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813B1 - Safety cap having face shield - Google Patents

Safety cap having face shie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813B1
KR102070813B1 KR1020180061854A KR20180061854A KR102070813B1 KR 102070813 B1 KR102070813 B1 KR 102070813B1 KR 1020180061854 A KR1020180061854 A KR 1020180061854A KR 20180061854 A KR20180061854 A KR 20180061854A KR 102070813 B1 KR102070813 B1 KR 102070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surface
unit
security
photochromic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6310A (en
Inventor
김충곤
박동수
송건영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813B1/en
Publication of KR2019013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4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with electrical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가 개시된다.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는, 안전모의 일측에 구비된 불투명 보안면; 및 눈부심 유발 장치로부터 동작 개시 명령 또는 보호상태 개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불투명 보안면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보호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A hard hat having a security surface is disclosed. Hard hat having a security surface, an opaque security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rd hat; And a driver configured to move the opaque security surfac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witch to a protected state when an operation start command or a protection state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glare-inducing device.

Description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Safety cap having face shield}Safety cap having face shield

본 발명은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hat having a security surface.

조선소나 건설 현장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모의 착용이 의무화되고 있으며, 용접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인 경우에는 시력 보호를 위해 보안경의 착용도 의무화되고 있다.Wearing a hard hat is mandatory for workers' safety at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shipyards and construction sites, and wearing safety glasses is also mandatory for workers who work on welding.

그러나 안전모와 보안경은 각각 독립된 기능으로 따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고, 안전을 위해 각각 별도로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중에서, 안전모는 현장 진입시 항시 착용하도록 강제되어 있어 망각하는 경우가 적지만, 보안경의 경우에는 작업시 착용을 망각하는 경우가 있어 시력 손상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도 있다. However, since the safety helmet and goggles are separated into separate functions,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there is inconvenience to wear them separately for safety. Among them, hard hats are forced to be worn at all times when entering the field, but they are less likely to be forgotten. However, in case of safety glas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are forgotten to wear during work and are exposed to the risk of vision damage.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8261호는 보안경이 안전모 본체에 결합되고, 안전모 본체를 착용한 작업자가 턱끈을 잡아당기면 보안경이 아래로 내려와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도록 하는 보안경 일체형 안전모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턱끈을 잡아당겨 안전모를 정확하게 착용하고 고정하였을 때에는 작업자의 눈 앞에 보안경이 항상 위치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8261 has a safety goggle that is coupled to the safety helmet body, and when the worker wearing the safety helmet body pulls the chin strap, the safety goggles come down to protect the eyes of the worker. I start a hard hat. Therefore, when the worker pulls the chin strap and wears and fixes the helmet correctly, the safety glasses can always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worker's eyes.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8261호의 보안경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용접 작업 등 작업자의 시력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safety glasses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8261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eyesight of the worker, such as welding work.

또한, 해당 보안경을 작업자의 시력 보호를 위해 불투명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용접 작업을 실시한 작업자가 용접 부위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안경이 눈 앞에서 제거되어야 하며, 이 경우때 안전모가 안전한 착용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afety glasses ar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to protect the eyesight of the worker, the safety glasses should be removed in front of the eyes in order for the worker who performed the welding work to check the quality of the welded area. There is also a problem.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8261호(보안경 일체형 안전모)Korea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78261 (safety glasses integrated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작업 과정에서 작업 대상면에서 강렬한 빛이 발생되는 눈부심 유발 작업(예를 들어, 용접, 레이저 가공 등)의 실시 여부에 따라 보안면이 보호 상태 또는 비보호 상태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surfac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 protected state or an unprotected stat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glare-inducing work (for example, welding, laser processing, etc.), in which intense light is generated on the work target surface, during opera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and safety for the operator. It is to provide a hard hat with a security surface that can be planned.

본 발명은 눈부심 유발 작업이 중지 또는 종료되면 작업자가 나안(裸眼) 상태 또는 투명한 상태의 보안면을 통해 작업 대상물에 대한 작업 품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helmet with a security surfac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accurately check the work quality for the work object through the security surface of the naked eye or transparent state when the glare-induced work is stopped or terminated.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전모의 일측에 구비된 불투명 보안면; 및 눈부심 유발 장치로부터 동작 개시 명령 또는 보호상태 개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불투명 보안면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보호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opaque security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rd hat;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opaque security surfac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o switch to the protection state when an operation start command or a protection state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glare-inducing device.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안전모의 모자챙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슬롯 홀을 통해 상기 불투명 보안면을 상하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직선 이동시키거나, 상기 모자챙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불투명 보안면을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linearly move the opaque security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slot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hat visor of the hard hat, or rotate the opaque security surface positioned below the hat viso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Can b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안전모의 모자챙 하부에 고정된 제1 편광 보안면; 상기 안전모의 일측에 구비된 제2 편광 보안면; 및 눈부심 유발 장치로부터 동작 개시 명령 또는 보호상태 개시 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안전모에 구비된 보호 상태 온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제2 편광 보안면을 상기 제1 편광 보안면에 중첩하도록 위치시켜 보호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rst polarized security surface fixed to the hat brim of the hard hat; A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rd hat; And when the operation start command or the protection state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glare-inducing device or the protection state on button provided in the hard hat is operated,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plane is positioned to overlap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plane so as to be switched to the protection state. A safety helmet having a security surface including a driving unit is provided.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안전모의 모자챙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슬롯 홀을 통해 상기 제2 편광 보안면을 상하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직선 이동시키거나, 상기 모자챙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제2 편광 보안면을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linearly move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plan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slot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hat visor of the hard hat, or move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plane positioned below the hat visor in a predetermined position. Can be rotated until

