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52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524B1
KR102083524B1 KR1020160136538A KR20160136538A KR102083524B1 KR 102083524 B1 KR102083524 B1 KR 102083524B1 KR 1020160136538 A KR1020160136538 A KR 1020160136538A KR 20160136538 A KR20160136538 A KR 20160136538A KR 102083524 B1 KR102083524 B1 KR 102083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important
network cach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3613A (en
Inventor
권경석
심상수
김부섭
이병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24B1/en
Publication of KR2018004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6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04L65/40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6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intermediate
    • H04L67/28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D2D 통신을 이용하여 우선순위가 설정된 중요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단말기에 대한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isclosed are a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for an efficient content transmission and an apparatus theref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for efficient content transmission controlling caching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priority contents set by using D2D communication.

Description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icient content delivery and apparatus therefo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

본 실시예는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for an efficient content transmission and an apparatus therefo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은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트래픽을 직접 전송하는 통신 방식이다.Device-to-device communication (D2D)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method for directly transmitting traffic between terminals without going through an infrastructure such as a base station or an access point (AP).

현재 D2D 통신 기술은 동기화(Synchronization), 탐색(Discovery) 등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D2D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진행되고 있다. Currently, researches on synchronization, discovery, and the like of D2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in particular, studies for improving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using D2D communication have been conducted with various viewpoints.

최근 들어서 컨텐츠(Content)를 배포할 때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 등의 인프라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 전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는 D2D 단말기들이 캐시(Cache)를 이용하여 자주 이용되는 컨텐츠를 캐시에 저장되도록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장비(예: 라우터, 스위치 등)에서 캐시를 이용하는 방안은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어 있다. Recently,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tent transmission using D2D communication rather than using an infrastructure such as a base station or an access point when distributing content. In this research,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llow D2D terminals to store frequently used contents in a cache by using a cache. In general, the use of cache in network equipment (eg routers, switches, etc.) is well studied.

일반적인 캐시 정책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또는 요청되는) 컨텐츠를 자신의 캐시에 저장하고, 이후에 같은 컨텐츠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본인의 캐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이용함으로써 컨텐츠의 이용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캐시 정책은 캐시의 용량이 포화 상태에서 새로운 컨텐츠가 들어오게 되면 가장 늦게 들어온 컨텐츠를 제거하고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자주 사용되는 컨텐츠가 캐시에 오래 머물게 되어서 캐시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The general cache policy improves the use efficiency of content by storing the content used in the terminal (or requested) in its own cache, and later using the content stored in its own cache when the same content is requested. The cache policy uses a method of removing the latest content and storing new content when new content comes in while the cache is saturated. In this way, the frequently used content stays in the cache for a long time, which can benefit from the cache.

하지만, 이러한 캐시 정책은 유선 네트워크의 라우터나 스위치 같은 이미 장비 자체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적합하지만, 무선 네트워크, 특히 D2D 통신에서 단말기가 캐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캐시 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컨텐츠 전송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특수한 통신 환경 예컨대, 재난 상황에서의 D2D 통신 환경에서는 컨텐츠 전송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However, while this cache policy is suitable for the device itself to transfer data, such as routers or switches in wired networks, content transfer may be less efficient due to the limited cache capacity when the device uses the cache in wireless networks, especially D2D communications. Can b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 transmission efficiency is reduced in a special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a D2D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at cannot guarantee the stability of the base station or access point.

본 실시예는 D2D 통신을 이용하여 우선순위가 설정된 중요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단말기에 대한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This embodiment provides a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for an efficient content transmission for controlling the caching of a plurality of terminals to efficiently transmit priority content set priority using D2D communication, and an apparatus therefor. There is a main purpose.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Cache)에 저장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과정; 및 상기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상기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소정의 단말기로 상기 중요 컨텐츠에 대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content delivery us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t least one terminal included in coverage of a base station Terminal confirmation process to confirm; A content checking process of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of content stored in a cach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checking priority information of important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a network caching control process of transmitting a deletion request signal for the important conten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so that the important content is not duplicated and stored when the important content having the same priority information exists in the coverage. A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is provided.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Cache)에 저장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부; 및 상기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상기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소정의 단말기로 상기 중요 컨텐츠에 대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network caching (Caching) for the content transmission using the D2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t least one included in the coverag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A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terminal; A content confirmation unit which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of content stored in a cach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confirms priority information of important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a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deletion request signal for the important conten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so that the important content is not duplicated and stored when the important content having the same priority information exists in the coverage. A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is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의 캐시에 우선순위가 상위 레벨인 컨텐츠들을 우선적으로 저장함으로써, D2D 통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다른 단말기로 중요 컨텐츠를 배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storing contents having a higher priority in the cache of the terminal with priority, important contents can be efficiently distributed to other terminals using D2D communication.

