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303B1 - Measured water purging and stabilization vessel - Google Patents

Measured water purging and stabilization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303B1
KR102075303B1 KR1020190087683A KR20190087683A KR102075303B1 KR 102075303 B1 KR102075303 B1 KR 102075303B1 KR 1020190087683 A KR1020190087683 A KR 1020190087683A KR 20190087683 A KR20190087683 A KR 20190087683A KR 102075303 B1 KR102075303 B1 KR 10207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inlet
measure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지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환경수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환경수도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환경수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8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3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3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ntainer for verifying whether water to be measured is stabilized. The container for verifying whether the water to be measured is stabilized comprises an inlet located at a bottom of the container; an outle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a first partition wall facing the inlet in the container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gap, sta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to form a flow path; and an input port of a sensor formed in the container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kage of water through the input por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MEASURED WATER PURGING AND STABILIZATION VESSEL}{MEASURED WATER PURGING AND STABILIZATION VESSEL}

본 발명은 피측정수 채취 시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측정수, 예를 들어, 지하수의 수질검사를 위한 안정화된 피측정수를 수질검사의 시료로서 채취하기 위해 피측정수를 채취 시 안정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confirming stabilization at the time of sampled water coll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collect stabilized measured water for water quality test, for example, groundwater, as a sample of water quality test. It relates to a container for checking stabilization when collecting measurement water.

국내의 먹는물 관리법과 수도법에 따른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각 시, 군, 구에서는 주기적인 수질검사를 실시하게 된다.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n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and insp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Drinking Water Management Act and the Water Act in Korea, each city, county, and ward have periodic water tests.

일 예로, 수질검사의 대상으로서 지하수가 있다. 지하수 수질시료의 채취는 통상적으로 관정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지하수의 오염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관정 부피의 최소 3배 이상 양수(퍼징, Purging)한 후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수질시료 채취를 위한 퍼징은 저속으로 이루어 지는데 이는 퍼징의 영향으로 지하수의 (오염)성상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For example, groundwater is an object of the water quality test. Groundwater quality samples are usually collected to purify and purify at least three times the volume of the wells. Therefore, samples are collected after purging. Purging for collecting water samples is done at low speed to prevent the (pollution) properties of groundwater from changing due to purging.

양수되는 피측정수의 현장수질 분석항목(예를 들어, 온도, pH, 전도도(EC),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을 측정하여 수질분석 인자의 변화율이 약 10% 이내로 안정화될 때까지 퍼징 후 시료를 채취하며, 채취된 시료를 수질분석 시험실로 이송한다.In-situ water quality analysis items (e.g., temperature, pH, conductivity (EC), dissolved oxygen (DO), redox potential (ORP)) of the measured water to be pumped are measured so that the rate of chang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factor is within about 10%. The sample is collected after purging until it is stabilized, and the sample is transferred to a water analysis laboratory.

이러한 지하수의 수질검사를 위한 퍼징 과정에서,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 등의 침전물, 기름 성분 등의 부유물이 분석 대상 시료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퍼징을 위한 용기를 마련하고, 양수되는 지하수를 용기 내부로 공급하고 용기 내부의 지하수를 배출하며, 용기의 내부로 수질 분석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투입하여 피측정수의 안정화가 확인될 때까지 피측정수의 유입 및 배출과정을 통해 지하수의 퍼징을 실시하고 있다. In the purging process for water quality inspection of the groundwater, a container for purging is provided to prevent the sediment such as sand and groundwater such as oil contained in the groundwater from being included in the sample to be analyzed. To the ground and discharge the groundwater inside the vessel, and input the sensor to measure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s into the vessel, and purge the groundwater through th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measured water until stabilization of the measured water is confirmed. We carry out.

