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969B1 -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969B1
KR102078969B1 KR1020190083638A KR20190083638A KR102078969B1 KR 102078969 B1 KR102078969 B1 KR 102078969B1 KR 1020190083638 A KR1020190083638 A KR 1020190083638A KR 20190083638 A KR20190083638 A KR 20190083638A KR 102078969 B1 KR102078969 B1 KR 102078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ule
terminal
digital
exhib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커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커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커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8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 및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System for displaying and transacting digital art using AR and VR}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 및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물리적으로 현실에 존재하지 않으나,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생성 및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예술품이 창작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예로 디지털 사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그려진 디지털 그림, 디지털 동영상, 3D 모델링 데이터, 3D 스캐닝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는데, 하기 특허문헌처럼 디지털 예술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012999호(2016. 02. 03. 공개) "디지털 아트 및 이미징을 배포하고, 뷰잉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하지만, 종래 디지털 예술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은 디지털 예술품의 배포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어, 종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 및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법 복제의 위험없이 디지털 예술품을 독점적으로 소유하고 현실 배경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전시가 가능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가 기록됨으로 증명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켜,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은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 및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시설정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전시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전시관람부와,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가 수행되도록 하는 거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시설정부는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설정모듈과, 영상취득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배경으로 이용하여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하는 증강현실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회원정보와 함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가상현실 전시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인지 판단하는 확인모듈과,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라고 상기 확인모듈이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전시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여 상기 회원이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전시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모듈과, 상기 정보모듈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전시실에서 상기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회원정보와 함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증강현실 전시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인지 판단하는 전시요청모듈과,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라고 상기 요청모듈이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여, 상기 회원이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 및 상기 증강현실 전시실에서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시관람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가상현실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가상현실관람모듈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특정 증강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증강현실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증강현실관람모듈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회원이 특정 영상취득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에 존재한다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특정 영상취득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수득하고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증강현실 전시실을 생성하여 푸시 형태로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푸시관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취득장치에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정보처리앱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게 되며, 상기 푸시관람모듈은 상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기가 특정 영상취득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래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매수하겠다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거래요청모듈과, 상기 거래요청모듈이 특정 디지털 예술품을 매수하겠다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이 거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는 거래정보모듈과, 상기 거래정보모듈에 의해 거래 정보가 전송된 후, 매수를 원하는 회원의 단말기 및 소유권자 회원의 단말기와 디지털 예술품의 매매 가격 정보를 교환하여 매수자와 소유권자의 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가격합의모듈과, 상기 가격합의모듈이 매수자와 소유권자의 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매수자를 매매 대상이 되는 디지털 예술품의 새로운 소유권자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소유권이전모듈과, 상기 소유권이전모듈에 의해 소유권 이전의 사실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경우, 이전 소유자권가 전시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전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삭제하는 삭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거래 정보를 매매에 관여하지 않은 타 회원의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분산기록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거래 정보에는 창작자, 이전 소유자, 현재 소유자 및 이전 거래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정보모듈은 저장부 및 무작위로 선택된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기에 거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특정 영역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배치 영상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현실배치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현실배치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특정 장소의 특정 영역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배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현실배치요청모듈과, 상기 현실배치요청모듈이 배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된 촬영 영상을 수득하는 배경영상모듈과, 상기 배경영상모듈이 출력한 촬영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배치영상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촬영 영상에 합성하여 형성한 배치 영상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배치영상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 및 거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법 복제의 위험없이 디지털 예술품을 독점적으로 소유하고 현실 배경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전시가 가능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가 기록됨으로 증명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켜,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가입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전시설정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가상현실설정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2의 전시관람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2의 현실배치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2의 거래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4의 가상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일 예의 가상현실 전시실의 디스플레이 화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의 블럭도이며,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입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전시설정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상현실설정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6은 도 2의 전시관람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2의 현실배치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8은 도 2의 거래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9는 도 4의 가상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일 예의 가상현실 전시실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을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은 단말기(100), 영상취득장치(200), 관리서버(1), DB서버(3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예술품은 물리적으로 현실에 존재하지 않으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를 의미하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은 컴퓨터 파일 형태로 존재하며, 디지털 사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그려진 디지털 그림, 디지털 동영상, 3D 모델링 데이터, 3D 스캐닝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관리서버(1)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말기(100)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PC, 스파트폰, 태블릿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를 통한 정보의 교환은, 상기 관리서버(1)에서 전송받아 설치된 정보처리앱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1)에 의해 관리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행되게 된다. 상기 단말기(100)는 디지털 예술품의 창작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와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창작자라 함은 디지털 예술품을 창작한 자를 의미하고, 상기 일반 사용자라 함은 상기 시스템을 통해 전시되는 디지털 예술품을 감상하고,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거래하는 일반인을 의미한다.
