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447B1 - System For Fitting A Hearing Aid - Google Patents

System For Fitting A Hearing A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447B1
KR102068447B1 KR1020190131839A KR20190131839A KR102068447B1 KR 102068447 B1 KR102068447 B1 KR 102068447B1 KR 1020190131839 A KR1020190131839 A KR 1020190131839A KR 20190131839 A KR20190131839 A KR 20190131839A KR 102068447 B1 KR102068447 B1 KR 10206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earing aid
user
setting information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김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수 filed Critical 김길수
Priority to KR102019013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4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4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6External connectors, e.g. plug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7Aspects of elect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hearing aid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aid setting system which is equipped with a front microphone facing the front and a rear microphone facing the rear. Various setting information can be easily input and applied by using a user terminal. The hearing aid setting system comprises a hearing aid (10), the user terminal (20) and a service server (30).

Description

보청기 설정 시스템{System For Fitting A Hearing Aid}Hearing Aid Set System {System For Fitting A Hearing Aid}

본 발명은 보청기의 구동에 이용되는 각종 정보들을 설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e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used for driving a hearing aid.

난청을 가진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어 난청 주파수 대역을 증폭시켜 청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보청기가 널이 이용되고 있다. Various types of hearing aids, which are mounted on the ear of a user with hearing loss and have a function of improving a hearing by amplifying a hearing loss frequency band, have been used.

보청기의 마이크를 통해 유입된 소리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후, 보청기의 리시버를 통해 다시 소리로 출력된다. The sound introduced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hearing ai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then output again as a sound through the receiver of the hearing aid.

보청기가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청력에 가장 적합한 소리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 및 주파수 등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되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hearing aid to output the sound most suitable for the hearing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h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he volume and frequenc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hearing aid must be set directly by the user.

그러나, 보청기의 크기는 작기 때문에, 보청기 자체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설정을 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hearing aid is small, it is difficult to make the above-described setting using the hearing aid itself.

또한, 종래의 보청기는 한쪽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를 통해 소리를 입력받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 즉, 보청기의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된 소리라도 보청기에 입력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hearing aid receives sound through a microphone formed only in one direction, the sound cannot be input to the hearing aid even when the sound is generated at a close distanc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speaker of the hearing aid. May be generat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을 향하는 전방 마이크와 후방을 향하는 후방 마이크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설정 정보들이 간편하게 입력되어 적용될 수 있는, 보청기 설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front microphone facing the front and a rear microphone facing rear, the hearing aid setting system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a variety of setting information using a user terminal To provid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설정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보청기; 상기 사용자의 청력 검사를 수행하여 청력 검사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청력 검사 결과에 대응되는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청기로 전송하며,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청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회 구성원들의 청력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집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로 청력 상태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보청기는, 귓바퀴의 외부면에 착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소리튜브; 상기 소리튜브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귓구멍으로 삽입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팁; 및 상기 소리튜브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귓바퀴의 내부에 고정되는 튜브 고정선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중 상기 소리튜브가 연결되어 있는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전방 마이크; 상기 본체 중 상기 전방과 이격되어 있는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후방 마이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전방 마이크 및 상기 후방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전기신호 또는 상기 전기신호에 의해 발생된 소리를 상기 소리튜브를 통해 상기 이어팁으로 전송하는 변환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팁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저음, 고음,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전방 마이크, 상기 후방 마이크, 상기 통신부, 상기 변환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가 고정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Hearing aid se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earing aid used by the user; The hearing test result of the user is generated to generate a hearing test result, and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ing test resul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and at least one of a mode, a volume, and a frequenc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hearing aid. A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sound setting information for the transmission to the hearing aid; And analyzing the hearing status of social members usi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nalyzing the hearing status for each region by usi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region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user. And a service server for transmitting an analysis result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hearing aid comprises: a main body worn on an outer surface of the auricle wheel; A sound tu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 ear tip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ound tube and inserted into the ear hole of the user and outputting a sound; And a tube fixing line connected to the sound tube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auricle,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microphone mounted at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o which the sound tube is connected; A rear microphone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A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sound input from the front microphone and the rear microphon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or the sound generated by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ear tip through the sound tub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o change at least one of a bass, a treble, a mode, a volume, and a frequency of a sound output from the ear tip; And a case in which the front microphone, the rear microphone,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version unit, the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fixed.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보청기의 각종 설정 정보들을 보청기에 적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apply various setting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to the hearing aid.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청기에는 전방을 향하는 전방 마이크와 후방을 향하는 후방 마이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방 및 후방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보다 정확하게 들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ring a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ont microphone facing forward and a rear microphone facing backward,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hear the sound coming from the front and r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설정 시스템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청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청기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청기를 사용자의 귀에 착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청기의 베터리를 교체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설정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보청기 설정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기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들을 나타낸 예시도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설정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핵심 기능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1 is an embodime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hearing aid se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hearing a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ring a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user's ear.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wearing a hearing aid to the user's ea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replacing the battery of the hearing a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earing aid setting method executed by the hearing aid se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3 are exemplary views showing screens output through an output unit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 diagram of one embodiment illustrating key functions executed by the hearing aid sett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설정 시스템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청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청기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청기를 사용자의 귀에 착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청기의 베터리를 교체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n embodiment showing a hearing aid se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hearing a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hearing a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ser's ear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wearing a hearing aid applied to the user's ear, Figure 5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method of replacing the battery of the hearing a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설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보청기(10), 상기 사용자의 청력 검사를 수행하여 청력 검사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청력 검사 결과에 대응되는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청기로 전송하며,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청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20) 및 상기 보청기(10)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hearing aid se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hearing test result by performing a hearing test of the hearing aid 10 used by the user and the user, and sets a hearing aid corresponding to the hearing test result.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which generat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and generate sound set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mode, a volume, and a frequenc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hearing aid. It includes a service server 30 for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각종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30 may be a server currently generally provided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through various networks.

상기 보청기(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귓바퀴의 외부면에 착용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소리튜브(120), 상기 소리튜브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귓구멍으로 삽입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팁(130) 및 상기 소리튜브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귓바퀴의 내부에 고정되는 튜브 고정선(140)을 포함한다.The hearing aid 1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body 110, which is wo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ser's auricl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110 and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und tube 1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ound tube, is inserted into the ear hole of the user, the ear tip 130 for outputting the sound and connected to the sound tube, the tube fixing line fixed to the inside of the ear wheel ( 140).

상기 보청기(10)를 착용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wearing the hearing aid 1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사용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귓바퀴의 뒤에 상기 본체(110)를 건 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이어팁(130)이 부착된 상기 소리 튜브(120)가 얼굴에 닿을 때까지 상기 이어팁(130)을 귓구멍에 부드럽게 밀어 넣으며, 최종적으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손가락으로 상기 튜브 고정선(140)을 귓바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어팁(130)이 귓구멍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As shown in (a) of FIG. 4, the user hangs the main body 110 behind the aft wheel, and then, as shown in (b), the ear tip 130 is attached using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Gently push the ear tip 130 into the ear canal until the tube 120 touches the face, and finally, as shown in (c), by fixing the tube fixing line 140 to the ear canal with the index finger, the ear tip Do not let 130 fall out of the ear canal.

