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068B1 - 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 - Google Patents

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068B1
KR102067068B1 KR1020180020090A KR20180020090A KR102067068B1 KR 102067068 B1 KR102067068 B1 KR 102067068B1 KR 1020180020090 A KR1020180020090 A KR 1020180020090A KR 20180020090 A KR20180020090 A KR 20180020090A KR 102067068 B1 KR102067068 B1 KR 10206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n
management
livestock
jour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5158A (en
Inventor
경노겸
송신애
Original Assignee
경노겸
송신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노겸, 송신애 filed Critical 경노겸
Priority to KR102018002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068B1/en
Publication of KR20190105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0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입력받은 이미지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모듈; 상기 축사일지 이미지 및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및 상기 데이터 추출 모듈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하며, 기간별 축사 관리 일정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하며, 기간별 축사 관리 일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수기 기록한 축사일지를 사진 촬영하는 것만으로 수기 기록에 익숙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축사일지를 전산화하고 꾸준히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며, 농가 경영에 필요한 많은 스케줄과 이벤트 등을 축사 관리 일정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a livestock journal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n input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livestock journal image from a user device; A data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digital data from the input image; A database modul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barn journal image and digital data; And a navigation module that generates and manages a barn management schedule using the digital data extracted by the data extraction module and provides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period to the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n journal image taken from the user device is input to extract digital data, create and manage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and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period to the user By simply taking pictures of handwritten livestock journals, users who are familiar with handwritten records can conveniently computerize livestock journals and accumulate data continuously.Manage many schedules and events necessary for farmhouse management as livestock management schedules. This can be easily verified through the user device, improving productivity.

Description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Livestock log management system using livestock journal image {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

본 발명은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a barn journal image.

농가에서 축사를 경영하기 위해서는, 가축의 건강상태는 물론, 소비되는 물품 등을 관리해야 할 뿐 아니라, 가축의 구입부터 출하까지 교배와 분만, 육성 등의 다양한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가축을 이동시키고 분리하여 관리하는 등 수많은 이벤트가 발생하게 된다.
In order to manage livestock farms, farming houses must not only manage the health of the livestock, but also consume goods, and also require various processes such as breeding, delivery, and rearing from the purchase and shipment of livestock. Many events occur, such as management, separation, and management.

이와 같이 관리가 필요한 관리 항목 및 이벤트가 매우 많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농가의 축사 경영 관리는 열악한 실정이다. 한돈협회에서는 생산성관리 권장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를 실제로 활용하는 양돈 농가는 10% 미만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체계적이지 못한 축사 경영으로 인하여 건강 관리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 발생 시 초기 대처가 어렵고 잦은 전염성 바이러스가 발발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Despite the many management items and events that need to be managed like this, existing farm house management is poor. The Handon Association provides productivity management recommendation software, but less than 10% of pig farmers actually use it, and due to unstructured livestock farming, health management is not smooth. Frequent infectious viruses are the cause of outbreaks.

IT 기술의 빠른 성장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IT 기술을 축산업에 적용시키고자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한돈협회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나 공개특허 제10-2015-0134616호(발명의 명칭: 축사 경영 관리 시스템, 공개일자: 2015년 12월 02일) 등 축사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된 바 있다.
With the rapid growth of IT technolog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apply IT technology to the livestock industry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 software developed by the Handon Association or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5-0134616 , Date of publication: December 02, 2015).

