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871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871B1
KR102071871B1 KR1020130118774A KR20130118774A KR102071871B1 KR 102071871 B1 KR102071871 B1 KR 102071871B1 KR 1020130118774 A KR1020130118774 A KR 1020130118774A KR 20130118774 A KR20130118774 A KR 20130118774A KR 102071871 B1 KR102071871 B1 KR 10207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ush
appl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0147A (en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871B1/en
Publication of KR2015004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1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8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단말기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단말기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통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 이후,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시켜 푸시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간 상호 연동을 통해 푸시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중계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terminal, the terminal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when the push message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pecific application, the terminal receives the push message. Get terminal information. Subsequently, a method of providing a push service for relaying a push message through mutual interworking between push devices of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by additionally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in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based on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push device. And a device.

Description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간 상호 연동을 통해 푸시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중계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push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a push message through interoperation between push devices of a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모바일 디바이스 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식 중 푸시(Push) 방식은 게시자 혹은 서버에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강제 전달하는 방식으로서, 운영체제에서 푸시 지원 서비스와 지속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서버 측에서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푸시 방식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배터리 및 네트워크 대역 같은 자원 효율성에서 풀 방식의 메시지 전달 방법에 비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알림 서비스의 즉시성을 충족시키고 있기 때문에 자원이 제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푸시 메시지 서비스로 활용되고 있다.Push is a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between mobile devices, which pushes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or the server to the mobile device, and maintains a continuous connection with the push support service in the operating system. To pass. This push message delivery method is not only superior to the pull message delivery method in terms of resource efficiency such as battery and network bandwidth, but also meets the promptness of the notification service. It is used as a service.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운영체제 제조업체,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각각 스마트폰에 개별적인 푸시 서비스 관리 모듈인 푸시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며 이를 통해, 푸시 서비스를 관리 및 제공한다. 그러나, 최근, 이동통신 사업자 간 월드 가든(Walled Garden) 형태의 장벽이 사라짐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는 자사 고객뿐만 아니라 타사 가입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방하고 있으며 이에, 이동통신 사업자는 가입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서비스뿐만 아니라 타 이동통신 사업자의 앱 관련 푸시 서비스 또한 제공한다. 이에, 단말기 사용자는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가입자가 속한 이동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푸시 클라이언트뿐만 아니라 타사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클라이언트도 추가로 설치해야하며 이 경우, 다수개의 푸시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구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martphone operating system manufacturers and mobile operators that provide push services each install a push client, a separate push service management module, on the smartphone, thereby managing and providing push services. However, with the recent disappearance of the Walled Garden-type barriers between mobile operators, mobile operators are opening applications to not only their customers but also to third-party subscribers. In addition, it provides push services related to apps of other mobile carriers. In order to use the push service, the terminal user must additionally install a push client of a third-party mobile service provider as well as a push client installed by the mobile service provider to which the subscriber belong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ush clients are simultaneously driven. Occurs.

본 실시예는 단말기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단말기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통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 이후,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시켜 푸시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간 상호 연동을 통해 푸시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중계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terminal, the terminal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when the push message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pecific application, the terminal receives the push message. Get terminal information. Subsequently, a method of providing a push service for relaying a push message through mutual interworking between push devices of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by additionally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in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based on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push device. And a main purpose in providing the device.