이하에서는, 상기 보청기(10)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다. In the following, components of the hearing aid 10 are described.

우선, 상기 소리튜브(120)는 상기 본체(110)와 상기 이어팁(130)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소리튜브(120)는 상기 이어팁(130)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변경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First, the sound tube 120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body 110 and the ear tip 130. The sound tube 1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silic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ar tip 130 may be naturally changed.

다음, 상기 이어팁(130)은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귓구멍의 크기 및 형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Next, the ear tip 130 is to be inserted into the ear hole of the user, for this purpose, it may be set in various sizes and shape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ear hole.

상기 이어팁(130)은 상기 본체(110)로부터 전송되어온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소리튜브(120)를 통해 전달되어온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키는 기능은, 상기 이어팁(130)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본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The ear tip 130 may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110 into a sound and output the sound, or output the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tube 120. That is, a function of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may be performed in the ear tip 130 or may be performed in the main body.

다음, 튜브 고정선(140)은 상기 이어팁(130)이 귓구멍으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도록 상기 이어팁(13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튜브 고정선(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귓바퀴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Next, the tube fixing line 140 supports the ear tip 130 so that the ear tip 130 is not pushed out of the ear hole. As shown in FIG. 2, the tube fixing line 14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auricle of the user.

이를 위해, 상기 튜브 고정선(140) 역시 탄성을 가진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ube fixing line 140 may also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silicon.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10)는 소리를 입력받고, 입력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팁(13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입력된 소리를 증폭시켜 상기 소리튜브(120)를 통해 상기 이어팁(13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Finally, the main body 110 may perform a function of receiving a sound, converting the input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ound to the ear tip 130, and amplifying the input sound to the sound tube 120. Through the ear tip 130 may be transmitted through.

이를 위해, 상기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중 상기 소리튜브(120)가 연결되어 있는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전방 마이크(210), 상기 본체 중 상기 전방과 이격되어 있는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후방 마이크(220),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30), 상기 전방 마이크 및 상기 후방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소리튜브를 통해 상기 이어팁으로 전송하는 변환부(240),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250),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환부(240)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팁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저음, 고음,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는 제어부(260) 및 상기 전방 마이크, 상기 후방 마이크, 상기 통신부, 상기 변환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가 고정되는 케이스(270)를 포함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front microphone 210 mounted at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which the sound tube 120 is connected, and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rear microphone 220 mounted on the rea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unit 2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20, the front microphone and the sound input from the rear microphon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electrical signal The conversion unit 240 for transmitting to the ear tip through the sound tube, the storage unit 250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ontrol the conversion unit 240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bass, treble, mode, volume and frequenc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ear tip And a case 270 to which the controller 260 and the front microphone, the rear microphone,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version unit, the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fixed.

우선, 상기 전방 마이크(210)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소리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전방이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리튜브(120)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First, the front microphone 21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to receive a sound. Here,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ure 2, means the portion that the sound tube 120 is connected.

상기 본체(1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귓바퀴의 외부면에 착용될 때, 상기 전방 마이크(21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 즉, 전방을 향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소리는 상기 전방 마이크(2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When the main body 110 is wo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ser's auricle as shown in FIG. 3, the front microphone 210 faces the user's gaze direction, that is, forward. Thus, sound transmitted from the front of the user may be received through the front microphone 210.

다음, 상기 후방 마이크(220)는 상기 본체 중 상기 전방과 이격되어 있는 후방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귓바퀴의 외부면에 착용될 때, 상기 후방 마이크(22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반대되는 후방을 향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소리는 상기 후방 마이크(22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Next, the rear microphone 220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body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hen the main body 110 is wo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ser's auricle as shown in FIG. 3, the rear microphone 220 faces rearwardly opposite to the user's gaze direction. Therefore,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rear of the user may be received through the rear microphone 220.

다음, 상기 통신부(230)는 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한다. Next, the communication unit 23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다음, 상기 변환부(240)는 상기 전방 마이크 및 상기 후방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소리튜브를 통해 상기 이어팁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Next, the conversion unit 240 converts the sound input from the front microphone and the rear microphon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ear tip through the sound tube.

그러나, 상기 변환부(240)는 상기 전방 마이크 및 상기 후방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증폭시킨 후, 증폭된 전기신호를 소리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환부(240)에서 출력된 소리는 상기 소리튜브를 통해 상기 이어팁으로 전송된 후, 상기 이어팁에서 출력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converting unit 240 may convert the sound input from the front microphone and the rear microphone into an electric signal and amplify the sound, and then output the amplified electric signal as sound.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from the conversion unit 240 may be output from the ear tip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ear tip through the sound tube.

상기 이어팁을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모드, 볼륨 및 주파수는, 상기 변환부(240)에서 생성되는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mode, volume, and frequency of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eartip may be variously changed by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verter 240.

다음,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Next, the storage unit 250 stores at least one of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청력에 최적화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이다. 즉, 상기 변환부(240)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이어팁에서 소리가 출력된다. 상기 이어팁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사용자의 청력에 최적화된 소리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더 깨끗하고 크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sound optimized for hearing of a user. That is, the conversion unit 240 generates the electrical signal usi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ear tip by the electrical signal. Since the sound output from the ear tip is a sound optimized for the hearing of the user, the user can hear the sound more clearly and loudly.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청력이 고려된 소리가 출력되더라도, 상기 소리가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들리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청기는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청력에 적합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Even though a soun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hearing is output by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he sound may not be accurately heard by the user. In this case, a user may directly generate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by us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hearing aid may generate a sound by using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herefore, the user can hear a sound suitable for his or her hearing.

다음,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환부(240)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팁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저음, 고음,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Next, the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conversion unit 240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at least among the bass, treble, mode, volume and frequenc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eartip. Performs a function to change either one.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소리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저음, 고음, 모드, 볼륨 및 주파수를 갖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변환부(240)를 제어한다.That is, when at least one of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260 may adjust a low tone, a high tone, a mode, a volume, and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he conversion unit 240 is controlled to output a sound having the same.

다음, 상기 케이스(270)는 상기 보청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전방 마이크, 상기 후방 마이크, 상기 통신부, 상기 변환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270)에 구비된다.Next, the case 270 forms an appearance of the hearing aid, and the front microphone, the rear microphone,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version unit, the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provided in the case 270.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구성들 이외에도, 상기 소리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기 위한 입력버튼(2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Lastly,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button 280 for directly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즉,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버튼(280)을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시킬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not only store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 in the storage unit 250, but also store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input by using the input button 280. It may be stored in the unit (250).

예를 들어, 상기 입력버튼(280)이 한 번 눌려지면 소리의 모드가 변경될 수 있고, 연속해서 두 번 눌려지면 소리의 볼륨이 변경될 수 있으며, 연속해서 세 번 눌려지면 소리의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once, the mode of the sound can be changed,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wice in a row, the volume of the sound can be changed, and when pressed three times in succession, the frequency of the sound is changed. Can be.

