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553B1 -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553B1
KR102081553B1 KR1020190126328A KR20190126328A KR102081553B1 KR 102081553 B1 KR102081553 B1 KR 102081553B1 KR 1020190126328 A KR1020190126328 A KR 1020190126328A KR 20190126328 A KR20190126328 A KR 20190126328A KR 102081553 B1 KR102081553 B1 KR 102081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content
bead
sub
promotion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승
Original Assignee
서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승 filed Critical 서민승
Priority to KR102019012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8Heading extraction; Automatic titling; Numb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영화, 연극, 뮤지컬, 공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화 매체에 대한 감상평이나 후기를 작성한 작성자 및 다른 유저가 공유한 홍보 컨텐츠를 복수의 블로그, SNS를 포함한 온라인에서 수집하여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컨텐츠 수집모듈; 시간 단위로 상기 홍보 컨텐츠의 양을 파악하는 정량 파악부와, 상기 홍보 컨텐츠에 수록된 문장의 내용을 분석하는 정성 파악부를 구비한 컨텐츠 분석모듈; 상기 컨텐츠 분석모듈의 결과를 통해 상기 홍보 컨텐츠를 평가한 내용을 수록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Big Data-Based Monitoring System of Promotional Content for Cultural Media}
본 발명은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봇을 매개로 온라인에서 문화 매체에 대한 홍보 컨텐츠를 수집하여 데이터 서버에 저장한 뒤 홍보 컨텐츠의 정성 및 정량 정보를 생성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온라인 마케팅은 인터넷을 통해 마케팅을 하는 것으로 제품이나 서비스가 인터넷상에서 마케팅 활동이 행하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마케팅은 인터넷상의 마케팅 뿐 아니라 이메일과 무선 매체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범위가 광범위하다. 이때, 온라인 마케팅의 결과는 누구를 타겟으로 하고 어떻게 진행하는가에 따라 다양하게 결과가 예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마케팅의 계획은 다양하게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기준을 세울 수 있다. 즉,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온라인 마케팅의 운영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산출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이때, 온라인 마케팅의 효과를 분석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 10-1689316호(발명의 명칭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바이럴 마케팅 효과 분석방법)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기업 단말장치의 반응정보 수집부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팬 페이지에 공개된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반응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업 단말장치의 순위 산출부가 상기 반응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반응 정보를 수치적으로 평균한 평균값 및 표준편차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순위 산출부가 상기 평균값 및 상기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여 각각의 콘텐츠들에 대한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에 대한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순위 산출부가 상기 평균값과 상기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팬 페이지에 공개된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반응 정보를 표준화한 표준화 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순위 산출부가 콘텐츠에 대한 각 표준화 값을 모두 더한 후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팬 페이지의 팬(Fan) 수로 나누어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바이럴 마케팅 효과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페이스북을 통해 공유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 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순위를 산출하여 바이럴 마케팅의 효율을 분석할 수 있지만, 각종 SNS에 개시되어 있는 홍보 컨텐츠의 문장 내용을 정성적으로 분석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홍보 컨텐츠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한 뒤 평가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봇을 매개로 온라인에서 문화 매체에 대한 홍보 컨텐츠를 수집하여 데이터 서버에 저장한 뒤 홍보 컨텐츠의 정성 및 정량 정보를 생성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성자의 연락 정보를 저장하여 홍보 컨텐츠의 고저에 따라 작성자에게 홍보 컨텐츠의 추가 작성을 지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보 컨텐츠의 문장을 키워드로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템플릿을 생성하여 홍보 컨텐츠의 평가 및 요약본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영화, 연극, 뮤지컬, 공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화 매체에 대한 감상평이나 후기를 작성한 작성자 및 다른 유저가 공유한 홍보 컨텐츠를 복수의 블로그, SNS를 포함한 온라인에서 수집하여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컨텐츠 수집모듈; 시간 단위로 상기 홍보 컨텐츠의 양을 파악하는 정량 파악부와, 상기 홍보 컨텐츠에 수록된 문장의 내용을 분석하는 정성 파악부를 구비한 컨텐츠 분석모듈; 상기 컨텐츠 분석모듈의 결과를 통해 상기 홍보 컨텐츠를 평가한 내용을 수록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작성자의 연락 정보를 저장하는 연락처 저장부와, 상기 정량 파악부에서 파악된 홍보 컨텐츠의 양의 고저에 따라 상기 작성자에게 상기 홍보 컨텐츠의 추가 작성을 지시하는 내용을 수록한 메시지를 상기 작성자에게 전송하는 알림부를 구비한 작성자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정성 파악부는, 상기 홍보 컨텐츠에 수록된 문장을 실질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분리한 후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기 홍보 컨텐츠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생성모듈은, 템플릿을 생성한 후 템플릿에 상기 키워드를 배치하는 키워드 배치파트 및, 상기 키워드가 배치된 상기 템플릿을 출력하는 템플릿 출력파트를 포함하는 템플릿 제공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1) 문화 매체에 대한 홍보 컨텐츠를 수집한 뒤 홍보 컨텐츠의 정성 및 정량 정보를 생성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고,
2) 홍보 컨텐츠의 고저에 따라 작성자에게 홍보 컨텐츠의 추가 작성을 지시할 수 있으며,
