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189B1 - Elevator safety plank reliability test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safety plank reliability tes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189B1
KR102058189B1 KR1020180160217A KR20180160217A KR102058189B1 KR 102058189 B1 KR102058189 B1 KR 102058189B1 KR 1020180160217 A KR1020180160217 A KR 1020180160217A KR 20180160217 A KR20180160217 A KR 20180160217A KR 102058189 B1 KR102058189 B1 KR 102058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reliability test
elevator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효용
Original Assignee
(주)디 앤드 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 앤드 디 filed Critical (주)디 앤드 디
Priority to KR102018016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1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66B5/0093Testing of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body reliability test apparatus capable of mechanically performing a brake reliability test of a lower body supporting a lower part of an elevator car to provide an accurate test result. The elevator body reli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late including a first rail installed in a first direction; a base frame installed in an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to move along the first rail based on first input data, including a second rail install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and supporting a lower body coupled to a lower part inside an elevator car; and a pair of moving frames moving along the second rail based on second input data to engage with the lower body.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ELEVATOR SAFETY PLANK RELIABILITY TEST APPARATUS}Elevator body reliability test device {ELEVATOR SAFETY PLANK RELIABILITY TEST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체대의 브레이크 신뢰성 테스트를 기계식으로 수행하여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apparatus capable of calculating an accurate test result by mechanically performing a brake reliability test of a lower body supporting a lower part of an elevator car. .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물건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로, 건물 내에 형성된 수직 승강통로를 따라 모터로 견인되는 메인 로프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를 승, 하강시킨다.An elevator is a device installed in a building and capable of moving a person or object to a desired position. The elevator car is connected to a main rope to be pulled up and down along a vertical lifting path formed in the building.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카를 지지하는 체대 조립부,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조속기 레버, 그 외의 부속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elevator is composed of an elevator car, a body assembly unit for supporting the elevator car, a governor lever for moving the elevator car, other accessories, and the like.

체대 조립부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하부 및 양 측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체대, 하부체대 및 측부체대로 구성된다. 상부체대에는 주 로프 연결쇠나 서스팬션 도르래, 가이드 슈 등이 취부되고, 하부체대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을 지지함과 동시에, 비상정지 장치(브레이크 클램프), 이동 케이블, 균형로프 등을 매다는 금속기구 등이 취부된다.Body assembly unit serves to support the upper, lower and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it is composed of the upper body, the lower body and the side body. Main rope hinges, suspension pulleys, guide shoes, etc. are attached to the upper body, while the lower body supports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and metal tools for fastening emergency stop devices (brake clamps), moving cables, and balancing ropes. Mounted.

여기에서 하부체대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장소 및 공간에 따라 변경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너비에 기초하여 길이와 폭이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고하중을 요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적어도 2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웃하는 하부체대 간의 간격 등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Here, the lower body may vary in length and width based on the width of the elevator car,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space where the elevator is installed. In particular, at least two cargo elevators requiring high loads are installed.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body stage and the like.

이에 기존에는 간이용 다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하부체대 간의 간격을 조절해 조립했으며, 수동으로 조립되는 특성상 하부체대가 엘리베이터 카에 맞지 않거나 하부체대 각각에서 작동되는 브레이크가 서로 다른 속도로 작동하는 등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하부체대가 비틀리는 문제가 발생한다.In the past, the operator manually assembled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lower body using a simple die, and because of the manually assembled characteristics, the lower body does not fit the elevator car or brakes operated at each of the lower body are operated at different speeds. It does not work properly and the underbody is twisted.

