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867B1 -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 Google Patents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867B1
KR102078867B1 KR1020130112077A KR20130112077A KR102078867B1 KR 102078867 B1 KR102078867 B1 KR 102078867B1 KR 1020130112077 A KR1020130112077 A KR 1020130112077A KR 20130112077 A KR20130112077 A KR 20130112077A KR 102078867 B1 KR102078867 B1 KR 10207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device
screen
authority
client
client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070A (ko
Inventor
김정인
서지환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867B1/ko
Priority to US14/486,227 priority patent/US10313426B2/en
Priority to PCT/KR2014/008588 priority patent/WO2015041436A1/en
Publication of KR2015003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1:n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의 제어권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제1 화면을 미러링하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받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된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METHOD FOR MANAGING CONTROL RIGHT, CLIENT DEVICE THEREOF, AND MASTER DEVICE THEREOF}
본원 발명은 미러링 서비스로 연결되어 있는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링 서비스로 연결되어, 소정 권한을 요청 및 획득하기 위한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자기기들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들 상호간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일 전자기기에서 다른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일 전자기기를 다른 전자기기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원격 제어나 전자기기들 간의 공유 이용을 위해서는 미러링(mirroring) 기술이 필요하다.
미러링 기술은 디스플레이 부(display unit)를 가진 장치들 간에 스크린 데이터(screen data)를 공유하고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미러링 기술은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간에 스크린 데이터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러링 기술은 노트북, 넷북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TV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부를 통하여 화면(screen)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널리 개발되고 있다. 다수개의 전자기기들에 미러링 기술을 적용하여, 화면을 공유하고 상호간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미러링 서비스(mirroring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Daas(Display as a service), 미라캐스트(Miracast) 및 에어플레이(Airplay) 등이 개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화면을 공유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디스플레이 기기'라 칭한다.
미러링 서비스에서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기에서 영상을 제공받는 기기로 소정 영상을 전송한다. 여기서, 영상을 제공하는 기기를 소스 기기(source device) 또는 마스터 기기(master device)라 칭할 수 있으며, 영상을 제공받는 기기를 싱크 기기(sink device) 또는 클라이언트 기기(client device)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기를 마스터 기기라 하고, 영상을 제공받는 기기를 클라이언트 기기라 한다.
현재 개발된 미러링 서비스 기술은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호 연결된 1:1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 두 기기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되어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되기 시작하면, 모든 제어권은 클라이언트 기기에게 주어진다. 1:1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는 제어권을 갖는 클라이언트 기기가 하나이므로, 제어권이 상호 충돌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에 스마트 폰, 스마트 TV,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전자기기들이 많이 출시되어 개별 사용자가 다수개의 전자기기를 보유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서, 하나의 마스터 기기에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이 연결되는 1:n 미러링 연결 환경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미러링 서비스 기술은 1:1 미러링 연결 환경만을 가정하고 있어서, 1:n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는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의 제어권 할당 방법이 없다.
따라서, 현재 개발된 미러링 서비스 기술을 이용하면, 1:n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는 n 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이 모두 제어권을 보유하게 되어서,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들이 중복되어,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기기1과 클라이언트 기기2가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연결된 경우, 클라이언트 기기1과 클라이언트 기기2가 마스터 기기의 화면을 동시에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제어권 충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기기1과 클라이언트 기기2는 각각 자신이 원하는 화면을 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1:n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에 제어권을 할당 또는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이 연결되는 1:n 연결 미러링 환경에서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이 편리하게 제어 권한을 할당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1:n 연결 미러링 환경에서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의 제어 권한이 서로 중복되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세부 제어 권한을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제1 화면을 미러링하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받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된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는 상기 요청된 권한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하여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할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선택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우선순위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권한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하거나 해제하면, 상기 다수개으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의 권한 부여 현황 또는 상기 권한 부여의 변경 내역을 알리는 정보가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한 화면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상에 필기 또는 그리기 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상기 제1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을 상기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권한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부여하거나 해제하면,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상기 권한 부여 현황 또는 상기 권한 부여의 변경 내역을 알리는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상기 접속 시에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상기 접속 및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의 권한 부여 현황을 알리는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는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제1 화면을 미러링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마스터 기기로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들을 부여받는 제어부, 및 상기 마스터 기기로 상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은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에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로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기기가 상기 요청된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권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상기 접속 시에 상기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상기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권한을 상기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할 것을 상기 마스터 기기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은 소정 권한을 부여받은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제2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상기 소정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소정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제어 권한은 상기 화면의 전체 또는 소정 영역을 확대, 축소, 회전, 편집, 또는 필기 또는 그리기 입력 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기기의 화면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한 상기 화면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제어 권한은 상기 화면상에 필기 또는 그리기 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며, 상기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또는 그리기 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단, 또는 업데이트시킬 수 있는 권한,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는 화면의 편집 권한, 및 상기 마스터 기기 내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은 상기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미러링 제어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은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의 권한 부여 현황을 알리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소정 권한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부여하면,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상기 권한 부여 현황 또는 상기 권한 부여의 변경 내역을 알리는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상기 접속 시에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상기 접속 및 권한 부여 현황을 알리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권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마스터 기기로 상기 권한 요청을 알리고, 상기 요청된 권한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기기가 소정 우선순위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의 미러링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 및 클라이언트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기기들은 상호 연결되어, 상호간을 원격 제어하고 상호 이용을 할 수 있다.