그러나, 수기로 기록하는 것이 익숙한 농가에서는 수기 기록을 타이핑하여 전산 시스템에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이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기존에 누적된 데이터를 전산화하는 데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각 농가마다 축적된 노하우에 따른 방식으로 수기 기록을 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일률적인 구성으로 제공되고 기록이 복잡한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불편하게 생각하고 꺼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 farmhouse that is used to record by hand does not use it because of the hassle of typing a handwritten record into a computer syste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computerize existing accumulated data.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tendency to prefer handwriting recording in a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ed know-how for each farmhou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uncomfortable and reluctant to use the software provided in a uniform configuration and the recording is complicated.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하며, 기간별 축사 관리 일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수기 기록한 축사일지를 사진 촬영하는 것만으로 수기 기록에 익숙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축사일지를 전산화하고 꾸준히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며, 농가 경영에 필요한 많은 스케줄과 이벤트 등을 축사 관리 일정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extracting digital data by receiving the barn journal image photographed from the user device, generating and managing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period Providing the user with the document, the user can easily computerize the livestock logbook and accumulate the data steadily simply by taking a photo of the recorded livestock logbook, and keep a lot of schedules and events necessary for farmhouse managem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a barn journal image, which can be easily managed through a user device and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a user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은,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으로서,As a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barn journal image from a user device;

상기 입력받은 이미지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모듈;A data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digital data from the input image;

상기 축사일지 이미지 및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및A database modul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barn journal image and digital data; And

상기 데이터 추출 모듈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하며, 기간별 축사 관리 일정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navigation module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 livestock house management schedule by using the digital data extracted by the data extraction module and providing the livestock house management schedule to the user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모듈은,Preferably, the input module,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관리 대상 농가에 대한 맞춤 축사일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user's device may receive input of customized barn journal information on the farm to be mana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추출 모듈은,Preferably, the data extraction module,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축사일지 이미지에 포함된 수기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By using a machine learning based algorithm, handwritten data included in the barn journal image may be extracted as digital data.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데이터 추출 모듈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검증하는 데이터 검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ata verif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nd verify digital data extracted by the data extraction module to the user device.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입력 모듈은, 각 축사별로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으며,The input module receives the barn journal image for each barn,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은, 각 축사별로 상기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The navigation module may generate and manage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barn.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축사일지 이미지로 건강검사기록 이미지를 입력받으며,The input module receives a health test record image as the barn journal image,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은, 상기 건강검사기록 이미지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건강관리 활동을 제안할 수 있다.
The navigation module may analyze the digital data extracted from the health examination record image and propose health care activiti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은,Preferably, the navigation module,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자동으로 연동하여 상기 축사 관리 일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house management schedule may be automatically updated by interworking with the house managemen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별로 농가경영지표 분석 리포트를 작성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리포트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report providing module configured to analyze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generate a farm management indicator analysis report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and provide the report to the user device.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하며, 기간별 축사 관리 일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수기 기록한 축사일지를 사진 촬영하는 것만으로 수기 기록에 익숙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축사일지를 전산화하고 꾸준히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며, 농가 경영에 필요한 많은 스케줄과 이벤트 등을 축사 관리 일정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n journal image taken from the user device is input to extract digital data, generate and manage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and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period to the user By simply taking pictures of handwritten livestock journals, users who are familiar with handwritten records can conveniently computerize their livestock journals and accumulate data continuously.Manage many schedules and events necessary for farmhouse management as a livestock management schedule. This can be easily verified through the user device, improving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에서,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축사 관리 일정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에서, 농가경영지표 분석 리포트가 출력된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including a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a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a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user device inputs a barn journal image in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rn management schedule screen provided to the barn management application in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farm management index analysis report is output in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of an element means that the elem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no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은,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된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고, 축사일지 이미지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14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해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함으로써, 축사 관리 일정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수기로 작성된 방대한 정보를 디지털화 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140)을 통해 쉽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원할 때에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으며, 축사 관리 일정을 제공받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including a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a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barn journal image from a user device 200 in which the barn management application 210 is installed. The digital data may be extracted from the barn journal image and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module 140.