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926B1 -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926B1
KR102074926B1 KR1020140172441A KR20140172441A KR102074926B1 KR 102074926 B1 KR102074926 B1 KR 102074926B1 KR 1020140172441 A KR1020140172441 A KR 1020140172441A KR 20140172441 A KR20140172441 A KR 20140172441A KR 102074926 B1 KR102074926 B1 KR 10207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frame
interval
transmission
resource al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5155A (en
Inventor
이재승
권형진
이석규
정민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561,007 priority Critical patent/US9882701B2/en
Publication of KR20150065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1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에서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채널 설정 방법은,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인터벌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인터벌과 연속하는 제2 인터벌을 통한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2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프레임을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Disclosed are a channel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WLAN. The channel setting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a first frame includ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a first interval from a second access point, and a second including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second interval subsequent to the first interval. Generating a frame and transmitting a second frame to a second access point.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the WLAN can be improved.

Figure R1020140172441
Figure R1020140172441

Description

무선랜에서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channel in WLAN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OBSS(overlapping basic service set)에서 채널 할당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LA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nnel allocation technology in an overlapping basic service set (OBSS).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s based on radio frequency technology,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ptop computer,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smart It is a technology for wirelessly accessing the Internet in a home, business, or a specific service providing area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5GHz 대역에서 최대 54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IEEE 802.11b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2.4GHz 대역에서 최대 11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IEEE 802.11g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OFDM 방식 또는 DSSS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2.4GHz 대역에서 최대 54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andard for WLAN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as 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standard. The WLA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EEE 802.11a standard operates based 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and may provide a transmission rate of up to 54 Mbps in a 5 GHz band. The WLA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EEE 802.11b standard operates based on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scheme and can provide a transmission rate of up to 11 Mbps in the 2.4 GHz band. The WLAN technology based on the IEEE 802.11g standard operates based on the OFDM scheme or the DSSS scheme and may provide a transmission rate of up to 54 Mbps in the 2.4 GHz band.

IEEE 802.11n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OFDM 방식을 기반으로 2.4GHz 대역과 5GHz 대역에서 동작하며,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4개의 공간적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최대 30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IEEE 802.11n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MHz까지 지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대 60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The WLA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EEE 802.11n standard operates in the 2.4 GHz band and the 5 GHz band based on the OFDM scheme, and uses four spatial streams when th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OFDM (MIMO-OFDM) scheme is used. It can provide a transmission rate of up to 300Mbps for spatial streams. Wireless LA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EEE 802.11n standard can support a channel bandwidth (channel bandwidth) up to 40MHz, in this case can provide a transmission rate of up to 600Mbps.

이와 같은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기술은 1 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는 IEEE 802.11 무선랜 기술 중의 하나이다. 그 중, IEEE 802.11ac는 5 GHz 이하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고, IEEE 802.11ad는 60 GHz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the WLAN is activated and applications using the same are diversified,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new WLAN technology for supporting a higher throughput than the data processing speed supported by IEEE 802.11n. Very high throughput (VHT) WLAN technology is one of the IEEE 802.11 WLAN technologies that have been proposed to support data processing speeds of 1 Gbps or more. Among them, IEEE 802.11ac is being developed as a standard for providing very high throughput in the band below 5 GHz, and IEEE 802.11ad is being developed as a standard for providing very high throughput in the 60 GHz band.

최근 무선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웃 액세스 포인트(neighbor access point)(또는, 이웃 BSS(basic service set))들 간에 중첩 채널(channel)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웃 BSS들 간에 중첩 채널이 사용됨으로써, 무선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WLAN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using overlapping channels between neighbor access points (or neighbor BSSs) is increasing. Since overlapping channels are used between neighboring BS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WLAN is degraded.

US2016/0381702A1의 발명의 명칭은 “CHANNEL ACCESS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LAN SYSTEM”이며, 우선일은 2013년 7월 2일이며, 2016년 12월 29일에 공개되었습니다.The name of the invention of US2016 / 0381702A1 is “CHANNEL ACCESS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LAN SYSTEM”. The priority date is July 2, 2013, and was released on December 29, 20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 BSS들 간의 중첩 채널을 고려하여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s in consideration of overlapping channels between neighboring BSS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웃 BSS들 간의 중첩 채널을 고려하여 채널을 할당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llocating channels in consideration of overlapping channels between neighboring BS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행되는 채널 설정 방법은,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인터벌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인터벌과 연속하는 제2 인터벌을 통한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2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nnel setting method performed by a first access point,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frame including schedul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interval from a second access point, Generating a second frame including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second interval subsequent to the first interv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비컨 프레임일 수 있다.Here, the first frame may be a beacon frame.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전송 시작 시점부터 상기 제2 프레임의 전송 종료 시점까지를 나타내는 듀레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frame may include du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transmission start time of the first frame to the transmission end time of the second frame.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전송 구간을 나타내는 제한된 접속 윈도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frame may include limited access window information indicating a transmission period of the second frame.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인터벌의 시작 시점에 수신될 수 있다.Here, the first frame may be received at the start of the first interval.

여기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제1 인터벌 동안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hedul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first access point during the first interval.

여기서, 상기 자원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인터벌을 통한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정보,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대역폭 별 전송 실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xpected du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fr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second interval, a data rate at the first pre-interval, and a transmission failure rate for each bandwidth at the pre-first interval. It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폴(poll)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Here, in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when the poll fram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access point, the second fr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access point.

여기서, 상기 채널 설정 방법은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의해 지시된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nnel set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ame with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indicated by the scheduling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행되는 채널 관리 방법은, 제1 인터벌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을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터벌과 연속하는 제2 인터벌을 통한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2 프레임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nnel management method performed in a second access point, the method including generating a first frame includ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a first interval, and generating the first frame. Transmitting to the access point and receiving a second frame from the first access point, the second frame including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ver a second interval subsequent to the first interval.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자원 할당 프레임일 수 있다.Here, the first frame may be a resource allocation frame.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프레임이 전송된 후에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될 수 있다.Here, the first fr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after the beacon frame of the second access point is transmitted.

여기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제1 인터벌 동안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hedul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first access point during the first interval.

여기서, 상기 자원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인터벌을 통한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정보,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대역폭 별 전송 실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xpected du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fr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second interval, a data rate at the first pre-interval, and a transmission failure rate for each bandwidth at the pre-first interval. It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채널 관리 방법은 상기 자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인터벌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nnel management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second interval based on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액세스 포인트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인터벌에 대한 스케쥴링정보를 포함한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인터벌과 연속하는 제2 인터벌을 통한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2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하다.A first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nother object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is stored, 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is a second access point. Receiving a first frame including scheduling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first interval from the second frame; generating a second frame including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second interval subsequent to the first interval; And send two frames to the second access point.

여기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제1 인터벌 동안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hedul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first access point during the first interval.

여기서, 상기 자원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인터벌을 통한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정보,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대역폭 별 전송 실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xpected du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fr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second interval, a data rate at the first pre-interval, and a transmission failure rate for each bandwidth at the pre-first interval. It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자원 할당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Here, in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when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access point, the second fr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access point.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의해 지시된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mmand may be executable to further transmit and receive a frame with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indicated by the schedul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of the WLA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OBSS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BSS들에 비중첩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BSS들에 동일한 채널이 할당된 경우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기존 무선랜에서 낭비되는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중첩 채널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할당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할당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자원 할당 엘리먼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station for performing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IEEE 802.11.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BSS.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llocating non-overlapping channels to BSSs.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coordination for a transmission interval when the same channel is allocated to BSSs.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wasted in the existing WLA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erforming coordination on an overlapping channel.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source allocation element.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elements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medium)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를 의미한다.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스테이션(STA)과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AP)로 불릴 수 있고,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단말(terminal)로 불릴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station (STA) is a physical layer for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wireless medium that conforms to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standard. By any functional medium that includes an interface. The station STA may be divided into a station that is an access point (AP) and a station that is a non-access point (STA). A station (STA), which is an access point (AP), may simply be called an access point (AP), and a station (STA), which is a non-access point (AP), may simply be called a terminal.

스테이션(STA)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frame)을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유닛(unit)을 의미하며, 스테이션(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STA)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을 의미한다.The station STA may include a processor and a transceiver, and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and a display device. The processor refers to a unit designed to generate a frame to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or to process a fram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controlling a station (STA). A transceiver is a unit tha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a processor and is designed to transmit and receive a frame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a station (STA).

액세스 포인트(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 B(node B), 고도화 노드 B(evolved node B), 릴레이(relay), MMR(mobile multihop relay)-BS,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cess point (AP) may be a centralized controller, a base station (BS),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n evolved node B, a relay, and a mobile MMR. multihop relay (BS) -BS, base transceiver system (BTS), or site controller,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some or all of their functionality.

단말(즉, 비-액세스 포인트)은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 terminal (ie, a non-access point) may be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unit (WTRU), a user equipment (UE), a user terminal (UT), an access terminal (AT), Refers to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uni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or a mobile subscriber unit And may include some or all of the functionality thereof.

