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278B1 -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278B1
KR102081278B1 KR1020180030857A KR20180030857A KR102081278B1 KR 102081278 B1 KR102081278 B1 KR 102081278B1 KR 1020180030857 A KR1020180030857 A KR 1020180030857A KR 20180030857 A KR20180030857 A KR 20180030857A KR 102081278 B1 KR102081278 B1 KR 102081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hedule
timetable
user terminal
week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025A (ko
Inventor
강인희
Original Assignee
강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희 filed Critical 강인희
Priority to KR1020180030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27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표 데이터와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을 설정받는 단계, 시간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 및 장소와, 사용자 단말의 시간 및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 녹음시작을 위한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녹음시작이 승인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동안 녹음을 한 후, 녹음이 된 날짜의 수업 이벤트와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에 데드라인이 포함된 할일 데이터가 등록되는 경우, 할일 데이터에 기반하여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을 실행하는 단계, 및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 결과로 일정이 생성된 경우, 생성된 일정을 사용자 단말의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ULTI-MODE SCHEDULING SERVICE INTEGRATING TIME TABLE WITH CALENDAR}
본 발명은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플랫폼으로 시간표, 캘린더, 기일관리 및 생성된 스케줄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오프라인 요소들이 온라인으로 옮겨오기 시작했고, 종이 인쇄물이었던 캘린더의 온라인 애플리케이션화도 진행되었는데,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은 기존의 종이에 인쇄되었던 달력의 모바일 버전으로, 스마트폰 상에서 쉽게 일정을 기록하고 수정하며 일정을 관리하고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특히 스마트폰 캘린더만의 관리를 돕는 유틸리티 기능은 기존의 오프라인 매체와는 현저히 차별화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만의 동기 요인이며, 모바일 플랫폼에서는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간편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로 수강신청이나 시간표 작성할 때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부가적인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18819호(2010년02월18일 공개)에는, 시간표 작성을 위한 수강 과목 리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수강 과목 리스트에 포함된 수강 과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강 과목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별 시간표 리스트를 갱신하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캘린더는 여전히 일정들을 관리하는데에 완벽하지 못하다. 일방적으로 많은 사용자 수를 보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도 없을 뿐더러, 스마트폰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은 거의 유명무실하고, 스마트폰 캘린더 외에도 할일 리스트(To-do-list) 프로그램이나 메모장, 스케줄러 등의 보조도구를 사용하여 일정을 관리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전히 스케줄을 관리하는데 사람들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주 단위로 반복되는 시간표를 유효기간동안 캘린더에 반복하여 기입하되, 일별 이벤트나 데드라인이 설정된 이벤트를 함께 기입하도록 함으로써, 언제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스케줄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스케줄링된 일정에 맞추어 태스크를 완료해나가면 되므로 안심하고 일이나 학업에 몰두할 수 있으며, 일정이 수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일이나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모든 알람을 차단함으로써 태스크가 완료되는 것을 최우선으로 설정하여 계획대로 일정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표 데이터와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을 설정받는 단계, 시간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 및 장소와, 사용자 단말의 시간 및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 녹음시작을 위한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녹음시작이 승인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동안 녹음을 한 후, 녹음이 된 날짜의 수업 이벤트와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에 