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239B1 -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239B1
KR102059239B1 KR1020170094532A KR20170094532A KR102059239B1 KR 102059239 B1 KR102059239 B1 KR 102059239B1 KR 1020170094532 A KR1020170094532 A KR 1020170094532A KR 20170094532 A KR20170094532 A KR 20170094532A KR 102059239 B1 KR102059239 B1 KR 102059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pression
central server
smartphon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1900A (en
Inventor
이경희
한미화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239B1/en
Publication of KR2019001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2Global tracking of patient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04M1/7252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우울증을 진단하고 우울증 치료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송신되어 저장되는 중앙서버;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행동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중앙서버에 별도로 마련된 행동특성분류부; 및 상기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우울증 증상 정도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을 송신하는 문진제공부; 를 포함하되,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중앙서버의 행동특성분류부에 의해 우울증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문진제공부에 의해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conjunction with apps installed on smartphones, a system that can overcome depression is introduc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by using a smartphone installed with an app that diagnoses the user's depression and provides a service for treating depression, wherein the user's current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acquired.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A central server for transmitting and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 behavior characteristic classifier which is pre-stored and classified separately in the central server so as to analyz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user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degree of depression symptoms of the use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ore and to transmit a degree of depression symptoms questionnaire to the user. Including, but if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for a set period of time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is determined that the depression risk level is high b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of the central server to the user's smartphone Depression symptom degree questionnaire is transmitted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Description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 system that can overcome depression by linking with an app installed on a smartphone.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우울증을 원격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overcome depression by interworking with an app installed on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that can remotely treat depression through an app installed on a smartphone.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인류에게 가장 큰 부담이 되는 10대 질환 중 우울증을 3위로 보고하였고 2030년에는 1위가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ports depression as the third of the top 10 most ailments for humanity and predicts it will be number one in 2030.

세계적으로 우울증을 진단 받는 사람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개인적인 삶의 질뿐만 아니라 국가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The number of people diagnosed with depression continues to increase worldwide, which is not only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but also the socioeconomic burden of the country.

특히 우리나라는 정신질환 실태조사에서 2006년에 비해 2011년의 우울증 유병률이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관점에서 우울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Korea,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2011 increased 20% compared to 2006 in the mental illness survey, and it is required to prevent and treat depress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우울증은 슬픔, 미래에 대한 비관, 활동이나 생산성의 저하, 수면장애나 심한 피곤, 부적절감, 절망감 등의 특징을 가지는 일련의 감정적 반응으로 정의되며 우울 증상이 심각해질수록 행동 양상의 변화를 동반한다. Depression is defined as a series of emotional reactions characterized by sadness, pessimism about the future, decreased activity or productivity, sleep disorders, severe tiredness, inadequacy, and hopelessness. .

연구에 의하면, 우울증은 활동 감소, 정서행동 지연, 수면 양상 변화 등의 다양한 행동 특성과 동기화 상태를 나타내는 무의욕증 등과 관련이 있으며 그러한 증상들은 스마트폰 사용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추측이 가능하다. Studies have shown that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variou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uch as decreased activity, delayed emotional behavior, and changes in sleep patterns, and insufficiency that indicates synchronization. Such symptoms can be estimated by analyzing smartphone usage.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우울증의 행동 및 환경적 위험 요인을 모니터하고 관리와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장기간의 증상 호전 효과를 볼 수 있다.Smartphones can also benefit from long-term improvement of symptoms by monitoring depression's behavioral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providing management and treatment.

국외에서 이루어진 우울증 관련 연구 중 최근 주목받는 연구로는 스마트폰 위치 추적과 사용양상 분석을 통한 우울증 진단 어플리케이션이 대표적이다. Among the recent researches related to depression related studies abroad, a depression diagnosis application through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smartphone and analyzing usage patterns is representative.

이때, 국내에서 이루어진 우울증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시작단계로 대부분이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진단하여 보고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실제적이고 지속적인 치료적 지원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At this time,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related smartphone applications in Korea is a starting stage, and most of them are in the level of analyzing, diagnosing and reporti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users through self-report surveys, and failing to perform actual and continuous therapeutic support. to be.

또한 최근까지도 스마트폰 사용자의 이용시간, 이동상황, 위치에 대한 자료를 통해 우울증을 진단하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In addition, until recently, attempts to diagnose depression have not been made through data on smartphone users' usage time, mobile situation, and location.

이에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스마트폰 이용시간, 사용자 이동상황, 위치에 대한 자료를 1차적으로 분석하여 우울증이 의심되는 결과가 나올 경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우울증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함에 그 목적이 있고, 최종적으로는 우울증의 위험이 높게 나타나는 대상자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기관으로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analyzes data on the smartphone usage time, user movement status, and location of the smartphone user to perform a depression self-report questionnaire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when a suspected depression is obtained. The goal is to develop a network system that can be registered and managed as a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agency.

