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100B1 - Hearing assistant apparatu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Hearing assistant apparatu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100B1
KR102080100B1 KR1020180118913A KR20180118913A KR102080100B1 KR 102080100 B1 KR102080100 B1 KR 102080100B1 KR 1020180118913 A KR1020180118913 A KR 1020180118913A KR 20180118913 A KR20180118913 A KR 20180118913A KR 102080100 B1 KR102080100 B1 KR 10208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munication
power
processo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문
김대성
송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8011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1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1Aspects of the use of accumulators in hearing aids, e.g. rechargeable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capable of safely charging power to extend the usage time of a hearing aid device. The hearing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having an antenna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ing data from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a charging device to supply usage voltage;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n input from a user to apply the same to the communication unit or the power supply unit; a first microphone for obtaining external sound for a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a second microphone for obtaining external sound for a phone call; a speaker for performing sound emission; a switch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file or for the phone call from the communication unit or an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voice amplification from a data processor, and applying the same to the speaker; and a data processor for performing a sound amplification function for the external sound from the first microphone by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unit to generate the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the voice amplification so as to apply the same to the switch. The communication unit applies a function terminating command for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to the data processor to stop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when receiving data from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applies a function performing command for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to the data processor to perform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when not receiving data from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청음 보조 장치와 이를 위한 충전 장치{HEARING ASSISTANT APPARATU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Hearing aids and charging devices therefor {HEARING ASSISTANT APPARATU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청음 보조 장치와 이를 위한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단말기(또는 전자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청음 보조 장치와, 이 청음 보조 장치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전원 충전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device and a charging device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aid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to charging power for extending the use time of the hearing aid device. It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that can be.

일반적으로 난청인은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듣고 나누는데 이해가 곤란할 정도로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 즉, 청각에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을 말하며, 난청 정도에 따라 경도 난청, 중도 난청, 중고도 난청 및 고도 난청 등으로 분류된다.In general, a hearing impaired person refers to a person who has a hearing impairment, that is, a hearing impairment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everyday conversation. And the like.

난청의 종류로는 전음성 난청, 감응성 난청 및 혼합성 난청이 있으며, 외이도가 상했다거나, 고막이 천공되었거나, 이소골이 이탈되었거나, 외이염 또는 중이염으로 인하여 실청되었거나, 노인성 난청, 선천적 난청, 유전적 난청, 고음에 의한 실청, 고열 및 약물 부작용에 의한 실청 등의 이유로 골도와 기도의 손상 정도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다.Types of hearing loss include prenegative hearing loss, sensitive hearing loss, and mixed hearing loss. It is classified based on the degree of damage to bone and airway due to hearing loss due to high sound, hearing loss due to high fever and drug side effects.

따라서 이러한 청각에 장애를 가진 난청인은 일상생활을 자연스럽게 할 수 없는바, 난청 정도를 충분히 보상해 줄 수 있는 장치인 보청기가 필요하며, 보청기는 난청 정도에 따라 화자음 또는 주변음을 증폭시켜서 난청인이 말소리를 보다 똑똑히 들을 수 있게 해주며, 보다 자연음에 가깝게 들리도록 보조해주는 장치이다.Therefore, the hearing impaired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is not able to make the daily life naturally, a hearing aid that is a device that can sufficiently compensate for the degree of hearing loss, hearing aids by hearing amplification or audible sound depending on the degree of hearing loss It is a device that allows the phosphorus to hear words more clearly, and helps to sound more like natural sounds.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화자음 및 주변음을 수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송화기, 송화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정류 및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난청인의 귀로 전달하는 수화기 및 송화기, 수화기 및 증폭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청기의 종류로는 상자형, 귀걸이형, 안경형 및 귓속형이 있으며, 최근에는 귓속형을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귀 속 깊숙이 넣을 수 있는 고막형이 추가 되었다.In general, a hearing aid is a handset that collects and outputs audible and ambient sounds as an electrical signal, an amplifier that receives and outputs a signal from the handset, and amplifies and amplifies the signal. And a battery for powering the handset and the handset, the handset and the amplifier. Types of hearing aids include box-type, earring-type, eyeglass-type, and ear-type, and recently, the ear-type is further developed, and a tympanic type that can be inserted deep into the ear has been added.

이러한 청각 약자에게도 다양한 파일의 재생과, 전화 통화 등이 가능한 보청기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보청기의 충전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위한 장치도 필요하다.There is a need for hearing aids capable of playing various files and making phone calls. There is also a need for a device for safety in the charging process of hearing aids.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60753호 "착용자의 상태를 알려 주는 청음 보조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60753 "Hearing Aid Device that informs the status of the wearer"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또는 전자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청음 보조 장치와, 이 청음 보조 장치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전원 충전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stening aid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a charging device capable of safely performing power charging for extending the use time of the listening aid device.

본 발명인 청음 보조 장치를 위한 충전 장치는 안테나를 구비하며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전자 통신 장치로부터 파일의 재생과 관련되거나 전화 통화를 위하거나 피팅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충전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사용 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전원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여 통신부나 제 1 전원부로 인가하는 입력부와, 음성 증폭 기능을 위해 외부 소리를 획득하는 제 1 마이크와, 전화 통화를 위해 외부 소리를 획득하는 제 2 마이크와, 음 방출을 수행하는 스피커와, 통신부로부터 파일의 재생과 관련되거나 전화 통화를 위한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의 음성 증폭에 관련된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스피커에 인가하는 제 1 스위치와, 통신부의 제어에 의해 제 1 마이크로부터의 외부 소리에 대한 음성 증폭 기능을 수행하여 음성 증폭에 관련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스위치에 인가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로 구성된 청음 보조 장치가 삽입 안착되는 수용 공간을 상면에 구비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며 자성체가 장착된 뚜껑부와, 외부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충전하며 사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와, 수용 공간 내에서 청음 보조 장치의 제 1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와, 사용 전원을 공급 받으며 접속부에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사용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자성체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어 청음 보조 장치가 수용 공간에 안착된 것을 감지하는 제 2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로부터의 감지 신호와, 청음 보조 장치와 접속부 간의 전기적 연결 및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공급부를 제어하여 접속부으로의 사용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The charging device for a hearing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data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a file, a telephone call, or a fitting setting from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a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device. A first power supply for supplying a used voltage, an input for acquiring an input from a user and being applied to a communication unit or a first power supply, a first microphone for acquiring external sound for a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telephone call A second microphone for acquiring external sound, a speaker for performing sound emission, and an electric signal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file from a communication unit or an electric signal for a phone call or amplification of a voice from a data processor. Sound for external sound from the first microphone under control of the first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unit A case having an upper surface of a receiving space for inserting and seating a hearing aid comprising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an amplification function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speech amplification and apply it to a first switch, and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And a lid including a cap, a second power supply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to charge and supply power for use, and a contac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of the listening ai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supply unit for receiving power supply and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ion unit under control of the processor,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from the magnetic body, and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detect that the hearing aid is se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etween the second switch,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witch, the hearing aid and the On the basis of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trol a supply consists of a processor for performing and stopping of use of the power conn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감지부는 케이스에 장착되며, 뚜껑부의 개폐 상태에 따라 감지부와 자성체 간의 간격이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s mounted to the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unit and the magnetic material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lid.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또는 전자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청음 보조 장치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전원 충전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afely perform the power charging to extend the use time of the hearing aid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또는 전자 통신 장치)와의 통신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음성 증폭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selectively performing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on the basis of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음 보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청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음 보조 장치를 위한 충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와 충전 장치의 분리 및 결합 예시도들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earing aid device and a listening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device for the listening aid of FIG. 1.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and the charging device.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 or "may include" include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functional, operational, or component such as a componen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 / and B", or "one or more of A or / 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both of cases including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as used herein,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 / or importance, and may modify one component to another. It is used to distinguish a component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may indicate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the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herei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One component (such as a first component) i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 to" to another component (such as a second component) or "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the component and the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exists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is document is,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situations, the expression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can” alo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processor configured (or set up) to perform A, B, and C” may execute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or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on a memory device to perform the operation. By doing so, it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for example, a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he terms defined in the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it is clear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if terms ar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they may 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음 보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청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earing aid device and a listening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인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는 동일한 구성요소들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은 독립적으로 전자 통신 장치(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면, 스피커)이 삽입되거나 귓구멍 전면에 위치되도록 귓바퀴에 안착되거나 큇구멍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를 지니고 있다.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의 기구적 구조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된다.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the same components,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is independently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have case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r into the ear canal so that at least a portion (eg, a speaker)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user or positioned in front of the ear canal. . The mechanical struc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20 are described in FIGS. 3A and 3B.

