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226B1 -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226B1
KR102068226B1 KR1020190042315A KR20190042315A KR102068226B1 KR 102068226 B1 KR102068226 B1 KR 102068226B1 KR 1020190042315 A KR1020190042315 A KR 1020190042315A KR 20190042315 A KR20190042315 A KR 20190042315A KR 102068226 B1 KR102068226 B1 KR 10206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ter
moving case
water purifi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0948A (en
Inventor
전제욱
문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226B1/en
Publication of KR2019004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9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출수모듈 및, 상기 출수노즐의 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출수모듈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a water purifier main body including a housing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filter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protruding forward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a water extraction module including a water extraction nozzle for supply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a tray provided under the water extraction nozzle, wherei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provided to be elevated. will be.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water purifiers are widely used for home use as a device for filtering impurities to remove impurities.

상세히, 정수기는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detail, the water purifier is connected to the tap water to remove the suspended substances or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tap water using a filter, it is configured to purify as much water as desir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Such a water purifier has been introduced to a variety of products that can take hot water and cold water as well as purified water. In recent years, water purifiers that are small in size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have been developed.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정수기에 대해서 설명한다.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and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정수기(1)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2)과 디스펜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펜서(3)는 사용자가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디스펜서(3)는 캐비닛(2)이 전방에 형성된다. The water purifier 1 comprises a cabinet 2 and a dispenser 3 forming an external shape. Here, the dispenser 3 means a space where the user is supplied with drinking water. Thus, in general, the dispenser 3 has a cabinet 2 formed in front.

또한, 디스펜서(3)에는 음용수가 배출되는 코크(4)가 구비되고, 상기 코크(4)의 하방에는 물컵이 올려지는 트레이(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dispenser 3 is provided with a coke 4 through which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and a tray 5 on which a water cup is placed is formed below the coke 4.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6)을 조작하게 될 경우 코크(4)를 통해 저장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6)을 조작하는 동안 코크(4)의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되며 사용자는 컵 또는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상기 레버 또는 버튼(6)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stored water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cock 4 when the user operates the lever or the button 6. That is, the valve of the cock 4 is opened while the user operates the lever or button 6, and the water is taken out, and the user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lever or button 6 while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cup or the container. Will end.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출수구 즉, 코크(4)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고정된 상태이다. Such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is in a fixed state such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outlet, that is, the cock 4, is kept constan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물컵을 트레이에 올려 놓고 출수를 진행하게 되면, 출수구와 물컵의 높이 차이로 인해 취출된 물이 물컵에 떨어지면서 일부가 물컵에 충돌 한 후 물컵 밖으로 튕겨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cup is placed on the tray to proceed with water extraction, the water drawn out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water outlet and the water cup falls on the water cup, and some parts collide with the water cup and bounce out of the water cup. Occurs.

특히, 길이가 짧은 물컵의 경우, 더욱 많은 양의 물이 물컵 밖으로 튕겨져 나올 수 밖에 없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hort water cup, more water is forced out of the water cup.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출수구의 높이를 낮게 설치하면, 길이가 긴 물컵이나 물병에는 물을 받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f the height of the outlet is installed low, the long water cup or bottle does not receive the water problem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freely adjust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nozzle.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prevent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o splash out of the cup due to a drop.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가 고정케이스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고정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maintaining a state stored in a fixed case without being lowered arbitrarily by the weight of the movable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ixed case.

또한, 사용자가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에서 손을 떼더라도, 이동케이스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grasps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and lowered to the desired position while the user releases the hand from the moving case, i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be fixed in the desired posi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be made in a straight lin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can proceed smoothly.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a lifting operation of a moving case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can be performed exactly as desired by a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improve the operation sensitivity that the user feels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케이스 및 이동케이스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상호 간의 체결력이 확보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deformations such as bending of a fixed case and a moving case are prevented and fastening force is secur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케이스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승강할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be moved without moving the case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케이스와 고정케이스의 체결이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is easy to fasten the moving case and the fixed case.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미끄러짐 없이 이동케이스를 잡고 승강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allows a user to lift and lift a moving case without slipping.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케이스와 고정케이스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reduce wear and noise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moving case and the fixed case.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위치로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트레이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rotates the tray to a desired position and freely detaches the tray,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is beautiful in appearance because the various part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is hygienic and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and deformation of the extraction nozzle.

본 발명의 목적은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의 경우, 조작부를 인지할 수 없고, 인지하더라도 쉽게 조작할 수 없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not recognize the operation unit, and can not easily operate even if the child is a user of a short key,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까지 출수버튼을 인지할 수 있고, 출수를 원할 경우 손쉽게 출수버튼을 조작하여, 출수를 진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recognize the exit button to the adult user as well as a short child user, and if you want to exit the water by operating the exit button easil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출수모듈 및, 상기 출수노즐의 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출수모듈은,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공간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하측이 개방되며, 상기 정수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출수노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는 이동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케이스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이동케이스가 고정케이스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에서 손을 떼더라도, 이동케이스는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ater purifier body including a housing for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filter for filtering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water purifier body A water extraction module including a water extraction nozzle which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water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a tray provided below the water extraction nozzle, wherei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has an inner side. A fixing case having a lifting spac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he lower side of which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fix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A moving case in whic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fixed and accommodated in a lifting space of the fixed case; It is formed on the fixed case or the moving case, and includes a resistance means for reducing the lifting force applied to the moving case for raising or lowering the moving case. According to this, the movable case can be maintained in the housed state without being arbitrarily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movable case in the state completely stored in the fixed case.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takes his or her hand away from the moving case while holding the moving case and lowers it to a desired position, the moving case may be fixed at the position.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이동케이스에는 상기 이동케이스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케이스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이동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직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져, 가이드홈을 따라서 직선으로 승강한다. 이에 따라,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case or the moving case may be formed with a guide for guiding the moving case to rise and fall in a straight line.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may include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lifting direction in the fixed case, the guide case is provided in the moving case, and fitted in the guide groove. According to this, the guide piece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straight line, and is elevat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guide groove. Accordingl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may be made in a straight line.

또한,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이동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편은 가이드홈과의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줄인 상태에서 가이드홈을 따라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케이스의 승강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iece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moving case. According to this, the guide piece can be elevat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guide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uide groove is minimized. Therefor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the operation feeling felt by the user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내측에 제1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편이 회전하면서 가이드홈을 따라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이동케이스의 승강이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may have a first gear formed therein, and a second gear meshing with the first gear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ece. According to this, the guide piece can be moved up and down more accurately along the guide groove while the guide piece is rotated, and as a result, the lifting up and down of the moving case can proceed more accurately and straightly.

또한, 상기 저항수단은 오일댐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수단은 오일댐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저항수단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동케이스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를 승강 조작하면서 느끼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stance means may be formed of an oil damper. In addition, the resistance means is formed of an oil damper, the guide piece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esistance means.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tion sensitivity that the user feels while lifting and lowering the moving case while preventing the moving case from descending by its own weight.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와 상기 이동케이스는 선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돌기가 상기 이동케이스의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정케이스와 이동케이스 사이의 마찰력은 줄이면서, 상기 고정케이스와 이동케이스가 서로 접촉 지지되어, 고정케이스 및 이동케이스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고정케이스와 이동케이스의 체결력은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case and the moving case may be in line contact. In addition,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fixed case or the moving case along a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According to this, while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xed case and the mobile case, the fixed case and the mobile cas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deformation such as bending of the fixed case and the mobile case, and secur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fixed case and the mobile case Can be.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는, 후방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케이스는, 상기 이동케이스의 후방 양측에서 상기 날개부와 나란하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내측으로 후크가 형성된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날개부가 상기 연장부와 후크 사이의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절곡부가 날개부에 지지되어, 이동케이스가 좌우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않고, 승강동작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cas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wing portion extending outward, the moving case i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wing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moving case, and forward from the extension portion It extends in a bent form and forms a bent portion with an inner hook at its end, the wing port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between the extension and the hook. According to this, the bent portion is supported by the wing portion, the moving case can move up and down without shak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1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에는 상기 날개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2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정케이스와 이동케이스가 이중으로 선접촉하면서, 이동케이스가 승강할 수 있어,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g portion, a first contact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extension portion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In addition, the hook may be formed with a second contact protrusion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on the surface facing the wing. According to this, while the fixed case and the moving case in double contact, the moving case can be lifte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can be carried out more stably.

또한, 상기 후크의 전면 및 상기 날개부의 배면에는 각각 상호 나란하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고정케이스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케이스를 끼워 넣기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ok and the rea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parallel. According to this, it is easy to insert the moving case from the rear of the fixed case to the front.

또한, 상기 이동케이스의 양측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동케이스를 상부로 상승시킬 때, 상기 안착홈에 손잡이부가 걸리게 되고, 안착홈은 이동케이스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portion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moving case, and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handle is seated may be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fixed case. According to this, when the moving case is raised to the top, the handle portion is caught in the seating groove, the seating groove may serve as a stopper for limiting the rising height of the moving case.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미끄러짐 없이 이동케이스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concave inward.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lower or raise the moving case without slipping.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이동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윤활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정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동케이스가 승강할 때에 고정케이스와 이동케이스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조작 감도를 높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xed case or the moving case may be formed of an engineering plastic material having lubricity. According to this, when the mobile case is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fixed case, wear and nois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fixed case and the mobile case can be reduced, and the operation sensi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정수기 본체의 하우징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회전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원하는 위치에 트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고, 트레이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of the water purifier body further includes a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the tray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In addition, the base further includes a rotatable ring rotatably mounted, and the tray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otatable ring, and may extend outwardly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is, the tray can be rotated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 tray can be freely attached and detached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고정케이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저항부재 및 가이드부 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다.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ase covering the front of the fixed case. According to this, the configuration of the resistance member and the guide portion, etc.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s beautiful in appearance.