이러한 퍼징 과정에서 피측정수를 펌핑하는 펌프의 펌핑 압력에 의한 펄스가 용기의 내부로 작용하며, 용기의 내부로 작용하는 펄스에 의해 센서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진동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센서를 통한 용기 내의 피측정수의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과정이 불안정해지며,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값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this purging process, a pulse due to the pumping pressure of the pump for pumping the water to be measured acts inside the container, and a shock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sensor by the pulse acting inside the container. The measurement process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water to be measured in the container becomes unstab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is inferior.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측정수의 채취시 안정화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값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o stabilize the water to be measur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measured through the sensor can be improved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stability of the water to be collected.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용기의 상부에 위치한 유입구; 상기 용기의 상기 유입구의 반대 측면에 위치한 배출구; 상기 용기 내에서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면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지고 상기 용기의 천장면과는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상기 용기에 형성된 센서의 투입구를 포함한다.Checking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includes an inlet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An outlet loca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A first partition wall facing the inl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tanding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spaced apart from a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to form a flow path; And an inlet of a sensor formed in the container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outl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상기 용기의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면과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격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partition and the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ition extending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to the bottom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flow pat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격벽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천장면과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3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상기 용기의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면과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4 격벽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의 측면에서 상기 천장면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의 투입구는 상기 천장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third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o the ceiling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discharge port to form a flow path; And a fourth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to the bottom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flow path between the third partition wall and the discharge port. Located below the ceiling surface, the inlet of the sensor may be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피측정수의 pH, 온도, ORP 및 전기전도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any one or more of pH, temperature, ORP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water to be measur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피측정수는 지하수이고, 상기 지하수는 펌프를 통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to be measured flowing into the inlet is groundwater, and the ground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through a pump.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구에 장착된 3채널 스위치 밸브로서, 상기 3채널 스위치 밸브는 하나의 유입채널과 둘의 배출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채널의 개폐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3채널 스위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채널을 통해 상기 피측정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출채널 중 하나의 제1 배출채널은 상기 유입구와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출채널 중 다른 하나의 제2 배출채널은 별도의 수거 용기와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편차가 미리 정한 값 내에 도달될 때 상기 3채널 스위치 밸브를 제어하여 폐쇄된 제2 배출채널을 개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mounted to the inlet,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comprises a three-channel switch valve comprising one inlet channel and two discharge channels, configured to switc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channel And the water to be measured flows through the inflow channel, and a first discharge channel of one of the discharge channels is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nd a second discharge channel of the other of the discharge channels is separately provided. A second discharge channel clos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 collection vessel of the second channel, measuring a real-time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and controlling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when the measured deviation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Can be open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에 장착된 3채널 스위치 밸브로서, 상기 3채널 스위치 밸브는 하나의 유입채널과 둘의 배출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채널의 개폐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3채널 스위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채널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용기 내부의 피측정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출채널 중 하나의 제1 배출채널은 상기 유입채널로 유입되는 피측정수가 배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배출채널 중 다른 하나의 제2 배출채널은 별도의 수거 용기와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편차가 미리 정한 값 내에 도달될 때 상기 3채널 스위치 밸브를 제어하여 폐쇄된 제2 배출채널을 개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mounted to the outlet,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comprises a three-channel switch valve comprising one inlet channel and two outlet channels, configured to switc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let channel And the inflow channel is connected to the outlet to allow the water to be measured to flow into the container, and the first discharge channel of the discharge channel is opened to discharge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flow channel. The other second outlet channel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 separate collection vessel, which measures the real time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and when the measured deviation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e three channel switch valve It can be controlled to open the closed second discharge chann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의 단면은 상기 유입구 측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점차 줄어드는 형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ainer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본 발명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에 의하면, 펌프의 압력에 따라 용기 내부로 작용하는 펄스에 의한 센서의 진동 및 충격을 방지하여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값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measured through the sensor is prevented by preventing the vibration and shock of the sensor due to the pulse acting inside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pump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roved.

또한, 용기에서 센서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통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inlet through which the sensor is put in the container.

또한, 센서의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 측정을 통해 확인되는 피측정수의 안정화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number of water to be confirmed through the real-time deviation measurement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sensor.

또한, 용기 내에서 측정되는 피측정수의 안정화가 확인되면 용기 내에서 침전 및 부유된 이물질이 안정화가 확인된 피측정수와 함께 수거되는 우려 없이 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안정화가 확인된 피측정수를 수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stabilization of the measured water measured in the container is confirmed, the measured water whose stabiliz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outlet of the container may be collected without fear of sedimentation and suspended matters collected in the container along with the measured water that has been stabiliz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collect.

또한, 피측정수의 유입, 안정화 여부 확인 및 안정화가 확인된 피측정수의 수거 과정의 끊김 없이 연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측정수의 안정화 여부의 확인 및 안정화가 확인된 피측정수의 채취가 신속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flow, stabilization of the water to be measured and stabilization can be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of the collection process of the water to be checked, and accordingly, the collection of the water to be checked and stabilized is confi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as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를 횡방향으로 자른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a plane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to determine whether to stabilize the water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유입구(110), 배출구(120), 제1 격벽(131) 및 투입구(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ainer for checking whether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110, an outlet 120, a first partition 131, and an inlet 140.

유입구(110)는 용기(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피측정수가 유입되는 배관이다. 상기 배관은 용기(1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삽입되며, 배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깊이는 용기(100)의 중간의 높이 이하로 삽입될 수 있다.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피측정수는 지하수일 수 있다. 상기 지하수는 펌프(10)의 펌핑에 의해 공급된다. 유입구(110)는 피측정수를 공급하는 수단과 연결된다. 일 예로, 피측정수를 공급하는 수단은, 펌프(10), 피측정수가 저장된 공간, 즉 관측정 또는 관측정 주변으로부터 펌프(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양수관(20), 및 일단이 상기 유입구(11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펌프(1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호스(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let 110 is located above the container 100 and is a pipe into which the water to be measured is introduced. The pipe is inserted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he depth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pipe is inserted may be inserted below the height of the middle of the container 100. The water to be measured flowing through the inlet 110 may be groundwater. The ground water is supplied by the pumping of the pump 10. Inlet 110 is connected to a means for supplying the water to be measured. For example, the means for supplying the water to be measured includes a pump 10, a pumping pipe 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ump 10 from a space in which the water to be measured is stored, that is, the observation well or the vicinity of the observation well, and one end of the inlet ( The hose 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ump 10.

배출구(120)는 용기(100)의 유입구(110)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여 용기(100)로 유입된 피측정수가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outlet 120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110 of the container 100 to allow the water to be measured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0.

