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443B1 - PTT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TT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443B1
KR102077443B1 KR1020180121446A KR20180121446A KR102077443B1 KR 102077443 B1 KR102077443 B1 KR 102077443B1 KR 1020180121446 A KR1020180121446 A KR 1020180121446A KR 20180121446 A KR20180121446 A KR 20180121446A KR 102077443 B1 KR102077443 B1 KR 10207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communication
ptt
protocol
mobile termin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코드
Priority to KR102018012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443B1/en
Priority to JP2020550567A priority patent/JP7010522B2/en
Priority to PCT/KR2018/012077 priority patent/WO202007589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an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a PTT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the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comprises: a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a PTT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PTT communication; and a PTT communication server for performing the PTT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when the mobile terminals are connected.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allows a first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a received voice signal to be converted into a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which can be processed by a seco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role of a receiving terminal to transmit the same to another terminal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are different, and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a first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role of a transmitting terminal among the mobile terminals. Accordingly, even when a specific PTT application service including a library application is used, PTT application services of different companies can be used, and a PT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limitations even though any one of a TCP transport layer and a UDP transport layer is used. In addition,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by enabling a us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access a used channel by arbitrarily setting a PTT button or using an access history of the channel.

Description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TT 통신 방법{PTT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PTT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me {PTT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PTT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TT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토콜의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TT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TT communication system and a PTT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TT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a PTT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PTT(Push To Talk) 통신이란 타인에게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버튼을 가압한 상태에서 타인에게 음성을 전송하고, 버튼이 미가압된 상태에서는 타인으로부터 음성을 수신받는 양방향 통신으로,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 간의 통화가 가능하여, 한 사람의 음성이 다수의 타인에게 전송될 수 있다.Push to talk (PTT) communication is a two-way communication in which voice is transmitted to another person while pressing a button for transmitting voice to another person, and voice is received from another person when the button is unpressed. A call is possible, so that one person's voice can be transmitted to many others.

근래에는 모바일 단말기마다 고유의 IP 번호를 부여받게 되는데, 인터넷 데이터 통신이나 이동통신의 데이터망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무전기처럼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PTT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each mobile terminal is given a unique IP number, and also provides a mobile terminal PTT servic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voice like a walkie-talkie without using a voice service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nternet data communication or a mobile communication data network. It is becoming.

이러한 IP-PTT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말기로 PTT 앱을 이용하여 접속 후에 다중 전송 계층을 사용하는 경우에, 초기의 전송 계층을 선택하는 단계를 거친 후 하나의 전송 계층만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서로 다른 전송 계층 간에 PTT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The IP-PTT system, when a user uses a multi-transport layer after access using a PTT app as a terminal, has to perform communication using only one transport layer after going through the step of selecting an initial transport layer.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PTT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between different transport layers.

