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347B1 -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347B1
KR102082347B1 KR1020130105729A KR20130105729A KR102082347B1 KR 102082347 B1 KR102082347 B1 KR 102082347B1 KR 1020130105729 A KR1020130105729 A KR 1020130105729A KR 20130105729 A KR20130105729 A KR 20130105729A KR 102082347 B1 KR102082347 B1 KR 10208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notification
applic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635A (ko
Inventor
서석호
김형근
박성호
손동현
정지량
한상현
홍일성
황지영
박지현
이진혁
조나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463,245 priority Critical patent/US9451100B2/en
Publication of KR20150026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주변 기기로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변환 또는 재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 또는 재구성한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다른 실시 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통지(notification)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신저 서비스, 방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 서비스 및 음악 재생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통지 정보를 주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통지 정보를 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해당 주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 특성을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을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킨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주변 기기와의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통지 정보를 전송할 주변 기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한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변환 또는 재구성하고, 상기 변환 또는 재구성한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알림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한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여 해당 주변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서 발생한 통지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의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킨 응용 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킨 응용 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지 설정 목록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및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의 전송을 위한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주변 기기로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의료기기(예를 들면,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 예를 들면,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콤파스),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장치를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및 프로젝터(projecto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주변 기기는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는 전자 시계, 전자 안경과 같은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11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프린터(111), 카메라(112), 오디오(113), TV(114) 및 전자 시계(115)와 같은 주변 기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102 또는 104 또는 106)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응용 프로그램(102 또는 104 또는 106)에 의해 발생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주변 기기(110)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통지 이벤트 정보를 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해당 주변 기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주변 기기(110)의 출력 특성은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 정보, 표시부 및 발광체를 이용한 시각 정보, 후각 정보 및 진동에 의한 촉각 정보와 같이 주변 기기(110)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출력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200)는 버스(210), 프로세서(220), 알림 제공 모듈(222), 메모리(230), 사용자 입력 모듈(240), 디스플레이 모듈(250) 및 통신 모듈(260)을 포함한다.
버스(210)는 전자장치(2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자장치(2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0)는 전자장치(200)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버스(210)를 통해 전자장치(2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메모리(230), 사용자 입력 모듈(240), 디스플레이 모듈(250), 통신모듈(260))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30)의 어플리케이션(234)에 포함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478)을 실행하여 통지 이벤트 특성을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가상 디바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미들웨어(232)의 장치 관리 매니저(454)를 통해 어플리케이션(234)에 포함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478)을 실행하여 가상 디바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알림 제공 모듈(222)은 가상 디바이스의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알림 제공 모듈(220)은 메모리(230)의 어플리케이션(234)에 포함된 알림 제공 어플리케이션(477)을 실행하여 가상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받은 통지 이벤트 정보를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따라 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미들웨어(232)의 시스템 제공 매니저(453)를 통해 어플리케이션(234)에 포함된 알림 제공 어플리케이션(477)을 실행하여 가상 디바이스의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전자장치(2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프로세서(220), 사용자 입력 모듈(240), 디스플레이 모듈(250), 통신 모듈(260))로부터 수신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0)에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 및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된 응용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커널(kernel)(231), 미들웨어(middleware)(2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233)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234)과 같은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은 소프트웨어(software), 펌웨어(firmware) 및 하드웨어(hardwar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231)은 메모리(230)에 포함되는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예를 들어, 미들웨어(232) 또는 API(233) 또는 어플리케이션(234))에 의해 구현되는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자원을 제어 또는 관리한다. 또한, 커널(231)은 미들웨어(232), API(233) 및 어플리케이션(23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자장치(2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시스템 자원은 버스(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232)는 API(233) 또는 어플리케이션(234)이 커널(2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미들웨어(232)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234)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에 대한 균등한 자원 분배(load balancing)를 수행한다.