3) 홍보 컨텐츠의 문장을 키워드로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템플릿을 생성하여 홍보 컨텐츠의 평가 및 요약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트리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비드 및 개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1)은 봇을 매개로 온라인에서 문화 매체에 대한 홍보 컨텐츠를 수집하여 데이터 서버에 저장한 뒤 홍보 컨텐츠를 분석하여 정성 및 정량 정보를 생성하여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빅데이터란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가 짧으며 수치 데이터 뿐 아니라 문자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말하는 것으로서, PC와 인터넷, 모바일 기기 이용이 생활화되어 특히 블로그, SNS 등의 사용량이 상승함으로써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었다. 본 발명의 시스템(1)에서는 블로그, SNS를 포함한 온라인에서 봇을 매개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빅데이터 기반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시스템(1)이 구현되는 메인 서버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서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 서버는 온라인상의 홍보 컨텐츠를 수집하여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메인 서버와 데이터 서버는 하나의 어셈블리 형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메인 서버는 데이터 서버와 통신 및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전송수단를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
즉, 메인 서버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 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이때, 메인 서버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메인 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 서버,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 내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컨텐츠 수집모듈(100), 컨텐츠 분석모듈(200), 정보 생성모듈(300)을 포함한다.
컨텐츠 수집모듈(100)은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영화, 연극, 뮤지컬, 공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화 매체에 대한 감상평이나 후기를 작성한 작성자 및 다른 유저가 공유한 홍보 컨텐츠를 복수의 블로그, SNS를 포함한 온라인에서 수집하여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봇이란 각 블로그, SNS 사이트에 할당된 것으로서, 웹 사이트를 방문하여 검색, 저장, 관리 기능을 통해 문화 매체의 홍보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수집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이는 공지의 봇과 같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작성자라 함은 본 발명의 시스템(1) 관리자 또는 문화 매체 담당자와 일종의 약속 또는 계약을 하여 시스템(1) 관리자의 요청 하에 홍보 컨텐츠를 온라인에 작성하는 사람들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영화가 개봉되었다고 할 때, A의 제작관계자는 100명의 작성자를 수집하여 A영화 시사회에 초대한 뒤 감상평 및 후기를 온라인에 작성하라고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화 제작관계자는 시스템(1)을 통해 홍보 컨텐츠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작성자는 홍보 컨텐츠를 작성하여 트위터,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대형 커뮤니티 등 다양한 온라인 SNS를 통해 개시될 수 있으며, 한줄 평가, 별점 평가, 사진 또는 영상 등의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한 평가, 긴 줄글이 포함된 평가 등 다양한 형태로서 작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홍보 컨텐츠의 형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다른 유저는 상술한 작성자가 아닌 일반 SNS 이용 유저로서 퍼가기, 리트윗(원문에 내가 원하는 내용을 덧붙여서 보여주는 것) 등을 통해 홍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컨텐츠 분석모듈(200)은 정량 파악부(210)와 정성 파악부(220)를 구비함으로써 홍보 컨텐츠를 정량 및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정량 파악부(210)는 시간 단위로 상기 홍보 컨텐츠의 양을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때 시간의 단위는 10분, 30분, 1시간, 12시간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시간 단위 별로 수집한 홍보 컨텐츠의 전체 양 또는 각 온라인 별 양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영화가 개봉된 후, 1시간 단위 별로 홍보 컨텐츠의 양을 카운팅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 매체의 홍보 컨텐츠의 양은 문화 매체의 홍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시간 단위별로 홍보 컨텐츠 양의 추이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정량 파악 과정은 이미 공지의 기술을 통해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정성 파악부(220)는 상기 홍보 컨텐츠에 수록된 문장의 내용을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정성 분석은 문장을 키워드 별로 나누어 홍보 컨텐츠의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방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화 매체에 대한 작성자 및 유저의 호불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영화가 개봉된 후 이를 관람한 작성자 홍길동은 영화 A에 대한 추천 후기를 작성할 수 있으며, 홍길동이 작성한 홍보 컨텐츠를 분석함으로써 작성자 홍길동이 영화 A에 대해 좋은 평가를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하였듯이, 홍보 컨텐츠의 정량 파악은 문화 매체의 홍보에 중요하지만, 작성자의 추천 여부 및 홍보 컨텐츠 내용 또한 문화 매체의 홍보 및 여론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로 이러한 정성 파악 과정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 생성모듈(300)은 상기 컨텐츠 분석모듈의 결과를 통해 상기 홍보 컨텐츠를 평가한 내용을 수록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홍보 컨텐츠의 정량 및 정성 분석 결과를 통해 홍보 컨텐츠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표, 그래프 등의 가시적인 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문화 매체의 홍보 및 마케팅 전략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결과는 PC 또는 모바일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지만, 보고서로서 생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더하여, 시스템(1)은 작성자 관리모듈(40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작성자에게 홍보 컨텐츠의 추가 작성을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화 매체의 노출도 및 홍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성자 관리모듈은 연락처 저장부(410), 알림부(420)를 포함한다.