상기 제1 편광 보안면과 상기 제2 편광 보안면의 광 투과축의 차이는 눈부심 유발 작업의 유형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The difference in the light transmission axis between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and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may be preset according to the type of glare-inducing 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안전모의 일측에 구비된 광변색 보안면; 상기 광변색 보안면을 향해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램프부; 및 눈부심 유발 장치로부터 동작 개시 명령 또는 보호상태 개시 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안전모에 구비된 보호 상태 온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광변색 보안면이 보호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램프부가 자외선 광의 조사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유닛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rd hat; A lamp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And when the operation state command or the protection state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glare-inducing device or when the protection state on button provided in the helmet is operated, the lamp unit initiates irradiation of ultraviolet light so that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is switched to the protection state. A helmet is provided with a security surface that includes a unit controller for controlling.

상기 광변색 보안면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외선을 받으면 미리 지정된 색으로 바뀌는 광변색을 일으키는 포토크로믹(photochromic) 물질이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hotochromic material that maintains a transparent state and then undergoes photochromic change to a predetermined color when subjected to ultraviolet rays.

상기 유닛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안전모의 모자챙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슬롯 홀을 통해 상기 광변색 보안면을 상하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직선 이동시키거나, 상기 모자챙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광변색 보안면을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닛 컨트롤러는 상기 광변색 보안면이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이동된 후 상기 램프부가 자외선 광의 조사를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unit controller,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is linearly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slot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cap brim of the hard hat, or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located under the cap brim is previous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the unit controller may control the lamp unit to start irradiation of ultraviolet light after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눈부심 유발 작업(예를 들어, 용접, 레이저 가공 등)의 실시 여부에 따라 보안면이 비보호 상태 또는 보호 상태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와 안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surfac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n unprotected state or a protected state depending on whether glare-inducing work (for example, welding, laser processing, etc.) is performed, thereby ensuring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operator.

또한, 눈부심 유발 작업이 중지 또는 종료되면 작업자가 나안(裸眼) 상태 또는 투명한 상태의 보안면을 통해 작업 대상물에 대한 작업 품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glare-induced work is stopped or terminated,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the operator to accurately check the work quality on the work object through the security aspect of the naked eye or transparent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통신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레이저 가공 장치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레이저 가공 장치의 연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레이저 가공 장치의 연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레이저 가공 장치의 연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레이저 가공 장치의 연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
1 illustrates a laser processing apparatus in communication with a security surface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2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security surface unit and a las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state between a security surface unit and a las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state of the security surface unit and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state of the security surface unit and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security surface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state between a security surface unit and a las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 module”, “…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에 구비되는 보안면은 예를 들어 용접 작업, 레이저 가공 작업 등과 같이 작업 대상면에서 강렬한 빛을 발생시키는 눈부심 유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의 시력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안면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면은 통상의 보안경과 같이 작업자의 눈 부위를 가리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통상의 보안면과 같이 작업자를 향해 비산되는 비산물로부터 안면을 가리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for example, the security surface provided in the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erator of performing glare-induced work for generating intense light on the work target surface, such as welding work, laser processing work, etc.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eyesight,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urity surface may vary. For example, the security face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and shape to cover the eye area of the worker like a normal safety glasses, and to have a size and shape to cover the face from flying products scattered toward the worker as a normal security face. It may be formed.

또한 보안면은 눈부심 유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의 눈을 강렬한 빛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작용하는 상태인 보호 상태와, 그렇지 않은 비보호 상태에서 작용할 수 있다. The security surface may also operate in a protected state that acts to protect the eyes of the operator performing the glare action from intense light and an unprotected state that does not.

