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713B1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ccupation of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ccupation of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713B1
KR102062713B1 KR1020130069174A KR20130069174A KR102062713B1 KR 102062713 B1 KR102062713 B1 KR 102062713B1 KR 1020130069174 A KR1020130069174 A KR 1020130069174A KR 20130069174 A KR20130069174 A KR 20130069174A KR 102062713 B1 KR102062713 B1 KR 102062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main content
occupan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1570A (en
Inventor
신옥희
Original Assignee
신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옥희 filed Critical 신옥희
Publication of KR2014011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5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로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메인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콘텐츠에 대한 현재 점유자 수가 최대 점유자 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재 점유자 수가 상기 최대 점유자 수 미만이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메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낮추어 콘텐츠의 희소성과 콘텐츠에 대한 기대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requested by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main content from a first user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number of occupants for the main cont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And if the current occupant number is less than the maximum occupant number, providing the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carcity of the content and the expectation for the content by lowering the accessibility to the online content.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CCUPATION OF CONTENTS}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CCUPATION OF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를 점유하는 사용자의 수를 제한하고, 콘텐츠를 점유하지 못한 사용자들이 순서에 따라 대기하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the number of users who occupy content, and allowing users who do not occupy the content to wait in order.

일반적으로 온라인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자의 자원이나 네트워크 자원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많은 이용자의 동시 접속을 허용한다. In general, online content allows as many simultaneous users as possible, as long as the content provider's or network resources allow.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0-005869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한 콘텐츠가 요청되면 서버측에서는 이를 요청한 모든 단말에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58690, when the same content is requeste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server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all the terminals requesting the same content.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온라인 서비스나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해 누구나 실시간으로 접근 가능하고, 이와 같은 접근 용이성은 오히려 콘텐츠의 희소가치를 하락시켜,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However, in such a case, anyone can access the online service or the contents provided online in real time, and such accessibility lowers the rare value of the contents, thereby depressing users' interest in the contents provided online. Becomes

또한 언제나 접근 가능하게 제공되는 콘텐츠는, 추후에도 접근이나 소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신속하게 접근하지 않고 더욱 신중하게 소비하게 되어, 오히려 콘텐츠 소비가 지체되는 경향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content that is always accessible can be accessed or consumed later, users tend to consume it more carefully, rather than quickly, so that content consumption tends to be delayed.

나아가 온라인 콘텐츠 제공에 있어서, 제공자 측의 인적 자원이나 오프라인 자원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동시에 많은 이용자의 콘텐츠 소비가 발생하면 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providing online content, when a human resource or an offline resource on the provider side is required, the quality of service may be deteriorated when content consumption of many users occurs at the same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 동시에 점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를 제한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at limits the number of users that can simultaneously occupy online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라인 콘텐츠를 점유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at limits the amount of time that an online content can be occupi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을 대기자로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at can manage users who want to access online content as a standby.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단말로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메인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콘텐츠에 대한 현재 점유자 수가 최대 점유자 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재 점유자 수가 상기 최대 점유자 수 미만이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메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content requested to the user termi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main content;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sion;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number of occupants for the main cont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And if the current occupant number is less than the maximum occupant number, providing the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콘텐츠제공서버는, 사용자단말로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메인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콘텐츠관리부; 상기 콘텐츠관리부에 등록된 복수의 메인 콘텐츠 중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하여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메인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현재 점유자 수가 최대 점유자 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점유자관리부; 상기 점유자관리부의 확인 결과,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상기 현재 점유자 수가 상기 최대 점유자 수 미만이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메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main content;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main conten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main contents registered i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confirming whether the current number of occupants for the first main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Occupant management unit; When the occupant manager confirms that the current occupant number of the first main content is less than the maximum occupant number, the occupant manager may include a content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the first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 동시에 점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를 제한하여,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낮추어 콘텐츠의 희소성과 콘텐츠에 대한 기대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by limiting the number of users who can occupy the online content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carcity of the content and the expectation of the content by lowering the accessibility to the online content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콘텐츠를 점유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이고, 콘텐츠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imiting the time to occupy the online cont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concentration on the content and to promote content consump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을 대기자로 관리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줄서기를 온라인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naging the users who want to access the online content as a standb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ffline liner onl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콘텐츠제공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ncluded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는 사용자단말(100)과 콘텐츠제공서버(200)가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한다. As shown in FIG. 1,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a network N.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network N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N), a personal local area network (PAN),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AN). It can be implemented as all kinds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s such as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사용자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or a television that can be connected to a remote server through a network or connectable with other terminals and servers.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desktop, laptop, etc., which is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ode CDMA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including all kinds of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BRO) terminals, smart phones, etc. can do. In addition, the television may include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an Internet Television (Internet Television), a terrestrial TV, a cable TV, or the like.

사용자단말(100)에는 후술할 콘텐츠제공서버(200)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콘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가 표시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응용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일 수도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by the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or executed. .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may be a web browser.

한편 콘텐츠제공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단말(100)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로서 기능한다. 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exchanges data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through a network.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functions as a content provider providing at least one main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를 우선 정리한다. Hereinafter, terms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ummarized first.