미들웨어(232)는 어플리케이션(234)이 전자장치(200)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233)를 통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미들웨어(232)는 어플리케이션(234)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구현된 다수 개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API(233)는 어플리케이션(234)이 커널(231) 또는 미들웨어(232)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API(233)는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텍스트 제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34)은 미들웨어(232) 또는 API(233)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24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명령 또는 데이터를 버스(210)를 통해 프로세서(220) 또는 메모리(23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50)은 사용자에게 화상, 영상 또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통신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202 또는 204) 또는 서버(264) 또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 전자장치(200) 간의 통신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60)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262)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예: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통신 프로토콜(예: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유선 통신 프로토콜)은 메모리(230)의 미들웨어(232) 또는 API(233)에서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전자장치(202 또는 204)는 전자 장치(200)의 주변 기기로 전자 장치(200)와 동일한 타입의 장치이거나 또는 다른 타입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의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통신 프로토콜(300)은 표준 통신 프로토콜, 개인 또는 단체에 의해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프로토콜(300)은 장치 발견 프로토콜(device discovery protocol)(331), 기능 교환 프로토콜(capability exchange protocol)(333), 네트워크 프로토콜(network protocol)(335),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application protocol)(337)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발견 프로토콜(331)은 전자 장치(200)와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를 감지 또는 연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310)은 장치 발견 프로토콜(331)을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통신 방법(예: 무선랜, 블루투스, USB 등)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전자 장치(310)는 장치 발견 프로토콜(331)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를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에 대한 식별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310)는 장치 발견 프로토콜(331)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장치 발견 프로토콜(331)은 다수 개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310)는 장치 발견 프로토콜(331)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와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 교환 프로토콜(333)은 통신이 연결된 전자 장치들(310, 320) 간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기능들을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3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는 기능 교환 프로토콜(333)을 통해 각각의 전자 장치(310 또는 320)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3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가 제 1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335)은 통신이 연결된 전자 장치들(310, 320) 사이의 서비스 연결을 위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프로토콜(335)은 제 1 전자 장치(310)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 사이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전자 장치(310)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는 네트워크 프로토콜(335)을 이용하여 오류 제어, 데이터 품질 제어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310)는 네트워크 프로토콜(335)을 이용하여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세션(session)을 관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337)은 전자 장치(200)가 외부 전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3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337)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337)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전자 장치(310)와 제 1 전자 장치(310)로부터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장치(320) 사이의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절차 또는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그래밍 모듈(400)은 커널(410), 미들웨어(430), API(460) 및 어플리케이션(47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래밍 모듈(400)은 도 2와 같이 전자 장치(200)의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400)은 전자 장치(200)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 또는 운영체제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47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및 바다(Bad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커널(410)은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411)와 디바이스 드라이버(4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411)는 시스템 리소스(resource)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411)는 프로세스관리부, 메모리관리부 및 파일시스템관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412)는 프로그래밍 모듈(400)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미들웨어(430), API(460) 또는 어플리케이션(470))에 의해 구현되는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무선 랜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및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430)는 어플리케이션(470)이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구현해 놓은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또한, 미들웨어(430)는 어플리케이션(4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460)를 통해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미들웨어(430)는 런타임 라이브러리(4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4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4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4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4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4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446), 패키지 매니저(4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4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4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4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451),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452), 시스템 제공 매니저(453) 및 장치 관리 매니저(4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435)는 어플리케이션(4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런타임 라이브러리(435)는 입출력,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441)는 어플리케이션(4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life cycle)를 관리한다.
윈도우 매니저(4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자원을 관리한다.
멀티미디어 매니저(4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확인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매니저(443)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한다.
리소스 매니저(444)는 어플리케이션(4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의 자원을 관리한다.
파워 매니저(4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제공ㅎ한.
데이터베이스 매니저(446)는 어플리케이션(4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패키지 매니저(4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한다.
연결 매니저(448)는 전자 장치(200)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관리한다.
통지 매니저(449)는 수신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과 같은 알림 이벤트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 또는 통지한다.
위치 매니저(450)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그래픽 매니저(45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한다.