예를 들어, 보안면은 위치 변화를 통해 보호 상태와 비보호 상태를 전환(후술될 실시예 1, 2 참조)할 수도 있고, 편광 특성을 이용하여 보호 상태와 비보호 상태를 전환(후술될 실시예 3 참조)할 수도 있으며, 광변색 특성을 이용하여 보호 상태와 비보호 상태를 전환(후술될 실시예 4 참조)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보안면이 보호 상태와 비보호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urity surface may switch between the protected state and the unprotected state (see Examples 1 and 2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position change, and the protected and unprotected states are switched using the polarization property (see Example 3 to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the photochromic property may be used to switch between the protected state and the unprotected state (see Example 4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manner in which the security plane switches between the protected state and the unprotected state may vary.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해당 공지 기술이 별도의 설명을 요하지 않는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or when the publicly known technology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Omi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통신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레이저 가공 장치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3 내지 도 5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레이저 가공 장치의 연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ser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a security surface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security surface unit and a las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state between a security surface unit and a las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작업 대상면에 빛을 발생시키는 눈부심 유발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310)에는 보안면 유닛(150)이 구비되고, 보안면 유닛(150)과 눈부심 유발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통신 연결된다. 1 to 3, a safety surface unit 150 is provided on a hard hat 310 worn by an operator who performs a work using an anti-glare device that generates light on a work target surface, and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And the glare-inducing device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each other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본 명세서에서는, 눈부심 유발 장치의 일 예로서 레이저 가공 장치(110)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용접 장치 등과 같이 작업 대상면에 빛을 발생시켜 작업자의 눈부심을 유발하는 일체의 장치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glare-inducing device, but any device that generates light on the work target surface such as a welding device may cause the glare of the worker. .

레이저 가공 장치(110)는 그 용도에 따라 출력 크기, 펄스의 간격, 주파수와 파장 등이 상이하게 지정될 수 있으나, 레이저 빔을 작업 대상면에 조사하도록 동작하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녹 제거나 용접 등을 위해 레이저 가공 장치(110)에서 레이저 빔이 작업 대상면에 조사되면, 작업 대상면에서는 시각을 압도하거나 감소시킬 만큼 강렬한 빛이 발생된다.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may have different output sizes, pulse intervals, frequencies and wavelengths, etc.,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However,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operates to irradiate a laser beam onto a work target surface. In addition, w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onto the work target surface by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for rust removal, welding, or the like, intense light is generated on the work target surface so as to overwhelm or reduce visual acuity.

그러나, 작업 대상면에서 발생되는 강렬한 빛은 작업자에게 눈부심을 느끼게 하고, 작업 대상물의 표면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도록 하며, 레이저 가공 처리의 품질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도록 하는 원인이 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각각 개시하는 보안면(310) 및 보안면 유닛(150)이 요구된다. However, the intense light generated from the work surface causes the operator to feel glare, make it im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surface state of the work object, and make it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laser processing treatment. In the examples, a security surface 310 and a security surface unit 150 are disclosed, respectively.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 장치(110)는 옵틱 헤드(112), 핸들(116), 조작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발진기(130)에서 발생되어 전송 매체(118)를 통해 전송되는 레이저 빔(LB)을 옵틱 헤드(112)로 유입받아 조사구(114)를 통해 작업 대상면에 조사하도록 동작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may include an optical head 112, a handle 116, and a manipulator 120. The laser beam LB generated by the laser oscillator 13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dium 118 is introduced into the optical head 112 and operated to irradiate the work target surface through the irradiation port 114.

조작기(120)는 옵틱 헤드(112)를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핸들(116)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조작기(120)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의 조사 개시, 중지 등을 조작할 수 있다. The manipulator 12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le 116 provided to be gripped by an operator to easily manipulate the optical head 112, and the operator may start irradiation of the laser beam using the manipulator 120. You can operate the pause.

옵틱 헤드(112)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10), 장치 통신부(212), 레이저 빔 유입부(214), 레이저 빔 전달부(216) 및 장치 컨트롤러(218)가 포함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optical head 112 may include an input unit 210, a device communication unit 212, a laser beam inlet 214, a laser beam transmitter 216, and a device controller 218. .

입력부(210)는 조작기(120)를 이용한 작업자 조작에 따른 조작 명령(예를 들어, 레이저 빔 조사 명령, 레이저 빔 조사 중지 명령 등)을 입력받는다. The input unit 210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or example, a laser beam irradiation command, a laser beam irradiation stop command, etc.) according to an operator's operation using the manipulator 120.

장치 통신부(212)는 장치 컨트롤러(218)의 제어에 의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310)에 구비된 보안면 유닛(150)으로 조작 명령에 상응하는 조작 신호를 전송한다.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212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command to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provided in the helmet 310 worn by the oper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device controller 218.

레이저 빔 유입부(214)는 장치 컨트롤러(218)의 제어에 의해 전송 매체(118)를 통해 전송되는 레이저 빔을 옵틱 헤드(112)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유입 차단하도록 동작된다. The laser beam inlet 214 is operated to introduce or block inflow of the laser beam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dium 118 into the optical head 112 under the control of the device controller 218.