KR 10-2016-0125075 (2016.10.31 공개)KR 10-2016-0125075 (released October 31, 2016)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우울 증상이 높은 대상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은 물론이고, 빠른 시간 안에 효율적인 치료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manage a subject with high depressive symptoms using an app installed on a smartphone, as well as to provide an efficient treatment method in a short time.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소개된다.In conjunction with apps installed on smartphones, a system that can overcome depression is introduc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우울증을 진단하고 우울증 치료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송신되어 저장되는 중앙서버;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행동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중앙서버에 별도로 마련된 행동특성분류부; 및 상기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우울증 증상 정도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을 송신하는 문진제공부; 를 포함하되,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중앙서버의 행동특성분류부에 의해 우울증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문진제공부에 의해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 smartphone installed with an app that diagnoses the user's depression and provides a service for treating depression, wherein the user's current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acquired.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A central server for transmitting and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 behavior characteristic classifier which is pre-stored and classified separately in the central server so as to analyz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user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degree of depression symptoms of the use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ore and to transmit a degree of depression symptoms questionnaire to the user. Including, but after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for a set period of time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pression risk level is high b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of the central server to the user's smartphone Depression symptom degree questionnaire is transmitted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한다면 우울증 치료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나 타인에 대한 의식으로 인해 치료 접근이 어려운 대상자들에게 유용함은 물론이고, 잠재적이 우울증 위험군을 미리 파악하고 중재 및 치료하는데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공한다.If the system that can overcome the depression by interworking with the app installed on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useful for those who are difficult to access the treatment due to economic burden o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or consciousness of others, as well as It provides an efficient system for identifying, mediating and treating potential depression risk groups in advance.

도 1a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1b는 실제 스마트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앱의 실행 화면,
도 2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점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
도 3은 가속도계의 의한 가속도에 따른 점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
도 4는 빛감지기에 따른 점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
도 5는 스마트폰이용시간센서에 따른 점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
도 6은 심전도센서에 따른 점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
도 7은 행동특성분류부에 따른 점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
도 8은 스마트폰에 제공되는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의 일 실시예,
도 9는 우울증증상점수표의 일 실시예,
도 10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분 상태를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
도 11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와 이 그래프를 이용한 통계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a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that can overcome the depression in conjunction with the app installed on the smartphone the inventor,
1b is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 that is one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smart phon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ore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user;
Figure 3 is an embodiment showing a score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by the accelerometer,
Figure 4 is an embodiment showing a score according to the light sensor,
5 is an embodiment showing a score according to the smart phone time sensor,
Figure 6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score according to the ECG sensor,
7 is a diagram showing a score according to a behavioral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8 is an embodiment of a depression degree questionnaire provided in the smartphone,
9 is one embodiment of a symptom of depression,
10 is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state of inputting a mood state of a user using a smartphone;
11 is a graph showing a user's current position and a mood state at the position and statistical values using the grap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ystem that can overcome the depression by interworking with the app installed on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1b는 실제 스마트폰의 앱 실행시 보여질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1A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capable of overcoming depression by interworking with an app installed on a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screen that may be viewed when an app of an actual smartphone is execut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우울증을 진단하고 우울증 치료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중앙서버(100), 중앙서버(100)에 별도로 마련된 행동특성분류부(200), 문진제공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iagnoses depression of a user and smartphones with apps installed to provide a service for treating depression,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the central server 100, the central server 100, the action provided separately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200, a paperweight providing unit 300 is included.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데스크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를 온라인상으로 수신받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수신기이면 가능하다.The smart pho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rtable terminal or a desktop, and may be any type of information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online.

스마트폰은 이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실행한 뒤 사용자가 로그인하고, 사용자가 입력된 정보가 중앙서버(100)로 송신되고, 중앙서버(100)에서 송신된 정보 역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The smartphone executes an app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nd then the user logs i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and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server 100 is also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한편, 스마트폰에는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가 스마트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ensors that can acquire the current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or inside or outside.

복수개의 센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GPS, 사용자의 활동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센서, 사용자의 활동 시간을 측정하는 빛감지센서, 사용자의 수면과 휴식 정도를 측정하는 스마트폰이용시간센서 및 사용자의 심박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sensors, GPS that can measure the user's location, accelerometer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ser's activity, light sensor to measure the user's activity time, smart phone to measure the user's sleep and rest It includes a time sensor and an ECG sensor that can measure the heart rate fluctuation of the user.