여기서, 단말은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terminal may b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wireless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smart watch capable of communication. (smart watch), smart glass, e-book reader,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portable gaming device, navigation device, digital camer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layer, digital voice Digital audio recorder, digital audio player, digital picture recorder, digital picture player, digital video recorder, digital video player ) May be u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station for performing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테이션(1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100)은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ation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110, a memory 120, and a network interface device 130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ta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1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150, a storage device 160, and the lik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tation 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또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와 저장 장치(16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 or the storage device 160. The processor 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memory 120 and the storage device 160 may be configured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 or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be configured as read only memory (ROM) and / or random access memory (RA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되며,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WLAN system according to IEEE 802.11, and can be applied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s well as a WLAN system according to IEEE 802.11.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 네트워크,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 네트워크,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와 같은 4G 이동통신 네트워크,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bile Internet, a global system such as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a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or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2G mobile networks such a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3G mobile networks such a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or cdma2000,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high speed uplink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packet access,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TE) or LTE-Advanced,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도 2는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IEEE 802.11.

도 2를 참조하면,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할 수 있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1, STA2(AP1), STA3, STA4, STA5(AP2), STA6, STA7, STA8)의 집합을 의미하며, 특정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2, a WLAN system according to IEEE 802.11 may include at least one basic service set (BSS). BSS means a set of stations (STA1, STA2 (AP1), STA3, STA4, STA5 (AP2), STA6, STA7, STA8) that can be successfully synchronize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does not mean a specific area. .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BSS1과 BSS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의미하고, BSS3은 IBSS를 의미한다.BSS can be classified into infrastructure BSS (Independent BSS) and Independent BSS (IBSS). Here, BSS1 and BSS2 mean infrastructure BSS, and BSS3 means IBSS.

BSS1은 제1 단말(STA1),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STA2(AP1))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2(AP1), STA5(AP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할 수 있다. BSS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STA2(AP1))는 제1 단말(STA1)을 관리할 수 있다.The BSS1 is a distribution system connecting a first terminal STA1, a first access point STA2 (AP1) providing a distribution service, and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STA2 (AP1), STA5 (AP2) ( distribution system (DS). In BSS1, the first access point STA2 (AP1) may manage the first terminal STA1.

BSS2는 제3 단말(STA3), 제4 단말(STA4),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STA5(AP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2(AP1), STA5(AP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DS)을 포함할 수 있다. BSS2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STA5(AP2))는 제3 단말(STA3)과 제4 단말(STA4)을 관리할 수 있다.The BSS2 connects a third terminal STA3, a fourth terminal STA4, a second access point STA5 (AP2) providing a distribution service, and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STA2 (AP1) and STA5 (AP2). It may include a distribution system (DS). In BSS2, the second access point STA5 (AP2) may manage the third terminal STA3 and the fourth terminal STA4.

BSS3은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하는 IBSS를 의미한다. BSS3에는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인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BSS3에서 단말들(STA6, STA7, STA8)은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BSS 3에서 모든 단말들(STA6, STA7, STA8)은 이동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분배 시스템(DS)으로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BSS3 refers to IBSS operating in ad-hoc mode. There is no access point in BSS3, which is a centralized management entity. That is, in BSS3, the terminals STA6, STA7, and STA8 are manag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BSS 3, all of the terminals STA6, STA7, and STA8 may refer to mobile terminals, and thus, are not allowed to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system DS, thereby forming a self-contained network.

액세스 포인트(STA2(AP1), STA5(AP2))는 자신에게 결합된 단말(STA1, STA3, STA4)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통해 분산 시스템(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BSS1 또는 BSS2에서 단말들(STA1, STA3, STA4) 사이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STA2(AP1), STA5(AP2))를 통해 이루어지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들(STA1, STA3, STA4)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The access points STA2 (AP1) and STA5 (AP2) may provide access to the distributed system DS through the wireless medium for the terminals STA1, STA3, and STA4 coupled thereto. In BSS1 or BSS2,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STA1, STA3, and STA4 is generally performed through access points STA2 (AP1) and STA5 (AP2), but when a direct link is established, the terminals (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STA1, STA3, and STA4 is possible.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된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개체들(STA1, STA2(AP1), STA3, STA4, STA5(AP2))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임의의 단말(STA1, STA3, STA4)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frastructure BSSs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 distribution system (DS). A plurality of BSSs connected through a distribution system (DS) is referred to as an extended service set (ESS). The entities included in the ESS (STA1, STA2 (AP1), STA3, STA4, STA5 (AP2))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y terminal (STA1, STA3, STA4) in the same ESS while communicating seamlessly one You can move from one BSS to another BSS.

분배 시스템(DS)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된 단말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다른 BSS로 이동한 임의의 단말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분배 시스템(DS)은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 표준에 규정된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분배 시스템은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액세스 포인트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 있다.
The distribution system (DS) is a mechanism for one access point to communicate with another access point, whereby the access point transmits a frame or moves to another BSS for terminals coupled to a BSS that it manages. A frame may be transmitted for any terminal. In addition, the access point may transmit and receive frames with an external network such as a wired network. Such a distribution system (DS)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network,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its form as long as it can provide certain distribution services specified in the IEEE 802.11 standard.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system may be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mesh network or a physical structure that connects access points to each other.

최근 무선랜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됨으로써, OBSS(overlapping BSS)로 인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액세스 포인트가 밀집한 영역에서 BSS들 간의 중첩으로 인한 BSS들 간의 충돌, 스테이션들 간의 채널 접속 경쟁 등으로 인해 무선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는 BSS들 간에 더욱 많은 충돌이 발생되며, 이러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 BSS들에 서로 다른 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이웃 BSS들에 서로 다른 채널이 할당되는 경우 이웃 BSS들 간에 충돌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웃 BSS들 각각에 속한 스테이션은 서로 독립적으로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는 새롭게 BSS를 설정(establish)하는 경우 이웃 BSS들의 채널과 중첩되지 않게 자신의 BSS의 채널을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이웃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새롭게 설정된 BSS에 의해 간섭이 발생된 경우 필요에 따라 자신의 채널을 변경하여야 한다.Recently, the use of the WLAN is rapidly increasing, the problem caused by the overlapping BSS (OBSS) has become serious. In the area where the access points are dense, the performance of the WLAN may be degraded due to collisions between the BSSs due to overlap between the BSSs, contention competition between the stations, and the like. In particular, more collisions occur between BSSs using the same channel, and different channels may be allocated to neighboring BSSs to prevent such collisions. When different channels are allocated to neighboring BSSs, collisions do not occur between neighboring BSSs, and stations belonging to each of the neighboring BSSs can transmit and recei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this end, when the access point newly establishes a BSS, the access point should set up a channel of its BSS so as not to overlap with a channel of neighboring BSSs. In addition, the access point should change its channel as needed when interference is caused by the BSS newly set by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무선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채널의 개수는 제한적인데 비해 액세스 포인트의 수는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웃 액세스 포인트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채널을 사용하도록 채널이 할당되는 것은 쉽지 않다. 실제로 이웃 액세스 포인트들 간에 채널이 중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웃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어떤 채널이 중첩되게 할당되고 어떤 채널이 프라이머리(primary) 채널로 설정되는지에 따라 이웃 액세스 포인트들의 동시 전송 확률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이웃 BSS들 내에서 스테이션들의 동시 전송이 가능하도록 협대역(narrow band)이 할당되는 경우, 협대역을 통한 동시 전송에 의해 무선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While the number of channels that can be used in a WLAN is limited, the number of access points is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it is not easy for a channel to be allocated such that neighboring access points use a channel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In practice, channels may overlap between neighboring access points, in which case the probability of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neighboring access points depends on which channel is assigned to each neighboring access point and which channel is set as the primary channel. Can vary. In particular, when a narrow band is allocated to enable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tations within neighboring BSSs, the performance of the WLAN may be improved by simultaneous transmission over the narrow band.

이웃 BSS들 간에 중첩 채널이 사용되는 경우, 협대역을 통한 전송이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 수행되도록 자원이 할당되면 자원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에 따르면 스테이션은 분산된(distributed) 방식으로 경쟁을 통해 채널에 접속하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협대역을 통한 전송이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 수행되도록 자원을 스케쥴링(scheduling)하는 것은 불가능하다.When overlapping channels are used between neighboring BSSs, resource utilization may be improved if resources are allocated such that transmission through narrowband is performed within the same time interval. According to the IEEE 802.11 standard, a station can access a channel and transmit a frame through contention in a distributed manner. In this environment, it is impossible to schedule resources so that transmission over narrowband is performed within the same time period.

아래에서는, 이웃 BSS들 간의 중첩 채널을 고려하여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a method of allocating a channel in consideration of an overlapping channel between neighboring BS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OBSS를 도시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BSS.