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barn management schedule by accessing the barn log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management application 210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200. Therefore, the vast amount of information written by hand can be digitized and easily stored and managed through the database module 140, can be checked at any time when desired, and provided with a barn management schedule to increase productivity.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및 PC(Personal Computer)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전술한 디바이스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user device 200 may be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a network. Here, the user device 200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and a personal computer. However, the user device 200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device described above, and may be included in the user device 200 regardless of its specific type as long as i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a network. .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may be a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에는,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다.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은, 통신망 등에서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관리하는 설치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치된 실행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되어 축사 관리 일정을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카메라와 연동하여, 축사일지 이미지를 촬영하여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에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캘린더, 일정 관리, 할 일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여,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축사 관리 일정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user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n management application 210 may be installed and driven. The livestock house management application 210 may be an execution program installed by an installation program managed by an application server operat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like, and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200 to provide a livestock house management schedule.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amera of the user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for taking a barn journal image and input it to the barn lo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provided by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may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conjunction with a calendar, schedule management, and to-do management application of the user device 200.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operations implemented by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s. For example,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_ROMs, DVDs, and floptical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Such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it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은, 입력 모듈(110), 데이터 추출 모듈(120), 데이터베이스 모듈(140) 및 내비게이션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검증 모듈(130) 및 리포트 제공 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module 110, a data extraction module 120, a database module 140, and a navigation system.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dule 150, and may further comprise a data verification module 130 and a report providing module 150.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을 실행하고, 카메라를 연동하여 수기로 기록한 축사일지를 이미지로 촬영하여 입력 모듈(11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축사일지 이미지는, 농가경영 종합일지, 축사일지, 및 건강검사기록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모듈(110)은, 각 축사별로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input module 110 may receive a barn journal image from the user device 200. That is, the user may execute the barn management application 210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200, take a picture of the barn log recorded by hand in conjunction with the camera, and input the image through the input module 110. Here, the barn journal image may include a farm management comprehensive log, a barn log, and a health examination record image, and the input module 110 may receive a barn journal image for each bar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의 입력 모듈(110)은,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촬영된 축사일지 이미지를 개별 축사별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돈 경영의 경우, 후보돈 구입 후 출하되기까지, 후보돈사, 종부사, 임신사, 분만사, 자돈사, 육성사, 비육사 등의 여러 축사로 모돈, 웅돈 및 자돈이 이동하게 되며, 각 축사에 대하여 사료관리, 질병관리, 온도관리, 체중관리, 도태관리 등 각종 사양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각 축사의 특징에 따라 관리 목적 및 관리 방법도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축사별로 축사일지를 작성하고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아 각각의 축사에 대한 데이터 관리 및 일정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the user device 200 inputs a barn journal image in the barn log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log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input module 110 of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barn journal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barn management application 210. Can be input by individual barn. For example, in the case of pig management, sows, cows, and piglets are moved to various stalls, such as candidate pigs, breeders, pregnant women, laborers, piglets, breeders, and feeders, until they are shipped after the purchase of the candidate pigs. For each barn, it is necessary to manage various specifications such as feed management, disease management, temperature management, weight management, and culling. In addition, since management purposes and management methods a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ar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barn diary for each barn and receive a barn diary image to enable data management and schedule management for each barn.