보안 매니저(4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장치 관리 매니저(454)는 어플리케이션(470) 중 통지 이벤트 특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한다. 장치 관리 매니저(454)는 어플리케이션(470)의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478)을 실행하여 통지 이벤트 특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장치 관리 매니저(454)는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4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장치 관리 매니저(454)는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킨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치 관리 매니저(454)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된 통지 이벤트를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목록에 추가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장치 관리 매니저(454)는 어플리케이션(47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시스템 제공 매니저(453)는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지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한다. 시스템 제공 매니저(453)는 통지 매니저(449)로부터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통지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 어플리케이션(470)의 알림 제공 관리 어플리케이션(477)을 실행하여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제공 매니저(453)는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따라 통지 이벤트 특성을 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해당 주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공 매니저(453)는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전자 장치(200)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주변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제공 매니저(453)는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앞선 기준 시간 구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주변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전자 장치(200)가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미들웨어(4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430)는 내부 구성요소 모듈들의 다양한 기능 조합을 통해 새로운 미들웨어 모듈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들웨어(4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체제의 종류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4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된 구성요소를 일부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명칭을 갖는 구성요소로 대체할 수 있다.
API(460)는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470)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및 서드 파티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470)은 헬스(health) 어플리케이션(471)(예: 운동량 측정 어플리케이션, 혈당 측정 어플리케이션), SMS/MMS 어플리케이션(472), 환경 어플리케이션(473)(예: 기압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474), 이메일 어플리케이션(475), 달력 어플리케이션(476), 알림 제공 관리 어플리케이션(477) 및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478)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478)은 어플리케이션(470)에 포함되는 통지 이벤트 특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제공 관리 어플리케이션(477)은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지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알림 제공 관리 어플리케이션(477)은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따라 통지 이벤트 특성을 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해당 주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220)를 이용하여 가상 디바이스를 설정하고, 알림 제공 모듈(222)을 이용하여 가상 디바이스의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따라 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220)를 이용하여 가상 디바이스를 설정하고, 가상 디바이스의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따라 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20)는 하기 도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가상 디바이스 생성부(500) 및 통지 전송 제어부(510)를 포함한다.
가상 디바이스 생성부(500)는 전자 장치(20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들 중 통지 이벤트 특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한다. 가상 디바이스 생성부(500)는 미들웨어(430)의 장치 관리 매니저(454)를 이용하여 통지 이벤트 특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가상 디바이스 생성부(500)는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응용프로그램을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가상 디바이스 생성부(500)는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킨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상 디바이스 생성부(500)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된 통지 이벤트를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목록에 추가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가상 디바이스 생성부(500)는 전자 장치(200)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들 중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지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통지 전송 제어부(510)는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한다. 통지 전송 제어부(510)는 미들웨어(430)의 통지 매니저(449)로부터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 미들웨어(430)의 시스템 제공 매니저(453)를 이용하여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지 전송 제어부(510)는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따라 통지 이벤트 특성을 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해당 주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지 전송 제어부(510)는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전자 장치(200)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주변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통지 전송 제어부(510)는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앞선 기준 시간 구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주변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킨 응용 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미들웨어(430)의 장치 관리 매니저(454)를 이용하여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601단계에서 전자 장치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들 중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신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알람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알람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호 수신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력 제어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배터리 부족과 같은 경고 알림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및 인스턴트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603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즉,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이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601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들 중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605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한다. 즉,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설정 목록 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통지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통지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설정 목록 추가를 수락한 경우,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통지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설정 목록 추가를 수락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601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들 중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는 통지 이벤트를 가상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되는 통지 이벤트로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킨 응용 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미들웨어(430)의 장치 관리 매니저(454)를 이용하여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701단계에서 전자 장치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들 중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신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알람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알람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호 수신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력 제어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배터리 부족과 같은 경고 알림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및 인스턴트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703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즉,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이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711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한다. 즉,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설정 목록 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통지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통지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설정 목록 추가를 수락한 경우,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통지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설정 목록 추가를 수락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701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들 중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한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된 통지 이벤트를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705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된 통지 이벤트의 특성을 확인한다. 즉,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된 통지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707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목록에 701단계에서 발생한 통지 이벤트가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목록에 701단계에서 발생한 통지 이벤트가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701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들 중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목록에 701단계에서 발생한 통지 이벤트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709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목록에 701단계에서 발생한 통지 이벤트를 추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미들웨어(430)의 장치 관리 매니저(454)를 이용하여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801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지 확인한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803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개발자는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발생 가능함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응용프로그램에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통지 정보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이벤트 발생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제 1 응용프로그램에서 발생 가능한 통지 이벤트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801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지 확인한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805단계에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한다. 즉,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제 1 응용프로그램이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설정 목록 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통지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통지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설정 목록 추가를 수락한 경우,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통지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제 1 응용프로그램의 통지 설정 목록 추가를 수락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701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통지 이벤트가 발생시킬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하여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된 응용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지 설정 목록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소스 목록 관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통지 서비스의 소스 목록(900)을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새로 고침 아이콘(902)의 선택에 따라 소스 목록(900)을 다시 검색하여 갱신할 수 있다.
