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022B1 -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022B1
KR102072022B1 KR1020130104636A KR20130104636A KR102072022B1 KR 102072022 B1 KR102072022 B1 KR 102072022B1 KR 1020130104636 A KR1020130104636 A KR 1020130104636A KR 20130104636 A KR20130104636 A KR 20130104636A KR 102072022 B1 KR102072022 B1 KR 102072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oi
time
intere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6178A (en
Inventor
강대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022B1/en
Publication of KR2015002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0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Abstract

본 실시예는 관심영역 기반의 영상요약 장치와 그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요약 장치가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영상요약 장치가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함으로써 관심영역 기반의 영상 요약을 지원하는 영상요약 장치와 그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This embodiment discloses a region of interest based video summary device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In more detail, the image summary apparatus obtains the captured image and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preset ROI within the image is separated. Then, whe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detects an object in the ROI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image summarization based on the ROI is performed by performing an image summarization to move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It provides a video summary device that supports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Description

관심영역 기반의 영상요약 장치와 그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e}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e}

본 실시예는 관심영역 기반의 영상요약 장치와 그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region of interest based video summary device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최근 들어, 전자, 통신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카메라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수집되는 영상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지, 동영상 및 음성 데이터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생성되는 정보의 양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of camera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the amount of video data collected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generated from multimedia data such as images, video and audio data is increasing rapidly. It is also exploding.

이러한, 영상 데이터의 증가에 따라 수집된 영상을 저장하고, 필요한 영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검색, 재생하는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기술 중 영상요약 기술은 동일한 공간에 다른 시간대에 등장한 인물들을 동일한 시간대에 같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에 걸쳐 녹화된 영상을 짧은 시간에 요약해서 볼 수 있는 기술이다.As the image data increases, technologies for storing the collected images and effectively searching for and reproducing the required image data have been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among these technologies, video summary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allows a person to appear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same space to be reproduced at the same time zone to summarize the recorded video over a long time in a short time.

다만, 이러한 영상요약 기술의 복잡도 및 소요 시간을 해소하고자 수집된 영상 내 사용자가 관심 있는 영역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영상요약을 하도록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complexity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image summary technology, a technique for selectively performing the image summary only for a region of interest in the collected image is required.

본 실시예는 영상요약 장치가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영상요약 장치가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함으로써 영상요약 기술의 복잡도 및 소요 시간을 해소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summary apparatus obtains the captured image and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preset ROI within the image is separated. Then, whe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detects an object in the ROI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complexity of the image summary technology is performed by performing an image summarization to move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The main purpose is to eliminate the time required.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영상요약 장치가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영상요약 장치가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함으로써 영상요약 기술의 복잡도 및 소요 시간을 해소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summary apparatus obtains the captured image and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preset ROI within the image is separated. After that, the image summary apparatus extracts a database of the dwell time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the region of interes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solves the complexity and the time required of the image summary technology by performing the image summary using the database dwell time information. The main purpose is to.

본 실시예는,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중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Shift)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요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 captured image; An image analyzer configured to generate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that has entered a region of interest (ROI) within the image is separated; And extracting an object dwell image in which the object exists in the region of interest from the im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using the object dwell image, objects that existed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egion of interest are located together at the same time zone. It provides a video summary device comprising an image summary unit for generating a summary image by performing a video summary to shift (Shift).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및 상기 영상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진입한 시간, 상기 객체가 이탈한 시간 및 상기 객체의 체류 기간(Timeline)을 포함한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체류 시간정보가 상기 영상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영상 요약에 대한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영상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중 상기 체류 기간에 대응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한 요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요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a photographed image; An image storage unit storing the image and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has entered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is generated, and a time at which the object enters the region of interest, a time at which the object has left, and a stay of the objec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 image analyzer extracting dwell time information including a timelin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well time information to be databased in the image storage unit; And extracting an object dwe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from the image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databased in the image storage unit when receiving a command to perform a summary of the image, and using the object dwell image. It provides an image summary device comprising an image summary unit for generating a summary image performing the image summary.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 기기에,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과정; 상기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하는 판단결과 생성 과정;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중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하는 추출 과정; 및 상기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요약 과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e image acquisition process of acquiring the captured image; A determination resul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preset ROI in the image is separated; An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an object residence image in which the object exists in the ROI of the im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 program for realizing an image summarization process of generating a summary image by performing image summarization to move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dwell image. A 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 기기에,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과정; 상기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하는 판단결과 생성 과정;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진입한 시간, 상기 객체가 이탈한 시간 및 상기 객체의 체류 기간을 포함한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과정; 상기 체류 시간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과정; 영상 요약에 대한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중 상기 체류 기간에 대응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추출 과정; 및 상기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요약 과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e image acquisition process of acquiring the captured image; A determination resul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preset ROI in the image is separated; An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residence time information including a time at which the object enters the ROI, a time at which the object leaves, and a dwell time of the objec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 control process of controlling the dwell time information to be a database; An image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an object dwe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from the dwell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command to perform an image summary; And a program for realizing an image summarization process of generating a summary image by performing image summarization to move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dwell image. A 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본 실시예는 영상요약 장치가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영상요약 장치가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함으로써 영상요약 기술의 복잡도 및 소요 시간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summary apparatus obtains the captured image and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preset ROI within the image is separated. Then, whe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detects an object in the ROI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complexity of the image summary technology is performed by performing an image summarization to move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time required.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영상요약 장치가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영상요약 장치가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함으로써 영상요약 기술의 복잡도 및 소요 시간을 해소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summary apparatus obtains the captured image and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preset ROI within the image is separated. After that, the image summary apparatus extracts a database of the dwell time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the region of interes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solves the complexity and the time required of the image summary technology by performing the image summary using the databased dwell time information. The main purpose is t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가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가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가 관심 영역별 중요도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가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생성한 요약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summar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summar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image summarization by an image summar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image summary by using the database dwell time information by the image summar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image summary based on importanc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of interest by an image summar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ummary image generated by an image summ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summary devic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저장부(120), 관심 영역 설정부(130), 중요도 설정부(140), 영상 분석부(150), 영상 요약부(160) 및 영상 재생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100)에서는 영상요약 장치(100)가 영상 획득부(110), 영상 저장부(120), 관심 영역 설정부(130), 중요도 설정부(140), 영상 분석부(150), 영상 요약부(160) 및 영상 재생부(17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 image storage unit 120, an ROI setting unit 130, and an importance setting unit 140. ), An image analyzer 150, an image summary unit 160, and an image reproducing unit 170. In the image summar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ummary device 100 may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 image storage unit 120, an ROI setting unit 130, and an importance setting unit 140. ), But it is described as including only the image analysis unit 150, the image summary unit 160 and the image playback unit 17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영상 획득부(110)는 영상요약 장치(100)와 연동된 영상 촬영장치(미도시)로부터 영상 촬영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다. 즉, 영상 획득부(110)는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촬영된 영상은 하나의 프레임인 것이나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한 영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획득부(110)는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도 있으나 기 설정된 주기별로 영상 촬영장치에서 기 촬영되어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획득부(110)가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영상요약 장치(100)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모듈을 구비하고, 해당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The image obtaining unit 110 obtain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from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That is,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cquires an image of a predetermined region photographed from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nstalled at a specific point. Here, the captured image may be one frame or may include an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On the other h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receive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in real time, but may also obtain an image that is previously photographed and stored in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specified tha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cquire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includes 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The module may be used to directly acquire the captured image.