도 3을 참조하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BSS1을 설정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BSS2를 설정할 수 있고, 제3 액세스 포인트(AP3)는 BSS3을 설정할 수 있고, 제4 액세스 포인트(AP4)는 BSS4를 설정할 수 있고, 제5 액세스 포인트(AP5)는 BSS5를 설정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 AP4, AP5)이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 AP4, AP5) 간에 중첩된 영역에서 많은 채널 접속 경쟁 및 프레임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first access point AP1 may set BSS1, a second access point AP2 may set BSS2, a third access point AP3 may set BSS3, and a fourth The access point AP4 may set BSS4, and the fifth access point AP5 may set BSS5. When the access points AP1, AP2, AP3, AP4, and AP5 use the same channel, a lot of channel access contention and frame collision occurs in an overlapped area between the access points AP1, AP2, AP3, AP4, and AP5. Can be. Accordingly, performance of the WLAN may be degraded.

채널 접속 경쟁 및 프레임 충돌을 완화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following methods can be used to mitigate channel access contention and frame collisions.

- BSS들에 비중첩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How to assign non-overlapping channels to BSSs

- BSS들에 동일한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 BSS들 간에 전송 구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코디네이션(coordination)을 수행하는 방법In case of allocating the same channel to BSSs, a method of coordination is performed so that transmission intervals do not overlap between BSSs.

- BSS들에 비중첩 채널을 최대한 할당하되 채널 수가 부족하여 중첩 채널이 발생된 경우, 중첩 채널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If a non-overlapping channel is allocated to BSSs as much as possible but the number of channels is insufficient, the overlapping channel is generated.

BSS들에 비중첩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How to assign a non-overlapping channel to BSSs

도 4는 BSS들에 비중첩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llocating non-overlapping channels to BSSs.

도 4를 참조하면, BSS1을 설정하고자 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스캐닝(scanning) 절차를 통해 비어 있는 채널(CH0~CH11)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비어 있는 채널(CH0~CH11) 중 CH0~CH3에서 동작하도록 BSS1을 설정할 수 있다. BSS2를 설정하고자 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스캐닝 절차를 통해 비어 있는 채널(CH4~CH11)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비어 있는 채널(CH4~CH11) 중 CH4~CH7에서 동작하도록 BSS2를 설정할 수 있다. BSS3을 설정하고자 하는 제3 액세스 포인트(AP3)는 스캐닝 절차를 통해 비어 있는 채널(CH8~CH11)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액세스 포인트(AP3)는 비어 있는 채널(CH8~CH11)에서 동작하도록 BSS3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 각각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간섭 없이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set the BSS1 may identify the empty channels CH0 to CH11 through a scanning procedur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set BSS1 to operate in the channels CH0 to CH3 among the empty channels CH0 to CH11.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tending to set the BSS2 may check the empty channels CH4 to CH11 through a scanning procedur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set the BSS2 to operate in the channels CH4 to CH7 among the empty channels CH4 to CH11. The third access point AP3 intending to set the BSS3 may check the empty channels CH8 to CH11 through a scanning procedure. The third access point AP3 may set BSS3 to operate on the empty channels CH8 to CH11. Accordingly,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P2, and AP3 may transmit and receive a frame without interference by other access points.

한편, 숨겨진(hidden) 액세스 포인트는 스캐닝 절차에 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 각각은 숨겨진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한채 BSS를 설정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 각각은 숨겨진 액세스 포인트의 송수신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 각각에 연결된 단말은 숨겨진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설정된 BSS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 각각에 연결된 단말은 숨겨진 액세스 포인트의 송수신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다.
Meanwhile, the hidden access point may not be detected in the scanning procedure. In this case,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P2, and AP3 may establish a BSS without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hidden access point.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P2, and AP3 is not interfered by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hidden access point. However, the terminal connected to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P2, and AP3 may be located in the BSS set by the hidden access point.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nected to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P2, and AP3 may be interfered with by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hidden access point.

BSS들에 동일한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 BSS들 간에 전송 구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코디네이션을 수행하는 방법If the same channel is allocated to BSSs, a method of coordinating so that transmission intervals do not overlap between BSSs

비어 있는 채널이 많지 않아 BSS들에 동일한 채널이 할당되는 경우, BSS들에서 채널 접속 경쟁 및 프레임 충돌을 완화시키기 위해 BSS들 간의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이 필요하다. 즉, BSS들 각각에 속한 스테이션이 서로 다른 시간에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경우 채널 접속 경쟁 및 프레임 충돌이 완화될 수 있다.When there are not many empty channels and the same channels are allocated to the BSSs, coordination of transmission intervals between the BSSs is necessary to alleviate channel access contention and frame collisions in the BSSs. That is, when a station belonging to each of the BSSs transmits and receives a frame at different times, channel access contention and frame collision can be alleviated.

도 5는 BSS들에 동일한 채널이 할당된 경우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coordination for a transmission interval when the same channel is allocated to BSSs.

도 5를 참조하면, BSS1을 설정하고자 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스캐닝 절차를 통해 비어 있는 채널(CH0~CH7)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비어 있는 채널(CH0~CH7) 중 CH0~CH3에서 동작하도록 BSS1을 설정할 수 있다. BSS2를 설정하고자 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스캐닝 절차를 통해 비어 있는 채널(CH4~CH7)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비어 있는 채널(CH4~CH7)에서 동작하도록 BSS2를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set the BSS1 may check the empty channels CH0 to CH7 through a scanning procedur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set BSS1 to operate in the channels CH0 to CH3 among the empty channels CH0 to CH7.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tending to set the BSS2 may check the empty channels CH4 to CH7 through a scanning procedur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set the BSS2 to operate on the empty channels CH4 to CH7.

BSS3을 설정하고자 하는 제3 액세스 포인트(AP3)는 스캐닝 절차를 통해 모든 채널(CH0~CH7)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3 액세스 포인트(AP3)는 비어 있는 채널이 없으므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중인 채널(예를 들어, CH0~CH3)에서 동작하도록 BSS3을 설정할 수 있다. BSS4를 설정하고자 하는 제4 액세스 포인트(AP4)는 스캐닝 절차를 통해 모든 채널(CH0~CH7)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4 액세스 포인트(AP4)는 비어 있는 채널이 없으므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중인 채널(예를 들어, CH4~CH7)에서 동작하도록 BSS4를 설정할 수 있다.The third access point AP3 intending to set the BSS3 may know that all the channels CH0 to CH7 are used by the other access points AP1 and AP2 through a scanning procedure. In this case, since the third access point AP3 does not have an empty channel, the BSS3 may be set to operate in a channel (eg, CH0 to CH3) that is being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The fourth access point AP4 intending to configure the BSS4 may know that all the channels CH0 to CH7 are used by the other access points AP1, AP2, and AP3 through a scanning procedure. In this case, since the fourth access point AP4 does not have an empty channel, the BSS4 may be set to operate on a channel that is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eg, CH4 to CH7).

이때, BSS1에 속한 스테이션의 송수신은 BSS3에 속한 스테이션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고, 반대로 BSS3에 속한 스테이션의 송수신은 BSS1에 속한 스테이션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다. 또한, BSS2에 속한 스테이션의 송수신은 BSS4에 속한 스테이션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고, 반대로 BSS4에 속한 스테이션의 송수신은 BSS2에 속한 스테이션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tation belonging to the BSS1 may be interfered by the station belonging to the BSS3,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tation belonging to the BSS3 may be interfered with by the station belonging to the BSS1. In addi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tations belonging to BSS2 may be interfered with by stations belonging to BSS4, and conversely,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tations belonging to BSS4 may be affected by stations belonging to BSS2.

위와 같은 환경에서, 마스터(master) 액세스 포인트는 CH0~CH3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전송 구간과 제3 액세스 포인트(AP3)의 전송 구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CH4~CH7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의 전송 구간과 제4 액세스 포인트(AP4)의 전송 구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 AP4)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 AP4) 외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할 수 있다.
In the above environment, the master access point may set the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third access point AP3 differently from CH0 to CH3. In addition, the master access point may set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fourth access point (AP4) differently from CH4 to CH7. Here, one of the access points AP1, AP2, AP3, AP4 may operate as a master access point, or another access point other than the access points AP1, AP2, AP3, AP4 may be a master access point. It can work as

한편, 코디네이션 기능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것을 비컨 프레임(beacon frame) 또는 프로브 리스펀스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새로운 BSS를 설정하고자 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를 발견한 경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게 다른 BSS들의 동작 채널을 고려한 최적의 채널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access point having a coordination function may inform that it operates as a master access point through a beacon frame or a probe response frame. When the access point that wants to set up a new BSS has found a master access point, the access point may request the master access point an optimal channel allocation considering the operating channels of other BSSs.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동일 채널을 할당한 경우 또는 프라이머리 채널이 아닌 일부 채널이 중첩되도록 채널을 할당한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충돌되지 않도록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할당된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내에서 자신의 BSS에 속한 단말들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할당된 자원을 통해 단말들과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비컨 인터벌(interval) 내에서 전송 구간을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할당할 수 있다. The master access point may perform coordination with respect to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so as not to collide with another access point when the same channel is allocated to the access points or when a channel other than the primary channel is allocated to overlap. . The access point may allocate resources to terminals belonging to its BSS within the operation channel and transmission interval allocated by the master access point, and transmit and receive frames with the terminals through the allocated resources. The master access point may assign a transmission interval to each of the access points within a beacon interval.