제1 격벽(131)은 용기(100) 내에서 유입구(110)와 마주하면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다. 이때, 제1 격벽(131)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지고 용기(100)의 천정면과는 이격되어 피측정수가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유로(1311)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유로(1311)는 제1 격벽(131)이 유입구(110)와 마주하여 있으므로 유입구(110)로부터 제1 격벽(131)의 상단부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rst partition 131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facing the inlet 110 in the container 100. In this case, the first partition wall 131 is erect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o form a first flow path 1311 through which the water to be measured moves toward the outlet 120. The first flow path 1311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131 from the inlet 110 because the first partition 131 is facing the inlet 110.

이러한 제1 격벽(131)은 유입구(110)와 마주하여 있으므로 유입구(110)로 피측정수가 펌프(10)에 의해 펌핑되어 유입될 때 유입구(110) 측에서 용기(100) 내로 작용하는 펌프(10)의 펄스(Pulse)를 차단하며, 피측정수에 포함된 침전물질이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Since the first partition 131 faces the inlet 110, a pump acting into the container 100 at the inlet 110 when the water to be measured is pumped into the inlet 110 by the pump 10 ( Block the pulse of 10), and blocks the sediment contained in the water to be measured to move toward the outlet (120).

투입구(140)는 센서(40)의 센싱부를 용기(100) 내로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투입구(140)는 용기(100)에 형성되되 제1 격벽(131)과 배출구(120) 사이에서 용기(100)의 상면에 형성된다.The inlet 140 is a hole for inserting the sensing unit of the sensor 40 into the container 100. The inlet 140 is formed in the container 100, bu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between the first partition 131 and the outlet 120.

상기 센서(40)는 피측정수의 pH, 온도, ORP 및 전기전도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질 분석항목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센서(40)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분석항목을 측정하는 센싱부가 통합된 형태의 센서일 수 있다.The sensor 40 measures in real time any one or more water quality analysis items among pH, temperature, ORP,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water to be measured. The shape of the sensor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sensor in which a sensing unit for measuring each analysis item is integra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제2 격벽(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ainer for checking whether the water to be measured is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ition wall 132.

제2 격벽(132)은 제1 격벽(131)과 배출구(120) 사이에 배치되고, 용기(100)의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으로 연장되고,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단부는 바닥면과 이격되어 제2 유로(1321)를 형성한다. The second partition wall 13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131 and the outlet 120, and extends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end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The second flow path 1321 is formed.

이러한 제2 격벽(132)은 용기(100) 내에서 추가로 유로를 형성하여, 피측정수가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길어지도록 하며, 용기(100) 내로 유입되는 피측정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The second partition wall 132 further forms a flow path in the container 100 so that a path through which the water to be measure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20 is long, and is included in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0. The suspended material is block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12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제3 격벽(133) 및 제4 격벽(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ainer for checking whether the water to be measured is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artition 133 and a fourth partition 134.

제3 격벽(133)은 제2 격벽(132)과 배출구(120) 사이에 용기(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천장면으로 연장되고, 천장면을 향해 연장되는 단부는 천장면과 이격되어 제3 유로(1331)를 형성한다.The third partition wall 133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o the ceiling surface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wall 132 and the discharge port 120, and an end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ceiling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to separate the third flow path. 1133 is formed.

제4 격벽(134)은 제3 격벽(133)과 배출구(120) 사이에 용기(100)의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으로 연장되고,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단부는 바닥면과 이격되어 제4 유로(1341)를 형성한다.The fourth partition 134 extends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o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third partition wall 133 and the outlet 120, and an end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ourth flow path. 1134 is formed.

이러한 제3 격벽(133) 및 제4 격벽(134)은 용기(100) 내에서 추가로 유로를 형성하여, 피측정수가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더욱 길어지도록 한다.The third and fourth partitions 133 and 134 further form a flow path within the container 100, so that the path for the water to be measured to move toward the outlet 120 is long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제1 내지 제4 격벽(134)을 포함하는 구성에서, 배출구(120)는 제4 격벽(134)의 높이 이내, 즉 배출구(120)는 용기(100)의 측면에서 천장면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투입구(140)는 제4 격벽(134)과 배출구(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용기(100)의 천장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4 격벽(134)과 배출구(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4 유로(1341) 내로 유입되는 피측정수는 배출구(120)의 높이에서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므로 배출구(120) 이상의 높이로 채워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배출구(120) 및 용기(100)의 천장면 사이에는 피측정수가 채워지지 않는 스페이스(150)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스(150)의 위로 투입구(140)가 위치하며, 이에 따라, 투입구(140)에 피측정수가 접촉할 우려가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to fourth partition 134, the outlet 120 is within the height of the fourth partition 134, that is, the outlet 120 is located below the ceiling surface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100. In addition, the inlet 140 is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o be disposed between the fourth partition 134 and the outlet 120. In this structure, the water to be measured introduced into the fourth flow path 1341 formed between the fourth partition 134 and the outlet 12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at the height of the outlet 120 so that the outlet 120 Not filled to a h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and thus, a space 150 is not formed between the outlet 120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he inlet 140 is positioned above the space 150, so that the water to be measured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let 140.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를 이용한 피측정수의 채취 시 안정화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피측정수는 지하수일 수 있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stabilization is performed when collecting the water to be measured using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water to be measured may be groundwater.