또한, 기존에는 엘리베이터의 완제품에 대한 신뢰성 검사시 현장에서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후 엘리베이터 카에 하중 총 중량을 적재하여 브레이크 클래임의 작동 신뢰성을 테스트하고 있으나, 이는 엘리베이터가 현장에 설치된 후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 발생시 엘리베이터 카를 모두 해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ast, the reliability of the finished product of the elevator was installed in the field after the elevator was installed to test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brake claim by loading the total weight of the elevator car, but this can be tested after the elevator is installed on site In case of problems, it may be necessary to dismantle all elevator cars.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체대의 브레이크 신뢰성 테스트를 기계식으로 수행하여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body reliability test apparatus capable of calculating an accurate test result by mechanically performing a brake reliability test of a lower body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an elevator car.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은 기존 간이용 다이를 사용하여 하부체대의 거리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을, 거리 입력을 기초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하부체대의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하부체대의 거리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method of manually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lower body using a conventional die, to move the way along the rail based on the distance input to automatically adjust the distance of the lower body of the lower body of th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apparatus that can accurately set the distance.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설치된 하부체대를 당기고 있는 조속기 레버의 인발력을 체크하여 조속기 레버가 수용할 수 있는 인발력으로 조절할 수 있어 추후 조속기 레버의 손상 및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body reliability test apparatus that can be adjusted to the pulling force that can be accommodated by the governor lever by checking the pulling force of the governor lever that is currently pulling the lower body plate installed to prevent damage and overload of the governor lever in the future There is another purpos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레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며, 내측 공간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부체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제2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하부체대와 맞물리는 한 쌍의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plate including a first rail installe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rail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moving along the first rail based on first input data and install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elevator car A base frame supporting a lower body coupled to the lower part; And a pair of moving frames moving along the second rail based on the second input data and engaging the lower body ba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정 길이의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레일 각각의 양 끝단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late is formed to have a width and length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base frame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rail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desir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끝단에 결합되고,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rame comprises a lower frame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 pair of side frame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upper frame connecting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side fram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하부 레일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상부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ail preferably comprises a second lower rail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upper rail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2 레일 상에 배치되어 일정 높이로 상기 하부체대를 지지하는 체대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frame further includes a body jig disposed on the second rail to support the lower body bag at a predetermined heigh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moving frames are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side frame of the base frame, it is preferable to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ove away from or close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rai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대와 맞물리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한 쌍의 이동 프레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체대의 브레이크 클램프와 해당 이동 프레임이 접촉되는 시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nsing sensor which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moving frame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engaged with the lower body stage to detect the time when the brake clamp of the lower body and the corresponding moving frame contact. Do.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이동 프레임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접촉 데이터 및 상기 조속기 레버의 인발력 데이터를 체크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ing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ase frame and the pair of moving frames, respectively, based on the input data input from the user, and to check the contact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and the pull-out data of the governor lev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ntain a par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체대의 브레이크 신뢰성 테스트를 기계식으로 수행하여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alculating the accurate test results by mechanically performing a brake reliability test of the lower bod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본 발명은 기존 간이용 다이를 사용하여 하부체대의 거리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을, 거리 입력을 기초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하부체대의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하부체대의 거리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distance of the lower body by manually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lower body using a conventional die, the way to automatically adjust the distance of the lower body by moving along the rail based on the distance inpu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t accurately.