먼저, 제 1 청음 보조 장치(10)는 안테나를 구비하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여 통신부(11) 및/또는 전원부(19)로 인가하는 입력부(12)와, 음성 증폭 기능을 위해 외부 소리를 획득하는 제 1 마이크(13)와, 전화 통화를 위해 외부 소리를 획득하는 제 2 마이크(14)와, 음성 증폭된 전기 신호, 파일의 재생된 전기 신호 및 전화 통화를 위한 전기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가 받아 음 방출을 수행하는 스피커(15)와, 통신부(11)로부터의 파일의 재생된 전기 신호 및 전화 통화를 위한 전기 신호 및 데이터 프로세서(19)로부터의 음성 증폭된 전기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스피커(15)에 인가하는 스위치(16)와, 충전 장치(도 2의 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받아 저장하는 전원부(17)와, 상술된 제 1 마이크(13) 및 스위치(16)를 제어하며 통신부(11)와의 통신을 통하여, 음성 증폭 기능, 피팅 설정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이터 프로세서(19)로 구성된다.First, the first listening aid 10 has an antenna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input unit 12 for obtaining input from a user and applying the input from the user to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 or the power unit 19. ), A first microphone 13 for acquiring external sound for a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a second microphone 14 for acquiring external sound for a phone call, a voice amplified electric signal, a reproduced electric signal of a file And a speaker 15 that receives at least one or more of electrical signals for a telephone call to perform sound emission, and a reproduced electrical signal of a fil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an electrical signal and data processor 19 for a telephone call. A switch 16 for receiving at least one electrical signal from the voice amplified electrical signal from the switch 16 and applying the power to the speaker 15 and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100 of FIG. 17) And a data processor 19 for controlling the first microphone 13 and the switch 16 described above and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itting setting func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1. .

먼저, 통신부(11)는 안테나를 구비하여 전자 통신 장치(3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이다. 예를 들면, 통신부(11)는 HFP, HSP, AVRCP, A2DP, SBC, APTX 등의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코딩 및 디코딩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1)와 데이터 프로세서(19)는 UART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First, the communication unit 11 is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n antenna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HFP, HSP, AVRCP, A2DP, SBC, APTX, and performs coding and decoding functions.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data processor 19 may communicate in a UART manner.

또한, 통신부(11)는 입력부(12)로부터의 통신 연결 입력(예를 들면, 페어링(pairing) 입력)을 획득하여 전자 통신 장치(30)와의 페어링 동작과, 통신 연결 동작을 수행하여, 전자 통신 장치(30)와의 통신 가능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통신부(11)는 전자 통신 장치(30)와의 통신 가능 상태에서는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의한 음성 증폭 기능에 대한 기능 종료 명령을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인가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 acquir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put (for example, a pairing input) from the input unit 12 to perform a pairing operation with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operation, thereby performing electronic communication. Maintains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3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 applies a function end command for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by the data processor 19 to the data processor 19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is possible.

또한, 통신부(11)는 전자 통신 장치(30)와의 통신 가능 상태에서 전자 통신 장치(30)로부터 파일의 재생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위치((16)로 인가하여 스피커(15)를 통하여 음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전화 통화 기능의 수행을 위해 통신부(11)는 전자 통신 장치(30)와의 통신 가능 상태에서 제 2 마이크(14)로부터 외부 소리를 획득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전자 통신 장치(30)로 전송하고, 전자 통신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전화 통화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위치(16)에 인가하여 스피커(15)를 통하여 음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11)는 전자 통신 장치(30)와의 통신 가능 상태에서 전자 통신 장치(30)로부터 피팅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로 전송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가 피팅 설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 receives data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file from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in the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is possible, applies the data to the switch 16, and emits the sound through the speaker 15.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a phone call func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 obtains an external sound from the second microphone 14 in a stat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and transmits the external sound to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through an antenna. In addition, the data related to the telephone cal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is received and applied to the switch 16 so as to be emitted as a sound through the speaker 15.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 is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 The fitting sett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and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or 19 so that the data processor 19 performs the fitting setting.

또한, 전자 통신 장치(30)에 의한 통신 종료에 의해, 통신부(11)가 전자 통신 장치(30)와의 통신 종료 상태(또는 통신 중단 상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의한 음성 증폭 기능에 대한 기능 수행 명령을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인가하여, 음성 증폭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by the data processor 19 in the communication end state (or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state) with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is termina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tion by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An execution command is applied to the data processor 19 so that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it is explained in more detail.

입력부(12)는 버튼식이나 터치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전원 인가/차단 입력, 통신 연결 입력을 획득하여 전원부(17) 및/또는 통신부(11)로 인가하다. The input unit 1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button type or a touch input. The input unit 12 obtains a power on / off input,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put from a user, and applies the input to the power unit 17 and / or the communication unit 11.

사용자로부터의 전원 인가/차단 입력 각각은 전원부의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에 대한 입력이다. Each of the power on / off inputs from the user is an input for power supply and power off of the power supply unit.