한편,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관리 대상 농가에 대한 맞춤 축사일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맞춤 축사일지 정보는, 축사 종류와 개수, 가로/세로 설정, 작성 내역 등 축사일지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제작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입력 모듈(110)이 입력받은 맞춤 축사일지 정보를 이용하여, 각 농가의 특성이나 사용자의 기록 습관에 맞는 맞춤 축사일지를 제작하고 해당 관리 대상 농가에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수기 방식을 고려한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맞춤 축사일지는, 매월 정기적으로 배송하는 등으로, 주기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기록을 독려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put module 110, the user device 200 may receive the customized barn journal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target farmhouse. The customized barn diary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producing the barn diary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such as the type and number of the barn, the horizontal / vertical setting, and the creation details. That is, the input module 110 uses the input custom barn log information, to create a custom barn log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rmhouse or the user's recording habits, and to provide to the management target farm, a convenient considering the existing handwriting method Service can be provided. Such customized barn journals may be periodically provided, such as monthly, to encourage the user's record.

데이터 추출 모듈(120)은, 입력받은 이미지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 모듈(120)은,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축사일지 이미지에 포함된 수기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축사일지 이미지가 많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을 꾸준히 사용하면,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의 정확도도 향상될 수 있다.
The data extraction module 120 may extract digital data from the input image. The data extraction module 120 may extract handwritten data included in the barn journal image as digital data using a machine learning based algorithm. Therefore, there are many barn journal images, and if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eadily used, the accuracy of the extracted digital data may be improved.

데이터 검증 모듈(130)은, 데이터 추출 모듈(120)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전송하여 검증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추출 모듈(120)에서, 축사일지 이미지를 인덱싱하고, 데이터 1차 추출을 한 다음, 데이터 검증 모듈(130)을 통해 2차 추출/입력을 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데이터베이스 모듈(140)에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누적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에는, 데이터 검증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검수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학습데이터가 적은 농가에서도 디지털 데이터 추출의 정확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다.
The data verification module 130 may transmit the digital data extracted by the data extraction module 120 to the user device 200 to verify the data. That is, in the data extraction module 120, indexing the barn journal image, performing data primary extraction, and performing secondary extraction / input through the data verification module 130, the database module 14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Can store the extracted digital data. In particular, when the accumulated data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user directly inspects the data through the data verification module 130, so that the accuracy of digital data extraction can be quickly increased even in a farm with less learning data.

데이터베이스 모듈(140)은, 축사일지 이미지 및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축사관리와 관련된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체계적인 축사 및 농가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영 상태 등을 진단할 수도 있다.
The database module 140 may store and manage barn journal images and digital data. By accumulating vast amounts of data related to livestock farming,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livestock farms and farmhouses, and use the accumulated data to diagnose management status.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데이터 추출 모듈(120)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하며, 기간별 축사 관리 일정을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일별, 주별, 월별 축사 관리 일정을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해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generate and manage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using the digital data extracted by the data extraction module 120 and provide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period to the user device 200. That is, the daily, weekly, and monthly livestock management schedul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device 200 so that the user may check the livestock management application 210.

특히,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과 자동으로 연동하여 축사 관리 일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에 기간별 축사 관리 일정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최신의 이벤트나 스케줄 등을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여, 축사 관리 일정을 캘린더에 추가하는 등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automatically link with the livestock management application 210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200 to update the livestock management schedule. That is,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update the livestock house management schedule in real time in the livestock house management application 210 in real time so that the latest events or schedules and the like can be easily confirmed.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200, the house management schedule may be updated by adding the calendar to the calendar.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에서,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에 제공되는 축사 관리 일정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을 실행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 축사 관리 일정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각 축사별로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축사 관리 일정 뿐 아니라 축사일지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축사별 정보를 제공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 축사별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for example, a barn management schedule screen provided to the barn management application 210 in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rn management application 210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200 is executed, as shown in FIG. 4, weekly barn management The schedule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generate and manage a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barn, and provide not only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but also barn information included in digital data extracted from the barn log, as illustrated in FIG. 4.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each barn.

한편,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별 또는 주별 축사 관리 일정을 상세하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예정된 이벤트의 내용을 통합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축사 종류 또는 축사 관리 일정의 종류 등에 따라 색상이나 표시 형태 등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provide a monthly or weekly barn management schedule in detail so that the user may integrate and confirm the contents of the scheduled event. In addition,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varying the color, the display form,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type of house, the type of house management schedule, and the like.

실시예에 따라서는,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축사 관리 일정을 해당 관리 대상 농가에 대하여 설정된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경영진 뿐 아니라, 실무진 또는 노동자들에게도 축사 관리 일정이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구두로만 전달하는 것에 비하여 농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transmit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to the plurality of user devices 200 set for the corresponding farm to be managed. That is, not only the management team but also the staff or workers can be delivered to the management schedule through the user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arm productivity compared to oral delivery only.

