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94B1 -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594B1
KR102077594B1 KR1020190069605A KR20190069605A KR102077594B1 KR 102077594 B1 KR102077594 B1 KR 102077594B1 KR 1020190069605 A KR1020190069605 A KR 1020190069605A KR 20190069605 A KR20190069605 A KR 20190069605A KR 102077594 B1 KR102077594 B1 KR 10207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derly
living
smart terminal
living alon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근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아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바드(주) filed Critical 아바드(주)
Priority to KR102019006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거노인을 위한 안심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단말기가 스마트거치대에 장착되어 주변정보 수집을 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스마트거치대의 버튼 조작에 따라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생활관리사 또는 긴급구조요원와 연결되면서, 독거노인의 편리한 조작과 신속한 호출 그리고 오신고를 방지하면서 생활관리사의 방문인증 등이 확인되어져 입체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관리되는 독거노인을 위한 안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A service system to support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본 발명은 독거노인을 위한 안심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단말기가 스마트거치대에 장착되어 주변정보 수집을 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스마트거치대의 버튼 조작에 따라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생활관리사 또는 긴급구조요원와 연결되면서, 독거노인의 편리한 조작과 신속한 호출 그리고 오신고를 방지하면서 생활관리사의 방문인증 등이 확인되어져 입체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관리되는 독거노인을 위한 안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학기술의 및 복지 정책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근하게 되었다. 따라서 혼자 거주하는 독거 노인들이 많이 생기게 되었고, 이러한 독거노인이 갑자기 위급상황에 놓이는 경우에는 주변의 도움을 기대할 수 없어 고독사하게 되면서 사망후 몇주일 후에야 부폐한 시신들이 발견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에서는 노인복지법에 따라 이러한 독거 노인을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면서, 매년 많은 인원과 비용을 투입하여 생활관리사를 양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급격히 노령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100만명이 넘는 독거노인을 세심히 돌보는 것은 통상적으로 많은 비용과 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자체에는 가능한 저렴한 비용으로 독거노인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고,
이러한 노력에 발맞춰 전용 M2M 통신단말기 혹은 웨어러블 기기 혹은 RFID 태그 등을 이용해 독거노인의 생활이나 신체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 등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스템 및 방법들은 단편적인대다가 전용 하드웨어 단말을 이용하여 독거노인을 관리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단종위험과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독거노인의 생활을 입체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독거노인의 생활(움직임, 조도, 온도, 습도, 등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생활관리사 또는 긴급구조요원과 연계되어지고, 케어하는 생활관리사에 대한 방문여부 등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위급상황시 119센터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독거노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단말기가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확보하는 스마트거치대에 장착되게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거치대의 버튼 조작에 따라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생활관리사 또는 긴급구조요원과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드웨어 기반의 스마트거치대에, 단종 위험이 없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프트웨어 기반이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독거노인을 위한 안심서비스를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서비스 확장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독거노인의 편리한 버튼조작과, 신속한 호출 그리고 오신고를 방지하고, 독거노인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기에 생성된 QR 코드(날짜별/시간대별로 다르게 생성)를 생활관리사의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게 되면, 해당 내용이 관리서버에 등록됨에 따라,
생활관리사의 방문 및 서비스 제공여부에 대한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서비스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스마트거치대와 스마트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스마트거치대의 블럭도.
도 4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단말기의 블럭도.
도 5 내지 도 8은 스마트단말기의 화면구성도.
도 9는 생활관리사 단말기의 블럭도.
도 10은 생활관리사 단말기의 화면구성도.
