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269B1 - Frame for Photo Frame Combined Use Composition Tool - Google Patents

Frame for Photo Frame Combined Use Composition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269B1
KR102062269B1 KR1020170109524A KR20170109524A KR102062269B1 KR 102062269 B1 KR102062269 B1 KR 102062269B1 KR 1020170109524 A KR1020170109524 A KR 1020170109524A KR 20170109524 A KR20170109524 A KR 20170109524A KR 102062269 B1 KR102062269 B1 KR 102062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forming member
indentation groove
composi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3574A (en
Inventor
권헌윤
Original Assignee
권헌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헌윤 filed Critical 권헌윤
Priority to KR102017010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269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5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1Photograph stand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3Picture frame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상 외간을 가지고, 내부(10)에는 사진 또는 시트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며, 전면(20)에는 상기 사진 또는 상기 시트 부재가 전방으로 보이게 노출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후면(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부(140)와 연결되어, 프레임(100)을 거치, 걸이 및 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형 부재(15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도가 잡힌 사진 또는 시트 부재를 보면서 용이하게 그림을 그릴 수 있고, 액자 및 구도기를 겸용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Disclosed are a picture frame and a composition frame. Picture frame and compositio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ate-shaped outer shell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interior 10 includes a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icture or sheet member, the front side 20 is the picture or It includes a structure that exposes the sheet member to be visible to the front, the rear surface 30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14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40, the frame 100, hanger and By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deforming members 150 to deform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attached, the user can easily draw a picture while viewing the composition or picture member, and the picture frame and the composition device,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Frame for Photo Frame Combined Use Composition Tool}Frame and Photo Frame Combined Use Composition Tool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frame and a composition frame combine.

종래에는 미술가가 사진을 보고 그림을 그릴 경우에 사진을 고정시킬 만한수단이 없어서 사진을 직접 손으로 들고 보면서 그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the related art, when an artist looks at a picture and draws a picture,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fix the picture, so there is inconvenience of having to hold the picture by hand while drawing.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진을 보고 그림을 그릴 경우에도 사진의 구도를 잡아서 그리면 더욱 효율적이고 완성도 높은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는데 사진의 구도를 잡을 수 있는 도구가 없어서 화가가 눈대중으로 사진의 구도를 잡아가며 그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drawing a picture and drawing a picture, it is possible to draw a more efficient and complete picture by composing a picture, and there is no tool to compose the pictur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draw.

그리하여, 본원 출원인은 미술용 사진 구도기 특허등록 제10-1672903호(이하, 선등록 발명이라 함)를 출원하여 등록 받았으나, 선등록 발명은 구도기 본체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선등록 발명은 구도기를 세워놓거나 화판에 장착하는 거치수단의 구조가 복잡하여 부품교체를 위해 조립 및 분해하는 과정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the patent registration of art photograph composition device No. 10-16729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e-invented invention), but the pre-invention invention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because the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ddition, the pre-registered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process for the replacement of parts is difficul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means for mounting the composition or mounting on the drawing board is complicated.

한편, 이러한 사진 구도기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사진 또는 시트 부재가 지지되기 위한 몸체, 몸체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사진 또는 시트 부재와 일체화되어 장식 효과를 부여하는 테두리 프레임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액자의 구성과 유사하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photo composition device is basically composed of a frame, including a frame for supporting a photo or sheet member, the frame frame is installed on the border of the body and integrated with the photo or sheet member to give a decorative effect, etc. Similar to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진 구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도기를 세워놓거나 화판에 장착하는 거치수단의 구조 등의 복잡한 부품이 필요하므로, 액자와 실질적으로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액자로서의 역할은 극히 제한적이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다수 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erform a function as a picture composition device, since complicated parts such as a structure of a mounting means for mounting a picture frame or mounting on a drawing board are needed, despite having a structure very similar to that of a picture frame, Roles are often extremely limited or unavailable.