만일 동일 채널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이 서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들은 동시에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으로부터 이웃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간섭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간섭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에게 간섭을 끼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동일한 전송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If each of the access points is far enough apart from each other even when the same channel is used, the access points may transmit frames simultaneously. The master access point may obtain interference information for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from each of the access points, and allocate the same transmission interval to the access points that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obtained interference information.

이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과 연결된 단말에 IEEE 802.11 표준에 규정된 프레임 리퀘스트(frame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하고, 프레임 리퀘스트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프레임 리스펀스(frame response) 프레임을 단말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이웃 액세스 포인트 및 이웃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단말에 대한 간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프레임 리퀘스트 프레임/프레임 리스펀스 프레임 대신에 비컨 리퀘스트 프레임/비컨 리스펀스 프레임을 사용하여 이웃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간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획득된 간섭 정보를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획득된 간섭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ccess point transmits a frame request frame specified in the IEEE 802.11 standard to a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receives a frame response frame, which is a response to the frame request frame, from the terminal. And interference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In addition, the access point may obtain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for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by using the beacon request frame / beacon response frame instead of the frame request frame / frame response frame. The access point may transmit the obtained interference information to the master access point. The master access point may perform coordination on the operation channel and the transmission interval based on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ccess point.

또는, 단말은 프레임 리퀘스트 프레임/프레임 리스펀스 프레임(또는, 비컨 리퀘스트 프레임/비컨 리스펀스 프레임)의 교환 절차 없이 이웃 액세스 포인트 및 이웃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간섭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획득된 간섭 정보를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획득된 간섭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and the neighboring terminal to the access point connected thereto without exchanging a frame request frame / frame response frame (or a beacon request frame / beacon response frame). The access point may transmit the obtained interference information to the master access point. The master access point may perform coordination on the operation channel and the transmission interval based on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ccess point.

무선랜에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통해 채널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이 채널이 낭비될 수 있다.When the master access point exists in the WLAN, the channel may be efficiently used through coordination of the operation channel and the transmission interval. However, when the master access point does not exist, the channel may be wasted as follows.

도 6은 기존 무선랜에서 낭비되는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wasted in the existing WLAN.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CH0~CH3(총 80MHz)에서 동작하도록 BSS1을 설정할 수 있고, 프라이머리 채널을 CH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CH1~CH4(총 80MHz)에서 동작하도록 BSS2를 설정할 수 있고, 프라이머리 채널을 CH4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set BSS1 to operate at CH0 to CH3 (total 80 MHz), and set the primary channel to CH0.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set BSS2 to operate at CH1 to CH4 (80 MHz total), and set the primary channel to CH4.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T1 동안 CH0~CH3을 통해 BSS1에 속한 단말들과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고, T2 동안 CH0~CH1을 통해 BSS1에 속한 단말들과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T2 동안 80MHz 대역폭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전송하고자 하는 BSS2에 속한 단말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단말 측에서 CH1~CH4는 아이들(idle) 상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CH1~CH4를 통해 80MHz 대역폭을 사용하여 RTS 프레임을 전송하나,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전송 때문에 CH1~CH4 모두가 아이들 상태가 아니므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해당 단말에 전송할 수 없다. 즉, BSS2에 속한 단말이 IEEE 802.11ac 표준에 규정된 다이나믹(dynamic) RTS/CTS(clear to send)를 지원하는 경우 T2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CH2~CH4를 통해 CTS 프레임을 RTS 프레임을 전송한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나, 다이나믹 RTS/CTS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T2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CTS 프레임을 RTS 프레임을 전송한 단말에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T2 동안 CH2~CH4이 낭비될 수 있다.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 receive a frame with the terminals belonging to the BSS1 through CH0 to CH3 during T1, and may transmit / receive the frame with the terminals belonging to the BSS1 through CH0 to CH1 during T2. On the other hand, the UE belonging to the BSS2 to transmit the frame using the 80MHz bandwidth during T2 is far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CH1 ~ CH4 may be in the idle state at the terminal side, in this case CH1 The RTS frame is transmitted using the 80 MHz bandwidth through ˜CH4, but the second access point AP2 clears the CTS frame because all of the CH1 to CH4 are not idle due to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at is, when a terminal belonging to BSS2 supports dynamic RTS / CTS (clear to send) defined in the IEEE 802.11ac standar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the CTS frame through the CH2 to CH4 RTS frames during T2.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CTS frame, but may not transmit the CTS frame to the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RTS frame during T2 when it does not support dynamic RTS / CTS. Therefore, CH2 to CH4 may be wasted during T2.

만일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가 T2에서 CH0~CH1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할당하고 CH2~CH4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할당하고, 해당 채널 할당 정보가 제1 액세스 포인트(AP1),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BSS1, BSS2에 연결된 단말에 통보된 경우, T2에서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은 동시에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If the master access point allocates CH0 to CH1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CH2 to CH4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t T2, the corresponding channel assignment information is assigned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2 If the access point AP2 and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BSS1 and the BSS2 are notified,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may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a frame at T2.

BSS들에 비중첩 채널을 최대한 할당하되 채널 수가 부족하여 중첩 채널이 발생된 경우, 중첩 채널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는 방법Allocating non-overlapping channels to BSSs as much as possible, but overlapping channels due to insufficient number of channels

도 7은 중첩 채널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erforming coordination on an overlapping channel. FIG.

도 7을 참조하면, BSS1을 설정하고자 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채널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CH0~CH3(총 80MHz)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할당할 수 있고,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프라이머리 채널로 CH0을 설정할 수 있다. BSS2를 설정하고자 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채널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CH1~CH4(총 80MHz)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할당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의 프라이머리 채널로 CH4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각각의 프라이머리 채널은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CH1~CH3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모두에 할당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set BSS1 may request channel allocation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The master access point may allocate CH0 to CH3 (80 MHz in total)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set CH0 as a primary channel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The second access point AP2 wishing to set the BSS2 may request channel allocation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The master access point may allocate CH1 to CH4 (80 MHz in total)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set CH4 as the primary channel of the second access point AP2. Here, the primary channels of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may be arranged to be as far apart as possible. CH1 to CH3 may be allocated to both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T1 동안 CH0~CH3을 통해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T2 동안 CH0~CH1을 통해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프레임을 송수신하고 T2 동안 CH3~CH4를 통해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은 동일한 전송 구간인 T2 동안 협대역(CH0~CH1, CH3~CH4)을 통해 동시에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T3 동안 CH1~CH4를 통해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aster access point may perform coordination with respect to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so that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nd receive a frame through CH0 to CH3 during T1. The master access point transmits and receives a frame through the CH0 to CH1 during T2,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and receives a frame through CH3 through CH4 during T2. Coordination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may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frames through the narrow bands CH0 to CH1 and CH3 to CH4 during the same transmission period T2. The master access point may perform coordination with respect to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so that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and receive a frame through CH1 to CH4 during T3.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할당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할당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BSS1을 설정하고자 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채널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이웃 액세스 포인트들의 동작 채널을 고려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AP1)는 CH0~CH3(즉, 도 7 참조)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할당할 수 있고,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프라이머리 채널으로 CH0을 설정할 수 있다.8 and 9, a first access point AP1 to set BSS1 may request channel allocation from a master access point M-AP.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allocate a channel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consideration of an operating channel of neighboring access points. For example, the master access point AP1 may allocate CH0 to CH3 (ie, FIG. 7)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set CH0 as the primary channel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Can be.

BSS2를 설정하고자 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채널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이웃 액세스 포인트들의 동작 채널을 고려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AP2)는 CH1~CH4(즉, 도 7 참조)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할당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의 프라이머리 채널으로 CH4를 설정할 수 있다. The second access point AP2 wishing to set the BSS2 may request channel allocation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allocate a channel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channel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s. For example, the master access point AP2 may allocate CH1 to CH4 (ie, FIG. 7)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set CH4 as the primary channel of the second access point AP2. Can be.

여기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의 프라이머리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각각의 프라이머리 채널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의 동작 채널을 포함하도록 넓은 대역(예를 들어, 160MHz)을 지원할 수 있다.Here, the primary channel of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be set differently from the primary channel of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support a wide band (eg, 160 MHz) to include an operating channel of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자원 할당 프레임 또는 비컨 프레임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각각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자원 할당 프레임의 인터벌 단위 또는 비컨 프레임의 인터벌 단위로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각각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T1 동안 CH0~CH3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할당하고, T2 동안 CH0~CH1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할당하고, T2 동안 CH3~CH4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할당하고, T3 동안 CH1~CH4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할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perform coordination for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using a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a beacon fram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perform coordination for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in an interval unit of a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an interval unit of a beacon frame. Her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llocates CH0 to CH3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during T1, allocates CH0 to CH1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during T2, and CH3 to CH4 during T2. Is allocated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CH1 to CH4 are allocated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during T3.