데드라인이 포함된 할일 데이터가 등록되는 경우, 할일 데이터에 기반하여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을 실행하는 단계, 및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 결과로 일정이 생성된 경우, 생성된 일정을 사용자 단말의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주 단위로 반복되는 시간표를 유효기간동안 캘린더에 반복하여 기입하되, 일별 이벤트나 데드라인이 설정된 이벤트를 함께 기입하도록 함으로써, 언제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스케줄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스케줄링된 일정에 맞추어 태스크를 완료해나가면 되므로 안심하고 일이나 학업에 몰두할 수 있으며, 일정이 수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일이나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모든 알람을 차단함으로써 태스크가 완료되는 것을 최우선으로 설정하여 계획대로 일정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중 시간표 및 캘린더 통합 모드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중 스케줄링 모드를 위한 텍스트 입력 화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중 스케줄링된 할일 리스트를 과목별로 타임라인에 따라 출력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하고, 데드라인이 존재하는 할일 리스트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과목별로 기록된 결과를 주별 또는 일별로 시계열적으로 리스트화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시간표가 유효한 기간을 설정하여 캘린더 상에 반복되도록 하고, 강의가 시작하는 시간에 녹음여부를 질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받은 경우 또는 자동으로 녹음을 하며, 해당 날짜 및 과목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자습을 하는 시간에 수신되는 문자, 푸시 메세지, 호(Call) 등에 대한 알람을 모두 차단하여 진동, 디스플레이 등으로 출력하지 않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자습을 한 시간에 대한 로그를 해당 날짜 및 과목에 히스토리 로그로 기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술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크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면,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배포)하거나 업데이트하는 기능만 보유하거나 구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때,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수신되는 문자, 푸시메세지, 호를 발신한 발신자에게 해당 일정이 종료되는 시간과 자습중이라는 메세지를 담은 문자를 자동으로 송신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히스토리 로그를 저장하거나, 학과 및 교수의 홈페이지로부터 공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시간표 데이터에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기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100)의 자원과 구현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분배하여 담당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설정부(310), 수신부(320), 제어부(330), 실행부(340), 출력부(350), 통합부(360), 자습부(370), 리마인더부(380) 및 공지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사용자 단말(100)로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설정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시간표 데이터와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을 설정받을 수 있다. 대체적으로 한국의 학사력을 보면, 2개의 학기로 구성되고, 각각의 학기는 3월부터 6월까지의 1학기, 9월부터 12월까지의 2학기로 구성된다. 이때, 일반적인 캘린더는 주기성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표와 캘린더를 별도로 구비해야 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서비스는, 일별로 일정을 관리하는 캘린더 포맷에 주별로 반복되는 시간표 포맷을 통합하여 하나의 플랫폼에서 두 가지의 데이터를 한 번에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 예를 들어 1학기의 시간표라고 하면, 1학기인 3월부터 6월까지로 설정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1학기라고만 설정해도, 설정부(310)에서 사용자의 학교, 학년, 학과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각 학교별로 다른 1학기의 기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대학은 1학기가 3월2일부터 6월25일까지인데, B대학은 3월2일부터 6월14일까지일 수도 있고, 과별로 종강날짜가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각각 수집하여 자동으로 설정하고, 별도의 공개되지 않은 정보들로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정이 필요한 부분만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수신부(320)는, 시간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 및 장소와, 사용자 단말(100)의 시간 및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 녹음시작을 위한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월15일 목요일 3교시(11시부터 12시) 수업이 헌법개론이고, 수업장소는 서울시 관악구 XX동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학생이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녹음기능을 실행할지라도 녹음되는 강의내용이 없으므로, 학생이 학교에 갔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부(320)는, 3월15일 목요일 3교시의 시간(11시)에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의 승인을 받을 수 있는데, 강의를 녹음하고 싶은지를 확인함으로써 녹음시작을 하도록 한다. 