예를 들어, 상기 입력버튼(280)이 한 번 눌려지면 소리의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상기 입력버튼(280)이 한 번 눌려지면, 소리의 모드가 일상 생활에서 이용되는 일상 모드로 변경될 수 있고, 연속해서 두 번 눌려지면 식당에서 사용되는 식당모드로 변경될 수 있고, 연속해서 세 번 눌려지면 차안에서 사용되는 차안모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연속해서 네 번 눌려지면 야외에서 사용되는 야외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once, the mode of the sound may be changed. In this case,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once again, the mode of sound may be changed to the daily mode used in daily life, and if pressed twice in a row, it may be changed to the restaurant mode used in the restaurant. When pressed three times in succession, it can be changed into the vehicle mode used in the car, and when pressed four times in succession, it can be changed to the outdoor mode used outdoors.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드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입력버튼(280)이 길게 눌려지거나,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입력버튼(280)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60)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모드를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하며, 상기 최종적으로 선택된 모드의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변환부(240)를 제어한다.Finally, after any one of the above modes is selected, if the input button 280 is long pressed or if the input button 280 is not pres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ntroller 260 is finally selected. The m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and the converter 240 is controlled to output the sound of the finally selected mode.

상기 변환부(240)는 상기 최종적으로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전기 신호의 주파수 및 진폭 등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verter 240 may change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to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finally selected mode.

또한, 상기 입력버튼(280)이 연속해서 두 번 눌려지면 볼륨이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버튼(280)이 눌려지면 볼륨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입력버튼(280)이 한 개인 경우, 상기 입력버튼(280)이 눌려질 때마다 볼륨이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최대 볼륨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버튼(280)이 다시 눌려지면 볼륨은 순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ume may be adjusted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In this case,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the volum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When there is only one input button 280, the volume may be sequentially increased whenever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and if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again while the maximum volume is selected, the volume is sequentially Can be reduced.

그러나, 상기 입력버튼(280)이 두 개인 경우,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볼륨이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가 선택되면 볼륨이 순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However, when two input buttons 280 are selected, the volume may be sequentially increased when one is selected, and the volume may be sequentially decreased when the other is selected.

어느 하나의 볼륨이 선택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입력버튼(280)이 길게 눌려지거나,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입력버튼(280)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60)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볼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하며, 상기 최종적으로 선택된 볼륨을 갖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변환부(240)를 제어한다.When the input button 280 is finally pressed in a state in which one volume is selected or the input button 280 is not press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the controller 260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finally selected volume. The conversion unit 24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so that a sound having the finally selected volume can be output.

또한, 상기 입력버튼(280)이 연속해서 세 번 눌려지면 소리의 주파수가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버튼(280)이 눌려지면 주파수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입력버튼(280)이 한 개인 경우, 상기 입력버튼(280)이 눌려질 때마다 주파수가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최대 주파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버튼(280)이 다시 눌려지면 주파수는 순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three times in succession, the frequency of the sound may be adjusted. In this case,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the frequency may increase or decrease.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one, the frequency can be sequentially increased each time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the frequency is sequentially if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again with the maximum frequency selected Can be reduced.

그러나, 상기 입력버튼(280)이 두 개인 경우,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주파수가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가 선택되면 주파수가 순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However, when two input buttons 280 are selected, frequencies may be sequentially increased when one is selected, and frequencies may be sequentially decreased when another is selected.

어느 하나의 주파수가 선택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입력버튼(280)이 길게 눌려지거나,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입력버튼(280)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60)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주파수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하며, 상기 최종적으로 선택된 주파수를 갖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변환부(240)를 제어한다.If the input button 280 is finally pressed in a state in which one frequency is selected, or if the input button 280 is not pres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ntroller 260 may be configured with respect to the magnitude of the finally selected frequenc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and the converter 240 is controlled to output a sound having the finally selected frequency.

이 경우, 각 모드의 변환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는 각종 모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램프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들을 통해, 소리의 모드가 변경되고 있는지, 소리의 볼륨이 변경되고 있는지, 또는 소리의 주파수가 변경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 경우에, 세부적인 변경 사항들, 즉, 모드의 내용, 볼륨의 크기,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modes, or a plurality of lamps may be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conversion of each mode. That is,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mode of the sound is changing, the volume of the sound, or the frequency of the sound is changed through the display or the lamps, and in each case, detailed changes are made. That is, the information about the mode content, volume size, and frequency can be checked.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구성들 이외에도, 상기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베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베터리 커버(2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cover 290 capable of replacing a battery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components.

예를 들어, 베터리를 교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터리 커버(290)를 앞으로 밀어 베터리 보관부를 오픈 시킨 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터리를 교체하며, 베터리가 교체되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기 베터리 커버(290)를 닫아 상기 베터리 보관부를 밀폐시킨다. For example, the user who wants to replace the battery, as shown in (a) of FIG. 5, pushes the battery cover 290 forward to open the battery storage, and then, as shown in (b) When the battery is replaced, as shown in (c), the battery cover 290 is closed again to seal the battery storage part.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검사를 수행하여 청력 검사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청력 검사 결과에 대응되는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청기로 전송하며,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청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user terminal 20 performs a hearing test of the user to generate a hearing test result, generates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ing test result, transmits the hearing aid to the hearing aid, a mode of sound output from the hearing aid, And generating sound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volume and a frequency and transmitting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앱(이하, 간단히 서비스앱이라 함)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킬 수 있는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노트북 및 테블릿PC 등이 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 is a terminal capable of downloading and executing an app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ervice ap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 may be a smart phone, and in addition, it may be a notebook and a tablet PC.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청기(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기(21),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기(23),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기(24),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기(25) 및 상기 통신기, 상기 입력기, 상기 출력기와 상기 저장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2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user terminal 20 includes a communicator 21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hearing aid 10, an input unit 23 for receiv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24, a storage unit 25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22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the input unit, the output unit, and the storage uni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설정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보청기 설정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며,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기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들을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earing aid setting method executed by the hearing aid se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3 are exemplary views showing screens output through an output devic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우선,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상기 서비스앱을 다운로드받은 후, 상기 서비스앱을 실행시킨다. 상기 서비스앱이 실행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702).First, a user downloads the service app to the user terminal 20 used by the user, and then executes the service app. When the service app is executed, the application shown in FIG. 8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0 (702).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사용자의 청력을 검사할 수 있는 청력검사 메뉴(33), 상기 보청기(10)의 소리를 조절할 수 있는 소리조절 메뉴(34)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상기 보청기(10)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설정 메뉴(31)가 제공된다.The application includes a hearing test menu 33 for checking a user's hearing, a sound control menu 34 for adjusting a sound of the hearing aid 10,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A setting menu 31 for connection is provided.

사용자가 상기 설정 메뉴(31)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상기 보청기(10) 간의 통신을 연결시키기 위한 과정들이 수행된다. 이러한 과정들은 각종 블루투스 장치들과 스마트폰을 연결시키는 과정들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setting menu 31, processe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are performed. Since these processes are similar to those of connecting various Bluetooth devices with a smartphon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상기 보청기(10) 간에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메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출력기에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상기 보청기(10) 간에 통신이 연결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청기(10)의 베터리의 양에 대한 정보(32)가 상기 출력기에 출력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as shown in FIG. 8, a menu indicating that the device is not connected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20. Can be. However,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and as shown in FIG. 9, information 32 about the amount of batteries of the hearing aid 10 may be output to the output device. Can be.