이하에서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라도 될 수 있다.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하나의 단위로 구분될 수 있어야 한다. 콘텐츠는 예를 들어, 동영상이나 오디오 자체가 될 수도 있고, 하나의 게시판이나 하나의 커뮤니티 등 온라인 상에서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가상 공간이 될 수 있으며, 웹페이지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콘텐츠가 제공되는 방식은 다운로드 방식이나 스트리밍 방식 중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으며, 콘텐츠가 제공되는 통신 방식은, 접속지향형(CONNECTION-ORIENTED) 방식이 될 수도 있고 비접속형(CONNECTION-LESS) 방식이 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content" may be any form of data provided through a network. It should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text, audio, video, and video and can be divided into one unit. The content may be, for example, a video or audio itself, a virtual space that is independently classified online, such as a bulletin board or a community, or a web page. Furthermore, the manner in which the content is provided may be any one of a download method and a streaming method,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the content is provided may be a connection-oriented method or the connection-less method. May be

즉, 이하에서 콘텐츠는 네트워크(N)를 통해 제공되고, 독립적인 단위로 구분 가능한 모든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콘텐츠는 사용자들의 입력이나 선택 등, 사용자의 리액션을 요구하는 콘텐츠일 수도 있고, 콘텐츠제공자 측과 사용자 측의 인터랙션에 의해 능동적으로 변동되는 콘텐츠일 수도 있다. That is, in the following, the conten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N, and may be all data that can be divided into independent units. Furthermore, the content may be content that requires a user's reaction, such as input or selection of users, or may be content that is actively chang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provider and the user.

또한 콘텐츠는 ‘메인콘텐츠’와 ‘서브콘텐츠’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content may be divided into 'main content' and 'sub content'.

‘메인콘텐츠’는 실제 사용자단말(100)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콘텐츠로서, 이하에서 설명할 ‘점유’의 대상이 되고, 실제 사용자에 의해 소비되는 대상이 되는 콘텐츠이다. 한편 ‘서브콘텐츠’는 메인콘텐츠에 접근하고자 요청한 사용자단말(100)에 대해, 메인콘텐츠에 대해 설정된 점유자 수의 제한에 따라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가 허락되지 않은 경우, 메인콘텐츠의 점유를 위하여 대기하는 동안에 제공되는 콘텐츠로서, 예를 들어, 메인콘텐츠와 연관된 데이터 또는 메인콘텐츠에 포함된 데이터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Main content' is content that is intended to be accessed by the real user terminal 100, and is 'object' to be described below, and is content that is consumed by an actual user. On the other hand, the 'sub content' is waiting for the main content to occupy the main content if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ed to access the main content is not allowed to occupy the main content according to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occupants set for the main content. As the content provided during, the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data associated with the main content or some of data included in the main content.

한편 이하에서 ‘점유’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200)에 메인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단말(100)이 콘텐츠제공서버(200)와 해당 메인콘텐츠에 대한 연결을 지속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Meanwhi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ccupancy'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user terminal 100 requesting main content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providing content maintains a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corresponding main content.

이때 콘텐츠제공서버(200)가 점유 대상이 되는 메인콘텐츠를 접속지향형 통신 방식으로 임의의 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하는 경우, 콘텐츠제공서버(200)와 사용자단말(100) 사이에 연결이 설정되는 때로부터 설정된 연결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해당 사용자단말(100)이 메인콘텐츠를 점유하는 것으로 취급한다. At this time, i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provides the main content to be occupied to any user terminal 100 in a connection-oriented communication method,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user terminal 100 Until the established connection is released from the time, the user terminal 100 is treated as occupying the main content.

또한 이때 콘텐츠제공서버(200)가 점유 대상이 되는 메인콘텐츠를 비접속형 통신 방식으로 임의의 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하는 경우, 콘텐츠제공서버(200)가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 이하의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인 응답을 수신하는 상태이면, 해당 사용자단말(100)이 콘텐츠를 점유하는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provides the main content to be occupied by the user terminal 100 in a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s set in advance from the user terminal 100 If the continuous response is received at the following time intervals,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can be treated as occupying the content.

또한 이하에서 ‘대기’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200)에 메인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단말(100)이 콘텐츠제공서버(200)와 해당 메인콘텐츠에 연관된 서브콘텐츠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점유를 지속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서브콘텐츠가 접속지향형 통신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콘텐츠제공서버(200)와 사용자단말(100) 사이에 서브콘텐츠 제공을 위한 연결이 설정된 때로부터 설정된 연결이 해제될 때까지 해당 사용자단말(100)은 메인콘텐츠에 대한 대기상태인 것으로 취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aiting' means that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ing the main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at provides the content occupie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sub content associated with the main content. It means a state of continuing. That is, when the sub content is provided in a connection-oriented communication method,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from when the connection for providing the sub content is established betwe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user terminal 100 is released. ) May be treated as waiting for main content.

또한 마찬가지로 서브콘텐츠가 비접속형 통신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콘텐츠제공서버(200)가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 이하의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인 응답을 수신하는 상태이면, 해당 사용자단말(100)이 메인콘텐츠에 대한 대기상태에 있는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이때 대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되는 주기는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되는 주기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단말(100)이 모바일 사용자단말(100)인 경우 통신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므로, 모바일 사용자단말(100)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의 주기를 설정하여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b-content is provided in a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method, i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receives a continuous response from the user terminal 100 at a time interval less than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It can be treated as being in a waiting state for the main content. At this time, the period set to determine the standby state may be set longer than the period set to determine the occupancy state for the main content. 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relatively poor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ing the content is the mobile user terminal 100, the connection state may be determined by setting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for the mobile user terminal 100. .