연락처 저장부(410)는 상기 작성자의 연락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알림부(420)는 상기 정량 파악부(210)에서 파악된 홍보 컨텐츠의 양의 고저에 따라 상기 작성자에게 상기 홍보 컨텐츠의 추가 작성을 지시하는 내용을 수록한 메시지를 상기 작성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연락 정보라 함은 작성자의 메일 주소, SNS 아이디, 전화 번호 등의 정보로서 작성자와의 소통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또한, 정량 파악 후 홍보 컨텐츠의 업로드 양이 증가되어야 한다고 파악될 경우, 작성자에게 "블로그 및 개인 SNS를 통해 A 영화에 대한 후기 글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이 확인되면 추첨을 통해 소정의 상품을 드립니다." 등의 메시지를 상기 연락 정보를 통해 전송하여 홍보 컨텐츠 작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를 보내는 시점에 대한 판단은 시스템(1)의 관리자 또는 문화 매체 관계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지만, 일종의 프로세스를 거쳐 판단될 수도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정성 파악부(220)는 키워드 추출파트(221)를 구비하여 홍보 컨텐츠의 문장을 키워드로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 생성모듈(300)은 템플릿 제공부(310)를 구비하여 추출한 키워드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파트(221)는 상기 홍보 컨텐츠에 수록된 문장을 실질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분리한 후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기 홍보 컨텐츠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형태소란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이며, 실질 형태소(자립 형태소를 포함하여 부르기로 한다)는 실질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형태소이고, 의존 형태소(형식 형태소를 포함하여 부르기로 한다)는 다른 말에 의존하여 쓰이는 형태소이다. 즉, 홍보 컨텐츠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형태소만 분류하여 이를 추출함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 작성자의 문장을 분석 및 파악할 수 있다.
템플릿 제공부(310)는 키워드 배치파트(311), 템플릿 출력파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배치파트(311)는 템플릿을 생성한 후 템플릿에 상기 키워드를 배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템플릿을 생성한 후 그 템플릿에 키워드를 나열하듯이 배치하여 유저로부터 입력받은 평가의 요약본을 생성할 수 있다.
템플릿 출력파트(312)는 상기 키워드가 배치된 상기 템플릿을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생성된 템플릿을 출력함으로써 문화 매체 관계자들에게 홍보 컨텐츠의 키워드 분석 및 평가 요약본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키워드 추출파트(221)는 상기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를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등장 빈도수를 가지는 실질 형태소를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103906160-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9103906160-pat00002
은 홍보 컨텐츠 내에서 실질 형태소
Figure 112019103906160-pat00003
의 등장 빈도수,
Figure 112019103906160-pat00004
Figure 112019103906160-pat00005
번째 문장에서 실질 형태소
Figure 112019103906160-pat00006
의 등장 빈도수,
Figure 112019103906160-pat00007
는 홍보 컨텐츠에 포함된 한 문장 내에서
Figure 112019103906160-pat00008
개의 실질 형태소 중
Figure 112019103906160-pat00009
번째 실질 형태소,
Figure 112019103906160-pat00010
은 홍보 컨텐츠에 포함된 문장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은 홍보 컨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문장에서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 및 홍보 컨텐츠에 포함된 문장의 개수를 기반으로 홍보 컨텐츠 내에서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를 산출하는 식으로서, 단순히 홍보 컨텐츠 내에서 실질 형태소가 등장하는 횟수를 카운팅하는 것이 아닌 해당 실질 형태소가 등장하는 문장의 순서까지 고려하여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이에 따르면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는 단순히 홍보 컨텐츠 내에서 실질 형태소가 등장하는 횟수를 카운팅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 형태소가 등장하는 문장의 순서(즉, 상기 수학식 1에서 i)까지 고려하여 산출된 것으로,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앞쪽 순서의 문장에 등장하는 실질 형태소일수록 등장 빈도수가 크게 산출되어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와 함께 그 중요도까지 반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트리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정보 생성모듈(300)은 트리 구조도 제공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트리 구조도 제공부(320)는 표제어 선정파트(321), 키워드 군집화파트(322), 메인 키워드 선정파트(323), 서브 키워드 선정파트(324), 트리 구조도 생성파트(325)를 구비할 수 있다.