소스 목록(900)에서 전자 장치("My Galaxy Note2")가 선택되는 경우(904), 전자 장치는 도 9b와 같이 전자 장치에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한다. 즉, 전자 장치는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하는 응용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응용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메시지 응용프로그램의 선택이 해제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통지 설정 목록에서 메시지 응용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주변 기기로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001단계에서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 발생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가상 디바이스로 인식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는 통지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1003단계에서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에 따라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를 메시지 수신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 인식한 경우, 전자 장치는 스마트 시계에서 출력 정보에 기반하여 메시지 수신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스마트 시계의 출력 정보에 따라 스마트 시계에서 메시지 수신을 청각 정보, 시각 정보, 후각 정보 및 촉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도록 메시지 수신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지 전송 디바이스는 전자 장치에 연결된 주변 기기들 중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한 후, 전자 장치는 1005단계에서 갱신한 통지 이벤트 정보를 통시 전송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에 따라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지 전송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연결(예: 페어링(pairing)) 시,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정보에서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별도의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출력 특성 관리 서버로부터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101단계에서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한 후,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1103단계에서 통지 전송 디바이스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시 전송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전자 장치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앞선 기준 시간 구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통지 전송 디바이스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1105단계에서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에 따라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전구(smart bulb)를 호 수신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 인식한 경우, 전자 장치는 스마트 전구에서 출력 정보에 기반하여 호 수신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스마트 전구의 출력 정보에 따라 스마트 전구에서 호 수신을 시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도록 호 수신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한 후, 전자 장치는 1107단계에서 갱신한 통지 이벤트 정보를 통시 전송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201단계에서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제 1 응용프로그램을 통지 설정 목록에 추가한 후,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1203단계에서 통지 이벤트가 전송 가능한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지 이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이벤트에 대한 통지 이벤트 정보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1201단계에서 발생한 통지 이벤트의 통지 이벤트 정보 전송이 제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메시지에 대한 통지 이벤트 정보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메신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통지 이벤트 정보 전송이 제한된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인지 확인할 수 있다.
통지 이벤트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전자 장치는 1201단계에서 통지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통지 이벤트를 전송 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는 1205단계에서 통지 전송 디바이스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시 전송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전자 장치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통지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앞선 기준 시간 구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통지 전송 디바이스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1207단계에서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에 따라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를 메시지 수신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 인식한 경우, 전자 장치는 스마트 TV에서 출력 정보에 기반하여 메시지 수신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스마트 TV의 출력 정보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메시지 수신을 청각 정보 및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도록 메시지 수신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지 이벤트 정보의 전송을 위한 관리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통지 전송 디바이스 관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스피커(1310), TV(1312), 스마트 전구(1314) 및 스마트 시계(1316)를 포함하는 통지 전송 디바이스 목록(1300)을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새로 고침 아이콘(1302)의 선택에 따라 통지 전송 디바이스 목록(1300)을 다시 검색하여 갱신할 수 있다.
소스 목록(1300)에서 스마트 전구(1314)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3b와 같이 시각 정보를 스마트 전구(1314)의 출력 특성(1320)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한다.