본 실시예는, 단말기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및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 및 상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는 단말기 정보 파악부; 및 상기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 정보 중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terminal, a storage unit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A terminal information grasping unit configured to grasp terminal information on a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based on the push mess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sh message to a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in addition to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It provides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가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및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과정;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 및 상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는 파악과정; 및 상기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 정보 중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하는 전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의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for providing a push service by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storing process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Identifying a terminal information on a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based on the push mess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sh message to a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in addition to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It provides a push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transmission process including the transmiss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단말기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통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 이후,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시켜 푸시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제공하는 한편, 단말기에 설치되는 푸시 클라이언트의 개수를 감소시켜 다수개의 푸시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 발생하는 상태 확인 메시지의 수 및 배터리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when the push message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on which the specific application is mounted, the push message is stored. To grasp the terminal information for the receiving terminal is provided. Subsequently, by additionally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ush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push devices are provided to each other and the push client installed in the terminal By reducing the numb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status check messages and battery generated when a plurality of push clients are simultaneously drive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가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ush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push service by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method of providing a push service by the system for providing a pus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method of providing a push service by the system for providing a pus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push service by the push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ush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110),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 제1 푸시 장치(130) 및 제2 푸시 장치(14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ush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irst terminal 100, a second terminal 110,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a first push device 130, and a second push device 140. . At this time,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ush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를 포함한 통신 중개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110)는 AP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AP 및 통신망을 경유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110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using a communication intermediary device including an AP according to a user's key manipulation, and may be a tablet PC or a laptop. It may be one of a laptop, a personal computer (PC),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That is,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110 are terminals that perform voice or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AP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 a program or protocol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via the AP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Means a terminal having a memory for,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the program.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는 푸시 클라이언트(104)를 탑재하여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2)에 푸시 메시지 전송 등과 같은 푸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100)는 푸시 클라이언트(104)를 이용하여 제1 푸시 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제1 푸시 장치(130)로부터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2)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102)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 예컨대, 제2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동일한 애플리케이션(102)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1 푸시 장치(130)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를 의미한다.The firs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provide a push service such as a push message transmission to an application 102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by mounting the push client 104. That is, the first terminal 10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ush device 130 using the push client 104 and through thi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from the first push device 130 ( It receives a push message transmitted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application 102 as the 102,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110,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user of the same application 102. In this case, the first push device 130 refers to a push device provid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한편,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102)이 설치되는 경우, 푸시 클라이언트(104)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제1 푸시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후, 제1 단말기(100)는 제1 푸시 장치(13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토큰(Token)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토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로 전송한다. 한편, 제1 단말기(100)가 제1 푸시 장치(130)로부터 수신하는 토큰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며, 특정 단말기 및 특정 단말기 내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토큰 정보는 제1 단말기(100) 및 제1 단말기(100) 내의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생성된 토큰 정보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발신자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대신하여 사용되며, 이를 통해 개인 정보 유출을 최소화하도록 동작한다.Meanwhile, when the application 102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the first terminal 100 uses the push client 104 to provide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102. Send to the push device 130. Subsequently,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toke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push device 130, and receives the received token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To send). Meanwhile, the toke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irst terminal 100 from the first push device 130 is generated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a specific terminal and a specific application in the specific terminal. Is included. For example, the toke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application 102 in the first terminal 100. On the other hand, the generated token information is used in place of the caller's 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in the process of authenticating the user, thereby minimizing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애플리케이션(102)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약자로 간단히 앱(App)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목적에 따른 전용 프로그램으로서 운영 체제 위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따라서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웹브라우저뿐만 아니라 컴파일러나 링커 등도 일종의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다. 좁은 의미에서는 OS(Operating System) 위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들을 의미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는 특정 목적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뜻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애플리케이션(102)은 제1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제1 단말기(100)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An application 102 is an abbrevi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or simply called an app, and means all software executed on an operating system as a dedicated program according to a purpose. Therefore, not only word processors, spreadsheets, and web browsers, but also compilers and linkers are included in some types of applications. In a narrow sense, it refers to software that a user directly uses on an operating system (OS). O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t refers to an application that can execute software for a specific purpose. In more detail, the application 102 refers to an application installed after being downloaded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when the first terminal 100 is a smartphone, and the first terminal 100 is a feature. In the case of a feature phone, it refers to an application running on a virtual machine (VM) downloaded through a carrier serve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02)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으며,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가 아닌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application provid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th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It may be an application provided from.