예를 들어, 레이저 빔 유입부(214)는 작업자가 조작기(120)를 온(ON) 상태로 조작한 시간 구간 동안, 장치 컨트롤러(218)의 제어에 의해 레이저 빔이 옵틱 헤드(112) 내부로 유입되도록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laser beam inlet 214 is a laser beam is introduced into the optical head 112 under the control of the device controller 218 during the time interval in which the operator manipulated the manipulator 120 in the ON state. It can be handled to inflow.

물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장치 컨트롤러(218)는 안전모(310)에 구비된 보안면이 보호 상태로 전환 완료된 이후 레이저빔 유입부(214)가 레이저 빔을 옵틱 헤드(112) 내부로 유입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vice controller 218 may control the laser beam inlet 214 to flow the laser beam into the optical head 112 after the security surface provided in the helmet 310 is completed to switch to the protective state. Could be

레이저 빔 전달부(216)는 예를 들어 옵틱 헤드(112)의 내부로 유입된 레이저 빔을 굴절시켜 조사구(114)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반사 거울, 조사구(114)를 통해 작업 대상면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스폿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반사 거울을 X축과 Y축 각각에 대해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 컨트롤러(218)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The laser beam transmission unit 216 is a work mirror through the reflecting mirror, the irradiation port 114 to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rradiation port 114, for example, refracting the laser beam introduced into the optical head 112 An actuator or the like that rotates the reflective mirror about each of the X and Y axes to change the spot position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surface. Here, the actuator may be operation controlled by the device controller 218, for example.

장치 컨트롤러(218)는 입력부(210)에 입력된 조작 명령에 상응하도록 장치 통신부(212), 레이저 빔 유입부(214), 레이저 빔 전달부(21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device controller 218 controls operations of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212, the laser beam inlet 214, and the laser beam transfer unit 216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210.

특히, 장치 컨트롤러(218)는 입력된 조작 명령이 레이저 빔 조사 명령인 경우, 상응하는 조사 조작 신호를 보안면 유닛(150)으로 전송하고, 입력된 조작 명령이 레이저 빔 조사 중지 명령인 경우, 상응하는 조사 중지 조작 신호를 보안면 유닛(150)으로 전송한다. In particular, the device controller 218 transmits a corresponding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to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when the input operation command is a laser beam irradiation command, and when the input operation command is a laser beam irradiation stop command, The irradiation stop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이때, 작업자의 눈부심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장치 컨트롤러(218)는 조사 조작 신호를 보안면 유닛(150)으로 전송하고, 보안면 유닛(150)으로부터 불투명 보안면(320)이 보호 상태로 전환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완료 응답이 수신된 이후, 작업 대상면에 레이저 빔의 조사가 개시되도록 레이저 빔 유입부(214), 레이저 빔 전달부(21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조사 중지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보안면 유닛(150)은 불투명 보안면(320)이 비보호 상태로 전환되도록 처리할 것이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glare of the operator, the device controller 218 transmits the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to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and completes indicating that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from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has completed the transition to the protected state After the response is received, the operation of the laser beam inlet 214 and the laser beam transmitter 216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onto the work target surface. Thereafter, when the irradiation stop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the secure surface unit 150 will process the opaque secure surface 320 to switch to an unprotected state.

물론, 레이저 가공 장치(100)에 보안면이 보호 상태 또는 비보호 상태로 전환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보호상태 온/오프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 보호상태 온 버튼이 입력되면, 장치 컨트롤러(218)는 보안면 유닛(150)으로 보호 상태 개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상태 온/오프 버튼은 보안면 유닛(150)과 연계되도록 안전모(310)에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ed state on / off button for manipulating the security surface to be switched to the protected state or the unprotected state, and when the protected state on button is input by the operator, the device controller 218 ) May transmit a protection state initiation signal to the secure surface unit 150. In addition, the protection state on / off button may be provided in the helmet 310 to be associated with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보안면 유닛(150)은 유닛 통신부(230), 구동부(232) 및 유닛 컨트롤러(2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ure surface unit 150 may include a unit communication unit 230, a driver 232, and a unit controller 234.

유닛 통신부(230)는 레이저 가공 장치(110)의 장치 통신부(212)와 통신 연결되어 조사 조작 신호, 조사 중지 조작 신호, 보호 상태 개시 신호, 보호 상태 종료 신호 등을 수신하고, 보호 상태 개시 또는 보호 상태 종료에 관한 완료 응답 등을 전송한다. The unit communication unit 230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212 of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to receive an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an irradiation stop operation signal, a protection state start signal, a protection state end signal, and the like, and to start or protect a protection state. Send a complete response for the end of the status.

구동부(232)는 유닛 컨트롤러(234)의 제어에 의해 불투명 보안면(320, 도 3 참조) 또는 제2 편광 보안면(420, 도 4 참조)을 이동시켜 보안면이 강렬한 빛으로부터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도록 작용되는 보호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다. The driver 232 moves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see FIG. 3) or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20 (see FIG. 4) under the control of the unit controller 234 so that the security surface protects the operator's eyes from the intense light. To be placed in a protected state.

