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929B1 -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929B1
KR102064929B1 KR1020130120312A KR20130120312A KR102064929B1 KR 102064929 B1 KR102064929 B1 KR 102064929B1 KR 1020130120312 A KR1020130120312 A KR 1020130120312A KR 20130120312 A KR20130120312 A KR 20130120312A KR 102064929 B1 KR102064929 B1 KR 10206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proximity function
item
outpu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318A (ko
Inventor
강혁
김기범
최현철
김형석
임태훈
홍덕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929B1/ko
Priority to US14/511,666 priority patent/US10078848B2/en
Publication of KR2015004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응답하는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 및 원거리 통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아이템을 출력하는 표시 모듈, 상기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의 스캐닝 동작을 제어하고 수집된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근접 기능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Operating Method For Nearb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개시는 전자 장치와 주변 장치 간 기능 운용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중 일부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가지며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게 제작 및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최근 들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지원에 힘입어 극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종래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컨텐츠 선택, 통신 방식 선택,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른 장치 검색, 검색된 리스트에서 특정 장치 확인 및 선택, 연결 요청, 요청 확인 수신, 통신 채널 형성 및 컨텐츠 전송 등의 과정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종래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연결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복잡한 단계를 사용자에게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전자 장치 사용자는 무선 통신 연결 기능 이용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보다 단순화된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저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의 근접 기능 운용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개시는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응답하는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 및 원거리 통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아이템을 출력하는 표시 모듈, 상기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의 스캐닝 동작을 제어하고 수집된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는 또한,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스캐닝 동작에 응답하는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동작, 상기 수집된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 및 원거리 통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아이템을 출력하는 출력 동작을 포함하는 근접 기능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따르면, 본 개시는 보다 단순화된 방식으로 근접 기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은 저전력 운용을 기반으로 하여 전력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 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근접 기능 운용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장치별 근접 기능 아이템 출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앱별 근접 기능 아이템 출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아이템 출력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장치별 근접 기능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스마트 가전(smart white appliance)(예: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전자 액자 등),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 예를 들면,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기기, 전자 의복,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HMD(head??mounted display),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앨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또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의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근접 기능 운용 시스템 설명을 위하여 2개의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근접 기능 운용 시스템은 보다 많은 수의 장치들이 일정 범위 내에 배치되는 상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특정 장치가 송신측 장치로서 다른 수신측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측 장치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근접 기능 운용 시스템(10)은 송신측 장치(101) 및 수신측 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측 장치(101)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102)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측 장치(101)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수신측 장치(102)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송신측 장치(101)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공유 또는 전송 요청한 컨텐츠의 전송 또는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송신측 장치(101)는 수신측 장치(102)의 검색과 제어를 위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전송을 위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과 다른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측 장치(101)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의 운용 시점을 다양화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측 장치(101)는 근접 기능 운용 설정 시 일정 시점에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하여 주변 수신측 장치(102)를 검색하고, 근접 기능 이용을 위하여 근접 장치 아이템을 표시 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송신측 장치(101)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102)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사전에 백색 리스트(White List)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신측 장치(102)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백색 리스트는 수신측 장치(102)의 특성이나 종류, 이름 중 적어도 일부 등을 기반으로 특정한 수신측 장치들만을 검색할 수 있도록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백색 리스트는 휴대용 스마트폰 장치와 같이 특정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백색 리스트는 송신측 장치(101)가 정하는 특정 프로토콜 또는 송신측 장치(101)가 운용 가능한 통신 모듈들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수신측 장치들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백색 리스트는 특정 서비스 타입의 정보를 제공하는 수신측 장치들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백색 리스트는 특정 SNS 계정을 가지는 수신측 장치들 또는 폰북에 등재된 수신측 장치들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측 장치(101)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 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장치 검색 예컨대 스캐닝(Scan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송신측 장치(101)는 상술한 백색 리스트를 이용하여 허용하지 않은 수신측 장치가 보내는 연결 요청을 무시할 수 있다. 백색 리스트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 지정될 수 있다. 또는 백색 리스트는 이전 검색 이력을 기반으로 특정 장치들을 제외하거나 특정 장치들만을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송신측 장치(101)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운용함에 있어서 스캐닝의 범위를 일정한 RSSI 범위 내로 한정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송신측 장치(101)는 일정 거리 이상의 장치를 검색하지 않도록 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이상에 배치된 수신측 장치에 대한 검색을 배제할 수 있다.