이를 위해, 상기 보청기(10)의 제어부(260)는 상기 보청기(10)의 베터리의 양을 파악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60 of the hearing aid 1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batteries of the hearing aid 10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20.

다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상기 보청기(10) 간에 통신이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청력검사 메뉴(33)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큰 볼륨의 소리, 작은 볼륨의 소리, 저음(저주파수)의 소리, 고음(고주파수)의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검사한다(704). 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hearing test menu 33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is connected or not, the user terminal 20 is turned up at a large volume. The user's hearing is checked by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sound of a small volume, a sound of a small volume, a sound of a low frequency (low frequency), and a sound of a high frequency (high frequency) (704).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큰 볼륨의 소리를 출력한 후 사용자에게 소리가 들리는지의 여부 또는 어떤 소리가 들리는지의 여부를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 outputs a loud volume of sound and then outputs a voice or text whether the user hears a sound or whether the user hears a sound. The user terminal 20 may receive feedback from the user. hav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작은 볼륨의 소리를 출력한 후 사용자에게 소리가 들리는지의 여부 또는 어떤 소리가 들리는지의 여부를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 outputs a small volume of sound and then outputs as voice or text whether the user hears a sound or what sound is heard, and may receive feedback on the user.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저음(저주파수)의 소리를 출력한 후 사용자에게 소리가 들리는지의 여부 또는 어떤 소리가 들리는지의 여부를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 outputs a sound of a low tone (low frequency) and then outputs a voice or text whether the user hears a sound or which sound is heard, and may receive feedback on the user from the user. hav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고음(고주파수)의 소리를 출력한 후 사용자에게 소리가 들리는지의 여부 또는 어떤 소리가 들리는지의 여부를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 outputs a high-pitched sound (high frequency), and then outputs a voice or text whether the user hears a sound or whether the user hears a voice, and may receive feedback from the user. hav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들은 사용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에 대하여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역시, 사용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에 대하여 각각 수신될 수 있다. The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for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user, respectively. Thus, feedback may also be received for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user, respectively.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출력된 소리에 대응되는 피드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상기 제어기(22)는 상기 피드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청력검사 결과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when th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ound is input, the controller 22 of the user terminal 20 analyzes the feedback, and the user's hearing test result is shown in FIG. 10. You can output it as well.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상기 청력검사 결과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를 통해, 자신의 청력상태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 may provide a graph as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the hearing test result, and the user may determine his / her hearing state through the graph as shown in FIG. 10. I can figure out how much.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에 대응되는 청력을 가진 사용자는, 오른쪽 귀는 고음을 잘 듣지 못하고, 왼쪽 귀는 저음 및 고음 모두를 잘 듣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who has a hearing corresponding to the graph as shown in FIG. 10 may confirm that the right ear does not hear high pitches well, and the left ear does not hear both low pitches and high pitches well.

상기 청력검사 결과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메세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음성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The hearing test result may be provided in a specific message form as well as a graph as shown in FIG. 10 or may be provided by voice.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상기 제어기(22)는 상기 피드백에 따라 생성된 상기 청력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될 소리의 볼륨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한다.The controller 22 of the user terminal 20 uses the hearing test result generated according to the feedback, and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volume or a frequency of sound to be output from the hearing aid. Create

즉, 상기 청력검사 결과, 사용자가 저음의 소리를 잘 듣지 못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22)는 저음 대신 고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고음의 소리를 잘 듣지 못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22)는 고음 대신 저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ear the low sound well as a result of the hearing test, the controller 22 may generate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for outputting the high sound sound instead of the low sound, and the user may generate the high sound sou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cannot hear well, the controller 22 may generate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low tone instead of a high tone.

또한, 상기 청력검사 결과, 사용자가 볼륨이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하고, 특히, K 데시벨(dB) 이하의 소리를 잘 듣지 못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22)는 상기 K 데시벨(dB) 이상의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earing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r does not hear a sound of low volume, in particular, that the sound is less than K decibel (dB) or less, the controller 22 is a sound of more than the K decibel (dB)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o be output.

상기한 바와 청력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시검사 메뉴(36)를 이용하여 청력검사를 다시 할 수 있다.A user who thinks that the hearing test result is not accurate a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the hearing test again by using the retest menu 36 as shown in FIG. 10.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청력검사 결과를 자신이 이용하는 보청기에 적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기에 적용 메뉴(35)를 선택한다. 상기 기기에 적용 메뉴(35)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상기 청력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보청기(10)로 전송한다(706).Next, a user who wants to apply the hearing test result as described above to his or her hearing aid selects the application menu 35 to the devic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application menu 35 is selected to the device, the user terminal 20 generates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hearing test result, and transmits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10 (706).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청력에 최적화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이다. 즉,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에는, 사용자가 잘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가 잘 들을 수 있는 데시벨의 범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sound optimized for hearing of a user. That is,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frequency range of sound that can be heard well by the user and information about a range of decibels that can be well heard by the user.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상기 보청기(10) 간에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우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상기 보청기(10) 간의 통신을 연결시키는 과정을 실행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상기 보청기(10) 간의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보청기(10)로 전송한다. In this case, if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the user terminal 20 first performs a process of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After execution, 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is connected,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10.

다음, 상기 보청기(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킨다(708).Next, when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 the hearing aid 10 generates a sound according to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708).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변환부(240)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의 주파수 또는 진폭을 변경시키며,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이어팁에서 소리가 발생된다.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60, the conversion unit 240 changes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usi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is generated at the eartip by the electrical signal. .

즉, 상기 전기 신호의 주파수 또는 진폭이 변경되면, 소리의 주파수 및 볼륨 등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검사결과가 반영된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더 명확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changed, the frequency and volume of the sound may be changed, and accordingly, a sound reflecting the hearing test result of the user may be output. Thus, the user can hear a clearer sound.

다음,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메뉴들 중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리조절 메뉴(34)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청기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메뉴(37),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선택할 수 있는 볼륨 메뉴(38) 및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는 주파수 메뉴(39)를 출력한다.Next, when the sound control menu 34 as shown in FIGS. 8 and 9 is selected among the menus provided in the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20 is as shown in FIGS. 11 to 13. Outputs a mode menu 37 for selecting a mode of a hearing aid, a volume menu 38 for selecting a volume of a sound output from the hearing aid, and a frequency menu 39 for selecting a frequency of a sound output from the hearing aid do.

상기 모드 메뉴, 상기 볼륨 메뉴 및 상기 주파수 메뉴 중 적어도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피드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상기 피드백에 따라,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될 소리의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한다(710).When the feedback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mode menu, the volume menu, and the frequency menu is input, the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feedback, at least one of the mode, volume, and frequency of the sound to be output from the hearing aid In operation 710,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sound is generated.

즉,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출력되는 상기 모드 메뉴, 상기 볼륨 메뉴 및 상기 주파수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10)에서 출력될 소리의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a user may set at least one of a mode, a volume, and a frequency of a sound to be output from the hearing aid 10 by using the mode menu, the volume menu, and the frequency menu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20. .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드 메뉴(37)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는 상기 모드에 포함되는 세부 모드들이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de menu 37 is selected as illustrated in FIG. 11, detailed modes included in the mode may be output to the user terminal 20.