한국특허등록공보: 10-1672903(2016.10.31)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10-1672903 (2016.10.3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자 및 구도기를 겸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modified in a variety of forms to be compatible with the frame and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진 또는 시트 부재를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간편하고 정밀하게 구도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allows for easy and precise composition by dividing the photo or sheet member into a plurality of are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또는 시트 부재가 안착되는 후면 패널, 상기 후면 패널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사진 또는 상기 시트부재를 전방으로 보이게 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 및 후면 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 패널의 상기 테두리부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일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사진 또는 상기 시트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하는 중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 패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부와 연결되어 프레임)을 거치, 걸이 및 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형 부재를 포함하는,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panel on which a photograph or sheet member is seated, an opening form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ar panel and making the photograph or sheet member visible, and an edge except the opening may be included. Locat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the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photo or the sheet member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dge portion of the front panel and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is open shape It includes an intermediate panel, including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on the rear panel,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frame)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deformation members for deforming in a variety of forms that can be mounted, hooked and attached Can provide a picture frame and a composition frame.

또한, 상기 서포트부는, 가로 기준선 또는 세로 기준선 상에 위치하는 제 1 서포트부 및 제 2 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 또는 비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의 제 1 변형 부재 및 제 2 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positioned on a horizontal reference line or a vertical reference line, and the deformable members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deformable member is mounted or unmounted in the frame. It may include a first deforming member and a second deforming member.

또한, 상기 제 2 변형 부재는, 일면에 상기 제 1 변형 부재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둘레의 단면 또는 양면에는 접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eforming member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into which one side end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is inserted into one surface, and an adhesive surface on one end or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part.

또한, 상기 제 1 서포트부는, 접이선을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절개되어 있고, 절곡시 내부로 상기 제 1 변형 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서포트부는, 접이선을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절개되어 있고, 절곡시 상기 제 1 변형 부재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cut in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long the fold line, the bent groov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first deforming member can be penetrated inside when bend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fold line It is cut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long,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may be protruded when bent.

또한, 상기 제 1 변형 부재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 측에 상기 제 1 변형 부재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1 만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만입홈에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상기 지지부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제 1 변형 부재의 삽입 정도 또는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절곡 각도 에 따라 프레임의 지지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deformable member may include a first indentation recessed inwardly of the first deformable member on one side of a plane, and the support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dentation recess. Supported in the state, the support angle of the fram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gree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or the bending angl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제 1 서포트부는, 접이선을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절개되어 있고, 절곡시 벽면의 못에 거치가 가능하거나 상기 제 1 변형 부재와 결합하여 거치가 가능한 'ㄷ' 형상의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cut in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long the fold line, and includes a 'c' shaped ring portion that can be mounted on the nail of the wall when bending or can be mount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deforming member can do.

또한,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 또는 비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변형 부재와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의 제 3 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forming member may include a third deform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deforming member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r unmounted in the frame.

또한, 상기 제 1 변형 부재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 측에 상기 제 1 변형 부재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1 만입홈을 포함하고, 평면을 기준으로 타 측에 상기 제 1 변형 부재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2 만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변형 부재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 측에 상기 제 3 변형 부재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3 만입홈을 포함하고, 평면을 기준으로 타 측에 상기 제 3 변형 부재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4 만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만입홈 및 상기 제 2 만입홈은,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외측으로부터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 3 만입홈은,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만입홈과 동일한 구조로 만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만입홈은,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만입홈이 만입된 외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만입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deform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indentation recessed inwardly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on one side of a plane, and indentation into the first deforming member on the other side of a plane. And a third indentation groove, wherein the third deformable member includes a third indentation groove indented inwardly of the third deformable member on one side of a plane, and the third deformation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plane. And a fourth indentation groove indented into the third deforming member, wherein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and the second indentation groove are indented from the same outer side on the basis of the plane, and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is on the plane As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is indented in the same structure, the fourth indentation groov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is indent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outside indentation on the basis of the plane.

또한, 상기 제 1 만입홈 및 제 3 만입홈 상단에 프레임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만입홈 및 제 4 만입홈을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indentation groove and the fourth indentation groove while the frame is mounted on top of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and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to support the frame.