자원 할당 프레임 기반의 코디네이션Resource Allocation Frame Based Coordination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비컨 프레임(800)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비컨 프레임을 전송한 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대한 채널 코디네이션을 위한 자원 할당 프레임(801)을 생성할 수 있다. 자원 할당 프레임(801)에 포함된 자원 할당 엘리먼트(element)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periodically transmit the beacon frame 800 in a broadcast manner.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generate a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for channel coordin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after transmitting the beacon frame. The configuration of resource allocation elements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is as follows.

도 10은 자원 할당 엘리먼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source allocation element.

도 10을 참조하면, 자원 할당 엘리먼트는 할당된(allocated) 자원 필드, 할당 인터벌 필드 및 할당 피리어드(perio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할당된 자원 필드는 시작 시간 필드, 듀레이션(duration) 필드 및 대역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자원 할당 엘리먼트가 복수의 전송 구간을 나타내는 경우, 하나의 자원 할당 엘리먼트 내에 복수의 할당된 자원 필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자원 할당 엘리먼트가 서로 다른 2개의 전송 구간을 나타내는 경우, 하나의 자원 할당 엘리먼트 내에 2개의 할당된 자원 필드가 존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resource allocation element may include an allocated resource field, an allocation interval field, and an allocation period field. The allocated resource field may include a start time field, a duration field, and a bandwidth field. When on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dicat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intervals, a plurality of allocated resource fields may exist in on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For example, when on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dicates two different transmission intervals, two allocated resource fields may exist in on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시작 시간 필드는 8비트(bit)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할당된 전송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듀레이션 필드는 14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할당된 전송 구간의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대역폭 필드는 2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할당된 전송 구간 동안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대역폭 필드는 할당된 전송 구간 동안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나타낼 수 있다. The start time field may have a size of 8 bits and may indicate a duration from a transmission time of a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to a start time of an allocated transmission interval. The duration field may have a size of 14 bits and may indicate a duration of an allocated transmission interval. The bandwidth field may have a size of 2 bits and may indicate available bandwidth for an allocated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the bandwidth field may indicate a usable bandwidth during the allocated transmission interval.

할당 인터벌 필드는 16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의 전송 인터벌을 나타낼 수 있다. 할당 피리어드 필드는 8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할당 인터벌 필드의 배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할당 피리어드 필드는 해당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의 할당된 자원 필드에 포함된 정보가 적용되는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할당 피리어드 필드가 나타내는 구간 동안 새로운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The allocation interval field may have a size of 16 bits and may indicate a transmission interval of a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The allocation period field may have a size of 8 bits and may be expressed as a multiple of the allocation interval field. The allocation period field may indicate a section to which information included in an allocated resource field of a corresponding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is applied. Therefore, a new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may not be transmitted during the period indicated by the allocation period field.

또한, 자원 할당 엘리먼트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의 비컨 인터벌, TBTT(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 타임 스탬프(time stamp)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인터벌, TBTT, 타임 스탬프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와의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may further include a beacon interval, a 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 (TBTT), a time stamp, and the like of the master access point (M-AP). Here, the beacon interval, TBTT, and time stamp of the master access point may be used for synchronization with the master access point (M-AP).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자원 할당 프레임(801)의 자원 할당 엘리먼트는 2개의 할당된 자원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할당된 자원 필드는 자원 할당 프레임(801)의 전송 시점부터 T1의 시작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T1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필드, CH0~CH3을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할당된 자원 필드는 자원 할당 프레임(801)의 전송 시점 부터 T2의 시작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T2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필드, CH0~CH1을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원 할당 프레임(801)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의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자원 할당 프레임(801)의 전송 시점부터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의 전송 완료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8 and 9,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of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may include two allocated resource fields. The first allocated resource field may include a start time field indicating a duration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to the start time of T1, a duration field indicating the duration of T1, and a bandwidth field indicating CH0 to CH3. . The second allocated resource field may include a start time field indicating a duration from a transmission time of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to a start time of T2, a duration field indicating a duration of T2, and a bandwidth field indicating CH0 to CH1. . In addition, the duration field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may be set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to the completion of transmiss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to ensure transmiss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It can indicate duration.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자원 할당 프레임(801)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프라이머리 채널인 CH0을 통해 자원 할당 프레임(801)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자원 할당 프레임(801)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자원 할당 프레임(801)에 포함된 자원 할당 엘리먼트를 기반으로 T1 동안 CH0~CH3이 사용 가능하고 T2 동안 CH0~CH1이 사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자원 할당 프레임(801)에 포함된 자원 할당 엘리먼트를 기반으로 자원 할당 프레임(801)의 인터벌, 피리어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의 비컨 인터벌, TBTT, 타임 스탬프 등을 알 수 있다.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transmit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this cas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transmit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through CH0, which is a primary channel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receive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nd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received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during the period CH1 to CH0 ~. You can see that CH3 is available and CH0 ~ CH1 are available during T2. In addition,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include an interval, a period, a beacon interval of a master access point (M-AP), a TBTT, a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based on a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1. Know the time stamp and the like.

그 후에,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생성할 수 있다.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은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을 통한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 정보를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reafter,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generate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may be used to infor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of resource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ver an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The configurat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is as follows.

도 11은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도 11을 참조하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은 프레임 컨트롤(frame control) 필드(1100), 듀레이션 필드(1101), 수신기 주소 필드(1102), 송신기 주소 필드(1103), 피드백 컨트롤(feedback control) 필드(1104), 추정된(estimated) UL 듀레이션 필드(1105), 평균 UL 데이터 레이트(rate) 필드(1106), 추정된 DL 듀레이션 필드(1107), 평균 DL 데이터 레이트 필드(1108), 20MHz 실패율 필드(1109), 40MHz 실패율 필드(1110), 80MHz 실패율 필드(1111), 160MHz 실패율 필드(1112),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1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은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이전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사용된 대역폭 정보,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다음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을 통한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대역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ncludes a frame control field 1100, a duration field 1101, a receiver address field 1102, a transmitter address field 1103, and a feedback control field ( 1104, estimated UL duration field 1105, average UL data rate field 1106, estimated DL duration field 1107, average DL data rate field 1108, 20 MHz failure rate field 1109 ), A 40 MHz failure rate field 1110, an 80 MHz failure rate field 1111, a 160 MHz failure rate field 1112, and a frame check sequence (FCS) field 1113. In additio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s the minimum bandwidth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interv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next beacon frame), bandwidth information used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previous beacon frame). I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피드백 컨트롤 필드(1104)는 대역폭 필드(1104-1), UL 피드백 지시(indication) 필드(1104-2), DL 피드백 지시 필드(1104-3), 20MHz 지시 필드(1104-4), 40MHz 지시 필드(1104-5), 80MHz 지시 필드(1104-6), 160MHz 지시 필드(1104-7)를 포함할 수 있다.Feedback control field 1104 includes bandwidth field 1104-1, UL feedback indication field 1104-2, DL feedback indication field 1104-3, 20 MHz indication field 1104-4, 40 MHz indication field. 1104-5, an 80 MHz indication field 1104-6, and a 160 MHz indication field 1104-7.

대역폭 필드(1104-1)는 2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대역폭 필드(1104-1) 는 다음 인터벌 동안 필요한 최소 대역폭(20MHz/40MHz/80MHz/160MHz 등)을 나타낸다. 20MHz 지시 필드(1104-4), 40MHz 지시 필드(1104-5), 80MHz 지시 필드(1104-6), 160MHz 지시 필드(1104-7)는 각각 1비트의 크기를 가지며, 각각 이전 전송 인터벌 동안 20MHz, 40MHz, 80MHz, 160MHz 로 전송이 이루어졌었는지를 나타낸다. 이 비트가 1로 설정되면 이전 전송시 해당 대역폭으로 전송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며, 0인 경우 해당 대역폭으로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나타낸다.The bandwidth field 1104-1 may have a size of 2 bits. The bandwidth field 1104-1 indicates the minimum bandwidth required (20 MHz / 40 MHz / 80 MHz / 160 MHz, etc.) for the next interval. The 20 MHz indication field 1104-4, the 40 MHz indication field 1104-5, the 80 MHz indication field 1104-6, and the 160 MHz indication field 1104-7 each have a size of 1 bit, each 20 MHz during the previous transmission interval. , 40MHz, 80MHz, 160MHz whether the transmission was made. If this bit is set to '1', it means that the previous transmission has been performed with the corresponding bandwidth.

