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61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terference Aware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me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terference Aware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m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616B1
KR102078616B1 KR1020170143978A KR20170143978A KR102078616B1 KR 102078616 B1 KR102078616 B1 KR 102078616B1 KR 1020170143978 A KR1020170143978 A KR 1020170143978A KR 20170143978 A KR20170143978 A KR 20170143978A KR 102078616 B1 KR102078616 B1 KR 10207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signal
interfere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8774A (en
Inventor
이현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616B1/en
Publication of KR2019004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간섭을 고려한 자동 이득 제어 및 빔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간섭 정보에 기반해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빔 조합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Disclosed is an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beam interference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nd a control unit that collects interference information between a number of transmission beams and generates a beam combination list for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s that are not simultaneously transmitted based on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and controls to transmit them to a terminal.

Description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간섭을 고려한 자동 이득 제어 및 빔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terference Aware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mes}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terference Aware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mes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considering beam interference

본 개시는 초고주파(mmWave) 아날로그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간섭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고, 빔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fficient automatic gain control in consideration of beam interference in an ultra-high frequency (mmWave) analog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nd performing beam scheduling to minimize beam interferenc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is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mmWave 주파수 대역은 급격한 모바일 트래픽의 증가를 지원하기 위하여 수 GHz 수준의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다. mmWave 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스펙으로는, 60Ghz 주파수 대역의 IEEE 802.11ad (wireless gigabit alliance: WiGiG) 표준이 있으며, 차세대 모바일 5G 통신 표준을 위하여 15Ghz, 28GHz, 38GHz, 44GHz, 70GHz 등의 다양한 주파수 후보군에 대하여 삼성, 노키아, 에릭슨, 도코모, 인텔, 퀄컴 등의 회사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The mmWave frequency band can utilize a broadband frequency of several GHz to support the rapid increase in mobile traffic.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supporting the mmWave band is the IEEE 802.11ad (wireless gigabit alliance) standard in the 60Ghz frequency band, and various frequency candidate groups such as 15Ghz, 28GHz, 38GHz, 44GHz, and 70GHz for the next generation mobile 5G communication standard. About Samsung, Nokia, Ericsson, DoCoMo, Intel, and Qualcomm, companies are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mmWave 주파수 대역은 기존 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큰 경로 감쇄를 가지지만, 전파의 단파장 특성으로 인해, 주어진 물리 공간 내에 다수의 어레이 안테나들을 실장하여 빔포밍(beamforming: BF)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높은 안테나 이득과 무선 통신에 필요한 링크 버짓(link budget)을 확보할 수 있다.mmWave frequency band has a large path attenu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frequency band, but due to the short-wavelength characteristics of radio waves, a large number of array antennas are mounted in a given physical space and beamforming (BF) technology is applied to achieve high antenna gain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link budget requi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은 eNodeB(4G LTE), gNodeB(5G) 기지국과 UE(User Equipment) 단말로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에서는 일정한 세기로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단말은 자신의 위치에 따라서 특정한 경로 감쇠를 겪은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단말은 강한 세기로 신호를 수신하고, 멀리 위치한 단말은 약한 세기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 안테나로 들어오는 신호 세기는 단말 위치에 따른 경로 감쇠에 따라서 다양한 분포를 가지게 된다. 또한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서 수신하는 세기는 지속적으로 가변하게 된다.The network configuration of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an eNodeB (4G LTE), a gNodeB (5G) base station, and a user equipment (UE) terminal.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signal with a constant intensity, and the terminal receives a signal that has undergone a specific path attenuation according to its location. Generally, a terminal located close to receives a signal with a strong intensity, and a terminal located far away receives a signal with a weak intensity. Therefore, the signal strength coming into the terminal antenna has various distributions depending on the path attenu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location. Also, as the terminal moves, the received strength continuously varies.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의 수신단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ceiving end of a receiving apparatu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일반적으로 수신단의 구조는 도 1과 같다. 안테나로 들어온 수신 신호는 LNA, mixer, filter, VGA 와 같은 하드웨어 블록을 거쳐 ADC(Analog-To-Digital)로 들어오게 된다. 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end is shown in FIG. 1.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antenna enters the ADC (Analog-To-Digital) through hardware blocks such as LNA, mixer, filter, and VGA.

ADC 하드웨어의 입력 신호는 dynamic range 동작 범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dynamic range는 시스템 설계 시에 모든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수신 신호의 변조 디코딩에 필요한 SNR(signal-to-noise ratio), ADC 블록에서 생기는 잡음 오차, 신호의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동기 오차 등과 같은 오차를 고려한 Implementation margin을 고려하여,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범위로 ADC dynamic range를 설정하게 된다. The input signal of ADC hardware has dynamic range operation range. The dynamic rang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ll matters when designing a system. Signal-to-noise ratio (SNR) required for modulation and decoding of a received signal, noise error in an ADC block, and peak-to-average of a signal (PAPR) Power Ratio), and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margin in consideration of errors such as synchronization error, ADC dynamic range is set to a range that can accommodate them.

만약 이러한 ADC 입력 신호의 세기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지 못하면, 단말의 성능은 크게 저하되게 된다. 예컨대, 신호의 세기가 ADC의 dynamic range보다 큰 경우, overflow가 발생하여 신호의 품질(quality)이 크게 저하되고, 반대로 신호의 세기가 너무 작은 경우, ADC의 양자화(digital quantization) 레벨에 의한 오차로 인하여 역시 신호의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단말에서는 자동 이득 제어(AGC; Automatic Gain Control)를 통해 ADC의 입력 신호를 적절한 신호 레벨(Reference Power)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If the strength of the ADC input signal is not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is greatly deteriorated. For example, when the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the dynamic range of the ADC, overflow occurs and the quality of the signal is greatly deteriorated. On the contrary, when the signal strength is too small, an error due to the digital quantization level of the ADC is caused. Therefore, the quality of the signal is also deteriora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terminal to maintain the input signal of the ADC at an appropriate signal level (Reference Power) level through Automatic Gain Control (AGC).

자동 이득 제어란, 도 1을 참조하면, ADC 출력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VGA에 피드백하는 방식으로 ADC의 입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동작을 말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는 일정한 세기로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단말의 위치에 따라 신호의 수신 세기가 가변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현재 수신한 신호로부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다음에 들어올 신호가 ADC의 dynamic range 범위 내에서 적절히 수신될 수 있도록, VGA 수치를 계산하여 피드백한다.1, automatic gain control refers to an operation of maintaining the input of the ADC at an appropriate level by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ADC output signal and feeding it back to the VGA.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signal with a constant intensity, and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signal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automatic gain control, the strength of the signal is measured from the currently received signal, and the VGA value is calculated and fed back so that the next incoming signal can be properly received within the dynamic range of the ADC.

mmWave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5G NR 시스템에서는, 경로 감쇠가 심하기 때문에 기지국 단에서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게 되고, 기지국 송신 빔 방향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가변하게 된다. 이러한 빔포밍 시스템에서 신호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단말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가변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AGC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기지국에서는 송신 빔간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빔 스케줄링을 수행하여야 한다.In the 5G NR system using the mmWave frequency band, since the path attenuation is severe, the beamforming technique is used at the base station end, and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varies depending on the base station transmit beam direction. In order to guarantee signal quality in such a beamforming system, AGC must be able to be performed in response to a situation in which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by a terminal is variable, and the base station efficiently performs beam scheduling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transmission beams. shal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신 빔 방향이 가변하는 경우, 단말이 수신 단의 ADC 입력 신호에 대해서 최적의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transmission beam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is variable, the terminal is mainly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perform optimal automatic gain control for the ADC input signal of the receiving end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신호 수신 세기에 대한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송신 빔간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빔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beam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from the terminal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beam scheduling to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transmitted beams There is a purpose.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부; 및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간섭 정보에 기반해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빔 조합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rol unit that collects interfere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and generates a beam combination list for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s that are not simultaneously transmitted based on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to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상기 통신부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로부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간섭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signal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receives beam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transmission beam from a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beam feedback information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부; 및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의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간섭 정보에 기반해 상기 인접 기지국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빔 조합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nd a control unit for collecting interfere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of a serving base station and a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generating a beam combination list for a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that is not transmitted simultaneously with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based on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to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It provides a base station comprising a.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참조 신호로부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최대 수신 세기를 계산하고, 상기 최대 수신 세기를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erminal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reference signal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from a base station; And a control unit that individually measures the reception intensity of each transmission beam from the reference signal to calculate a maximum reception intensity for a combination of transmission beams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and performs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the maximum reception intensity.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를 세기가 센 순서대로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의 수만큼 합산하여 상기 최대 수신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by summing the number of antenna ports of the base station in the order in which the strength of each transmission beam is stro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빔 조합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빔 조합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최대 수신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receive a beam combination list that is not simultaneously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may calculate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by referring to the beam combination list that is not simultaneously transmitted.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참조 신호로부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최대 수신 세기를 계산하고, 상기 최대 수신 세기를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erminal of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reference signal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from a serving base station and an adjacent base station; And a control unit that individually measures the reception intensity of each transmission beam from the reference signal to calculate a maximum reception intensity for a combination of transmission beams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and performs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the maximum reception intensity. Terminal.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의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상기 인접 기지국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빔 조합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빔 조합 리스트를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이 공유하는 과정;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상기 빔 조합 리스트 및 상기 인접 기지국의 빔 스케줄링 정보를 참조하여 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the serving base station simultaneously with the neighbor base station based on interfere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neighbor base station Generating a beam combination list that is not transmitted; A process in which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a neighboring base station share the beam combination list; Receiving beam scheduling information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from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t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beam scheduling by referring to the beam combination list and the beam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n the serving base station.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 단말로부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빔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이 높은 송신 빔 조합을 판단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에 따른 해당 송신 빔 조합의 발생 빈도를 기반으로 제약 빔 조합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includes: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Receiving beam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transmission beam from a terminal; It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having high interference based on the beam feedback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constraint beam combination list based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방법은, 상기 제약 빔 조합 리스트를 참조하여, 기지국이 송신하는 송신 빔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beam scheduling to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transmission beam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with reference to the constraint beam combination list.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 서빙 셀 내의 다수의 단말로부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다수의 단말별로 수신되는 빔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includes: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Receiving beam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transmission beam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 serving cell; It provides a method including performing a beam scheduling to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based on the beam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 단말로부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빔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보에 따른 단말의 SINR(Signal-to-Noise Interference Ratio) 수치를 계산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includes: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Receiving beam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transmission beam from a terminal;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level by calculating a signal-to-noise interference ratio (SINR) value of a terminal according to interference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transmission beams based on the beam feedback information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지국이 동시에 송신하는 빔 조합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미리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효율적으로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단말을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beam combination simultaneously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can efficiently perform automatic gain control, thereby increasing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terminal. It ha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 세기 정보를 수신하여 서로 간에 간섭이 크게 발생하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빔간 간섭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빔간 간섭 영향도를 분석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빔 스케줄링 시에 이를 참조하여 빔간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can receive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in which interference between each other is largely received by receiving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from a terminal, and inter-beam interferenc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updated to effect inter-beam interference The diagram can be analyzed and managed, and the system can be operated to minimize inter-beam interference by referring to it during beam schedul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지국이 자체적으로 단말이 리포트한 정보로부터 빔간 간섭 영향을 분석하여, 빔 간섭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동작하는 SON(Self-Organized Network)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itself can be implemented to perform a SON (Self-Organized Network) operation to analyze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the beams from the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to operate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beam interference It works.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의 수신단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LTE/LTE-Advanced 시스템의 자원 블록의 사용 여부에 따른 내부 자원 단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4G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신호 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5G NR mmWave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포밍 신호 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5G NR mmWave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신 빔에 따른 단말에서의 수신 세기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5G 기지국 안테나의 송신 빔 형상 집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기지국 빔 전송에 따른 단말 수신 세기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Pre-5G 규격의 BRS 전송 주기 설정 및 논리 빔 인덱스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Pre-5G 규격의 논리 빔 인덱스 매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Pre-5G 규격의 BRS 신호의 Beam Sweep 전송을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BRS 신호를 수신하여 BRSRP를 측정하기 위한 단말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BRS 신호 구간의 자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RBS 테이블을 이용하여 beam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BRSRP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SN 레벨에서 RBS 전송 제약을 기술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ceiving end of a receiving apparatu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nal resource uni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use a resource block of the LTE / LTE-Advanced system.
3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of a base station in a 4G LTE / LTE-Advanced system.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beamforming signal transmission of a base station in a 5G NR mmWave communication system.
5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reception strength at a terminal according to a transmission beam of a base station in a 5G NR mmWave communication system.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 of transmit beam shapes of a 5G base station antenna.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terminal reception strength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beam transmiss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BRS transmission period and a logical beam index of a Pre-5G standard.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gical beam index mapping method of the Pre-5G standard.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beam sweep of a BRS signal of Pre-5G standard.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process in a terminal for measuring a BRSRP by a terminal receiving a BRS signal from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resource configuration of a BRS signal sec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beam scheduling using an RBS table i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BRSRP informa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scribing RBS transmission constraints at the ASN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7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included' or 'equipped' a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 In addition, '…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초고주파(mmWave) 대역 및 빔포밍을 지원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시스템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detail, a multi-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supporting ultra-high frequency (mmWave) band and beamforming will be mainly targeted,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be claimed. The main subject matter is applicable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nd services having a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without departing greatly from the scope disclosed herein.