영상 저장부(120)는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한 영상을 저장하고,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저장된 영상을 제공한다. 즉, 영상 저장부(120)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고, 관심 영역 설정부(130), 영상 분석부(150) 및 영상 요약부(160) 등의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저장된 영상을 제공한다. 한편, 영상 저장부(120)는 획득한 영상을 영상 촬영장치별, 주기별, 시간대별 등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추가되는 영상 관련정보를 기 저장된 영상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저장부(120)가 수신하는 영상에는 해당 영상이 촬영된 촬영 시간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The image storage unit 120 stores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d provides the stored imag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image summary. That is, the image storage unit 120 stores the captured image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when requesting the captured image from a device such as the ROI setting unit 130, the image analyzer 150, and the image summary unit 160. Provide video. On the other hand, the image storage unit 120 may classify and store the obtained image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by image capturing device, period, time zone, and the like, and pre-stores image related information add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image summary. The image may be matched and stored. Meanwhile, the image received by the image storage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image is captured.

관심 영역 설정부(130)는 영상 내 특정 영역을 선택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특정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한다. 즉, 관심 영역 설정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영상 내 특정 영역을 선택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후, 관심 영역 설정부(130)는 관심 영역에 대한 설정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The ROI setting unit 13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region in the image and sets the specific region as the ROI based on the received selection signal. That is, the ROI setting unit 13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area in the image from the user using the user interface unit (not shown) and sets the specific area as the ROI. Thereafter, the ROI setting unit 130 stores and manages database settings of the ROI.

또한, 관심 영역 설정부(130)는 특정 영상 내 관심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 특정 영상과 대응되는 다른 영상 예컨대, 특정 영상이 촬영된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수신된 다른 영상에서도 동일한 영역이 관심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관심 영역 설정부(130)는 관심 영역에 대한 설정값을 영상 저장부(120)에 제공함으로써 영상 저장부(120)가 관심 영역이 설정된 영상을 제공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으며, 관심 영역 설정부(130)가 영상 저장부(12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기반으로 직접 관심 영역이 설정된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분석부(150)에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I in the specific image is set, the ROI setting unit 130 sets the same region as the ROI in anoth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mage, for example, another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n which the specific image is captured. Control as possible. Meanwhile, the ROI setting unit 130 may operate the image storage unit 120 to provide an image in which the ROI is set by providing a setting value for the ROI to the image storage unit 120. The 130 may generate an image in which the ROI is directly set based on the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storage unit 120 and provide the image to the image analyzer 150.

중요도 설정부(140)는 관심 영역 설정부(130)를 이용하여 영상 내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한다. 즉, 중요도 설정부(140)는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를 선택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한다. 이후, 중요도 설정부(140)는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 설정값을 영상 저장부(120)에 제공하고, 영상 저장부(120)가 관심영역 기반의 영상요약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When the plurality of ROIs are set in the image by using the ROI setting unit 130, the importance setting unit 140 sets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OIs. That is, when the plurality of ROIs are set, the importance setting unit 14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that selects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OIs from the user, and selects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OIs based on the received selection signals. Set it. Thereafter, the importance setting unit 140 provides the image storage unit 120 with importance setting values for the plurality of ROIs,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image summary based on the ROI by the image storage unit 120. To provide.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즉,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요약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 저장부(120)로부터 관심 영역이 설정된 영상을 수신한다. 이후,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분석부(150)가 영상 요약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판단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기 설정된 주기에 경과된 직후 판단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The image analyzer 15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that has entered a region of interest (ROI) set in the image has left. That is, when the image analyzer 150 receives a request signal for performing image summarization, the image analyzer 150 receives an image of which an ROI is set from the image storage unit 120. Thereafter, the image analyz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has left.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mage analysis unit 150 receives a request signal for performing the image summarization operation, it is specified that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wards,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judgment result may be repeatedly performed.

한편,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저장부(120)로부터 관심 영역이 설정된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관심 영역 내 존재하는 객체를 검색한다. 즉, 영상 분석부(150)는 수신한 영상을 구성하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 내 관심 영역으로부터 각각 객체의 형상을 추출한다. 이때, 영상 분석부(150)가 객체의 형상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알고리즘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분석부(150)는 관심 영역 내의 화소에 대한 화소값을 확인하여 지정된 움직임이 없는 배경에 대한 배경 화소를 제거하고, 이를 통해 객체의 형상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분석부(150)에 기 설정되어 있는 영상별 고유 배경화면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 영상과 고유 배경화면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내 존재하는 객체의 형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분석부(150)는 객체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해당 객체가 위치한 영상 내 좌표값 정보를 추가로 추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image analyzer 150 receives an image in which the ROI is set from the image storage unit 120, the image analyzer 150 searches for an object existing in the ROI. That is, the image analyzer 150 extracts the shape of each object from the ROIs in the continuous image frames constituting the received image. In this case,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shape of the object by the image analyzer 15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and various algorithm techniques may be used. For example, the image analyzer 150 may check a pixel value of a pixel in the ROI to remove a background pixel of a background having no specified movement, and extract the shape of an object through this. Also, the image analyzer 150 compares the received image with the unique background information based on the unique background information for each image set in the image analyzer 150, a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image analyzer 150 exists in the image. You can also extract the shape of an object. Meanwhile,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an object, the image analyzer 150 may further extract coordinate value information in an image in which the object is located.