더불어, PTT 앱 서비스별로 서로 다른 전용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프로토콜이 서로 달라 다른 PTT 앱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PTT 통신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존재한다. In addition, even when providing a different dedicated protocol for each PTT app serv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PTT communication with the user using a different PTT app servic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에, 특정 PTT 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회사의 PTT 앱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전송 계층의 종류에 제한이 없도록 하여, TCP 전송 계층과 UDP 전송 계층 중 어느 하나의 전송 계층을 이용하더라도 제한 없이 PT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Therefore, even when using a specific PTT app service, using the PTT app services of different companies or the type of transport layer is not limited, even if using any one of the TCP transport layer and UDP transport layer without limitation There is a need for a search for a method for performing PTT communic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014169호(발명의 명칭: IP PTT 서비스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14169 (Invention name: IP PTT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TCP 전송 계층과 UDP 전송 계층 간의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PTT 앱 서비스별로 서로 다른 전용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PTT 앱 서비스별 프로토콜이 상호 호환되도록 하는 PTT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TT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tocol compatibility between the TCP transport layer and the UDP transport layer, even when using a different dedicated protocol for each PTT app service, PTT app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TT communication system and a PTT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in which service-specific protocols are mutually compatib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TT 앱을 통해, PTT 버튼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PTT 통신을 위한 채널의 접속 이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이용했던 채널에 빠르고 편리하게 접속하도록 하는 PTT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TT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TT app, PTT button can be arbitrarily set, using the connection history of the channel for the PTT communication, PTT communic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onnect to the channel previously used A system and a PTT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시스템은 PT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TT 앱(App)이 설치되는 모바일 단말; 및 둘 이상의 상기 모바일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에 PTT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PTT 통신 서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PTT 통신 서버는,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르면,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발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의 제1 PTT 통신 프로토콜이 수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bile terminal is installed PTT App (App) for performing PTT communication; And a PTT communication server configured to perform PTT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when two or more of the mobile terminals are connected, wherein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are different. If a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a first mobile terminal serving as a calling terminal among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the first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processed by a second mobile terminal serving as a receiving terminal. The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converted to the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n transferred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PTT 통신 서버는,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용 채널을 제공하는 채널 관리부; 상기 특정 모바일 단말이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되면, 상기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모바일 단말의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각각의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토콜 관리부; 상기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발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의 제1 PTT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수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하는 프로토콜 변환부; 및 상기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음성신호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전달되도록 하는 발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a channel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a channel for PTT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When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 each from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A protocol manag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wo or more connected mobile terminals are different when information about a PTT communication protocol is received;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signal from a first mobile terminal which serves as an originating terminal among the connected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two or more connected mobile termina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may be processed by a second mobile terminal serving as a receiving terminal among the connected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A protoco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o a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converted into the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그리고 상기 채널 관리부는, 특정 모바일 단말이 특정 PTT 통신용 채널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접속된 특정 PTT 통신용 채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접속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모바일 단말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PTT 앱이 실행되면,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에 포함된 PTT 통신용 채널 중 어느 하나에 바로 접속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accesses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e channel manager generates access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onnected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and stores the access history information in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When the PTT app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s execu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exists, and if the pre-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exists, it is possible to directly access any one of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s included in the pre-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You can do that.

또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서로 다른 PTT 통신 프로토콜의 음성신호가 중복되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각각의 음성신호 중 제1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바로 변환되도록 하되, 제2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변환하지 않은 상태로 임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제2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oice signal of a different PTT communication protocol is overlapped and received from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voice signal is received. In this case,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second voice signal is temporarily stored without being converted, and when the conversion of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voice signal is completed, the PTT communication of the temporarily stored second voice signal is completed. The protocol can be translated.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PTT 앱이 실행되어, 화면에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는 경우, 상기 더블 클릭된 아이콘이 PT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TT 가압 버튼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TT app is executed and the user double-clicks one or more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double-clicked icon as a PTT press button for performing PTT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채널 관리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PTT 앱이 실행되고, 상기 설정된 PTT 가압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특정 PTT 통신용 채널을 선택하지 않아도, 상기 PTT 가압 버튼이 가압된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에 포함된 PTT 통신용 채널 중 가장 최근에 접속된 PTT 통신용 채널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TT app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is executed and the set PTT pressing button is pressed, the channel manager is configured to press the PTT pressing button even if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select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 among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s included in the previously 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may be connected to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방법은,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이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하는 단계; PTT 통신 서버가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TT 통신 서버가 각각의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PTT 통신 서버가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발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PTT 통신 서버에 의해,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의 제1 PTT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수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PTT 통신 서버가, 상기 변환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PTT communication method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connecting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Receiving, by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information o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from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Comparing, by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information on each PTT communication protocol to determine whether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are different; Receiving, by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a voice signal from a first mobile terminal serving as an originating terminal among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second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first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serves as a receiving terminal among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by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Converting to a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processable at; And transmitting, by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이에 의해, 라이브러리 앱을 비롯한 특정 PTT 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회사의 PTT 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송 계층의 종류에 제한이 없도록 하여, TCP 전송 계층과 UDP 전송 계층 중 어느 하나의 전송 계층을 이용하더라도 제한 없이 PT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using a specific PTT app service, including a library app, it is possible to use PTT app services of different companies,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ransport layer, the transmission of any one of the TCP transport layer and UDP transport layer Even using the layer, PT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restriction.