빔포밍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각 셀마다 복수의 어레이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하향 송신 빔의 방향을 바꿔가며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도 수신 빔 방향을 바꿔가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다양한 송신 빔의 방향과 수신 빔의 방향 중에서 최적의 채널 환경을 보여주는 송신 빔의 방향과 수신 빔의 방향을 선택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기지국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향 채널뿐 아니라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향 채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In a beamforming system, a base station may transmit data while changing a direction of a downlink transmission beam using a plurality of array antennas for each cell. Also, the terminal can receive data while changing the reception beam direction.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provide a data service by selecting a direction of a transmission beam and a direction of a reception beam that show an optimal channel environment among various transmission beam directions and reception beam directions. This process applies equally to a downlink channel transmitting data from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as well as an uplink channel transmitting data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 또는 셀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을 말하며, 단말은 다중 기지국 상황에서 주변 기지국들 중에서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으로 선택하고 서빙 기지국을 통해 제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단말은 그 외의 인접 기지국(neighbor base station)들은 스케줄링 후보 기지국으로 구분하고, 채널의 상황에 따라 서빙 기지국을 변경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station or a cell generally refers to a point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and the terminal selects a base station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neighboring base stations as a serving base station in a multiple base station situation. Control signals and data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serving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classify other neighbor base stations as scheduling candidate base stations and change the serving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channel condition.

도 2는 LTE/LTE-Advanced 시스템의 자원 블록의 사용 여부에 따른 내부 자원 단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nal resource uni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use a resource block of the LTE / LTE-Advanced system.

도 3은 4G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신호 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of a base station in a 4G LTE / LTE-Advanced system.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존의 4G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단말이 입력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easuring a reception strength of an input signal by a terminal in an existing 4G LTE / LTE-Advanced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a method of performing automatic gain control based on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do.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자원은 주파수 축 상에서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단위로 나누어지며 시간 축 상에서는 서브프레임(이하, subframe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위로 나누어진다. LTE/LTE-Advanced 시스템은 스케줄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시간 축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으며 주파수 축에서는 자원 블록 단위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In the LTE / LTE-Advanced system, radio resources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are divided into resource block (RB) units on a frequency axis and subframes (hereinafter,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subframes) on a time axis. Lose. In performing the scheduling, the LTE / LTE-Advanced system may allocate resources in units of subframes on the time axis and resources in units of resource blocks on the frequency axis.

즉, LTE/LTE-Advanced 신호는 OFDM 전송 방식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신호의 전송 유무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물리적인 환경 변화가 없더라도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는 지속적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전체 수신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만을 기준으로 다음 서브프레임의 수신 신호를 위한 VGA 값을 결정할 수 없어 안정적인 AGC 동작이 불가능하다. 예컨대, 서브프레임 #1에서의 자원 블록의 사용량이 30%이고, 서브프레임 #2에서의 자원 블록의 사용량이 80%인 경우, 서브프레임 #1에서의 RSSI를 기준으로 VGA 수치를 계산하여 AGC를 수행한다면, 서브프레임 #2에서는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LTE / LTE-Advanced signal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resource block unit in the frequency domain by the OFDM transmission method,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is continuously changed even if there is no physical environment change in the system. .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VGA value for the received signal of the next subframe based on only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of the current subframe, and thus a stable AGC operation is im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usage of the resource block in subframe # 1 is 30% and the usage of the resource block in subframe # 2 is 80%, the AGC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VGA value based on the RSSI in subframe # 1. If performed, overflow may occur in subframe # 2.

도 2를 참조하면,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인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며,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14개의 OFDM 심볼(이하, symbol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간으로 이루어져 총 168개의 고유 주파수 및 시간 위치를 갖는다. 도 2의 각각 고유 주파수 및 시간 위치를 자원 단위(Resource Element, RE)라 하고, 한 개의 서브프레임은 각각 7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진 슬롯(slot) 두 개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a resource block, which is a minimum unit for allocating resources, is composed of 12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subframe is 14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hereinafter,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symbols). It consists of sections and has a total of 168 natural frequencies and time locations. Each natural frequency and time location in FIG. 2 is called a resource unit (RE), and one subframe consists of two slots each consisting of seven OFDM symbols.

4G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도 2와 같이 자원 블록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항상 전송되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신호를 이용하여 AGC를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CRS RE는 자원 블록의 사용 유무와 관계 없이(도 2의 Full RB, Empty RB 상황 모두에서) 항상 전송되기 때문에, CRS 신호의 수신 세기는 서브프레임의 자원 블록 사용률과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CRS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해 자원 블록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VGA 수치를 계산하고, 이를 다음 서브프레임에 적용한다.In a 4G LTE / LTE-Advanced system, AGC is performed using a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signal that is always transmitted even if a resource block is not used as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2, since the CRS RE is always transmitt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resource block is used (in both Full RB and Empty RB situations in FIG. 2),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CRS signal is independent of the resource block utilization of the subframe. It is always constant.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all resource blocks are used us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CRS signal existing in the subframe, and then the VGA value is calculated and applied to the next subframe.

구체적으로, 단말은 Cell ID(PSS, SSS), Antenna Port 개수(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blind decoding)로부터 CRS 수신 위치를 알 수 있고, SIB(Secondary Information Broadcasting)로부터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RE 대비 CRS RE의 신호 세기를 알 수 있다. CRS에 사용된 RE의 수신 세기로부터, 실제 RB 사용율과 관계 없이, 최대 RB 사용율에 해당하는 수신 신호 세기를 얻을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이 RB를 얼마나 사용할지 미리 알 수 없으므로, 항상 최대로 RB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AGC를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으로 AGC를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E can know the CRS reception location from the Cell ID (PSS, SSS), the number of antenna ports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blind decoding), and the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from Secondary Information Broadcasting (SIB) The signal strength of CRS RE compared to RE can be seen. From the received strength of the RE used for the CR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RB usage rate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actual RB usage rate. Since the UE cannot know in advance how much the base station will use the RB, the AGC can be stably performed by always performing the AGC in preparation for the case of transmitting using the RB at the maximum.

또한 다중 기지국 상황에서는 CRS가 전송되는 RE 위치를 모두 누적하여, 모든 기지국에서 전송된 수신 신호가 합쳐져서 들어오는 경우에 대하여 AG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multi-base station situation, all of the RE positions in which the CRSs are transmitted are accumulated, and the AGC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a case where the received signals transmitted from all the base stations are combined and entered.

4G LTE 시스템에는 도 3과 같이 옴니 안테나로 전송하게 되므로, 단말에게는 서브프레임 별로 CRS 신호의 수신 세기가 크게 변하지 않고 연속성 있는 세기의 신호가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까운 이전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얻은 CRS 신호 세기 정보를 가지고 단말에 필요한 이득을 계산하여, 이를 다음 서브프레임 구간에 적용하면 안정적인 AG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4G LTE system transmits the omni-antenna as shown in FIG. 3, the UE receives a signal of a continuous strength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CRS signal for each subframe.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ain required for the terminal is calculated from the CR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evious previous subframe period and applied to the next subframe period, a stable AGC operation can be performed.

도 4는 5G NR mmWave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포밍 신호 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beamforming signal transmission of a base station in a 5G NR mmWave communication system.

도 5는 5G NR mmWave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신 빔에 따른 단말에서의 수신 세기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reception strength at a terminal according to a transmission beam of a base station in a 5G NR mmWave communication system.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5G NR mmWave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는 단일 기지국 상황에서, 서브프레임에 따라(시간의 흐름에 따라) 3개의 단말 UE #1(10), UE #2(20), UE #3(30)이 각각 Tx beam #2, Tx Beam #10, Tx Beam #4를 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는 UE #1을 기준으로 신호의 수신 세기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Hereinafter, a 5G NR mmWav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In FIG. 4, in a single base station situation, three UEs # 1 (10), UE # 2 (20), and UE # 3 (30) according to subframes (over time) are Tx beam # 2 and Tx, respectively. It shows a case in which Beam # 10 and Tx Beam # 4 are received. 5 shows a change in the reception strength of a signal based on UE # 1.

초고주파 mmWave 대역은 경로 감쇠가 심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지국 단에서(혹은 단말 단에서도)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도 4와 같이 매 순간 특정 방향의 빔으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는 간단한 설명을 위하여 기지국이 1개의 단일 빔을 가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표현하였으며, 현재 논의된 Pre-5G 표준에서는 최대 8개의 빔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Since the ultra-high frequency mmWave band has severe path attenuation, a beamforming technique is used at the base station end (or even at the terminal end) to overcome this. Therefore,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beam in a specific direction every moment as shown in FIG. 4. For simplicity, the base station is assumed to have one single beam, and the currently discussed Pre-5G standard supports up to eight beams.

결과적으로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 세기는 도 5와 같이 기지국 송신빔 방향에 따라서 매번 가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빔 방향은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도 채널 별로 symbol 단위로 변할 수 있다. 여기서는 간단한 설명을 위하여 PDCCH, PDSCH 전송이 동일한 상황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현재 논의된 5G 규격에서는 TDD (Time-Division Duplexing) 방식의 self-contained 구조를 가정하고 있으나 (하나의 subframe 내에서 downlink, uplink 공존 가능), 여기서는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downlink 전송만 이루어지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나타내었다.As a result,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by the terminal varies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transmit beam direction as shown in FIG. 5. In addition, the beam direction may be changed in a symbol unit for each channel even in the same subframe. For simplicity, the PDCCH and PDSCH transmissions show the same situation. In the currently discussed 5G standard, a self-contained structure of TDD (Time-Division Duplexing) method is assumed (downlink and uplink can coexist in one subframe), but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ubframe that only transmits downlink The structure is shown.