영상 분석부(150)는 관심 영역 내 존재하는 객체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영상 분석부(150)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별로 관심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관심 영역에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영상 분석부(150)는 관심 영역에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The image analyzer 150 extracts the shape of the object existing in the ROI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n the ROI enters or leaves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That is, the image analyz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n the ROI is detected for each consecutive image frame, and if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the image analyzer 150 determines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OI, the image analyzer 150 determines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OI. In this way, the image analyzer 15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has left.

한편, 영상 분석부(150)는 객체의 형상을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진입 시간, 관심 영역을 이탈한 이탈 시간 및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시점으로부터 관심 영역을 이탈한 시점까지의 객체의 움직임을 추가로 판단한다. 즉, 영상 분석부(150)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진입 및 이탈 시간을 판단하고, 관심 영역 내 객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추출된 좌표값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추가로 판단한다. 한편, 영상 분석부(150)가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방법을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후, 영상 분석부(150)는 추가로 판단된 정보를 판단결과에 포함시켜 영상 요약부(160)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through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shape of the object, the image analyzer 150 may enter the ROI, the departure time of the departure from the ROI, and the object of interest. The movement of the object from the time of entering the area to the time of leaving the area of interest is further determined. That is, the image analyzer 150 determines the entry and exit time of the object in the ROI by using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and additionally extracts coordinate value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object in the ROI. Further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object using. Meanwhile, the method of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the ROI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Thereafter, the image analyzer 150 includes the additionally determined information i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mage summary unit 160.

영상 요약부(160)는 영상 분석부(150)로부터 수신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한 영상 중 관심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한다. 즉, 영상 요약부(160)는 영상 분석부(150)로부터 수신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연속된 영상 프레임 중 관심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영상 프레임을 추출한다. 예컨대, 영상 요약부(160)는 영상 분석부(150)로부터 수신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특정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영상을 객체 체류 영상으로 추출한다. 이때, 객체 체류 영상에는 영상 분석부(150)로부터 생성된 판별결과에 근거하여 추가로 추출된 해당 객체 체류 영상이 촬영된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The image summary unit 160 extracts an object stay image in which an object exists in the ROI from among the images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image analyzer 150. That is, the image summary unit 160 extracts an image frame in which an object exists in a region of interest among successive image fram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image analyzer 150.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enters a region of interest in a specific im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image analyzer 150, the image summary unit 160 extracts the image as an object stay image. In this case, the object dwell image includes time information on which the corresponding object dwell image is further extrac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generated by the image analyzer 150.

영상 요약부(16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 한편, 영상 요약(Video Synopsis)는 동일한 공간에 다른 시간대에 등장한 인물들을 동일한 시간대에 같이 재생될 수 있도록 이동(Shift)시키고, 해당 인물들이 진입한 시간을 표시해서 장시간에 걸쳐 녹화된 영상을 짧은 시간에 요약해서 보여주는 방법이다. 즉, 영상 요약부(16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The image summary unit 160 performs image summarization using the object stay image, and generates a summary image. On the other hand, video synopsis shifts people who appear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same space so that they can be played together at the same time zone, and displays the time when the corresponding people entered. Here is a summary. That is, the image summary unit 160 generates a summary image by performing an image summary for moving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stay image.

한편, 영상 요약부(160)는 영상 분석부(150)로부터 수신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한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별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관심 영역에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별하여 영상 요약을 중지한다.Meanwhile,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the image summary unit 160 enters the ROI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image analyzer 150. If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OI,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OI and the image summary is stopped.

이하, 영상 요약부(160)가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 요약부(160)는 객체 체류 영상 내 관심 영역에 존재하는 객체를 추출하고, 객체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해당 객체가 위치하는 영상 내 좌표값 정보 및 해당 객체가 관심 영역 내 존재한 시간 즉, 해당 객체를 포함한 객체 체류 영상이 촬영된 시간 정보를 추가로 추출한다. 이후, 영상 요약부(160)는 추출된 객체를 객체의 종류별, 촬영된 시간 정보별로 구분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performing image summarization by using the object stay image by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The image summary unit 160 extracts an object existing in the ROI in the object staying image, an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object, coordinate value information in the image where the object is located and a time when the object exists in the ROI, Time information of the object retention image including the object is additionally extracted. Thereafter, the image summary unit 160 generates metadata that divides the extracted object according to the object type and the photographed time information.

또한, 영상 요약부(160)는 영상 요약부(160)에 기 설정되어 있는 영상 촬영장치별 기본 영상 즉, 객체를 제외한 영상 내 지속적으로 위치하는 배경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는 영상 중 객체 체류 영상과 대응되는 기본 영상을 추출하고, 기본 영상에 추출된 객체를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한다. 예컨대, 영상 요약부(160)는 메타 데이터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에 객체가 최초 진입한 영상들로부터 추출된 객체들이 기본 영상의 좌표값 중 객체가 위치했던 좌표값과 매칭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객체를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영상 요약부(160)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에 객체가 최초 진입한 영상의 다음 영상들로부터 추출된 객체들을 각각 경과 시간별로 별도의 기본 영상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영상 요약부(160)는 영상 요약 과정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기본 영상이 하나로 연결되어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이를 통해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 동일한 공간에 함께 위치되어 재생되는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 한편, 영상 요약부(160)가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corresponds to the object staying image among the basic image set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60, that is, the image including only the background information continuously positioned in the image excluding the object. The image is extracted, and the image summary of moving the extracted object to the basic image is performed. For example,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sets the object such that the objects extracted from the images that the object first enters the region of interest based on the metadata are positioned at the point where the object is located amo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base image. Move it. Similarly,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moves the objects extracted from the following images of the image in which the object first enters the ROI,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tadata, to separate base images for each elapsed time. Perform iteratively. Then, the image summary unit 160 controls the plurality of basic images generated through the image summarization process to be connected and reproduced, so that the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are located together in the same time zone and the same space. And generate a summary image to be played back. Meanwhile, in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summary image by performing the image summarization by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various methods may be used.

또한, 영상 요약부(160)는 요약 영상에 위치되는 각각의 객체들에 대한 진입 시간, 이탈 시간 및 잔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즉, 영상 요약부(160)는 영상 분석부(150)로부터 수신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요약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요약 영상에 위치되는 각각의 객체들에 대한 진입 시간 또는 이탈 시간만이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객체의 잔류 시간이 변동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summary unit 160 controls to further display at least one of an entry time, a departure time, and a remaining time for each object located in the summary image. That is, when the summary image is reproduc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image analyzer 150, only the entry time or the departure time for each object located in the summary image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e display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nd the remaining time of the object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as time passes.

