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236B1 - 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 - Google Patents

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236B1
KR102059236B1 KR1020160021470A KR20160021470A KR102059236B1 KR 102059236 B1 KR102059236 B1 KR 102059236B1 KR 1020160021470 A KR1020160021470 A KR 1020160021470A KR 20160021470 A KR20160021470 A KR 20160021470A KR 102059236 B1 KR102059236 B1 KR 10205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experience
fly
main body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9288A (en
Inventor
홍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2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236B1/en
Publication of KR2017009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2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3/00Ornith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험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날갯짓함에 따라 그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한 신호를 바탕으로 상승과 하강 그리고 좌우 선회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3차원적으로 움직임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실제 새가 날갯짓하는 것처럼 손에 아무런 장비도 갖추지 않고서도 새가 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어 체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체험자의 손동작에 따라 이루어지는 상승과 하강 그리고 좌우 선회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체험자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것과 같은 영상을 본 영상을 HMD(Head Mounted Display)를 통해 체험자가 볼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베이스에 장착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도 주변 사람들이 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체험자와 더불어 주변에 있는 사람들도 함께 하늘을 나는 듯한 체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movement as the experiencer flies in the prone position, and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the movement is made three-dimensionally while the ascending, descending, and left and right turning movements are made, so that the actual birds fl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ly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like a bird, without having any equipment in your hand, to enhance the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xperienced person to see the image through the HMD (Head Mounted Display) while viewing the image, such as viewed from the experiencer's point of view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the left and right tur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hands of the experiencer.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is mounted on the base so that people around you can see it, so the 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fly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that enhances the experience of flying together with the people around you. have.

Description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Fly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

본 발명은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험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양팔을 펼쳐서 움직임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체험자가 상승과 하강 그리고 좌우 선회가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체험과 더불어 체험자 시각에서 보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체험자 실제 날아다니는 새와 같은 느낌으로 가상 체험을 할 수 있고, 특히 실제 새가 날갯짓하는 것과 같은 체험자의 손 동작으로 통해 작동이 제어되므로 현실감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y-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he experi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ascendant, descending and turning left and right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arms spread out in the prone position to the user, and the image seen from the experiencer's perspective Because it can be configured to output the experience, the user can experience the virtual experience as if it is a flying bird, and in particular,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hands of the experience person, such as a real bird flying, so that the reality can be further enhanced. .

일반적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체험용 시뮬레이터는 어떤 특정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구현하여 그 환경이나 상황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시뮬레이터를 말한다. 이러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탱크·항공기의 조종법 훈련, 가구의 배치 설계, 수술 실습, 게임 등 여러 분야에서 그 환경과 상황에 따른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에는 이러한 다양한 상황과 환경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is a simulator using a human-computer interface that implements a specific environment or situation with a computer and makes the environment or situation interac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ay. These virtual reality simulators have developed and applied simulators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 and situation in many fields, such as training of tank and aircraft control, furniture layout design, surgical practice, and games. Patent Literatures 1 to 4 disclose a technique related to a virtual reality simulator according to such various situations and environments.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212445호 (등록일 : 2012.12.10)(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212445 (Registration Date: 2012.12.10)

체험자가 고공강하 훈련을 수행하거나 가상현실에 대한 체험을 할 때 체험자를 상부로 부양시킨 상태에서 자세를 변환시키기 위한 모션베이스를 통해 장치를 보다 편리하고 단순화하여 제어하므로, 동작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센싱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공강하 모의훈련 및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시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When the experienced person performs high altitude training or experiences in virtual reality, the device is more convenient and simplified through the motion base for changing the posture while supporting the experienced person to the upper part, thus reducing the operation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or device for high-altitude s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at enables more accurate sensing.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8770호 (공개일 : 2013.09.05)(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8770 (Published Date: 2013.09.05)

입체감 확장형 가상 스포츠 체험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용자의 신체동작을 추적하는 사용자 추적장치와,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수의 사용자 추적장치를 통해 추적된 사용자의 신체동작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입체영상을 포함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물리공간을 각 디스플레이 장치별로 분할 또는 공유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별 영상 표시공간을 설정하고 연출 시나리오에 따라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three-dimensional extended virtual sports experience system. Display a user tracking device for tracking the body movements of the user, a firs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containing the content, and a second image including the body motion images of the user tracked through a plurality of user tracking devices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t an image display space for each display device so as to divide or share a second display device and a physical space for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a 3D stereoscopic image for each display device, and provide an image to ea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oduction scenario. It includes.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492372호 (등록일 : 2015.02.04)(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1492372 (Registration Date: 2015.02.04)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가상현실 속의 동작 상태에 따라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6방향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모션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aratus including a motion control unit capable of realizing a six-way motion so that a user may feel a sense of reality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in a virtual reality.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8776호 (공개일 : 2015.10.23)(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8776 (Published Date: 2015.10.23)

전진이 제한되면서 실제 보행과 유사한 보행감을 제공하기 위해 발 장착부, 상기 링크부의 하단에서 전단 및 후단에 각기 연결된 제 1 바퀴 및 제 2 바퀴, 상기 제 1 바퀴 및 상기 제 2 바퀴를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퀴는 상기 제 1 바퀴의 움직임에 일치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모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a walking feeling similar to the actual walking while the advance is limited, the foot mounting unit includes a first wheel and a second wheel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respectively, at the bottom of the link part, and a link part connecting the first wheel and the second wheel. However, the second wheel may include a walking s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wheel.