또한, 상기 출수노즐은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출수노즐에 녹이 슬지 않아 위생적이며, 잦은 사용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관상 고급스러움을 더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material. According to this, it is hygienic because the rust does not rust in the discharge nozzle, it can prevent breakage and deformation during frequent use. In addition, the appearance may also add luxury.

또한,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이동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와 상기 출수노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출수노즐과 이동케이스 또는 연결부재, 나아가 공급 호스와의 결합력이 높아져,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방식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may be formed integrally by the moving case, or a connection member and an insert inj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he moving case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According to thi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and the moving case or the connecting member, and furthermore the supply hose can be increased, and water leakag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easier to manufacture than the assembly method.

또한, 상기 출수모듈의 상면에는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의 경우, 조작부를 인지할 수 없고, 인지하더라도 쉽게 조작할 수 없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ion unit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According to this, in the case of a child user with a short key, the operation unit cannot be recognized, and even if it is recognized, it cannot be easily operated,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또한, 상기 출수모듈의 전면에는 출수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까지 출수버튼을 인지할 수 있고, 출수를 원할 경우 손쉽게 출수버튼을 조작하여,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extraction button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exit button from the adult user as well as the child child of the short, and if you want to exit the water can easily proceed by operating the exit button.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o splash out of the cup due to free fall.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가 고정케이스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고정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maintained in the fixed case without being arbitrarily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moving case in a state completely stored in the fixed cas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에서 손을 떼더라도, 이동케이스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releases the hand from the moving case while holding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and lowered to the desired position, the moving case can be fixed to the desire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can be made in a straight line.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can proceed smoothly.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can be performed exactly as the height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operation sensitivity that the user feels in the process of elevating the moving case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케이스 및 이동케이스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상호 간의 체결력이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eformation such as bending of the fixed case and the moving case is prevented and the fastening force between each other can be secured.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케이스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승강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ing case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케이스와 고정케이스의 체결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astening of the movable case and the fixed case is easy.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끄러짐 없이 이동케이스를 잡고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lift the lifting case without slipping.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케이스와 고정케이스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wear and noise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moving case and the fixed case.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위치로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트레이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can be rotated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 tray can be free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art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is advantageous in appearance.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hygienic and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breakage and deform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본 발명에 따르면,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의 경우, 조작부를 인지할 수 없고, 인지하더라도 쉽게 조작할 수 없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child user having a short key, the operation unit can not be recognized, and even if it is recognized, it can not be easily operat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에 따르면,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까지 출수버튼을 인지할 수 있고, 출수를 원할 경우 손쉽게 출수버튼을 조작하여, 출수를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ult user can recognize a water extraction button as well as a child user with a short height, and if the water extraction is desired, the water extraction button can be easily operated to proceed with water extraction.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출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하강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하강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저항부재 및 가이드편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이다.
도 13은 정수기의 트레이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정수기의 베이스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베이스와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정수기의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트레이의 만수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정수기의 물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9는 상기 정수기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urifier.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extraction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oving cas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raised.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cas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raised.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oving cas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lowered.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case of the discharge module is lower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sistance member and a guide piece which are som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extraction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area A of FIG. 11.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of the water purifier rotated.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of the water purifier.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and the tray;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ray of the water purifier.
17 is a view showing a full water level state of the tray.
18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of water in the water purifier.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water purifi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add, etc. other compon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It may be easily implemented, but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embodiments of the same invention idea, but may be differently represented in the drawings in detail in order to be easily understood within the scope that the invention idea is not impaired. The specific part may not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awing or may be exaggeratedly represented according to the drawin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urifier.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34)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100),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34)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280)을 포함하는 출수모듈(200) 및, 상기 출수노즐(280)의 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3, the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housing 10 and the housing 10 to form an outer filter for filtering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including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which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passes the filter 34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 May include a water extraction module 200 and a tray 300 provided below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구성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may be formed by the housing 110. The housing 110 includes a front cover 11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front surface, a rear cover 112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rear surface, a base 113 forming an lower surface, a top cover 114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left and right sides. It is composed of side panels 115 forming both sides. The front cover 111, the rear cover 112, the base 113, the top cover 114, and the pair of side panels 115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exterior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 Can be configured.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113 and the top cover 114 may be formed to be round, and the front cover 111 and the rear cover 112 may be formed to have the rounded base 113 and the top cover ( 114 and convex in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o have curvatures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또한,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200)이 형성된다.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출수노즐(280)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cover 111, and purified water may be extracted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protruding downward.

이를 위해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탑커버(114)에는 상기 장착홈(111a,114a)이 형성되어 상기 출수모듈(20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ounting grooves 111a and 114a are formed in the front cover 111 and the top cover 114 to insert and fix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상세히, 장착홈(111a)는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 상단에서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고, 장착홈(114a)는 상기 탑 커버(114)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In detail, the mounting groove 111a has a concave shape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and the mounting groove 114a has a shape concave backward from the tip of the top cover 114.

상기 출수모듈(2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filter bracket 130 for mounting a filter 120 and 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for water purification.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200)가 장착되는 출수모듈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bracket 130 includes a bottom portion 131 coupled to the base 113,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32 in which the filter 120 is accommodated, and a water extraction module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is mounted. 133.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bottom portion 1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base 113, it is coupled to the base 113. By mounting the bottom portion 131,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fix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32 may be formed.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locked to the base 113 in a hook manner, and may be fixed by a screw fasten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13.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a space recessed from the front (left side in the drawing) to the rea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so that the filter 120 can be accommodated. A plurality of filters 120 may be moun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0. The filter 120 is for the purification of raw water (tap water) to be supplied may be configured to combine filters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lter receptacle 13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socket 134 on which the filter 120 is mounted. The filter socket 134 may be provided with a pipe for flowing purified water. Tubing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Therefore,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120 in order to be directed to a valve (not shown) for water supply.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는 물론, 상기 쿨링 탱크(150)와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200)로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right side of the drawing)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2, and the valves (not shown) may be provided with the cooling tank 150 as well as the filter 120.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and the water supply module 200 to selectively supply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출수모듈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출수모듈 장착부(133)는 상단에 상부에서 하부로 장착홈(133a)가 형성되어 상기 출수모듈(20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출수모듈 장착부(133)는 출수모듈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부는 탑커버(11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The water extraction module mounting part 13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accommodation part 132. The water extraction module mounting unit 133 has a structure in which a mounting groove 133a is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of so that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is cas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mounting unit 133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ont cover 111 covering the front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mounting unit 133.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shielded by the top cover 114.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드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An upper surface of the base 113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141 and a condenser 142. In addition, a cooling fan 143 is provided between the compressor 141 and the condenser 142 and configured to enable cooling of the compressor 141 and the condenser 142. The compressor 141 may be an inverter-type compressor that can adjust the cooling capacity by varying the frequency. Therefore, cooling of the purified water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denser 142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base 113 and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hole 112a formed in the rear cover 112. The condenser 142 may be formed to be bent a plurality of flat tube type refrigerant tube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efficient use of the space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condenser bracket 144.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15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The condenser bracket 144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to which the condenser 142 is fixed and a tank mounting portion 146 to which a cooling tank 150 for making cold water is mounted. The condenser mounting part 145 forms a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shape of the condenser 142 so as to accommodate the condenser 142. In addition, the condenser mounting part 145 may be formed so that the portions facing the cooling fan 143 and the discharge port 112a are opened, respectively, so that the condenser 142 may be effectively cooled.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쿨링 탱크(150)를 고정한다.In addition, the tank mounting part 146 is formed above the condenser bracket 144, that is, above the condenser mounting part 145.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150 is inserted into the tank mounting part 146 so that the tank mounting part 146 fixes the cooling tank 150.

상기 쿨링 탱크(1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151)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The cooling tank 150 is for making cold water by cooling the purified water, and the incoming purified water and the cooling water for heat exchange are filled. In addition, an evaporator 151 for cooling the cooling w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oling tank 150. The purified water can be cooled by allowing the purified water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oling tank.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17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One side of the filter bracket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135 extending toward the cooling tank 150 side. The support plate 135 is provided above the compressor 141 and extends from the filter bracket 130 to the condenser bracket 144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s 160 and 170 are mounted.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17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와 상기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와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160, 170 may be composed of an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for producing hot water and a control assembly 17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driving of the water purifier 10.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and the control assembly 17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combined in a single module state, and may be mounted to the support plate 135 in a coupled state.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is configured to heat purified water and may be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IH) method.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may heat water at an instant and high speed during hot water extraction operation,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magnetic field to heat the purified water to a desired temperature to provide the user. Therefore, hot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can be taken ou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The control assembly 17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and may control the compressor 141, the cooling fan 143, various valves and sensors,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and the like. It is configured to. The control assembly 170 may be modularized by a combination of the PCB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for each function.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purifier 10 extracts only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the PCB for controll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may be omitted, and in this manner, at least one or more PCBs may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extraction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출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extraction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출수모듈(200)은,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211)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공간(211)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측이 개방되며,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출수노즐(28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승강공간(211)에 수용되어 승강하는 이동케이스(220) 및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230)을 포함한다. 4 to 5,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has a lifting space 21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the lower side is opened so that the lifting space 21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water purifier body Fixed case 210 and the fixed case 210 is fixed to the 100,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is fixed, the moving case 220 is accommodated in the lifting space 211 of the fixing case 210 and the lifting case ( 210 or the movement case 220, and includes a resistance means 230 for reducing the lifting force applied to the movement case 220 to raise or lower the movement case 220.

고정케이스(210)는 정수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정수기 본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220)가 승강할 수 있도록 이동케이스(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동케이스(220)는 고정케이스(210)에 의해 정수기본체(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할 수 있다. The fixed case 210 is detachably fixed to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serves to support the moving case 220 so that the moving case 220 can be elevated in the fixed state to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Therefore, the moving case 220 may be elevated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purified water main body 100 by the fixed case 210.