또한, 상기 후면 패널은, 상기 서포트부가 비 위치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선을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panel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incisions or at least one adhesive portion at a portion where the support portion is not loca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후면에 하나 이상의 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서포트부와 연결되어 프레임을 거치, 걸이 및 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변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도가 잡힌 사진 또는 시트 부재를 보면서 용이하게 그림을 그릴 수 있고, 액자 및 구도기를 겸용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support parts are included on the rear of the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and one or more deformation members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s to deform the frame into various forms that can be mounted, hooked and attached. By doing so, the user can easily draw a picture while viewing the picture or sheet member, and the picture frame and the composition device can be used together,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전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 부재들을 포함하고, 이동 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구도줄을 포함함으로써, 이동 부재들을 이동시켜 구도줄에 의해 사진 또는 시트 부재를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간편하고 정밀하게 구도를 잡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moving members on the front of the frame and composition frame, and comprising a composition line located between the moving members, by moving the moving members by the composition line By dividing the photo or sheet member into a plurality of regions, it is possible to compose the composition simply and precis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제 1 변형 예시를 나타내는 후면 모식도이다
도 6은도 5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2의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제 2 변형 예시를 나타내는 후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2의 액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제 3 변형 예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후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에 이동 부재들이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이동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ame combined with a frame and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mbined with a compositio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eform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picture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of FIG. 2.
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FIG. 7 is a rear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picture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of FIG. 2.
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FIG. 9 is a front schematic view show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liquid and composition frame of FIG. 2. FIG.
10 is a schematic rear view of FIG. 7.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moving members are mounted in a picture frame and a composition fram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assist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only and should not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equipment"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icture frame and a compositio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100)은 도 1(a)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상 외간을 가지고, 내부(10)에는 사진 또는 시트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며, 전면(20)에는 사진 또는 상기 시트 부재가 전방으로 보이게 노출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도 1(b)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면(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부(140)를 포함하며, 도 1(c)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포트부(140)와 연결되어, 프레임(100)을 거치, 걸이 및 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형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mbined frame 100 and the composition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late-shaped outer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illustrated in FIG. Or a structure in which a sheet member can be inserted, and the front surface 20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 photo or the sheet member is exposed to be seen forward, and as illustrated in FIG. 1B, the rear surface 30 is illustrated. It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140, and as illustrated in Figure 1 (c),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40, the frame 100 is deform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mounted, hooked and attached At least one deformation member 150 may be included.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100)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종이, 프라스틱 사출물, 알루미늄 및 고무자석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전면(20), 후면(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구성을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combines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one material selected from paper, plastic injection molding, aluminum and rubber magnets, frame and combine composition frame 100 The front side 20, the rear side 30 constituting the can be formed integrally, it may be a configuration to manufacture and combine each configuration separately.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분해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cture frame and composition frame com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100)은, 사진 또는 시트 부재(210)가 안착되는 후면 패널(110), 후면 패널(110)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사진 또는 시트부재를 전방으로 보이게 하는 개구부(121) 및 개구부(121)를 제외한 테두리부(122)를 포함하는 전면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hoto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of the composition 100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ar panel 110 and the rear panel 110 on which the photo or sheet member 210 is seated, and the front of the photo or sheet member. The front panel 120 including the opening 121 and the edge portion 122 except for the opening 121 may be included.

또한, 전면 패널(120) 및 후면 패널(110) 사이에 위치하며, 전면 패널(120)의 테두리부(122)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테두리부(122)의 일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사진 또는 시트 부재(21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31)을 포함하는 중간 패널(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면 패널(110)에는 서포트부(140)를 포함하며, 변형 부재(150)가 서포트부(140)와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panel 120 and the rear panel 110,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dge portion 122 of the front panel 120, the photo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122 is open Alternatively, the panel member 210 may include an intermediate panel 130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131 for inserting the sheet member 210. The rear panel 110 includes a support part 140, and the deformation member 150 is provided. It may b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40.

삽입홈(131)에는 사진 또는 시트 부재(210) 이외에 투명구도판(220)이 삽입될 수 있으며, 투명구도판(220)은, 투명한 합성수지재 판으로 형성하여 전면에 유색의 구도선(221)을 형성하고, 사진 또는 시트 부재(210)가 투명구도판(220)에 의해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로 개구부(121)를 통해 노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hoto or sheet member 210, the transparent sphere plate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1, and the transparent sphere plate 220 is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plate to form colored spheres 221 on the front surface. And a photo or sheet member 210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21 in a stat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the transparent sphere plate 220.