지하수는 용기(100)의 유입구(110)로 공급된다. 이때, 지하수는 관측정으로부터 펌프(10)에 의해 펌핑되어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며, 지하수가 유입될 때 펌프(10)의 펄스가 용기(100) 내부로 작용한다.Groundwater is supplied to the inlet 110 of the vessel 100. At this time, the groundwater is pumped by the pump 10 from the observation well and flows in through the inlet 110, and when the groundwater is introduced, a pulse of the pump 10 acts inside the container 100.

지하수가 유입구(110)를 통해 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면, 지하수는 제1 격벽(131)에 의한 제1 유로(1311)를 따라 제1 격벽(131)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2 격벽(132)에 의한 제2 유로(1321)로 진입한다. 이때, 용기(100) 내부로 작용하는 펄스는 제1 격벽(131)에 의해 유입구(110)의 반대측, 즉 제2 격벽(132)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지하수에 포함된 침전물질은 유입구(110)와 제1 격벽(131)의 사이에서 용기(100)의 바닥면에 침전되고, 부유물질은 수면에 부유된다.When the ground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0 through the inlet 110, the groundwater moves along the first flow path 1311 by the first partition 131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partition 131, and then It enters into the 2nd flow path 1321 by the 2nd partition 132. At this time, the pulse acting inside the container 100 is blocked by the first partition 131 acting i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110,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artition 132. In addition, sediment contained in the groundwater is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between the inlet 110 and the first partition 131, the suspended matter is suspended in the water surface.

이어서, 제2 유로(1321)로 진입한 지하수는 제2 격벽(13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제3 격벽(133)에 의한 제3 유로(1331)로 진입한다. 이때, 지하수의 수면에 부유된 부유물질은 제2 격벽(132)에 의해 제3 격벽(133)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된다.Subsequently, the groundwater entering the second flow path 1321 mov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32, and then enters the third flow path 1331 by the third partition wall 133. At this time, the floating material suspended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water is blocked by the second partition 132,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partition 133.

이어서, 제3 유로(1331)로 진입한 지하수는 제3 격벽(133)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제4 격벽(134)에 의한 제4 유로(1341)로 진입한다.Subsequently, the groundwater entering the third flow path 1331 mov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hird partition wall 133, and then enters the fourth flow path 1341 by the fourth partition wall 134.

이어서, 제4 유로(1341)로 진입한 지하수는 제4 격벽(134)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120)를 통해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지하수는 배출구(120)와 용기(100)의 천장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150)에 의해 용기(100)의 천정면에 형성된 투입구(140)에 접촉하는 것 없이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투입구(140)를 통한 누수 우려가 없게 된다.Subsequently, the groundwater entering the fourth flow path 1341 mov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ourth partition wall 134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In this case, the ground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without contacting the inlet 140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by a space 150 formed between the outlet 120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Discharg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eakage through the inlet 140.

이러한 퍼징 과정에서 센서(40)는 용기(100) 내의 지하수의 pH, 온도, ORP 및 전기전도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질 분석항목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In this purging process, the sensor 40 measures in real time any one or more items of water quality analysis items such as pH, temperature, ORP,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groundwater in the container 100.

센서(40)를 통해 측정되는 시간별 지하수의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값의 편차가 미리 정한 값 내에 도달하면 지하수의 수질 분석항목이 안정화된 것으로 인지되며, 이 시점에서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지하수의 수거를 시작하여, 미리 정한 용량, 예를 들면, 10~20L의 안정화된 지하수를 시료로서 채취하고, 채취된 시료를 수질분석 연구실로 이송한다.When the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groundwater measured by the sensor 40 by time reaches withi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recognized that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ground water is stabilized, and the ground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at this point. The collection is then started, and a predetermined volume, for example 10-20 L of stabilized groundwater, is taken as a sample and the sample is taken to a water quality analysis laboratory.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피측정수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용기(100) 내에서 피측정수가 유입 후 배출되기까지의 경로가 길게 형성된다. 즉, 제1 내지 제4 격벽(134)에 의해 용기(100) 내에 제1 내지 제4 유로(1311, 1321, 1331, 1341)가 형성되므로 용기(100) 내에서 피측정수의 이동 경로가 길어진다.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measured is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 path from the water to the water to be discharged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0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water to be measured. That is, since the first to fourth flow paths 1311, 1321, 1331, and 1341 are formed in the container 100 by the first to fourth partition walls 134, the movement path of the water to be measured in the container 100 is long. Lose.

뿐만 아니라, 제1 격벽(131)은 피측정수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용기(100) 내에 작용하는 펌프의 펌핑 압력에 의한 펄스를 차단하고 유입되는 피측정수에 포함된 침전물의 이동을 차단하며, 제2 격벽(132)은 용기(100) 내에 유입되는 피측정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의 이동을 차단하며, 제4 격벽(134)은 용기(100)의 천장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배출구(120)는 제4 격벽(134)과 마주하는 용기(100)의 측면에서 천장면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배출구(120)와 용기(100)의 천장면의 사이에 스페이스(150)가 형성되고, 그 스페이스(150)에 의해 용기(100)의 천장면에 형성되어 스페이스(150) 위로 위치하는 투입구(140)로 피측정수가 범람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partition 131 blocks a pulse caused by the pumping pressure of the pump acting in the container 100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water to be measured and blocks the movement of the sediment contained in the water to be measured, The second partition wall 132 blocks the movement of the suspended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to be measured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0, the fourth partition wall 134 extends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outlet 120 is Since it is located below the ceiling surface at the side of the container 100 facing the fourth partition 134, a space 150 is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120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he space 150 It is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by) and the water to be measured does not overflow into the inlet 140 located above the space 150.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의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to confirm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피측정수를 공급하는 펌프(10)의 압력에 따른 펄스가 용기 내에서 센서(40)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차단되므로 센서(40)의 진동 및 충격을 방지하여 센서(40)를 통해 측정되는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값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First, since the pulse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pump 10 for supplying the water to be measured is blocked from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nsor 40 in the container, the vibration is prevented and the shock of the sensor 40 is measured through the sensor 40.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can be improved.