또한, 고정케이스(210)는 이동케이스(220)가 수납되는 승강공간(211)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211)의 하단은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공간(211)에 수용된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의 하방으로 출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case 210 may include a lifting space 211 in which the moving case 220 is stored, and a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211 may be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refore, the moving case 220 accommodated in the lifting space 211 may be sunk below the fixed case 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케이스(210)는 상기 정수기본체(100)에 연결되는 배면(도면상의 우측)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케이스(210)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case 210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rear surface (right side of the drawing)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basic body 100 is open. For example, the fixing case 210 may include a front portion and side portions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이동케이스(220)는 하단에 상기 출수노즐(28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승강공간(211)에 수용되어 고정케이스(2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한다.The moving case 220 is fixed to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at the bottom, and is accommodated in the lifting space 211 of the fixed case 210 to be lif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xed case 210.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외형은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승강공간(21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는 원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The outer shape of the moving case 2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ifting space 211 of the fixed case 210. In one example,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may have a cross section of various shapes.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상기 정수기본체(100)와 마주하는 배면(도면상의 우측)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케이스(220)의 배면이 개방되면, 정수기본체(100)의 내부공간과 이동케이스(220)의 내부공간이 연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동케이스(220)에 구비된 출수노즐(280)로 정수기 본체(100)에서 생성된 정수, 냉수, 온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 호스(190)가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case 22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the right side on the drawing) facing the water purification basic body 100 is ope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case 220 is opened, the inner space of the purified water main body 100 and the inner space of the moving case 2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s a resul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provided in the moving case 220 ( 28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hose 190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the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generated in the water purifier body (100).

일례로,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ving case 220 may include a front portion and side portions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방향을 따라 돌출부 또는 홈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간의 체결력을 높이면서, 이동케이스(22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are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otrusions or grooves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220, respectively, while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each other, the moving case 220 You can als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이때, 고정케이스(210)에 홈부가 형성되면,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fixed case 210, the moving case 220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fitted to the groove portion.

반대로, 상기 고정케이스(210)에 돌기부가 형성되면,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xed case 210, the movement case 220 may form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fitted.

저항수단(230)은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Resistance means 230 is formed in the fixed case 210 or the moving case 220, the resistance to reduce the lifting force applied to the moving case 22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moving case 220 Means 230 may be included.

여기서,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이라 함은,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힘을 의미한다. Here, 'lifting force applied to the moving case 220' means all the forces affect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220.

일례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하강시키기 위해 이동케이스(220)을 하방으로 잡아 당기는 힘 또는 이동케이스(220)를 상승시키기 위해 이동케이스(220)를 상방으로 밀어 넣는 힘일 수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해 이동케이스(220)가 하강하려는 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be a force pulling down the moving case 220 to lower the moving case 220 or a force pushing the moving case 220 upward to raise the moving case 220. In addition, the movement case 220 may be a force to descend by gravity.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를 기준으로 승강할 경우, 이동케이스(220)가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할 수 있다. 즉,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220)의 자중에 의해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 밖으로 하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에서 손을 떼면 이동케이스(220)가 그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임의로 더 하강할 수 있다. 즉, 이동케이스(220)의 높이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ving case 220 is elevated based on the fixed case 210, the moving case 220 may be arbitrarily lowered by its own weight. That is, the mobile case 220 can be lowered out of the fixed case 210 by the weight of the mobile case 220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case 22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ixed case 210, and the user moves the mobile case (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 from the moving case 220 while holding the 220 to the desired position, the moving case 220 may be further lowered by its own weight without being fixed at the position. That i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height of the moving case 220.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저항수단(230)을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is provided with a resistance means 230 in the fixed case 210 or the moving case 220.

저항수단(230)은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킨다. The resistance means 230 reduces the lifting force applied to the moving case 220 to raise or lower the moving case 220.

따라서,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220)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에서 손을 떼더라도, 이동케이스(220)가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본인이 희망하는 높이에 출수노즐(280)을 위치시키고,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oving case 220 is not completely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moving case 220 in the state completely stored in the fixed case 21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ored state.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releases the hand from the moving case 220 in a state where the user grasps the moving case 220 and descends to a desired position, the moving case 220 may be fixed at the position. Therefore,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can be positioned at the height desired by the user, and water extraction can be performed.

이때, 저항수단(230)은 이동케이스(2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승강 조작하는 데 무리한 힘이 들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승강시키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채택되어야 한다. At this time, the resistance means 230 should be selected in the range that does not take excessive force for the user to lift and move the movement case 220, while preventing the movement case 22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In addition, the user should be adopted in a range that can improve the operation sensitivity of elevating the moving case 220.

일례로, 상기 저항수단(230)은 마찰력을 갖는 고무 등의 재질을 포함하거나, 점성을 갖는 오일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저항수단(230)은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resistance means 230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rubber having a friction force, or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oil having a viscosity. In addition, the resistance means 230 may occur in various embodiments in a range that can reduce the lifting force applied to the moving case 220.

상기 저항수단(230)의 일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an example of the resistance means 230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출수모듈(200)의 상면에는 조작부(410)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모듈(200)의 전면에는 출수버튼(420)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4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and the water extraction button 42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상기와 같이 조작부(410)가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되기 위해서,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상면에는 조작부(410)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operation unit 410 to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case 210 may form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410 is accommod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410)가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키가 큰 어른 사용자의 경우 손쉽게 정수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의 경우,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된 조작부(410)를 인지할 수 없고, 인지하더라도 쉽게 조작할 수 없어, 무작위로 조작부(410)를 눌러 뜨거운 물이 출수되면서 손에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4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a tall adult user can easily adjus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hild user with a short key, the operation unit 4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cannot be recognized and can not be easily operated even if it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operation unit 410 at random, hot water is discharged. This can help prevent accidents such as burning your hands.

반면, 출수버튼(420)은 출수모듈(2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까지 출수버튼(420)을 인지할 수 있고, 출수를 원할 경우 손쉽게 출수버튼(420)을 조작하여, 출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ithdrawal button 42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withdrawal module 200, can recognize the withdrawal button 420 not only the adult user but also a short child user, if you want to withdraw easily withdrawal button 420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또한,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케이스(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ase 290 that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case 210.

상기와 같이 출수모듈(200)의 전면을 전면케이스(290)가 커버하면 후술되는 저항부재(230) 및 가이드부(240) 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출수모듈(200)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front case 29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resistance member 230 and the guide portion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fascinating the appearan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I can keep it.

또한, 전면케이스(290)는 고정케이스(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 시 전면케이스(290)를 고정케이스(210)에서 분리하여, 저항부재(230) 및 가이드부(240)를 점검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전면케이스(290)와 고정케이스(210)는 후크에 의한 탈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case 29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case 210, by separating the front case 290 from the fixed case 210, if necessary, to check the resistance member 230 and the guide portion 240 You may. For example, the front case 290 and the fixed case 210 may be coupled in a removable manner by a hook.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290)는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 테두리(2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291)의 내부에는 조작부(41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291)의 구성으로, 전면케이스(290)와 고정케이스(210)의 결합력은 더 높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case 290 may include an upper edge 291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case 210. The manipulation unit 4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edge 291.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edge 291, the coupling force of the front case 290 and the fixed case 210 may be high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케이스(290)에는 출수버튼 노출구를 형성하여, 출수버튼(420)이 상기 전면케이스(29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case 290 is formed with a water exit button exposure port, so that the water exit button 4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ase 290.

또한, 상기 출수노즐(280)은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material.

상기와 같이 출수노츨(280)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면, 녹이 슬지 않아 위생적이며, 잦은 사용시 발생하는 파손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외관상 미려하고, 정수기(10)에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더할 수도 있다. Whe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is formed of a stainless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t is hygienic because it is not rust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and deformation occurring during frequent use. In addition, it is beautiful in appearance and can add a luxurious image to the water purifier 10.

또한, 상기 출수노즐(280)은, 상기 이동케이스(22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와 상기 출수노즐(28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81)와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may be formed integrally by the moving case 220, or the connection member 281 and the insert inj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he moving case 22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have.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81)는 출수노즐(280)과 공급 호스(190)를 연결하는 부품이고, 상기 이동케이스(220)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member 281 is a part connecting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and the supply hose 190,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case (220).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280)이 이동케이스(220) 또는 연결부재(281)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되면, 출수노즐(280)과 이동케이스(220) 또는 연결부재(281) 나아가 공급 호스(190)와의 결합력이 높아져,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조립 방식에 비해 제작이 쉽게 이뤄질 수도 있다.When the extraction nozzle 28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ransfer case 220 or the connection member 281 by the insert inje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nozzle 280 and the moving case 220 or the connection member 281 and the supply hose Cohesion force with the 190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In addition, the fabrication may be easier than the conventional assembly method.

도 6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하강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하강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oving cas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raised,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cas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raised. And,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oving cas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lowered, Figure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cas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lowered.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6 to 9, the fixing case 210 or the moving case 220 may be formed with a guide portion 240 for guiding the moving case 220 to rise and fall in a straight line.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고정케이스(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을 하기 때문에, 고정케이스(210)에 의해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하지만,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이동케이스(220)가 양측으로 조금이라도 흔들릴 경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불안정하게 진행되고, 이와 같은 현상이 반복되면 고정케이스(210) 또는 이동케이스(220)의 변형 및 손상을 초래한다. Since the moving case 220 moves up and down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fixed case 210,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220 may be linearly guided by the fixed case 210. However, when the moving case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case 210, if the moving case 220 is slightly shaken to both side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220 is unstable, such a phenomenon If repeated, it causes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fixed case 210 or the moving case 220.

본 발명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가이드부(240)를 구비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is,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guide portion 240.

상기 가이드부(240)는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에 지지되면서,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The guide unit 240 may support various embodiments in a range in which the moving case 220 is supported by the fixed case 210 and can be guided up and down in a straight line.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240)는 고정케이스(21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레일과, 상기 직선 레일을 주행하도록 이동케이스(220)에 형성된 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guide part 240 may include a straight rail formed in the fixed case 2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roller formed in the moving case 220 to travel the straight rail.