본 발명은 현재 설치된 하부체대를 당기고 있는 조속기 레버의 인발력을 체크하여 조속기 레버가 수용할 수 있는 인발력으로 조절할 수 있어 추후 조속기 레버의 손상 및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to the pulling force that can be accommodated by the governor lever by checking the pulling force of the governor lever that is currently pulling the lower body ba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amage and overload of the governor lever in the futur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의 감지 센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or body reli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elevator vehicle reli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ection sensor of the elevator vehicle reli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의 감지 센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nsor of a devic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100)는, 제1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레일(111)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제1 레일(111)을 따라 이동하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레일(121-1, 121-2)을 포함하며, 내측 공간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부체대(10)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20), 및 제2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제2 레일(121-1, 121-2)을 따라 이동하여 하부체대(10)와 맞물리는 한 쌍의 이동 프레임(1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elevator body reliability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10 and a base plate 110 including a first rail 111 installed in a first direction. And second rails 121-1 and 121-2 installed along the first rail 111 based on the first input data and install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base frame 120 supports the lower frame 1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in the inner space, and moves along the second rails 121-1 and 121-2 based on the second input data. It includes a pair of moving frame 130 for meshing with the lower body stage (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100)는 하부체대(10)의 브레이크 클램프(20)와 해당 이동 프레임(130)이 접촉되는 시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40) 및 베이스 프레임(120)과 한 쌍의 이동 프레임(130)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고, 감지 센서(140)로부터 수신되는 접촉 데이터 및 조속기 레버의 인발력 데이터를 체크하는 모니터링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vator body reliability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tection sensor 140 and the base frame 120 for detecting the time when the brake clamp 20 of the lower body base 10 and the corresponding moving frame 130 is in contact. ) And a monitoring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pair of moving frames 130 and checking contact data received from the sensing sensor 140 and pull force data of the governor lever.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일정 길이의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레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111)은 베이스 프레임(12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하나만 배치되어도 무관하지만,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base plate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aving a width and a length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rails 111 that are equally spac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rail 111 is used to move the base frame 120 in the first direction. Although only one is disposed on the base plate 110, at least two first rails 111 may be disposed to move the base frame 120. It can be done smoothly.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복수의 제1 레일(111) 각각의 양 끝단에 스토퍼(112)를 더 구비하여 베이스 프레임(12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베이스 프레임(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plate 110 further includes a stopper 112 at each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rails 111 so that the base frame 120 does not fall outside when the base frame 12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movement of 120 may be restricted.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그 상부에서 베이스 프레임(120)과 이동 프레임(130)을 지지하고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20)과 이동 프레임(130)의 이동을 위한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제공할 수 있다.The base plate 110 supports the base frame 120 and the moving frame 130 thereon, and may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provide power for the movement of the base frame 120 and the moving frame 130. .

베이스 프레임(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레일(111)을 따라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20)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크기에 따라 하부체대(10)가 세 개 필요한 경우에는 세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110)은 하부체대(10)의 개수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The base frame 120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to move along a first distance 111 along a first rail 111. Base fram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two, if three lower body base 10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evator may be composed of three. That is, the number of base frames 110 may be determin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110 according to the number of lower body units 10.

베이스 프레임(120)은 두 개 중 하나만 제1 레일(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 입력 데이터에 따라 이동 거리가 결정되어 기준이 되는 베이스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20)이 제1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제1 레일(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입력 데이터는 하부체대(1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상이하게 입력될 수 있다.Only one of the two base frames 120 may move along the first rail 111, and the other one based on the base frame 120 that is determined by a movement distance according to the first input data input from the user. The base frame 120 may move along the first rail 111 based on the first input data. In this case, the first input data is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base 10 and may be differently input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evator car.

베이스 프레임(120)은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레일(121-1, 121-2)이 형성되고, ㅁ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측 공간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부체대(10)를 지지할 수 있다.Base frame 120 is formed with a second rail (121-1, 121-2) is install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to have a U-shap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in the inner space The lower body stand 10 may be supported.

베이스 프레임(120)은 하부 프레임(124), 측부 프레임(123), 및 상부 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se frame 120 may include a lower frame 124, a side frame 123, and an upper frame 122.

하부 프레임(124)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 레일(111)을 따라 이동하고, 제2 방향으로 제2 하부 레일(121-2)이 설치되며, 일정 높이로 하부체대(10)를 지지하는 체대 지그(125)가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124 moves along the first rail 111 of the base plate 110, the second lower rail 121-2 is install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supports the lower body frame 10 at a predetermined height. Sudden jig 125 may be disposed.

측부 프레임(123)은 하부 프레임(124)의 양 끝단에 종 방향으로 결합되고,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부 프레임(123)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상부 프레임(122)과 연결될 수 있다.Side frame 123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12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side frame 123 is formed in a pai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22 from the top.

상부 프레임(122)은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3)의 상부를 연결하고, 제2 방향으로 제2 상부 레일(121-1)이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22 may connect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frames 123, and a second upper rail 121-1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direction.

베이스 프레임(120)은 하부 프레임(124)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레일(121-2)과 상부 프레임(122)에 설치되는 제2 상부 레일(121-1)을 따라 이동 프레임(130)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base frame 120 is formed by the moving frame 130 along the second lower rail 121-2 formed on the lower frame 124 and the second upper rail 121-1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22. Can move in two directions.