나아가 이하에서 ‘점유’ 또는 ‘대기’에서의 ‘이탈’은, 점유 또는 대기가 종료됨을 의미하고, 접속지향형 통신방식으로 메인콘텐츠 또는 서브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연결이 해제된 시점에 점유 또는 대기에서 사용자단말(100)이 이탈된 것으로 취급되는 한편, 비접속형 통신방식으로 메인콘텐츠 또는 서브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최종 응답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다음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때에, 사용자단말(100)이 점유 또는 대기상태에서 이탈된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Furthermore, `` departure '' from the `` occupation '' or `` waiting '' below means that the occupancy or waiting is terminated, and when the main content or the sub content is provided in a connection-oriented communication method, the occupancy or waiting is performed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In the case where the user terminal 100 is treated as detached and the main content or the sub content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period from the time of the final response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increased. When the next response is not received until the elapsed time,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treated as being released from the occupied or standby state.

또한 이하에서 ‘점유자’는 메인콘텐츠를 점유한 사용자단말(100)을 의미하고, ‘대기자’는 메인콘텐츠를 점유하기 위하여 서브콘텐츠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단말(100)을 의미한다. In addition, hereinafter 'occupant' refers to the user terminal 100 occupying the main content, and 'waiter' refers to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sub content in order to occupy the main content.

이하에서는 위에 설명한 용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콘텐츠제공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terms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콘텐츠제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다.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콘텐츠관리부(201)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ncludes a content management unit 201.

콘텐츠관리부(201)는 우선 하나 이상의 메인콘텐츠를 저장하고, 저장된 메인콘텐츠 각각에 대해서, 메인콘텐츠의 식별정보와 허용되는 최대 점유자 수에 대한 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관리부(201)는 각각의 메인콘텐츠 또는 복수의 메인콘텐츠에 종속되는 서브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메인콘텐츠와 서브콘텐츠의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하여 저장함으로써 그 연관관계를 기록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201 may first store one or more main contents, and may associate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ain contents and information on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allowed for each of the stored main contents. 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01 may store the sub content that is dependent on each main content or a plurality of main content, and may record the association relationship by storing the main conten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b content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나아가 콘텐츠관리부(201)는, 메인콘텐츠가 비접속형 방식으로 사용자단말(100)로 제공되는 경우, 즉 예를 들어, 메인콘텐츠가 일반 웹페이지인 경우, 사용자단말(100)의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주기 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01, when the main 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in a connectionless manner, that is, for example, if the main content is a general web page, for the main content of the user terminal 100 Periodic information needed to check the occupancy can be correlated and stored.

나아가 콘텐츠관리부(201)는, 하나의 사용자단말(100)이 메인콘텐츠를 점유할 수 있는 시간에 제한이 있는 경우, 제한시간 정보를 메인콘텐츠에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주기 정보나 제한시간 정보가 모든 메인콘텐츠에 대해 동일한 경우, 이들을 따로 연관하여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01 may store the time limit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ain content when there is a limit in the time that one user terminal 100 may occupy the main content. However, if the period information or timeout information is the same for all main contents, they may not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한편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점유자의 수를 제한하기 위하여, 점유 카운트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며 저장하여, 임의의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자의 수를 미리 설정된 최대 점유자 수 이하로 관리하는 점유자관리부(202)를 포함한다.Meanwhile, in order to limit the number of occupant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ontinuously updates and stores the occupancy count information, and manages the occupant number for any main content below a preset maximum occupant number. 202).

점유자관리부(202)는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 또는 점유 이탈을 지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메인콘텐츠에 대한 현재의 점유자 수를 기록하고, 그에 따라 후술할 콘텐츠제공부가 미리 정해진 최대 점유자 수 이하의 점유자들에 대해서만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202 continuously monitors the occupancy or departure from the main content, thereby recording the current occupant number for the main content, and accordingly, only the occupants having the predetermined number of occupants below the predetermined maximum occupancy number. To provide content.

점유자관리부(202)는 예를 들어, 임의의 메인콘텐츠의 최대 점유자 수가 1이고, 현재 점유자가 없는 상태이면 점유 카운트를 0으로 하여 관리하되, 새로운 점유자가 메인콘텐츠를 점유하면 점유 카운트를 1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다른 새로운 사용자단말(100)의 메인콘텐츠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메인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단말(100)로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점유자가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를 이탈하면, 점유자관리부(202)는 점유 카운트를 다시 0으로 변경하고, 다른 사용자단말(100)의 메인콘텐츠 요청에 대해 응답하여 메인콘텐츠가 다른 사용자단말(1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Occupant management unit 202, for example, if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of any main content is 1, if there is no current occupant state to manage the occupancy count to 0, if the new occupant occupies the main content so that the occupancy count is 1 can do. Accordingly, even if a main content request of another new user terminal 100 is received, the main content may not be provided to the other user terminal 100. In addition, if the occupant leaves possession of the main content,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202 changes the occupancy count back to 0, and responds to the main content request of the other user terminal 100, where the main content is different from the user terminal 100. ) Can be provided.

즉, 점유자관리부(202)는 현재의 점유 카운트를 해당 메인콘텐츠에 대해 설정된 최대 점유자 수와 지속적으로 비교함으로써, 후술할 콘텐츠제공부(203)가 메인콘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202 may continuously compare the current occupancy count with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set for the corresponding main content, so that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to be described later blocks additional access to the main content.