이때, 자동으로 해당 시간에 지정된 장소에 위치한 경우 자동으로 녹음을 하도록 할 수도 있고, 녹음을 하지 않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승인을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녹음시작이 승인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동안 녹음을 한 후, 녹음이 된 날짜의 수업 이벤트와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계속 인용하면, 3월15일 목요일 3교시의 헌법개론이 2주차 강의(2번째 강의)인 경우, 히스토리 로그는, 헌법개론-2강-녹음파일.wav가 3월15일 목요일 3교시에 매핑되어 저장되고, 이후 3월15일 목요일 3교시 헌법개론을 클릭하는 경우 헌법개론-2강-녹음파일.wav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은 좁은 화면에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리스트 구조(list structure)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좌우 또는 상하의 일차원적인 방향으로 시각정보를 나열하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특히 타임라인(timeline) 양식은 과거로의 접근에 지배적인 인터페이스 형식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30)는, 시간표에 관련된 기록을 날짜별, 과목별로 기록하되 과거의 이벤트들을 누적하여 시계열적으로 출력하도록 상술한 방식으로 히스토리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실행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에 데드라인이 포함된 할일 데이터가 등록되는 경우, 할일 데이터에 기반하여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실행부(340)는, 할일 데이터의 태스크(Task)를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입력받고, 할일 데이터의 데드라인이 최근인 순으로 정렬하고, 시간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수업 시간과, 입력된 소요 시간, 및 할일 데이터의 데드라인에 기초하여 데드라인이 최근인 순으로 처리하도록 일별 스케줄 또는 주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실행부(340)는, 현재로 재갱신되도록 일정 페이지를 생성하면서 현재성(nowness)을 강화할 수 있는데, 현재 지금 해야할 일정이 가장 상단에 올라오면서 다음에 해야 할 일은 밑으로 내려가도록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예측불가능한 미래를 표현하는 인터페이스에 통용되는데, 미래에 할 일들을 현재(오늘 또는 이번주)를 중심으로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월 30일에 퀴즈가 1개 있고, 4월 15일까지 제출해야 하는 과제가 3개라고 가정하자. 오늘 날짜가 3월 27일이라면, 금일 또는 금주에 끝내야 하는 태스크는 과제가 아니라 퀴즈준비가 된다. 또한, 과제 3개의 기한도 맞춰야 하므로, 퀴즈준비 후 퀴즈를 본 후에는 과제에 대한 스케줄링을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처리하는 순서는, 1. 퀴즈 준비, 2. 과제 1, 3. 과제 2, 4. 과제 3이어야 한다.
이때, 퀴즈는 2-3(하루 8시간 기준)일이 소요되고, 과제 1은 8시간, 과제 2도 8시간, 과제 3도 8시간이 각각 소요된다고 가정하자. 현재 날짜가 3월 27일이므로, 금일부터 30일까지 쉬는날이 없이 강의도 들어야 하므로, 금일부터 공강시간 및 방과후에 약속이나 TV 등의 여가시간에 우선하여 퀴즈 준비를 해야 하므로, 공강시간, 방과후 시간, 식사시간, 집과 학교 간의 통학시간을 제외한 모든 시간에 퀴즈범위인 1-3강에 대응하는 책의 범위를 분배하여 다독하도록 스케줄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3월 30일에 퀴즈가 끝난 후, 4월 15일까지는 15일의 시간이 존재하므로, 휴식시간, 수업시간, 여가시간 등을 고려하여 일정 주기로 3 개의 과제를 분배할 수 있다. 이때, 5일에 1개의 끝내도록 하며, 데드라인에 늦지 않도록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즉, 매니저나 비서가 없더라도 스스로 태스크를 파악하고, 태스크가 완료되어야 할 시간과 투자해야 하는 시간을 고려하고, 긴급성을 고려하여 시간 분배 및 할당을 함으로써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스케줄링을 하여 캘린더 포맷에 입력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350)는,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 결과로 일정이 생성된 경우, 생성된 일정을 사용자 단말(100)의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통합부(360)는, 설정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시간표 데이터와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을 설정받은 후,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 동안 캘린더 데이터에 주별로 반복되는 주기성을 가지는 시간표 데이터를 반복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3월부터 6월까지 매주 동일한 시간표가 반복되므로, 시간표 데이터를 매주 반복되도록 기록함으로써 시간표와 캘린더를 별도로 보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즉,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사용자들은 많은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사용에 익숙해지고 있는데 반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캘린더는 일정들을 관리하는데 완벽하지 