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541B1 -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541B1
KR102058541B1 KR1020170168969A KR20170168969A KR102058541B1 KR 102058541 B1 KR102058541 B1 KR 102058541B1 KR 1020170168969 A KR1020170168969 A KR 1020170168969A KR 20170168969 A KR20170168969 A KR 20170168969A KR 102058541 B1 KR102058541 B1 KR 10205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address
monitoring
delete delet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803A (ko
Inventor
조영일
김명호
유진영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5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1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the content of a request
    • H04L61/15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서버 시스템의 개별 서버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서버 모니터링 방법은 복수의 개별 서버들을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에 접속된 서버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개별 서버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들을 포함하는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한 후, 선택된 IP 주소를 타겟 IP 주소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IP 주소가 결정되면, 상기 서버 시스템 내에서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가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되어 서버 모니터링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의 개별 서버들에 대한 서버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SERVER MONITERING METHOD AND SERVER MONITER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웹(web)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고, 이러한 웹 서비스는 서버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숫자들 조합으로 이루어진 해당 서버 시스템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해당 서버 시스템의 IP 주소를 직접 알고 있기 보다는, 해당 서버 시스템의 IP 주소를 영문으로 표현한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을 알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도메인 이름을 통한 접속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알고 있는 도메인 이름을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제공받게 되고, 이후 해당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서버 시스템은 한 대의 서버를 구비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서버들을 구비하여 해당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서버 시스템은 웹 서비스를 각각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서버들과, 상기 개별 서버들을 관리하고 있는 대표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표 서버는 해당 웹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을 원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상기 개별 서버들 각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웹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와 같은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도메인 이름을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DNS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도메인 이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제공받아 해당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DNS 서버에서 제공받는 IP 주소는 일반적으로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이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도메인 이름을 통해 서버 시스템에 접속할 때, 해당 서버 시스템의 대표 서버로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웹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해당 웹 서비스가 제대로 동작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서버 시스템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이때, 관리자가 해당 서버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해당 서버 시스템에 대응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한 후, 해당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접속되어 모니터링되는 서버는 해당 서버 시스템의 대표 서버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관리자가 도메인 이름 하나 가지고 서버 시스템을 모니터링할 때, 해당 서버 시스템의 대표 서버에 대한 모니터링은 가능하지만, 해당 서버 시스템의 개별 서버들에 대한 모니터링이 안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버 시스템의 개별 서버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서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모니터링 방법은 복수의 개별 서버들을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에 접속된 서버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개별 서버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들을 포함하는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한 후, 선택된 IP 주소를 타겟 IP 주소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IP 주소가 결정되면, 상기 서버 시스템 내에서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이하, '서버 모니터링 수행 단계'라 함)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IP 주소를 다시 선택한 후, 다시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하는 단계(이하, 'IP 재결정 단계'이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IP 재결정 단계 이후, 상기 서버 모니터링 수행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이하, '서버 모니터링 재수행 단계'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P 재결정 단계에서는,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이전에 선택된 IP 주소와 다른 IP 주소를 선택한 후, 다시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서버 IP 목록에 포함된 IP 주소들 모두가 선택될 때까지, 상기 IP 재결정 단계 및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재수행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IP 목록은 상기 개별 서버들을 관리하는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표 서버는 접속을 원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을 상기 개별 서버들 각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주는 로드 밸런싱 서버일 수 있다.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입력받은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한 후,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 IP 목록은 상기 개별 서버들을 관리하는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추출할 수 있는 서버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도메인 주소 및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타겟 IP 주소가 결정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는 상기 개별 서버들을 관리하는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결합된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는 서버 접속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모니터링 장치는 IP 결정부 및 모니터링 제어부을 포함한다. 상기 IP 결정부는 서버 시스템에 포함된 개별 서버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들을 포함하는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한 후, 선택된 IP 주소를 타겟 IP 주소로 결정한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IP 결정부로부터 상기 타겟 IP 주소를 제공받고, 상기 서버 시스템 내에서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주소 요청 신호를 상기 IP 결정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IP 결정부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주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한 후, 선택된 IP 주소를 타겟 IP 주소로 결정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는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상기 IP 결정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 IP 목록은 상기 개별 서버들을 관리하는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추출할 수 있는 서버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도메인 주소 및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P 결정부는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IP 주소를 다시 선택한 후, 다시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새롭게 결정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서버 