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299B1 - 분배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분배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299B1
KR102077299B1 KR1020180029695A KR20180029695A KR102077299B1 KR 102077299 B1 KR102077299 B1 KR 102077299B1 KR 1020180029695 A KR1020180029695 A KR 1020180029695A KR 20180029695 A KR20180029695 A KR 20180029695A KR 102077299 B1 KR102077299 B1 KR 10207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distributor
distributor housing
hopp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326A (ko
Inventor
한지석
이녕환
정교상
이정성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29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16K7/0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by means of a screw-spindle, cam, or other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 가동부를 통해 회전축 밸브를 가동시켜 상기 호퍼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상기 유동성 식품 첨가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함과 아울러 밸브 가동부를 가동 제어부를 통해 가동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유동성 식품 첨가물들을 설정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정량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고, 밸브 가동부를 통해 통해 상기 탄성 호포의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차단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 밸브와 동일 축 상에서 연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판를 추가 구비하여 분배기 배출구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역류하여 유입되는 증기 등에 의해 식품 첨가물 입자들이 변질되거나 식품 첨가물 입자들의 뭉침에 의해 분배기 배출구가 봉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분배 공급 장치{Distributing and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분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유동성 식품 첨가물을 설정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정량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분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분배 공급 장치는 식품이나 음료 등에 사용되는 입자, 분말, 과립 또는 액상 형태의 유동성 재료들을 설정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정량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들어 발효기, 음식물 자동 조리 장치 및 음료 자판기들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다양화되면서 이들 기기 내에 가루, 분말 및 액상 형태의 유동성 식품 첨가물들을 자동으로 분배 공급하기 위한 분배 공급 장치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분배 공급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발효기, 음식물 자동 조리 장치 및 음료 자판기들에 적용되어 설정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유동성 재료들을 자동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유동석 식품 첨가물들을 공급량을 조정하여 가감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분배 공급 장치들의 경우 가루, 분말 및 액상 형태의 식품 첨가물들에 대한 유동성 때문에 이들의 공급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웠고, 이들이 사용되는 발효기, 음식물 자동 조리 장치 및 음료 자판기 등에서 발생하는 유증키 또는 수증기 등이 출구쪽으로 유입되어 식품 첨가물 입자들의 뭉침에 의해 출구가 봉쇄되거나 변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9830호(공개일자 2017년04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3284호(등록일자 2016년11월01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성 식품 첨가물들을 설정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정량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분배기 배출구를 막아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역류하여 유입되는 증기 등에 의해 식품 첨가물 입자들이 변질되거나 식품 첨가물 입자들의 뭉침에 의해 분배기 배출구가 봉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배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배 공급 장치는, 내부를 관통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분배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분배기 하우징; 상기 분배기 하우징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분배 공급하기 위한 유동성 식품 첨가물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의 개방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향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하부 배출관부가 연장 형성되는 탄성 호퍼;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가 통과하도록 축 선상에 호퍼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축 밸브; 및 상기 회전축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호퍼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하부 배출관부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상기 유동성 식품 첨가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 가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 밸브는 상기 호퍼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일측에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 밸브의 가압 돌기에 대응되게 상기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 받쳐 지지하는 고정 받침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와 동일 축 상에서 연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은 하측 개방부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구 형성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형성판은 상기 출구 개폐판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분배기 배출구 상부면이 동일 회전 곡률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구 형성판 상측에 끼워져 체결 고정되는 내부 분배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분배기 하우징은 일측면에 상기 출구 개폐판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 및 상기 개폐판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개폐판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가동부는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며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레버;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된 원호형 랙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동 레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회동 레버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를 가동 제어하여 상기 회동 레버를 상기 원호형 랙 기어를 따라 각 회전시키는 레버 가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가동부를 가동 제어하는 가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제어부는 상기 회동 레버의 축 고정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접지 바; 및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접지 바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 레버의 회동 각도 범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탱크는 상측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저장 탱크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호퍼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분배 공급 장치는 밸브 가동부를 통해 회전축 밸브를 가동시켜 상기 호퍼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상기 유동성 식품 첨가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함과 아울러 밸브 가동부를 가동 제어부를 통해 가동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유동성 식품 첨가물들을 설정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정량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밸브 가동부를 통해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차단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 밸브와 동일 축 상에서 연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판를 추가 구비하여 분배기 배출구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역류하여 유입되는 증기 등에 의해 식품 첨가물 입자들이 변질되거나 식품 첨가물 입자들의 뭉침에 의해 분배기 배출구가 봉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배 공급 장치의 분해 사사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배 공급 장치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회전축 밸브, 출구 개폐판 및 밸브 가동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분배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분배 공급 장치의 가동 제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배 공급 장치의 분해 사사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배 공급 장치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 공급 장치(300)는 분배기 하우징(310), 저장 탱크(320), 탄성 호퍼(330), 회전축 밸브(340), 밸브 가동부(350), 출구 개폐판(360) 및 가동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분배기 하우징(310)은 분배 공급 장치(300)를 단위 모듈 형태로 이루며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발효기, 음식물 자동 조리 장치 또는 음료 자판기들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은 저장 탱크(320), 탄성 호퍼(330), 회전축 밸브(340) 및 밸브 가동부(350)가 내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유동성 식품 첨가물(5)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 배출구(317)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기 하우징(310)은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 및 배출구 형성판(3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은 발효기, 음식물 자동 조리 장치 또는 음료 자판기들에 단위 유닛 단위로 교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체결 구조를 갖는다.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은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내부에 저장 탱크(320), 탄성 호퍼(330), 회전축 밸브(340), 밸브 가동부(350) 및 출구 개폐판(36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다.