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기기들은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부(display unit)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로 마스터 기기 또는 클라이언트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트북, 넷북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PDA 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컴퓨터,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의 미러링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가 1:n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기기(130)는 소정 네트워크(135)를 통하여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141, 142, 143)과 1:n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로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마스터 기기(130)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141, 142, 143)로 화면 전체를 복사하여 전송하거나, 화면의 소정 영역을 복사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화면의 서로 다른 영역을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네트워크(135)는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이다. 소정 네트워크(115)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Wi-Fi), 3G,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CDMA, WCDMA, NFC(Near field communication)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표준에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마스터 기기(130)는 마스터 기기(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화면, 동영상을 재생하는 화면, 메뉴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마스터 기기(13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기기들(141, 142, 143)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기기(13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화면 전체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고, 현재 재생되고 있는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생성 및 전송할 수 도 있다.
클라이언트 기기들(141, 142, 143) 각각은 소정 네트워크(135)를 통하여 마스터 기기(130)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클라이언트 기기들(141, 142, 143) 각각은 마스터 기기(13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따라 생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기기들(141, 142, 143) 각각은 마스터 기기(130)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screen)을 단일 또는 다중으로 나누어 전송받는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기기들(141, 142, 143) 각각은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터 기기(13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과 동일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 및 클라이언트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들은 1:n 네트워크 토폴로지로 연결되나,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만을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210)는 제어부(215), 디스플레이 부(220), 및 통신부(225)를 포함한다. 또한, 마스터 기기(210)는 입력부(230) 및 메모리(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260)는 제어부(265), 디스플레이 부(270), 및 통신부(275)를 포함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기기(260)는 입력부(280) 및 메모리(2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스터 기기(210)를 상세히 설명한 후, 클라이언트 기기(260)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215)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5)는 정지화상 데이터 또는 동화상 데이터와 같은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부(220)에서 디스플레이 될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메뉴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220)는 제어부(215)에서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5)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 화면을 입력받고, 이를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미도시)을 통하여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부(220)가 디스플레이하며,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미러링하는 화면을 제1 화면이라 한다. 즉, 미러링 서비스 실행 시, 디스플레이 부(220)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통신부(225)는 소정 네트워크(250)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5)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기기(260)의 통신부(275)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2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정 네트워크(25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3G,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210)의 통신부(225)는 근거리 통신 기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근접 연결 방식을 지원하여, 마스터 기기(210)와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인접하거나 접촉하게 되면,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도 있다.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마스터 기기(2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 또는 명령, 또는 기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입력부(230)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미도시)과 결합되는 터치 패드(touch pad)(미도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로 터치 스크린을 출력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받으면 터치 패드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30)가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230)는 터치 패드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 화면의 소정 지점, 예를 들어, 미러링 서비스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 지점을 터치하면, 입력부(230)는 터치된 지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215)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15)는 감지된 지점에 표시된 메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명령을 인식하며, 인식된 요청 또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링 서비스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 지점이 터치되면, 미러링 서비스 실행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어부(215)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30)가 터치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215)로 전송하면, 제어부(215)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가 미러링 서비스 메뉴임을 감지하고,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마스터 기기(2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35)는 각종 데이터, 마스터 기기(2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들,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미러링 서비스 실행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입력부(230)를 통하여 미러링 서비스가 요청되면, 제어부(215)는 요청된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5)는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엔코딩 및 멀티플렉싱하고, 전송 스트림을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225)는 제어부(215)에서 생성된 전송 스트림을 클라이언트 기기(26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210)에 있어서, 제어부(215)는 디스플레이 부(2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면을 미러링하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마스터 기기(210) 및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받는다. 그리고,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권한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요청할 수 있는 권한 및 마스터 기기(210)가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은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화면 제어 권한은 마스터 기기(2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권한이다. 화면 제어 권한은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마스터 기기(210)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권한이다. 여기서, 마스터 기기(210)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마스터 기기(2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마스터 기기(210)가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미러링 제어 권한은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으로, 미러링 서비스의 연결, 중단 및 해제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225)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요청을 수신하여 제어부(215)로 전달하며, 제어부(215)에서 생성된 응답을 상기 요청을 전송한 클라이언트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요청된 권한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메뉴 화면을 통하여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할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선택받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 기기(260)는 마스터 기기(210)와 소정 네트워크(250)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로, 마스터 기기(21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미러링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이다. 이하에서는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미러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제2 화면'이라 한다.