또한, 영상 요약부(160)는 요약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기 설정된 관심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외곽선이 추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여 영상 내 관심 영역이 강조되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영상 요약부(160)는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되며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관심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관심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선의 굵기 및 색깔을 변형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중요도별 관심 영역이 영상 내에서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mmary image is reproduced, the image summary unit 160 controls to display an outlin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reset region of interest so that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image is highlighted and reproduced. In this case, when the plurality of ROIs are set and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OIs is set, the image summary unit 160 may modify a thickness and a color of the outline surrounding the ROI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ROIs. In this case, the ROI may be controlled to clearly distinguish the ROIs of each importance within the image.

한편, 영상 요약부(160)는 특정 중요도를 가지는 관심 영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 영역을 대상으로만 영상 요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영상 요약부(160)는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되며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특정 중요도를 가지는 관심 영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관심 영역에 대응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mage summary unit 160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ROI having a specific importance, the image summary unit 160 may perform image summarization only on the ROI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plurality of ROIs are set and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OIs is set, the image summary unit 160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about the ROI having a specific importance from the user and based on the interests The image summariz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object stay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gio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요약부(16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요약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영상 요약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요약 영상을 생성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 요약을 수행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summary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generates a summary image at a predetermined perio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mage summary unit 160 may perform image summarization when receiving a request signal for generating a summary image from the user.

영상 재생부(170)는 영상 요약부(160)와 연동되어 요약 영상을 재생한다. 즉, 영상 재생부(170)는 영상 요약부(160)로부터 요약 영상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규격에 따라 요약 영상을 재생시킨다.The image reproducing unit 170 interworks with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to reproduce the summary image. That is, the image reproducing unit 170 receives the summary image from the image summary unit 160 and reproduces the summary imag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summary device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저장부(120), 관심 영역 설정부(130), 중요도 설정부(140), 영상 분석부(150), 영상 요약부(160), 영상 재생부(17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2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200)는 제어부(210)를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만, 각각의 구성 요소가 수행하는 기능 및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식에 있어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에, 도 2에서는 해당 차이점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 image storage unit 120, an ROI setting unit 130, and an importance setting unit 140. ), An image analyzer 150, an image summary unit 160, an image reproducing unit 170, and a controller 210. Components included i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ame components a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except for the controller 210, respective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components of and the manner in which the video summary is performed. Therefore, in FIG. 2,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영상 획득부(110), 영상 저장부(120), 관심 영역 설정부(130) 및 중요도 설정부(140)는 도 1에 명시된 영상 획득부(110), 영상 저장부(120), 관심 영역 설정부(130) 및 중요도 설정부(14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해당 장치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부(120)는 영상 분석부(150)로부터 추출된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한 시간, 객체가 이탈한 시간 및 객체의 체류 기간(Timeline)을 포함한 체류 시간정보가 관심 영역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어 있다. 즉, 영상 저장부(120)는 체류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 중 체류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체류 시간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후, 영상 저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요약에 대한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를 영상 요약부(160)에 제공하고, 이를 통해 영상 요약부(160)가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도록 동작시킨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the image storage unit 120, the ROI setting unit 130, and the importance setting unit 140 may se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the image storage unit 120, and the ROI specified in FIG. 1. The same function as the unit 130 and the importance setting unit 140,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s will be omitted. However, the image storage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time in which an object enters a region of interest in an image extracted from the image analyzer 150, a time in which the object leaves, and a timeline of the object. Time information is stored in a database for each region of interest. That is, the image storage unit 120 matches and store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information among previously stored images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Thereafter, when the image storage unit 120 receives a command to perform a summary of the image from the user, the image storage unit 120 provides the database summary time information to the image summary unit 160, through which the image summary unit 160 provides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Operate to perform an image summary based on.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즉,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요약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 저장부(120)로부터 관심 영역이 설정된 영상을 수신한다. 이후,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The image analyzer 15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is separated. That is, when the image analyzer 150 receives a request signal for performing image summarization, the image analyzer 150 receives an image of which an ROI is set from the image storage unit 120. Thereafter, the image analyz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has left.

한편,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저장부(120)로부터 관심 영역이 설정된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관심 영역 내 존재하는 객체를 검색한다. 즉, 영상 분석부(150)는 수신한 영상을 구성하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 내 관심 영역으로부터 각각 객체의 형상을 추출한다. 이때, 영상 분석부(150)가 객체의 형상을 추출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분석부(150)가 객체의 형상을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image analyzer 150 receives an image in which the ROI is set from the image storage unit 120, the image analyzer 150 searches for an object existing in the ROI. That is, the image analyzer 150 extracts the shape of each object from the ROIs in the continuous image frames constituting the received image. In this case,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shape of the object by the image analyzer 150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shape of the object by the image analyzer 150 illustrated in FIG. 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영상 분석부(150)는 관심 영역 내 존재하는 객체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영상 분석부(150)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별로 관심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관심 영역에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영상 분석부(150)는 관심 영역에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영상 분석부(15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The image analyzer 150 extracts the shape of the object existing in the ROI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n the ROI enters or leaves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That is, the image analyz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n the ROI is detected for each consecutive image frame, and if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the image analyzer 150 determines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OI, the image analyzer 150 determines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OI. In this way, the image analyzer 15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has lef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부(150)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한 시간, 이탈 시간 및 관심 영역 내 객체가 체류한 체류 기간을 포함한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한다. 즉, 영상 분석부(150)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진입, 이탈 시간 및 체류 기간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체류 기간에 대응되는 영상을 추가로 분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in the im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image analyz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ime, the departure time and the object stayed in the ROI. Extraction of residence time information including residence period That is, the image analyzer 150 extracts the entry, departure time and dwell time of the object in the ROI by using the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and additionally add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based on this. Analyze

제어부(210)는 영상 분석부(150)로부터 체류 시간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체류 시간정보가 영상 저장부(120)에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10)는 영상 저장부(120)로 체류 시간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이를 통해 영상 저장부(120)가 체류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저장부(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 중 체류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체류 시간정보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dwell tim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image analyzer 150,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extracted dwell time information to be databas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20. That is,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o transmit the dwell time information to the image storage unit 120, and through this, the image storage unit 120 stores the image in the image storage unit 120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databased by matching the dwell time information.

영상 요약부(160)는 영상 요약에 대한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영상 저장부(120)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 중 체류 기간에 대응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한다. 한편, 영상 요약부(160)가 수신하는 수행 명령은 특정 시간대에 관심 영역 내 위치하는 객체에 대한 영상 요약 수행 명령이거나 복수의 관심 영역 및 각각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특정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요약 수행 명령일 수도 있다.When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receives the execution command for the image summarization,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extracts the object dwe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period from among the images already stored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databas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20. do. Meanwhile, the execution command received by the image summary unit 160 may be an image summary execution command for an object located in the ROI in a specific time zone or when a plurality of ROIs and importance of each ROI are set. It may also be an image summary execution command for.