도 11 내지 도 13은 관리서버의 블럭도 및 사용상태도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심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서비스 시스템은 독거노인이 생활하는 거주지에 설치된 스마트거치대(10)와 스마트단말기(20), 그리고 관리센터에 설치된 관리서버(30), 그리고 각각의 생활관리사가 소지한 생활관리사 단말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드웨어 기반의 스마트거치대에, 단종위험이 없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단말기가 장착되어, 입체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관리되는 독거노인을 위한 안심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스마트거치대(10)는 독거노인의 거주지에 설치되어 독거노인의 움직임이나 주야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전등의 밝기변화, 그리고 계절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에어콘이나 난방기기 등에 변하는 온도변화 등을 감지하여,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스마트거치대(10)는 상부에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스마트단말기(20)가 안착부에 의해 거치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 내측에는 스마트단말기의 충전포트에 대응하는 충전단자(11a)가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고, 일측에는 긴급구조요원을 호출하기 위한 119호출버튼(12)과 생활관리사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버튼(12a)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단말기(20)는 안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해당 스마트단말기가 안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단말기로 사용되어지는 단말기이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타블릿 PC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단말기(20)는 터치스크린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이 눌려졌을 때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스마트거치대에 거치되어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확보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관리서버(30)는 독거노인과 생활관리사의 인적정보와, 전화번호, 그리고 수발신내역 및,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독거노인과 생활관리사를 연결시켜주는 서버이며, 특히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생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생활관리사 단말기(40)는 생활관리사가 소지한 단말기로서,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타블릿 PC 등이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30)에 의해 독거노인과 생활관리사간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고, 외출한 독거노인의 귀가알림을 받거나 혹은 해당 독거노인에게 안부전화를 하는 등, 안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2와 도 3은 스마트단말기가 거치된 스마트거치대와, 이의 내부구성을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스마트거치대(10)는 인가된 정보를 토대로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기 위한 메인보드(14)와, 각종 버튼 및 센서들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메인보드로 전달하기 위한 키 보드(13)로 나누어지고,
상기 메인보드(14)는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스마트단말기와 MPU로 각각 필요한 전원 공급하기 위한 전원회로부(14a)와, 상기 전원회로부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안착부에 거치되어 있는 스마트단말기로 공급하기 위한 충전회로(14b)와, 상기 안착부(11)에 거치된 스마트단말기(20)와 MPU(14d)를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14c)와,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마트단말기와 연결되었을 때 키 보드(13)를 통해 확보된 생활정보들을 관리서버(30)에 전송하거나 혹은 긴급구조요원 또는 생활관리사와 연결되도록 지시하는 MPU(14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메인보드(14)는 실시 예에 따라 독거노인의 생황영역 확대 및 세밀한 서비스를 위하여 외부센서와 연동시키기 위한 통신부(14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통신부는 BT/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전파의 회절성이 좋은 RF447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센서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 보드(13)는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센서와, 주야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전등의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센서와, 계절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에어콘이나 난방기기 등의 동작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15)와, 상기 119호출버튼(12)과 연결버튼(12a)의 눌림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키 회로부(1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센서(15)는 스마트거치대 내부에 설치되는 조도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과,
상기 스마트거치대 외측의 실내(예, 주방, 거실 등등)에 설치되어 화재감지시 경보 및 119를 호출하기 위한 화재감지기나, 사고위험(예, 낙상 등등)이 있는 욕실이나 주방 등에 설치되어 경보 및 긴급구조요원을 호출하기 위한 응급호출기, 또는 거실외의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지역에 설치되어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감지기나 영상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진 외부센서(15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독거노인의 생활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스마트단말기의 동작화면 및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단말기(20)는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설치되어 전용 단말기로 사용되어지도록 히든모듈(20a)과 블럭모듈(20b)과, 수집모듈(20d)과, 등록모듈(20e)과, 연결모듈(20f)과, 인증모듈(20g)과, 사용자모듈(20h)과, 컨트롤모듈(2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각 모듈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하는 것이다.
먼저, 히든모듈(20a)은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불필요한 메시지가 화면에 노출되지 않게 차단하여 주는 모듈이다. 즉, 각각의 스마트단말기(20)는 안드로이드 OS 설치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예, 옥션, 11번가 위메프 앱, 유투브 등등)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불필요한 푸쉬메시지나 알람정보 등을 제공받지 않게 차단하여 줌으로써, 전용 단말기로 사용되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블럭모듈(20b)은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백그라운드에 대기중인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나 허가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지 않게 막아 주기 위한 것이다. 즉, 스마트단말기(20)는 안드로이드 OS 설치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예, 옥션, 11번가 위메프 앱, 유투브 등등)이 설치되어 있고,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강제 종료되거나 대기되거나 방해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집모듈(20d)은 스마트거치대(10)에 장착되어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스마트거치대(10)의 센서들을 통해 확보된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모듈이다. 이때 수집된 독거노인의 생활정보에는 거주지에서 생활하는 독거노인의 움직임과, 주야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전등의 밝기와, 계절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에어콘이나 난방기기 등의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 등이 있다.
