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175B1 -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 Google Patents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175B1
KR102072175B1 KR1020180132858A KR20180132858A KR102072175B1 KR 102072175 B1 KR102072175 B1 KR 102072175B1 KR 1020180132858 A KR1020180132858 A KR 1020180132858A KR 20180132858 A KR20180132858 A KR 20180132858A KR 102072175 B1 KR102072175 B1 KR 10207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haracter toy
artificial intelligence
sensor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정원
Original Assignee
(주)아이유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유디자인 filed Critical (주)아이유디자인
Priority to KR102018013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1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A smart character toy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mory; a sensor unit recognizing an object and collecting data sensed through at least one sensor related to the recognized object;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nd generating output data of the character toy based on the collected sensor data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output data of the generated character toy.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Smart Characte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본 발명은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릭터 장난감에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내장하여 어떤 조건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변신까지 가능하도록 구현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haracter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character toy embodied to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under certain conditions by embed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unction in the character toy.

종래에는 봉제 형태나 레고와 같은 형태의 조립 가능한 장난감이었다. 후자와 같이 조립 가능한 장난감도 조립 후에는 미리 정해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Conventionally, it was an assembled toy in the form of a sewing or lego type. Like the latter, assembling toys als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fter assembly.

성별을 떠나 대부분의 유소년기 아이들은 많은 시간을 장난감을 가지고 놀면서 성장하고 그 과정에서 아이들의 지능 계발 등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비단 유소년기의 아이들뿐만 아니라 1인 가구가 늘고 복잡하고 빠르게 발전해 나가는 사회에서 성인들도 외로움을 느끼거나 인간관계나 사회관계에 대한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느끼고 이의 해소에도 장난감은 도움이 되고 있다. Apart from gender, most childhood children grow up spending a lot of time playing with toys, and in the process, they play a positive role in helping children develop their intelligence. In a society where not only children in childhood but also single households are growing and complex and rapidly developing, adults feel lonely or have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human or social relations, and toys are helpful. have.

최근에는 고가의 피규어 수집을 취미로 하는 일부 마니아층이 관심을 끌었으나, 이는 개인의 만족감 고취, 재테크 수단 등의 목적에 그치고 통상 진열장에 보관할 뿐이다.In recent years, some enthusiasts who collect expensive figures as a hobby have attracted attention, but this is only for the purpose of encouraging personal satisfaction and financial means, and usually storing them in the showcase.