또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서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함으로써, 기지국의 부하(Load)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sharing the content using the D2D communication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load (Load) of the base station.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특수한 통신 환경(재난 통신망)에서도 중요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share important contents even in a special communication environment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not guarantee the stability of the base station or access point.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우선순위 기반의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복 컨텐츠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우선순위 기반의 캐시 메모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iority based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for managing duplicat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content priority based cache memory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network ca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n exemplary drawing.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User Equipment, UE)를 포함한다. 기지국 각각은 특정한 지리적 커버리지(Coverage)인 셀(Cell)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인 섹터(Sector)로 나뉠 수 있다.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하향링크라고 하고,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상향링크라고 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BS) and at least one terminal (User Equipment, UE). Each base sta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for a cell, which is a specific geographic coverage. The cell may be further divided into sectors, which are sectors.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s called downlink, and communication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s called uplink.

도 1a를 참조하면, 기지국(110)은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으로서, eNB(evolved-NodeB),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ystem, 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a base station 110 is a station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and may be referred to by other names such as an evolved-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nd the like. Can be.

단말기(120, 122, 130)는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장치로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단말(Mobile Terminal), 사용자단말(User Terminal, UT), 가입자지국(Subscriber Station, SS),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의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Terminals (120, 122, 130) is a device for communicating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station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 user terminal (User Terminal, UT), Subscriber Station (SS), Other names may be referred to as a wireless devic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wireless modem, a handheld device, and the like.

무선통신 시스템(100)에는 다양한 다중접속(Multiple Access) 전송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다중접속은 코드, 주파수, 시간, 및 공간 등을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다중접속은 고정할당 접근방식과 동적할당 접근방식으로 나뉜다. 고정할당 접근방식의 예로는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방식, 주파수분할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방식,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방식,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방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적할당 접근방식의 예로는 반송파감지다중접속(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방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Various multiple access transmission technologies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Multiple access is a technology for multiple users to share code, frequency, time, and space. Multiple access is divided into a fixed allocation approach and a dynamic allocation approach. Examples of fixed allocation approaches inclu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orthogonal frequency.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Examples of the dynamic allocation approach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무선통신 시스템(100)에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다양한 이중화(Duplexing)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중화 기술의 예로는 주파수분할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시분할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 TDD)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Various duplexing techniques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Examples of the duplication techniqu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time division duplexing (TDD), and the like.

무선 통신 시스템(10)에는 다중안테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다중안테나는 안테나의 구성을 기준으로 단일 전송 안테나 단일 수신 안테나(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단일 전송 안테나 다중 수신 안테나(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다중 전송 안테나 단일 수신 안테나(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SO), 및 다중 전송 안테나 다중 수신 안테나(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로 나뉜다. 전송 안테나는 하나의 신호 또는 스트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안테나를 의미하고, 수신 안테나는 하나의 신호 또는 스트림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안테나를 의미한다.Multiple antenna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Multi-antennas are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antenna. Single Transmit Antenna 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Single Transmit Antenna 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Multiple Transmit Antenna Single Receive Antenna (Multiple Input Single Output) , MISO), and multiple transmit antennas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 transmit antenna refers to a physical or logical antenna used to transmit one signal or stream, and a receive antenna refers to a physical or logical antenna used to receive one signal or stream.

도 1에서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제1 단말기(120, 122)와 기지국(110)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제2 단말기(130)가 도시되어 있다. In FIG. 1, first terminals 120 and 122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and a second terminal 130 out of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are shown.

제1 단말기(120, 122)는 셀룰러 단말 및/또는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제1 단말기(120, 122)는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포함하여 각종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제1 단말기(120, 122)는 기지국(110)과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시스템(100)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무선 프레임을 사용하여 단말기 간에 단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과 D2D 통신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내에서 혼재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120, 122)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The first terminals 120 and 122 refer to cellular terminals and / or terminals capable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s 120 and 122 mean terminals capable of storing various contents, including a cache memory. The first terminals 120 and 122 may perform cellula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110 and perform D2D communication in one or two directions between terminals using uplink or downlink radio fram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can do. Since cellular communication and D2D communication may be mixed in the same frequency band, it is necessary to minimize signal interference between the terminals 120 and 122.

제2 단말기(130)는 D2D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120, 122)와 연동하는 단말이다. 제2 단말기(130)는 제1 단말기(120, 122)로부터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2 단말기(130)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캐시 메모리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terminal 130 is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first terminals 120 and 122 using D2D communication. The second terminal 130 performs content from the first terminals 120 and 122 using D2D communication. Here, the second terminal 130 preferably does not have a cache memory for storing cont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2 단말기(130)는 셀룰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으나, 재난 상황에서 기지국과 통신이 끊겨 제1 단말기(120, 122)와 D2D 통신만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130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cellular communication, but may be a terminal performing only D2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s 120 and 122 becaus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lost in a disaster situation.

무선통신 시스템(100)의 통신망은 재난 안전통신망으로 구축될 수 있고, 제1 단말기(120, 122), 제2 단말기(130) 등은 재난 상황에서 재난안전통신망을 이용하여 셀룰러 통신 및/또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국방, 철도, 지방자치단체 등 국가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한 통신망으로서, 재난 발생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국가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재난안전통신망으로는 3GPP가 표준화한 Public Safety-LTE(PS-LT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S-LTE는 LTE 기술을 기반으로 공공안전 통신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용한 기술 방식이고, 그룹통신, 단말 간 통신, 망 생존성 등의 요구사항을 지원하도록 정의하고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be established as a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first terminal 120, 122, the second terminal 130, or the like may use cellular communication and / or D2D in a disaster situation using the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terminal that performs communication.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ntegr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police, firefighting, national defense, railways, and local governments into one.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ublic Safety-LTE (PS-LTE) standardized by 3GPP. PS-LTE is a technology method that accepts functions required for public safety communication based on LTE technology and defines to support requirements such as group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and network survivability.