구도선(221)은 사진 또는 시트 부재(210)를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구조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삼각형 구도, 마름모꼴 구도, 원형 구도, 대각선 구도, 황금 분할 구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도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position line 2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for dividing the photo or sheet member 210 into a plurality of regions. For example, the composition line 221 may be selected from a triangular composition, a rhombic composition, a circular composition, a diagonal composition, and a golden division composition. One or more compositions may be represen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후면 패널(110)은, 서포트부(140)가 비 위치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선(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절개선(111)의 후면 패널(110)의 소재에 따라 수분 등에 의해 뒤틀리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panel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incision lines 111 at a portion where the support unit 140 is not located, and may be moist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rear panel 110 of the incision line 111. It can minimize the problem of warping or damage by the back.

또한, 후면 패널(110)의 모서리부에는, 도 1에 예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부들(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부들(112)을 활용하여 벽면 등에 간단하게 부착하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 an edge portion of the rear panel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adhesive portions 112, and may be simply attached to a wall surface by using the adhesive portions 112. It may be a structure.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form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서포트부(140)는, 가로 기준선(L1) 또는 세로 기준선(L2) 상에 위치하는 제 1 서포트부(141) 및 제 2 서포트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ogether with FIG. 2, the support unit 140 may refer to the first support part 14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42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L 1 or the vertical reference line L 2 . It may include.

제 1 서포트부(141)는, 접이선(161)을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절개되어 있고, 절곡시 내부로 제 1 변형 부재(151)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홈(162)이 형성되며, 제 2 서포트부(142)는, 접이선(163)을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절개되어 있고, 절곡시 제 1 변형 부재(151)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부(164)가 돌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141 is cut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long the fold line 161, and a through groove 162 through which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can be penetrated into the inside is formed at the time of bending. The second support part 142 may be cut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long the fold line 163, and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part 164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protrudes during bending. have.

또한, 제 1 서포트부(141)는 접이선(161)을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절개되어 있고, 절곡시 벽면의 못에 거치가 가능하거나 제 1 변형 부재(151)와 결합하여 거치가 가능한 'ㄷ' 형상의 고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141 is cut in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long the fold line 161, and can be mounted on the nail of the wall when bending or can be mount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 It may include a ring portion 165 of the c 'shape.

한편, 변형 부재(150)는, 프레임(100)에 장착 또는 비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의 제 1 변형 부재(151) 및 제 2 변형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formable member 150 may include a first deformable member 151 and a second deformable member 152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deformable member 150 is mounted or unmounted in the frame 100.

제 1 변형 부재(151)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 측에 제 1 변형 부재(151)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1 만입홈(171)을 포함하며, 제 1 만입홈(171)에 제 2 서포트부(142)의 지지부(164)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ncludes a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recessed inwardly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on one side of the plane, and supports the second indentation in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The support 164 of the unit 142 may be a structure that is supported in the inserted state.

제 2 변형 부재(152)는, 일면에 제 1 변형 부재(151)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81) 및 삽입부(181)의 둘레의 단면 또는 양면에는 접착면(182)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변형 부재(15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면에 접착면(182)이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가 평면 형상의 판에 접착되어 삽입부(181)가 형성되는 구조 또한 가능하다.The second deforming member 152 includes an inserting portion 181 into which one side end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s inserted, and an adhesive surface 182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portion 181. The second deformable member 152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a structure in which an edge portion on which an adhesive surface 182 is formed on both surfaces is bonded to a plate having a planar shape and an insertion portion 181 is also formed. Do.

제 1 변형 부재(151) 및 제 2 변형 부재(152)의 결합은 제 1 변형 부재(151)의 제 1 만입홈(171)이 위치하지 않는 일 단부가 제 2 변형 부재(152)의 삽입부(181)에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다.The first deformable member 151 and the second deformable member 152 ar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deformed member 151 where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is not positioned. It may be inserted into the (181).

한편, 변형 부재(150)는, 프레임(100)에 장착 또는 비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변형 부재(151)와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의 제 3 변형 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formable member 150 may include a third deformable member 153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n a state in which the deforming member 150 is mounted or not mounted on the frame 100.