또한 점유자관리부(202)는 최대 점유자 수가 1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메인콘텐츠에 점유 플래그를 설정하여, 점유 상태 또는 미점유 상태가 구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에는 메인콘텐츠로의 추가적인 접근을 차단하고 플래그가 미설정된 경우에는 메인콘텐츠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점유 카운트를 기준으로 메인콘텐츠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when the maximum occupant number is set to 1, the occupant manager 202 may set an occupancy flag on the main content to distinguish between an occupied state or an unoccupied state. Accordingly, if the flag is set, additional access to the main content may be blocked, and if the flag is not set, access to the main content may be allowed. Howeve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by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the main content based on the occupancy count.

한편 콘텐츠제공서버(200)의 콘텐츠제공부(203)는 콘텐츠관리부(201)에 저장된 메인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단말(100)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메인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에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electively provides the main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0 by allowing or blocking the access of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main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01. do.

콘텐츠제공부(203)가 사용자단말(100)의 메인콘텐츠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은, 메인콘텐츠에 대한 접근에 대해 별개의 차단 로직을 적용함으로써 가능하며, 또는 메인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자체에서 제공하는 잠금(Locking)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blocks access to the main content of the user terminal 100 by applying separate blocking logic to access to the main content, or provided by the database itself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stored.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 locking function.

그러나 점유자관리부(202)에서 카운트하는 점유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최대 점유자 수보다 적으면, 콘텐츠제공부(203)는 메인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occupancy count counted by the occupant manager 202 is less than the preset maximum occupant number, the content provider 203 may provide the main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0.

또한 점유자관리부(202)는, 현재의 점유자가 메인콘텐츠를 점유하는 시간을 기록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 정보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202 can record the time the current occupant occupies the main content, so that it can be compared with the preset time limit information.

만약 임의의 메인콘텐츠에 대하여 하나의 점유자가 점유할 수 있는 시간이 미리 제한되어 있다면, 점유자관리부(202)는 각각의 점유자의 점유 개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기록하여 경과된 시간을 제한시간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If the time that one occupant can occupy for any main content is limited in advance,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202 records the elapsed time from the occupancy start time of each occupant and stores the elapsed time with timeout information. Can be compared.

그에 따라 경과 시간이 제한시간 이상이 되면, 점유자관리부(202)는 이를 콘텐츠제공부(203)로 통지하고, 콘텐츠제공부(203)는 해당 점유자에 대한 메인콘텐츠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만약 접속지향형 통신 방식으로 메인콘텐츠가 점유자에게 제공되는 경우에는 콘텐츠제공부(203)는 해당 점유자와 콘텐츠제공서버(200) 사이에 설정된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메인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비접속형 통신 방식으로 메인콘텐츠가 점유자에게 제공되는 경우에는, 콘텐츠제공부(203)는 메인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한 점유자로부터 메인콘텐츠와 관련된 응답이나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 점유가 종료되었음(메인콘텐츠의 제공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다른 콘텐츠(예를 들어, 웹페이지 등)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elapsed time is more than the time limit,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202 notifies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may stop providing the main content to the occupant. If the main content is provided to the occupant in a connection-oriented communication method,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may stop providing the main content by releasing the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occupant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if the main content is provided to the occupant in a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is occupied when the response or request related to the main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occupant who has stopped providing the main content ( Other content (for example, a webpage, etc.) indicating that the main content has been stopped may be provided.

그리고 이와 같이 임의의 점유자에 대한 메인콘텐츠 제공이 중단되면, 점유자관리부(202)는 점유 카운트를 -1 하여 새로운 점유자가 메인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f the main content for any occupant is stopped in this way, the occupant manager 202 may set the occupancy count to -1 so that the new occupant is provided with the main content.

한편 점유자관리부(202)는, 비접속형 통신방식으로 제공되는 메인콘텐츠(예를 들어, 웹페이지 등)에 대해서, 점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메인콘텐츠 내에 사용자단말(100)에서 지속적으로 콘텐츠제공서버(200)로 응답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스크립트를 삽입하거나, 또는 콘텐츠제공서버(200)에서 사용자단말(100)측으로 응답을 요구하는 요청을 지속적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메인콘텐츠 자체에 점유자의 지속적인 액션(예를 들어, 지속적인 리프레쉬 요청)을 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주기적인 응답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202, the main content (for example, a web page, etc.) provided in the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method, to continuously provide content in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main conten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occupied. Insert a script to generate a response signal to the server 200, or continuously sends a request for a response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o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continuous action of the occupant in the main content itself By inserting a user interface (e.g., a persistent refresh request), a periodic response can be generated.

한편 콘텐츠제공부(203)는, 이미 점유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최대 점유자 수와 동일한 메인콘텐츠에 대해서, 새로운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메인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메인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100)로 이미 콘텐츠가 점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receives a main content provision request from the new user terminal 100 with respect to the main content that already has the same occupancy count as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requested the main content provision is provide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ntent is already occupied can be transmitted.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텐츠제공부(203)는 이미 점유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최대 점유자 수와 동일한 메인콘텐츠에 대해서, 새로운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메인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메인콘텐츠를 제공하지 않고 요청된 메인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브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does not provide the main content when the main content provid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new user terminal 100 for the main content which already has the same occupancy count as the preset maximum occupant number. Without providing the sub-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main content.