이하에서, 클라이언트 기기(260)를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기기(260)에 있어서, 제어부(265), 디스플레이 부(270), 통신부(275), 입력부(280), 및 메모리(385)는 각각 전술한 제어부(215), 디스플레이 부(220), 통신부(225), 입력부(230), 및 메모리(235)와 동일 대응되므로, 클라이언트 기기(260)의 상세 구성에 있어서 마스터 기기(210)의 설명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275)는 마스터 기기(210)의 통신부(225)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75)는 마스터 기기(210)의 통신부(225)와 소정 네트워크(250)를 통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통신부(225)에서 전송되는 제1 화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265)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면 또는 화면의 소정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 화면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5)는 마스터 기기(21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러링하기 위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화면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65)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면 전체를 미러링 할 수도 있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소정 부분 화면을 미러링 할 수 도 있다.
디스플레이 부(270)는 제어부(265)에서 생성된 소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 부(270)는 제1 화면을 미러링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제2 화면은 제1 화면과 동일한 화면으로, 제2 화면은 제1 화면 자체 또는 일부분을 확대한 화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260)에 있어서, 제어부(265)는 마스터 기기(210)로 마스터 기기 및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한다. 그리고, 마스터 기기(210)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들 각각을 부여받을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신부(275)는 권한의 요청을 마스터 기기(210)로 전송하며, 그에 대한 응답을 마스터 기기(210)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265)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280)는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메뉴 화면을 통하여 마스터 기기(210)에 요청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선택받을 수 있다. 메뉴 화면은 전술한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미러링 제어 권한의 선택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기기(210) 및 클라이언트 기기(260)의 동작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300)은 1:n 네트워크 토폴로지로 연결된 1:n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300)은 도 2에서 도시한 마스터 기기(210) 및 클라이언트 기기(26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권 관리 방법(300)은 도 2에 도시된 마스터 기기(210) 및 클라이언트 기기(260)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권 관리 방법(300)은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에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한다(310 단계). 310 단계에 있어서,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는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마스터 기기와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가 연결 된 후, 후속 시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가 마스터 기기와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1:n 미러링 연결 환경이 성립될 수도 있다. 310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서, 1:n 미러링 연결 환경에 있는 마스터 기기와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는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마스터 기기로 마스터 기기 및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한다(320 단계). 320 단계의 동작은 클라이언트 기기(260)의 제어부(265)의 제어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기기가 요청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권한은 전술한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320 단계에 있어서,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마스터 기기의 동작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의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권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기기(260)는 마스터 기기(210)로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320 단계에 있어서,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접속 시에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접속 시에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요청되도록 설정된 권한을 마스터 기기에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기(210)와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미러링 서비스로 연결되면, 연결 직후에 클라이언트 기기(260)에 권한 요청을 위한 메뉴 화면이 자동으로 팝 업 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메뉴 화면을 통하여 마스터 기기(210)에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클라이언트 기기(260)는 입력된 권한을 마스터 기기(210)로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마스터 기기(210)와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미러링 서비스로 연결되면, 연결 직후에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자동적으로 기 설정된 소정 권한을 마스터 기기(21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미러링 제어 권한이 모두 요청될 것으로 설정된 경우, 마스터 기기(210)와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미러링 서비스로 연결된 직후에 클라이언트 기기(260)가 전술한 세 가지 권한을 마스터 기기(210)로 요청할 수 있다.
320 단계의 요청을 받은 마스터 기기가 요청된 권한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한다(330 단계). 330 단계의 동작은 마스터 기기(210)의 제어부(215)의 제어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에게 소정 권한을 부여할 때, 소정 권한이 두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되지 않도록 한다. 예외적으로, 화면 제어 권한 중 그리기 권한은 두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에 복수적으로 부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한다.
330 단계에 있어서, 마스터 기기(210)는 권한이 요청된 경우, 입력부(2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210)의 제어부(215)는 소정 우선순위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우선순위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또는 마스터 기기(210)의 제어부(215)가 자체적으로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n 클라이언트 기기들(141, 142, 143)이 하나의 마스터 기기(130)와 연결되고, 제1 클라이언트 기기, 제2 클라이언트 기기 내지 제 n 클라이언트 기기 순으로 우선권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가 동시에 소정 권한을 마스터 기기(130)로 요청하면, 마스터 기기(130)는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갖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41)에 소정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400)에 있어서, 410 단계, 420 단계 및 430 단계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제어권 관리 방법(300)의 310 단계, 320 단계 및 330 단계와 각각 동일 대응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권 관리 방법(400)은 1:n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 수행되며, 도 2에서 도시한 마스터 기기(210) 및 클라이언트 기기(26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된다(410 단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마스터 기기로 마스터 기기 및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한다(420 단계). 420 단계는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420 단계는 421 단계, 422 단계 및 42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5에서는 하나의 마스터 기기(510)와 2개의 클라이언트 기기인 제1 클라이언트 기기(540)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570)가 소정 네트워크(531, 533)를 통하여 미러링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마스터 기기(510)와 클라이언트 기기(540 또는 570)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마스터 기기(210)와 클라이언트 기기(260)에 동일 대응된다.