또한, PTT 버튼을 임의로 설정하거나 또는 채널의 접속 이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이용했던 채널에 빠르고 편리하게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provided by arbitrarily setting the PTT button or by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onnect to a channel that the user has previously used using the channel's connection histo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버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변환부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PTT 앱이 실행되는 경우,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when a PTT app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is execu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TT communication method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시스템(이하에서는 'PTT 통신 시스템'으로 총칭하기로 함)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TT communication system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TT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시스템은 TCP 전송 계층과 UDP 전송 계층 간의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PTT 앱 서비스별로 서로 다른 전용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PTT 앱 서비스별 프로토콜이 상호 호환되도록 하고, PTT 앱을 통해, PTT 버튼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PTT 통신을 위한 채널의 접속 이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이용했던 채널에 빠르고 편리하게 접속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In the PT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ocol compatibility between the TCP transport layer and the UDP transport layer is improved, and even when using a different dedicated protocol for each PTT app service, the PTT app service-specific protocols are mutually compatible, and the PTT app Through, the PTT button can be arbitrarily set, and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onnect to a previously used channel by using a connection history of a channel for PTT communication.

이를 위해, 본 PTT 통신 시스템은, PT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TT 앱이 설치되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과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 간에 PTT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PTT 통신 서버(200)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PTT commun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a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to perform a PTT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100 and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100 is installed PTT app for performing PTT communication Can be.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은 PTT 통신 서버(200)에 접속하여, PTT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PTT 버튼을 가압하고, 음성신호를 입력하면, 발신 단말(100a)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발신 단말(100a)과 같은 채널에 접속하여, PTT 버튼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모바일 단말(100)이 수신 단말(100b)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PTT 버튼의 가압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100a)의 역할 및 수신 단말(100b)의 역할을 교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to perform PTT communication, press the PTT button, and input a voice signal to serve as the calling terminal 100a. By connecting to the same channel as the calling terminal 100a,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state where the PTT button is not pressed may serve as the receiving terminal 100b. That is, one mobile terminal 100 may alternately perform the role of the originating terminal 100a and the role of the receiving terminal 100b according to the pressing state of the PTT button.

PTT 통신 서버(200)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이 접속되면, 접속된 모바일 단말(100) 각각이 처리 가능한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접속된 모바일 간에 프로토콜의 종류가 같은 종류인지, 다른 종류인지 판단하고,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이 서로 간에 다른 종류의 것으로 판단되면, 발신 단말의 역할을 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0a)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수신 단말의 역할을 하는 제2 모바일 단말(100b)에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are connected,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receives information on a PTT communication protocol that each of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s 100 can process, and the types of protocols are the same among the connected mobiles. If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d if the protocols that can be process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onverts the protocol of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that serves as the originating terminal to act as a receiving terminal It may be delivered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여기서, 프로토콜(Protocol)은 PTT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프로토콜의 종류라 함은, 전송 계층에 따라 인터넷 및 로컬 네트워크의 프로토콜로 많이 이용되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또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의미하거나, PTT 앱 서비스별로 다르게 이용되는 서비스 또는 회사별 프로토콜의 종류를 의미한다. Here, the protocol means a PTT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type of protocol means UDP (User Datagram Protocol) or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which is widely used as a protocol of the Internet and a local network according to a transport layer. Or, it means a type of service or a company-specific protocol used differently for each PTT app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버(2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변환부(24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된 PTT 앱이 실행되는 경우,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screen configuration when the PTT app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s execu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버(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이 접속되면, 접속된 모바일 단말(100) 각각이 처리 가능한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접속된 모바일 간에 프로토콜의 종류가 같은 종류인지, 다른 종류인지 판단하고,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이 서로 간에 다른 종류의 것으로 판단되면, 발신 단말의 역할을 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0a)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수신 단말의 역할을 하는 제2 모바일 단말(100b)에 전달하기 위해, 채널 관리부(210), 프로토콜 관리부(220), 수신부(230), 프로토콜 변환부(240) 및 발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3, when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cess PTT communication that each of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s 100 may process.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protoco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ype of protocol between the connected mobiles is the same type or different typ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tocols that can be process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mobile terminal serving as a calling terminal ( The channel manager 210, the protocol manager 220, the receiver 230, and the protocol converter to convert the protocol of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100a and transmit the protoco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serving as a receiver terminal. 240 and the transmitter 250 may be included.