수신측 장치(102)는 본 개시의 근접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송신측 장치(101)로부터 스캐닝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광고(Advertising)를 송출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송신측 장치(101)와의 거리 정보 현재 수신측 장치(102)의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수신측 장치(102)는 BLE 통신 방식 모듈의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며, 광고 정보 전송을 위해 Connectable Undirected Advertising 패킷을 이용할 수 있다. 수신측 장치(102)는 해당 장치가 슬립(Sleep) 상태로 진입하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제한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일정 인터벌(Interval)로 송신측 장치(101)의 스캐닝 신호에 광고 응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정 인터벌은 수신측 장치(102)가 슬립 상태인 경우에는 길게 이동 중인 상태에서는 짧게 변경되어 운용될 수 있다. 수신측 장치(102)는 이동 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수신측 장치(102)의 광고 범위는 송신측 장치(101)의 스캐닝 범위보다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수신측 장치(102)는 광고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송신측 장치(101)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의 수신측 장치만이 송신측 장치(101)의 스캐닝 신호에 광고 응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신측 장치(102)가 운용하는 광고 정보의 경우 패킷의 정보량이 예컨대 일정 바이트(Byte) 수로 한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측 장치(101)는 수신측 장치에 추가 정보를 요구할 수 있으며, 수신측 장치(102)는 그에 대응하여 추가 정보를 광고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되는 추가 정보의 처리는 송신측 장치(101) 및 수신측 장치(102) 간에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의 링크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접 기능 운용 시스템(10)에서는 각 장치들의 제어 모듈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제어 모듈의 깨우기 이벤트 발생을 억제하고, 그에 따른 전력 소모 개선을 이룰 수 있다. 추가 정보의 송수신은 송신측 장치(101)가 근접 장치 아이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수신측 장치(102)가 지원 가능한 기능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근접 기능 운용 시스템(10)은 송신측 장치(101)가 수신측 장치(102)의 원격 제어나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하여 스캐닝을 수행하되, 일정 RSSI 범위 내의 수신측 장치(102)들을 검색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송신측 장치(101)에 설정된 백색 리스트 및 동일 프로토콜 운용 요건에 따라 특정 수신측 장치(102)만이 송신측 장치(101)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수신측 장치(102)는 송신측 장치(101)의 연결 요청이 발생하면 그에 대응하여 허용 여부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송신측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수신측 장치가 검색되면 송신측 장치(101)는 복수의 수신측 장치에 원격 제어 신호나 컨텐츠를 순차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송신측 장치(101)는 BLE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각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송신측 장치(101)는 제어용 통신 채널 또는 컨텐츠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그에 따른 알림바(Notification bar), 퀵패널(Quickpannel) 알림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송신측 장치(101)는 연결해제, 취소, 거절, 필터링 등의 항목을 해당 화면 인터페이스에 포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적용될 수 있는 근접 기능 운용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와 수신측 장치로 구분될 수 있으나, 장치 구현에 있어서는 송신측 장치가 필요에 따라 수신측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반대로 수신측 장치가 송신측 장치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송신측 장치 또는 수신측 장치를 모두 지원 가능한 형태로서 장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송신측 장치 또는 수신측 장치를 전자 장치로서 명명하며 공통 도면 번호로서 100을 할당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설명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전자 장치의 송신측 기능 및 수신측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원거리 통신 모듈(110), 근거리 통신 모듈(112),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 입력 모듈(120), 오디오 처리 모듈(130), 표시 모듈(140), 저장 모듈(150) 및 제어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자 장치(100)는 송신측 장치로서 동작할 경우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수신측 장치와 제어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원거리 통신 모듈(110)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신측 장치와 제어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수신측 장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측 장치로서 동작할 경우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통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송신측 장치의 스캐닝 신호에 응답하여 광고 정보를 송신측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송신측 장치의 제어 통신 채널 형성 요청을 수신하면 이의 허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송신측 전자 장치(100)와 제어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송신측 장치가 전송하는 신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송신측 장치가 전송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 형성 이전 동작을 처리할 수 있어, 전력 소모에 대해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백색 리스트 운용, 동일 프로토콜 적용, 일정 RSSI 범위 적용 등에 따라 근접 또는 최인접 장치들 간의 검색 및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원거리 통신 모듈(110)은 전자 장치(100)의 원거리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모듈(110)은 네트웍 서버 접속을 기반으로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모듈(110)은 이동통신 모듈,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거리 통신 모듈(110)은 GSM/GPRS 통신 모듈, CDMA, WCDMA, FDMA 등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모듈(110)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에 의하여 검색된 수신측 장치와 특정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모듈(110)이 형성하는 통신 채널은 전자 장치(100)의 제어 통신 채널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전자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UWB, LTE 다이렉트 통신 모듈,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모듈 등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수신측 장치(102)와 컨텐츠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또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는 서로 호환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송신측 장치로 동작하는 동안 수신측 장치 검색(Scanning)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수신측 장치 제어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거나 또는 사전 정의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수신측 장치 검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슬립 상태에서 깨우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자동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락스크린이 표시 모듈(140)에 출력되도록 요청되는 경우 자동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대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요청되는 경우 자동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의 스캐닝 동작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조절되거나 스캐닝 동작이 필요한 앱 아이콘 출력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상술한 다양한 스캐닝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의 스캐닝 동작에 의하여 수신측 장치(102)의 광고 정보가 수집되면, 해당 광고 정보는 제어 모듈(160)에 제공될 수 있다. 스캐닝 동작 이후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제어 통신 채널 형성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측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제어 통신 채널이 형성되었거나 사용자 요청에 따라 근접 기능 취소가 요청되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수신측 장치로서 동작하는 동안에는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활성화 상태 또는 깨우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수신측 장치의 광고(Advertising) 정보 송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제어 모듈(160)이 슬립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도 일정 주기로 깨우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일정 주기의 인터벌은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여부, 시간,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송신측 장치의 스캐닝 동작에 대응하여 광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 광고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거나 저장 모듈(150)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제어 모듈(160)을 깨우기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저장 모듈(150)을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광고 정보를 송신측 장치에 전송한 후, 송신측 장치로부터 제어 통신 채널 형성을 요청받는 경우, 이를 제어 모듈(160)에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 모듈(160)을 깨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 홈 키, 사이드 키 등의 물리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0)은 터치 패드, 터치 패널, 터치 시트 등의 터치 타입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타입 입력 장치는 손 터치뿐만 