유닛 컨트롤러(234)는 레이저 가공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조사 조작 신호, 조사 중지 조작 신호, 보호 상태 개시 신호, 보호 상태 종료 신호 등에 따라 구동부(232)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구동부(232)의 조작에 의해 상응하는 보안면이 보호 상태로 전환 완료되면, 이에 관한 완료 응답이 레이저 가공 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하여 레이저 가공 장치(110)가 작업 대상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The unit controller 23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232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irradiation stop operation signal, protection state start signal, protection state end signal, and the like received from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In addition, when the corresponding security surface is switched to the protected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32, the completion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so that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irradiates the laser beam to the work target surface. Can be initiated.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눈 보호를 위해 안전모(310)에 구비되는 불투명 보안면(320)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제1 실시예). As illustrated in FIG. 3,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provided in the hard hat 31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slidab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irst embodiment).

즉,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 장치(110)가 레이저 빔을 조사하지 않는 상태인 경우, 불투명 보안면(320)은 작업자의 눈을 가리지 않도록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A, when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does not irradiate a laser beam,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cover an operator's eyes.

여기서, 불투명 보안면(320)은 예를 들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불투명 코팅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불투명 보안면(320)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상의 보안경과 같이 작업자의 눈 부위만 가리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거나, 통상의 보안면과 같이 작업자를 향해 비산되는 비산물로부터 안면을 가리는 크기와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or treated with an opaque coating, for example. The size and shape of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may vary, for example, having a size and shape that covers only the eye area of the worker, such as a normal eye shield, or a face from flying products flying toward the worker, such as a normal security face. It may be formed in a size and shape, and the like.

이후, 레이저 가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조사 조작 신호 또는 보호 상태 개시 신호, 안전모(310)에 구비된 보호 상태 온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된 보호 상태 개시 신호에 상응하여, 보안면 유닛(150)의 구동부(320)는 유닛 컨트롤러(234)의 제어에 의해 불투명 보안면(320)이 작업자의 눈을 가리도록 하향 이동하여 보호 상태로 전환되도록 조작한다(도 3의 (b) 참조). Thereafter, in response to the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00 or the protection state start signal, and the protection state start signal input by using the protection state on button provided in the helmet 310, Under the control of the unit controller 234, the driving unit 320 manipulates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to move downward so as to cover the eyes of the worker, thereby switching to the protection state (see FIG. 3 (b)).

이를 위해, 불투명 보안면(320)은 안전모(310)의 모체에서 돌출 형성된 모자챙(차양) 부위에 관통 형성된 슬롯 홀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구동부(232)는 불투명 보안면(320)이 슬롯홀을 통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may be positioned to be slidable through the slot hole formed through the hat brim (shad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parent of the hard hat 310, the driving unit 232 is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is a slot It may include a motor for slidingly moving upward or downward through the hole.

레이저 가공 장치(110)가 레이저 빔을 작업 대상면에 조사하기 전에, 보안면 유닛(150)은 불투명하게 형성된 불투명 보안면(320)을 작업자의 눈을 가리도록 이동 위치시켜 보호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Before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irradiates the laser beam to the work target surface,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moves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formed to be opaque so as to cover the worker's eyes, thereby switching to the protective state. Glare can be prevented.

만일 레이저 가공 장치(110) 등으로부터 조사 중지 조작 신호 또는 보호상태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보안면 유닛(150)은 불투명 보안면(320)이 작업자의 눈을 가리지 않도록 이동시켜 비보호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나안 상태에서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 품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irradiation stop operation signal or the protection state e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or the like,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moves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so as not to cover the eyes of the worker so as to be switched to the unprotected stat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quality of work on the work surface in the blank.

구동부(232)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불투명 보안면(32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지 않고,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310)의 모자챙 하부에서 불투명 보안면(320)을 회전 이동시켜 보호 상태와 비보호 상태를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실시예 2). 이 경우, 구동부(232)에 구비된 모터가 불투명 보안면(32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As illustrated in FIG. 3, the driving unit 232 does not slide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and as shown in FIG. 4, the driving unit 232 rotates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under the hat brim of the hard hat 310 to protect the state.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between and the unprotected state (Example 2). In this case, the motor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232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opaque security surface 320.

다른 예로서, 안전모(310)에 구비되는 보안면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310)의 모자챙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 편광 보안면(410)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편광 보안면(42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실시예 3). 물론, 제1 편광 보안면(410)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편광 보안면(420)이 회전 이동 방식으로 위치 이동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As another example, the security surface provided in the hard hat 310 is arrang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polarized security surface 41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t brim of the hard hat 310, as illustrated in FIG. It may also be composed of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20 (Embodiment 3). Of course,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10 may also be arranged to be slidably movable, and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20 may be moved in a rotational manner.