영상 요약부(16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 즉, 영상 요약부(16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The image summary unit 160 performs image summarization using the object stay image, and generates a summary image. That is, the image summary unit 160 generates a summary image by performing an image summary for moving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stay image.

한편, 영상 요약부(160)는 영상 저장부(120)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한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별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관심 영역에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별하여 영상 요약을 중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rer 110, the image summary unit 160 detects the object in the region of interest based on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databas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20. The image summary is determined by entering, and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egion of interest, the image summary is stopped by determining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egion of interes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요약부(160)가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동작은 도 1에 명시된 영상 요약부(160)가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동작과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image summary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perform the image summary using the object stay image is identical to the operation of the image summary unit 160 shown in FIG. 1 to perform the image summary. Is omitted.

한편, 영상 요약부(160)는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되며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특정 중요도를 가지는 관심 영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관심 영역에 대응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 요약부(16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중요도를 가지는 관심 영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중요도에 대응되는 관심 영역 내 체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요약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lurality of ROIs are set and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OIs is set, the image summary unit 160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about the ROI having a specific importance from the user and based on the interests The image summariz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object stay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gion. That is, when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ROI having a specific importance from the user,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may perform the image summarization process by using the dwell time information in the ROI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ce.

영상 재생부(170)는 영상 요약부(160)와 연동되어 요약 영상을 재생한다. 즉, 영상 재생부(170)는 영상 요약부(160)로부터 요약 영상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규격에 따라 요약 영상을 재생시킨다.The image reproducing unit 170 interworks with the image summarizing unit 160 to reproduce the summary image. That is, the image reproducing unit 170 receives the summary image from the image summary unit 160 and reproduces the summary imag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100)가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image summarization b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100)가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은 먼저 영상요약 장치(100)가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300). 즉, 영상요약 장치(100)와 연동된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영상 촬영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촬영된 영상은 하나의 프레임인 것이나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한 영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image summarization b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gins with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captured image b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S300). ). That i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is obtained from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linked with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Here, the captured image may be one frame or may include an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영상요약 장치(100)는 영상 요약 작업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S302),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객체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S304). 즉, 영상요약 장치(100)는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하도록 하는 영상 요약 작업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영상요약 장치(100)는 수신한 영상을 구성하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 내 관심 영역으로부터 각각 객체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영상요약 장치(100)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별로 관심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Whe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receives an image summary task command (S302),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enters a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S304). That is, whe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receives an image summary task command to generate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has deviated, whether the object enters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image acquired from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Judge. Meanwhile,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extracts the shape of each object from the ROIs in the continuous image frames constituting the received image,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enters the ROI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an object in the ROI is detected for each consecutive image frame, and if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영상요약 장치(10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한다(S306). 즉, 영상요약 장치(100)는 단계 S304를 통해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진입 시간, 관심 영역을 이탈한 이탈 시간을 판단한다. 또한, 영상요약 장치(100)는 관심 영역 내 객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추출된 좌표값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추가로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has entered the ROI set in the image,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tracks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the ROI (S306). That i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4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uses the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to depart from the entry time and the ROI of the ROI. Determine the departure time. In additio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may further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object by using the extracted coordinate value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object in the ROI.

영상요약 장치(100)는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S308), 관심 영역 내 객체가 이탈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S310). 즉, 영상요약 장치(100)는 단계 S306의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과정을 이용하여 연속된 영상 프레임별로 관심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관심 영역에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영상요약 장치(10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n the region of interest is separated (S308),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in the region of interest is separated,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has entered the region of interest (S310). ). That i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checks whether the object in the ROI is detected for each consecutive image frame by using the process of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the ROI in step S306, and if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OI.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egion of interest. In this wa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has left.

영상요약 장치(100)는 영상요약 장치(100)에 기 설정된 주기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고(S312), 기 설정된 주기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310에서 생성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한다(S314). 즉, 영상요약 장치(100)는 기 설정된 주기 예컨대, 하루 또는 특정 시간이 도래한 경우 생성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한다. 한편, 영상요약 장치(100)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특정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영상을 객체 체류 영상으로 추출한다.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predetermined cycle has elapsed i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S312),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cycle has elapsed,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object staying im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generated in step S310. Extract it (S314). That i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extracts the object dwell image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generated when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a day or a specific time arrives.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in the specific image,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extracts the corresponding image as the object staying image.

영상요약 장치(10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S316). 즉, 영상요약 장치(10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performs an image summary using the object stay image, and generates a summary image through this (S316). That i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generates a summary image by performing an image summary for moving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staying image.

한편, 영상요약 장치(100)는 단계 S310을 통해 생성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별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관심 영역에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별하여 영상 요약을 중지한다. 이후, 영상요약 장치(100)는 영상 요약 과정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기본 영상이 하나로 연결되어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이를 통해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 동일한 공간에 함께 위치되어 재생되는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im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generated through step S310,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has entered the region of interest and performs image summarization. If the object is not detected, the image summary is stopped by determining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OI. Thereafter, 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controls the plurality of basic images generated through the image summarization process to be connected and reproduced as one, whereby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are located together in the same time zone and the same space. And generate a summary image to be played back.

영상요약 장치(100)는 단계 S316을 통해 생성된 요약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재생한다(S318).The image summary apparatus 100 receives the summary image generated in step S316 and reproduces the received image (S318).

도 3에서는 단계 S300 내지 단계 S318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3, steps S300 to S318 are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3 may be applied by changing or executing one or more steps in parallel, FIG. 3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200)가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image summarization using a database of dwell time information.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200)가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은 먼저 영상요약 장치(200)가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400). 즉, 영상요약 장치(200)와 연동된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영상 촬영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촬영된 영상은 하나의 프레임인 것이나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한 영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in the method of performing a video summary by using the database dwell time information, the image summar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capture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summary device 200. Starting from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S400). That i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is obtained from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linked with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Here, the captured image may be one frame or may include an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영상요약 장치(20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S402). 한편, 영상요약 장치(200)는 영상 요약 작업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관심 영역 내 존재하는 객체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영상요약 장치(200)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별로 관심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관심 영역에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영상요약 장치(200)는 관심 영역에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영상요약 장치(20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that has entered the ROI set in the image is separated (S402). 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the image summary work command,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extracts the shape of an object existing in the ROI,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n the ROI enters or leaves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That i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n the ROI is detected for each consecutive image frame, and if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OI,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OI. In this wa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has left.