둘째, 센서(40)의 투입구(140)는 용기(100)의 천장면에 형성되고, 배출구(120)는 용기(100)의 천장면 아래에 위치하고, 제4 격벽(134)은 배출구(120)와 마주하여 제4 격벽(134)에 의한 제4 유로(1341)를 통해서만 배출구(120) 방향으로 피측정수가 유입되므로 투입구(140) 아래에 스페이스(150)가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센서(40)가 투입되는 투입구(120)를 통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 inlet 140 of the sensor 40 is formed i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he outlet 120 is located below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the fourth partition 134 is the outlet 120 The sensor 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ace 150 is formed under the inlet 140 because the water to be measured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120 only through the fourth flow path 1341 by the fourth partition 134.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inlet 120 is injected.

셋째, 피측정수가 용기(100) 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피측정수에 포함된 침전물 및 부유물질이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유입구(110) 측에서 차단되므로 배출구(120) 측에 구비되는 센서(40)가 피측정수의 수질 분석항목을 측정할 때 시간에 따른 피측정수의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값의 편차가 크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40)의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 측정을 통해 확인되는 피측정수의 안정화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since the sediment and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to be measured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120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container 100 is blocked at the inlet 110, the outlet 120 is provided. When the sensor 40 measures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water to be measured, the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water to be measured may not be large according to time, and accordingly, the measurement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sensor 40 is measur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check whether or not the measured number to be stabilized is confirmed by measuring the deviation of the value in real time.

넷째, 제1 격벽(131) 및 제2 격벽(132)에 의해 피측정수가 용기(100) 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침전 및 부유되는 이물질이 배출구(120)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므로 용기(100) 내에서 측정되는 피측정수의 안정화가 확인되면 용기(100) 내에서 침전 및 부유된 이물질이 안정화된 피측정수와 함께 수거되는 우려 없이 용기(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안정화가 확인된 피측정수를 수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Fourth, since the foreign matter precipitated and suspended in the process of flowing the water to be measured into the container 100 by the first partition 131 and the second partition 132 is block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120, the container 100. When the stabilization of the water to be measured is confirmed in the stabilization through the outlet 120 of the container 100 without fear that the foreign matter precipitated and suspended in the container 100 is collected with the stabilized water to be measur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easured number can be collected.

다섯째, 피측정수가 유입되어 용기(100) 내에서 안정화가 확인되면 피측정수가 저장된 공간 내에 피측정수도 안정화가 되는 것이어서, 피측정수의 안정화가 확인된 이후 피측정수는 용기(100)의 유입구(110) 측, 즉 유입구(110)로 유입되기 전의 피측정수를 수거할 수도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100)의 배출구(120) 측에서도 안정화가 확인된 피측정수의 수거가 가능하므로 용기(100)를 통해 피측정수의 유입 및 안정화 확인에 이어서 용기(100) 내부로부터 안정화가 확인된 피측정수의 수거까지 가능하므로 피측정수의 유입, 안정화 여부 확인 및 안정화가 확인된 피측정수의 수거 과정의 끊김 없이 연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측정수의 안정화 여부의 확인 및 안정화가 확인된 피측정수의 채취가 신속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fth, when the water to be measured is stabilized in the container 100, the water to be measured is also stabilized in the space where the water to be stored is stored. Aft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is confirmed, the water to be measured is the inlet of the container 100. Although the water to be measured before the inflow to the (110) side, that is, the inlet 110 may be col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can be collected from the outlet 120 of the container 100, so that the stabilized water can be collected. After the inflow and stabilization of the water to be measured through the 100 and the collection of the measured water to be stabilized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0,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water to be measured, the stability of the water and the stability of the water to be stabilized. It can be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of the collection process of,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stabilization of the water to be measured and the collection of the water to be stabilized is confir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ainer to confirm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유입구(110)에 연결되는 3채널 스위치 밸브(210) 및 3채널 스위치 밸브(21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3채널 스위치 밸브(210) 및 콘트롤러(22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2, the controller 220 for controlling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210 and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210 is connected to the inlet 110 is confirmed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including a), since the same as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ilize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210 and the controller 220.

3채널 스위치 밸브(210)는 유입채널(211), 제1 배출채널(212) 및 제2 배출채널(213)을 포함하며, 전자식 밸브로 이루어진다.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210 includes an inflow channel 211, a first discharge channel 212 and a second discharge channel 213, and consists of an electronic valve.

유입채널(211)은 피측정수를 공급하는 수단과 연결된다. 일 예로, 유입채널(211)은 펌프(10)에 의해 펌핑되는 피측정수를 배출하는 시료배출관(30)에 연결될 수 있다.The inflow channel 211 is connected with a means for supplying the water to be measured. For example, the inflow channel 211 may be connected to the sample discharge pipe 30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be measured pumped by the pump 10.