구체적으로, 제 1 변형 부재(15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면을 기준으로 일 측에 제 1 변형 부재(151)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1 만입홈(171)을 포함할 수 있고, 평면을 기준으로 타 측에 제 1 변형 부재(151)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2 만입홈(17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eformable member 151 may include a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recessed inwardly of the first deformable member 151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plane, and the plane Based on the second side may include a second indentation groove 172 inden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또한, 제 3 변형 부재(153)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 측에 제 3 변형 부재(153)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3 만입홈(173)을 포함할 수 있고, 평면을 기준으로 타 측에 제 3 변형 부재(153)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4 만입홈(174)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may include a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recessed inwardly of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on one side of the plane,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plane. It may include a fourth indentation groove 174 indented into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제 1 만입홈(171) 및 제 2 만입홈(172)은,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외측으로부터 만입되어 있고, 제 3 만입홈(173)은, 평면을 기준으로 제 1 만입홈(171)과 동일한 구조로 만입되어 있으며, 제 4 만입홈(174)은, 평면을 기준으로 제 3 만입홈(173)이 만입된 외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만입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and the second indentation groove 172 are indented from the same outside on the basis of the plane, and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is the same as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on the basis of the plane. The fourth indentation groove 174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is indented from an opposite side of the outer side in which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is indented.

따라서, 제 1 만입홈(171) 및 제 3 만입홈(173) 상단에 프레임(100)을 거치한 상태에서 제 2 만입홈(172) 및 제 4 만입홈(174)을 결합하여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refore, the frame 100 is coupled to the second indentation groove 172 and the fourth indentation groove 174 in a state where the frame 100 is mounted on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and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It may be a structure for support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포트부(140) 및 변형 부재(150)의 결합을 통해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100)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예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frame 100 and the combine frame 100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unit 140 and the deformation member 15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에는 도 2의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제 1 변형 예시를 나타내는 후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 schematic rear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of FIG. 2, and 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5.

도 5 및 6을 도 2 내지 4와 함께 참조하여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100)의 제 1 변형 예시를 설명하면,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 부재(151)가 제 1 서포트부(141)의 관통홈(162)을 관통한 상태로 삽입되고,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서포트부(142)의 지지부(164)에 제 1 변형 부재(151)의 제 1 만입홈(171)이 접촉하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ogether with FIGS. 2 to 4,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100 combined with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As illustrated in FIG. 5,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supports the first support.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164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42 which is inserted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groove 162 of the portion 141. It can be mounted in contact form.

이때, 제 2 변형 부재(152)의 일 면은,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하고자 하는 테두리목(300)에 접착된 상태에서, 제 1 변형 부재(151)의 삽입 정도 또는 제 2 서포트부(142)의 절곡 각도에 따라 프레임(100)의 지지각도(R)가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surface of the second deforming member 152 is inserted into the edge neck 300 to be fixed, as illustrated in FIG. 6, the insertion degree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or the second The support angle R of the frame 1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of the support part 142.

도 5 및 6에서는 도 3의 세로 기준선(L2)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 1 서포트부(141) 및 제 2 서포트부(142)에 제 1 변형 부재(151)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가로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제 1 변형 부재(151)를 삽입하는 구조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5 and 6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part 14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42 formed along the vertical reference line L 2 of FIG. 3. However, if necessary, the structure of inserting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based o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L 1 is also possible.

도 7에는 도 2의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제 2 변형 예시를 나타내는 후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rear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of FIG. 2, and FIG. 8 is a side schematic view of FIG. 7.

도 7 및 8을 도 2 내지 4와 함께 참조하여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100)의 제 2 변형 예시를 설명하면, 도 7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 부재(151)의 제 1 만입홈(171)이 제 1 서포트부(141)의 고리부(165)와 결합하여 프레임(10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ogether with FIGS. 2 to 4,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rame and composition frame 100 is illustrated. As illustrated in FIG. 7, the first indentation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s illustrated. The groove 171 may be fixed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0 by combining with the ring portion 165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41.