아니라 전자펜이나 일반 펜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0)은 표시 모듈(140)이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 모듈(140)의 구성을 입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0)은 근접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모듈(120)은 근접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 특정 컨텐츠 또는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 해당 컨텐츠 및 앱 운용 시 근접 기능 아이템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수집된 수신측 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 통신 연결된 수신측 장치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0)은 송신측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모듈(130)은 전자 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및 수집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 모듈(130)은 저장 모듈(150)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 또는 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모듈(130)은 전자 장치(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오디오 신호 수집을 요구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근접 기능 지원 과정에서 오디오 처리 모듈(130)은 근접 기능 운용 설정을 안내하는 안내음, 특정 컨텐츠나 앱 활성화 요청 시 근접 기능 운용이 가능한 경우 이를 안내하는 안내음, 스캐닝 동작 수행 과정에서 수신측 장치들 검색을 안내하는 안내음, 선택된 수신측 장치로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특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모듈(130)은 근접 기능 운용 과정에서 송신측 장치로부터 스캐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광고 응답을 출력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모듈(130)은 송신측 장치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통신 연결 허용 확인을 위한 팝업창 출력에 따른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오디오 처리 모듈(130)의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은 사용자 제어 또는 설계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 모듈(140)은 전자 장치(100) 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모듈(140)은 슬립 상태에서 깨우기 상태로 진입한 경우 표시되는 락스크린 화면 또는 대기 화면, 특정 앱 운용에 따른 앱 운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모듈(140)은 특정 화면 출력에서 근접 기능 운용이 설정된 경우 설정 상태를 안내하는 정보를 상태바 영역 또는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안내 정보는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태바 영역에 표시되는 상태 안내 정보는 설정된 지시자(Indicator)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화면 일측에 출력되는 상태 안내 정보는 아이콘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 모듈(140)을 통하여 출력되는 근접 기능 운용 관련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화면 예시도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표시 모듈(140)은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모듈(140)은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시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및 특정 앱 운용에 따라 생성된 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150)은 근접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근접 기능 프로그램(151) 및 컨텐츠(15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153)는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는 갤러리에 포함된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는 메시지나 이메일, 특정 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파일은 녹음 파일, 음악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153)는 전자 장치(100)가 방송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 녹화된 방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153)는 폰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기능 프로그램(151)은 근접 기능 지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기능 프로그램(151)은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설정을 위한 루틴, 근접 기능 송신측 장치 운용 루틴, 근접 기능 수신측 장치 운용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기능 송신측 장치 운용 루틴은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설정 시 일정 시점에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는 루틴, 스캐닝 동작에 대응하여 수집된 광고 정보를 분석하는 루틴,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근접 기능 아이템을 생성하는 루틴, 근접 기능 아이템을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기능 송신측 장치 운용 루틴은 근접 기능 아이템 선택 시 해당 선택에 따라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루틴, 수신측 장치의 통신 연결 허용 시 자동으로 특정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어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루틴, 형성된 제어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어 신호 또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기능 송신측 장치 운용 루틴 중 스캐닝 동작 루틴은 사전 설정된 희망하는 특정 수신측 장치들만을 스캐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송신측 백색 리스트 운용 루틴, RSSI 범위를 제한하는 루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기능 수신측 장치 운용 루틴은 일정 주기로 스캐닝 신호를 대기하는 루틴, 스캐닝 신호 수신 시 광고 정보를 응답하는 루틴, 통신 연결 요청 시 이를 알리는 루틴, 통신 연결 허용 시 이를 송신측 장치에 전송하고 송신측 장치와 제어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루틴, 송신측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른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기능 수신측 장치 운용 루틴은 스캐닝 신호 대기 시 사전 정의된 특정 송신측 장치의 스캐닝 신호만을 유효 신호로 인식할 수 있는 수신측 백색 리스트 운용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저장 모듈(150)은 적어도 하나의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앱은 근접 기능 기반의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150)에 저장된 근접 기능 기반의 앱 활성화 요청이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해당 앱 활성화와 함께 근접 기능 송신측 장치 운용 루틴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0) 운용을 위한 신호의 송수신, 데이터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 예로서 송신측 장치에서 동작하는 제어 모듈(160)은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설정 시 자동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수신측 장치로부터 광고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60)은 특정 수신측 장치 선택에 따른 입력 신호 발생 시 해당 수신측 장치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 이외의 다른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신측 장치에서 동작하는 제어 모듈(160)은 송신측 장치가 전송한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고, 요청 메시지에 따라 특정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송신측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60)은 스캐닝 동작에 대응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기반으로 광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제어 모듈(160)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 이외의 다른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제어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듈(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 모듈(160)은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 근접 장치 안내부(163), 데이터 운용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 근접 장치 안내부(163), 데이터 운용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태스크, 쓰레드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 근접 장치 안내부(163), 데이터 운용부(165)는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미들웨어나 펌웨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는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송신측 장치 동작에서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는 근접 기능 운용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스캐닝 동작, 광고 정보 수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의 스캐닝 동작 제어는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다양한 시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의 스캐닝 동작 제어는 특정 컨텐츠 선택에 따른 화면 출력 시 또는 특정 근접 기반 앱 활성화 시 수행될 수 있다. 스캐닝 동작 제어는 대기 화면 출력 시, 특정 키 버튼 선택 시, 락 스크린 출력 시 또는 해제 시 등 다양한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수신측 장치 동작에서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는 스캐닝 신호 수신 시 광고 정보를 송신측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여부, 현재 시간, 현재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해당 정보에 따라 스캐닝 신호 수신 대기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는 움직임이 없는 경우 스캐닝 신호 수신 대기 주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하고, 움직임이 있는 경우 스캐닝 신호 수신 대기 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는 특정 시간대에는 스캐닝 신호 수신 대기 주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하고 다른 특정 시간대에는 스캐닝 시놓 수신 대기 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는 특정 장소에서는 스캐닝 신호 수신 대기 주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하고 다른 특정 장소에서는 스캐닝 신호 수신 대기 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할 수 있다.