한편, 내비게이션 모듈(150)이 제공하는 축사 관리 일정에 따라서 업무 수행이 필요한 경우에는, 농장주 또는 실무자들이 완료, 성공, 실패 등 해당 일정의 수행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입력받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축사 관리 일정의 생성, 업무 처리, 수행 결과 등을 내비게이션 모듈(150)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축사 관리 일정의 수행 결과를 다음 축사 관리 일정의 생성 시에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ork need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provided by the navigation module 150, the farmer or practitioners may receive and manage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schedule such as completion, success, and failure from the user device 200. . Therefore,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manage the house management schedule generation, business processing, performance results, and the like integrally. In addition,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use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house management schedule when generating the next house management schedu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진촬영을 통해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해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하고,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해 직접 입력된 수행 결과 등의 일정 관련 데이터를 함께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수기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식과 스마트 기기 등을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e management schedule is generated by using digital data stored through photographing, and the schedule related data such as performance results directly input using the user device 200 are integrated and managed together, thereby using handwriting. User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by combining existing methods with new methods that utilize smart devices.

또한,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데이터베이스 모듈(14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필요한 경영 활동을 제안할 수 있으며, 건강검사기록 이미지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건강관리 활동을 제안할 수 있다. 즉,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축사일지 이미지에 직접적으로 포함된 이벤트 또는 일정 이외에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영 활동을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축사 관리 일정으로 추가할 수 있다. 특히, 내비게이션 모듈(150)이, 질병검사기록을 비롯한 각종 건강검사기록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필요한 경우 건강관리 활동을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안함으로써, 지속적인 건강케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comprehensively analyze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40 and propose necessary management activities.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analyze the digital data extracted from the health examination record image and propose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can do. That is, the navigation module 150 provides the management device, which is determined to be necessary through data analysis, to the user device 200 in addition to the event or schedule directly included in the barn journal image, and the barn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it is necessary. Can be added as a management schedule. In particular, the navigation module 150 may provide health care activities to the user device 200 when necessary through analysis of various health examination record images, including disease test records, thereby enabling continuous health care.

리포트 제공 모듈(150)은, 데이터베이스 모듈(14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별로 농가경영지표 분석 리포트를 작성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리포트 제공 모듈(15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분석 요청을 입력받으면, 농가경영지표 분석 리포트를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별도 요청 없이도 일정한 주기로 농가경영지표 분석 리포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리포트 제공 모듈(150)은, 사용자가 분석을 원하는 수치에 대하여 일별, 월별, 분기별 등으로 분석을 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건강검사기록 이미지 등을 활용하여 수의사의 종합의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report providing module 150 may analyze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40, generate a farm management index analysis report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and provide the report to the user device 200. When the report providing module 150 receives an analysis request from the user device 200, the report providing module 150 may prepare and provide a farm management indicator analysis report. The report providing module 150 may also provide a farm management indicator analysis report at regular intervals without a user's request. . In addition, the report providing module 150 may analyze the numerical value that the user wants to analyze daily, monthly, quarterly, and the lik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terinarian's comprehensive opinion may be utilized by using an image of a health examination record. Or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에서, 농가경영지표 분석 리포트가 출력된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의 리포트 제공 모듈(150)은, 에너지 사용량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밖에 모돈 회전율, 모돈두당 연간이유두수(PSY), 이유자돈두수, MSY, WSY, 당월 교배두수, 당월 분만두수, 당월 이유두수, 당월 도태/패사두수 등 각종 수치를 분석하여 리포트로 제공할 수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farm management index analysis report is output in the barn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arn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report providing module 150 of the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livestock jour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user with a graph of energy consump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provide various reports such as sow turnover rate, annual soybean head per soybean (PSY), weaning pig head, MSY, WSY, current mating head, current month's delivery head, current month's wean head, and current month's culling / passing head.