이와 같이, 종래 장난감은 디지털화 되고 있는 사회에서 잠깐의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순 있으나 그 이상의 기능이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As such, the conventional toy may play a role of giving a brief analogue sensibility in a digitized society, but does not perform more functions or roles.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인공지능(AI)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장난감을 통하여 종래 장난감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벗어나 사람이나 다른 개체(entity)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a person or another entity (entity)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toys through a smart toy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다양한 센서가 포함된 센서부를 스마트 장난감에 내장하여 그로부터 수집한 센싱 정보와 그에 기초한 인공지능(AI) 기능을 활용하여, 장난감 고유의 기능인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 제공을 더욱 증대하고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provision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hich is a unique function of the toy, by utilizing a sensor unit including various sensors in a smart toy and using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erefro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function based thereon. It is to be able to play various roles in various situations in daily lif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다양한 형상의 외관으로 변신 가능한 스마트 장난감을 구현하여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d implement a smart toy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of appearanc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캐릭터 장난감은, 메모리; 객체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객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센싱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인공지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장난감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캐릭터 장난감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캐릭터 장난감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 toy embedded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memory; A sensor unit recognizing an object and collecting data sensed through at least one sensor related to the recognized object;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nd generating output data of the character toy based on the collected sensor data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 control unit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the character toy;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output data of the generated character to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릭터 장난감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파트로 구분되고, 제1 파트는 상기 센서부와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고, 제2 파트는 적어도 상기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한 데이터 처리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toy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parts in a detachable structure, a first part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sensor part and an output part, and a second part includes at leas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modu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는, 시각과 청각과 관련된 센서가 포함되어,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sensor unit embedded in the first part includes a sensor related to vision and hearing, and senses at least one or more of audio data, image data, and video data. It is don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상기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출력 데이터를 오디오 형태로 출력 및/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객체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output unit embedded in the first par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aker and a microphone, and outputs and / or outputs the generated output data in audio form through the speaker. And receiving audio data input from an object through the microphon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파트에 내장된 인공지능모듈은, 빅데이터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센싱된 데이터와 상기 인지된 객체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고, 빅데이터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객체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서비스 모드에 관한 지능형 데이터를 포함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embedded in the second part may include a big data module to process big data of the input data including the sensed data and audio data of the recognized object, And output data including intelligent data about a service mode for communication with the object from the big data processed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되는 지능형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모드에 따라, 대화형 데이터, 알림 데이터 및 연동된 기기에 대한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ed intelligent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teractive data, notification data, and control data for an associated device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모드는, 대화 서비스 모드, 알림 서비스 모드, 기기 제어 서비스 모드 및 객체 안전 서비스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conversation service mode, notification service mode, device control service mode and object safety service mo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되고 이후 다시 연결되면,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에 내장된 구성을 인지하고, 인지된 각 파트의 구성들이 상호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detects whether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wh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then connected agai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It recognizes the configuration embedded in the two part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of the components of each of the recognized parts are interlock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이면, 미리 등록된 기기로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알림 데이터 전송에 따른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부터 피드백이 수신되면, 상기 분리된 제1 파트의 센서를 임의 턴-온 시켜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the separat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time, the controller transmits notification data to a pre-registered device, and the notification. When the feedback is received from the pre-registered device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the sensor of the separated first part is randomly turned on to transmit the sensed data to the pre-registered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될 때, 분리 직전에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분리 직전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알림 데이터 전송 이후에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수신한 피드백에 따라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와 함께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the controller collects sensing data immediately before separation through a sensor embedded in the first part immediately before separation, and the notification. After the data transmission, the sensing data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feedback received from the pre-registered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pre-registered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obtained the effect described below. However, effects obtain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AI)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장난감을 통하여 종래 장난감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벗어나 사람이나 다른 개체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data) communication with a person or another entity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mart toy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unction,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toy.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센서가 포함된 센서부를 스마트 장난감에 내장하여 그로부터 수집한 센싱 정보와 그에 기초한 인공지능(AI) 기능을 활용하여, 장난감 고유의 기능인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 제공을 더욱 증대하고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ensor unit containing a variety of sensors in the smart toy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erefro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on it, to further provide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at is a unique feature of the to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able you to play various roles in different situations in everyday life.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외관으로 변신 가능한 스마트 장난감을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by implementing a smart toy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of appear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이 포함된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시스템(100) 내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외관 및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현되어 변신 가능한 구조를 가진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vice system including a smart character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data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n th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and configura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mart character toy 11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implement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which will be given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expla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only.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the core functions of the structures and devices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ortion is said to "comprising" (or including) a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o.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Furthermore, "a" or "an", "one", and the like shall be,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ngular and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or is clearly contradicted by the context. It can be used as a meaning including.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us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se of this specific terminology may be modifi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장난감(또는 인공지능 장난감)을 통하여 종래 장난감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벗어나 사람이나 다른 개체(entity)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다양한 센서가 포함된 센서부를 스마트 장난감에 내장하거나 부착하여 그를 통해 수집한 센싱 정보와 그에 기초한 인공지능(AI) 기능을 활용하여, 장난감 고유의 기능인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 제공을 더욱 증대하고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 등에 대해 기술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은 적어도 일부 구성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가지도록 구조화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외관으로 변신 가능한 스마트 장난감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toy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toy) hav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person or another entity (data) with a person or another entity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toy. To this end, the sensor unit including various sensors is embedded or attached to the smart toy to utilize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mart toy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function based on the toy to further provid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 unique function of the toy. Describe how to increase and play different roles in different situations in everyday life. In addition, the smart character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so that at least part of the configuration to have a removable / attachable structure, through this it will also be described how to implement a smart toy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variety of appear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이 포함된 서비스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vice system 100 including a smart character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이 포함된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와 프로세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20), 3D(3 Dimensional) 프린터(140)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ervice system 100 including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ncludes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nd the processor 130.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servic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terminal 120, a 3D printer 140, and the like.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상기 단말(120)과 3D 프린터(140)가 포함된 서비스 시스템(100)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service system 100 including the terminal 120 and the 3D printer 14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도 1의 각 구성요소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서비스 시스템(100) 내에 각 구성요소는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이 포함된 서비스 시스템(100)을 위한 전용 프로토콜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전용 프로토콜이 별도로 정의될 필요는 없으며,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data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etween components of FIG. 1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In other words, each component in the service system 100 may or may not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using one communication protocol. In the former case, the one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a dedicated protocol for the service system 100 including the smart character toy 110. However, the dedicated protocol does not need to be defined separately, and may be determined from an existing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AI 기능 수행을 위한 모듈을 내장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12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구조, 기능 등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내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한다.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embed or attach at least one sensor and a module for performing an AI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terminal 120 and / or at least one processor 13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tructure, function, etc. of such a smart character toy 1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the relevant par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상기 단말(130)은,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및/또는 상기 프로세서(13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The terminal 130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nd / or the processor 130.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130)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130 is provided with a display, data received by 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be output to be viewed by a pers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130)은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그를 대신하여 상기 프로세서(130)로 업로드하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rminal 130 may upload the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o the processor 130 in place of it, download the data,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smart character toy 110. .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서 특정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반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에서, 단말(130)이 부모 소유이고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으로부터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수신되면, 그를 화면을 통하여 출력하고, 긴급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상응하여 부모가 상기 긴급 호출 신호에 따른 상황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의 동작은 미리 정의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를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신호에 정의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실시예나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 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specific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 specific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hereto. For example, in the above, when the terminal 130 is owned by the parent and receives still image or video data from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he terminal 130 outputs it through a screen, and when an emergency call signal is received, the parent correspondingly to the emergency Actions can be taken to quickly recognize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20 may be predefined or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nd may be defined and included in a signal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t this tim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description will be revealed in advance.

상기 프로세서(130)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30)가 서버(server)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그에 반응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라 함은 클라우드 서버 등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을 제공하는 제조업체나 상기 장난감을 판매하는 판매업체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등을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130 performs a function such as a server,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and store data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r transmit a control signal in response thereto. Here, the server may include a cloud server and the like, and may be a service server provided by a manufacturer that provides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r a vendor that sells the to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0)는 홈이나 빌딩 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개체이거나 홈 내 가전과 같은 특정 디바이스의 중앙연산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나 제어장치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130 may be an entity that is responsible for overall control in a home or building, or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control device of a specific device such as home appliances. .

상기 3D 프린터(140)는,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전체 또는 일부 구성을 디자인, 제조 등을 수행하는 개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비록 3D 프린터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전체 또는 일부 구성을 디자인, 제조 등을 수행 가능한 개체면 상기 3D 프린터(140)를 대신할 수 있다.The 3D printer 140 is an entity that designs, manufactures, etc. the whole or part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lthough a 3D printer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object surface capable of designing, manufacturing, or the like in whole or in part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be substituted for the 3D printer 140.

한편,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이 자체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120)과 프로세서(1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를 처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cannot process the data collected by itself,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120 and the processor 130 may be implemented to process the data.

또한, 상기 단말(120)과 프로세서(1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과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120 and the processor 130 may download and install software such as an application, a program, or the like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character toy 110.