경찰, 소방관 등의 구조요원들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수행하고, 단말기들는 재난안전통신망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조요원들이 수행하는 업무는 높은 중요도 및 긴급도가 요구되므로, 구조요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들은 다른 단말기들보다 통신망을 우선적으로 접속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구조요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가 D2D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무선성능을 제한하고 우선적으로 구조요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의 D2D 연결이 승인될 수 있다. Rescue personnel, such as police and firefighters, can communicate using terminals, and terminals can communicate using a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Since tasks performed by rescue workers require high importance and urgency, terminals used by rescue workers need to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first than other terminals. For example, when a terminal used by rescue workers requests a D2D connection, D2D connection of a terminal used by rescue workers may be approved firstly while limiting radio performance of the terminal used by a general user.

이하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츠의 캐싱을 보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캐시 메모리가 구비된 제1 단말기(120, 122) 중 하나의 단말기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부 또는 별도의 서버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일부 기능을 기지국(110)에 구현한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Hereinafter, a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for guaranteeing caching of high priority content in a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will be described.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in one of the first terminals 120 and 122 having a cache memory,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in a par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a separate server. Can be. In addition,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a device in which some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base station 110.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통신부(210), 컨텐츠 판단부(220), 캐시 저장부(230), 네트워크 관리부(240),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 및 컨텐츠 공유부(27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및/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 단위로 합쳐져 구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content determination unit 220, a cache storage unit 230, a network management unit 240, and a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 250, a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60, and a content sharing unit 270.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omit some of the various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2 or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 FIG. 2,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a software module and / or a hardware module inside the device to operate organically with each other. In FIG. 2, each component is represented as being independently present. Howe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unit and implemented.

통신부(210)는 기지국(110), 컨텐츠 제공서버(미도시), 단말기(120, 122) 등과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data and signals in association with the base station 11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the terminals 120 and 122, and the like.

통신부(210)는 기지국(110) 또는 컨텐츠 제공서버(미도시)로부터 송신된 컨텐츠를 수신한다. 통신부(210)는 수신된 컨텐츠를 컨텐츠 판단부(220)로 전송하여 캐시 저장부(23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공유되도록 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지역 안내 정보, 날씨 정보, 재난상황 지도, 재난상황 영상, 긴급 구조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10 o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the received content to the content determining unit 220 to be stored in the cache storage unit 230 or shared with an external terminal. Here, the content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l guid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disaster situation map, disaster situation image, emergency rescue information, and the like.

한편, 통신부(21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와 연동하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캐시 저장 상태에 대한 피드백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interoperates with the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and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on the stored content, feedback information on the cache storage state, etc. from each terminal. can do.

컨텐츠 판단부(220)는 수신된 컨텐츠를 중요 컨텐츠(CI,i, i는 우선순위) 및 일반 컨텐츠(CU)로 구분한다. 컨텐츠 판단부(220)는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중요 컨텐츠로 판단하고,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를 일반 컨텐츠로 판단한다. 다시 말해, 중요 컨텐츠(CI,i)는 우선순위 정보가 주어지며, 예를 들어,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1은 CI,1이고,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2는 CI,2이고,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3은 CI,3일 수 있다. 중요 컨텐츠는 재난 상황에서 반드시 공유되어야 하는 컨텐츠로서, 재난 상황 지도, 재난상황 영상, 긴급 구조 정보 등일 수 있다.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220 divides the received content into important content (C I, i , i is priority) and general content (C U ). The content determiner 220 determines the content including the priority information as important content and the content not including the priority information as general content. In other words, the important content C I, i is given priority information. For example, priority 1 of the important content is C I, 1 , priority 2 of the important content is C I, 2 , and is important. The priority 3 of the content may be C I, 3 . Important content is content that must be shared in a disaster situation, and may be a disaster map, a disaster video, emergency rescue information, and the like.

한편, 일반 컨텐츠는 우선순위 정보가 없으며, 재난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상황에서 공유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컨대, 일반 컨텐츠는 지역안내 정보 날씨 정보 등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general content has no priority information and means content that is shared in a general situation rather than a disaster situation. For example, the general content may be local guid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캐시 저장부(230)는 컨텐츠의 빠른 처리를 위한 임시 메모리로써, 중요 컨텐츠 및 일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캐싱(Caching)한다. 캐시 저장부(230)는 캐시 메모리, 디스크 캐시, 캐시 기억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ache storage unit 230 is a temporary memory for fast processing of content, and caches content including important content and general content. The cache storage unit 230 may be implemented as a cache memory, a disk cache, a cache storage device, or the like.

캐시 저장부(230)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용량의 한계가 존재하며, 메모리 용량이 포화 상태에서 신규 컨텐츠가 추가되는 경우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를 삭제한다. 여기서, 캐시 저장부(230)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로부터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를 삭제한다.The cache storage unit 230 has a limit of a memory capacity for storing content, and deletes some of the previously stored content when new content is added while the memory capacity is saturated. Here, the cache storage unit 230 receives a network caching policy from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and deletes some of the prestored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network caching policy.