통신 연결 입력은 통신부(11)가 전자 통신 장치(3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입력에 해당된다. 통신부(11)는 전원이 인가되고, 통신 연결 입력을 입력부(12)로부터 인가 받아,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등)을 수행하여 전자 통신 장치(30)와 통신 연결되도록 한다.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put corresponds to a pairing input for the communication unit 11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The communication unit 11 receives power and receiv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12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etc.)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제 1 마이크(13)는 음성 증폭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로 인가한다.  The first microphone 13 acquires an external sound and applies it to the data processor 19 to perform a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제 2 마이크(14)는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여 통신부(11)로 인가한다. While performing the telephone call function, the second microphone 14 obtains an external sound and applies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11.

스피커(15)는 스위치(16)를 통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로부터의 음성 증폭된 전기 신호, 통신부(11)로부터의 파일의 재생된 전기 신호 및 전화 통화를 위한 전기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가 받아 음 방출을 수행한다. The speaker 15 receives at least one of a voice amplified electric signal from the data processor 19, a reproduced electric signal of a fil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an electric signal for a telephone call through the switch 16. Perform sound emission.

스위치(16)는 통신부(11)와 스피커(15) 간의 전기 신호의 전송과, 데이터 프로세서(19)와 스피커(15) 간의 전기 신호의 전송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기 신호만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switch 16 transmits only one electrical signal among the transmission of the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speaker 15 and the transmission of the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data processor 19 and the speaker 15.

전원부(17)는 충전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받아 저장하는 충전식 배터리 등을 구비하며, 입력부(12)로부터의 전원 인가 입력에 대응하여 통신부(11) 및 데이터 프로세서(19) 등과 같이 전원이 필요한 구성요소들에 충전된 전원을 인가하고, 입력부(12)로부터의 전원 차단 입력에 대응하여 충전된 전원의 인가를 종료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7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to receive and store power. The power supply unit 17 supplies power such as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data processor 19 in response to a power input from the input unit 12. The charged power is applied to the necessary components, and the application of the charged power is terminated in response to the power-off input from the input unit 12.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음성 증폭 기능, 피팅 설정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 등)로서, 내부에 음성 증폭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난청 보상 알고리즘과, 배경잡음 제거 알고리즘, 피팅 파라미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예를 들면, 메모리 등)을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음성 증폭 기능에서 필요한 피팅(fitting) 파라미터를 저장하여, 난청 보상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저장된 피팅 파라미터 등을 기준으로 하여 보상/증폭 등을 수행한다.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The data processor 19 is a processor (eg, a CPU, etc.) that performs a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a fitting setting function, and the like, and includes a hearing loss compensation algorithm, a background noise canceling algorithm, a fitting parameter, and the like for performing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therein. It has a storage space (for example, a memory, etc.) for storing the. 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19 stores fitting parameters required for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and performs compensation / amplification based on the stored fitting parameters when performing the hearing loss compensation algorithm. It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제 2 청음 보조 장치(20)는 제 1 청음 보조 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통신부(21)는 통신부(11)와, 입력부(22)는 입력부(12)와, 제 1 마이크(23)는 제 1 마이크(13)와, 제 2 마이크(24)는 제 2 마이크(14)와, 스피커(25)는 스피커(15)와, 스위치(26)는 스위치(16)와, 전원부(27)는 전원부(17)와, 데이터 프로세서(29)는 데이터 프로세서(19)와 동일하다. The second listening aid 2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listening aid 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 is the communication unit 11, the input unit 22 is the input unit 12, and the first microphone 23. ) Is the first microphone 13, the second microphone 24 is the second microphone 14, the speaker 25 is the speaker 15, the switch 26 is the switch 16, the power supply 27 ) Is the power supply unit 17, the data processor 29 is the same as the data processor (19).

전자 통신 장치(3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와 각각 독립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할 수 있는 휴대성을 갖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 tablet PC, and the like. ha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ll devices having portability that can be controlled b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전자 통신 장치(30)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과 독립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1)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32)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3)와, 피팅 설정 데이터와, 재생 가능한 파일(예를 들면, MP3, MP4, 동영상 등)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34)와, 상술된 통신부(31)와, 입력부(32), 표시부(33) 및 저장부(34)를 제어하여, 파일 재생 기능과, 전화 통화 기능 및 피팅 설정 기능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39)를 구비한다. 다만, 전자 통신 장치(30) 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구비되나, 이 전원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사람들에게는 널리 알려진 기술에 불과하여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 which communicates independentl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 devices 10 and 20, an input unit 32 which acquires input from a user, and various information. A display unit 33 for displaying, a storage unit 34 for storing fitting setting data, a reproducible file (for example, MP3, MP4, video, etc.), the communication unit 31 described above, and an input unit 32 ), The display unit 33 and the storage unit 34 are controlled to perform a file reproduction function, a telephone call function, a fitting setting function, and the like. However, although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s provided for supplying the necessary power in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the power supply unit is only a techniqu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자세하게는, 통신부(31)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데이터 프로세서(19)의 제어에 의해,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통신부(31)는 HFP, HSP, AVRCP, A2DP, SBC, APTX 등의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코딩 및 디코딩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31)는 전화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통신부(31)는 파일의 재생이나 전화 통화에 관련된 데이터(또는 전기 신호) 및 피팅 설정 데이터를 통신부(11) 및 통신부(21)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송한다. In detail, the communication unit 31 includes an antenna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under the control of the data processor 19. The communication unit 3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HFP, HSP, AVRCP, A2DP, SBC, APTX, and performs coding and decoding functions.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telephon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 transmits data (or electrical signals) and fitting setting data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file or a telephone call to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

입력부(32)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인가/차단 입력,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과의 통신 연결/종료 입력, 전화 통화 시작/종료 입력, 파일 재생 시작/종료 입력, 피팅 설정 시작/종료 입력, 음량 조절 입력, 파일 선택/이동 입력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인가한다.The input unit 32 is a power on / off input from the us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 end inpu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a telephone call start / end input, a file play start / end An input, a fitting setup start / end input, a volume control input, a file select / move input, and the like are acquired and applied to the data processor 39.

표시부(33)는 예를 들면, led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며, 저장된 파일, 피팅 설정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33 is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led display or a lcd display, and displays stored files, fitting setting data, and the like.

저장부(34)는 피팅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피팅 설정 데이터와, 재생 가능 파일들을 저장하며, 피팅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앱)을 저장한다. 피팅 파라미터들은 각 채널 별, 각 주파수 별로 결정되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값들로,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해서 조정된 값들을 나타낸다.The storage unit 34 stores fitting setting data including fitting parameters, reproducible files, and stores an application (app) for fitting setting. The fitting parameters are determined for each channel and for each frequency, and are values determined based on the h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nd represent values adjusted to output a sound to compensate for the hearing loss of the user.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파일의 재생 기능, 전화 통화 기능, 피팅 설정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 등)이며,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재된다. The data processor 39 is a processor (for example, a CPU, etc.) that performs a file playback function, a telephone call function, a fitting setting function, and the like, and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전자 통신 장치(30)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이 전원을 공급 받은 상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39)가 입력부(32)를 통하여 통신 연결 입력(예를 들면, peer searching 입력)을 획득하고, 통신부(11), (21) 각각이 입력부(12), (22) 각각으로부터 통신 연결 입력을 획득함으로써, 전자 통신 장치(30),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간에 통신 연결(통신 연결 상태)이 이루어진다. With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and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powered, the data processor 39 input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32 (eg, peer searching). Input), and each of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1 obtains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put from each of the input units 12 and 22, thereby providing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 20) a communication connection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is made.

