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583B1 -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583B1
KR102078583B1 KR1020170183164A KR20170183164A KR102078583B1 KR 102078583 B1 KR102078583 B1 KR 102078583B1 KR 1020170183164 A KR1020170183164 A KR 1020170183164A KR 20170183164 A KR20170183164 A KR 20170183164A KR 102078583 B1 KR102078583 B1 KR 102078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face
biometric data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3449A (en
Inventor
채용욱
이홍구
최태준
최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Publication of KR2018011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5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얼굴에 대향 배치되고, 일 측에 설치되는 영상출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디스플레이부에 수용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제2 생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함은 물론, 가상현실 영상을 확인 중인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가상현실 영상을 확인 중인 사용자의 인지 및 감정 상태를 실시간 확인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체험요소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개발 가능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콘텐츠를 실시간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facing the user's face when worn by the user, the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user through the image output means installed on one side; A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and configured to acquire first biometric data by photographing a face of the user accommodated in the display unit when the user wears the first biometric data; And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and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user, by acquiring the biometric data from the face of the user who is check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gnitive and emotional state of the user who is check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in real tim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velop content including various experience elements, and further improve the user's experience satisfaction by providing the content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in real time.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Head Mounted Display Devic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 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which is easy to wear and can measure biometric data of a user when worn.

일반적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MD: Head-Mounted Display)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이 가능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In general, a head-mounted display (HMD)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a user's head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a spatial and temporal experience that is similar to reality. It is a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이와 같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 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고글(goggle)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착용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에는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 장치가 설치되거나, 모니터 등과 같이 PC 등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다.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cludes a main body formed in a goggle shape so as to be worn on a user's eyes, and a wearing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in a band shape to fix the main body to a user's head. . Here, as a means for outputting a virtual reality image,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ortable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PC or the like such as a monitor.

그러나, 종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장치에 설치된 영상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만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됨에 따라, 활용도가 낮고, 영상출력수단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종류가 지극히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ad-mounted display device is produced so that the user can only visually check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means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so that the utilization is low and the type of content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means is low. There was a very limited problem.

또한, 종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와 착용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용부가 머리 전체를 감싸는 고무재질의 밴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착용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가상체험을 중단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비를 머리로부터 탈거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ead-mounted display device is not easy to wear, as the main body and the wear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or the wear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rubber band surrounding the entire head, the user temporarily stops the virtual experience and visual fiel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equipment must be removed from the head was inconvenient.

아울러, 종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는 상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고무재질의 밴드를 통해 지지됨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체험도중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conventional head-mounted display device is supported by a band of rubber material surrounding the head of the commercial user, it can not be stably fixed to the user's face,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being separated from the user's face during the user's experience there was.

또한, 종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의 일면에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완충재가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완충재가 변형 또는 파손될 경우,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완충재가 변형 또는 파손될 겨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를 교체하거나, 완충재가 변형 또는 파손된 상태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ead-mounted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replaced, if the cushioning material is deformed or broken. Therefore, the user had to replace the entir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only when the cushioning material was deformed or broken, or had to use th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while the cushioning material was deformed or broken.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5392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6539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 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적, 인지적, 감정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wear, the head mount that can sense the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changes of the user by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data when worn It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얼굴에 대향 배치되고, 일 측에 설치되는 영상출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수용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제2 생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disposed on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wearing, the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user through the image output means installed on one side ; A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and acquiring first biometric data by photographing a face of the user accommodated in the display unit when the user wears it; And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and contacting the skin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선택적으로 대향 배치되고, 일 측에 사용자 얼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안면 수용공간과, 타 측에 상기 영상출력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be worn on the user's head; And a face accommodating space rotatably coupled to the wearing part, the face receiving space being selectively opposed to the face of the user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face of the user on one side, and the image output means on the other side. It may include; a display main body which is formed to accommodate a display receiving space.

상기 착용부는, 내측에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는 머리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배치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밴드 지지부를 포함하는 착용본체; 상기 착용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착용본체의 내경을 조절 가능한 내경 조절수단; 및 상기 밴드부의 내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aring part has a head receiving space to accommodate the user's head is formed inside the band portion disposed around the user's head when worn by the user, and a ban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nd portion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Wearing body comprising a; An inner diameter adjusting means installed in the wearing body and capable of adjusting an inner diameter of the wearing body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shock absorbing part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and supported by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wears it.

상기 내경 조절수단은, 상기 밴드부에 결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 측에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회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조절부; 상기 밴드부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부에 대향 배치되고, 일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안내판;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수용되어 일 측에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고, 타 측에 상기 밴드부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절부재의 회전 시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밴드부의 내경을 조절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adjusting means, the adjusting portion including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band portion and a rotation control memb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pinion gear on one side; A guide plat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and disposed to face the adjustment part, and having a guide rail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rack gear accommodated in the guide rail and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on one side, and having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band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moving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when the rotation control member is rotated. It may include; a moving member for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band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내부가 일 방향으로 관통되어 일 측 및 타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착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지지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 개구부에 배치되고, 일 측에 상기 디스플레이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관통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거치 프레임; 상기 하우징부의 타 측 개구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안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안면 수용 프레임; 상기 안면 수용 프레임에 설치되는 렌즈; 및 상기 거치 프레임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거치 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공간을 상기 렌즈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초점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ain body may include: a housing part having an opening penetrati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openings form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reof; A rotation support par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wearing part to limit a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 main body; A mounting frame disposed at one opening of the housing part, the display accommodation spac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linearly movable along a throug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A face receiving frame disposed in the other side opening of the housing and having the fac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 lens installed on the face receiving frame; And a focus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and moving the mounting fram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o separate the display accommodation space from the le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착용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회전 지지본체; 상기 회전 지지본체와 상기 회전 지지본체에 수용된 상기 착용부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 지지본체와 상기 착용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 지지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착용부의 일부에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회전 시 상기 착용부의 일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회전 제한부재; 및 상기 회전 지지본체와 상기 착용부의 일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 지지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able support may include: a rotatable support body installed on the display main body and capable of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wearing unit therein;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nnecting the rotatable support body and the wearable part through the rotatable support body and a portion of the wearing part accommodated in the rotatable support body; A rotation limit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able support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jaw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wearable body opposite to a portion of the wearable por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wearable portion can be caught when the display body is rotated;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rotatable support body and a part of the wearing unit to each oth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able support body.

상기 거치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안면 수용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둘레를 감싸는 후드, 및 상기 후드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지지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차양부; 상기 차양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수단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영상출력수단을 상기 렌즈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부; 상기 차양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수단에 접촉되는 완충패드; 및 상기 차양부에 설치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초점 조절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초점조절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양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 includes a hoo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face receiving frame and surrounding the lens,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hood and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part; A first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nshade to support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image output means, and the image output means extended upwardly from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toward the lens direction; A display support including a second support supporting the support; A buffer pad installed in the sunshade,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to contact the image output means; And a linear movement member installed on the sunshade and having a rack gea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the focus adjusting means,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cus adjusting means into a linear motion to linearly move the sunshade. It may include.

상기 안면 수용 프레임은, 일면에 상기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내측에 사용자의 눈 및 코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안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안면 수용본체; 상기 안면 수용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코에 밀착되어 상기 안면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양패드; 및 상기 안면 수용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ce accommodating frame includes: a face accommodating body having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ring unit on one surface thereof, wherein the face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user's eyes and nose is formed therein; A sunshade pad installed on the face receiving body and blocking the light flowing into the face receiving spac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when the user wears it; And a socket part installed at the face receiving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part.

상기 초점 조절수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 기어에 결합되어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cus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of the linearly moving member; A power transmission gea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gear; And an operation unit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gear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power transmission gear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상기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안면 수용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의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IR 필터; 상기 거치 프레임과 상기 안면 수용 프레임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각도 조절부에 설치되어, 사용자 얼굴의 적어도 일부인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를 촬영 가능한 촬영부; 및 상기 각도 조절부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광을 발산하는 IR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may include: an IR filter installed at the face receiving frame and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lens; An angle adjusting unit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face receiving frame; A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in the angle adjusting unit and capable of capturing the first biometric data which is at least a part of a user's face; And an IR light source unit installed at the angle adjusting unit and disposed around the photographing unit to emit light.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프레임; 상기 수용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동축, 상기 주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주동기어, 및 상기 주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축 및 상기 주동기어와 함께 회전 가능하고,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 및 내측에 상기 촬영부 및 상기 IR 광원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축, 및 상기 종동축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주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 및 상기 종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gle control unit, the housing frame is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forming a receiving space inside; A mai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a main gear coupled to the main shaft and rotatable together with the main shaf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and the main shaft and rotatable together; An operation unit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unit and includes an operation unit capable of operating by a user; And an inner side of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IR light source unit, a rotating bod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frame, a driven shaft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and one side of the driven shaft. Is coupled to the main gear is engaged with the main gear, the rotation unit including a driven gear that rotates with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en shaf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may include.