이와 같이 빔 전송 상황이 매번 바뀌기 때문에, 5G 시스템에서, 4G LTE 시스템에서와 같이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AGC를 수행할 수는 없으며, 단말은 실제로 전송되는 상황, 즉, 자신의 방향으로 전송하는 기지국 송신 빔에 대해서 최적의 수신 빔을 설정하여 수신한 신호로부터 AGC를 수행하여야 한다.In this way, since the beam transmission situation changes each time, in 5G system,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AGC in all subframes as in the 4G LTE system, and the terminal is actually transmitted, that is,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beam transmitting in its own direction For this, AGC should be performed from the received signal by setting the optimal reception beam.

또한, 5G에서도 4G LTE의 OFDM 전송과 같이 RB의 전송 유무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 RB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신호 세기를 예측할 수 있는 신호 구간을 이용하여 AGC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5G 규격에서는 always-on 신호를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4G LTE의 CRS와 같이 매 서브프레임마다 항상 전송하는 신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AGC를 수행하기 위해, 특정 빔의 모든 RB에 대해서 수신 세기 측정이 가능한 신호인 BRS(Beam Reference Signal), BR-RS(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또는 CSI-RS(Channel State Indicator Reference Signal) 신호를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In addition, since 5G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B is transmitted, such as OFDM transmission of 4G LTE, AGC must be performed using a signal section capable of predicting signal strength for the case of using the entire RB. However, since the 5G standard aims to minimize the always-on signal, there is no signal that is always transmitted in every subframe like the CRS of 4G LTE.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erform AGC, a signal capable of measuring reception strength for all RBs of a specific beam is a BRS (Beam Reference Signal), a BR-RS (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or a CSI-RS. (Channel State Indicator Reference Signal) proposes a method using a signal.

도 6은 5G 기지국 안테나의 송신 빔 형상 집합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5G NR mmWave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빔간 간섭이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한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 of transmit beam shapes of a 5G base station antenna. Hereinafter, a situation in which interference between transmission beams occurs in a 5G NR mmWav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5G 기지국의 송신 빔의 형상은 실제 구현 시에 특정 방향(angle)으로만 완벽하게 격리되어 전송되지는 않으며, 특정 방향으로 main lobe를 가지고 옆으로는 추가적인 side lobe를 가지는 sync 파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기지국에서는 antenna element의 phase를 조절하여 특정 방향으로 빔을 틀어서 전송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transmission beam of the 5G base station is not completely isolated and transmitted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actually implemented, and has a shape of a sync waveform having a main lobe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n additional side lobe sideways. . 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the beam by twisting the beam in a specific direction by adjusting the phase of the antenna element.

이러한 빔 형상(sync 파형)으로 기지국은 coverage 내의 모든 유저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하므로, 미리 정의된 다수의 송신 빔 세트를 가지고 이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기지국 전송 빔 세트를 모두 표시하면 도 6과 같다. 그림에서 보이듯이 빔간에 서로 orthogonal 하지 않고, 빔의 main lobe끼리 상당한 크기의 세기로 겹치게 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빔간의 main lobe가 서로 충분한 세기에서 겹치도록 촘촘하게 빔 세트를 가져가는 이유는 단말이 기지국 주변의 어느 곳에 위치하더라도 최대 신호 세기(0dB 표시)에 비하여 최소한의 감소 수준(-3dB 표시)으로 단말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6과 같이 빔이 촘촘하게 겹치도록 존재하고 단말이 항상 이중에서 최적의 송신 빔을 선택하여 수신하게 되면, 단말이 어떤 방향에 위치하더라도 최대 수신 세기 대비 3dB 이내 감소 수준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ince the base station must be able to support all users in the coverage with such a beam shape (sync waveform), a plurality of predefined transmission beam sets are selected and transmitted. 6 shows all of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beam sets. As shown in the figure, the beams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main lobes of the beams are overlapped at a considerable intensity. As such, the reason why the beam set is closely packed so that the main lobes between the beams overlap each other at a sufficient intensity is that the terminal has a minimum level of reduction (-3dB display) compared to the maximum signal strength (0dB display) even if the terminal is located anywhere around the base station. This is to enable this signal to be received. That is, as shown in FIG. 6, when the beams are densely overlapped and the terminal always selects and receives the optimal transmission beam from the duplex, the signal can be received at a level of reduction within 3dB compared to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have.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인접한 빔간에는 main lobe 간섭 이외에도 side lobe에 의한 빔 간섭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빔 간섭은 모든 빔간에 서로 영향을 미치도록 발생하며, 또한 무시할 수 없는 큰 세기로 발생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in addition to the main lobe interference, there is also beam interference caused by side lobes between adjacent beams. That is, it can be seen that beam interference occurs to affect each other between all beams, and also occurs at a large intensity that cannot be ignored.

도 7은 기지국 빔 전송에 따른 단말 수신 세기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UE #1(10) 및 UE #3(30)에 동시에 beam 전송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예시한 것이고, 도 7b는 UE #1(10) 및 UE #2(20)에 동시에 beam 전송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예시한 것이다. 도 7c는 UE #1(10), UE #2(20), UE #3(30), UE #4(40)에 동시에 beam 전송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예시한 것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terminal reception strength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beam transmission. 7A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beam transmiss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to UE # 1 (10) and UE # 3 (30), and FIG. 7B is beam transmission to UE # 1 (10) and UE # 2 (20) at the same time. The situation is illustrated. 7C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beam transmiss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to UE # 1 (10), UE # 2 (20), UE # 3 (30), and UE # 4 (40).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5G NR 시스템은 subframe별로 기지국에서 빔 설정을 매번 바꾸게 된다. 이 경우 빔간 간섭으로 인하여,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일정하지 않고 가변하게 된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UE #1(10)은 도 7a의 경우와 도 7b의 경우에서 대략 3dB 정도의 신호 세기 차이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5G NR system changes the beam configuration at each base station for each subframe. In this case, due to inter-beam interference,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is not constant but varie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UE # 1 10 has a signal strength difference of approximately 3 dB in the case of FIGS. 7A and 7B.

도 7a는 단일 빔(Beam#2) 으로 UE #1(10)를 단독으로 전송받는 상황이며, 그림 도 7b는 인접 빔(Beam#1)에 UE #2(20)가 존재하고 기지국에서 UE#1(10), UE#2(20)를 동일 subframe 내에서 전송하는 상황이다. 이 경우 UE#1(10)가 Beam #1, Beam #2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면 단말이 수신하는 세기는 3dB의 차이를 가지게 된다.7A is a situation in which UE # 1 (10) is transmitted by a single beam (Beam # 2) alone, and FIG. 7B shows UE # 2 (20) in an adjacent beam (Beam # 1) and UE # in the base station. This is a situation in which 1 (10) and UE # 2 (20) are transmitted within the same subframe. In this case, if UE # 1 (10) is located in the boundary area of Beam # 1 and Beam # 2, the strength received by the UE has a difference of 3 dB.

따라서, 도 7a와 같이 UE #1(10)이 단순히 자신이 수신하는 빔(Beam#2)만을 고려하여 AGC를 수행하게 되면, 도 7b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2배(3dB)의 세기로 신호를 전달받게 되어서 ADC 블록에서 overflow가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디코딩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상황이 발생한다.Accordingly, when the UE # 1 10 performs AGC by simply considering the beam (Beam # 2) it receives, as shown in FIG. 7A, when the situation of FIG. 7B occurs, the intensity is doubled (3dB). When a signal is received, overflow occurs in the ADC block, and as a result, decoding performance is greatly deteriorated.

현재 Pre-5G 규격에서 기지국은 최대 8개의 빔을 가질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서 선택한 임의의 8개의 빔 조합에 대해서 단말이 수신하는 최대 신호 세기를 시뮬레이션 하게 되면, 도 7c와 같이 최대 8개 빔의 main lobe가 겹치는 위치에 UE #1(10)가 위치한 상황에서 발생하게 된다. 단말에서는 최대 2 x 2 MIMO까지 지원 가능하므로 2개의 빔이 같은 방향으로 전송된 상황을 가정하였다. 이 경우 단말 UE #1(10)이 실제로 사용하는 빔(Beam#2) 세기와 비교하여, 9dB 추가된 세기의 신호를 전송받게 된다. 이는 ADC ENOB 기준으로 1.5bit에 해당한다.In the current Pre-5G standard, the base station is defined to have up to 8 beams. Therefore, when simulating the maximum signal strength received by the UE for any 8 beam combinations selected by the base station, it occurs in a situation where the UE # 1 (10)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main lobe of the 8 beams overlaps as shown in FIG. 7C. Is done. Since the terminal can support up to 2 x 2 MIMO, it is assumed that two beams are transmitt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case, compared to the intensity of the beam (Beam # 2) actually used by the terminal UE # 1 (10), a signal of an intensity added by 9 dB is received. This corresponds to 1.5 bit based on ADC ENOB.

또한 단일 기지국의 송신 빔뿐만이 아니라 복수 기지국의 송신 빔까지 고려하게 되면 빔간 간섭은 더욱 커지게 된다. Also, if not only the transmission beams of a single base station but also the transmission beams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re considered, the inter-beam interference becomes greater.

이상에서는 간단한 LOS(Line-Of-Sight) 환경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며, 만약 주 신호가 없는 NLOS(Non-Line-Of-Sight) 환경을 고려하게 되면 빔간 간섭 상황은 훨씬 더 복잡해지게 되며 더 큰 세기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simple LOS (Line-Of-Sight) environment has been described, and if the NLOS (Non-Line-Of-Sight) environment without a main signal is considered, the inter-beam interference situation becomes much more complicated and greater intensity Interference may occu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송신빔 조합을 사전에 미리 전달하여, 단말이 매번 빔간 간섭을 고려하여 적절한 VGA를 업데이트하도록 전달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큰 컨트롤 신호 오버헤드를 발생시키고, 또한 기지국의 스케줄링을 단말 전달 시점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in which a base station transmits a combination of transmission beams to a terminal in advance, so that the terminal updates an appropriate VGA in consideration of inter-beam interference each time. However, this method generates a very large control signal overhead, and also has a problem of limiting the scheduling of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delivery tim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5G NR에서 빔간 간섭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단말의 dynamic range의 과도한 확보 필요성을 없애고 효율적인 하드웨어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빔 전송 조합에 대한 기지국과 단말간의 상호 약속에 대해서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5G 요구 사항에는 spectrum efficiency의 최대화 및 cell edge와 같은 경계 지역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전송 속도가 보장되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intra-eNB 혹은 inter-eNB 간의 빔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빔 스케줄링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이 전송하는 빔 측정 정보(beam measurement report)로부터 빔 간섭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이러한 빔 간섭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빔 스케줄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eliminate the need for excessive securing of the dynamic range of the terminal caused by inter-beam interference in 5G NR and enable efficient hardware design, to define the mutual promis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or the beam transmission combination do. In addition, in 5G requirements, it is desired to maximize spectrum efficiency and ensure a transmission rate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in a border area such as a cell edge, and for this, beam scheduling is performed to reduce beam interference between intra-eNB or inter-eNB. Need a way.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scheduling a beam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beam interference is proposed by continuously updating the beam interference information from a beam measurement report transmitted by the U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5G에서 단말은 기지국 송신빔 방향 및 RB 사용율에 따라서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가변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의 최적빔에 대해서 전체 RB의 채널 측정이 가능한 신호를 이용하여야 한다. Pre-5G 규격에서 이러한 신호는 BRS, BR-RS, CSI-RS 신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에게 beam search를 수행하도록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BRS 신호를 예시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in 5G, the terminal may vary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transmit beam direction and RB usage r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signal capable of measuring the entire RB channel for the optimal beam of the terminal. In the Pre-5G standard, such signals may include BRS, BR-RS, and CSI-RS signals. Hereinafter, a BRS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to perform a beam search to the U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기지국과 단말은 다수의 beam 중에서 통신에 적합한 일부 beam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beam 선택을 위해서 빔포밍(beamforming)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필요할 때마다 빔포밍된 참조 신호인 BRS를 전송할 수 있다. BRS란, 기지국의 빔 별로 전송되는 참조 신호다.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select and transmit some beams suitable for communication among a plurality of beams. For such beam selection, in a beamforming-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base station may transmit a BRS that is a beamformed reference signal at regular time intervals or whenever necessary. The BRS is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or each beam of the base station.