제1 배출채널(212)은 용기(100)의 유입구(110)와 유체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입채널(211)로부터 유입되는 피측정수를 유입구(110)를 통해 용기(100)의 내부로 공급한다.The first discharge channel 212 is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10 of the container 100 to supply the water to be measured introduced from the inlet channel 211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0 through the inlet 110. do.

제2 배출채널(213)은 별도의 수거 용기(미도시)와 유체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배출채널(213)은 피측정수의 퍼징 과정에서 폐쇄될 수 있고, 피측정수가 안정화된 이후 개방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channel 213 is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213 may be closed during the purging of the water to be measured, and may be opened after the water to be measured has stabilized.

콘트롤러(220)는 3채널 스위치 밸브(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배출채널(212) 및 제2 배출채널(213)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콘트롤러(220)는 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40)의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편차가 미리 정한 값 내에 도달될 때 제2 배출채널(213)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콘트롤러(220)는 용기(1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ree channel switch valve 21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discharge channel 212 and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213.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40 to measure the real-time deviation of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sensor 40, and when the measured deviation reaches within a predetermined value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 213 may be configured to open. For example, the controller 22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피측정수의 퍼징 과정에서 용기(100) 내로 유입된 피측정수의 수질 분석항목을 측정하는 센서(40)의 측정 값이 콘트롤러(220)로 입력되고, 콘트롤러(220)는 실시간 입력되는 센서(40)의 수질 분석항목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를 측정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or not to stabilize the water to be measured is a controller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40 for measuring a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water to be measured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0 during the purging of the water to be measured. The controller 220 measures the real time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item of the sensor 40 which is input to the sensor 220.

이때, 3채널 스위치 밸브(210)의 제1 배출채널(212)은 개방되어 유입채널(211)로 유입되는 피측정수를 용기(100)의 유입구(110)로 배출되도록 하여 용기(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피측정수가 용기(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discharge channel 212 of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210 is opened to discharge the water to be measured flowing into the inlet channel 211 to the inlet 110 of the container 100 of the container 100. The water to be measured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0 through the inlet 110.

이 과정에서 콘트롤러(220)는 측정된 편차가 미리 정한 값 내에 도달되면, 3채널 스위치 밸브(210)의 제2 배출채널(213)을 개방시킨다. 제2 배출채널(213)이 개방됨에 따라 유입채널(211)로 유입되는 피측정수의 일부는 제2 배출채널(213)을 통해 수거 용기(100)로 배출되어 수거 용기(100)에 안정화된 피측정수가 채워진다.In this process, if the measured deviation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220 opens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213 of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210. As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213 is opened, a part of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flow channel 211 is discharged to the collection container 100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213 and stabiliz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100. The measurand is filled.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피측정수의 안정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안정화된 피측정수를 수거할 필요 없이 피측정수의 퍼징 과정에서 피측정수가 안정화되는 즉시 안정화된 피측정수를 수거할 수 있으므로 피측정수의 퍼징 및 안정화 과정과 안정화된 피측정수의 수거 과정이 자동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stabilization of the measured water is visually confirmed after the stabilization of the measured water without stabilizing the measured water without collecting the stabilized measured water. Since the stabilized measured water can be collected immediately, the purging and stabilizing process of the measured water and the collecting process of the stabilized measured water can be automa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를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ainer to confirm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배출구(120)에 연결되는 3채널 스위치 밸브(310) 및 3채널 스위치 밸브(31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3채널 스위치 밸브(310) 및 콘트롤러(32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ainer for checking whether the water to be measured is stabiliz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310 and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310 connected to the outlet 120. Except that it further includes 320, the same as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310 and the controller 320.

3채널 스위치 밸브(310)는 유입채널(311), 제1 배출채널(312) 및 제2 배출채널(313)을 포함하고, 전자식 밸브로 이루어진다.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310 includes an inflow channel 311, a first discharge channel 312 and a second discharge channel 313, and consists of an electronic valve.

유입채널(311)은 용기(100)의 배출구(120)와 연결되어,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피측정수가 유입된다.The inflow channel 311 is connected to the outlet 120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water to be measure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is introduced.

제1 배출채널(312) 및 제2 배출채널(313)은 유입채널(311)로 유입된 피측정수를 용기(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채널들이다. 일 예로, 제1 배출채널(312)은 유입채널(311)로 유입된 피측정수를 용기(100)의 외부로 버리기 위해 개방되는 채널일 수 있고, 제2 배출채널(313)은 유입채널(311)로 유입된 안정화된 피측정수를 별도의 수거 용기(100)에 수거하기 위해 개방되는 채널일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channel 312 and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313 are channels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be measured introduced into the inflow channel 311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0. For example, the first discharge channel 312 may be a channel that is opened to discard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nnel 311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313 may be an inlet channel ( It may be a channel that is open to collect the stabilized measured water introduced into 311) in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100).