또한, 등록모듈(20e)은 독거노인의 이름, 나이, 전화번호 등등의 인적정보를 기록하여 관리서버(30)에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것이고, 특히 119호출버튼(12)이 눌려졌을 때에는 등록된 독거노인의 주소를 로드하여 해당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결모듈(20f)은 터치스크린상에 119호출버튼(12)과 연결버튼(12a)을 형성하고, 상기 119호출버튼과 연결버튼이 눌려졌을 때 생활관리사 또는 긴급구조요원을 호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인증모듈(20g)은 날짜/시간/독거노인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QR코드를 생성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관리사가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방문기록을 관리서버에 등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생활관리사가 언제 누구를 방문하였는지 정확하게 확인되어지면서 업무 처리에 대한 신뢰성 및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모듈(20h)은 독거노인의 편의성을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나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지털 액자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터치스크린의 수명을 연장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모듈은 실시 예에 따라 평상시 스케줄에 맞춰 독고노인의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음악이나 라디오 방송이 재생되어 지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일측에 방치될 수 있는 스마트단말기의 사용 가치를 증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컨트롤모듈(20c)은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는 모듈로서, 상기 히든모듈(20a)과 블럭모듈(20b)을 컨트롤하여 안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단말기로 사용되게 하는 한편,
수집모듈(20d)을 통해 확보된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관리서버(30)에 전송하여 모니터링 되어지게 하고, 연결모듈(20f)을 통해 119호출버튼 또는 연결버튼이 눌려졌을 때 긴급구조요원 또는 생활관리사를 호출한다. 더불어 119호출버튼이 눌려졌을 때 등록모듈을 통해 확보된 독거노인의 주소를 문자발송하여 정확하게 그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컨트롤한다.
따라서 스마트단말기(20)가 스마트거치대(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상기 블럭모듈(20b)과 히든모듈(20a)에 의해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과 메시지 노출이 차단되면서 메인화면(21)이 표출된다.
이때 스마트단말기(20)는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거치대(10)에 거치되었을 때, 스마트거치대(10)가 송출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의해 자동으로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되면서, 정보 취약자 계층에 해당하는 노인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화면(21)에는 상부에 QR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아이콘(21a)과, 설정창 오픈시 독거노인의 인적사항을 등록하고 앱정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설정 아이콘(21b)을 형성하고, 그 아래로는 긴급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119호출버튼(21c)과, 생활관리사를 호출하기 위한 연결버튼(21d)과, 등록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버튼(21e)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스마트단말기(20)는 평상시 스마트거치대가 감지한 댁내 조도, 온도, 습도, 동작 정보 등을 전달받아 관리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반드시 사용되는 전등의 밝기 변화와, 계절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에어콘이나 난방기기 등에 변하는 온도변화 등을 토대로 독거노인의 생활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메인화면(21) 상에서 구현된 119호출버튼(21c) 또는 스마트거치대에 형성된 119호출버튼(12)이 동작하였을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상황여부를 묻는 호출화면이 오픈되면서 잘못된 터치로 오신고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9호출버튼 동작시 설정창에 등록된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119문자정보도 같이 발송하여 긴급구조요원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독거노인을 거주지를 방문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긴급구조요원을 호출한 내역은 관리서버에 업로드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이를 담당 생활관리사에게 전달하여 119 호출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메인화면(21) 상에서 구현된 연결버튼(21d) 또는 스마트거치대(10)에 형성된 연결버튼(12a)이 눌려졌을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당 생활관리사를 호출하고, 미연결시에는 관리서버(30)에 의해 제2생활관리사 또는 제3생활관리사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메인화면(21) 상에 구현되어 있는 재생버튼(21e)이 동작하였을 때에는 독거노인들이 좋아할 만한 음악들이 재생되면서 체감도 높을 서비스를 통해 사용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일측에 방치되는 것을 예방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단말기(20)는 평상시 메인화면(21)이 표출될 수도 있지만,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디지털 액자 기능에 의해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나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효율을 높이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활관리사의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활관리사 단말기(40)는 기록모듈(40a)과, 메시지확인모듈(40b)과, 갱신모듈(40c)과, 정보모듈(40d)과, 활동정보모듈(40e)과, 관리모듈(40f)과, 통화연결모듈(40g)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생활관리사의 단말기(40)에 설치되어 있는 생활관리사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메인화면(41)에는 기록모듈(40a)에 의해 통화기록버튼(41a)과, 메시지 확인모듈(40b)에 의해 전송받은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신메시지버튼(41b)과, 갱신모듈(40c)에 의해 자신에게 할당된 독거노인과 이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정보갱신버튼(41c)이 표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메시지확인모듈(40b)은 댁내 독거노인이 외출하거나 혹은 귀가시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전달받은 메시지를 토대로 용이하게 안부 확인토록 하는 한편 담당 생활관리사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정보모듈(40d)은 중앙의 표시창(41d)에는 각 독거노인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리스트화되어 표출되게 구성하는 한편, 각각의 독거노인별로 최근통화한 시각과 활동정보가 아이콘화되어 보여지게 구성한다.