또한, 이하의 도 5 내지 도 9에서는, 마스터 기기가 스마트 폰이고, 클라이언트 기기들이 스마트 TV 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5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미러링하여 스마트 TV들(540, 570)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적어도 하나의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한다(421 단계). 구체적으로,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421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265)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부(270)에서 수행된다.
421 단계의 메뉴 디스플레이는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여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된 직후에 이뤄질 수 있다.
또는, 메뉴 디스플레이는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권한 요청을 하려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권한을 요청하려고 소정 명령을 입력하면, 그에 응답하여 메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메뉴 화면(551)이 제1 클라이언트 기기(540)의 화면(550)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581)이 제2 클라이언트 기기(570)의 화면(580)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메뉴 화면(551, 581)은 마스터 기기의 동작 및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뉴 화면(551, 581)은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미러링 제어 권한을 각각 선택할 수 있는 권한 목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42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을 통하여 메뉴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다(422 단계). 422 단계의 동작은 입력부(2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기기(540)의 사용자는 미러링 제어 권한(552)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기기(570)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582)을 선택할 수 있다.
422 단계에서 선택된 권한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할 것을 마스터 기기(510)에 요청할 수 있다(423 단계). 구체적으로, 각각의 클라이언트 기기들(540, 570)은 권한 부여 요청을 개별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라이언트 기기(540)는 미러링 제어 권한의 부여 요청을 소정 네트워크(531)를 통하여 마스터 기기(510)에 할 수 있다. 또한, 제2 클라이언트 기기(57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의 부여 요청을 소정 네트워크(533)를 통하여 마스터 기기(510)에 할 수 있다.
420 단계의 요청을 받은 마스터 기기가 요청된 권한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한다(430 단계). 상기된 예에서, 마스터 기기(51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540)의 요청에 응답하여, 미러링 제어 권한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540)로 부여하거나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510)는 제2 클라이언트 기기(570)의 요청에 응답하여, 미러링 제어 권한을 제2 클라이언트 기기(570)로 부여하거나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510)는 클라이언트 기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해당 클라이언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5)는 요청된 권한을 클라이언트 기기로 부여하지 않은 경우, 최초로 해당 권한을 요청한 클라이언트 기기에 자동으로 해당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430 단계는 431 단계, 432 단계 및 43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420 단계의 권한 요청이 있으면, 마스터 기기(510)로 권한 요청을 알리고, 요청된 권한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431 단계). 431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215)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부(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43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521)은 각각의 클라이언트 기기들이 요청한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요청한 기기가 제2 클라이언트 기기임이 나타나도록 메뉴 화면은 522 부분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미러링 제어 권한을 요청한 기기가 제1 클라이언트 기기임이 나타나도록 메뉴 화면은 523 부분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메뉴 화면을 통하여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로 허여할 권한을 선택받는다(422 단계). 4220 단계의 동작은 입력부(2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뉴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해당 권한을 부여할 클라이언트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메뉴 화면을 통하여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의 권한 부여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메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한다(433 단계). 433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21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제2 디스플레이 기기(570)에 부여할 수 있고, 미러링 제어 권한은 제1 디스플레이 기기(540)에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미러링 제어 권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화면 제어 권한은 마스터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권한이다. 구체적으로, 화면 제어 권한은 마스터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전체 또는 소정 영역을 확대, 축소, 회전, 편집, 또는 필기 또는 그리기 입력 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제어 권한에 있어서, 필기 또는 그리기 할 수 있는 권한은,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에 대하여 공동으로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그리기 작업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에서 공동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마스터 기기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에 대하여 화면 제어 권한 중 그리기 권한을 공동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화면 제어 권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6에는 마스터 기기인 스마트 폰(610)과 소정 네트워크(631, 633)를 통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인 스마트 TV들(640, 670)이 도시된다.