상기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향하는 일면에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탈부착 가능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인 상기 제2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소켓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제2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may include: a mask body detachable from the display unit by providing a coupling unit on one surface facing the display unit; Sensing means installed on the mask body and contacting the skin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the second body data to detect the second biometric data; And a connector installed in the mask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means and connected to a socket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to transmit the second biometric data sensed by the sensing mea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함은 물론, 가상현실 영상을 확인 중인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가상현실 영상을 확인 중인 사용자의 인지 및 감정 상태를 실시간 확인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체험요소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개발 가능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콘텐츠를 실시간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user, by obtaining biometric data from the face of the user who is check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gnitive and emotional state of the user who is check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in real tim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velop content including various experience elements, and further improve the user's experience satisfaction by providing the content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in real time.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가 착용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착용부는 한 손으로 착용할 수 있는 고리형상의 구조물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착용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body is coupled to the rotatable structure to the wearing portion, the wear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ng-shaped structure that can be worn with one hand, it is easy to wear, freely ensuring the user's field of view as needed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또한, 구조물 형태로 형성된 고리형상의 착용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본체를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나아가 체험 중 사용자로부터 다소 과격한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본체가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ring-shaped wearing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display body to the front of the user's face, and furthermore the display body is separated from the user's face even if some radical movement occurs during the experience Can be prevented.

또한, 사용자의 얼굴에 지지되는 마스크 본체를 디스플레이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교체가 용이하여 장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나아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mask body supported on the user's face in a removable structure on the display body, it is easy to replace,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equipment, and further reduce the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안면 수용 프레임이 제거된 디스플레이 본체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VIII-V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IX-IX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부가 제거된 디스플레이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본체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의 프레임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의 착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의 프레임부에 완충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에서 감지수단의 변형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에 구비된 감지수단의 변형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의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tructure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tructure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FIG. 7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display main body from which a face receiving frame is removed i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of FIG. 3.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X-IX of FIG. 3.
10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9.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isplay main body from which a housing part is removed i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display main body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tructure of a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frame unit of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aring process of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buffer unit installed in a frame unit of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a sensing unit in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nsing means provided in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of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variously modified. Specific embodiment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may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described above. The terms described above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module" or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n addition, the "module" or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r an operation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parts” other than “modules” or “parts” to be executed in specific hardware or executed in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bbreviated or omit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이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라 함)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이 가능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여 가상체험을 진행 중인 사용자의 신체적, 인지적, 감정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복합 가상 체험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10)를 포함한다.1 and 2,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user's head so that the user may have a space that is similar to reality. In addition, it provides a virtual reality (VR) image to the user so that time can be experienced, and at the same time, it measures the user's biometric data to detect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of the user in the virtual experience. As a virtual experience device, it includes a display unit 10.

디스플레이부(1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가 가상현실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면이 사용자의 얼굴에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0)의 일 측에는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출력수단(미도시)이 설치된다. 예컨대, 영상출력수단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장치 또는 PC에 연결되어 PC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모니터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and on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is disposed to face the user's fac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virtual reality image. Here, an image output means (not shown)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to a use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0. For example, the image output means may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or a portable monitor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provided from the PC by being connected to the PC.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3 to 12, the display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디스플레이부(10)는 착용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 may include a wearing unit 11.

도 3을 참조하면, 착용부(11)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착용부(11)는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고리형의 밴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earing part 1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a user's head. More specifically, the wearing part 11 may be formed in an annular band structure so as to wrap around the head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i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착용부(11)는 착용본체(111)와, 내경 조절수단(112)을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wearing part 11 may include a wearing body 111 and an inner diameter adjusting unit 112.

착용본체(111)는 일 부분이 절개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는 머리수용공간(1111a)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배치되는 밴드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본체(111)는 밴드부(1111)의 일 측 단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디스플레이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밴드 지지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밴드 지지부(1112)의 일 측에는 밴드 지지부(1112)의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2)에 수용되고, 후술할 디스플레이 본체(12)의 회전 지지부(122)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 지지편(111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부(11)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착용부(11)의 내면에는 착용부(11)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착용부(11)의 내면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보강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The wearing body 111 is formed in a circular or oval ring shape in which a portion is cut and a head accommodation space 1111a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user's head inside, and is disposed around the head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body. The band portion 1111 may be included. The wearing body 111 may include a band support part 1112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and part 1111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isplay body 12 to be described later. Here, one side of the band support 1112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support 1112 and is accommodated in the display main body 12, and coupled to the rotatable support 122 of the display main body 12 to be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rotating support pieces 11121 may be formed. For example, the wearing part 11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part 11 is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part 11 to compensate for the rigidity of the wearing part 11. Reinforcement means can be formed.

내경 조절수단(112)은 밴드부(1111)의 절개된 부위에 설치되어 절개된 부위로 인하여 분리된 밴드부(1111)의 양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분리된 밴드부(1111)의 양 단부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켜 착용본체(111)의 내경을 조절 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adjusting means 112 is installed at the cut portion of the band portion 1111 and connects both ends of the separated band portion 1111 due to the cut portion, and the amount of the separated band portion 1111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wearing body 111 may be adjusted by moving the end portion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내경 조절수단(112)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inner diameter adjusting means 1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내경 조절수단(112)은 조절부(11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adjusting unit 112 may include an adjusting unit 1121.

조절부(1121)는 밴드부(1111)의 분리된 양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밴드부(1111)에 결합되어 밴드부(1111)의 분리된 양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판(112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11211)은 밴드부(1111)의 형상과 연계될 수 있도록 밴드부(1111)의 내면에 대응되는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 후크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밴드부(11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1121)는 지지판(11211)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절부재(112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조절부재(11212)는 지지판(11211)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조절부재(11212)는 밴드부(1111)의 외측에 배치되는 파지수단 및 밴드부(1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1121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ing part 112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wo separated ends of the band part 1111, and may include a support plate 1121 1 coupled to the band part 1111 and connecting the two separated ends of the band part 1111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 1121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1111 so as to be associated with the shape of the band part 1111, and has a fastening means such as a hook on one side and has a band part 1111. ) May be combined. In addition, the adjusting unit 1121 may include a rotation adjusting member 1112 rotatably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121. The rotation control member 1112 may be rotatably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1211. In addition, the rotation control member 1112 may include a gripping mean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and portion 1111 and a pinion gear 1112a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and portion 1111.

또한, 내경 조절수단(112)은 안내판(112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adjusting means 112 may include a guide plate 1122.

안내판(1122)은 밴드부(1111)의 내면에 설치되어 조절부(1121)의 지지판(11211)에 대향 배치되고, 밴드부(1111)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밴드부(1111)의 내면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1111)의 내면에 접하는 안내판(1122)의 일면에는 후술할 이동부재(1123)가 설치될 수 있도록 안내판(1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12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레일(11221)은 도 6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안내판(1122)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판(1122)은 일 측에 후크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밴드부(1111)에 결합될 수 있다.The guide plate 112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1111 a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1121 of the adjusting portion 1121, and correspo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1111 so as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1111. It may be formed in a shape. In addition, a guide rail 112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guide plate 1122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11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1122 so that the movable member 112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guide rails 1121 may be formed in the guide plate 112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6. In addition, the guide plate 1122 may be coupled to the band part 1111 wit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hook on one side.

또한, 내경 조절수단(112)은 이동부재(112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adjusting means 112 may include a moving member 1123.

이동부재(1123)는 가이드레일(11221)에 수용되어 안내판(1122)의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판(1122)의 내면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1123)의 일 측에는 회전조절부재(11212)의 피니언 기어(11212a)에 치합되는 랙기어(11231)가 형성되고, 이동부재(1123)의 타 측에는 밴드부(1111)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1123)는 회전조절부재(11212)의 회전 시, 안내판(1122)의 내면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된 밴드부(1111)의 양 단부를 회전조절부재(11212)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키거나, 회전조절부재(1121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밴드부(1111)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1123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122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rail 1121 and mov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122. And, one side of the movable member 1123 is formed with a rack gear (11231)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1212a) of the rotation control member (11212),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member 1123 is coupled to the band portion 1111 Means can be formed. Therefore, the moving member 1123 moves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122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rotation control member 1112, and moves both ends of the separated band part 1111 to the rotation control member 1112. The inner diameter of the band part 1111 may be adjusted by moving adjacent to or moving away from the rotation control member 1112.

또한, 착용부(11)는 완충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ing part 11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part 113.

도 4를 참조하면, 완충부(113)는 밴드부(1111)의 내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완충부(113)는 밴드부(1111)의 내면에 탈부착 가능한 설치판, 설치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완충재, 그리고 완충물의 외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설치판은 밴드부(1111)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판의 일면에는 밴드부(1111)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재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스펀지, 라텍스 등의 소재로 형성되고, 외피는 직물, 가죽, 나일론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13)는 밴드부(1111)의 내면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완충부(113)는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 전방 및 사용자의 머리 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밴드부(1111)의 내면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hock absorbing part 113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1111, and may be supported by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wears it. In more detail,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13 is a detachable mounting plat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1111, a cushioning material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the skin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mounting plate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1111, and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fastened to the band portion 1111. The cushioning material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sponge or latex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outer ski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fabric, leather, or nylon. In addition, the buffer unit 113 may be provided in plur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unit 1111.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parts 113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1111 so as to be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head and behind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wears them.