이때 콘텐츠제공서버(200)에는, 메인콘텐츠를 요청하였으나 현재 점유자의 수가 최대 점유자 수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어서 콘텐츠제공부(203)로부터 메인콘텐츠가 아닌 서브콘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사용자단말(100)을 대기자 리스트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대기자관리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requests the main content, but the user terminal 100 receiving sub-content other than the main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because the number of occupant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It may include a waiting manager 204 to register and manage the waiting list.

이때 대기자관리부(204)가 관리하는 대기자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대기자관리부(204)는 대기자들에게 메인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순서에 따라 대기자 리스트에 등록하여 순서대로 관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re may be more than one waiter managed by the waiter manager 204, and the waiter manager 204 may register and manage the waiter list in the order in which the waiters are requested to provide the main content.

여기서 콘텐츠제공부(203)는 대기자에게 서브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서브콘텐츠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콘텐츠에 포함된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등, 메인콘텐츠의 제한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1분 미리보기 콘텐츠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메인콘텐츠에 포함된 데이터는 대기자에게도 열람 가능하게 제공하면서, 메인콘텐츠에 대해 점유자가 수행할 수 있는 액션을 대기자에게는 제한할 수도 있다. 즉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자의 수를 제한하면서, 대기자에게는 메인콘텐츠의 일부만 열람되도록 하거나, 메인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액션이 적어도 일부 제한되도록 서브콘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may provide sub content to the waiter. As described above, the sub content may be a limited form of the main content, including a part of data included in the main content. For example, it may be one minute preview content for video content. Or, for example, the data contained in the main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waiter while the waiter may limit the actions that the occupant can perform on the main content. That is, while limiting the number of occupants for the main content, the sub-conten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waiter can only view a part of the main content or at least partially limit the actions that a user can perform on the main content.

나아가 서브콘텐츠는 시간의 지루함을 방지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이거나, 광고를 포함함으로써 대기자에 대한 광고효과를 얻도록 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sub content may be multimedia content to prevent boredom of time, or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so as to obtain an advertisement effect on the waiting person.

이때 대기자관리부(204)는 메인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100)로서 지속적으로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단말(100)을 대기자로 관리하기 위하여, 대기자들의 서브콘텐츠에 대한 연결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andby management unit 204 can continuously check whether the connection to the sub-content of the waiters in order to manage the user terminal 100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as a user terminal 100 requesting to provide the main content as a standby. have.

예를 들어, 콘텐츠제공부(203)가 접속지향형 통신방식으로 서브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대기자관리부(204)는 콘텐츠제공서버(200)와 연결이 설정된 후 연결 해제되지 않은 모든 사용자단말(100)을 대기자로서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연결 해제된 사용자단말(100)은 대기자에서 제외하고, 남은 대기자들에게 순번에 따라 메인콘텐츠의 점유 기회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provides the sub content in the connection-oriented communication method, the standby management unit 204 is not disconnected after all the user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s established. Can be managed continuously as a waiter. The disconnected user terminal 100 may exclude the waiting, and may provide the remaining waiters with an opportunity to occupy the main content in order.

또한 예를 들어, 콘텐츠제공부(203)가 비접속 통신방식으로 서브콘텐츠를 대기자들에게 제공하는 경우, 대기자관리부(204)는 미리 설정된 주기 내에 지속적으로 대기자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대기자 리스트에서 대기자를 제외하지 않을 수 있다. Also,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provider 203 provides the sub-contents to the waiters in a connectionless manner, the wait manager 204 waits only when a response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waiters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You can choose not to exclude waiters from the list.

또한 대기자관리부(204)는 복수의 대기자들을 순번 없이 관리하면서, 점유 카운트가 최대 점유자 수보다 적은 수가 되었을 때, 복수의 대기자 중 하나를 다음 점유자로 무작위로 선정하여 콘텐츠제공부(203)가 해당 사용자단말(100)로 메인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콘텐츠제공부(203)는 순번 있는 대기자들에 대해서는 순번에 따라 메인콘텐츠 점유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자들의 대기 순번은 점유자들의 점유 이탈 여부와 선순위 대기자들의 대기 이탈 여부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iting manager 204 manages a plurality of waiters without a sequence, when the occupancy count is less than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randoml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waiters as the next occupant, the content provider 203 is a corresponding user The main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Of course,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may give the main content occupancy opportunities to the waiting people in turn. Here, the waiting order of the waiters may be continuously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occupants are taken out of occupancy and whether the waiters are released.

물론 대기자관리부(203)는, 대기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단말(100)이 서브콘텐츠에서 이탈하면 해당 사용자단말(100)을 대기자리스트에서 제거하고, 후순위 대기자들의 대기 순번을 조정하는 등, 대기자들의 서브콘텐츠에 대한 연결 여부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Of course, the standby management unit 203, if the user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wait is removed from the sub-content, remove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wait list, and adjusts the waiting sequence of the subordinate waiters, such as sub-content of the waiters You can also keep an eye on the connection to.

한편 콘텐츠제공부(203)는, 점유자관리부(202)가 관리하는 메인콘텐츠의 점유 상태와 대기자관리부(203)가 관리하는 대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점유자와 대기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may provide information for the occupant and the waiter to check the occupancy state of the main content managed by the occupant manager 202 and the waiting state managed by the wait manager 203.