하지만, 기존 체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existing experience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체험자가 손을 이용하여 버튼이나 레버 등을 동작하게 구성하므로, 체험자가 실제 새나 다른 체험 대상과 동질감을 느끼는 데 한계가 있다.(1) Since the experienced person configures a button, a lever, etc. by using his or her hand, the experienced person has a limit in feeling homogeneity with an actual bird or another subject.

(2) 예를 들어서, 플라잉 버드의 경우, 날개를 대신하여 손으로 날갯짓을 하나, 이때 손에는 이처럼 날갯짓을 검출할 수 있게 작동 기구 등을 장착하여 체험자가 이러한 구성이 동작하게 해야 한다.(2)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lying bird, a wing is made by hand instead of a wing, but in this case, the user must be equipped with an operating mechanism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such a configuration by detecting the wing.

(3) 이에, 날갯짓에 상응하는 작동 기구를 움직일 수 있어야만 체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작동 기구를 움직이게 하기 어려운 어린이 등은 체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3) In this case, since an operation mechanism corresponding to a wing can be experienced only when it can be experienced, a child or the like who does not move such an operation mechanism cannot experience.

(4) 또한, 체험자가 움직이는 날갯짓에 따라 그 동작이나 작동 등을 따라 할 수 있도록 작동 기구를 구성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많이 든다.(4)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mechanism is configured to allow the experienced person to follow the operation or oper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wing, not only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5) 작동 기구가 복잡한 만큼 고장이 자주 발생하여 유지 보수가 어렵다.(5) As the operation mechanism is complicated, failure frequently occurs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한국등록특허 제1212445호 (등록일 : 2012.12.10)Korean Registered Patent No. 1212445 (Registration Date: 2012.12.10)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8770호 (공개일 : 2013.09.0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8770 (Published Date: 2013.09.05) 한국등록특허 제1492372호 (등록일 : 2015.02.04)Korean Registered Patent No.1492372 (Registration Date: 2015.02.04)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8776호 (공개일 : 2015.10.2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8776 (Published: 2015.10.2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체험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날갯짓함에 따라 그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한 신호를 바탕으로 상승과 하강 그리고 좌우 선회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3차원적으로 움직임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실제 새가 날갯짓하는 것처럼 손에 아무런 장비도 갖추지 않고서도 새가 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어 체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sidered in this regard, so that the user detects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flight in the prone position, and the movement is made three-dimensionally whil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the left and right turning movements are made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ly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that enables the user to experience the bird's flight without having any equipment in his hand as if the bird is flying.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체험자의 손동작에 따라 이루어지는 상승과 하강 그리고 좌우 선회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체험자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것과 같은 영상을 본 영상을 HMD(Head Mounted Display)를 통해 체험자가 볼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베이스에 장착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도 주변 사람들이 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체험자와 더불어 주변에 있는 사람들도 함께 하늘을 나는 듯한 체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xperienced person to see the image through the HMD (Head Mounted Display) while viewing the image, such as viewed from the experiencer's point of view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left and right turning motions according to the hands of the experiencer.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is mounted on the base so that people around you can see it, so the 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fly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that enhances the experience of flying in the sky as well as those around you. hav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는,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지진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위에 적어도 3개의 액추에이터(A)를 통해 3차원으로 움직이며 체험자가 엎드릴 수 있게 구성한 작동 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10)에 장착하여 작동 플레이트(20)에 엎드린 체험자가 양손을 바깥으로 펼쳤는지 검출하기 위한 두 개의 동작 감지기(30); 상기 베이스(10)에 장착한 디스플레이(40a)와 체험자가 착용하는 HMD(40b); 및 상기 동작 감지기(30)를 통해 액추에이터(A)를 제어하며 필요한 영상을 디스플레이(40a)와 HMD(40b)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50)는, (1)두 개의 동작 감지기(30)에서 출력이 없으면 액추에이터(A)로 하강하게 하면서 체험자가 하강하면서 보는 영상을 출력하게 하고, (2)두 개의 동작 감지기(30)에서 출력이 있으면 액추에이터(A)로 상승하게 하면서 체험자가 상승하면서 보는 영상을 출력하게 하고, (3)두 개의 동작 감지기(30) 중에서 어느 한쪽에서 출력이 있으면 액추에이터(A)로 출력이 있는 쪽이 상승하여 선회하게 하면서 체험자가 선회하면서 보는 영상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y 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includes: a base 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 actuating plate 20 configured to move in three dimensions on the base 10 through at least three actuators A and to be prone to face down; Two motion detectors (30) mounted on the base (10) for detecting whether the experienced person lying on the operation plate (20) spreads his or her hands outward; A display 40a mounted on the base 10 and an HMD 40b worn by an experienced person; And a controller 50 that controls the actuator A through the motion detector 30 and controls to output a necessary image to the display 40a and the HMD 40b. The controller 50 includes: (1) if there is no output from the two motion detectors (30) to the actuator (A) while having the output to see the image while the viewer is descending, (2) if there is output from the two motion detectors (30) actuator (A) (3) If there is an output from one of the two motion detectors (30), the person with the output rises and turns to the actuator (A) while turning it up. Characterized in that to output the image to watch while turning.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fly 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체험자가 손으로 날갯짓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상승과 하강 그리고 좌우로 선회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실제 새가 하늘을 나는 것과 같은 유사한 체험 효과를 높일 수 있다.(1) As the experiencer can fly by hand, it detects it and configures it to turn up and down and turn from side to side, thus enhancing the similar experience effect like a bird flying in the sky.