통신 연결 형태로, 전자 통신 장치(30)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과 독립적인 통신 연결 채널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the form of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may perform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connection channel independent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 devices 10 and 20.

먼저, 파일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된다. 전자 통신 장치(30)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는 통신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입력부(32)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기선택된 저장부(34)에 저장된 파일을 재생하여 파일의 재생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파일의 재생에 관련된 데이터를 통신부(31)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로 전송한다. 통신부(11) 및 (22)는 파일의 재생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15), (25)에서의 음 방출을 위한 전기 신호(파일의 재생에 관련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16), (26)에 인가한다. 이때, 통신부(11), (21) 각각은 파일의 재생을 위해 데이터 프로세서(19), (29) 각각으로 음성 증폭 기능에 대한 기능 종료 명령을 인가하고, 데이터 프로세서(19), (29)가 기능 종료 명령에 따라 동작 중인 음성 증폭 기능을 각각 중단한다. 이에, 스위치(16)는 데이터 프로세서(19), (29)로부터 음성 증폭에 관련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고, 파일의 재생에 관련된 전기 신호만을 수신하여 스피커(15), (25)에 각각 인가한다. First, the file reproducti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and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are 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and the data processor 39 is selected or preselected by a user through the input unit 32. The file stored in 34) is reproduced to generate data related to reproduction of the file. The data processor 39 transmits data related to reproduction of the file to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2 receive data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file and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electric signal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file) for sound emission from the speakers 15 and 25 to switch 16. , (26). At this time, each of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1 applies a function termination command for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to each of the data processors 19 and 29 to reproduce the file, and the data processors 19 and 29 According to the function termination command, each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is stopped. Accordingly, the switch 16 does not receive the electrical signals related to the voice amplification from the data processors 19 and 29, and receives only the electrical signals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file and applies them to the speakers 15 and 25, respectively. do.

이러한 파일 재생 기능의 수행 시에,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를 각각 L(left) 및 R(right) 청음 보조 장치로 인식하여 스테레오 음향 구현을 위해,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으로 L 전기 신호와, R 전기 신호를 각각 인가할 수도 있다. When performing the file reproduction function, the data processor 39 recognizes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as L (left) and R (right) listening aids, respectively, to implement stereo sound. For this purpose, the L electrical signal and the R electrical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respectively.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입력부(32)를 통하여 재생 종료 입력을 획득하면, 통신부(31)를 통하여 재생 종료 명령을 통신부(11), (21)로 전송하거나 파일의 재생에 관련된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한다. 통신부(11), (21)는 재생 종료 명령을 수신하거나, 파일의 재생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즉, 통신 중단 상태인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19), (29)로 음성 증폭 기능에 대한 기능 수행 명령을 인가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 (29)가 음성 증폭 기능을 다시 수행하도록 한다. When the data processor 39 acquires the reproduction e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 the communication processor 31 transmits a reproduction end command to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or stops transmission of data related to reproduction of the file. do.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 21 receives a reproduction end command or does not receive data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file (i.e., when communication is interrupted),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ors 19 and 29. By applying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to the data processor (19), 29 causes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to perform again.

다음으로, 전화 통화 기능에 대하여 설명된다. 전자 통신 장치(30)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는 통신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39)가 통신 장치(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 기지국 등)에 의해 생성된 착신 신호를 통신부(31)를 통하여 수신하고, 통신부(31)를 통하여 통신 연결된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착신 신호를 전송한다. 통신부(11), (21)는 착신 신호를 수신하고, 착신 신호를 스위치(16), (26)에 인가하여, 스피커(15), (25)를 통하여 착신 신호가 음 방출되도록 한다. 이때, 통신부(11), (21)는 기능 종료 명령을 데이터 프로세서(19), (29)로 인가하고, 데이터 프로세서(19), (29)가 기능 종료 명령에 따라 동작 중인 음성 증폭 기능을 중단한다. 이에, 스위치(16)는 데이터 프로세서(19), (29)로부터 음성 증폭에 관련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고, 전화 통화 및/또는 착신 신호에 관련된 전기 신호만을 수신하여 스피커(15), (25)에 각각 인가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가 입력부(32)로부터의 전화 통화 시작 입력을 획득하여 통화를 시작하면, 통신부(31)를 통하여 수신된 전화 통화에 관련된 데이터를 통신부(31)를 통하여 통신부(11), (21)로 전송하고, 통신부(11), (21)는 수신된 데이터를 스위치(16), (26)에 각각 인가하고, 스위치(16), (26)는 수신된 데이터를 스피커(15), (25)에 각각 인가한다. 또한, 통신부(11), (21)는 제 2 마이크(14), (24)에서 획득된 외부 소리를 인가 받아, 전자 통신 장치(30)로 전송하고,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통신부(31)를 통하여 수신된 외부 소리를 통신부(31)를 통하여 통신 장치로 송신한다. Next, the telephone call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and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20 are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or 39 by a communication device (eg, a communication system, a base station, etc.). The received incom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and the incoming sig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1 receive the incoming signal and apply the incoming signal to the switches 16 and 26 so that the incoming signal is sound-emitted through the speakers 15 and 25.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1, 21 applies a function termination command to the data processor 19, 29, and stops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that the data processor 19, 29 is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termination command. do. Accordingly, the switch 16 does not receive electrical signals related to voice amplification from the data processors 19 and 29, and receives only electrical signals related to telephone calls and / or incoming signals to the speakers 15 and 25. ) Respectively. When the data processor 39 acquires the telephone call start input from the input unit 32 and starts the call, the communication unit 11, (the data related to the telephone cal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is communic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21,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1 apply the received data to the switches 16 and 26, respectively, and the switches 16 and 26 transmit the received data to the speaker 15, Each is applied to (25).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1 receive external sounds obtained from the second microphones 14 and 24 and transmit them to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and the data processor 39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31. The external sou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이러한 전화 통화 기능의 수행 중에, 데이터 프로세서(39)가 입력부(32)를 통하여 전화 통화 종료 입력을 인가 받을 경우(즉, 통신 중단 상태인 경우), 전화 통화를 종료시킨다. 또한, 통신부(11), (21)는 전화 통화 종료(즉, 통신 중단 상태)에 의해 데이터 프로세서(39)로부터 전화 통화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게 되므로, 통신부(11), (21)는 데이터 프로세서(19), (29)로 각각 인가하여 기능 수행 명령을 인가하고, 데이터 프로세서(19), (29)는 음성 증폭 기능을 수행한다.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telephone call function, when the data processor 39 receives the telephone call e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 (i.e., the communication is stopped), the telephone call is terminated. Further, since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1 do not receive the data related to the telephone call from the data processor 39 by the telephone call termination (i.e.,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state),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1 do not receive the data. The processor 19 and 29 each apply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and the data processors 19 and 29 perform a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다음으로, 피팅 설정 기능에 대하여 설명된다. 전자 통신 장치(30)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는 통신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입력부(32)를 통하여 피팅 설정 시작 입력을 획득하여, 저장부(34)에 저장된 피팅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피팅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1)는 판독된 피팅 설정 데이터를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피팅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피팅 설정 데이터를 통신부(31)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로 각각 전송하고, 통신부(11), (21)는 피팅 설정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 (29)로 인가한다.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31)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입력부(32)를 통하여 기저장된 피팅 설정 데이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며, 가변된 피팅 설정 데이터를 통신부(31)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로 전송하고, 통신부(11), (21)는 피팅 설정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 (29)로 인가한다. 데이터 프로세서(19), (29) 각각은 수신된 피팅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기저장된 피팅 설정 데이터를 삭제하고 수신된 피팅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Next, the fitting setting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30 and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the data processor 39 obtains a fitting setting star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 and stores the storage unit. Read fitting setting data stored in 34 or execute an application for fitting setting. The data processor 31 reads the fitting setting data read out or the fitting setting data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n reads the read fitting sett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to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The communication unit 11, 21 receives the fitting setting data, and transmits the fitting setting data to the data processors 19, 29, respectively. Alternatively, the data processor 31 may execute an application to allow the user to vary the previously stored fitting setting data through the input unit 32, and to transmit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to the changed fitting sett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The auxiliary apparatuses 10 and 20 are transmitted, and the communication units 11 and 21 receive fitting setting data, respectively, and apply them to the data processors 19 and 29. Each of the data processors 19 and 29 stores the received fitting setting data or deletes the previously stored fitting setting data and stores the received fitting setting data.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에서의 음성 증폭 기능에 대하여 설명된다. Next,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in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will be described.