상기 세부 모드들에는 일상 생활에서 이용되는 일상 모드, 식당에서 사용되는 식당모드, 차안에서 사용되는 차안모드 및 야외에서 사용되는 야외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The detailed modes may include a daily mode used in daily life, a restaurant mode used in a restaurant, a car mode used in a car, and an outdoor mode used outdoors.

즉, 일상 생활에서 대화할 때에 들려지는 소리의 크기 및 주파수, 식당에서 들려지는 소리의 크기 및 주파수, 차안에서 들려지는 소리의 크기 및 주파수 및 야외에서 들려지는 소리의 크기 및 주파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That is, the loudness and frequency of sounds heard in conversations in daily life, the loudness and frequency of sounds heard in restaurants, the loudness and frequency of sounds heard in cars, and the loudness and frequency of sounds heard outdoors can be different. .

상기 세부 모드들 각각은 해당하는 세부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가장 잘 들릴 수 있는 소리의 크기 및 주파수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어 있다.Each of the detail modes is match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loudness and frequency of sounds that can be best heard by the user in the corresponding detail mode.

따라서, 상기 세부 모드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된 세부 모드에 대응되는 볼륨 또는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ny one of the detailed modes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may generate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volume or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etailed mode.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륨 메뉴(38)가 선택되면,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세부 메뉴들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when the volume menu 38 is selected, detailed menus for adjusting the volume may be output.

사용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통해 왼쪽 귀 및 오른쪽 귀 각각에서 출력될 소리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The user may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to be output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ears through the screen as shown in FIG. 12.

최종적으로 볼륨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선택된 볼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inally, when the volume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20 may generate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volume.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파수 메뉴(39)가 선택되면,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세부 메뉴들이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when the frequency menu 39 is selected, detailed menus for adjusting the frequency may be output.

즉, 상기 볼륨 메뉴(38)를 통한 볼륨의 조절보다 더 세밀한 조정을 원하는 사용자는 상기 주파수 메뉴(39)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주파수 메뉴를 통해, 자신이 조금 더 세밀하게 듣고 싶은 주파수를 볼륨 크기 내에서 별도로 조정할 수 있다.That is, a user who wants to make finer adjustments than the volume control through the volume menu 38 may select the frequency menu 39. Through the frequency menu, the user can separately adjust frequencies within which the user wants to listen in more detail.

최종적으로 주파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선택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inally, when the frequency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20 may generate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frequency.

다음, 상기 보청기로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전송하라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보청기(10)로 전송한다(712).Next, when a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10 (712).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보청기(10)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보청기(10)로 전송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Sinc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10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마지막으로, 상기 보청기(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소리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소리 설정 정보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킨다(714).Finally, when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 the hearing aid 10 generates a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714).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변환부(240)는 상기 소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의 주파수 또는 진폭을 변경시키며,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이어팁에서 소리가 출력된다.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60, the converter 240 changes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using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eartip by the electrical signal. .

즉, 상기 전기 신호의 주파수 또는 진폭이 변경되면, 소리의 주파수 및 볼륨 등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드, 볼륨 및 주파수에 대응되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더 명확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changed, the frequency and volume of the sound may be changed, and accordingly,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mode, volume, and frequency set by the user may be output. Thus, the user can hear a clearer soun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핵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erforms 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nd can perform the core functions as shown in FIG. 14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설정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핵심 기능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14 is a flow diagram of one embodiment illustrating key functions executed by the hearing aid sett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회 구성원들의 청력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802). First, the service server 30 may analyze the hearing status of social members usi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user terminal 20 (802). .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청력을 검사하는 과정(704)을 통해 생성된 보청기 설정 정보가 상기 보청기(10)로 전송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기(22)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befor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a process of checking a hearing of a user 704 is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10, the controller 22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 can be sent.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주거환경(아파트, 단독주택, 전원주택 등), 직업 등(이하, 간단히 사용자 정보라 함)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2 asks questions about the age, gender, residential environment (apartment, detached house, rural house, etc.), occupation, etc.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In addit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30 together with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 이외의 또 다른 사용자에 대해 수집된 보청기 설정 정보들 및 사용자 정보들을 인공지능을 이용해 분석하여, 연령별 및 성별 청력의 노화 기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근로환경 및 생활환경에 따라 변화되는 청력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들 및 상기 사용자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회 구성원들의 청력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30 that has received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analyzes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user and another user other than the user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nalyze the age-specific and The aging standard of gender hearing can be set, and the hearing condition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That is, the service server 30 may analyze the hearing status of social members usi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노화 기준 및 청력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 및 또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30 ma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ging criteria and the hearing condition to a user terminal used by the user terminal 20 and other users.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노화 기준 및 청력 상태 분석 결과들을, 각종 정부기관에 의해 관리되는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정부기관들은 국민의 청력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30 may transmit the aging criteria and hearing condition analysis results to a system managed by various government agencies, whereby various government agencies may establish various policies related to the hearing of the people. have.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집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로 청력 상태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804). Next, the service server 30 may analyze the hearing condition for each region by usi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region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user, and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user terminal (804).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청력을 검사하는 과정(704)을 통해 생성된 보청기 설정 정보가 상기 보청기(10)로 전송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기(22)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befor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a process of checking a hearing of a user 704 is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10, the controller 22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 can be sent.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정보(주소 등)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 may ask a question about local information (address, etc.) in which the user resides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nswer the question together with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 30).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지역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 이외의 또 다른 사용자에 대해 수집된 보청기 설정 정보들 및 지역 정보들을 인공지능을 이용해 분석하여, 각 지역별 청력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having received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region information, analyzes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region information collected about the user and another user other than the user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nalyze the hearing state of each region. Can be analyzed.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지역별 청력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 및 또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30 ma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hearing status for each region to a user terminal used by the user terminal 20 and other users.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지역별 청력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들을, 각종 정부기관에 의해 관리되는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정부기관들은 국민의 청력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30 ma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hearing status for each region to a system managed by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accordingly, various government agencies may establish various policies related to the hearing of the people. .

이 경우, 상기 사용자의 지역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청기(10)를 구매할 때, 상기 보청기(10)의 판매자에 의해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al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30 by the seller of the hearing aid 10 when the user purchases the hearing aid 10.

예를 들어, 상기 보청기(10)의 상기 케이스(270) 또는 상기 보청기(10)를 보관하는 용기의 표면에는 상기 보청기(10)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가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se 270 of the hearing aid 10 or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hearing aid 10 may be provided with a bar code or a QR code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hearing aid 10. have.

판매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청기(10)를 구매할 때,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큐알코드를 수집하며, 이에 따라,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판매자에 의해 이용되는 판매자 단말기로 입력된다The seller collects the barcode or the QR code using a reader when the user purchases the hearing aid 10, and thus the identification code is input to the seller terminal used by the seller.

판매자는 상기 사용자에게 지역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지역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판매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한다. The seller may request and receive the reg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 the received reg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 through the sell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이후, 상기 보청기(1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때, 상기 보청기(10)의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별코드를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communication is made between the hearing aid 10 and the user terminal 20, an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of the hearing aid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 Th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2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service server 30.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가 일치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상기 보청기 설정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역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지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지역별로 청력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30 receives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 from the seller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seller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 match. Match and store the local information. The service server 30 may use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region information to analyze a hearing condition for each region and provide a result as described above.