(2) 특히, 체험자가 날갯짓할 때, 허공에 대고 날갯짓을 하고 다른 구성과 간섭이나 장비를 착용하지 않으므로, 실제 체험자가 직접 날갯짓을 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어 체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2) Particularly, when the experiencer flies, he does not fly in the air and does not wear any other composition, interference, or equipment. Therefore, the experience person can feel as if they fly directly.

(3) 이처럼 체험자의 날갯짓을 동작 감지기로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승과 하강 그리고 좌우 선회가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체험 장치 전체에 관한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3) Thus, the wing of the experienced pers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or, and according to the result, ascending, descending, and turning left and right,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experience device can be easily configured.

(4) 또한, 체험자가 날갯짓할 수 있을 정도만 되면 하늘을 나는 새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어, 어린이와 같이 기구나 장비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체험자라도 본 발명은 기구나 장비에 직접 손이 닿지 않으므로 손으로 날갯짓할 수 있는 체험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하늘을 나는 체험을 할 수 있다.(4) In addition, as long as the experiencer can fly, the experience of flying bird can be experienced. Even if the experiencer has difficulty in operating a device or equipment like a child,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touch the device or equipment. Anyone who can fly with their hands can easily experience flying in the sky.

(5) 마지막으로, 체험자가 보는 시각으로 바라보는 영상을 체험자가 착용한 HMD(Head Mounted Display)와 베이스에 장착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같은 영상을 출력하므로, 체험자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 있는 이들도 간접적으로 체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흥미를 자극할 수 있다.(5) Finally, the same image is output through the HMD (Head Mounted Display) worn by the experience person and the display mounted on the base, so that not only the experience person but also those in the vicinity are indirectly displayed. Not only can you expect an experience, but it can also stimulate interest.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삼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를 통해 제어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동작 감지기로 작동 플레이트에 엎드린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가 모션 베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
1 to 3 are three views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y 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controlled through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conceptual views for showing a state of detecting the motion of the experience person lying on the operation plate with a motion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tuator is coup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front and side views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otion ba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는, [도 1] 내지 [도 12]와 같이, 베이스(10), 작동 플레이트(20), 두 개의 동작 감지기(30), 디스플레이(40a)와 체험자가 착용하는 HMD(40b), 그리고 제어기(50)를 포함한다.The fly 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12, is worn by the base 10, the operation plate 20, two motion detectors 30, the display 40a and the experienced person. An HMD 40b, and a controller 50.

특히, 본 발명은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고 엎드린 체험자가 날갯짓하는 것을 동작 감지기(30)로 감지하여 상승과 하강 그리고 좌우 선회가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날갯짓만 하면 하늘을 나는 새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어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게다가 체험자는 별도 장비 등을 갖추지 않고서도 나는 새와 같은 체험을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urning by the motion sensor 30 to detect the flight of the experienced person lying down without wearing anything,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but the wing, you can experience like flying birds Anyone can easily and conveniently, and the experienced person can experience the bird-like experience realistically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베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험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을 설치하거나 지지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베이스(10)는 후술할 구성들을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다.The base 10 is a structure for providing or supporting another structure constituting the experie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base 10 is formed to mount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작동 플레이트(2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체험자가 엎드릴 수 있게 지지한다. 특히, 작동 플레이트(20)는 새가 나는 것처럼 상승과 하강 그리고 좌우로 선회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A)로 구동된다.The operation plate 20 is supported by the experienced person to face down as shown in FIGS. 1 to 4. In particular, the actuating plate 20 is driven by the actuator A so that it can rise and fall and turn left and right as if it is leaking.

즉, 상기 액추에이터(A)는 한쪽이 상술한 베이스(100)에 장착되고 다른 한쪽이 작동 플레이트(20)에 장착되어 후술할 제어기(50)의 제어를 받는다. 이때, 제어기(A)는 적어도 3개를 베이스(10)와 작동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하여, 이 작동 플레이트(20)가 3차원적으로 움직이게 하여 그 위에 엎드린 체험자가 마치 새가 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That is, the actuator A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se 100 and the other is mounted on the operation plate 20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A is installed at least three between the base 10 and the operation plate 20, the operation plate 20 is moved in three dimensions,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lying on it is like leaking Allow experience.

이러한 액추에이터(A)는 통상적으로 가상 현실 체험장치에서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라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A)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Such an actuator A may be used as it is usually used in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apparatus, or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actuator A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mentioned later.

동작 감지기(3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베이스(1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동작 감지기(30)는 작동 플레이트(20)에 엎드린 체험자가 팔을 벌렸을 때 양팔의 움직임을 각각 검출할 수 있게 두 개를 베이스(10)에 설치한다.The motion detector 30 is mounted on the base 1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1 to 4. At this time, the motion sensor 30 is installed on the base 10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lying on the operation plate 20 can detect the movement of both arms when the arm is open.