이러한 구조는 도 8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100)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며, 지면 또는 책상 등에 간단하게 세울 수 있는 구조로서, 액자 또는 구도기로 사용이 가능하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structure may be modifi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100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may be simply mounted on the ground or a desk, and may be used as a frame or composition. It is possible.

도 9에는 도 2의 액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의 제 3 변형 예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의 후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front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liquid and composition frame of FIG. 2, and FIG. 10 is a rear schematic diagram of FIG. 9.

도 9 및 10을 도 2 내지 4와 함께 참조하여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100)의 제 3 변형 예시를 설명하면, 도 9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 부재(151)의 제 1 만입홈(171) 및 제 3 변형 부재(153)의 제 3 만입홈(173) 상단에 프레임(100)을 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ogether with FIGS. 2 to 4,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frame and composition frame 100 is illustrated. As illustrated in FIG. 9, the first indentation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s illustrated. The frame 100 may be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of the groove 171 and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이러한 구조는 도 10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 변형 부재(151)의 제 1 만입홈(171) 및 제 3 변형 부재(153)의 제 3 만입홈(173)에 대한 대향 측에 위치하는 제 1 변형 부재(151)의 제 2 만입홈(172) 및 제 3 변형 부재(153)의 제 4 만입홈(174)을 서로 결합하여 프레임(100)의 후면에서 지지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에 의해 지면 또는 책상 등에 간단하게 세울 수 있는 구조로서, 액자 또는 구도기로 사용이 가능하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e structure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and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of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The second indentation groove 172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and the fourth indentation groove 174 of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structure at the rear of the frame 100. It can be used as a picture frame or a composition 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t up on the ground or desk.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에 이동 부재들이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의 이동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moving members are mounted on a frame and a composition fram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 of FIG. 11.

이들 도면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100)은, 이동 부재들(410), 이동 부재들(410) 사이에 위치하는 구도줄(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패널(120)의 테두리부(122)에는 눈금표시부(430)가 포함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in conjunction with FIG. 2, the picture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100 may include moving members 410 and composition lines 420 positioned between the moving members 410, and the front panel. The edge portion 122 of the 120 may include a scale display portion 430.

이동 부재들(410)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410)의 일 측에 위치하며, 이동 부재들(410)이 프레임(100)의 둘레에 끼워지기 위한 장착홈(440)을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t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s 410, as illustrated in FIG. 12, located on one side of the moving member 410, the moving members 410 for fitting around the frame 100 It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440.

즉, 이동 부재들(410)의 장착홈(440)이 프레임(100)에 둘레에 끼워진 상태에서 눈금표시부(430)를 참조하여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동 부재들(410) 사이에 위치하는 구도줄(420)에 의해 사진 또는 시트 부재(210)가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상태로 개구부(121)를 통해 노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That is, the mounting groove 440 of the movable members 410 may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scale display unit 430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groove 440 of the movable members 410 is fitted around the frame 100, and between the movable members 410. The photo or sheet member 210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21 in a state in which the photo or sheet member 2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y the composition line 420 positioned at.

구도줄(420)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신축성이 있는 고무줄 소재로 제작되어 간편하게 이동 부재들(410)을 프레임(100)에 장착하는 형태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composition line 4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to easily mount the moving members 410 to the frame 100.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이동 부재들(410)의 이동에 따라 구도줄(420)에 의해 사진 또는 시트 부재(210)를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간편하고 정밀하게 구도를 잡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is structure divides the photographic or sheet member 210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the composition line 4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s 410, thereby making it easy and precise to compose the user's work efficiency. It can greatly impr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 내부
20: 전면
30: 후면
100: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110: 후면 패널
111: 절개선
112: 접착부
120: 전면 패널
121: 개구부
122: 테두리부
130: 중간 패널
131: 삽입홈
140: 서포트부
141: 제 1 서포트부
142: 제 2 서포트부
150: 변형 부재
151: 제 1 변형 부재
152: 제 2 변형 부재
153: 제 3 변형 부재
161, 163: 접이선
162: 관통홈
164: 지지부
165: 고리부
171: 제 1 만입홈
172: 제 2 만입홈
173: 제 3 만입홈
174: 제 4 만입홈
181: 삽입부
182: 접착면
210: 사진 또는 시트 부재
220: 투명구도판
221: 구도선
300: 테두리목
410: 이동 부재
420: 구도줄
430: 눈금표시부
440: 장착홈
10: internal
20: front
30: rear
100: picture frame and composition frame
110: back panel
111: incision
112: adhesive part
120: front panel
121: opening
122: border
130: middle panel
131: insertion groove
140: support part
141: first support part
142: second support part
150: deformation member
151: first deforming member
152: second deforming member
153: third deforming member
161, 163: fold line
162: through groove
164: support
165 ring portion
171: first indentation groove
172: second indentation groove
173: third indentation groove
174: fourth indentation groove
181: insertion unit
182: adhesive side
210: photo or sheet member
220: transparent sphere plate
221: composition line
300: border
410: moving member
420: composition line
430: scale display unit
440: mounting groove