그리고, 배출구 형성판(316)은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과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 사이에 끼워져 체결 고정되며, 유동성 식품 첨가물(5)를 각 기기 내에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 배출구(317)를 제외한 분배기 하우징(310)의 개방 하부를 막아 폐쇄하도록 한다.
저장 탱크(320)는 상기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의 상측에 끼워져 체결되고, 상기 분배기 배출구(317)를 통해 분배 공급하기 위한 유동성 식품 첨가물을 담아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저장 탱크(320)는 상측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저장 탱크 덮개(325)가 구비된다.
탄성 호퍼(330)는 상기 저장 탱크(320)의 하부 개방측에 결합되고,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향해 하부 배출관부(331)가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 호퍼(330)는 적어도 하부 배출관부(331)가 회전축 밸브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저장된 가루, 분말 및 액상 형태의 유동성 식품 첨가물(5)가 공급되는 내부 관로의 내부 단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저장 탱크(320) 상부에 구비된 저장 탱크 덮개(325)를 열어 저장 탱크 내부에 유동식 식품 첨가물(5)를 채우고, 저장 탱크(320) 내부에 유동성 식품 첨가물(5)를 저장 탱크(320)의 하부에 연결되는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통해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로 배출되도록 한다.
회전축 밸브(340)는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과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을 수평 관통하며 분배기 하우징(310) 외부에서 결합되는 밸브 가동부(35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가 통과하도록 축 선상에 호퍼 관통공(34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 밸브(340)에는 상기 호퍼 관통공(341)이 형성된 하부 일측에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342)가 원형 단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 밸브(340)의 가압 돌기(342)에 대응되게 가압시 상기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받쳐 지지할 수 있게 고정 받침대(3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340)와 동일 축 상에서 연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폐하기 위한 출구 개폐판(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 형성판(316)은 상기 출구 개폐판(360)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분배기 배출구 상부면이 출구 개폐판(360)의 하부면과 동일 회전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출구 개폐판(360)에 의한 회전 동작에 의해 분배기 배출구(317)를 통해 장착 기기로부터 식품 조리시 유입될 수 있는 유증기나 수증기 등을 좀더 완전하게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의 일측면에는 상기 출구 개폐판(360)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폐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319) 및 상기 출구 개폐판(360)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개폐판 스톱퍼(3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밸브 가동부(350)는 상기 회전축 밸브(340)를 구동시켜 상기 호퍼 관통공(341)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331)의 내부 관로를 가압하며 탄성 변형시켜 이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유동성 식품 첨가물(5)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 밸브(340)와 연동하는 출구 개폐판(360)을 통해 상기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회전축 밸브, 출구 개폐판 및 밸브 가동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밸브 가동부(350)는 회동 레버(351), 피니언 기어(352) 및 레버 가동 모터(3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회동 레버(351)는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340)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며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352)는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일측에 구비된 원호형 랙 기어(312)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동 레버(35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설치된다.
그리고, 레버 가동 모터(353)는 상기 회동 레버(351)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352)를 가동 제어하여 상기 회동 레버(351)를 상기 원호형 랙 기어(312)의 원호 방향을 따라 각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가동 제어부(370)는 상기 밸브 가동부(350)의 레버 가동 모터(353)를 통해 회전축 밸브(340)를 가동 제어하여 상기 유동성 식품 첨가물(5)의 배출량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3의 분배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동 제어부(370)를 통해 레버 가동 모터(353)를 가동 제어시키게 되면, 레버 가동 모터(353)에 의해 피니언 기어(352)가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의 측벽면에 형성된 원호형 랙 기어(312)와 맞물려 구동하면서 회동 레버(351)를 원호형 랙 기어(312)의 원호를 따라 밀어 내리거나 밀어 올리도록 한다.