시스템 내에서, 상기 IP 결정부로부터 다시 제공받은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IP 결정부는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이전에 선택된 IP 주소와 다른 IP 주소를 다시 선택한 후, 다시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새롭게 결정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상기 IP 결정부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P 결정부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 다시 제공받은 상기 주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이전에 선택된 IP 주소와 다른 IP 주소를 다시 선택한 후, 다시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새롭게 결정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상기 IP 결정부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서버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들 모두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할 때까지,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상기 IP 결정부로 반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는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을 때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상기 IP 결정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 IP 목록은 상기 개별 서버들을 관리하는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표 서버는 접속을 원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을 상기 개별 서버들 각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주는 로드 밸런싱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버 IP 목록은 상기 개별 서버들을 관리하는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결합되어 있어, 네트워크 운영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은 후, 상기 IP 결정부로 다시 제공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은 서버 접속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서버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추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장치에 따르면, 서버 모니터링 장치가 서버 시스템에 포함된 개별 서버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들을 포함하는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하여 타겟 IP 주소로 결정한 후, 상기 서버 시스템 내에서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개별 서버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서버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임의의 개별 서버의 IP 주소를 선택하여 해당 개별 서버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이전에 선택된 개별 서버의 IP 주소가 아닌 다른 개별 서버의 IP 주소를 선택하여 해당 개별 서버에 대한 모니터링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서버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개별 서버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모니터링 장치가 서버 시스템 및 네트워크 운영 서버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서버 모니터링 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서버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서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입력부가 서버 접속 정보를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IP 목록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부터 서버 IP 목록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서버 IP 목록을 IP 결정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2에서, IP 결정부가 서버 IP 목록을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입력부가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첫 번째로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주소 요청 신호를 첫 번째로 IP 결정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8에서, IP 결정부가 개별 서버 1의 IP 주소를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8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개별 서버 1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8에서, 입력부가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두 번째로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8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주소 요청 신호를 두 번째로 IP 결정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8에서, IP 결정부가 개별 서버 2의 IP 주소를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8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개별 서버 2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연결된다', '결합된다'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각 단계가 명확하게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모니터링 장치가 서버 시스템 및 네트워크 운영 서버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서버 모니터링 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웹(web)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서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유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서버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서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시스템(200)은 대표 서버(210) 및 복수의 개별 서버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표 서버(210)는 상기 개별 서버(220)들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표 서버(210)는 접속을 원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예를 들어 복수의 스마트폰들이나 복수의 개인용 컴퓨터들로 상기 개별 서버들 각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서버일 수 있다. 상기 개별 서버(220)들은 독립적으로 웹(web) 서비스를 각각 제공할 수 있는 서버들로, 예를 들어, 개별 서버 1, 개별 서버 2, 개별 서버 3 및 개별 서버 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표 서버(210)는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 예를 들어 (1.1.1.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별 서버 1은 개별 서버 1의 IP 주소, 예를 들어 (1.1.1.2)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개별 서버 2는 개별 서버 2의 IP 주소, 예를 들어 (1.1.1.3)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개별 서버 3은 개별 서버 3의 IP 주소, 예를 들어 (1.1.1.4)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개별 서버 4는 개별 서버 4의 IP 주소, 예를 들어 (1.1.1.5)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는 리스트로 상기 개별 서버(220)들의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서버 IP 목록을 저장하고 있다. 이때, 상기 서버 IP 목록은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는 서버 IP 목록을 포함하여 그 외 다른 목록 또는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있을 때,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를 알고 있을 경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손쉽게 찾아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 IP 목록은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와 결합되어 있는 것과 별도로, 리스트 내에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서버 IP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시스템(200) 내에 포함된 서버들에 각각 접속하여 서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임의의 건물 내에 존재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와 접속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임의의 사용자,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개인용 컴퓨터이거나,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모니터링 제어부(110), 입력부(120) 및 IP 결정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 상기 입력부(120) 및 상기 IP 결정부(130)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구성요소들이거나 하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되 프로그램 상으로 구분된 구성요소들일 수 있으며, 물리적 구분과 프로그램 구분이 조합된 구성요소들일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서비스 관리자에 의한 입력 행위에 의해 입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1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는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아 상기 IP 결정부(130)에 저장시킨 후, 상기 IP 결정부(130)에 저장된 상기 서버 IP 목록 중 하나의 IP 주소를 