상기 관리서버(1)는 상기 단말기(100)와 정보를 교환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전시 및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송수신부(11), 가입부(12), 등록부(13), 전시설정부(14), 전시관람부(15), 현실배치부(16), 거래부(17), 분산기록부(18), 저장부(19), 제어부(2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1)는 단말기(100), 영상취득장치(200) 및 DB서버(300) 등과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가입부(12)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회원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회원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회원가입을 완료하고 회원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창작자가입모듈(121), 사용자가입모듈(12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창작자가입모듈(121)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창작자 회원의 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창작자 회원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창작자 회원의 가입을 완료하고 창작자 회원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가입모듈(122)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을 완료하고 일반 사용자 회원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등록부(13)는 상기 창작자가입모듈(121)에 의해 가입이 완료된 창작자 회원의 정보,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 및 디지털 예술품의 등록을 요청하는 정보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경우, 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예술품(원본 파일)을 상기 DB서버(300)에 저장하고, 상기 창작자를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로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한다.
상기 전시설정부(14)는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가상현실설정모듈(141), 증강현실설정모듈(142)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141)은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확인모듈(141a), 정보모듈(141b), 위치모듈(141c), 저장모듈(141d) 등을 포함한다.
상기 확인모듈(141a)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회원정보와 함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가상현실 전시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인지 판단한다.
상기 정보모듈(141b)은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라고 상기 확인모듈(141a)이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전시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여, 상기 회원이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전시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DB서버(300)에는 다양한 가상현실 전시실이 존재하므로, 상기 회원은 단말기(100)를 통해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모듈(141c)은 상기 정보모듈(141b)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전시실에서 상기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상현실 전시실에는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수 있는 다수의 영역이 존재하므로, 상기 회원은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전시실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모듈(141d)은 상기 위치모듈(141c)에 의해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가상현실 전시실의 특정 영역이 선택된 후,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의 특정 영역에 특정 회원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이 전시된다는 전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한다. 도 9는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141)에 의해 설정된 가상현실 전시실(A)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상기 디지털 예술품(B)이 위치할 수 있는 다수의 영역(C)이 존재하며, 디지털 예술품(B)의 각 소유권자는 상기 영역(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디지털 예술품(B)을 전시할 수 있어, 즉 하나의 가상현실 전시실에는 소유권자가 다른 여러 개의 디지털 예술품이 전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예수품(B)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영역(C)에서 동영상이 플레이되게 된다.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142)는 영상취득장치(200)가 촬영한 영상을 배경으로 이용하여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하는 증강현실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시요청모듈(142a), 선택모듈(142b), 저장모듈(142c)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취득장치는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구성으로, 디지털 CCTV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연상취득장치가 광화문에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광화문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전시요청모듈(142a)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회원정보와 함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증강현실 전시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인지 판단한다.
상기 선택모듈(142b)은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라고 상기 요청모듈(142a)이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여, 상기 회원이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 및 상기 증강현실 전시실에서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영상취득장치(200)는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여러 장소의 영상을 취득하고, 상기 관리서버(1)는 상기 영상취득장치(200)가 출력한 영상을 배경으로 하여 증강현실 전시실을 생성하므로, 상기 회원은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전시실을 확인하고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 및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모듈(142c)은 상기 선택모듈(142b)에 의해 증강현실 전시실 및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이 선택된 후, 특정 증강현실 전시실의 특정 영역에 특정 회원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이 전시된다는 전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한다. 