근접 장치 안내부(163)는 송신측 장치 동작에서 저전력 기반 근접 장치 운용부(161)가 광고 정보를 수집하여 전달하면, 이를 기반으로 근접 기능 아이템 생성 또는 기 생성된 근접 기능 아이템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장치 안내부(163)는 근접 기능 아이템을 표시 모듈(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근접 장치 안내부(163)는 근접 기능 아이템을 특정 아이콘 형태, 리스트 형태 또는 멀티 썸네일 형태, 팝업창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근접 장치 안내부(163)는 수신측 장치 동작에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 수신 시 이를 안내하는 메시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근접 장치 안내부(163)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통신 연결 허용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이를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 기반으로 송신측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운용부(165)는 통신 연결 요청 메시지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즉 통신 연결 요청 메시지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로 전송되지 않도록 설계된 경우 데이터 운용부(165)는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 기반으로 전송하지 않고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 이외의 통신 모듈 예컨대 송신측 장치의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측 장치의 데이터 운용부(165)는 통신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응답을 수신측 장치의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운용부(165)는 송신측 장치와 수신측 장치 간에 통신 연결이 수행되면 제어 신호 또는 특정 컨텐츠를 송신측 장치에서 수신측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운용부(165)는 송신측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른 장치 동작을 제어하거나 컨텐츠 수신에 따른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 방법 중 전자 장치의 송신측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 모듈(160)은 401 동작에서 송신측 장치의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설정 여부 확인 또는 근접 기능 운용을 위한 이벤트 발생 여부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401 동작에서 근접 기능 운용을 위한 설정 또는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제어 모듈(160)은 403 동작으로 분기하여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른 기능 또는 스케줄 정보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160)은 파일 편집 기능, 웹 접속 기능, 사진 검색 기능, 카메라 운용 기능 등 전자 장치(100)의 기능 지원 및 사용자 요청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401 동작에서 근접 기능 운용을 위한 설정이 있거나 이벤트 발생이 있으면 제어 모듈(160)은 405 동작으로 분기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 모듈(160)은 스캐닝 신호를 방송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60)은 RSSI 범위를 일정 범위로 지정한 상태에서 스캐닝 신호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로부터 광고 정보가 수집되면, 제어 모듈(160)은 407 동작에서 일정 조건에 따른 수신측 장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60)은 사전 정의된 송신측 백색 리스트를 기준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일정 종류의 수신측 장치만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60)은 수신측 장치 선택을 위한 아이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에 해당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을 아이콘 형태, 리스트 형태, 멀티 썸네일 형태, 팝업창 형태 등 일정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09 동작에서 제어 모듈(160)은 특정 근접 기능 아이템 선택을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정 근접 기능 아이템 선택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160)은 선택된 근접 기능 아이템에 해당하는 수신측 장치에 통신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60)은 411 동작에서 수신측 장치로부터 연결 허용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 모듈(160)은 413 동작에서 연결 및 송신측 장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409 에서 특정 근접 기능 아이템 선택이 일정 시간 동안 없거나 취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그리고 411 동작에서 연결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모듈(160)은 415 동작으로 분기하여 기능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제어 모듈(160)은 407 동작 이전으로 분기하여 근접 기능 아이템 출력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401 동작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 방법 중 전자 장치(100)의 수신측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 모듈(160)은 402 동작에서 수신측 장치의 근접 기능 운용 설정 여부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근접 기능 운용 설정이 없는 경우 제어 모듈(160)은 404 동작으로 분기하여 수신측 장치의 특정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402 동작에서 근접 기능 운용을 위한 설정이 있으면 제어 모듈(160)은 일정 주기로 스캐닝 신호 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 모듈(160)은 406 동작에서 스캐닝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스캐닝 신호 수신이 없으면 404 동작으로 분기하여 수신측 장치의 특정 기능 예컨대 사용자 요청에 따른 기능 수행 또는 슬립 상태 유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406 동작에서 스캐닝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모듈(160)은 408 동작에서 스캐닝 신호에 대응하여 사전 정의된 광고 정보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정보는 수신측 장치의 식별 정보, 수신측 장치의 지원 가능한 기능 종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06 동작에서 제어 모듈(160)은 수신측 백색 리스트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60)은 사전 정의된 백색 리스트 운용에 따라 특정 송신측 장치의 스캐닝 신호를 무시하고 별도 광고 응답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410 동작에서 제어 모듈(160)은 통신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 모듈(160)은 광고 응답 이후로 통신 연결 요청을 일정 시간 이내에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404 동작으로 분기하여 특정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연결 요청이 일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면 제어 모듈(160)은 412 동작에서 연결 허용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 모듈(160)은 연결 허용을 확인할 수 있는 팝업창을 표시 모듈(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14 동작에서 연결 허용을 위한 입력 이벤트 발생이 일정 시간 동안 없거나 또는 연결 거부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160)은 404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한편 연결 허용을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160)은 416 동작에서 송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한편 수신측 장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60)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112) 및 원거리 통신 모듈(110)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60)은 송신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특정 기능 실행을 제어하거나, 송신측 장치가 전송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모듈(160)은 418 동작에서 기능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60)은 기능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416 동작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402 동작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에 적용될 수 있는 화면 예시도의 일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송신측 동작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특정 컨텐츠 예컨대 동영상 컨텐츠 검색 화면을 5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 실행 앱이 근접 기능 운용으로 설정된 경우 동영상 컨텐츠 검색 요청이 발생하는 시점 또는 특정 동영상 컨텐츠 재생을 요청하는 시점에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기반으로 주변 수신측 장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RSSI의 범위를 제안하여 주변 수신측 장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수신측 장치들 중 최인접 장치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RSSI가 가장 양호한 수신측 장치를 디폴트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디폴트로 선택된 수신측 