이때 활동정보모듈(40e)은 각각의 아이콘(41e)이 관리서버에 의해 전달받은 활동정보를 토대로 양호한 경우에는 파란색상으로 보여지게 구성하고, 이상신호를 감지하였을 때에는 빨간색상으로 보여지게 구성하여, 전체 독거노인의 활동상태와 작동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하단에는 이번달 통화량(음성/영성통화)과 자신이 돌보는 독거노인의 총인원수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창(41d)의 특정 독거노인의 이름을 선택하게 되면, 관리모듈(40f)에 의해 상부에 오늘의 날짜와 시간이 표출되면서, 중앙에는 해당 독거노인의 이름 및 주소와 독거노인의 활동량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창(41f)이 오픈된다.
이때 통화연결모듈(40g)에 의해 다양한 연락처가 리스트화되어 보여지고, 일측에는 통화하기 위한 연결버튼(41g)이 보여지게 구성한다. 이때 보여지는 연락처에는 거주지에 설치된 스마트단말기(20)의 전화번호와 해당 전화번호로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할 수 있는 버튼이 표출되게 구성한다. 더불어 생활관리사가 독거노인에게 음성통화(안부전화) 연결시 미연결되면, 해당 독거노인의 스마트단말기(20)는 영상통화로 자동수신되어 댁내 상황이 모니터링되어지게 구성한다. 이때 영상통화로 댁내의 상황을 뷰잉하면서 만일 독거노인이 외출중이라고 판단되면 동작 감지모드를 활성화시켜 움직임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게 구성되고, 만일 독거노인이 귀가하여 움직임이 포착되면 알림문자를 전송받아 해당 독거노인의 귀가사실을 확인하고 안부 인사를 할 수 있게 구성한다.
더불어 하부에는 스마트단말기가 동작하지 않거나 장기간 집을 비울 때, 해당 독거노인과 연결하기 위한 집전화 번호와 휴대폰 번호가 리스트화되어 보여지고 각각의 집전화번호와 휴대폰 번호로 통화연결하기 위한 연결버튼이 뷰잉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해당 독거노인과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보호자와 연결하기 위한 연락처와 함께 해당 연락처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버튼이 표출되게 구성함으로써, 평상시 독거노인의 생활을 관리하는 한편 위급상황시 보호자와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관리서버의 사용상태도 및 모니터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관리서버는 기간별로 각각의 생활관리사가 독거노인에게 연락한 안부전화 내용과 독거노인이 119 또는 생활관리사를 호출한 내용을 등을 전달받아 통화기록을 전산하고, 각각의 독거노인과 생활관리사를 연결시켜 준다.