UL 피드백 지시 필드(1104-2)는 1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추정된 UL 듀레이션 필드(1105) 및 평균 UL 데이터 레이트 필드(1106)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비트가 1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추정된 UL 듀레이션 필드(1105) 및 평균 UL 데이터 레이트 필드(1106)가 존재하며, 0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추정된 UL 듀레이션 필드(1105) 및 평균 UL 데이터 레이트 필드(1106)가 존재하지 않는다. The UL feedback indication field 1104-2 may have a size of 1 bit and may indicate whether an estimated UL duration field 1105 and an average UL data rate field 1106 exist in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f this bit is 1 then there is an estimated UL duration field 1105 and an average UL data rate field 1106 with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and if 0 this is an estimated UL duration field 1105 and average UL data with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There is no rate field 1106.

DL 피드백 지시 필드(1104-3)는 1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추정된 DL 듀레이션 필드(1107) 및 평균 DL 데이터 레이트 필드(1108)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비트가 1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추정된 DL 듀레이션 필드(1107) 및 평균 DL 데이터 레이트 필드(1108)가 존재하며, 0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추정된 DL 듀레이션 필드(1107) 및 평균 DL 데이터 레이트 필드(1108)가 존재하지 않는다.The DL feedback indication field 1104-3 may have a size of 1 bit and may indicate whether the estimated DL duration field 1107 and the average DL data rate field 1108 exist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f this bit is 1 then there is an estimated DL duration field 1107 and an average DL data rate field 1108 with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and if 0 this is an estimated DL duration field 1107 and average DL data with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There is no rate field 1108.

20MHz 지시 필드(1104-4)가 1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20MHz 실패율 필드(1109)가 존재하며, 0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20MHz 실패율 필드(1109)가 존재하지 않는다. 40MHz 지시 필드(1104-5)가 1이면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40MHz 실패율 필드(1110)가 존재하며, 0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40MHz 실패율 필드(1110)가 존재하지 않는다. 80MHz 지시 필드(1104-6)가 1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80MHz 실패율 필드(1111)가 존재하며, 0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80MHz 실패율 필드(1111)가 존재하지 않는다. 160MHz 지시 필드(1104-7)가 1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160MHz 실패율 필드(1112)가 존재하며, 0이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 내에 160MHz 실패율 필드(1112)가 존재하지 않는다.If the 20 MHz indication field 1104-4 is 1, the 20 MHz failure rate field 1109 is present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f 0, the 20 MHz failure rate field 1109 is not present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f the 40 MHz indication field 1104-5 is 1, the 40 MHz failure rate field 1110 is present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f the 40 MHz indication field 1104-5 is 1, the 40 MHz failure rate field 1110 is not present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f the 80 MHz indication field 1104-6 is 1, the 80 MHz failure rate field 1111 is present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f 0, the 80 MHz failure rate field 1111 is not present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f the 160 MHz indication field 1104-7 is 1, the 160 MHz failure rate field 1112 is present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f 0, the 160 MHz failure rate field 1112 is not present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추정된 UL 듀레이션 필드(1105)는 2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은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전송될 데이터 크기 및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상향링크 전송의 평균 데이터 레이트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평균 UL 데이터 레이트 필드(1106)는 2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상향링크 전송의 평균 데이터 레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The estimated UL duration field 1105 may have a size of two octets and may indicate an expected duration required for uplink transmission during an interval according to a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The expected duration required for uplink transmission is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and the average data rate of the uplink transmission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I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average UL data rate field 1106 may have a size of two octets and may indicate an average data rate of uplink transmission during an interval according to a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추정된 DL 듀레이션 필드(1107)는 1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은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전송될 데이터 크기 및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하향링크 전송의 평균 데이터 레이트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평균 DL 데이터 레이트 필드(1108)는 1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하향링크 전송의 평균 데이터 레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The estimated DL duration field 1107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and may indicate an expected duration required for downlink transmission during an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The expected duration required for downlink transmission is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and the average data rate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I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average DL data rate field 1108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and may indicate an average data rate of downlink transmission during an interval according to a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20MHz 실패율 필드(1109)는 1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20MHz 대역폭을 통한 전송의 실패율을 나타낼 수 있다. 40MHz 실패율 필드(1110)는 1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40MHz 대역폭을 통한 전송의 실패율을 나타낼 수 있다. 80MHz 실패율 필드(1111)는 1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80MHz 대역폭을 통한 전송의 실패율을 나타낼 수 있다. 160MHz 실패율 필드(1112)는 1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또는,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160MHz 대역폭을 통한 전송의 실패율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실패율은 '(전송 실패 횟수/전송 시도 횟수)×255'로 표현될 수 있다.
The 20 MHz failure rate field 1109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and may indicate a failure rate of transmission through a 20 MHz bandwidth during an interval according to a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The 40 MHz failure rate field 1110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and may indicate a failure rate of transmission over a 40 MHz bandwidth during an interval according to a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The 80 MHz failure rate field 1111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and may indicate a failure rate of transmission over an 80 MHz bandwidth during an interval according to a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The 160 MHz failure rate field 1112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and may indicate a failure rate of transmission through a 160 MHz bandwidth during an interval according to a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or beacon frame). Here, the transmission failure rate may be expressed as '(transmission failure count / transmission attempt count) × 255'.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생성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임의의 폴(poll)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생성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의 전송을 보호하기 위해 전체 동작 채널인 CH0~CH3을 통해 non-HT(high throughput) 듀플리케이트(duplicate) 형태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8 and 9,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the generat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to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access point AP1 receives an arbitrary poll frame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the first access point AP1 transmits the generat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to the master access point M-AP. Can be. At this time, the first access point AP1 is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in a non-HT (duplicate) format through the entire operating channels CH0 to CH3 to protect transmiss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802 may be sent to a master access point (M-AP).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로부터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에 포함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상향링크 전송의 평균 데이터 레이트, 하향링크 전송의 평균 데이터 레이트 등을 고려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receive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Coordin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terval. For exampl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include an expected duration required for uplink transmission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an estimated duration required for downlink transmission, and an average data rate of uplink transmi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data rate of downlink transmission, a resource may be alloca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또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대역폭에 따른 전송 실패율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전송 실패율이 낮은 대역폭을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80MHz 대역폭에 비해 40MHz 대역폭 이하의 전송 실패율이 낮은 경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40MHz 대역폭 이하를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allocate a bandwidth having a relatively low transmission failure rate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ssion failure rate according to the bandwidth. 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failure rate of 40 MHz bandwidth or less is lower than the 80 MHz bandwidth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access the first access below 40 MHz bandwidth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Can be assigned to the point AP1.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의 수신을 완료한 경우 제2 액세스 포인트(AP2)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위한 자원 할당 프레임(803)을 생성할 수 있다. 자원 할당 프레임(803)에 포함된 자원 할당 엘리먼트는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자원 할당 엘리먼트와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master access point (M-AP) completes recept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generate a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for coordination with respect to an operation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second access point AP2. have.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may be the same as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즉, 자원 할당 프레임(803)의 자원 할당 엘리먼트는 2개의 할당된 자원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할당된 자원 필드는 자원 할당 프레임(803)의 전송 시점부터 T2의 시작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T2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필드, CH3~CH4를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할당된 자원 필드는 자원 할당 프레임(803)의 전송 시점 부터 T3의 시작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T3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필드, CH1~CH4를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원 할당 프레임(803)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의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자원 할당 프레임(803)의 전송 시점부터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의 전송 완료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That is,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of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may include two allocated resource fields. The first allocated resource field may include a start time field indicating a duration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to the start time of T2, a duration field indicating the duration of T2, and a bandwidth field indicating CH3 to CH4. . The second allocated resource field may include a start time field indicating a duration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to the start time of T3, a duration field indicating the duration of T3, and a bandwidth field indicating CH1 to CH4. . In addition, the duration field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may include the time period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to the transmission completion time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in order to ensure transmiss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It can indicate duration.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자원 할당 프레임(803)을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의 프라이머리 채널인 CH4를 통해 자원 할당 프레임(803)을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자원 할당 프레임(803)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자원 할당 프레임(803)에 포함된 자원 할당 엘리먼트를 기반으로 T2 동안 CH3~CH4가 사용 가능하고 T3 동안 CH1~CH4가 사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자원 할당 프레임(803)에 포함된 자원 할당 엘리먼트를 기반으로 자원 할당 프레임(803)의 인터벌, 피리어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의 비컨 인터벌, TBTT, 타임 스탬프 등을 알 수 있다.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transmit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this cas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transmit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hrough CH4, which is a primary channel of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receive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nd,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received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CH3 ˜2 during the T2. You can see that CH4 is available and CH1 ~ CH4 are available during T3. In additio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be based on a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an interval of a resource allocation frame 803, a period, a beacon interval of a master access point (M-AP), TBTT, Know the time stamp and the like.