콘트롤러(320)는 3채널 스위치 밸브(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배출채널(312) 및 제2 배출채널(313)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콘트롤러(320)는 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40)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편차가 미리 정한 값 내에 도달될 때 제2 배출채널(313)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콘트롤러(320)는 용기(1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ler 3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ree channel switch valve 31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discharge channel 312 and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313. In addition, the controller 3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40 to measure a real time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40, and open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313 when the measured deviation reaches within a predetermined value. It can be configured to. For example, the controller 32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피측정수의 퍼징 과정에서, 즉 피측정수가 안정화되기 전, 콘트롤러(320)는 유입채널(311) 및 제1 배출채널(312)이 개방되도록 하고, 그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o stabilize the water to be measured is in the purging process of the water to be measured, that is, before the water to be stabilized, the controller 320 includes the inflow channel 311 and the first discharge channel 312. ) To open, and to remain open.

퍼징 과정에서 용기(100) 내로 유입된 피측정수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는 센서(40)의 측정 값이 콘트롤러(320)로 입력되고, 콘트롤러(320)는 실시간 입력되는 센서(40)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를 측정한다.In the purging process,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40 measuring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the measured water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0 is input to the controller 320, and the controller 320 measures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40 which is input in real time. Measure the real time deviation of the.

이 과정에서 콘트롤러(320)는 측정된 편차가 미리 정한 값 내에 도달되면, 3채널 스위치 밸브(310)의 제1 배출채널(312)은 폐쇄하고, 제2 배출채널(313)을 개방시킨다. 제2 배출채널(313)이 개방됨에 따라 용기(100)의 배출구(120)로부터 유입채널(311)로 유입되는 피측정수는 제2 배출채널(313)을 통해 수거 용기(100)로 배출되어 수거 용기(100)에 안정화된 피측정수가 채워진다.In this process, when the measured deviation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320 closes the first discharge channel 312 of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310 and opens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313. As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313 is opened, the water to be measured introduced into the inflow channel 311 from the outlet 120 of the container 100 is discharged to the collection container 100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313. The collection container 100 is filled with stabilized water to be measured.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피측정수의 안정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안정화된 피측정수를 수거할 필요 없이 피측정수의 퍼징 과정에서 피측정수가 안정화되는 즉시 안정화된 피측정수를 수거할 수 있으므로 피측정수의 퍼징 및 안정화 과정과 안정화된 피측정수의 수거 과정이 자동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stabilization of the measured water is visually confirmed after the stabilization of the measured water without stabilizing the measured water without collecting the stabilized measured water. Since the stabilized measured water can be collected immediately, the purging and stabilizing process of the measured water and the collecting process of the stabilized measured water can be automat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를 횡방향으로 자른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a plane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단면이 유입구(110) 측에서 배출구(120) 측으로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ure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o stabilize the water to be measured, except that the cross section is provided in a shape that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inlet port 110 side to the outlet port 120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same as the container for confirming stabilization of the water to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는 단면이 유입구(110) 측에서 배출구(120) 측으로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용기의 내부로 유입된 피측정수가 배출구(120)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피측정수의 퍼징 과정이 신속히 진행되며, 피측정수가 안정화된 이후 안정화된 피측정수의 수거가 신속히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to check whether the water to be stabilized has a shape whose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let port 110 side to the outlet port 120 side. You can move quickly in the) direction. Therefore, the purging process of the measured water proceeds quickly, and the collection of the stabilized measured water can proceed quickly after the measured water stabilizes.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but should be constru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set forth herein.

Claims (8)