네트워크 관리부(24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120, 122)와 연동하여 네트워크 및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상황 및 상태를 수집 및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관리부(240)는 단말 확인부(242), 컨텐츠 확인부(244) 및 기준레벨 설정부(246)를 포함한다. The network manager 240 collects and manages a situation and a state of the network and each of the terminals in cooperation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The network manager 240 includes a terminal checker 242, a content checker 244, and a reference level setter 246.

단말 확인부(242)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 확인부(242)는 기지국(110)과 연동하여 동일 네트워크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단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개수, 네트워크 접속시간 등에 대한 단말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The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242 checks the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The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242 collect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same network in association with the base station 110 and based 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number of terminals existing in the same network and the network. Generate terminal state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time.

컨텐츠 확인부(244)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 각각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한다. The content checking unit 244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about content included in each of the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and confirms priority information of the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컨텐츠 확인부(244)는 컨텐츠 정보를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로 전송하여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중복되는 컨텐츠가 삭제되도록 한다. The content checking unit 244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to delete the duplicated content on the same network.

컨텐츠 확인부(244)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 각각으로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가 최신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The content checking unit 244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each of the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llects the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output the important content. Ensure that the priority information of the is kept up to date.

한편, 컨텐츠 확인부(244)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 각각의 캐시에 저장된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단말기(120, 122) 각각으로부터 컨텐츠의 변화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컨텐츠 확인부(244)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중요 컨텐츠를 판단한다. Meanwhile, when the content stored in the cache of each of the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is changed, the content checking unit 244 may change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of the content from each of the terminals 120 and 122.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a. The content checking unit 244 determines important content having priority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제어하기 위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reference level setting unit 246 performs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priority reference level for controlling the network caching policy.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중요 컨텐츠의 개수를 초기 기준레벨로 결정하여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 복수의 단말기(120, 122)로 전송한다. 복수의 단말기(120, 122) 모두에서 중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면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초기 기준레벨을 우선순위 기준레벨로 결정한다. 한편, 복수의 단말기(120, 122) 중 중요 컨텐츠를 모두 저장할 수 없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복수의 단말기(120, 122) 각각으로부터 중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저장 상태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캐시 용량이 가장 작은 단말기를 기준으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 복수의 단말기(120, 122)가 모두 동일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갖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120, 122) 각각의 캐시 저장 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설정할 수도 있다. The reference level setting unit 246 determines the number of important contents as an initial reference level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If all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can store important content, the reference level setting unit 246 determines the initial reference level as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terminal that cannot store all of the important contents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the reference level setting unit 246 stores a cache capable of storing important content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on status, and determine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based on the terminal having the smallest cache capacity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Here, the reference level setting unit 246 describes tha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have the same priority reference leve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Different priority levels may be set according to each cache storage capacity.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캐시 저장부(230) 또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120, 122)의 캐싱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The network caching controller 250 generates a network caching policy for controlling caching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cache storage 230 or the base station 110.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LI)에 근거하여 중요 컨텐츠의 캐싱을 보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LI)보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삭제하지 않고 캐시 저장부(230)에 항상 유지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는 D2D 통신으로 보장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여기서, 우선순위 기준레벨(LI)보다 상위 레벨은 우선순위 기준레벨(LI)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레벨로서, 예컨대, 우선순위 기준레벨(LI)이 2인 경우, 우선순위가 2 이하인 CI,1 및 CI,2에 대한 중요 컨텐츠를 상위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generates a network caching policy for guaranteeing caching of important content based o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L I. In more detail, the network caching controller 250 generates a network caching policy that is always maintained in the cache storage 230 without deleting important content having a higher level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L I. Important content having a higher level means content guaranteed by D2D communication. Here, first, a level having a higher priority ranking reference level (L I) than the upper level of priority based on the level (L I), for example, a first case where the ranking based on the level (L I) 2, priority 2 Important content for the following C I, 1 and C I, 2 may be determined as a higher level.

예를 들어,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LI)보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의 경우, D2D 통신을 이용하여 배포(공유)하기 위해 캐시 저장부(230)의 저장 용량이 포화상태이더라도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다른 컨텐트로 교체하지 않고 캐시 저장부(230)에 유지되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may sto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ache storage unit 230 in order to distribute (share) the D2D communication in case of important content having a higher level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L I ). Even if it is saturated, the important content having a higher level is maintained in the cache storage unit 230 without being replaced with other content.

캐시 저장부(230)의 저장용량이 포화상태인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에서 생성된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따른 컨텐츠의 캐싱 제어 동작은 다음과 같다.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ache storage unit 230 is saturated, the caching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network caching policy generated by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is as follows.