GPS는 위성과 연동되어 중앙서버(100)로 현재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앱 실행은 물론 앱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중앙서버(100)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중앙서버(100)로 전송된다.GPS interlocks with the satellite to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to the central server 100, even if the app is not running the app as well as running the app in real time to the central server 100 in real time to the central server Is sent to 100.

스마트폰에는 사용자의 활동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센서가 설치된다.The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n accelerometer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ser's activity level.

이 가속도센서는 특정 방향 직선운동에 대한 속도의 증감비를 계산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속도센서는 그 범위가 3축 방향으로 x,y,z축의 3축 방향의 3차원 공간에서 가속도를 측정한다. 즉 중력 가속도를 기준으로 물체의 기울어진 각도와 각 방향의 가속도로부터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중력 가속도를 기준으로 물체의 기울어진 각도는 지구 중력은 수직방향으로 중력가속도 1G이고, 수평으로 있던 가속도 센서가 기울어지면서 중력에 반응하여 90도, 즉 수직을 이루었을 때 1G가 검출된다. 따라서 중력가속도는 sin(기울어진 각도)의 관계로 자신이 기울어져 있는 상태 및 지면 방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user's movement by calculating the rate of increase / decrease of the linear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s acceleration in a three-dimensional space whose range is three-axis directions in the x-, y-, and z-axes in the three-axis direction. That is, the motion of the object is detected from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bject and the acceleration in each direction based on the gravity acceleration.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acceleration of gravity is 1G of grav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arth's gravity, and 1G is detected when the horizontal acceleration sensor is tilted at 90 degrees in response to gravity as it is inclined. Therefore, the acceleration of gravity is able to detect the tilted state and the direction of the ground in relation of sin (tilt angle).

상기의 가속도계센서는 일반적인 것으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가속도계센서는 앱의 실행 유무 불문하고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사용자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사용자의 활동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The above-mentioned accelerometer sensor is a general on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accelerometer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user's activity by measuring the moving acceleration of a user holding a smartphone in real time regardless of whether the app is executed.

예를 들어 가속도계센서에 의한 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현재 사용자가 운동 등의 활동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활동 없이 휴식을 취하거나 소극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value of the accelerometer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urrent user is active, such as having an active movement such as exercise. Can be.

심한 우울증을 가진 사람은 일반적으로 활동성이 적은바 이 가속도계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중앙서버(100)가 미리 수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People with severe depression are generally less acti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entral server 100 can collect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in advance through the accelerometer sensor.

한편, 스마트폰에는 사용자의 활동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빛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이 빛감지센서는 이른바 조도 센서일 수 있으며, 조도 센서는 주변 빛의 밝기를 감지하고, 일반적으로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phone is equipped with a light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ser's active time. The light sensor may be a so-called illuminance sensor, and the illuminance sensor detects the brightness of the ambient light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이 빛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앱의 실행 유무 불문하고 중앙서버(100)로 현재 사용자가 밝은 곳에 있는지 아니면 어두운 장소에 있는지를 알게 해준다.Using this light sensor, whether the app is running or not, the central server 100 allows the current user to know whether it is in a bright or dark place.

물론, 빛감지센서와 가속도계센서에 의해 측정값만으로 사용자가 우울증 정도를 측정하는 절대적 기준은 될 수 없으나 최소한 중앙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하게 된다.Of course, the light sensor and the accelerometer sensor may not be the absolute referen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epression by the user alone, but at least the central server 100 acquir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 real time.

또한, 스마트폰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지에 대한 스마트폰이용시간센서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 smartphone time sensor for how much the user uses the smartphone.

이 스마트폰이용시간센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This smartphone time sensor can be measured in various ways.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열기 위해 손으로 터치하는 횟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여러 정보를 볼 때 차감되는 데이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현재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measure the current time of using the smartphone in various ways such as the number of touches by hand to open the smartphone and data deducted when viewing various information using the smartphone.

즉, 이 스마트폰이용시간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과 휴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된 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과도하게 활동을 하고 적절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 이하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외부와의 활동을 차단하고 혼자 지내는 경우라 보아 우울증 치료시 참조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user's sleep and rest can be measured using the smart phone's time sensor. For example, if you use your smartphone for more than the set time, you can assume that the user is excessively active and not getting proper sleep and rest.If you use your smartphone for less than the set time, you can block activities outside. If you are alone and can be a reference for treating depression.

또한, 스마트폰에는 심박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mart phone is installed with an ECG sensor that can measure heart rate fluctuations.