또한, 디스플레이부(10)는 디스플레이 본체(1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 may include a display body 12.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본체(12)는 착용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선택적으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본체(12)의 일 측에는 사용자 얼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안면 수용공간(12b)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본체(12)의 타 측에는 영상출력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용공간(12a)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body 1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wearing unit 11 and may be selectively disposed to face the user's fac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 addition, a face accommodating space 12b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main body 12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user's face, and a display accommodating space 12a at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main body 12 to accommodate the image output means. ) May be formed.

디스플레이 본체(12)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display main body 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디스플레이 본체(12)는 하우징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ain body 12 may include a housing part 12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21)는 일 방향으로 관통되어 일 측 및 타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관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후술할 회전 지지부(122), 거치 프레임(123), 안면 수용 프레임(124), 초점 조절수단(126) 및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20)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21)의 일 측 측면에는 디스플레이 본체(12)와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케이블을 수용 가능한 케이블 보호부(12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보호부(1211)에 대향되는 하우징부(121)의 타 측 측면에는 초점 조절수단(126)의 일부가 설치 가능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21)의 내면에는 거치 프레임(123)의 이동을 안내하고, 거치 프레임(123)의 이동을 제한하여 디스플레이 수용공간(12a)과 렌즈(125) 사이에 최소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이동 제한 지지물(1212)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housing part 121 is formed in a tubular structure through which openings are form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o penetrate in one direction, such that the rotation support part 122 and the mounting frame 123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ace receiving frame 124, the focus adjusting unit 126, and the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20 may be accommodated. In addition, a cable protection part 1211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21 to protrude outward so as to surround and support a cab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display main body 12. Can be. In addition, a through hole (not shown) in which a part of the focus adjusting means 126 may be installed may be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part 121 facing the cable protector 1211.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21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frame 123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frame 123 to maintain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ccommodation space 12a and the lens 125. Movement limit support 1212 may be formed.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12)는 회전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main body 12 may include a rotation support part 122.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지지부(122)는 하우징부(121)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21)의 내측 상부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고, 착용부(11)의 회전 지지편(11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부(122)는 디스플레이 본체(1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rotation support part 122 is coupled to the housing part 121 and dispos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art 121, and is rotatable to the rotation support piece 11121 of the wearing part 11. Can be combined. In addition, the rotation support part 122 may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 main body 12.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회전 지지부(122)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10 and 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rotary support 122.

회전 지지부(122)는 회전 지지본체(1221), 회전축(1222), 회전 제한부재(1223) 및 탄성부재(1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support part 122 may include a rotation support body 1221, a rotation shaft 1222, a rotation limiting member 1223, and an elastic member 1224.

회전 지지본체(1221)는 디스플레이 본체(12)의 하우징부(121)에 설치되고,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착용부(11)의 일부, 즉 회전 지지편(11121)을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지지본체(1221)의 중앙부에는 회전축(1222)이 설치되는 지지구조가 형성되고, 중앙부의 양 측부에는 회전 지지편(11121)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able support body 1221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21 of the display main body 12 and has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wearing part 11, that is, the rotatable support piece 11121. have. For example, a supporting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1222 is installed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rotating support body 1221,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support piece 11121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회전축(1222)은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핀(pin)의 형태로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본체(1221)와 회전 지지본체(1221)에 수용된 착용부(11)의 일부(회전 지지편(11121))를 관통하여 회전 지지본체(1221)와 착용부(1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12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s shown in FIG. 4, a part of the wearing part 11 accommodated in the rotating support body 1221 and the rotating support body 1221. The rotating support body 1221 and the wearing part 11 can be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rotating support piece 11121.

다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 제한부재(1223)는 회전 지지본체(1221)의 하면에 결합되고, 착용부(11)의 일부(회전 지지편(11121)의 단부)에 대향하는 일면에 디스플레이 본체(12)의 회전 시 착용부(11)의 일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림턱(12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본체(12) 또는 착용부(11)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시켜, 회전 지지편(11121)의 단부를 복수개의 걸림턱(12231) 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본체(12) 또는 착용부(1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착용할 경우, 먼저 사용자는 회전 지지편(11121)이 걸림턱(12231)에 걸려 지지되도록 착용부(11)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착용부(11)를 디스플레이 본체(1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착용부(11)가 경사지게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2)의 일면을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킨 후, 착용부(11)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착용부(11)를 머리에 착용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착용부(11)를 먼저 착용할 경우, 사용자는 걸림턱(12231)이 회전 지지편(11121)에 걸려 지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본체(12)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본체(12)를 착용부(1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본체(12)가 경사지게 고정된 상태에서 착용부(11)를 머리에 착용한 후, 디스플레이 본체(12)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본체(12)의 일면을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킨다. 즉, 회전 제한부재(1223)는 사용자의 착용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본체(12) 또는 착용부(11)를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고정시키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용 시 디스플레이 본체(12) 혹은 착용부(11)가 사용자의 얼굴 또는 사용자의 머리부위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Referring back to FIGS. 10 and 11,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1223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support body 1221, and faces one side of the wearing part 11 (the end of the rotation support piece 11121). A plurality of locking jaws 12231 may be formed to allow a part of the wearing part 11 to be caught and supported when the display body 12 is rotated. Accordingly, the user rotates the display main body 12 or the wearing part 11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so that the end of the rotating support piece 11121 is caught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12231, thereby causing the display main body ( 12) or the rotation angle of the wearing part 11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 the user first rotates the wearing part 11 upward so that the rotation support piece 11121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12231, and the wearing part ( 11) is fixed to the display main body 12 in a stat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Next, the user makes the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2 close to the user's face in a state where the wearing portion 11 is inclined and fixed, and then rotates the wearing portion 11 downward to turn the wearing portion 11 to the head. Wear on.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wears the wearing portion 11 first, the user rotates the display main body 12 upward so that the locking jaw 12231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rotation support piece 11121, thereby rotating the display main body 12. The wearable part 11 is fixed in an inclined s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n, the user wears the wearing part 11 on the head while the display main body 12 is fixed inclined, and then rotates the display main body 12 downward, so that one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2 is rotated by the face of the user. In close contact. That is,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1223 fixes the display main body 12 or the wearing part 11 in an inclined s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user's wearing method, and thereby the display main body 12 or The wearing part 11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 to the user's face or the user's head, thereby enabling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wearing.

탄성부재(1224)는 회전 지지본체(1221)와 착용부(11)의 일부를 서로 연결하고, 회전 지지본체(1221)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1224)는 양 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지지본체(1221)의 내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224 may connect the rotation support body 1221 and a part of the wearing part 11 to each other, and may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on support body 1221.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122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ension coil spring having a ring portion at both ends, it may be installed at least one inside the rotary support body 1221.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12)는 거치 프레임(123)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main body 12 may include a mounting frame 123.

도 9를 참조하면, 거치 프레임(123)은 하우징부(121)에 수용되어 하우징부(121)의 일 측 개구부에 배치되고, 후술할 초점 조절수단(126)과 연결되어 초점 조절수단(126)의 구동에 따라 하우징부(121)의 관통방향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 프레임(123)의 일 측에는 영상출력수단을 설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수용공간(12a)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mounting frame 123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121 and disposed in an opening of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121, and is connected to the focus adjusting means 126 to be described later, and thus the focus adjusting means 126.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housing 121 may be linearly mov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in the through direction. In addition, one side of the mounting frame 123 may be formed with a display receiving space (12a) to install the image output means.

거치 프레임(123)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mounting frame 12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거치 프레임(123)은 차양부(1231), 디스플레이 지지부(1232), 완충패드(1233) 및 직선이동부재(12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 123 may include a sunshade 1231, a display support 1232, a buffer pad 1233, and a linear moving member 1234.

차양부(1231)는 후술할 렌즈(125)의 전방 둘레에 설치되어 빛 또는 이물질 등이 렌즈(12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차양부(1231)는 하우징부(121)에 수용되어 안면 수용 프레임(124)의 전방에 배치되고, 렌즈(125)의 전방 둘레를 감싸는 후드(12311), 및 후드(12311)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부(121)의 내면에 지지되는 확장부(123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n shade 1231 may be installed around the front of the lens 125 to be described later to block light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lens 125. More specifically, the shade 1231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ortion 121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face receiving frame 124, the hood 12311 surrounding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lens 125, and the hood 12311 of the I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12312 extending outward from the end and suppor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21.