제1 편광 보안면(410)과 제2 편광 보안면(420) 각각은 광 투과축에 평행한 빛은 모두 통과시키고 광 투과축에 수직한 광 흡수축에 평행한 빛은 모두 흡수하여 통과시키지 않는 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설정되며, 서로 상이한 광 투과축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Each of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10 and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20 has a polarization characteristic that passes all light parallel to the light transmission axis and absorbs and does not pass all light parallel to the light absorp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light transmission axis. It is set to have a, and is set to have a light transmission axis different from each other.

따라서, 레이저 가공 장치(110)가 레이저 빔을 조사하지 않는 상태로서, 작업자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제1 편광 보안면(410)만이 임의의 크기로 모자챙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 편광 보안면(410)을 통해 정상적으로 주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does not irradiate the laser beam, and in order to protect the operator's face, the operator may fix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10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hat brim to an arbitrary s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can be normally checked through 410.

그러나, 레이저 가공 장치(110)로부터 조사 조작 신호 등이 수신되면, 유닛 컨트롤러(234)는 제2 편광 보안면(420)을 작업자의 눈 앞에서 제1 편광 보안면(410)과 중첩하여 위치시키도록 구동부(232)의 동작을 제어한다. However, when an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or the like is received from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the unit controller 234 may drive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20 to overlap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10 in front of the operator's eyes. Control the operation of 232).

이에 의해, 제1 편광 보안면(410)과 제2 편광 보안면(420)을 모두 통과된 빛의 세기에 의해 작업자가 눈부심이 유발되지 않는 수준으로 각각의 광 투과축이 미리 설정된 제1 편광 보안면(410)과 제2 편광 보안면(420)이 작업자의 눈 앞에 중첩 위치된 상태가 되고, 작업자는 눈부심을 느끼지 않는 상태로 눈부심 유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10 in which each light transmission axis is preset to a level such that an operator does not cause glare by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both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10 and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20. ) And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front of the operator's eyes, and the operator may perform the glare-inducing operation without feeling the glare.

이때, 통과된 빛의 세기를 결정하기 위한 제1 편광 보안면(410)과 제2 편광 보안면(420) 각각의 광 투과축과, 통과된 빛의 세기를 결정짓는 광 투과축의 차이는 눈부심 유발 작업의 유형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2개의 편광 보안면을 통과한 빛의 세기는 예를 들어 말러스 법칙에 의해 산출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c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each of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10 and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20 for determining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light, and the light transmission axis for determining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light is determined by glare-inducing work. It may be preset according to the type.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two polarization security planes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by Malus's law, which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만일 레이저 가공 장치(110)로부터 조사 중지 조작 신호 등이 수신되면, 보안면 유닛(150)은 제2 편광 보안면(420)이 작업자의 눈을 가리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제1 편광 보안면(410)만을 통해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 품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irradiation stop operation signal or the like is received from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moves the second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20 to a state where the operator does not cover the operator's eyes, thereby allowing the operator to have the first polarization security surface 410. Only by ensuring the quality of work on the work surface can be accurately confirmed.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안면 유닛과 레이저 가공 장치의 연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ecurity surface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state of the security surface unit and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안면 유닛(150)은 유닛 통신부(230), 램프부(510) 및 유닛 컨트롤러(234)를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may include a unit communication unit 230, a lamp unit 510, and a unit controller 234.

유닛 통신부(230)는 레이저 가공 장치(110)의 장치 통신부(212)와 통신 연결되어 조사 조작 신호, 조사 중지 조작 신호 등을 수신하고, 완료 응답 등을 전송한다. The unit communication unit 230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212 of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to receive an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an irradiation stop operation signal, and the like, and transmit a completion response or the like.

램프부(510)는 유닛 컨트롤러(234)의 제어에 의해, 안전모(310)에 구비된 광변색 보안면(610)를 향해 자외선 광을 조사한다. The lamp unit 510 irradiates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provided in the helmet 310 under the control of the unit controller 234.

안전모(310)에 구비되는 광변색 보안면(610)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외선을 받으면 미리 지정된 색(예를 들어, 갈색, 흑색 등)으로 바뀌는 광변색을 일으키는 포토크로믹 물질(photochromic, 광 가역성 변색 화합물)이 적용(예를 들어, 표면 코팅, 해당 물질과 혼합된 재질로 가공)되어 형성된다.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provided in the hard hat 310 maintains a transparent state and generates photochromic material (photochromic, photo-reversible) which is changed to a predetermined color (for example, brown, black, etc.) upon receiving ultraviolet rays. Discoloration compound) is applied (eg, surface coating, processed into a material mixed with the material).