더불어 관리서버(30)는 데이터 가공모듈(30a)과, 데이터 마이닝모듈(30b)과, 추출모듈(30c)과 알람모듈(30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의 데이터 가공모듈(30a)은 전송받은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가공하여 거주지의 전등이 온/오프되었는지, 독거노인이 거주지를 이탈하였는지 혹은 귀가하였는지, 혹은 거주지에 설치된 난방기구나 에어콘 등이 작동하였는지, 혹은 긴급상황(예, 화재, 가스 노출 등등)이 발생하였는지 등등의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데이터 마이닝모듈(30b)은 상기 데이터 가공모듈(30a)을 통해 추출된 유효 정보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예를 들면 반복적으로 11에 전등이 오프되는 경우 취침시간이 11시로 인식하고, 아침 7시에 전등이 온되면 기상시간이 7시로 인식하는 등의 독거노인의 생활패턴(예, 외출, 귀가, 취침, 기상 등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더불어 추출모듈(30c)은 상기 데이터 마이닝모듈(30b)을 통해 분석된 독거노인의 생활패턴과 새로 수집된 정보를 비교하여 특이패턴(예, 장시간 집안의 전등이 off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귀가 또는 외출하는 움직임 등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등등)을 추출하는 것이다.
더불어 알람모듈(30d)은 상기 추출모듈(30c)을 통해 추출된 특이패턴을 토대로 알람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담당 생활관리사에게 전달하여 독거노인의 생활을 모니터링하도록 서비스하는 것이다.
더불어 관리서버(30)는 독거노인의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QR코드가 생활관리사의 단말기에 의해 스캔되어졌을 때, 언제 누가 누구의 독거노인을 방문하였는지 데이터베이스화되면서, 업무 처리에 대한 신뢰성 및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관리서버(40)는 등록된 독거노인과 생활관리사의 정보를 토대로 정성적 혹은 정량적 분석을 통해 관리자가 전체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구성한다.이때 모니터링되는 정보에는 지역별로 생활관리사와 독거노인의 숫자를 카운트하여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전체 독거노인들 중 양호한 상태의 독거노인과 이상여부를 감지한 독거노인를 카운트하여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정상작동하는 스마트단말기과 오프된 스마트단말기의 숫자를 카운트하여 전체 작동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토대로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스마트거치대 11:안착부
11a:충전단자 12:119호출버튼
12a:연결버튼 13:키 보드
13a:키 회로부 14:메인보드
14a:전원회로부 14b:충전회로부
14c:인터페이스 14d:MPU
15:센서 15a:외부센서
20:스마트단말기
20a:히든모듈 20b:블럭모듈
20c:컨트롤모듈 20d:수집모듈
20e:등록모듈 20f:연결모듈
20g:인증모듈 20h:사용자모듈
30:관리서버 30a:데이터 가공모듈
30b:데이터 마이닝모듈 30c:추출모듈
30d:알람모듈 40:돌보미단말기
40a:기록모듈 40b:메시지 확인모듈
40c:갱신모듈 40d:정보모듈
40e:활동정보모듈 40f:관리모듈
40g:통화연결모듈

Claims (12)

  1.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독거노인을 위한 전용 단말기로만 사용되어 지는 스마트단말기; 상기 스마트단말기와 연동하는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거치대; 독거노인과 생활관리사의 인적정보와 전화번호 그리고 수발신내역 및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관리서버; 독거노인의 스마트단말기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가능한 생활관리사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불필요한 메시지가 메인화면에 노출되지 않게 차단하여 주는 히든모듈과, 백그라운드에 대기중인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나 허가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지 않게 막아 주는 블럭모듈과, 스마트거치대에 거치되었을 때 각각의 센서들을 통해 확보된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모듈과, 독거노인의 이름 나이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인적정보와 긴급구조요원 호출시 로드되는 독거노인의 주소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모듈과, 119호출버튼 또는 연결버튼 동작시 생활관리사 또는 긴급구조요원을 호출하기 위한 연결모듈과,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히든모듈과 블럭모듈을 컨트롤하여 안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단말기로 사용되어지게 한 상태에서 수집모듈을 통해 확보된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모니터링 되어지게 하고 상기 연결모듈을 통해 119호출버튼이 눌려졌을 때에 등록모듈을 통해 기록된 독거노인의 주소를 로드하여 문자발송하도록 지시하는 컨트롤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거치대는 119 호출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119 호출버튼이 동작하였을 때, 연동하는 스마트단말기에 등록된 독거노인의 주소정보가 문자전송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거치대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독거노인의 생활정보가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관리서버는 수집된 독거노인 생활정보를 가공하여 데이터 마이닝하여 생활패턴을 분석하고, 특이패턴이 추출시, 생활관리사에게 자동으로 긴급알림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거치대는 외부에 스마트단말기가 거치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스마트단말기가 거치되었을 때 연결되는 충전단자와, 긴급구조요원을 호출하기 위한 119호출버튼과, 생활관리사를 호출하기 위한 연결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센서와, 주야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전등의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센서와, 계절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에어콘이나 난방기기 등의 동작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와, 상기 119호출버튼과 연결버튼의 눌림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키 회로부와,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스마트단말기와 MPU로 각각 분배 공급하기 위한 전원회로부와, 상기 전원회로부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안착부에 거치되어 있는 스마트단말기로 공급하기 위한 충전회로와, 상기 안착부에 거치된 스마트단말기와 MPU를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와,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는 MPU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거치대는 사각지대에 위치한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감지기, 또는 실내 화재 발생시 119를 호출하기 위한 화재감지기, 또는 사고위험이 있는 욕실이나 주방에 설치되어 긴급구조요원을 호출하기 위한 응급호출기와 같은 외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거치대와 