반대로, 상기 가이드부(240)는 이동케이스(22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레일과, 상기 직선 레일을 주행하도록 고정케이스(210)에 형성된 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contrary, the guide part 240 may include a straight rail formed on the moving case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oller formed on the fixed case 210 to travel the straight rail.

다른 예로, 상기 가이드부(240)는, 상기 고정케이스(210)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41)과,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241)에 끼워지는 가이드편(242)을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guide portion 240 is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241 formed along the lifting direction in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the guide is fitted to the guide groove 241 Piece 242.

반대로, 상기 가이드부(240)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케이스(220)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편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the guide part 240 may include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moving case 220 along a lifting direction, and a guide piece provided in the fixed case 220 and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이때, 상기 가이드편(242)은 상기 직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41)에 끼워져, 가이드홈(241)을 따라서 직선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piece 24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41 formed in the straight line, and move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guide groove 241. Accordingl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220 may be made in a straight line.

또한, 상기 가이드편(242)은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piece 242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moving case 220.

상기와 같이 가이드편(242)이 이동케이스(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경우, 상기 가이드편(242)은 가이드홈(241)과의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줄인 상태에서 가이드홈(241)을 따라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guide piece 242 is rotatably mounted to the moving case 220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iece 242 is along the guide groove 241 in a state of reducing the friction force with the guide groove 241 to a minimum. You can go up and down in a straight line. Therefor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220 may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the operation feeling felt by the user may be improved.

또한, 상기 가이드홈(241)은 내측에 제1기어치(241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24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치(241a)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242a)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241 has a first gear 241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second gear 242a meshing with the first gear 241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ece 242. Can be formed.

즉, 상기 가이드홈(241)과 가이드편(242)은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과 같은 방식으로 맞물리고, 가이드편(242)은 회전하면서, 가이드홈(241)을 따라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다. That is, the guide groove 241 and the guide piece 242 are enga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ack and pinion, the guide piece 242 is rotated, ascending and descending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guide groove 241. Can be.

일례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아래로 잡아 당기면, 가이드편(242)은 도면상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치(241a, 242a)끼리 맞물린 상태로 가이드홈(241)을 따라 하강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down the moving case 220, the guide piece 242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drawing, and descends along the guide groove 241 while the gear teeth 241a and 242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do.

반대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위로 밀어 넣으면, 가이드편(242)은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치(241a, 242a)끼리 맞물린 상태로 가이드홈(241)을 따라 상승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pushes the moving case 220 upward, the guide piece 242 rotates clockwise in the drawing and ascends along the guide groove 241 in a state where gear teeth 241a and 242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기어치(241a, 242a)가 형성되면, 기어치(241a, 242a)끼리 맞물려 있기 때문에, 가이드편(242)이 회전하면서 가이드홈(241)을 따라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동케이스(220)의 승강이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편(242)이 가이드홈(241)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정확하게 이동케이스(220)의 승강이 진행될 수 있다. When the gear teeth 241a and 242a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ear teeth 241a and 242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guide piece 242 can rotate up and down more accurately along the guide groove 241 while rotating. As a resul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oving case 220 may proceed in a straight line more accurately. In addition, the guide piece 242 prevents the guide groove 241 from being lost, so that the lifting of the moving case 220 can be performed precisely to the height desired by the user.

또한,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방향과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직선구간 또는 곡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는 일부 또는 전체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gear 241a or the second gear 242a may include a straight section or a curved section formed perpendicularly or inclined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220. In particular, the first gear 241a or the second gear 242a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curved.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가 곡선으로 형성되면, 제1기어치(241a)와 제2기어치(242a)가 부드럽게 맞물릴 수 있고,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잡고, 이동케이스(22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gear 241a or the second gear 242a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first gear 241a and the second gear 242a may be smoothly engaged, and the user may feel The operation feeling can also be improv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he user holding the moving case 220, and lifting the moving case 220, the first gear by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gear (241a) or the second gear (242a)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241a or the second gear 242a from being damaged.

만일,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가 직선으로 형성되며, 뾰족한 모서리가 형성된 경우, 뾰족한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f the first gear 241a or the second gear 242a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sharp edges are formed, the force may be concentrated on the sharp portions, causing damage.

일례로,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의 요철(凹凸)부분이 반원형으로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neven portion of the first gear 241a or the second gear 242a may protrude or be concave in a semicircular shape.

이 밖에도, 상기 제1기어치(241a)와, 제2기어치(242a)의 형상은 제2기어치(242a)가 제1기어치(241a)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동력 전달이 확실하게 진행되고, 가이드편(242)이 가이드홈(241)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s of the first gear 241a and the second gear 242a are reliably transmitted while the second gear 242a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241a. Various embodiments may occur in a range in which the guide piece 242 may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guide groove 241.

또한, 상기 저항수단(230)은 오일댐퍼(oil damper)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stance means 230 may be formed as an oil damper.

오일 댐퍼는 하우징 내 기름을 구비하여, 기름의 점성 저항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An oil damper means a device having oil in a housing and absorbing energy by the viscosity resistance of the oil.

상기와 같이 오일 댐퍼는 일례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충진되고 소정의 점성을 갖는 오일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오일이 통과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우징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와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il damper includes, for example, a cylindrical housing, an oil fill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viscosity,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received in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the oil passes, and are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using. It may include a rotary blade and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rotary blade.

따라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이 공급되면, 오일의 점성 저항에 의해 공급된 회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supplied to the rotating shaf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otational force supplied by the viscous resistance of the oil.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저항부재 및 가이드편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sistance member and a guide piece which are som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항수단(230)은 오일댐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242)은 상기 저항수단(230)의 회전축(231)과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the resistance means 230 is formed of an oil damper, the guide piece 242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31 of the resistance means 230.

즉, 이동케이스(220)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승강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케이스(2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편(242)은 회전한다.That is, when a lifting force is applied to the moving case 220 to raise or lower the moving case 220, the guide piece 242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case 220 rotates.

이때, 가이드편(242)의 회전력은 저항수단(230) 즉, 오일댐퍼에 의해 감소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uide piece 242 is reduced by the resistance means 230, that is, the oil damper.

따라서,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저항수단(230)의 점성 저항에 의해 이동케이스(220)가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에서 손을 떼더라도, 저항수단(230)의 점성 저항에 의해 이동케이스(220)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moving case 22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ixed case 210, the moving case 220 may not be arbitrarily lowered by the viscous resistance of the resistance means 230, and thus the stored case 220 may be maintained.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releases the hand from the moving case 220 in a state where the user grasps the moving case 220 and descends to a desired position, the moving case 220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viscous resistance of the resistance means 230. Can be fixed.

이때, 상기 오일댐퍼의 오일 점도는 저항수단(230)은 이동케이스(2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승강 조작하는 데 무리한 힘이 들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오일댐퍼의 오일 점도는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도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oil viscosity of the oil damper may vary in the range that the resistance means 230 does not take excessive force for the user to operate the lifting case 220 while preventing the movement case 22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oil viscosity of the oil damper can be adjusted in a variety of ranges to improve the operating sensitivity that the user feels.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A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extraction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area A of FIG. 11.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선접촉할 수 있다. 11 to 12,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may be in line contact.

여기서 ‘선접촉’이라 함은 도 11 내지 12의 단면에서와 같이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가 점접촉된 것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점접촉이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이어져,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가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방향을 따라 선 형태로 접촉한 것을 의미한다. Here, 'line contact' means that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are in point contact, as in the cross sections of FIGS. 11 to 12, and the point contact is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220. Continued along, it means that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contacted in a linear form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220.

이를 위해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돌기(216,226)가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t least one or more contact protrusions 216 and 226 may be formed in the fixed case 210 or the moving case 220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220.

일례로, 고정케이스(210)에 접촉돌기(216)가 형성되면, 상기 접촉돌기(216)는 이동케이스(220)에 선접촉된다. 다른 예로, 이동케이스(220)에 접촉돌기(226)가 형성되면, 상기 접촉돌기(226)는 상기 고정케이스(210)에 선접촉된다.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protrusion 216 is formed in the fixed case 210, the contact protrusion 216 is in line contact with the moving case 220.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ntact protrusion 226 is formed in the moving case 220, the contact protrusion 226 is in line contact with the fixed case 210.

다른 예로, 상기 고정케이스(210)에 접촉돌기(216)가 형성되면,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접촉돌기(216)와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케이스(220)에 접촉돌기(226)가 형성되면, 고정케이스(210)에는 상기 접촉돌기(226)와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ntact protrusion 216 is formed in the fixed case 210, the contact case 216 may be formed in the moving case 2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rotrusion 216.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protrusion 226 is formed on the moving case 220, the fixing case 210 may form a contact groov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rotrusion 226.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접촉돌기(216,226)에 의해 선접촉 될 경우,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 사이의 마찰력은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서로 접촉 지지되어,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호 간의 접촉 지지로 인해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의 휨 등의 변형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are in line contact by the contact protrusions 216 and 226,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is reduced to a minimum. In addition,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220 can be made stable. In addition, deformation of the fixing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due to mutual contact support may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일례로, 접촉돌기(216,226)는 볼록한 반원형의 횡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촉돌기(216,226)이 곡면으로 형성되면,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선접촉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act protrusions 216 and 226 may have convex semicircular cross sections. When the contact protrusions 216 and 226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220 may be performed more smoothly while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are in line contact.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210)는, 후방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215)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후방 양측에서 상기 날개부(215)와 나란하게 연장된 연장부(255a)와, 상기 연장부(255a)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내측으로 후크(225c)가 형성된 절곡부(255b)를 형성하여, 상기 날개부(215)가 상기 연장부(255a)와 후크(225c) 사이의 수용홈(227)에 수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ed case 210 forms a wing portion 215 extending outwardly on both sides of the rear, the moving case 220, the wing portion 215 on both rear sides of the moving case 220. ) And an extension part 255a extending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bent part 255b extending in a shape bent forward from the extension part 255a and having a hook 225c inward at an end thereof. The wing 215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27 between the extension 255a and the hook 225c.