상기 사용자 정보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은 경로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판매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청기(10)를 구매할 때,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큐알코드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사용자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판매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user information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30 through the path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user purchases the hearing aid 10, the seller collects the barcode or the QR code using a reader, requests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30 through the seller terminal.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들(사용자 정보, 지역정보, 보청기 설정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청력상태 및 동향과, 성별, 연령별 및 생활 환경별 청력 데이터의 변화와, 노화에 따른 청력의 악화 과정을, 지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rvice server 30 may use th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local information,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etc.)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hearing status and trends of users, gender, age, and living environment. You can continue to analyze changes in your hearing data and how your hearing worsens with age.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 등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거주 지역, 나이, 성별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사용자 정보, 지역정보, 보청기 설정 정보 등)을 통해 거주 지역의 인구밀집도 및 인구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청력 상태가 더 나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파악할 수 있고, 연령별로 청력 상태가 더 나쁜 지역과 성비별로 더 나쁜 지역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된 정보들을 국가 기관에 제공함으로써, 국가의 국민 청력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30 may collect information such as a user's living area, age, gender, etc.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a barcode or a QR code, and such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local information,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etc.) to determine the density and population status of the area where you live, to identify areas with and without hearing, areas with worse hearing by age and areas that are worse by sex. Can be systematically analyzed and contributed to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state's national hearing status by providing the analyzed information to national agencies.

마지막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보청기(10)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806).Finally, the service server 30 may automatically transmit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10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806).

예를 들어, 상기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자신의 청력을 검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생성된 보청기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보청기(10)로 전송되었으며, 상기 보청기(10)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킨다.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user directly inspects his / her hearing using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sult is transferred from the user terminal 20 to the hearing aid 10. And the hearing aid 10 generates a sound according to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그러나, 상기 서비스 서버(30)가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정보들, 지역 정보들, 보청기 설정 정보들을 수집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 직업별, 주거환경별로 최적의 보청기 설정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service server 30 collects user information, regional information, and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the service server 30 uses the information, by gender, age group, The optimal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region, occupa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사용자의 성, 연령, 지역, 직업, 주거환경 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설정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ice server 30 may generate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user by analyzing the user's gender, age, region, occup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like.

즉,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정보들, 지역 정보들, 보청기 설정 정보들과 상기 사용자의 성, 연령, 지역, 직업, 주거환경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설정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service server 30 is suitable for the user by using user information collected from users, regional information,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user's gender, age, region, occupation, living environment, and the lik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분석 결과, 70살의 남성에게 적합한 보청기 설정 정보와, 71살의 남성에게 적합한 보청기 설정 정보가 매우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70살의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청기(10)를 구입하고, 상기 연령대의 사용자에게 설정된 기간, 예를 들어, 1년이 경과한 경우에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청기 설정 정보를 변경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본인은 느끼지 못할 수 있지만, 1년 전 설정된 보청기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suitable for a 70 year old male and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suitable for a 71 year old male may be very different. In this case, when the 70-year-old user purchases the hearing aid 10 and does not change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using the application even when a period set by the user of the age group, for example, one year has elapsed. Although the user may not feel it,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set a year ago may not be suitable for the user.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분석 결과들을 이용하여 71살의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rvice server 30 may generat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71-year-old user by us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ransmit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the application.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가 상기 보청기(10)로 전송되면,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가 상기 보청기(10)로 전송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상기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o this end, when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10 by the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a date when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10. 30), and the service server 3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dat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

상기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보청기(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보청기(10)는 상기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전송된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71살의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보청기(10)를 통해 소리를 보다 더 잘 들을 수 있다.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30 may transmit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10, and the hearing aid 10 is the hearing aid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server 30. Sound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ly, the 71-year-old user can hear the sound better through the hearing aid 10.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들 이외에도 또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othe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즉, 상기 후방 마이크(220)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27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마이크(220)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That is, the rear microphone 220 may be mounted to the case 270 using a sliding metho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rear microphone 220 may be changed by the user.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보청기(10)에서 상기 후방 마이크(220)의 위치가, 현재의 위치보다 더 하단에 있는 경우가 더 잘 들린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는 상기 후방 마이크(22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270)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hearing aid 10 shown in FIG. 2, a user who thinks that the position of the rear microphone 220 is better lower than the current position may slide the rear microphone 220. It can be mov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ase 270 in a manner.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입력버튼(280)을 이용하여 상기 소리 설정 정보가 설정될 때, 상기 소리 설정 정보와 관련된 각종 메뉴들이 출력될 수 있는 출력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window that may output various menus related to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is set using the input button 280.

즉, 상기 출력창에는 상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소리 설정 정보와 관련된 정보들이 출력될 수 있다.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the output window.

상기 출력창에는 상기 베터리의 양이 출력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battery may be output to the output window.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보청기 20: 사용자 단말기
30: 서비스 서버
10: hearing aid 20: user terminal
30: service server