푸시 클라이언트(Push Client, 104)는 제1 단말기(100)에 탑재되어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2)의 푸시 서비스를 제어한다. 즉, 푸시 클라이언트(104)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제1 푸시 장치(130)와 연결을 시도하고, 해당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제1 푸시 장치(130)로부터 수신되는 푸시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푸시 클라이언트(104)는 제1 푸시 장치(130)에 상태 확인을 위한 Keepalive 메시지 또는 시도 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제1 푸시 장치(13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푸시 클라이언트(104)는 수신된 푸시 메시지를 분석하고,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컨대, 푸시 클라이언트(104)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사용자 ID 정보 및 사용자 이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파악하고, 파악된 애플리케이션으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The push client 104 is mounted on the first terminal 100 to control the push service of the application 102 installed on the first terminal 100. That is, the push client 104 attempts to connect with the first push device 13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intains the connection to immediately receive the push message received from the first push device 130. do. In addition, the push client 104 may periodically transmit a keepalive message or a challenge call to the first push device 130 to check the status, and thereby receive the push message from the first push device 130. Thereafter, the push client 104 analyzes the received push message and delivers the push message to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ush message. For example, the push client 104 may analyze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of application information, user ID information, and user na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to identify a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deliver the push message to the identified applicatio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클라이언트(104)는 제1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102)이 설치되는 경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제1 푸시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후, 푸시 클라이언트(104)는 제1 푸시 장치(13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토큰(Token)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토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로 재전송한다.Meanwhile, when the application 102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the push client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transmit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stalled application 102 to the first push device ( 130). Thereafter, the push client 104 receives toke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push device 130, and the received token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send to.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간 상호 연동을 통해 푸시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중계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를 구비함으로써, 제1 단말기(100)에 이동통신 사업자별 개별 푸시 클라이언트가 각각 설치되지 않으며 하나의 푸시 클라이언트(104)만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푸시 클라이언트(104)에서 제1 푸시 장치(130)로 전송되는 Keepalive 메시지 또는 시도 호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푸시 클라이언트(104)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제1 단말기(100)의 배터리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push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for relaying a push message through interoperation between push devices of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hereby allowing mobile communic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0. Individual push clients for each provider are not installed, but only one push client 104 may be installed. Through this, the number of keepalive messages or attempted calls transmitted from the push client 104 to the first push device 130 may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the first terminals 100 consumed while driving the push client 104 may be reduced. The effect is to save battery.

제2 단말기(110)는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2)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102)을 탑재하고 있으며, 해당 애플리케이션(102)에서 푸시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한 푸시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로 전송하여 푸시 메시지가 대응되는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102)으로 전송되도록 동작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2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102)만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110)가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를 경유하여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질적으로는 푸시 클라이언트(104)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제1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110 has the same application 102 as the application 102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and when a push messag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102, provides the generated push message to the application service Send to the device 120 so that the push message is sent to the application 102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Meanwhile, although FIG. 1 illustrates that the second terminal 110 includes only the application 102, this indicates that a push message for the application 102 on which the second terminal 110 is mou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n application service. This is just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first terminal 100 via the providing apparatus 120, and is provided with a push client 104, through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The function performed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way.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다양한 서비스 예컨대, 푸시 메시지 전송 및 업데이트 등을 단말기에 탑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11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이를 통해, 제1 단말기(100) 내의 애플리케이션(102) 및 제2 단말기(110) 내의 애플리케이션(102) 간의 푸시 메시지 전송을 중계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푸시 장치(130) 및 제2 푸시 장치(140)와 연동되며, 제1 푸시 장치(130)와 제2 푸시 장치(140) 간 상호 연동을 통해 푸시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중계할 수도 있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service for a specific applica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provides various services rela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example, a push message transmission and update, to a specific application mounted on the terminal. Meanwhil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perates to provide a service for the application 102 mounted o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110, and thereby, the first terminal. Relay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the application 102 in the 100 and the application 102 in the second terminal (110). For exampl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push device 130 and the second push device 140, and the push 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first push device 130 and the second push device 140. You can also relay the message for delivery.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해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102)으로 명시한다)이 설치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 및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102)이 설치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로부터 푸시 클라이언트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토큰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수신한 토큰 정보를 기 파악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사업자 식별자 정보,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매칭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가 애플리케이션(102)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사업자 식별자 정보,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 파악하여 저장하고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102)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예컨대, 사용자 이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102) 내 사용자 ID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제1 단말기(100) 및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해당 애플리케이션(102)을 탑재한 다수의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a specific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pplication 102) that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provides a service is installed. In this ca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application 102 is stored.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102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toke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push client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100. . Thereafter,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matching the received token informa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of operator identifier information, phone number, and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previously identified.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rator identifier information, phone number, and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collect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102 by the first terminal 100. The above information is grasped and stored. The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uses the application 102, for example, user name information and user ID information in the application 102.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specified that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application 102,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equipped wit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102;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102 may be stored.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2)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102)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 예컨대, 제2 단말기(11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푸시 메시지 및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제2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푸시 메시지에는 해당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ID 정보 및 사용자 이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2 단말기(11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식별 정보 및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 단말기가 제1 단말기(100)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수신 단말기를 제1 단말기(100)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application 102 as the application 102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110, the push message is pushed. Based on the message and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is identified. Meanwhile, the push message received by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from the second terminal 110 includes at least one receiver information of user ID information and user name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push message.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the push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110,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compares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Figure out.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receiving terminal is the first terminal 100 is illustrat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ereinafter, the receiving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the first terminal 100.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수신 단말기 예컨대, 제1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정보 및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 한편, 제1 단말기(100)는 해당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 예컨대, 제1 푸시 장치(130)를 통해 푸시 메시지를 전달받는다. 이때, 제1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푸시 메시지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가 아닌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경우, 푸시 메시지는 제1 푸시 장치(130)가 아닌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예컨대 제2 푸시 장치(140)로 우선적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제2 푸시 장치(140)가 푸시 메시지를 제1 푸시 장치(130)로 전송하도록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제공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사업자별 개별 푸시 클라이언트를 각각 설치하지 않고도 하나의 푸시 클라이언트(104)만으로도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푸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added to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ush message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0. do.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may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and an application 102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subscribes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information is compar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For exampl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adds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to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providing the application 102 are not the sam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1 The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 push message through a push device, for example, the first push device 130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push messag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0 comes from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oth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push message is the first push device 130. ) Is preferentially transmitted to the push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providing the application, for example, the second push device 140.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use the first terminal in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providing the application 102 are not the same. By additionally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100), by operating the second push device 140 to send a push message to the first push device 130, through this,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push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To provide.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push service of various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using only one push client 104 without installing each individual push client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Can be.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s preferably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nformation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102)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경우에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 예컨대, 제1 푸시 장치(13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예컨대, 제2 푸시 장치(14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2 푸시 장치(140)로 전달되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transmits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a push message to a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102.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s a push provid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when the push message is generated from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device, for example, the first push device 130. In additio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provide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push message is generated from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other than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s delivered to a push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for example, the second push device 140.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further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in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delivered to the second push device 140.