상기 날개부(215)에 의해 고정케이스(210)의 단부는 보강이 이루어져,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An end of the fixed case 210 is reinforced by the wing 215, and deformation such as bending may be prevented.

또한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날개부(215)가 수용되는 수용홈(227)을 형성하여 고정케이스(210)와의 체결력을 높여 고정케이스(210)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케이스(220)와 고정케이스(210) 상호 간의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oving case 220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227 is accommodated in the wing portion 215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with the fixed case 210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fixed case 210, moving case 220 And the fixing case 210 may prevent deformation between each other.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케이스(210)에 날개부(215)가 형성되고, 이동케이스(220)에 후크(225c)가 형성되면, 이동케이스(220)와 고정케이스(210)는 후크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ing portion 215 is formed on the fixed case 2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hook 225c is formed on the movable case 220, the movable case 220 and the fixed case 210 are detached in a hook manner. It can also be combined as possib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가이드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case 220 may include a guide member 225.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25)는 이동케이스(220)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228)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e member 225 may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228 such as a moving case 220 and a bolt.

또한, 상기 연장부(255a), 절곡부(255b), 후크(225c)는 가이드부재(225)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255a, the bent part 255b, and the hook 225c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guide member 225.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225)가 고정케이스(210)를 따라 승강하고, 상기 가이드부재(225)에 연결된 이동케이스(220) 또한 고정케이스(21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guide member 225 may be elevated along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able case 220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225 may also be elevated along the fixed case 210.

또한, 상기 날개부(215)에는, 상기 연장부(255a)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1접촉돌기(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돌기(216)는 상기 연장부(255a)에 선접촉한다.In addition, a first contact protrusion 216 may be formed on the wing portion 215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220 on a surface facing the extension portion 255a.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6 is in linear contact with the extension part 255a.

또한, 상기 후크(225c)에는 상기 날개부(215)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2접촉돌기(2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돌기(226)는 상기 날개부(215)에 선접촉한다.In addition, a second contact protrusion 226 may be formed on the hook 225c along a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220 on a surface facing the wing portion 215.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226 is in linear contact with the wing 215.

상기와 같이 제1접촉돌기(216) 및 제2접촉돌기(226)가 형성되면,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가 이중으로 선접촉하면서, 이동케이스(220)가 승강할 수 있어, 이동케이스(22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동작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6 and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226 are formed,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vable case 220 may be in double contact, and the movable case 220 may be elevated. The movement case 220 does not shake back and forth, and can stably move up and down.

또한, 날개부(215)가 수용홈(227)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절곡부(255b)가 날개부(215)에 지지되어, 이동케이스(220)가 좌우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동작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ing portion 215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27, the bent portion 255b is supported by the wing portion 215, so that the movement case 220 does not shake eve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stably moves up and down. can do.

또한, 상기 후크(225c)의 전면 및 상기 날개부(215)의 배면에는 각각 상호 나란하게 경사면(215a, 225d)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lopes 215a and 225d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ok 225c and the rea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215,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날개부(215)와 후크(225c)에 각각 경사면(215a, 225d)이 형성될 경우,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케이스(220)를 끼워 넣기가 용이하다.When the inclined surfaces 215a and 225d are formed on the wing 215 and the hook 225c,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case 220 can be easily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fixed case 210 to the front.

일례로,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는 배면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case 210 and the moving case 22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is open.

이때,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후방에서 삽입 될 수 있으나 날개부(215)와 후크(225c)가 형성된 경우, 이들의 간섭에 의해 이동케이스(220)의 삽입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ving case 220 may be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fixed case 210, but when the wing portion 215 and the hook 225c is formed, the insertion of the moving case 220 by the interference thereof is smooth. You may not be able to.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후크(225c)의 전면 및 상기 날개부(215)의 배면에는 각각 상호 나란하게 경사면(215a, 225d)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케이스(220)를 손쉽게 끼워 넣을 수 있다.To prevent this, inclined surfaces 215a and 225d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ok 225c and the rea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215, respectively, so as to move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fixed case 210 to the front ( 220) can be easily inserted.

또한,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양측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27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272)가 안착되는 안착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portion 272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moving case 220, and a seating groove 217 in which the handle portion 272 is seated at both lower ends of the fixing case 210 is formed. Can be formed.

이때, 손잡이부(272)의 상부에는 단턱(27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272)를 잡고, 이동케이스(220)를 상부로 상승시킬 때, 상기 안착홈(217)에 손잡이부(272)의 단턱(271)이 걸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안착홈(217)은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step 271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art 272. Therefore, 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part 272 and raises the movement case 220 upward, the stepped 271 of the handle part 272 is caught by the seating groove 217. As a result, the seating groove 217 may serve as a stopper for limiting the rising height of the moving case 220.

또한, 상기 손잡이부(272)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지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272 may be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270 concave inward.

상기와 같이 파지홈(270)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파지홈(270)을 잡고 이동케이스(220)를 하강하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미끄러짐 없이 이동케이스(220)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When the gripping groove 27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grasp the gripping groove 270 to lower or raise the moving case 220. At this time, the user can lower or raise the movement case 220 without slipping.

다른 예로, 상기 손잡이부(272)에는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및 하강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凹凸)을 형성하거나, 외측으로 돌출된 파지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handle portion 272 may form an unevenness (凹凸), or to form a gripp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to prevent the slip when the moving case 220 is raised and lowered.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이동케이스(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고, 윤활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xed case 210 or the moving case 220 may be formed of an engineering plastic material having excellent fatigue resistance, toughness, abrasion resistance, and the like and having lubricity.

일례로,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이동케이스(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POM)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xed case 210 or the moving case 220 may be formed of polyoxymethylene (POM) material.

따라서, 고정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이동케이스(220)가 승강할 때에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bile case 220 is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fixed case 210, wear and nois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fixed case 210 and the mobile case 220 may be reduced.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아래로 잡아 당겨 하강시키거나, 하강된 이동케이스(220)를 상승시킬 때에,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되어, 조작 감도를 높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ulls down the moving case 220 or raises the lowered moving case 220,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case 220 proceeds smoothly,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on sensitivity.

도 13은 정수기의 트레이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정수기의 베이스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베이스와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of the water purifier rotated.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of the water purifier. And,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and the tray.

상기 트레이(30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11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300)는 출수모듈(20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와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300)는 상기 출수모듈(200)에서 낙하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면이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y 300 is connected to the base 113 to protrude forward of the front cover 111. In addition, the tray 300 may be located below the water discharge module 200 vertically. In addition, the tray 300 may be rotated by a user's manipulation,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base 113. The tray 300 may have an upper surface formed in a grill shape so that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may be stored.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13)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310)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링(130)에는 상기 트레이(30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0)는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트레이(300)는 상기 회전링(310)과 분리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00)는 상기 회전링(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To this end, the base 113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ring 310 rotatably mounted, and the tray 3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otatable ring 130. Therefore, the tray 300 can be rotated in a mounted state. And, the tray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rotary ring 310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tray 300 is in a state of protruding forward of the base 113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rotary ring 310.

이하, 베이스(113) 및 트레이(3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ase 113 and the tray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13)는 상기 정수기(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는 둘레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패널(115)과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10 to 12, the base 113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0. The base 113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ide panel 115, the front cover 111, and the rear cover 112 with a circumference extending upward.

상기 베이스(113)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레그(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113a)는 상기 베이스(113)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 전체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을 통한 외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Legs 113a protruding downward may be formed in the base 113. A plurality of legs 113a may be formed in the base 113, and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1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refore, the suction of the outside air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3 can be easily made.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에는 회전링(31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300)는 회전링(310)의 전방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링(310)과 연결되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ng ring 310 is rotatably mounted in the first half of the base 113. The tray 3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front side of the rotary ring 3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otary ring 310 and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는 베이스(113)의 후반부보다 더 낮게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와 프론트 커버(111)의 하단부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를 통해 트레이(300)의 측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링(310)과 결합된 상태로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half of the base 113 may be formed to be stepped lower than the second half of the base 113. 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lf of the base 113 and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11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tray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and is left and right coupled to the rotating ring 310. Can be rotated laterally.

또한,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에 단차진 부분은 트레이(300)의 회전시 트레이(3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13b)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0)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300)의 양쪽 측면은 상기 스토퍼(113b)에 접하게 되고, 상기 트레이(3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of the base 113 serves as a stopper 113b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tray 300 when the tray 300 rotates.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tray 300 ar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113b when the tray 300 rotates, and the rotation of the tray 300 may be limited.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의 스토퍼(113b)에는 상기 트레이(300)가 상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 방지부(113c)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부(113c)는 상기 트레이(30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300)의 후단부 양측을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113b of the base 113 is formed with a flow preventing part 113c extending forward to prevent the vertical flow of the tray 300. The flow preventing part 113c is formed to restrai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tray 300 while the tray 300 is rotated.

상기 베이스(113)의 내부에는 회전 안내부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안내부는 베이스(113)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제 1 회전 안내부(113d)와 제 2 회전 안내부(113e)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 안내부(113d)가 제 2 회전 안내부(113e)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 1 회전 안내부(113d)와 제 2 회전 안내부(113e)는 베이스(113)의 저면에서 일정한 곡률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링(31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안내부(113d,113e)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rotation guide is provided inside the base 113. The rotation guide part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guide part 113d and a second rotation guide part 113e which are disposed concentrically on the base 113. The first rotation guide 113d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rotation guide 113e. The first rotation guide 113d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113e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113 with a constant curvature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ring 310. The rotation guides 113d and 113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may have an arc shape.