이렇게 기지국이 모든 beam 또는 일부 beam을 통해서 BRS을 전송하고, 단말이 이를 모든 beam 또는 일부 beam을 통해서 수신하고, BRS를 이용하여 빔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빔 측정 정보란 기지국의 beam을 통해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단말의 beam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한 결과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beam을 통해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beam을 측정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BRS through all or some beams, and the terminal may receive it through all or some beams and generate beam measurement information using the BRS. In this case, the beam measurement information may refer to a result of measuring the reference signal when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beam of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beam of the terminal.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beam It can be expressed as measuring the beam.

예를 들어, 빔 측정 정보에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빔의 신호 세기 또는 신호 품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참조 신호를 이용해 빔 측정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단말은 기지국이 자신에게 어떤 beam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자신이 이를 어떤 beam으로 수신할 때 통신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빔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게 알려줌으로써 기지국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할 beam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eam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signal strength or signal quality of the beam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By generating beam measurement information using the reference signal in this way, the UE can determine which beam is best communicated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data to it and which beam it receives. 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informs the base station of the beam measurement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can select a beam to be used whe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또한, 단말이 BRS을 측정한 후 서빙 기지국의 beam 보다 주변 기지국의 beam이 더 높은 신호 세기 또는 품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이를 기지국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을 주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handover) 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서빙(serving)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이 전송한 BRS을 측정한 후 수신 신호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지국의 모임을 형성하고 이를 기지국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때 기지국 모임에 속한 다수의 기지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E determines that the beam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provides a higher signal strength or quality than the beam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fter measuring the BRS, it can inform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information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handing over the terminal to a neighboring base station. In addition, after measuring the BRS transmitted by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neighboring base stations, the terminal may form a group of base stations hav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and inform the base station. Upon receiv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meeting.

또한, 단말이 BRS를 측정한 후, 사용 중인 beam pair와 다른 beam pair가 더 높은 신호 세기 또는 품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단말은 다른 beam pair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the UE measures the B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eam pair in use and the other beam pair provide higher signal strength or quality, the UE may select another beam pai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도 8은 Pre-5G 규격의 BRS 전송 주기 설정 및 논리 빔 인덱스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BRS transmission period and a logical beam index of a Pre-5G standard.

도 9는 Pre-5G 규격의 논리 빔 인덱스 매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gical beam index mapping method of the Pre-5G standard.

현재 Pre-5G 규격에서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ESS(Extended Synchronization Signal), BRS를 포함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의 전송 주기는 도 8과 같이 5ms (1 slot), 5ms (1 subframe), 10ms (2 subframe), 20ms (4 subframe) 마다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 7, 14, 28, 56개의 심볼을 이용하여 안테나 포트 P개에서 동시에 빔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e current Pre-5G standard, the transmission period of a synchronization signal (PSS) including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an extended synchronization signal (ESS), and a BRS is 5 ms (1 slot), as shown in FIG. 8. It can be repeatedly transmitted every 5 ms (1 subframe), 10 ms (2 subframe), and 20 ms (4 subframe), and thus can simultaneously transmit beams at P antenna ports using 7, 14, 28, and 56 symbols,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하나의 subframe 이 0.2 ms 이고 radio frame이 10ms 인 경우, 도 8과 같이 BRS의 전송 주기를 설정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Pre-5G 규격에서는 4가지의 configuration을 정의하였으며, 기지국이 전제 BRS를 위한 빔 sweeping을 1 slot, 1 subframe, 2subframes, 4 subframes 동안 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subframe이 2 slot으로 이루어 지고 1 slot이 7 OFDM symbol로 이루어 지는 구조를 가정한다. 빔 sweeping이 1 slot으로 설정되어 있고, 기지국이 하나의 안테나를 가지는 경우, 하나의 slot에 해당하는 7 symbol 마다 빔이 바뀌며 전송되므로 총 7개의 빔으로 신호를 전송함을 나타낸다. 만약 기지국이 P개의 안테나를 가지고 있고 해당 P개의 안테나가 각 OFDM symbol에서 동시 전송되는 경우 1 slot 기준 7*P 개의 빔을 sweeping 하는 의미가 된다. 도 8에서 BRS의 주기는 2 bit으로 indication 되며, 해당 신호는 higher layer로 signaling된다. LTE 기준 PBCH를 통해 전송 되는 MIB 내에 해당 2 bit이 indication 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도 8에서 BRS indication bit과 이에 대응하는 BRS transmission period 그리고 각 transmission period에 대응 하는 최대 기지국이 sweeping 할 수 있는 빔 수와 논리 빔 인덱스에 대한 설정의 예시 이다.Specifically, when one subframe is 0.2 ms and the radio frame is 10 ms,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BRS can be set as shown in FIG. 8. Referring to FIG. 8, four configurations are defined in the Pre-5G standard, and a case in which the base station performs beam sweeping for all BRSs during 1 slot, 1 subframe, 2subframes, and 4 subframes is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one subframe consists of 2 slots and 1 slot consists of 7 OFDM symbols. When the beam sweeping is set to 1 slot and the base station has one antenna, the beam is changed and transmitted for every 7 symbols corresponding to one slot, indicating that the signal is transmitted in a total of 7 beams. If the base station has P antennas and the corresponding P antennas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in each OFDM symbol, it means sweeping 7 * P beams based on 1 slot. In FIG. 8, the period of the BRS is indicated by 2 bits, an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signaled by a higher layer. It includes a method in which the corresponding 2 bits are indicated in the MIB transmitted through the LTE-based PBCH. 8 is an example of setting for a BRS indication bit, a corresponding BRS transmission period, and a maximum number of beams that can be sweeped by a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each transmission period and a logical beam index.

도 9는 logical beam index가 OFDM symbol index 와 안테나 포트 index에 의해 mapping 되는 예시를 보여 준다. 시스템은 5ms 단위로 BRS를 전송하는 subframe을 할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BRS transmission period 가 1 slot 인 경우는 하나의 BRS subframe 내에서 2번의 beam sweeping이 이루어 진다. BRS transmission period 가 1 subframe 인 경우는 하나의 BRS subframe 내에서 1번의 beam sweeping이 이루어 진다. BRS transmission period가 2 subframe 인 경우는 10ms 동안의 2 번의 BRS subframe 동안 1 번의 beam sweeping 이 이루어 진다. BRS transmission period가 4 subframe 인 경우는 20 ms 동안의 4 번의 BRS subframe 동안 1번의 beam sweeping 이 이루어 진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a logical beam index is mapped by an OFDM symbol index and an antenna port index. It is assumed that the system allocates a subframe that transmits BRS in units of 5 ms. In this case, when the BRS transmission period is 1 slot, 2 beam sweeping is performed within one BRS subframe. When the BRS transmission period is 1 subframe, 1 beam sweeping is performed within one BRS subframe. When the BRS transmission period is 2 subframes, 1 beam sweeping is performed during 2 BRS subframes for 10 ms. When the BRS transmission period is 4 subframes, 1 beam sweeping is performed during 4 BRS subframes for 20 ms.

도 9에서 BRS transmission region의 의미는 5ms 단위의 BRS subframe을 의미하고 각 subframe 에서 각 OFDM symbol (i.e. index i) 및 antenna port index (i.e. index p)에 따른 logical beam index의 mapping 수식의 예이다. NDL symb은 하나의 slot 내에 있는 OFDM symbol 수를 의미하며, LTE 기준 해당 값은 7 이다.In FIG. 9, the meaning of the BRS transmission region means a BRS subframe in 5 ms units and is an example of a mapping formula of logical beam index according to each OFDM symbol (ie index i) and antenna port index (ie index p) in each subframe. N DL symb means the number of OFDM symbols in one slot, and the corresponding value based on LTE is 7.

도 10은 Pre-5G 규격의 BRS 신호의 Beam Sweep 전송을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beam sweep of a BRS signal of Pre-5G standard.

도 10에는 전송 주기 10ms(2 subframe)이고,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가 4개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최대 112개의 빔에 대한 BRS가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송신 빔이 겹쳐진 상태로 BRS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안테나 포트의 신호간에는 최대 8개의 OCC(Orthogonal Cover Code)로 전송되며, 따라서 해당 RB 내 채널이 일정하다면 서로 orthogonal 하게 분리할 수 있다. In FIG. 10, a transmission period is 10 ms (2 subframes), and a case in which four antenna ports of the base station are shown is shown, in which case BRS for up to 112 beams may be transmitted. The terminal receives the BRS signal with the transmission beam of the base station overlapped. Here, a maximum of 8 orthogonal cover codes (OCCs) are transmitted between the signals of the antenna ports, so that if the channels in the RB are constant, they can be orthogon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단말에서 측정된 빔 세기는 PUCCH 신호로 1개의 최적의 candidate beam 에 대한 BSI (Beam State Information, BSI = BI (Beam Index) + BRSRP (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기지국으로 리포트 할 수 있고, PUSCH 신호로는 최대 4개의 candidate beam까지 BSI를 리포트 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있다.In addition, the beam strength measured by the UE can report to the base station BAM (Beam State Information, BSI = BI (Beam Index) + BRSRP (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for one optimal candidate beam as a PUCCH signal, The PUSCH signal is defined to report BSI up to 4 candidate beams.

본 실시예에서, BRS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를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BR-RS, CSI-RS와 같은 신호를 이용하여 빔에 대한 채널 정보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of using the BRS signal is exemplarily describ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channel information for the beam by using signals such as BR-RS and CSI-RS.