제1 푸시 장치(130) 및 제2 푸시 장치(140)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와 연동되어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푸시 장치(130)를 수신 단말기 예컨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푸시 장치로서 명시하였다. 또한, 제2 푸시 장치(140)를 제1 단말기(1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02)이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로서 명시하였다.The first push device 130 and the second push device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as a device that is linked with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20 and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ush message.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ush device 130 is designated as a push device provided by a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subscribe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102 mounted on the first terminal 100 with the second push device 140 is provid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other than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it is specified as a push device provided by the mobile operator.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통신부(200), 저장부(210), 단말기 정보 파악부(220) 및 전송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통신부(200), 저장부(210), 단말기 정보 파악부(220) 및 전송 제어부(23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00, a storage unit 210, a terminal information determiner 220, and a transmission controller 230.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ncludes only the communication unit 200, the storage unit 210, the terminal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220,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통신부(200)는 소정의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200)는 단말기 예컨대, 제1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102)으로 명시한다)이 설치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토큰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통신부(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토큰 정보를 저장부(210)로 전송한다. 한편, 도 2에서는 통신부(200)가 제1 단말기(100)로부터 토큰 정보를 수신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애플리케이션(102)을 탑재한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토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ans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0, when a specific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pplication 102) that provides a service to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s installed, the first terminal Token information including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100. Thereafter, the communication unit 200 transmits the tok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torage unit 210. In FIG. 2, the communication unit 200 specifies that the toke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receive toke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equipped with the application 102.

또한, 통신부(200)는 애플리케이션(102)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 예컨대, 제2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푸시 메시지를 단말기 정보 파악부(220)로 제공한다. 한편, 도 2에서는 통신부(200)가 제2 단말기(11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애플리케이션(102)을 탑재한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00 receives a push message transmitted from another terminal,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110 on which the application 102 is mounted, and provides the received push message to the terminal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220. Meanwhile, in FIG. 2, the communicator 200 receives the push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receive the push message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equipped with the application 102.