채널 관리부(210)는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간의 PTT 통신용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hannel manager 210 is provided to provide a channel for PTT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구체적으로, 채널 관리부(210)는, 복수의 채널을 관리하되, 각각의 채널 간에 채널 변경이 가능하고,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이 개인 또는 그룹으로 특정 채널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hannel manager 210 manages a plurality of channels, and can change channels between the respective channels, and allow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to access a specific channel by individuals or groups.

또한, 채널 관리부(210)는, 특정 모바일 단말(100)이 특정 PTT 통신용 채널에 접속하는 경우, 접속된 특정 PTT 통신용 채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접속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특정 모바일 단말(100)에 저장되도록 하고, 특정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된 PTT 앱이 실행되면,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가 존재하면,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에 포함된 PTT 통신용 채널 중 어느 하나에 바로 접속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100 accesses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e channel manager 210 generates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onnected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and thus,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PTT app installed in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100 is execu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viously 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exists, and if the previously 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exists,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 included in the previously 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either.

그리고 채널 관리부(210)는,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모바일 단말(100)이 디폴트 채널에 접속되도록 하고, 디폴트 채널에 접속하여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프로토콜 관리부(220)에 전달한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채널 변경되도록 하여, PTT 통신 서버(200)에 접속하는 모바일 단말(100)의 프로토콜 관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viously 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channel manager 210 allows 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no previously 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to be connected to the default channel, and accesses the default channel to the protocol. Afte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220, the user can change the channel to the desired channel, so that the protocol manage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즉, 최초로 PTT 통신 서버(200)에 접속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의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그 이후 PTT 통신 서버(200)에 접속할 때마다,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반복적으로 수신하지 않아도 프로토콜 관리가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first connection to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protocol of the mobile terminal 100, every time thereafter connecting to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tocol is repeatedly received. Protocol management is possible without the need.

다만, 기존에 접속하면서 제공했던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PTT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음성신호의 발신 또는 수신에 프로토콜 오류가 발생하면, 프로토콜 관리부(220)가 접속된 모바일 단말(100)에 재차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발생된 프로토콜 오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However, when performing a PTT communication by converting a protocol based on information on a protocol provided while accessing the existing one, if a protocol error occurs in transmitting or receiving a voice signal, the protocol manager 220 is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 By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the protocol again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requested protocol in step 10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tocol error problem that occurred.

프로토콜 관리부(220)는 채널 관리부(210)가 제공하는 특정 PTT 통신 채널을 통해 PTT 통신 서버(200)에 접속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에 대하여 각각의 모바일 단말(100)이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에 대하여, 각각의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것인지 판별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protocol manager 220 may provide a protocol that each mobile terminal 100 may proces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through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provided by the channel manager 210. And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protocol is different.

구체적으로, 프로토콜 관리부(220)는, 특정 모바일 단말(100)이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되면,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모바일 단말(100)의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각각의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e protocol manager 220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 and specifies When information on each PTT communication protocol is received from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two or more connected mobile terminals 100 are different.

이때, 프로토콜 관리부(220)는, 각각의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처리 가능한 PTT 통신 프로토콜이 UDP 인지 또는 TCP 인지 판단하거나 또는 서비스별/회사별 프로토콜의 종류가 같은 종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protocol manager 220 determines whether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that can be processed by each mobile terminal 100 is UDP or TCP, or determines whether the types of protocols for each service / company are the same type.

수신부(230)는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 중 발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0a)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receiver 230 is provided to receive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serving as an originating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프로토콜 변환부(240)는,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 간에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것인지 판단 여부에 따라, 수신된 음성신호의 프로토콜 변환 여부를 결정하고, 프로토콜 변환이 결정되면, 수신된 음성신호의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2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otocol conversion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rotocol is different between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and if the protocol conversion is determined And to convert the protocol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구체적으로, 수신부(230)는 제1 모바일 단말(100a)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성신호를 프로토콜 변환부(240)에 전달하고, 프로토콜 변환부(240)는,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경우, 수신된 음성신호의 제1 PTT 통신 프로토콜이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중 수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 모바일 단말(100b)에서 처리 가능한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receiver 230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the receiver 230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protocol converter 240, and the protocol converter 240 is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wo or more connected mobile terminals 1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second mobile terminal serving as a receiving terminal among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to which the first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connected. In step 100b, it may be converted into a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that can be processed.