상기 회전링(310)은 회전 안내부(113d,113e)에 의해 안내되어 베이스(11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트레이(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링(310)은 외측링부(311), 내측링부(312) 및 링 이음부(313)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otary ring 310 is guided by the rotation guides 113d and 113e to be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base 113, and serves to support the tray 300. The rotary ring 310 may be composed of an outer ring portion 311, the inner ring portion 312 and the ring joint 313.

상기 외측링부(311)는 회전링(310)의 외부 골격 및 형태를 이룬다. 외측링부(311)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링부(311)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회전 안내부(113d)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제 1 회전 안내부(113d)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outer ring portion 311 forms the outer skeleton and shape of the rotary ring 310. The outer ring portion 311 has a circular shap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ring portion 311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guide portion 113d so as to be rotatably mounted along the first rotation guide portion 113d. .

그리고, 상기 내측링부(312)는 상기 외측링부(311)의 내부에 동심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내측링부(3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부가 제 2 회전 안내부(113e)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베이스(113)의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되고 제 2 회전 안내부(113e)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ring part 312 is disposed to have concentricity inside the outer ring part 311. The inner ring portion 312 has a circular shap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ring portion 31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guide portion 113e, the movement is limi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ase 113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portion 113e Guided by it can be mounted rotatably in place.

상기 외측링부(311)에는 트레이(300)와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트레이 장착부(314)가 구비된다. 트레이 장착부(314)는 상기 트레이(300)의 트레이 결합부(30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수용홀(314a)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홀(314a)은 트레이 결합부(301)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가 상기 수용홀(314a)을 통해 상기 트레이 장착부(314)에 삽입 결합된다. The outer ring portion 311 is provided with a tray mounting portion 314 on one side for coupling with the tray 300. The tray mounting part 314 has a receiving hole 314a of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tray coupling part 301 of the tray 300. The accommodation hole 314a is ope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tray coupling part 301 so that the tray coupling part 301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ray mounting part 314 through the accommodation hole 314a.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가 상기 트레이 장착부(314)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면, 상기 트레이 장착부(314)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를 감싸서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트레이 결합부(301)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를 지지한다. 다만,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는 트레이 장착부(314)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When the tray coupling part 301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tray mounting part 314, the tray mounting part 314 surrounds the tray coupling part 301 and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tray coupling part 301. The tray coupling part 301 supports the tray coupling part 301 so that the tray coupling part 301 does not mov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However, the tray coupling portion 301 is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side the tray mounting portion 314 may be inserted and withdrawn.

한편, 상기 트레이 장착부(314)의 내측에는 돌기(314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에는 체결홈(302)이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가 상기 트레이 장착부(314)의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314b)가 상기 체결홈(302)과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300)가 상기 회전링(310)에 장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0)의 장착시 상기 돌기(314b)와 체결홈(302)이 결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가 트레이 장착부(314)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트레이(300)가 상기 회전링(310)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13)에 대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on 314b may be formed inside the tray mounting portion 314. A fastening groove 302 is formed in the tray coupling part 301 so that the protrusion 314b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groove 302 when the tray coupling part 301 is inserted into the tray mounting part 314. Combined to maintain the tray 300 is mounted to the rotary ring 310. In addition, when the tray 300 is mounted, the protrusion 314b and the fastening groove 302 may be easily recognized. As the tray coupling part 301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ray mounting part 314, the tray 30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ring 310 to rotat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ase 113.

한편, 제 2 회전 안내부(113e)에는 이탈방지돌기(113f)가 형성되어, 회전링(310)이 제 2 회전 안내부(113e)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돌기(113f)의 상단부는 내측링부(312)의 상면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0)가 회전될 때 회전링(310)이 상방향으로 들림에 따라 회전링(310)이 제 2 회전 안내부(113e)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이(30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13f is formed in the second rotation guide portion 113e, thereby preventing the rotation ring 3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rotation guide portion 113e.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13f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caught by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part 312. Therefore, as the rotary ring 310 is lifted upward when the tray 300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ary ring 3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rotation guide 113e, and the tray 300. The rotation of the can be kept stable.

한편,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 중앙에는 감압 밸브(1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압 밸브(116)는 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여 정수작업을 원할하게 하고 취출시의 수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압 밸브(116)는 상기 회전링(310)의 장착시 상기 내측링부(312)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a pressure reducing valve 116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half of the base 113.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16 adjusts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to smooth the water purification work and the water pressure at the time of taking out can be adjuste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16 is loc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inner ring portion 312 when the rotary ring 310 is mounted to enable efficient use of space.

상기 베이스(113)의 중앙부에는 압축기(141)가 장착되는 마운팅부(113g)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부(113g)는 상기 압축기(14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113g)는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41)의 저면 네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113g)에는 너트가 인서트 사출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141)의 안착 후 하방에서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압축기(14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113, a mounting portion 113g on which the compressor 141 is mounted is formed. The mounting portion 113g may protrude upward to support the compressor 141. In addition, four mounting parts 113g may be provided, and four bottom edges of the compressor 141 may be supported. In addition, a nu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113g, and is configured to secure the compressor 141 by fastening a screw downward from the seat of the compressor 141.

상기 베이스(113)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113h)이 더 형성된다. 상기 흡입 그릴(113h)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운팅부(113g)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4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0)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기(141)를 경유하면서 상기 압축기(141)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113h)은 상기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흡입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A suction grill 113h is further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113.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grill 113h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13g and may be positioned below the compressor 141. 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water purifier 10 may cool the compressor 141 while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141. The suction grill 113h is formed in the lattice shape and forms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outside.

상기 흡입 그릴(113h)의 후방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수용되는 응축기 브라켓(144)이 배치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은 상기 베이스(113)의 후반부에 위치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은 상기 베이스(113)에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위치되는 탱크 장착부(146)로 구성될 수 있다.A condenser bracket 144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grill 113h to accommodate the condenser 142. The condenser bracket 144 is loc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base 113. The condenser bracket 144 may include a condenser mounting part 145 fixed to the base 113 and a tank mounting part 146 positioned above the condenser mounting part 145.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전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된다. 상기 쿨링 팬(143)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113h)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압축기(141) 및 응축기(142)를 냉각시키고 상기 토출구(112a)로 토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후면은 상기 토출구(112a)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정수기(10)의 토출구(112a)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front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is provided with a cooling fan 143. The cooling fan 143 sucks outside air through the suction grill 113h to cool the compressor 141 and the condenser 142 and to discharge the discharge port 112a.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is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112a. Therefore, the condenser 142 accommodated inside the condenser mounting part 145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12a of the water purifier 10.

상기 베이스(103)의 후단에는 전원 코드(117)가 고정되는 코드 장착부(113i)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 장착부(113i)에서 상기 베이스(113)의 중간 부분까지 코드 안내부(113j)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 코드(117)는 상기 코드 안내부(113j)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와 연결된다.The rear end of the base 103 is formed with a cord mounting portion 113i to which the power cord 117 is fixed. The cord guide part 113j is formed from the cord mounting part 113i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base 113. Accordingly, the power cord 117 may be moved along the cord guide 113j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assembly 170.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의 후단에는 입수관(191)이 유입되는 입수관 출입구(113k)가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 출입구(113k)를 통해서 상기 수도와 연결된 입수관(191)이 유입된다. 상기 입수관(191)의 단부는 상기 감압 밸브(116)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관(191)의 절곡되는 일부 구간에는 상기 입수관(191)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 가이드(1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튜브 가이드(118)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191)이 과도하게 꺽이거나 접히지 않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튜브 가이드(118)는 정수와 냉수 및 온수가 유동되는 배관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let pipe entrance 113k through which the inlet pipe 191 is introduc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113, and an inlet pipe 19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entrance 113k. An end of the water inlet pipe 191 may extend to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16. The tube guide 118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inlet pipe 191 that is bent to prevent the inlet pipe 191 from being folded. The tube guide 118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guides the inlet pipe 191 so as not to be bent or folded excessively. Such a tube guide 118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pip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flow.

도 16은 상기 정수기의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트레이의 만수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ray of the water purifier. And, Figure 17 is a view showing the full water level state of the tra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트레이(30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트레이 바디(320)와, 트레이 바디(320)의 상부를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 커버(33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ray 300 may include a tray body 320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tray cover 330 detachably coupl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tray body 320. Can be.

상기 트레이 바디(320)의 내부에 저장공간이 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잔수를 저장한다. 상기 트레이 바디(320)의 가장자리부는 트레이 커버(330)의 테두리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바디(320)의 내부에 트레이 커버(33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in the tray body 320 to store residual water therein. The edge portion of the tray body 320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dge side of the tray cover 330. In addition, a support part 321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cover 330 may be provided in the tray body 320.

상기 트레이 바디(320)의 저면에는 함몰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322)는 상기 트레이 바디(32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정수기(10)가 설치되는 지면과 접하여 상기 트레이(30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0)가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시 정수기(10)의 설치되는 지면에서 처짐 발생 없이 일정한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A depression 32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ray body 320. The depression 32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ray body 320, and contacts the ground on which the water purifier 1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tray 300. Therefore, when the tray 300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tray 300 may be supported at a constant height without sagging in the ground where the water purifier 10 is installed.

한편, 상기 함몰부(322)는 플로터(3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터(34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322)의 내측에 상기 플로터(340)가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pression 322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lotter 340 to accommodate the plotter 340. Therefore, the plotter 34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depression 322 to be eleva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상기 플로터(340)는 플로팅부(341)와 인디게이터(342) 그리고 캡(3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팅부(341)는 상기 함몰부(322)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부력에 의해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lotter 340 may include a floating unit 341, an indicator 342, and a cap 343. The floating portion 341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recess 322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float on water by buoyancy.

그리고, 상기 플로팅부(341)의 상단에는 인디게이터(3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캡(343)에 의해 상기 플로팅부(3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디게이터(34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로팅부(341)와 캡(343)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330)과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n indicator 342 may b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floating part 341, and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floating part 341 by the cap 343. The indicator 34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have a different color from the floating portion 341, the cap 343, and the tray cover 330.