콘텐츠제공부(203)는, 메인콘텐츠와 함께 점유자에게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 경과시간 또는 점유 가능한 잔여시간 정보와, 대기자 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제공부(203)는 대기자에게 서브콘텐츠와 함께 대기자의 대기 순번 정보와, 대기자 수,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서브콘텐츠에 대응하는 메인콘텐츠의 점유자의 점유 잔여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The content provider 203 may provide the occupant with the main content, at least one of elapsed time or available occupancy time information for the main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aiting persons.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unit 203 may provide the waiter with at least one of the wait sequence information of the waiter, the number of waiters, and the estimated wait time together with the sub content, and further, the occupant of the ma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ub content. Occupancy remaining tim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그에 따라 점유자는 자신이 점유하고 있는 메인콘텐츠에 대한 대기자의 수나 잔여시간을 확인하여,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특히 콘텐츠에 대해 점유자의 결정이 요구되는 경우(예를 들어, 메인콘텐츠가 상품 판매 웹페이지이고, 점유 상태에서만 상품 구매가 가능한 경우), 점유자는 추후 다시 콘텐츠를 점유하기 위해 대기해야 할 시간이나 노력을 고려하여 보다 신속하게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대기자는 자신의 대기 순번을 확인하여 대기 상태의 지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ccupant can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ents by checking the waiting time or the remaining time for the main contents occupied by the occupant, and especially when the occupant's decision is required for the content (for example, If the product is a product sales web page, and the product can be purchased only in the occupied state), the occupant can make a decision more quickly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or effort to wait to seize the content again later. In addition, the waiter can determine his or her wait time by checking the wait sequence number.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을 하나의 메인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제공서버(200)가 수행하는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다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steps perform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for one main content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again.

임의의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메인콘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S101),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우선 해당 메인콘텐츠의 최대 점유자 수와 점유 카운트를 확인하고(S102), 현재의 점유 카운트가 최대 점유자 수보다 적으면, 점유 카운트를 1 증가시키면서(S103), 동시에 메인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100)을 점유자로 취급하여 메인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한다(S104). When the main content providing request is received from any user terminal 100 (S10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first checks the maximum occupant number and occupancy count of the corresponding main content (S102), and the current occupancy count is maximum. If the number of occupants is smaller than that, the occupancy count is increased by one (S103),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ing to provide the main contents is treated as an occupant and the main contents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S104).

그리고 메인콘텐츠를 점유한 점유자의 메인콘텐츠 점유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을 넘어서거나, 제한시간 이전이라도 점유자가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를 이탈하면(S105),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점유자에 대한 콘텐츠 제공을 중단하고(S106), 점유 카운트를 1 감소시킨다(S107).If the occupant of the main content occupying the main content exceeds the preset time limit, or even before the time limit is occupied by the occupant for the main content (S105),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ontent for the occupant The provision is stopped (S106), and the occupancy count is decreased by one (S107).

그리고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점유자가 하나 이탈된 상태에서 대기자가 있으면, 하나 이상의 대기자 중 1 순위 대기자를 점유자로 변경함으로써(S108) 새로운 점유자에게 메인콘텐츠를 제공하고 점유 카운트를 다시 1 증가 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f there is a waiter in the state where the occupant is one,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main content to the new occupant and increase the occupancy count by 1 again by changing the first rank waiter of the one or more waiters to occupant (S108) Repeat.

이때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점유자의 점유 이탈을 감지하기 위해서 점유자와의 사이에 설정된 연결이 해제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거나, 점유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 내의 응답이 지속적으로 수신되는지 감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continuously monitor whether the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occupant and the occupant is released or detect whether a response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occupant in order to detect the deviation of the occupant. .

한편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 점유 카운트가 최대 점유자 수와 동일하면, 콘텐츠제공서버(200)는 메인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단말(100)을 대기자로서 대기자리스트에 등록하고, 대기 순번을 부여할 수 있다(S109). 이때 대기자에게는 메인콘텐츠를 점유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도록 서브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occupancy count is the same as the maximum occupant number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registers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ing the main content as a waiting list in the waiting list, and assigns the waiting sequence number. It may be (S109). At this time, the sub-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waiter so as to wait to occupy the main content.

그리고 대기자가 서브콘텐츠에 머무르면서 대기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으면, 다른 점유자나 선순위 대기자의 이탈에 따라 대기 순번은 지속적으로 앞선 순위로 변동된다. If the waiter stays in the sub-content and does not leave the waiting state, the waiting order is continuously changed to the previous rank according to the departure of other occupants or senior waiters.

그에 따라 대기자가 1순위 대기자가 되고, 점유자가 제한시간이 경과하거나 자발적 의사로서 점유를 이탈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제공서버(200)는 1 순위 대기자를 새로운 점유자로 전환함으로써 메인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콘텐츠제공서버(200)는 메인콘텐츠에 대한 점유자 중 어느 하나가 점유 상태를 이탈하면, 대기자 리스트에 등록된 사용자단말(100)중 1순위 대기자를 선별한다(S110). 그리하여 1순위 대기자가 새로운 점유자가 되도록 할 수 있다(S108). Accordingly, when the waiter becomes the first waiter and the occupant passes the time limit or voluntarily intention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onverts the first waiter into a new occupant so that the main content is provided. can do. That is, if any one of the occupants of the main content deviates from the occupancy stat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elects the first priority waiter among the user terminals 100 registered in the wait list (S110). Thus, the first priority waiter can be a new occupant (S108).