반대로, 프로토콜 변환부(240)는,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같은 경우, 수신된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 과정 없이, 제2 모바일 단말(100b)에 전달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are the same, the protocol converter 240 does not convert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Can be passed to 100b.

또한, 프로토콜 변환부(240)는,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서로 다른 PTT 통신 프로토콜의 음성신호가 중복되어 수신되면, 수신된 각각의 음성신호 중 제1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바로 변환되도록 하되, 제2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변환하지 않은 상태로 임시 저장되도록 하고, 제1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이 완료되면, 임시 저장된 제2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oice signals of different PTT communication protocols are overlapped and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e protocol converter 240 may include a first voice signal among the received voice signals.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second voice signal is converted immediately, but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second voice signal is temporarily stored without being converted, and when the conversion of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voice signal is completed,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can be translated.

그리고 프로토콜 변환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특성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241)이 설치되고, 설치된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241)이 이용 가능한 전송 계층 프로토콜 DB(242)와 앱 서비스별 프로토콜 DB(243)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240 is provided with a protocol conversion program 241, in order to perform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 layer protocol DB 242 and the app service for each of the installed protocol conversion program 241 available Protocol DB 243 may be provided.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241)은,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100) 간에 프로토콜의 전송 계층 종류가 다른 것인지, 앱 서비스별 프로토콜의 종류가 다른 것인지 프로토콜 관리부(220)의 판별 결과에 따라, 전송 계층 프로토콜 DB(242)와 앱 서비스별 프로토콜 DB(243)에 저장된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 선택된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모바일 단말(100a)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의 제1 PTT 통신 프로토콜을 제2 모바일 단말(100b)이 처리 가능한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다. The protocol conversion program 241 may determine whether the type of the transport layer of the protocol is different or the type of the protocol for each of the app services is different between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ly, by sel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protocol stored in the transport layer protocol DB (242) and the application-specific protocol DB (243),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rotocol,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The first PTT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converted into a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that may be processed by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일 예를 들면,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241)은, A라는 특정 회사에서 제공하는 무전기 앱을 이용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0a)과 PTT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 앱을 이용하는 제2 모바일 단말(100b) 간에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tocol conversion program 24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using the radio app provided by a specific company called A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using the library app for PTT communication. You can make it possible.

그리고 프로토콜 변환부(240)는 프로토콜 관리부(220)가 특정 모바일 단말(100)의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경우, 저장된 프로토콜이 앱 서비스 프로토콜에 대한 것이라면, 이를 앱 서비스별 프로토콜 DB(243)에 추가할 수 있다. When the protocol manager 220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100, the protocol converter 240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243) can be added.

발신부(250)는 수신된 음성신호가 수신 단말의 역할을 하는 제2 모바일 단말(100b)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transmitter 250 is provided to transmit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serving as the receiving terminal.

즉, 발신부(250)는,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경우,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음성신호가 제2 모바일 단말(100b)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ransmitter 250 transmits the voice signal converted into the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Can be delivered to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은,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처리 단말로 구현되며, 본 PTT 통신 서버(200)가 제공하는 PTT 앱을 설치하고, 실행함으로써, PTT 통신 서버(200)가 제공하는 채널에 접속하여 PT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as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installs and executes a PTT app provided by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thereby executing PTT communication. PTT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accessing a channel provided by the server 200.

구체적으로 본 모바일 단말(100)은, PTT 앱이 실행되면, 디폴트 값에 의해, PTT 버튼으로 설정된 제1 아이콘(111)과 모바일 단말(100)에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에 따라, 특정 PTT 통신 채널에 바로 접속하기 위한 기능 키(Function Key) 버튼으로 설정된 제2 아이콘(112)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PTT app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default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icon 111 set as the PTT button and the access histor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e second icon 112 set as a function key button for directly accessing to the screen may be output on the screen.