동작 감지기(30)에서 감지한 신호는 제어기(50)로 출력하여 체험자가 상승이나 하강 또는 좌우 선회하고자 하는가를 판단하는 데 이용한다. 이러한 판단에 관해서는 제어기(50)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The signal sensed by the motion detector 30 is output to the controller 50 and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experienced person intends to turn up or down or turn left and right. This determina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controller 50 described.

디스플레이(40a)와 HMD(40b)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체험자 시각으로 보는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이때의 영상은 제어기(5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display 40a and the HMD 40b, as shown in FIGS. 1 to 4, are for showing an image viewed from the experiencer's perspective, and the image is mad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이때, 디스플레이(40a)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베이스(10)에 장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험 장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볼 수 있게 구성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40a)는 모니터와 같이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display 40a, as shown in Figs. 1 to 4, is mounted on the base 10 so that people around the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e the display 40a. The monitor manufactured using a conventional technique is used.

또한, HMD(40b)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체험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보는 디스플레이의 일종을 말한다. 이는, 통상 머리에 착용하는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를 의미하나, 이 외에도 안경 형태의 HMG(Head Mounted Glasses)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MD 40b refers to a kind of display which the experienced person wears on the head as shown in FIGS. 1 to 4. This generally means a head mounted display (HMD) to be worn on the head, but in addition, it may be used in the form of glasses-mounted head mounted glasses (HMG).

이러한 디스플레이(40a)와 HMD(40b)는 각각 제어기(50)의 제어를 통해 같은 영상을 출력하며, 출력되는 영상은 체험자가 바라보는 시각에서 보이는 영상을 출력한다. 즉, 체험자가 왼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그에 따라 영상도 마치 눈이 돌아가면서 보이는 것과 같은 형태로 영상이 바뀌면서 바뀌는 영상을 보여준다.The display 40a and the HMD 40b output the same imag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respectively, and the output image outputs the image seen from the viewing point of view of the experiencer. In other words, if the user turns his head to the left, the video also shows a video that changes as the eye turns around.

제어기(50)는, [도 4]와 같이, 두 개의 동작 감지기(30)에서 검출한 신호를 바탕으로 액추에이터(A)를 작동시켜 체험자가 3차원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40a)와 HMD(40b)로 영상을 출력하게 한다. 이를 체험자의 날갯짓과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30a"와 "30b"는 상술한 두 개의 동작 감시기를 좌와 우에 설치한 것을 구분한 것을 말한다.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50 operates the actuator A based on the signals detected by the two motion detectors 30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can experience in three dimensions,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display 40a. ) And the HMD 40b.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o [8] with respect to the wing of the experience person as follows. Here, reference numerals "30a" and "30b" refer to thos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two motion monitors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도 5]와 같이, 체험자가 손을 아래로 내린 상태로 있으면, 두 개의 동작 감지기(30a, 30b)에서는 아무런 신호도 검출되지 않는다. 이에, 제어기(50)는 체험자가 하강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체가 아래로 향하도록 액추에이터(A)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experienced person is in a state where his hands are down, no signals are detected by the two motion detectors 30a and 30b. Thus,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experiencer wants to descend and controls the actuator A so that the upper body faces downward.

[도 6] 및 [도 7]과 같이, 체험자가 어느 한쪽 손을 움직이면서 날갯짓을 하면, 제어기(50)는 체험자가 선회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알맞게 액추에이터(A)를 제어한다. 즉, [도 6]과 같이 오른손의 날갯짓을 동작 감지기(30a)에서 검출하면 왼쪽으로 선회하는 것과 같이, 그리고 [도 7]과 같이 왼손의 날갯짓을 동작 감지기(30b)검출하면 오른쪽으로 선회하는 것과 같이 액추에이터(A)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when the experiencer makes a wing while moving one of the hands,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experiencer wants to turn and controls the actuator A accordingly. That is, as shown in FIG. 6, when the wing of the right hand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or 30a, it turns to the left, and when it detects the wing of the left hand as shown in FIG. 7, it turns to the right. Similarly, the actuator A is controlled.

[도 8]과 같이, 체험자의 양쪽 손으로 날갯짓하면 두 개의 동작 감지기(30a, 30b)를 입력받은 제어기(50)는 상승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알맞게 상체가 위로 향하도록 액추에이터(A)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50 receives the two motion detectors 30a and 30b when it is flying with both hands of the experienced person, and determines that the controller 50 intends to ascend to control the actuator A so that the upper body is turned upward.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50)가 판단하는 것으로 위에서 네 가지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위의 경우 날갯짓을 함에 따른 검출 신호를 검출하였으나, 날갯짓하지 않고 손을 펼친 상태를 검출하게 하여, 손이 검출된 상태를 하늘에 떠 있는 상태로 바람을 타고 활강하면서 상승과 하강 그리고 선회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50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four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above case,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wing is detected, but the hand is spread out without the wing, and the hand is detected while the air is floating in the sky.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turning operation to be made.

<액추에이터의 구성><Configuration of Actuator>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 방식의 액추에이터(A)는,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가 구비된 본체(100) 내에 서보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되는 스크루 바(300)를 구비하고, 이 스크루 바(300)의 회전으로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슬라이드 바(400)에 의해 볼 조인트(500)를 매개로 작동 판(P)이 상하로 불규칙 3차원 운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screw actuator actuato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to 12, the servo motor 200 in the main body 100 provided with the upper cover 110 and the lower cover 120. It is provided with a driven screw bar 300 which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late (P) via the ball joint 500 by a pair of slide bars 400 which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bar 300. ) Is to enable irregular three-dimensional movement up and down.