예컨대, 영상취득장치(200)가 광화문, 강남역에 설치되어 있고, 광화문에서 촬영된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특정 영역 a, b, c에 디지털 예술품을 설치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A) 및 강남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특정 영역 d, e, f에 디지털 예술품을 설치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B)이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회원이 증강현실설정모듈(142)을 통해 자신이 소유하는 디지털 예술품(C)의 전시를 위해 전시실 A 및 영역 b를 선택한 경우, 회원이 증강현실 전시실 A의 관람을 요청한 경우 상기 영상취득장치(200)가 촬영한 광화문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영역 b에 디지털 예술품(C)가 위치하는 영상을 상기 회원이 단말기(100)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전시관람부(15)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전시설정부(14)에 의해 설정된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가상현실관람모듈(151), 증강현실관람모듈(152), 푸시관람모듈(153)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가상현실관람모듈(151)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141)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가상현실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9는 상기 단말기(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현실 전시실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증강현실관람모듈(152)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증강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증강현실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증강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전시실의 배경이 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취득장치(200)로부터 수득하는 영상취득모듈(152a)과,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영상취득모듈(152a)을 통해 수득한 영상에 합성하여 증강현실 전시실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는 합성모듈(152b)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푸시관람모듈(153)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회원이 특정 영상취득장치(200)가 위치하는 지역에 존재한다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특정 영상취득장치(200)가 촬영한 영상을 수득하고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증강현실 전시실을 생성하여 푸시 형태로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영상취득장치(200)에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장치(미도시, 예컨대,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비콘이 사용될 수 있음)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영상취득장치(즉, 전송장치)의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된 정보처리앱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100)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서버(1)에 전송하게 되며, 상기 푸시관람모듈(153)은 상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특정 영상취득장치(200)가 위치하는 지역에 존재한다고 판단하게 된다. 즉, 특정 지역에 회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푸시관람모듈(153)은 상기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증강현실 전시실을 상기 단말기(100)에 푸시 형태로 출력하므로, 상기 회원을 흥미를 가지고 상기 증강현실 전시실을 관람할 가능성이 커서, 디지털 예술품의 전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현실배치부(16)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특정 영역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배치 영상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현실배치요청모듈(161), 배경영상모듈(162), 배치영상출력모듈(163) 등을 포함한다.
상기 현실배치요청모듈(161)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장소의 특정 영역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배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구성이다.
상기 배경영상모듈(162)은 상기 현실배치요청모듈(162)이 배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서 출력된 촬영 영상을 수득하는 구성이다.
상기 배치영상출력모듈(163)은 상기 배경영상모듈(162)이 출력한 촬영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배치영상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촬영 영상에 합성하여 배치 영상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19)에는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에게 부여되는 특정 식별자(예컨대, 바코드, 큐알코드 등)를 촬영하여 출력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식별자 위치에 특정 디지털 예술품을 배치한다는 배치영상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식별자를 촬영한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현실배치요청모듈(161)은 배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며, 상기 배경영상모듈(162)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영상을 수득하고, 상기 배치영상출력모듈(163)은 상기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배치영상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영상에 특정 디지털 예술품이 합성된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는 자신에게만 부여된 상기 식별자를 자신이 원하는 특정 장소에 부착한 후, 상기 식별자를 촬영하여 전송함으로써, 언제든지 원하는 장소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래부(17)는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가 수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거래요청모듈(171), 거래정보모듈(172), 가격합의모듈(173), 소유권이전모듈(174), 삭제모듈(175), 부여모듈(176) 등을 포함한다. 회원은 상기 전시관람부(15) 또는 현실배치부(16)를 통해 타인 소유의 디지털 예술품을 볼 수 있고, 상기 거래부(17)를 통해 자신만 관람을 위한 목적 또는 투자의 목적으로 구매할 수 있어, 디지털 예술품의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래요청모듈(171)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매수하겠다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거래정보모듈(172)은 상기 거래요청모듈(171)이 특정 디지털 예술품을 매수하겠다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이 거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거래 정보에는 창작자, 이전 소유자, 현재 소유자, 이전 거래 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디지털 예술품을 매수하고자 하는 회원은 디지털 예술품의 현재 가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래정보모듈(172)은 저장부(19) 및 무작위로 선택된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하므로써, 해킹 등으로 인한 보안 사고를 방지하여 거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가격합의모듈(173)은 상기 거래정보모듈(172)에 의해 거래 정보가 전송된 후, 매수를 원하는 회원의 단말기(100) 및 소유권자 회원의 단말기(100)와 디지털 예술품의 매매 가격 정보를 교환하여 매수자와 소유권자의 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매수를 원하는 회원의 단말기(100)에서 디지털 예술품 A를 B원에 구매하겠다는 매매 가격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 A 소유권자의 단말기(100)에 상기 매매 가격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소유권자의 단말기(100)에서 매매를 승낙하는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게 된다.