그리고, 상기 캡(343)은 상기 플로터(340)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트레이 커버(330)로 노출되는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캡(343)은 상기 트레이 커버(330)로 노출되는 노출부(343a)와 상기 노출부(34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관통부(343b)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343a)는 상기 인디게이터(342)의 직경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343b)는 상기 인디게이터(342)를 관통하여 상기 플로팅부(341)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The cap 343 forms an upper end of the plotter 340 and forms a portion exposed by the tray cover 330. The cap 343 may be formed of an exposed portion 343a exposed by the tray cover 330 and a through portion 343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xposed portion 343a. The exposed part 343a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diameter of the indicator 342. The through part 343b may be inserted into an upper end of the floating part 341 through the indicator 342.

상기 트레이(300)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캡(343)의 상면은 상기 트레이 커버(330)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더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0)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지거나 만수위가 되면 상기 플로팅부(341)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캡(343) 또한 상기 트레이 커버(33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tray 300 is not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wat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343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cover 330 or further below. When the tray 300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water or becomes full, the floating portion 341 is raised by buoyancy, and the cap 343 may also protrude more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tray cover 330. Will be.

이때, 도 14와 같이 상기 플로팅부(341)가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상기 인디게이터(342)가 상기 트레이 커버(330)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인디게이터(342)의 색상이 식별되면 만수위를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트레이(300)를 분리하여 저장된 물을 비울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floating portion 341 is fully raised as shown in FIG. 14, the indicator 342 protrudes upwar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cover 330. Therefore, when the color of the indicator 342 is identified, the user can recognize the full water level, and can separate the tray 300 to empty the stored water.

또한, 상기 트레이 바디(320)의 후방면과 트레이 커버(330)의 후단에는 오목부(323)가 원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323)가 회전링(31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300)의 후단이 상기 회전링(3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y body 320 and the rear end of the tray cover 330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323 concave in an arc shape, the concave portion 323 surrounds a portion of the rotary ring 310 The rear end of the tray 3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ry ring 310.

또한, 트레이 바디(320)의 후단 양측에는 돌출부(325)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325)의 외측면은 트레이 바디(320)의 일 측면에서 동일 평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트레이(300)와 회전링(310)의 연결 부위를 가려주게 된다. In addition, protrusions 325 ar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tray body 320.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25 is formed to extend in the same plane on one side of the tray body 320, to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ray 300 and the rotary ring 310.

특히, 상기 트레이(300)의 회전시에도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정수기의 전면 외관으로부터 이어지는 형상으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300)의 회전 여부에 관계없이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orm the appearance in a shape that continues from the front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formed roundly even when the tray 300 rotates. Therefore, the appearance may be beautifully maintained regardless of whether the tray 300 is rotated.

그리고, 상기 트레이(300)와 회전링(310)의 결합을 위해 트레이 바디(320)의 오목부(323)에의 중앙에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301)는 상기 트레이(300)의 장착시 상기 트레이 장착부(31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y coupling portion 301 protrudes backward from the center of the tray body 320 to the recess 323 for coupling the tray 300 and the rotary ring 310 to each other. The tray coupling part 301 may be inserted into the tray mounting part 314 and coupled when the tray 300 is mounted.

한편, 상기 트레이 커버(330)에는 복수의 슬릿(331)이 형성되어, 잔수가 슬릿(331)을 통해 트레이 바디(320)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잔수가 트레이 바디(320)의 내부에서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lits 331 is formed in the tray cover 330, the residual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tray body 320 through the slit 331, the residual water inside the tray body 320 To prevent it from popping out.

상기 트레이 커버(330)에는 인디게이팅 홀(33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인디게이팅 홀(332)은 상기 플로터(340)의 캡(34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캡(343)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로터(340)의 승강시 상기 캡(343)은 상기 인디게이팅 홀(332)을 통해 상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0)가 만수될 때 상기 인디게이터(342)는 상기 인디게이팅 홀(33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만수상황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An indication hole 332 is further formed in the tray cover 330. The indicator hole 33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p 343 of the plotter 340, an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cap 343. Therefore, the cap 343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indicator hole 332 when the floater 340 is lifted. When the tray 300 is full, the indicator 34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dicator hole 332 to display a full water situation to the user.

상기 트레이 커버(330)에는 집수홀(33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홀(333)은 상기 출수 노즐(280)의 수직 하방에 개구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0)에 컵과 같은 용기가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취출될 때 낙하되는 물은 상기 집수홀(333)을 통과하여 상기 트레이(300)에 직접 집수될 수 있다.A collecting hole 333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tray cover 330. The water collecting hole 333 is opened vertically downward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Therefore, when the water is drawn out when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not placed in the tray 300, the water falling may pass directly through the collecting hole 333 to be collected directly into the tray 30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물 취출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water extraction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18은 상기 정수기의 물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정수기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18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of water in the water purifier.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water pur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수기(10)의 입수관(191)은 수도와 연결되어 원수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입수관(191)은 감압 밸브(192)와 연결되며, 상기 감압 밸브(192)를 통과하는 원수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let pipe 191 of the water purifier 1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receives raw water. The inlet pipe 191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92,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92 is reduced to a pressure set for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그리고, 감압된 원수는 감압 밸브(192)와 상기 필터(120)를 연결하는 배관을 따라서 상기 필터(120)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필터(120)를 통과하는 원수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 상태가 된다. 그리고, 급수 밸브(193)의 개방에 의해 정수는 배관을 따라서 상기 급수 밸브(193)를 지나 유량 센서(194)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The decompressed raw water flows to the filter 120 along a pipe connect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92 and the filter 120.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is removed from the foreign matter is purified water. As the water supply valve 193 is opened, the purified water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193 and sequentially flows through the flow rate sensor 194 along the pipe.

이때, 상기 급수 밸브(193)와 유량 센서(194)는 메인 피시비(5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피시비(51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 밸브(193)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센서(194)에서 감지된 유량이 상기 메인 피시비(510)로 전달되어 상기 정수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valve 193 and the flow sensor 194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510,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water supply valve 193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PCB 510. do. The flow rate detected by the flow sensor 194 may be transferred to the main PCB 510 to be used as data for controlling the water purifier.

상기 유량 센서(194)를 통과한 정수는 분지관(195)을 통해서 냉정수측(195a)과 온수측(195b)으로 분지될 수 있다.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sensor 194 may be branched to the cold water side 195a and the hot water side 195b through the branch pipe 195.

먼저, 냉정수측(195a)의 배관으로 유동되는 정수는 T커넥터(196)에 의해 재차 냉수측(196a)과 정수측(196b)으로 분지되어 각각 냉수 출수밸브(197)와 정수 출수밸브(198)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출수밸브(198)와 냉수 출수밸브(197)는 상기 메인 피시비(510)와 연결되어 개폐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정수 출수밸브(198)와 냉수 출수밸브(197)가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버튼(420)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될 수 있다.First,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pipe on the cold water side 195a is branched again to the cold water side 196a and the purified water side 196b by the T connector 196, and the cold water outlet valve 197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198 are respectively.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198 and the cold water outlet valve 197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510 and may be opened or closed. That i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valve 198 and the cold water discharge valve 197 may be selected by a user's setting, and the selected valve may be open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button 420 to extract water.

한편, 상기 냉수 출수밸브(197)를 통과한 물은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의 쿨링 코일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쿨링 코일을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 되며, 이를 위해 상기 냉각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된다.Meanwhil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discharge valve 197 passes through a cooling coil inside the cooling tank 150. The water flowing along the cooling coil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inside the cooling tank 150. For this purpose, the cooling water is cooled to maintain a set temperature.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상기 메인 피시비(510)와 연결된 압축기(141)가 구동된다. 상기 압축기(141)의 구동은 상기 쿨링 탱크(15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 온도센서(15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는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141)의 구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41)는 인버터 압축기로 필요한 부하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며, 냉각 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141)는 인버터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를 최적의 효율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The compressor 141 connected to the main PCB 510 is driven to cool the coolant.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141 may be determined by th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152 provided in the cooling tank 150. Thus, the coolant can always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the drive of the compressor 141 can be adjusted for this purpose. The compressor 141 may be adjusted in frequency in response to a load required by the inverter compressor, and the cooling capacity may be adjusted. That is, the compressor 141 may be driven by an inverter control and cools the cooling water at an optimum efficiency.

한편, 상기 압축기(141)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10)를 조작하여 동작을 강제 오프(OFF)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냉수의 소비가 적은 동계나 절전이 필요한 시기, 또는 냉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강제로 상기 압축기(141)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or 141 may be set by the user to operate the operation unit 410 to force the operation (OFF). The compressor 141 may be forcibly maintained in the off state when the cold consumption is low, the time when power saving is necessary, or when the cold water is not desired.

또한, 상기 메인 피시비(510)는 상기 압축기(141)의 구동은 물론 상기 쿨링 팬(143)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510)는 쿨링 탱크(150) 내측에 구비된 교반기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하기도 한다. 상기 모터(153)는 냉각수와 상기 쿨링 코일을 통과하는 냉수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구동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51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모터(153)의 구동에 의해 교반기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냉각수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내부에서 강제 대류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쿨링 코일 내부의 정수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ain PCB 51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ooling fan 143 as well as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141. In addition, the main PCB 51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irrer motor 153 provided inside the cooling tank 150. The motor 153 is driven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cooling water and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coil, and is controlled by the main PCB 510. The stirrer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153, and the cooling water can be forced convection in the cooling tank 150, resulting in effectively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cooling coil.

상기 쿨링 탱크(150)를 지난 냉수는 T커넥터(181)를 통해 출수관(182)으로 유입되며, 출수관(182)을 통과하는 냉수는 상기 출수 노즐(280)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tank 150 is introduced into the outlet pipe 182 through the T connector 181,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outlet pipe 182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outlet nozzle 280. .