이 심전도 센서는 심장 박동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에 손을 소정 시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게 된다.The ECG sensor is a sensor used to measure the heart rate. In some cases, the user may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 by touching a hand on a sensor installed in the smart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이상 설명한, 가속도계센서, 사용자의 활동 시간을 측정하는 빛감지센서, 사용자의 수면과 휴식 정도를 측정하는 스마트폰이용시간센서 및, 사용자의 심박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 여부에 불문하고 지속적으로 센싱되어 중앙서버(100)에 전송됨과 동시에 저장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ccelerometer sensor, the l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activity time of the user, the smart phone time sensor for measuring the sleep and rest of the user, and the electrocardiogram sensor that can measure the heart rate fluctuation of the app i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Whether it is executed or not, it is continuously sensed and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and stored at the same time.

한편, 중앙서버(10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병원 내에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전문기관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server 10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in a hospital for treating depression, and in some cases, may be installed in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treating depression.

이 중앙서버(100)와 스마트폰은 지속적으로 연동되어 스마트폰과 각종 정보를 서로 공유하게 된다.The central server 100 and the smartphone is constantly linked to share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smartphone.

본 발명에 의한다면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된 후 상기 중앙서버(100)의 행동특성분류부(200)에 의해 우울증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문진제공부(300)에 의해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for a set period, the depression risk level is high b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200 of the central server 1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pression questionnaire questionnaire is transmitted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300 to the user's smart phone.

이때, 중앙서버(100)에는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행동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고, 사용자의 행동특성에 대한 점수를 각각 산정한 뒤 합산한 점수와 기 저장되어 있는 분류점수와 비교할 수 있는 행동특성분류부(200)가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central server 100 has a pre-stored classification score so as to analyz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scores for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nd then sums and stores the scores. Behavioral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200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classification score is provided.

설정된 기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1개월, 6개월 또는 1년 단위로 상기 설명한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The set period may be variously set,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described above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in units of one month, six months, or one year.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100)에는 이미 사용자의 집과 직장를 기준위치로 기 저장된 뒤 이 집 또는 직장을 기준으로 한 달 동안 사용자가 떨어진 위치를 산정한 뒤 그 거리에 따라 각각 점수가 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central server 100 has already stored the user's home and work as a reference location, and then calculates the location where the user has been away for one month based on the home or the workplace. Each score can be estimated accordingly.

이동 거리가 적은 사람일수록 우울증 증상이 높아질 수 있는바 그 거리에 따라 점수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각각의 거리에 따른 점수는 사용자 개개인 별로 달리 설정될 수 있는바, 반드시 거리에 따라 비례하여 점수가 높거나 낮아지는 것은 아니다.The smaller the distance traveled, the higher the symptoms of depression can be sco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However, the score according to each distance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user, and the score is not necessarily high or low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즉, 미리 중앙서버(100)에 대상 사용자가 집 또는 직장에서 가장 기분이 다운되거나 우울하다는 등의 정보를 얻은 경우 집 또는 직장에서 거리가 가까울 수록 점수가 높게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arget user has previously received information such as feeling down or depressed in the central server 100 at home or at work, the higher the distance from the home or work, the higher the score can be selected.

또한, 도 3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평균 가속도에 따른 점수가 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3, a score according to an average acceleration of a user for a set period of time may be calculated using an accelerometer installed in a smartphone.

물론, 가속도의 단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달 동안 사용자의 평균 가속도가 10m/s2 이하인 경우 점수를 50점으로 산정할 수 있고, 각각의 가속도의 범위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점수를 산정할 수 있다.Of course, the unit of acceleration may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f the average acceleration of the user is less than 10m / s 2 for a month, the score can be calculated as 50 points, and the score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range of each acceleration.

물론, 이 점수 역시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대상 사용자가 활동성이 적은 경우 기분이 다운되거나 우울하다는 등의 정보를 얻은 경우 평균 가속도가 낮을 수록 점수를 높게 산정할 수 있다.Of course, this score may also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 and when the target user obtains information such as feeling down or depressed when the user is less active, the lower the average acceleration, the higher the score may be calculated.

한편, 도 4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빛감지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활동 시간에 따른 점수가 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time for a set period of time using the light sensor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일반적으로, 빛감지기의 경우 사용자의 활동 시간과 연관되는바, 이 활동시간을 사용자가 하루동안의 평균 활동시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In general, the light sensor is associated with the user's activity time, so the user can select the average activity time during the day.

한편, 이 빛감지센서는 스마트폰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GPS 위치정보와 이 GPS 위치정보에 따른 해당지역의 날씨, 일출 및 일몰시간 정보를 통해 빛에 노출된 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sensor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separately on the smartphon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l weather, sunrise and sunse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seen the time exposed to the light.

예를 들면, 한달 동안 사용자의 하루 평균 활동시간이 1시간 이하인 경우 그 점수를 50점으로 산정할 수 있고, 각각의 활동 시간 범위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점수를 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s average daily activity time is 1 hour or less for a month, the score may be calculated as 50 points, and the score may be calculated as shown in each activity time range.