특히, 상기 본체(100)는 한 쌍의 회전지지 브래킷(60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액추에이터(A)가 전체적으로 역"Y"자 형태가 되어 볼 조인트(500)에 의해 작동 판(P)과의 간섭을 없애줄 뿐만 아니라 2점 지지를 통해 액추에이터(A)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main body 1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B) by a pair of rotation support bracket 600, the actuator (A) as a whole in the shape of the reverse "Y" ball joint 500 By removing the interference with the operating plate (P) by the two-point support is to enable the actuator (A) to be stably supported.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A)의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게 되며, 내부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인 형태로 형성된다.The main body 100 constitutes the overall shape of the actuato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o install other components therein.

특히, 상기 본체(100)는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프레스 가공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체(100)는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강판과 같은 판재의 양측 테두리 부분을 서로 마주보게 절곡함에 따라 달성된다.In particular, the main body 100 is preferably formed by a press working method so that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upper and lower open to mount the other components therein. The main body 100 is achieved by bending both edge portions of a plate such as steel sheet to face each other.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9]와 같이, 꺾인 양측 면 부분이 나머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아래로 돌출되게 하여 힌지부(130)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힌지부(130)에는 후술하게 될 회전지지 브래킷(600)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B)에 본체(1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용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9,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nfigure the hinge portion 130 so that both sides of the bent side projected downward compared to the other parts. The hinge portion 130 is used to rotatably install the main body 100 on the base plate B using the rotation support bracke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본체(100)에는 개방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가 구비된다. 이들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는 각각 본체(100)에 융착하여 고정하거나 볼트 등으로 체결고정시켜서 사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upper cover 110 and a lower cover 120, respectively, on the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These upper cover 110 and the lower cover 120 is to be used by fusion fixed to the main body 100 or fixed by fastening with a bolt or the like.

이때, 상기 상부덮개(110)에는 윗면에 후술하게 될 슬라이드 바(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구멍(111)이 형성되고, 이 장착구멍(111)에는 슬라이드 바(40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싱(112)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덮개(110)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그 단면 형상이 "┏┓" 형상으로 형성하여 강성 확보와 함께 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 mounting hole 111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110 so that the slide bar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lide bar 400 is stably slid in the mounting hole 111. Bushing 112 is provided to be made. The upper cover 110 is preferably formed by pressing to form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 shape to ensure easy rigidity and secured.

또한, 하부덮개(120)는 상부덮개(1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는 양측의 테두리를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꺾어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꺾인 양측 면이 상기 본체(100)의 힌지부(130)와 함께 힌지 고정될 수 있게 하고, 개구된 부분을 통해서는 이러한 힌지 연결 등을 쉽게 할 수 있는 공간부를 마련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lower cover 1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 cover 110,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formed by bending the borders of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This is to allow both sides of the bent hinge to be fixed together with the hinge portion 130 of the main body 100, and through the open portion to provide a space for easy hinge connection and the like.

이러한 하부덮개(12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꺾인 양측 면이 상기 힌지부(130)와 맞닿는 폭으로 제작하게 되며, 그 길이는 상기 본체(100)의 앞쪽으로 돌출될 수 있게 형성한다. 이에, 하부덮개(120)는 한쪽이 [도 12]와 같이, 본체(100)의 바깥쪽([도 12]에서 오른쪽)으로 돌출되게 되는데, 돌출된 부분에는 서보 모터(200)가 장착된다.The lower cover 120, as shown in [11] and [12], the two sides of the bent is to be produced in a width that abuts the hinge portion 130,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Form to be. Thus, one side of the lower cover 120, as shown in [Fig. 12],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right] in Fig. 12), the protruding portion is mounted servo motor 200.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에는 각각 이동위치를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리밋 스위치(미도시됨)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 사이에는 후술하게 될 스크루 너트(410)가 상하로 승강과 하강하게 되는데, 이 스크루 너트(410)의 최대 및 최저 위치를 제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110 and the lower cover 1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limit switch (not shown) used to limit the movement position, respectively. This is to raise and lower the screw nut 4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etween the upper cover 110 and the lower cover 120, to limit the maximum and minimum position of the screw nut 410. .

서보 모터(200)는 정역방향으로 방향 제어 및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서보 모터(200)는 그 축이 상기 하부덮개(120)의 아래쪽, 즉 양측이 꺾여서 이루어진 공간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끼워져서 회전지지게 하부 덮개(120)에 설치된다.The servo motor 200 may use any one as long as it can control the direction control and the rotation amount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servo motor 200 is installed on the lower cover 120 so that the shaft is rotated to be inserted below the lower cover 120, that is, the inside of the space formed by bending both sides thereof.

이러한 서보 모터(200)에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그 축에는 전달수단이 구비된다. [도 9]에서는 전달수단으로서 타이밍 피니언(211)이 구비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타이밍 피니언(211)에는 벨트(210)가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The servo motor 200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means on the shaft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9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timing pinion 211 is provided as a transmission means, and a belt 210 is engaged with the timing pinion 211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수단으로는 벨트 방식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기어 방식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구성도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eans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a belt method as an example, it will be readi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lso th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gear system.