단말은 BRS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전송 빔 방향에 대하여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BRS 신호에는 안테나 포트의 빔 신호가 서로 겹쳐있기 때문에 단순한 수신 세기의 합만으로는 정확한 해당 빔의 세기를 알 수 없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의 최적 빔이 1번 빔인 경우, 해당 BRS 신호와 동시에 15, 29, 43 번 빔의 신호까지 수신하게 되어, 4개의 빔에 대한 수신 세기가 측정된다. The UE can measure the signal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desired transmission beam direction using the BRS signal. However, since the beam signals of the antenna ports overlap each other in the BRS signal,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exact beam strength by simply adding the received strength.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optimal beam of the terminal is the first beam, the signals of the 15th, 29th, and 43th beams are simultaneously received with the corresponding BRS signal, and the reception strengths of the 4 beams are measured.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PDSCH 신호 구간에서도 하나의 기지국에서 최대 8개의 빔이 겹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BRS가 전송되는 구간의 수신 세기와 PDSCH가 전송되는 구간의 신호 세기는 단일 기지국 신호로만으로 최대 9dB까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n a PDSCH signal section in which actual data is transmitted, up to 8 beams may be overlapped and transmitted in one base station, so the reception strength of a section in which BRS is transmitted and the signal strength in a section in which PDSCH is transmitted are single base station. The difference can be up to 9dB with only the signal.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BRS 신호를 수신하여 BRSRP를 측정하기 위한 단말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process in a terminal for measuring a BRSRP by a terminal receiving a BRS signal from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BRS 신호 구간의 자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 resource configuration of a BRS signal section.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단말이 beam search 과정에서 BRS 신호의 BRSRP 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BRSRP value of the BRS signal in the beam search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단말은 BRS 구간에서 자신의 최적 송신 beam 전송 타이밍에 맞추어 자신의 최적 수신 beam 방향으로 세팅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로부터 BRS 신호 구간을 추출한다(S1101). 추출된 신호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하고(S1102), BRS 신호 대역을 추출한다(S1103). 기지국은 다중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송신 beam을 동시에 송신하므로, OCC(Orthogonal Cover Code) 디코딩을 통해 안테나 별(intra-gNB) BRS 신호를 분리한다(S1104). The terminal receives a signal by setting in its optimal receive beam direction according to its optimal transmission beam transmission timing in the BRS section, and extracts a BRS signal section from the received signal (S1101). The FFT (Fast Fourier Transform) is performed on the extracted signal to transform it into a frequency domain signal (S1102), and a BRS signal band is extracted (S1103). Since the base station transmits multiple transmission beams through multiple antennas at the same time, the antenna-specific (intra-gNB) BRS signal is separated through orthogonal cover code (OCC) decoding (S1104).

도 12를 참조하면, BRS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 주기에는 BRS 신호 이외에 PSS, SSS, ESS 신호와 같이 BRS 신호가 아닌 주파수 구간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 때의 BRS 신호 간의 Cross-Correlation을 통해 상관도를 계산하고(S1105), 비어있는 구간(PSS, SSS, ESS 구간)에 대해 보간법을 통해 유추하여 전체 구간 신호를 얻는다(S1106). 과정 S1106을 통해 얻은 전체 구간 신호에 대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하여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S1107). Multi-cell 환경인 inter-gNB 상황에서는 denoising을 수행하여 인접 셀의 신호 시퀀스에 의한 영향을 제거한다(S1108). Referring to FIG. 12, in the time period in which the BRS signal is received, there are frequency sections other than the BRS signal, such as PSS, SSS, and ESS signals, in addition to the BRS signal. Therefore, the correlation is calculated through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BRS signals at this time (S1105), and the entire interval signal is obtained by inferring the empty sections (PSS, SSS, and ESS sections) through interpolation (S1106).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is performed on the entire interval signal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S1106 to convert it into a time domain signal (S1107). In an inter-gNB situation in a multi-cell environment, denoising is performed to remove the influence of signal sequences of adjacent cells (S1108).

이렇게 얻은 BRS 구간에서의 신호 세기를 누적하여(S1109), 수신단의 VGA 설정을 보상하고(S1110), 해당 기지국 beam에 대한 BRSRP를 측정을 수행한다(S1111). 측정된 BRSRP는 단말에서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The signal strength in the thus obtained BRS section is accumulated (S1109), the VGA setting of the receiving end is compensated (S1110), and the BRSRP for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beam is measured (S1111). The measured BRSRP is used to perform automatic gain control at the terminal.

도 11에서는 과정 S1105 내지 S1106에서는 보간법을 통해 PSS, SSS, ESS 구간의 세기를 유추하고 있으나, 단순하게 BRS 신호 구간에서 얻은 수신 세기와 비교하여 차지하는 비율을 따져서 유추하는 방법(전체 수신 신호 세기 = BRS 수신 신호 × (100 PRBs / 82 PRBs))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보간법을 이용하여 해당 구간을 유추하는 것이 더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있다.11, in steps S1105 to S1106, the strength of the PSS, SSS, and ESS sections is inferred through interpolation, but a method for inferring the ratio of the received strength compared to the received strength obtained in the BRS signal section (total received signal strength = BR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received signal x (100 PRBs / 82 PRBs). Howev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accurate numerical value by inferring a corresponding section using an interpolation method.

이하에서는, 단말이 beam search 과정에서 계산한 BRS 신호의 BRSRP 값을 이용하여, 자신의 VGA 값을 업데이트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erforming automatic gain control by updating a user's own VGA value using the BRSRP value of the BRS signal calculated in the beam search process by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Btx개의 beam을 형성하고 이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단말과 통신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단말은 Brx개의 beam을 형성하고 이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는 기지국의 beam과 단말의 beam으로 구성된 총 Btx * Brx개의 beam pair가 존재하게 되고, 단말은 Btx * Brx개의 beam pair에 대한 BRS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수신 신호 세기 측면에서 가장 좋은 beam pair을 선택한다.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forms B tx beams and selects all or part of them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forms B rx beams and selects all or part of them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Therefor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here are a total of B tx * B rx beam pairs composed of a beam of the base station and a beam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BRS reception signal for the B tx * B rx beam pairs to receive the signal. Select the best beam pair in terms of strength.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BRS는 LTE의 CRS와 같이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만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1개의 무선 프레임(frame)에 포함된 하나의 subframe에서 BRS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1 개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된 다수의 subframe에서 BRS를 전송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R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may not be transmitted every subframe like CRS of LTE, but may be transmitted only in periodically allocated subframes.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BRS in one subframe included in one radio frame.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BRS in a plurality of subframes included in one radio frame.

또한 기지국은 symbol(또는 다수의 symbol) 단위로 하나의 beam을 통해서 BRS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subframe에서 다수의 beam에 대한 BRS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Btx * Brx개의 beam pair에 대한 신호 세기를 모두 측정하기 위해서 Btx, Brx, subframe 당 symbol 수 등에 따라서 여러 subframe동안 측정을 수행한다.In addition, since 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BRS through one beam in symbol (or multiple symbol) units, it is possible to transmit BRS for multiple beams in one subframe. Therefore, in order to measure all signal strengths for B tx * B rx beam pairs, the UE performs measurement for several subframes according to B tx, B rx , number of symbols per subframe, and the like.

도 10에서 BRS가 전송되는 subframe을 BRS subframe, BRS subframe이 할당되는 주기를 BRS 주기, 단말이 Btx * Brx개의 beam pair을 모두 측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풀 스윕 주기(full sweep period)라고 명명할 수 있다. 풀 스윕 주기란, 기지국과 단말이 beam 스위핑을 통해 모든 beam pair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이를 beam 전체 측정 주기라 칭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BRS 주기는 5ms이고, 풀 스윕 주기는 10ms이다.In FIG. 10, a subframe in which the BRS is transmitted, a BRS subframe, a period in which the BRS subframe is allocated, a BRS period, and a time required for the UE to measure all B tx * B rx beam pairs are referred to as a full sweep period. You can. A full sweep period is a time required for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to measure all beam pairs through beam sweeping, and may be referred to as a full beam measurement period. Referring to FIG. 10, the BRS period is 5 ms and the full sweep period is 10 ms.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송신 beam을 스윕하면서 BRS을 전송하고, 단말은 자신의 최적 방향의 수신 beam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BRS을 수신하는 상황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beam 스윕이란, beam을 변경하며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과 beam을 변경하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BRS while sweeping the transmission beam and the terminal receives the BR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n a state where it is fixed to the reception beam in its optim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beam sweep may mean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while changing a beam and an operation of changing a beam and receiving a reference signal.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풀 스윕 주기 내 2 개의 BRS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beam을 이용해 기지국이 전송하는 BRS를 각각 수신하는 상황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다수의 BRS 서브프레임에서 beam을 스윕하면서 BRS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은 다수의 BRS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beam을 이용해 BRS를 수신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terminal receives each of the BR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using one beam in two BRS subframes within a full sweep perio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BRS while sweeping a beam in a plurality of BRS subframes, and the terminal may receive a BRS using a beam in a plurality of BRS subframes.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단말은 풀 스윕 주기 동안 Btx * Brx개의 beam pair에 대한 BRS 신호 세기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Through this method, the UE can measure all BRS signal strengths for B tx * B rx beam pairs during a full sweep period.

먼저 단일 기지국의 상황에서 단말은 자신의 최적 수신 beam 방향으로 설정하고(즉, PDSCH 구간에서의 수신 beam 방향으로 설정), 개별 beam에 대한 수신 세기를 측정하여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송신 beam 조합에 대한 최대 수신 세기를 계산한다. 최대 수신 세기는, 개별 beam에 대한 수신 세기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세기가 센 순서대로 serving cell의 안테나 포트의 수만큼 합산하여 계산한다. 단말은 이렇게 계산된 최대 수신 세기를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First, in the context of a single base station, the UE sets its own optimal receive beam direction (ie, sets it as the receive beam direction in the PDSCH section), and measures the reception strength for each beam to determine the combination of transmit beams that the UE can receive. Calculate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for.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is calculated by arranging the reception strengths for individual beams in descending order, and summing up the number of antenna ports of the serving cell in the order of the strongest strength. The terminal may perform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the calculated maximum reception strength. The formula is as follows.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1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1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2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2

여기서 Prx max는 단말이 단일 기지국에서 수신 가능한 최대 수신 파워의 크기를 의미한다. Atx는 기지국 송신 안테나 포트 개수(특정 beam 방향으로 전송하는 array 안테나 그룹)를 의미한다.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3
는 단말 수신 beam을 brx로 기지국 송신 beam을 btx로 설정하여 얻어진 BRSRP를 의미하며, brx 0, brx 1, … ,brx Brx 및 btx 0, btx 1, … , btx Btx 의 beam 순서는 수신 beam을 선순위로 설정하고, BRSRP 세기에 대한 내림차 순으로 정렬되어 있다.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4
가 가장 큰 세기를 가지는 송수신 beam 조합 brx 0 및 btx 0 전송시의 BRSRP며,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5
는 수신 beam을 brx 0로 고정한 상황에서 BRSRP가 두 번째로 가장 센 경우의 송신 beam, 즉 btx 1 송신 beam 전송 시의 BRSRP를 의미한다.Here, P rx max means the size of the maximum received power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from a single base station. A tx means the number of base station transmit antenna ports (array antenna group transmitting in a specific beam direction).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3
BRSRP obtained by setting the terminal reception beam to b rx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beam to b tx , b rx 0 , b rx 1 ,. , b rx Brx and b tx 0 , b tx 1 ,… , b tx The beam order of Btx sets the received beam as a priority, and is arranged in descending order of BRSRP intensity.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4
Is a BRSRP when transmitting / receiving beam combinations b rx 0 and b tx 0 having the greatest intensity,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5
Is a transmission beam when the BRSRP is the second strongest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received beam is fixed to b rx 0 , that is, the BRSRP when transmitting the b tx 1 transmission beam.

단말은 최대 수신 세기 Prx max를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업데이트한다. 자동 이득 제어는 가능한 해당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 PAPR, channel fading, implementation margin 등에 의한 영향을 추가로 고려하여 수행하며, 이는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고정적 혹은 가변적으로 가져갈 수 있다. The terminal updates the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P rx max . The automatic gain control is performed by additionally taking into account the influence of PAPR, channel fading, implementation margin, etc. on the corresponding maximum received signal strength, which can be fixedly or variably taken through various experiments.