용기의 하단에 위치한 유입구;
상기 용기의 상기 유입구의 반대 측면에 위치한 배출구;
상기 용기 내에서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면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지고 상기 용기의 천장면과는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상기 용기에 형성되고, 센서가 투입되는 센서의 투입구; 및
상기 유입구에 장착된 3채널 스위치 밸브로서, 상기 3채널 스위치 밸브는 하나의 유입채널과 둘의 배출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채널의 개폐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3채널 스위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채널을 통해 상기 피측정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출채널 중 하나의 제1 배출채널은 상기 유입구와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출채널 중 다른 하나의 제2 배출채널은 별도의 수거 용기와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편차가 미리 정한 값 내에 도달될 때 상기 3채널 스위치 밸브를 제어하여 폐쇄된 제2 배출채널을 개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An inle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vessel;
An outlet loca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A first partition wall facing the inl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tanding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spaced apart from a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to form a flow path;
An inlet of the sensor formed in the container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outlet and into which a sensor is input; And
A three-channel switch valve mounted to the inlet,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including one inlet channel and two outlet channels, and a three channel switch valve configured to switc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let channel,
The water to be measured flows through the inflow channel, and a first discharge channel of one of the discharge channels is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nd the second discharge channel of the other discharge channel is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easuring a real-time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and controlling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to open the closed second discharge channel when the measured deviation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Ensure that the water to be stabilized is che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상기 용기의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면과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격벽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to the bottom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discharge port to form a flow path,
Ensure that the water to be stabilized is check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천장면과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3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상기 용기의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면과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4 격벽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의 측면에서 상기 천장면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의 투입구는 상기 천장면에 형성되는,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A third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o the ceiling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discharge port to form a flow path; And
And a fourth partition wall extending between the third partition wall and the discharge port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to the bottom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flow path.
The outlet is located below the ceiling at the side of the container,
Inlet of the sensor is formed in the ceiling surface,
Ensure that the water to be stabilized is che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피측정수의 pH, 온도, ORP 및 전기전도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for measuring any one or more of the pH, temperature, ORP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water to be measured,
Ensure that the water to be stabilized is che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피측정수는 지하수이고,
상기 지하수는 펌프를 통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ed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is ground water,
The ground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through a pump,
Ensure that the water to be stabilized is checked.
삭제delete 용기의 하단에 위치한 유입구;
상기 용기의 상기 유입구의 반대 측면에 위치한 배출구;
상기 용기 내에서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면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지고 상기 용기의 천장면과는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상기 용기에 형성되고, 센서가 투입되는 센서의 투입구; 및
상기 배출구에 장착된 3채널 스위치 밸브로서, 상기 3채널 스위치 밸브는 하나의 유입채널과 둘의 배출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채널의 개폐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3채널 스위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채널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용기 내부의 피측정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출채널 중 하나의 제1 배출채널은 상기 유입채널로 유입되는 피측정수가 배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배출채널 중 다른 하나의 제2 배출채널은 별도의 수거 용기와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측정 값의 실시간 편차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편차가 미리 정한 값 내에 도달될 때 상기 3채널 스위치 밸브를 제어하여 폐쇄된 제2 배출채널을 개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An inle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vessel;
An outlet loca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A first partition wall facing the inl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tanding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spaced apart from a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to form a flow path;
An inlet of the sensor formed in the container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outlet and into which a sensor is input; And
A three-channel switch valve mounted to the outlet, wherein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includes one inlet channel and two outlet channels, and includes a three-channel switch valve configured to switc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let channel,
The inflow channel is connected to the outlet to allow the water to be measured inside the container to flow in, and one of the discharge channels is opened to discharge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flow channel, and the other of the discharge channels. The second outlet channel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 separate collection vessel,
Measuring a real-time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and controlling the three-channel switch valve to open the closed second discharge channel when the measured deviation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Ensure that the water to be stabilized is che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단면은 상기 유입구 측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점차 줄어드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Cross section of the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Ensure that the water to be stabilized is checked.
KR1020190087683A 2019-07-19 2019-07-19 Measured water purging and stabilization vessel KR1020753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83A KR102075303B1 (en) 2019-07-19 2019-07-19 Measured water purging and stabilization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83A KR102075303B1 (en) 2019-07-19 2019-07-19 Measured water purging and stabilization v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303B1 true KR102075303B1 (en) 2020-02-07

Family

ID=6957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83A KR102075303B1 (en) 2019-07-19 2019-07-19 Measured water purging and stabilization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30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950A (en) * 1999-07-28 2001-02-16 Shimadzu Corp Water analyzer
KR100584935B1 (en) * 2006-02-02 2006-05-30 일호기전(주) Integrated device for analysis total of water pollution
KR100837837B1 (en) * 2007-11-02 2008-06-13 일호기전(주) Water pollution analysis total integrated device for sample water tank
KR101701394B1 (en) * 2016-08-12 2017-02-01 (주)우성하이텍 apparatus for measuring drain fluid
KR20180015976A (en) * 2016-08-04 2018-02-1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Storage tank for culture medium and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apparatus by using the storage tan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950A (en) * 1999-07-28 2001-02-16 Shimadzu Corp Water analyzer
KR100584935B1 (en) * 2006-02-02 2006-05-30 일호기전(주) Integrated device for analysis total of water pollution
KR100837837B1 (en) * 2007-11-02 2008-06-13 일호기전(주) Water pollution analysis total integrated device for sample water tank
KR20180015976A (en) * 2016-08-04 2018-02-1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Storage tank for culture medium and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apparatus by using the storage tank
KR101701394B1 (en) * 2016-08-12 2017-02-01 (주)우성하이텍 apparatus for measuring drain flu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84423B (en) X-ray fluorescence analyzer
US9346049B2 (en) Microfluidic chip for measuring asphaltene content of crude oil
KR101223462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relative permeability of core having measuring unit of saturation fraction in core and method for measuring relative permeability of core using the same
KR100817329B1 (en) Cistern for testing the quality of water
US10895544B2 (en) Measurement of liquid parameters using a microfluidic device
US20140007673A1 (en) Leakage detection device using siphon principle
US202300862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In-Situ Analyzing A Multiphase Immiscible Fluid Mixture
CN104897669A (en) Three-way valve metering device of online water quality monitor
KR102075303B1 (en) Measured water purging and stabilization vessel
RU2520251C1 (en)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roduct water cut in oil producing well
JPH048749B2 (en)
US20050046429A1 (en) Method of detecting a gas bubble in a liquid
US20150247836A1 (en) Facility for processing a multiphase fluid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said fluid online
KR102011432B1 (en) Flushing system of water quality analysis equipment
CN113137223A (en) Drilling fluid chemical osmotic pressure difference testing arrangement
JP6124859B2 (en) Water level measurement structure and water level measurement method
CN111174098A (en) Flow path system of water quality analyzer and accurate quantification method
RU2299321C2 (en) Method and device for oil and gas-condensate well production measurement in air-tight oil collection systems
CN205252608U (en) Oil -water separating device
JP2015140528A (en) Hydraulic test device
US5649560A (en) Combined measuring and injecting flow cell
KR101962402B1 (en) Pipe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ate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JP5944730B2 (en)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for residual soil saturation
JP4744372B2 (en) Inspection device for floating detector
CN105259090A (en) Soil infiltro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