장치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최인접 장치에 대한 근접 기능 아이템(510)을 상태바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기능 아이템(510)은 상태바 영역에 출력되는 지시자 형태뿐만 아니라, 최인접 장치의 장치 이름, 최인접 장치를 통해 지원되는 서비스 종류, 서비스 설명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아이콘이나 텍스트 형태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자동으로 통신 연결하지 않고 근접 기능 아이템(510) 선택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통신 연결을 위한 요청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측 장치로부터 연결 허용을 수신하는 경우 502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실행을 요청한 동영상 컨텐츠 또는 디폴트로 선택된 특정 동영상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창(520)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창(520)에서 동영상 컨텐츠의 전송을 확인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 컨텐츠를 최인접 장치로 선택된 수신측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여 503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 모듈(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신측 장치는 송신측 장치로부터 동영상 컨텐츠를 수신 완료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신측 장치는 송신측 장치와 동일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화면을 표시 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 중 다양한 근접 기능 아이템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송신측 운용 동작에서 갤러리 기능 활성화가 요청되면 사전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근접 기능 운용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디폴트로 갤러리 기능 활성화 시 근접 기능 운용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지원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갤러리 기능 활성화 시 근접 기능 운용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갤러리 기능 활성화 이후 근접 기능 운용 모드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근접 기능 운용 모드 활성화가 요청되면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스캐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가 검색되면 검색된 수신측 장치를 기반으로 근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근접 기능 아이템(610)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601 화면에서 근접 기능 아이템(610)은 상태바 영역 아래의 일정 영역에 배치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 운용 화면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근접 기능 아이템(610)은 팝업 형태로 화면 일측에 출력되거나 다른 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주변 검색 과정에서 수신측 장치 검색에 실패한 경우 근접 기능 아이템(610) 출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일정 주기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스캐닝 동작에 따른 특정 수신측 장치가 검색되면 근접 기능 아이템(610)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근접 기능 아이템(610)을 디폴트로 출력하되, 검색된 수신측 장치가 없는 경우 근접 기능 아이템(610) 선택 시 연결한 수신측 장치가 없음을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팝업창 또는 메시지 출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측 장치들의 스캐닝 동작에서 복수개의 수신측 장치가 검색되면 이 중 최인접 장치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최인접 장치에 대한 근접 기능 아이템(610)을 6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최인접 장치에 대한 판단은 무선신호 수신세기 또는 장치들의 위치 정보 수집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스캐닝 동작 과정에서 복수개의 수신측 장치가 광고 정보를 제공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개의 수신측 장치들에 대하여 근접 기능 아이템 리스트(620)를 602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도 있다. 근접 기능 아이템 리스트(620)는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다수의 수신측 장치들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근접 기능 아이템 리스트(620)는 사전 정의된 일정 크기의 창보다 많은 수의 아이템들이 검색되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개수의 아이템들만을 출력하고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들을 검색할 수 있는 항목 예컨대 "See all"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See all" 항목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수신측 장치들 전체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보이는 근접 기능 아이템 리스트(620)를 확장하고, 확장된 영역에 아직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들을 추가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근접 기능 아이템 리스트(620)에 포함된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의 경우 멀티 서비스 지원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서비스 지원 항목(621)이 근접 기능 아이템 리스트(620)에서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603 화면에서와 같이 멀티 서비스 지원 항목(621)에 대응하는 보조 리스트(630)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스마트 TV 항목 선택에 따라 파일 전송 및 미러링 항목을 포함하는 보조 리스트(630) 출력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근접 기능 운용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검색된 수신측 장치들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직접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컨텐츠 전송이 전송되는 수신측 장치를 확인하고 컨텐츠 전송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 중 컨텐츠 또는 앱별 근접 기능 아이템 출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근접 기능 운용 모드 활성화가 링크된 특정 기능 활성화 시 자동으로 수신측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수신측 장치들에 대응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로서, 전자 장치(100)는 음악 파일 재생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앱이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진입이 설정된 앱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해당 앱이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진입이 요구되는 앱인 경우 음악 파일 재생 요청 시점에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기반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측 장치가 적어도 하나가 검색되면 701 화면에서와 같이 음악 파일 재생 앱 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일정 영역에 음악 앱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10)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악 앱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10)은 화면의 좌상단에 배치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측 장치 검색 과정에서 수집된 복수의 수신측 장치들에 대한 광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 중 최인접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최인접 장치는 음악 앱 파일 재생과 협업이 가능한 수신측 장치 예컨대 오디오 출력 기능을 가진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음악 앱 관련 수신측 장치 선택이 완료되면 그에 대한 음악 앱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10)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악 앱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10)을 선택하는 경우 음악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음악 앱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10)에 대응하는 최인접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비활성화하고, 원거리 통신 모듈(110)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신측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호환 가능한 통신 모듈 및 프로토콜 선택을 수신측 장치와 협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일정 우선순위에 따라 통신 모듈 및 프로토콜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2)들을 이용하여 수신측 장치(102)와 통신 채널 형성이 가능한지를 우선 협의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통한 통신 채널 형성이 불가능한 경우 원거리 통신 모듈(110)을 이용한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측 장치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음악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출력을 생략할 수도 있다.