즉, 단일 기지국에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송신 beam의 수는 안테나 포트의 수 Atx와 동일하기 때문에, 단말에는 최대 Atx개의 beam이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단말에서 수신하는 beam간 간섭이 가장 심한 경우를 고려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여야 안정적인 신호 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은 풀 스윕 주기 동안 수신되는 모든 beam에 대해서 BRSRP를 측정한 뒤, BRSRP 세기가 센 것부터 안테나 포트의 수만큼 누적하여 수신 가능한 최대 수신 세기 Prx max를 계산하고, 이 수치를 이용하여 다음 풀 스윕 주기에 적용될 이득 제어를 수행한다.That is, since the number of transmit beams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by a single base station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antenna ports A tx , a maximum of A tx beams can be simultaneously received by the terminal. Stable signal reception is possible only when automatic gain control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interference between beams received by the terminal is most severe. Therefore, the UE measures BRSRP for all beams received during the full sweep period, and then calculates the maximum receive strength P rx max that can be received by accumulating as many antenna ports as the BRSRP strength is strong. Gain control to be applied to the full sweep period is performed.

다중 기지국의 상황에서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mobility 지원을 위하여 인접 기지국이 전송하는 BRS의 신호에 대해서도 주기적으로 측정을 진행한다. 인접 기지국이 전송하는 beam까지 포함하여 단말의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The same method can be applied to multiple base stations. In this embodiment, the UE periodically measures the BRS signal transmitted by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o support mobility. If the automatic gain control of the terminal is performed, including the beam transmitted by the adjacent base station, it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6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6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7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7

Atx는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 포트 개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C는 단말에서 수신되는 기지국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8
는 C번째 기지국에서 단말 수신 beam을 brx, 기지국 송신 beam을 btx로 설정했을 경우의 BRSRP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은 다중 기지국 환경에서도 정상적인 자동 이득 제어 레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 tx means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 ports of the base station. Here, C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base stations received by the terminal,
Figure 112017108051579-pat00008
Denotes BRSRP when the UE reception beam is set to b rx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beam is set to b tx in the C-th base station. In this way, the terminal can maintain a normal automatic gain control level even in a multi-base station environment.

즉, 다중 기지국 상황에서는 여러 기지국에서 동시에 beam이 전송되고, 이 때 동시에 전송되는 송신 beam의 수는 단일 기지국에 해당하는 안테나 포트의 수 Aj,tx의 합과 동일하기 때문에, 단말에는 최대 A1,tx + A2,tx + … + AC,tx 개의 beam이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에서 수신하는 beam간 간섭이 가장 심한 경우를 고려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여야 안정적인 신호 수신이 가능하므로, 단말은 풀 스윕 주기 동안, 모든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모든 송신 beam에 대해서 BRSRP를 측정한 뒤, BRSRP 세기가 센 것부터 다중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의 수를 합한 수만큼 누적하여 수신 가능한 최대 수신 세기 Prx max를 계산하고, 이 수치를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한다. That is, in a multiple base station situation, beams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from multiple base stations, and the number of transmit beams transmitted simultaneously at the same time is equal to the sum of the number of antenna ports A j and tx corresponding to a single base station, so that the maximum A 1 for the terminal. , tx + A 2, tx +… + A C, tx beams can be simultaneously received. Similarly, since automatic gain control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inter-beam interference received by the terminal is most severe, stable signal reception is possible, so the terminal measures BRSRP for all transmission beams received from all base stations during a full sweep period. , Calculate the maximum receive strength P rx max that can be received by accumulating the number of antenna ports of multiple base stations from the strong BRSRP strength, and perform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this number.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에서는 기지국에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송신 beam의 수를 고려하여, 단말이 수신하는 beam간 간섭이 가장 심한 경우를 가정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기지국에서 beam간 간섭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beam 조합에 대해서는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beam 조합에 대해서 단말에 미리 알려주게 되면 단말에서 예측하는 최대 수신 세기 값이 낮아져, 자동 이득 제어 마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dynamic range를 넓혀 단말에서의 수신 성능이 최적화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performs automatic gain control on the assumption that the interference between beams received by the terminal is the most severe, considering the number of transmit beams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Here, whe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the beam combinations for which the inter-beam interference is predicted to be high are not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beam combinations determined to not transmit at the same time are notified in advance,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value predicted by the terminal is lowered. , Automatic gain control margin can be minimized. As a result, the dynamic range is widened to optimize reception performance at the terminal.

예컨대, 도 7b를 참조하면, beam #1과 beam #2의 경계에 위치한 UE #1(10)에는 매우 beam간 간섭이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지국은 자신의 안테나 포트의 beam간섭을 고려하여 이러한 beam간 간섭이 높은 조합(beam #1, beam #2)에 대해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를 단말에 미리 전송한다. 단말에서는 이러한 beam 조합(beam #1, beam #2)이 수신되는 경우를 제외하여 최대 수신 세기를 계산한다. 즉, 단말에서 해당 beam 조합을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므로, 최대 수신 세기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beam #1에 대한 BRSRP 세기와 beam #2에 대한 BRSRP 세기를 합산하는 경우는 제외함으로써 자동 이득 제어 마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B, interference between beams is very high in UE # 1 10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beam # 1 and beam # 2. Therefore,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it does not transmit simultaneously for a combination (beam # 1, beam # 2) having high interference between beams in consideration of beam interference of its antenna port,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in advance. The terminal calculates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except when the beam combination (beam # 1, beam # 2) is received. That is, since the case in which the UE simultaneously receives the beam combination will not occur,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the case of summing the BRSRP strength for beam # 1 and the BRSRP strength for beam # 2 is automatically exclud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gain control margin.

단말은 현재 풀 스윕 주기에서 전체 BRS에 대한 BRSRP 세기를 측정하고, 다음 주기에서의 이득 제어를 수행하므로, 기지국에서는 이러한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beam 조합에 대해 매 주기마다 전송하여 단말에 알릴 수 있다.Since the UE measures the BRSRP strength for the entire BRS in the current full sweep period and performs gain control in the next period, the base station can notify the UE by transmitting every beam combination that is not simultaneously transmitted every period.

본 실시예에서, 단말에 기지국에서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beam 조합에 대한 리스트를 알려주는 경우는, 고주파 기지국과 연관된 LTE 셀에서 단말로 직접 알려주는 경우에 해당될 수도 있고(Non-standalone),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신호를 통해 서빙 셀 내의 모든 단말에 송신하거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를 통해 서빙 셀 내의 특정 단말에 개별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도 있다(Standalone).In this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notifies the list of beam combinations that are not simultaneously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t may correspond to a case in which the LTE cell associated with the high frequency base station directly informs the terminal (Non-standalone) or SIB ( This may also be the case when individu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ll terminals in the serving cell through a System Information Block (RSB) signal or to specific terminals in a serving cell through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signal (Standalone).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한 LOS(Line-of-Sight) 환경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다중 기지국 혹은 NLOS(Non Line-of-Sight) 환경 혹은 RF 중계기, 광 중계기로 추가적인 전송하는 실제 상황에서도 다양하게 확장하여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다중 기지국에서는 인접 기지국의 송신 beam과 자신의 beam간의 간섭이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되는 경우에는 인접 기지국 해당 beam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를 단말에 미리 알려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simple line-of-sight (LOS) environment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n a real situation in which multiple base stations or NLOS (Non Line-of-Sight) environments or RF repeaters and optical repeaters are additionally transmitted. It can be extended. For example,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interference between a transmission beam of an adjacent base station and its own beam is high in a multiple base sta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adjacent base station does not transmit simultaneously with the corresponding beam and may notify the UE in advance.

이하에서는, 기지국에서 자신이 전송하는 beam에 대해, 간섭이 높은 beam 조합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단말이 serving cell 기지국으로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on-demand) 형식으로 전송하는 BSI(Beam Status Information) 혹은 BRI(Beam Refinement Information)과 같은 빔 측정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edicting a beam combination having high interference with respect to a beam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for this purpose, a method of using beam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beam status information (BSI) or beam refinement information (BRI), which the UE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transmits to the serving cell base station, is proposed. do.

Verizon 5G 규격의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BRS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에서 측정된 beam 세기는 PUSCH 신호로 4개의 최적의 candidate beam 에 대한 BSI 정보(BI + BRSRP)를 기지국으로 리포트 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다. 이는 본래 기지국에서 단말에 전송할 4개의 candidate beam을 가지게 하기 위함이지만, 다른 의미로 단말의 위치에서 해당 beam들에 대해 BRSRP의 세기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4개의 candidate beam 사이에서 서로 간섭이 크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Verizon 5G standard,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BRS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e beam strength measured by the terminal is defined to report the BSI information (BI + BRSRP) for the four optimal candidate beams to the base station as a PUSCH signal. have. This is originally intended to have 4 candidate beams to b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UE, but in other words, the strength of the BRSRP is high for the corresponding beams at the location of the UE,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4 candidate beams can be considered to be large. You can.

기지국에서는 단말로부터 beam에 대한 BRSRP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간섭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송신 beam 조합을 판단한다. 단말의 위치 또는 셀 내에서 해당 송신 beam 조합이 발생하는 빈도를 기반으로, 해당 beam간의 높은 간섭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면, 이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beam 조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BRSRP information for the beam from the terminal, and based on this, determines a combination of transmission beams predicted to have high interference. Based on the location of a terminal or a frequency in which a corresponding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occurs in a cell, if high inter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beams frequently occurs, it may be determined as a beam combination that does not transmit simultaneously.

또한, 기지국에서는 서빙 셀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로부터 beam에 대한 BRSRP 정보를 수신하여, 송신 빔 조합에 따른 BRSRP 세기를 누적적으로 수집하고, 누적 수집된 세기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간섭이 높은 송신 빔 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는 이러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특정 단말에서 측정된 빔간 간섭 정보를 다수의 단말에 대해 지속적으로 수집함으로써, 특정 시점에서의 정보가 아닌, 자신(기지국)이 갖는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해 송신 빔간 간섭 정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receives BRSRP information for a beam from multiple terminals located in a serving cell, accumulates BRSRP intensity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ransmit beams, and statistically analyzes the accumulated collected intensity information to transmit beams with high interference. Combinations can be judged. The base station continuously collects inter-beam interference information measured at a specific terminal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through such statistical analysis, so that inter-transmission beam interference occur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owned by the base station rather than information at a specific time point. Information can be judged.

또한, 기지국은 해당 beam 조합을 단말에 알리는 것뿐 아니라, 자신의 제약 beam 조합 RBS(Restricted Beam Set) 리스트에 추가하여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RBS 리스트는 기지국이 자신의 서빙 셀 내 셀에서 단말로부터 리포트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것으로,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는 기지국 고유의 정보로, 기지국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beam간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beam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not only notifies the corresponding beam combination to the terminal, but can also manage itself by adding it to its restricted beam combination RBS (Restricted Beam Set) list. Here, the RBS list is based on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terminal in a cell in its serving cell, and may be continuously updated whenev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is is information unique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an perform beam scheduling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beams is minimized by referring to this.

또한, RBS 리스트는 단말의 빔 형상 정보 및 단말이 수용 가능한 동적 범위 정보에 따라 별도의 리스트로 관리될 수 있다. 단말이 초기 접속 시 자신이 가지는 수신 빔의 개수 혹은 수신 빔 폭과 같은 정보를 기지국으로 올리게 되면, 기지국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단말에 특성에 맞도록 별도의 RBS 테이블을 가지고 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정보는 이후에 유사한 수신 빔을 가진 단말이 접속 시 특정 RBS 정보를 RRC 레벨에서 해당 단말에게 전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BS list may be managed as a separate list according to beam shap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dynamic range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can accommodate. When the terminal initially raises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received beams or the received beam width of the received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can operate with a separate RBS table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based on this. In this case, such information may enable transmission of specific RBS information to a corresponding terminal at an RRC level when a terminal having a similar reception beam is subsequently access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RBS 테이블을 이용하여 beam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에서 RBS 테이블을 이용하여 beam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다중 기지국 상황(1개의 서빙 기지국 및 1개의 인접 기지국을 포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beam scheduling using an RBS table i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beam scheduling using an RBS table at a base sta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 multi-base station situation (including one serving base station and one neighboring base station) as an example.