이동 프레임(130)은 베이스 프레임(120)의 측부 프레임(123)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20)의 내측에서 제2 레일(121-1, 121-2)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frame 130 is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side frame 123 of the base frame 120, and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second rails 121-1 and 121-2 from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120. Can be.

이동 프레임(1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2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제2 레일(121-1, 121-2)을 따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입력 데이터는 하부체대(10)의 길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상이하게 입력될 수 있다.The moving frames 130 may be formed in a pair, and may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o move away from or close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rails 121-1 and 121-2 based on the second input data input from the user. Here, the second input data may be input differently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base 10.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130)은 제2 레일(121-1, 121-2)을 따라 이동하여 하부체대(10)의 브레이크 클램프(20)와 맞물릴 수 있다. 즉, 이동 프레임(130)은 하부체대(10)의 브레이크 클램프(20)에 대한 신뢰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현장에서의 레일을 대신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oving frame 130 may move along the second rails 121-1 and 121-2 to be engaged with the brake clamp 20 of the lower body frame 10. That is, the moving frame 130 may be used as a means to replace the rail at the site where the elevator is install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brake clamp 20 of the lower body base 10.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100)는 브레이크 클램프(20)의 신뢰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이동 프레임(130)에 감지 센서(140)를 설치할 수 있다.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brake clamp 20, the elevator body bed reliability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stall the detection sensor 140 on the moving frame 130.

감지 센서(140)는 하부체대(10)의 브레이크 클램프(20)와 맞물리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이동 프레임(130) 각각에 설치되고, 외부 신호에 따라 하부체대(10)의 브레이크 클램프(20)가 작동하면 브레이크 클램프(20)와 해당 이동 프레임(130)이 접촉되는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sensor 140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moving frames 13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engaged with the brake clamp 20 of the lower base 10, and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the brake clamps of the lower base 10 When the 20 is operated, the time when the brake clamp 20 is in contact with the moving frame 130 may be detected.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140)는 전극 센서로 구현되고, 외부 신호에 따라 하부체대(10)의 브레이크 클램프(20)가 작동하여 해당 이동 프레임(130)을 맞물리게 되면 브레이크 클램프(20)와 해당 이동 프레임(130)이 맞물린 시간(접촉된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sensor 140 is implemented as an electrode sensor, and when the brake clamp 20 of the lower body stage 10 operates to engage the corresponding moving frame 130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The brake clamp 20 may detect a time (contact time) when the moving frame 130 is engaged.

이때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100)는 해당 이동 프레임(130)과 브레이크 클램프(20)에 서로 다른 전극(예를 들어, 하나에 -극, 다른 하나에 +극)을 주어 전극 센서로 구현되는 감지 센서(140)가 브레이크 클램프(20)와 해당 이동 프레임(130)이 맞물린 시간(접촉된 시간)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린 시간은 m/s 와 같이 속도와 시간을 모두 포함하도록 측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apparatus 100 is provided to the moving frame 130 and the brake clamp 20 different electrodes (for example,-pole on one, + pole on the other) to be implemented as an electrode sensor The sensor 140 may measure the time (contact time) at which the brake clamp 20 is engaged with the moving frame 130. For example, the engagement time can be measured to include both speed and time, such as m / s.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100)는 하부체대(10)의 네 개 부분에 설치된 브레이크 클램프(20) 각각에서 감지된 맞물린 시간을 비교하여 모든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체크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특정 하부체대(10)의 조립을 일부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evator body reliability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engagement time detected by each of the brake clamps 20 installed in the four parts of the lower body frame 10, and checks whether all the data match, and does not match. If not, it is possible to adjust some of the assembly of the particular lower body base 10.

한편, 브레이크 클램프(20)를 작동시키는 외부 신호는 하부체대(10)와 연결된 조속기 레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신뢰성 테스트를 위해 하부체대(10)와 조속기 레버를 임시로 연결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조속기 레버는 베이스 프레임(120)보다 위에서 임의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signal for operating the brake clamp 20 may be made through the governor lever connected to the lower body stage 10, it may be made by temporarily connecting the lower body stage 10 and the governor lever for the reliability test. The governor lever may be installed in any space above the base frame 120.