제어부(215)는 마스터 기기의 화면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화면 제어 권한을 부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터 기기(610)의 화면(615)에서 제1 영역(611) 및 제2 영역(612)을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611)에 대한 화면 제어 권한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640)에 부여하고, 제2 영역9612)에 대한 화면 제어 권한을 제2 클라이언트 기기(67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라이언트 기기(640)는 제1 영역(611)의 화면을 미러링한 화면(650)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클라이언트 기기(670)는 제2 영역(612)의 화면을 미러링한 화면(68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1 클라이언트 기기(640)는 제1 영역(611)을 확대, 축소, 회전, 편집, 또는 필기 또는 그리기 입력할 수 있으며, 제2 클라이언트 기기(670)는 제2 영역(612)을 확대, 축소, 회전, 편집, 또는 필기 또는 그리기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에는 화면 제어 권한을 부여한 다른 예가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터 기기인 스마트 폰(710)과 소정 네트워크(731, 733)를 통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인 태블릿 PC(740, 770)가 도시된다. 또한, 태블릿 PC(740, 770)의 화면은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태블릿 PC(740, 770)를 전자칠판으로 활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7에서는 화면 제어 권한이 마스터 기기(710)의 분할화면 각각에 대하여 부여되는 경우가 예시된다.
마스터 기기(710)를 전자칠판으로 활용하는 경우, 마스터 기기(710)의 사용자는 마스터 기기(710)의 화면(720)의 제1 영역(721)에 학생들에게 풀게 할 수학문제를 기재하고, 백지의 영역들인 제1 및 제2 영역들(722, 723) 각각을 학생들이 이용할 디스플레이 기기인 태블릿 PC들(740, 770)이 미러링하도록 한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740)는 마스터 기기(7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제1 영역(722)을 미러링한 화면(750)을 디스플레이하며, 제2 클라이언트 기기(770)는 마스터 기기(71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중 제2 영역(723)을 미러링한 화면(780)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예에서, 마스터 기기(710)는 제1 영역(722)에 대한 화면 제어 권한은 제1 클라이언트 기기(740)에 부여하고, 제2 영역(723)에 대한 화면 제어 권한은 제2 클라이언트 기기(770)에 부여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1 클라이언트 기기(740)의 터치 스크린 상으로 학생1이 문제 풀이를 할 수 있으며, 제2 클라이언트 기기(770)의 터치 스크린 상으로 학생2가 문제 풀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스터 기기(710)가 학생1 및 학생2의 문제 풀이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권한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마스터 기기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단,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는 권한,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는 화면의 편집 권한, 및 마스터 기기 내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와 동일하게 마스터 기기인 스마트 폰(810)과 소정 네트워크(831, 833)를 통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인 태블릿 PC들(840, 870)이 도시된다. 또한, 태블릿 PC들(740, 770)의 화면은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들(840, 870)가 마스터 기기(810)의 화면을 미러링하여 디스플레하여,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들(840, 870) 각각의 화면(845, 875)은 마스터 기기(810)의 화면(815)을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한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840)가 마스터 기기(810)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마스터 기기(8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840)에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라이언트 기기(840)는 마스터 기기(81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816)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면, 마스터 기기(810)는 소정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며, 화면(815)은 비디오 컨텐츠 재생 화면으로 변화될 것이다. 또한, 제1 클라이언트 기기(84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권한을 가지므로, 재생되는 비디오 컨텐츠를 중지, 되감기, 빨리감기, 볼륨 조절 등의 제어 동작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화면의 편집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부여할 경우, 자동으로 화면 제어 권한을 함께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라이언트 기기(840)가 마스터 기기(810)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요청한 경우, 마스터 기기(8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과 화면 제어 권한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840)에 부여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1 클라이언트 기기(840)는 화면(815)에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편집하여 화면(815)을 변경시킬 수 있다.