물론, 이 점수 역시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대상 사용자가 활동시간이 적은 경우 기분이 다운되거나 우울하다는 등의 정보를 얻은 경우 활동 시간이 낮을 수록 점수를 높게 산정할 수 있다.Of course, this score may also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 and when the target user gets information such as feeling down or depressed when the activity time is low, the score may be calculated as the activity time is lower.

도 5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스마트폰이용시간센서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이용 시간에 따른 점수가 산정될 수 있다.5 is a score according to the use time of the user's smart phone for a set period of time using the smart phone time sensor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can be calculated.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하루 동안의 평균 스마트폰 이용시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It can be selected as the average smartphone usage time of the user during the set period.

또한, 일반적인 스마트폰에 거의 설치되어 있는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call logs, sms text message 등을 통해 스마트폰 이용시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usage time of the smartphone can be known through a gyroscope sensor, call logs, sms text messages, etc., which are almost installed in a typical smartphone.

이러한 스마트폰 이용 시간은 환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환자의 자가기록이나 수면추적기 및 모니터(밤시간 동안의 움직임 포함, 신체활동의 변화를 분석하여 취침시간과 수면시간을 측정한 후 수면분석 및 추적)를 통해 가능해진다.Such smartphone usage time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is sleeping, for example, the patient's self-recording or sleep tracker and monitor (including movement during the night, analyzing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bedtime and sleep time). After measurement, sleep analysis and tracking can be done.

예를 들면, 한 달 동안 사용자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1시간 이하인 경우 그 점수를 10점으로 산정할 수 있고, 각각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범위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점수를 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s average smartphone use time per day is less than 1 hour, the score may be calculated as 10 points, and the score may be calculated as shown in each smartphone use time range. .

물론, 이 점수 역시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대상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할 수록 기분이 다운되거나 우울하다는 등의 정보를 얻은 경우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높을 수록 점수를 높게 산정할 수 있다.Of course, this score can also be set variously according to the user, and if the target user has obtained information such as feeling down or depressed as the user uses the smartphone for a long time, the score can be calculated as the smartphone use time increases. .

도 6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심전도센서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평균 bpm에 따른 점수가 산정될 수 있다.6 is a score according to the average bpm of the user for a set period of time using the ECG sensor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can be calculated.

물론, 이 심전도센서는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bpm결과는 우울증의 정도를 파악하기 보다는 이미 설명한 가속도계와 함께 현재 대상자의 활동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ECG sensor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current state of the subject, and the bpm resul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current state of the subject's activity with the accelerometer described above, rather than determining the degree of depression.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하루 동안의 평균 bpm에 따른 점수가 선정될 수 있다.The score according to the average bpm of the user for a set period of time may be selected.

예를 들면, 한달 동안 사용자의 하루 평균 bpm이 60 이상 90 이하인 경우 10점으로 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s daily average bpm is 60 or more and 90 or less for one month, the user may calculate 10 points.

물론, 이 점수 역시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대상 사용자가 기분이 다운되거나 우울할 때 60 이하인 경우 90 이상인 경우보다 더 높은 점수로 산정될 수 있다.Of course, this score may also be set variously according to the user, and when the target user is down or depressed, the score may be calculated as a higher score than the case of 90 or more.

한편, 이 심전도센서에 의한 센싱은 다양한 방법으로 중앙서버(100)에 수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by the ECG sensor can be collected in the central server 100 in various ways.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중앙서버(100)에서 사용자에게 하루 동안 일정한 시간에 송신하여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라는 메세지를 송신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에 손가락을 댄 뒤 그 심전도 결과를 중앙서버(100)에 송신하여 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central server 100 transmits a message for measuring a user's electrocardiogram by transmitting to the user at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day, and the user places a finger on a sensor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nd displays the electrocardiogram result of the central server ( 100) to collect the information.

한편,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중앙서버(100)로 전송된 후 중앙서버(100)의 행동특성분류부(200)에 의해 우울증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문진제공부(300)에 의해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for a set period of time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and determined b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200 of the central server 100 to determine the high risk level of depression, Questionnaire depression degree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300 to the smart ph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100)에는 행동특성분류부(200)가 포함되어 있고, 이 행동특성분류부(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점수가 산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한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산정된 점수들의 평균이 30점 이하인 경우 정상으로 판정하고, 30점 이상 40점 이하인 경우 우울증 저위험군으로 채택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central server 100 includes a behavior characteristic classifier 200, and a score is calculated in the behavior characteristic classifier 200 as shown. For example, when the average of scores calcula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described above is 30 or less, it is determined as normal, and when it is 30 or more and 40 or less, it may be adopted as a low risk group of depression.