한편, 상기 정수 출수밸브(198)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정수 출수밸브(198)를 통과한 정수는 상기 T커넥터(181)를 통해 상기 출수관(182)으로 유입되며, 상기 출수관(182)을 지나 상기 출수 노즐(280)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198 is opened,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198 is introduced into the outlet pipe 182 through the T connector 181, the outlet pipe 182 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80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한편 사용자가 온수의 취출을 선택한 경우 정수는 상기 분지관(195)의 온수측(195b)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510)의 제어에 의해 유량 조절 밸브(199)가 개방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199)를 통해서 유동되는 물은 온수의 가열에 적절한 유량으로 조절된다. 즉,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온수 탱크(161) 측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hot water withdrawal, the purified water may flow to the hot water side 195b of the branch pipe (195).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99 is opened by the control of the main PCB 510,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99 is adjusted to a flow rate suitable for heating the hot water. That is,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61 is adjusted to allow the water to be heated to the temperature set by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상기 유량 조절 밸브(199)를 지난 정수는 상기 온수 탱크(161)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161)를 지나는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 탱크(161)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520)의 제어에 의해 워킹 코일의 자기력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199 passes through the hot water tank 161. Then, the hot water tank 161 can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hot water tank 161 may be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for this purpose, the outpu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working coil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 of the induction heating PCB 520.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의 구동을 위해서는 메인 피시비(510)에 비해 고전압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고전압의 공급을 위해 전원선과 연결된 전원 공급 피시비(5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530)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510)에도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In order to drive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a higher voltage is required than the main PCB 510, and power is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PCB 530 connected to a power line to supply the high voltage. The power supply PCB 530 supplies suitable power depending on whether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is driven, and also supplies suitable power to the main PCB 510.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161) 내부의 물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출수 밸브(183)에는 온수 온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온도센서는 상기 온수 탱크(161)를 지나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 피시비(51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510)에서는 입력되는 온수 온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워킹 코일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161 may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by driv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The hot water outlet valve 183 may be provided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tank 161 and transmits the temperature to the main PCB 510. In addition, the main PCB 510 may adjust the output of the working coil based on the input hot water temperature data.

또한, 상기 온수 탱크(161)의 외측에 구비되는 탱크 온도센서(162)에 의해 온수 탱크(161) 자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탱크 온도센서(161)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어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510)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퓨즈(184)를 단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피시비(510)에는 오엘피(OLP:Over Load Protection)(147)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오엘피(147)는 상기 압축기(141)의 과부하 발생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압축기(141)를 보호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161 itself may be sensed by the tank temperature sensor 162 provided outside the hot water tank 161. When the tank temperature sensor 161 is raised above a set temperature, and a fire may occur, the fuse 184 may be shorted b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main PCB 510. An OLP 147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510, and the OLP 147 cuts off power supply when the compressor 141 overloads the compressor 141. To protect.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의 이상 동작에 의해 상기 퓨즈(184)가 단락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530)로부터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52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가 과열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fuse 184 is short-circuited due to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CB 530 to the induction heating PCB 520 is cut off, thereby induc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60. ) To prevent overheating and breakage.

상기 온수 출수밸브(183)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161)를 통과하여 가열된 상기 온수는 상기 온수관(185)을 통해 상기 출수 노즐(280)로 유동되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 The hot water heated through the hot water tank 161 by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183 may flow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280 through the hot water pipe 185 to be withdrawn to the outside.

한편, 출수버튼(420)의 조작에 의해 물이 취출될 때에는 조작부 피시비(4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조작부(410)의 엘이디가 점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is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button 420, the LED of the operation unit 410 may be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unit PCB 411.

상기 조작부(410)에는 온수버튼, 정수버튼, 냉수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온수버튼의 경우 온도의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출수용량을 설정하는 용량 선택 버튼 및 연속 출수를 선택하는 연속 버튼도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410)의 조작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잠금버튼도 구비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410 may be provided with a hot water button, a water purification button, a cold water button.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hot water button,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may be set. In addition, a capacity selection button for setting the water discharge capacity and a continuous button for selecting the continuous water discharge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 lock button may be provided to temporarily block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410.

상기 조작부 피시비(411)는 상기 출수버튼(420)의 조작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출수버튼(420)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스위치 엘이디(412)의 점등 색상을 통해서 상기 필터(120)의 상태 또는 교환주기를 인지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unit PCB 411 is a state or exchange of the filter 120 through the lighting color of the switch LED 412 irradiated through the water exit button 420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water extraction button 420 is operated You can also recognize the cycle.

또한, 상기 정수기(10)의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정도는 엔에프시 피시비(430)를 통해서 사용자의 휴대전화와 같은 단말기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430)로 정보 및 조작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1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tate or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f the user through the NFC PC 430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NFC PC 430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water purifier 10 may be driven using the transmitted information.

예컨데, 사용자는 휴대전화에 설치된 앱을 통해서 상기 필터(120) 수명 그리고 상기 정수기(10)의 사용 패턴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앱을 통해서 상기 정수기(10)의 냉수 모드를 끄는 절전 모드를 설정하는 등 기타 정수기(1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 user can check information such as the life of the filter 120 and the usage pattern of the water purifier 10 through an app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and the power saving mode of turning off the cold water mode of the water purifier 10 through the app. The operation of the other water purifier 10 can be set.

한편, 상기 정수기(10)의 사용 중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의 냉각수를 배수하고 새로운 냉각수를 채워 넣을 수도 있다. Meanwhile, during the use of the water purifier 10, the cooling water inside the cooling tank 150 may be drained and filled with new cooling water.

10 : 정수기 100 : 정수기 본체
110 : 하우징 120 : 필터
200 : 출수모듈 210 : 고정케이스
211 : 승강공간 220 : 이동케이스
230 : 저항수단 231 : 회전축
240 : 가이드부 241 : 가이드홈
241a : 제1기어치 242 : 가이드편
242a : 제2기어치 270 : 파지홈
280 : 출수노즐 290 : 전면케이스
300 : 트레이 310 : 회전링
410 : 조작부 420 : 출수버튼
10: water purifier 100: water purifier body
110 housing 120 filter
200: water extraction module 210: fixed case
211: lifting space 220: moving case
230: resistance means 231: rotation axis
240: guide portion 241: guide groove
241a: First Gear 242: Guide
242a: second gear 270: gripping groove
280: exit nozzle 290: front case
300: tray 310: rotation ring
410: control panel 420: water extraction button

Claims (13)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출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출수모듈은: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승강공간은 하측이 외부와 연통되게 개방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
하측에 상기 출수노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측으로 출몰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된 이동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동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호스; 및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편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케이스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케이스는, 후방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케이스는, 상기 이동케이스의 후방 양측에서 상기 날개부와 나란하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내측으로 후크가 형성된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날개부가 상기 연장부와 후크 사이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 water purifier body including a housing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filter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 water extraction module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includes a water extraction nozzle for supply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Forming a lift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the lifting space is open so that the lower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fixed case fix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A moving case fixed to the lower side, being housed in a lifting space of the fixed case and being lif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ed case while being lifted,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 supply hos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transfer case and supply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the discharge nozzle; And
A guide groove formed in one of the fixed case or the moving case along a lifting direction, and a guide piece provided in the other of the fixed case or the moving case and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wherein the moving case is a straight line. It includes a guide for guiding to move up and down,
The fixed cas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extending outwards, the moving case is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 wing at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moving case, and bent forward from the extension And a bent portion extending in the form and having a hook formed inwardly at an end thereof, so that the w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hoo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이동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piece i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mounted to the moving cas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내측에 제1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groove i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ear is formed on the insi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piece is formed with a second gear meshing with the first ge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케이스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extraction module, the water purifier is formed on the fixed case or the moving case, further comprising a resistance means for reducing the lifting force applied to the moving case for raising or lowering the moving cas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은 오일댐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저항수단의 회전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sistance means is formed with an oil damper, the guide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esistance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와 상기 이동케이스는 선접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case and the moving case is in line contac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돌기가 상기 이동케이스의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contact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in the fixed case or the moving cas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1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tact projection is formed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on the surface facing the exten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는 상기 날개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2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wing portion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oving c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전면 및 상기 날개부의 배면에는 각각 상호 나란하게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n the front of the hook and the back of the w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케이스의 양측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Handle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transfer case,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fixed case seating the handl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groove is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concave inward.
KR1020190042315A 2019-04-11 2019-04-11 water purifier KR102068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15A KR102068226B1 (en) 2019-04-11 2019-04-11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15A KR102068226B1 (en) 2019-04-11 2019-04-11 water purifi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558A Division KR101971283B1 (en) 2018-05-28 2018-05-28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48A KR20190040948A (en) 2019-04-19
KR102068226B1 true KR102068226B1 (en) 2020-01-20

Family

ID=6628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315A KR102068226B1 (en) 2019-04-11 2019-04-11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2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444B1 (en) 2019-04-23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nking water dispen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941A (en) * 2005-02-09 2006-08-24 Toyota Motor Corp Speed control structure of movable body
KR101338670B1 (en) 2012-10-12 2013-12-09 이창현 Water supply nipp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29B1 (en) * 2008-11-14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Cock for water purifier which is height adjustable
KR101634192B1 (en) * 2014-05-21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941A (en) * 2005-02-09 2006-08-24 Toyota Motor Corp Speed control structure of movable body
KR101338670B1 (en) 2012-10-12 2013-12-09 이창현 Water supply nip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48A (en)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8602B (en) Water purifier
KR102095026B1 (en) water purifier
KR101971284B1 (en) water purifier
KR102014392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48726B1 (en) water purifier
KR102020052B1 (en) water purifier
KR102068226B1 (en) water purifier
KR101907820B1 (en) water purifier
KR101948704B1 (en) water purifier
KR102158549B1 (en) water purifier
CN109422312B (en) Water purifier
KR101971283B1 (en) water purifier
KR20230039626A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94563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69174B1 (en) water purifier
KR102382873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51819B1 (en) water purifier
KR102130507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