캐시 저장부(230)에 일반 컨텐츠와 중요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일반 컨텐츠부터 제거되도록 제어한다. 캐시 저장부(230)에 일반 컨텐츠가 모두 제거되면 중요 컨텐츠가 제거되도록 하되, 중요 컨텐츠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근거하여 제거된다. 다시 말해, 우선순위가 하위 레벨인 중요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캐시 저장부(230)에 유지되도록 한다. 만약, 캐시 저장부(230)에 일반 컨텐츠만 존재하는 경우, 일반적인 캐시 정책과 동일하게 오래된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거한다. If there is general content and important content in the cache storage unit 230, the general content is first removed. When all general content is removed from the cache storage unit 230, important content is removed, but important content is removed based on preset priority information. In other words, priority content having a lower level of priority is first removed so that important content having a higher level is maintained in the cache storage 230. If only general content exists in the cache storage unit 230, the old content is removed first as in the general cache policy.

한편,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캐싱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에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동일 컨텐츠가 저장된 소정의 단말기로 동일 컨텐츠를 삭제하도록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동일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해 소정의 단말기로 삭제 요청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may generate a network caching policy that controls caching so that important content having the same priority information does not overlap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In other words, when important content having the same priority is duplicated and stored in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deletes the same conten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n which the same content is stored. Create a network caching policy. Here,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may generate a network caching policy for transmitting a delete request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n order to delete the same content.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중복되는 중요 컨텐츠에 대해 하나의 중요 컨텐츠만 제외하고 나머지 동일 중요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해 기지국(110) 커버리지 내에서 랜덤하게 소정의 단말기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기지국(110) 커버리지 내 포함된 단말기(120, 122)의 위치 또는 통신 상태에 근거하여 결정된 소정의 단말기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지국(110)을 기준으로 위치가 가까운 단말기에 중요 컨텐츠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복수의 단말기(120, 122)의 통신상태를 비교하여 통신 신호세기가 센 단말기에 중요 컨텐츠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preferably transmits a deletion request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at random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in order to delete the same important content except for one important content for duplicate important conten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may transmit a deletion request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or communication state of the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10 coverage. That is, the important content may be maintained in a terminal having a close position based on the base station 110 or by comparing the communic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becomes important content in the strong terminal.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중요 컨텐츠 전체를 대상으로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상위 레벨에 해당하는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즉,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를 대상으로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복수의 단말기(120, 122) 각각에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는 필수적으로 저장되도록 보장하고,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복수의 단말기(120, 122) 각각에 중복되지 않도록 분산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may generate a network caching policy so that content is not duplicated for all important cont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does not transmit a delete request signal for important content corresponding to a higher level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That is,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may generate a network caching policy so that content is not duplicated for the remaining important content except the important content having a higher level. For example, the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ensures that important contents having a higher level are necessarily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and a plurality of important contents other than the important contents having a higher level are stored. A network caching policy is generated to be distributed and stored in each of the terminals 120 and 122 so that they are not duplicated.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컨텐츠 사용을 위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기 저장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거나, D2D 통신을 기반으로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120, 122)로 컨텐츠 요청을 수행한다. If there is an input signal for content use,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60 extracts and outputs pre-stored content, or performs a content request to terminals 120 and 122 located nearby based on D2D communication.

이하, 컨텐츠 사용을 위한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60 for using content will be described.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컨텐츠 사용 요청을 위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자신의 캐시 저장부(230)에서 컨텐츠 사용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한다. 캐시 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 즉, 동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들의 캐시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When there is an input signal for a content use request, the content request processor 260 first check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 request in its cache storage 230. If the corresponding content does not exist in the cache storage unit 230, it is checked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exists in a cache of terminals located in the vicinity, that is, terminals located in the same coverage.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면 D2D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다. 한편,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110) 또는 외부 단말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해당 컨텐츠가 우선순위를 갖는 중요 컨텐츠인 경우, 우선적으로 기지국(110)에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요청한 중요 컨텐츠를 수신한 경우, 캐시 저장부(230)에 저장되도록 한다. 중요 컨텐츠에 대해 우선적으로 기지국(110)으로 요청을 수행하는 이유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들이 중요 컨텐츠를 계속하여 저장되도록 하고, 신속하게 주변 단말기(120, 122), 외부 단말기(130) 등으로 공유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If the corresponding content exists in a terminal located nearby,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received using D2D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corresponding content does not exist in a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base station 110 or an external terminal transmits a request signal for the content. In this case,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important content having priority,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first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10. When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60 receives the requested important content,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60 is stored in the cache storage unit 230. The reason for preferentially making a request to the base station 110 for the important content is to allow the terminals existing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to continuously store the important content, and to quickly access the peripheral terminals 120 and 122 and the external terminal ( 130) to be shared.

이하, 외부 단말기(130)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130,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request processor 260 will be described.

외부 단말기(130)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자신의 캐시 저장부(230)에서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한다. 캐시 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130)로 공유되도록 한다.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130,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60 check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 its cache storage unit 230. If the content exists in the cache storage unit 230, the content is shared to the external terminal 130.

만약, 자신의 캐시 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주변 단말기(120, 122)의 캐시를 확인한다. 주변 단말기(120, 122)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주변 단말기(120, 122)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여 외부 단말기(130)로 공유되도록 한다. I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cache storage unit 230, the cache of the peripheral terminals 120 and 122 located in the same coverage is checked.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exists in the peripheral terminals 120 and 122,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60 receives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peripheral terminals 120 and 122 so as to be shared with the external terminal 130.