이때, 중앙서버(100)는 우울증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중앙서버(100)에 위치한 문진제공부(300)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을 제공한다.At this time, when the central server 100 is determined that the risk level of depression is high, it provides a depression degree questionnaire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300 located in the central server 100.

우울증 위험 수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위험, 중위험 및 고위험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저위험, 중위험 및 고위험 별로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이 달라질 수 있다.Depression risk level may be divided into low risk, medium risk, and high risk, as shown in Figure 7, low risk, medium risk and high risk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pression sent to the smartphone.

예를 들어, 도 8a 는 중앙서버(100)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는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이고, 이 각각의 질문 사항은 위험군별로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위험군별로 다양한 문항이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Figure 8a is a depression symptoms questionnaire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from the central server 100, each of these questions can be added to the risk group, as well as various questions to be provided by the risk group Can be.

또한, 이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은 도 8a에 도시된 문항 이외에 도 8b에In addition, the depression symptoms questionnaire is shown in FIG. 8B in addition to the questions shown in FIG. 8A.

도시된 바와 같이, 1999년도에 'Spitzer' 등이 개발한 이른바 'PHQ-9' 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s a so-called 'PHQ-9' developed by 'Spitzer' in 1999.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1999년에 Spitzer 등이 개발한 Patient Health Questionnaire(PHQ)는 일차적 임상장면에서 접하기 쉬운 정신 질환들을 감지하고 진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된 자기보고식 설문지이다. 그 중 주요우울장애의 진단을 위해 9가지 문항으로 이루어진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PHQ-9)은 DSM-Ⅳ의 우울삽화의 진단기준과 일치하게 고안되었고, 각 항목당 0점에서 3점까지 증상의 정도에 따라 선택을 하게 한 후, 그 합을 구하여 총 27점 중 10점을 우울증상에 대한 절단점(cut-off point)으로 설정하였다.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 developed by Spitzer et al. In 1999, is a self-report questionnaire developed to help detect and diagnose mental illnesses that are likely to be encountered in primary clinical settings. Among th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which consists of nine items for the diagnosi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wa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DSM-IV's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with symptoms ranging from 0 to 3 points per item. After making the sel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sum was obtained and 10 out of 27 points were set as cut-off points for depression.

이에 본 발명 역시 도 8a에 도시된 문진표 이외에 도 8b에 도시된 문진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rovide the user with the questionnaire shown in FIG. 8B in addition to the questionnaire shown in FIG. 8A.

이와 같이 우울증증상정도문진에 따른 사용자의 답변결과와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계산된 점수와 기 저장된 우울증증상점수표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우울증 정도를 진단하는 우울증증상판정부(40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pressive symptoms board which diagnoses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user based on the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answer result according to the depression symptom questionnaire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previously stored depression symptom score check. The government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울증증상판정부(400)에는 사용자의 답변과 도 7에 개시된 점수를 기초로 우울증증상판정을 할 수 있는 점수표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우울증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정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depression symptom determination unit 400 is provided with a score table for determining depression symptoms based on the user's response and the scores disclosed in FIG. 7. Finally, the decision is made.

한편, 중앙서버(100)는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설정된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앱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기분 상태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server 100 performs an alarm function that induces the user to input the current user's location and the mood state of the user at the location through the app a set number of times periodically for the set period to the user with a smartphone. It is done.

예를 들어 한달 기간 동안 사용자에게 하루에 한번씩 현재 위치를 앱을 통해 중앙서버(100)에 전송하고, 현재 위치에서 느끼는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앱을 통해 입력하고 그 정보가 중앙서버(100)에 송신되도록 한다.For example,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to the central server 100 through the app once a day to the user for a month, input the mood state of the user felt at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app and the information is sent to the central server 100 Be sure to

알람 기능은 문자메세지, 알람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alarm function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text message and an alarm call.

이 알람 기능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지역 정신건강 서비스 안내와 함께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 정신건강전문가에게 알람이 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This alarm function can be sent to the user's smartphone, as well as local mental health service guidance can be set to go to the alarm to close family, friend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이러한 알람 기능은 실제 사용자의 우울증 정도가 심한 경우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 정신건강전문가에게 알람이 가도록 하여 주변인의 관심을 높게 하는 효과가 있다.This alarm function has the effect of raising the attention of the surrounding people by letting the alarm go to close family, friend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hen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actual user is severe.

이를 위해 앱 실행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입력하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표시된 입력창 중 임의의 입력창의 선택시 사용자의 현재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입력창이 표시된다.To this end,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displayed when the app is executed, and a plurality of input windows indicating the current mood state of the user are displayed when an arbitrary input window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input windows.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을 실행하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를 누룰 수 있는 입력창이 뜰 수 있고, 이 입력창을 누르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집, 직장, 식당 등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뜨게 된다.That is, when the app is executed as shown in FIG. 10, an input window for enjoying the current location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input window is pressed, the user's current location such as home, work, or restaurant may be displayed. An input window will appear for you to enter.