음성 증폭 기능은 음성 증폭 기능을 수행 중에, 파일 재생 기능, 전화 통화 기능 및 피팅 설정 기능 중의 어느 하나의 기능이 시작되면(즉, 통신 중단 상태인 경우) 이 시작된 기능이 종료될 때까지 음성 증폭 기능을 중단/종료하도록 한다. While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is performing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if any one of the file playback function, the telephone call function, and the fitting setup function is started (that is, in the case of communication interruption), the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is terminated until the function started. To stop / terminate.

데이터 프로세서(19), (29)는 제 1 마이크(13)로부터의 외부 소리를 인가 받아 피팅 파라미터들이 적용된 난청 보상 알고리즘과, 배경잡음 제거 알고리즘 등으로 외부 처리를 처리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16), (26)에 인가한다. 스위치(16), (26)는 인가된 전기 신호를 스피커(15), (25)에 인가한다. The data processor 19 or 29 receives an external sound from the first microphone 13 to process an external process using a hearing loss compensation algorithm to which fitting parameters are applied, a background noise cancellation algorithm, and the like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then switch the 16) and (26). The switches 16 and 26 apply the applied electric signals to the speakers 15 and 25.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중의 어느 하나가 전원 차단 입력 또는 전원부(17), (27)의 전원 공급 중단(예를 들면, 방전 등)에 의해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이 공급 중인 청음 보조 장치(10) 또는 (20)는 독립적으로 상술된 기능들을 수행한다. When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is turned off due to a power cutoff input or a power supply interruption (for example, a discharge, etc.) of the power supply units 17 and 27, The listening aid 10 or 20 being powered up independently performs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도 2는 도 1의 청음 보조 장치를 위한 충전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device for the listening aid of FIG. 1.

충전 장치(100)는 외부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충전하며 사용 전압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전원부(110)의 충전 상태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의 전원부(17), (27)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122), (123)와, 제 1 및 제 2 접속부(122), (123)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사용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공급부(124), (125)와,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126)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이 수용되어 충전되는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에 각각 안착된 것을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127a), (127b)와, 제 1 및 제 2 스위치(127a), (127b)로부터의 감지 신호들과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과 제 1 및 제 2 접속부(122), (123) 간의 전기적 연결 및/또는 충전 상태 및 감지부(126)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공급부(124), (125)를 각각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접속부(124), (125) 각각으로의 사용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며, 전기적 연결 및 충전 상태를 표시부(120)에 표시하는 프로세서(130)로 구성된다. The charging device 10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harges the power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a used voltage or power,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 20) a display unit 120 for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of each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ower supply units 17 and 27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First and second supply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s 122 and 123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22 and 123, respectively, to supply the used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30. 124, 125, a sensing unit 126 for sens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and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20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and charged. Sensing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27a and 127b,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27a and 127b, respectively, to sense the seating, and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auxiliary fields. Based on the electrical connection and / or state of charge between each of the 10 and 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22 and 123 and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 detector 126, the first And controlling the supply and interruption of the used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units 124 and 125 by controlling the second supply units 124 and 125, respectively, and display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charging state. It is composed of a processor 130 to display.

보다 자세하게는, 전원부(110)는 외부 상용 전원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외부 상용 전원을 공급 받는 커넥터(예를 들면, USB 커넥터 등)(110a)와, 커넥터(110a)로부터의 외부 상용 전원을 인가 받아 충전부(110c)로 인가하되 과전압 또는 과전류로부터 전원부(110)(또는 충전 장치(100))를 보호하는 보호부(110b)와, 보호부(110b)로부터 외부 상용 전원을 공급 받아 배터리(110d)를 충전 전원 또는 전압(예를 들면, 3.7V)으로 충전시키는 충전부(110c)와, 충전부(110c)로부터의 충전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110d)와, 배터리(110d)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사용 전원 또는 전압(예를 들면, 5V)를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제 1 및 제 2 공급부(124), (125)로 인가하는 출력부(110e)로 구성된다. 배터리(110d)에 충전 전압이 존재하거나 충전부(110c)가 외부 상용 전원을 인가 받을 경우, 배터리(110d)나 충전부(110c)는 프로세서(130)에 전원을 인가하여 프로세서(130)가 활성화되도록 하여 제 1 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에 대한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원부(110)는 표시부(120), 감지부(126), 제 1 및 제 2 스위치(127a), (127b) 등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10)는 충전부(110c)에 의한 배터리(110d)에 대한 충전 상태(또는 상황)를 프로세서(130)에 인가한다. In more detail, the power supply unit 1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receive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for example, a USB connector) 110a and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from the connector 110a. Is applied to the charging unit 110c, but protects the power supply unit 110 (or the charging device 100) from overvoltage or overcurrent, and receives external commercial power from the protection unit 110b. Power is applied from the charging unit 110c for charging 110d to the charging power or voltage (for example, 3.7V), the battery 110d charged by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110c, and the battery 110d. And an output unit 110e that applies a power supply or voltage (for example, 5V) to the first and second supply units 124 and 125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30. When the charging voltage is present in the battery 110d or when the charging unit 110c receives external commercial power, the battery 110d or the charging unit 110c applies power to the processor 130 to activate the processor 130.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first or second hearing aid apparatuses 10 and 20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unit 120, the detection unit 126,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27a, 127b,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10 applies a charging state (or situation) of the battery 110d by the charging unit 110c to the processor 130.