만약, 주변 단말기(120, 122)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거나, D2D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할 수 없다면,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기지국(110)에 해당 컨텐츠를 요청하여 획득한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130)로 공유되도록 한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우선순위를 갖는 중요 컨텐츠인 경우에만 기지국(110)으로 컨텐츠를 요청한다. 즉, 외부 단말기(130)가 요청한 컨텐츠가 중요 컨텐츠가 아닌 일반 컨텐츠인 경우 캐시 저장부(230) 및 주변 단말기(120, 122)의 캐시만을 확인하고, 해당 컨텐츠가 없으면 외부 단말기(130)의 요청을 무시한다. If the corresponding content does not exist in the neighboring terminals 120 or 122, or if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not be received using D2D communication, the content request processor 260 requests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base station 110 to acquire the content. To be shared with the external terminal 130. Here,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60 requests the content to the base station 110 only when the content has priority. That is, when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external terminal 130 is general content and not important content, only the caches of the cache storage unit 230 and the peripheral terminals 120 and 122 are checked, and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tent, the request of the external terminal 130 is found. Ignore

다만, 외부 단말기(130)가 요청한 컨텐츠가 시간제약(Time-Deadline)이 있는 일반 컨텐츠 예컨대, 기상 특보(폭염, 폭풍, 폭우 등)와 같은 일반 컨텐츠의 경우 기지국(110)에 해당 일반 컨텐츠를 요청하여 컨텐츠가 공유되도록 한다. However, when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external terminal 130 is a general content having a time-deadline, for example, a general content such as a weather alert (heat wave, storm, heavy rain, etc.), the general content is requested to the base station 110. The content is shared.

컨텐츠 공유부(270)는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의 동작에 근거하여 주변 단말기(120, 122) 또는 외부 단말기(130)로 컨텐츠를 공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컨텐츠 공유부(270)는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ent sharing unit 270 shares the content with the peripheral terminals 120 and 122 or the external terminal 130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60. The content sharing unit 270 preferably shares content using D2D communic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우선순위 기반의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iority based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기지국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S310). 여기서, 컨텐츠는 지역 안내 정보, 날씨 정보, 재난상황 지도, 재난상황 영상, 긴급 구조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base station (S310). Here, the content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l guid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disaster situation map, disaster situation image, emergency rescue information, and the like.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컨텐츠를 중요 컨텐츠 또는 일반 컨텐츠로 구분하고(S320), 구분된 컨텐츠를 캐시에 저장한다(S33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중요 컨텐츠로 판단하고,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를 일반 컨텐츠로 판단한다.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divides the received content into important content or general content (S320), and stores the classified content in a cache (S330).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content including the priority information is important content, and determines the content not including the priority information as general content.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하기 위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설정한다(S340). 우선순위 기준레벨은 기 설정된 소정의 레벨 또는 중요 컨텐츠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120, 122) 각각으로부터 중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저장 상태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캐시 용량이 가장 작은 단말기를 기준으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sets a priority reference level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S340).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may be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level or the number of important cont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che storage state may store important contents from each of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same network.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for, and determine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based on the terminal with the smallest cache capacity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용량이 포화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50).The network caching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the cache capacity capable of storing the content is saturated (S350).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용량이 포화상태가 아닌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단계 S310으로 돌아가 컨텐츠를 계속하여 수신한다. If the cache capacity capable of storing the content is not saturated,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returns to step S310 to continue receiving the content.

한편,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용량이 포화상태인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캐시에서 제거하기 위한 컨텐츠가 중요 컨텐츠인지 일반 컨텐츠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60).On the other hand, when the cache capacity for storing the content is saturated,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checks whether the content for removal from the cache is important content or general content (S360).

단계 S360의 확인 결과, 일반 컨텐츠인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캐시에 저장된 일반 컨텐츠를 삭제한다(S362).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360, in the case of the general content,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deletes the general content stored in the cache (S362).

단계 S360의 확인 결과, 중요 컨텐츠인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과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를 비교한다(S370).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360, in the case of the important content,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compares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with the priority of the important content (S37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의 경우, D2D 통신을 이용하여 배포(공유)하기 위해 캐시에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가 유지되도록 한다(S380). In the case of important content having a higher level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maintains important content having a higher level in the cache for distribution (sharing) using D2D communication (S380).

한편,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하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의 경우, 하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캐시에서 삭제한다(S372). Meanwhile,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deletes the important content having a lower level from the cache in the case of the important content having a lower level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S372).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복 컨텐츠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for managing duplicat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를 확인한다(S41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동일 네트워크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단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를 확인한다. The network caching controller 200 checks the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S410).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collect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s 120 and 122 included in the same network, and identifies the terminal existing in the same network based 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S420), 수집된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한다(S430).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about content included in the cach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S420), and confirms priority information of the content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S43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동일 중요 컨텐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440). The network caching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the same important content having the same priority information exists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S440).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동일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단계 S410의 동작을 수행한다. If the same important content with the same priority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performs the operation of step S410.

한편,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동일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동일 컨텐츠가 저장된 소정의 단말기로 삭제 요청신호 전송한다(S450).On the other hand, if the same important content having the same priority information,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s a delete request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n which the same content is stored (S450).