저장부(210)는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102)이 설치되는 경우,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저장부(210)는 제1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102)이 설치되는 경우, 통신부(200)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로부터 푸시 클라이언트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토큰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후, 저장부(210)는 수신한 토큰 정보를 기 파악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사업자 식별자 정보,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매칭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210)는 제1 단말기(100)가 애플리케이션(102)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사업자 식별자 정보,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 파악하여 저장하고 있다. 이후, 저장부(210)는 저장된 식별 정보를 단말기 정보 파악부(220) 및 전송 제어부(230)에 제공한다.When the application 102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storage unit 21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102.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102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the storage 210 may use token information including push client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10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200. To be provided. Thereafter, the storage unit 210 generat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matching the received token informa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of operator identifier information, phone number, and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previously identified, and generat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operator identifier information, phone number, and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collect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102 by the first terminal 100. It is grasped and stored. Thereafter, the storage unit 210 provides the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formation checking unit 220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0.

단말기 정보 파악부(220)는 애플리케이션(102)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 예컨대, 제2 단말기(11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푸시 메시지 및 저장부(210)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 한편, 단말기 정보 파악부(220)가 통신부(200)를 이용하여 수신한 푸시 메시지에는 해당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ID 정보 및 사용자 이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단말기 정보 파악부(220)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식별 정보 및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수신 단말기가 제1 단말기(100)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checking unit 220 receives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application 102,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110, the terminal information checking unit 220 may push the message based on the push mess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To grasp the terminal information for the receiving terminal is provided. Meanwhile, the push message received by the terminal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22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200 includes at least one receiver information of application user ID information and user name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push message. That is, when receiving the push message, the terminal information checking unit 220 compares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iv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and determines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Meanwhile, in FIG. 2, the receiving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the first terminal 100.

전송 제어부(230)는 수신 단말기 예컨대, 제1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송 제어부(23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정보 및 저장부(210)에 저장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 예컨대, 전송 제어부(230)는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 한편,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transmission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to ad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ush message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0. That is, the transmission controller 230 may select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n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102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210. Compa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nformation to be provided, and further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of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For example,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first terminal 100 is not included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subscribes is not the same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application 102. Additi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100 is transmitted.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s preferably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nformation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전송 제어부(230)는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102)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한다. 즉, 전송 제어부(230)는 푸시 메시지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경우에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 예컨대, 제1 푸시 장치(13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전송 제어부(230)는 푸시 메시지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예컨대, 제2 푸시 장치(14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전송 제어부(230)는 제2 푸시 장치(140)로 전달되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controller 230 transmits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sh message to the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102. That is, when the push message is generated from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0 may provide a push device, for exampl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ush device 130.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0, if the push message is generated by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other than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ing the application.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s delivered to a push device of the operator, for example, the second push device 140.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controller 230 further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transmitted to the second push device 140.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push service by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단말기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102)으로 명시한다)이 설치되는 경우,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S310).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102)이 설치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로부터 푸시 클라이언트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토큰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토큰 정보에 기 파악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사업자 식별자 정보,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102 when a specific application (hereinafter, designated as the application 102)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S310).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102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token information including push client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100. Subsequently,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matching at least one or more of operator identifier information, phone number, and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previously identified in the token information.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애플리케이션(102)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 예컨대, 제2 단말기(11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S320), 푸시 메시지 및 단계 S310을 이용하여 저장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S330). 한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수신한 푸시 메시지에는 해당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ID 정보 및 사용자 이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식별 정보 및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 이하, 수신 단말기를 제1 단말기(100)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Whe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application 102,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110 (S320),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using the push message and step S310.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is identified (S330). Meanwhile, the push message received by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recipient information among application user ID information and user name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push message.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the push messag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compares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iv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and determines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Hereinafter, the receiving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first terminal 100.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수신 단말기 예컨대, 제1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S340).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정보 및 단계 S310을 이용하여 저장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added to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ush message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0. (S340).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n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102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using the step S310. Compa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nformation that provides the, and further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of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For exampl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adds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to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providing the application 102 are not the sam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1 The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102)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한다(S350).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경우에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 예컨대, 제1 푸시 장치(13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 예컨대, 제2 푸시 장치(14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2 푸시 장치(140)로 전달되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transmits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sh message to the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102 (S350).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s a push provid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when the push message is generated from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device, for example, the first push device 130. In additio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provide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push message is generated from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other than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s delivered to a push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for example, the second push device 140.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further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in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delivered to the second push device 140.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3, steps S310 to S350 are sequentially executed,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3 may be applied by changing or executing one or more steps in parallel, FIG. 3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한편, 도 4는 수신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동일한 경우를 예시하였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method of providing a push service by the system for providing a pus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Figure 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the application is the same.