영상요약 장치(200)는 단계 S402를 통해 생성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한다(S404). 즉, 영상요약 장치(200)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한 시간, 이탈 시간 및 관심 영역 내 객체가 체류한 체류 기간을 포함한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한다.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extracts the dwell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generated in step S402 (S404).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enters a region of interest in an im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includes a stay including an entry time, an escape time, and a period of stay of an object in the region of interest. Extract time information.

영상요약 장치(200)는 단계 S404를 통해 체류 시간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체류 시간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제어한다(S406). 즉, 영상요약 장치(200)는 체류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요약 장치(2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 중 체류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체류 시간정보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dwell time information is extracted through the step S404,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controls the extracted dwell time information to be a database (S406). That i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control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information among the images previously stored in the image summary device 200 to be matched with the dwell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영상요약 장치(200)는 영상 요약에 대한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S408),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한다(S410). 즉, 영상요약 장치(200)는 영상 요약에 대한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를 확인하고, 체류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한다. 한편, 영상요약 장치(200)가 수신하는 수행 명령은 특정 시간대에 관심 영역 내 위치하는 객체에 대한 영상 요약 수행 명령이거나 복수의 관심 영역 및 각각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특정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요약 수행 명령일 수도 있다.When receiving the execution command for the image summary (S408),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extracts the object residence image based on the databased residence time information (S410). That is, when receiving the execution command for the image summar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checks the databased dwell time information and extracts the object dwe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information. Meanwhile, the execution command received b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may be an image summary execution command for an object located in the ROI in a specific time zone or when a plurality of ROIs and importance of each ROI are set. It may also be an image summary execution command for.

영상요약 장치(20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S412). 즉, 영상요약 장치(20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 한편, 영상요약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 근거하여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별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관심 영역에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별하여 영상 요약을 중지한다.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performs an image summary using the object stay image, and generates a summary image through this (S412). That i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generates a summary image by performing an image summary for moving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stay ima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image based on the databased dwell time informatio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has entered the region of interest and performs image summarization. If detected, the image summary is stopped by determining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OI.

도 4에서는 단계 S400 내지 단계 S412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4, steps S400 to S412 are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4 may be applied by changing the execution or one or more steps in parallel, FIG. 4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200)가 관심 영역별 중요도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image summary based on importanc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of interest b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200)가 관심 영역별 중요도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은 먼저 영상요약 장치(200)가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500). 즉, 영상요약 장치(200)와 연동된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영상 촬영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촬영된 영상은 하나의 프레임인 것이나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한 영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in the method of performing an image summary on the basis of the importanc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of interest,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Starting from the process of obtaining (S500). That i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is obtained from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linked with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Here, the captured image may be one frame or may include an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영상요약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관심 영역을 선택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내 복수의 관심 영역을 설정한다. 이후, 영상요약 장치(200)는 설정된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관심 영역별로 중요도를 설정한다(S502).When receiv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selecting the plurality of ROIs from the user,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sets a plurality of ROIs in the image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Thereafter, when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for setting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OI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sets the importanc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Is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S502).

영상요약 장치(20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S504). 한편, 영상요약 장치(200)는 영상 요약 작업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관심 영역 내 존재하는 객체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영상요약 장치(200)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별로 관심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관심 영역에 관심 영역에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영상요약 장치(200)는 관심 영역에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객체가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영상요약 장치(200)는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한다.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is left at step S504. 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the image summary work command,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extracts the shape of an object existing in the ROI,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n the ROI enters or leaves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That i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n the ROI is detected for each consecutive image frame, and if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OI,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OI. In this wa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generat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has left.

영상요약 장치(200)는 단계 S504를 통해 생성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체류 시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06). 즉, 영상요약 장치(200)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내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심 영역에 객체가 진입한 시간, 이탈 시간 및 관심 영역 내 객체가 체류한 체류 기간을 포함한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영상요약 장치(200)는 체류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요약 장치(2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 중 체류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체류 시간정보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제어한다.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extracts the dwell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generated in step S504, and makes a database of the extracted dwell time information (S506).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in the im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includes a stay including an entry time, an escape time, and a stay period of the object in the ROI. Extract time information. Thereafter, the image summary device 200 control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information among the images previously stored in the image summary device 200 to be databased by matching the dwell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영상요약 장치(200)는 특정 중요도를 가지는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요약 수행명령을 수신하는 경우(S508), 특정 중요도에 대응되는 관심 영역의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한다(S510). 즉, 영상요약 장치(200)는 특정 중요도를 가지는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요약 수행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화된 체류 시간정보 중 해당 관심 영역에 대응되는 체류 시간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한다. 한편, 영상요약 장치(200)가 수신하는 영상 요약 수행명령에는 특정 중요도를 가지는 관심 영역에 대한 선택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시간대, 특정 영상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대한 선택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When receiving the image summary execution command for the ROI having a specific importance (S508),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extracts the object dwell image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of the ROI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mportance (S510). . That is, when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receives an image summary execution command for a region of interest having a specific importance,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determines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of interest from the databaseed residence time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determined residence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object retention image is extracted. Meanwhile, the image summary execution command received by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selection information about an image received from a specific time zone and a specific image photographing device, as well as selection information about a region of interest having a specific importance.

영상요약 장치(20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S512). 즉, 영상요약 장치(200)는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performs an image summary using the object stay image, and generates a summary image through this (S512). That is, the image summary apparatus 200 generates a summary image by performing an image summary for moving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stay image.

도 5에서는 단계 S500 내지 단계 S51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5, steps S500 to S512 are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5 may be applied by changing the execution or one or more steps in parallel, FIG. 5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 도 4 및 도 5에 기재된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image summarization described in FIGS. 3, 4 and 5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image summar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such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includes being.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Also,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가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생성한 요약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도 6에 명시된 영상요약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100)이거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200)일 수 있다.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ummary image generated by an image summ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may be an image summary devic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 image summary device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영상 내 하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된 경우의 요약 영상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6a에서는 관광지의 출입구 부근이 관심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6a에서는 관심 영역 외부에 차량 및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객체를 제외한 영상 내 지속적으로 위치하는 배경정보만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 6a에서는 요약 영상이 정지 영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관심 영역 내 객체의 움직임이 재생되는 재생 영상의 형태로 구현된다.6A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ummary image when one ROI is set in an image. In FIG. 6A,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ourist destination is set as the region of interest. In addition, although FIG. 6A illustrates that the vehicle and the object exist outside the ROI, only background information continuously positioned in the image except the object is displayed. In addition, although FIG. 6A illustrates that the summary imag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still image, the summary image is substantial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production image in which movement of an object in the ROI is reproduced.