상기 단말(130)로, 단말 장치, 터미널(Terminal),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일실시예로 할 수 있다. The terminal 130 may include a terminal device, a terminal,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a subscriber station (SS), an advanced mobile station (AMS), a wireless terminal (WT), and a machine (MTC). At least one of a Type Communication (M2M) device, a Machine-to-Machine (M2M) device, and a Device-to-Device (D2D) device may be provided.

물론, 어디까지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에서의 단말은 상술한 예시들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데이터 또는 신호 전송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f cours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all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or signals that are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or will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더불어,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단말 및 하나의 프로세서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단지 '단말'이라고 기술하더라도 그것은 문맥에 따라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단말들이나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one terminal and one processor are illustrated in FIG. 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us, although only described as a 'terminal'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mean a plurality of terminals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the embodiment.

한편, 상기 프로세서(140)는, 클라우드(Cloud) 서버,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processor 140 may include a cloud server,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server, a telephony application server, an instant messaging server, a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MGCF) server, and an MSG message. It may be one of a gateway server, a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 server, and the like.

한편, 상기 단말(130) 또는/및 서비스 서버(14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개체를 지칭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130 and / or the service server 14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refers to an entity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ersonal computer (Tablet PC), and the like.

한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센싱 데이터 외에 텍스트(Text),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영상, 디지털 음성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fers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at supports various data communication such as text, digital image, digital video, digital voice information, in addition to sensing data between components of the service system 100.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를 들어, 상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that supports large-capacity data communication through an Internet Protocol (IP) or an All IP network integrating different IP networks. .

또한, 상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LTE advanced(LTE-A)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wired network,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CDMA,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network, and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LTE advanced. It may be formed b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network including (LTE-A).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시스템(100) 내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외관 및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현되어 변신 가능한 구조를 가진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ata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n th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metho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earance and configura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7 ar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character toy 110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implement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을 위한 장치의 구성은, 전술한 도 1의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단말(120) 또는 프로세서(130) 중 어느 하나의 전부 또는 그 일부이거나 별도에 존재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도 2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기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탈/부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the smart character toy 110 shown in FIG. 2 may include all or a part of, or separately,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smart character toy 110, the terminal 120, or the processor 130. May exist. In the former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FIG. 2 may be a form that is built in or detachable from the inside of the device.

도 2의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을 위한 장치(200)는, 센서부(201), 객체 인식/추출부(202), 객체 데이터 처리부(203), 인공지능 데이터 처리부(204), 서비스 제어부(205), 메모리(206), 출력부(207), 데이터 통신부(208)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206)는 예를 들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외부 메모리(미도시)를 이용하여 대체될 수도 있다.The apparatus 200 for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f FIG. 2 includes a sensor unit 201, an object recognition / extraction unit 202, an object data processing unit 203, an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processing unit 204, and a service control unit ( 205, memory 206, output unit 207, data communication unit 208,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memory 206 may be embedded in, for example,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r may be replaced using an external memory (not shown).

본 명세서에서 '객체'라 함은 사람 즉, 대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람과 같은 생물뿐만 아니라 가구, 가전, 기타 기기 등과 같은 비생물 또는 무생물도 포함하는 개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object' includes a person, that is, a concept including an object,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term 'object' includes not only living things such as humans but also non-living or non-living things such as furniture, home appliances, and other devices.

이하에서는 도 2의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을 위한 장치(200)의 각 구성을 도 3의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데이터 처리 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데이터 처리 방법이라 함은 비즈니스 모델로서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을 통한 서비스 방법도 포함하는 의미로 볼 수 있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200 for the smart character toy of FIG. 2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f FIG. 3. Here, the smart character toy 110 data processing method may be considered to include a service method through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s a business model.

도 2와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데이터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이.2 and 3, the smart character toy 110 data processing method is as follows.

먼저, 센서부(201)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S301), 객체 인식/추출부(202)는 이렇게 수집된 센서부(201)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로부터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S302).First, the sensor unit 201 collects sensing data using various sensors (S301), and the object recognition / extraction unit 202 receives the sensing data of the sensor unit 201 thus collected and recognizes an object therefrom. Data about the recognized object is extracted (S302).

서비스 제어부(205)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서비스 모드를 판단하고(S303), 인공지능 데이터 처리부(204)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서비스 모드에 따른 지능형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부(207)를 통해 출력한다(S305).The service control unit 205 determines the service mode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S303), control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processing unit 204 to process intelligent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ervice mode, and outputs the output unit 207. Output through (S305).

상기에서, 센서부(201)는 편의상 하나의 구성으로 표현되었으나,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 또는 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nsor unit 201 is expressed in one configuration for convenience, but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sensors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the smart character toy 110.

예컨대, 센서부(201)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내 정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또는 객체(대상)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서비스 제어부(205)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01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r an object (target) and object information,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ar. Let's do it. The service controller 205 may control the driving or opera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r perform data processing, data function or oper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

센서부(201)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센서(touch sensor), 가속도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센서(magnetic sensor), 중력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센서(gyroscope sensor), 모션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센서(IR: infrared sensor), 지문인식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센서(ultrasonic sensor), 광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를 포함), 마이크로폰 (microphone), 배터리게이지(battery gauge), 환경센서(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감지센서, 열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등), 화학센서(전자코, 헬스케어센서, 생체인식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은, 상기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The sensor unit 201 includes a proximity sensor, a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nd a gyro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nfrared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optical sensor For example: cameras, microphones,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barometers, hygrometers, thermometers, radioactivity sensors, thermal sensors, gas sensors, etc., chemical sensors (electronic noses, health care) Sensor,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smart character toy 11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s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sensors.

상기 센서부(201)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또는 객체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치정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Wi-Fi(Wireless-Fidelity)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부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모듈의 하나로 초음파 센서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1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r the object, and include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or Wi-Fi (Wireless-Fidelity). Module is available. For example, whe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utilizes a GPS module, 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acquire the posi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by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utilizes the? Wi-Fi Module,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s based on information of a WAP (Wireless Access Point)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Fi module and a radio signal. To obtain the position of. If necessary, the q position information module may perform any function of other part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order to substitute or additionally obtain data regarding the posi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n ultrasonic sensor may be used as on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s, which may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ultrasonic waves.