단계 S440 내지 S450에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를 갖는 중요 컨텐츠 전체를 대상으로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를 대상으로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할 수도 있다. In operation S440 to S450,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describes that the network caching is controlled so that important content does not overlap with all important contents having prior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control the network caching so that the contents are not duplicated for the remaining important contents except the important contents having a higher level than the preset priority reference level.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우선순위 기반의 캐시 메모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content priority based cache memory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의 (a)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근거하여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 A 및 단말 B가 동일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갖는 경우의 캐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의 (b)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근거하여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 A 및 단말 B의 저장 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갖는 경우의 캐시 상태를 도시한다. FIG. 5A illustrates a cache state when the terminal A and the terminal B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have the same priority reference level based on the network caching policy. FIG. 5B illustrates a cache state when the priority levels are different according to storage capacities of the terminal A and the terminal B included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based on the network caching policy.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 기준레벨이 2인 경우 단말 A 및 단말 B 각각은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상위 레벨인 CI,1 및 CI,2 모두를 중복하여 저장한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is 2, each of the terminal A and the terminal B stores both C I, 1 and C I, 2 which are higher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

단말 A 및 단말 B는 컨텐츠 서버가 아닌 소형의 단말기가 컨텐츠 저장을 위한 캐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로써, 캐시 메모리의 용량은 컨텐츠를 대량으로 저장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상위 레벨인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캐싱을 제어한다. Terminal A and terminal B is a case where a small terminal, not a content server, has a cache memory for content storage, and the capacity of the cache memory is insufficient to store a large amount of content. Therefore, caching is controlled based on the network for the important contents except the important contents that are higher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즉,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에서 생성된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근거하여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 A 및 단말 B들이 협동하여 컨텐츠를 공유 및 유지하도록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한다. That is, based on the network caching policy generated by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the terminal A and the terminal B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cooperate to control the network caching to share and maintain the content.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하위 레벨인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하나의 기지국(110) 커버리지 내에서 1 개의 컨텐츠만 보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A에 CI,3와 CI,5 가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 B에서는 CI,3와 CI,5를 저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단말 B에서 CI,4와 CI,6가 저장되어 있으면, 단말 A에서는 CI,4와 CI,6를 저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content is kept within one base station 110 coverage for important content that is lower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5, C I, 3 and C I, 5 are stored in the terminal A, and the terminal B controls not to store C I, 3 and C I, 5 . do. Similarly, if C I, 4 and C I, 6 are stored in the terminal B, the terminal A controls not to store C I, 4 and C I, 6 .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요 컨텐츠를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분산하여 캐싱하기 위해 각각의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즉, 복수의 단말 각각은 자신들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들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컨텐츠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 또는 기지국(110)으로 전송하여 각각의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istribute and cache important content in each of a plurality of terminal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tored in each terminal is shared.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ntents stored therein to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or the base station 110 whenever there is a change in the preset period or content, and stored in each terminal. Share information about content.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network ca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eNB(610)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캐싱할 수 있는 복수의 단말기(620)에 대한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eNB(610) 또는 복수의 단말기(620) 중 하나에 포함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6, the network caching controller 200 controls network caching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620 capable of caching content based on the eNB 610. Here,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included in one of the eNB 610 or the plurality of terminals 6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server device. .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eNB(610)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단말기(620)에 중요 컨텐츠가 캐싱되도록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말기(620) 각각에서 반드시 캐싱이 유지되어야 하는 일부 중요 컨텐츠를 유지시키고, 일부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eNB(610)의 커버리지 내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복수의 단말기(620) 각각에 분산하여 캐싱되도록 한다. The network caching controller 200 allows the important content to be cache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620 existing in the coverage of the eNB 610. Here, the network caching control apparatus 200 maintains some important content that must be cach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620 on the basis of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and the eNB (for the other important content except for some important content) The plurality of terminals 620 are distributed and cached so as not to overlap within the coverage of the 610.

복수의 단말기(620) 각각은 캐싱 기능이 없는 일반 단말기(630)와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한다. 즉, 일반 단말기(630)의 요청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말기(620)는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되는 중요 컨텐츠를 일반 단말기(630)로 제공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620 shares contents with a general terminal 630 having no caching function using D2D communication. That is, based on a request of the general terminal 630, the plurality of terminals 620 provide important contents shared on the same network to the general terminal 630.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D2D 통신 분야에 적용되어, D2D 통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다른 단말기로 중요 컨텐츠를 배포할 수 있고, 기지국의 부하(Load)를 줄일 수 있으며,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특수한 통신 환경(재난 통신망)에서도 중요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eld of D2D communication, and can efficiently distribute important content to other terminals using D2D communication, reduce the load of the base station, an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generates the effect of stably sharing important contents even in a special communication environment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not guarantee stability.