미러링 제어 권한은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다. 구체적으로, 미러링 제어 권한은 마스터 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 간의 미러링 연결 및 해제, 미러링 서비스 중지, 또는 중지된 미러링 서비스의 재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권 관리 방법(400)은 도 3에 도시된 제어권 관리 방법(300)에 비하여, 41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에 권한 부여 현황을 알리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415 단계). 또한, 미러링 연결을 위하여 접속된 기기들의 목록이 메뉴 화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에 미러링 서비스를 위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 기기들의 목록 및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별로 부여된 권한의 목록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권한 부여 현황, 권한 부여의 변동 현황, 클라이언트 기기의 접속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은 마스터 기기 및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415 단계는 제어부(215)가 권한을 요청받고 요청받은 권한을 허여한 후, 권한 부여 정보 및 클라이언트 기기의 접속 정보를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전송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415 단계가 41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415 단계는 권한이 부여된 이후인 43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일정 시간 간격 마다 알림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새로운 클라이언트 기기의 미러링 연결이 수행된 직후에 415 단계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415 단계는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도 6에서와 동일하게, 마스터 기기인 스마트 폰(910)과 소정 네트워크(931, 933)를 통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인 스마트 TV들(940, 970)이 도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스터 기기(910)와 제1 클라이언트 기기(940)의 미러링 연결이 완료된 후, 제2 클라이언트 기기(970)가 미러링 연결을 위하여 접속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새로운 클라이언트 기기인 제2 클라이언트 기기(970)가 접속되면,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에 권한 부여 현황 및 클라이언트 기기들의 접속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클라이언트 기기(950)는 화면(950) 상으로 제2 클라이언트 기기(970)가 접속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와 기기별 권한 부여 현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95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클라이언트 기기(970)는 화면(980) 상으로 제1 클라이언트 기기(940)가 접속된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와 기기별 권한 부여 현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98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910)는 화면(915)상으로 현재 미러링 서비스 실행을 위하여 접속된 기기들 별로 부여된 권한의 현황(921, 922)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9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415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은 소정 권한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부여하거나 해제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마스터 기기 및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 화면은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권한 부여 현황 또는 권한 부여의 변경 내역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415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은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자동적으로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 화면은 상기 접속 및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의 권한 부여 현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1000)에 있어서, 1010 단계, 1020 단계 및 1030 단계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제어권 관리 방법(300)의 310 단계, 320 단계 및 330 단계와 각각 동일 대응된다. 또한, 도 10의 1010 단계, 1020 단계 및 1030 단계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410 단계, 420 단계 및 430 단계와 각각 동일 대응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권 관리 방법(1000)은 1:n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 수행되며, 도 2에서 도시한 마스터 기기(210) 및 클라이언트 기기(26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된다(1010 단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마스터 기기로 마스터 기기 및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한다(1020 단계).
1020 단계의 요청을 받은 마스터 기기가 요청된 권한을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한다(1030 단계). 이하에서는, 1030 단계에 있어서 소정 권한을 부여받은 클라이언트 기기를 제1 클라이언트 기기라 한다.
소정 권한을 부여받은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제2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권한을 요청한다(1040 단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요청하고자 하는 권한이 마스터 기기가 아닌 다른 클라이언트 기기가 보유하고 있는 경우,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는 해당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기기로 소정 권한을 부여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1040 단계는 클라이언트 기기(260)의 제어부(265)의 제어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1040 단계의 요청에 따라서, 제1 클라이언트 기기가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1050 단계). 1050 단계에 있어서, 권한 부여를 요청받은 제1 클라이언트 기기는 소정 권한을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부여하거나 권한 부여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1050 단계의 동작은 마스터 기기(210)의 제어부(215)의 제어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마스터 기기(1110)와 제1 내지 제3 클라이언트 기기(1120, 1130, 1140)가 미러링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마스터 기기(1110)와 제1 클라이언트 기기(1120)가 먼저 미러링 연결된다(S1). 제1 클라이언트 기기(1120)는 마스터 기기(1110)로 모든 권한을 요청한다(S2). 구체적으로, 제1 클라이언트 기기(1120)는 마스터 기기(1110)로 화면 제어 권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미러링 제어 권한을 요청한다(S2). 마스터 기기(1110)는 S2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모든 권한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1120)에 부여할 수 있다.
후속하여, 제3 클라이언트 기기(1140)가 마스터 기기(1110)에 접속하여 미러링 연결이 완료되고(S4), 제2 클라이언트 기기(1130)가 마스터 기기(1110)에 접속하여 미러링 연결이 완료된다(S5).
제2 클라이언트 기기(1130)가 소정 권한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부여받고자 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120)로 소정 권한의 부여를 요청할 수 있다(S6). 그리고, S6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클라이언트 기기(1120)는 제2 클라이언트 기기(1130)로 소정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S7).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는 1:n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 다수개의 권한들 각각을 할당한다. 그에 따라서, 제어권을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에 제어권 중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제어 오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부합하게 탄력적으로 1: n 미러링 연결 환경에서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권 할당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마스터 기기
215: 제어부
220: 디스플레이 부
225: 통신부
230: 입력부
235: 메모리
250: 소정 네트워크
260: 클라이언트 기기
265: 제어부
270: 디스플레이 부
275: 통신부
280: 입력부
285: 메모리

Claims (45)

  1.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제1 화면을 미러링하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받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된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을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요청된 권한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하여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할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선택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우선순위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권한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하거나 해제하면,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의 권한 부여 현황 또는 상기 권한 부여의 변경 내역을 알리는 정보가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한 화면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상에 필기 또는 그리기 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상기 제1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을 상기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권한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부여하거나 해제하면,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상기 권한 부여 현황 또는 상기 권한 부여의 변경 내역을 알리는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상기 접속 시에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상기 접속 및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의 권한 부여 현황을 알리는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