즉, 본 실시예에 따른 PTT 앱이 실행된 모바일 단말(100)은 각각의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바로 접속 가능한 특정 PTT 통신 채널을 등록시킬 수 있으며, 바로 접속 가능한 특정 PTT 통신 채널이 등록되면, 화면에, 제2 아이콘(112)의 수가 기등록된 바로 접속 가능한 특정 PTT 통신 채널의 수만큼 출력될 수 있다.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on which the PTT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xecuted may register a directly accessible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corresponding to each second icon. On the screen, the number of second icons 112 may be output as many as the number of previously registered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s.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PTT 앱이 실행된 모바일 단말(100)은, PTT 앱이 실행되어, 화면에 출력되는 복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면, 더블 클릭된 아이콘이 PT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TT 가압 버튼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TT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xecuted, the mobile terminal 100 executes the PTT app and double-clicks any one icon among a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to perform the PTT communication. It can be set to the PTT pressing button to.

즉, 본 PTT 앱이 실행된 모바일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제1 아이콘(111)이 PTT 버튼으로 설정되지만,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제2 아이콘(112) 중 어느 하나의 제2 아이콘(112-1)을 더블 클릭하면, 더블 클릭된 제2 아이콘(112-1)이 PTT 가압 버튼으로 설정될 수 있다.That is, in the mobile terminal 100 on which the PTT app is executed, the first icon 111 is basically set as a PTT button, but to improve user convenience,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icons 112 may be used. When the second icon 112-1 is double-clicked, the double-clicked second icon 112-1 may be set as a PTT pressing button.

이때, 채널 관리부(210)는,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된 PTT 앱이 실행되고, 설정된 PTT 가압 버튼이 가압되면, 모바일 단말(100)이 특정 PTT 통신용 채널을 선택하지 않아도, PTT 가압 버튼이 가압된 모바일 단말(100)이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에 포함된 PTT 통신용 채널 중 가장 최근에 접속된 PTT 통신용 채널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10, when the PTT app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is executed, and the set PTT pressing button is pressed, even if the mobile terminal 100 does not select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pressing the PTT pressing button By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connected to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 that is most recently connected among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s included in the previously 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it may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첨언하면 본 PTT 앱이 실행된 모바일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아이콘뿐만 아니라, 통화 음성 또는 미디어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음량버튼을 연속적으로 터치하여 가압하면, 음량버튼 역시, PTT 가압 버튼으로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TT app is executed, as well as the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nd continuously pressing and pressing the volume button provided to control the volume of the call voice or media, the volume button, Can be used by setting the PTT press butt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방법(이하에서는 'PTT 통신 방법'으로 총칭하기로 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TT communication method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TT communication method')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방법은 TCP 전송 계층과 UDP 전송 계층 간의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PTT 앱 서비스별로 서로 다른 전용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PTT 앱 서비스별 프로토콜이 상호 호환되도록 하기 위해,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이 PTT 앱을 통해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하면(S510), PTT 통신 서버(200)가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520). In the PTT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ocol compatibility between the TCP transport layer and the UDP transport layer is improved, and even when using a different dedicated protocol for each PTT app service, the protocols for each PTT app service are mutually compatib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the PTT app (S510),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information o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from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It will be received (S520).

그리고 PTT 통신 서버(200)는 각각의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S530),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40).In addition,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may compare information about each PTT communication protocol (S530) and determine whether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540).

이때,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르면(S540-Yes), PTT 통신 서버(200)는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중 발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0a)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S550), 수신된 음성신호의 제1 PTT 통신 프로토콜이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중 수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 모바일 단말(100b)에서 처리 가능한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하고(S560), 변환된 음성신호를 제2 모바일 단말(100b)에 전달할 수 있다(S570).In this case,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540-Yes),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may serve as the originating terminal among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a.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S550), the second PTT that can be processed in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that the first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serves as a receiving terminal of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The conversion may be converted to a communication protocol (S560), and the converted voice signal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S570).