그 결과, 회동 레버(351)와 연동하는 회전축 밸브(340)가 회전하며 상기 호퍼 관통공(341)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41)를 개방하거나 비틀어 가압하며 폐쇄하도록 함과 아울러 출구 개폐판(360)을 통해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폐하도록 한다.
즉, 회전 레버(351)가 원호형 랙 기어(312)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와 연동하며 회전축 밸브(340)가 회전하여 상기 호퍼 관통공(341)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비틀어 가압하던 가압력을 해지하여 탄성 복원 되며 내부 관로를 개방되게 함과 아울러 출구 개폐판(360)에 의해 차폐되었던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방하도록 하다.
따라서, 저장 탱크(320) 내에 저장된 유동성 식품 첨가물(5)가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통과해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회전 레버(351)가 원호형 랙 기어(31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와 연동하며 회전축 밸브(340)가 회전하여 상기 호퍼 관통공(341)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331)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폐쇄시키도록 한다.
이때, 회전축 밸브(340)의 가압 돌기(342)에 의해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을 좀더 견고하게 눌러 가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 받침대(318)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가 절곡되며 내부 관로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동성 식품 첨가물이 이를 통해 배출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출구 개폐판(360)가 회전축 밸브(340)과 함께 연동하며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처럼, 밸브 가동부(350)를 통해 상기 탄성 호포(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331)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차단하도록 함과 아울러 출구 개폐판(360)을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미리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장착 기기로부터 식품 조리시 유입될 수 있는 유증기나 수증기 등을 분배기 배출구(317)를 통해 역류하여 저장된 식품 첨가물 입자들이 변질되거나 식품 첨가물 입자들의 뭉침에 의해 상기 탄성 호포(330)의 하부 배출관부(331) 또는 분배기 배출구(317)가 봉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분배 공급 장치의 가동 제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제어부(370)는 밸브 가동부(350)의 레버 가동 모터(353)를 가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 구성부(미도시) 이외에 회동 레버(351)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접지 바(371) 및 한 쌍의 위치 감지 센서(372, 373)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구성부(미도시)는 개별 제어를 위해 분배 공급 장치(300) 내에 별도로 회로 구성되거나 분배 공급 장치(300)가 사용되는 발효기, 음식물 자동 조리 장치 및 음료 자판기들의 메인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설정된 환경에 따라 따라 레버 가동 모터(353)를 가동 제어하여 유동성 식품 첨가물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접지 바(371)는 상기 회동 레버(351)의 축 고정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의 위치 감지 센서(372, 373)는 각각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일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접지 바(371)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레버(351)의 회전 각도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즉, 회전 레버(351)가 밀어 올려져 회전축 밸브(340)에 의해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막아 폐쇄함과 아울러 출구 개폐판(360)에 의해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가 닫힘 상태인 경우, 접지 바(371)가 하측 위치 감지 센서(373)에 접하여 전지 신호를 발생시켜 회로 구성부를 통해 레버 가동 모터(353)의 가동을 중지시켜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반대로, 회전 레버(351)가 원호형 랙 기어(312)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분배기 배출구(317)가 출구 개폐판(360)에 의해 개방됨과 아울러 회전축 밸브(340)에 의해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가 개방된 경우, 접지 바(371)가 상측 위치 감지 센서(372)에 접하여 전지 신호를 발생시켜 회로 구성부를 통해 레버 가동 모터(353)의 가동을 중지시켜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한 쌍의 위치 감지 센서(372, 373)들에 의해 상기 회전 레버(351)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레버(351)의 회전 각도의 변화를 통해 회전축 밸브(340)에 의한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의 개방 정도 및 출구 개폐판(360)을 통한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유동성 식품 첨가물의 투입량을 적절히 분배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300: 분배 공급 장치 310: 분배기 하우징
311: 외부 분배기 하우징 312: 원호형 랙 기어
314: 내부 분배기 하우징 315: 개폐판 스톱퍼
316: 배출구 형성판 317: 분배기 배출구
318: 고정 받침대 319: 가이드 슬롯
320: 저장 탱크 330: 탄성 호퍼
331: 하부 배출관부 340: 회전축 밸브
341: 호퍼 관통공 342: 가압 돌기
350: 밸브 가동부 351: 회동 레버
352: 피니언 기어 353: 레버 가동 모터
360: 출구 개폐판 370: 가동 제어부
371: 접지 바 372, 373: 위치 감지 센서

Claims (10)

  1. 내부를 관통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유동성 식품 첨가물을 배출하여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 개방부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구 형성판을 포함하는 분배기 하우징;
    상기 분배기 하우징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분배 공급하기 위한 유동성 식품 첨가물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의 개방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향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하부 배출관부가 연장 형성되는 탄성 호퍼;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가 통과하도록 축 선상에 호퍼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축 밸브;
    상기 회전축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호퍼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하부 배출관부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상기 유동성 식품 첨가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 가동부; 및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와 동일 축 상에서 연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형성판은, 상기 출구 개폐판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분배기 배출구 상부면이 상기 출구 개폐판의 하부면과 동일 회전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공급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는,