디스플레이 지지부(1232)는 차양부(1231)의 전면에 설치되어 차양부(1231)의 전면과 차양부(1231)의 전면에 대향하는 일면 사이에 디스플레이 수용공간(12a)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수용공간(12a)에 설치된 영상출력수단(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지지부(1232)는 차양부(1231)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출력수단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2321), 및 제1 지지부(12321)의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1 지지부(12321)에 지지된 영상출력수단을 렌즈(125)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지지부(12322)는 제1 지지부(12321)의 단부로부터 렌즈(125) 측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지지부(1232)의 내측에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부(12322)를 소정의 각도만큼 외측으로 절곡 시킬 수 있는 탄성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수용공간(12a)의 폭을 조절하여 다양한 두께의 영상출력수단을 거치할 수 있다.The display support part 1232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ade 1231 to form a display accommodation space 12a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hade 1231 and one surface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hade 1231, and the display accommodation space. The image output means (not shown) installed at 12a can be supported. In more detail, the display support part 1232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hade 1231 and extends upwardly from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2121 and the first support part 12121 to support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image output means. And a second support part 12322 to support the image output mean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12321 in the direction of the lens 125.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art 12322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2321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lens 125 sid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elastic plat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display support part 1232 to bend the second support part 12322 out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using an elastic force. Through this, the width of the display receiving space 12a may be adjusted to mount image output means having various thicknesses.

완충패드(1233)는 차양부(1231)의 전면, 디스플레이 수용공간(12a)으로 노출된 제1 지지부(12321)의 일면 및 차양부(1231)의 전면에 대향하는 제2 지지부(12322)의 일면에 설치되어 영상출력수단(미도시)에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완충패드(1233)는 영상출력수단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영상출력수단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상에 대하여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pad 1233 has a front surface of the shading portion 1231,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321 exposed to the display accommodation space 12a,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322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hading portion 1231. It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image output means (not shown). For example, the shock absorbing pad 1233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object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image output means and to prevent the image output means from being separated.

도 8을 참조하면, 직선이동부재(1234)는 차양부(1231)의 후면에 설치되어 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직선이동부재(1234)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12341)가 형성되어 초점 조절수단(126)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1261)에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초점 조절수단(126)의 피니언 기어(1261)가 회전될 경우, 직선이동부재(1234)는 초점 조절수단(126)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차양부(1231)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linear moving member 1234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ade 1231 and ext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a rack gear 1212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inear moving member 1234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261 provided in the focus adjusting means 126. Therefore, when the pinion gear 1261 of the focus adjusting means 126 is rotated, the linear movement member 1234 conver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cus adjusting means 126 into a linear movement to linearly move the shade 1231. Can be.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12)는 안면 수용 프레임(124)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body 12 may include a face receiving frame 124.

도 4 및 도 12를 참조하면, 안면 수용 프레임(124)은 하우징부(121)에 수용되어 하우징부(121)의 타 측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면 수용 프레임(124)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얼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안면 수용공간(12b)이 형성될 수 있다.4 and 12, the face receiving frame 124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121 and disposed in the other opening of the housing part 121. In addition, a face accommodating space 12b may be formed inside the face accommodating frame 124 to accommodate a part of a user's face.

안면 수용 프레임(124)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face receiving frame 12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안면 수용 프레임(124)은 안면 수용본체(1241), 차양패드(1242) 및 소켓부(12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ce receiving frame 124 may include a face receiving body 1241, a sunshade pad 1242, and a socket portion 1243.

안면 수용본체(1241)는 하우징부(121)의 내측에 설치되고, 일면에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30)와 결합 가능한 결합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합수단은 벨크로(velcro)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면 수용본체(1241)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눈과 코를 수용할 수 있는 안면 수용공간(12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30)가 설치되는 안면 수용본체(1241)의 일 측은 전방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내측에 사용자의 눈과 코를 수용할 수 있는 안면 수용공간(12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착용할 경우, 안면 수용공간(12b)은 암실과 같이 빛이 차단되어 어두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ace receiving body 124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1, and may include coupling means (not shown) that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0 on one surface thereof. For example, the coupling means may be formed in a velcro shape. However, the coupling means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a range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In addition, a face accommodating space 12b may be formed inside the face accommodating body 1241 to accommodate the eyes and the nose of the user. That is, one side of the face receiving body 1241 in which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0 is installed is formed in a structur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user's eyes and nose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ace receiving space 12b may be formed. Here, when the user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 the face accommodating space 12b may maintain a dark state by blocking light like a dark room.

차양패드(1242)는 안면 수용본체(124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코가 수용되는 안면 수용공간(12b)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 차양패드(1242)는 안면 수용공간(12b)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코에 밀착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2)의 하측으로부터 안면 수용공간(12b)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차양패드(1242)는 내측에 복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양패드(1242)는 사용자의 코에 가압될 경우, 탄성 또는 신축성을 통하여 사용자의 코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신축 가능한 유연성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양패드(1242)의 일면에는 안면 수용본체(1241)에 결합 가능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nshade pad 1242 may be installed in the face receiving body 1241 and disposed in the face receiving space 12b in which the user's nose is accommodated. Therefore, when the user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 the sunshade pad 124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located in the face receiving space 12b and the face receiving spa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main body 12) 12b) can block the light entering. For example, the awning pad 1242 may have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formed therein and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ddition, when the awning pad 1242 is pressed to the user's nose, it may be formed of rubber, silicone, stretchable flexible material or the like to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user's nose through elasticity or elasticity. 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awning pad 1242 may be provided with means that can be coupled to the face receiving body (1241).

소켓부(1243)는 안면 수용본체(1241)에 설치되어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30)에 구비된 커넥터(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소켓부(1243)에는 커넥터(33)에 구비된 핀부(332)에 연결 가능한 접속핀 및 커넥터(33)에 구비된 마그네트(333)에 탈부착 가능한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The socket part 1243 may be installed in the face receiving body 1241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33 provided in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part 30. For example, the socket part 1243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n connectable to the pin part 332 provided in the connector 33 and a magnetic body detachable from the magnet 333 provided in the connector 33.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12)는 렌즈(12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body 12 may include a lens 125.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렌즈(125)는 안면 수용 프레임(124)의 내측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안면 수용 프레임(124)의 폭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렌즈(125)의 둘레에는 렌즈(125)를 지지하고, 안면 수용본체(1241)에 설치되는 고리형상의 고정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125)는 양면이 볼록한 구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9 and 12, a plurality of lenses 125 may be disposed inside the face receiving frame 124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ce receiving frame 124. For example, a ring-shaped fastener that supports the lens 125 and is installed on the face receiving body 1241 may be installed around the lens 125. In addition, the lens 125 may have a spherical structure in which both surfaces thereof are convex.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12)는 초점 조절수단(126)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body 12 may include a focus adjusting means 12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초점 조절수단(126)은 하우징부(121)에 수용되어 거치 프레임(123)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초점 조절수단(126)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거치 프레임(123)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수용공간(12a)을 렌즈(125)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7 and 8, the focus adjusting means 126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121 and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123. In addition, the focus adjusting unit 126 may move the mounting frame 123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o separate the display accommodation space 12a from the lens 12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더 자세하게는, 초점 조절수단(126)은 직선이동부재(1234)의 랙기어(12341)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261)와, 피니언 기어(126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어(12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점 조절수단(126)은 하우징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은 동력전달 기어(1262)에 결합되고, 타 측은 하우징부(12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조작부(126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1263)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력전달 기어(126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동력전달 기어(126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거피 프레임에는 복수개의 동력전달 기어(1262)를 내부에 수용하는 기어보호구가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ocus adjusting means 126 includes a pinion gear 1261 engaged with the rack gear 12121 of the linearly moving member 1234 and a power transmission gear 1262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gear 1261. It may include. In addition, the focus adjustment means 126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121, one side is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gear (1262),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ortion 121, the operation unit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1263). Therefore, the user can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power transmission gear 1262 by rotating the operation unit 1263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gear 126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addition, a gear protector may be installed at the peeling frame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gears 1262 therein.

또한, 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 includes a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20.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20)는 디스플레이부(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디스플레이부(10)에 수용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 얼굴의 적어도 일부인 제1 생체 데이터를 획득한다. 더 자세하게는,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20)는 디스플레이부(10)에 수용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시선의 움직임, 동공 주변의 홍채 영역을 통한 식별 정보, 눈 주변의 근육 움직임을 통한 표정의 변화, 눈 주위의 핏줄에서 혈류량의 변화에 의한 심박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2 and 9, the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display unit 10, and photographs the user's face accommodated in the display unit 10 when the user wears the user's face. Obtain first biometric data that is at least part of. In more detail, the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20 photographs the face of the user accommodated in the display unit 10, and the eye mov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ris area around the pupil, and muscle movement around the eye. Changes in facial expression, heart rate information due to changes in blood flow in the blood vessels around the eyes can be obtained.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20)는 IR(Infrared Ray) 필터(21) 및 각도 조절부(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9, the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20 may include an infrared ray filter 21 and an angle adjuster 22.

IR 필터(21)는 안면 수용 프레임(124)에 설치되고, 렌즈(125)의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IR 필터(21)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 구조로 형성되고,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IR filter 21 may be installed on the face receiving frame 124 and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125. For example, the IR filter 21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infrared rays can be transmitted.

각도 조절부(22)는 거치 프레임(123)과 안면 수용 프레임(124)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angle adjuster 22 may be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mounting frame 123 and the face receiving frame 124.