한편, 상기 센서부의 하나로, 카메라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객체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는 객체의 현재 상태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리 등록된 기기로 상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one of the sensor units, the camera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mera sensor (eg, CCD, CMOS, etc.), a photo sensor (or an image sensor), and a laser sensor. The camera and the laser senso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detect a touch of a sensing object on a 3D stereoscopic image. The photo sensor may be stacked on the display element, which is configured to scan the movement of the sensing object in proximity to the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hoto sensor is mounted on a row / column to scan the contents mounted on the photo sensor by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photo diode and the transistor (TR). That is, the photo sensor performs calculation of coordinates of the sensing object according to the change amount of light,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may be obtain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may acquire image data regar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object, and may transmit the acquired image data to a device registered in advance.

카메라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206)에 저장될 수 있다.The camera processes image frames of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shooting mode or the video call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stored in the #memory 206.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다른 면에는 다른 카메라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 (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Another camera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he other camera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at. Such a camera may be referred to as an "array camera". When the camera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a plurality of lenses can be used to take images in various ways, and images can be obtained with better quality.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는 객체가 사람인 경우,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서비스 제어부(205)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사용자 입력부에 내장될 수 있다.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fingerprint when the object is a person. The service controller 205 may use fingerprin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n authentication means. The fingerprint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or the user input unit.

출력부(207)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음향출력부, 햅팁부, 광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과 객체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과 객체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07 may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a sound output unit, a hap tip unit, and a light output unit. The display unit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a touch sensor, and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nd the object, and betwee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nd the object. It can provide an output interface of.

음향 출력부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0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바디에는 다른 음향 출력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음향 출력부는 기존 음향 출력부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stored in the memory 206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unit may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by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he sound output unit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Another acoustic output unit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body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he other sound output unit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existing sound output unit.

햅틱부(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서비스 제어부(205)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햅틱부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haptic module generates various haptic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unit may be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in the haptic unit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s selection or setting of the service control controller 205. Two or more haptic unit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광출력부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광출력부가 출력하는 신호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서 단색이나 복수 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되고, 이러한 신호 출력은 객체나 등록된 기기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The light output unit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by using light of a light source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he signal output by the light output unit is implemented by emitting light of a single color or a plurality of colors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he signal output may be terminated by detecting the event confirmation of the object or the registered device user.

출력부(207)의 하나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one output unit 207, 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icrophone is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voice, a guitar sound, and the like. The microphone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configured to receive stereo sound.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외부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부가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not shown)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hese interfaces includ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external memory card ports, ports for identifying devices, audio I / O ports, and video I / O. Port, earphone port may include at least one.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n response to the external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appropriate control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face may be performed.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port),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serves as a passag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he interface unit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power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that connects a device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or a video. The I / O port, the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전원공급부(미도시)는 서비스 제어부(205)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ice control unit 205 by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n interface to which an external charger f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port.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서비스 제어부(205)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not shown)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service controller 205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

메모리(206)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는 인터넷상에서 상기 메모리(206)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The memory 206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an SSD type, a silicon disk drive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 Card-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and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and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b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206 on the Internet.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은, 도 4와 같이,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s shown in FIG. 4.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 등], 또는 인공지능 캐릭터 장난감(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mart character toy 110 can be connected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part”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eg, earphone or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IrDA Port,” “Bluetooth Port,” “Wireless”. LAN port, etc.], or may be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 character toy 110.

객체 인식 및 추출부(202)는 전술한 센서부(201)를 통하여 센싱된 데이터로부터 객체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객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센싱된 데이터를 추출한다.The object recognition and extraction unit 202 recognizes an object from the data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201 and extracts data sensed through at least one sensor related to the recognized object.

객체 데이터 처리부(203)는 상기 객체 인식 및 추출부(202)에서 추출된 객체 데이터를 가공한다.The object data processing unit 203 processes the object data extracted by the object recognition and extraction unit 202.

인공지능 데이터 처리부(204)는 인공 지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빅데이터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센싱된 데이터와 상기 인지된 객체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고, 빅데이터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객체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서비스 모드에 관한 지능형 데이터를 포함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성되는 지능형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모드에 따라, 대화형 데이터, 알림 데이터 및 연동된 기기에 대한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모드는, 대화 서비스 모드, 알림 서비스 모드, 기기 제어 서비스 모드 및 객체 안전 서비스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processing unit 204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nd generates output data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based on the collected sensor data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includes a big data module, and performs big data processing on input data including the sensed data and audio data of the recognized object, and a service mod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bject from the big data processed data. Generate output data, including intelligent data about. In the above, the generated intelligent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teractive data, notification data, and control data for an associated device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 The service mode may be at least one of a conversation service mode, a notification service mode, a device control service mode, and an object safety service mode.

상기 서비스 제어부(205)는,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The service control unit 205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한편,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은, 도 4와 같이, 분리 가능한 구조(예를 들어, 구체관절 형태)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파트로 구분되고, 제1 파트는 상기 센서부와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고, 제2 파트는 적어도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한 데이터 처리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는, 시각과 청각과 관련된 센서가 포함되어,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상기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출력 데이터를 오디오 형태로 출력 및/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객체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parts in a detachable structure (eg, a spherical joint), and the first part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sensor part and the output part. The built-in second part may include at least a data processor and a controller includ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Here, at least a part of the sensor unit embedded in the first part may include a sensor related to vision and hearing, and may sense at least one or more of audio data, image data, and video data. At least a part of the output unit embedded in the first par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aker and a microphone, and outputs the generated output data in audio form through the speaker and / or is input from an object through the microphone. Data can be received.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205)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되고 이후 다시 연결되면,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에 내장된 구성을 인지하고, 인지된 각 파트의 구성들이 상호 연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205)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이면, 미리 등록된 기기로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알림 데이터 전송에 따른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부터 피드백이 수신되면, 상기 분리된 제1 파트의 센서를 임의 턴-온 시켜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205)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될 때, 분리 직전에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분리 직전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알림 데이터 전송 이후에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수신한 피드백에 따라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와 함께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control unit 205 detects whether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i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then connected again, the service control unit 205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he built-in configuration may be recognized, and the configurations of the recognized parts may be controlled to interwork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the separated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service control unit 205 transmits notification data to a pre-registered device, and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data transmission. When the feedback is received from the pre-registered device, the sensor of the separated first part may be randomly turned on to transmit the sensed data to the pre-registered device. Wh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the service control unit 205 collects sensing data immediately before separation through a sensor embedded in the first part immediately before separation, and aft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data, The sensing data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feedback received from the pre-registered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pre-registered device.