또한, 상기 서보 모터(200)는 하부덮개(120)의 하부에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하부 덮개(120)의 위쪽에서 기어 방식이나 벨트 방식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rvo motor 200 has been described as the power transmission is mad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120, it may be configured to be a power transmission in the gear method or belt metho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120.

스크루 바(300)는 외주 면에 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각각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에는 각각 [도 9]와 같이 베어링 홀더(113,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베어링 홀더(113,121)는 각각 융착 고정할 수도 있고 체결고정시킬 수도 있다.Screw bar 300 is made of a screw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oth ends are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upper cover 110 and the lower cover 120,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upper cover 110 and the lower cover 120 are provided with bearing holders 113 and 121,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The bearing holders 113 and 121 may be fused and fixed, respectively.

그리고, 이들 베어링 홀더(113,121)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앵귤러 베어링(310)을 채택하여 스크루 바(300)에 의한 축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earing holders 113 and 121 are equipped with bearings, and preferably, the angular bearing 310 is adopted to be able to withstand the axial load by the screw bar 300.

또한, 상기 스크루 바(300)는 상술한 서보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 9]에서는 하단부가 하부덮개(120)의 아래로 관통되게 설치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처럼 돌출된 단부에는 타이밍 풀리(320)가 구비되어 벨트(210)와 맞물린다.In addition, the screw bar 300 is rotated by the above-described servo motor 200. For this purpose, 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end penetrates below the lower cover 120. FIG. The protruding end is provided with a timing pulley 320 to engage the belt 2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풀리(320)는 하부덮개(12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하부 덮개(12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스크루 바(3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이 타이밍 풀리(320)를 대신하여 기어를 장착함으로써 서보 모터(200)와 기어 맞물림을 통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ing pulley 32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under the lower cover 120, but may be installed on the screw bar 300 to be positioned above the lower cover 120. have. Of course, by mounting a gear in place of the timing pulley 320,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power transmission through the gear mesh with the servo motor 200.

또한, 상기 스크루 바(300)는 그 양단이 각각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의 각 중심 부분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술하게 될 하부 브래킷(42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crew bar 30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t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110 and the lower cover 120, respectively, so that the lower bracket 420 to be described later to one side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vertical operation to be performed stably without hitting.

슬라이드 바(400)는 스크루 바(300)를 중심으로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처럼 슬라이드 바(400)는 한 쌍이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단에 각각 하부 브래킷(420)과 상부 브래킷(430)이 구비된다.A pair of slide bars 400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screw bar 300. As such, the slide bar 400 is provided with a lower bracket 420 and an upper bracket 430 at both ends so as to allow the pair to move simultaneously.

특히, 상기 하부 브래킷(420)에는 상기 스크루 바(300)의 회전에 의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맞물린 스크루 너트(4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브래킷(430)은 상술한 상부덮개(110)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lower bracket 420 is provided with a screw nut 410 engag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bar 300, the upper bracket 430 is the upper cover 110 described above It i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top of th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바(400)는 이 상부덮개(110)에 구비된 부싱(112)에 끼워져서 슬라이드 바(400)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양단이 각각 하부 브래킷(420)과 상부 브래킷(430)에 고정설치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slide bars 400 are fitted to the bushing 112 provided in the upper cover 110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positioned side by side with the slide bar 400, respectively, the lower bracket 420 and the upper bracket ( 430 is fixedly instal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고정 방법으로는 융착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으나, 조립과 분해 및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 방식으로 체결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thod may be a fusion method, but it is preferable to fasten the fastening metho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and combin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브래킷(420)과 상부 브래킷(430) 또한 각각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racket 420 and the upper bracket 430 is also formed by pressing each, it is preferable to be easy to manufactur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와 같이 이루어진 슬라이드 바(400)는, [도 11]과 같이 스크루 너트(410)가 스크루 바(30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 스크루 바(300)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루 너트(410)의 상승에 의해 하부 브래킷(420)이 위로 움직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위로 움직이게 된다.The slide bar 400 made in this way, as shown in FIG. 11, as the screw bar 300 rotates while the screw nut 410 is located below the screw bar 300, the screw nut 410 is raised. The lower bracket 420 is moved upwards and consequently moved upwards.

볼 조인트(500)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며, 일단이 상기 상부 브래킷(4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작동 판(P)에 장착된다. 이때의 장착은 볼 조인트(500)의 교체 등이 가능하도록 체결 방식으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ll joint 500 is made of a conventional technique,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bracket 430, the other end is mounted to the operating plate (P). At this time, the mounting is preferably adopted by a fastening method such that replacement of the ball joint 500 is possible.

또한, 상기 볼 조인트(500)는 한 쌍의 슬라이드 바(400) 사이, 즉 스크루 바(300)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A)가 마치 역"Y"자와 같이 3점 지지가 되게 하여 안정적인 승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00)의 양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B)에 두점 지지가 되고 상부가 볼 조인트(500)에 의해 작동 판(P)이 지지가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A)는 2점 지지가 된 베이스 플레이트(B)에 안정적으로 지지가 되어 동작할 수 있게 되고, 한 점이 지지가 된 작동 판(P)이 원하는 3차원적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all joint 500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lide bar 400, that is, coaxial with the screw bar 300, so that the actuato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if the inverse " Y " It is desirable to be a three-point support to enable a stable lifting action. That is, since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are supported by two points on the base plate B, and the upper part is supported by the ball joint 500, the actuator A is supported by two points. The stably supported base plate (B) is able to operate, the operation plate (P) supported by a point can be made smoothly the desired three-dimensional operation.