이와 같이 축사일지 이미지에서 추출한 디지털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종 분석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확도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 리포트를 활용하여 농가 경영에 참고할 수 있다.
Since various analysis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digital data extracted from the barn journal image,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high quality of service, and the analysis report can be used for farm management.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
110: 입력 모듈
120: 데이터 추출 모듈
130: 데이터 검증 모듈
140: 데이터베이스 모듈
150: 내비게이션 모듈
160: 리포트 제공 모듈
200: 사용자 디바이스
210: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
100: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input module
120: data extraction module
130: data verification module
140: database module
150: navigation module
160: report providing module
200: user device
210: house management application

Claims (8)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110);
상기 입력받은 이미지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모듈(120);
상기 축사일지 이미지 및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140); 및
상기 데이터 추출 모듈(120)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하며, 기간별 축사 관리 일정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150)을 포함하되,
각 축사의 특징에 따라 관리 목적 및 관리 방법이 상이하므로, 각 축사에 대하여 사료관리, 질병관리, 온도 관리, 체중관리 및 도태관리를 포함하는 사양관리를 위하여, 각 축사별로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아 각각의 축사에 대한 데이터 관리 및 일정 관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입력 모듈(110)은, 각 축사별로 축사일지 이미지를 입력받으며,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각 축사별로 상기 축사 관리 일정을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기간별 축사 관리 일정 및 상기 축사일지 이미지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축사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 축사별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되, 축사 종류에 따라 색상이나 표시 형태를 상이하게 하며,
상기 입력 모듈(110)은, 상기 축사일지 이미지로 건강검사기록 이미지를 입력받으며,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상기 건강검사기록 이미지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건강관리 활동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안하여, 지속적인 건강케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카메라와 연동해, 수기로 기록한 축사일지를 이미지로 촬영하여 상기 입력 모듈(110)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고,
수기 기록한 축사일지를 사진 촬영하는 것만으로 수기 기록에 익숙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축사일지를 전산화하고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관리 대상 농가에 대한 맞춤 축사일지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맞춤 축사일지 정보는, 축사일지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제작하기 위한 정보로서, 기존의 수기 방식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기록 습관에 맞는 맞춤 축사일지를 제작하여 제공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데이터 추출 모듈(120)은,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축사일지 이미지에 포함된 수기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 모듈(120)에서 추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전송하여 검증하는 데이터 검증 모듈(130)을 더 포함하여,
누적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검증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검수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며,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상기 축사 관리 일정을 해당 관리 대상 농가에 대하여 설정된 농장주 및 실무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고, 상기 농장주 또는 실무자들의 완료, 성공 및 실패를 포함하는 일정의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통해 입력받아 관리하여, 상기 축사 관리 일정의 생성, 업무 처리 및 수행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축사 관리 일정의 수행 결과를 다음 축사 관리 일정의 생성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
As a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An input module 110 for receiving a barn journal image from the user device 200;
A data extraction module 120 for extracting digital data from the input image;
A database module 140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barn journal image and digital data; And
The navigation module 150 generates and manages a barn management schedule by using the digital data extracted by the data extraction module 120 and provides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period to the user device 200.
Since the management purpose and management method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arn, for the management of specifications including feed management, disease management, temperature management, weight management and culling management, the barn journal image is input for each barn. To enable data management and schedule management for each house,
The input module 110 receives a barn journal image for each barn,
The navigation module 150 generates and manages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barn, and transmits the barn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200 to the barn management schedule for each period and the bar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gital data extracted from the barn journal image. Providing a us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each barn, but different colors and display forms according to the type of barn,
The input module 110 receives the health test record image as the barn journal image,
The navigation module 150 analyzes the digital data extracted from the health examination record image and proposes a health care activity to the user device 200 to enable continuous health care.
The barn management application 210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200 may be linked with a camera of the user device 200 to take a handwritten recording barn image as an image and receive it through the input module 110.
By taking pictures of handwritten livestock journals, users familiar with handwritten records can conveniently computerize livestock journals and accumulate data.
The input module 110 receives the customized barn diary information on the farm to be managed from the user device 200,
The custom barn diary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producing a barn diary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and is information for making and providing a custom barn diary suitable for a user's recording habit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handwriting method.
The data extraction module 120,
By using a machine learning based algorithm, handwritten data included in the barn journal image is extracted as digital data,
Further comprising a data verification module 130 for transmitting and verifying the digital data extracted from the data extraction module 120 to the user device 200,
If the accumulated data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user directly inspects the data through the data verification module 130.
The navigation module 150,
The livestock management schedule is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user devices 200 including farmers and practitioners set for the corresponding farms to be managed, and the user device outputs a result of the schedule including completion, success and failure of the farmers or practitioners. It receives and manages the input through the 200,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eneration, business process and performance of the livestock management schedule, characterized in that to use the performance of the livestock management schedule to generate the next livestock management schedule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livestock journal i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50)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210)과 자동으로 연동하여 상기 축사 관리 일정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avigation module 150,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using a livestock journ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automatically updating the livestock management schedule by interlocking with the livestock management application (210)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14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별로 농가경영지표 분석 리포트를 작성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는 리포트 제공 모듈(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livestock bar further comprises a report providing module 150 for analyzing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40 to create a farm management indicator analysis report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and provide it to the user device 200. Livestock journal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journal image.
KR1020180020090A 2018-02-20 2018-02-20 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 KR1020670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090A KR102067068B1 (en) 2018-02-20 2018-02-20 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090A KR102067068B1 (en) 2018-02-20 2018-02-20 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158A KR20190105158A (en) 2019-09-16
KR102067068B1 true KR102067068B1 (en) 2020-01-16