각도 조절부(22)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angle adjuster 2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22)는 수용 프레임(221), 조작부(222) 및 회전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13 and 14, the angle adjuster 22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frame 221, an operation unit 222, and a rotation unit 223.

수용 프레임(221)은 하우징부(121)에 설치되고, 내측에 조작부(222) 및 회전부(2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프레임(221)의 양 측부에는 후술할 조작부(222)의 주동축(2221) 및 회전부(223)의 종동축(223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frame 221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21, and may form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to accommodate the operation unit 222 and the rotation unit 223 inside. And, both sides of the receiving frame 221 may be formed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main shaft 2221 of the operation unit 22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driven shaft 2232 of the rotating unit 223 is rotatably installed.

조작부(222)는 수용 프레임(221)에 설치되어 회전부(223)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회전부(223)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조작부(222)는 수용 프레임(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동축(2221)과, 주동축(2221)에 결합되어 주동축(2221)과 함께 회전 가능한 주동기어(22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222)는 주동축(2221)에 결합되어 주동축(2221) 및 주동기어(2222)와 함께 회전 가능하고, 일부가 하우징부(1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조작수단(22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222 may be installed at the receiving frame 221 and coupled to the rotating unit 223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unit 223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unit 222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shaft 2221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221, and the main gear shaft 2222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shaft 2221 together with the main shaft 2221. It may include. And, the operation unit 222 is coupled to the main shaft 2222 is rotatable with the main shaft 2221 and the main gear 2222, a part of the opera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ortion 121,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Means 2223 may be included.

회전부(223)는 수용 프레임(221)에 설치되어 조작부(222)와 결합되고, 조작부(2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회전부(223)는 내측에 후술할 촬영부(23) 및 IR 광원부(24)가 설치되고, 수용 프레임(221)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체(22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223)는 회전체(2231)에 결합되어 수용 프레임(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축(2232), 및 종동축(2232)의 일 측에 결합되어 주동기어(2222)에 치합되고, 주동기어(2222)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2231) 및 종동축(2232)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기어(22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unit 223 may be installed in the receiving frame 221 and coupled to the operation unit 222, and may receive a rotational force from the operation unit 222 to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more detail, the rotating unit 223 may include a rotating unit 2231 which is provided with an image capturing unit 23 and an IR light source unit 24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frame 221. In addition, the rotating unit 223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2231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221,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n shaft 2232 to the main gear 2222. The driven gear 2222 may include a driven gear 2233 which is engaged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body 2231 and the driven shaft 223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2222.

또한,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20)는 촬영부(23) 및 IR 광원부(2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2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23 and an IR light source unit 24.

다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촬영부(23)는 각도 조절부(2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부(23)는 안면 수용공간(12b)에 수용된 사용자 얼굴의 특정부분 혹은 전체를 촬영하여 사용자 얼굴의 적어도 일부인 제1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부(23)는 내측에 적어도 한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본체와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본체(12)의 하측에 위치한 촬영부(23)는 안면 수용공간(12b)에 수용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렌즈(125)의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23)는 적외선 카메라로 적용될 수 있다.7 and 9, the photographing unit 23 may be installed in the angle adjusting unit 22 to adjust the angl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ccordingly, the photographing unit 23 may acquire the first biometric data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face by capturing a specific portion or the entirety of the user's face accommodated in the face receiving space 12b.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23 may include a camera body including at least one lens therein and an image sensor connected to the camera body.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23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main body 12 is disposed in a stat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ens 125 so as to photograph the face of the user accommodated in the face receiving space 12b. Can be.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23 may be applied as an infrared camera.

IR 광원부(24)는 촬영부(23)의 둘레에 배치되어 촬영부(23)의 구동 시 IR 필터(21)를 통과할 수 있는 적외선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IR 광원부(24)는 각도 조절부(2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IR 광원부(24)의 각도를 조절하여 안면 수용공간(12b)에 수용된 사용자 얼굴의 특정부분 혹은 전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컨대, IR 광원부(24)는 적외선 LED 또는 적외선램프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IR light source unit 24 may be disposed around the imaging unit 23 to emit infrared light that may pass through the IR filter 21 when the imaging unit 23 is driven. In addition, the IR light source unit 24 may be installed in the angle adjuster 22 to adjust the angl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ccordingly, the user may adjust the angle of the IR light source unit 24 to irradiate light to a specific portion or the entirety of the user's face accommodated in the face receiving space 12b. For example, the IR light source unit 24 may be applied as an infrared LED or an infrared lamp.

또한, 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 includes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0.

도 2를 참조하면,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3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탈부착 가능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인 제2 생체 데이터를 획득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0 is detachable from the display unit 10, and when the user wears the second biometric data,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0 contacts the skin of the user and acquires the second biometric data that is the biosignal of the user.

도 15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30)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23.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30)는 마스크 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15,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0 may include a mask body 31.

마스크 본체(31)는 폭방향(Y축 방향) 및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만곡(彎曲)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31)는 내측에 디스플레이부(10)에 구비된 렌즈(125)와 사용자의 눈을 연통시키는 투시공(311a)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sk body 31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 mask body 31 may have a through hole 311a which communicates the lens 125 of the display unit 10 with the user's eyes.

또한, 마스크 본체(31)는 디스플레이부(1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sk body 31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display unit 10.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에 대향하는 마스크 본체(31)의 일면에는 마스크 본체(31)를 디스플레이부(10)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314)이 구비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결합수단(314)은 후술할 감지수단(32)이 설치된 마스크 본체(31)의 일면에 대향되는 마스크 본체(31)의 타면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31)의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복수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수단(40)은 벨크로(velcro)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수단(4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 coupling unit 314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31 opposite to the display unit 10 to fix the mask body 31 to the display unit 10. In more detail, the coupling means 314 is install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sk body 31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31 provided with the sensing means 32 to be described later, along the edge portion of the mask body 31. It can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For example, the coupling means 40 may be formed in a velcro shape. However, the coupling means 4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a range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또한, 마스크 본체(31)는 프레임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body 31 may include a frame portion 311.

도 1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311)는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이마부위와 사용자의 눈 주변부위에 대향 배치되어 사용자의 이마부위와 사용자의 눈 주변부위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311)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눈 및 사용자의 코가 위치할 수 있는 투시공(311a)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frame part 311 may be formed to face the user's forehead and the user's eyes when the user wears the body to surround the user's forehead and the user's eye. In addition, a see-through hole 311a may be formed inside the frame 311 in which the user's eyes and the user's nose may be positioned.

프레임부(311)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frame portion 3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프레임부(311)는 제1 지지부(3111)와, 제2 지지부(3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part 311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3111 and a second support part 3112.

제1 지지부(3111)는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이마부분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3111)의 내측 중앙에는 후술할 커넥터(33)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 방향(도 1의 X축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장착홈(3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홈(3111a)에는 장착홈(3111a)에 설치된 커넥터(33)의 일부가 프레임부(31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3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홈(3111a)에는 커넥터(33)를 제1 지지부(3111)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미도시)이 체결 가능한 체결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311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orehead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the first support 3111. In addition, a mounting groove 3111a recessed in a predetermined depth along one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of FIG. 1) may be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support part 3111 so that the connector 3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Here, the through hole 3111b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3111a so that a part of the connector 33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3111a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portion 311. For example, a fastening hole to which a fastening means (not shown) for fastening the connector 33 to the first support part 3111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3111a.

제2 지지부(3112)는 마스크 본체(31)의 폭방향(도 2의 Y축 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3111)의 일 측 및 타 측 단부로부터 마스크 본체(31)의 하측으로 만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 본체(31)의 하측으로 만곡지게 연장된다는 것은 마스크 본체(31)의 단부로부터 마스크 본체(31)의 높이방향(도 2의 Z축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연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3112)는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 얼굴의 측두부 및 광대부분에 대향 배치될 수 있도록, 도면을 기준으로 제1 지지부(3111)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구간과, 제1 연장구간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3111) 및 제2 지지부(3112)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눈과, 사용자의 코가 수용될 수 있는 투시공(311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지지부(3112)는 마스크 본체(31)의 높이방향(도 2의 Z축 방향)을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3111)와 제2 지지부(3112)의 내측에는 제2 지지부(3112)의 이동을 안내하고, 소정 위치로 이동된 제2 지지부(3112)를 고정시키는 길이조절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눈과 코의 위치에 알맞게 제2 지지부(3112)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3112 extends from one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11 to the lower side of the mask body 31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of FIG. 2) of the mask body 31. Can be. Here, the curved extension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mask body 31 means that the curvature extend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mask body 31 along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FIG. 2) of the mask body 31. can do.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art 3112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sec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11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3112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temporal part and the clown part of the user's face when worn by the user. It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sec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section. Accordingly, inside the first support part 311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112, a user's eye and a see-through hole 311a capable of receiving the user's nose may be formed.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support portion 311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length adjustment along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FIG. 2) of the mask body 31. In this case, the length adjusting member (not shown) guides the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part 3112 inside the first support part 311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112, and fixes the second support part 3112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 May be provided. Therefore, the user can stably support the display unit 10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unit 311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is eyes and nose.