외부센서는 전파의 회절성이 좋은 RF447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날짜/시간/독거노인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QR코드를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생활관리사 단말기에 의해 스캔되어지면서, 독거노인의 거주지를 방문한 생활관리사가 언제 누구를 방문하여 안심서비스를 제공하였는지 관리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인증모듈과,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나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액자기능을 제공하거나 혹은 스케줄에 맞춰 독고노인의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음악이나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사용자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전송받은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가공하여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데이터 가공모듈과,
    상기 데이터 가공모듈을 통해 추출된 유효정보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마이닝모듈과,
    상기 데이터 마이닝모듈을 통해 분석된 독거노인의 생활패턴과 새로 수집된 정보를 비교하여 특이패턴을 추출하는 추출모듈과,
    상기 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특이패턴을 토대로 알람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담당 생활관리사에게 전달하는 알람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9. 안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독거노인을 위한 전용 단말기로만 사용되어 지는 스마트단말기; 상기 스마트단말기와 연동하는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거치대; 독거노인과 생활관리사의 인적정보와 전화번호 그리고 수발신내역 및 독거노인의 생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관리서버; 독거노인의 스마트단말기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가능한 생활관리사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생활관리사 단말기는 생활관리사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메인화면의 통화기록버튼이 눌려졌을 때에 통화기록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 기록모듈과, 수신메시지버튼이 눌려졌을 때에 전송받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 메시지 확인모듈과, 정보갱신버튼이 눌려졌을 때 자신에게 할당된 독거노인과 이의 정보가 갱신되어지도록 하는 갱신모듈과, 표시창에 각 독거노인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리스트화되어 표출되는 한편 각각의 독거노인별로 최근 통화한 시각과 활동정보가 아이콘화되어 보여지게 구성된 정보모듈과, 각각의 아이콘이 관리서버에 의해 전달받은 활동정보를 토대로 양호한 경우에는 파란색상으로 보여지게 하고 특이패턴이 감지되었을 때에는 빨간색상으로 보여지게 구성된 활동정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관리사 단말기는 표시창의 특정 독거노인의 이름이 선택되면, 상부에는 오늘의 날짜와 시간이 표출되면서 중앙에는 해당 독거노인의 이름 및 주소와 독거노인의 활동량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가 보여지는 정보창이 오픈되도록 구성된 관리모듈과,
    상기 정보창을 통해 보여지는 스마트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해당 독거노인의 집전화번호 혹은 휴대폰 번호, 혹은 보호자의 전화번호로 선택적으로 통화연결되도록 구성된 통화연결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관리사 단말기의 통화연결모듈은, 생활관리사가 독거노인에게 음성통화 연결시 미 연결되면, 영상통화시 해당 독거노인의 스마트단말기가 강제로 자동수신되면서 스마트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댁내 상황을 뷰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관리사 단말기의 통화연결모듈은, 영상통화로 댁내의 상황을 뷰잉하면서 만일 독거노인이 외출중이라고 판단되면 동작 감지모드를 활성화하여 움직임을 계속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하고, 외출한 독거노인이 귀가하여 움직임이 포착되면 알림문자를 전송받아 해당 독거노인의 귀가사실을 확인하고 용이하게 안부 전화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KR1020190069605A 2019-06-12 2019-06-12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KR102077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605A KR102077594B1 (ko) 2019-06-12 2019-06-12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605A KR102077594B1 (ko) 2019-06-12 2019-06-12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594B1 true KR102077594B1 (ko) 2020-02-17

Family

ID=6967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605A KR102077594B1 (ko) 2019-06-12 2019-06-12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59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43B1 (ko) * 2020-12-29 2021-07-20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KR102284037B1 (ko) 2020-09-09 2021-07-29 김대성 Ai 복지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KR20210110100A (ko) * 2020-02-28 2021-09-07 (주)월드정보기술 IoT 기반 모션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심지킴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05535B1 (ko) * 2020-10-06 2021-09-27 김민정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2445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크래들을 이용한 격리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2456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격리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62223B1 (ko) * 2021-01-18 2022-02-14 김민정 취약계층 안전 주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20169A (ko) * 2020-08-11 2022-02-18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CN114155681A (zh) * 2021-12-01 2022-03-08 南京守护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功能呼叫器的老人安全陪护方法和系统
KR20220108233A (ko) * 2021-01-25 2022-08-03 주식회사 루프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428A (ko) * 2013-05-07 2014-11-17 아바드(주) 노인 안심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전용 스마트단말기 및 방법.