  11.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제1 화면을 미러링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마스터 기기로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부여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로 상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하여 상기 마스터 기기에 요청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선택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받은 권한을 상기 마스터 기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되어 상기 제2 화면의 출력이 완료되면, 상기 메뉴 화면이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 중 소정 권한을 다른 클라이언트 기기가 획득한 경우, 상기 다른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소정 권한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 중 소정 권한을 부여받은 경우, 다른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소정 권한을 요청하면, 상기 소정 권한을 상기 다른 클라이언트 기기로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스터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 권한은
    상기 화면의 전체 또는 소정 영역을 확대, 축소, 회전, 편집, 또는 필기 또는 그리기 입력 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기기의 화면이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다수개의 영역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화면 제어 권한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상기 마스터 기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단, 또는 업데이트시킬 수 있는 권한,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는 화면의 편집 권한, 및 상기 마스터 기기 내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미러링 제어 권한을 상기 마스터 기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2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기기와 미러링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의 권한 부여 현황을 알리는 메뉴 화면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기기가 소정 권한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부여하거나 해제하면, 상기 권한 부여 현황 또는 상기 권한 부여의 변경 내역을 알리는 메뉴 화면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2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상기 접속 시에 상기 접속 및 상기 마스터 기기와 미러링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의 권한 부여 현황을 알리는 메뉴 화면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28.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에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로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권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요청하되,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 및 상기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미러링 제어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및
    상기 마스터 기기가 상기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상기 접속 시에 상기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권한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에 부여할 것을 상기 마스터 기기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소정 권한을 부여받은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제2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상기 소정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소정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 권한은
    상기 화면의 전체 또는 소정 영역을 확대, 축소, 회전, 편집, 또는 필기 또는 그리기 입력 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기기의 화면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한 상기 화면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 권한은
    상기 화면상에 필기 또는 그리기 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며,
    상기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또는 그리기 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권한은
    상기 마스터 기기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단, 또는 업데이트시킬 수 있는 권한, 상기 마스터 기기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는 화면의 편집 권한, 및 상기 마스터 기기 내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4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은
    상기 미러링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미러링 제어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4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의 권한 부여 현황을 알리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소정 권한을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부여하면,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상기 권한 부여 현황 또는 상기 권한 부여의 변경 내역을 알리는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44. 제28항에 있어서,
    소정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하면, 상기 접속 시에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각각으로 상기 접속 및 권한 부여 현황을 알리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4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권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마스터 기기로 상기 권한 요청을 알리고, 상기 요청된 권한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상기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관리 방법.
KR1020130112077A 2013-09-17 2013-09-17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KR10207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077A KR102078867B1 (ko) 2013-09-17 2013-09-17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US14/486,227 US10313426B2 (en) 2013-09-17 2014-09-15 Method of managing control right, client device therefor, and master device therefor
PCT/KR2014/008588 WO2015041436A1 (en) 2013-09-17 2014-09-16 Method of managing control right, client device therefor, and master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077A KR102078867B1 (ko) 2013-09-17 2013-09-17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070A KR20150032070A (ko) 2015-03-25
KR102078867B1 true KR102078867B1 (ko) 2020-02-18

Family

ID=5266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077A KR102078867B1 (ko) 2013-09-17 2013-09-17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13426B2 (ko)
KR (1) KR102078867B1 (ko)
WO (1) WO20150414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51B1 (ko) * 2021-09-15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7701B2 (en) 2014-06-24 2019-04-09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uthenticating a connection between a user device and a streaming media content device
US9992307B2 (en) * 2015-02-03 2018-06-05 Google Llc Interoperability of discovery and connection protocols between client devices and first screen devices
KR102433879B1 (ko) * 2015-08-21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A3006228A1 (en) * 2015-11-26 2017-06-01 Barco Nv Content sharing protocol
US10326822B2 (en) * 2015-12-03 2019-06-18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virtual operating system on a display device
KR102538955B1 (ko) 2016-03-02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 및 전송 방법