소스 목록(1300)에서 스마트 시계(1316)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3c와 같이 청각 정보, 시각 정보 및 촉각 정보를 스마트 시계(1316)의 출력 특성(1330)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통지 이벤트 정보 갱신 시 고려할 스마트 시계(1316)의 출력 특성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3d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스마트 시계(1316)의 출력 특성 중 청각 정보가 비활성화할 수 있다(1340).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스마트 시계(1316)가 시각 정보 및 촉각 정보의 출력 특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통지 전송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갱신한 통지 이벤트 정보를 해당 통지 전송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지 전송 디바이스는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통지 이벤트 정보에 따라 통지 이벤트 발생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TV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메시지 수신에 대한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여 전송한 경우, TV는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통지 이벤트 정보에 따라 메시지 수신 도착 알림 화면과 메시지 수신 알림음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스마트 시계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호 수신에 대한 통지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여 전송한 경우, 스마트 시계는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통지 이벤트 정보에 따라 호 수신 도착 알림 화면, 호 수신 알림음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가 변경 또는 병합되거나 재사용 가능하며 생략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알림 이벤트(notification event)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알림 이벤트에 응답하여 복수의 주변 기기들 중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의해 지원되는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정보를 상기 확인된 출력 특성에 대응하는 출력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상기 변환된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를 발생시킨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알림 설정 목록(notification setting list)에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되면,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알림 설정 목록에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의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은,
    알림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은,
    알림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상기 전자 장치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특성은, 주변 기기가 외부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청각, 시각 후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상기 확인된 출력 특성에 대응하는 출력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알림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상기 변환된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 연결된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의 상기 변환된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알림 이벤트(notification event)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에 응답하여 복수의 주변 기기들 중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의해 지원되는 출력 특성을 확인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상기 확인된 출력 특성에 대응하는 출력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의 상기 변환된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알림 설정 목록에 추가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알림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 이벤트를 발생시킨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알림 설정 목록에 추가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되면,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알림 설정 목록에 추가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의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을 확인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알림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을 확인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알림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상기 전자 장치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을 확인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출력 특성은, 주변 기기가 외부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청각, 시각 후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중 알림 설정 목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의 출력 특성에 기반하여 변환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상기 변환된 출력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 연결된 상기 유선 링크 또는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0. 삭제
KR1020130105729A 2013-08-28 2013-09-03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8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63,245 US9451100B2 (en) 2013-08-28 2014-08-19 Method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720 2013-08-28
KR1020130102720 2013-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635A KR20150026635A (ko) 2015-03-11
KR102082347B1 true KR102082347B1 (ko) 2020-02-27

Family

ID=5302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729A KR102082347B1 (ko) 2013-08-28 2013-09-03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5002326B4 (de) 2014-09-02 2021-09-23 Apple Inc. Monitor für physische Aktivität und Training
EP4321088A3 (en) 2015-08-20 2024-04-24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0736543B2 (en) 2016-09-22 2020-08-11 Apple Inc. Workout monitor interface
US10845955B2 (en) 2017-05-15 2020-11-24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DK201870599A1 (en) 2018-03-12 2019-10-1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MONITORING
US11317833B2 (en) 2018-05-07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DK201970532A1 (en) 2019-05-06 2021-05-03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AU2020288139B2 (en) 2019-06-01 2023-02-16 Apple Inc. Multi-modal activity tracking user interface
DK181076B1 (en) 2020-02-14 2022-11-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INING CONTENT
EP4323992A1 (en) 2021-05-15 2024-02-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11977729B2 (en) 2022-06-05 2024-05-07 Apple Inc.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user interfaces
US11896871B2 (en) 2022-06-05 2024-0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3223A1 (en) * 2009-07-17 2011-01-20 Seiko Epson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7446A (en) * 1994-11-14 1997-08-12 Mitel Corporation Local area communications ser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3223A1 (en) * 2009-07-17 2011-01-20 Seiko Epson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635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347B1 (ko)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945110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47088B1 (ko)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15056B2 (en) API for resource discovery and utilization
KR102148948B1 (ko) 전자 장치의 멀티 태스킹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021451B2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RU2689203C2 (ru) Гибкая схема для настройки языковой модели
CN106445063B (zh) 管理应用的方法及其电子设备
KR102277460B1 (ko) 화면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54413A (ko) 시선 데이터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8605261B (zh)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9538248B2 (en) Method for shar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57858B1 (ko)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73366A (ko)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06687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948732B2 (en) Method for providing status messaging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51078A (ko) 전자 장치의 락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27459A (ko)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700389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security information thereof
US10284614B2 (en)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s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26257A (ko) 액세서리의 정보를 업 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117968A (ko)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88059A (ko)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603302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onnection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KR20150085864A (ko) 전자 장치의 광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