그 후에,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생성할 수 있다.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은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요구되는 자원 정보를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은 앞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과 동일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generate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may be used to infor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of resource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may be the same as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1.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생성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임의의 폴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생성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의 전송을 보호하기 위해 전체 동작 채널인 CH1~CH4을 통해 non-HT 듀플리케이트 형태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the generat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to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lternatively, whe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receives any poll frame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the generat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to the master access point M-AP. In this cas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sters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in a non-HT duplicate form through the entire operating channels CH1 to CH4 to protect transmiss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M-AP) can be sent.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로부터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에 포함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상향링크 전송의 평균 데이터 레이트, 하향링크 전송의 평균 데이터 레이트 등을 고려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receive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from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Coordin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terval. For exampl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include an expected duration required for uplink transmission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an estimated duration required for downlink transmission, and an average data rate of uplink transmi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data rate of downlink transmission, a resource may be allocated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또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대역폭에 따른 전송 실패율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전송 실패율이 낮은 대역폭을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80MHz 대역폭에 비해 40MHz 대역폭 이하의 전송 실패율이 낮은 경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40MHz 대역폭 이하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allocate a bandwidth having a relatively low transmission failure rate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ssion failure rate according to the bandwidth. 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failure rate of 40 MHz bandwidth or less is lower than the 80 MHz bandwidth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fram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access the second access below 40 MHz bandwidth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Can be assigned to the point AP2.

비컨 프레임 기반의 코디네이션Beacon frame-based coordination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채널 코디네이션을 위한 제1 자원 할당 엘리먼트, 제2 액세스 포인트(AP)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에 대한 채널 코디네이션을 위한 제2 자원 할당 엘리먼트를 포함한 비컨 프레임(800)을 생성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엘리먼트들 각각은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자원 할당 엘리먼트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할당 엘리먼트가 복수의 전송 구간을 나타내는 경우, 하나의 자원 할당 엘리먼트 내에 복수의 할당된 자원 필드가 존재할 수 있다. The master access point (M-AP) is a first resource allocation element for channel coordination for the operating channel and the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first access point (AP), the operating channel and the channel for the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second access point (AP) A beacon frame 800 including a second resource allocation element for coordination may be generated. Each of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s may be the same as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Here, when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dicat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intervals, a plurality of allocated resource fields may exist in on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제1 자원 할당 엘리먼트는 2개의 할당된 자원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할당된 자원 필드는 비컨 프레임(800)의 전송 시점부터 T1의 시작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T1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필드, CH0~CH3을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할당된 자원 필드는 비컨 프레임(800)의 전송 시점 부터 T2의 시작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T2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필드, CH0~CH1을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원 할당 엘리먼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source allocation element may include two allocated resource fields. The first allocated resource field may include a start time field indicating a duration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beacon frame 800 to the start time of T1, a duration field indicating the duration of T1, and a bandwidth field indicating CH0 to CH3. The second allocated resource field may include a start time field indicating a duration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beacon frame 800 to the start time of T2, a duration field indicating the duration of T2, and a bandwidth field indicating CH0 to CH1. In addition, the first resource allocation element may further include a 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제2 자원 할당 엘리먼트 2개의 할당된 자원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할당된 자원 필드는 비컨 프레임(800)의 전송 시점부터 T2의 시작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T2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필드, CH3~CH4를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할당된 자원 필드는 비컨 프레임(800)의 전송 시점 부터 T3의 시작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T3의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필드, CH1~CH4를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원 할당 엘리먼트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의 BSS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source allocation element may include two allocated resource fields. The first allocated resource field may include a start time field indicating a duration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beacon frame 800 to the start time of T2, a duration field indicating the duration of T2, and a bandwidth field indicating CH3 to CH4. The second allocated resource field may include a start time field indicating a duration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beacon frame 800 to the start time of T3, a duration field indicating the duration of T3, and a bandwidth field indicating CH1 to CH4. In addition, the second resource allocation element may further include the BSSID of the second access point AP2.

한편,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들(802, 804)의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들(802, 804) 각각에 대한 RAW(restricted access window)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RAW 정보를 포함한 비컨 프레임(800)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비컨 프레임(800)의 듀레이션 필드를 사용하여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들(802, 804)의 전송을 보장할 수 있다. 즉, 비컨 프레임(800)의 듀레이션 필드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들(802, 804)의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비컨 프레임(800)의 전송 시점부터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들(802, 804)의 전송 완료 시점까지의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Meanwhil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set a restricted access window (RAW) for each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s 802 and 804 to ensure transmiss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s 802 and 804. The beacon frame 800 including the set RAW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lternatively,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ensure transmission of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s 802, 804 using the duration field of the beacon frame 800. That is, the duration field of the beacon frame 800 is a transmission completion time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s 802, 804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beacon frame 800 to ensure the transmiss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s (802, 804) It can represent the duration up to.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비컨 프레임(800)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의 전체 동작 채널인 CH0~CH4를 통해 non-HT 듀플리케이트 형태로 비컨 프레임(800)을 전송할 수 있다.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transmit the beacon frame 800 in a broadcast manner. In this case,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transmit the beacon frame 800 in a non-HT duplicate form through CH0 to CH4 which are the entire operating channels of the master access point (M-AP).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비컨 프레임(800)을 수신할 수 있고, 비컨 프레임(800)에 포함된 제1 자원 할당 엘리먼트를 기반으로 T1 동안 CH0~CH3이 사용 가능하고 T2 동안 CH0~CH1이 사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에,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생성할 수 있다.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은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요구되는 자원 정보를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은 앞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과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receive the beacon frame 800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nd CH0 to CH3 are generated during T1 based on the first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beacon frame 800. You can see that it is available and CH0 ~ CH1 are available during T2. Thereafter,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generate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may be used to infor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of resource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may be the same as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1.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생성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임의의 폴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생성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의 전송을 보호하기 위해 전체 동작 채널인 CH0~CH3을 통해 non-HT 듀플리케이트 형태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the generat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to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access point AP1 receives an arbitrary poll frame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the generat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to the master access point M-AP. In this cas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sters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in a non-HT duplicate form through the entire operating channels CH0 to CH3 to protect transmiss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M-AP) can be sent.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로부터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2)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receive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may transmit to the next beacon 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2. The coordination of the intervals can be performed.

한편,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비컨 프레임(800)을 수신할 수 있고, 비컨 프레임(800)에 포함된 제2 자원 할당 엘리먼트를 기반으로 기반으로 T2 동안 CH3~CH4가 사용 가능하고 T3 동안 CH1~CH4가 사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에,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생성할 수 있다.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은 다음 자원 할당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 동안 요구되는 자원 정보를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은 앞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과 동일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receive the beacon frame 800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nd during T2 based on the second resource alloc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beacon frame 800. It can be seen that CH3 ~ CH4 are available and CH1 ~ CH4 are available during T3. Thereafter,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generate a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may be used to infor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of resource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next resource allocation frame.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may be the same as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1.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생성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임의의 폴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생성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의 전송을 보호하기 위해 전체 동작 채널인 CH1~CH4을 통해 non-HT 듀플리케이트 형태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the generat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to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lternatively, whe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receives any poll frame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M-AP,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the generat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to the master access point M-AP. In this cas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sters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in a non-HT duplicate form through the entire operating channels CH1 to CH4 to protect transmiss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M-AP) can be sent.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로부터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804)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 비컨 프레임에 따른 인터벌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ster access point (M-AP) may receive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from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ransmits to the next beacon 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804. The coordination of the intervals can be performed.

한편,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M-AP)와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이 숨겨진 액세스 포인트 관계인 경우, 자원 할당 엘리먼트 및 자원 할당 피드백 프레임은 유선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master access point (M-AP) and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have a hidden access point relationship, the resource allocation element and the resource allocation feedback frame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 wire.

다음으로,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각각의 프레임 송수신 절차가 설명될 것이다. 프레임 송수신 절차는 자원 할당 프레임 기반의 코디네이션 방식 또는 비컨 프레임 기반의 코디네이션 방식에서 모두 동일하므로 통합적으로 설명될 것이다.Next, a fr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of each of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will be described. The fr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is the same in both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based coordination scheme and the beacon frame-based coordination scheme, and thus will be described collectively.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T1에서 CH0~CH4를 사용하여 BSS1에 속한 단말들과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비컨 프레임(805)을 전송함으로써 BSS1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링(buffering) 되어 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비컨 프레임(805)은 하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08, 809, 811, 812)의 전송을 위한 DL RAW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10, 813)의 전송을 위한 UL RA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08, 809, 811, 812)의 송수신은 DL RAW 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10, 813)의 송수신은 UL RAW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nd receive a frame with terminals belonging to the BSS1 using CH0 to CH4 at T1. That is,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notify that data for at least one terminal belonging to the BSS1 is buffered by transmitting the beacon frame 805. In addition, the beacon frame 805 may include DL RAW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downlink data frames 808, 809, 811, 812 and UL RAW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frames 810, 813. Can be. That i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ownlink data frames 808, 809, 811, and 812 may be performed in DL RAW,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uplink data frames 810, 813 may be performed in UL RAW.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BSS1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PS(power save)-Poll 프레임들(806, 807)을 수신할 수 있고, PS-Poll 프레임들(806, 807)을 통해 단말들이 깨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하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08, 809)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BSS1에 속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 프레임(810)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에,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T2에서 CH0~CH1을 사용하여 BSS1에 속한 단말들과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하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11, 812)을 BSS1에 속한 단말들에 전송할 수 있고, BSS1에 속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프레임(813)을 수신할 수 있다.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receive power save (POLL) -Poll frames 806 and 807 from terminals belonging to the BSS1 and the terminals are awake through the PS-Poll frames 806 and 807. After confirming, the downlink data frames 808 and 809 may b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receive an uplink data frame 810 from a terminal belonging to the BSS1. Thereafter,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 receive a frame with terminals belonging to the BSS1 using CH0 to CH1 at T2. That is,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the downlink data frames 811 and 812 to the terminals belonging to the BSS1 and may receive the uplink frame 813 from the terminal belonging to the BSS1.