예컨대, 프레임부(311)는 휨에 대한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카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311)에는 프레임부(311)를 보다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311)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부(31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ame portion 311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or carbo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gainst bending.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frame part 311 may be formed in the frame part 311 so as to make the frame part 311 lighter. However, the frame part 31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또한, 마스크 본체(31)는 완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body 31 may include a buffer part 312.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완충부(312)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향되는 프레임부(311)의 일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얼굴에 지지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을 사용자의 얼굴로 고루 분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완충부(31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PE 소재의 폼(FOAM)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완충부(31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펀지, 젤(GEL), 라텍스, 에어폼 등의 소재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312)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311)의 일면에 설치되어 프레임부(31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17 and 18, the buffer unit 312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unit 311 facing the user's face, and is supported by the user's face when the user wears the load of the display unit 10. It can be distributed evenly over the user's face. For example, the buffer part 3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oam (FOAM) of the P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However, the buffer unit 31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to materials such as sponge, gel (GEL), latex, and air foam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addition, the buffer unit 312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unit 311 as shown in FIG. 19 and disposed along an edge area of the frame unit 311.

또한, 마스크 본체(31)는 탄성부재(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body 31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313.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탄성부재(313)는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직물(elastic fabric) 소재로 형성되어 프레임부(311) 및 완충부(312)를 감싸고, 후술할 감지수단(32)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31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완충부(312)와 프레임부(311) 사이에는 완충공간(313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착용 시, 탄성부재(313)는 사용자의 이마에 가압되어 완충공간(313a) 측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외측으로 신장되어 사용자의 이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고, 이로 인해 탄성부재(313)의 내측에 설치된 감지수단(3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의 이마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313)는 완충부(312)에 비하여 더 높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13)의 표면은 피부와의 접촉 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나일론 또는 스웨이드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17 and 18, the elastic member 313 is formed of an elastic fabric (elastic fabric) material having a stretch to surround the frame portion 311 and the buffer portion 312, the sensing means 32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Here, a buffer space 313a may be formed between the buffer portion 312 and the frame portion 311 disposed in the edge region of the frame portion 311. Therefore, when the user wears, the elastic member 313 is pressed against the user's forehead and pushed toward the buffer space 313a and simultaneously extended to the outside to elastically deform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ser's forehead.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nsing means 32 installed inside of th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orehead.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31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modulus of elasticity tha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12.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13 may be formed of nylon or suede material or the like so as to minimize the friction force in contact with the skin.

또한,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30)는 감지수단(3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0 may include a sensing unit 32.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감지수단(32)은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얼굴에 대향하는 마스크 본체(31)의 일 측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31)의 탄성부재(313)에 탄성 지지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수단(32)은 사용자의 생체신호인 제2 생체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수단(32)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디스크 형태의 전극 또는 연성기판에 인쇄된 박막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0)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될 경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수단(32)은 마스크 본체(31)의 일 측에 압입 또는 접착 방식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수단(32)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EMI 실드(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Shield) 처리가 추가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7 and 18, the sensing means 3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sk body 31 facing the user's face when worn by the user, and is elastic to the elastic member 313 of the mask body 31. Supported and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Accordingly, the sensing unit 32 may detect the second biometric data that is the biosignal of the user.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32 is formed of a disk-shaped electrod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thin film-shaped electrode printed on a flexible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0 to detect a user's bio-signal when power is applied. can do. For example, the sensing means 32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sk body 31 through a press-fit or adhesive method. The sensing means 32 may further perform an EMI shield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즉, 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마스크 본체(31)의 일 측에 사용자의 얼굴에 지지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을 사용자의 얼굴로 분산시키는 완충부(312), 및 탄성 직물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이마부위에 가압될 경우 외측으로 신장되어 사용자의 이마에 밀착되는 탄성부재(313)를 구비함으로써, 감지수단(32)이 피부에 닿는 면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를 사용자의 얼굴에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가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감지수단(32)을 사용자의 이마에 완전히 밀착시켜, 사용자의 피부와 감지수단(32)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감지수단(32)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감지수단(3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마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자국이 남거나, 통증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 is supported by the face of the user on one side of the mask body 31, the buffer unit 312 for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display unit 10 to the user's face, and the elastic fabric When formed of a material and is pressed to the forehead of the user by having an elastic member 313 is extended to the outside for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orehead, the sensing means 32 can secur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 may be stably supported on the user's face to prevent the display uni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ser's face by the user's movement. 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32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orehead, thereby preventing the play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sensing means 32, thereby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sensing means 32. 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sensing means 32 elastically, by minimiz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rehead of the user it can be left on the skin of the user o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pain.

한편, 감지수단(32)은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마에 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means 3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orehead using its own elastic force.

도 20을 참조하면, 감지수단(32)은 마스크 본체(31)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일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여 압축되고, 외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타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지지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sensing means 32 is installed in the mask body 31 and compressed by linear movement in one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linear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It may be formed of an elastic support structure to be restored to the state of.

탄성지지구조로 형성된 감지수단(32)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sensing means 32 formed of the elastic support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감지수단(32)은 지지링(321), 안내 하우징(322), 전극부(323) 및 탄성 지지부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링(321)은 둘레를 따라 내측 중심을 향하여 압입홈이 형성된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스크 본체(31)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링(321)은 마스크 본체(31)에 압입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안내 하우징(322)은 지지링(321)의 내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중심축 방향을 따라 안내공(3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하우징(322)의 내부에는 전극부(323)의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안내 하우징(322)의 외주면과, 지지링(321)의 내주면에는 서로 체결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323)는 안내 하우7징(3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안내공(322a)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부(323)의 일 측 및 타 측은 각각 안내 하우징(32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부(323)의 일 측에는 안내 하우징(322)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려 지지되는 돌출편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부재(324)는 안내 하우징(322)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전극부(323)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The sensing means 32 may include a support ring 321, a guide housing 322, an electrode part 323, and an elastic support member 324. The support ring 32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in which a press-in groove is formed toward an inner center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and may be installed in the mask body 31. For example, the support ring 321 may be installed in a form press-fit into the mask body (31). The guide housing 322 may be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ring 321, and a guide hole 322a may be formed therein along the central axis direction. In addition, a step may be formed inside the guide housing 32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unit 323. For examp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using 3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321 may be formed with threads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The electrode unit 323 may be installed in the guide housing 322 and disposed in a linearly movable state along the guide hole 322a.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unit 323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guide housing 322, respectively. Here, one side of the electrode unit 323 may be formed with a protruding piece that is supported by a step formed in the guide housing 322. The elastic support member 324 may be installed in the guide housing 322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ectrode unit 323.

한편, 탄성지지구조로 형성된 감지수단(32)은 마스크 본체(31)의 탄성부재(313)에 설치되거나, 프레임부(311)의 일면에 설치된 완충부(312)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감지수단(32)이 완충부(312)에 설치될 경우, 완충부(312)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311)의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스크 본체(31)는 탄성부재(313)가 설치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means 32 formed of the elastic support structure may be installed on the elastic member 313 of the mask body 31, or may be installed on the buffer portion 312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311. For reference, when the sensing means 32 is installed i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12,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1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311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skin. have. In this case, the mask body 3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313 is not installed.

또한, 감지수단(32)은 사용자의 착용 시 전두엽 부위에 대향 배치되어 사용자의 뇌파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32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frontal lobe when the user wears to detect an EEG signal of the user.

도 18 및 도 21을 참조하면, 감지수단(32)은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이마부분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지수단(32)은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이마부분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3111)의 일면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수단(3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복수개의 감지수단(32)은 접지부(ground), 기준부(reference) 및 측정부(channel1, channel2)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지부(ground)와 기준부(reference)는 제1 지지부(3111)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마스크 본체(3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channel1, channel2)는 접지부(ground) 및 기준부(reference)가 위치한 제1 지지부(311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마스크 본체(31)의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3111)의 일 측 및 타 측에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대향 배치된 각 측정부(channel1, channel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8 and 21, the sensing means 3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orehead por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it. That is, the sensing means 3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3111 positioned on the forehead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it. Here, the sensing means 3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ensing means 32 may be composed of a ground, a reference, and a measuring unit channel1 and channel2. For example, the ground portion and the reference portion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11 and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mask body 31. Can be. The measurement units channel1 and channel2 may b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mask body 31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3111 where the ground part and the reference part are located. 1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3111).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measuring units channel1 and channel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may be provided.

또한, 감지수단(32)은 사용자의 착용 시 측두부 및 광대 부분에 대향 배치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32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temporal part and the clown part when the user wears to detect the biosignal of the user.