단말기 예컨대,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102)이라 명시한다)이 설치되는 경우(S410),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제1 푸시 장치(130)로 전송한다(S420). 즉, 제1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102)이 설치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에 탑재된 푸시 클라이언트(104)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애플리케이션 등록 요청 신호를 제1 푸시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푸시 장치(130)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이다.For example, when a specific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lication 102)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S410), the first terminal 100 pushes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device 130 transmits (S420).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102 providing the service by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s installed, the first terminal 100 uses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by using the push client 104 mounted on the first terminal 100. And an application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to the first push device 130. In this case, the first push device 130 is a push device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subscribes.

제1 푸시 장치(13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토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토큰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30). 한편, 제1 푸시 장치(130)가 생성하는 토큰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며, 특정 단말기 및 특정 단말기 내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제1 푸시 장치(130)는 제1 단말기(100) 및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토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토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등록 확인 신호에 포함시켜 제1 단말기(100) 내 푸시 클라이언트(104)로 전송한다.The first push device 130 generates token inform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oke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0 (S430). ). Meanwhile, the toke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st push device 130 is generated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and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specific terminal and a specific application in the specific terminal. That is, the first push device 130 generates toke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application 102, and includes the generated token information in the application registration confirmation signal to generate the token information. 100) to push client 104.

제1 단말기(100)는 단계 S430을 이용하여 수신한 토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로 전송하고(S440),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토큰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 및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S450). 단계 S450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수신한 토큰 정보를 기 파악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사업자 식별자 정보,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매칭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가 애플리케이션(102)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사업자 식별자 정보,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 파악하여 저장하고 있다.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s the token information received using the step S430 in the application registr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S440), and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the token information. If it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application 102 is stored (S450). In operation S450,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matching the received token informa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of operator identifier information, phone number, and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And stores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rator identifier information, phone number, and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collect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102 by the first terminal 100. The above information is grasped and stored.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2)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102)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S460), 푸시 메시지 및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S470). 한편, 도 4에서는 수신 단말기가 제1 단말기(100)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정보 및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 한편, 단계 S470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고,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하지 않는다.Whe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application 102 as the application 102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S460),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may display the push message and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based on th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added to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ush message (S470). 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receiving terminal is the first terminal 100.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may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and an application 102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subscribes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information is compar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Meanwhile, in operation S470,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providing the application 102 are the same, and the first terminal corresponds to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Do not add identifying information for 100.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102)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하고(S480), 푸시 장치는 푸시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한다(S490, S492).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단계 S470을 이용하여 판단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가 미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 예컨대, 제1 푸시 장치(130)로 전달한다. 이후, 제1 푸시 장치(130)는 푸시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0) 내 푸시 클라이언트(104)로 전송하고, 푸시 클라이언트(104)는 푸시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102)에 전달한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transmits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sh message to the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102 (S480), and the push device provides the push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100 ( S490, S492).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may provide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using step S470. The push device is transferred to, for example, the first push device 130. Thereafter, the first push device 130 transmits the push message to the push client 104 i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push client 104 transmits the push message to the application 102.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9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4, steps S410 to S492 are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4 may be applied by changing the execution or one or more steps in parallel, FIG. 4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한편, 도 5는 수신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하였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method of providing a push service by the system for providing a pus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receiving terminal is not the same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application.