Claims (2)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보청기(10), 사용자의 청력 검사를 수행하여 청력 검사 결과를 생성하고, 청력 검사 결과에 대응되는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보청기(10)로 전송하며, 보청기(1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보청기(20)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20) 및 보청기(10)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를 포함하는 보청기 설정 시스템에 있어서,
보청기(10)는,
사용자의 귓바퀴의 외부면에 착용되는 본체(110); 본체(11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소리튜브(120); 소리튜브(120)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귓구멍으로 삽입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팁(130); 및 소리튜브(120)에 연결되어 있으며, 귓바퀴의 내부에 고정되는 튜브 고정선(140); 을 포함하며, 귓바퀴의 뒤에 본체(110)를 건 후, 엄지와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이어팁(130)이 부착된 소리 튜브(120)가 얼굴에 닿을 때까지 이어팁(130)을 귓구멍에 밀어 넣으며, 집게 손가락으로 튜브 고정선(140)을 귓바퀴에 고정시킴으로써, 이어팁(130)이 귓구멍에서 빠지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며,
소리튜브(120)는, 본체(110)와 이어팁(130)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어팁(13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이어팁(130)은, 본체(110)로부터 소리튜브(120)를 통해 전송되어온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본체(110)에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소리를 그대로 출력하며,
튜브 고정선(140)은, 이어팁(130)이 귓구멍으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도록 이어팁(130)을 지지하며 사용자의 귓바퀴의 내부에 고정되기 위해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본체(110)는,
본체(110) 중 소리튜브(120)가 연결되어 있는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전방 마이크(210); 본체(110) 중 전방과 이격되어 있는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후방 마이크(220);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30); 전방 마이크(210) 및 후방 마이크(220)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처리하여 소리튜브(120)를 통해 이어팁(130)으로 전하는 변환부(240);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250);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환부(240)를 제어하여, 이어팁(13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저음, 고음,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는 제어부(260); 및 전방 마이크(210), 후방 마이크(220), 통신부(230), 변환부(240), 저장부(250)와 제어부(260)가 고정되는 케이스(270); 를 포함하며,
전방 마이크(210)는, 본체(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소리를 입력받는데, 본체(110)의 전방은 소리튜브(120)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 해당하며, 본체(110)가 사용자의 귓바퀴의 외부면에 착용될 때, 전방 마이크(21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인 전방을 향함으로써,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소리에 대해서 전방 마이크(210)를 통해 수신되며,
후방 마이크(220)는, 본체(110) 중 전방과 이격되어 있는 후방에 장착됨으로써, 본체(110)가 사용자의 귓바퀴의 외부면에 착용될 때, 후방 마이크(220)가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반대되는 후방을 향함으로써, 사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소리는 후방 마이크(220)를 통해 수신되며,
통신부(23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저장부(250)는, 사용자의 청력에 맞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에 해당하는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소리 설정 정보를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며,
변환부(240)는, 전방 마이크(210) 및 후방 마이크(220)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전기 신호를 소리튜브(120)를 통해 이어팁(13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전방 마이크(210) 및 후방 마이크(210)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증폭시킨 후, 증폭된 전기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며, 증폭된 전기신호를 소리로 출력시, 변환부(240)에서 출력된 소리는 소리튜브(120)를 통해 이어팁(130)으로 전송된 후, 이어팁(130)에서 출력될 수 있으며, 이어팁(130)을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모드, 볼륨 및 주파수는, 변환부(240)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복수의 정보로 변경되며,
제어부(260)는, 이어팁(13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저음, 고음,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소리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보청기 설정 정보 및 소리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저음, 고음, 모드, 볼륨 및 주파수를 갖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변환부(240)를 제어하며,
본체(110)에는,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기 위한 입력버튼(280)이 더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되어온 소리 설정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버튼(280)을 이용하여 입력된 소리 설정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시키며, 입력버튼(280)이 한 번 눌려지면 소리의 모드가 변경되며, 연속해서 두 번 눌려지면 소리의 볼륨이 변경되며, 연속해서 세 번 눌려지면 소리의 주파수가 변경되는 메인 변경 모드를 제공하며, 소리의 모드로 변경된 뒤, 입력버튼(280)이 한 번 눌려지면, 소리의 모드가 일상 생활에서 이용되는 일상 모드로 변경되며, 연속해서 두 번 눌려지면 식당에서 사용되는 식당모드로 변경되며, 연속해서 세 번 눌려지면 차안에서 사용되는 차안모드로 변경되며, 연속해서 네 번 눌려지면 야외에서 사용되는 야외모드로 변경되며, 모드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후 최종적으로, 입력버튼(280)이 길게 눌려지거나,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입력버튼(280)이 눌려지지 않으면, 제어부(260)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모드를 저장부(250)에 저장하며, 최종적으로 선택된 모드의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변환부(240)를 제어하며, 변환부(240)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전기 신호의 주파수 및 진폭을 변경하며,
입력버튼(280)이 연속해서 두 번 눌려지면 볼륨이 조정되는 경우, 입력버튼(280)이 눌려지면 볼륨이 증가 또는 감소되며, 입력버튼(280)이 한 개인 경우, 입력버튼(280)이 눌려질 때마다 볼륨이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최대 볼륨이 선택된 상태에서 입력버튼(280)이 다시 눌려지면 볼륨은 순차적으로 감소되며, 입력버튼(280)이 두 개인 경우,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볼륨이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가 선택되면 볼륨이 순차적으로 감소되며, 어느 하나의 볼륨이 선택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입력버튼(280)이 길게 눌려지거나,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입력버튼(280)이 눌려지지 않으면, 제어부(260)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볼륨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하며, 최종적으로 선택된 볼륨을 갖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변환부(240)를 제어하며,
입력버튼(280)이 연속해서 세 번 눌려지면 소리의 주파수가 조정 상태가 된 경우, 입력버튼(280)이 눌려지면 주파수가 증가 또는 감소되며, 입력버튼(280)이 한 개인 경우, 입력버튼(280)이 눌려질 때마다 주파수가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최대 주파수가 선택된 상태에서 입력버튼(280)이 다시 눌려지면 주파수는 순차적으로 감소되며, 입력버튼(280)이 두 개인 경우,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주파수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며, 다른 하나가 선택되면 주파수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며, 어느 하나의 주파수가 선택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입력버튼(280)이 길게 눌려지거나,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입력버튼(280)이 눌려지지 않으면, 제어부(260)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주파수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하며, 최종적으로 선택된 주파수를 갖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변환부(240)를 제어하며,
각 모드의 변환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본체(110)에는 각종 모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거나 복수의 램프들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들을 통해, 소리의 모드가 변경되고 있는지, 소리의 볼륨이 변경되고 있는지, 또는 소리의 주파수가 변경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 경우에, 세부적인 변경 사항들인 모드의 내용, 볼륨의 크기,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본체(110)에는 상기 구성들 이외에도,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베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베터리 커버(290)가 더 구비되며, 베터리를 교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베터리 커버(290)를 앞으로 밀어 베터리 보관부를 오픈 시킨 후, 베터리를 교체하며, 베터리가 교체되면 베터리 커버(290)를 닫아 베터리 보관부를 밀폐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20)는 사용자의 청력 검사를 수행하여 청력 검사 결과를 생성하고, 청력 검사 결과에 대응되는 보청기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보청기(10)로 전송하며, 보청기(1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모드, 볼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소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보청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기(20)는 보청기(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기(21),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기(23),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기(24),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기(25) 및 통신기(21), 입력기(23), 출력기(24)와 저장기(25)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설정 시스템.
Hearing aid 10 used by the user, to perform the hearing test of the user to generate a hearing test result, and to generate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ing test result and sent to the hearing aid 10, output from the hearing aid 10 The service server 30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hearing aid 10 to generate sound set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mode, a volume, and a frequency of the sound to be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20. In the hearing aid setting system comprising,
Hearing aid 10,
A main body 110 worn on an outer surface of the auricle of the user; A sound tube 12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ound tube 120, is inserted into the ear hole of the user, the ear tip 130 for outputting sound; And a tube fixing line 140 connected to the sound tube 120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auricle wheel. Includes, and after hanging the main body 110 behind the ear wheel, using the thumb and index finger to push the ear tip 130 in the ear hole until the sound tube 120 is attached to the ear tip 130 is attached to the face, By fixing the tube anchoring wire 140 to the ear canal with the index finger, the ear tip 130 provides a structure that does not fall out of the ear hole,
The sound tube 120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body 110 and the ear tip 130,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ar tip 130 can be changed,
Ear tip 130,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sound tube 120 to a sound or outputs the sound converted from the electrical signal in the main body 110,
Tube fixing line 140, the ear tip 13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support the ear tip 130 so as not to be pushed out of the ear hole and to be fixed inside the user's ear wheel,
Body 110,
A front microphone 210 mounted at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which the sound tube 120 is connected; A rear microphone 220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A communication unit 2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20; A conversion unit 240 for processing the sound input from the front microphone 210 and the rear microphone 220 and passing the sound to the ear tip 130 through the sound tube 120; A storage unit 250 for storing at least one of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sound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conversion unit 240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bass, treble, mode, volume, and frequenc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ear tip 130. ; And a case 270 to which the front microphone 210, the rear microphone 220,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e conversion unit 240, the storage unit 250, and the control unit 260 are fixed. Including;
The front microphone 21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to receive sound, an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corresponds to a portion to which the sound tube 120 is connected, and the main body 110 is the user's ear. When wo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microphone 210 is received through the front microphone 210 for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front of the user by facing forward,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The rear microphone 220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o that when the main body 110 is wo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ser's ear, the rear microphone 220 is opposite to the user's gaze direction. By facing the rear,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rear of the user is received through the rear microphone 220,
The communication unit 23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storage unit 250 receives and stores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a sound suitable for the hearing of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e conversion unit 240 converts the sound input from the front microphone 210 and the rear microphone 220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to the ear tip 130 through the sound tube 120. After 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sound input from the front microphone 210 and the rear microphone 210 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amplified electrical signal as a sound, when outputting the amplified electrical signal as a sound, the conversion unit 240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tube 120 is transmitted to the ear tip 130, and then may be output from the ear tip 130, the mode, volume and frequency of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ear tip 130, the conversion unit Changed into a plurality of information by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at 240,
The controller 260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at least one of a bass, a treble, a mode, a volume, and a frequenc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ear tip 130, and among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 When at least one is received, the conversion unit 240 is controlled to output a sound having a low tone, a high pitch, a mode, a volume, and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he main body 110 further includes an input button 280 for directly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reby storing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 in the storage unit 250. In addition to storing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input by using the input button 280 in the storage unit 250, the input mode of the sound is changed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once, twice in succession When pressed, the volume of the sound is changed, and when it is pressed three times in succession, the main change mode is provided.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once, the mode of the sound is changed. It is changed to the daily mode used in daily life, and when it is pressed twice in a row, it is changed to the restaurant mode used in a restaurant. When it is pressed three times in a row, it is changed to the car mode used in a car. If the four times the pressing is changed to the outdoor mode used outdoors, and after any one of the mode is selected, if the input button 280 is long pressed, or the input button 280 is not pres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ntroller 260 stores the finally selected mode in the storage 250, and controls the converter 240 to output the sound of the finally selected mode, and the converter 240 finally selects the mode. Change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so that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If the volume is adjusted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the volume is increased or decreased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and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one,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Each time the volume is increased, the volume may be sequentially increased. If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again while the maximum volume is selected, the volume is sequentially decreased. In the case of two input buttons 280, if one is selected, the volume is increased. The volume may be sequentially increased when the other one is selected, and the input button 280 is finally pressed while one volume is selected, or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If not pressed, the controller 260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finally selected volume in the storage unit 250, and controls the converter 240 so that a sound having the finally selected volume can be output.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three times in a row wh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is adjusted,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the frequency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when there is one input button 280, the input button ( Each time 280 is pressed, the frequency may be sequentially increased. When the input button 280 is pressed again while the maximum frequency is selected, the frequencies are sequentially decreased. When is selected, the frequencies are sequentially increased, when the other one is selected, the frequencies are sequentially decreased, and in the state in which one of the frequencies is selected, the input button 280 is finally pressed, or the input button 280 is preset for a predetermined period. If is not pressed, the control unit 26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finally selected frequency in the storage unit 250, and the sound having the finally selected frequency is output. So, it controls the converter 240,
In order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conversion of each mode, etc.,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modes or a plurality of lamps,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mode of sound through the display or the lamps. You can check whether the sound is changing, the volume of the sound is changing, or the frequency of the sound. In each case, you can check the details of the modes, the contents of the mode, the volume, and the frequency.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main body 110 further includes a battery cover 290 for replacing a battery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components, and a user who wants to replace the battery may move the battery cover 290 forward. Push to open the battery storage unit, and replace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replaced to provide a structure to close the battery cover to close the battery storage,
The user terminal 20 generates a hearing test result by performing a hearing test of the user, generates hearing aid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ing test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hearing aid 10, and a mode of sound output from the hearing aid 10. , Generating sound set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volume and frequency and transmitting the soun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earing aid 10.
The user terminal 20 includes a communicator 21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hearing aid 10, an input unit 23 for receiv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 output unit 24 for out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storing the information. A hearing aid setting system comprising a reservoir (25) and a communicator (21), an input (23), an output (24) and a controller (22)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reservoir (25).
삭제delete
KR1020190131839A 2019-10-23 2019-10-23 System For Fitting A Hearing Aid KR1020684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839A KR102068447B1 (en) 2019-10-23 2019-10-23 System For Fitting A Hearing A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839A KR102068447B1 (en) 2019-10-23 2019-10-23 System For Fitting A Hearing A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447B1 true KR102068447B1 (en) 2020-02-11