통상적으로 레이저 가공 작업 등은 실내 공간에서 작업되고 있으므로 광변색 보안면(610)은 투명한 상태로 유지되지만, 램프부(510)에서 자외선 광이 조사되면 광변색 보안면(610)은 미리 지정된 색으로 변색되어 불투명화된다. 작업자가 실시할 눈부심 유발 작업의 유형에 따라 광변색 보안면(610)이 변색되어 불투명화될 수준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Since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is normally maintained in a transparent state because the laser proc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n indoor space,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is discolored to a predetermined color when ultraviolet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amp unit 510. Opaque. According to the type of glare-inducing work to be performed by the operator, the level at which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is discolored and opaque may be predetermined.

유닛 컨트롤러(234)는 레이저 가공 장치(110)로부터 조사 조작 신호, 조사 중지 조작 신호 등의 수신, 안전모(310)에 구비된 보호 상태 온/오프 버튼의 조작에 상응하여 램프부(51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unit controller 234 receives the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the irradiation stop operation signal, etc. from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and operates the lamp unit 510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 protection state on / off button provided in the helmet 310. To control.

또한 유닛 컨트롤러(234)는 램프부(510)의 동작에 의해 광변색 보안면(610)이 보호 상태로 전환 완료되면, 이에 대한 완료 응답이 레이저 가공 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하여 레이저 가공 장치(110)가 작업 대상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is switched to the protection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lamp unit 510, the unit controller 234 transmits a completion response thereto to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thereby causing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to operate. ) Can be started to irradiate the laser beam to the work target surface.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변색 보안면(610)은 안전모(310)의 모자챙 하부에 고정 배치되고, 레이저 가공 장치(110)로부터 조사 조작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램프부(510)에서 자외선 광을 조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투명한 상태로 유지된다(도 6의 (a) 참조). As illustrated in FIG. 7,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is fixedly disposed under the hat visor of the hard hat 310, and no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110 to receive ultraviolet light from the lamp unit 510. In the state which is not irradiated, it remains transparent (refer FIG. 6 (a)).

이후, 조사 조작 신호 등이 수신되면 유닛 컨트롤러(234)는 램프부(510)가 점등되어 광변색 보안면(610) 쪽으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자외선 광이 조사된 광변색 보안면(610)은 미리 지정된 색으로 변색되어 불투명해진다(도 7의 (b), (c) 참조). 여기서, 램프부(510)는 조사하는 자외선 광을 광변색 보안면(610)쪽으로 조사하되, 작업자의 눈을 향해서는 직접적으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지 않는 각도로 설치된다. Subsequently, when the irradiation operation signal or the like is received, the unit controller 234 controls the lamp unit 510 to turn on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and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to which the ultraviolet light is irradiated is The color changes to a predetermined color and becomes opaque (see FIGS. 7B and 7C). Here, the lamp unit 510 irradiates the ultraviolet light to be irradiated toward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but is installed at an angle that does not directly irradiate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operator's eyes.

유닛 컨트롤러(234)는 눈부심 유발 작업이 실시되는 동안 광변색 보안면(610)이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보안면 유닛(150)에 조사 중지 조작 신호 또는 보호상태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램프부(510)가 점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unit controller 234 keeps the lamp until the irradiation stop operation signal or the protection state end signal is input to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to maintain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in an opaque state during the glare-inducing operation. The unit 510 may be controlled to maintain a lighting state.