단말기 예컨대,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102)이라 명시한다)이 설치되는 경우(S502),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제1 푸시 장치(130)로 전송한다(S504). 즉, 제1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102)이 설치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에 탑재된 푸시 클라이언트(104)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애플리케이션 등록 요청 신호를 제1 푸시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푸시 장치(130)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이다.For example, when a specific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lication 102)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S502), the first terminal 100 pushes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device 130 transmits (S504).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102 providing the service by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s installed, the first terminal 100 uses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by using the push client 104 mounted on the first terminal 100. And an application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to the first push device 130. In this case, the first push device 130 is a push device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subscribes.

제1 푸시 장치(13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및 푸시 클라이언트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토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토큰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06). 즉, 제1 푸시 장치(130)는 제1 단말기(100) 및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토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토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등록 확인 신호에 포함시켜 제1 단말기(100) 내 푸시 클라이언트(104)로 전송한다.The first push device 130 generates token inform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push client identifi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oke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0 (S506). ). That is, the first push device 130 generates toke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application 102, and includes the generated token information in the application registration confirmation signal to generate the token information. 100) to push client 104.

제1 단말기(100)는 단계 S430을 이용하여 수신한 토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로 전송하고(S508),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토큰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 및 애플리케이션(102)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S510). 단계 S510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수신한 토큰 정보를 기 파악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사업자 식별자 정보,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매칭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s the token information received using the step S430 in the application registr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S508), and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the token information. If it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application 102 is stored (S510). In operation S510,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matching the received token informa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of operator identifier information, phone number, and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And stores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2)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102)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S512), 푸시 메시지 및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S514). 한편, 도 5에서는 수신 단말기가 제1 단말기(100)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정보 및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 한편, 단계 S514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한다.Whe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application 102 as the application 102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S512),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may transmit the push message and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determines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based on this, and determines whether to ad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ush message (S514). 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receiving terminal is the first terminal 100.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may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and an application 102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subscribes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information is compar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Meanwhile, in operation S514,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subscribed to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providing the application 102 are not the same, and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is determined. Ad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102)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한다(S516).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단계 S514를 이용하여 판단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이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 예컨대, 제2 푸시 장치(14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transmits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sh message to the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102 (S516).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n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using the step S514. Thereafter,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transmits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to a push device, for example, the second push device 140,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hat provides the application 102.

제2 푸시 장치(14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제1 푸시 장치(130)로 전달한다(S518). 즉, 제2 푸시 장치(140)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 예컨대, 제1 푸시 장치(130)를 인지하고, 인지된 제1 푸시 장치(13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The second push device 140 receives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and pushes the push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The delivery request messag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push device 130 (S518). That is, the second push device 140 is a push device, for example, provid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1 recognizes the push device 130, and delivers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to the recognized first push device (130).

제1 푸시 장치(130)는 푸시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한다(S520, S522). 즉, 제1 푸시 장치(130)는 푸시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0) 내 푸시 클라이언트(104)로 전송하고, 푸시 클라이언트(104)는 푸시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102)에 전달한다.The first push device 130 provides a push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100 (S520 and S522). That is, the first push device 130 transmits the push message to the push client 104 i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push client 104 transmits the push message to the application 102.

도 5에서는 단계 S502 내지 단계 S52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5, steps S502 to S522 are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5 may be applied by changing the execution or one or more steps in parallel, FIG. 5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6은 도 5에 명시된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방법을 예시하였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push service by the push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eanwhile, FIG. 6 illustrates a second method in which the push service providing system described in FIG. 5 provides a push service.