회전지지 브래킷(600)은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된다. 특히, 이 회전지지 브래킷(600)은 상술한 본체(100)의 힌지부(130)에 힌지 고정되게 된다.Rotation support bracket 600 is provided with a pair, one each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In particular, the rotation support bracket 600 is hinged to the hinge 130 of the main body 100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지지 브래킷(600)은 본체(100) 뿐만 아니라 하부덮개(120)도 함께 힌지 고정시켜 줌으로써,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A)의 전체 하중을 본체(100)와 하부덮개(120)로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upport bracket 600 is hinged to fix the lower cover 120 as well as the main body 100, thereby the overall load of the actuator (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100 It is preferable to serve to distribute to the lower cover (120).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A)는 작동 전 상태에서 서보 모터(200)가 구동함에 따라 벨트(210)로 연결된 스크루 바(30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상기 스크루 바(300)에 맞물린 스크루 너트(410)가 위로 올라가면서 동시에 하부 브래킷(420)을 위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는 이 하부 브래킷(420)에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 바(400)가 위로 올라가면서 작동 판(P)의 승강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actuato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bar 300 connected to the belt 210 rotates as the servo motor 200 is driven in the pre-operation state. Accordingly, the screw nut 410 meshed with the screw bar 300 is moved upward and simultaneously transports the lower bracket 420 upward. This is a pair of slide bar 400 provided in the lower bracket 420 is to move up to perform the lifting action of the operating plate (P).

A : 액추에이터 10 : 베이스
20 : 작동 플레이트 30 : 동작 감지기
40a : 디스플레이 40b : HMD
50 : 제어기
100 : 본체 110 : 상부덮개
111 : 장착구멍 112 : 부싱
113, 121 : 베어링 홀더 120 : 하부덮개
130 : 힌지부 200 : 서보 모터
210 : 벨트 211 : 타이밍 피니언
300 : 스크루 바 310 : 앵귤러 베어링
320 : 타이밍 풀리 400 : 슬라이드 바
410 : 스크루 너트 420 : 하부 브래킷
430 : 상부 브래킷
A: Actuator 10: Base
20: operation plate 30: motion detector
40a: display 40b: HMD
50: controller
100: main body 110: upper cover
111: mounting hole 112: bushing
113, 121: bearing holder 120: lower cover
130: hinge portion 200: servo motor
210: Belt 211: Timing Pinion
300: screw bar 310: angular bearing
320: timing pulley 400: slide bar
410: screw nut 420: lower bracket
430: upper bracket