그 밖에, 상기 서비스 제어부(205)는, 외국어 통역, 플랫폼과 연결하여 각종 데이터를 검색하고 제공,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과 서비스 간의 분석 처리를 위한 스마트 센서 기능 등을 지원하고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control unit 205 may be connected with a foreign language interpreter and the platform to search and provide various data, and support and provide a smart sensor function for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nd the service.

한편, 상기 인공지능 데이터 처리부(204)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지한 객체와 대화가 가능하며, 주변 기기를 제어나 통신, 오디오북, 음악, 쇼핑, 알람, 스케쥴 등 다양한 인공지능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서비스의 하나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된 카메라센서, 홍채인식센서, 지문인식센서, 모션(동작 인식)센서, 조명센서 등을 조합하여, 객체의 주변 상황이나 상태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등을 지능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객체나 상기 객체와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기기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processing unit 20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talk with the recognized object, control or communication peripherals, audiobooks, music, shopping, alarm, schedule It can provide various AI service functions. As on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a combination of a camera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 motion (motion recognition)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nd the like built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s us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or state of the object. The set operation may be intelligently performed, and variou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object or a device register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object.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우측에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이 제공되고 좌측에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되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플랫폼이나 서비스들이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한 스마트 홈 구현 예시도 도시되었다.Referring to FIG. 8, a platform or services f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provided with a smart character toy 110 on the right side and embedded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on the left side are illustrated. In addition, an example of the smart home implementation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s also shown.

이러한 인공지능 스피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는, 비콘(beacon)을 통하여 위치 서비스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캐릭터 장남감(110) 자체의 위치를 알 수 있어 분실 방지 서비스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비콘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 주변의 타디바이스의 위치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상기 분실 방지 서비스뿐만 아니라 타디바이스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인공지능 스피커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Such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s shown in FIG. 8, may apply an open platform.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hrough the beacon (beacon) can apply the location service technology, through which the location of the character toy 110 itself can be known to prevent loss services.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other devices around the smart character toy 110 through the beacon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so that various artificial speaker technology can be applied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 as well as the loss prevention servic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된 인공지능 스피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홈이나 IoT 서비스 구현을 위한 메인 디바이스(main device) 또는 서브 디바이스(sub device)로 기능할 수도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embedded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nction as a main device or sub device for implementing a smart home or IoT service, as shown in FIG. 8. have.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된 인공지능 스피커는 인공지능(AI) 디바이스(810) 즉, 적어도 하나의 타음성 인식 스피커와 연동하여 간접적으로 IoT 환경에 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실에 타음성 인식 스피커가 위치하고 상기 타음성 인식 스피커가 실질적으로 홈 내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권을 가졌다고 할 때, 방에 거주하는 사용자는 상기 거실의 타음성 인식 스피커 근처로 가서 음성 명령을 하지 않더라도 방에서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된 인공지능 스피커에 음성 명령을 하면,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된 인공지능 스피커에서 상기 거실의 타음성 인식 스피커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기 홈 내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된 초소형의 인공지능 스피커를 활용하여 가전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의 인공지능 스피커는 도 8과 같이, 타원형이나 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소형 예컨대, 직경은 40 내지 50mm, 두께 1 내지 5mm 미만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embedded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vice 810, that is, at least one voice recognition speaker. You may be involved. For example, when a speech recognition speaker is located in a living room and the speech recognition speaker has substantially control of various devices in a home, the user who lives in the room goes near the speech recognition speaker of the living room and makes a voice. Even without a command, if a voice command is made to the AI speaker built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n the room, the AI speaker built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communicates with the voice recognition speaker of the living room. Through the control of the various devices in the home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ntrol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by using a smal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embedded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of the smart character toy may be embodied in an oval shape or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8,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hardware may have a diameter of 40 to 50 mm and a thickness of less than 1 to 5 mm. It can be implemented as.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에 내장된 인공지능 스피커는 사용자와 대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음악 선곡뿐만 아니라 학습을 도와주고 음식 추천 등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지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인공 지능 스피커는, AI 상담, 심층 질의 응답, 음성인식, 통역 기능 등을 제공하는 언어 지능, 감성, 평판 분석, 소셜 이슈 감지, 개인의 감정 기호 데이터에 관한 감성 지능, 언어, 지식학습, 예측, 조기 감지, 복합 논리 추론 등과 관한 학습 및 게임 추론 지능, 이미지 인식, 상홍, 행동 이해, 사건, 재난 감지 등에 관한 시각 지능, 미아나 분실 방지 등에 관한 위치 추적 지능, 난방, 가스, TV, 세탁기, 냉장고, 가전 등 제어에 관한 편리 지능, 화재경보, 동작감지 센서 등에 관한 감지 지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built in the smart character to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conversation with a user, and can help not only music selection but also learning and food recommendation. For example, it may perform at least one or more actions related to intelligence, such as:-AI speaker, language intelligence, emotion, reputation analysis, social, providing AI counseling, in-depth Q & A, speech recognition, interpretation, etc. Emotional intelligence about issue detection, personal emotional symbol data, learning about language, knowledge learning, prediction, early detection, complex logic reasoning, game reasoning intelligence, visual intelligence on image recognition, scarletness, behavioral understanding, events, disaster detection, etc. In addition, location tracking intelligence regarding prevention of lost or lost, heating, gas, TV, washing machine, refrigerator, home appliances, control intelligence such as control intelligence, fire alarm, mo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한편, 도 8에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인공지능 스피커는 타 AI 디바이스(810)나 타디바이스 등과 전술한 도 1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 8,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using another AI device 810 or another device using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of FIG. 1 described above.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분리 가능한 구조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4, an embodiment of a detachable structure of the aforementioned smart character toy 110 is illustrat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의 (a)를 참조하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은 크게 헤드 파트(410)와 바디 파트(420)로 구분되고, 상기 헤드 파트(4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바디 파트(420)에는 인공지능 모듈 등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4A, the smart character toy 110 is largely divided into a head part 410 and a body part 420, and at least one sensor is embedded in the head part 410, and the body The part 420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nd the like.