먼저,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BRS 신호가 전송되고(S1301, S1302), 단말은 BRS 신호를 수신한다(S1303). 단말에서는 수신된 BRS 신호를 기반으로,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에서 송신한 송신 beam에 대해서 BRSRP 세기를 측정한다(S1304). First, a BRS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serving base station and an adjacent base station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S1301, S1302), and the terminal receives the BRS signal (S1303). The terminal measures the BRSRP strength for the transmission beam transmitt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BRS signal (S1304).

단말은 다수의 송신 beam에 대한 BRSRP 세기를 포함하는 BSI(Beam Status Information) 혹은 BRI(Beam Refinement Information)과 같은 빔 측정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한다(S1305). Verizon 5G 규격의 경우, 단말에서 측정된 beam 세기는 PUSCH 신호로 기지국에 4개의 최적의 candidate beam 에 대한 BSI 정보(BI + BRSRP)를 리포트한다.The terminal transmits beam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beam status information (BSI) or beam refinement information (BRI) including BRSRP strength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to the serving base station (S1305). In the case of the Verizon 5G standard, the beam strength measured by the terminal reports BSI information (BI + BRSRP) for the four optimal candidate beams to the base station as a PUSCH signal.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빔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S1306), beam에 대한 BRSRP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beam간 간섭 영향도를 분석한다(S1307). 여기에서 BRSRP 정보는 인접 기지국의 송신 beam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beam에 대한 BRSRP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송신 beam 조합을 판단하고, 단말의 위치 또는 셀 내에서 해당 송신 beam 조합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으면 해당 beam간 간섭 영향도가 높다고 분석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beam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1306), receives the BRSRP information for the beam, and analyzes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beams based on this (S1307). Here, the BRSR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beam of an adjacent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a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predicted to have high interference based on BRSRP information on the beam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i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in the location or cell of the terminal is high,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the beams is also affected. It can be analyzed that is high.

이러한 beam간 간섭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S1308), beam간 간섭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beam 조합을 자신의 제약 beam 조합 RBS (Restricted Beam Set) 테이블에 추가한다(S1309). RBS 테이블 정보가 인접 기지국의 beam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인접 기지국에 RBS 정보를 전달한다(S1310). 인접 기지국에서는 이러한 RBS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RBS 테이블에 추가한다(S1311).The inter-beam interference is compared with a set threshold (S1308),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beam interference is high, the corresponding beam combination is added to the RBS (Restricted Beam Set) table of its own constraint beam combination (S1309). When the RBS table information includes the beam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he RB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S1310). The neighbor base station receives this RBS information and adds it to its RBS table (S1311).

인접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은 beam 스케줄링 정보를 공유하여(S1312, S1313) RBS 테이블에 포함된 beam 조합이 배제되도록 beam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1314). 단말이 리포트한 정보를 토대로 판단한 beam간섭이 높은 조합이 인접 기지국의 beam을 포함한다면, 과정 S1312, S1313에서 X2 interface 연결과 같은 기지국간 신호를 통하여 기지국 간에 beam간섭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과정 S1314에서 beam 스케줄링 시에는 real-time 혹은 time-sharing 방식으로 자원을 서로 나눠서 쓰도록 하여, 시스템 관점에서 beam 설정에 따라서 전송 공간에서 발생하는 간섭 영향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전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serving base station share beam scheduling information (S1312, S1313) and perform beam scheduling so that the beam combination included in the RBS table is excluded (S1314). If the combination of high beam interference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includes a beam of an adjacent base station, information on beam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through signals between base stations such as X2 interface connection in steps S1312 and S1313. . In step S1314, when scheduling a beam, resources are shared with each other in a real-time or time-sharing manner, and accordingly, from a system point of view, interference effects occurring in a transmission space can be reduced according to beam setting, and as a result, overall performance can be improved.

RBS 테이블에는 beam간 간섭이 높은 beam 조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배제하여 beam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서빙 기지국에서는 beam간섭을 최소화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S1315), 단말에서는 beam간 간섭의 영향이 최소화된 상태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S1316).Since the RBS table includes a beam combination having high inter-beam interference, beam scheduling is performed by excluding this, so that the serving base station can transmit data with minimal beam interference (S1315), and the effect of inter-beam interference at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ceive data in a minimized state (S1316).

본 실시예에서, beam 스케줄링 시에 이러한 간섭이 높은 beam 조합 리스트를 배제하도록 송신 beam을 설정함으로써, 단말에서는 beam간 간섭이 크지 않은 상태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송 공간에서 발생하는 beam간 간섭 영향을 줄여서 전송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기지국의 전송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단말이 전송하는 beam 정보로부터 기지국이 스스로 beam간 간섭을 조절하여 전체적인 망을 구성하는 SON(Self-Organized Network) 동작이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setting the transmission beam to exclude the list of beam combinations having high interference during beam scheduling, the terminal can receive data in a state in which interference between beams is not larg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nsmission effect is reduced by reducing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beams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spac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lf-organized network (SON) operation in which a base station configures an entire network by controlling interference between beams by itself is enabled from beam information transmitted by a terminal.

특히, PDSCH 전송은 16-QAM, 64-QAM, 256-QAM과 같은 high-order modulation을 사용하므로, 전체 수신 신호의 EVM을 확보하기 위하여 ADC단의 성능을 최대로 얻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RBS 리스트를 이용해 송신 빔 조합을 제한함으로써 최대의 수신 성능을 얻을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PDSCH transmission uses high-order modulation such as 16-QAM, 64-QAM, and 256-QAM, it is necessary to obtain the maximum performance of the ADC stage in order to secure the EVM of the entire received signal. Therefore, the maximum recep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by limiting the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using the RBS lis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다만, PDCCH와 같은 제어 신호는 UL HARQ ACK/NACK과 같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몇 개의 subframe의 정보를 모아서 전송할 수 있고, PDSCH 전송과 동일하게 전송하는 beam 조합을 줄이는 것은 상대적으로 큰 제약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PDCCH 신호는 BPSK 혹은 QPSK 신호로 전송되므로, 단말 수신부에서 PDCCH 구간에 대해서 수신 신호의 reference level을 낮추어 받거나 (PDSCH의 reference level에서 일정 수준 back-off), 기지국에서 전송 신호 세기를 낮추어 보낼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기지국에서는 beam간 간섭 세기의 threshold 조건을 낮추어서 PDCCH 구간에 대해서 별도의 RBS 테이블로 관리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such as a PDCCH to transmit a signal such as UL HARQ ACK / NACK, information of several subframes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and reducing a beam combination to be transmitted in the same way as PDSCH transmission is a relatively large limitation. You can. In this case, since the PDCCH signal is transmitted as a BPSK or QPSK signal, a reference level of a received signal is lowered in a PDCCH section at a terminal receiving unit (back-off a certain level at a reference level of a PDSCH), or a base station transmits a lowered signal strength. You can.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the base station may manage the PDCCH interval as a separate RBS table by lowering the threshold condition of the inter-beam interference intensity.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BRSRP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 단말이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BRSRP informa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performs automatic gain contr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4.

먼저, 서빙 기지국에서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로 전송한다(S1401). PBCH는 예컨대,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폭, SFN(System Frame Number) 등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은 PBCH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통해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 수를 확인한다(S1402). 이 때 안테나 포트의 수는 시스템 정보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단말에서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하여 안테나 포트 수를 확인할 수 있다.First,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necessary system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to access the network through a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S1401). The PBCH includes system information such as a downlink system bandwidth and a system frame number (SFN). The terminal checks the number of antenna ports of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PBCH (S1402). At this time, the number of antenna ports may not be explicitly included in the system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may check the number of antenna ports by blind detection.

서빙 기지국에서는 제어 채널이 형성된 단말에 SIB를 전송한다(S1403). 서빙 기지국이 전송하는 SIB에는 서빙 기지국의 RB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IB는 서빙 셀 내의 단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용 제어정보로써, 여기에 포함되는 RBS 정보는 단말의 수신 빔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지국 고유의 정보에 해당한다. 단말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SIB로 브로드캐스트 된 RBS 정보를 수신하여, 서빙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의 RBS 정보를 수신한다(S1405).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the SIB to the terminal on which the control channel is formed (S1403). The SIB transmitted by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include RBS informat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SIB is common control information that is commonly applied to a terminal in a serving cell, and the RBS information included therein corresponds to information unique to a base station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reception beam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receives the RBS information broadcast by the SIB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receives RBS informat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S1405).

이후, 기지국은 단말의 특성을 고려하여 RBS 정보를 최적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초기 접속 시 단말 수신 안테나 형상을 서빙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1405). 기지국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여(S1406) 단말의 수신 빔 특성을 고려하여 단말에 최적화된 별도의 RBS를 운영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러한 수신 안테나 형상에 따라 최적화된 user-dedicated RBS 정보를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S1407). 단말에서는 user-dedicated RBS 정보를 수신하여(S1408), 기지국에서 자신(단말)에게 빔 스케줄링 시에 배제하는 빔 조합을 미리 파악한다. 즉, 단말이 초기 접속 시 자신이 가지는 수신 빔의 개수 혹은 수신 빔 폭과 같은 정보를 기지국으로 올리게 되면, 기지국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단말에 특성에 최적화된 별도의 RBS 테이블을 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정보는 이후에 유사한 수신 빔을 가진 단말이 접속 시 특정 RBS 정보를 RRC 레벨에서 해당 단말에게 전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can optimize the RBS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Specifically,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shape of the terminal receiving antenna to the serving base station during initial connection (S1405).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this information (S1406) and operate a separate RBS optimized for th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received beam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user-dedicated RBS information optimiz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antenna to the terminal (S1407). The terminal receives the user-dedicated RBS information (S1408), and the base station grasps in advance the beam combination excluded when scheduling the beam to itself (the terminal). That is, when the terminal initially raises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received beams or the received beam width of the received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can operate a separate RBS table optim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based on this. In this case, such information may enable transmission of specific RBS information to a corresponding terminal at an RRC level when a terminal having a similar reception beam is subsequently accessed.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beam에 대한 BRS가 전송되면(S1409, S1410), 단말은 BRS 신호를 수신하여(S1411) 다수의 beam에 대한 BRSRP를 측정한다(S1402). 다중 기지국 상황에서는 여러 기지국에서 동시에 beam이 전송되고, 단말에는 주변 모든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 수를 합한 수의 beam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주변 기지국에서 가능한 beam 조합(조합 내 beam 수는 주변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 수를 합한 것과 같음)에 대해 모든 BRSRP 누적치를 계산한다(S1413). S1413에서 계산된 BRSRP 누적치 중에서, S1405, S1409를 통해 단말이 전송받은 RBSP 빔 조합에 해당하는 케이스를 제외하고(S1413), 가장 큰 BRSRP 누적치를 확보한다(S1415). 과정 S1415에서 획득한 BRSRP 누적치는 단말에서 수신할 수 있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최대 수신 세기로, 이를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한다(S1416).When BRSs for a plurality of beams are transmitted from a serving base station and an adjacent base station (S1409, S1410), the UE receives a BRS signal (S1411) and measures BRSRP for multiple beams (S1402). In a multi-base station situation, beams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from multiple base stations, and a terminal can simultaneously receive a beam of a total number of antenna ports of all nearby base stations. Therefore, the UE calculates all BRSRP accumulation values for possible beam combinations in the neighbor base stations (the number of beams in the combination is equal to the number of antenna ports of the neighbor base stations) (S1413). Among the BRSRP accumulated values calculated in S1413, the largest BRSRP accumulated value is secured (S1413), except for cases corresponding to the RBSP beam combination transmitted by the UE through S1405 and S1409 (S1413). The accumulated BRSRP value obtained in step S1415 is the maximum received strength for a combination of transmit beams that can be received by the terminal, and automatic gain control is performed using this (S1416).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SN 레벨에서 RBS 전송 제약을 기술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scribing RBS transmission constraints at the ASN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기지국의 프로세싱 성능이 충분하다면, 제안하는 빔 간섭을 줄이는 스케줄링 방법을 유저의 실시간 BSI 정보로부터 운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리포트 되는 단말 별 BSI 정보를 계속 업데이트 관리하면서, 데이터 전송 시 동시에 전송할 단말을 선택할 때 실시간으로 해당 전송 빔 조합 간의 BRSRP 수치를 참조하여 빔간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스케줄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빔 조합에 대한 단말의 BRSRP 수치로부터 단말에서 체감하는 SINR (Signal-to-Noise Interference Ratio) 수치를 예측하여 단말에 전송하는 MCS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자신의 빔 방향은 signal 세기, 다른 빔 방향은 interference 세기에 해당).In addition, if the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base station is sufficient,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proposed scheduling method for reducing beam interference from real-time BSI information of the user. That is, when the base station continuously updates and manages BSI information for each terminal periodically reported, when selecting a terminal to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during data transmission, the scheduling may be determined to minimize inter-beam interference by referring to BRSRP values between corresponding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s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signal-to-noise interference ratio (SINR) value experienced by the UE can be predicted from the BRSRP value of the UE for the corresponding beam combination to determine the MCS level transmitted to the UE (its beam direction is signal strength, other beam The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interference intensity).