이때, 공원을 누르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행복, 슬픔, 분노, 불안 등 사용자의 감정을 나타낼 수 있는 복수개의 입력창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어느 한 입력창을 입력하게 되면 그 정보는 중앙서버(100)로 전송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input windows are displayed to indicate the user's feelings such as happiness, sadness, anger, and anxiety, and when the user inputs any input window,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Is sent).

한편, 중앙서버(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와 이 그래프를 이용한 통계값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중앙서버(100)에 별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central server 100 transmits a graph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a mood state at the location and statistical values using the graph to the user's smartphone, and the central server 100.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separately.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축에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가 표시되고, 세로축에는 각각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느낀 감정을 표시하며, 별도로 이 해당 위치에 설정된 기간 동안 얼마나 자주 있었는지도 표시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1, the horizontal axis shows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the vertical axis shows the feelings of the user at each place, and separately, how often the user has been in the period set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이때, 중앙서버(100)는 우울증 정도를 진단하는 우울증증상판정부(400)에 의한 결과와 그래프를 이용한 통계값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생활습관과 운동습관, 치료계획을 포함한 건강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entral server 100 health, including lifestyle and exercise habits, treatment plans to treat depression to the user on the basis of statistical values using the results and graphs by the depression symptom determination unit 400 for diagnosing the degree of depre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s sent to the smartphone.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당이나 현관에 있을때, 기분이 다운되는바 가급적 마당이나 현관의 출입을 자제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거나, 차를 운전할 때 기분이 좋아지는 결과가 생긴바 주기적으로 차를 운전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1, when you are in the yard or the porch, the mood is down, if possible provide guidelines for refraining access to the yard or the porch, or when driving the car, the result is that you feel good, periodically You can also set guidelines to drive.

또한,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횟수, 운동방식 등의 운동습관과 일어나는 시간, 잠자는 시간, 담배 금연, 절주 등의 정보를 포함한 생활습관 및 병원에서의 진료 방법, 병원에 내원하는 횟수, 처방전 등을 포함한 치료계획의 건강정보를 중앙서버(100)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lifestyle and treatment methods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to treat depression, exercise habits such as exercise mode, wake up time, sleeping time, smoking cessation, and abstinence, and the number of visits to the hospital, prescriptions, etc. Health information of the treatment plan is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server 100 to the smartphone.

100 : 중앙서버 200 : 행동특성분류부
300 : 문진제공부 400 : 우울증증상판정부
100: central server 200: behavior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unit
300: questionnaire provider 400: Depression symptoms

Claims (6)

사용자의 우울증을 진단하고 우울증 치료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송신되어 저장되는 중앙서버;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행동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중앙서버에 별도로 마련된 행동특성분류부; 및
상기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우울증 증상 정도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을 송신하는 문진제공부; 를 포함하되,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중앙서버의 행동특성분류부에 의해 우울증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문진제공부에 의해 우울증증상정도문진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우울증증상정도문진에 따른 사용자의 답변결과와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계산된 점수와 기 저장된 우울증증상점수표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우울증 정도를 진단하는 우울증증상판정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GPS, 사용자의 활동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센서, 사용자의 활동 시간을 측정하는 빛감지센서, 사용자의 수면과 휴식 정도를 측정하는 스마트폰이용시간센서 및, 사용자의 심박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중앙서버에는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가속도계의 평균 가속도에 따라 분류점수와,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빛감지센서의 구동 시간에 따라 분류점수와,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스마트폰이용시간센서의 이용 시간에 따라 분류점수 및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심전도센서의 평균 bpm의 값에 따라 분류점수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설정된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앱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기분 상태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앱 실행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입력하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표시된 입력창 중 임의의 입력창의 선택시 사용자의 현재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입력창이 표시되며, 상기 표시된 복수개의 입력창을 통한 입력된 사용자의 기분 상태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와 이 그래프를 이용한 통계값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에 별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그래프에는 설정된 기간동안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있었던 횟수까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우울증 정도를 진단하는 우울증증상판정부에 의한 결과와 상기 그래프를 이용한 통계값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생활습관과 운동습관, 치료계획을 포함한 건강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