Claims (10)

사진 또는 시트 부재가 안착되는 후면 패널(110);
상기 후면 패널(110)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사진 또는 상기 시트부재를 전방으로 보이게 하는 개구부(121) 및 상기 개구부(121)를 제외한 테두리부(122)를 포함하는 전면 패널(120); 및
상기 전면 패널(120) 및 후면 패널(11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 패널(120)의 상기 테두리부(122)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22)의 일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사진 또는 상기 시트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31)을 포함하는 중간 패널(130);
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 패널(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부(140)와 연결되어 프레임(100)을 거치, 걸이 및 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형 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140)는, 가로 기준선 또는 세로 기준선 상에 위치하는 제 1 서포트부(141) 및 제 2 서포트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부재(150)는,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 또는 비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의 제 1 변형 부재(151) 및 제 2 변형(15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변형 부재(152)는, 일면에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81) 및 상기 삽입부(181)의 둘레의 단면 또는 양면에는 접착면(182)을 포함하는,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A rear panel 110 on which a photo or sheet member is seated;
A front panel 120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ar panel 110 and including an opening 121 for making the photo or the sheet member look forward and an edge 122 except for the opening 121; And
Located between the front panel 120 and the rear panel 110, the front panel 120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dge portion 122 and the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122 is open An intermediate panel 130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131 through which the photo or the sheet member is inserted;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support parts 140 are included in the rear panel 110, and at least one or more modifications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40 to deform the frame 100 into various shapes that can be mounted, hooked, and attached. A member 150,
The support part 14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141 and a second support part 142 positioned on a horizontal reference line or a vertical reference line.
The deformable member 150 may include a first deformable member 151 and a second deformable 152 member that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deformable member 150 is mounted or unmounted in the frame 100.
The second deforming member 152 has an insertion portion 181 in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s inserted into one surface, and an adhesive surface 182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portion 181. Picture frame and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부(141)는, 접이선(161)을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절개되어 있고, 절곡시 내부로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홈(16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서포트부(142)는, 접이선(163)을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절개되어 있고, 절곡시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부(164)가 돌출되는,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portion 141 is cut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long the fold line 161, the through groove 162 through which the first deformable member 151 can be penetrated into the bent portion 161 is formed. ,
The second support portion 142 is cut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long the fold line 163, and the support portion 164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protrudes during bending, Picture frame and composition fram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 측에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1 만입홈(17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만입홈(171)에 상기 제 2 서포트부(142)의 상기 지지부(164)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의 삽입 정도 또는 상기 제 2 서포트부(142)의 절곡 각도 에 따라 프레임(100)의 지지각도가 변경되는,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ncludes a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recessed inwardly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on one side of a plane, and includes a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The support part 164 of the second support part 142 is supported while being inserted, and the frame 100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gree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or the bending angle of the second support part 142. Frame and composition frame with change of support ang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부(141)는, 접이선(161)을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절개되어 있고, 절곡시 벽면의 못에 거치가 가능하거나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와 결합하여 거치가 가능한 'ㄷ' 형상의 고리부(165)를 포함하는,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support portion 141 is cut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long the fold line 161, and can be mounted on the nail of the wall when bending, or can be mount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Picture frame and composition device including a frame '165' ring portion (16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150)는,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 또는 비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와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의 제 3 변형 부재(153)를 포함하는,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formable member 150 may include a third deformable member 153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while being mounted or unmounted to the frame 100. And an old-fashioned fram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 측에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1 만입홈(171)을 포함하고, 평면을 기준으로 타 측에 상기 제 1 변형 부재(151)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2 만입홈(172)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변형 부재(153)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 측에 상기 제 3 변형 부재(153)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3 만입홈(173)을 포함하고, 평면을 기준으로 타 측에 상기 제 3 변형 부재(153)의 내측으로 만입된 제 4 만입홈(174)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만입홈(171) 및 상기 제 2 만입홈(182)은,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외측으로부터 만입되어 있고,
상기 제 3 만입홈(173)은,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만입홈(171)과 동일한 구조로 만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만입홈(174)은,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만입홈(173)이 만입된 외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만입되어 있는,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includes a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recessed inwardly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on one side of the plane, and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on the other side of the plane. It includes a second indentation groove 172 indented into the first deforming member 151,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includes a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recessed inwardly of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on one side of the plane, and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on the other side of the plane. And a fourth recessed groove 174 indented into the third deforming member 153,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and the second indentation groove 182 are indented from the same outside on the basis of the plane,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is indent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on the basis of a plane,
The fourth indentation groove (174), the frame and the composition frame combines the frame is indent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outside in which the third indentation (173) is indented on the basis of the plan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만입홈(171) 및 제 3 만입홈(173) 상단에 프레임(100)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만입홈(172) 및 제 4 만입홈(174)을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구조인,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frame 100 is coupled to the second indentation groove 172 and the fourth indentation groove 174 in a state where the frame 100 is mounted on the first indentation groove 171 and the third indentation groove 173. Picture frame and composition frame supporting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패널(110)은, 상기 서포트부(140)가 비 위치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선(111)을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부(112)를 포함하는,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panel 110 includes at least one incision line (111) or at least one adhesive portion (112) in a portion where the support portion 140 is non-positioned, frame and composition frame combined.
KR1020170109524A 2017-08-29 2017-08-29 Frame for Photo Frame Combined Use Composition Tool KR102062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524A KR102062269B1 (en) 2017-08-29 2017-08-29 Frame for Photo Frame Combined Use Composition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524A KR102062269B1 (en) 2017-08-29 2017-08-29 Frame for Photo Frame Combined Use Composition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74A KR20190023574A (en) 2019-03-08
KR102062269B1 true KR102062269B1 (en) 2020-01-03