못하고, 유명하거나 인기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할지라도 To-do-list 애플리케이션이나 메모장, 스케줄러 등 보조도구를 활용하여 일정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즉, 메모나 지도, 알람 등 추가적인 기능이 더해지고 PC 와의 연동도 가능해지는 등 기능적인 개선이 꾸준히 일어나고 있음에도 여전히 관리하는데에는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서비스는, 캘린더와 시간표를 통합하고, 스케줄링 작업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진행하여 통합된 포맷에 부가하고, 공부관리까지 실행함으로써 하나의 포맷으로 일별, 주별, 태스크별, 과목별, 시험별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습부(370)는, 출력부(350)에서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 결과로 일정이 생성된 경우, 생성된 일정을 사용자 단말(100)의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메세지 및 호(Call) 수신을 포함하는 알람기능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퀴즈공부를 하고 있거나, 과제를 하는 동안에 시간의 유동성이 많은 대학생들이 가장 빠지기 쉬운 유혹은 놀기를 권유하는 친구의 연락으로 시작되며, 이에 따라 기일에 다 와서야 긴박하게 태스크를 처리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에 따라, 스케줄링을 하고 시간을 확보했으면, 이행되도록 강제하기 위하여 모든 알람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태스크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알람만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망 또는 CS 망으로 연결되는 모든 데이터를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자습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을 수행하는 경우, 시간을 카운트하여 시간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늘은 1-3강 분량의 100페이지의 1/3을 끝내야 하고, 내일과 모레까지 1/3씩 모두 100페이지를 완료한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오늘 1/3인 1강에 대응하는 책의 공부를 완료한 경우에는, 완료된 날짜와 범위를 해당 강의의 시간표에도 기록하고, 내일과 모레일정에 2강 및 3강의 공부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헌법개론, 3월27일, 1-30페이지 완료, XX시부터 XX까지 XX시간 등으로 기록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식은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리하면, 카운트된 시간, 및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은, 시간표 데이터에 매핑되어 히스토리 로그로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메세지 및 호(Call) 수신을 포함하는 알람기능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때, 사용자 단말(100)로 수신된 메세지 및 호(Call)의 발신번호가 사용자 단말(100)의 연락처에 저장된 번호인 경우, 발신번호로 일정이 종료되는 시각 및 상황 알림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3월27일에 퀴즈준비로 8시간을 확보했고, 점심시간을 제외하고 아침 9시부터 6시까지 공부한다고 가정하면, 9시부터 12시까지, 1시부터 6시까지의 시간에 걸려온 전화나 문자의 발신자에게 "6시이후 연락가능"이라는 문자 등을 보냄으로써 발신자가 수신자인 사용자를 걱정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리마인더부(380)는, 출력부(350)에서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 결과로 일정이 생성된 경우, 생성된 일정을 사용자 단말(100)의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한 후,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이 일 또는 주가 바뀔 때까지 완료처리되지 않은 경우, 미결 일정으로 저장하고 그 다음일 또는 그 다음주의 일정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월15일까지 과제를 낸 경우에는 그대로 점수를 받지만, 일주일이 경과된 경우에는 원점수의 90%의 점수부과, 이주일이 경과된 경우에는 원점수의 80%의 점수부과하고, 그 이후에 제출된 과제는 접수받지 않는다. 이때, 4월15일까지 과제1,2,3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라면, 리마인더부(380)는, 4월22일까지 마이너스 10% 패널티를 출력하고, 4월29일까지는 마이너스 20% 패널티를 출력하되, 4월 22일-4월29일까지는 무조건 과제를 제출해야 한다는 리마인더(그 이후에는 점수가 0이므로)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과제를 위한 스케줄링을 다시 짤 수 있다. 이때에는, 여가, 과외 등의 부수적인 태스크는 무조건적으로 배제하고, 과제가 완료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한 후 과제라는 태스크에 강제로 우선순위를 부여한 후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마인더부(380)는,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이 데드라인 이외에 기간별 패널티를 더 포함하는 경우, 기간별로 다르게 부과되는 패널티를 시간표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와 함께 출력하고, 미결 일정이 완료처리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예를 계속 인용하면, 4월 29일 이후에는 과제를 제출해도 점수를 받지 못하므로, 4월 29일 이후에는 리마인더를 삭제하고, 과제로 받지 못하는 점수를 마이너스 처리하여 과제를 제출하지 못한 과목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는 "헌법개론, 100점 만점에서 30점 실점,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만점받아도 C+" 등과 같을 수 있다.