다른 일실시 예로서,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 파일 재생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앱이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진입이 설정된 앱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해당 앱이 근접 기능 운용 모드 진입이 요구되는 앱인 경우 동영상 파일 재생 요청 시점에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기반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가 검색되면 702 화면에서와 같이 동영상 재생 앱 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일정 영역에 동영상 앱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20)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백색 리스트를 이용하여 동영상 재생과 호환 가능한 수신측 장치들만의 광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수신측 장치들 중 최인접 장치에 대해서 동영상 앱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20)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측 장치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 앱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20) 출력 후 복수의 수신측 장치들의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602 화면에서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 앱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20)을 선택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측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 앱 화면의 출력을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 설정이나 요청에 따라 동영상 앱 화면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 앱 화면 출력을 중지하되 동영상 앱 재생 제어를 위한 제어 화면을 표시 모듈(140)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일실시 예로서, 전자 장치(100)는 저장 파일 표시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저장 파일 표시 요청 시점에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기반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가 검색되면 703 화면에서와 같이 저장 파일 표시 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일정 영역에 저장 파일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30)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파일들의 특성에 따른 수신측 장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캐닝 동작에 따라 수신측 장치들이 제공한 광고 정보를 수집하면, 이를 기반으로 수신측 장치들의 기능 지원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신측 장치들은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하는 과정에서 기능 지원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집된 광고 정보들 및 저장된 파일을 기반으로 저장 파일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3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저장 파일들 각각에 대한 저장 파일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30)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저장 파일 표시 화면에서 디폴트로 지정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저장 파일과 통신 연결할 수 있는 수신측 장치에 대응하는 저장 파일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30)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파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파일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30)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저장 파일들이 복수 개인 경우 그리고 복수의 저장 파일들이 타입이 달라서 서로 다른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이 필요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각 타입별 수신측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저장 파일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3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저장 파일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30)을 화면 상단에 배치하지 않고, 각 저장 파일들이 표시된 목록별로 구분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 예로서, 전자 장치(100)는 폰북 정보 표시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폰북 정보 표시 요청 시점에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기반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가 검색되면 703 화면에서와 같이 폰북 정보 표시 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일정 영역에 폰북 정보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40)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폰북 정보를 인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수신측 장치에 대응하는 폰북 정보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4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스캐닝 동작에 의해 확인된 수신측 장치들 중 폰북 정보 표시가 가능한 수신측 장치를 선택하고, 해당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할 수 있는 폰북 정보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40)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특정 폰북 정보에 기입된 타 전자 장치를 백색 리스트로 구성하고, 스캐닝 동작에서 타 전자 장치에 해당하는 수신측 장치가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폰북 정보에 해당하는 수신측 장치가 있는 경우,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폰북 정보 관련 근접 기능 아이템(74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아이템의 출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801 화면에서와 같이 근접 기능 아이템(810)을 아이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 표시 또는 아이콘 화면 표시가 요청되면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기반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수신측 장치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근접 기능 아이템(810)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최인접 수신측 장치에 대응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810)을 출력하거나 사전 정의된 특정 장치명을 가지거나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수신측 장치에 대응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810)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근접 기능 아이템(810)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해당 근접 기능 아이템(810)에 대응하는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802 화면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근접 기능 아이템들이 포함된 근접 기능 아이템 창(820)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근접 기능 아이템 창(820) 출력을 요청하는 특정 이벤트 예컨대 홈 키 또는 특정 키 버튼을 누르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집된 수신측 장치들의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근접 기능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 창(820)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취소 이벤트가 발생하면 근접 기능 아이템 창(820)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근접 기능 운용 모드를 활성화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 기반으로 근접 기능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 창(82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113)의 송신측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근접 기능 아이템 창(820)에는 인접 장치 이름을 가지는 이미지 아이콘을 출력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근접 기능 아이템 창(820)은 인접 장치들의 장치 이름뿐만 아니라 장치를 설명하는 정보,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서비스 설명 정보 등을 가지는 아이콘이나 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803 화면에서와 같이 락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근접 기능 아이템들(83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락스크린 호출을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검색된 수신측 장치들의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근접 기능 아이템들(830)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기능 아이템들(830) 중 특정 근접 기능 아이템이 지정되고 사전 정의된 제스처 이벤트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근접 기능 