도 16 및 도 21을 참조하면, 감지수단(32)은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측두부 및 광대부분에 대향되도록 제2 지지부(3112)의 일면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측두부 및 광대부분에 접촉되는 감지수단(32)은 사용자의 심박신호(PPG: Photoplethysmogram), 심전도신호(ECG: Electrocardiogram), 근전도신호(EMG: Electromyography), 피부온도신호(Skin temperature)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6 and 21, the sensing means 3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3112 so as to face the user's head part and the clown part when the user wears it. Here, the detection means 32 in contact with the user's temporal and vast areas is the user's heart rate signal (PPG: Photoplethysmogram), electrocardiogram (ECG: Electrocardiogram), electromyography (EMG: Electromyography), skin temperature signal (Skin temperature) At least one of can be detected.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감지수단(32)은 사용자의 얼굴 이외의 신체부위에 접촉된 타 감지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생체신호 이외의 생체신호를 추가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타 감지수단과 연결된 감지수단(32)은 체지방(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스트레스 반응(GSR: Galvanic Skin Response) 등을 추가적으로 더 감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ensing means 3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sensing means in contact with body parts other than the user's face. Accordingly, the biosignals other than the biosignals may be additionally detected. For example, the sensing means 32 connected to the other sensing means may further detect body fat (BIA), galvanic skin response (GSR), and the like.

또한, 감지수단(32)은 마스크 본체(31) 내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32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in the mask body 31.

도 22를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31)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감지수단(32)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조절부재(32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조절부재(325)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조절부재(325)의 내측에는 감지수단(3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2에서는 안내공(325a)이 수평방향을 따라 만곡진 원호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안내공(325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또는 수직방향을 따라 감지수단(3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2, the mask body 31 may be provided with a movement adjusting member 325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nsing means 32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The movement adjusting member 325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a guide hole 325a may be formed inside the movement adjusting member 325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nsing means 32. For reference, although the guide hole 325a is illustrated in a circular arc shap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FIG. 22, the shape of the guide hole 325a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ing means 32 may be disposed along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changed and applied to various shapes to guide the movement of.

또한,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30)는 커넥터(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0 may include a connector 33.

도 17 및 도 23을 참조하면, 커넥터(33)는 마스크 본체(31)에 설치되어 감지수단(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10)에 구비된 소켓부(1243)에 연결되어 감지수단(32)으로부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생체 데이터를 제어수단(미도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33)는 자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0)의 소켓부(1243)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33)는 마스크 본체(31)에 설치되는 커넥터 하우징(331), 감지수단(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하우징(331)의 내측 중앙부에 배치되는 핀부(332), 및 핀부(332)의 둘레에 배치되는 마그네트(33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커넥터(33)는 소켓부(1243)의 중심에 일치할 경우에만 자력에 의해 소켓부(124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넥터(30)와 소켓부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33)와 소켓부(1243)는 자력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17 and 23, the connector 33 is installed in the mask body 3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means 32, and is connected to the socket part 1243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10 for sensing. At least one second biometric data sensed by the means 32 may be transmitted to a control means (not shown). Here, the connector 33 may be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1243 of the display unit 10 using magnetic force. For example, the connector 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331 installed in the mask body 31, the sensing means 32, and the pin portion 332 disposed at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331, and the pin portion. It may include a magnet 333 disposed around the 332. In addition, the connector 33 may be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1243 by magnetic force only when the connector 33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socket portion 1243. Accordingly, the user can quickly connect the connector 30 and the socket portion. In addition, the connector 33 and the socket portion 1243 may be more stably fixed by the magnetic force.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함은 물론, 가상현실 영상을 확인 중인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가상현실 영상을 확인 중인 사용자의 인지 및 감정 상태를 실시간 확인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체험요소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개발 가능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콘텐츠를 실시간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biometric data is obtained from the face of the user who is check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thereby real-time checking the cognitive and emotional state of the user who is check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It is possible to develop content that includes various experience elements, and further improve the user's experience satisfaction by providing content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in real time.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12)가 착용부(11)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착용부(11)는 한 손으로 착용할 수 있는 고리형상의 구조물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착용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main body 12 is coupled to the wearable part 11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the wearable part 11 is formed in the form of an annular structure that can be worn with one hand, it is easy to wear and necessary. According to the user's field of view can be freely ensured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또한, 구조물 형태로 형성된 고리형상의 착용부(1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2)를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나아가 체험 중 사용자로부터 다소 과격한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본체(12)가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ring-shaped wearing part 11 formed in the form of a structure, the display main body 12 can be stably fixed to the front of the user's face, and furthermore, even if a slight radical movement is generated from the user during the experie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12 from the face of the user.

또한, 사용자의 얼굴에 지지되는 마스크 본체(31)를 디스플레이 본체(12)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교체가 용이하여 장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나아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mask body 31 supported on the user's face in a removable structure on the display body 12, it is easy to replace,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equipment, and further reduce the cos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부
11. 착용부
111. 착용본체
1111. 밴드부 1111a. 머리수용공간
1112. 밴드 지지부
11121. 회전 지지편
112. 내경 조절수단
1121. 조절부
11211. 지지판
11212. 회전조절부재 11212a. 피니언 기어
1122. 안내판
11221. 가이드레일
1123. 이동부재
11231. 랙기어
113. 완충부
12. 디스플레이 본체
12a. 디스플레이 수용공간 12b. 안면 수용공간
121. 하우징부
1211. 케이블 보호부 1212. 이동 제한 지지물
122. 회전 지지부
1221. 회전 지지본체
1222. 회전축
1223. 회전 제한부재 12231. 걸림턱
1224. 탄성부재
123. 거치 프레임
1231. 차양부
12311. 후드 12312. 확장부
1232. 디스플레이 지지부
12321. 제1 지지부 12322. 제2 지지부
1233. 완충패드
1234. 직선이동부재
12341. 랙기어
124. 안면 수용 프레임
1241. 안면 수용본체 1242. 차양패드
1243. 소켓부
125. 렌즈
126. 초점 조절수단
1261. 피니언 기어 1262. 동력전달 기어
1263. 조작부
20.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
21. IR 필터
22. 각도 조절부
221. 수용 프레임
222. 조작부
2221. 주동축 2222. 주동기어
2223. 조작수단
223. 회전부
2231. 회전체 2232. 종동축
2233. 종동기어
23. 촬영부
24. IR 광원부
30.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
31. 마스크 본체
311. 프레임부 311a. 투시공
3111. 제1 지지부
3111a. 장착홈 3111b. 관통공
3112. 제2 지지부
312. 완충부
313. 탄성부재 313a. 완충공간
314. 결합수단
32. 감지수단
321. 지지링
322. 안내 하우징 322a. 안내공
323. 전극부
324. 탄성 지지부재
325. 이동조절부재 325a. 안내공
33. 커넥터
331. 커넥터 하우징
332. 핀부
333. 마그네트
1.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0. Display
11. Wearing part
111. Wearing Body
1111.Band section 1111a. Headroom
1112. Band Supports
11121. Swivel Support
112. Inner diameter adjusting means
1121.Adjustment
11211.Support plate
11212. Rotational control member 11212a. Pinion gear
1122.Signs
11221.Guide rails
1123. Moving member
11231. Rack Gears
113. Shock Absorber
12. Display main body
12a. Display receiving space 12b. Facial accommodation
121. Housing part
1211. Cable Protector 1212. Travel Restriction Support
122. Rotating Support
1221.Rotary Support Body
1222.Spindle
1223.Rotary restricting member 12231.Hanging jaw
1224. Elastic members
123. Mounting Frame
1231. Shades
12311.Hood 12312.Extension
1232. Display Supports
12321. First support 12322. Second support
1233.Shock Pad
1234. Straight moving member
12341.Rack Gears
124. Face Receiving Frame
1241.Face receiving body 1242. Awning pad
1243.Socket part
125. Lens
126. Focus adjustment means
1261. Pinion gear 1262. Power transmission gear
1263. Control Panel
20.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21.IR filter
22. Angle adjustment part
221. Receiving frame
222. Control Panel
2221. Main shaft 2222. Main gear
2223. Means of operation
223. Rotating part
2231. Rotating body 2232.
2233. Follower Gears
23. Shooting Department
24. IR light source
30.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31.Mask Body
311. Frame section 311a. Perspective
3111. First support
3111a. Mounting Groove 3111b. Through hole
3112. Second Supports
312.Buffers
313. Elastic member 313a. Buffer space
314. Means of coupling
32. Detection means
321. Support ring
322. Guide housing 322a. Guide
323. Electrode section
324. Elastic support members
325. Movement control member 325a. Guide
33. Connector
331. Connector housing
332. Pin section
333. Magnet