표시부(120)는 전원부(110)의 충전 상태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의 충전 상태 등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LED, LCD 등)이다. The display unit 120 is a display (for example, LED, LCD, etc.) that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charging stat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

제 1 및 제 2 접속부(122), (123)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의 전원부(17), (27)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단자들을 구비하며,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접속 신호(예를 들면, 인서트 키(insert key) 신호)를 프로세서(130)에 각각 인가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접속부(122), (123) 각각은 제 1 및 제 2 공급부(124), (125)로부터 인가되는 사용 전원을 인가 받아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으로 인가한다. 제 1 및 제 2 접속부(122), (123) 각각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면서,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에 내장된 전원부(17), (27)의 충전 상태(예를 들면, 충전 진행 상황, 충전양, 충전 소요 시간 등)를 감지하여 프로세서(130)에 인가한다.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22 and 123 have contact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units 17 and 27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respectively.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a connection signal (eg, an insert key signal) is applied to the processor 130, respectively.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units 122 and 12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ly units 124 and 125. (10) and (20) respective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22 and 123 performs charging for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respectively, while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 20) The charging state (for example, the charging progress state, the amount of charge, the time required for charging, etc.) of the power supply units 17 and 27 built in each is detected and applied to the processor 130.

제 1 및 제 2 공급부(124), (125) 각각은 전원부(110)로부터 사용 전원을 공급 받으며 제 1 및 제 2 접속부(122), (123)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사용 전원을 제 1 및 제 2 접속부(122), (123) 각각으로 공급하는 소자이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ly units 124 and 125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units 122 and 123, respectively. It is an element which supplies a used power supply to each of the 1st and 2nd connection parts 122 and 123 by control.

또한, 감지부(126)는 충전 장치(100)의 뚜껑부에 장착된 자성체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를 프로세서(130)에 인가한다. In addition, the detector 126 detects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rom the magnetic body mounted on the lid of the charging device 100, and applies the sensed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to the processor 130.

제 1 및 제 2 스위치(127a), (127b)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이 수용되어 충전되는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이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 각각에 삽입 안착된 때 눌려지거나 접촉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이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 각각에 안착된 것을 감지하는 소자(예를 들면 텍트 스위치 등)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스위치(127a), (127b)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의 안착 여부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들을 각각 생성하여 프로세서(130)에 인가한다.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27a and 127b are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space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are received and charged, respectively. When each of the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is pressed or contacted when it is inserted and seated in each of the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receiving space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respectively. It is an element (for example, a text switch etc.) which detects what was seated in each of this 1st and 2nd accommodating spaces.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27a and 127b generate sensing signals indicating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are seated, and apply them to the processor 130.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비메모리 반도체를 구비하는 데이터 프로세서와, 데이터(예를 들면, 충전 알고리즘 등)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130)는 기저장된 충전 알고리즘에 따라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The processor 130 also includes a data processor including a programmable non-memory semiconductor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data (for example, a charging algorithm). The processor 130 charges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according to a pre-stored charging algorithm.

배터리(110d)에 대한 충전은 외부 상용 전원이 커넥터(110a)에 공급되는 경우에 수행되므로, 프로세서(130)의 제어 없이도 수행된다. 배터리(110d)에 대한 충전 중에, 프로세서(130)는 충전부(110c)로부터 배터리(110d)에 대한 충전 상태를 인가 받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Since the charging for the battery 110d is performed when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connector 110a,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10d is performed without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30. During charging of the battery 110d, the processor 130 receives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110d from the charging unit 110c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20.

프로세서(130)에 의한 충전 알고리즘은 배터리(110d)에 대한 충전 과정과 동시에 또는 배터리(110d)에 충전 가능한 전원이 유지되는 경우에 배터리(110d)에 대한 충전 과정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The charging algorithm by the processor 130 is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charging process for the battery 110d at the same time as the charging process for the battery 110d or when a rechargeable power source is maintained in the battery 110d.

하기에서는 프로세서(130)에 의한 충전 알고리즘은 하기와 과정으로 수행된다. 프로세서(130)는 충전부(110c)로부터 배터리(110d)에 대한 충전 상태에 대한 신호나 정보를 획득하여 배터리(110d)가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0에 대한 충전이 가능한 충전 상태인 경우에 충전 알고리즘을 시작한다. In the following, the charging algorithm by the processor 130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process. The processor 130 obtains a signal or information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10d from the charging unit 110c so that the battery 110d charges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0. The charging algorithm starts when it is in a possible charging state.

다음으로, 충전 알고리즘은 프로세서(130)가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이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제 1 및 제 2 스위치(127a), (127b)로부터의 감지 신호들(안착 및 미안착)과 제 1 및 제 2 접속부(122), (123)로부터의 접속 신호들(접속 및 비접속)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제 1 스위치(127a)로부터 제 1 청음 보조 장치(10)가 제 1 수용 공간에 안착되었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접속부(122)로부터 제 1 청음 보조 장치(10)가 대응하는 제 1 접속부(1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다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제 1 청음 보조 장치(10)가 충전 가능한 상태로 판단한다. 같은 방법으로, 프로세서(130)는 제 2 스위치(127b)로부터의 감지 신호와, 제 2 접속부(123)로부터의 접속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제 2 청음 보조 장치(20)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Next, the charging algorithm includes the processor 130 separately checking whether each of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is in a chargeable state. The processor 130 may sense signals (settled and unsettl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27a and 127b and connection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22 and 123 (connection). And non-connec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 devices 10 and 20 are in a chargeable state.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switch 127a that the first listening aid 10 is se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receives the first listening aid from the first connection 122. When receiving the connection signal that the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first connection portion 122, the first listening aid 10 is determined to be in a chargeable state. In the same manner,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listening aid 20 is in a chargeable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witch 127b and the conn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connector 123. do.