이러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의 모형은 전술한 도 1의 3D 프린터(140)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model of the smart character toy 110 may be formed through the 3D printer 140 of FIG. 1 described above.

도 4의 (a)가 분리된 형태라면, 도 4의 (b)는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If (a) of Figure 4 is a separate form, Figure 4 (b) shows a combined form.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 파트(410)와 바디 파트(420) 모두 전술한 구성들을 내장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이는 개폐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을 위한 일구성에 오류가 있거나 고장이 있는 경우에는 교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4, both the head part 410 and the body part 420 have a storage space for embedd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hich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refore, when one configuration for the smart character toy 110 has an error or a failure, it is replaceable.

상기 헤드 파트(410)와 바디 파트(420)와 연결된 다른 부분은 구체관절형태로 구현되어 탈/부착될 수도 있다.Other parts connected to the head part 410 and the body part 420 may be implemented in a spherical joint shape and detachable.

예컨대,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은 이렇게 분리 구조를 통하여 다양하게 이용 가능하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5 to 7, the smart character toy 110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separation structure.

도 5를 참조하면, 4개의 헤드 형상과 하나의 바디 그리고 팔과 다리 형상이 제공되고, 이들의 조합으로 도 6의 (a)와 (b)와 같이 다양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1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의 일측과 양측은 모두 헤드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four head shapes, one body, and arms and legs are provided, and various combinations of the smart character toys 110 as shown in FIGS. 6A and 6B may be formed. have. At this time, one side and both sides of the body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the head is removable / attached.

도 6의 (a)의 경우, 상기 바디 파트의 일측에 제1 헤드와 타측에 제2 헤드가 결합된 구조이고, 도 6의 (b)의 경우, 상기 바디 파트의 일측에 제3 헤드와 타측에 제4 헤드가 결합된 구조이다.In the case of FIG. 6A, the first head and the second head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in FIG. 6B, the third head and the other side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The fourth head is coupled to the structure.

이와 같이, 하나의 바디에 복수의 헤드를 결합하거나 하나의 헤드를 번갈아 교체하여 결합할 수 있다.As such, a plurality of heads may be coupled to one body or one head may be alternately replac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형의 머리 부분에는 개폐 가능한 구조 예를 들어, 헤드의 일부분이 탈착 가능하고, 상기 탈착된 헤드 내부에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임의로 헤드 내부의 센서를 교체하여 원하는 기능을 추가, 수정, 교체 등을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head of each doll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head is removable,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ensor inside the removable head. Through this, a user may arbitrarily replace a sensor inside the head to add, modify, or replace a desired function.