Family

ID=6580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524A KR102062269B1 (en) 2017-08-29 2017-08-29 Frame for Photo Frame Combined Use Composition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2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623B1 (en) * 2017-01-31 2017-04-10 권헌윤 Art for picture composition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03B1 (en) 2016-04-07 2016-11-04 권헌윤 Art for picture composition imp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623B1 (en) * 2017-01-31 2017-04-10 권헌윤 Art for picture composition imp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74A (en)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55787S1 (en) Air circulator
USD920883S1 (en) Automobile roll bar
USD892106S1 (en) Bending support for display panel
USD936547S1 (en) Instrument panel for automobile
US7913962B2 (en) Suction cup
USD978959S1 (en) Eyeglasses
USD952532S1 (en) Instrument panel for automobile
USD879278S1 (en) Vent mount magnetic air freshener
USD913472S1 (en) Air freshener insert for a car vent
US9888791B2 (en) Platform and double frame display hanging system
USD954051S1 (en) Display module
USD976082S1 (en) Cord securing assembly
USD948505S1 (en) Display panel
USD869879S1 (en) Sheet with integrated pillow pocket
USD975096S1 (en) Display module
USD986437S1 (en) Extruded base plate for a support table
KR102062269B1 (en) Frame for Photo Frame Combined Use Composition Tool
USD989256S1 (en) Air conditioner
USD915962S1 (en) Visor
USD929855S1 (en) Low profile mounting bracket for structure
USD917358S1 (en) Instrument panel for automobile
USD912433S1 (en) Support bracket
USD911737S1 (en) Support bracket
US7631451B1 (en) Contoured artwork
USD552177S1 (en) Pen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