다음으로,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가 충전 가능한 상태에서, 프로세서(130)는 감지부(126)로부터의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뚜껑부가 열림 상태인지 닫힘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즉, 프로세서(130)는 뚜껑부가 닫힘 상태인 경우를 판단하기 위한 자기장의 기준 세기를 저장하고, 저장된 기준 세기와 감지부(126)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를 비교하여 뚜껑부의 개폐 상태를 판단한다. 프로세서(130)는 감지부(126)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가 기준 세기 미만이면 뚜껑부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감지부(126)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이면 뚜껑부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Nex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are chargeable, the processor 130 opens the lid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detected magnetic field from the detector 126. Determine whether it is in the closed state or the closed state. That is, the processor 130 stores the referenc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or determining when the lid is in the closed state, and compares the stored reference intensity with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rom the sensing unit 126 to determine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lid.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at the lid is in an open state whe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rom the detector 126 is less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and the lid is in a closed state whe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rom the detector 126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intensity. To judge.

다음으로, 프로세서(130)는 뚜껑부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만 출력부(110e)로 사용 전원을 제 1 및/또는 제 2 공급부(124), (125)로 공급하도록 하며, 제 1 및/또는 제 2 공급부(124), (125)로 충전 명령을 인가하여 사용 전원을 공급 받은 제 1 및/또는 제 2 공급부(124), (125) 각각이 대응하는 제 1 및/또는 제 2 접속부(122), (123)로 사용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Next, the processor 130 supplies power to the first and / or second supply parts 124 and 125 to the output part 110e only when the lid part is in the closed state. The first and / or second connecting portions 122 to which the first and / or second supplying portions 124 and 125 which have been supplied power by applying a charging command to the second supplying portions 124 and 125 are respectively supplied.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are charged by supplying the use power to 123.

또한, 제 1 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중의 하나의 청음 보조 장치만이 충전 가능한 상태이며 뚜껑부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청음 보조 장치에 대한 충전만이 수행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only one hearing aid device of the first or second hearing aid device 10 or 20 is chargeable and the lid part is closed, the processor 130 may charge only one hearing aid device. Let this be done.

상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가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의 제 1 및/또는 제 2 수용 공간으로의 안착에 의한 전기적 연결 및 뚜껑부의 닫힘 동작을 확인한 이후에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이물질(예를 들면, 철사, 동전, 금속성 물질 등)이 제 1 및/또는 제 2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충전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여 충전 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130 performs the electrical connection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id by the seating of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 10, 20 to the first and / or second receiving space. After confirming, charging of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 10, 20 is carried out so that external foreign matter (e.g., wire, coin, metallic material, etc.) is removed from the first and / or second.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charging is not performed, thereby improving safety during charging.

또한, 프로세서(130)는 충전 가능한 상태이거나 충전 중인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의 충전 상태에 대해서 제 1 및/또는 제 2 접속부(122), (123)로부터 전원부(17) 및/또는 (27) 각각의 충전 상태(예를 들면, 충전 잔존 시간, 충전양 등)를 수신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be charged with the first and / or second connection portions 122 and 123 with respect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 10 and 20 that is or may be charged. The charging state (for example, charge remaining time, charge amount, etc.) of each of the power supply unit 17 and / or 27 is receiv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7 and / or 27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도 3a 및 도 3b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와 충전 장치의 분리 및 결합 예시도들이다. 자세하게는, 도 3a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가 충전 장치(100)의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S1), (S2)에 안착되기 이전(분리)의 예시도이고, 도 3b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가 충전 장치(100)의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S1), (S2)에 안착된 이후(결합)의 예시도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and the charging device. In detail, FIG. 3A shows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20 before (separation) from being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spaces S1, S2 of the charging device 100. FIG. 3B is an exemplary view, and FIG. 3B shows after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are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S1 and S2 of the charging device 100 (combined). An illustration of the.

도 3a 및 도 3b에서, 제 1 청음 보조 장치(10)는 입력부(12)가 외부에 형성된 케이스(10a)를 구비하면, 제 2 청음 보조 장치(20)는 입력부(22)가 외부에 형성된 케이스(20a)를 구비한다. 3A and 3B, when the first hearing aid device 10 includes a case 10a having an input unit 12 formed outside, the second hearing aid device 20 may include a case having an input unit 22 formed outside. 20a is provided.

또한, 충전 장치(100)는 상면에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S1), (S2)과 표시부(120)(제 1 표시부(120a) 및 제 2 표시부(120b)로 구성됨)가 형성된 케이스(100a)와, 케이스(100a)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케이스(100a)의 상면을 개폐하는 뚜껑부(100b)를 구비한다. 제 1 표시부(120a)는 제 1 청음 보조 장치(1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20b)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2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0 may include a case having a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S1 and S2 and a display unit 120 (consisting of the first display unit 12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b)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100a and a lid part 100b which are hinged to the case 100a so as to be rotatable and open and close the top surface of the case 100a. The first display unit 120a displays the state of charge of the first listening aid 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b displays the state of charge of the second hearing aid 20.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S1), (S2) 각각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 안착되는 공간으로, 저면에는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의 전원부(17), (27)에 대응하며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단자(122a), (123a)와, 제 1 및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의 케이스(10a), (20b)가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S1), (S2)에 삽입 안착될 때 동작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127a), (127b) 각각이 장착된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spaces S1 and S2 is a spa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is inserted and seated. Contact terminals 122a and 123a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units 17 and 27 of the auxiliary devices 10 and 20 and electrically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27a and 127b operated when the respective cases 10a and 20b are inserted and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S1 and S2 is mounted. .

케이스(100a) 내부에는 전원부(110), 제 1 및 제 2 공급부(124), (125), 감지부(126) 및 프로세서(130)가 장착되며, 감지부(126)는 케이스(100a)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10, the first and second supply units 124 and 125, the detection unit 126, and the processor 130 are mounted in the case 100a, and the detection unit 126 is provided in the case 100a. It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ide.

케이스(100a)의 외측면에는 전원부(110)의 커넥터(110a)가 장착되며, 커넥터(110a)에 외부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200)이 탈착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10a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00a, and the power cable 200 for supplying external commercial power to the connector 110a may be detached.

뚜껑부(100b)의 저면에는 자성체(140)가 장착된다. 뚜껑부(100b)의 열림 상태에서는 자성체(140)와 감지부(126) 간의 간격이 멀어지고(즉, 감지부(126)에서 감지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기준 세기 미만이 되고), 뚜껑부(100b)의 닫힘 상태에서는 자성체(140)와 감지부(126) 간의 간격이 가까워지도록(즉, 감지부(126)에서 감지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이 되도록), 자성체(140)와 감지부(126) 각각이 뚜껑부(100b)와 케이스(100a) 각각에 장착된다. The magnetic body 14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lid part 100b. In the open state of the lid part 100b, the gap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140 and the detector 126 is far away (that is,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detected by the detector 126 is less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and the lid part 100b ) In the closed stat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ic body 140 and the sensing unit 126 is close (that is,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26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intensity), the magnetic body 140 and the sensing unit ( 126 are respectively mounted to the lid part 100b and the case 100a.