공지부(390)는, 제어부(330)에서 녹음시작이 승인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동안 녹음을 한 후, 녹음이 된 날짜의 수업 이벤트와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업을 시행하는 기관, 학과 및 교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지부(39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학과 홈페이지 및 교수 홈페이지를 검색하고, 각 홈페이지에 게재된 공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공지 데이터 내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분석된 텍스트에 마감일이 포함된 경우, 마감일과 공지의 키워드를 매핑하여 시간표 데이터에 표시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학금 신청이라던지, 과제물 변경, 휴강, 시간변경, 시험범위변경 등의 공지는 학과 홈페이지 또는 교수 홈페이지에 게재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공지사항을 놓치는 경우, 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는 기회를 버리거나, 과제물을 잘못해가거나, 엉뚱한 시험범위를 공부하거나, 휴강인데 학교에 오거나, 예상문제를 얻지 못해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하는 등의 불상사가 벌어지는 경우가 흔하게 일어난다. 이에 따라, 공지부(390)는 사용자의 학교, 학과, 학년 등을 파악하고, 공지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통합 캘린더에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하게 각종 공지 등을 체크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중 시간표 및 캘린더 통합 모드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학기가 16주차라고 가정하면, 각 주별로 캘린더는 도 3과 같이 생성되게 된다. 이때, 주차별로 시간표가 만들어지면 시간표 위에 과목명, 교수님 이름, 강의실 뿐만 아니라, 레포트 마감 날짜, 조별과제, 쪽지시험 등 보다 다양한 정보들을 시간표 상에 기록할 수 있고, 언제 어디에서 강의실이 변경되는지, 언제 휴강이 되는지(돌발 이벤트)를 그 날짜에 맞추어 기록 및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기록들이 푸시 알람으로 알려주게 되면, 시간표 및 캘린더 통합이면서, 스케줄링(할일 리스트) 모드까지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중 스케줄링 모드를 위한 텍스트 입력 화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임라인을 기반으로 한 시간표 및 캘린더 통합 플랫폼을 도시하는데, 시간표 상에 과제나 쪽지시험 등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중 스케줄링된 할일 리스트를 과목별로 타임라인에 따라 출력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간표 안의 각 과목들은각각 타임라인으로 정리되어 저장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영화의이해라는 과목을 탭하게 되면 영화의이해의 과목의 타임라인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타임라인(히스토리 로그)에서는 강의를 녹음하고 다시듣기 할 수 있고, 다른 할일 목록을 수동으로 작성하거나, 자동으로 작성된 내역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시간표보다 더 입체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확인할 수 있다. 타임라인의 리스트 구조는 일련의 정보들이 한 방향(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나열되어 구성된 형태로써, 가로 혹은 세로로 배열된 항목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접근, 사용될 수 있다. 리스트형 구조에서 목표 메뉴 항목에 접근하기 위해 일차원적인 방향으로 시각적 탐색을 할 수 있으며, 일렬로 나열된 항목들의 행동 유동성(affordance)에 따라 순차적인 탐색을 할 수 있다. 한편, 격자형(grid) 구조는 가로 세로의 이차원 배열 안에 위치한 정보들이 빠르고 방대하게(fast and vast) 접근,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주차별 시간표를 출력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들로 하여금 선택가능한 정보들에 대한 전체상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정보들을 찾기 위한 동작이 적게 요구되고, 빠른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도 5b의 타임라인을 보면, 리스트 구조형으로 수직방향으로 히스토리 로그가 시계열적으로 나열되는데, 로그를 탭 또는 선택하는 경우, 강의를 녹음하거나 다시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타임라인의 헤드 색상은 과목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과목명, 교수님 이름, 강의실 등의 과목의 기본 정보를 표기할 수 있으며, 각 주차별, 강의별로 강의녹음, 레포트, 쪽지시험, 조별과제 등의 과목별 할일목록을 타임라인 형식으로 정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각 내용들을 탭 또는 선택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기록하거나 기록한 내용을 열람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5c와 같이 모든 과목에 대하여 타임라인이 생성되고, 각 과목에 대한 하부항목의 할일목록 또한 생성될 수 있다.