표제어 선정파트(321)는 최대 빈도수를 가지는 키워드를 상기 트리 구조도에 대한 표제어로 선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때 표제어라 함은 홍보 컨텐츠를 가장 대표할 수 있는 키워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표제어는 홍보 컨텐츠의 주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의 빈도수 파악은 상술한 키워드 추출파트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구성 역시 이로부터 파악된 빈도수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홍보 컨텐츠의 내용이 "9월 19일에 개봉한 영화 'A'의 시사회를 다녀왔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A'는 주연 배우들의 쟁쟁한 연기력과 배우들 사이의 캐미가 돋보인다. 또한, 조선시대를 그대로 재현한 것 같은 완벽에 가까운 CG 기술이 돋보이며 긴장감은 물론 재미까지 함께 느낄 수 있었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만큼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이러한 국내 영화가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면 좋겠다. 이번 영화에 대한 나의 평가는 4.5/5점이다."일 때, 표제어는 총 3회 언급된 '영화, 조선시대'가 표제어 즉, 홍보 컨텐츠의 주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와 같이 표제어는 복수 개가 선정될 수 있다.
키워드 군집화파트(322)는 상기 표제어를 제외한 키워드인 하위 키워드가 언급되는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기 하위 키워드를 군집화하여 키워드 그룹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문장에서 표제어인 '영화, 조선시대'를 제외한 키워드(즉, 실질 형태소)인 '시사회, 배경, 배우, 쟁쟁한, 연기력, 캐미, 돋보이다, 재현, 완벽, CG기술, 긴장감, 재미 ...' 등이 하위 키워드가 되는 것이다.
메인 키워드 선정파트(323)는 상기 키워드 그룹에 포함된 하위 키워드 중 빈도수가 가장 큰 하위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그룹의 메인 키워드로 선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서브 키워드 선정파트(324)는 상기 키워드 그룹 내에서 상기 메인 키워드를 제외한 키워드를 서브 키워드로 선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2회씩 등장한 '배우, 배경'이 표제어에 이어서 메인 키워드가 되며 나머지 키워드들이 서브 키워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메인 키워드 또한 문장 내에서 언급이 많이 된 형태소이기 때문에 표제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더하여, 서브 키워드 또한 홍보 컨텐츠의 주제와 매우 다르거나 되거나 표제어와 관련이 없다고 할 순 없으며 평가 내용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므로 서브 키워드로 선정하여 후술할 트리 구조도의 구성에 포함하는 것이다.
트리 구조도 생성파트(325)는 상기 표제어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키워드를 트리 구조도로 배치하고, 상기 메인 키워드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키워드를 트리 구조도로 추가 배치하여 트리 구조도를 생성하여 상기 템플릿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제어를 가장 상단에 배치하고 표제어의 하단에 메인 키워드를 배치한 뒤 메인 키워드의 하단에 서브 키워드를 배치한 후 이들을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트리 구조도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트리 구조도는 키워드의 빈도수의 차이에 따라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작성자가 작성한 홍보 컨텐츠의 주제 및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드 및 개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에 더 나아가, 트리 구조도 제공부(320)는 비드 생성파트(3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비드 생성파트(330)는 표제 비드 생성 수단(331), 하위 비드 생성 수단(332), 개요 표시 수단(333), 비드 배치 수단(334)을 구비할 수 있다.