상기 소유권이전모듈(174)은 상기 가격합의모듈(173)이 매수자와 소유권자의 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매수자를 매매 대상이 되는 디지털 예술품의 새로운 소유권자로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삭제모듈(175)은 상기 소유권이전모듈(174)에 의해 소유권 이전의 사실이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경우, 이전 소유자권가 전시설정부(14)를 통해 설정한 전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서 삭제하고, 이전 소유자에게 부여된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서 삭제한다. 즉, 디지털 예술품이 소유권 이전이 일어난 경우, 이전 소유자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디지털 예술품이 전지되지 않으며, 이전 소유자에게 부여된 식별자를 촬영하여 전송하여도 단말기에 디지털 예술품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상기 부여모듈(176)은 상기 삭제모듈(175)에 의해 이전 소유권자에게 부여된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삭제된 경우, 매매의 대상이 된 디지털 예술품에 매칭된 새로운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하고, 새로운 소유권자의 단말기(100)에 새로운 식별자를 수득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새로운 소유권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새로운 식별자를 출력하여 원하는 장소에 붙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산기록부(18)는 상기 저장부(19)에 기록된 거래 정보를 매매에 관여하지 않은 타 회원의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분산기록부(18)가 타 회원의 단말기(100)에 거래 정보 및 상기 거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라는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된 정보처리앱은 상기 거래 정보를 단말기(100)에 저장함으로써, 거래 정보를 해킹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부(19)는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설정정보,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생성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관리서버(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정보처리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DB서버(300)는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을 저장한다.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디지털 예술품의 원본 파일은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되고,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 시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원본 파일이 이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 기록만 저장되고 새로운 소유자는 전자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거래 시 불법 복제의 위험을 제거하면서도 소유권자는 언제든지 디지털 예술품을 확인할 수 있어, 투자 가치의 효용성을 높여 디지털 예술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관리서버 11: 송수신부 12: 가입부
13: 등록부 14: 전시설정부 15: 전시관람부
16: 현실배치부 17: 거래부 18: 분산기록부
19: 저장부 20: 제어부 121: 창작자가입모듈
122: 사용자가입모듈 141: 가상현실설정모듈 142: 증강현실설정모듈
151: 가상현실관람모듈 152: 증강현실관람모듈 153: 푸시관람모듈
161: 현실배치요청모듈 162: 배경영상모듈 163: 배치영상출력모듈
171: 거래요청모듈 172: 거래정보모듈 173: 가격합의모듈
174: 소유권이전모듈 175: 삭제모듈 176: 부여모듈
141a: 확인모듈 141b: 정보모듈 141c: 위치모듈
141d: 저장모듈 142a: 전시요청모듈 142b: 선택모듈
142c: 저장모듈 152a: 영상취득모듈 152b: 합성모듈

Claims (8)

  1. 단말기와,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영상취득장치와,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을 저장하는 DB서버와, 상기 단말기, 영상취득장치 및 DB서버와 정보를 교환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전시 및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은 물리적으로 현실에 존재하지 않으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고,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컴퓨터 파일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창작자 회원의 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창작자 회원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창작자 회원의 가입을 완료하고 창작자 회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창작자가입모듈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을 완료하고 일반 사용자 회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가입모듈과, 상기 창작자가입모듈에 의해 가입이 완료된 창작자 회원의 정보,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 및 디지털 예술품의 등록을 요청하는 정보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을 상기 DB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창작자를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등록부와,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시설정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전시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전시관람부와,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가 수행되도록 하는 거래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특정 영역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배치 영상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현실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시설정부는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설정모듈과, 상기 영상취득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배경으로 이용하여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하는 증강현실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설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회원정보와 함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가상현실 전시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인지 판단하는 확인모듈과,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라고 상기 확인모듈이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전시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여 상기 회원이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전시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모듈과, 상기 정보모듈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전시실에서 상기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회원정보와 함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증강현실 전시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인지 판단하는 전시요청모듈과,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라고 상기 전시요청모듈이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여, 상기 회원이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 및 상기 증강현실 전시실에서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시관람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가상현실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가상현실관람모듈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특정 증강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증강현실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증강현실관람모듈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회원이 특정 영상취득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에 존재한다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특정 영상취득장치가 촬영한 특정 지역의 영상을 수득하고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특정 지역의 영상에 합성하여 증강현실 전시실을 생성하여 푸시 형태로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푸시관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취득장치에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정보처리앱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게 되며, 상기 푸시관람모듈은 상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기가 특정 영상취득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에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거래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특정 