덧붙여서, 스케줄링을 할 때에는 사용자의 게으름 성향을 더 파악할 수 있는데, 인지치료행동지침에 의해 규정된 6 가지의 게으름 유형을, 두렵고 스트레스 받는 상황을 피하는 회피형 게으름뱅이, 허둥지둥 스타일인 비체계형 게으름뱅이, 자신의 능력을 의심하는 자기회의형 게으름뱅이, 남의 만족을 위해 애를 쓰다 심해지는 대인관계형 게으름뱅이, 과욕을 부리다가 포기하는 모 아니면 도 스타일 게으름뱅이, 느긋함과 즐거움만 추구하다가 일을 망치는 즐거움추구형 게으름뱅이 등으로 구분한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요청하거나, 사용자가 스케줄링된 일정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게으름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유형이나 처리방식에 맞도록 스케줄링된 스케줄을 조정하거나 사용자에게 최적화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지치료행동지침에 따른 대처법에 따라, 예를 들어, 비체계형에게는 1주간 계획 짜기, 목록 작성하기, 마감일 명시하기, 해야 할 일만 하기 등의 대처법에 기반하여 스케줄링 및 통합 플랫폼에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모 아니면 도 스타일에게는 일정에 따라 알람 설정하기, 규칙적인 스트레칭하기, 에너지 소모 후 일 중단하기 등의 처방이 내려지므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알람을 자동으로 설정해주고, 규칙적으로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스트레칭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언제든지 일정을 생성할 수 있고, 이동하는 와중에 도약속 시각을 변경하거나 취소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이동 전화의 등장과 보편화로 개인의 삶에 있어 일정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일정의 유동성이 증가한 만큼 일정에 대한 불확실성은 커졌다는 점에 주목하고, 일정의 유동성을 수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일정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정적인 일정이 유동적인 일정 계획보다 우선시되어야 하고, 경계가 느슨한 이벤트를 대상으로 시간의 유연한 조정을 실시하며, 불확실성이 큰 종료 시각의 입력을 후순위로 배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전적인 약속과 계획에 구애 받지 않고 순간 순간의 상황에 따라 우선순위를 변화 시키며 일정을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재의 상황과 요구에 적절하게 대처해 줄 수 있는 미시적 조정으로 증가되는 불확실함과 불예측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시간표 입력을 받고(S6100), 시간표의 시간의 위치를 모니터링한 후(S6200), 시간표의 시간 및 장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S6300), 녹음을 할 것인지를 묻고(S6400), 사용자 단말(100)에서 승인을 한 경우(S6500), 녹음을 시작하도록 하고(S6600), 수업날짜 및 시간에 매핑하여 저장하여 이후에 타임라인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6700).
한편,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로그를 수신하고(S6800), 할일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자동으로 생성되는 경우(S6810), 이를 서로 간에 동기화한다(S6820).
그리고 나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드라인이 빠른 순으로 할일 리스트를 정렬하고(S6830), 소요시간, 데드라인, 시간표에 기초하여 스케줄링을 하고(S6840), 사용자 단말(100)로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하고(S6850), 사용자 단말(100)에서 스케줄을 이행하는 경우(S6860), 사용자 단말(100)로 수신되는 메세지 등을 모두 차단하여(S6900)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알람이 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알람 설정을 모두 차단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 사이트 등을 통하여 공지사항을 수집한 후(S6920),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시간표 데이터가 표시된 통합 플랫폼에 표시되도록 한다(S6930, S6940).
상술한 단계들(S6100~S694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6100~S694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6의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표 데이터와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을 설정받고(S7200), 시간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 및 장소와, 사용자 단말의 시간 및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 녹음시작을 위한 승인을 수신한다(S7300).
또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녹음시작이 승인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동안 녹음을 한 후, 녹음이 된 날짜의 수업 이벤트와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되도록 제어하고(S7400),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에 데드라인이 포함된 할일 데이터가 등록되는 경우, 할일 데이터에 기반하여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을 실행한다(S7500).
마지막으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 결과로 일정이 생성된 경우, 생성된 일정을 사용자 단말의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7600).