도 7은 광변색 보안면(610)이 안전모(310)의 모자챙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도시되었으나, 앞서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광변색 보안면(610)은 모자챙에 관통 형성된 슬롯 홀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거나 모자챙 하부에서 회전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광변색 보안면(610)을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도 6의 보안면 유닛(15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FIG. 7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is fixedly disposed under the cap brim of the hard hat 310, bu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penetrates the cap brim. It may be arranged to be linear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ormed slot hole or to rotat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at visor, the driving unit for positioning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61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ecurity surface unit 150 of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는 눈부심 유발 작업(예를 들어, 용접, 레이저 가공 등)의 실시 여부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보안면이 보호 상태 또는 비보호 상태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눈부심 유발 작업이 중지 또는 종료되면 작업자가 나안(裸眼) 상태 또는 투명한 상태의 보안면을 통해 작업 대상물에 대한 작업 품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ard hat having a security su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urity surface having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the glare-induced work (for example, welding, laser processing, etc.) is in a protected state or an unprotected state The automatic switching allows for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operator, and when the glare-induced work is stopped or terminated, the operator can check the quality of work on the work object accurately through the security aspect of the naked eye or transparent state. ha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110 : 레이저 가공 장치 112 : 옵틱 헤드
114 : 조사구 116 : 핸들
118 : 전송 매체 120 : 조작기
130 : 레이저 발진기 150 : 보안면 유닛
210 : 입력부 212 : 장치 통신부
214 : 레이저 빔 유입부 216 : 레이저 빔 전달부
218 : 장치 컨트롤러 230 : 유닛 통신부
232 : 구동부 234 : 유닛 컨트롤러
310 : 안전모 320 : 불투명 보안면
410, 420 : 편광 보안면 510 : 램프부
610 : 광변색 보안면
110: laser processing device 112: optical head
114: probe 116: handle
118 transmission medium 120 manipulator
130: laser oscillator 150: security surface unit
210: input unit 212: device communication unit
214: laser beam inlet 216: laser beam delivery unit
218: device controller 230: unit communication unit
232: drive unit 234: unit controller
310: hard hat 320: opaque face
410, 420: polarization security plane 510: lamp unit
610: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안전모의 일측에 구비된 광변색 보안면;
상기 광변색 보안면을 향해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램프부;
눈부심 유발 장치로부터 동작 개시 명령 또는 보호상태 개시 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안전모에 구비된 보호 상태 온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광변색 보안면이 보호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램프부가 자외선 광의 조사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유닛 컨트롤러; 및
상기 유닛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안전모의 모자챙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슬롯 홀을 통해 상기 광변색 보안면을 상하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직선 이동시키거나, 상기 모자챙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광변색 보안면을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닛 컨트롤러는 상기 광변색 보안면이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이동된 후 상기 램프부가 자외선 광의 조사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rd hat;
A lamp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When the operation start command or the protection state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glare-inducing device or the protection state on button provided in the helmet is operated, the lamp unit controls irradiation of ultraviolet light so that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is switched to the protection state. A unit controller;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unit controller,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is linearly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slot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cap brim of the hard hat, or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located under the cap brim is previously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movement to a specified position,
And the unit controller controls the lamp unit to start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after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 보안면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외선을 받으면 미리 지정된 색으로 바뀌는 광변색을 일으키는 포토크로믹(photochromic) 물질이 적용되어 형성되는,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
The method of claim 6,
The photochromic security surface is a hard hat having a security surface formed by applying a photochromic material that maintains a transparent state and changes to a predetermined color when subjected to ultraviolet rays.
삭제delete
KR1020180061854A 2018-05-30 2018-05-30 Safety cap having face shield KR102070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54A KR102070813B1 (en) 2018-05-30 2018-05-30 Safety cap having face shie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54A KR102070813B1 (en) 2018-05-30 2018-05-30 Safety cap having face shie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10A KR20190136310A (en) 2019-12-10
KR102070813B1 true KR102070813B1 (en) 2020-01-29

Family

ID=6900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54A KR102070813B1 (en) 2018-05-30 2018-05-30 Safety cap having face shie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81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75Y1 (en) * 2004-03-10 2004-06-25 강효상 Spectacles frame discoloured on response of ultraviolet rays
KR101420979B1 (en) * 2013-06-17 2014-07-17 이광훈 Helmets having inner shield
KR101838063B1 (en) * 2016-10-20 2018-03-13 김원정 Welding helme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5635A (en) * 1985-12-18 1987-07-06 윤병용 Lcd safety glasses
KR20100088249A (en) * 2009-01-30 2010-08-09 양영봉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welding surface black diameter using jaw.
KR200478261Y1 (en) 2014-07-08 2015-09-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 Safety Helmet With Protective Gogg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75Y1 (en) * 2004-03-10 2004-06-25 강효상 Spectacles frame discoloured on response of ultraviolet rays
KR101420979B1 (en) * 2013-06-17 2014-07-17 이광훈 Helmets having inner shield
KR101838063B1 (en) * 2016-10-20 2018-03-13 김원정 Welding helme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10A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5157A1 (en) Process tracking laser camera with non-eye-safe and eye-safe operating modes
US9610198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welder
US9248047B2 (en) System for protecting tissue in the treatment of eyes
CN105769439B (en) A kind of novel protective face
US11577335B2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welding helmet
EP1459715A2 (en) Eye pro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CA2949218C (en) Ophthalmic surgical system with blue light filtering
US4523808A (en) Welding helmets with auxiliary optical vision systems
KR102070813B1 (en) Safety cap having face shield
KR102353943B1 (en) Protector for welder including panel and AR coating layer
JP6788123B2 (en) Laser system with protective device
US102680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the eyes from radiation
JP6178908B1 (en) Water jet laser processing equipment
CA2931678C (en) Process tracking laser camera with non-eye-safe and eye-safe operating modes
KR102240290B1 (en) Weld mask to remove moisture with wiper function
KR20180132265A (en) Laser clean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work area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US5331473A (en) Controlled reflection viewing system
WO2019220394A1 (en) A welding helmet with a stepless adjustable protective shield stop
KR20210014851A (en) Welding mask
KR20180133618A (en) Laser machining device having anti-dazzle function
JP2005087261A (en) Laser irradiation system and spectacles
JP20042835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ye protection
CN2212981Y (en) Photoelectron liquid crystal shutter synchronous welding goggle
SU615927A1 (en) Method of inspecting and protection at welding and cutting
KR20190108451A (en) Welding protective gog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