In the system that can overcome the depression by using a smartphone with an app that diagnoses the user's depression and provides a service for treating depression,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to acquire current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 central server for transmitting and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 behavior characteristic classifier which is pre-stored and classified separately in the central server so as to analyz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user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for determining a degree of depression symptoms of the use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ore and transmitting a depression degree questionnaire to the use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for a set period of tim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depression risk level is high b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of the central server, the user's smartphone provides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Depression symptom questionnaire is transmitted by,
Depression symptom diagnosis for diagnosing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user based on a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answer result according to the depression symptom degree questionnaire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a previously stored depression symptom score check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a GPS that can measure the user's location, an accelerometer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ser's activity level, a l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activity time, a smart phone for measuring the user's sleep and res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ime sensor and an electrocardiogram sensor that can measure the change in heart rate of the user,
The central server has a classification score according to the average acceleration of the accelerometer for a set period, a classification score according to the driving time of the light sensor during the set period, and a classification score according to the use time of the smartphone time sensor for the set period. And a classification score is sto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average bpm value of the ECG sensor for a set period of time.
Wherein the central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alarm function to induce the user to enter the current user's location and the mood state of the user at the location through the app a set number of times periodically for a set period to the user, When the app is executed,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user's current location is displayed, and when selecting an input window among the displayed input windows, a plurality of input windows indicating a current mood state of the user are displayed, and input through the displayed plurality of input window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od state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The central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ph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mood state at the location and the statistical value using the graph to the user's smartphone, and separately stored in the central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up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has been in the location for a set period,
The central server, the smart information to the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lifestyle and exercise habits, treatment plans that can treat depression to the us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pression symptoms judgment to diagnose the depression degree and the statistical value using the graph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phone, a system that can overcome depression in conjunction with the app installed on the smart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94532A 2017-07-26 2017-07-26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KR102059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532A KR102059239B1 (en) 2017-07-26 2017-07-26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532A KR102059239B1 (en) 2017-07-26 2017-07-26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900A KR20190011900A (en) 2019-02-08
KR102059239B1 true KR102059239B1 (en) 2019-12-24

Family

ID=6536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532A KR102059239B1 (en) 2017-07-26 2017-07-26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2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671B1 (en) 2017-12-12 2020-05-04 한국과학기술원 Multi questionnaire analysis system for depression diagnosis and the method thereof
KR102427508B1 (en) * 2019-11-14 2022-08-01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Apparatus and method for mental healthcar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247058B1 (en) * 2020-11-27 2021-04-30 주식회사 모비젠 Method for diagnosing user's psychiatric status using multiple data processing and system thereof
KR102336727B1 (en) * 2021-04-27 2021-12-08 백준형 Diagnose and care system for user's depression based on the user's life patten and method thereof
KR20240057146A (en) * 2022-10-24 2024-05-02 비웨이브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ental health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999A (en) * 2011-09-26 2013-04-0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epression of user with smar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30104471A (en) * 2012-03-14 2013-09-25 신기원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concerning emotion state
KR20150034416A (en)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인포피아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for managing disease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KR101811769B1 (en) 2015-04-21 2017-12-22 김광연 Health examination reservation and health car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900A (en)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239B1 (en) System for overcoming depression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US11615872B2 (en) Chronic disease discovery and management system
Boukhechba et al. DemonicSalmon: Monitoring mental health and social interactions of college students using smartphones
US8622900B2 (en) Calculating and monitoring the efficacy of stress-related therapies
KR101913850B1 (en) Method for assessing psychological state of user by analysing psychological state data obtained through psychological assessment kit and server using the same
US20120290215A1 (en) Calculating and Monitoring a Composite Stress Index
EP2479692A2 (en) Mood sensor
US20120289793A1 (en) Continuous Monitoring of Stress Using Accelerometer Data
Chen Assessing factors critical to smart technology applications to mobile health care− the fgm-fahp approach
US20120289794A1 (en) Continuous Monitoring of Stress Using a Stress Profile Created by Renal Doppler Sonography
Cheung et al. Are nomothetic or ideographic approaches superior in predicting daily exercise behaviors?
KR102053604B1 (en) Method for sleeping analysis and device for sleeping analysis using the same
US20210383926A1 (en) Mental health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ukazawa et al. Smartphone-based mental state estimation: A survey from a machine learning perspective
White et al. A quantified-self framework for exploring and enhancing personal productivity
KR101706474B1 (en) Smartphone usage patterns gathering and processing system
Grunerbl et al. Using indoor location to assess the state of dementia patients: Results and experience report from a long term, real world study
Zacharaki et al. FrailSafe: An ICT platform for unobtrusive sensing of multi-domain frailty for personalized interventions
JP6920731B2 (en) Sleep improvement system, terminal device and sleep improvement method
Ma et al. Infer Daily Mood using Mobile Phone Sensing.
Jain et 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arison of periodic sensor data
Sharmin et 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designing participant-centric smoking cessation system
Leung Using Passive Sensor Data From Smartphones To Measure Mental Health
Karanth et al. Modeling User Context from Smartphone Data for Recognition of Health Status
Hamper et al. Dementia monitor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