이와 같은 도 7의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표 데이터와 상기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을 설정받는 단계;
    상기 시간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 및 장소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간 및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 녹음시작을 위한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녹음시작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시간동안 녹음을 한 후, 상기 녹음이 된 날짜의 수업 이벤트와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업을 시행하는 기관, 학과 및 교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학과 홈페이지 및 교수 홈페이지를 검색하고, 상기 각 홈페이지에 게재된 공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공지 데이터 내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텍스트에 마감일이 포함된 경우, 상기 마감일과 상기 공지의 키워드를 매핑하여 상기 시간표 데이터에 표시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에 데드라인이 포함된 할일 데이터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할일 데이터에 기반하여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 결과로 일정이 생성된 경우, 상기 생성된 일정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세지 및 호(Call) 수신을 포함하는 알람기능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을 수행하는 경우,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시간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 및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은, 상기 시간표 데이터에 매핑되어 히스토리 로그로 시간에 동기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세지 및 호(Call) 수신을 포함하는 알람기능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수신된 메세지 및 호(Call)의 발신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에 저장된 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번호로 상기 일정이 종료되는 시각 및 상황 알림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표 데이터와 상기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을 설정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시간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 동안 캘린더 데이터에 주별로 반복되는 주기성을 가지는 시간표 데이터를 반복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에 데드라인이 포함된 할일 데이터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할일 데이터에 기반하여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할일 데이터의 태스크(Task)를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할일 데이터의 데드라인이 최근인 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의 수업 시간과, 상기 입력된 소요 시간, 및 상기 할일 데이터의 데드라인에 기초하여 데드라인이 최근인 순으로 처리하도록 일별 스케줄 또는 주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별 스케줄링 또는 주별 스케줄링 결과로 일정이 생성된 경우, 상기 생성된 일정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이 일 또는 주가 바뀔 때까지 완료처리되지 않은 경우, 미결 일정으로 저장하고 그 다음일 또는 그 다음주의 일정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에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별 일정 데이터 또는 주별 일정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이 데드라인 이외에 기간별 패널티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간별로 다르게 부과되는 패널티를 상기 시간표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수업 이벤트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미결 일정이 완료처리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인,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KR1020180030857A 2018-03-16 2018-03-16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1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57A KR102081278B1 (ko) 2018-03-16 2018-03-16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57A KR102081278B1 (ko) 2018-03-16 2018-03-16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25A KR20190109025A (ko) 2019-09-25
KR102081278B1 true KR102081278B1 (ko) 2020-02-25

Family

ID=6806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857A KR102081278B1 (ko) 2018-03-16 2018-03-16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616B1 (ko) * 2023-01-26 2023-12-14 (주)신나는플랫폼 포털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598A (ja) * 2006-05-29 2006-09-28 Token Corp 日程計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3051A1 (en) * 2001-10-31 2003-05-01 Peter Ntende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KR20110032207A (ko) * 2009-09-22 2011-03-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598A (ja) * 2006-05-29 2006-09-28 Token Corp 日程計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25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zer Lean higher education: Increasing the value and performance of university processes
US20070250370A1 (en) Scheduling application and distribution method
US200802559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e notification
US20160162845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and subscribing to calendar information
Schutte et al. Evaluation of a telerehabilitation system for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US20140280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tatus updates
JP2013235238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Humphrey Jr et al. Exploring the effects of encouraging student performance with text assignment reminders
US20100241582A1 (en) Career planning and job search management
US201301851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opulating a school calendar utilizing a predetermined class rotation scheduling pattern
KR101230462B1 (ko) 일정관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081278B1 (ko)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US111703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behavioral insights and meeting guidance
Yau et al. A self-regulated learning approach: a mobile context-aware and adaptive learning schedule (mCALS) tool
Wilairat et al. Practical changes in reference services: A case study
US20130325539A1 (en) Event scheduler system and method
Sharples et al. Evaluation of a mobile learning organiser and concept mapping tools
US20170140342A1 (en) Value-based organization
WO2018029642A1 (en) Scenario based scheduling system with predictive intelligence
US20030033585A1 (en) Time management system
JP4411294B2 (ja) 教育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教育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
Sankaranarayanan et al. Intelligent agent based scheduling of student appointment-android environment
Mahayosnand et al. E-Mentoring Student Researchers through an Undergraduate Field Experience Course-Lessons Learned
Gow et al. An Introduction to Technology Stewardship for Agricultural Communities of Practice: Course Workbook
McGraw et al. Promotion and evaluation of a virtual live reference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