제공받아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서버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2의 서버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서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입력부가 서버 접속 정보를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IP 목록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부터 서버 IP 목록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2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서버 IP 목록을 IP 결정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2에서, IP 결정부가 서버 IP 목록을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S1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입력부(120)은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저장하기 위해 서버 접속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20)은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상기 서버 접속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를 추출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를 직접 포함하고 있거나, 이와 다르게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도메인 주소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도 5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은 상기 서버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IP 목록의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IP 목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P 목록 요청 신호는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접속 정보가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은 상기 서버 접속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여 상기 IP 목록 요청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도메인 주소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은 외부의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해당 도메인 이름 또는 해당 URL에 대응되는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를 제공받은 후, 상기 IP 목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과 같이,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은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된 상기 IP 목록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와 결합된 상기 서버 IP 목록을 찾아낸 후,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전송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7과 같이,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는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서버 IP 목록을 상기 IP 결정부(130)로 제공하면, 도 8과 같이, 상기 IP 결정부(130)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된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300)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관리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에서, 입력부가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첫 번째로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주소 요청 신호를 첫 번째로 IP 결정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11은 도 8에서, IP 결정부가 개별 서버 1의 IP 주소를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가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한 후, 선택된 IP 주소를 타겟 IP 주소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우선 도 9와 같이 상기 입력부(120)가 상기 서버 시스템(200)의 서버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한 후, 첫 번째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20)가 서비스 관리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서버 접속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도 10과 같이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가 상기 입력부(1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IP 주소 하나를 받기 위한 주소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첫 번째로 상기 IP 결정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소 요청 신호는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IP 주소 하나를 받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도 11과 같이, 상기 IP 결정부(130)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된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한 후,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P 결정부(130)는 상기 개별 서버 1의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에서, IP 결정부가 개별 서버 1의 IP 주소를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타겟 IP 주소가 결정되면, 상기 서버 시스템(200) 내에서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이하, '서버 모니터링 수행 과정'라 함). 예를 들어,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가 상기 IP 결정부(130)로부터 상기 개별 서버 1의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제공받으면,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는 상기 개별 서버 1의 IP 주소를 통해 상기 개별 서버 1에 접속하여 상기 개별 서버 1에 대한 서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도 8에서, 입력부가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두 번째로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4는 도 8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주소 요청 신호를 두 번째로 IP 결정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15는 도 8에서, IP 결정부가 개별 서버 2의 IP 주소를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6은 도 8에서, 모니터링 제어부가 개별 서버 2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가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IP 주소를 다시 선택한 후, 다시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하면(이하, 'IP 재결정 과정'이라 함), 이후 상기 서버 모니터링 수행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이하, '서버 모니터링 재수행 과정'이라 함). 이때, 상기 IP 재결정 과정에서, 상기 타겟 IP 주소로 새롭게 결정되는 IP 주소는 이전에 선택된 IP 주소와 다른 주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3과 같이 상기 입력부(120)가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다시 생성한 후, 두 번째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서버 접속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도 14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가 상기 입력부(1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다시 생성한 후, 두 번째로 상기 IP 결정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소 요청 신호는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IP 주소 하나를 받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대표 서버(210)의 IP 주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는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다시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12와 같은 상기 서버 모니터링 수행 과정이 완료된 이후 자동으로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IP 결정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120)가 상기 서버 모니터링 정보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제공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5와 같이, 상기 IP 결정부(130)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부터 다시 제공된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이전에 선택된 IP 주소가 아닌 다른 IP 주소 하나, 예를 들어 상기 개별 서버 2의 IP 주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새롭게 결정한 후,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가 상기 IP 결정부(130)로부터 상기 타겟 IP 주소로 다시 제공받으면,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110)는 다시 제공받은 상기 타겟 IP 주소, 예를 들어 상기 개별 서버 2의 IP 주소를 통해 상기 개별 서버 2에 접속하여 상기 개별 서버 2에 대한 서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IP 재결정 과정 및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재수행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서버 IP 목록에 포함된 IP 주소들 모두가 선택될 때까지, 상기 IP 재결정 과정 및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재수행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이후,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서버 IP 목록에 포함된 IP 주소들 모두가 계속적으로 하나씩 선택하면서, 상기 IP 재결정 과정 및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재수행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장치(100)가 상기 개별 서버들의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하여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한 후, 상기 서버 시스템(200) 내에서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200)에 포함된 상기 개별 서버들(210) 및 상기 대표 서버(210)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서버 모니터링 장치 110 : 모니터링 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IP 결정부