KR20150144205A (ko) * 2014-06-16 2015-12-24 중소기업은행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6428B1 (ko) * 2016-12-07 2018-03-13 (주)오픈오브젝트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428A (ko) * 2013-05-07 2014-11-17 아바드(주) 노인 안심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전용 스마트단말기 및 방법.
KR20150144205A (ko) * 2014-06-16 2015-12-24 중소기업은행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6428B1 (ko) * 2016-12-07 2018-03-13 (주)오픈오브젝트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369B1 (ko) * 2020-02-28 2021-12-03 (주)월드정보기술 IoT 기반 모션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심지킴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10100A (ko) * 2020-02-28 2021-09-07 (주)월드정보기술 IoT 기반 모션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심지킴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95376B1 (ko) * 2020-04-27 2022-05-09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크래들을 이용한 격리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59227B1 (ko) 2020-04-27 2022-02-07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격리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2445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크래들을 이용한 격리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2456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격리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20169A (ko) * 2020-08-11 2022-02-18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102383384B1 (ko) * 2020-08-11 2022-04-05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102284037B1 (ko) 2020-09-09 2021-07-29 김대성 Ai 복지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305535B1 (ko) * 2020-10-06 2021-09-27 김민정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79243B1 (ko) * 2020-12-29 2021-07-20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KR102362223B1 (ko) * 2021-01-18 2022-02-14 김민정 취약계층 안전 주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08233A (ko) * 2021-01-25 2022-08-03 주식회사 루프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56722B1 (ko) * 2021-01-25 2023-07-19 주식회사 루프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CN114155681A (zh) * 2021-12-01 2022-03-08 南京守护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功能呼叫器的老人安全陪护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94B1 (ko)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US10311707B2 (en) Interactive wireless life safety communications system
US96152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over an integrated wireless network
US9679455B2 (en) Security monitoring with programmable mapping
JP7265995B2 (ja) 監視及びコンシェルジェサービスのためのスケーラブルなシステム及び方法
US7123142B2 (en) Integrated intercom and security system
US7671730B2 (en) Automated computerized alarm system
US20160133104A1 (en)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including voice and video calls via the internet
CN101261515A (zh) 用于基础设施报告的系统和方法
US20080218307A1 (en) Anticipatory utility control device
US11074792B2 (en) Mental health, safety, and wellness support system
US20120314063A1 (en) Threat based adaptable network and physical security system
WO2014151609A1 (en)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for follow-up actions in response to events detected by an automation system, and system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KR102131969B1 (ko)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69196A1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response system
WO2023280273A1 (zh) 一种控制方法和系统
US20140361874A1 (en) Tracking and emergency alert device
US11631309B2 (en) Security system communicator and keypad device
JP2016148998A (ja) 状況通知制御装置および状況通知システム
JP200520887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594053B1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CN212992468U (zh) 一种圆形廊灯楼宇对讲一体机系统
JP6590979B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220108459A (ko) 스마트 비상벨
JP2023098441A (ja) 監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