Family

ID=6956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839A KR102068447B1 (en) 2019-10-23 2019-10-23 System For Fitting A Hearing A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44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2117A (en) * 2010-12-23 2014-01-23 ジーエヌ リザウンド エー/エス BTE hearing aid with elongated holding member
KR20140126932A (en) * 2013-04-24 2014-11-03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Method for Fitting Hearing Aid Customized to a Specific Circumstance of a User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JP2015106725A (en) * 2013-11-28 2015-06-08 リオン株式会社 Behind-the-ear hearing aid
KR101959956B1 (en) * 2017-12-28 2019-03-19 심클사운드 주식회사 One-stop hearing aid fit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2117A (en) * 2010-12-23 2014-01-23 ジーエヌ リザウンド エー/エス BTE hearing aid with elongated holding member
KR20140126932A (en) * 2013-04-24 2014-11-03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Method for Fitting Hearing Aid Customized to a Specific Circumstance of a User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JP2015106725A (en) * 2013-11-28 2015-06-08 リオン株式会社 Behind-the-ear hearing aid
KR101959956B1 (en) * 2017-12-28 2019-03-19 심클사운드 주식회사 One-stop hearing aid fit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47539B (en) Fitting method and device for hearing earphones
US201801158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hearing aid adjustment and hearing testing by a hearing health professional
US10390152B2 (en) Hearing aid having a classifier
US10674289B2 (en) Hearing aid having an adaptive classifier
US11251763B2 (en) Audio signal adjustment method, storage medium, and terminal
US20120183164A1 (en) Social network for sharing a hearing aid setting
KR20170033641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thereof
US10205814B2 (en) Wireless earpiece with walkie-talkie functionality
KR102051545B1 (en) Auditory device for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 of user, and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uditory device
WO2014175594A1 (en) Method for fitting hearing aid in individual user environment-adapted scheme, and recording medium for same
CN108431764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method operated for control electronics
EP3468227B1 (en) A system with a computing program and a server for hearing device service requests
US10129662B2 (en) Hearing aid having a classifier for classifying auditory environments and sharing settings
KR20170033025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thereof
CN108235181A (en) The method of noise reduction in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JP6633681B2 (en) Personalization system for smart headphon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210195343A1 (en) Method for adapting a hearing instrument and hearing system therefor
US20220201404A1 (en) Self-fit hearing instruments with self-reported measures of hearing loss and listening
US20220103952A1 (en) Hearing aid comprising a record and replay function
CN113099336A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udio parameters of earphone, earphone and storage medium
KR102068447B1 (en) System For Fitting A Hearing Aid
CN102301622A (en) Portable terminal and sound detector, which both communicate using body area network, and data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20210026449A1 (en) Neurofeedback focus and productivity system, process, and method of use
KR101232357B1 (en) The fitting method of hearing aids using modified sound source with parameters and hearing aids using the same
KR20180001161A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big data using hear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