본 실시예에 의하면, cell planning 이후 단말에서 느끼는 빔간 간섭이 높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지국 시스템에서 이러한 상황을 제약하는 방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은 단말의 AGC 동작 이외에도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 공간을 나누어 간섭이 적은 방향으로 빔 전송을 선택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 용량을 증가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can be summarized in a way that the base station system restricts such a situation so that a situation in which the inter-beam interference felt by the terminal does not occur after cell planning. In the proposed method, in addition to the AGC operation of the terminal, since the space is divi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system and the beam transmission is selected in the direction of less interference, as a result, the capacity is increa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verall system.

제안한 방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Verizon 5G 규격을 기반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후 정해지는 3GPP NR의 세부적인 규격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하여 적용이 가능하다.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Verizon 5G standard, and can be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detailed specifications of the 3GPP NR to be determined.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16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통신부(1610)와 제어부(16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6,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610 and a control unit 1620.

통신부(1610)는 단말로 참조 신호 및 데이터 등의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및 채널 피드백 정보 등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0)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신호를 단말에 송신하고, 단말로부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610 transmits signals such as reference signals and data to the terminal and receives data and channel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transmit signal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to the terminal, and receive beam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transmission beam from the terminal.

제어부(1620)는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로부터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6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20)는 수신한 빔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도를 판단하고, 간섭 정도에 따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송신 빔 조합을 판단하여 빔 조합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빔 조합 리스트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2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610 to transmit signal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and receive beam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e controller 1620 may determine a degree of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based on the received beam feedback information, and may generate a beam combination list by determining a combination of transmission beams that are not simultaneous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ference. The generated beam combination list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또한, 제어부(1620)는 다중 기지국 상황에서, 단말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송신 빔에 대한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빔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인접 기지국의 송신 빔과의 간섭 정도를 판단하여, 인접 기지국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beam feedback information for a transmission beam of an adjacent base station from a terminal in a multi-base station situation, the controller 1620 determines the degree of interference with a transmission beam of an adjacent base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beam feedback information, and the adjacent A list of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s that are not transmitted simultaneously with the base station can be generated and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또한, 제어부(1620)에서 단말에 빔 조합 리스트를 송신하는 경우는, 고주파 기지국과 연관된 LTE 셀에서 단말로 직접 알려주는 경우에 해당될 수도 있고(Non-standalone),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신호를 통해 서빙 셀 내의 모든 단말에 송신하거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를 통해 서빙 셀 내의 특정 단말에 개별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도 있다(Standalone).In addition, when the beam combination list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620 to the terminal, it may correspond to a case in which the LTE cell associated with the high frequency base station directly informs the terminal (Non-standalone), and transmits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signal. This may also be the case when transmitting to all terminals in the serving cell or transmitting individual information to a specific terminal in the serving cell through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signal (Standalone).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17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통신부(1710)와 제어부(17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7,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710 and a control unit 1720.

통신부(1710)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참조 신호 및 데이터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20)로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710 receives signals such as reference signals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 unit 1720.

제어부(1720)는 통신부(1710)에서 전달받은 수신 신호들로부터 빔 정보를 확인하고, 참조 신호를 수신하며, 참조 신호에 따른 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참조 신호를 활용해 데이터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빔 피드백 정보는 통신부(1710)를 통해 기지국으로 보고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20 may check beam information from received signal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710, receive a reference signal, generate beam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signal, and use another reference signal to decode data. It can be done. The beam feedback information may be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10.

또한, 제어부(172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참조신호로부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를 개별적으로 측정하고,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송신 빔 조합에서 가능한 최대 수신 세기를 계산하여 ADC 입력에 대한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20 individually measures the reception intensity of each transmission beam from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calculates the maximum reception intensity possible in the combination of transmission beams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there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gain of the ADC input. You can do

또한, 제어부(1720)는 다중 기지국 상황에서, 서빙 기지국뿐 아니라 인접 기지국에서 수신한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인접 기지국의 송신 빔에 대한 빔 피드백 정보를 생성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ADC 입력에 대한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인접 기지국의 송신 빔의 수신 세기를 고려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20 may control to transmit beam feedback information for a transmission beam of an adjacent base station to a generating serving base station based on a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a neighbor base station as well as a serving base station in a multiple base station situation, and input an ADC. In order to perform automatic gain control for,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reception strength of a transmission beam of an adjacent base station.

또한, 제어부(1720)는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이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송신 빔 조합이나 인접 기지국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송신 빔 조합을 수신하면, 이를 참조하여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송신 빔 조합에서 가능한 최대 수신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1720 receives a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that the base station does not transmit simultaneously or a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that does not transmit simultaneously with an adjacent base station, the control unit 1720 refers to the maximum reception strength possible in the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Can be calculated.

도 11, 도 13 및 도 14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1, 도 13 및 도 1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10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1, 13, and 14 are described as sequentially executing each process,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perform or change the order described in FIGS. 11, 13, and 14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Since one or more of the processes may be applied i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y executing one or more processes in parallel, FIG. 10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한편, 도 11,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의 각 단계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each step of the flowcharts shown in FIGS. 11, 13, and 14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at is,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optical reading media (eg, CD-ROM, DVD, etc.) and carrier waves (eg, the Internet). Storag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may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 UE #1
20: UE #2
30: UE #3
10: UE # 1
20: UE # 2
30: UE # 3

Claims (27)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부; 및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간섭 정보에 기반해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빔 조합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In a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nd
Interfere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is collected based on a measurement report of at least one terminal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and a beam combination list for transmission beam combinations that are not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is generated based on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transmit to one terminal
Base station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로부터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간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Signals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are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beam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transmission beam is received from a terminal,
The control unit,
A base station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based on the beam feedback information and collecting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빙 셀 내의 다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빔 피드백 정보를 누적하고, 상기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간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 base station characterized by accumulating beam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 serving cell and collecting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degree of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부; 및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의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간섭 정보에 기반해 상기 인접 기지국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송신 빔 조합에 대한 빔 조합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In a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in a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nd
A combination of transmission beams that collect interference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transmission beams of the base station and an adjacent base st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of at least one terminal for multiple transmission beams, and do not transmit simultaneously with the adjacent base station based on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beam combination list for the control to transmit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Base station comprising 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송신 빔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로부터 상기 인접 기지국의 각 송신 빔의 수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간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munication unit,
A signal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is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and beam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transmission beam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is received from a terminal,
The control unit,
A base station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based on the beam feedback information and collecting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빙 셀 내의 다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빔 피드백 정보를 누적하고, 상기 다수의 송신 빔간의 간섭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간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A base station characterized by accumulating beam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 serving cell and collecting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degree of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beams.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SA(Non-Standalone) 방식인 경우 상기 빔 조합 리스트를 4G LTE 셀을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1 or 4,
The control unit,
In the case of NSA (Non-Standalone), a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m combination list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hrough a 4G LTE cell.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A(Standalone) 방식인 경우 상기 빔 조합 리스트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통해 서빙 셀 내의 모든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1 or 4,
The control unit,
In the case of a standalone (SA) method, the base st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m combination list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all terminals in a serving cell through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A(Standalone) 방식인 경우 상기 빔 조합 리스트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를 통해 서빙 셀 내의 단말에 개별적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1 or 4,
The control unit,
In the case of a standalone (SA) method, the base st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m combination list is controlled to be individually transmitted to a terminal in a serving cell through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43978A 2017-10-31 2017-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terference Aware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mes KR102078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78A KR102078616B1 (en) 2017-10-31 2017-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terference Aware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m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78A KR102078616B1 (en) 2017-10-31 2017-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terference Aware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m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74A KR20190048774A (en) 2019-05-09
KR102078616B1 true KR102078616B1 (en) 2020-04-07

Family

ID=6654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78A KR102078616B1 (en) 2017-10-31 2017-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terference Aware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m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6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7780A1 (en) * 2020-12-03 2022-06-0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achine learning-assisted beams coordinated scheduling in 5g and beyond
GB2615413B (en) * 2022-02-04 2024-05-15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Method for determining beam interfefenc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2549*
3GPP R1-1716039*
3GPP R2-1623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74A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4777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for layer-3 (L3) mobility
US10743195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00107305A1 (en) Two-stag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s for beam operation
US9788313B2 (en)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coordinated multi-point (COMP) transmissions
EP2643936B1 (en) Antenna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629325B1 (en) Method for estimating channel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and mobile station using the same
KR1020617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aware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39198B2 (en)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2147682B1 (en) Channel measuring method and device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720973B2 (en) Method for ultra-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receiving reference signal and feedback and apparatus for same
JP2019140512A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90149253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measurement,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configuring measurement
KR101682973B1 (en) Downlink pmi coordination based on base station antenna configuration
WO201308515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ference signal dropping
CN109891922B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and link acquisition using directional antennas in a cellular wireless system
EP3345325B1 (e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for cell coordination
KR102146177B1 (en) Wireless-network nodes, wireless devic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on
KR1020786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terference Aware Automatic Gain Control and Beam Scheduling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mes
CN114868351B (en) Techniques for uplink SRS time domain bund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774583B2 (en) Method for estimating channel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partial frequency reuse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US9712271B2 (en) Radio base statio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7941276A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multiple panel user devices
KR20170123577A (en) Method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beam management modes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90000961A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 beam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beam-forming
EP39653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