도 6에 도시하듯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102)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 예컨대, 제2 단말기(11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푸시 메시지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에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한다.As shown in FIG. 6,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eives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110, on which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provides a service. In this case,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push mess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이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 및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도 6에서는 수신 단말기가 제1 단말기(100)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정보 및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한다. 한편, 도 6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가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고,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시킨다.Thereafter,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added to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ush message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receiving terminal is the first terminal 100.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may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and an application 102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subscribes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information is compar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Meanwhile, in FIG. 6,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recogniz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providing the application 102 are not the same, and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s not the same. In add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is further included.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102)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애플리케이션(102)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 예컨대, 제2 푸시 장치(14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transmits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a push message to a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102. That i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 transmits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to a push device, for example, the second push device 140,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hat provides the application 102. In this case,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제2 푸시 장치(14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제1 푸시 장치(130)로 전달한다. 즉, 제2 푸시 장치(140)는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00)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장치 예컨대, 제1 푸시 장치(130)를 인지하고, 인지된 제1 푸시 장치(130)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후, 제1 푸시 장치(130)는 푸시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한다.The second push device 140 receives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and pushes the push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The delivery reques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first push device 130. That is, the second push device 140 is a push device, for example, provid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first terminal 1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1 recognizes the push device 130, and delivers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to the recognized first push device (130). Thereafter, the first push device 130 provides a push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100.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0: 제1 단말기 102: 애플리케이션
104: 푸시 클라이언트 110: 제2 단말기
120: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
130: 제1 푸시 장치 140: 제2 푸시 장치
200: 통신부 210: 저장부
220: 단말기 정보 파악부 230: 전송 제어부
100: first terminal 102: application
104: push client 110: second terminal
120: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130: first push device 140: second push device
200: communication unit 210: storage unit
220: terminal information grasping unit 230: transmission control unit

Claims (10)

단말기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및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 및 상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는 단말기 정보 파악부; 및
상기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 정보 중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
A storage unit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A terminal information grasping unit configured to grasp terminal inform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based on the push mess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Sends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sh message to a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compare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receiving termina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specific application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A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erminal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푸시 클라이언트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토큰 정보 및 기 파악된 상기 단말기에 대한 사업자 식별자 정보, 사용자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oken information including push client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operator identifier information, user telephone number, and application user identifier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메시지는 사용자 ID 정보 및 사용자 이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정보 파악부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수신자 정보를 비교한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ush message includes at least one recipient information of user ID information and user nam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grasping unit grasps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iver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푸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providing the specific applica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On the basis of the comparison resul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specific application is not the same,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further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nformation subscribed to the receiving terminal.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가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및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과정;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 및 상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는 파악과정; 및
상기 푸시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푸시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 정보 중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하는 전송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의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I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o provide a push service,
A storage step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Grasping, when receiving a push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pecific application, terminal information on a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based on the push mess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nds a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sh message to a pus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compare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receiving termina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specific application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mo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push transfer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Push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과정은,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푸시 전달 요청 메시지에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장치의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mission process,
On the basis of the comparison resul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bscrib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specific application is not the same, the push delivery request message further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Push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30118774A 2013-10-04 2013-10-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 KR1020718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774A KR102071871B1 (en) 2013-10-04 2013-10-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774A KR102071871B1 (en) 2013-10-04 2013-10-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147A KR20150040147A (en) 2015-04-14
KR102071871B1 true KR102071871B1 (en) 2020-01-31

Family

ID=5303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774A KR102071871B1 (en) 2013-10-04 2013-10-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8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815B1 (en) * 2018-10-30 2020-06-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MI Push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929B1 (en) * 2011-05-16 2013-03-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ush service using routing based on id
KR101971621B1 (en) * 2011-11-11 2019-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brokering between server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147A (en)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5554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nd accessing intelligent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network and storage medium
CN102761864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device
CN102970362A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loud data
CN104301857A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CN104980898A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system and equipment
CN108781473A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of the shared file between different terminals
CN102724322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3517266A (en) Method for activating mobile terminal on mobile network side and mobile gateway system
CN101521875A (en) Terminal function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5000379A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 system for air conditioner
CN103517243A (en) Emergency call establishment method, network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EP2905938B1 (en) Method for acquiring locating information, terminal and mobile broadband interface model (mbim) device
CN102185925A (en) 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terminal data processing of computer
CN101557442A (en) Method and system for merging call center and third-party industry application server
CN108781217A (en) Method, server and the terminal of multi-medium data transmission
WO2014015743A1 (en) Method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server
KR1020718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Service
CN101548514B (en) Method for exchanging messages in a mobile radio network
US20170127472A1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controlling disconnection of a wireless device in a wi-fi direct group of a wireless network
CN102523577A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application service
CN101742422A (en) Method and device of mobile instant messaging
US9712993B2 (en) System and method of trigger service
CN102375755A (en) Data model object deletion identification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CN102158432A (en) Telecom operator network middleware device prior to being embedded to terminal operating system
KR101028487B1 (en) Method for connecting internet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