도 3b에서, 제 1 및/또는 제 2 청음 보조 장치(10), (20) 각각이 제 1 및/또는 제 2 수용 공간(S1), (S2)에 삽입 안착되면, 전원부(17) 및/또는 (27)이 접촉 단자(122a) 및/또는 (123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및/또는 제 2 접속부(122), (123)이 프로세서(130)에 접속 신호를 각각 인가하고, 제 1 및/또는 제 2 스위치(127a), (127b)가 동작되어 감지 신호(안착 신호)를 프로세서(130)에 인가한다. In FIG. 3B, when each of the first and / or second listening aids 10 and 20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first and / or second accommodation spaces S1 and S2, the power supply unit 17 and / or Or (2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s 122a and / or 123a so that the first and / or second connectors 122, 123 apply connection signals to the processor 130, respectively, The first and / or second switches 127a and 127b are operated to apply a sense signal (settling signal) to the processor 130.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a part of an apparatus (eg, a processor or functions thereof) or a method (eg, operations) may be, for exampl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the form of a program module. Can be implemented with stored instructions. When the instruction is executed by a processor,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for example, a memory.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s, floppy disks, magnetic media (e.g. magnetic tape), optical media (e.g. CD-ROM, Digital Versatile Disc), magnetic- Optical media (eg, floppy disks), hardware devices (eg, ROM, RAM, or flash memory, etc.), etc. In addition,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It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executable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various embodiments, and The reverse is also true.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The processor or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some of them may be omitt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other compon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module, or other compon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xecuted in a sequential, parallel, repetitive, or heuristic manner. In addition, som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may have various Of course,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제 1 청음 보조 장치 20: 제 2 청음 보조 장치
30: 전자 통신 장치 100: 충전 장치
10: first hearing aid device 20: second hearing aid device
30: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100: charging device

Claims (4)

안테나를 구비하며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전자 통신 장치로부터 파일의 재생과 관련되거나 전화 통화를 위하거나 피팅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충전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사용 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전원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여 통신부나 제 1 전원부로 인가하는 입력부와, 음성 증폭 기능을 위해 외부 소리를 획득하는 제 1 마이크와, 전화 통화를 위해 외부 소리를 획득하는 제 2 마이크와, 음 방출을 수행하는 스피커와, 통신부로부터 파일의 재생과 관련되거나 전화 통화를 위한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의 음성 증폭에 관련된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스피커에 인가하는 제 1 스위치와, 통신부의 제어에 의해 제 1 마이크로부터의 외부 소리에 대한 음성 증폭 기능을 수행하여 음성 증폭에 관련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스위치에 인가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로 구성된 청음 보조 장치가 삽입 안착되는 수용 공간을 상면에 구비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며 자성체가 장착된 뚜껑부와;
외부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충전하며 사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와;
수용 공간 내에서 청음 보조 장치의 제 1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와;
사용 전원을 공급 받으며 접속부에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사용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자성체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어 청음 보조 장치가 수용 공간에 안착된 것을 감지하는 제 2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로부터의 감지 신호와, 청음 보조 장치와 접속부 간의 전기적 연결 및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공급부를 제어하여 접속부으로의 사용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보조 장치를 위한 충전 장치.
A first communication unit having an antenna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ing a data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file from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or making a telephone call, or receiving data for fitting setting; A power supply unit,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n input from a user and applying it to a communication unit or a first power unit, a first microphone for acquiring external sound for a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a second microphone for acquiring external sound for a phone call, A speaker for performing sound emission, a first switch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file from a communication unit or an electrical signal for a telephone call or amplifying a voice from a data processor, and applying the same to the speaker;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for the external sound from the first micro A case having a receiving space is listening assistance device is configured as a data processor to b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to generate a signal group to be inserted and seated on an upper surface;
A lid part which opens and closes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and is equipped with a magnetic material;
A second power supply unit which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harges the battery to supply power;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contac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portion of the listening ai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supply unit receiving the used power and supplying the used power by controlling the processor to the connection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rom the magnetic body;
A second switch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sense that the hearing aid is se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witch,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hearing aid and the connection and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e processor to control the supply to supply and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connection. Charging device for the hear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부는 케이스에 장착되며, 뚜껑부의 개폐 상태에 따라 감지부와 자성체 간의 간격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보조 장치를 위한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unit is mounted to the case, the charging device for a hearing ai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unit and the magnetic material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lid.
KR1020180118913A 2018-10-05 2018-10-05 Hearing assistant apparatu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KR102080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913A KR102080100B1 (en) 2018-10-05 2018-10-05 Hearing assistant apparatu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913A KR102080100B1 (en) 2018-10-05 2018-10-05 Hearing assistant apparatu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100B1 true KR102080100B1 (en) 2020-02-24

Family

ID=6963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913A KR102080100B1 (en) 2018-10-05 2018-10-05 Hearing assistant apparatu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1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4346A (en) * 2006-08-10 2008-02-14 (주)와이즈앤블루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KR20110119835A (en) * 2009-03-23 2011-11-02 비덱스 에이/에스 Method for establish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hearing aid
KR20140098615A (en) * 2013-01-31 2014-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fitting hearing aid 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reof
KR101760753B1 (en) 2016-07-04 2017-07-24 주식회사 이엠텍 Hearing assistant device for informing state of wear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4346A (en) * 2006-08-10 2008-02-14 (주)와이즈앤블루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KR20110119835A (en) * 2009-03-23 2011-11-02 비덱스 에이/에스 Method for establish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hearing aid
KR20140098615A (en) * 2013-01-31 2014-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fitting hearing aid 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reof
KR101760753B1 (en) 2016-07-04 2017-07-24 주식회사 이엠텍 Hearing assistant device for informing state of wear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64949B (en) Wrist strap type AI voice interaction device and system
CN101401399B (en) Headset with ambient sound
JP4304627B2 (en) Acoustic system
US6473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a wireless headset used with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20070297634A1 (en) Earphone system with usage detection
US20150078575A1 (en) Audio apparatus and methods
US2008010163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sonal hands-free accessory with audio disable
US20070249411A1 (en) No-cable stereo handsfree accessory
CN109068209A (en) Bluetooth headset, charging box, bluetooth headset component and its exchange method
KR200460949Y1 (en) Case for iphone having an speeker
US9319780B2 (en) Smart passive speaker drive
KR20200005053A (en) Cradle for wireless earbuds
US9867127B2 (en) Feature pack for interfacing with devices
KR20110101864A (en) Hearing aid ear-mike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ction
CN112533097A (en) Earphone in-box detection method, earphone box and storage medium
JP2020057929A (en) Multi-power source wireless ear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earphone
KR102080100B1 (en) Hearing assistant apparatu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EP2903243A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headset
CN112995852B (en) Vehicle-mounted wireless earphon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46803B1 (en) Hearing assistant system
JP6183745B2 (en) Power supply and audio signal input adapter and hearing aid
KR102135800B1 (en) Wireless hearing assisting device
CN216820048U (en) Earphone box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802003B1 (en) Speaker case for sound control unit
CN216086980U (en) Earphone box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