아이템에 대응하는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정의된 제스처 이벤트는 락 해제를 위한 이벤트가 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근접 기능 아이템들(830)을 특정 이름을 가지는 이미지 아이콘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근접 기능 아이템들(830)은 해당 장치가 지원하는 서비스 종류 정보, 서비스 설명 정보,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이미지 등의 형태이거나 텍스트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예컨대, 근접 기능 아이템들(830)은 텍스트 항목들을 포함하는 목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타입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신측 장치는 종류별로 특정 통신 연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폰 장치는 파일 전송 기능, 테더링 기능, 멀티 게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수신측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폰 장치는 디폴트 서비스 설정으로 파일 전송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디폴트 서비스 설정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측 장치로서 스마트 폰장치가 검색되면 상술한 파일 전송 기능이 가능함을 안내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근접 기능 아이템은 스마트 폰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일 전송 기능을 나타내는 "F"가 해당 아이콘 또는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 예로서, 스마트 TV 장치는 파일 전송 기능, 미러링 기능, 스트리밍 기능 및 DLNA 기능을 지원하는 수신측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스마트 TV는 미러링 기능이 설정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 변경에 따라 미러링 기능은 다른 기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미러링 기능의 설정 변경은 전자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스마트 TV 장치 조작을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일실시 예로서, 수신측 장치는 태블릿 전자 장치, PC 장치, 프린터, 카메라 장치, 카키트(Carkit) 장치, 헤드셋이나 키보드와 같은 액세서리 장치, 기타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수신측 장치는 지원 가능한 서비스 항목들을 가지며 현재 제공 가능한 서비스 설정이 할당될 수 있다. 수신측 장치(102)는 전자 장치(100)의 스캐닝 동작 요청에 따라 장치명과 같은 장치 식별 정보, 상술한 서비스 항목들에 대한 정보, 현재 설정된 서비스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자 장치(100)에 광고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근접해 있는 수신측 장치 검색을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 기반으로 수행하고 통신 연결을 기타 통신 모듈을 수행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이며 유용한 수신측 장치들의 선택과 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장치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는 통신 장치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장치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장치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장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장치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장치,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101, 102 : 전자 장치
110 : 원거리 통신 모듈 112 : 근거리 통신 모듈
113 :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 120 : 입력 모듈
130 : 오디오 처리 모듈 140 : 표시 모듈
150 : 저장 모듈 160 : 제어 모듈

Claims (1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응답하는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
    표시 모듈; 및
    근접 기능 운용 모드가 설정된 특정 기능 또는 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의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집된 주변 장치들의 상기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근접 기능 아이템을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최인접 수신측 장치에 해당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복수의 수신측 장치들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 리스트 또는 아이템 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접 기능 아이템을 상기 근접 기능 운용 모드가 설정된 특정 기능 또는 앱 실행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접 기능 아이템 선택 및 락스크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선택된 근접 기능 아이템에 해당하는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원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측 장치가 지원 가능한 근접 기능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이템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접 기능 아이템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선택된 근접 기능 아이템에 해당하는 수신측 장치와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원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연결 수행 시 상기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근접 기능 운용 방법에 있어서,
    근접 기능 운용 모드가 설정된 특정 기능 또는 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실행 요청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스캐닝 동작에 응답하는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동작; 및
    상기 수집된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장치와 관련된 근접 기능 아이템을 상기 근접 기능 운용 모드가 설정된 특정 기능 또는 앱 실행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동작;을 포함하는 근접 기능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동작은,
    최인접 수신측 장치에 해당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을 출력하는 동작;
    복수의 수신측 장치들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근접 기능 아이템 리스트 또는 아이템 창을 출력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근접 기능 운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동작은
    대기 화면 출력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수집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근접 기능 아이템을 상기 대기 화면의 아이콘으로 출력하는 동작;
    락스크린 출력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수집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근접 기능 아이템을 상기 락스크린 일측에 출력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근접 기능 운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락스크린에 출력된 특정 아이템 선택 및 락스크린 해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락스크린 해제와 함께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수신측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근접 기능 운용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기능 아이템을 출력하는 출력 동작은,
    음악 재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음악 재생 기능과 협업 가능한 수신측 장치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음악 앱 관련 아이템을 출력하는 동작;
    동영상 재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동영상 재생 기능과 협업 가능한 수신측 장치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동영상 앱 관련 아이템을 출력하는 동작;
    저장 파일 표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저장 파일과 협업 가능한 수신측 장치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 파일 관련 아이템을 출력하는 동작;
    폰북 정보 표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폰북 정보 표시가 가능한 수신측 장치의 광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폰북 정보 관련 아이템을 출력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근접 기능 운용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기능아이템의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선택된 근접 기능 아이템에 대응하는 수신측 장치와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원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하는 수행하고, 상기 통신 연결 수행 시 상기 저전력 근거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근접 기능 운용 방법.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동작은
    상기 수신측 장치가 지원 가능한 근접 기능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이템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근접 기능 운용 방법.