디지털 예술품을 매수하겠다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거래요청모듈과, 상기 거래요청모듈이 특정 디지털 예술품을 매수하겠다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는 거래정보모듈과, 상기 거래정보모듈에 의해 거래 정보가 전송된 후, 매수를 원하는 회원의 단말기 및 소유권자 회원의 단말기와 디지털 예술품의 매매 가격 정보를 교환하여 매수자와 소유권자의 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가격합의모듈과, 상기 가격합의모듈이 매수자와 소유권자의 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 경우,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의 이전 없이 상기 매수자를 매매 대상이 되는 디지털 예술품의 새로운 소유권자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소유권이전모듈과, 상기 소유권이전모듈에 의해 소유권 이전의 사실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경우, 이전 소유자권가 전시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전시 정보를 저장부에서 삭제하고, 이전 소유자에게 부여된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서 삭제하는 삭제모듈과, 상기 삭제모듈에 의해 이전 소유권자에게 부여된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삭제된 경우, 매매의 대상이 된 디지털 예술품에 매칭된 새로운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새로운 소유권자의 단말기에 새로운 식별자를 수득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하는 부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는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에게 부여되는 특정 식별자를 촬영하여 출력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식별자 위치에 특정 디지털 예술품을 배치한다는 배치영상 설정 정보가 추가로 저장되어 있고,
    상기 현실배치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특정 식별자를 촬영한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특정 장소의 특정 영역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배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하는 현실배치요청모듈과, 상기 현실배치요청모듈이 배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된 촬영 영상을 수득하는 배경영상모듈과, 상기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배치영상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촬영 영상에 합성하여 형성한 배치 영상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배치영상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83638A 2019-07-11 2019-07-11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KR102078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638A KR102078969B1 (ko) 2019-07-11 2019-07-11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638A KR102078969B1 (ko) 2019-07-11 2019-07-11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969B1 true KR102078969B1 (ko) 2020-02-19

Family

ID=6966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638A KR102078969B1 (ko) 2019-07-11 2019-07-11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9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367B1 (ko)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24317A (ko) *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푸딩 메타버스 서비스에 적용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관람 시스템
KR20230163639A (ko) 2022-05-24 2023-12-01 정혜주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한 가상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454B1 (ko) * 2013-05-08 2013-09-04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3d 갤러리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70051019A (ko) * 2015-11-02 2017-05-11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KR101898650B1 (ko) * 2017-05-02 2018-09-13 주식회사 미디어포스앤컴퍼니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JP6391128B1 (ja) * 2017-09-27 2018-09-19 株式会社Artrigger 取引管理方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52660A (ko) * 2019-04-26 2019-05-16 김항주 예술품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454B1 (ko) * 2013-05-08 2013-09-04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3d 갤러리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70051019A (ko) * 2015-11-02 2017-05-11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KR101785911B1 (ko) * 2015-11-02 2017-10-16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KR101898650B1 (ko) * 2017-05-02 2018-09-13 주식회사 미디어포스앤컴퍼니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JP6391128B1 (ja) * 2017-09-27 2018-09-19 株式会社Artrigger 取引管理方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52660A (ko) * 2019-04-26 2019-05-16 김항주 예술품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367B1 (ko)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24317A (ko) *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푸딩 메타버스 서비스에 적용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관람 시스템
KR102618456B1 (ko) * 2022-02-18 2023-12-27 주식회사 푸딩 메타버스 서비스에 적용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관람 시스템
KR20230163639A (ko) 2022-05-24 2023-12-01 정혜주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한 가상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98447A1 (en) Target object management method, smart contract, and management device
KR102078969B1 (ko)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KR102078967B1 (ko) 증강현실를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배치 및 거래 시스템
JP5669517B2 (ja) 画像データ販売システムおよび画像データ販売方法ならびに撮影装置、サーバ装置
US202200582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information with a digital image file using a digital ledger
US20100157021A1 (en) Method for creating, storing, and providing access to three-dimensionally scanned images
KR102078968B1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거래 시스템
US20080294548A1 (en) Fee-Based Distribution of Media Based on Device Proximity
WO2016121808A1 (ja) サーバ装置、画像プリント装置、及び動画データ配信システム
KR102275189B1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US202202456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rchandise generation including an image
KR20210004256A (ko) 아트 아카이브 시스템
JP2021047722A (ja) 購入商品管理システム、ユーザ端末、サーバ、購入商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116176A (ko) 메타버스 기반 작품 전시 시스템
WO2023127181A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80036083A (ko)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9889725B (zh) 一种规避照片翻拍的系统和方法
KR20150055302A (ko)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을 이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9960909B (zh) 基于三维地图的社交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03217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220222719A1 (en) Security Video Sharing via a Searchable Database
US20150186622A1 (en) Print to eBook Conversion
CN114255333B (zh) 基于空间锚点的数字内容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7414918B1 (ja) 画像収集システム、画像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15034A (ko) 이미지 관리 및 거래가 가능한 웹 하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