한편, 도 6의 인형의 바디는 인공지능 스피커가 내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of the doll of Figure 6 may be embedded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또한, 도 7의 (a) 내지 (f)와 같이, 헤드의 전면과 후면을 서로 다른 얼굴 형상으로 구현하여, 하나의 인공지능 캐릭터 장난감(110)으로 다수의 장난감을 가진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a) to (f) of FIG. 7,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ead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face shapes to provide an effect such as having a plurality of toys as one AI character toy 110. It may b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규어, 인형 등과 같이 인공지능(AI)이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캐릭터 장난감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기능과 목적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서적인 면에서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에 내장에 인공지능을 통하여 사람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외로움을 덜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사람의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한 상황에 맞는 대화, (선호) 음악 등을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병리적인 장애가 있거나 1인 가족이나 핵가족화되어 가는 사회에서 독거노인이나 아이들과 같이 사회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거나 키덜트 성인 등에게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에 대한 애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취미로 승화시키고 정신적인 치료나 심리적인 불안 등의 해소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제품 구매 욕구도 고취할 수 있다. 더불어, 비단 그런 상황이나 사람뿐만 아니라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은 일반인들에게도 비 오는 날에 듣기 좋은 음악을 추천하거나 먹기 좋은 음식을 주문하고 냉장고 안 식재료로 할 수 있는 요리를 추천하는 등 일상생활의 비서와 같이 인공지능 비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mart character toys with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unction, such as figures, dolls,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i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functions and purpose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eel less loneliness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pers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smart character toy in the emotional aspect. In other words, the psychological stability can be provided by recognizing the situation of the person playing with the smart character toy and providing a dialogue, (preferred) music, and the like suitable for the perceived situation. Through this, in socially pathological disorders, single-family families, or nuclear-family society, it is possible to have a love for smart character toys for relatives such as senior citizens and children who have lived alone or have a love for smart character toys. It can help you deal with treatment and psychological anxiety, and inspire your desire to buy products. In addition, the smart character toy is not only for such situations and people but also for the general public, such as recommending good music to listen to on rainy days, ordering good food and cooking that can be made with ingredients inside the refrigerator. Can perform AI assistant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이 염려되는 노인계층이나 아이들 장애가 있거나 주변 상황이나 위치에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에 대상(사람)의 안전을 위하여 움직임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동작 - 정기/비정기적으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에 등록된 단말로의 보고나 대화, 병리적인 현상 발견시의 공공기관 등에 긴급 연락, 가스 누출이나 전기적인 문제에 따른 해당 기관 등과의 연락, 관련 도어 락/오픈 등 -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lderly or children who are concerned about health, or if there is a risk factor in the surrounding situation or location, the movement for the safety of the subject (person) by recognizing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action-regular / irregular smart You can make a report or talk to a terminal registered with a character toy, emergency contact with a public agency when a pathological phenomenon is found, contact with an appropriate agency due to a gas leak or an electrical problem, or related door lock / open.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은 자체적으로 또는 주변의 연동 가능한 기기 등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오늘의 날씨 제공, 노래방 기능 제공, 댁내 가전제품과의 연동 - 세탁기 기능 제어, 에어컨 기능 제어, TV 기능 제어 등 -, 뿐만 아니라 자녀의 위치 확인, 경로 확인 등에 대한 알림 기능도 수행하여 일상생활의 편의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character toy provides the weather of today, providing karaoke function, interworking with home appliances-washing machine function control, air conditioner function control, TV function control by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or the surrounding interlockable devices. Etc., as well as reminding the location of the child, check the route, etc. can also contribute to the convenience of daily life.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은 자체적으로 또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출력이 가능한 주변 기기와 연동하여 대상에게 소리 동화, 오디어북과 같은 언어 습득/학습 기능을 제공하고, 상상력 발휘를 통한 창의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다양한 말 게임으로 치매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character toy by itself or in conjunction with a peripheral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udio / video data provides a language acquisition / learning function such as sound fairy tale and audiobook to the target, and creativity through the exercise of imagination You can help improve and prevent dementia with a variety of horse gam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체관절 형태 즉, 구조화를 통하여 디자인 측면에서도 다양한 형상 예컨대, 위아래 얼굴이 다르게 하거나 앞뒤 얼굴이 다르게 하는 등 조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구연동화와 같은 캐릭터 구연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은 대상이 익숙한 사람이나 동물 형태로 제작하면, 익숙하여 친근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인공지능 스피커 즉, 인공지능 기능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기존의 피규어나 봉제인형의 외관에 본 발명의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구성을 조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character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combin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different face up or down face, or front and back face in the design side through the form of a concrete joint, that is, structuring. Through this, you will be able to talk about characters such as storytelling. When the smart character toy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erson or animal that is familiar with the object, the smart character toy can provide familiarity and ease of rejection for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AI speaker, that is, the AI function, and can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have. In addition, the smart character toy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appearance of an existing figure or a stuffed toy.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은, 메모리, 객체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객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센싱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인공지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파트로 구분되고, 제1 파트는 상기 센서부와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고, 제2 파트는 적어도 상기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한 데이터 처리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는, 시각과 청각과 관련된 센서가 포함되어,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며,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상기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출력 데이터를 오디오 형태로 출력 및/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객체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파트에 내장된 인공지능모듈은, 빅데이터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센싱된 데이터와 상기 인지된 객체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고, 빅데이터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객체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서비스 모드에 관한 지능형 데이터를 포함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되는 지능형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모드에 따라, 대화형 데이터, 알림 데이터 및 연동된 기기에 대한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대화 서비스 모드, 알림 서비스 모드, 기기 제어 서비스 모드 및 객체 안전 서비스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되고 이후 다시 연결되면,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에 내장된 구성을 인지하고, 인지된 각 파트의 구성들이 상호 연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이면, 미리 등록된 기기로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알림 데이터 전송에 따른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부터 피드백이 수신되면, 상기 분리된 제1 파트의 센서를 임의 턴-온 시켜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될 때, 분리 직전에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분리 직전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알림 데이터 전송 이후에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수신한 피드백에 따라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와 함께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mart character toy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for recognizing the memory, the object and collects data sensed through at least one sensor associated with the recognized objec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nd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output data of the smart character toy based on the collected sensor data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 controller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character toy, and the generated smart character toy.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output data, wherein the smart character toy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parts in a detachable structure, a first part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sensor part and an output part, and a second part includes at least the It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t least a part of the sensor unit embedded in the first part includes a sensor related to vision and hearing, and senses at least one or more of audio data, image data, and video data, and includes the output unit embedded in the first part. At least a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aker and a microphone, and outputs the generated output data in audio form through the speaker and / or receives audio data input from an object through the microphone, and to the second part. The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includes a big data module, and performs big data processing on input data including the sensed data and audio data of the recognized object, and a ser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bject from the big data processed data. Generate output data including intelligent data about the mode, and The generated intelligent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interactive data, notification data, and control data for an associated device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 and the service mode includes a conversation service mode, a notification service mode, and a device control service mode. And an object safety service mode, wherein the controller detects whether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wh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then connected again, Recognizes the configuration embedded in the second part, controls the configurations of each recognized part to interwork with each other, i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is separated, if the separated time is more than a predefined time, pre-register The notification data to the pre-registered device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data transmission. Wh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the sensing data immediately before the separation is sensed by a sensor built in the first part immediately before the separation. Collect and transmit the detected data to the pre-registered device together with the sensing data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feedback received from the pre-registered device after the notification data is transmitted.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written as a program executable on a compute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operating the program using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Computer-readable media that store executable computer code for carrying out the various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optical reading media (eg, CD-ROM, DVD, etc.). Storage media).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no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ut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인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다양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apply to various smart character toys with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에 있어서,
메모리;
객체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객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센싱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장난감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캐릭터 장난감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캐릭터 장난감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릭터 장난감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파트로 구분되고,
제1 파트는 상기 센서부와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고,
제2 파트는 적어도 상기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한 데이터 처리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파트에 내장된 인공지능모듈은,
빅데이터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센싱된 데이터와 상기 인지된 객체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고, 빅데이터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객체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서비스 모드에 관한 지능형 데이터를 포함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In the smart characte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emory;
A sensor unit recognizing an object and collecting data sensed through at least one sensor related to the recognized object;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nd generating output data of the character toy based on the collected sensor data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 control unit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the character toy; And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output data of the generated character toy.
The character toy,
Removable structure divided into at least two part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art includes the sensor unit and the output unit,
The second part includes at least a data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embedded in the second part,
And a big data module to process the big data input data including the sensed data and the audio data of the recognized object, and to include intelligent data regarding a service mode for communication with the object from the big data processed data. Smart character toy with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output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는,
시각과 청각과 관련된 센서가 포함되어,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a part of the sensor unit embedded in the first part is
A smart character toy with a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comprising sensors related to vision and hearing,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udio data, image data, and video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상기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출력 데이터를 오디오 형태로 출력 및/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객체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a part of the output unit embedded in the first part is
At least one of a speaker and a microphone,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output data in the form of audio through the speaker and / or receiving audio data input from an object through the micropho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지능형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모드에 따라, 대화형 데이터, 알림 데이터 및 연동된 기기에 대한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The method of claim 1,
The generated intelligent data,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 smart character toy with a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interactive data, notification data, and control data for the linke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드는,
대화 서비스 모드, 알림 서비스 모드, 기기 제어 서비스 모드 및 객체 안전 서비스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mode is,
Smart character toy with a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conversation service mode, notification service mode, device control service mode and object safety service mode.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에 있어서,
메모리;
객체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객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센싱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장난감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캐릭터 장난감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캐릭터 장난감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릭터 장난감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파트로 구분되고,
제1 파트는 상기 센서부와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고,
제2 파트는 적어도 상기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한 데이터 처리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되고 이후 다시 연결되면,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에 내장된 구성을 인지하고, 인지된 각 파트의 구성들이 상호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In the smart characte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emory;
A sensor unit recognizing an object and collecting data sensed through at least one sensor related to the recognized object;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nd generating output data of the character toy based on the collected sensor data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 control unit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the character toy; And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output data of the generated character toy.
The character toy,
Detachable structure divided into at least two part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art includes the sensor unit and the output unit,
The second part includes at least a data processor and a controller includ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The control unit,
Detect whether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Wh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then connected aga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cognizes the components embedded i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nd controls the components of the recognized parts to be interoperable with each other. Smart character toy with built-in featur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이면, 미리 등록된 기기로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알림 데이터 전송에 따른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부터 피드백이 수신되면,
상기 분리된 제1 파트의 센서를 임의 턴-온 시켜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and the separat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time, the notification data is transmitted to a pre-registered device.
If feedback is received from the pre-registered device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data transmission,
Smart character toy with a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urning on the sensor of the separated first part to transmit the sensed data to the pre-registered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분리될 때, 분리 직전에 상기 제1 파트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분리 직전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알림 데이터 전송 이후에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수신한 피드백에 따라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와 함께 상기 미리 등록된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d, the sensing data immediately before separation is collected through a sensor built in the first part immediately before the separation, and the feedback received from the pre-registered device after the notification data is transmitted. Smart character toy with a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pre-registered device with the sensing data transmitted according to.
KR1020180132858A 2018-11-01 2018-11-01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KR1020721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58A KR102072175B1 (en) 2018-11-01 2018-11-01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58A KR102072175B1 (en) 2018-11-01 2018-11-01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196A Division KR20200050441A (en) 2019-12-17 2019-12-17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175B1 true KR102072175B1 (en) 2020-01-31