그러나 콘텐츠제공서버(200)는 특정 메인콘텐츠에 대한 대기자가 1순위 대기자인지 판단하고 1 순위 대기자가 아니면, 점유자 또는 선순위 대기자의 대기 상태 이탈 여부에 따라(S111), 해당 대기자의 대기 순번을 변경하여(S112), 점차 대기 순번이 앞순위로 변동되도록 한다. Howev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waiter for the particular main content is the first waiter, and if it is not the first waiter, depending on whether the occupant or senior waiter is out of the waiting state (S111), by changing the waiting order number of the waiter. (S112), the standby sequence number gradually changes to the priorities.

이에 따르면,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들이 줄을 서서 소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자신의 차례가 될 때까지 콘텐츠를 열람하지 못하거나 콘텐츠에 대해 정해진 액션을 수행할 수 없이 대기하게 되고, 콘텐츠에 대한 기대감을 고양할 수 있다. 나아가 콘텐츠를 이미 점유하거나 소비한 사용자들에게는 희소성있는 콘텐츠를 점유하거나 소비하였다는 자부심을 고취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고급 마케팅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users line up and consume online content. As a result, the user may not be able to read the content or perform a predetermined action on the content until his turn, and the expectation of the content may be increased. Furthermore, the pride of occupying or consuming content that is scarce for users who have already occupied or consumed content can be used, and th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advanced marketing method for online content.

나아가 온라인 상담 등,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인적 자원 또는 오프라인상의 자원이 요구되는 경우, 이와 같이 시간에 종속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공평하게 사용자들에게 배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Furthermore, when human resources or offline resources are required to provide online content, such as online counseling, this time-dependent resource can be efficiently allocated and distributed to users fairly.

또한 오프라인 상의 줄서기를 통해 선착순으로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온라인 상에서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l services provid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can be implemented as it is online through an offline queue.

이에 따르면, 온라인으로 한정판 상품을 판매하면서 상품에 대한 판매 페이지를 선착순으로 접근 가능하게 하거나, 특정인의 온라인 상담에 대해 수요자들을 줄을 서서 대기한 후 상담 가능하게 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한번에 제한된 인원만 소비 가능하도록 하여 콘텐츠에 대한 나머지 수요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등,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한 마케팅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allows you to sell limited edition products online and make sales pages accessible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to queue customers for a specific person's online consultation, or to consume multimedia content at a tim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marketing methods, such as to induce interest of the remaining users of the content by making it possible.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Claims (18)