200 : 서버 시스템 210 : 대표 서버
220 : 개별 서버 300 : 네트워크 운영 서버

Claims (30)

  1. 대표 서버 및 상기 대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개별 서버들을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에 접속된 서버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서버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서버 접속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버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표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와 결합되고 상기 개별 서버들의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서버 IP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부터, 추출된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한 후, 선택된 IP 주소를 타겟 IP 주소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IP 주소가 결정되면, 상기 서버 시스템 내에서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이하, '서버 모니터링 수행 단계'라 함);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이전에 선택된 IP 주소와 다른 IP 주소를 선택한 후, 다시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결정하는 단계(이하, 'IP 재결정 단계'이라 함);
    상기 IP 재결정 단계 이후, 상기 서버 모니터링 수행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이하, '서버 모니터링 재수행 단계'라 함); 및
    상기 서버 IP 목록에 포함된 IP 주소들 모두가 선택될 때까지, 상기 IP 재결정 단계 및 상기 서버 모니터링 재수행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표 서버는
    접속을 원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을 상기 개별 서버들 각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주는 로드 밸런싱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도메인 주소 및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모니터링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서버 접속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서버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대표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추출한 후,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결합되고 상기 대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개별 서버들의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서버 IP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추출된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는 모니터링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 상기 서버 IP 목록을 제공받는 IP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주소 요청 신호를 상기 IP 결정부로 전송하고,
    상기 IP 결정부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주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한 후, 선택된 IP 주소를 타겟 IP 주소로 결정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 제공하며,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대표 서버 및 상기 개별 서버들을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 내에서, 상기 IP 결정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상기 IP 결정부로 다시 전송하고,
    상기 IP 결정부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 다시 제공받은 상기 주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 IP 목록 내에서, 이전에 선택된 IP 주소와 다른 IP 주소를 다시 선택한 후, 다시 선택된 IP 주소를 상기 타겟 IP 주소로 새롭게 결정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서버 시스템 내에서, 상기 IP 결정부로부터 다시 제공된 상기 타겟 IP 주소와 대응되는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서버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들 모두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할 때까지, 상기 주소 요청 신호를 상기 IP 결정부로 반복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 시스템에서의 모니터링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대표 서버는
    접속을 원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을 상기 개별 서버들 각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주는 로드 밸런싱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모니터링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도메인 주소 및 상기 대표 서버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모니터링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70168969A 2017-12-11 2017-12-11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969A KR102058541B1 (ko) 2017-12-11 2017-12-11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969A KR102058541B1 (ko) 2017-12-11 2017-12-11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803A KR20190068803A (ko) 2019-06-19
KR102058541B1 true KR102058541B1 (ko) 2020-01-22

Family

ID=6710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969A KR102058541B1 (ko) 2017-12-11 2017-12-11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5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6917B2 (en) * 2003-06-30 2009-12-22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load balancing with host status information
KR100590892B1 (ko) * 2004-08-20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드 밸런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803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0641B2 (ja) アカウントログイン方法、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WO2017028779A1 (zh) 物联网协议转换功能的配置方法、装置、非易失性计算机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9647892B2 (en) Cloud-based service resource provisioning based on network characteristics
JP6888078B2 (ja) ネットワーク機能nf管理方法及びnf管理装置
US86945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selec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7513151A (ja) プライベートクラウド接続装置クラスタアーキテクチャ
JP6364160B2 (ja) メニュー制御方法、メニュー制御装置およびメニュー制御プログラム
US11843674B2 (en) Virtual workspace experience visualization and optimization
US99674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5823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uting remote application data
US9838482B1 (en) Maintaining client/server session affinity through load balancers
US20190098107A1 (en) Geographic location based user computing asset provisioning i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EP3387816B1 (en) Connecting and retrieving security tokens based on context
US20190158584A1 (en) Load balanc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KR102058541B1 (ko)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CN111193778A (zh) 一种web服务负载均衡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0713278B2 (en) Flexible configuration of offline synchronization scope
US20140047014A1 (en) Network access system
JP6340357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9041241A (ja) 振り分けシステム
JP2015103827A (ja) 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218940A (ja) サーバ管理装置
KR20150040019A (ko) 클라우드 간 서비스 확장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JP6252016B2 (ja) セッション管理プログラム、セッション管理方法およびセッション管理装置
JP6246672B2 (ja) 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