Family

ID=6936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858A KR102072175B1 (en) 2018-11-01 2018-11-01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1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5992A1 (en)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아이유디자인 Smart character toy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showroo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432A (en) * 1995-06-23 1997-01-21 구자홍 Air gap welding device of scroll compressor
KR100894569B1 (en) * 2007-11-20 2009-04-24 전인자 Humanized doll with adaptive function
KR20160082108A (en) * 2014-12-30 2016-07-08 주식회사 마카비즈 Music device helping development of emotion
KR101815425B1 (en) * 2017-08-21 2018-01-30 백원선 Talking family dolls with interactive func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432A (en) * 1995-06-23 1997-01-21 구자홍 Air gap welding device of scroll compressor
KR100894569B1 (en) * 2007-11-20 2009-04-24 전인자 Humanized doll with adaptive function
KR20160082108A (en) * 2014-12-30 2016-07-08 주식회사 마카비즈 Music device helping development of emotion
KR101815425B1 (en) * 2017-08-21 2018-01-30 백원선 Talking family dolls with interactive func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고특허 제1997-0000432호(1997.1.11. 공고)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0894569호(2009.4.24. 공고)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5992A1 (en)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아이유디자인 Smart character toy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show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942B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caring robot
US9814993B2 (en) Interactive toy plaything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interaction-related information with remote entities
US9396437B2 (e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of a user with network entities
AU201423668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ersistent companion device
CN110300946A (en) Intelligent assistant
CA2951544C (en) Interactive cloud-based toy
US20160379107A1 (en) Human-computer interactive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erminal device
KR20180129886A (en) Persistent companion device configuration and deployment platform
CN1070002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sting partner device
US11074491B2 (en) Emotionally intelligent companion device
JP73757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0178159A (en)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form projector
KR102072175B1 (en)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US20230201517A1 (en) Programmable interactive systems, methods and machine readable programs to affect behavioral patterns
WO2019133615A1 (en) A method for personalized social robot interaction
US20190329417A1 (en) Method for performing emotional gestures by a device to interact with a user
KR20200050441A (en) Smart character toy embedded artificiall intelligence function
JP2019200607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508889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nfant facilities based on digital twin technology
US11855932B2 (en) Method for adjusting a device behavior based on privacy classes
CN111343330A (en) Smart phone
CN111479060B (en) Image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6704828A (en) Language and cognition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