사용자단말로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메인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콘텐츠에 대한 현재 점유자 수가 최대 점유자 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점유자 수가 상기 최대 점유자 수 미만이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메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메인 콘텐츠를 제공하면,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메인 콘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메인 콘텐츠에 대한 점유 이탈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메인 콘텐츠에 대한 점유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의 연결 상태는,
상기 메인 콘텐츠가 연결 지향형 통신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 각각과 상기 콘텐츠제공서버 사이에 설정된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중단되고,
상기 메인 콘텐츠가 비연결형 통신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으로써 중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
Performed by a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ing content requested by a user terminal,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main content from a first user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number of occupants for the main cont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If the current occupant number is less than the maximum occupant number, providing the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Increasing the current occupant number when providing the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main content is disconnected by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main content; And
Reducing the current number of occupants if an occupancy deviation is detected for the main conten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When the main content is provided in a connection-oriented communication scheme, the connection is stopped between each of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is stopped.
If the main content is provided in a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manner,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interrupted by not receiving a signal within a preset period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메인 콘텐츠의 제공이 완료되거나,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의 상기 메인 콘텐츠를 제공을 개시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메인 콘텐츠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When the provision of the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is completed or a preset time limit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provision of the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starts, the main to the first user terminal Discontinuing content provision and reducing the current number of occup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점유자 수가 상기 최대 점유자 수 이상이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메인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메인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브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If the current occupant numb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occupant number, providing the sub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content without providing the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서브 콘텐츠를 제공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을 상기 메인 콘텐츠에 대한 대기자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hod,
If the sub content is provid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registering the first user terminal in a waiting list for the main cont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인 콘텐츠에 대한 점유 이탈이 감지되어,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감소시키면, 상기 대기자 리스트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 중 상기 최대 점유자 수에서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차감한 수에 대응하는 수의 사용자단말을 추출하여, 추출된 사용자단말로 상기 서브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메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수만큼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thod,
When the occupancy deviation of the main content is detected and the current occupant number is decreased,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occupant subtracted from the maximum occupant number among one or more user terminals registered in the waiting list is reduced. Extracting and stopping the provision of the sub content to the extracted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main content; And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current occupants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user terminal.
사용자단말로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메인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콘텐츠관리부;
상기 콘텐츠관리부에 등록된 복수의 메인 콘텐츠 중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하여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메인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현재 점유자 수가 최대 점유자 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점유자관리부;
상기 점유자관리부의 확인 결과,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상기 현재 점유자 수가 상기 최대 점유자 수 미만이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메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유자관리부는,
상기 콘텐츠제공부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메인 콘텐츠를 제공하면,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현재 점유자 수를 증가시키되, 상기 메인 콘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점유 이탈 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점유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점유자관리부는,
상기 제1메인 콘텐츠가 연결 지향형 통신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 각각과 상기 콘텐츠제공서버 사이에 설정된 연결이 해제됨을 감지하고, 상기 메인 콘텐츠가 비연결형 통신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점유 이탈을 감지하는, 콘텐츠제공서버.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main contents;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main conten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main contents registered i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confirming whether the current number of occupants for the first main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Occupant management unit;
If the current occupant number of the first main content is less than the maximum number of occupants, the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first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When the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the first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e current occupant number of the first main content is increased, and the connection state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main content is checked. Monitoring whether the seizure of the first main content is detected; and if the seizure of the first main content is detected, the current number of occupants is decreased;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When the first main content is provided in a connection-oriented communication method, it is detected that a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each of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s released, and when the main content is provided in a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method, Detecting whether a signal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and detecting deviation of the first main cont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제공부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제1메인 콘텐츠의 제공이 완료되거나,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의 상기 제1메인 콘텐츠를 제공을 개시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제1메인 콘텐츠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점유자관리부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제1메인 콘텐츠 제공이 중단되면,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감소시키는, 콘텐츠제공서버.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ent providing unit,
When the provision of the first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is completed or a preset time limit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provision of the first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starts, the first user terminal Stop providing the first main content for,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And if the provision of the first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is stopped, reducing the current number of occupant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제공부는,
상기 현재 점유자 수가 상기 최대 점유자 수 이상이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메인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1서브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ent providing unit,
And providing the first sub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in content without providing the first main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when the current occupant numb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occupant nu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는,
상기 콘텐츠제공부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서브 콘텐츠를 제공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을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대기자 리스트에 등록하는 대기자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제공서버.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a standby manager configured to register the first user terminal in a waiting list for the first main content when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the first sub cont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제공부는,
상기 점유자관리부가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점유 이탈을 감지하여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감소시키면, 상기 대기자 리스트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 중 상기 최대 점유자 수에서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차감한 수에 대응하는 수의 사용자단말을 추출하여, 추출된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서브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제1메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ent providing unit,
If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detects a deviation of the occupancy of the first main content and decreases the current occupant number,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corresponds to a number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urrent occupant number from the maximum occupant number among one or more user terminals registered in the waiting list. And extracting a number of user terminals, and stopping providing of the first sub content to the extracted user terminals and providing the first main conten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제공부는,
상기 점유자관리부가 상기 제1메인 콘텐츠에 대한 점유 이탈을 감지하여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감소시키면, 상기 대기자 리스트에서 상기 최대 점유자 수에서 상기 현재 점유자 수를 차감한 수에 대응하는 수의 사용자단말을, 사용자단말이 상기 대기자 리스트에 먼저 등록된 순서에 따라 또는 무작위로 추출하는, 콘텐츠제공서버.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ent providing unit,
When the occupant management unit detects a deviation from the occupancy of the first main content and decreases the current occupant number,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ubtracting the current occupant number from the maximum occupant number in the waiting list, And a user terminal extracts randomly or according to the order registered first in the waiting lis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자관리부는,
상기 대기자 리스트에 등록된 사용자단말의 상기 제1서브 콘텐츠에 대한 연결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이탈한 사용자단말을 상기 대기자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콘텐츠제공서버.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andby management unit,
Detect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waiting list is dis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 content, and excluding the separated user terminal from the waiting list.
KR1020130069174A 2013-03-11 2013-06-17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ccupation of contents KR1020627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845 2013-03-11
KR20130025845 2013-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570A KR20140111570A (en) 2014-09-19
KR102062713B1 true KR102062713B1 (en) 2020-01-06

Family

ID=5175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174A KR102062713B1 (en) 2013-03-11 2013-06-17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ccupation of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7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800B1 (en) 2018-06-08 2020-06-19 주식회사 데이터블 Method, server device and program for content recommendation based on user preferences
KR102352049B1 (en) * 2020-02-18 2022-01-18 이흥연 Distributed Waiting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Waiting Using th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114A (en) * 2001-03-21 2002-09-27 Inter Inter Kk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JP2008059399A (en) 2006-08-31 2008-03-13 Brother Ind Lt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device, and its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114A (en) * 2001-03-21 2002-09-27 Inter Inter Kk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JP2008059399A (en) 2006-08-31 2008-03-13 Brother Ind Lt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device, and its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570A (en) 201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2750B2 (en) Technologies for messaging agent platforms
US10356199B2 (en) Content distribution with a quality based on current network connection type
US9210217B2 (en) Content broker that offers preloading opportunities
US8868639B2 (en) Content broker assisting distribution of content
CA2825653C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770438B2 (en) Network communications
US9826012B2 (en) Establishment and synchronization of a virtual theater based on transaction information and playback preference information
US9137086B1 (en) Social media session access
US201401147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bandwidth based on device user response
KR101986625B1 (en) Content broker assisting distribution of content
US20150381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ata usage for a service across multiple devices
US10313304B2 (en) System for demand-based regulation of dynamically implemented firewall exceptions
JP2006309737A (en) Disclosur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personal identification level calculation device, id level acquisition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disclosur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personal identification level calculation method, id level acquisition method and program
KR20210025201A (en)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TW20214785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via efficient database architecture for individualized time management
EP3220599B1 (en) System for demand -based regulation of dynamically implemented firewall exceptions
KR1020627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ccupation of contents
JP70521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ervice provision availability determination method
JP69831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dvertisement distribution methods, and programs
US94199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lue-based resource management and admission control
JP69203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age status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8625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rvice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