Family

ID=6806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090A KR102067068B1 (en) 2018-02-20 2018-02-20 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0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196B1 (en) * 2022-11-28 2023-08-11 유성호 Nursing Care Diary Automatic Gener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683B1 (en) * 2014-10-01 2016-12-20 주식회사 나래뷰커뮤니케이션 Mobile dairy device
KR101753221B1 (en) 2016-10-26 2017-07-20 대한민국 Apparatus of integrated multi-tropgic aquaculture management system in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683B1 (en) * 2014-10-01 2016-12-20 주식회사 나래뷰커뮤니케이션 Mobile dairy device
KR101753221B1 (en) 2016-10-26 2017-07-20 대한민국 Apparatus of integrated multi-tropgic aquaculture management system in mobile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손봉기. 수기정보 전자화 기술 기반의 농축산물 생산이력정보 수집 시스템.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년, 제12권, 제10호, pp.4632-4641 (201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158A (en)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088B1 (en) Method of providing pet care service with big data
Chibanda et al. The typical farm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by the Agri Benchmark network
Smith et al. Internet of animal health things (IoAH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S20130275316A1 (en) Livestock cer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EP1483694A2 (en) Method and system for agricultural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KR100411655B1 (en) a system for managing livestock breeding farm using internet and method thereof
Mills et al. Dairy farmer advising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Makinde et al. Investigating perceptions, adoption, and use of digital technologies in the Canadian beef industry
Muellner et al. Evidence in practice–a pilot study leveraging companion animal and equine health data from primary care veterinary clinics in New Zealand
Debortoli et al. Meat sheep farming systems according to economic and productive indicators: A case study in Southern Brazil
KR102067068B1 (en) 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
Chamberlain Understanding the economics of dairy farming Part 1: Income, costs and profit
Kraft et al. Can livestock farming benefit from industry 4.0 technology? Evidence from recent study
Moss et al. Improving methods for estimating livestock production and productivity
US20230178195A1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Managing Digital Animal Records
Marshall et al. A survey of dairy cattle farmers' management practices for cull cows in Ontario, Canada
JP2002157340A (en) Animal medical care support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170094948A1 (en) Comprehensive System of Herd Management with Automated Data Management
Jumper et al. Survey of US cow-calf producer access to and use of technology for cattle health and production record-keeping purposes
Martinez et al. Assessment of animal welfare in fattening pig farms certified in good livestock practices
Lovatt Safeguarding the role of the vet in sheep farming
Huxley Cattle practice: ready to adapt to a changing world?
Feketéné Ferenczi et al. Economic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a Beekeeping Farm in Hungary
KR20210049630A (en) System for managing breeding of cow with activity graph and breeding information
Klasky et al. Milking Welfare: Bovis Sacer and the Inclusive Thanatopolitics of the Dairy F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