100: 무선통신 시스템
110: 기지국 120, 122: 제1 단말기
130: 제2 단말기
20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
210: 통신부 220: 컨텐츠 판단부
230: 캐시 저장부 240: 네트워크 관리부
250: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 260: 컨텐츠 요청 처리부
270: 컨텐츠 공유부
100: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10: base station 120, 122: first terminal
130: second terminal
200: network caching controller
210: communication unit 220: content determination unit
230: cache storage unit 240: network management unit
250: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250, 260: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70: content sharing unit

Claims (9)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Cache)에 저장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캐시 용량이 포화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일반 컨텐츠와 중요 컨텐츠를 구분한 후 - 상기 중요 컨텐츠는 재난 상황 지도, 재난상황 영상 또는 긴급 구조 정보를 포함- 중요 컨텐츠의 개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캐시 용량에 근거로 결정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과정; 및
상기 일반 컨텐츠를 제거하도록 하며, 상기 중요 컨텐츠 중 상기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하위 레벨을 갖는 컨텐츠를 제거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상기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소정의 단말기로 상기 중요 컨텐츠에 대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Caching) for content delivery using D2D communicatio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 terminal identification process of identifying at least one terminal included in a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of content stored in a cach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classifying important content and important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when the cache capacity is saturated; A content identification process for identifying a priority reference level determined based on a number of important contents or a cache capacity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Remove the general content, remove content having a lower level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among the important content, and prevent the important content having the same priority information in the coverage from being duplicated and stored to a predetermined terminal; Network caching control process for transmitting a delete request signal for the important content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확인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으로 기 설정된 주기마다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confirmation process,
Transmitting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and maintaining priority information of the important content in the latest state; How to control cach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확인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캐시에 저장된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변화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중요 컨텐츠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confirmation process,
When the content stored in the cache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changed,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of the content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determining the important content having priority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캐싱 제어과정은,
상기 우선순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상위 레벨에 해당하는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network caching control process,
And the deletion request signal is not transmitted for important content corresponding to a higher level compared to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요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D2D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를 확인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중요 컨텐츠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요청 처리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important content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the cach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checked using D2D communication, and the importa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external terminal. Network cach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content request.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Cache)에 저장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캐시 용량이 포화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일반 컨텐츠와 중요 컨텐츠를 구분한 후 - 상기 중요 컨텐츠는 재난 상황 지도, 재난상황 영상 또는 긴급 구조 정보를 포함- 중요 컨텐츠의 개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캐시 용량을 근거로 결정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부; 및
상기 일반 컨텐츠를 제거하도록 하며, 상기 중요 컨텐츠 중 상기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하위 레벨을 갖는 컨텐츠를 제거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상기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소정의 단말기로 상기 중요 컨텐츠에 대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content delivery us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identifying at least one terminal included in a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of content stored in a cach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classifying important content and important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when the cache capacity is saturated; A content checking unit for checking a priority reference level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important contents or the cache capacity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Remove the general content, remove content having a lower level than the priority reference level among the important content, and prevent the important content having the same priority information in the coverage from being duplicated and stored to a predetermined terminal; Network caching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delete request signal for the important content
Network cach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요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D2D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를 확인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중요 컨텐츠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요청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important content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the cach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checked using D2D communication, and the importa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external terminal. Network caching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to provide.
KR1020160136538A 2016-10-20 2016-10-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 KR102083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38A KR102083524B1 (en) 2016-10-20 2016-10-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38A KR102083524B1 (en) 2016-10-20 2016-10-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613A KR20180043613A (en) 2018-04-30
KR102083524B1 true KR102083524B1 (en) 2020-03-02

Family

ID=6208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538A KR102083524B1 (en) 2016-10-20 2016-10-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5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232B1 (en) * 2018-10-26 2020-06-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caching using caching network
KR102123443B1 (en) * 2018-10-26 2020-06-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caching using caching network
KR102077161B1 (en) * 2018-10-26 2020-04-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caching using caching network
KR102163214B1 (en) * 2019-05-30 2020-10-08 한국과학기술원 Machine Learning based proactive caching in CoMP-enabled small cell networks
KR102188783B1 (en) * 2019-08-09 2020-12-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ent caching using internet of things gateway
KR102235494B1 (en) * 2019-12-04 2021-04-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ent Cashing Method using a Satelli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249A (en)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cache memory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047495B1 (en) * 2013-02-22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of server via streaming at client using cache
KR20150090306A (en) * 2014-01-27 2015-08-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sharing contents among plural terminal,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613A (en)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5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
KR10233631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network virtualization and session management
CN111465063B (en) Inter-communication system moving method and device
US11153744B2 (en) Roaming support for next generation slice architecture
US11178717B2 (en) Traffic distribution method through multi-access network in a network and network entity performing the same
US11064388B2 (en) Traffic distribution method through multi-access network in a network and network entity performing the same
CN111586772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8702638B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apability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EP2876915A1 (en) Proxy mme
US20180317210A1 (en) Resource request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network side node
KR102421038B1 (en) Load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US20230164668A1 (en) Communication related to network slice
WO201416145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handing over user equipment during change of configuration of base station
KR20240060592A (en) 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US20230112312A1 (en) Support of service continuity for handover between snpn and plmn
US20230254704A1 (en) Dynamic cellular network spectrum sharing
US10362580B2 (en) Fair resource sharing in broadcast based D2D communications
KR20190017366A (en) Method for distributing load of a gateway and an apparatus thereof
US10623098B2 (en)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ystem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N104703220A (en) Service request method and service request device
US953839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neighbor relation
JP2021077995A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US115707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questing for and scheduling relay resource
CN111770573A (en)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terminal capability
KR202201520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lecting user plane fun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