KR1020130120312A 2013-10-10 2013-10-10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06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312A KR102064929B1 (ko) 2013-10-10 2013-10-10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4/511,666 US10078848B2 (en) 2013-10-10 2014-10-10 Method of operating nearb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312A KR102064929B1 (ko) 2013-10-10 2013-10-10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318A KR20150042318A (ko) 2015-04-21
KR102064929B1 true KR102064929B1 (ko) 2020-01-10

Family

ID=5281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312A KR102064929B1 (ko) 2013-10-10 2013-10-10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78848B2 (ko)
KR (1) KR102064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590A1 (ko) * 2022-07-15 2024-01-18 라쿠텐 심포니 코리아 주식회사 근접한 단말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기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1321B2 (en) * 2015-06-07 2019-06-25 Apple Inc. Multiple device configuration application
US11076261B1 (en) 2016-09-16 2021-07-27 Apple Inc. Location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s
CN107423995A (zh) * 2017-03-02 2017-12-01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共享车辆触发广告的方法、客户端及系统
WO2018165862A1 (zh) * 2017-03-14 2018-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扫描方法及设备
KR20180137913A (ko) * 2017-06-20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246860B2 (ja) * 2018-03-30 2023-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757039B (zh) * 2019-05-09 2022-03-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的视频通话方法及可穿戴设备
CN111343618B (zh) * 2020-02-13 2023-11-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EP4107921A1 (en) * 2020-02-18 2022-12-28 ARRIS Enterprises LLC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tecting devices in a network and transferring a media session
US20220385722A1 (en) * 2021-05-28 2022-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file transf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4820A1 (en) * 2006-02-08 2007-08-09 Richard Marshall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US20080109317A1 (en) * 2006-10-26 2008-05-08 Gurvinder Singh Wireless dissemination of environment aware information
US20130231043A1 (en) * 2009-07-13 2013-09-05 Basil Nasri Tawfiq Moshtah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advertisment and data contents and providing multiple value added services o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isplay mechanis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5108B2 (en) 2002-03-26 2009-07-21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with reader device having transponder functionality
KR100677212B1 (ko) 2004-10-15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네트워크 내의 기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595524B1 (ko) 2004-10-28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727897B1 (ko) 2006-06-30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어리스 개인 통신망에 위치한 디바이스 간의 접속 설정방법
JP2009169732A (ja) 2008-01-17 2009-07-30 Panasonic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機器接続制御方法
KR101442618B1 (ko) 2009-11-04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활성화 방법 및 장치
US9606643B2 (en) * 2011-05-02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tended above the lock-screen experie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4820A1 (en) * 2006-02-08 2007-08-09 Richard Marshall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US20080109317A1 (en) * 2006-10-26 2008-05-08 Gurvinder Singh Wireless dissemination of environment aware information
US20130231043A1 (en) * 2009-07-13 2013-09-05 Basil Nasri Tawfiq Moshtah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advertisment and data contents and providing multiple value added services o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isplay mechanis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590A1 (ko) * 2022-07-15 2024-01-18 라쿠텐 심포니 코리아 주식회사 근접한 단말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6175A1 (en) 2015-04-16
US10078848B2 (en) 2018-09-18
KR20150042318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929B1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634881B (zh) 应用场景推荐方法及装置
KR102309027B1 (ko) 통합 표시 방법 및 휴대장치
KR101260770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에서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EP288719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osition of a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47817B1 (ko)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58208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90017B1 (ko) 제스처 기반의 통신 채널 운용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시스템
EP22936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US2016011707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11167B2 (en) APP operating method and device and APP output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6076501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オン・オ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装置、設備、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30332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020013A1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RU264768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контента, устройство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которые используют их
CN104298554A (zh) 管理多任务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US2017016866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487658A (zh) 控制应用运行的方法及装置
US2012012031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adata applying method thereof
KR20140100306A (ko)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20150049900A (ko)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7574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05739839A (zh) 多媒体菜单项的选择方法及装置
CN110955436A (zh) 一种应用程序安装方法及电子设备
KR20140123818A (ko)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