Claims (12)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얼굴에 대향 배치되고, 일 측에 설치되는 영상출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수용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제2 생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영상출력수단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IR 필터;
상기 영상출력수단의 하측에서 상기 영상출력수단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영상출력수단 보다 사용자의 눈에 가깝도록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 얼굴의 적어도 일부인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를 촬영 가능한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광을 발산하는 IR 광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는,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인 상기 제2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복수개이고, 상기 사용자의 전두엽, 측두부 및 광대 중 적어도 두 개의 부분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unit disposed to face the user's face when the user wears the image, and configured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user through an image output unit installed at one side;
A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and acquiring first biometric data by photographing a face of the user accommodated in the display unit when the user wears it; And
A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and contacting the user's skin when the user wears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Including,
The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An IR filter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mage output means;
A photographing device disposed below the image output mean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mage output means and disposed closer to the eyes of the user than the image output means, and capable of capturing the first biometric data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face part; And
An IR light source unit disposed around the photographing unit to emit light;
Including,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Sensing means for contacting the skin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the second biometric data, the second biometric data;
Including,
And a plurality of sensing mean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being in contact with at least two of the frontal lobe, the temporal head and the clown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선택적으로 대향 배치되고, 일 측에 사용자 얼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안면 수용공간과, 타 측에 상기 영상출력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Wearable wearable on the user's head; And
The face receiving space rotatably coupled to the wearing part and selectively disposed to face the user's fac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ccommodates a part of the user's face on one side, and accommodates the image output means on the other side. A display main body in which a display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내측에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는 머리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배치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밴드 지지부를 포함하는 착용본체;
상기 착용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착용본체의 내경을 조절 가능한 내경 조절수단; 및
상기 밴드부의 내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wearing part,
Wearing a head receiving spac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user's head inside the band portion disposed around the user's head when worn by the user, and a ban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nd portion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isplay body. main body;
An inner diameter adjusting means installed in the wearing body and capable of adjusting an inner diameter of the wearing body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buffer part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and supported by a user's head when the user wears it;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 조절수단은,
상기 밴드부에 결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 측에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회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조절부;
상기 밴드부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부에 대향 배치되고, 일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안내판;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수용되어 일 측에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고, 타 측에 상기 밴드부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절부재의 회전 시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밴드부의 내경을 조절하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diameter adjusting means,
A control unit including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band unit and a rotation control member rotatably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pinion gear at one side thereof;
A guide plat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and disposed to face the adjustment part, and having a guide rail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rack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rail is provided with a rack gear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band portion, when the rotation control member is rotated to move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Moving member for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band portio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내부가 일 방향으로 관통되어 일 측 및 타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착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지지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 개구부에 배치되고, 일 측에 상기 디스플레이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관통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거치 프레임;
상기 하우징부의 타 측 개구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안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안면 수용 프레임;
상기 안면 수용 프레임에 설치되는 렌즈; 및
상기 거치 프레임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거치 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공간을 상기 렌즈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초점 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main body,
A housing portion penetrating in one direction to form an opening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rotation support par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wearing part to limit a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 main body;
A mounting frame disposed at one opening of the housing part, the display accommodation spac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linearly movable along a throug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A face receiving frame disposed in the other side opening of the housing and having the fac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 lens installed on the face receiving frame; And
A focus adjusting means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and moving the mounting fram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o space the display accommodation space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ns;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착용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회전 지지본체;
상기 회전 지지본체와 상기 회전 지지본체에 수용된 상기 착용부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 지지본체와 상기 착용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 지지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착용부의 일부에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회전 시 상기 착용부의 일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회전 제한부재; 및
상기 회전 지지본체와 상기 착용부의 일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 지지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A rotatable support body installed in the display main body and capable of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wearing part therein;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nnecting the rotatable support body and the wearable part through the rotatable support body and a portion of the wearing part accommodated in the rotatable support body;
A rotation limit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able support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jaw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wearable body opposite to a portion of the wearable por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wearable portion can be caught and supported;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rotatable support body and a part of the wearing unit to each oth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able support body;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안면 수용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둘레를 감싸는 후드, 및 상기 후드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지지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차양부;
상기 차양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수단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영상출력수단을 상기 렌즈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부;
상기 차양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수단에 접촉되는 완충패드; 및
상기 차양부에 설치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초점 조절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초점조절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양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이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mounting frame,
A sunshade including a hoo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face receiving frame and surrounding the lens, and 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n end of the hood and suppor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first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wning part to support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image output means, and the image output means extended upwardly from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toward the lens direction; A display support including a second support supporting the support;
A buffer pad installed in the sunshade,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to contact the image output means; And
A linear movement member installed on the sunshade, having a rack gea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the focus adjusting means,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cus adjusting means into a linear motion to linearly move the sunshad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수용 프레임은,
일면에 상기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내측에 사용자의 눈 및 코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안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안면 수용본체;
상기 안면 수용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코에 밀착되어 상기 안면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양패드; 및
상기 안면 수용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ace receiving frame,
A face accommodating body having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ring unit on one surface thereof, wherein the face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user's eyes and nose is formed therein;
A sunshade pad installed on the face receiving body and blocking the light flowing into the face receiving spac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when the user wears it; And
A socket part installed at the face receiving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part;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수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 기어에 결합되어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ocus adjusting means,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of the linearly movable member;
A power transmission gea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gear; And
An operation part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gear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ower transmission gea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촬영부 및 상기 IR 광원부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 프레임과 상기 안면 수용 프레임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An angle adjusting unit provided with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IR light source unit and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face receiving fram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프레임;
상기 수용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동축, 상기 주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주동기어, 및 상기 주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축 및 상기 주동기어와 함께 회전 가능하고,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 및
내측에 상기 촬영부 및 상기 IR 광원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축, 및 상기 종동축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주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 및 상기 종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angle adjustment unit,
An accommodating fram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defin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mai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a main gear coupled to the main shaft and rotatable together with the main shaft, and rotatably coupled with the main shaft and the main gear, coupled to the main shaft, and partially An operation unit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unit and includes an operation unit capable of operating by a user; And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IR light source unit is installed inside, a rotating bod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frame, a driven shaft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and one side of the driven shaft A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main gear and engaged with the main gear, the driven part being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en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체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향하는 일면에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탈부착 가능한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소켓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제2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마스크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iometric data acquisition unit,
A mask body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on one surface opposite to the display unit, the mask body detachable from the display unit; And
A connector installed in the mask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means, the connector being connected to a socket of the display unit to transmit the second biometric data sensed by the sensing means;
Including,
And the sens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mask body.
KR1020170183164A 2017-04-06 2017-12-28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KR1020785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82 2017-04-06
KR20170044782 2017-04-06
KR1020170119795 2017-09-18
KR20170119795 2017-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449A KR20180113449A (en) 2018-10-16
KR102078583B1 true KR102078583B1 (en) 2020-02-19

Family

ID=6413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64A KR102078583B1 (en) 2017-04-06 2017-12-28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5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444B1 (en) * 2018-06-20 2020-02-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Biomedical signal measuring device capable of attaching/detaching to/from an hmd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020598B1 (en) * 2018-12-11 2019-09-10 전자부품연구원 Biofeedback system based on bio-signal sensor for diagnosis and healing of mental illness
KR20210098521A (en) * 2019-01-17 2021-08-10 애플 인크. Head-mounted display with facial interface for sensing physiological condition
WO2020179946A1 (en) * 2019-03-05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vr, ar, and mr
KR102283939B1 (en) * 2019-04-10 2021-07-30 (주)루티헬스 eye imaging device
KR20200141672A (en) *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Method for emotion recognition and device for emotion recognition using the same
KR102482346B1 (en) * 2020-01-22 2022-12-29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20220011323A (en) * 2020-07-21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djusting part
KR20220047446A (en) * 2020-10-08 2022-04-18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o support cognitive function activity
KR102537698B1 (en) * 2022-05-23 2023-05-30 주식회사 헤리메이드 The simulation system of the results of the invasion of cosmetics
CN115174790B (en) * 2022-07-20 2023-12-08 闪耀现实(无锡)科技有限公司 Wear display device experience sharing fr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2188A (en) * 2008-09-17 2010-04-02 Pioneer Electronic Corp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392B1 (en) 2015-10-27 2017-08-23 김진태 Head Mount Display
KR101655792B1 (en) * 2015-12-16 2016-09-08 삼성전자 주식회사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2188A (en) * 2008-09-17 2010-04-02 Pioneer Electronic Corp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449A (en)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583B1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US20200278556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0845604B2 (en) Mounting apparatus for head-mounted display
US10302944B2 (en) Head-mount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 type display device
US10357401B2 (en) Elastic tension changing headband
US20160345901A1 (en) Wearable Brain Activity Monitor
US11144125B2 (en) Hands-free switch system
US11874461B2 (en) Modular display and sensor system for attaching to eyeglass frames and capturing physiological data
KR102185338B1 (en) Face supporting mask an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EP3890663A1 (en) Hands-free switch system
KR102312185B1 (en) Detachable function module for biometric data acquisition an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207785161U (en) Expression analysis system
CN110710977A (en) System for gather eyeball motion and head motion in real time
KR102200414B1 (en) Detachable function module for biometric data acquisition an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15153532A (en) Head-mounted flexible optical fiber assembly
JP6229747B2 (en) Endoscope system and head mounted display
US20240090818A1 (en) Health sensing retention band
CN210991119U (en) Eye protection instrument
CN219983204U (en) Protective eye shield device for magnetic resonance examination
US20210252303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visual stimulation
KR20230132493A (en) Headgear for biometric research
US20240176137A1 (en) Modular Display and Sensor System for Attaching to Eyeglass Frames and Capturing Physiological Data
CN211511766U (en) Swing head suppression test eye patch
JP6489190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dical image display system
CN117717323A (en) Health sensing holding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