CN113504851A (zh) * 2018-11-14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及电子设备
KR20200067567A (ko) * 2018-12-04 2020-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84587A (ko) * 2019-01-03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35928B2 (en) * 2019-01-04 2023-04-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ontent streaming
KR102319157B1 (ko) * 2019-01-21 2021-10-29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메신저 내 플랫폼에 추가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10047112A (ko) 2019-10-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59177A (ko) 2019-11-15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093046B2 (en) * 2019-12-16 2021-08-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designation for remote content sourc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0501A1 (en) * 2006-05-30 2008-01-10 Zing Systems, Inc. Mirroring of activity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20120157044A1 (en) * 2010-12-21 2012-06-21 Dongwoo Kim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702A (en) * 1993-12-20 1996-12-03 Intel Corporation Computer conferencing system for selectively linking and unlinking private page with public page by selectively activating linked mode and non-linked mode for each participant
JP2001331614A (ja) * 2000-05-19 2001-11-30 Sony Corp ネットワーク会議システム及び議事録作成方法、会議管理サーバ及び議事録作成方法
EP1423770A2 (en) 2001-08-14 2004-06-02 Storeage Networking Technologies Asynchronous mirroring in a storage area network
US7197751B2 (en) * 2003-03-12 2007-03-27 Oracle International Corp. Real-time collaboration client
US7219127B2 (en) * 2003-03-13 2007-05-1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Control unit operations in a real-time collaboration server
US7206811B2 (en) * 2003-03-13 2007-04-17 Oracle International Corp.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al-time collaborating by collapsing a queue for a slow client
US7222305B2 (en) * 2003-03-13 2007-05-22 Oracle International Corp. Method of sharing a desktop with attendees of a real-time collaboration
WO2007070244A2 (en) * 2005-12-09 2007-06-21 Envisioni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promotions over message broadcasting and local wireless systems
US7774710B2 (en) * 2005-12-28 2010-08-10 Sap Ag Automatic sharing of online resources in a multi-user computer system
CA2594716C (en) * 2006-07-26 2013-10-01 V V S Virtual Video Systems (Canada) Inc. Video and multimedia distribution system
US8397168B2 (en) * 2008-04-05 2013-03-12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Interfacing with a spatial virtual communication environment
US7843866B1 (en) * 2007-12-31 2010-11-30 Em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irroring data
US8656290B1 (en) * 2009-01-08 2014-02-18 Google Inc. Realtime synchronized document editing by multiple users
US8626847B2 (en) * 2010-04-30 2014-01-07 American Teleconferencing Services, Ltd. Transferring a conference session between client devices
WO2012026750A2 (ko) * 2010-08-24 2012-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컨텐츠 공유 시스템
US8548992B2 (en) * 2010-10-28 2013-10-01 Cary Scott Abramoff User interface for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US9462466B2 (en) * 2011-09-29 2016-10-04 Israel L'Heureux Gateway router supporting session hand-off and content sharing among clients of a local area network
US9008177B2 (en) * 2011-12-12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mirroring of media output
US9046993B2 (en) * 2012-04-10 2015-06-02 Torrential Dat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management
US20140025844A1 (en) * 2012-07-18 2014-01-23 Corey Alvin Charlton Verify command for a peripheral device
KR20140012505A (ko) *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공유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9195367B2 (en) * 2012-08-02 2015-1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active GUI elements remotely
US9270713B2 (en) * 2013-09-27 2016-02-23 Cisco Technology, Inc. Mechanism for compacting shared content in collaborative computing sessions
US9398059B2 (en) * 2013-11-22 2016-07-19 Dell Products, L.P. Managing information and content sharing in a virtual collaboration session
KR20150067521A (ko) * 2013-12-10 2015-06-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화면 공유 시스템
US9781176B2 (en) * 2015-02-12 2017-10-03 Smart Technologies Ulc Managing permissions in collaborative workspaces us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cli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0501A1 (en) * 2006-05-30 2008-01-10 Zing Systems, Inc. Mirroring of activity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20120157044A1 (en) * 2010-12-21 2012-06-21 Dongwoo Kim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51B1 (ko) * 2021-09-15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42950A1 (ko) * 2021-09-15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070A (ko) 2015-03-25
US10313426B2 (en) 2019-06-04
US20150082184A1 (en) 2015-03-19
WO2015041436A1 (en)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867B1 (ko)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KR102084633B1 (ko) 화면 미러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소스 기기
US11929970B2 (en) Methods, systems and recording mediums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having specific condition
RU2702049C2 (ru) Совместное использование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во время телефонного вызова
US10845974B2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08838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 방법, 그에 따른 싱크 기기 및 그에 따른 미러링 시스템
US9727517B2 (en) Wireless docking device
KR101594105B1 (ko) 사용자 장치 간에 여러 화면을 분배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멀티 스크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140012505A (ko) 콘텐트를 공유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JP2016530628A (ja) アプリテストシステム及びアプリテスト方法
US20170288956A1 (en) Node configuration assignm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301390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440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licy based wireless docking access and prioritization
KR20200021735A (ko) 다수의 디바이스를 하나의 스크린에 노출하는 미러링 서비스의 제어 관리 방법
US10462227B2 (en) Enhanced privacy and agent control in a co-browsing session
JP2020191573A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097328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145509A (zh) 多屏幕管理
KR20160140008A (ko) 디바이스, 원격제어 장치 및 원격제어에서의 정보 접근 제어방법
KR101575763B1 (ko)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CN114625289B (zh) 交互平板及其控制方法
Barkay et al. Evaluating Intel® Pro Wireless Display for Enterprise Use
EP3618401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 in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1579805B1 (ko) 프리젠테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269448B1 (ko)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