한편,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T2에서 CH3~CH4를 사용하여 BSS2에 속한 단말들과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비컨 프레임(814)을 전송함으로써 BSS2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링 되어 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비컨 프레임(814)은 하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17, 818, 819, 820)의 전송을 위한 DL RAW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프레임(821)의 전송을 위한 UL RA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17, 818, 819, 820)의 송수신은 DL RAW 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프레임(821)의 송수신은 UL RAW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and receive a frame with terminals belonging to the BSS2 using CH3 to CH4 in T2. That is,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inform that the data for at least one terminal belonging to the BSS2 is buffered by transmitting the beacon frame 814. Also, the beacon frame 814 may include DL RAW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downlink data frames 817, 818, 819, and 820 and UL RAW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frame 821. That i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ownlink data frames 817, 818, 819, and 820 may be performed in DL RAW,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uplink data frame 821 may be performed in UL RAW.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BSS2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PS-Poll 프레임들(815, 816)을 수신할 수 있고, PS-Poll 프레임들(815, 816)을 통해 단말들이 깨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하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17, 818)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T2 동안 협대역을 통해 제1 액세스 포인트(AP1)와 동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receive the PS-Poll frames 815 and 816 from terminals belonging to the BSS2, and after confirming that the terminals are awake through the PS-Poll frames 815 and 816, Link data frames 817 and 818 may be transmitted. That is,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perform simultaneous transmission with the first access point AP1 through the narrow band during T2.

그 후에,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T3에서 CH1~CH4를 사용하여 BSS2에 속한 단말들과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하향링크 데이터 프레임들(819, 820)을 BSS2에 속한 단말들에 전송할 수 있고, BSS2에 속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프레임(821)을 수신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 receive a frame with UEs belonging to the BSS2 using CH1 to CH4 in T3. That is,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the downlink data frames 819 and 820 to the terminals belonging to the BSS2 and may receive the uplink frame 821 from the terminal belonging to the BSS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기반으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A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refer to a hardware device that i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a ROM, a RAM, a flash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The program command may mean a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based on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Claims (20)

제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서 수행되는 채널 설정 방법으로서,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인터벌(interval)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인터벌과 연속하는 제2 인터벌을 통한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2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제1 인터벌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자원들을 지시하고, 상기 자원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인터벌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무선 자원들을 지시하는, 채널 설정 방법.
A channel setting method performed in a first access point,
Receiving a first frame compris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a first interval from a second access point;
Generating a second frame including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second interval subsequent to the first interv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dicates radio resources used for communication of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the first interval, and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is radio required for communication of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the second interval. A method of channel establishment, indicating resourc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비컨 프레임(beacon frame)인, 채널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frame is a beacon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전송 시작 시점부터 상기 제2 프레임의 전송 종료 시점까지를 나타내는 듀레이션(duration)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rame includes du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transmission start time of the first frame to the transmission end time of the second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전송 구간을 나타내는 제한된 접속 윈도우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frame includes limited access window information indicating a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second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인터벌의 시작 시점에 수신되는, 채널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frame is received at the start of the first interv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제1 인터벌 동안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채널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heduling information,
And indicat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ng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first access point during the first interv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원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인터벌을 통한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정보,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데이터 레이트(rate) 및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대역폭 별 전송 실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채널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At least one of expected du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frame through the second interval, a data rate at the first pre-interval, and a transmission failure rate for each bandwidth at the pre-first interval; How to set u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폴(poll)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채널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ransmitting the second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Transmitting the second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when a poll fram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access p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설정 방법은,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의해 지시된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nnel setting method,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ame with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an operating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indicated by the scheduling information.
제2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서 수행되는 채널 관리 방법으로서,
제1 인터벌(interval)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을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터벌과 연속하는 제2 인터벌을 통한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2 프레임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제1 인터벌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자원들을 지시하고, 상기 자원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인터벌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무선 자원들을 지시하는, 채널 관리 방법.
A channel management method performed at a second access point,
Generating a first frame includ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a first interval;
Transmitting the first frame to a first access point; And
Receiving a second frame from the first access point, the second frame including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ssion / reception over a second interval subsequent to the first interval,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dicates radio resources used for communication of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the first interval, and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is radio required for communication of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the second interval. A channel management method that directs resource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자원 할당 프레임(resource allocation frame)인, 채널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And the first frame is a resource allocation fram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프레임이 전송된 후에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채널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frame,
And a beacon frame of the second access poin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제1 인터벌 동안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채널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scheduling information,
And indicat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ng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first access point during the first interval.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원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인터벌을 통한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정보,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데이터 레이트(rate) 및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대역폭 별 전송 실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채널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At least one of expected du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frame through the second interval, a data rate at the first pre-interval, and a transmission failure rate for each bandwidth at the pre-first interval; How to manag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채널 관리 방법은,
상기 자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인터벌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channel management method,
Generat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second interval based on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제1 액세스 포인트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인터벌(interval)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인터벌과 연속하는 제2 인터벌을 통한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2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하며,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제1 인터벌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자원들을 지시하고, 상기 자원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인터벌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무선 자원들을 지시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
As the first access point,
A processor; And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by the processor includes a memory (memory),
The at least one command is
Receiving a first frame compris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a first interval from a second access point;
Generating a second frame including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second interval subsequent to the first interval; And
Perform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cond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dicates radio resources used for communication of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the first interval, and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is radio required for communication of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the second interval. A first access point indicating resources.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제1 인터벌 동안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schedul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n operating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first access point during the first interval.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자원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인터벌을 통한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예상 듀레이션 정보,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데이터 레이트(rate) 및 상기 제1 인터벌 이전 인터벌에서의 대역폭 별 전송 실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At least one of expected du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fr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second interval, a data rate at the first pre-interval, and a transmission failure rate for each bandwidth at the first pre-interval; 1 access point.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자원 할당 프레임(resource allocation frame)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ransmitting the second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Transmitting the second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when a resource allocation fram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access point.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의해 지시된 동작 채널 및 전송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제1 액세스 포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at least one command i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ame with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within an operating channel and a transmission interval indicated by the scheduling information.
KR1020140172441A 2013-12-04 2014-12-03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74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61,007 US9882701B2 (en) 2013-12-04 2014-12-04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165 2013-12-04
KR20130150165 2013-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155A KR20150065155A (en) 2015-06-12
KR102074926B1 true KR102074926B1 (en) 2020-02-07

Family

ID=5350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441A KR102074926B1 (en) 2013-12-04 2014-12-03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9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5355A1 (en) * 2016-12-30 2018-07-05 Intel IP Corporation Simultaneous downlink transmission coordination
EP3942858A1 (en) 2019-03-21 2022-01-26 Marvell Asia Pte, Ltd. Coordinated multi-user transmissions with multiple access points
CN115226114A (en) * 2022-07-31 2022-10-21 深圳市风云实业有限公司 Wireless networking system of Internet of thin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667A (en) 2000-11-17 2002-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adio equipment and radio network
KR100470070B1 (en) 2002-12-20 2005-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packet bridging between access points of wireless LAN and method thereof, its program storing recording medium
JP2005236637A (en) * 2004-02-19 2005-09-02 Seiko Epson Corp Communications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322B1 (en) * 2005-11-02 2013-02-19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channel coordination for a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JP4757671B2 (en) * 2006-03-16 2011-08-24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base station program
US8693316B2 (en) * 2009-02-10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resource negotiation and allocation over a wireless inte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667A (en) 2000-11-17 2002-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adio equipment and radio network
KR100470070B1 (en) 2002-12-20 2005-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packet bridging between access points of wireless LAN and method thereof, its program storing recording medium
JP2005236637A (en) * 2004-02-19 2005-09-02 Seiko Epson Corp Communications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155A (en)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710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data from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US98827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060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in a wireless LAN system
US11160135B2 (en) Frame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in access point, frame reception method performed in terminal, and access point
KR102175543B1 (en) Method for alleviating problem of hidden n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EP2362580A2 (en)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an, and channel estimation for the same
US20120002634A1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US2024015568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201501637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214428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00507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power-saving poll transmission
US1101227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10225860B2 (en) Channel access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LAN system
US2023030088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multiple channels
KR102185988B1 (en) Operation method of st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20025296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av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KR102074926B1 (en)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378708B1 (en) Operation method of st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GB25118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070883B1 (en) Method for manag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56655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2330007B1 (en) Method for discovering neighbor n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