표제 비드 생성 수단(331)은 상기 하위 키워드 및 상기 트리 구조도를 기반으로 비드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표제어에 해당하는 표제 비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표제어에 해당하는 표제 비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보 컨텐츠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표제어가 비드의 내부에 기재되어 이를 표제 비드로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하위 비드 생성 수단(332)은 상기 메인 키워드와 상기 서브 키워드에 해당하는 키워드 비드와 상기 트리 구조도와 연동 처리된 계층도 비드 및 상기 홍보 컨텐츠와 연동 처리된 텍스트 비드를 포함하는 하위 비드를 생성하여 표제 비드의 일 측에 부착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비드를 생성하여 표제 비드의 일 측에 부착 형성함으로써 출력된 비드를 클릭 또는 터치하면 이에 해당하는 내용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1) 관리자 또는 문화 매체 관계자들이 작성자들의 홍보 컨텐츠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개요 표시 수단(333)은 상기 표제어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키워드와 상기 서브 키워드의 개수의 합, 상기 홍보 컨텐츠의 개수를 포함하는 하위 비드의 개요를 상기 하위 비드의 내부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키워드 비드의 경우 메인 키워드 및 서브 키워드의 개수의 합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 비드의 내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드 배치 수단(334)은 상기 템플릿 내에서 상기 트리 구조도의 일 측에 상기 표제 비드 및 상기 하위 비드를 배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로써, 템플릿에는 상술한 키워드, 트리 구조도 그리고 표제 및 하위 비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시스템(1) 관리자 또는 문화 매체 관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시스템 100: 컨텐츠 수집모듈
200: 컨텐츠 분석모듈 210: 정량 파악부
220: 정성 파악부 221: 키워드 추출파트
300: 정보 생성모듈
310: 템플릿 제공부 311: 키워드 배치파트
312: 템플릿 출력파트 320: 트리 구조도 제공부
321: 표제어 선정파트 322: 키워드 군집화파트
323: 메인 키워드 선정파트 324: 서브 키워드 선정파트
325: 트리 구조도 생성파트 330: 비드 생성파트
331: 표제 비드 생성 수단 332: 하위 비드 생성 수단
333: 개요 표시 수단 334: 비드 배치 수단
400: 작성자 관리모듈 410: 연락처 저장부
420: 알림부

Claims (11)

  1.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영화, 연극, 뮤지컬, 공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화 매체에 대한 감상평이나 후기를 작성한 작성자 및 다른 유저가 공유한 홍보 컨텐츠를 복수의 블로그, SNS를 포함한 온라인에서 수집하여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컨텐츠 수집모듈;
    시간 단위로 상기 홍보 컨텐츠의 양을 파악하는 정량 파악부와, 상기 홍보 컨텐츠에 수록된 문장을 실질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분리한 후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기 홍보 컨텐츠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파트를 포함한 정성 파악부를 구비한 컨텐츠 분석모듈;
    상기 컨텐츠 분석모듈의 결과를 통해 상기 홍보 컨텐츠를 평가한 내용을 수록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템플릿을 생성한 후 템플릿에 상기 키워드를 배치하는 키워드 배치파트 및, 상기 키워드가 배치된 상기 템플릿을 출력하는 템플릿 출력파트를 포함하는 템플릿 제공부를 구비한 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 생성모듈은,
    최대 빈도수를 가지는 키워드를 트리 구조도에 대한 표제어로 선정하는 표제어 선정파트와, 상기 표제어를 제외한 키워드인 하위 키워드가 언급되는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기 하위 키워드를 군집화하여 키워드 그룹을 생성하는 키워드 군집화파트 및, 상기 키워드 그룹에 포함된 하위 키워드 중 빈도수가 가장 큰 하위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그룹의 메인 키워드로 선정하는 메인 키워드 선정파트와, 상기 키워드 그룹 내에서 상기 메인 키워드를 제외한 키워드를 서브 키워드로 선정하는 서브 키워드 선정파트 및, 상기 표제어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키워드를 트리 구조도로 배치하고 상기 메인 키워드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키워드를 트리 구조도로 추가 배치함으로 트리 구조도를 생성하여 상기 템플릿에 표시하는 트리 구조도 생성파트를 구비한 트리 구조도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작성자의 연락 정보를 저장하는 연락처 저장부와,
    상기 정량 파악부에서 파악된 홍보 컨텐츠의 양의 고저에 따라 상기 작성자에게 상기 홍보 컨텐츠의 추가 작성을 지시하는 내용을 수록한 메시지를 상기 작성자에게 전송하는 알림부를 구비한 작성자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파트는,
    상기 실질 형태소의 등장 빈도수를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등장 빈도수를 가지는 실질 형태소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9132228013-pat00043

    (여기서,
    Figure 112019132228013-pat00044
    은 홍보 컨텐츠 내에서 실질 형태소
    Figure 112019132228013-pat00045
    의 등장 빈도수,
    Figure 112019132228013-pat00046
    Figure 112019132228013-pat00047
    번째 문장에서 실질 형태소
    Figure 112019132228013-pat00048
    의 등장 빈도수,
    Figure 112019132228013-pat00049
    는 홍보 컨텐츠에 포함된 한 문장 내에서
    Figure 112019132228013-pat00050
    개의 실질 형태소 중