모니터링부(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베이스 프레임(120), 이동 프레임(130), 하부체대(10), 조속기 레버 등과 연결되어 베이스 프레임(120), 이동 프레임(130), 하부체대(10)의 동작 및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20, the moving frame 130, the lower body frame 10, the governor lever, etc. by wire or wirelessly, and the base frame 120, the moving frame 130, and the lower body frame 10. Can be monitored for movement and movement.

모니터링부(미도시)는 베이스 프레임(120)과 이동 프레임(130)의 이동을 제어하고, 하부체대(10)의 브레이크 클램프(20) 접촉 시간 및 조속기 레버의 현재 인발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not shown)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ase frame 120 and the moving frame 130, and may monitor the contact time of the brake clamp 20 of the undercarriage 10 and the current drawing force of the governor lever.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베이스 프레임(120)의 이동을 제어하고, 제2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한 쌍의 이동 프레임(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미도시)는 브레이크 클램프(20)의 작동에 따라 감지 센서(140)로부터 수신되는 브레이크 클램프(20)와 이동 프레임(130)의 접촉 시간에 대한 접촉 데이터를 체크하고, 조속기 레버의 현재 인발력에 대한 인발력 데이터를 체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nitoring unit (not shown)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base frame 120 based on the first input data input from the user, and of the pair of movement frames 130 based on the second input data. You can control the movement.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not shown) checks the contact data on the contact time of the brake clamp 20 and the moving frame 130 received from the sensor 1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rake clamp 20, the governor lever You can check the pull force data for the current pull force.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조속기 레버는 설치 장소, 제작 크기 및 강도 등에 따라 수용할 수 있는, 즉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을 감당할 수 있는 크기가 정해져 있고, 조속기 레버가 감당할 수 있는 크기 이상의 하중이 발생하면 하부체대(10)에 슬립이 발생하여 조속기 레버의 고장 및 안전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e speed governor lever installed in the elevator has a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production size, and strength, that is, it can handle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A slip occurs in 10), causing a breakdown of the governor lever and a safety problem.

이에 기존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하부체대(10)에 저울을 달아 하나씩 인발력을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지고 인발력을 하나하나 측정함에 따라 측정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In the past, the operator manually weighed the lower body 10 and used a method of measuring the pull-out force one by one, but this method performed by the operator directly, the accuracy is lowered and the measurement time takes a lot as the pull-out force is measured one by one. do.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수동 방식에서 자동 방식, 즉 기계적 방식으로 변경하여,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전에 하부체대(10)와 연결된 조속기 레버의 현재 인발력을 측정하고, 조속기 레버의 허용 하중에 따라 하부체대(10)의 조립을 조절하여 조속기 레버의 허용 하중 내로 인발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from the existing manual method to the automatic method, that is, the mechanical method, before the elevator is installed to measure the current pull force of the governor lever connected to the lower body base 10, and according to the allowable load of the governor lever (10) By adjusting the assembly of the), the pulling force can be adjusted within the allowable load of the governor lev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베이스 프레임
130: 이동 프레임
140: 감지 센서
10: 하부체대
20: 브레이크 클램프
100: elevator lean reliability testing device
110: base plate
120: base frame
130: moving frame
140: detection sensor
10: lower body
20: brake clamp

Claims (8)

