits it to a URL of a preset administrator's mobile phone or control center; And
Further comprising a fire and object recognition unit 148 that detects and signals the physical quantity or chemical quantity including temperature, pressure, and radiation intensity around the body of the window and transmits it wirelessly to a URL of a preset manager's mobile phone or a control center; A drone for firefighting that can be emergencyed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창 몸체(130)는,
1회 이상 접거나 펼침 가능한 사다리 또는 지지대(151)의 일측에 사다리 또는 지지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버튼 또는 로프를 이용한 전동기의 조작으로 상기 관창 몸체(130)를 소방 호스(1)와 함께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전기 호이스트(electric hoist)(15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window body 130,
One or more of the ladder or support 151, which can be folded or unfolded more than once, is installed to be elevated along a ladder or support, and the control panel body 130 is operated with a fire hose 1 by operating an electric motor using buttons or ropes. An emergency hoisting drone for firefighting by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elevated by an electric hoist (electric hoist) 150 for lifting or lower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창 몸체(130)는,
상기 주 배관(131a)의 종단에서 그 전방으로 배관이 분기 및 연장되어 다수 개의 전방지향 분기배관(131d)이 연설되고, 상기 각 전방지향 분기배관(131d)의 단부에는 관창 몸체(130)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직사노즐(137)이 탈착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상기 직사노즐(137)은,
상기 파괴침 결합부(133)와 이격되는 위치에 관창 몸체(130)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2개가 설치되거나 또는 관창 몸체(13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indow body 130,
From the end of the main pipe (131a) to the front of the pipe is branched and extended to a plurality of forward-oriented branch pipe (131d) is speech,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forward-oriented branch pipe (131d) of the window body 130 Direct nozzles (137) for spraying water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be detachable,
The direct nozzle 137,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pieces are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body 130 or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ndow body 130 at a spaced distance from the breaking needle coupling portion 133. A drone for firefighting that can be emergencyed by hydraulic pressure.
KR1020180087417A 2018-07-26 2018-07-26 Flyable fire fighting dron nozzle by water pressure KR1020858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17A KR102085822B1 (en) 2018-07-26 2018-07-26 Flyable fire fighting dron nozzle by water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17A KR102085822B1 (en) 2018-07-26 2018-07-26 Flyable fire fighting dron nozzle by water press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92A KR20200012292A (en) 2020-02-05
KR102085822B1 true KR102085822B1 (en) 2020-05-22

Family

ID=6951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417A KR102085822B1 (en) 2018-07-26 2018-07-26 Flyable fire fighting dron nozzle by water pres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8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6081B (en) * 2020-10-20 2022-03-22 深圳绿智科环境科技有限公司 Multi-system unit component for forest fire pre-alarming
KR102328836B1 (en) * 2021-02-15 2021-11-23 하상균 Drone station device for high-altitude ladder capable of supplying fluid and electricity and suppressing fire
KR102312609B1 (en) * 2021-06-15 2021-10-14 (주)와우미래기술 Firefighting Drone Capable of Destroying Obstacles
KR102482429B1 (en) * 2022-04-22 2022-12-29 주식회사 드론고 system for spraying fluid over a wide area using dro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4259A1 (en) * 2007-04-27 2010-10-21 Yee-Chun Lee Long mission tethered aerostat and method of accomplishing
US20170113787A1 (en) * 2015-10-27 2017-04-27 Kim F. Hein Hydraulically Propelled Drone for Delivering Firefighting flui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830U (en) 2008-03-26 2009-09-30 김기철 Jet nozzle for fire-fighting
KR101647498B1 (en) 2015-04-22 2016-08-19 김유준 Fire fighting nozzle having multi angle
KR20170079150A (en) * 2015-12-30 2017-07-10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 fighting drone
KR101831163B1 (en) 2017-03-03 2018-02-26 송병석 Water nozzle for fire fighting ho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4259A1 (en) * 2007-04-27 2010-10-21 Yee-Chun Lee Long mission tethered aerostat and method of accomplishing
US20170113787A1 (en) * 2015-10-27 2017-04-27 Kim F. Hein Hydraulically Propelled Drone for Delivering Firefighting fl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92A (en)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822B1 (en) Flyable fire fighting dron nozzle by water pressure
JP6480573B2 (en) Spray injection discharge device
EP1307383B1 (en) Airborne water diffuser
KR102209056B1 (en) Forest fire extinguishment system using drone and method thereof
JP2019193766A (en) Fire-extinguishing system using drone
WO2019208440A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drone
KR102264602B1 (en) Fire Extinguisher System using Unmanned Air Vehicle
KR20200072871A (en) Fire fighter drone for fire fighter and scout
WO2018091943A1 (en) A firefighting arrangement
US20150328487A1 (en) Fluid Hose Apparatus with Integrated Nozz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211357548U (en) High-pressure sprayer capable of flying autonomously
US20220063806A1 (en) Liquid propelled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60228733A1 (en) Extended Fire Hose System
AU2017424706B2 (en)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 fire extinguisher system
KR101926530B1 (en) Fire fighting nozzle for water pressure control cartridge
JP6937912B2 (en) Control device and fire extinguishing nozzle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399521B1 (en) Wild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multiple drones
CN110201337B (en) High-pressure spray head capable of independently flying and application thereof
CN209984827U (en) Tethere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based on tethered unmanned aerial vehicle
CN216128439U (en) Spraying device
CA2891833C (en) Fluid hose apparatus with integrated nozz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461993B1 (en) A fire fighting nozzle
KR101178498B1 (en) Fire extiguisher using wireless remot control
ES1291642U (en) Device and forest fire extinction system by continuous contribution without interruption of water and inifugible products at the head of the fire.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