도 6a에 도시하듯이, 요약 영상 내 관심 영역에는 영상 요약 과정을 통해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요약 영상에는 요약 영상에 위치되는 각각의 객체들에 대한 진입 시간, 이탈 시간 및 잔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이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즉, 요약 영상에는 각각의 객체들에 대한 진입 시간 또는 이탈 시간만이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객체의 잔류 시간이 변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요약 영상에는 기 설정된 관심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외곽선이 추가로 디스플레이되어 영상 내 관심 영역이 강조되어 재생된다.As shown in FIG. 6A, objects that existed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are displayed together in the same time zone through the image summary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summary image is displayed with at least one of the entry time, departure time and the remaining time for each object located in the summary image. That is, only the entry time or the departure time for each object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in the summary image, and the remaining time of the object may be displayed as the time elapses. In addition, in the summary image, an outlin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reset ROI is additionally displayed to reproduce the ROI in the image.

도 6b는 영상 내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되고, 관심 영역별로 중요도가 설정된 경우의 요약 영상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6b에서는 관광지의 출입구 부근 및 횡단보도 앞 부분이 각각 관심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관광지의 출입구 부근이 횡단보도 앞 부분보다 중요도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6B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ummary image when a plurality of ROIs in an image are set and importance is set for each ROI. On the other hand, in Fig. 6b,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and the crosswalk in front of the tourist destination is set as the area of interest, respectively, and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ourist destination is set higher in importance than the front of the crosswalk.

도 6b에 도시하듯이, 요약 영상 내 관심 영역에는 영상 요약 과정을 통해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요약 영상에는 요약 영상에 위치되는 각각의 객체들에 대한 진입 시간, 이탈 시간 및 잔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이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 6b에서는 관심 영역으로 설정된 횡단보도 앞부분에는 영상 요약을 통해 이동된 객체들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질적으로는 관심 영역으로 설정된 횡단보도 앞부분에도 영상 요약을 통해 이동된 객체들이 존재한다. 또한, 도 6b에서는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해 영상 요약이 수행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관심 영역 중 특정 관심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특정 관심 영역에 대해서만 영상 요약이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are displayed together in the same time zone through the image summary process. In addition, the summary image displays at least one of an entry time, an escape time, and a remaining time for each object located in the summary image. Meanwhile, in FIG. 6B, the object moved through the image summary does not exist in front of the pedestrian crossing set as the region of interest, but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at a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may be set. In front of the crosswalk set as the region of interest, there are objects moved through the image summary. In addition, although FIG. 6B illustrates that image summarization is performed on a plurality of ROIs, when a specific ROI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ROIs, the image summarization may be performed only on the selected ROI.

한편, 요약 영상에는 기 설정된 관심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외곽선이 추가로 디스플레이되어 영상 내 관심 영역이 강조되어 재생된다. 또한, 기 설정된 관심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관심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선의 굵기 및 색깔 등이 다르게 표현되어 중요도별 관심 영역이 영상 내에서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 6b에서는 중요도가 높게 설정된 관광지의 출입구 부근에 대한 관심 영역이 중요도가 낮게 설정된 횡단보도 앞 부분에 대한 관심 영역보다 외곽선의 굵기가 굵게 디스플레이되었다.Meanwhile, in the summary image, an outlin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reset ROI is additionally displayed to reproduce the ROI in the imag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the preset ROI, the thickness and color of the outline surrounding the ROI are expressed differently so that the ROIs of each importance are clearly displayed in the image. Meanwhile, in FIG. 6B, the thickness of the outline is displayed to be thicker than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area of the front side of the crosswalk in which the region of interest is located nea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ourist attra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0: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
110: 영상 획득부 120: 영상 저장부
130: 관심 영역 설정부 140: 중요도 설정부
150: 영상 분석부 160: 영상 요약부
170: 영상 재생부
200: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요약 장치
210: 제어부
100: video summar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10: image acquisition unit 120: image storage unit
130: region of interest setting unit 140: importance setting unit
150: image analysis unit 160: image summary unit
170: video playback unit
200: The image summar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10: control unit