그리고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같으면(S540-No), PTT 통신 서버(200)가 제1 모바일 단말(100a)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프로토콜의 변환 과정 없이 제2 모바일 단말(100b)에 전달하여(S555), PT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f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100 are the same (S540-No),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200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and the second mobile without converting the protocol. By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100b (S555), PTT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이를 통해, TCP 전송 계층과 UDP 전송 계층 간의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PTT 앱 서비스별로 서로 다른 전용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PTT 앱 서비스별 프로토콜이 상호 호환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tocol compatibility between the TCP transport layer and the UDP transport layer may be improved, and even when different dedicated protocols are used for each PTT app service, the protocols for each PTT app service may be mutually compatib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모바일 단말
200 : PTT 통신 서버
210 : 채널 관리부
220 : 프로토콜 관리부
230 : 수신부
240 : 프로토콜 변환부
241 :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
242 : 전송 계층 프로토콜 DB
243 : 앱 서비스별 프로토콜 DB
250 : 발신부
100: mobile terminal
200: PTT communication server
210: channel management unit
220: protocol management unit
230: receiver
240: protocol conversion unit
241 protocol conversion program
242: transport layer protocol DB
243: protocol DB by app service
250: transmitter

Claims (7)

PT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TT 앱(App)이 설치되는 모바일 단말; 및
둘 이상의 상기 모바일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에 PTT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PTT 통신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PTT 통신 서버는,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르면,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발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의 제1 PTT 통신 프로토콜이 수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PTT 통신 서버는,
상기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용 채널을 제공하는 채널 관리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되면, 상기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각각의 PT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토콜 관리부;
상기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발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간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의 제1 PTT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수신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하는 프로토콜 변환부; 및
상기 제2 PTT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음성신호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전달되도록 하는 발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관리부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특정 PTT 통신용 채널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접속된 특정 PTT 통신용 채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접속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PTT 앱이 실행되면,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에 포함된 PTT 통신용 채널 중 어느 하나에 바로 접속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PTT 앱이 실행되면, 화면에 복수의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기본적으로 PTT 가압 버튼으로 설정되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다른 하나가 더블 클릭되면 상기 더블 클릭된 아이콘이 PT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TT 가압 버튼으로 변경되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시스템.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PTT app (App) is installed to perform PTT communication; And
And, when two or more of the mobile terminals are connected, a PTT communication server for performing PTT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a first mobile terminal serving as an originating terminal among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the first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received. It is converted to a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that can be processed in a second mobile terminal serving as a terminal,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e PTT communication server,
A channel manager providing a channel for PTT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TT communication channel, two or more mobiles connected to the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A protocol manag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wo or more connected mobile terminals are different when information on each PTT communication protocol is received from a terminal;
A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which serves as a calling terminal among the connected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When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the two or more connected mobile termina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processed by the seco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role of a receiving terminal among the connected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A protoco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o a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if possible; And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converted into the second PTT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e channel manager,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accesses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e access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connected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is generated to be stor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When the PTT app install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execu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viously 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exists. Make it immediately accessible,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PTT app is executed, a plurality of icons are output on the screen so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is basically set as a PTT pressing button. When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is double-clicked, the double-clicked icon is displayed.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d to the PTT pressing button for performing the PTT communication setting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특정 PTT 통신 채널에 접속된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서로 다른 PTT 통신 프로토콜의 음성신호가 중복되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각각의 음성신호 중 제1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바로 변환되도록 하되,
제2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변환하지 않은 상태로 임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제2 음성신호의 PTT 통신 프로토콜이 변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When the voice signals of different PTT communication protocols are duplicated and received from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voice signal of each of the received voice signals is directly converted,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second voice signal is temporarily stored in an unconverted state, and when the conversion of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voice signal is completed, the PTT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temporarily stored second voice signal is converted.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관리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PTT 앱이 실행되고, 상기 설정된 PTT 가압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특정 PTT 통신용 채널을 선택하지 않아도, 상기 PTT 가압 버튼이 가압된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저장된 접속 이력정보에 포함된 PTT 통신용 채널 중 가장 최근에 접속된 PTT 통신용 채널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호환성이 향상된 PTT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nnel manager,
When the PTT app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s executed and the set PTT pressing button is pressed, the mobile terminal pressurized with the PTT pressing button is added to the previously stored access history information even if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select a specific PTT communication channel.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onnected to the most recently connected PTT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included PTT communication channel.
삭제delete
KR1020180121446A 2018-10-12 2018-10-12 PTT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077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46A KR102077443B1 (en) 2018-10-12 2018-10-12 PTT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20550567A JP7010522B2 (en) 2018-10-12 2018-10-15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PTT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is
PCT/KR2018/012077 WO2020075894A1 (en) 2018-10-12 2018-10-15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ptt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46A KR102077443B1 (en) 2018-10-12 2018-10-12 PTT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443B1 true KR102077443B1 (en) 2020-02-13