제1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레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며, 내측 공간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부체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제2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하부체대와 맞물리는 한 쌍의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
A base plate including a first rail installe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rail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moving along the first rail based on first input data and install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elevator car A base frame supporting a lower body coupled to the lower part; And
A pair of moving frames moving along the second rail based on second input data to engage the lower body stage;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정 길이의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레일 각각의 양 끝단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late is
It is formed to have a width and length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base frame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rail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끝단에 결합되고,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frame is
A lower frame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 pair of side frame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upper frame connecting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side frames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하부 레일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상부 레일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rail is
A second lower rail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upper rail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in the second direction;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2 레일 상에 배치되어 일정 높이로 상기 하부체대를 지지하는 체대 지그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frame is
It further comprises a body jig disposed on the second rail for supporting the lower body bag at a predetermined height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moving frame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ide frame of the base frame and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move away from or close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rail;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대와 맞물리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한 쌍의 이동 프레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체대의 브레이크 클램프와 해당 이동 프레임이 접촉되는 시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senso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moving frame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engaged with the lower body stage for detecting the time when the brake clamp of the lower body and the corresponding moving frame contact.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이동 프레임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접촉 데이터 및 조속기 레버의 인발력 데이터를 체크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체대 신뢰성 테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control movement of the base frame and the pair of moving frames based on input data input from a user, and to check contact data received from the sensing sensor and pull-out data of the governor lever.
Elevator bed reliability test device.
KR1020180160217A 2018-12-12 2018-12-12 Elevator safety plank reliability test apparatus KR102058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217A KR102058189B1 (en) 2018-12-12 2018-12-12 Elevator safety plank reliability tes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217A KR102058189B1 (en) 2018-12-12 2018-12-12 Elevator safety plank reliability tes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189B1 true KR102058189B1 (en) 2020-01-23

Family

ID=6936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217A KR102058189B1 (en) 2018-12-12 2018-12-12 Elevator safety plank reliability tes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1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0669A (en) * 2021-10-12 2021-12-24 通用电梯股份有限公司 Static balance testing device for elevator c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577A (en) * 2004-04-23 2005-11-04 Toshiba Elevator Co Ltd Safety assembling testing device of elevator
CN206069116U (en) * 2016-08-29 2017-04-05 巨立电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elevator beam safety tongs is to leading test fixture
KR20180057326A (en) * 2016-11-22 2018-05-3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inerlocking test apparatus of elevator governor and emergency stopping device
KR20180124374A (en) * 2017-05-11 2018-11-2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erformance test apparatus of elevator emergency stop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577A (en) * 2004-04-23 2005-11-04 Toshiba Elevator Co Ltd Safety assembling testing device of elevator
CN206069116U (en) * 2016-08-29 2017-04-05 巨立电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elevator beam safety tongs is to leading test fixture
KR20180057326A (en) * 2016-11-22 2018-05-3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inerlocking test apparatus of elevator governor and emergency stopping device
KR20180124374A (en) * 2017-05-11 2018-11-2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erformance test apparatus of elevator emergency stop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0669A (en) * 2021-10-12 2021-12-24 通用电梯股份有限公司 Static balance testing device for elevator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873A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elevator load
CN102627207B (en) Device for detecting equilibrium coefficient of elevator and detecting method
RU2372271C2 (en) Discharging method of measurement for traction drives, particularly, driving oulleys drives for elevators
CN106052931A (en) Multi-rope lifting steel rope tension force self-balancing testing bench and method
KR20080072553A (en) Lift and method of monitoring this lift
EP3601134A1 (en) A method and an elevator for automatic elevator condition checking
CN109867183B (en) System for processing pressure sensor data
KR20180057326A (en) inerlocking test apparatus of elevator governor and emergency stopping device
KR102058189B1 (en) Elevator safety plank reliability test apparatus
JP6742436B2 (en) Elevator scale equipment
CN114955773A (en) Debugging equipment and debugging method for elevator progressive safety gear lifting mechanism
EP3666710B1 (en) Safety system based on hoistway access detection
JP2010260682A (en) Elevator device
CN105417304A (en) Weight measuring method and weight measuring device for lifting body of lift
CN112660954B (en) Loading module, elevator safety protection device performan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EP3693313B1 (en) Hoisting rope monitoring device
EP3210924A1 (en) Elevator connection assembly with strain gauge
CN111302174A (en) Elevator balance coefficient and elevator static traction test no-load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device
JP5776424B2 (en) Elevator equipment
CN214610957U (en) Loading module and elevator overload protection device performance detection system
KR100923174B1 (en) Elevator having load measuring device
JP7415398B2 (en) Elevator main rope length measuring device and tension adjustment method
JP6555183B2 (en) Elevator elevator weight measuring device
KR102638079B1 (en) Measuring methods and measuring devices
KR102668925B1 (en) IoT-based electrical safety remote access device insp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