    상기 호퍼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일측에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가 연장 형성되는 분배 공급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 밸브의 가압 돌기에 대응되게 상기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 받쳐 지지하는 고정 받침대가 구비되는 분배 공급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구 형성판 상측에 끼워져 체결 고정되는 내부 분배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분배기 하우징은,
    일측면 상에 상기 출구 개폐판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 및
    상기 개폐판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잡아 고정하기 위한 개폐판 스톱퍼;가 구비되는 분배 공급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밸브 가동부는,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며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레버;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된 원호형 랙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동 레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회동 레버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를 가동 제어하여 상기 회동 레버를 상기 원호형 랙 기어를 따라 각 회전시키는 레버 가동 모터;를 포함하는 분배 공급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밸브 가동부를 가동 제어하는 가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제어부는,
    상기 회동 레버의 축 고정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접지 바; 및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접지 바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 레버의 회동 각도 범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분배 공급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저장 탱크는 상측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저장 탱크 덮개를 더 포함하는 분배 공급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탄성 호퍼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분배 공급 장치
KR1020180029695A 2018-03-14 2018-03-14 분배 공급 장치 KR102077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95A KR102077299B1 (ko) 2018-03-14 2018-03-14 분배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95A KR102077299B1 (ko) 2018-03-14 2018-03-14 분배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326A KR20190108326A (ko) 2019-09-24
KR102077299B1 true KR102077299B1 (ko) 2020-04-07

Family

ID=6806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695A KR102077299B1 (ko) 2018-03-14 2018-03-14 분배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2548A (zh) * 2017-03-24 2018-10-09 山东园元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笔式给药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5640A1 (en) 1992-02-12 1993-08-19 Royden Lewis Baxter Beverage preparing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7436A (en) * 1982-02-25 1983-10-04 Broadfoot John T Metering and/or feeding device for materials
JPH09238660A (ja) * 1996-03-08 1997-09-16 Fuji Electric Co Ltd 調理材料供給装置
KR100716294B1 (ko) 2005-10-10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ITFI20070188A1 (it) * 2007-08-10 2009-02-11 Saeco Ipr Ltd "grupp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gruppo di infusione"
KR101673284B1 (ko) 2014-09-24 2016-11-07 유경민 정량분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5640A1 (en) 1992-02-12 1993-08-19 Royden Lewis Baxter Beverage preparing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326A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9155B1 (en) Dispensing device for loose product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nd machine containing said dispensing device
US8225960B2 (en) Ice dispense system and method
US20020083543A1 (en) Drinks machine
JP5709892B2 (ja) 粉末分配用容器
US7793669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washing or rinsing agent
KR102077299B1 (ko) 분배 공급 장치
EP3248521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ground coffee coming out from a coffee grinder
KR20180131451A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를 위한 도징 장치 및 이 장치로 구현된 도징 방법
US20040159683A1 (en) Automatic dosing device with a dosing screw and the use of such an automatic dosing device
EP1245013B1 (en) Device for distributing liquid to a number of consumers, and drinks machine provided with a device of this type
EP1499772B1 (en) Automatic dosing device and the use of such an automatic dosing device
US479637A (en) Fertilizer-distributer
US20190032992A1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dispensing assembly
EP0520956B1 (en) Improvements in and/or related to a cleansing drawer assembly for linen washing machines
JP5765929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DE102018131721A1 (de) Zugabevorrichtung für pulver- oder granulatförmige Zutaten und Getränkebereiter
SG179363A1 (en) Dispenser producing beverages from powder
US3468457A (en) Dispenser for fertilizer
US5826622A (en) Liquid flow path selection device
US1294596A (en) Powder-container.
KR20090131319A (ko) 자동 정량 공급 장치
KR20210025648A (ko) 음료 공급 장치
IE20160265A1 (en) A dispenser
KR200274309Y1 (ko) 쌀 정량토출장치
KR200257789Y1 (ko) 자동판매기용 디스펜서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