Claims (6)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지진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위에 적어도 3개의 액추에이터(A)를 통해 3차원으로 움직이며 체험자가 엎드릴 수 있게 구성한 작동 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10)에 장착하여 작동 플레이트(20)에 엎드린 체험자가 양손을 바깥으로 펼쳤는지 검출하기 위한 두 개의 동작 감지기(30); 상기 베이스(10)에 장착한 디스플레이(40a)와 체험자가 착용하는 HMD(40b); 및 상기 동작 감지기(30)를 통해 액추에이터(A)를 제어하며 필요한 영상을 디스플레이(40a)와 HMD(40b)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50)는,
(1) 두 개의 동작 감지기(30)에서 출력이 없으면 액추에이터(A)로 하강하게 하면서 체험자가 하강하면서 보는 영상을 출력하게 하고,
(2) 두 개의 동작 감지기(30)에서 출력이 있으면 액추에이터(A)로 상승하게 하면서 체험자가 상승하면서 보는 영상을 출력하게 하고,
(3) 두 개의 동작 감지기(30) 중에서 어느 한쪽에서 출력이 있으면 액추에이터(A)로 출력이 있는 쪽이 상승하여 선회하게 하면서 체험자가 선회하면서 보는 영상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
A base 10 made of a predetermined size; An actuating plate 20 configured to move in three dimensions on the base 10 through at least three actuators A and to be prone to face down; Two motion detectors (30) mounted on the base (10) for detecting whether the experienced person lying on the operation plate (20) spreads his or her hands outward; A display 40a mounted on the base 10 and an HMD 40b worn by an experienced person; And a controller 50 that controls the actuator A through the motion detector 30 and controls to output the necessary image to the display 40a and the HMD 40b.
The controller 50,
(1) if there are no outputs from the two motion detectors (30) to the actuator (A) while having the experienced person as the descending outputs the image to see,
(2) If there are outputs from the two motion detectors 30, the result is ascending to the actuator (A) while outputting the image that the experiencer sees,
(3) The fly bird virtual experience, characterized in that if there is an output from either of the two motion detectors 30, the side having the output rises to the actuator (A) to turn while the experiencer outputs the image as he / she turns.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A)는,
판상 부재로서 양측이 서로 마주 보도록 꺾이고, 상부에는 상부덮개(110)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하부덮개(120)가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앞쪽으로 돌출된 하부덮개(120)에 설치되는 서보 모터(200);
상기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서보 모터(200)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스크루 바(300);
상기 스크루 바(300)에 결합하는 스크루 너트(410)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하부지지 브래킷(420) 및 상기 상부덮개(110)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상부지지 브래킷(430)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스크루 바(300)를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 바(400);
상기 상부지지 브래킷(430)과 작동 판(P) 사이에 설치되는 볼 조인트(500); 및
상기 본체(100)와 하부덮개(120)의 중첩된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본체(100)가 전후로 회전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B)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 브래킷(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ctuator A is
A main body 100 having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s a plate-like member, an upper cover 11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cover 12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ervo motor 200 installed on the lower cover 120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 screw bar (30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cover (110) and the lower cover (120) and rotated in place by the servo motor (200);
Both ends are fixed to the lower support bracket 420 moving up and down by the screw nut 410 coupled to the screw bar 300 and the upper support bracket 43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110, respectively. A pair of slide bars 400 install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screw bar 300;
A ball joint 50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pport bracket 430 and the operation plate P; And
Includes a pair of rotation support brackets 600 mounted on the overlapping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ower cover 120 and installed on the base plate B so that the main body 100 is rotatable back and forth. Featuring a fly 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상부덮개(110)·하부덮개(120)·하부지지 브래킷(420) 및 상부지지 브래킷(430)은 각각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100), the upper cover (110), the lower cover (120), the lower support bracket (420) and the upper support bracket (430) are respectively formed by pressing the fly fly virtual experience devic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에는 각각 스크루 너트(410)의 최대 및 최저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리밋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upper cover 110 and the lower cover 120 is a fly 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vided with a limit switch for limiting the maximum and minimum position of the screw nut (4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모터(200)와 스크루 바(300)는,
벨트(210) 구동 또는 기어로 연결되어 연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rvo motor 200 and the screw bar 300,
Fly 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 210 is connected to the drive or gear dri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바(300)는 양단에 각각 앵귤러 베어링(310)이 구비되어 회전지지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버드 가상 체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crew bar 300 is a fly bird virtual experi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ular bearing 310 is provided at both ends to receive rotation support.
KR1020160021470A 2016-02-23 2016-02-23 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 KR102059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70A KR102059236B1 (en) 2016-02-23 2016-02-23 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70A KR102059236B1 (en) 2016-02-23 2016-02-23 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88A KR20170099288A (en) 2017-08-31
KR102059236B1 true KR102059236B1 (en) 2019-12-24

Family

ID=5976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470A KR102059236B1 (en) 2016-02-23 2016-02-23 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2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817B1 (en) 2018-05-15 2020-02-17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Simulator for Real Sports Experience
KR102183604B1 (en) * 2019-01-17 2020-11-26 디앤에스 주식회사 Flying motion simulator
CN112965395B (en) * 2021-02-02 2024-04-19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Using method of flight simulation experience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56B1 (en) * 2012-12-27 2014-06-02 전자부품연구원 Motion recongnition based virtual training system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8770A (en) 2012-02-28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xpanded 3d space based virtual sports simulation system
KR101212445B1 (en) 2012-05-08 2012-12-13 (주)아레스 Simulator apparatus for skydive virtual training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KR20140136267A (en) * 2013-05-20 2014-11-28 홍동기 Motion base applied to screw type actuator
KR101624787B1 (en) 2014-04-15 2016-05-26 주식회사 마이크로오토메이션 virtual reality simulator and walking mimicking shoes
KR101492372B1 (en) 2014-04-23 2015-02-12 (주)스페이스링크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aratus Having Motion Control Unit
KR101628544B1 (en) * 2014-11-27 2016-06-08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3d-paragliding experienc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56B1 (en) * 2012-12-27 2014-06-02 전자부품연구원 Motion recongnition based virtual training system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88A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4211B2 (en) Device for carrying out movements by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and/or actuating muscles of a human body
KR101789883B1 (en) Spin virtual reality simulator
KR102059236B1 (en) 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
KR101628544B1 (en) 3d-paragliding experiencing apparatus
US5490784A (en) Virtual reality system with enhanced sensory apparatus
US9493237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ircraft
CN107773910B (en) A kind of universal treadmill of wireless colony virtual entertainment
KR101615166B1 (en) Education Drone for Circuit assemble and Program Learning
KR101492372B1 (en)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aratus Having Motion Control Unit
CN106959763B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 equipment and control system
KR20150115272A (en) A rotating simulator for multi passanger and circle structure simulating system with rotating simulator
US20150323988A1 (en) Operating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70050095A (en) Flying bird virtual reality simulator
CN109882702A (en) A kind of intelligent follow-up adjusting display bracket
KR20160144268A (en) Gait simulation platform for head mounted display unit
RU2662399C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movements and positions of human body and parts of human body
CN111462574A (en) Flight training simulation system
CN212208630U (en) Flight training simulation system
CN112930162B (en)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method and program
EP3966664B1 (en)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with physical feedback
KR20150131722A (en) Omni-directional treadmill
KR20150114223A (en) An omnidirectional scaffolding system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position sensor
US20210380189A1 (en) Rotating Platform With Navigation Controller For Use With Or Without A Chair
KR102038584B1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 apparatus for 3D simulation
US11036283B2 (en) Navigation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9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04

Effective date: 201911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