Family

ID=6951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446A KR102077443B1 (en) 2018-10-12 2018-10-12 PTT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10522B2 (en)
KR (1) KR102077443B1 (en)
WO (1) WO202007589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2549A1 (en) * 2021-03-29 2022-09-29 Keenst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walkie-talkie communication crossing wireless frequency domains
CN113438565B (en) * 2021-06-25 2023-04-07 上海飞奥燃气设备有限公司 Gas meter handheld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93B1 (en) * 2009-08-31 2010-08-3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ilitary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014169B1 (en) 2008-08-13 2011-02-14 (주)사이버텔브릿지 Method for servicing Internet Protocol Push-To-Talk
KR20150069957A (en) * 2013-12-16 2015-06-24 전자부품연구원 Heterogeneous radio voice inter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663687B1 (en) * 2015-06-12 2016-10-07 주식회사 아이엠피티티 IP-PT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the multi-transport layer
KR20170050614A (en) * 2015-10-30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PTT channels simultaneous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1767A1 (en) * 2006-06-16 2007-12-20 Harri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protocol transformation gateway for quality of service
KR20150069956A (en) * 2013-12-16 2015-06-24 전자부품연구원 Situ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based radio
US9288035B2 (en) 2014-02-18 2016-03-15 Harri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mmunications transfer betwee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ervices and push to talk ser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169B1 (en) 2008-08-13 2011-02-14 (주)사이버텔브릿지 Method for servicing Internet Protocol Push-To-Talk
KR100979293B1 (en) * 2009-08-31 2010-08-3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ilitary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50069957A (en) * 2013-12-16 2015-06-24 전자부품연구원 Heterogeneous radio voice inter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663687B1 (en) * 2015-06-12 2016-10-07 주식회사 아이엠피티티 IP-PT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the multi-transport layer
KR20170050614A (en) * 2015-10-30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PTT channels simultaneous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5894A1 (en) 2020-04-16
JP7010522B2 (en) 2022-01-26
JP2021506200A (en)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7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st optimization of cellular networks indication
US9578585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US20220086019A1 (en)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sets of i/o devices
US20090216891A1 (en) Communication bandwidth control method for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a server and a user terminal used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and a program
KR20100057996A (en) Method for updating presence in mobile instant messeng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634878B2 (en) User application initiated telephony
KR102077443B1 (en) PTT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 compatib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10536251A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 for home network
EP2671366B1 (en) Determining a location address for shared data
US7929677B2 (en) Methods of emulating remote telephones at a client device using profiles of the remote telephones and related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JP4445302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service search method
US78402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ce indication of cellular telephones
CN110505070B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three-party session
KR1008341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winc service in wireless terminal
US20220303394A1 (en) Mapping of telecommunications soft client input to feature access codes of a telecommunications service
JP5339469B2 (en) Telephone number processing device
KR10137333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ssage sending method thereof
KR19980067068A (en) How to run internet phone using web
JP5569636B2 (en) Telephone number processing apparatus, telephone number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20040046289A (en) circuit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for short message service
WO201702923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ethod for start-up of monitoring of monitor objects in a computer-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environment
KR20020079033A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nnection system using abbreviation member
KR2006009474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log-on to push to talk
KR20090034455A (en) A radiotelegraph with function of simultaneous communication and th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