Claims (18)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중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Shift)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요약 영상이 재생 시 상기 요약 영상에 위치하는 각각의 객체들에 대한 진입 시간 또는 이탈시간만이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객체의 잔류 시간이 변동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요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 captured image;
An image analyzer configured to generate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that has entered a region of interest (ROI) within the image is separated;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object dwell image in which the object exists in the region of interest is extracted from the image, and the objects existing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egion of interest are located together in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dwell image. Shifting image summary is performed to generate a summary image, and when the summary image is played back, only the entry time or the departure time of each object located in the summary image is continuously displayed or the time elapsed. Image summarization control to display the remaining time of the object is changed according to
Video summary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약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ideo summary unit,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object is determined to enter the ROI, the image summary is performed, and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OI, the object And the image summary device stops the summary of the image by determining that it has left the region of interes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약부는,
상기 요약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관심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외곽선이 추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ideo summary unit,
And, when the summary image is reproduced, controls to display an outlin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ROI.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요약부는, 특정 중요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중요도에 대응되는 관심 영역을 대상으로 상기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a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are se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mportanc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The image summarizing unit, when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regarding a specific importance level, the image summarizing apparatus, performing the image summarization on a region of interes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mportance lev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약부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요약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ideo summary unit,
And the summary image is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cy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한 진입 시간, 상기 관심 영역을 이탈한 이탈 시간 및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을 이탈한 시점까지의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추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analyz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the object enters the ROI, the departure time from the ROI, and the object enters the ROI from the ROI. And further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object to the viewpoi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약부와 연동되어 상기 요약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image reproducing unit interworking with the image summary unit to reproduce the summary image.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및 상기 영상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진입한 시간, 상기 객체가 이탈한 시간 및 상기 객체의 체류 기간(Timeline)을 포함한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체류 시간정보가 상기 영상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영상 요약에 대한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영상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중 상기 체류 기간에 대응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요약을 수행한 요약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요약 영상이 재생 시 상기 요약 영상에 위치하는 각각의 객체들에 대한 진입 시간 또는 이탈시간만이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객체의 잔류 시간이 변동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요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An image obtaining unit obtaining a photographed image;
An image storage unit storing the image and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has entered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the image is generated, and a time at which the object enters the region of interest, a time at which the object has left, and a stay of the objec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 image analyzer extracting dwell time information including a timelin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well time information to be databased in the image storage unit; And
When receiving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image summary, the object dwe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is extracted from the image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databased in the image storage unit, and the image is obtained using the dwell image. A summary image is generated by performing a summary, and when the summary image is played, only the entry time or the departure time for each object located in the summary image is continuously displayed or the remaining time of the object over time is generated. Imag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display to be changed
Video summary device comprising a.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약부는,
상기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video summary unit,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have entered the ROI, the image summary is performed, and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OI, And the image summary device is stopped by determining that an object has left the ROI.
제 9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요약부는, 특정 중요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중요도에 대응되는 관심 영역의 상기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요약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n a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are se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mportanc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The image summarizing unit, when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regarding a specific importance level, performs the image summarization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of the ROI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mportance level.
데이터 처리 기기에,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과정;
상기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하는 판단결과 생성 과정;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중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하는 추출 과정; 및
상기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요약 영상이 재생 시 상기 요약 영상에 위치하는 각각의 객체들에 대한 진입 시간 또는 이탈시간만이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객체의 잔류 시간이 변동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요약 과정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ata processing devices,
Image acquisition process of acquiring the captured image;
A determination resul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preset ROI in the image is separated;
An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an object residence image in which the object exists in the ROI of the im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 summary image is generated by moving the objects that existed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stay image to generate a summary image. Image summarization process that controls only the entry time or departure time for each object to be displayed continuously or the remaining time of the object changes to be displayed over tim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problem.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생성 과정은,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한 진입 시간, 상기 관심 영역을 이탈한 이탈 시간 및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한 시점부터 상기 관심 영역을 이탈한 시점까지의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추가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The method of claim 12,
The determination result generation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has entered the ROI, the object enters the ROI, the departure time has left the ROI, and the object has left the ROI from the entry point of the ROI.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urther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to a viewpoin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약 과정은,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중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The method of claim 12,
The video summary process,
If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ing that the object enters the ROI and performing the image summary; And
And determining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egion of interest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egion of interest, and stopping the summary of the imag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영상을 재생하는 요약 영상 재생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summary image reproducing process of reproducing the summary image.
데이터 처리 기기에,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과정;
상기 영상 내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생성하는 판단결과 생성 과정;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진입한 시간, 상기 객체가 이탈한 시간 및 상기 객체의 체류 기간을 포함한 체류 시간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과정;
상기 체류 시간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과정;
영상 요약에 대한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중 상기 체류 기간에 대응되는 객체 체류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추출 과정; 및
상기 객체 체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 각기 다른 시간대에 존재했던 객체들이 동일한 시간대에 함께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영상 요약을 수행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요약 영상이 재생 시 상기 요약 영상에 위치하는 각각의 객체들에 대한 진입 시간 또는 이탈시간만이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객체의 잔류 시간이 변동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요약 과정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ata processing devices,
Image acquisition process of acquiring the captured image;
A determination resul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entering the preset ROI in the image is separated;
An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residence time information including a time at which the object enters the ROI, a time at which the object leaves, and a dwell time of the objec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 control process of controlling the dwell time information to be a database;
An image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an object dwe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well time from the dwell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command to perform an image summary; And
A summary image is generated by moving the objects that existed in different time zones in the ROI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zone using the object stay image to generate a summary image. Image summarization process that controls only the entry time or departure time for each object to be continuously displayed or the remaining time of the object is changed to be displayed as time pass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is.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약 과정은,
상기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관심 영역에 상기 객체가 미검출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관심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중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The method of claim 16,
The video summary process,
Determining that the object has entered the ROI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ROI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and performing the image summary; And
And determining that the object has left the region of interest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egion of interest, and stopping the summary of the image.
제 16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심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요약 과정은 특정 중요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중요도에 대응되는 관심 영역의 상기 체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요약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The method of claim 16,
When a plurality of ROIs are se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ROIs.
The image summarizing process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image summarization based on the dwell time inform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corresponding to the particular importance level when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on a particular importance level.
KR1020130104636A 2013-09-02 2013-09-02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e KR1020720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636A KR102072022B1 (en) 2013-09-02 2013-09-02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636A KR102072022B1 (en) 2013-09-02 2013-09-02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178A KR20150026178A (en) 2015-03-11
KR102072022B1 true KR102072022B1 (en) 2020-01-31

Family

ID=5302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636A KR102072022B1 (en) 2013-09-02 2013-09-02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0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7827B2 (en) 2020-07-09 202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ummary vide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108A (en) 2015-06-04 2016-1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KR102556393B1 (en) 2016-06-30 2023-07-1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ummary
KR102618404B1 (en) 2016-06-30 2023-12-26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ummary
US20190021677A1 (en) * 2017-07-18 2019-01-24 Siemens Healthcare Gmbh Methods and systems for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using machine learning
KR101971736B1 (en) * 2017-08-18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89464B1 (en) * 2019-12-06 2021-08-1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tten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494B1 (en) * 2011-12-26 2013-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n auto control system of intelligent ptz camera using smart ph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40834C (en) * 2005-11-15 2014-08-19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video synopsis
AU2007345938B2 (en) * 2007-02-01 2011-11-10 Briefcam, Ltd. Method and system for video indexing and video synops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494B1 (en) * 2011-12-26 2013-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n auto control system of intelligent ptz camera using smart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7827B2 (en) 2020-07-09 202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ummary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178A (en)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022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ynops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e
KR102290419B1 (en) Method and Appratus For Creating Photo Story based on Visual Context Analysis of Digital Contents
US96848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contents
US9743033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combined with playing audio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170693B1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ing information therein
US201601980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objects into an image or sequence of images
CN103312943A (en) Video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video feature information
CN102231820B (en) Monitoring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4335594A (en) Automatic digital curation and tagging of action videos
CN105323657B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summary
EP36273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09009390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ene variation robust multimedia image analysis, and system for multimedia editing based on objects
US10146870B2 (en) Video playback method and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0865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Bano et al. ViComp: composition of user-generated videos
KR20120113014A (en)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vison monitoring method thereof
US107195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3608813A (en) Video navigation through object location
CN106162222B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video lens cutting
CN113992973A (en) Video abstrac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5850188B2 (en) Image display system
JP2012242878A (en) Similar image search system
KR201400336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edit based on object
JP2006333189A (en) Image summary generator
KR102027297B1 (en) Scene-based video navigation app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