    Figure 112019132228013-pat00051
    번째 실질 형태소,
    Figure 112019132228013-pat00052
    은 홍보 컨텐츠에 포함된 문장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 구조도 제공부는,
    상기 하위 키워드 및 상기 트리 구조도를 기반으로 비드를 생성하는 것으로,상기 표제어에 해당하는 표제 비드를 생성하는 표제 비드 생성 수단과,
    상기 메인 키워드와 상기 서브 키워드에 해당하는 키워드 비드와 상기 트리 구조도와 연동 처리된 계층도 비드 및 상기 홍보 컨텐츠와 연동 처리된 텍스트 비드를 포함하는 하위 비드를 생성하여 표제 비드의 일 측에 부착 형성하는 하위 비드 생성 수단 및,
    상기 표제어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키워드와 상기 서브 키워드의 개수의 합, 상기 홍보 컨텐츠의 개수를 포함하는 하위 비드의 개요를 상기 하위 비드의 내부에 표시하는 개요 표시 수단과,
    상기 템플릿 내에서 상기 트리 구조도의 일 측에 상기 표제 비드 및 상기 하위 비드를 배치하는 비드 배치 수단을 구비한 비드 생성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26328A 2019-10-11 2019-10-11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81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28A KR102081553B1 (ko) 2019-10-11 2019-10-11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28A KR102081553B1 (ko) 2019-10-11 2019-10-11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553B1 true KR102081553B1 (ko) 2020-02-25

Family

ID=6964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328A KR102081553B1 (ko) 2019-10-11 2019-10-11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45B1 (ko) 2020-04-21 2020-09-08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7428A (ko) * 2008-12-29 2010-07-08 (주)애드크림 온라인 기반 광고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46431A (ko) * 2013-10-21 2015-04-30 주식회사 소프트자이온 효과적인 마케팅을 도출하는 자동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2599A (ko) * 2014-09-16 2016-03-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 이슈에 대한 은폐를 탐지하는 방법 및 판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7428A (ko) * 2008-12-29 2010-07-08 (주)애드크림 온라인 기반 광고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46431A (ko) * 2013-10-21 2015-04-30 주식회사 소프트자이온 효과적인 마케팅을 도출하는 자동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2599A (ko) * 2014-09-16 2016-03-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 이슈에 대한 은폐를 탐지하는 방법 및 판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45B1 (ko) 2020-04-21 2020-09-08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4682B2 (en) Enhanced online user-interaction tracking and document rendition
US11455465B2 (en) Book analysis and recommendation
Felt Social media and the social sciences: How researchers employ Big Data analytics
Fu et al. Why people hate your app: Making sense of user feedback in a mobile app store
US20210256543A1 (en) Predictive Analytics Diagnostic System and Results on Market Viability and Audience Metrics for Scripted Media
WO2017096877A1 (zh) 一种推荐方法和装置
CN104137553B (zh) 视频管理系统
US20160055164A1 (en) News alert system and method
US83807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andela et al. Reusing digital collections from GLAM institutions
US10878020B2 (en) Automated extraction tools and their use in social content tagging systems
Jiang et al. Recommending new features from mobile app descriptions
US20150096041A1 (en) Identifying and ranking pirated media content
US7539934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developing a content annotation lexicon
JP59103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53977A (ja) コンテンツ解析装置、コンテンツ解析方法、コンテンツ解析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20160086499A1 (en) Knowledge brokering and knowledge campaigns
CN114845149B (zh) 视频片段的剪辑方法、视频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081553B1 (ko)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264480A1 (en) Text processing based interface accelerating
KR101105798B1 (ko) 키워드 정련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컨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500696A5 (ko)
JP5787924B2 (ja) クラスタ形成装置、クラスタ形成方法及びクラスタ形成プログラム
CN115129922A (zh) 搜索词生成方法、模型训练方法、介质、装置和设备
JP2010049384A (ja) 動画評価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